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77385A - Earphone type Bruxism detecting system - Google Patents

Earphone type Bruxism detecting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77385A
KR20210077385A KR1020190168967A KR20190168967A KR20210077385A KR 20210077385 A KR20210077385 A KR 20210077385A KR 1020190168967 A KR1020190168967 A KR 1020190168967A KR 20190168967 A KR20190168967 A KR 20190168967A KR 20210077385 A KR20210077385 A KR 202100773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ar
earphone
unit
sensor
bruxis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896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295000B1 (en
Inventor
김한림
Original Assignee
김한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한림 filed Critical 김한림
Priority to KR10201901689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5000B1/en
Publication of KR202100773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738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50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500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5For evaluating or diagnosing the musculoskeletal system or teeth
    • A61B5/4538Evaluating a particular part of the muscoloskeletal system or a particular medical condition
    • A61B5/4542Evaluating the mouth, e.g. the jaw
    • A61B5/4557Evaluating bruxis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rate or heart rate
    • A61B5/02416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rate or heart rate using photoplethysmograph signals, e.g. generated by infrared 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2Ergometry; Measuring muscular strength or the force of a muscular blow
    • A61B5/224Measuring muscular streng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316Modalities, i.e. specific diagnostic methods
    • A61B5/389Electromyography [EM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61B5/6802Sensor mounted on worn items
    • A61B5/6803Head-worn items, e.g. helmets, masks, headphones or gogg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55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characterised by tactile indication, e.g. vibration or electrical stimul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6Alarms related to a physiological condition, e.g. details of setting alarm thresholds or avoiding false alar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14External stimulators, e.g. with patch electrodes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arphone-type bruxism measurement device system.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the earphone-type bruxism measurement device system that measures a biosignal in the ear while an operating device is mounted on the ear in accordance with a sensor part that detects the biosignal equipped in the ear tip, and is capable of more easily and conveniently measuring a bruxism phenomenon by analyzing the measured biosignal to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bruxism phenomenon occurs.

Description

이어폰형 이갈이 측정장치 시스템{Earphone type Bruxism detecting system}Earphone type bruxism detecting system

본 발명은 이어폰형 이갈이 측정장치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이어팁에 생체신호를 검출하는 센서부가 구비됨에 따라 동작장치가 귀에 장착된 상태에서 귓속의 생체신호를 측정하고, 측정된 생체신호를 분석하여 이갈이 현상의 발생 여부를 판단하도록 구성됨으로써, 더욱 쉽고 간편하게 이갈이 현상의 측정이 가능한 이어폰형 이갈이 측정장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arphone-type bruxism measuring device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as a sensor unit for detecting a bio-signal is provided in the ear tip, the operating device is mounted on the ear to measure the bio-signal in the ear, and measure the measured bio-signal. It relates to an earphone-type bruxism measuring device system, which is configured to analyze and determine whether or not a bruising phenomenon occurs, thereby enabling easier and more convenient measurement of bruxism.

이갈이는 저작이나 연하운동 이외에 턱의 강한 운동에 의해 이를 악물거나 이를 가는 것을 포함하며, 보통 음식물을 씹을 때보다 2 ~ 10배 이상의 힘으로 이를 갈게 되며, 주로 수면 중에 이를 갈게 되지만 낮에 이를 가능 경우도 있다.Teeth grinding involves clenching or grinding teeth by strong movements of the jaw other than mastication or swallowing movements, and usually grinds teeth with 2 to 10 times more force than when chewing food. there is also

이갈이는 한국 전체 인구 중 10% 정도가 경험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예민하고 심리상태가 불안정한 상태일 때 잘 나타나고 스트레스가 그 원인이 된다. 그 박께 치아가 잘 맞지 않는 부정교합, 음주 등도 원인이 되며, 유전, 특정 약의 복용, 중추신경계 장애 등도 원인으로 알려져 있다.It is known that about 10% of the total population of Korea experiences bruising, and it occurs most often when the person is sensitive and mentally unstable, and stress is the cause. It is also known that malocclusion and drinking alcohol are the causes, as well as heredity, taking certain drugs, and disorders of the central nervous system.

이갈이는 부분적으로 이에 강한 힘이 가해지기 때문에 치주조직을 상하게 하거나 마모가 생겨 치아의 표면이 닳고, 치아 주위의 조직이 손상되어 찬 음식을 먹으면 이가 시리며, 심한 경우에는 이가 흔들리기도 한다.Because strong force is partially applied to the teeth, teeth grinding causes damage to or wear of the periodontal tissue, which causes the surface of the teeth to wear out, and the tissues around the teeth are damaged, so eating cold food causes the teeth to ache, and in severe cases, the teeth shake.

이갈이는 심리적인 치료를 시행하거나, 윗니와 아랫니 사이의 교합안정장치르 장착하거나, 약물치료를 시행하는 등 병원에서 전문적으로 치료를 받을 수도 있다.Browsing can be treated professionally at a hospital, such as psychological treatment, installation of an occlusal stabilizer between the upper and lower teeth, or drug treatment.

최근에는 가정에서 수면 중에 간편하게 이갈이를 진단하고 이를 방지하는 등의 장치가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며, 이러한 이갈이 진단방법에 대한 기술 중 하나로 등록특허공보 제10-1631500호(이하, '종래기술'이라 함)가 개시되어 있다.Recently, there is a need for a device for easily diagnosing and preventing bruises during sleep at home, and as one of the technologies for such a bruxism diagnosis method,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1631500 (hereinafter referred to as 'prior art') ) is disclosed.

상기 종래기술은 피검사자의 머리에 장착되어 수면자세 변화에 따른 기울기 신호와, 피검사자의 이갈이와 치아 악물기로 발생하는 근전도 신호를 검출하여 출력하고, 분석 단말기로부터 치료 신호를 수신하면 미리 설정된 수면자세 교정신호를 출력하는 헤드셋; 및 상기 헤드셋이 출력하는 기울기 신호와 근전도 신호로부터 피검사자의 수면자세 변화, 이갈이와 치아 악물기의 발생횟수, 시간, 강도를 포함한 증상과 검출 정보를 분석하여 디스플레이 및 저장하고, 상기분석 결과에 따른 치료 신호를 상기 헤드셋으로 전송하는 분석 단말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ior art is mounted on the head of a subject to detect and output a tilt signal according to a change in sleeping posture and an EMG signal generated by grinding and clenching teeth of the subject, and when receiving a treatment signal from an analysis terminal, a preset sleep posture correction signal a headset that outputs; And from the tilt signal and the EMG signal output from the headset, the test subject's sleep posture change, the number of times, time, and intensity of bruising and clenching are analyzed, displayed and stored, and treatment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 and an analysis terminal for transmitting a signal to the headset.

즉, 상기 종래기술은 사용자의 머리에 씌워지는 헤드셋의 형태로 이루어져, 사용자의 이갈이 여부를 검출하게 된다. That is, the prior art is made in the form of a headset that is put on the user's head, so that the user's bruising is detected.

그런데 종래기술의 경우, 수면 중 헤드셋을 쓰고 있는 상태를 계속해서 유지해야 되는 바, 수면 중 불편함을 끼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숙면을 방해하는 요인이 되는 문제가 있다.However, in the case of the prior art, since it is necessary to continuously maintain the state in which the headset is worn during sleep, it may cause discomfort during sleep, and thus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a factor that interferes with the user's deep sleep.

KR 10-1631500 B1 2016.06.13.KR 10-1631500 B1 2016.06.13.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이 갖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어팁에 생체신호를 검출하는 센서부가 구비됨에 따라 동작장치가 귀에 장착된 상태에서 귓속의 생체신호를 측정하고, 측정된 생체신호를 분석하여 이갈이 현상의 발생 여부를 판단하도록 구성됨으로써, 더욱 쉽고 간편하게 이갈이 현상의 측정이 가능한 이어폰형 이갈이 측정장치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was creat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the problem to be solv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the ear tip is equipped with a sensor unit for detecting a bio signal, so that the operating device is mounted on the ear to detect the bio signal in the ear. It is intended to provide an earphone type bruxism measurement device system that can measure and analyze the measured bio-signals to determine whether or not a bruxism phenomenon occurs, thereby making it easier and more convenient to measure the bruxism phenomenon.

본 발명은 사용자 단말기(300)와 양방향 통신이 이루어지되, 이어폰부(200)에서 측정되는 정보를 전달받아 저장 관리하는 서버(100); 사용자의 귓속에 삽입된 상태로 생체 신호를 측정하는 이어 인입부(210) 및 상기 이어 인입부(210)에서 측정된 생체신호를 분석하여 이갈이 발생여부를 판단하며, 이갈이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되면 자극신호를 부가하도록 구성되는 동작장치(220)를 포함하는 이어폰부(200); 및 상기 이어폰부(200)의 동작을 제어하는 사용자 단말기(3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server 100 for receiving information measured by the earphone unit 200 and storing and managing the information measured in the earphone unit 200; The ear retractor 210 for measuring bio-signals while being inserted into the user's ear and the bio-signals measured at the ear retractor 210 are analyzed to determine whether bruising has occurred, and when it is determined that bruising has occurred, stimulation an earphone unit 200 including an operation device 220 configured to add a signal; and a user terminal 300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earphone unit 200 .

한편, 상기 이어 인입부(210)는, 탄성력 있는 재질로 이루어져, 타단이 동작장치(220)와 체결되고, 일측이 사용자의 귓속에 삽입되어 외주면이 피부와 밀착되도록 구성되는 이어팁(211); 및 상기 이어팁(211)의 외주면 둘레 일측에 구비되어 생체신호를 측정하는 센서부(212);를 포함하도록 한다. On the other hand, the ear inlet 210 is made of an elastic material, the other end is fastened with the operating device 220, one side is inserted into the user's ear,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is configured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skin ear tip 211; and a sensor unit 212 provided on one side of the circumference of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ear tip 211 to measure a biosignal.

이때, 상기 센서부(212)는, PPG 센서, 근전도 센서, 압력센서 중 선택되는 하나의 센서로 구성되도록 한다. At this time, the sensor unit 212 is configured as one sensor selected from the PPG sensor, the EMG sensor, and the pressure sensor.

아울러, 상기 센서부(212)가 PPG 센서로 구성되는 경우, 상기 PPG 센서는 빛을 조사하는 램프 부분이 경사진 외측을 향하는 상태가 되도록 상기 이어팁(211)의 외주면에 구비되도록 한다. In addition, when the sensor unit 212 is configured as a PPG sensor, the PPG sensor is provid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ear tip 211 so that the lamp portion irradiating light is inclined outward.

또는 상기 센서부(212)가 근전도 센서 또는 압력센서로 구성되는 경우, 상기 이어팁(211)의 외주면에서 귓속피부와 면접촉될 수 있도록 구비되도록 한다. Alternatively, when the sensor unit 212 is configured as an EMG sensor or a pressure sensor, it is provided so as to be in surface contact with the skin in the ear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ear tip 211 .

한편, 상기 동작장치(220)는, 일측에 상기 이어 인입부(210)가 체결되도록 구성되는 체결돌기(221a)를 포함하는 몸체(221); 상기 센서부(212)로부터 생체신호를 전달받아 처리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몸체(221)의 내부에 구비되는 제어부(222); 상기 제어부(222)의 처리 결과에 따라 자극신호가 상기 이어팁(211)을 통해 송출되도록 하는 자극신호 송출부(223); 및 제어부(222) 및 자극신호 송출부(223)로 전원을 공급하는 축전지(224);를 포함하도록 한다. On the other hand, the operating device 220, a body 221 including a fastening protrusion (221a) configured to be fastened to the ear inlet 210 on one side; a control unit 222 configured to receive and process biosignals from the sensor unit 212 and provided in the body 221; a stimulation signal transmitting unit 223 for transmitting a stimulation signal through the ear tip 211 according to the processing result of the control unit 222; and a storage battery 224 for supplying power to the control unit 222 and the stimulus signal transmitting unit 223 .

이때, 상기 이어폰부(200)에는, 한 쌍의 전극(230)이 각각 구비되며, 상기 한 쌍의 전극(230)이 피부와 접촉된 상태가 되면, 상기 제어부(222)는 상기 축전지(224)로부터 전압이 출력되면서 상기 동작장치(220)의 전원이 공급되도록 한다. At this time, the earphone unit 200 is provided with a pair of electrodes 230 , respectively, and when the pair of electrodes 230 come into contact with the skin, the control unit 222 controls the storage battery 224 . As a voltage is output from the , the power of the operating device 220 is supplied.

또한, 상기 이어폰부(200)의 축전지(224)는, 거치대(400)에 거치되어 충전되는 경우, 상기 전극(230)을 통해 거치대(4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충전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도록 한다. In addition, when the battery 224 of the earphone unit 200 is mounted on the cradle 400 and charged, it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radle 400 through the electrode 230 so as to be charged.

본 발명에 따르면, 이어팁에 생체신호를 검출하는 센서부가 구비됨에 따라 동작장치가 귀에 장착된 상태에서 귓속의 생체신호를 측정하고, 측정된 생체신호를 분석하여 이갈이 현상의 발생 여부를 판단하도록 구성됨으로써, 더욱 쉽고 간편하게 이갈이 현상의 측정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the ear tip is provided with a sensor for detecting a bio-signal, the operating device is mounted on the ear to measure the bio-signal in the ear, and to analyze the measured bio-signal to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bruising phenomenon occurs. ,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measure bruxism more easily and conveniently.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이갈이를 측정하는 장치가 이어폰형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일상생활 중에 사용하더라도 위화감이 느껴지지 않기 때문에 일과시간에도 편리하게 사용 가능한 장점이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device for measuring bruising is of an earphone type, no discomfort is felt even when used in daily life, so that it can be conveniently used during work hour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어폰형 이갈이 감지장치 시스템의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이어폰부의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이어폰부의 사용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이어폰부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이어폰부의 다른 실시예의 착용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이갈이가 발생된 상태의 생체신호 그래프의 실시예의 도면.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에 사용되는 사용자 단말기에 인터페이스 출력 실시예의 도면들.
도 9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이어폰부와 거치대의 접합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1 is a schematic diagram of an earphone-type bruising sensor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chematic view of the earphone unit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earphone unit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earphone unit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showing a wearing state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earphone unit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diagram of an embodiment of a biosignal graph in a state in which bruising of the present invention occurs.
7 and 8 are diagrams of an embodiment of an interface output to a user terminal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joint structure of the earphone unit and the cradle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기(300)와 양방향 통신이 이루어지되, 이어폰부(200)에서 측정되는 정보를 전달받아 저장 관리하는 서버(100); 사용자의 귓속에 삽입된 상태로 생체 신호를 측정하는 이어 인입부(210) 및 상기 이어 인입부(210)에서 측정된 생체신호를 분석하여 이갈이 발생여부를 판단하며, 이갈이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되면 자극신호를 부가하도록 구성되는 동작장치(220)를 포함하는 이어폰부(200); 및 상기 이어폰부(200)의 동작을 제어하는 사용자 단말기(3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s shown in FIG. 1 ,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erver 100 configured to receive and store and manage information measured by the earphone unit 200, in which two-way communication is made with the user terminal 300; The ear retractor 210 for measuring bio-signals while being inserted into the user's ear and the bio-signals measured at the ear retractor 210 are analyzed to determine whether bruising has occurred, and when it is determined that bruising has occurred, stimulation an earphone unit 200 including an operation device 220 configured to add a signal; and a user terminal 300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earphone unit 200 .

상기 서버(100)는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으로 구성된 사용자 단말기(300)와 양방향 통신이 이루어지면서 동작장치(220)에서 측정되는 생체신호를 전달받아 저장 관리하도록 이루어진다.The server 100 is configured to receive and store and manage the bio-signals measured by the operating device 220 while performing bidirectional communication with the user terminal 300 composed of a smart phone, a tablet PC, or the like.

도 2 내지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어폰부(200)는 귓속에 삽입된 상태로 이갈이 현상을 측정하되, 이갈이 현상이 발생된 경우, 자극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되며, 이를 위해 크게 이어 인입부(210) 및 동작장치(220)를 포함한다.2 to 5 , the earphone unit 200 measures the bruising phenomenon while being inserted into the ear, and is configured to output a stimulation signal when the bruising phenomenon occurs, and for this purpose, the earphone unit 200 is inserted into the ear. 210 and an operating device 220 .

상기 이어 인입부(210)는 귓속에 삽입된 상태로 귓속의 생체신호를 측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어팁(211)과 센서부(212)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The ear inlet 210 is inserted into the ear to measure a biosignal in the ear, and includes an ear tip 211 and a sensor unit 212 .

부연하면, 상기 이어 인입부(210)는 실리콘 등의 탄성력 있는 재질로 이루어져, 타단이 동작장치(220)와 체결되고, 일측이 사용자의 귓속에 삽입되어 외주면이 피부와 밀착되도록 구성되는 이어팁(211) 및 상기 이어팁(211)의 외주면 둘레 일측에 구비되어 생체신호를 측정하는 센서부(212)를 포함한다.In other words, the ear inlet 210 is made of a resilient material such as silicone, the other end is fastened to the operating device 220, and one end is inserted into the user's ear so that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skin. ) and a sensor unit 212 provided on one side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ear tip 211 to measure a biosignal.

상기 이어팁(211)은 일반적으로 커널형 이어폰 등에 사용되는 이어팁(211)으로 구성되며, 타단에 상기 동작장치(220)와 체결되는 체결홈이 구성된다. The ear tip 211 is generally composed of an ear tip 211 used for a canal type earphone and the like, and a fastening groove for fastening with the operation device 220 is formed at the other end.

상기 센서부(212)는 귓속의 생체신호를 측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이갈이 현상을 측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데, 저작 활동에 따라 턱근육이 움직이게 되면 이에 따라 인체의 귓속 구멍의 직경이 변화하게 되는 바, 본 발명에서는 이 귓속 구멍의 직경 변화를 PPG 센서, 근전도 센서, 압력센서 등의 다양한 센서를 이용하여 측정함으로써 이갈이 현상을 측정할 수 있도록 한다.The sensor unit 212 is for measuring a biosignal in the ear, and the present invention aims to measure the bruising phenomenon. When the jaw muscle moves according to the masticatory activity, the diameter of the hole in the ear of the human body changes accordingly. Thus,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hange in the diameter of the hole in the ear can be measured using various sensors such as a PPG sensor, an electromyography sensor, and a pressure sensor to measure the bruising phenomenon.

상기 PPG 센서는 광학센서로서, 귓속 피부로 빛을 조사하고, 이에 반사되는 빛을 감지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이어팁(211)의 외주면에서 귓속 피부 표면으로 빛을 조사하도록 구비되며, 감지된 광학신호는 생체신호로써 상기 동작장치(220)로 전달되도록 한다. The PPG sensor is an optical sensor, configured to irradiate light to the skin in the ear, and detect the light reflected thereto, so as to radiate light from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ear tip 211 to the surface of the skin in the ear, and the detected optical signal is a biometric signal. It is transmitted to the operating device 220 as a signal.

즉, 상기 센서부(212)가 PPG 센서로 구성되는 경우, 상기 PPG 센서는 빛을 조사하는 램프 부분이 경사진 외측을 향하는 상태가 되도록 상기 이어팁(211)의 외주면에 구비되도록 한다.That is, when the sensor unit 212 is configured as a PPG sensor, the PPG sensor is provid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ear tip 211 so that the lamp portion irradiating light is inclined outward.

한편, 상기 근전도 센서는 귓속 피부와 밀착된 상태에서 미세 전류를 감지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이어팁(211)의 외주면에 구비된 상태로 사용되며, 감지된 미세 전류는 생체신호로써 상기 동작장치(220)에 전달되도록 한다. On the other hand, the EMG sensor is configured to detect a microcurrent in a state in close contact with the skin in the ear and is used in a state provid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eartip 211, and the detected microcurrent is sent to the operating device 220 as a biosignal. to be transmitted

한편, 상기 압력센서는 귓속 피부와 밀착된 상태에서 귓속의 직경 변화에 따라 가압되는 힘(압력)을 측정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이어팁(211)의 외주면에 구비된 상태로 사용되며, 감지된 압력정보는 생체신호로서 상기 동작장치(220)로 전달되도록 한다. On the other hand, the pressure sensor is configured to measure the force (pressure) pressed according to a change in the diameter of the ear in a state in close contact with the skin in the ear, and is used in a state provid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ear tip 211, and the sensed pressure information is It is transmitted to the operating device 220 as a biosignal.

즉, 상기 센서부(212)가 근전도 센서 또는 압력센서로 구성되는 경우, 상기 센서부(212)가 귓속 피부와 완전히 밀착되어야만 정확한 센싱이 이루어질 수 있는 바, 상기 이어팁(211)의 외주면에서 귓속피부와 면접촉될 수 있도록 구비된다. That is, when the sensor unit 212 is composed of an electromyography sensor or a pressure sensor, accurate sensing can be achieved only when the sensor unit 212 is completely in close contact with the skin in the ear. Prepared for interview with

한편, 도 3 및 도 4에 따르면, 상기 동작장치(220)는 일측에 상기 이어 인입부(210)가 체결되도록 구성되는 체결돌기(221a)를 포함하는 몸체(221), 상기 센서부(212)로부터 생체신호를 전달받아 처리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몸체(221)의 내부에 구비되는 제어부(222), 상기 제어부(222)의 처리 결과에 따라 자극신호가 상기 이어팁(211)을 통해 송출되도록 하는 자극신호 송출부(223) 및 제어부(222) 및 자극신호 송출부(223)로 전원을 공급하는 축전지(224)를 포함한다.Meanwhile, according to FIGS. 3 and 4 , the operating device 220 includes a body 221 including a fastening protrusion 221a configured to fasten the ear inlet 210 to one side, and the sensor unit 212 . The control unit 222 configured to receive and process the biosignal from the body 221 , and the stimulation signal to transmit the stimulation signal through the ear tip 211 according to the processing result of the control unit 222 . and a storage battery 224 for supplying power to the transmitter 223 and the controller 222 and the stimulus signal transmitter 223 .

상기 몸체(221)는 일측에 이어폰이 체결되는 체결돌기(221a)가 형성되되, 사용자가 귀에 착용할 수 있는 형태로 구성된다. 예를 들면, 상기 몸체(221)는 커널형 이어폰의 형태로 이루어지거나,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귀에 걸이가 가능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The body 221 is formed with a fastening protrusion 221a to which the earphone is fastened on one side, and is configured in a form that the user can wear on the ear. For example, the body 221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canal earphone, or may be formed in a form that can be hung on the ear as shown in FIG. 5 .

한편, 상기 제어부(222)는 생체신호를 분석하여 이갈이의 발생 여부를 판단하게 되는데, 이는 각 생체신호가 기준수치를 초과하되, 상기 생체신호가 일정 시간동안 유지되는 경우, 이갈이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한다.On the other hand, the control unit 222 determines whether or not bruising occurs by analyzing the bio-signal, which is determined that bruising has occurred when each bio-signal exceeds a reference value and the bio-signal is maintained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do.

도 6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상기 제어부(222)는 사용자가 이어폰부(200)를 착용한 상태에서 수의적 수축시의 생체신호를 측정하여 이를 기준신호로 설정하게 되며, 설정된 기준신호 값과 실시간으로 측정되는 생체신호 값을 비교하여 상기 생체신호가 기준신호보다 일정수치 초과하되, 초과된 생체신호 값의 지속시간이 기준시간 내에 포함되는 경우, 이갈이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한다.Referring to FIG. 6 , the control unit 222 measures the biosignal during voluntary contraction while the user wears the earphone unit 200 and sets it as a reference signal. By comparing the biosignal values measured as , when the biosignal exceeds the reference signal by a certain value, but the duration of the exceeded biosignal value is included within the reference time, it is determined that bruising has occurred.

예를 들어, 상기 센서부(212)가 근전도 센서로 구성되어 근전도 신호를 생체신호로서 사용하는 경우, 측정된 생체신호 값(근전도 신호 값)이 기준신호 값보다 40%를 초과하되, 생체신호 값이 5초 이상 40초 이하의 시간동안 기준신호 값을 초과하는 경우, 이갈이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하게 된다.For example, when the sensor unit 212 is configured as an EMG sensor and uses an EMG signal as a biosignal, the measured biosignal value (electromyographic signal value) exceeds 40% of the reference signal value, but the biosignal value If the reference signal value is exceeded for more than 5 seconds and less than 40 seconds, it is determined that bruising has occurred.

이때, 생체신호 값이 5초 미만인 경우에는 이갈이 현상이 아닌 단순 움직임인 가능성이 있고, 40초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단순히 사용자가 상기 이어폰부(200)가 가압된 상태로 눕거나 센서부(212)의 오작동인 경우일 가능성이 높으므로 생체신호 값이 5초 이상 40초 이하의 시간동안 지속적으로 기준신호 값을 초과하는 경우, 이갈이 현상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if the biosignal value is less than 5 seconds, there is a possibility that it is a simple movement rather than a bruising phenomenon, and if it exceeds 40 seconds, the user simply lies down with the earphone unit 200 pressed or the sensor unit 212 . Since it is highly likely that it is a malfunction of , if the biosignal value continuously exceeds the reference signal value for 5 seconds or more and 40 seconds or less, it is desirable to determine that bruising has occurred.

이때, 상기 기준신호는 더욱 정확한 이갈이 현상의 측정을 위해 사용자가 착용시마다 측정하여 사용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reference signal may be measured and used every time the user wears it in order to more accurately measure the bruising phenomenon.

한편, 상기 제어부(222)는 상기와 같은 비교 분석을 통해 이갈이가 발생되는 경우, 상기 동작장치(220)에서 자극신호가 출력되도록 명령신호를 송출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when bruising occurs through the comparative analysis as described above, the control unit 222 transmits a command signal so that a stimulus signal is output from the operation device 220 .

한편, 상기 제어부(222)는 상기 센서부(212)로부터 전달되는 생체신호 값, 이갈이 발생 여부, 이갈이 발생 횟수, 자극신호의 크기 등 측정, 분석 및 동작에 따라 발생된 다양한 정보들은 상기 서버(100)로 전달하여 타임 테이블에 따라 저장 관리되도록 하되, 이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겠지만 사용자 단말기(300)와 통신이 이루어지면서 사용자 단말기(300)로부터 명령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동작장치(220)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한다. On the other hand, the control unit 222 transmits various information generated according to measurement, analysis, and operation, such as the value of the biosignal transmitted from the sensor unit 212, whether or not bruising occurs, the number of occurrence of bruising, and the magnitude of the stimulus signal to the server 100 ) to be stored and managed according to the time table, but a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later, while communicating with the user terminal 300, a command signal is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300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operating device 220 let it do

한편, 상기 자극신호 송출부(223)는 이갈이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되어 상기 제어부(222)로부터 자극신호 송출 명령이 전달되는 경우, 설정된 자극신호를 출력하도록 이루어지는데, 이때, 자극신호는 소리신호 또는 진동신호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자극신호 송출부(223)는 스피커 또는 진동기로 이루어질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stimulation signal transmitting unit 223 is configured to output a set stimulation signal when it is determined that bruising has occurred and a stimulation signal transmission command is transmitted from the control unit 222. At this time, the stimulation signal is a sound signal or It may be formed of a vibration signal, and the stimulation signal transmitting unit 223 may be formed of a speaker or a vibrator.

한편, 출력되는 자극신호의 크기, 세기, 출력 주기 등은 기설정되어 저장될 수 있으며, 소리신호의 경우, 사용자가 선택한 음원이 출력될 수 있다. Meanwhile, the size, intensity, output period, etc. of the output stimulus signal may be preset and stored, and in the case of a sound signal, a sound source selected by the user may be output.

상기 축전지(224)는 상기 몸체(221)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동작장치(220)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서, 거치대(400)에 거치되거나, 직접 충전단자와 연결된 상태로 충전될 수 있다. The storage battery 224 is provided inside the body 221 to supply power necessary for the operation of the operating device 220, and is mounted on the cradle 400 or directly connected to the charging terminal to be charged. can

한편, 상기 사용자 단말기(300)는 상기 서버(100)에 저장된 정보를 전달받아 화면 출력부에 표시하여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되, 이를 조작함으로써 상기 동작장치(220)로 명령신호를 전달하도록 구성된다.On the other hand, the user terminal 300 receives the information stored in the server 100 and displays it on the screen output unit so that the user can visually check it, but by manipulating it, a command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operation device 220 . is composed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사용자 단말기(300)는 어플리케이션 등의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각종 이갈이 정보를 정렬하여 출력하되, 사용자가 어플리케이션을 조작함으로써 동작장치(220)의 동작을 조절하도록 이루어진다. 7 and 8 , the user terminal 300 sorts and outputs various types of bruising information using software such as an application, and the user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operating device 220 by manipulating the application.

상기 이갈이 정보에는 이갈이 발생시간, 이갈이 횟수, 강도, 1회 발생시 지속시간, 이갈이 발생 간격, 전체 발생 시간 등의 다양한 정보를 포함하며, 이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확인이 가능하다.The bruising information includes various information such as bruising time, number of bruising, intensity, duration at one occurrence, interval between bruising, and total occurrence time, which can be checked through the application configured as shown in the figure.

한편, 상기 이어폰부(200)는 한 쌍이 사용자가 귀에 장착하게 되면 동작장치(220)의 전원이 켜질 수 있도록 한다.On the other hand, the earphone unit 200 enables the power of the operating device 220 to be turned on when a pair of earphones is worn on the user's ear.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이어폰부(200)에는 사용자의 귀에 장착시, 피부와 접촉되면서 장착 여부를 확인할 수 있게 하는 한 쌍의 전극(230)이 각각 구비되며, 상기 한 쌍의 전극(230)이 피부와 접촉되면서 사용자의 피부를 통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가 되는 바, 상기한 상태가 되면 제어부(222)는 상기 축전지(224)로부터 전압이 출력되면서 상기 동작장치(220)가 동작될 수 있도록 한다. Referring to FIG. 2 , the earphone unit 200 is provided with a pair of electrodes 230 that, when mounted on the user's ear, make contact with the skin to confirm whether it is mounted or not, the pair of electrodes 230 , respectively. While in contact with the skin, they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the user's skin. When the above-described state is reached, the control unit 222 outputs a voltage from the storage battery 224 so that the operating device 220 can be operated. do.

상술하면, 상기 전극(230)은 상기 이어 인입부(210)가 체결된 상기 동작장치(220)의 면측에 구비되도록 하여 사용자가 이어폰부(200)를 장착한 상태일 때, 상기 적극이 사용자의 피부면과 쉽게 면접촉되면서 자동으로 상기 동작장치(220)가 동작되도록 함에 따라 사용 편의성이 더욱 향상되도록 한다. In detail, the electrode 230 is provided on the surface side of the operating device 220 to which the ear inlet 210 is fastened, so that when the user is wearing the earphone unit 200, the positive action of the user is As the operating device 220 is automatically operated while easily in surface contact with the skin surface, the convenience of use is further improved.

한편,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이어폰부(200)의 축전지(224)는 거치대(400)에 거치되어 충전되는 경우, 상기 전극(230)을 통해 거치대(4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충전이 이루어지도록 한다.Meanwhile, referring to FIG. 9 , when the battery 224 of the earphone unit 200 is mounted on the cradle 400 and charged, it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radle 400 through the electrode 230 and charged. let it go

부연하면, 상기 거치대(400)는 상기 이어폰부(200)의 거치가 가능한 형태로 형성된 안착홈(410) 및 상기 안착홈(410)에 상기 이어폰부(200)가 거치된 상태일 때, 상기 이어폰부(200)의 전극(230)과 맞닿으면서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충전돌기(4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In other words, when the earphone unit 400 is in a state in which the earphone unit 200 is mounted in the receiving groove 410 and the receiving groove 410 formed in a shape in which the earphone unit 200 can be mounted, the earphone unit 400 is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charging protrusion 420 electrically connected while being in contact with the electrode 230 of the unit 200 .

상술하면, 상기 전극(230)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동작장치(220)의 외주면 표면에 구비되는데, 상기 안착홈(410)은 상기 이어 인입부(210)가 장착된 면이 내입되면서 상기 동작장치(220)에 구비된 전극(230)이 상기 안착홈(410)을 향하는 상태로 안착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충전돌기(420)은 상기 안착홈(410)의 외측으로 탄성 지지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동작장치(220)가 안착된 상태일 때, 상기 전극(230)과 접촉되면서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In detail, as described above, the electrode 230 is provid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operating device 220 , and the seating groove 410 is operated while the surface on which the ear inlet 210 is mounted is inserted. The electrode 230 provided in the device 220 is configured to be seated in a state facing the seating groove 410 , and the charging protrusion 420 is configured to be elastically supported to the outside of the seating groove 410 . When the operating device 220 is in a seated state, it is configured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while being in contact with the electrode 230 .

상기한 구성에 따라, 상이 이어폰부(200)가 상기 거치대(400)에 안착되면서 상기 전극(230)과 충전돌기(420)가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가 되면, 상기 전극(230)을 통해 상기 축전지(224)로 전류가 인가되면서 상기 축전지(224)의 충전이 이루어지게 한다.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when the earphone unit 200 is seated on the cradle 400 and the electrode 230 and the charging protrusion 420 are electrically connected, the storage battery ( 224) while the current is applied to the battery 224 is charged.

한편, 상기 동작장치(220)와 사용자 단말기(300)에는 뒤척임 감지센서가 더 구비되도록 하며, 상기 뒤척임 감지센서는 사용자가 수면을 취하는 동안 사용자가 뒤척인 시간 및 횟수를 측정하여 수면 정보를 형성하며, 상기 수면 정보와 이갈이 정보를 비교하여 이갈이 현상 발생시, 사용자가 경고에 적절하게 대응하는지에 대해 판단할 수 있도록 한다.On the other hand, the operation device 220 and the user terminal 300 are further provided with a toss and down detection sensor, and the toss and down detection sensor measures the time and number of times the user toss and turns while the user sleeps to form sleep information, , compares the sleep information with the bruxism information to determine whether the user appropriately responds to a warning when bruising occurs.

부연하면, 상기 뒤척임 감지센서는 자이로 센서 또는 진동 센서로 이루어져, 상기 동작장치(220)와 사용자 단말기(300)에 구비되어 실시간으로 측정되는 뒤척임 측정값을 상기 제어부(222)로 전달하도록 한다.In other words, the toss and turn detection sensor is composed of a gyro sensor or a vibration sensor, and is provided in the operation device 220 and the user terminal 300 to transmit the toss and turn measurement value measured in real time to the control unit 222 .

한편, 상기 수면 정보는 사용자가 어플리케이션을 조작하여 수면의 시작과 종료를 설정함으로써 사용자의 수면시간을 검출하며, 이 시간동안 발생된 뒤척인 지점 및 뒤척인 횟수 등을 검출하여 수면 정보로서 저장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sleep information detects the user's sleep time by setting the start and end of sleep by operating the application, and detects the toss and turns and the number of toss and turns generated during this time and stores it as sleep information. .

상기 제어부(222)는 전달받은 뒤척임 정보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뒤척임을 판단하게 되는데, 이때, 사용자가 급격하게 뒤척이는 등의 동작을 취하지 않는 한 뒤척임 감지센서에서 측정되는 측정 값을 변화되지 않는 바, 상기 측정 값이 급격하게 변화된 지점에서 사용자의 뒤척임이 발생된 것으로 판단하여 이를 뒤척임 정보로서 저장하여 상기 서버(100) 및 사용자 단말기(300)로 전송한다.The control unit 222 analyzes the received toss and down information to determine the user's toss and downs. At this time, unless the user takes an action such as tossing and turning abruptly, the measured value measured by the tossing and turning sensor does not change. It is determined that the user's toss and down has occurred at the point where the measured value is rapidly changed, and it is stored as toss and downs information and transmitted to the server 100 and the user terminal 300 .

즉, 상기 뒤척임 감지센서에 의해 측정된 측정값 중 급작스럽게 센싱값이 변화하는 지점을 뒤척임 정보로서 판별하며, 이때, 상기 뒤척임 정보에는 뒤척임이 발생된 시간이 포함되며, 상기 뒤척임신호와 이갈이 현상 발생정보를 비교하여 발생 시기가 일치 또는 인접한 시간대인 경우, 상기 동작장치(220)로부터 안정적으로 자극신호가 전달되는 것으로 판단한다.That is, a point at which the sensed value abruptly changes among the measured values measured by the toss and turns is determined as toss and down information, and at this time, the toss and down information includes the time when the toss and turns occur, and the toss and turns signal and the bruising phenomenon occur By comparing the information, when the generation time coincides with or adjacent to the time period, it is determined that the stimulus signal is stably transmitted from the operation device 220 .

부연하면, 이갈이 발생 시간 이후 소정의 시간 이내에 상기 뒤척임이 발생되는 경우, 사용자에게 자극신호가 전달되어 이갈이 현상을 인지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는 바, 이 경우, 정상적인 인지 상황인 것으로 판별한다. In other words, if the tossing occurs within a predetermined time after the occurrence of bruising, a stimulus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user to determine that the bruising phenomenon has been recognized, and in this case, it is determined as a normal cognitive situation.

예를 들어, 이갈이 발생 시간 이후 5초 이내에 뒤척임이 발생된 경우, 사용자가 이갈이 현상을 인지한 것으로 판단하며, 이를 벗어나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이갈이 현상을 정상적으로 인지하지 못하는 것으로 판단, 즉, 자극신호가 약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제어부(222)는 자극이 더 세게 출력될 수 있도록 제어한다.For example, if tossing occurs within 5 seconds after the occurrence of bruising, it is determined that the user has recognized the bruising phenomenon, and if it is out of this, it is determined that the user does not normally recognize the bruising phenomenon, that is, the stimulus signal is weak. is determined, and the control unit 222 controls the stimulus to be output more strongly.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 예와 실질적으로 균등한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미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Although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extends to a range substantially equivalent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invention pertai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invention.

100 : 서버부
200 : 이어폰부 210 : 이어 인입부
211 : 이어팁 212 : 센서부
220 : 동작장치 221 : 몸체
221a : 체결돌기 222 : 제어부
223 : 자극신호 송출부 224 : 축전지
230 : 전극
300 : 사용자 단말기
400 : 거치대 410 : 안착홈
420 : 충전돌기
100: server unit
200: earphone unit 210: ear inlet
211: ear tip 212: sensor unit
220: operating device 221: body
221a: fastening protrusion 222: control unit
223: stimulus signal transmitter 224: storage battery
230: electrode
300: user terminal
400: cradle 410: seating groove
420: charging projection

Claims (8)

사용자 단말기(300)와 양방향 통신이 이루어지되, 이어폰부(200)에서 측정되는 정보를 전달받아 저장 관리하는 서버(100);
사용자의 귓속에 삽입된 상태로 생체 신호를 측정하는 이어 인입부(210) 및 상기 이어 인입부(210)에서 측정된 생체신호를 분석하여 이갈이 발생여부를 판단하며, 이갈이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되면 자극신호를 부가하도록 구성되는 동작장치(220)를 포함하는 이어폰부(200); 및
상기 이어폰부(200)의 동작을 제어하는 사용자 단말기(30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형 이갈이 측정장치 시스템.
a server 100 for receiving information measured by the earphone unit 200 and storing and managing the information measured by the user terminal 300 and the two-way communication;
The ear retractor 210 for measuring bio-signals while being inserted into the user's ear and the bio-signals measured at the ear retractor 210 are analyzed to determine whether bruising has occurred, and when it is determined that bruising has occurred, stimulation an earphone unit 200 including an operation device 220 configured to add a signal; and
a user terminal 300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earphone unit 200;
An earphone-type bruxism measurement device system comprising a.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어 인입부(210)는,
탄성력 있는 재질로 이루어져, 타단이 동작장치(220)와 체결되고, 일측이 사용자의 귓속에 삽입되어 외주면이 피부와 밀착되도록 구성되는 이어팁(211); 및
상기 이어팁(211)의 외주면 둘레 일측에 구비되어 생체신호를 측정하는 센서부(212);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형 이갈이 측정장치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ear inlet 210 is,
an ear tip 211 made of an elastic material, the other end is fastened with the operating device 220, and one side is inserted into the user's ear so that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skin; and
a sensor unit 212 provided on one side of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ear tip 211 to measure a biosignal;
An earphone-type bruxism measurement device system comprising a.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212)는,
PPG 센서, 근전도 센서, 압력센서 중 선택되는 하나의 센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형 이갈이 측정장치 시스템.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The sensor unit 212,
An earphone type bruxism measurement device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consists of one sensor selected from a PPG sensor, an electromyography sensor, and a pressure sensor.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212)가 PPG 센서로 구성되는 경우, 상기 PPG 센서는 빛을 조사하는 램프 부분이 경사진 외측을 향하는 상태가 되도록 상기 이어팁(211)의 외주면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형 이갈이 측정장치 시스템.
4.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When the sensor unit 212 is configured as a PPG sensor, the PPG sensor is provid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ear tip 211 so that the lamp portion irradiating light is inclined outwardly. measuring system.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212)가 근전도 센서 또는 압력센서로 구성되는 경우, 상기 이어팁(211)의 외주면에서 귓속피부와 면접촉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형 이갈이 측정장치 시스템.
4.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When the sensor unit 212 is configured as an EMG sensor or a pressure sensor, the earphone type bruxism measurement device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so as to be in surface contact with the skin in the ear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ear tip 211.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동작장치(220)는,
일측에 상기 이어 인입부(210)가 체결되도록 구성되는 체결돌기(221a)를 포함하는 몸체(221);
상기 센서부(212)로부터 생체신호를 전달받아 처리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몸체(221)의 내부에 구비되는 제어부(222);
상기 제어부(222)의 처리 결과에 따라 자극신호가 상기 이어팁(211)을 통해 송출되도록 하는 자극신호 송출부(223); 및
제어부(222) 및 자극신호 송출부(223)로 전원을 공급하는 축전지(224);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형 이갈이 측정장치 시스템.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The operating device 220,
a body 221 including a fastening protrusion 221a configured to be fastened to the ear inlet 210 on one side;
a control unit 222 configured to receive and process biosignals from the sensor unit 212 and provided in the body 221;
a stimulation signal transmitting unit 223 for transmitting a stimulation signal through the ear tip 211 according to the processing result of the control unit 222; and
a storage battery 224 for supplying power to the control unit 222 and the stimulus signal transmitting unit 223;
An earphone-type bruxism measurement device system comprising a.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이어폰부(200)에는,
한 쌍의 전극(230)이 각각 구비되며, 상기 한 쌍의 전극(230)이 피부와 접촉된 상태가 되면, 상기 제어부(222)는 상기 축전지(224)로부터 전압이 출력되면서 상기 동작장치(220)의 전원이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형 이갈이 측정장치 시스템.
7. The method of claim 6,
In the earphone unit 200,
A pair of electrodes 230 are provided, respectively, and when the pair of electrodes 230 come into contact with the skin, the controller 222 outputs a voltage from the storage battery 224 and the operating device 220 ) earphone-type bruise measurement device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power is supplied.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이어폰부(200)의 축전지(224)는,
거치대(400)에 거치되어 충전되는 경우, 상기 전극(230)을 통해 거치대(4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충전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형 이갈이 측정장치 시스템.
8. The method of claim 7,
The storage battery 224 of the earphone unit 200,
When it is charged while being mounted on the cradle 400, the earphone type bruxism measurement device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radle 400 through the electrode 230 to make charging.
KR1020190168967A 2019-12-17 2019-12-17 Earphone type Bruxism detecting system KR10229500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8967A KR102295000B1 (en) 2019-12-17 2019-12-17 Earphone type Bruxism detecting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8967A KR102295000B1 (en) 2019-12-17 2019-12-17 Earphone type Bruxism detecting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7385A true KR20210077385A (en) 2021-06-25
KR102295000B1 KR102295000B1 (en) 2021-08-26

Family

ID=766293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8967A KR102295000B1 (en) 2019-12-17 2019-12-17 Earphone type Bruxism detecting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5000B1 (en)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99430A (en) * 2014-02-21 2015-08-31 삼성전자주식회사 Electronic device
KR101560287B1 (en) * 2015-05-20 2015-10-14 주식회사 휴이노 Earphone including bodysignal measuring means and body signal monitoring system including the same earphone
KR101631500B1 (en) 2013-11-07 2016-06-17 (주)오픈텔레콤 Apparatus and method for analyzing bruxism and acquisition
KR20170047934A (en) * 2015-10-26 2017-05-08 주식회사 웨이전스 A Device for Improving a Sleep State in Relationship with a Smart Phone and a Method for Improving the Same
KR20170083483A (en) * 2016-01-08 2017-07-18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Realtime monitoring apparatus for sleep disorders
KR20180078164A (en) * 2016-12-29 2018-07-09 주식회사 인바디 Wearable computing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1500B1 (en) 2013-11-07 2016-06-17 (주)오픈텔레콤 Apparatus and method for analyzing bruxism and acquisition
KR20150099430A (en) * 2014-02-21 2015-08-31 삼성전자주식회사 Electronic device
KR101560287B1 (en) * 2015-05-20 2015-10-14 주식회사 휴이노 Earphone including bodysignal measuring means and body signal monitoring system including the same earphone
KR20170047934A (en) * 2015-10-26 2017-05-08 주식회사 웨이전스 A Device for Improving a Sleep State in Relationship with a Smart Phone and a Method for Improving the Same
KR20170083483A (en) * 2016-01-08 2017-07-18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Realtime monitoring apparatus for sleep disorders
KR20180078164A (en) * 2016-12-29 2018-07-09 주식회사 인바디 Wearable computing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95000B1 (en) 2021-08-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47052B2 (en) Transcutaneous electrical nerve stimulator with automatic detection of user sleep-wake state
US9827420B2 (en) Transcutaneous electrical nerve stimulator with user gesture detector and electrode-skin contact detector, with transient motion detector for increasing the accuracy of the same
US10335595B2 (en) Dynamic control of transcutaneous electrical nerve stimulation therapy using continuous sleep detection
JP480921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onitoring muscle activity
US10279179B2 (en) Transcutaneous electrical nerve stimulator with automatic detection of user sleep-wake state
EP1575425B1 (en) Sleep detection using an adjustable threshold
EP1567051B1 (en) Detection of disordered breathing
US8805508B2 (en) Collecting activity data for evaluation of patient incontinence
US10292638B2 (en) Apparatus for electrical stimulation, in particular for bruxism
KR102063143B1 (en) Bruxism Monitoring System and Discrimination and Mitigation Method Using It
WO2016176668A1 (en) Breathing disorder detection and treatment device and methods
KR101579364B1 (en) Wireless Earhook Earset/Earphone concealing electrodes and acquisition system of electroencephalograph for brain monitoring and brain-computer interface
US20170035350A1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bruxism
TWI604837B (en) Intelligent physiological response feedback control system and method
KR101631500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nalyzing bruxism and acquisition
KR20200033522A (e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for sleep and arousal
KR102295000B1 (en) Earphone type Bruxism detecting system
KR102294983B1 (en) Bruxism detecting system in which pad part and operating device are electrically connected by contact terminal
JP2022039590A (en) Masseter muscle potential detection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