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76767A - 사양액 공급 호스의 파손방지 및 인출이 용이한 분지연결관 - Google Patents

사양액 공급 호스의 파손방지 및 인출이 용이한 분지연결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76767A
KR20210076767A KR1020190168294A KR20190168294A KR20210076767A KR 20210076767 A KR20210076767 A KR 20210076767A KR 1020190168294 A KR1020190168294 A KR 1020190168294A KR 20190168294 A KR20190168294 A KR 20190168294A KR 20210076767 A KR20210076767 A KR 202100767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se
branch pipe
branch
connection pipe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82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승재
Original Assignee
오승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승재 filed Critical 오승재
Priority to KR10201901682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76767A/ko
Publication of KR202100767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676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53/00Feeding or drinking appliances for be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Rigid Pipes And Flexible Pi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1 호스의 단부와 제2 호스의 단부가 각각 양 끝단에 연결되는 연결관부 및 상기 연결관부의 측면에서 연장되어 돌출되는 분지관부를 포함하는 분지연결관이며, 상기 분지관부는 상기 연결관부 내부와 통하고 제3 호스의 단부가 끝단에 연결되는 내분지관 및 상기 내분지관의 외측에서 전부 또는 일부를 감싸는 형태의 외분지관을 포함하고, 상기 외분지관은 상기 내분지관에 연결된 제3 호스의 끝단을 절개하기 위한 가이드를 제공하는 절개홈을 적어도 1개 이상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양액 공급 호스용 분지연결관에 관한 것으로, 연결된 호스가 외부에 노출되어 있음에도 파손이 쉽게 일어나지 않으며, 호스가 인입되어 오랜 시간 사양액을 공급한 이후에도 호스의 끝단에 손쉽게 절개선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호스를 용이하게 인출할 수 있도록 하는 분지 연결관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사양액 공급 호스의 파손방지 및 인출이 용이한 분지연결관{ranch connection pipe that prevents damage to the liquid supply hose and easily pulls out}
본 발명은 사양액 공급 호스들을 연결하는 관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 호스의 파손을 방지하면서 연결관으로부터 호스를 인출하기 용이한 구조를 갖는 분지연결관 및 이를 이용한 사양액 공급 호스의 인출방법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는, 본 개시에 관한 배경기술이 제공되며, 이들이 반드시 공지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월동기, 장마기, 개화기 등 무밀기에 벌들이 꿀을 자연적으로 채밑할 수 없을 때나 유밀기에도 채밀량이 불황일 경우에나 봉세가 미약하여 자급자족할 능력이 없을 때에는 봉군이 설탕물 등의 사양액을 인공으로 급여해야 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대개 벌통 내부에 사양기릍 설치하고 수시로 사양액을 공급하게 되는바 이와 같이 벌통의 내부에 설치한 사양기내에 급양하기 위해서는 일일히 수많은 벌통의 뚜껑을 열고 보온포를 젖힌 후 급이하므로 매우 불편하고 벌들을 불필요하게 자극하여 벌의 단명을 초래하며 그나마 우천시나 기온이 낮은 동절기에는 급이가 불가능하여 봉군의 아사나 동사를 초래하는 폐단이 있었다.
최근에는 뚜껑을 열지 않고 벌통 밖에서 급양을 할 수 있게 하기 위하여 도 1에 나타낸 것과 같은 형태의 분지연결관(1')을 이용하여 급양 파이프(2', 3') 및 급양호스(4')를 연결함으로써 급양호스를 통해 다수개의 벌통에 급양이 가능하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분지연결관을 이용하여 급양호스를 연결하는 경우 상대적으로 얇은 두께를 갖는 급양호스가 외부에 노출됨으로 인하여 파손될 위험이 높고, 또한 호스를 통하여 공급되는 사양액의 특성상 급양 호스가 인입된 이후에는 상대적으로 인출하는 것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1.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153076호 (1999.05.04.) 2.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153075호 (1999.05.04)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사양액 공급 호스의 파손을 방지하고 인입 및 인출이 용이한 분지연결관을 제공하고자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들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제1 호스의 단부와 제2 호스의 단부가 각각 양 끝단에 연결되는 연결관부 및 상기 연결관부의 측면에서 연장되어 돌출되는 분지관부를 포함하는 분지연결관이며, 상기 분지관부는 상기 연결관부 내부와 통하고 제3 호스의 단부가 끝단에 연결되는 내분지관 및 상기 내분지관의 외측에서 전부 또는 일부를 감싸는 형태의 외분지관을 포함하고, 상기 외분지관은 상기 내분지관에 연결된 제3 호스의 끝단을 절개하기 위한 가이드를 제공하는 절개홈을 적어도 1개 이상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양액 공급 호스용 분지연결관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외분지관의 절개홈은 상기 내분지관에 연결되는 제3 호스의 길이방향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절개된 홈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외분지관의 절개홈이 2개 이상 구비되는 경우 등간격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사양액 공급 호스용 분지연결관으로부터 제3 호스를 인출하는 방법으로서, 커팅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절개홈을 따라 상기 제3 호스의 길이방향으로 절개선을 형성한 후 상기 제3 호스를 인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양액 공급 호스의 인출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분지연결관을 이용하여 사양액 공급 호스를 연결함으로써 분지연결관 및 호스가 외력에도 파손이 쉽게 일어나지 않으며, 호스가 인입되어 오랜 시간 사양액을 공급한 이후에도 호스의 끝단에 손쉽게 절개선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호스를 용이하게 인출할 수 있도록 하는 분지 연결관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에 종래의 분지연결관의 구성을 나타내었다.
도 2 내지 3에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분지연결관 및 호스가 연결된 상태를 나타내었다.
도 4에 본 발명의 일시시예에 따른 분지연결관으로부터 호스를 인출하는 방법을 나타내었다.
도 5 내지 8에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절개홈의 구성을 나타내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모든 기술용어 및 과학용어는 다른 언급이 없는 한은 기술적으로 통상의 기술을 가진 자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또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의 전반에 걸쳐, 다른 언급이 없는 한 포함(comprise, comprises, comprising)이라는 용어는 언급된 물건, 단계 또는 일군의 물건, 및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의미하고, 임의의 어떤 다른 물건, 단계 또는 일군의 물건 또는 일군의 단계를 배제하는 의미로 사용된 것은 아니다.
이하에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기에 앞서,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는 특정의 실시예를 기술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해서만 한정되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것은 아님을 이해하여야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여러 가지 실시예들은 명확한 반대의 지적이 없는 한 그 외의 어떤 다른 실시예들과 결합될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하거나 유리하다고 지시하는 어떤 특징도 바람직하거나 유리하다고 지시한 그 외의 어떤 특징 및 특징들과 결합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 및 이에 따른 효과를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분지연결관(1)은 도 2에 나타나는 것과 같이 제1 호스(2), 제2 호스(3) 및 제3 호스(4)가 각각 연결되는 개방부를 포함하는 관으로서, 도 3에 나타나는 것과 같이 제1 호스(2)의 단부와 제2 호스(3)의 단부가 각각 양 끝단에 연결되는 연결관부(10) 및 상기 연결관부의 측면에서 연장되어 돌출되는 분지관부(20)를 포함한다.
이 때 상기 분지관부(20)는 상기 연결관부(10) 내부와 통하고 제3 호스(4)의 단부가 끝단에 연결되는 내분지관(21) 및 상기 내분지관의 외측에서 전부 또는 일부를 감싸는 형태의 외분지관(22)을 포함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상기 내분지관은 상기 연결관부의 내부와 통하지만 상기 외분지관은 상기 연결관부의 내부와 통하지 않는 차이가 있다. 즉, 상기 연결관부 내부의 용액은 상기 내분지관을 통해서만 이동할 수 있는 형태이다.
상기 외분지관(22)은 용액의 이동을 위한 관이 아닌, 상대적으로 얇은 굵기로 구비되는 내분지관(21) 및 내분지관(21)에 연결된 제3 호스(4)를 보호하는 수단으로서 제3 호스의 연결 부위가 외부에 완전히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며, 분지연결관이 연결된 상태로 호스 등을 이동시키는 경우 작용하는 외력에 의해 큰 각도로 꺾이는 것을 방지하여 우수하게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내분지관(21)은 횡단면이 원형으로 구성되어 일반적으로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제3 호스(3)와 연결이 용이하게 하고, 상기 외분지관(22)은 횡단면이 원형, 다각형 등 자유로운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외분지관의 횡단면이 원형인 것을 일 예시로 나타내었다.
또한 상기 외분지관(22)은 상기 내분지관(21)에 연결된 제3 호스(4)의 끝단을 절개하기 위한 가이드를 제공하는 절개홈을 적어도 1개 이상 구비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 제3 호스(4)가 상기 내분지관(21)에 인입되고 사양액 등이 공급되어 오랜 시간 사용 후 연결부위에 성분들이 굳어 단순히 당기는 동작만으로는 제3 호스의 인출이 어려운 경우에 본 발명에 따른 분지연결관이 특히 용이하게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절개홈은 외분지관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패인 공간으로서, 상기 내분지관에 연결되는 제3 호스의 길이방향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절개된 홈이다. 상기 절개홈의 깊이 및 폭은 사용되는 커팅수단 및 제3 호스에 따라 적절하게 구비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절개홈의 깊이는 상기 제3 호스의 끝단이 인입되는 위치까지 형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상기 제3 호스의 끝단이 상기 내분지관의 끝까지, 즉 상기 연결관부의 측면까지 인입되는 경우 상기 절개홈 또한 연결관부의 측면까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절개홈의 폭은 커팅수단의 날 두께보다 두껍게 형성될 수 있으며, 너무 두꺼운 경우 외분지관의 면적이 줄어 파손 방지 효과가 저해될 수 있으므로, 적절한 두께로 형성하는 것이 좋다.
도 4에 나타난 것과 같이 상기 절개홈을 따라 커팅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제3 호스의 측면에 절개선을 형성하는 경우 절개된 제3 호스의 끝단이 벌어지면서 제3 호스를 인출하기 매우 용이해진다.
상기 절개홈은 도 5 내지 도 7에 나타난 것과 같이 최소 1개 이상 구비되며, 2개 이상 구비될 경우 등간격으로 구비되는 것이 좋다. 등간격으로 구비되어야 제3 호스 인출 시 제3 호스에 절개선이 등간격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절개에 따른 벌어짐 효과가 골고루 분산되어 더욱 쉽게 인출될 수 있다. 절개홈이 일측에 몰려서 구비되거나 절개홈이 2개 이하인 경우 제3 호스 끝단의 벌어짐 효과가 미미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게는 3 내지 4개의 절개홈이 등간격(120ㅀ 내지 90ㅀ 간격)으로 구비되는 것이 좋다.
전술한 각 실시예에서 예시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실시예들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의하여 다른 실시예들에 대해서도 조합 또는 변형되어 실시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조합과 변형에 관계된 내용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분지연결관
10: 연결관부
20: 분지관부
21: 내분지관 22: 외분지관
2: 제1 호스
3: 제2 호스
4: 제3 호스

Claims (4)

  1. 제1 호스의 단부와 제2 호스의 단부가 각각 양 끝단에 연결되는 연결관부 및 상기 연결관부의 측면에서 연장되어 돌출되는 분지관부를 포함하는 분지연결관이며,
    상기 분지관부는 상기 연결관부 내부와 통하고 제3 호스의 단부가 끝단에 연결되는 내분지관 및 상기 내분지관의 외측에서 전부 또는 일부를 감싸는 형태의 외분지관을 포함하고,
    상기 외분지관은 상기 내분지관에 연결된 제3 호스의 끝단을 절개하기 위한 가이드를 제공하는 절개홈을 적어도 1개 이상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양액 공급 호스용 분지연결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분지관의 절개홈은 상기 내분지관에 연결되는 제3 호스의 길이방향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절개된 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양액 공급 호스용 분지연결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분지관의 절개홈이 2개 이상 구비되는 경우 등간격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양액 공급 호스용 분지연결관.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사양액 공급 호스용 분지연결관으로부터 제3 호스를 인출하는 방법으로서,
    커팅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절개홈을 따라 상기 제3 호스의 길이방향으로 절개선을 형성한 후 상기 제3 호스를 인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양액 공급 호스의 인출방법.
KR1020190168294A 2019-12-16 2019-12-16 사양액 공급 호스의 파손방지 및 인출이 용이한 분지연결관 KR2021007676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8294A KR20210076767A (ko) 2019-12-16 2019-12-16 사양액 공급 호스의 파손방지 및 인출이 용이한 분지연결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8294A KR20210076767A (ko) 2019-12-16 2019-12-16 사양액 공급 호스의 파손방지 및 인출이 용이한 분지연결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6767A true KR20210076767A (ko) 2021-06-24

Family

ID=766072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8294A KR20210076767A (ko) 2019-12-16 2019-12-16 사양액 공급 호스의 파손방지 및 인출이 용이한 분지연결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76767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53076Y1 (ko) 1996-06-01 1999-08-02 노태원 양봉용 자동사양기
KR200153075Y1 (ko) 1996-06-01 1999-08-02 노태원 양봉용 자동사양기 어셈블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53076Y1 (ko) 1996-06-01 1999-08-02 노태원 양봉용 자동사양기
KR200153075Y1 (ko) 1996-06-01 1999-08-02 노태원 양봉용 자동사양기 어셈블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ummers Paternal care and the cost of polygyny in the green dart-poison frog
US7234267B1 (en) Weedless fishing lure
US20080244956A1 (en) Fishing rod including a hook receptacle
US3284945A (en) Bait holder
KR20210076767A (ko) 사양액 공급 호스의 파손방지 및 인출이 용이한 분지연결관
US20140004770A1 (en) Pollen Feeder
US2792664A (en) Barbless fishhook
Paxton et al. Intranidal mating, emergence, and sex ratio in a communal bee Andrena jacobi Perkins 1921 (Hymenoptera: Andrenidae)
Attwood et al. Discrepancy between otolith and tag-recovery estimates of growth for two South African surf-zone teleost species
JPH0322128B2 (ko)
CN213695320U (zh) 一种蜂箱档条
Bried et al. Habitat restoration on Praia islet, Azores archipelago, proved successful for seabirds, but new threats have emerged
Zachariades et al. Wasp emergence from the figs of Ficus sur: characteristics and predation by ants
Meltofte A breeding association between Eiders and tethered huskies in North-east Greenland
US20060101705A1 (en) Fishing rod with a spike
CN109924145A (zh) 一种利用可调控交尾箱组织新蜂群的方法及可调控交尾箱
JP3026182U (ja) 養蜂用巣箱の巣口取付器
DE3739329A1 (de) Zuchteinrichtung fuer bienenkoeniginnen
US20210386047A1 (en) Protective Fishing Hook and Lure Cover
US20220295759A1 (en) Attachable Entrance Bee Feeder
RU2328850C2 (ru) Мисочка-трубочка для вывода пчелиной матки
US20190069531A1 (en) Dropper hook
US10226034B2 (en) Bait container insert, bait bucket divider
JP3066625U (ja) 多目的温度計
Scullen Yellow jacke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