KR20210077573A - 검색 시스템 및 그것의 음성인식 방법 - Google Patents

검색 시스템 및 그것의 음성인식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77573A
KR20210077573A KR1020200055735A KR20200055735A KR20210077573A KR 20210077573 A KR20210077573 A KR 20210077573A KR 1020200055735 A KR1020200055735 A KR 1020200055735A KR 20200055735 A KR20200055735 A KR 20200055735A KR 20210077573 A KR20210077573 A KR 202100775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rch
user
application
search system
user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57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상현
Original Assignee
신상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상현 filed Critical 신상현
Priority to PCT/KR2020/018338 priority Critical patent/WO2021125741A1/ko
Priority to US17/125,233 priority patent/US20210182338A1/en
Publication of KR202100775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757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6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audio data
    • G06F16/63Query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7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video data
    • G06F16/73Querying
    • G06F16/735Filtering based on additional data, e.g. user or group profil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03Querying
    • G06F16/9035Filtering based on additional data, e.g. user or group profil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22Procedures used during a speech recognition process, e.g. man-machine dialogu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검색 시스템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으로서,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검색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검색 시스템이 수신된 검색 요청에 포함되어 있는 검색 키워드를 추출하는 단계; 검색 시스템이 복수의 콘택트(Contact) 어플리케이션의 데이터베이스들을 검색하여 검색 키워드에 대응하는 검색 결과를 획득하는 단계; 및 검색 결과를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복수의 콘택트 어플리케이션 각각은 식별 가능한 이름이 붙여져 있고, 서로 다른 주제와 연관되고 상호 독립적으로 동작 가능하다.
일실시예로서, 상기 방법에 있어, 복수의 콘택트 어플리케이션 중 제1어플리케이션의 이름을 발화하는 음성 명령 또는 제1어플리케이션의 이름을 입력하는 사용자 입력에 의해, 제1어플리케이션에 연결된 데이터베이스를 중심으로 검색이 수행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검색의 범위를 좁혀 그 좁혀진 데이터베이스 내에서 검색 결과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검색 시스템 및 그것의 음성인식 방법{RETRIEVAL SYSTEM AND VOICE RECOGNI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검색 시스템 및 그것의 음성인식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인터넷이 도입된 이래 많은 기업들이 기술 기반의 경영시스템을 구축하고 급변하는 시장 환경에서 살아남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플랫폼의 가치는 기업의 비즈니스 구조나 시스템에서 차지하는 비중과 비례 관계에 있다.
플랫폼은 공통의 활용 요소를 바탕으로 본연의 역할도 수행하지만, 보완적인 파생 제품이나 서비스를 개발, 제조할 수 있는 기반이다. 즉, 플랫폼은 제품 자체로서 만이 아니라 제품을 구성하는 부품이 될 수도 있고, 다른 서비스와 연계를 도와주는 기반 서비스나 소프트웨어 같은 무형의 형태도 포괄하는 개념인 것이다.
그런데, 디지털 콘텐츠 분야에서 4차 산업 혁명, SNS와 미디어 그리고 커머스에 따른 새로운 개념을 제시하고 다양한 멀티 어플리케이션을 하나의 시스템 내에서 포용할 수 있는 형태의 플랫폼 및 그 기반 시스템은 제공되고 있지 않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의 데이터들에 대해 효과적인 검색 수단을 제공하는 검색 시스템 및 그것의 음성인식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검색 시스템의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사용자 친화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개시의 기술분야에서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검색 시스템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은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검색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검색 시스템이 상기 수신된 검색 요청에 포함되어 있는 검색 키워드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검색 시스템이 복수의 콘택트(Contact) 어플리케이션의 데이터베이스들을 검색하여 상기 검색 키워드에 대응하는 검색 결과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검색 결과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콘택트 어플리케이션 각각은 식별 가능한 이름이 붙여져 있고, 서로 다른 주제와 연관되고 상호 독립적으로 동작 가능하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검색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콘택트 어플리케이션 중 제1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하는 제1사용자명령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제1사용자명령에 의해 선택된 상기 제1어플리케이션에 연결된 데이터베이스를 중심으로 검색하기 위한 제2사용자명령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제1사용자명령은, 상기 제1어플리케이션의 이름을 발화하는 음성 명령 또는 상기 제1어플리케이션의 이름을 입력하는 사용자 입력을 포함하고, 상기 제2사용자명령은, 상기 제1어플리케이션에 연결된 데이터베이스를 중심으로 검색을 요청하기 위해 검색어를 발화하는 음성 명령 또는 상기 검색어를 입력하는 사용자 입력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복수의 콘택트 어플리케이션 중 제1어플리케이션에 대해 선택 가능한 복수의 콘텐츠유형 중 제1콘텐츠유형에 대한 검색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제1어플리케이션에 연결된 데이터베이스를 중심으로 상기 제1콘텐츠유형의 데이터를 검색하여 상기 검색 키워드에 대응하는 검색 결과를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콘텐츠유형 각각은 식별 가능한 이름이 붙여져 있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제1콘텐츠유형에 대한 검색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는, 제1콘텐츠유형을 선택하는 제3사용자명령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제3사용자명령에 의해 선택된 상기 제1콘텐츠유형의 데이터를 검색하기 위한 제4사용자명령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사용자명령은, 상기 제1콘텐츠유형의 이름을 발화하는 음성 명령 또는 상기 제1콘텐츠유형의 이름을 입력하는 사용자 입력을 포함하고, 상기 제4사용자명령은, 상기 제1어플리케이션에 연결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제1콘텐츠유형의 데이터의 범위 내에서 검색을 요청하기 위해 검색어를 발화하는 음성 명령 또는 상기 검색어를 입력하는 사용자 입력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복수의 콘택트 어플리케이션 중 제1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서로 다른 주제 중 제1 주제와 연관된 제1 사용자들의 소셜 네트워킹(Social Networking)을 위한 인터페이스 수단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인터페이스 수단은 상기 제1 사용자들의 프로필 또는 연락처를 표시하는 제1 인터페이스 수단, 상기 제1 사용자들에 의해 업로드 된 콘텐츠를 표시하는 제2 인터페이스 수단, 및 상기 프로필, 연락처, 또는 콘텐츠를 검색하기 위한 제3 인터페이스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검색 요청은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화면에 표시되는 상기 복수의 콘택트 어플리케이션 각각에 대응하는 복수의 UI항목 중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UI항목을 선택하는 사용자입력에 기반하여 생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복수의 UI항목은 상기 복수의 콘택트 어플리케이션 각각의 명칭 및 로고를 포함하고, 버튼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검색 요청으로부터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UI항목의 선택 여부를 식별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검색 결과는 상기 식별한 결과에 따라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검색 결과를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복수의 콘택트 어플리케이션 중 제1어플리케이션에 대해 선택 가능한 복수의 국가 중 제1국가에 대한 검색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1어플리케이션에 연결된 데이터베이스를 중심으로 상기 제1국가와 관련된 데이터를 검색하여 상기 검색 키워드에 대응하는 검색 결과를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검색 요청은 상기 복수의 콘택트 어플리케이션 중 상기 제1어플리케이션에 대해 선택 가능한 복수의 콘텐츠유형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검색 컨트롤러 UI에 대한 사용자입력에 기반하여 생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검색 컨트롤러 UI는 제1 원형아이콘과 복수의 제2원형아이콘을 포함하고, 상기 제1원형아이콘의 경계선 바깥 영역에 상기 복수의 제2원형아이콘이 소정 간격으로 원형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제1원형아이콘 및 상기 복수의 제2원형아이콘은, 검색 유형, 기능, 콘텐츠, 및 피앱(P-App) 중 어느 하나에 각각 대응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검색 결과는 콘텐츠, 오픈채팅, 플레이리스트, 연락처, 폴더, 상품, 지도, 및 콘텐츠 그리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검색 요청은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사용자에 의해 발화되는 음성 명령에 기반하여 생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음성 명령은 상기 복수의 콘택트 어플리케이션 중 제1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하기 위한 제1음성명령과, 상기 제1음성명령에 의해 선택된 제1 어플리케이션에 대해 선택 가능한 복수의 콘텐츠유형 중 제1콘텐츠유형을 선택하기 위한 제2음성명령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검색 키워드를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제1음성명령 및 상기 제2음성명령의 오디오 신호를 샘플링하여 각각의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단계, 상기 제1음성명령 및 상기 제2음성명령 각각의 디지털 신호로부터 특징을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된 각각의 디지털 신호의 특징에 기반하여 기 등록된 딕셔너리(dictionary)로부터 상기 제1음성명령 및 상기 제2음성명령 각각과 유사한 단어를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검색 키워드를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음성 명령이 문장으로 이루어진 경우, 상기 문장 속에 포함된 복수의 단어를 인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검색 결과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 상에서 기 설정된 검색 기준에 기반한 우선순위에 따라 정렬되어 표시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검색 결과는 사용자의 검색 히스토리를 참조하여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검색 결과는 상기 검색 시스템의 다른 사용자들의 검색 히스토리를 참조하여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검색 결과는 사용자의 위치에 기반하여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검색 결과는 사용자의 위치, 연령, 성별 또는 거주 지역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사용자의 기본 정보에 기반하여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검색 시스템의 전체 사용자에 의해 검색되는 복수의 콘택트 어플리케이션 및 복수의 콘텐츠유형에 대한 실시간 검색 현황을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검색 요청 히스토리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접속 시 관심있는 콘택트 어플리케이션 및 콘텐츠유형에 해당하는 검색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검색 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복수의 사용자 단말기와 통신하는 통신 인터페이스, 상기 프로세서에 의하여 수행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로드(load)하는 메모리, 및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스토리지를 포함하되,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검색 요청을 수신하는 동작, 상기 수신된 검색 요청에 포함되어 있는 검색 키워드를 추출하는 동작, 복수의 콘택트(Contact) 어플리케이션의 데이터베이스들을 검색하여 상기 검색 키워드에 대응하는 검색 결과를 획득하는 동작, 및 상기 검색 결과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인스트럭션들(instructions)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콘택트 어플리케이션 각각은 식별 가능한 이름이 붙여져 있고, 서로 다른 주제와 연관되고 상호 독립적으로 동작 가능하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하여 수행되는 검색 방법은, 검색 요청을 검색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검색 시스템이 상기 검색 요청에 대응하여 복수의 콘택트(Contact) 어플리케이션의 데이터베이스들로부터 검색한 검색 결과를 상기 검색 시스템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검색 결과를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콘택트 어플리케이션 각각은 식별 가능한 이름이 붙여져 있고, 서로 다른 주제와 연관되고 상호 독립적으로 동작 가능하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복수의 콘택트 어플리케이션 각각에 대응하는 복수의 UI항목을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UI항목 중 제1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UI항목을 선택하는 사용자입력에 기반하여 상기 수신한 검색 결과를 필터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제1어플리케이션에 대해 선택 가능한 복수의 콘텐츠유형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검색 컨트롤러 UI를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검색 컨트롤러 UI를 통해 상기 복수의 콘텐츠유형 중 제1콘텐츠유형을 선택하는 사용자입력에 기반하여 상기 수신한 검색 결과를 필터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사용자에 의해 발화되는 음성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음성 명령에 기반하여 상기 수신된 검색 결과를 필터링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는 검색 시스템과 통신하는 통신부,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사용자입력부, 및 복수의 콘택트(Contact)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검색 요청을 검색 시스템으로 전송하고, 상기 검색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검색 요청에 대응하는 검색 결과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검색 결과를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프로세스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콘택트 어플리케이션 각각은 식별 가능한 이름이 붙여져 있고, 서로 다른 주제와 연관되고 상호 독립적으로 동작 가능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의 데이터들에 대해 효과적인 검색 수단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서로 다른 주제별로 구분된 각각의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검색의 범위를 축소시키고 검색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주소록 검색 기능을 이용하는 사용자에게 차별화된 사용자 경험(UX)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검색 시스템의 기본 개념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검색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검색 시스템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콘택트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검색 구조를 도시한 예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콘택트 어플리케이션 검색을 위한 메인 화면 인터페이스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콘택트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검색 결과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검색 컨트롤러 UI를 이용한 검색 인터페이스를 도시한 예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검색 컨트롤러 UI를 이용한 검색 인터페이스를 도시한 예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성 발화에 의한 검색 요청 프로세스를 도시한 예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성 발화에 의한 검색 요청 프로세스를 도시한 예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검색 결과를 소정 기준에 따라 우선순위 정렬하여 제공하는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검색 결과를 사용자의 검색 히스토리에 기반하여 제공하는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검색 결과를 사용자의 위치에 기반하여 제공하는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검색 결과를 사용자의 기본 정보에 기반하여 제공하는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검색 시스템의 실시간 검색 현황을 제공하는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가 검색 시스템에 접속 시 관심 있는 검색 정보를 제공하는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개시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은 이하의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이하의 실시예들은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을 완전하도록 하고,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개시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개시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개시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개시를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또한, 본 개시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 (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 (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 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 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하,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들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에 따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검색 시스템의 기본 개념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시된 예에서, 본 발명에 의한 검색 시스템(100)은 사용자 단말기(20)로부터 복수의 콘택트(contact)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검색 요청을 수신한다. 복수의 콘택트 어플리케이션은 예컨대, 서로 다른 주제별로 구분되어 주소록 검색 기능을 제공하는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으로 구현될 수 있다.
검색 시스템(100)은 사용자 단말기(20)로부터 수신한 검색 요청에 포함된 검색 키워드를 추출한다. 검색 시스템(100)은 각 어플리케이션의 주소록 관련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베이스(11)로부터 검색 키워드와 유사도가 높은 단어를 포함하는 검색 결과를 획득하여 사용자 단말기(20)로 제공한다.
검색 시스템(100)는 고정식 컴퓨팅 장치로서 예컨대, 서버 장치일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사용자 단말기(20)는 예컨대, 개인용 데스크탑 PC와 같은 고정식 컴퓨팅 장치, 스마트 폰, 태블릿 PC, 랩톱 PC, PDA, VR(Virtual Reality) 영상 장치, AR(Augmented Reality) 영상 장치 등과 같은 이동식 컴퓨팅 장치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도시된 구성에서, 검색 시스템(100)은 사용자 단말기(20)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고, 사용자 단말기(20)의 웹 브라우저로부터의 HTTP 요청에 대해 응답을 처리하는 웹 서버(WEB Server)와, 동적 콘텐츠나 웹 응용프로그램 서비스를 처리하고 데이터베이스(11)와 연동할 수 있는 WAS 서버로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WAS 서버가 웹 서버의 기능을 포함하는 경우도 있다.
데이터베이스(11)는 복수의 콘택트 어플리케이션이 제공하는 주소록 관련 데이터를 저장하고, 검색 시스템(100)에서 처리된 데이터를 저장하는 DB 서버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주소록 관련 데이터는 예컨대, 사용자의 프로필 또는 연락처 정보, 사용자에 의해 업로드 되는 콘텐츠 정보, 콘텐츠의 검색을 위한 정보 등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검색 시스템(100)은 사용자 단말기(20)로 주소록과 관련된 복수의 콘택트 어플리케이션의 데이터에 대한 다양한 검색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검색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시된 예는, 검색 시스템(100)의 하드웨어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검색 시스템(100)는 컴퓨팅 장치로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01), 버스(106),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02), 프로세서(101)에 의하여 수행되는 컴퓨터 프로그램(105)을 로드(load)하는 메모리(103)와, 컴퓨터 프로그램(105)를 저장하는 스토리지(104)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도 2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 있는 구성요소들 만이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라면 도 2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외에 다른 범용적인 구성 요소들이 더 포함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검색 시스템(100)는 IaaS(Infrastructure-as-a-Service) 방식의 클라우드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팜(server farm)에 소속된 물리 서버 중 어느 하나를 가리킬 수 있다.
프로세서(101)는 검색 시스템(100)의 각 구성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프로세서(101)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MPU(Micro Processor Unit), MCU(Micro Controller Unit), GPU(Graphic Processing Unit) 또는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 잘 알려진 임의의 형태의 프로세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01)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동작을 실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에 대한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검색 시스템(100)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구비할 수 있다.
메모리(103)는 각종 데이터, 명령 및/또는 정보를 저장한다. 메모리(103)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동작들을 실행하기 위하여 스토리지(104)로부터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105)을 로드(load)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컴퓨터 프로그램(105)이 메모리(103)에 로드 되면, 로직(또는 모듈)이 메모리(103) 상에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103)의 예시는 RAM이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버스(106)는 검색 시스템(100)의 구성 요소 간 통신 기능을 제공한다. 버스(106)는 주소 버스(Address Bus), 데이터 버스(Data Bus) 및 제어 버스(Control Bus) 등 다양한 형태의 버스로 구현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02)는 검색 시스템(100)의 유무선 인터넷 통신을 지원한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02)는 인터넷 통신 외의 다양한 통신 방식을 지원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02)는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 잘 알려진 통신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스토리지(104)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프로그램(105)을 비임시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스토리지(104)는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 하드 디스크, 착탈형 디스크,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잘 알려진 임의의 형태의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105)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동작들이 구현된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들(instructions)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컴퓨터 프로그램(105)은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검색 요청을 수신하는 동작, 상기 수신된 검색 요청에 포함되어 있는 검색 키워드를 추출하는 동작, 복수의 콘택트(Contact) 어플리케이션의 데이터베이스들을 검색하여 상기 검색 키워드에 대응하는 검색 결과를 획득하는 동작, 및 상기 검색 결과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105)이 메모리(103)에 로드 되면, 프로세서(101)는 상기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들을 실행시킴으로써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검색 시스템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동작 S10에서, 검색 시스템(100)은 사용자 단말기(20)로부터 검색 요청을 수신한다.
일 실시예로서, 동작 S10은, 복수의 콘택트 어플리케이션 중 제1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하는 제1사용자명령을 수신하는 동작,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제1사용자명령에 의해 선택된 상기 제1어플리케이션에 연결된 데이터베이스를 중심으로 검색하기 위한 제2사용자명령을 수신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사용자명령 및 제2사용자명령은 검색을 위해 사용자 단말기(20)의 사용자에 의해 발화되는 음성 명령이거나, 사용자 단말기(20)의 키보드 또는 마우스를 통한 사용자 입력일 수 있다.
예로서, 제1어플리케이션 선택을 위한 제1사용자명령의 경우, 서로 다른 주제의 주소록 검색 기능을 제공하는 복수의 콘택트 어플리케이션 중 제1어플리케이션의 이름을 사용자가 음성 발화하거나, 사용자 단말기(20)에서 키보드를 통해 입력하는 방식으로 전달될 수 있다.
여기서, 제1사용자명령은, 제1어플리케이션의 이름을 발화하거나 입력함에 의해 데이터베이스의 검색 범위의 기준을 제시하는 시동어에 해당된다.
일단, 제1사용자명령이 수신되면, 그 이후에 입력 또는 발화되는 제2사용자명령에 의해 제1어플리케이션에 연결된 데이터베이스를 중심으로 검색이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제1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하는 제1사용자명령을 통해 검색의 범위를 제1어플리케이션에 연결된 데이터베이스로 한정하게 되고, 그에 따라 검색 속도가 빨라질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동작 S10은, 사용자 단말기(20)로부터 제1어플리케이션에 대해 선택 가능한 복수의 콘텐츠유형 중 제1콘텐츠유형에 대한 검색 요청을 수신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제1콘텐츠유형에 대한 검색 요청을 수신하는 동작은, 제1콘텐츠유형을 선택하는 제3사용자명령을 수신하는 동작, 및 사용자 단말기(20)로부터 제3사용자명령에 의해 선택된 제1콘텐츠유형의 데이터를 검색하기 위한 제4사용자명령을 수신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3사용자명령 및 제4사용자명령은 검색을 위해 사용자 단말기(20)의 사용자에 의해 발화되는 음성 명령이거나, 사용자 단말기(20)의 키보드 또는 마우스를 통한 사용자 입력일 수 있다.
예로서, 제1콘텐츠유형 선택을 위한 제3사용자명령의 경우, 제1사용자명령에 의해 선택된 제1어플리케이션에 대해 선택 가능한 복수의 콘텐츠유형 중 제1콘텐츠유형의 이름을 사용자가 음성 발화하거나, 사용자 단말기(20)에서 키보드를 통해 입력하는 방식으로 전달될 수 있다.
일단, 제3사용자명령이 수신되면, 그 이후에 입력 또는 발화되는 제4사용자명령은 제1어플리케이션에 연결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제1콘텐츠유형의 데이터의 범위 내에서 검색이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제1콘텐츠유형을 선택하는 제3사용자명령을 통해 검색의 범위를 제1어플리케이션에 연결된 데이터베이스에 속한 제1콘텐츠유형의 데이터로 한정하게 되고, 그에 따라 검색 속도가 빨라질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검색 요청은, 사용자 단말기(20)의 화면에 표시되는 복수의 콘택트 어플리케이션 각각에 대응하는 복수의 UI항목 중 제1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UI항목을 선택하는 사용자입력에 기반하여 생성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콘택트 어플리케이션 각각은 식별 가능한 이름이 붙여져 있고, 서로 다른 주제와 연관되고 상호 독립적으로 동작 가능하다.
일 실시예로서, 복수의 콘택트 어플리케이션은 서로 다른 주제 중 제1 주제와 연관된 제1 사용자들의 소셜 네트워킹을 위한 인터페이스 수단을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인터페이스 수단은, 제1사용자들의 프로필 또는 연락처를 표시하는 제1 인터페이스 수단과, 상기 제1 사용자들에 의해 업로드 된 콘텐츠를 표시하는 제2 인터페이스 수단, 및 상기 프로필, 연락처, 또는 콘텐츠를 검색하기 위한 제3 인터페이스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복수의 UI항목은 복수의 콘택트 어플리케이션 각각의 명칭 및 로고를 포함하고, 버튼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동작 S20에서, 검색 시스템(100)은 수신된 검색 요청에 포함되어 있는 검색 키워드를 추출한다.
다음으로, 동작 S30에서, 검색 시스템(100)은 복수의 콘택트 어플리케이션의 데이터베이스들을 검색하여 검색 키워드에 대응하는 검색 결과를 획득한다. 동작 S30은, 동작 S10에서 제1어플리케이션의 이름을 발화하거나 입력하는 시동어에 해당하는 제1사용자명령에 의해, 제1어플리케이션에 연결된 데이터베이스를 중심으로 검색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검색 범위의 기준을 제시해줄 수 있다.
여기서, 검색 결과는, 콘텐츠, 오픈채팅, 플레이리스트, 연락처, 폴더, 상품, 지도, 및 콘텐츠 그리드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동작 S30은, 검색 요청으로부터 제1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UI항목의 선택 여부를 식별하는 동작을 포함하고, 이 때, 검색 결과는, 식별한 결과에 따라 제1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검색 결과를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동작 S30은, 동작 S10에서의 제1콘텐츠유형에 대한 검색 요청에 대해 제1어플리케이션에 연결된 데이터베이스를 중심으로 제1콘텐츠유형의 데이터를 검색하여 검색 키워드에 대응하는 검색 결과를 획득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동작 S30은, 사용자 단말기(20)로부터 제1어플리케이션에 대해 선택 가능한 복수의 국가 중 제1국가에 대한 검색 요청을 수신하는 동작, 및 제1어플리케이션에 연결된 데이터베이스를 중심으로 제1국가와 관련된 데이터를 검색하여 검색 키워드에 대응하는 검색 결과를 획득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국가와 관련된 데이터는, 국적이 제1국가인 사용자가 업로드한 데이터, 제1국가에서 업로드 된 데이터, 또는 제목이나 콘텐츠에 제1국가의 명칭이나 국기가 포함된 데이터와 같이 제1국가와의 관련성을 갖는 데이터를 의미한다.
일 실시예로서, 검색 요청은, 제1어플리케이션에 대해 선택 가능한 복수의 콘텐츠유형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검색 컨트롤러 UI에 대한 사용자입력에 기반하여 생성될 수 있다.
여기서, 검색 컨트롤러 UI는, 제1 원형아이콘과 복수의 제2원형아이콘을 포함하고, 제1원형아이콘의 경계선 바깥 영역에 복수의 제2원형아이콘이 소정 간격으로 원형 배치될 수 있다. 제1원형아이콘 및 상기 복수의 제2원형아이콘은, 검색 유형, 기능, 콘텐츠, 및 피앱 중 어느 하나에 각각 대응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동작 S40에서, 검색 시스템(100)은 검색 결과를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한다.
일 실시예로서, 검색 결과는, 기 설정된 검색 기준에 기반한 우선순위에 따라 정렬되어 제공될 수 있다. 이 때, 검색 기준은 사용자의 검색 빈도, 혹은 검색 시스템(100)의 전체 검색 빈도를 참조하여 설정될 수 있다. 이 외에도, 검색 기준은 시간 순서로 설정되거나, 무작위순으로 설정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로서, 검색 결과는, 사용자의 검색 히스토리, 사용자의 위치, 및 사용자의 기본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동작 S40은, 검색 시스템(100)의 전체 사용자에 의해 검색되는 복수의 콘택트 어플리케이션 및 복수의 콘텐츠유형에 대한 실시간 검색 현황을 제공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동작 S40은, 사용자 단말기(20)의 검색 요청 히스토리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접속 시 관심있는 콘택트 어플리케이션 및 콘텐츠유형에 해당하는 검색 정보를 제공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는, 검색 시스템(100)이 사용자 단말기(20)의 사용자에 의해 발화되는 음성 명령에 기반하여 검색 결과를 제공하는 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일 실시예로서, 동작 S10에서, 검색 시스템(100)은 사용자 단말기(20)의 사용자에 의해 발화되는 음성 명령에 기반하여 생성되는 검색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음성 명령은, 복수의 콘택트 어플리케이션 중 제1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하기 위한 제1음성명령과, 제1음성명령에 의해 선택된 제1 어플리케이션에 대해 선택 가능한 복수의 콘텐츠유형 중 제1콘텐츠유형을 선택하기 위한 제2음성명령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동작 S20은, 제1음성명령 및 상기 제2음성명령의 오디오 신호를 샘플링하여 각각의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동작, 제1음성명령 및 상기 제2음성명령 각각의 디지털 신호로부터 특징을 추출하는 동작, 및 추출된 각각의 디지털 신호의 특징에 기반하여 기 등록된 딕셔너리로부터 제1음성명령 및 제2음성명령 각각과 유사한 단어를 추출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동작 S20은, 음성 명령이 문장으로 이루어진 경우, 상기 문장 속에 포함된 복수의 단어를 인식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검색 시스템(100)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에 의하면, 서로 다른 주제별 주소록의 검색 기능을 제공하는 복수의 콘택트 어플리케이션 각각의 데이터에 대해 효과적인 검색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콘택트 어플리케이션을 모두 통합한 전체 데이터에 대해서도 다양한 유형의 검색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콘택트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검색 구조를 도시한 예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검색 시스템(100)은 복수의 콘택트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검색 기능을 제공한다.
복수의 콘택트 어플리케이션은 서로 다른 주제별 주소록의 검색 기능을 제공하는 제1어플리케이션(41), 제2어플리케이션(42), 제3어플리케이션(43), ? , 및 제N어플리케이션(44)을 포함한다.
도시된 예에서, 제1어플리케이션(41)은 '아이돌'이라는 주제와 관련된 주소록(411)을 검색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제2어플리케이션(42)은 '인디밴드'라는 주제와 관련된 주소록(421)을 검색하는 기능을 제공하고, 제3어플리케이션(43)은 '식당'이라는 주제와 관련된 주소록(431)을 검색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제N어플리케이션(44)은 '의사'라는 주제와 관련된 주소록(441)을 검색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검색 시스템(100)은 주소록 검색 기능을 제공함에 있어, 서로 다른 주제와 연관된 복수의 콘택트 어플리케이션 각각을 검색 가능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함에 의해, 복수의 콘택트 어플리케이션 전체의 데이터를 검색하는 경우보다 빠르고 효율적인 검색 결과를 제공해줄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콘택트 어플리케이션 검색을 위한 메인 화면 인터페이스를 도시한 것이다.
도시된 예에서, 검색 시스템(100)은 사용자 단말기(20)의 메인 화면 인터페이스(50)를 통해 복수의 콘택트 어플리케이션(41, 42, 43, ?, 44)이 제공하는 주소록과 관련된 다양한 콘텐츠(사진, GIF, 사운드 클라우드, 유튜브, 영상, 또는 음악 등), 오픈채팅, 플레이리스트, 연락처, 폴더, 상품 정보, 지도, 및 콘텐츠 그리드 등에 대한 검색 기능을 제공한다.
이 때, 복수의 콘택트 어플리케이션(41, 42, 43, ?, 44)이 제공하는 주소록은 다이렉트 콘택트 형태의 주소록일 수 있다. 다이렉트 콘택트는 특정 주제로 사람들이 모여 있는 주소록 시스템을 가리킨다. 예를 들어, 다이렉트 콘택트는 도 4의 예와 같이, 아이돌 주소록(411), 인디밴드 주소록(421), 식당 주소록(431), 의사 주소록(441) 또는 변호사 주소록(미도시) 등 다양한 주소록 일 수 있다. 이러한 다이렉트 콘택트 형태의 주소록은 그것의 주제를 기준으로 이미 한 번 카테고리화가 된 것으로 볼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검색 시스템(100)이 사용자 단말기(20)로 제공하는 복수의 콘택트 어플리케이션(41, 42, 43, ?, 44)에 대한 검색 기능은 사용자에 의해 발화되는 음성 명령이나, 키보드 또는 마우스를 통한 사용자 입력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예로서, '힙합(Hiphop)'관련 주소록 기능을 제공하는 제1어플리케이션을 검색하기 위해, 사용자는 '힙합'이라고 제1어플리케이션의 이름을 직접 발화하거나, 검색창에 '힙합'을 입력하는 방식으로 명령을 내릴 수 있다. 이와 같은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검색 시스템(100)은 검색의 범위를 제1어플리케이션에 연결된 데이터베이스로 한정하게 되고, 그 이후에 발화 또는 입력되는 키워드들에 대해 제1어플리케이션에 연결된 데이터베이스를 중심으로 검색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복수의 콘택트 어플리케이션의 전체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는 경우에 비해 보다 빠른 검색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사용자 단말기(20)의 메인 화면 인터페이스(50)에는 다이렉트 콘택트 형태의 주소록을 제공하는 복수의 콘택트 어플리케이션(41, 42, 43, ?, 44) 각각에 대응하는 UI항목(51, 52)이 표시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힙합(Hiphop)'과 관련된 제1어플리케이션의 제1UI항목(51)을 선택하면, 힙합과 관련된 주소록의 데이터를 검색 가능하고, '인디뮤직(Indimusic)'과 관련된 제2어플리케이션의 제2 UI항목(52)을 선택하면, 인디뮤직과 관련된 주소록의 데이터를 검색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콘택트 어플리케이션(41, 42, 43, ?, 44)은 사용자 단말기(20) 내에서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는 복수의 콘텐츠유형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콘텐츠유형은 예컨대, 검색 유형, 기능, 콘텐츠, 및 피앱(P-App) 중 어느 하나에 각각 대응할 수 있다. 이 때, 피앱은 미니 응용프로그램으로서, 그것의 이름에 의해 각각 카테고리화 된 것으로 볼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검색 시스템(100)은 복수의 콘택트 어플리케이션(41, 42, 43, ?, 44) 각각에 대해 선택 가능한 복수의 콘텐츠유형에 대해서도 검색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복수의 콘텐츠유형에 대한 검색 기능 또한 사용자에 의해 발화되는 음성 명령이나, 키보드 또는 마우스를 통한 사용자 입력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예로서, '힙합' 관련 제1어플리케이션 내에서 '플레이리스트' 피앱을 검색하기 위해, 사용자는 '힙합'이라고 제1어플리케이션의 이름을 먼저 발화하거나 검색창에 입력한 후, '플레이리스트'라는 피앱의 이름을 직접 발화하거나 검색창에 입력하는 방식으로 명령을 내릴 수 있다. 이와 같은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검색 시스템(100)은 검색의 범위를 제1어플리케이션에 연결된 데이터베이스를 중심으로 '플레이리스트' 피앱의 데이터로 한정하게 되고, 그 이후에 발화 또는 입력되는 키워드들에 대해 '플레이리스트' 피앱의 데이터 내에서 검색되도록 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A플레이어' 피앱 내에서 'DNA'라는 특정 음원을 검색하기 위해, 사용자는 'A플레이어, DNA 틀어줘'와 같이 피앱의 이름과 검색 키워드를 포함하는 문장을 직접 발화하거나, 검색창에 입력하는 방식으로 명령을 내릴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검색 시스템(100)은 검색의 범위를 'A플레이어'라는 음악 데이터베이스로 한정하게 되고, 자동으로 'DNA'를 음악으로 인식하여 'DNA'음원이 바로 재생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방식에 의해, 검색 시스템(100)은 전체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는 것이 아니라, 특정 주제와 연관된 콘택트 어플리케이션 내에서 특정 컨텐츠유형의 데이터로 한정하여 검색하므로, 보다 빠르고 효율적인 검색 성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사용자 단말기(20)의 메인 화면 인터페이스(50)에는 복수의 콘택트 어플리케이션(41, 42, 43, ?, 44) 각각에 대해 선택 가능한 복수의 콘텐츠유형에 대응하는 검색 컨트롤러 UI(55)가 표시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힙합(Hiphop)'과 관련된 제1어플리케이션의 제1UI항목(51)을 선택한 후, 검색 컨트롤러 UI(55)를 통해 원하는 콘텐츠유형을 선택하면, 화면 상에서 플레이리스트 피앱, 사진, 동영상, 오픈 채팅 등과 같이 다양한 유형의 콘텐츠를 포함하는 검색 결과를 확인할 수 있다.
예로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힙합(Hiphop)'과 관련된 제1어플리케이션의 제1UI항목(51)을 선택한 후, 검색 컨트롤러 UI(55)의 아이콘들 중 '플레이리스트' 아이콘(551)을 선택하면, 화면 상에 힙합과 관련된 플레이리스트 콘텐츠를 포함하는 검색 결과(500)를 확인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사용자 단말기(20)에서 특정 어플리케이션 및 특정 콘텐츠유형을 지정하여 검색을 요청하지 않고, 검색어에 의한 전체 검색 결과를 검색 시스템(100)으로부터 수신한 후에, 특정 어플리케이션 및 특정 콘텐츠유형에 대해 결과를 필터링할 수도 있다.
상기 실시예와 관련한 검색 방법은 아래와 같은 단계로 수행될 수 있다.
1. 복수의 콘택트 어플리케이션(41, 42, 43, ?, 44) 중 특정 주제와 연관된 어플리케이션의 검색 탭에서 찾고자 하는 검색어를 입력한다.
2. 모든 주소록의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11)를 바탕으로, 해당 검색어에 해당하는 다양한 결과들이 등장한다. 예를 들어, 검색 결과에 따라 다양한 콘텐츠(사진, GIF, 사운드 클라우드, 유투브, 영상, 음악 등), 오픈채팅, 플레이리스트, 연락처, 폴더, 상품, 지도, 콘텐츠 그리드 등이 제공될 수 있다.
3. 검색창 하단에는 제1어플리케이션 및 제2어플리케이션의 이름과 로고가 버튼 형식으로 표시된 제1UI항목(51)과 제2UI항목(52)이 제공된다.
4. 그 중 특정 주제와 연관된 어플리케이션의 UI항목(51 혹은 52)을 클릭하면, 해당 주소록 내의 데이터만 출력하도록 검색 결과가 필터링 된다. 이러한 필터링 기능은 주소록을 선택하는 데만 국한되지 않고, 국가나 다른 다양한 기준으로 필터링하는 데도 적용될 수 있다.
5. 검색 화면에는 검색을 위한 검색 컨트롤러 UI(55)가 함께 제공될 수 있다. 검색 컨트롤러 UI(55)는 사용자 친화적인 검색 기능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를 제공하기 위해 것으로, 그 구체적인 형태에 대해서는 도 6에서 후술된다.
6. 사용자는 제공되는 검색 컨트롤러 UI(55)의 아이콘을 이용하여 다양한 검색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검색 컨트롤러 UI(55)의 특정 아이콘(가령, 동영상 버튼)을 선택하면, 이를 기준으로 검색 결과가 필터링되어 동영상 콘텐츠만 검색 화면에 표시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검색 시스템(100)은 주소록의 검색 기능을 제공함에 있어, 특정 주제의 어플리케이션 및 특정 콘텐츠유형을 선택 가능하도록 계층 구조를 가지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주소록 검색 시 데이터 검색의 범위를 좁혀 주기 때문에 빠르면서 정확도가 높은 검색 결과를 제공해줄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사용자 단말기(20)의 메인 화면 인터페이스(50)에는 사용자의 검색을 편리하게 도와주는 복수의 기능 버튼(57)들이 표시될 수 있다. 도시된 예에서, 사용자가 각각의 기능 버튼(57)을 선택하면 각 버튼의 지정된 기능이 수행된다. 예를 들어, 기능 버튼들(57) 중 첫 번째 버튼을 선택하면 현재 입력된 검색어를 지우고 초기 검색 창으로 되돌아가는 기능이 수행될 수 있다. 기능 버튼들(57) 중 두 번째 버튼을 선택하면 검색 결과를 시간(예를 들어, 업로드 된 시간)의 순서로 배치하는 기능이 수행되고, 기능 버튼들(57) 중 세 번째 버튼을 선택하면 검색 결과를 무작위로 재배치(예를 들어, 셔플)하는 기능이 수행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검색 화면에 표시된 검색 결과에는 상기 검색 결과의 콘텐츠유형을 나타내는 아이콘(53, 54)이 함께 표시될 수 있다. 가령, 검색 결과가 플레이리스트인 경우'플레이리스트 아이콘'(53)이, 사진 콘텐츠인 경우'사진 아이콘'(54)이 각각 함께 표시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콘택트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검색 결과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어플리케이션의 UI항목(51 혹은 52) 및 검색 컨트롤러 UI(55)의 아이콘의 선택에 따라 표시되는 화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시된 예에서, '힙합(Hiphop)'과 관련된 제1어플리케이션의 제1UI항목(51)이 선택되면, 제1어플리케이션의 제1UI항목(51)에 대해 기 설정되어 있는 검색 컨트롤러 UI(55)가 표시될 수 있다.
검색 컨트롤러 UI(55)는 '힙합(Hiphop)'과 관련된 기능, 콘텐츠, 및 피앱 등을 아이콘의 형태로 표시하고, 예컨대 '플레이리스트' 아이콘(551)을 선택 시, 화면 상에 힙합과 관련된 플레이리스트 콘텐츠를 포함하는 검색 결과(500)가 표시될 수 있다.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검색 컨트롤러 UI를 이용한 검색 인터페이스를 도시한 예이다.
도시된 예에서, 검색 컨트롤러 UI(61, 62)는 중앙에 표시되는 제1원형아이콘(611, 621)의 경계선 바깥 영역에 복수의 제2원형아이콘(612, 613, 622, 623)이 소정 간격으로 원형 배치되는 형태로 구성된다.
제1원형아이콘(611, 621) 및 복수의 제2원형아이콘(612, 613, 622, 623)은 각각 검색 유형, 기능, 콘텐츠, 및 피앱 중 어느 하나에 매핑(mapping)될 수 있다.
예로서, 제1검색 컨트롤러 UI(61)는 중앙에 제1원형아이콘(611)을 표시하고, 제1원형아이콘(611)의 주위에 콘텐츠유형이'유투브'에 해당하는 제2원형아이콘(612)와, 콘텐츠유형이'위치'에 해당하는 제2원형아이콘(613) 등을 표시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제2검색 컨트롤러 UI(62)는 중앙에 제1원형아이콘(621)을 표시하고, 제1원형아이콘(621)의 주위에 콘텐츠유형이'오픈 채팅'에 해당하는 제2원형아이콘(622)와, 콘텐츠유형이'연락처'에 해당하는 제2원형아이콘(623)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제1원형아이콘(611, 621) 및 복수의 제2원형아이콘(612, 613, 622, 623) 중 사용자가 선택한 아이콘은 다른 아이콘들과 구별을 위해 하이라이트 되거나 색상이 바뀔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검색 컨트롤러 UI(61, 62)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화면상 임의의 위치에 자유롭게 배치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검색 컨트롤러 UI를 이용한 검색 인터페이스를 도시한 예이다.
일 실시예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검색 컨트롤러 UI(70)는 제1원형아이콘(71)을 표시하고, 제1원형아이콘(71)을 선택 시, 복수의 제2원형아이콘(721, 722, 723, 724, 725, 726, 727, 728)이 제1원형아이콘(71)의 주위에 소정 간격으로 원형 배치되도록 표시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성 발화에 의한 검색 요청 프로세스를 도시한 예이다.
일 실시예로서, 검색 시스템(100)은 음성 인식을 이용하여 데이터베이스(11)의 검색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직접 검색어를 타이핑하지 않고도 검색을 수행할 수 있어, 검색 속도가 획기적으로 빨라지고 검색 시간이 단축되며 사용자의 편의성 또한 높아진다.
종래의 일반적인 음성 인식 검색은‘Siri야’, ‘Alexa’, ‘GIGA Genie’와 같이 음성 인식을 위한 시동어를 먼저 말하고 이후 찾고자 하는 검색어를 말해야 했으며, 검색어가 호칭되면 광범위한 데이터 영역에서 찾고자 하는 정보를 검색해야 했다. 즉, 직접적인 검색 기능과는 무관한 시동어를 호칭하는 단계가 필수적으로 부가되어 사용자 편의성을 저하시키는 문제가 있었으며, 검색의 범위가 광범위한 전체 데이터를 대상으로 하여 검색 속도를 현저히 저하시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검색 시스템(100)에 의한 검색 방법에서는 주소록 어플리케이션의 이름을 부르는 시동어를 사용함에 의해, 시동어 자체로 데이터베이스 검색 범위의 기준을 제시하고, 이후 구체적인 검색 대상을 단계적으로 지정하여 검색함으로써 검색 속도 및 효율성을 극대화한다
도시된 예는, 검색 시스템(100)이 사용자 단말기(20)로부터 검색 요청을 수신 시, 사용자에 의해 발화되는 음성 명령에 기반한 검색 요청을 수신하는 예를 도시한 것이다.
일 실시예로서, 사용자 단말기(20)는 사용자로부터 발화되는 음성 명령을 취득하고, 이 때 음성 명령은 복수의 콘택트 어플리케이션 중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하기 위한 제1음성명령과, 제1음성명령에 의해 선택된 특정 어플리케이션에 대해 선택 가능한 복수의 콘텐츠유형 중 특정 콘텐츠유형을 선택하기 위한 제2음성명령을 포함할 수 있다.
예로서, 사용자가 제1음성명령(81)으로서 '아이돌(IDOL)'을 발화하면, 검색 시스템(100)은'아이돌(IDOL)'과 연관된 어플리케이션으로 검색의 범위를 한번 좁히게 된다. 이 때. 사용자가 제2음성명령(82)으로서 '플레이리스트 피앱'을 발화하면, 검색 시스템(100)은 콘텐츠유형이 '플레이리스트 피앱'에 해당하는 콘텐츠들을 검색하는 것으로 검색의 범위를 한번 더 좁힐 수 있다. 그리고, 최종적으로 사용자가 제3음성명령(83)으로서 'BTS 찾아줘'와 같이 구체적인 검색 대상을 발화함에 의해 찾고자 하는 구체적인 정보를 검색하게 된다.
일 실시예로서, 검색 시스템(100)은 사용자에 의해 발화된 음성 명령의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여 음성 인식 엔진을 이용한 음성 인식 프로세스를 수행할 수 있다.
예로서, 검색 시스템(100)은 제1음성명령(81), 제2음성명령(82), 및 제3음성명령(83) 각각의 오디오 신호를 샘플링하여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고, 각각의 디지털 신호로부터 특징을 추출할 수 있다.
또한, 추출된 각각의 디지털 신호의 특징에 기반하여 데이터베이스(11)에 기 등록된 딕셔너리(dictionary)로부터 제1음성명령(81), 제2음성명령(82), 및 제3음성명령(83) 각각과 가장 유사한 단어를 추출함에 의해 음성 인식을 수행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검색 시스템(100)은 사용자에 의해 발화된 음성 명령에 대한 음성 인식을 직접 수행하지 않고, 사용자 단말기(20) 내에 구현된 음성 인식 엔진에 의해 수행된 음성 명령의 인식 결과를 수신하여 검색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로서, 검색 시스템(100)이 사용자에 의해 발화된 검색어에 대한 전체 검색 결과를 사용자 단말기(20)로 제공하면, 사용자 단말기(20)에서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이름을 발화함에 의해, 전체 검색 결과 중 특정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결과를 필터링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기(20)에서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이름을 발화한 후, 특정 콘텐츠유형의 이름을 발화하면, 특정 어플리케이션에 대해 필터링된 결과 중 다시 특정 콘텐츠유형에 대한 결과를 필터링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검색 시스템(100)은 기존의 검색 시스템들과 달리 카테고리화 된 디렉토리들, 예컨대, 주소록 검색을 위한 특정 주제와 연관된 어플리케이션의 이름 또는 피앱의 이름 등을 발화함으로써 검색을 단계적으로 수행하고, 이를 통해 검색 대상의 범위를 크게 좁혀 검색의 효율성을 높이고 검색 속도를 압도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나아가, 카테고리화 된 디렉토리 내에서 검색 결과를 도출하므로 검색 결과 또한 훨씬 정확해질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성 발화에 의한 검색 요청 프로세스를 도시한 예이다.
일 실시예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검색 시스템(100)은 사용자에 의해 발화된 음성 명령이 문장으로 이루어진 경우, 문장 속에 포함된 복수의 단어를 인식하여 음성 인식 프로세스를 수행할 수 있다.
예로서, 사용자가 음성 명령(91)으로서 '아이돌 그룹에서 BTS의 플레이리스트를 찾아줘'라고 발화하면, 검색 시스템(100)은 문장 속에서 제1키워드(921)에 해당하는 '아이돌 그룹', 제2키워드(922)에 해당하는 'BTS', 및 제3키워드(923)에 해당하는 '플레이리스트'를 각각 추출한다.
이 때, 검색 시스템(100)은 추출된 키워드(921, 922, 923)를 분석하여 각 키워드가 어떤 검색 단계에 해당하는지 판단한다. 예를 들어, 검색 시스템(100)은"'아이돌 그룹'은 주소록 검색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의 이름을 지칭하고, 'BTS'는 상세 검색 대상을 지칭하고, '플레이리스트'는 피앱의 이름을 지칭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검색 시스템(100)은 각 검색 단계에 맞게 추출된 키워드들을 이용하여 단계적 검색을 수행한 후 그 결과를 도출한다.
상기와 같은 방법에 의하면, 사용자가 검색 단계마다 매번 검색어를 말할 필요 없이, 처음에 한번의 검색 문장을 말하는 것만으로 음성 인식 기능을 이용한 단계별 검색이 수행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사용자 편의성 및 검색의 속도가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검색 결과를 소정 기준에 따라 우선순위 정렬하여 제공하는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시된 예에서, 검색 시스템(100)은 복수의 콘택트 어플리케이션(41, 42, 43, ?, 44)에 대한 검색 결과를 제공함에 있어, 소정 검색 기준에 기반한 우선순위에 따라 정렬하여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검색 기준은, 사용자의 검색 빈도를 참조하거나, 전체 검색 시스템의 검색 빈도를 참조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하나의 예로서, 사용자의 검색 빈도(1001)를 기준으로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경우, 검색 시스템(100)은 검색 결과(1003)를 사용자가 이전에 검색한 횟수가 많은 것들일수록 상위에 표시하고 그렇지 않은 것들일수록 하위에 표시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전체 검색 시스템의 검색 빈도(1002)를 기준으로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경우, 검색 시스템(100)은 검색 결과(1004)를 전체 사용자가 검색한 횟수가 많은 것들일수록 상위에 표시하고 그렇지 않은 것들일수록 하위에 표시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검색 결과를 사용자의 검색 히스토리에 기반하여 제공하는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시된 예에서, 검색 시스템(100)은 복수의 콘택트 어플리케이션(41, 42, 43, ?, 44)에 대한 검색 결과를 제공함에 있어, 데이터베이스(11)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 중 사용자의 검색 히스토리(1101)를 이용하여 관련도가 높은 순서로 가공된 검색 결과(1102)를 제공할 수 있다.
예로서, 이전 검색어와의 연관성을 이용하는 경우, 검색 시스템(100)은 검색 결과 중 사용자가 직전에 검색한 검색어와 연관성이 높은 것들일수록 상위에 표시하고 그렇지 않은 것들일수록 하위에 표시할 수 있다. 가령, 사용자가 직전에 크리스마스 캐럴을 검색하였고 이번에 BTS를 검색하였다면, 검색 시스템은 BTS의 검색 결과들 중 크리스마스 캐럴과 관련이 있는 것들을 보다 상위에 표시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검색 결과를 사용자의 위치에 기반하여 제공하는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시된 예에서, 검색 시스템(100)은 복수의 콘택트 어플리케이션(41, 42, 43, ?, 44)에 대한 검색 결과를 제공함에 있어, 사용자의 위치 정보(1201)를 이용하여 관련도가 높은 순서로 가공된 검색 결과(1202)를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의 위치 정보(1201)는 데이터베이스(11)에 저장되어 있는 사용자 정보를 참조하거나, 위치 추적 기능 등을 통해 얻을 수 있다.
예로서,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는 경우, 검색 시스템(100)은 검색 결과 중 사용자의 위치와 근접한 지역과 관련된 검색 결과를 상위에 표시하고, 사용자의 위치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는 지역과 관련된 검색 결과를 하위에 표시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검색 결과를 사용자의 기본 정보에 기반하여 제공하는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시된 예에서, 검색 시스템(100)은 복수의 콘택트 어플리케이션(41, 42, 43, ?, 44)에 대한 검색 결과를 제공함에 있어, 데이터베이스(11)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 중 사용자의 기본 정보(1301)를 이용하여 관련도가 높은 순서로 가공된 검색 결과(1302)를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의 기본 정보(1301)는 예컨대, 사용자의 위치, 연령, 성별 또는 거주 지역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로서, 사용자의 연령 및 성별 정보를 이용하는 경우, 검색 시스템(100)은 검색 결과 중 사용자와 비슷한 연령대의 동일한 성별을 가진 사용자들과 관련된 검색 결과를 표시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검색 시스템의 실시간 검색 현황을 제공하는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시된 예에서, 본 발명의 검색 시스템(100)은 복수의 콘택트 어플리케이션(41, 42, 43, ?, 44), 콘텐츠유형, 및 검색어 등에 관한 실시간 검색 현황(1405)을 제공할 수 있다.
예로서, 검색 시스템(100)은 접속중인 복수의 사용자 단말기(1401, 1402, 1403, ?)로부터 수신되는 검색 요청을 실시간 분석하여, 복수의 콘택트 어플리케이션(41, 42, 43, ?, 44) 중 사용자들의 조회수가 높은 어플리케이션 관한 정보와, 검색 유형, 기능, 콘텐츠, 및 피앱(P-App) 등을 포함하는 복수의 콘텐츠유형 중 사용자들의 조회수가 높은 콘텐츠유형에 관한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들의 조회수가 높은 검색어의 순위, 순위 상승 검색어 등에 관한 정보도 추출하여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검색 시스템(100)이 어플리케이션, 콘텐츠유형, 및 검색어에 관한 실시간 검색 현황을 사용자에게 제공함에 의해, 대중이 관심있어 하는 검색 정보를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가 검색 시스템에 접속 시 관심 있는 검색 정보를 제공하는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시된 예에서, 본 발명의 검색 시스템(100)은 사용자 단말기(20)의 접속 시 사용자가 관심 있는 콘택트 어플리케이션 및 콘텐츠유형에 해당하는 검색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로서, 검색 시스템(100)은 데이터베이스(11)에 저장되어 있는 사용자의 검색 요청 히스토리 정보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관심 어플리케이션(1501)인 '아이돌 주소록앱'과, 관심 콘텐츠유형(1502)인 '유투브'를 추출할 수 있다.
이로부터, 검색 시스템(100)은 사용자가 접속 시, 관심 어플리케이션(1501) 및 관심 콘텐츠유형(1502)에 해당하는 검색 정보를 자동으로 제공해줄 수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동작 S100에서, 사용자 단말기(20)는 복수의 콘택트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검색 요청을 검색 시스템(100)으로 전송한다.
여기서, 복수의 콘택트 어플리케이션은 서로 다른 주제와 연관되고 상호 독립적으로 동작 가능하다.
일 실시예로서, 복수의 콘택트 어플리케이션 중 제1 어플리케이션은, 서로 다른 주제 중 제1 주제와 연관된 제1 사용자들의 소셜 네트워킹을 위한 인터페이스 수단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인터페이스 수단은, 제1 사용자들의 프로필 또는 연락처를 표시하는 제1 인터페이스 수단과, 제1 사용자들에 의해 업로드 된 콘텐츠를 표시하는 제2 인터페이스 수단, 및 프로필, 연락처, 또는 콘텐츠를 검색하기 위한 제3 인터페이스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예로서, 복수의 콘택트 어플리케이션은 '아이돌', '인디밴드', '식당', '의사' 등과 같은 서로 다른 주제와 관련된 사람들의 프로필, 연락처, 업로드 콘텐츠 등에 대한 검색 기능을 제공하는 주소록 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동작 S100은, 복수의 콘택트 어플리케이션 각각에 대응하는 복수의 UI항목을 화면에 표시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검색 요청은, 복수의 UI항목 중 제1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UI항목을 선택하는 사용자입력에 기반하여 생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동작 S100은, 제1어플리케이션에 대해 선택 가능한 복수의 콘텐츠유형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검색 컨트롤러 UI를 화면에 표시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검색 요청은, 상기 검색 컨트롤러 UI를 통해 복수의 콘텐츠유형 중 제1콘텐츠유형을 선택하는 사용자입력에 기반하여 생성될 수 있다.
이 때, 검색 컨트롤러 UI는, 제1 원형아이콘과 복수의 제2원형아이콘을 포함하고, 제1원형아이콘의 경계선 바깥 영역에 복수의 제2원형아이콘이 소정 간격으로 원형 배치될 수 있다. 제1원형아이콘 및 복수의 제2원형아이콘은, 검색 유형, 기능, 콘텐츠, 및 피앱 중 어느 하나에 각각 대응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동작 S200에서, 사용자 단말기(20)는 검색 시스템(100)으로부터 검색 요청에 대응하는 검색 결과를 수신한다.
일 실시예로서, 검색 결과는, 콘텐츠, 오픈채팅, 플레이리스트, 연락처, 폴더, 상품, 지도, 및 콘텐츠 그리드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동작 S300에서, 사용자 단말기(20)는 검색 시스템(100)으로부터 수신된 검색 결과를 화면에 표시한다.
일 실시예로서, 동작 S300은, 상기 복수의 UI항목 중 제1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UI항목을 선택하는 사용자입력에 기반하여 상기 수신된 검색 결과를 필터링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동작 S300은, 검색 컨트롤러 UI를 통해 제1어플리케이션에 대해 선택 가능한 복수의 콘텐츠유형 중 제1콘텐츠유형을 선택하는 사용자입력에 기반하여 상기 수신된 검색 결과를 필터링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주소록 검색 기능을 제공함에 있어, 검색어에 의한 전체 검색 결과를 모두 수신한 후에, 특정 어플리케이션에 대해 필터링한 후 특정 콘텐츠유형에 대해 필터링 가능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사용자에 의해 발화되는 음성 명령을 수신하는 동작과, 상기 수신된 음성 명령에 기반하여 상기 수신된 검색 결과를 필터링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주소록 검색 기능을 제공함에 있어, 검색어에 의한 전체 검색 결과를 모두 수신한 후에, 음성 명령을 통해 특정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결과를 필터링할 수 있다.
여기서, 음성 명령은, 상기 복수의 콘택트 어플리케이션 중 제1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하기 위한 제1음성명령과, 상기 제1음성명령에 의해 선택된 제1 어플리케이션에 대해 선택 가능한 복수의 콘텐츠유형 중 제1콘텐츠유형을 선택하기 위한 제2음성명령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사용자 단말기(20)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에 의하면, 특정 주제의 주소록을 검색하기 위해 사용자는 전체 주소록의 데이터를 모두 검색할 필요 없이, 각 주제별 주소록의 검색 기능을 제공하는 복수의 콘택트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보다 빠르고 용이하게 원하는 검색 결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사용자 단말기(20)는 검색 시스템(100)과 네트워크로 연결된다.
사용자 단말기(20)는 통신부(171), 디스플레이부(172), 사용자입력부(173), 및 프로세서(174)의 구성을 포함한다. 사용자 단말기(20)는 예컨대 스마트 폰, 태블릿, PC 등으로 구현된다. 본 발명의 사용자 단말기(20)에 포함되는 구성은 앞서 기재된 일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추가적인 다른 구성을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통신부(171)는 검색 시스템(100)와 유선 또는 무선 통신방식을 이용하여 통신한다. 통신부(171)는 이더넷(Ethernet) 등과 같은 유선 통신방식으로 검색 시스템(100)과 통신하거나, 와이파이(Wi-Fi) 또는 블루투스(Bluetooth) 등과 같은 무선 통신방식으로 무선공유기를 통해 검색 시스템(100)과 통신할 수 있다.
예로서, 통신부(171)는 와이파이와 같은 무선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회로기판(PCB: Printed Circuit Board)으로 마련될 수 있다. 통신부(171)가 통신하는 방식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통신방식을 이용하여 검색 시스템(100)과 통신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172)는 정보를 표시한다. 예로서, 디스플레이부(172)는 영상신호에 기반한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72)는 PDP(Plasma Display Panel), LCD(Liquid Crystal Display),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등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입력부(173)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한다. 예로서, 사용자입력부(173)는 디스플레이부(172)에 표시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의 일부를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입력부(173)는 사용자 단말기(20)와 연결되는 키보드, 마우스 등으로 구현될 수 있고, 사용자 단말기(20)에 마련되는 터치스크린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프로세서(174)는 복수의 콘택트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검색 요청을 검색 시스템(100)으로 전송한다. 복수의 콘택트 어플리케이션 서로 다른 주제와 연관되고 상호 독립적으로 동작 가능하다. 프로세서(174)는 예컨대 CPU(Central Processing Unit)로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프로세서(174)는 복수의 콘택트 어플리케이션 각각에 대응하는 복수의 UI항목을 디스플레이부(172)가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때, 검색 요청은 복수의 UI항목 중 제1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UI항목을 선택하는 사용자입력에 기반하여 생성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74)는 제1어플리케이션에 대해 선택 가능한 복수의 콘텐츠유형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검색 컨트롤러 UI를 디스플레이부(172)가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때, 검색 요청은, 상기 검색 컨트롤러 UI를 통해 상기 복수의 콘텐츠유형 중 제1콘텐츠유형을 선택하는 사용자입력에 기반하여 생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프로세서(174)는 사용자에 의해 발화되는 음성 명령에 기반한 검색 요청을 검색 시스템(100)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검색 요청은, 음성 명령의 오디오 신호 자체를 포함하거나, 사용자 단말기(20)에 구현되는 음성 인식 엔진을 통해 인식된 음성 명령에 대한 음성 인식 결과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음성명령은 복수의 콘택트 어플리케이션 중 제1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하기 위한 제1음성명령과, 상기 제1음성명령에 의해 선택된 제1 어플리케이션에 대해 선택 가능한 복수의 콘텐츠유형 중 제1콘텐츠유형을 선택하기 위한 제2음성명령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74)는 검색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검색 요청에 대응하는 검색 결과를 수신하고, 수신된 검색 결과를 상기 디스플레이부(172)가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일 실시예로서, 프로세서(174)는 복수의 UI항목 중 제1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UI항목을 선택하는 사용자입력에 기반하여 수신된 검색 결과를 필터링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74)는, 검색 컨트롤러 UI를 통해 상기 복수의 콘텐츠유형 중 제1콘텐츠유형을 선택하는 사용자입력에 기반하여 수신된 검색 결과를 필터링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의한 사용자 단말기(20)는 검색어에 의한 전체 검색 결과를 모두 수신한 후에, 특정 어플리케이션에 대해 필터링한 후 특정 콘텐츠유형에 대해 필터링 가능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프로세서(174)는 사용자에 의해 발화되는 음성 명령을 수신하고, 수신된 음성 명령에 기반하여 상기 수신된 검색 결과를 필터링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 단말기(20)는, 검색어에 의한 전체 검색 결과를 모두 수신한 후에, 음성 명령을 통해 특정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결과를 필터링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사용자 단말기(20)에 의하면, 특정 주제의 어플리케이션 및 특정 콘텐츠유형을 선택 가능하도록 계층 구조를 가지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주소록 검색 시 데이터 검색의 범위를 좁혀 주기 때문에 빠르면서 정확도가 높은 검색 결과를 제공해줄 수 있다.
지금까지 도 1 내지 도 1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 및 그 실시예들에 따른 효과들을 언급하였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지금까지 설명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 상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예를 들어 이동형 기록 매체(CD, DVD, 블루레이 디스크, USB 저장 장치, 이동식 하드 디스크)이거나, 고정식 기록 매체(ROM, RAM, 컴퓨터 구비 형 하드 디스크)일 수 있다. 상기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기록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를 통하여 다른 컴퓨팅 장치에 전송되어 상기 다른 컴퓨팅 장치에 설치될 수 있고, 이로써 상기 다른 컴퓨팅 장치에서 사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도면에서 동작들이 특정한 순서로 도시되어 있지만, 반드시 동작들이 도시된 특정한 순서로 또는 순차적 순서로 실행되어야만 하거나 또는 모든 도시 된 동작들이 실행되어야만 원하는 결과를 얻을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특정 상황에서는, 멀티태스킹 및 병렬 처리가 유리할 수도 있다. 더욱이, 위에 설명한 실시예들에서 다양한 구성들의 분리는 그러한 분리가 반드시 필요한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되고, 설명된 프로그램 컴포넌트들 및 시스템들은 일반적으로 단일 소프트웨어 제품으로 함께 통합되거나 다수의 소프트웨어 제품으로 패키지 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본 발명이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도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에 의해 정의되는 기술적 사상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33)

  1. 검색 시스템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으로서,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검색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검색 시스템이 상기 수신된 검색 요청에 포함되어 있는 검색 키워드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검색 시스템이 복수의 콘택트(Contact) 어플리케이션의 데이터베이스들을 검색하여 상기 검색 키워드에 대응하는 검색 결과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검색 결과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콘택트 어플리케이션 각각은 식별 가능한 이름이 붙여져 있고, 서로 다른 주제와 연관되고 상호 독립적으로 동작 가능한,
    검색 시스템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검색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콘택트 어플리케이션 중 제1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하는 제1사용자명령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제1사용자명령에 의해 선택된 상기 제1어플리케이션에 연결된 데이터베이스를 중심으로 검색하기 위한 제2사용자명령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검색 시스템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사용자명령은, 상기 제1어플리케이션의 이름을 발화하는 음성 명령 또는 상기 제1어플리케이션의 이름을 입력하는 사용자 입력을 포함하고,
    상기 제2사용자명령은, 상기 제1어플리케이션에 연결된 데이터베이스를 중심으로 검색을 요청하기 위해 검색어를 발화하는 음성 명령 또는 상기 검색어를 입력하는 사용자 입력을 포함하는,
    검색 시스템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제1어플리케이션에 대해 선택 가능한 복수의 콘텐츠유형 중 제1콘텐츠유형에 대한 검색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1어플리케이션에 연결된 데이터베이스를 중심으로 상기 제1콘텐츠유형의 데이터를 검색하여 상기 검색 키워드에 대응하는 검색 결과를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콘텐츠유형 각각은 식별 가능한 이름이 붙여져 있는,
    검색 시스템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콘텐츠유형에 대한 검색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제1콘텐츠유형을 선택하는 제3사용자명령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제3사용자명령에 의해 선택된 상기 제1콘텐츠유형의 데이터를 검색하기 위한 제4사용자명령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검색 시스템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3사용자명령은, 상기 제1콘텐츠유형의 이름을 발화하는 음성 명령 또는 상기 제1콘텐츠유형의 이름을 입력하는 사용자 입력을 포함하고,
    상기 제4사용자명령은, 상기 제1어플리케이션에 연결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제1콘텐츠유형의 데이터의 범위 내에서 검색을 요청하기 위해 검색어를 발화하는 음성 명령 또는 상기 검색어를 입력하는 사용자 입력을 포함하는,
    검색 시스템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콘택트 어플리케이션 중 제1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서로 다른 주제 중 제1 주제와 연관된 제1 사용자들의 소셜 네트워킹(Social Networking)을 위한 인터페이스 수단을 제공하는,
    검색 시스템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 수단은,
    상기 제1 사용자들의 프로필 또는 연락처를 표시하는 제1 인터페이스 수단;
    상기 제1 사용자들에 의해 업로드 된 콘텐츠를 표시하는 제2 인터페이스 수단; 및
    상기 프로필, 연락처, 또는 콘텐츠를 검색하기 위한 제3 인터페이스 수단을 포함하는,
    검색 시스템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 요청은,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화면에 표시되는 상기 복수의 콘택트 어플리케이션 각각에 대응하는 복수의 UI항목 중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UI항목을 선택하는 사용자입력에 기반하여 생성되는,
    검색 시스템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UI항목은,
    상기 복수의 콘택트 어플리케이션 각각의 명칭 및 로고를 포함하고, 버튼 형태로 표시되는,
    검색 시스템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 요청으로부터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UI항목의 선택 여부를 식별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검색 결과는 상기 식별한 결과에 따라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검색 결과를 선택적으로 포함하는,
    검색 시스템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복수의 콘택트 어플리케이션 중 제1어플리케이션에 대해 선택 가능한 복수의 국가 중 제1국가에 대한 검색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1어플리케이션에 연결된 데이터베이스를 중심으로 상기 제1국가와 관련된 데이터를 검색하여 상기 검색 키워드에 대응하는 검색 결과를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검색 시스템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 요청은,
    상기 복수의 콘택트 어플리케이션 중 제1어플리케이션에 대해 선택 가능한 복수의 콘텐츠유형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검색 컨트롤러 UI에 대한 사용자입력에 기반하여 생성되는,
    검색 시스템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 컨트롤러 UI는 제1 원형아이콘과 복수의 제2원형아이콘을 포함하고,
    상기 제1원형아이콘의 경계선 바깥 영역에 상기 복수의 제2원형아이콘이 소정 간격으로 원형 배치되는,
    검색 시스템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원형아이콘 및 상기 복수의 제2원형아이콘은, 검색 유형, 기능, 콘텐츠, 및 피앱 중 어느 하나에 각각 대응하는,
    검색 시스템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
  1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 결과는,
    콘텐츠, 오픈채팅, 플레이리스트, 연락처, 폴더, 상품, 지도, 및 콘텐츠 그리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검색 시스템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
  1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 요청은,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사용자에 의해 발화되는 음성 명령에 기반하여 생성되는,
    검색 시스템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명령은,
    상기 복수의 콘택트 어플리케이션 중 제1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하기 위한 제1음성명령과, 상기 제1음성명령에 의해 선택된 제1 어플리케이션에 대해 선택 가능한 복수의 콘텐츠유형 중 제1콘텐츠유형을 선택하기 위한 제2음성명령을 포함하는,
    검색 시스템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 키워드를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제1음성명령 및 상기 제2음성명령의 오디오 신호를 샘플링하여 각각의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단계;
    상기 제1음성명령 및 상기 제2음성명령 각각의 디지털 신호로부터 특징을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된 각각의 디지털 신호의 특징에 기반하여 기 등록된 딕셔너리(dictionary)로부터 상기 제1음성명령 및 상기 제2음성명령 각각과 유사한 단어를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검색 시스템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
  20.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 키워드를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음성 명령이 문장으로 이루어진 경우, 상기 문장 속에 포함된 복수의 단어를 인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검색 시스템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
  2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 결과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 상에서 기 설정된 검색 기준에 기반한 우선순위에 따라 정렬되어 표시되는,
    검색 시스템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
  2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 결과는,
    사용자의 검색 히스토리를 참조하여 제공되는,
    검색 시스템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
  2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 결과는,
    상기 검색 시스템의 다른 사용자들의 검색 히스토리를 참조하여 제공되는,
    검색 시스템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
  2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 결과는,
    사용자의 위치에 기반하여 제공되는,
    검색 시스템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
  2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 결과는,
    사용자의 위치, 연령, 성별 또는 거주 지역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사용자의 기본 정보에 기반하여 제공되는,
    검색 시스템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
  2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 시스템의 전체 사용자에 의해 검색되는 복수의 콘택트 어플리케이션 및 복수의 콘텐츠유형에 대한 실시간 검색 현황을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검색 시스템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
  2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검색 요청 히스토리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접속 시 관심있는 콘택트 어플리케이션 및 콘텐츠유형에 해당하는 검색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검색 시스템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
  28.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복수의 사용자 단말기와 통신하는 통신 인터페이스;
    상기 프로세서에 의하여 수행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로드(load)하는 메모리; 및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스토리지를 포함하되,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검색 요청을 수신하는 동작,
    상기 수신된 검색 요청에 포함되어 있는 검색 키워드를 추출하는 동작,
    복수의 콘택트(Contact) 어플리케이션의 데이터베이스들을 검색하여 상기 검색 키워드에 대응하는 검색 결과를 획득하는 동작, 및
    상기 검색 결과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인스트럭션들(instructions)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콘택트 어플리케이션 각각은 식별 가능한 이름이 붙여져 있고, 서로 다른 주제와 연관되고 상호 독립적으로 동작 가능한,
    검색 시스템.
  29. 사용자 단말기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으로서,
    검색 요청을 검색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검색 시스템이 상기 검색 요청에 대응하여 복수의 콘택트(Contact) 어플리케이션의 데이터베이스들로부터 검색한 검색 결과를 상기 검색 시스템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검색 결과를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콘택트 어플리케이션 각각은 식별 가능한 이름이 붙여져 있고, 서로 다른 주제와 연관되고 상호 독립적으로 동작 가능한,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하여 수행되는 검색 방법.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콘택트 어플리케이션 각각에 대응하는 복수의 UI항목을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UI항목 중 제1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UI항목을 선택하는 사용자입력에 기반하여 상기 수신한 검색 결과를 필터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기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
  31.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제1어플리케이션에 대해 선택 가능한 복수의 콘텐츠유형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검색 컨트롤러 UI를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검색 컨트롤러 UI를 통해 상기 복수의 콘텐츠유형 중 제1콘텐츠유형을 선택하는 사용자입력에 기반하여 상기 수신한 검색 결과를 필터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기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
  32. 제29항에 있어서,
    사용자에 의해 발화되는 음성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음성 명령에 기반하여 상기 수신된 검색 결과를 필터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기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
  33. 사용자 단말기에 있어서,
    검색 시스템과 통신하는 통신부;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사용자입력부; 및
    복수의 콘택트(Contact)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검색 요청을 검색 시스템으로 전송하고,
    상기 검색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검색 요청에 대응하는 검색 결과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검색 결과를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프로세스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콘택트 어플리케이션 각각은 식별 가능한 이름이 붙여져 있고, 서로 다른 주제와 연관되고 상호 독립적으로 동작 가능한,
    사용자 단말기.
KR1020200055735A 2019-12-17 2020-05-11 검색 시스템 및 그것의 음성인식 방법 KR20210077573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20/018338 WO2021125741A1 (ko) 2019-12-17 2020-12-15 검색 시스템 및 그것의 음성인식 방법
US17/125,233 US20210182338A1 (en) 2019-12-17 2020-12-17 Retrieval system and voice recognition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0168848 2019-12-17
KR1020190168848 2019-12-1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7573A true KR20210077573A (ko) 2021-06-25

Family

ID=766291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5735A KR20210077573A (ko) 2019-12-17 2020-05-11 검색 시스템 및 그것의 음성인식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77573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92208B2 (en) Entity and attribute resolution in conversational applications
US9824150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information discovery and retrieval
US11907240B2 (en) Method and system for presenting a search result in a search result card
US10140378B2 (en) Providing search results based on execution of applications
US9930167B2 (en) Messaging application with in-application search functionality
US8825661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two stream indexing of audio content
CN101673186B (zh) 一种基于关键词输入的智能操作系统及方法
US2008016247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voice searching in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US10783885B2 (en) Image display device, method for driving the same,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US11829433B2 (en) Contextual deep bookmarking
WO2010124511A1 (zh) 一种智能操作系统及方法
CN110990598B (zh) 资源检索方法、装置、电子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Lavid Ben Lulu et al. Functionality-based clustering using short textual description: Helping users to find apps installed on their mobile device
WO2018231429A1 (en) Information retrieval using natural language dialogue
US20200089809A1 (en) Method and system for filtering content
CN106558311B (zh) 语音内容提示方法和装置
CN105912586B (zh) 一种信息搜索方法及电子设备
WO2017212268A1 (en) Data processing system and data processing method
CN113934869A (zh) 一种数据库构建方法、多媒体文件的检索方法及装置
US20210182338A1 (en) Retrieval system and voice recognition method thereof
KR20210077573A (ko) 검색 시스템 및 그것의 음성인식 방법
US11947774B1 (en) Techniques for utilizing audio segments for expression
WO2023035893A1 (zh) 一种搜索处理方法、装置、设备、介质及程序产品
WO2024036616A1 (zh) 一种基于终端的问答方法及装置
WO2010124509A1 (zh) 一种基于关键词输入的智能操作系统及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