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76982A - 베어러의 제어 방법, 단말 및 네트워크측 기기 - Google Patents

베어러의 제어 방법, 단말 및 네트워크측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76982A
KR20210076982A KR1020217015447A KR20217015447A KR20210076982A KR 20210076982 A KR20210076982 A KR 20210076982A KR 1020217015447 A KR1020217015447 A KR 1020217015447A KR 20217015447 A KR20217015447 A KR 20217015447A KR 20210076982 A KR20210076982 A KR 202100769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rget
mac
transmission path
signaling
bear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154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91426B1 (ko
Inventor
옌샤 장
위민 우
Original Assignee
비보 모바일 커뮤니케이션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비보 모바일 커뮤니케이션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비보 모바일 커뮤니케이션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100769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69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14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14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2Distributed allocation, i.e. involving a plurality of allocating devices, each making partial allo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8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repeating transmission, e.g. Verdan syste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4Error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3Two-dimensional division
    • H04L5/0005Time-frequency
    • H04L5/0007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DMT
    • H04L5/001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DMT the frequencies being arranged in component carr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3Allocation of signaling, i.e. of overhead other than pilot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91Signaling for the administration of the divided pa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91Signaling for the administration of the divided path
    • H04L5/0096Indication of changes in allocation
    • H04L5/0098Signalling of the activation or deactivation of component carriers, subcarriers or frequency ban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8Load balancing or load distribution
    • H04W28/082Load balancing or load distribution among bearers or channels
    • H04W28/085
    • H04W72/042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5Setup of multiple wireless link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0Wireless network protocols or protocol adaptations to wireless operation
    • H04W80/02Data link layer protoco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0Wireless network protocols or protocol adaptations to wireless operation
    • H04W80/04Network layer protocols, e.g. mobile IP [Internet Protoc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Detection And Prevention Of Errors In Transmission (AREA)

Abstract

본 개시는 베어러의 제어 방법, 단말 및 네트워크측 기기를 제공하며, 상기 단말에 대응하는 타겟 무선 베어러(RB)에 데이터 복제 기능이 배치되어 있고, 상기 타겟 RB에 N개의 전송 경로가 배치되어 있으며, N은 2보다 큰 정수이며; 상기 방법은, 네트워크측 기기가 송신한 지시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로서, 상기 지시 메시지는 상기 타겟 RB의 데이터 복제 기능을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및/또는, 상기 타겟 RB의 전송 경로를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것인,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지시 메시지에 따라, 상기 타겟 RB의 사용가능한 전송 경로를 확정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베어러의 제어 방법, 단말 및 네트워크측 기기
[관련 출원에 대한 참조]
본 출원은 2018년 10월 31일 중국에 제출한 중국 특허 출원 제 201811285532.9호의 우선권을 주장하며, 그 전체 내용을 본 출원에 원용한다.
[기술분야]
본 개시는 통신 기술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베어러의 제어 방법, 단말 및 네트워크측 기기에 관한 것이다.
뉴 라디오(New Radio,NR) 기술중에서, 데이터 전송의 신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패킷 데이터 컨버젼스 프로토콜(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PDCP)층에 데이터 복제 기능을 도입하였다. 네트워크측 기기는 UE의 무선 베어러(Radio Bearer,RB)에 복제 기능을 배치할 수 있고, PDCP층에 의해 상기 기능을 수행한다.
데이터 복제 기능이 배치된 RB에 대해, 현재, 네트워크측 기기는 상기 RB에 대응하는 PDCP 엔티티를 위해 두가지 전송 경로를 배치하며, 데이터 전송의 신뢰성이 비교적 낮다.
본 개시의 실시예는 베어러의 제어 방법, 단말 및 네트워크측 기기를 제공하여, 관련기술 중 데이터 전송의 신뢰성이 비교적 낮은 문제를 해결하려 한다.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개시는 아래와 같이 구현하려 한다.
제1 측면에 있어서, 본 개시의 실시예는 단말에 응용되는 베어러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며, 상기 단말에 대응하는 타겟 무선 베어러(RB)에 데이터 복제 기능이 배치되어 있고, 상기 타겟 RB에 N개의 전송 경로가 배치되어 있으며, N은 2보다 큰 정수이며; 상기 방법은,
네트워크측 기기가 송신한 지시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로서, 상기 지시 메시지는 상기 타겟 RB의 데이터 복제 기능을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및/또는, 상기 타겟 RB의 전송 경로를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것인,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지시 메시지에 따라, 상기 타겟 RB의 사용가능한 전송 경로를 확정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제2 측면에 있어서, 본 개시의 실시예는 네트워크측 기기에 응용되는 베어러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며, 상기 방법은,
단말에 지시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로서, 상기 지시 메시지는 상기 단말에 대응하는 타겟 무선 베어러(RB)의 데이터 복제 기능을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및/또는, 상기 타겟 RB의 전송 경로를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것인,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그중, 상기 타겟 RB에 데이터 복제 기능이 배치되어 있고, 상기 타겟 RB에 N개의 전송 경로가 배치되어 있으며, N은 2보다 큰 정수이다.
제3 측면에 있어서, 본 개시의 실시예는 단말을 더 제공하며, 상기 단말에 대응하는 타겟 무선 베어러(RB)에 데이터 복제 기능이 배치되어 있고, 상기 타겟 RB에 N개의 전송 경로가 배치되어 있으며, N은 2보다 큰 정수이며; 상기 단말은,
네트워크측 기기가 송신한 지시 메시지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 모듈로서, 상기 지시 메시지는 상기 타겟 RB의 데이터 복제 기능을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및/또는, 상기 타겟 RB의 전송 경로를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것인, 수신 모듈; 및
상기 지시 메시지에 따라, 상기 타겟 RB의 사용가능한 전송 경로를 확정하기 위한 확정 모듈; 을 포함한다.
제4 측면에 있어서, 본 개시의 실시예는 네트워크측 기기를 제공하며, 상기 네트워크측 기기는,
단말에 지시 메시지를 송신하기 위한 송신 모듈로서, 상기 지시 메시지는 상기 단말에 대응하는 타겟 무선 베어러(RB)의 데이터 복제 기능을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및/또는, 상기 타겟 RB의 전송 경로를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것인, 송신 모듈; 을 포함하며,
그중, 상기 타겟 RB에 데이터 복제 기능이 배치되어 있고, 상기 타겟 RB에 N개의 전송 경로가 배치되어 있으며, N은 2보다 큰 정수이다.
제5 측면에 있어서, 본 개시의 실시예는 단말을 더 제공하며, 상기 단말은, 프로세서,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어 상기 프로세서에서 실행가능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며,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제1 측면에 따른 베어러의 제어 방법의 단계를 구현한다.
제6 측면에 있어서, 본 개시의 실시예는 네트워크측 기기를 더 제공하며, 상기 네트워크측 기기는, 프로세서, 메모로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어 상기 프로세서에서 실행가능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며,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제2 측면에 따른 베어러의 제어 방법의 단계를 구현한다.
제7 측면에 있어서, 본 개시의 실시예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를 더 제공하며,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으며,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제1 측면에 따른 베어러의 제어 방법의 단계를 구현하거나, 또는, 제2 측면에 따른 베어러의 제어 방법의 단계를 구현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상기 단말에 대응하는 타겟 무선 베어러(RB)에 데이터 복제 기능이 배치되어 있고, 상기 타겟 RB에 N개의 전송 경로가 배치되어 있으며, N은 2보다 큰 정수이다. 진일보하여, 단말은 수신된 네트워크측 기기가 송신한 지시 메시지에 따라, 상기 타겟 RB의 사용가능한 전송 경로를 확정할 수 있으며, 그중, 상기 지시 메시지는 상기 타겟 RB의 데이터 복제 기능을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및/또는, 상기 타겟 RB의 전송 경로를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이로하여, 본 개시는 타겟 RB의 사용가능한 전송 경로 확정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진일보하여, 단말은 타겟 RB의 사용가능한 전송 경로를 채용하여 데이터 전송을 진행할 경우, 데이터 전송의 성공율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더 나아가 데이터 전송의 신뢰성을 향상시킨다. 보다시피, 본 개시는 데이터 전송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기술방안을 더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아래에서는 본 개시의 실시예의 설명에 사용되어야 할 도면들을 간단하게 소개하기로 한다. 하기 설명에서의 도면들은 단지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인 것으로,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에게 있어서, 창조적 노동을 하지 않는다는 전제하에 이러한 도면들에 의해 기타 도면들을 더 얻을 수 있음은 자명한 것이다.
도 1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응용될 네트워크 시스템의 구조도이다.
도 2a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베어러의 예시도 1이다.
도 2b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베어러의 예시도 2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베어러의 제어 방법의 흐름도 1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제1 MAC CE 시그널링의 예시도이다.
도 5a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제2 MAC CE 시그널링의 서브 헤드의 예시도이다.
도 5b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제2 MAC CE 시그널링의 본체의 예시도 1이다.
도 5c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제2 MAC CE 시그널링의 본체의 예시도 2이다.
도 5d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제2 MAC CE 시그널링의 본체의 예시도 3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베어러의 제어 방법의 흐름도 2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단말의 구조도 1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네트워크측 기기의 구조도 1이다.
도 9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단말의 구조도 2이다.
도 10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네트워크측 기기의 구조도 2이다.
이하,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의 도면을 결부시켜,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기술방안을 명확하고 완전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일 뿐, 전부의 실시예가 아님은 자명한 것이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을 토대로,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이 창조적 노동을 하지 않는다는 전제하에 얻어지는 모든 기타 실시예들은 모두 본 개시의 보호 범위에 속한다.
본 출원의 설명과 청구항에서 "제1", "제2" 등은 특정 순서의 설명 또는 순차적인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고, 유사한 대상을 구별하기 위한 것이다. 이외, 본 명세서에서, 용어 '포함', '구비' 또는 기타 임의의 변체는 비배타적인 포함을 포괄하며, 예하면, 일련의 단계 또는 유닛을 포함하는 과정, 방법, 시스템, 물품 또는 기기는, 명시적으로 열거한 그런 단계 및 유닛에만 한정될 것이 아니라, 명시적으로 열거되지 않거나 또는 이러한 과정, 방법, 물품 또는 기기에 고유한 기타 단계 또는 유닛을 더 포함하도록 할 것을 의도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및/또는" 은 연결 대상의 적어도 하나임을 나타내며, 예하면 "A 및/또는 B 및/또는 C"는 개별 A, 개별 B, 개별 C 및 A와 B가 공존, B와 C가 공존, A와 C가 공존, 및 A, B, C가 공존하는 7가지 경우를 포함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도 1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응용될 네트워크 시스템의 구조도이며,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말(11) 및 네트워크측 기기(12)를 포함하고, 그중, 단말(11)과 네트워크측 기기(12) 사이는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을 진행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단말(11)을 또한 사용자 단말(User Equipment,UE)로 칭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실현할 때, 단말(11)은 휴대폰, 태블릿 컴퓨터(Tablet Personal Computer), 랩탑 컴퓨터(Laptop Computer), 개인용 디지털 보조기(Personal Digital Assistant,PDA), 모바일 인터넷 장치(Mobile Internet Device,MID), 착용형 기기(Wearable Device) 또는 차량탑재 기기와 같은 단말측 기기일 수 있으며, 설명해야 할 것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는 사용자 단말(11)의 구체적인 타입을 한정하지 않는다.
네트워크측 기기(12)는 기지국, 중계국 또는 액세스 포인트 등일 수 있다. 예시적으로, 네트워크측 기기(12)는 싱글 접속 아키텍처하의 서빙 기지국, 멀티 접속 아키텍처하의 마스터 노드 또는 멀티 접속 아키텍처하의 세컨더리 노드일 수 있다. 기지국은 5G 및 그 후의 기지국(예하면, 5G NR NB), 또는 기타 통신 시스템중의 기지국(예를 들면, eNB(Evolutional Node B,진화형 기지국))일 수 있으며, 설명해야 할 것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는 네트워크측 기기(12)의 구체적인 타입을 한정하지 않는다.
설명을 돕기 위해, 이 하, 본 개시의 실시예에 관한 일부 내용에 대해 설명하려 한다.
1, PDCP 복제(PDCP duplication) 기능에 대한 소개
NR중에서, 데이터 전송의 신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PDCP층에 데이터 복제 기능을 도입하였다. 네트워크측 기기는 UE의 어느 한 RB에 데이터 복제 기능을 배치할 수 있으며, PDCP층에 의해 상기 기능을 실행한다. 만약 어느 한 RB의 데이터 복제 기능이 활성화되었다면, 상기 RB에 대응하는 PDCP층은 하층으로 전달해야 할 데이터에 대해 복제를 진행하고, 오리지널 데이터 및 복제 데이터를 각각 두개의 상이한 무선 링크 제어(Radio Link Control,RLC) 엔티티와 같은 두 개의 상이한 전송 경로를 통해 송신을 진행하며, 상이한 RLC 엔티티는 상이한 로직 채널에 대응한다.
일 실시방식에서, 네트워크측 기기는 미디어 액세스 제어층 제어 유닛(Medium Access Control Control Element,MAC CE) 시그널링을 통해 PDCP 데이터 복제 기능을 부팅(즉 활성화) 또는 정지(즉 비활성화)하도록 지시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방식에서, 네트워크측 기기는 어느 RB에 데이터 복제 기능을 배치할 때, MAC CE 시그널링을 통해 PDCP 복제 기능을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하도록 지시할 필요 없이, 상기 기능이 배치된 후 바로 부팅할 것인지 여부를 배치할 수 있다.
2, PDCP 복제 기능의 베어러 타입
제5 대(5th-Generation,5G) 이동 통신 시스템은 DC 아키텍처를 채용하였다. DC 아키텍처중에, 마스터 셀 그룹(Master Cell Group,MCG) 및 세컨더리 셀 그룹(Secondary Cell Group,SCG) 두개의 셀 그룹이 포함된다. 그중, MCG는 네트워크측 기기의 마스터 노드(Master Node,MN)에 대응되고, SCG는 네트워크측 기기의 세컨더리 노드(secondary node,SN)에 대응된다. 네트워크측 기기는 UE에 복수 개의 시그널링 무선 베어러(Signaling Radio Bearer,SRB)를 배치할 수 있으며, MCG 상에 배치한 SRB1 및 SRB2를 포함하고, SCG 상에 배치한 SRB3을 포함한다.
PDCP 복제 기능의 베어러 타입은 적어도 아래와 같은 두가지 베어러를 포함할 수 있다.
스플릿 베어러(Split bearer): 동일한 하나의 스플릿 베어러에 대해, 그에 대응하는 PDCP 엔티티는 1개의 셀 그룹에 있고, 그에 대응하는 2개의 RLC 엔티티와 2개의 MAC는 상이한 셀 그룹에 있다.
예시적으로,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플릿 베어러 a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스플릿 베어러 a에 전송 경로 a1 및 전송 경로 a2가 배치되어 있고, 그중, 전송 경로 a1는 MCG중의 PDCP 엔티티, MCG중의 RLC 엔티티 1 및 MCG중의 MAC 엔티티에 대응하며; 전송 경로 a2는 MCG중의 PDCP 엔티티, SCG중의 RLC 엔티티 1 및 SCG중의 MAC 엔티티에 대응한다.
복제 베어러(Duplicate bearer): 동일한 하나의 복제 베어러에 대해, 그에 대응하는 1개의 PDCP 엔티티, 2개의 RLC 엔티티 및 1개의 MAC 엔티티는 1개의 셀 그룹에 있다.
예시적으로,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제 베어러 a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복제 베어러 a에 전송 경로 a1 및 전송 경로 a2가 배치되어 있고, 그중, 전송 경로 a1는 MCG중의 PDCP 엔티티, MCG중의 RLC 엔티티 1 및 MCG중의 MAC 엔티티에 대응하며; 전송 경로 a2는 MCG중의 PDCP 엔티티, MCG중의 RLC 엔티티 2 및 MCG중의 MAC 엔티티에 대응한다.
그리고, 복제 베어러에 대해, 상이한 RLC 엔티티로부터의 데이터는 상이한 셀을 통해 송신될 수 있고,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셀은 세컨더리 셀(Secondary Cell,SCell) 또는 프라이머리 셀(Primary Cell,PCell)일 수 있다.
설명해야 할 것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만약 베어러에 대응하는 RLC 엔티티가 상이한 셀 그룹 중에 분포된다면, 상기 베어러를 스플릿 베어러로 칭할 수 있고; 만약 베어러에 대응하는 RLC 엔티티가 동일한 하나의 셀 중에 분포된다면, 상기 베어러를 복제 베어러로 칭할 수 있으며, 표준 조직은 이에 대해 기타 명명을 할 수 있으나, 본 개시는 명명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단말에 대응하는 타겟 RB에 데이터 복제 기능이 배치되어 있고, 상기 타겟 RB에 N개의 전송 경로가 배치되어 있으며, N은 2보다 큰 정수이다. 이로서, 타겟 RB의 데이터 복제 기능이 활성화될 경우, 단말은 N개의 전송 경로를 통해 데이터 전송을 진행할 수 있다.
그러나, 전송 경로의 수량은 UE가 데이터를 송신할 때 필요한 네트워크 자원과 양의 상관관계를 갖기에, 즉 전송 경로가 많을수록, UE가 데이터를 송신할 때 필요한 네트워크 자원이 더 많다. 이로하여, 단말은 N개의 전송 경로를 통해 데이터 전송을 진행할 때, 필요한 네트워크 자원이 많을수록, 자원 이용율이 낮은 문제를 초래한다.
자원 이용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본 개시의 실시예는 베어러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여, 타겟 RB의 N개의 전송 경로 중 사용가능한 전송 경로를 확정하고, 또한 사용가능한 전송 경로를 통해 데이터 전송을 진행하려 한다. 이해해야 할 것은, 사용가능한 전송 경로의 수량은 N보다 작거나 또는 같다. 이로하여,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베어러의 제어 방법을 통해, 데이터 전송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가능한 전송 경로의 수량이 N보다 작을 때, N개의 전송 경로를 통해 데이터 전송을 진행하는 것에 비해, UE가 점용하는 네트워크 자원을 감소할 수 있고, 더 나아가 자원 이용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설명해야 할 것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베어러의 제어 방법은 듀얼 접속(Dual Connectivity,DC) 및/또는 반송파 어그리게이션(Carrier Aggregation,CA) 아키텍처에 응용될 수 있다. 즉, 본 개시는 듀얼 접속(Dual Connectivity,DC) 및 반송파 어그리게이션(Carrier Aggregation,CA) 중 적어도 한 항을 이용하여 2개의 부본을 초과하는 PDCP 데이터 복제를 연구할 수 있다.
아래에서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베어러의 제어 방법에 대해 설명을 진행하려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도 3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베어러의 제어 방법의 흐름도 1이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베어러의 제어 방법은 단말에 응용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베어러의 제어 방법은 하기의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 301: 네트워크측 기기가 송신한 지시 메시지를 수신하며, 상기 지시 메시지는 상기 타겟 RB의 데이터 복제 기능을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및/또는, 상기 타겟 RB의 전송 경로를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설명해야 할 것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상기 지시 메시지가 상기 타겟 RB의 전송 경로를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하도록 지시하는데 사용될 경우, 상기 타겟 RB의 모든 전송 경로를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하도록 지시할 수 있거나, 또는 상기 타겟 RB의 일부 전송 경로를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하도록 지시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실제 수요에 따라 결정할 수 있는바,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는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구현할 때, 선택적으로, 상기 지시 메시지는,
무선 자원 제어(RRC) 시그널링이거나; 또는
상기 타겟 RB의 데이터 복제 기능을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제1 미디어 액세스 제어층 제어 유닛(MAC CE) 시그널링이거나; 또는,
상기 타겟 RB의 전송 경로를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제2 MAC CE 시그널링이다.
아래에서는 지시 메시지의 구체적인 표현 형식을 토대로 하여 지시 메시지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려 한다.
방식 1, 지시 메시지는 무선 자원 제어(Radio Resource Control,RRC) 시그널링이다.
RRC 시그널링은 상기 타겟 RB의 데이터 복제 기능을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및/또는, 상기 타겟 RB의 전송 경로를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RRC 시그널링이 데이터 복제 기능을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하도록 지시하는데 사용될 경우, RRC 시그널링은 1 비트를 통해 상기 타겟 RB의 데이터 복제 기능을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하도록 지시할 수 있다. 진일보하여, RRC 시그널링중의 비트는 PDCP 배치 정보 유닛(PDCP-configuration IE)중에 캐리될 수 있으며,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는 RRC 시그널링중의 비트의 위치 설정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예시적으로, RRC 시그널링의 비트의 값이 "1"일 경우, 상기 RRC 시그널링은 타겟 RB의 데이터 복제 기능을 활성화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RRC 시그널링의 비트의 값이 "0"일 경우, 상기 RRC 시그널링은 타겟 RB의 데이터 복제 기능을 비활성화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설명해야 할 것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전송 경로는, 셀 그룹 식별자 및/또는 로직 채널 식별자 중 적어도 한 항을 통해 식별을 진행할 수 있다. 이로서, RRC 시그널링이 상기 타겟 RB의 전송 경로를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하도록 지시하는데 사용될 경우, RRC 시그널링은 셀 그룹 식별자 및/또는 로직 채널 식별자를 통해 상기 타겟 RB의 전송 경로를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하도록 지시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RRC 시그널링에 제1 셀 그룹 식별자 및/또는 제1 로직 채널이 캐리되어 있고, 상기 제1 셀 그룹 식별자 및/또는 제1 로직 채널이 제1 전송 경로를 식별하는 경우, 일 실시방식에서, 상기 RRC 시그널링은 제1 전송 경로를 활성화하도록 지시하는데 사용될 수 있고; 또 다른 실시방식에서, 상기 RRC 시그널링은 제1 전송 경로를 비활성화하도록 지시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방식 2, 지시 메시지는 제1 MAC CE 시그널링이다.
상기 제1 MAC CE 시그널링은 상기 타겟 RB의 데이터 복제 기능을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즉, 제1 MAC CE 시그널링은 베어러의 입자 크기(granularity)를 토대로, 타겟 RB의 데이터 복제 기능(즉 MAC CE per RB)을 활성화하거나 또는 비활성화한다.
구체적으로 구현할 때, 제1 MAC CE의 시그널링 포맷은 도 4를 참조할 수 있다. 도 4에서, 제1 MAC CE의 시그널링은 Di 필드를 포함할 수 있고, Di 필드는 시퀀스 번호가 i인 RB(예하면 DRB)의 데이터 복제 기능이 활성화되었는지 여부를 지시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만약 Di 필드의 값이 "1"이라면, 활성화 시퀀스 번호가 i인 RB의 데이터 복제 기능을 나타내고; 만약 Di 필드의 값이 "0"이라면, 비활성화 시퀀스 번호가 i인 RB의 데이터 복제 기능을 나타낸다.
설명해야 할 것은, 도 4는 단지 예시적인 것이며,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는 제1 MAC CE 시그널링의 포맷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방식 3, 지시 메시지는 제2 MAC CE 시그널링이다.
상기 제2 MAC CE 시그널링은 상기 타겟 RB의 전송 경로를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즉, 제2 MAC CE 시그널링은 전송 경로의 입자 크기를 토대로, 타겟 RB의 전송 경로(즉 MAC CE per leg)를 활성화하거나 또는 비활성화한다.
구체적으로 구현할 때, 선택적으로, 상기 제2 MAC CE 시그널링은, 셀 그룹 식별자 및/또는 로직 채널 식별자를 포함하며; 또는, 상기 제2 MAC CE 시그널링은, 상기 타겟 RB를 식별하기 위한 제1 필드, 및 상기 타겟 RB의 N개의 전송 경로중에서, 시퀀스 번호가 i인 전송 경로의 상태를 지시하기 위한 제2 필드를 포함하며; 그중, i는 0보다 크거나 또는 같고, N보다 작거나 또는 같은 정수이다.
시나리오 1, 제2 MAC CE 시그널링은, 셀 그룹 식별자 및/또는 로직 채널 식별자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실시방식에서, 제2 MAC CE 시그널링에 타겟 RB의 전송 경로를 식별하기 위한 제3 필드가 포함될 수 있다. 셀 그룹 식별자 및/또는 로직 채널 식별자는 하나의 전송 경로를 유일하게 식별할 수 있기에, 일 실시방식에서, 제2 MAC CE 시그널링은, 셀 그룹 식별자 및/또는 로직 채널 식별자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이해해야 할 것은, 기타 실시방식에서, 제2 MAC CE 시그널링에 타겟 RB의 전송 경로를 식별할 수 있는 식별자가 포함될 수 있으며,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는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구현할 때, 제2 MAC CE 시그널링은 셀 그룹 식별자 및/또는 로직 채널 식별자에 의해 식별된 전송 경로를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타겟 RB에 전송 경로 1, 전송 경로 2 및 전송 경로 3이 배치되어 있다고 가설하고, 만약 셀 그룹 식별자 및/또는 로직 채널 식별자는 전송 경로 2를 식별할 수 있다면, 제2 MAC CE 시그널링은 전송 경로 2를 활성화하도록 지시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시나리오 2, 상기 제2 MAC CE 시그널링은, 상기 타겟 RB를 식별하기 위한 제1 필드, 및 상기 타겟 RB의 N개의 전송 경로중에서, 시퀀스 번호가 i인 전송 경로의 상태를 지시하기 위한 제2 필드를 포함한다.
이 시나리오에서, UE는 제1 필드 및 제2 필드에 따라, 타겟 RB의 N개의 전송 경로중에서, 시퀀스 번호가 i인 전송 경로의 상태를 확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구현할 때, 만약 제1 필드가 타겟 RB를 식별하고, 제2 필드의 값이 "1"이라면, 타겟 RB의 N개의 전송 경로중에서, 시퀀스 번호가 i인 전송 경로의 상태는 활성화 상태임을 나타낼 수 있고; 만약 제1 필드가 타겟 RB를 식별하고, 제2 필드의 값이 "0"이라면, 타겟 RB의 N개의 전송 경로중에서, 시퀀스 번호가 i인 전송 경로의 상태는 비활성화 상태임을 나타낼 수 있다.
방식 3에서, 진일보하여, 상기 타겟 RB가 스플릿 베어러인 경우, 상기 제2 MAC CE는, 스플릿 베어러 지시 필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스플릿 베어러 지시 필드는 상기 타겟 RB가 데이터 복제 기능을 비활성화하고 스플릿 베어러 모드로 폴백하는지 여부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구현할 때, 만약 스플릿 베어러 지시 필드의 값이 "0"이라면, 타겟 RB가 스플릿 베어러 모드로 폴백하지 않고, 데이터 복제 활성화 모드에 처해있다는 것을 나타낼 수 있으며; 만약 스플릿 베어러 지시 필드의 값이 "1"이라면, 타겟 RB가 데이터 복제 기능을 비활성화하고 스플릿 베어러 모드로 폴백하며, 스플릿 베어러 모드에 처해있다는 것을 나타낼 수 있다.
타겟 RB가 스플릿 베어러 모드에 처한 경우, 타겟 RB의 데이터 복제 기능은 비활성화 상태에 처해 있다. UE는 스플릿 베어러 모드하에, 타겟 RB의 사용가능한 전송 경로를 미리 확정할 수 있으며, 상술한 사용가능한 전송 경로를 통해 데이터 전송을 진행할 수 있다.
설명해야 할 것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제2 MAC CE 시그널링은 MAC 엔티티에 대응한다. 구체적으로 구현할 때, 제2 MAC CE 시그널링은 상기 제2 MAC CE 시그널링에 대응하는 MAC 엔티티와 관련된 베어러의 전송 경로를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하도록 지시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이해를 돕기 위해, 아래와 같이 예를 들어 설명하려 한다.
RB1의 전송 경로가 모두 MCG에 분포되어 있고, RB2의 전송 경로가 MCG 및 SCG에 분포되어 있으며, RB3의 전송 경로가 모두 SCG에 분포되어 있다고 가설한다. 또 다른 측면에 있어서, 즉 MCG의 MAC 엔티티는 RB1 및 RB2와 관련되고, SCG의 MAC 엔티티는 RB2 및 RB3와 관련된다. 이 조건하에, 만약 MCG의 MAC 엔티티에 대응하는 제2 MAC CE 시그널링을 수신하였다면, 상기 제2 MAC CE 시그널링은 RB1 및 RB2의 전송 경로를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하도록 지시하는데 사용될 수 있으며; 만약 SCG의 MAC 엔티티에 대응하는 제2 MAC CE 시그널링을 수신하였다면, 상기 제2 MAC CE 시그널링은 RB2 및 RB3의 전송 경로를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하도록 지시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실제 응용에서, 제2 MAC CE 시그널링은 MAC CE 서브 헤드 및 MAC CE 본체를 포함할 수 있다. 그중, MAC CE 서브 헤드의 포맷은 도 5a를 참조할 수 있고, MAC CE 본체는 도 5b, 도 5c 및 도 5d를 참조할 수 있다. 설명해야 할 것은, 도 5b에 대응하는 제2 MAC CE 시그널링은 상술한 시나리오 1의 제2 MAC CE 시그널링이고, 도 5c 및 도 5d에 대응하는 제2 MAC CE 시그널링은 상술한 시나리오 2의 제2 MAC CE 시그널링이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MAC CE 서브 헤드는 R 필드, F 필드, LCID 필드 및 L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그중, R 필드는 미리 남겨둔 비트이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Oct(바이트)1의 첫번째 비트에 R 필드를 설정할 수 있다.
F 필드는 L 필드의 길이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고, 단위는 바이트이다. 예시적으로, F 필드의 값이 "0"이라면, L 필드의 길이가 1 바이트라는 것을 나타내고, F 필드의 값이 "1" 이라면, L 필드의 길이가 2 바이트라는 것을 나타낸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Oct1의 두번째 비트에 F 필드를 설정할 수 있다.
LCID 필드는 상기 서브 헤드에 대응하는 데이터 복제 기능 활성화 비활성화 MAC CE 시그널링과 같은 MAC CE 시그널링의 타입을 지시하기 위한 것이고, 그중, LCID 필드의 값은 제1 MAC CE 시그널링중 제1 MAC CE 시그널링의 타입을 지시하기 위한 LCID 값을 멀티플렉싱할 수 있으며, 또한 새로 도입한 LCID 값일 수도 있으며, 구체적으로 실제 수요에 따라 결정할 수 있는바,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는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Oct1의 마지막 6개 바이트에 LCID 필드를 설정할 수 있다.
L 필드는 길어진 MAC CE의 길이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Oct2 및 Oct3에 L 필드를 설정할 수 있다.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MAC CE의 본체는 Dn 필드, 서빙 셀 그룹 식별자(Serving Cell Group ID) 필드 및 LCID 필드를 포함한다.
그중, Dn 필드는 시퀀스 번호가 n인 RB가 데이터 복제 활성화 모드에 처해 있는지 아니면 스플릿 베어러 모드에 처해 있는지를 식별하기 위한 것이고, 상술한 스플릿 베어러 지시 필드에 상당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만약 Dn 필드의 값이 "0"이라면, 상기 RB는 데이터 복제 기능 활성화 모드에 처해 있다는 것을 나타낼 수 있고; 만약 Dn 필드의 값이 "1"이라면, 상기 RB는 스플릿 베어러 모드에 처해 있다는 것을 나타낼 수 있다.
Dn 필드는 데이터 복제 기능이 배치된 무선 베어러의 데이터 무선 베어러(Data Radio Bearer,DRB) 식별자에 따라 승차순으로 배열될 수 있다.
설명해야 할 것은, Dn 필드가 식별한 RB는 그에 대응하는 RLC 엔티티가 상기 MAC CE 시그널링을 수신하는 MAC 엔티티가 위치하는 셀 그룹에 속하는 것을 만족할 필요가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제2 MAC CE 시그널링이 타겟 RB의 전송 경로를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하도록 지시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면, 상기 타겟 RB는, 상기 타겟 RB에 대응하는 RLC 엔티티중에, 상기 제2 MAC CE 시그널링을 수신하는 MAC 엔티티와 동일한 하나의 셀 그룹에 속하는 RLC 엔티티가 존재하는 것을 만족한다.
Serving Cell Group ID 필드는 셀 그룹 식별자를 식별하는데 사용될 수 있고, LCID 필드는 로직 채널 식별자를 식별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Serving Cell Group ID 필드 및/또는 LCID 필드는 하나의 전송 경로를 유일하게 식별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구체적으로 구현할 때, 타겟 RB가 데이터 복제 활성화 모드에 처해 있을 때, 만약 제2 MAC CE 시그널링중에 타겟 RB와 관련되는 전송 경로를 식별하는 필드가 캐리될 경우, 타겟 RB중 상기 필드가 식별한 전송 경로를 활성화할 수 있고, 그렇지 않으면 상기 전송 경로를 디폴트 비활성화한다. 타겟 RB가 스플릿 베어러 모드(즉 데이터 복제 기능 비활성화 모드)에 처해 있고, 만약 제2 MAC CE 시그널링에 상기 무선 베어러와 관련되는 전송 경로를 식별하는 필드가 캐리될 경우, 타겟 RB중 상기 필드가 식별한 전송 경로는 사용가능한 전송 경로임을 나타내고, 그렇지 않으면 상기 전송 경로는 사용할 수 없는 전송 경로이다.
도 5c 및 5d에 도시된 바와 같이, MAC CE의 본체는 D/Sm 필드, DRB IDm 필드, Lmi 필드 및 R 필드를 포함한다.
그중, R 필드는 미리 남겨둔 비트이다.
D/Sm 필드는 시퀀스 번호가 m인 RB가 데이터 복제 활성화 모드에 처해 있는지 아니면 스플릿 베어러 모드에 처해 있는지를 식별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예하면, 만약 D/Sm 필드의 값이 "0"이라면, 시퀀스 번호가 m인 RB는 데이터 복제 활성화 모드에 처해 있다는 것을 나타내고; 만약 D/Sm 필드의 값이 "1"이라면, 시퀀스 번호가 m인 RB는 스플릿 베어러 모드에 처해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DRB IDm 필드는 데이터 복제 기능이 배치된 RB 식별자를 식별하는데 사용될 수 있으며, 상술한 제1 필드에 상당할 수 있다.
Lmi는 DRB IDm을 식별하기 위한 무선 베어러와 관련되는 시퀀스 번호가 i인 전송 경로가 활성화되었는지 여부를 나타내며, 상술한 제2 필드에 상당할 수 있다. 예하면, Lmi의 값이 "1"이라면, 시퀀스 번호가 i인 전송 경로는 활성화되었음을 나타내고, Lmi의 값이 "0"이라면, 시퀀스 번호가 i인 전송 경로는 비활성화되었음을 나타낸다.
그중, RB와 관련되는 전송 경로에 대한 넘버링 규칙은, 상이한 셀 그룹에 처해 있는 전송 경로에 대해, 셀 그룹 식별자의 승차순에 따라 전송 경로에 대해 넘버링을 진행할 수 있고; 동일한 하나의 셀 그룹에 처해 있는 전송 경로에 대해, 그에 대응하는 LCID의 승차순에 따라 전송 경로에 대해 넘버링을 진행할 수 있다.
설명해야 할 것은, 실제 응용에서, 제2 MAC CE 시그널링의 포맷은 도 5a 및 도 5b로 나타날 수 있거나, 또는 도 5a 및 도 5c로 나타날 수 있거나, 또는 도 5a 및 도 5d로 나타날 수 있다. 이해해야 할 것은, 도 5a, 도 5b, 도 5c 및 도 5d의 포맷은 단지 예시적인 것이고,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는 제2 MAC CE 시그널링의 구체적인 표현 형태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단계 302: 상기 지시 메시지에 따라, 상기 타겟 RB의 사용가능한 전송 경로를 확정한다.
전술한 내용에 의해 알 수 있는 것은, 네트워크측 기기가 타겟 RB에 데이터 복제 기능을 배치한 후, 타겟 RB에 대응하는 PDCP 엔티티에 의해 상기 데이터 복제 기능을 수행하고, 데이터를 타겟 RB의 사용가능한 전송 경로를 통해 전송을 진행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지시 메시지에 따라, 상기 타겟 RB의 사용가능한 전송 경로를 확정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 중의 상기 지시 메시지를 수신한 엔티티가 상기 타겟 RB에 대응하는 PDCP 엔티티에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로서,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지시 메시지에 따라 확정되는 것인,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PDCP 엔티티가 상기 지시 정보에 따라, 상기 타겟 RB의 사용가능한 전송 경로를 확정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구현할 때, UE는 수신된 지시 메시지의 구체적인 표현 형태 및 구체적인 지시 내용에 따라, 지시 정보를 확정할 수 있고, 더 나아가 타겟 RB의 사용가능한 전송 경로를 확정하며, 구체적인 설명은 아래와 같다.
실시방식 1
본 개시의 실시방식에서, 상기 지시 메시지는 RRC 시그널링이고, 상기 RRC 시그널링은 상기 타겟 RB의 데이터 복제 기능을 비활성화하도록 지시한다. 이로서, 상기 지시 메시지를 수신한 엔티티가 RRC 엔티티임을 확정할 수 있고,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타겟 RB의 데이터 복제 기능이 이미 비활성되었음을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PDCP 엔티티는 상기 지시 메시지에 따라, 상기 타겟 RB의 사용가능한 전송 경로를 확정하는 단계는,
상기 지시 정보에 따라, 상기 네트워크측 기기가 미리 배치한 상기 타겟 RB의 전송 경로를 상기 타겟 RB의 사용가능한 전송 경로로 확정하는 단계; 또는
상기 타겟 RB가 스플릿 베어러인 경우에, 상기 지시 정보에 따라, 상기 타겟 RB가 스플릿 베어러 모드로 스위칭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스플릿 베어러 모드하의 전송 경로를 상기 타겟 RB의 사용가능한 전송 경로로 확정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이로하여, 타겟 RB의 사용가능한 전송 경로를 통해 데이터를 전송할 경우, 데이터 전송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자원 이용율도 향상시킬 수 있다.
실시방식 2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상기 지시 메시지는 RRC 시그널링이고, 상기 RRC 시그널링은 상기 타겟 RB의 j개의 전송 경로를 활성화하도록 지시한다. 이로서, 상기 지시 메시지를 수신한 엔티티가 RRC 엔티티임을 확정할 수 있고,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j개의 전송 경로를 포함하고, j는 N보다 작거나 또는 같은 양의 정수이며;
선택적으로, 상기 PDCP는 상기 지시 정보에 따라, 상기 타겟 RB의 사용가능한 전송 경로를 확정하는 단계는,
상기 j개의 전송 경로를 상기 타겟 RB의 사용가능한 전송 경로로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로하여, 타겟 RB의 사용가능한 전송 경로를 통해 데이터를 전송할 경우, 데이터 전송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자원 이용율도 향상시킬 수 있다.
실시방식 3
본 개시의 실시방식에서, 상기 지시 메시지는 제1 MAC CE 시그널링이고, 상기 제1 MAC CE 시그널링은 상기 타겟 RB의 데이터 복제 기능을 비활성화하도록 지시한다. 이로서, 상기 지시 메시지를 수신한 엔티티가 MAC 엔티티임을 확정할 수 있고,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타겟 RB의 데이터 복제 기능이 이미 비활성화되었음을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선택적으로, 상기 PDCP는 상기 지시 정보에 따라, 상기 타겟 RB의 사용가능한 전송 경로를 확정하는 단계는,
상기 지시 정보에 따라, 상기 네트워크측 기기가 미리 배치한 상기 타겟 RB의 전송 경로를 상기 타겟 RB의 사용가능한 전송 경로로 확정하는 단계; 또는
상기 타겟 RB가 스플릿 베어러인 경우에, 상기 지시 정보에 따라, 상기 타겟 RB가 스플릿 베어러 모드로 스위칭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스플릿 베어러 모드하의 전송 경로를 상기 타겟 RB의 사용가능한 전송 경로로 확정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설명해야 할 것은, 본 개시의 실시방식중 타겟 RB의 사용가능한 전송 경로를 확정하는 방식은 실시방식 1과 동일하고, 상이한 부분은, 지시 메시지의 구체적인 표현 형태는 제1 MAC CE 시그널링인 것이고, 상응하게, 지시 메시지를 수신하는 엔티티는 MAC 엔티티인 것이다.
이로하여, 타겟 RB의 사용가능한 전송 경로를 통해 데이터를 전송할 경우, 데이터 전송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자원 이용율도 향상시킬 수 있다.
실시방식 4
본 개시의 실시방식에서, 상기 지시 메시지는 제2 MAC CE 시그널링이다. 이로서, 상기 지시 메시지를 수신한 엔티티는 MAC 엔티티임을 확정할 수 있고, 상기 지시 정보는, m개의 비활성화 상태 전송 경로; 및/또는, n개의 활성화 상태 전송 경로; 를 포함하며, m 및 n은 양의 정수이고, m+n≤N이며, 그중, 상기 m개의 비활성화 상태 전송 경로 및/또는 상기 n개의 활성화 상태 전송 경로는, 상기 제2 MAC CE 시그널링에 따라 확정되며;
선택적으로, 상기 PDCP는 상기 지시 정보에 따라, 상기 타겟 RB의 사용가능한 전송 경로를 확정하는 단계는,
상기 지시 정보에 상기 n개의 활성화 상태 전송 경로가 포함되는 경우에, 상기 n개의 활성화 상태 전송 경로를 상기 타겟 RB의 사용가능한 전송 경로로 확정하는 단계; 또는
상기 지시 정보에 단지 상기 m개의 비활성화 상태 전송 경로만 포함되는 경우에, 상기 타겟 RB의 N개의 전송 경로중에서 상기 m개의 비활성화 상태 전송 경로를 제외한 전송 경로를 사용가능한 전송 경로로 확정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실제 응용에서, 제2 MAC CE 시그널링은 활성화 시그널링으로 표현될 수 있고, 제2 MAC CE 시그널링에 타겟 RB의 상기 n개의 활성화 상태 전송 경로를 특성화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셀 그룹 식별자 및/또는 로직 채널 식별자가 포함될 수 있다. 해당 응용 시나리오중에서, 제2 MAC CE 시그널링은 타겟 RB의 상기 n개의 활성화 상태 전송 경로를 활성화하도록 지시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제2 MAC CE 시그널링은 비활성화 시그널링으로 표현될 수 있고, 제2 MAC CE 시그널링에 타겟 RB의 상기 m개의 비활성화 상태 전송 경로를 특성화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셀 그룹 식별자 및/또는 로직 채널 식별자가 포함될 수 있다. 해당 응용 시나리오중에서, 제2 MAC CE 시그널링은 타겟 RB의 상기 m개의 비활성화 상태 전송 경로를 비활성화하도록 지시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이로서, 제2 MAC CE 시그널링에 따라, 지시 정보에 포함된 상기 m개의 비활성화 상태 전송 경로 및/또는 상기 n개의 활성화 상태 전송 경로를 확정할 수 있다.
상기 지시 정보에 상기 n개의 활성화 상태 전송 경로가 포함되는 경우에, 상기 n개의 활성화 상태 전송 경로를 상기 타겟 RB의 사용가능한 전송 경로로 확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구현할 때, 타겟 RB의 사용가능한 전송 경로 집합중에서 상기 n개의 활성화 상태 전송 경로를 추가할 수 있다.
상기 지시 정보에 단지 상기 m개의 비활성화 상태 전송 경로만 포함되는 경우에, 상기 타겟 RB의 N개의 활성화 상태 전송 경로중에서 상기 m개의 비활성화 상태 전송 경로를 제외한 전송 경로를 사용가능한 전송 경로로 확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구현할 때, 타겟 RB의 사용가능한 전송 경로 집합으로부터 상기 m개의 비활성화 상태 전송 경로를 제거할 수 있다.
이로하여, 타겟 RB의 사용가능한 전송 경로를 통해 데이터를 전송할 경우, 데이터 전송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자원 이용율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의 베어러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단말은 네트워크측 기기가 송신한 지시 메시지를 토대로, 타겟 RB의 사용가능한 전송 경로를 확정할 수 있으며, 따라서 타겟 RB의 사용가능한 전송 경로 확정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진일보하여, 단말은 타겟 RB의 사용가능한 전송 경로를 채용하여 데이터 전송을 진행할 경우, 또한 데이터 전송의 성공율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더 나아가 데이터 전송의 신뢰성을 향상시키고, 또한 자원 이용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보다시피, 본 개시는 데이터 전송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설명해야 할 것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소개한 다양한 선택가능한 실시방식은, 상호 조합하여 구현될 수 있고, 독립적으로 구현될 수도 있으며,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는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이해를 돕기 위해, 아래와 같이 예시적으로 설명하려 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의 베어러의 제어 방법은 하기의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 1: 네트워크측 기기는 UE에 데이터 복제 기능의 활성화 비활성화 지시를 송신한다. 이해해야 할 것은, 이 단계중의 "데이터 복제 기능의 활성화 비활성화 지시"는 상술한 방법 실시예중의 "지시 메시지"에 상당할 수 있다.
그중, 상기 데이터 복제 기능의 활성화 비활성화 지시 타입은,
RRC 시그널링;
Legacy duplication activation/deactivation MAC CE 시그널링;
새로 도입한 duplication activation/deactivation MAC CE 시그널링; 중 임의의 한 항일 수 있다.
설명해야 할 것은, 상술한 "Legacy duplication activation/deactivation MAC CE 시그널링"은 상술한 방법 실시예중의 제1 MAC CE 시그널링에 상당할 수 있고; 상술한 "새로 도입한 duplication activation/deactivation MAC CE 시그널링"은 상술한 방법 실시예중의 제2 MAC CE 시그널링에 상당할 수 있다.
그중, 복제 기능 활성화 비활성화를 지시하는 RRC 시그널링은 하나의 비트 지시일 수 있고, PDCP-config IE에 캐리될 수 있다. 예하면, 값이 "1"이라면, 어느 무선 베어러의 데이터 복제 기능을 활성화하는 것을 나타내고, 상기 무선 베어러에 대응하는 오리지널 데이터 및 복제 데이터는, 상기 베어러와 관련되는 N개의 RLC 엔티티를 통해 전송될 수 있으며; 만약 값이 "0"이라면, 어느 무선 베어러의 데이터 복제 기능을 비활성화하는 것을 나타내고, 상기 무선 베어러에 대응하는 데이터는 네트워크측 기기가 미리 배치한 상기 무선 베어러의 전송 경로를 통해 전송을 진행하거나 또는 스플릿 베어러 조작 모드로 폴백한다. 일부 실시방식에서, RRC 시그널링은 어느 무선 베어러의 하나 또는 복수 개의 전송 경로를 활성화 또는/및 비활성화하도록 지시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그중, legacy duplication activation/deactivation MAC CE 시그널링에 대해, 만약 상기 시그널링이 어느 무선 베어러의 데이터 복제 기능을 활성화하도록 지시한다면, 상기 무선 베어러에 대응하는 오리지널 데이터 및 복제 데이터는, 상기 베어러와 관련되는 N개의 RLC 엔티티를 통해 전송될 수 있으며; 만약 상기 시그널링이 어느 무선 베어러의 데이터 복제 기능을 비활성화하도록 지시한다면, 상기 무선 베어러에 대응하는 데이터는 네트워크가 미리 배치한 전송 경로를 통해 전송을 진행하거나 또는 스플릿 베어러 조작 모드로 폴백한다.
그중, 만약 활성화 비활성화 지시가 새로 도입한 duplication activation/deactivation MAC CE 시그널링이라면, 상기 MAC CE 시그널링은 per MAC entity의 것이고, 즉 상기 MAC CE 시그널링은 RLC 엔티티에 대응한다. 아래에서는 상기 MAC CE 시그널링의 포맷에 대해 예를 들어 설명하려 한다.
예 1,
상기 MAC CE 시그널링의 서브 헤드는 도 5a를 참조할 수 있다.
그중, R는 미리 남겨둔 비트이고, F 필드는 L 필드의 길이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고, 예하면, F 필드의 값이 "0"이라면, L 필드의 길이가 1 바이트라는 것을 나타내고, F 필드의 값이 "1" 이라면, L 필드의 길이가 2 바이트라는 것을 나타내며. L 필드는 길어진 복제 기능 활성화 비활성화 MAC CE의 길이(단위는 바이트)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LCID 필드는 상기 서브 헤드에 대응하는 MAC CE가 복제 기능 활성화 비활성화 MAC CE임을 지시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LCID 값은 legacy의 복제 기능 활성화 비활성 MAC CE를 식별하는 LCID 값을 멀티플렉싱할 수 있으며, 또한 새로 도입한 LCID 값일 수도 있으며, 멀티 경로 복제 기능 활성화 비활성화 MAC CE를 식별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MAC CE 시그널링의 본체는 도 5b를 참조할 수 있다.
그중, Dn 필드는 시퀀스 번호가 n인 무선 베어러가 데이터 복제 활성화 모드에 처해 있는지 아니면 스플릿 베어러 모드에 처해 있는지를 나타내고, 예하면, 만약 Dn 필드의 값이 "0"이라면, 상기 무선 베어러는 데이터 복제 기능 모드에 처해 있다는 것을 나타내고, 만약 Dn 필드의 값이 "1"이라면, 상기 무선 베어러는 스플릿 베어러 모드로 스위칭되어야 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Dn 필드는 데이터 복제 기능이 배치된 무선 베어러의 DRB ID에 따라 승차순으로 배열될 수 있고, 그중, 데이터 복제 기능이 배치된 무선 베어러는 그에 대응하는 RLC 엔티티가 상기 MAC CE를 수신하는 MAC 엔티티가 위치하는 셀 그룹에 속하는 것을 만족할 필요가 있다.
Serving Cell Group ID 필드는 셀 그룹 식별자를 나타내는데 사용될 수 있고, LCID 필드는 로직 채널 식별자를 나타내고, Serving Cell Group ID 필드 및/또는 LCID 필드는 하나의 전송 경로를 유일하게 식별하며, 어느 무선 베어러가 데이터 복제 활성화 모드에 처해 있을 때, 만약 MAC CE에 상기 무선 베어러와 관련되는 전송 경로를 식별하는 필드가 캐리될 경우, 대응하는 전송 경로를 활성화하는 것을 나타내고, 그렇지 않으면 대응하는 전송 경로를 디폴트 비활성화함을 나타낸다. 타겟 무선 베어러가 스플릿 베어러 모드에 처해 있고, 만약 MAC CE에 상기 무선 베어러와 관련되는 전송 경로를 식별하는 필드가 캐리될 경우, 스플릿 베어러 모드는 상기 전송 경로를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내고, 그렇지 않으면 상기 전송 경로는 사용할 수 없는 전송 경로임을 나타낸다.
예 2,
상기 MAC CE 시그널링의 서브 헤드는 도 5a를 참조할 수 있다.
그중, R는 미리 남겨둔 비트이고, F 필드는 L 필드의 길이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고, 예하면, F 필드의 값이 "0"이라면, L 필드의 길이가 1 바이트라는 것을 나타내고, F 필드의 값이 "1" 이라면, L 필드의 길이가 2 바이트라는 것을 나타내며. L 필드는 길어진 복제 기능 활성화 비활성화 MAC CE의 길이(단위는 바이트)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LCID 필드는 상기 서브 헤드에 대응하는 MAC CE가 복제 기능 활성화 비활성화 MAC CE임을 지시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LCID 값은 legacy의 복제 기능 활성화 비활성 MAC CE를 식별하는 LCID 값을 멀티플렉싱할 수 있으며, 또한 새로 도입한 LCID 값일 수도 있으며, 멀티 경로 복제 기능 활성화 비활성화 MAC CE를 식별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MAC CE 시그널링의 본체는 도 5c 또는 도 5d를 참조할 수 있다.
그중, D/Sm 필드는 시퀀스 번호가 m인 무선 베어러가 데이터 복제 활성화 모드에 처해 있는지 아니면 스플릿 베어러 모드에 처해 있는지를 식별하는데 사용된다. 예하면, 만약 D/Sm 필드의 값이 "0"이라면, 데이터 복제 활성화 모드에 처해 있다는 것을 나타내고, 만약 D/Sm 필드의 값이 "1"이라면, 스플릿 베어러 모드에 처해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DRB IDm 필드는 데이터 복제 기능이 배치된 무선 베어러 식별자를 나타내고, Lmi는 식별자가 DRB IDm인 무선 베어러와 관련되는 시퀀스 번호가 i인 전송 경로가 활성화되었는지 여부를 나타내며, 예하면, Lmi의 값이 "1"이라면, 시퀀스 번호가 i인 상기 전송 경로는 활성화되었음을 나타내고, Lmi의 값이 "0"이라면, 시퀀스 번호가 i인 상기 전송 경로는 비활성화되었음을 나타낸다. 그중, 어느 무선 베어러와 관련되는 전송 경로에 대한 넘버링 규칙은, 상이한 셀 그룹에 처해 있는 전송 경로에 대해, 셀 그룹 식별자의 승차순에 따라 전송 경로에 대해 넘버링을 진행하고, 동일한 하나의 셀 그룹에 처해 있는 전송 경로에 대해, 그에 대응하는 LCID의 승차순에 따라 전송 경로에 대해 넘버링을 진행한다.
단계 2: UE는 네트워크측 기기로부터 수신한 데이터 복제 기능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 지시를 처리한다.
단계 2.1: UE는 네트워크측 기기가 송신한 데이터 복제 기능 활성화 비활성화 지시의 엔티티를 수신하고, 상기 지시 시그널링에 대한 처리 행위는 아래와 같다.
Case 1: 만약 UE가 수신한 RRC 시그널링이 UE에 어느 무선 베어러의 데이터 복제 기능을 사용 금지하도록 지시한다면, RRC 층은 상기 무선 베어러에 대응하는 PDCP 엔티티에 해당 데이터 복제 기능이 사용 금지되었음을 지시한다.
Case 2: 만약 UE가 수신한 RRC 시그널링이 어느 무선 베어러의 데이터 복제 기능의 사용가능한 전송 경로를 재배치하였다면, RRC 층은 상기 무선 베어러에 대응하는 PDCP 엔티티에 후속으로의 전송에 사용가능한 전송 경로를 지시한다.
Case 3: 만약 UE가 수신한 것은 legacy duplication activation/deactivation MAC CE이고, 상기 MAC CE는 UE에 어느 무선 베어러의 데이터 복제 기능을 비활성화하도록 지시한다면, 상기 MAC CE를 수신한 MAC 엔티티는 상기 무선 베어러에 대응하는 PDCP 엔티티에 해당 데이터 복제 기능이 완전히 비활성화되었음을 지시한다.
Case 4: 만약 UE가 수신한 것은 전송 경로의 입자 크기를 토대로 한 데이터 복제 기능 활성화 비활성화 MAC CE라면, 상기 활성화 비활성화 명령을 수신하는 MAC 엔티티는 상기 무선 베어러에 대응하는 PDCP 엔티티에 지시 정보를 송신하고, 그중, 상기 지시 정보는,
m개의 비활성화된 전송 경로; 및
n개의 활성화된 전송 경로; 중 한 항을 포함하거나 또는 여러 항들의 조합을 포함하며,
그중, m+n≤N이다.
단계 2.2: UE의 PDCP 엔티티는 RRC 또는 MAC 엔티티로부터 수신한 데이터 복제 기능 활성화 비활성화 지시에 대한 처리 행위는 아래와 같다.
상기 무선 베어러의 데이터 복제 기능의 사용가능한 전송 경로 집합중에서 m개의 비활성화된 전송 경로를 제거하며;
상기 무선 베어러의 데이터 복제 기능의 사용가능한 전송 경로 집합중에 n개의 활성화된 전송 경로를 추가한다.
설명해야 할 것은, 본 개시의 실시예의 베어러의 제어 방법은 5G 및 그 후의 진화 통신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의 방법을 채용하여, 네트워크측 기기는 베어러의 입자 크기를 토대로 RB의 데이터 복제 기능을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하도록 지시할 수 있고, 및/또는, 전송 경로의 입자 크기를 토대로 RB의 전송 경로를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하도록 지시할 수 있으며, UE는 네트워크측 기기의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 지시에 따라, 데이터가 어느 베어러의 특정된 전송 경로 상에서 전송되도록 제어하며, 자원 이용율을 향상시킨다.
도 6을 참조하면, 도 6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베어러의 제어 방법의 흐름도 2이다. 본 개시의 실시예의 베어러의 제어 방법은 네트워크측 기기에 응용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개시의 실시예의 베어러의 제어 방법은 하기의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 601: 단말에 지시 메시지를 송신하며, 상기 지시 메시지는 상기 단말에 대응하는 타겟 무선 베어러(RB)의 데이터 복제 기능을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및/또는, 상기 타겟 RB의 전송 경로를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그중, 상기 타겟 RB에 데이터 복제 기능이 배치되어 있고, 상기 타겟 RB에 N개의 전송 경로가 배치되어 있으며, N은 2보다 큰 정수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지시 메시지는,
무선 자원 제어(RRC) 시그널링이거나; 또는
상기 타겟 RB의 데이터 복제 기능을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제1 미디어 액세스 제어층 제어 유닛(MAC CE) 시그널링이거나; 또는,
상기 타겟 RB의 전송 경로를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제2 MAC CE 시그널링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2 MAC CE 시그널링은, 셀 그룹 식별자 및/또는 로직 채널 식별자를 포함하며; 또는, 상기 제2 MAC CE 시그널링은, 상기 타겟 RB를 식별하기 위한 제1 필드, 및 상기 타겟 RB의 N개의 전송 경로중에서, 시퀀스 번호가 i인 전송 경로의 상태를 지시하기 위한 제2 필드를 포함하며;
그중, i는 0보다 크거나 또는 같고, N보다 작거나 또는 같은 정수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타겟 RB가 스플릿 베어러인 경우에, 상기 제2 MAC CE는, 스플릿 베어러 지시 필드를 더 포함하며, 스플릿 베어러 지시 필드는 상기 타겟 RB가 스플릿 베어러 모드로 폴백하는지 여부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설명해야 할 것은, 본 실시예는 도 3 방법 실시예와 대응하는 네트워크측 기기의 실시방식으로서, 상술한 방법 실시예중의 관련 설명을 참조할 수 있으며, 동일한 기술적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중복되는 설명을 피하기 위해, 여기서 더 이상 상세하게 기술하지 않기로 한다.
도 7을 참조하면, 도 7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단말의 구조도 1이다. 단말(700)이 대응하는 타겟 무선 베어러(RB)에 데이터 복제 기능이 배치되어 있고, 상기 타겟 RB에 N개의 전송 경로가 배치되어 있으며, N은 2보다 큰 정수이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700)은,
네트워크측 기기가 송신한 지시 메시지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 모듈로서, 상기 지시 메시지는 상기 타겟 RB의 데이터 복제 기능을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및/또는, 상기 타겟 RB의 전송 경로를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것인, 수신 모듈(701); 및
상기 지시 메시지에 따라, 상기 타겟 RB의 사용가능한 전송 경로를 확정하기 위한 확정 모듈(702); 을 포함한다.
도 7의 기초상에, 아래에서는 단말(700)에 더 포함되는 모듈, 각 모듈에 포함되는 유닛에 대해 설명하려 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지시 메시지는,
무선 자원 제어(RRC) 시그널링이거나; 또는
상기 타겟 RB의 데이터 복제 기능을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제1 미디어 액세스 제어층 제어 유닛(MAC CE) 시그널링이거나; 또는,
상기 타겟 RB의 전송 경로를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제2 MAC CE 시그널링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2 MAC CE 시그널링은, 셀 그룹 식별자 및/또는 로직 채널 식별자를 포함하며; 또는, 상기 제2 MAC CE 시그널링은, 상기 타겟 RB를 식별하기 위한 제1 필드, 및 상기 타겟 RB의 N개의 전송 경로중에서, 시퀀스 번호가 i인 전송 경로의 상태를 지시하기 위한 제2 필드를 포함하며;
그중, i는 0보다 크거나 또는 같고, N보다 작거나 또는 같은 정수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타겟 RB가 스플릿 베어러인 경우에, 상기 제2 MAC CE는, 스플릿 베어러 지시 필드를 더 포함하며, 스플릿 베어러 지시 필드는 상기 타겟 RB가 스플릿 베어러 모드로 폴백하는지 여부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확정 모듈(702)은,
상기 단말(700) 중의 상기 지시 메시지를 수신한 엔티티가 상기 타겟 RB에 대응하는 PDCP 엔티티에 지시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송신 유닛으로서,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지시 메시지에 따라 확정되는 것인, 송신 유닛; 및
상기 PDCP 엔티티가 상기 지시 정보에 따라, 상기 타겟 RB의 사용가능한 전송 경로를 확정하기 위한 확정 유닛; 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지시 메시지는 RRC 시그널링이고, 상기 RRC 시그널링은 상기 타겟 RB의 데이터 복제 기능을 비활성화하도록 지시하는 경우, 상기 지시 메시지를 수신한 엔티티는 RRC 엔티티이고,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타겟 RB의 데이터 복제 기능이 이미 비활성되었음을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확정 모듈(702)은, 구체적으로,
상기 지시 정보에 따라, 상기 네트워크측 기기가 미리 배치한 상기 타겟 RB의 전송 경로를 상기 타겟 RB의 사용가능한 전송 경로로 확정하기 위한 것이며; 또는,
상기 타겟 RB가 스플릿 베어러인 경우에, 상기 지시 정보에 따라, 상기 타겟 RB가 스플릿 베어러 모드로 스위칭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스플릿 베어러 모드하의 전송 경로를 상기 타겟 RB의 사용가능한 전송 경로로 확정하기 위한 것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지시 메시지는 RRC 시그널링이고, 상기 RRC 시그널링이 상기 타겟 RB의 j개의 전송 경로를 활성화하도록 지시하는 경우에, 상기 지시 메시지를 수신한 엔티티는 RRC 엔티티이고,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j개의 전송 경로를 포함하고, j는 N보다 작거나 또는 같은 양의 정수이며;
상기 확정 모듈(702)은, 구체적으로,
상기 j개의 전송 경로를 상기 타겟 RB의 사용가능한 전송 경로로 확정하기 위한 것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지시 메시지는 제1 MAC CE 시그널링이고, 상기 제1 MAC CE 시그널링이 상기 타겟 RB의 데이터 복제 기능을 비활성화하도록 지시하는 경우에, 상기 지시 메시지를 수신한 엔티티는 MAC 엔티티이고,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타겟 RB의 데이터 복제 기능이 이미 비활성화되었음을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확정 모듈(702)은, 구체적으로,
상기 지시 정보에 따라, 상기 네트워크측 기기가 미리 배치한 상기 타겟 RB의 전송 경로를 상기 타겟 RB의 사용가능한 전송 경로로 확정하기 위한 것이며; 또는,
상기 타겟 RB가 스플릿 베어러인 경우에, 상기 지시 정보에 따라, 상기 타겟 RB가 스플릿 베어러 모드로 스위칭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스플릿 베어러 모드하의 전송 경로를 상기 타겟 RB의 사용가능한 전송 경로로 확정하기 위한 것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지시 메시지는 제2 MAC CE 시그널링인 경우에, 상기 지시 메시지를 수신한 엔티티는 MAC 엔티티이고, 상기 지시 정보는, m개의 비활성화 상태 전송 경로; 및/또는, n개의 활성화 상태 전송 경로; 를 포함하며, m 및 n은 양의 정수이고, m+n≤N이며, 그중, 상기 m개의 비활성화 상태 전송 경로 및/또는 상기 n개의 활성화 상태 전송 경로는, 상기 제2 MAC CE 시그널링에 따라 확정되며;
상기 확정 모듈(702)은, 구체적으로,
상기 지시 정보에 상기 n개의 활성화 상태 전송 경로가 포함되는 경우에, 상기 n개의 활성화 상태 전송 경로를 상기 타겟 RB의 사용가능한 전송 경로로 확정하기 위한 것이며; 또는,
상기 지시 정보에 단지 상기 m개의 비활성화 상태 전송 경로만 포함되는 경우에, 상기 타겟 RB의 N개의 전송 경로중에서 상기 m개의 비활성화 상태 전송 경로를 제외한 전송 경로를 사용가능한 전송 경로로 확정하기 위한 것이다.
단말(700)은 본 개시의 도 3의 방법 실시예의 각각의 과정을 구현할 수 있고, 동일한 기술적 효과를 달성할 수 있으며, 중복되는 설명을 피하기 위해, 여기서 더 이상 상세하게 기술하지 않기로 한다.
도 8을 참조하면, 도 8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네트워크측 기기의 구조도 1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네트워크측 기기(800)는,
단말에 지시 메시지를 송신하기 위한 송신 모듈로서, 상기 지시 메시지는 상기 단말에 대응하는 타겟 무선 베어러(RB)의 데이터 복제 기능을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및/또는, 상기 타겟 RB의 전송 경로를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것인, 송신 모듈(801); 을 포함하며,
그중, 상기 타겟 RB에 데이터 복제 기능이 배치되어 있고, 상기 타겟 RB에 N개의 전송 경로가 배치되어 있으며, N은 2보다 큰 정수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지시 메시지는,
무선 자원 제어(RRC) 시그널링이거나; 또는
상기 타겟 RB의 데이터 복제 기능을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제1 미디어 액세스 제어층 제어 유닛(MAC CE) 시그널링이거나; 또는,
상기 타겟 RB의 전송 경로를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제2 MAC CE 시그널링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2 MAC CE 시그널링은, 셀 그룹 식별자 및/또는 로직 채널 식별자를 포함하며; 또는, 상기 제2 MAC CE 시그널링은, 상기 타겟 RB를 식별하기 위한 제1 필드, 및 상기 타겟 RB의 N개의 전송 경로중에서, 시퀀스 번호가 i인 전송 경로의 상태를 지시하기 위한 제2 필드를 포함하며;
그중, i는 0보다 크거나 또는 같고, N보다 작거나 또는 같은 정수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타겟 RB가 스플릿 베어러인 경우에, 상기 제2 MAC CE는, 스플릿 베어러 지시 필드를 더 포함하며, 스플릿 베어러 지시 필드는 상기 타겟 RB가 스플릿 베어러 모드로 폴백하는지 여부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네트워크측 기기(800)는 본 개시의 도 6의 방법 실시예의 각각의 과정을 구현할 수 있고, 동일한 기술적 효과를 달성할 수 있으며, 중복되는 설명을 피하기 위해, 여기서 더 이상 상세하게 기술하지 않기로 한다.
도 9를 참조하면, 도 9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단말의 구조도 2이고, 본 개시의 각각의 실시예를 구현하기 위한 단말의 하드웨어 구조 예시도이다. 단말(900)에 대응하는 타겟 무선 베어러(RB)에 데이터 복제 기능이 배치되어 있고, 상기 타겟 RB에 N개의 전송 경로가 배치되어 있으며, N은 2보다 큰 정수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900)은, 무선 주파수 유닛(901), 네트워크 모듈(902), 오디오 출력 유닛(903), 입력 유닛(904), 센서(905), 표시 유닛(906), 사용자 입력 유닛(907), 인터페이스 유닛(908), 메모리(909), 프로세서(910), 및 전원(911) 등 컴포넌트를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은, 도 9에 나타내는 단말 구조는 단말에 대한 한정을 구성하지 않으며, 단말은 도시된 것보다 더 많거나 더 적은 컴포넌트를 포함하거나, 또는 일부 컴포넌트들을 조합하거나, 또는 상이한 컴포넌트를 배치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단말은 휴대폰, 태블릿 PC, 노트북 컴퓨터, 팜톱 컴퓨터, 차량 탑재 단말, 웨어러블 기기, 및 보수계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중, 무선 주파수 유닛(901)은, 네트워크측 기기가 송신한 지시 메시지를 수신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지시 메시지는 상기 타겟 RB의 데이터 복제 기능을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및/또는, 상기 타겟 RB의 전송 경로를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프로세서(910)는, 상기 지시 메시지에 따라, 상기 타겟 RB의 사용가능한 전송 경로를 확정하기 위한 것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지시 메시지는,
무선 자원 제어(RRC) 시그널링이거나; 또는
상기 타겟 RB의 데이터 복제 기능을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제1 미디어 액세스 제어층 제어 유닛(MAC CE) 시그널링이거나; 또는,
상기 타겟 RB의 전송 경로를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제2 MAC CE 시그널링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2 MAC CE 시그널링은, 셀 그룹 식별자 및/또는 로직 채널 식별자를 포함하며; 또는, 상기 제2 MAC CE 시그널링은, 상기 타겟 RB를 식별하기 위한 제1 필드, 및 상기 타겟 RB의 N개의 전송 경로중에서, 시퀀스 번호가 i인 전송 경로의 상태를 지시하기 위한 제2 필드를 포함하며;
그중, i는 0보다 크거나 또는 같고, N보다 작거나 또는 같은 정수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타겟 RB가 스플릿 베어러인 경우에, 상기 제2 MAC CE는, 스플릿 베어러 지시 필드를 더 포함하며, 스플릿 베어러 지시 필드는 상기 타겟 RB가 스플릿 베어러 모드로 폴백하는지 여부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선택적으로, 프로세서(910)는,
상기 단말 중의 상기 지시 메시지를 수신한 엔티티가 상기 타겟 RB에 대응하는 PDCP 엔티티에 지시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지시 메시지에 따라 확정되며;
상기 PDCP 엔티티가 상기 지시 정보에 따라, 상기 타겟 RB의 사용가능한 전송 경로를 확정하기 위한 것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지시 메시지는 RRC 시그널링이고, 상기 RRC 시그널링이 상기 타겟 RB의 데이터 복제 기능을 비활성화하도록 지시하는 경우에, 상기 지시 메시지를 수신한 엔티티는 RRC 엔티티이고,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타겟 RB의 데이터 복제 기능이 이미 비활성되었음을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프로세서(910)는,
상기 지시 정보에 따라, 상기 네트워크측 기기가 미리 배치한 상기 타겟 RB의 전송 경로를 상기 타겟 RB의 사용가능한 전송 경로로 확정하기 위한 것이며; 또는,
상기 타겟 RB가 스플릿 베어러인 경우에, 상기 지시 정보에 따라, 상기 타겟 RB가 스플릿 베어러 모드로 스위칭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스플릿 베어러 모드하의 전송 경로를 상기 타겟 RB의 사용가능한 전송 경로로 확정하기 위한 것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지시 메시지는 RRC 시그널링이고, 상기 RRC 시그널링이 상기 타겟 RB의 j개의 전송 경로를 활성화하도록 지시하는 경우에, 상기 지시 메시지를 수신한 엔티티는 RRC 엔티티이고,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j개의 전송 경로를 포함하고, j는 N보다 작거나 또는 같은 양의 정수이며;
프로세서(910)는,
상기 j개의 전송 경로를 상기 타겟 RB의 사용가능한 전송 경로로 확정하기 위한 것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지시 메시지는 제1 MAC CE 시그널링이고, 상기 제1 MAC CE 시그널링이 상기 타겟 RB의 데이터 복제 기능을 비활성화하도록 지시하는 경우에, 상기 지시 메시지를 수신한 엔티티는 MAC 엔티티이고,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타겟 RB의 데이터 복제 기능이 이미 비활성화되었음을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프로세서(910)는,
상기 지시 정보에 따라, 상기 네트워크측 기기가 미리 배치한 상기 타겟 RB의 전송 경로를 상기 타겟 RB의 사용가능한 전송 경로로 확정하기 위한 것이며; 또는,
상기 타겟 RB가 스플릿 베어러인 경우에, 상기 지시 정보에 따라, 상기 타겟 RB가 스플릿 베어러 모드로 스위칭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스플릿 베어러 모드하의 전송 경로를 상기 타겟 RB의 사용가능한 전송 경로로 확정하기 위한 것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지시 메시지는 제2 MAC CE 시그널링인 경우에, 상기 지시 메시지를 수신한 엔티티는 MAC 엔티티이고, 상기 지시 정보는, m개의 비활성화 상태 전송 경로; 및/또는, n개의 활성화 상태 전송 경로; 를 포함하며, m 및 n은 양의 정수이고, m+n≤N이며, 그중, 상기 m개의 비활성화 상태 전송 경로 및/또는 상기 n개의 활성화 상태 전송 경로는, 상기 제2 MAC CE 시그널링에 따라 확정되며;
프로세서(910)는,
상기 지시 정보에 상기 n개의 활성화 상태 전송 경로가 포함되는 경우에, 상기 n개의 활성화 상태 전송 경로를 상기 타겟 RB의 사용가능한 전송 경로로 확정하기 위한 것이며; 또는,
상기 지시 정보에 단지 상기 m개의 비활성화 상태 전송 경로만 포함되는 경우에, 상기 타겟 RB의 N개의 전송 경로중에서 상기 m개의 비활성화 상태 전송 경로를 제외한 전송 경로를 사용가능한 전송 경로로 확정하기 위한 것이다.
설명해야 할 것은, 본 개시의 실시예의 상술한 단말(900)은 본 개시의 도 6의 방법 실시예의 각각의 과정을 구현할 수 있고, 동일한 기술적 효과를 달성할 수 있으며, 중복되는 설명을 피하기 위해, 여기서 더 이상 상세하게 기술하지 않기로 한다.
이해해야 할 것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무선 주파수 유닛(901)은 정보 송수신 또는 통화 과정에서, 신호를 수신 및 송신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기지국으로부터의 다운링크 데이터를 수신한 후, 프로세서(910)에 의해 처리되도록 하고; 그리고, 업링크 데이터를 기지국으로 송신한다. 통상적으로, 무선 주파수 유닛(901)은 안테나, 적어도 하나의 증폭기, 송수신기, 커플러, 저잡음 증폭기, 듀플렉서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무선 주파수 유닛(901)은 또한, 무선 통신 시스템을 통해 네트워크 및 기타 기기와 통신할 수 있다.
단말은 네트워크 모듈(902)을 통해 사용자에게 무선 광대역 인터넷 액세스를 제공하는바, 예컨대, 사용자를 도와 이메일 송수신, 웹 페이지 브라우징, 스트리밍 미디어 액세스 등을 수행한다.
오디오 출력 유닛(903)은 무선 주파수 유닛(901) 또는 네트워크 모듈(902)이 수신한 또는 메모리(909)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오디오 신호로 변환시켜 소리로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오디오 출력 유닛(903)은 또한, 단말(900)이 수행하는 특정 기능과 관련된 오디오 출력(예컨대, 콜 신호 수신 소리, 메시지 수신 소리 등)을 제공할 수 있다. 오디오 출력 유닛(903)은 스피커, 버저 및 수화기 등을 포함한다.
입력 유닛(904)은 오디오 또는 비디오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것이다. 입력 유닛(904)은 그래픽 프로세서(Graphics Processing Unit, GPU, 9041) 및 마이크(9042)를 포함할 수 있다. 그래픽 프로세서(9041)는 비디오 캡쳐 모드 또는 이미지 캡쳐 모드에서 이미지 캡쳐 장치(예컨대, 카메라)에 의해 획득된 스틸 사진 또는 비디오 이미지 데이터를 처리한다. 처리된 이미지 프레임은 표시 유닛(906) 상에 표시될 수 있다. 그래픽 프로세서(9041)에 의한 처리를 거친 후의 이미지 프레임은 메모리(909)(또는 기타 저장 매체)에 저장되거나 또는 무선 주파수 유닛(901) 또는 네트워크 모듈(902)을 경유하여 송신된다. 마이크(9042)는 소리를 수신할 수 있으며, 이러한 소리를 오디오 데이터로 처리할 수 있다. 처리된 오디오 데이터는 전화 통화 모드의 경우에 있어서 무선 주파수 유닛(901)을 경유하여 이동 통신 기지국으로 송신가능한 포맷으로 전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단말(900)은, 예컨대 광 센서, 운동 센서 및 기타 센서와 같은 적어도 한 가지 센서(905)를 더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광 센서는 환경광 센서 및 근접 센서를 포함한다. 환경광 센서는 환경 광선의 명도에 따라 표시 패널(9061)의 휘도를 조절할 수 있고, 근접 센서는 단말(900)이 귓가로 이동했을 때, 표시 패널(9061) 및/또는 백라이트를 턴 오프할 수 있다. 운동 센서의 일종으로서, 가속도계 센서는 각각의 방향에서의(통상적으로, 3 축) 가속도의 크기를 검출할 수 있고, 정지 시, 중력의 크기 및 방향을 검출할 수 있으며, 단말 자태(예컨대, 가로 및 세로 스크린 스위칭, 관련 게임, 자기력계 자세 교정), 진동 식별 관련 기능 (예컨대, 보수계, 태핑) 등을 식별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센서(905)는 지문 센서, 압력 센서, 홍채 센서, 분자 센서, 자이로스코프, 기압계, 습도계, 온도계, 적외선 센서 등을 더 포함하는바, 여기서 더이상 상세하게 기술하지 않기로 한다.
표시 유닛(906)은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정보 또는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것이다. 표시 유닛(906)은 표시 패널(9061)을 포함할 수 있으며,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등의 형태로 표시 패널(9061)을 구성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 유닛(907)은 입력된 숫자 또는 문자 부호 정보를 수신하고, 단말의 사용자 설정 및 기능 제어와 관련된 키 신호 입력을 산생시키기 위한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입력 유닛(907)은 터치 패널(9071) 및 기타 입력 기기(9072)를 포함한다. 터치 패널(9071)은, 터치 스크린으로 칭하기도 하며, 사용자가 터치 패널 상 또는 부근에서의 터치 조작(예컨대, 사용자가 손가락, 스타일러스 등 임의의 적합한 물체 또는 액세서리로 터치 패널(9071) 상 또는 터치 패널(9071) 부근에서의 조작)을 수집할 수 있다. 터치 패널(9071)은 터치 검출 장치 및 터치 제어기 두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그중, 터치 검출 장치는 사용자의 터치 방위를 검출하고, 터치 조작에 따른 신호를 검출하고, 신호를 터치 제어기로 송신하며; 터치 제어기는 터치 검출 장치로부터 터치 정보를 수신하여, 접점 좌표로 전환시킨 후에 프로세서(910)로 보내고, 프로세서(910)가 보낸 명령을 수신하여 실행한다. 또한, 저항식, 정전용량식, 적외선 및 표면탄성파 등 다양한 유형으로 터치 패널(9071)을 구현할 수 있다. 터치 패널(9071)외에, 사용자 입력 유닛(907)은 기타 입력 기기(907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기타 입력 기기(9072)는 물리 키보드, 기능키(예컨대, 음량 제어 키버튼, 전원 스위치 버튼 등), 트랙볼, 마우스 및 조이스틱을 더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바, 여기서 더이상 상세하게 기술하지 않기로 한다.
진일보하여, 터치 패널(9071)은 표시 패널(9061)을 커버할 수 있으며, 터치 패널(9071)은 터치 패널(9071) 상 또는 부근의 터치 조작을 검출한 후, 프로세서(910)에 전송하여 터치 이벤트의 유형을 확정하도록 하고, 그후, 프로세서(910)는 터치 이벤트의 유형에 따라 표시 패널(9061) 상에 상응하는 시각적 출력을 제공한다. 도 9에서 터치 패널(9071)과 표시 패널(9061)이 독립된 두 컴포넌트로서 단말의 입력 및 출력 기능을 구현하고 있으나, 몇몇 실시예들에서, 터치 패널(9071)과 표시 패널(9061)을 집적하여 단말의 입력 및 출력 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바, 여기서 구체적으로 한정하지 않기로 한다.
인터페이스 유닛(908)은 외부 장치가 단말(900)에 연결되는 인터페이스이다. 예컨대, 외부 장치는 유선 또는 무선 헤드셋 포트, 외부 전원(또는 배터리 충전기) 포트, 유선 또는 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 포트, 식별 모듈을 갖는 장치를 연결하기 위한 포트, 오디오 입력/출력(I/O) 포트, 비디오 I/O 포트, 헤드폰 포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 유닛(908)은 외부 장치로부터의 입력(예컨대, 데이터 정보, 전력 등)을 수신하고, 수신된 입력을 단말(900)내의 하나 또는 복수 개의 소자에 전송하기 위한 것 또는 단말(900)과 외부 장치 사이에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메모리(909)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및 각종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메모리(909)는 주로 프로그램 저장 영역 및 데이터 저장 영역를 포함할 수 있으며, 프로그램 저장 영역은 작업 시스템, 적어도 하나의 기능에 필요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예컨대, 소리 재생 기능, 이미지 재생 기능 등) 등을 저장할 수 있으며; 데이터 저장 영역은 휴대폰의 사용에 따라 작성된 데이터(예컨대, 오디오 데이터, 전화 번호부 등)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909)는 고속 랜덤 액세스 메모리를 포함할 수도 있고, 예컨대 적어도 하나의 자기 디스크 저장 디바이스, 플래시 메모리 디바이스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 또는 기타 휘발성 솔리드 상태 저장 디바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910)는 단말의 제어 중심이고, 각종 인터페이스 및 회선을 이용하여 전체 단말의 각 부분을 연결시킨다. 메모리(909)내에 저장된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및/또는 모듈을 실행 또는 수행하고, 그리고 메모리(909)내에 저장된 데이터를 호출하여, 단말의 각종 기능을 실행하고 데이터를 처리함으로써, 단말에 대해 전반적인 모니터링을 진행한다. 프로세서(910)는 하나 또는 복수 개의 처리 유닛을 포함할 수 있으며; 선택적으로, 프로세서(910)는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 및 모뎀 프로세서를 집적할 수 있으며,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는 주로 작업 시스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등을 처리하고, 모뎀 프로세서는 주로 무선 통신을 처리한다. 상술한 모뎀 프로세서는 프로세서(910)에 집적되지 않을 수도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단말(900)은 각각의 컴포넌트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911)(예컨대, 배터리)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전원(911)은 전원 관리 시스템을 통해 프로세서(910)와 로직적으로 연결되어, 전원 관리 시스템을 통해 충전, 방전 관리 및 전력 소비 관리 등 기능을 실현할 수 있다.
그리고, 단말(900)은 도시되지 않은 일부 기능 모듈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바, 여기서 더이상 상세하게 기술하지 않기로 한다.
선택적으로, 본 개시의 실시예는 단말을 더 제공한다. 상기 단말은 프로세서(910), 메모리(909), 메모리(909)에 저장되어 상기 프로세서(910)에서 실행가능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며, 해당 컴퓨터 프로그램은 프로세서(910)에 의해 실행될 때, 상술한 도 3중의 방법 실시예의 각각의 과정을 구현하며, 동일한 기술적 효과를 달성할 수 있는바, 중복되는 설명을 피하기 위해, 여기서 더이상 상세하게 기술하지 않기로 한다.
도 10을 참조하면, 도 10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네트워크측 기기의 구조도 2이고,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네트워크측 기기(1000)는, 프로세서(1001), 메모리(1002), 사용자 인터페이스(1003), 송수신기(1004) 및 버스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그중,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네트워크측 기기(1000)는, 메모리(1002)에 저장되어 프로세서(1001)에서 실행가능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더 포함하며,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프로세서(1001)에 의해 실행될 때,
단말에 지시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로서, 상기 지시 메시지는 상기 단말에 대응하는 타겟 무선 베어러(RB)의 데이터 복제 기능을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및/또는, 상기 타겟 RB의 전송 경로를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것인, 송신하는 단계; 를 구현하며,
그중, 상기 타겟 RB에 데이터 복제 기능이 배치되어 있고, 상기 타겟 RB에 N개의 전송 경로가 배치되어 있으며, N은 2보다 큰 정수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지시 메시지는,
무선 자원 제어(RRC) 시그널링이거나; 또는
상기 타겟 RB의 데이터 복제 기능을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제1 미디어 액세스 제어층 제어 유닛(MAC CE) 시그널링이거나; 또는,
상기 타겟 RB의 전송 경로를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제2 MAC CE 시그널링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2 MAC CE 시그널링은, 셀 그룹 식별자 및/또는 로직 채널 식별자를 포함하며; 또는, 상기 제2 MAC CE 시그널링은, 상기 타겟 RB를 식별하기 위한 제1 필드, 및 상기 타겟 RB의 N개의 전송 경로중에서, 시퀀스 번호가 i인 전송 경로의 상태를 지시하기 위한 제2 필드를 포함하며;
그중, i는 0보다 크거나 또는 같고, N보다 작거나 또는 같은 정수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타겟 RB가 스플릿 베어러인 경우에, 상기 제2 MAC CE는, 스플릿 베어러 지시 필드를 더 포함하며, 스플릿 베어러 지시 필드는 상기 타겟 RB가 스플릿 베어러 모드로 폴백하는지 여부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도 10에서, 버스 아키텍처는 임의의 수량의 서로 연결된 버스와 브릿지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버스는 프로세서(1001)에 의해 대표되는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와 메모리(1002)에 의해 대표되는 메모리의 각종 회로를 함께 연결한다. 버스 아키텍처는 또한 주변 기기, 전압 안정기 및 파워 관리 회로 등과 같은 각종 기타 회로를 함께 연결할 수 있는데, 이들은 모두 해당 기술분야에 공지된 것이므로, 본문에서는 더이상 이에 대해 진일보하여 기술하지 않기로 한다. 버스 인터페이스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송수신기(1004)는 하나의 소자일 수도 있고, 복수 개의 소자일 수 있는바, 송신기 및 수신기를 포함하여, 전송 매체 상에서 각종 기타 장치와 통신하기 위한 유닛을 제공한다. 상이한 사용자 기기에 대해, 사용자 인터페이스(1003)는 기기에 외접 또는 내접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일 수 있고, 접속된 기기들은 키보드, 디스플레이, 스피커, 마이크, 조이스틱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프로세서(1001)는 버스 아키텍처의 관리 및 통상의 처리를 책임지고, 메모리(1002)는 프로세서(2601)가 조작을 수행할 때 사용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네트워크측 기기(1000)는 상술한 도 6의 방법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측 기기의 각각의 과정을 구현하고, 동일한 기술적 효과를 달성할 수 있으며, 중복되는 설명을 피하기 위해, 여기서 더 이상 상세하게 기술하지 않기로 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를 더 제공한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으며, 해당 컴퓨터 프로그램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술한 도 3 또는 도 6의 방법 실시예의 각각의 과정을 구현하며, 동일한 기술적 효과를 달성할 수 있는바, 중복되는 설명을 피하기 위해, 여기서 더이상 상세하게 기술하지 않기로 한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는, 예컨대 판독 전용 메모리(Read-Only Memory, ROM),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 자기 디스크 또는 광 디스크 등 이다.
설명해야 할 것은, 본 명세서에서, 용어 ‘포함’, ‘내포’ 또는 기타 임의의 변체는 비배타적인 포함을 포괄하며, 예컨대, 일련의 요소를 포함하는 과정, 방법, 시스템, 물품 또는 기기는, 명시적으로 열거한 그런 요소에만 한정될 것이 아니라, 명시적으로 열거되지 않거나 또는 이러한 과정, 방법, 물품 또는 기기에 고유한 기타 요소를 더 포함하도록 할 것을 의도한다. 더 이상 제한 없이, 용어 "하나의 ……을 포함" 은, 이 요소를 포함하는 과정, 방법, 물품 또는 기기에 또다른 요소가 더 존재하는 것을 배제하지 않는다.
상술한 실시방식의 설명으로부터, 상기 기능은 소프트웨어에 필수적인 범용 하드웨어 플랫폼의 방식을 결합으로 실현가능한 것은 명확히 이해되어야 하며, 하드웨어를 통하여서도 실현 가능하지만, 많은 상황에서, 전자가 더욱 양호한 실시 방식임은 자명한 것이다. 이러한 이해를 토대로, 본 개시에 따른 기술방안의 본질적 또는 관련 기술에 기여하는 부분은 소프트웨어 제품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해당 컴퓨터 소프트웨어 제품은 하나의 저장 매체(예컨대, ROM/RAM, 자기 디스크, 광 디스크)에 저장되고, 복수개의 인스트럭션을 포함하는 컴퓨터 소프트웨어 제품은 하나의 단말(핸드폰, 컴퓨터, 서버, 에어컨 또는 네트워크 기기 등)로 하여금 본 개시의 각 실시예의 상기 방법을 실행하도록 한다.
이상, 도면을 결부하여 본 개시의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였으며, 본개시는 상술한 구체적인 실시방식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술한 구체적인 실시방식은 단지 예시적인 것이지, 한정적인 것은 아니며,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은 본 개시의 계시하에 본 개시의 취지와 특허청구범위를 일탈하지 않고 다양한 형태를 더 실시할 수 있으며, 그러한 형태들은 모두 본 개시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29)

  1. 단말에 응용되는 베어러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말에 대응하는 타겟 무선 베어러(RB)에 데이터 복제 기능이 배치되어 있고, 상기 타겟 RB에 N개의 전송 경로가 배치되어 있으며, N은 2보다 큰 정수이며; 상기 방법은,
    네트워크측 기기가 송신한 지시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로서, 상기 지시 메시지는 상기 타겟 RB의 데이터 복제 기능을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및/또는, 상기 타겟 RB의 전송 경로를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것인,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지시 메시지에 따라, 상기 타겟 RB의 사용가능한 전송 경로를 확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베어러의 제어 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시 메시지는,
    무선 자원 제어(RRC) 시그널링이거나; 또는
    상기 타겟 RB의 데이터 복제 기능을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제1 미디어 액세스 제어층 제어 유닛(MAC CE) 시그널링이거나; 또는,
    상기 타겟 RB의 전송 경로를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제2 MAC CE 시그널링인 것인,
    베어러의 제어 방법.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MAC CE 시그널링은, 셀 그룹 식별자 및/또는 로직 채널 식별자를 포함하거나; 또는,
    상기 제2 MAC CE 시그널링은, 상기 타겟 RB를 식별하기 위한 제1 필드, 및 상기 타겟 RB의 N개의 전송 경로중에서, 시퀀스 번호가 i인 전송 경로의 상태를 지시하기 위한 제2 필드를 포함하며;
    그중, i는 0보다 크거나 또는 같고, N보다 작거나 또는 같은 정수인 것인,
    베어러의 제어 방법.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 RB가 스플릿 베어러인 경우에, 상기 제2 MAC CE는, 스플릿 베어러 지시 필드를 더 포함하며, 스플릿 베어러 지시 필드는 상기 타겟 RB가 스플릿 베어러 모드로 폴백하는지 여부를 지시하기 위한 것인,
    베어러의 제어 방법.
  5. 제1 항 내지 제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시 메시지에 따라, 상기 타겟 RB의 사용가능한 전송 경로를 확정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 중의 상기 지시 메시지를 수신한 엔티티가 상기 타겟 RB에 대응하는 PDCP 엔티티에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로서,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지시 메시지에 따라 확정되는 것인,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PDCP 엔티티가 상기 지시 정보에 따라, 상기 타겟 RB의 사용가능한 전송 경로를 확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베어러의 제어 방법.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지시 메시지는 RRC 시그널링이고, 상기 RRC 시그널링은 상기 타겟 RB의 데이터 복제 기능을 비활성화하도록 지시하는 경우, 상기 지시 메시지를 수신한 엔티티는 RRC 엔티티이고,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타겟 RB의 데이터 복제 기능이 이미 비활성되었음을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PDCP 엔티티가 상기 지시 정보에 따라, 상기 타겟 RB의 사용가능한 전송 경로를 확정하는 단계는,
    상기 지시 정보에 따라, 상기 네트워크측 기기가 미리 배치한 상기 타겟 RB의 전송 경로를 상기 타겟 RB의 사용가능한 전송 경로로 확정하는 단계; 또는
    상기 타겟 RB가 스플릿 베어러인 경우에, 상기 지시 정보에 따라, 상기 타겟 RB가 스플릿 베어러 모드로 스위칭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스플릿 베어러 모드하의 전송 경로를 상기 타겟 RB의 사용가능한 전송 경로로 확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베어러의 제어 방법.
  7.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지시 메시지는 RRC 시그널링이고, 상기 RRC 시그널링이 상기 타겟 RB의 j개의 전송 경로를 활성화하도록 지시하는 경우에, 상기 지시 메시지를 수신한 엔티티는 RRC 엔티티이고,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j개의 전송 경로를 포함하고, j는 N보다 작거나 또는 같은 양의 정수이며;
    상기 PDCP 엔티티가 상기 지시 정보에 따라, 상기 타겟 RB의 사용가능한 전송 경로를 확정하는 단계는,
    상기 j개의 전송 경로를 상기 타겟 RB의 사용가능한 전송 경로로 확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베어러의 제어 방법.
  8.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지시 메시지는 제1 MAC CE 시그널링이고, 상기 제1 MAC CE 시그널링이 상기 타겟 RB의 데이터 복제 기능을 비활성화하도록 지시하는 경우에, 상기 지시 메시지를 수신한 엔티티는 MAC 엔티티이고,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타겟 RB의 데이터 복제 기능이 이미 비활성화되었음을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PDCP 엔티티가 상기 지시 정보에 따라, 상기 타겟 RB의 사용가능한 전송 경로를 확정하는 단계는,
    상기 지시 정보에 따라, 상기 네트워크측 기기가 미리 배치한 상기 타겟 RB의 전송 경로를 상기 타겟 RB의 사용가능한 전송 경로로 확정하는 단계; 또는
    상기 타겟 RB가 스플릿 베어러인 경우에, 상기 지시 정보에 따라, 상기 타겟 RB가 스플릿 베어러 모드로 스위칭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스플릿 베어러 모드하의 전송 경로를 상기 타겟 RB의 사용가능한 전송 경로로 확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베어러의 제어 방법.
  9.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지시 메시지는 제2 MAC CE 시그널링인 경우에, 상기 지시 메시지를 수신한 엔티티는 MAC 엔티티이고, 상기 지시 정보는, m개의 비활성화 상태 전송 경로; 및/또는, n개의 활성화 상태 전송 경로; 를 포함하며, m 및 n은 양의 정수이고, m+n≤N이며, 그중, 상기 m개의 비활성화 상태 전송 경로 및/또는 상기 n개의 활성화 상태 전송 경로는, 상기 제2 MAC CE 시그널링에 따라 확정되며;
    상기 PDCP 엔티티가 상기 지시 정보에 따라, 상기 타겟 RB의 사용가능한 전송 경로를 확정하는 단계는,
    상기 지시 정보에 상기 n개의 활성화 상태 전송 경로가 포함되는 경우에, 상기 n개의 활성화 상태 전송 경로를 상기 타겟 RB의 사용가능한 전송 경로로 확정하는 단계; 또는
    상기 지시 정보에 단지 상기 m개의 비활성화 상태 전송 경로만 포함되는 경우에, 상기 타겟 RB의 N개의 전송 경로중에서 상기 m개의 비활성화 상태 전송 경로를 제외한 전송 경로를 사용가능한 전송 경로로 확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베어러의 제어 방법.
  10. 네트워크측 기기에 응용되는 베어러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단말에 지시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로서, 상기 지시 메시지는 상기 단말에 대응하는 타겟 무선 베어러(RB)의 데이터 복제 기능을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및/또는, 상기 타겟 RB의 전송 경로를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것인,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그중, 상기 타겟 RB에 데이터 복제 기능이 배치되어 있고, 상기 타겟 RB에 N개의 전송 경로가 배치되어 있으며, N은 2보다 큰 정수인 것인,
    베어러의 제어 방법.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지시 메시지는,
    무선 자원 제어(RRC) 시그널링이거나; 또는
    상기 타겟 RB의 데이터 복제 기능을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제1 미디어 액세스 제어층 제어 유닛(MAC CE) 시그널링이거나; 또는,
    상기 타겟 RB의 전송 경로를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제2 MAC CE 시그널링인 것인,
    베어러의 제어 방법.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MAC CE 시그널링은, 셀 그룹 식별자 및/또는 로직 채널 식별자를 포함하며; 또는,
    상기 제2 MAC CE 시그널링은, 상기 타겟 RB를 식별하기 위한 제1 필드, 및 상기 타겟 RB의 N개의 전송 경로중에서, 시퀀스 번호가 i인 전송 경로의 상태를 지시하기 위한 제2 필드를 포함하며;
    그중, i는 0보다 크거나 또는 같고, N보다 작거나 또는 같은 정수인 것인,
    베어러의 제어 방법.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 RB가 스플릿 베어러인 경우에, 상기 제2 MAC CE는, 스플릿 베어러 지시 필드를 더 포함하며, 스플릿 베어러 지시 필드는 상기 타겟 RB가 스플릿 베어러 모드로 폴백하는지 여부를 지시하기 위한 것인,
    베어러의 제어 방법.
  14. 단말에 있어서,
    상기 단말에 대응하는 타겟 무선 베어러(RB)에 데이터 복제 기능이 배치되어 있고, 상기 타겟 RB에 N개의 전송 경로가 배치되어 있으며, N은 2보다 큰 정수이며; 상기 단말은,
    네트워크측 기기가 송신한 지시 메시지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 모듈로서, 상기 지시 메시지는 상기 타겟 RB의 데이터 복제 기능을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및/또는, 상기 타겟 RB의 전송 경로를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것인, 수신 모듈; 및
    상기 지시 메시지에 따라, 상기 타겟 RB의 사용가능한 전송 경로를 확정하기 위한 확정 모듈;
    을 포함하는 단말.
  15.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지시 메시지는,
    무선 자원 제어(RRC) 시그널링이거나; 또는
    상기 타겟 RB의 데이터 복제 기능을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제1 미디어 액세스 제어층 제어 유닛(MAC CE) 시그널링이거나; 또는,
    상기 타겟 RB의 전송 경로를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제2 MAC CE 시그널링인 것인,
    단말.
  16.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MAC CE 시그널링은, 셀 그룹 식별자 및/또는 로직 채널 식별자를 포함하거나; 또는,
    상기 제2 MAC CE 시그널링은, 상기 타겟 RB를 식별하기 위한 제1 필드, 및 상기 타겟 RB의 N개의 전송 경로중에서, 시퀀스 번호가 i인 전송 경로의 상태를 지시하기 위한 제2 필드를 포함하며;
    그중, i는 0보다 크거나 또는 같고, N보다 작거나 또는 같은 정수인 것인,
    단말.
  17.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 RB가 스플릿 베어러인 경우에, 상기 제2 MAC CE는, 스플릿 베어러 지시 필드를 더 포함하며, 스플릿 베어러 지시 필드는 상기 타겟 RB가 스플릿 베어러 모드로 폴백하는지 여부를 지시하기 위한 것인,
    단말.
  18. 제14 항 내지 제17 항 중 어느 한 항 있어서,
    상기 확정 모듈은,
    상기 단말 중의 상기 지시 메시지를 수신한 엔티티가 상기 타겟 RB에 대응하는 PDCP 엔티티에 지시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송신 유닛으로서,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지시 메시지에 따라 확정되는 것인, 송신 유닛; 및
    상기 PDCP 엔티티가 상기 지시 정보에 따라, 상기 타겟 RB의 사용가능한 전송 경로를 확정하기 위한 확정 유닛;
    을 포함하는 단말.
  19. 제18 항에 있어서,
    상기 지시 메시지는 RRC 시그널링이고, 상기 RRC 시그널링은 상기 타겟 RB의 데이터 복제 기능을 비활성화하도록 지시하는 경우, 상기 지시 메시지를 수신한 엔티티는 RRC 엔티티이고,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타겟 RB의 데이터 복제 기능이 이미 비활성되었음을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확정 유닛은 구체적으로,
    상기 지시 정보에 따라, 상기 네트워크측 기기가 미리 배치한 상기 타겟 RB의 전송 경로를 상기 타겟 RB의 사용가능한 전송 경로로 확정하기 위한 것이거나; 또는,
    상기 타겟 RB가 스플릿 베어러인 경우에, 상기 지시 정보에 따라, 상기 타겟 RB가 스플릿 베어러 모드로 스위칭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스플릿 베어러 모드하의 전송 경로를 상기 타겟 RB의 사용가능한 전송 경로로 확정하기 위한 것인,
    단말.
  20. 제18 항에 있어서,
    상기 지시 메시지는 RRC 시그널링이고, 상기 RRC 시그널링이 상기 타겟 RB의 j개의 전송 경로를 활성화하도록 지시하는 경우에, 상기 지시 메시지를 수신한 엔티티는 RRC 엔티티이고,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j개의 전송 경로를 포함하고, j는 N보다 작거나 또는 같은 양의 정수이며;
    상기 확정 유닛은 구체적으로,
    상기 j개의 전송 경로를 상기 타겟 RB의 사용가능한 전송 경로로 확정하기 위한 것인,
    단말.
  21. 제18 항에 있어서,
    상기 지시 메시지는 제1 MAC CE 시그널링이고, 상기 제1 MAC CE 시그널링이 상기 타겟 RB의 데이터 복제 기능을 비활성화하도록 지시하는 경우에, 상기 지시 메시지를 수신한 엔티티는 MAC 엔티티이고,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타겟 RB의 데이터 복제 기능이 이미 비활성화되었음을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확정 유닛은 구체적으로,
    상기 지시 정보에 따라, 상기 네트워크측 기기가 미리 배치한 상기 타겟 RB의 전송 경로를 상기 타겟 RB의 사용가능한 전송 경로로 확정하기 위한 것이거나; 또는,
    상기 타겟 RB가 스플릿 베어러인 경우에, 상기 지시 정보에 따라, 상기 타겟 RB가 스플릿 베어러 모드로 스위칭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스플릿 베어러 모드하의 전송 경로를 상기 타겟 RB의 사용가능한 전송 경로로 확정하기 위한 것인,
    단말.
  22. 제18 항에 있어서,
    상기 지시 메시지는 제2 MAC CE 시그널링인 경우에, 상기 지시 메시지를 수신한 엔티티는 MAC 엔티티이고, 상기 지시 정보는, m개의 비활성화 상태 전송 경로; 및/또는, n개의 활성화 상태 전송 경로; 를 포함하며, m 및 n은 양의 정수이고, m+n≤N이며, 그중, 상기 m개의 비활성화 상태 전송 경로 및/또는 상기 n개의 활성화 상태 전송 경로는, 상기 제2 MAC CE 시그널링에 따라 확정되며;
    상기 확정 유닛은 구체적으로,
    상기 지시 정보에 상기 n개의 활성화 상태 전송 경로가 포함되는 경우에, 상기 n개의 활성화 상태 전송 경로를 상기 타겟 RB의 사용가능한 전송 경로로 확정하기 위한 것이며; 또는,
    상기 지시 정보에 단지 상기 m개의 비활성화 상태 전송 경로만 포함되는 경우에, 상기 타겟 RB의 N개의 전송 경로중에서 상기 m개의 비활성화 상태 전송 경로를 제외한 전송 경로를 사용가능한 전송 경로로 확정하기 위한 것인,
    단말.
  23. 네트워크측 기기에 있어서,
    단말에 지시 메시지를 송신하기 위한 송신 모듈로서, 상기 지시 메시지는 상기 단말에 대응하는 타겟 무선 베어러(RB)의 데이터 복제 기능을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및/또는, 상기 타겟 RB의 전송 경로를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것인, 송신 모듈; 을 포함하며,
    그중, 상기 타겟 RB에 데이터 복제 기능이 배치되어 있고, 상기 타겟 RB에 N개의 전송 경로가 배치되어 있으며, N은 2보다 큰 정수인 것인,
    네트워크측 기기.
  24. 제23 항에 있어서,
    상기 지시 메시지는,
    무선 자원 제어(RRC) 시그널링이거나; 또는
    상기 타겟 RB의 데이터 복제 기능을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제1 미디어 액세스 제어층 제어 유닛(MAC CE) 시그널링이거나; 또는,
    상기 타겟 RB의 전송 경로를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제2 MAC CE 시그널링인 것인,
    네트워크측 기기.
  25. 제2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MAC CE 시그널링은, 셀 그룹 식별자 및/또는 로직 채널 식별자를 포함하거나; 또는,
    상기 제2 MAC CE 시그널링은, 상기 타겟 RB를 식별하기 위한 제1 필드, 및 상기 타겟 RB의 N개의 전송 경로중에서, 시퀀스 번호가 i인 전송 경로의 상태를 지시하기 위한 제2 필드를 포함하며;
    그중, i는 0보다 크거나 또는 같고, N보다 작거나 또는 같은 정수인 것인,
    네트워트측 기기.
  26. 제25 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 RB가 스플릿 베어러인 경우에, 상기 제2 MAC CE는, 스플릿 베어러 지시 필드를 더 포함하며, 스플릿 베어러 지시 필드는 상기 타겟 RB가 스플릿 베어러 모드로 폴백하는지 여부를 지시하기 위한 것인,
    네트워크측 기기.
  27. 단말에 있어서,
    프로세서,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어 상기 프로세서에서 실행가능한 프로그램을 포함하며,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청구항 제1 항 내지 제9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베어러의 제어 방법의 단계를 구현하는 것인,
    단말.
  28. 네트워크측 기기에 있어서,
    프로세서,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어 상기 프로세서에서 실행가능한 프로그램을 포함하며,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청구항 제10 항 내지 제13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베어러의 제어 방법의 단계를 구현하는 것인,
    네트워크측 기기.
  29.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으며,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청구항 제1 항 내지 제9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베어러의 제어 방법의 단계를 구현하거나, 또는, 청구항 제10 항 내지 제13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베어러의 제어 방법의 단계를 구현하는 것인,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
KR1020217015447A 2018-10-31 2019-10-31 베어러의 제어 방법, 단말 및 네트워크측 기기 KR10259142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811285532.9 2018-10-31
CN201811285532.9A CN111130722B (zh) 2018-10-31 2018-10-31 一种承载的控制方法、终端及网络侧设备
PCT/CN2019/114665 WO2020088581A1 (zh) 2018-10-31 2019-10-31 承载的控制方法、终端及网络侧设备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6982A true KR20210076982A (ko) 2021-06-24
KR102591426B1 KR102591426B1 (ko) 2023-10-19

Family

ID=704638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15447A KR102591426B1 (ko) 2018-10-31 2019-10-31 베어러의 제어 방법, 단말 및 네트워크측 기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10250139A1 (ko)
JP (1) JP7239693B2 (ko)
KR (1) KR102591426B1 (ko)
CN (1) CN111130722B (ko)
SG (1) SG11202104447YA (ko)
WO (1) WO202008858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692069A (zh) * 2018-10-31 2021-11-23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分离承载的控制方法及相关设备
CN113194551B (zh) * 2019-01-16 2023-01-03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数据复制传输配置方法、装置、芯片及计算机程序
EP3860064A1 (en) * 2020-01-31 2021-08-04 Robert Bosch GmbH Method for operating a first network device, first network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a communications network
US11864274B2 (en) 2020-08-06 2024-01-02 Qualcomm Incorporated MAC-CE activation time in multi-path sidelink relay
CN114422094A (zh) * 2020-10-28 2022-04-29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Pdcp重复的配置、激活或去激活方法和终端
CN114745677B (zh) * 2021-01-08 2023-05-16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路径处理方法、装置、终端、网络设备和存储介质
CN115915095A (zh) * 2021-08-03 2023-04-04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辅小区组的控制方法、装置及终端
WO2024010410A1 (en) * 2022-07-07 2024-01-11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receiving wireless sig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67358A1 (en) * 2017-03-13 2018-09-20 Nokia Technologies Oy Duplication and rlc operation in new radio access technology
WO2018171512A1 (zh) * 2017-03-23 2018-09-27 夏普株式会社 无线配置方法、用户设备和基站
US20180279262A1 (en) * 2017-03-23 2018-09-27 Ofinno Technologies, Llc Packet duplication in a wireless device and wireless network
WO2018170891A1 (en) * 2017-03-24 2018-09-27 Nokia Technologies Oy Handling of pdcp duplication and data recovery in new radio access technology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19584A1 (zh) * 2014-08-08 2016-02-11 华为技术有限公司 无线承载处理方法、用户设备和基站
CN107147479B (zh) * 2017-04-27 2020-04-10 电信科学技术研究院 一种进行重复传输控制的方法和设备
CN107342851B (zh) * 2017-06-15 2020-05-26 电信科学技术研究院 一种重复传输的配置及重复传输方法及装置
ES2924196T3 (es) * 2017-06-20 2022-10-05 Beijing Xiaomi Mobile Software Co Ltd Método y dispositivo para desactivar y activar la función de replicación de paquetes del protocolo de convergencia de datos en paquetes
TWI710261B (zh) * 2017-10-02 2020-11-11 新加坡商 聯發科技(新加坡)私人有限公司 資料恢復方法及其使用者設備
WO2019095227A1 (zh) * 2017-11-15 2019-05-23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数据复制传输的控制方法、用户设备、主节点及辅助节点
JP7222419B2 (ja) * 2018-08-08 2023-02-15 富士通株式会社 重複伝送の設定及び/又はアクティベーション方法、重複伝送の方法及び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67358A1 (en) * 2017-03-13 2018-09-20 Nokia Technologies Oy Duplication and rlc operation in new radio access technology
WO2018171512A1 (zh) * 2017-03-23 2018-09-27 夏普株式会社 无线配置方法、用户设备和基站
US20180279262A1 (en) * 2017-03-23 2018-09-27 Ofinno Technologies, Llc Packet duplication in a wireless device and wireless network
WO2018170891A1 (en) * 2017-03-24 2018-09-27 Nokia Technologies Oy Handling of pdcp duplication and data recovery in new radio access technolog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2506308A (ja) 2022-01-17
SG11202104447YA (en) 2021-05-28
US20210250139A1 (en) 2021-08-12
WO2020088581A1 (zh) 2020-05-07
KR102591426B1 (ko) 2023-10-19
EP3876662A1 (en) 2021-09-08
CN111130722A (zh) 2020-05-08
JP7239693B2 (ja) 2023-03-14
CN111130722B (zh) 2022-0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91426B1 (ko) 베어러의 제어 방법, 단말 및 네트워크측 기기
JP7297058B2 (ja) データ伝送方法及び通信機器
US20210251031A1 (en) Split bearer control method and related device
US20210250789A1 (en) Processing method and terminal
US11910235B2 (en) Data processing method, information configuration method, terminal, and network device
US20210243764A1 (en) Resource Allocation Method, Terminal Device, and Network-Side Device
KR20220045174A (ko) 보조 정보의 보고 방법, 구성 방법, 단말 및 네트워크측 기기
CN111465119B (zh) 数据发送方法、信息配置方法、终端及网络设备
JP2021531704A (ja) ランダムアクセス方法、端末装置及びネットワーク装置
CN111132315B (zh) 一种承载的控制方法、终端及网络侧设备
JP7392106B2 (ja) データ送信方法及びユーザ機器
CN113453160A (zh) 一种通信方法及相关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