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76753A - Paper currency storage device - Google Patents

Paper currency storage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76753A
KR20210076753A KR1020190168258A KR20190168258A KR20210076753A KR 20210076753 A KR20210076753 A KR 20210076753A KR 1020190168258 A KR1020190168258 A KR 1020190168258A KR 20190168258 A KR20190168258 A KR 20190168258A KR 20210076753 A KR20210076753 A KR 202100767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banknote
storage device
loading
h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825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장상환
이춘우
Original Assignee
기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산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기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682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76753A/en
Publication of KR202100767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6753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9/00Complete banking systems; Coded card-freed arrangements adapted for dispensing or receiving monies or the like and posting such transactions to existing accounts, e.g. automatic teller machines
    • G07F19/20Automatic teller machines [ATMs]
    • G07F19/201Accessories of ATM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10Mechanical details
    • G07D11/12Containers for valuable paper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9/00Complete banking systems; Coded card-freed arrangements adapted for dispensing or receiving monies or the like and posting such transactions to existing accounts, e.g. automatic teller machines
    • G07F19/20Automatic teller machines [ATMs]
    • G07F19/205Housing aspects of ATM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2211/00Paper-money handling devi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Pile Receiver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nknote storage device comprising: a body part having an inlet at an upper side into which a banknote unit temporarily loaded from a depositing machine is put; a loading part that is spaced apart from the inlet and where the banknote unit is loaded; a detection part that detects a height of the banknote unit loaded in the loading part; and a height adjustment part that controls the height of the loading part in conjunction with the detection part, wherein collection of the banknote can be made quickly, and storage, movement, and security can be improved.

Description

지폐보관장치{PAPER CURRENCY STORAGE DEVICE}Banknote storage device {PAPER CURRENCY STORAGE DEVICE}

본 발명은 지폐보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빠른 대량 입금이 가능하고, 지폐 회수 및 정산 작업이 신속하고 안전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지폐보관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nknote storage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banknote storage device capable of quickly and safely depositing a large amount of money, and collecting and setting banknotes quickly and safely.

일반적으로 시간에 구애받지 않고 상담업무를 제외한 금융서비스를 신속하고 편리하게 무인으로 제공할 수 있도록 개발된 장치인 금융자동화기기에는 지폐출금기와, 지폐입출금기와, 지폐입금기 등이 있다. In general, automated financial devices, which are devices developed to provide quick and convenient unmanned financial services excluding consulting services, regardless of time, include a banknote dispenser, banknote deposit and dispenser, and banknote dispenser.

지폐출금기는 금융업무전산화를 위한 초기단계에서부터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는 것으로 보관된 지폐를 자동으로 출금만할 수 있도록 된 장치이고, 지폐입출금기는 출금기능에 부가하여 입금기능도 구비된 장치이다.The banknote dispenser is a device that has been developed and used from the initial stage for computerization of financial business and can only automatically withdraw stored banknotes, and the banknote dispenser is a device equipped with a deposit function in addition to the withdrawal function.

한편, 지폐입금기는 현금을 투입 받아 카운팅 한 후 전달하기 위한 입금부와, 입금부의 하부에 장착 설치되며, 카운팅 된 현금을 전달받아 보관하고, 회수시에 밀봉되는 지폐보관부를 포함한다.On the other hand, the banknote dispenser includes a deposit unit for receiving, counting, and transferring cash, and a banknote storage unit mounted on the lower portion of the deposit unit, receiving and storing the counted cash, and sealed during collection.

종래의 지폐입금기에서 지폐보관부는 캔버스백 형태, 히트실링 비닐백 형태 및 균일한 정렬 적재를 위한 카세트 형태가 있다. 캔버스백 형태의 지폐보관부는 비용이 저렴한 반면 주로 낱장 자유 낙하 방식이라 지폐 적재의 균일성 및 정렬 적재가 보장되지 않고, 히트실링 비닐백 형태의 지폐보관부는 부정 행위를 막기 위해 입구를 히트실링(입출구 봉합)하는 방식으로 주로 비닐 재질의 주머니 형상을 가지며 대형에는 적합하지 않다. 또한, 카세트 방식은 균일한 적재를 확실히 보장하는 메커니즘을 구비하고 있으나 고가이고 고속 지폐 입금에는 부적합하다.In the conventional banknote dispenser, the banknote storage unit has a canvas bag type, a heat-sealing plastic bag type, and a cassette type for uniformly aligned loading. The paper money storage unit in the form of a canvas bag is inexpensive, but mainly because it is a single sheet free fall method, the uniformity and alignment of the bank notes are not guaranteed. It has the shape of a bag made of mainly vinyl material and is not suitable for large size. In addition, the cassette method has a mechanism to ensure uniform loading, but is expensive and is not suitable for depositing banknotes at high speed.

상기와 같이 종래의 지폐입금기는 지폐를 수거함에 있어, 현금수송직원이 입금기의 금고부를 개방하고, 금고부내에 설치된 지폐보관부를 빼내어 수거해나가는 방식을 취하고 있다.As described above, in collecting banknotes in the conventional banknote dispenser, a cash transport employee opens the safe of the depositing machine and takes out the banknote storage unit installed in the safe to collect them.

그러나 지폐보관부를 수거해 가서 지폐 정산 작업을 할 때 지폐보관부를 열고 내부에 보관된 다량의 지폐들을 지폐 정리를 위한 작업대 위에 작업자가 꺼내 놓고서 수거한 지폐들의 정산을 위한 지폐 재정리 작업을 하게 되는데 이 때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However, when the banknote storage unit is collected and settling the banknotes, the banknote storage unit is opened and a large amount of banknotes stored inside are taken out by the worker on the workbench for banknotes, and then the banknotes are rearranged for settlement of the collected banknotes. There is a problem that takes a lot of time. Therefore, there is a need to improve it.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7-0068550호(2007.07.02. 공개, 발명의 명칭 : 지폐보관박스 고정장치)에 개시되어 있다.Background ar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closed in Korean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7-0068550 (published on July 2, 2007, title of invention: banknote storage box fixing devic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빠른 대량 입금이 가능하고, 지폐 회수 및 정산 작업이 신속하고 안전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지폐보관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improve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banknote storage device in which fast mass deposit is possible, and banknote collection and settlement operations can be performed quickly and safely.

본 발명에 따른 지폐보관장치는: 입금기로부터 임시 적재된 지폐유닛이 투입되는 유입구를 상측에 구비하는 몸체부; 상기 유입구로부터 이격되며, 상기 지폐유닛이 적재되는 적재부; 상기 적재부에 적재된 상기 지폐유닛의 높이를 감지하는 감지부; 및 상기 감지부와 연동되어 상기 적재부의 높이를 제어하는 높이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Banknote storag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body portion having an inlet on the upper side into which the banknote unit temporarily loaded from the depositing machine is put; a loading unit spaced apart from the inlet and on which the bill unit is loaded; a sensing unit for sensing the height of the banknote unit loaded in the loading unit; and a height adjustment unit interlocking with the sensing unit to control the height of the loading unit.

상기 높이조절부는 상기 유입구로부터 투입된 상기 지폐유닛과 상기 유입구 사이의 거리를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height adjustment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adjusts to maintain a constant distance between the banknote unit and the inlet input from the inlet.

상기 높이조절부는 상기 지폐유닛이 투입된 후 상기 지폐유닛의 최상측과 상기 유입구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height adjustment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after the banknote unit is put in to adjust the distance between the uppermost side of the banknote unit and the inlet.

상기 높이조절부는 기 계수된 상기 지폐유닛의 평균 두께만큼 상기 적재부를 하강시킨 후 상기 감지부를 통해 2차 높이 조정을 하여 상기 유입구로부터 상기 지폐유닛의 최상측면이 일정 높이를 유지하게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height adjustment unit lowers the loading unit by the average thickness of the pre-counted bill unit, and then controls the uppermost side of the bill unit to maintain a certain height from the inlet by adjusting the secondary height through the sensing unit. do.

상기 높이조절부는 상기 지폐유닛이 뭉치로 떨어져 준정렬되게 적재되도록 상기 적재부의 높이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height adjustment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banknote unit to control the height of the stacking unit so that the stack is stacked in a semi-aligned manner.

상기 지폐유닛은 수직 또는 소정의 각도로 유입되며 낙하 높이가 135~195mm의 범위 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bill unit is introduced at a vertical or a predetermined angle, and the drop height is characterized in that within the range of 135 ~ 195mm.

상기 지폐유닛은 2열로 준정렬되도록 적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bill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stacked to be semi-aligned in two rows.

상기 적재부는 단변의 길이가 입금가능한 권종의 지폐의 단변 길이의 2배에 그의 20%의 마진 길이를 플러스한 길이 범위 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loading par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length of the short side is within a length range of twice the short side length of the banknote of a depositable type plus a margin length of 20% thereof.

상기 적재부의 단변 길이는 2열로 배치되는 상기 지폐유닛의 단변 길이와 대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hort side length of the loading par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rresponds to the short side length of the banknote unit arranged in two rows.

상기 몸체부의 보관 위치와 상기 몸체부의 상기 입금기 장착 위치 및 상기 지폐유닛의 취출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이동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t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moving part provided movably between the storage position of the body part and the depositing machine mounting position and the take-out position of the bill unit of the body part.

상기 몸체부의 하부에 형성되는 바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t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wheel part formed in the lower part of the body part.

본 발명에 따른 지폐보관장치는 저렴하면서도 지폐의 빠른 대량 입금이 가능하고, 지폐 회수 및 정산 작업성이 개선되는 효과가 있다.The banknote storag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enabling rapid mass deposit of banknotes while inexpensive, and improving banknote collection and settlement workability.

본 발명에 따른 지폐보관장치는 지폐가 뭉치로 낙하되어 적재되므로, 고속으로 대량 입금이 가능하고, 이동성과 보안성 및 지폐 정산 작업 효율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Since the banknote storag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loaded by dropping the banknotes in a bundle, it is possible to deposit a large amount at a high speed, and there is an effect of improving mobility, security, and banknote settlement operation efficiency.

본 발명에 따른 지폐보관장치는 비용이 저렴하면서도 유입되는 지폐유닛의 적재 균일성과 외관상 2열로 구분되어 준정렬되게 적재되는 상태가 일정수준 유지되어 추후 후속작업(지폐 회수, 지폐 정리, 정산 등)의 소요 시간을 획기적으로 단축하는 효과가 있다.The banknote storag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expensive and maintains a certain level of stacking uniformity of the incoming banknote units and the state in which they are stacked in a quasi-arranged manner as divided into two rows in appearance. It has the effect of dramatically shortening the required tim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폐보관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서 지폐유닛이 준정렬되게 적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몸체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몸체후크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몸체후크부가 고정부에 걸림 고정된 상태와 해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몸체커버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몸체커버부가 몸체잠금부에 걸림 고정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재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몸체저장부에 적재부가 삽입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높이조절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부의 작동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banknote storag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banknote units are stacked in a semi-aligned manner in FIG. 1 .
3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body por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body hook portion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body hook part is caught in a fixing part and a state in which it is releas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body cover pa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body cover part is caught and fixed to the body locking pa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plan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load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loading unit is inserted into the body storage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height adjustment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mov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operating state of a mov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지폐보관장치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a banknote storag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is process, the thickness of the lines or the size of the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and convenience of explanation. In addition, the terms to be described later ar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according to intentions or customs of users and operators. Therefore, definitions of these terms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폐보관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서 지폐유닛이 준정렬되게 적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폐보관장치(1)는 몸체부(10)와, 적재부(20)와, 감지부(30)와, 높이조절부(40)를 포함한다.1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banknote storag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banknote units are stacked in a semi-aligned manner in FIG. 1 . 1 and 2 , the banknote storage devic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dy 10 , a loading unit 20 , a sensing unit 30 , and a height adjustment unit 40 . ) is included.

몸체부(10)는 입금을 위해 입금기(100) 내로 투입되어 소정의 판별 처리 후 임시 적재되어 있던 지폐유닛(200)이 투입되는 유입구(19)가 사각형 형상의 개구로 상측에 형성된다. 일 실시예로서, 입금기(100)는 지폐, 예를 들어 현금을 입금하고 보관하기 위한 장치이며, 입금기(100) 내부 공간에는 지폐보관장치(1), 즉 몸체부(10)가 수용될 수 있다. 통상적으로 지폐보관장치(1)는 입금기(100)의 하부를 구성하는 금고부(미도시) 내에 장착 또는 탈착된다. 입금기(100)는 사용자가 투입한 지폐를 판별하여 계산하며, 임시적재부(104)에 지폐를 임시 적재하고 있다가 사용자의 최종 입금 확인 명령이 입력되면 임시 적재되어 있던 지폐유닛(200)을 유입구(19) 내로 이송시키거나 하방으로 낙하시켜 지폐보관장치(1)내에 적재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지폐유닛(200)은 입금을 위해 1회 투입된 지폐뭉치일 수도 있고, 입금기(100)에서 설정된 동작조건에 맞게 처리된, 입금될 지폐뭉치일 수도 있다. 이러한 지폐유닛(200)은 복수의 지폐가 적층된 상태이며, 보통은 낱장이 아니라 복수의 지폐가 뭉치 단위로 지폐보관장치(1)내에 수직 또는 경사지게 낙하되거나 경사지게 이송될 수 있다.The body portion 10 is put into the depositing machine 100 for deposit, and an inlet 19 into which the banknote unit 200 temporarily loaded after a predetermined discrimination process is put is formed in the upper side with a rectangular opening. As an embodiment, the depositing machine 100 is a device for depositing and storing banknotes, for example, cash, and the banknote storage device 1, that is, the body part 10, is to be accommodated in the depositing machine 100 inner space. can Typically, the banknote storage device 1 is mounted or detached in a safe (not shown) constituting the lower portion of the depositing machine 100 . The deposit machine 100 determines and calculates the banknotes put in by the user, and while the banknotes are temporarily loaded in the temporary loading unit 104, when the user's final deposit confirmation command is input, the banknote unit 200 that was temporarily loaded It is transported into the inlet 19 or dropped downward to be loaded into the banknote storage device 1 . In this embodiment, the banknote unit 200 may be a banknote put once for depositing, or may be a banknote to be deposited, processed according to the operating conditions set in the depositing machine 100 . The banknote unit 200 is a state in which a plurality of banknotes are stacked, and usually a plurality of banknotes, rather than a single sheet, may be vertically or obliquely dropped in the banknote storage device 1 in a bundle unit or may be transported in an inclined manner.

본 실시예에서, 입금기(100)는 지폐투입부(101)와, 지폐판별부(102)와, 지폐배출부(103)와, 임시적재부(104)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구성요소는 제어부(105)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지폐투입부(101)는 입금기(100)의 외측에 형성되어 사용자가 지폐를 투입할 수 있다. 지폐판별부(102)는 지폐의 권종 및 위조 여부를 확인하고 수량 및 금액(합계액 등) 등을 산출할 수 있다. 지폐배출부(103)는 입금기(100)의 외측에 형성되고 식별되지 않고 소정의 기준을 충족하지 않는 지폐를 배출할 수 있다. 임시적재부(104)는 지폐를 임시 보관하는 것으로서, 지폐 입금이 완료되면 임시적재부(104)에 임시 저장되어 있던 뭉치단위의 지폐유닛(200)이 임시적재부(104)의 이송수단(미도시)들의 동작에 의해 지폐보관장치(1)내로 수직 또는 경사지게 낙하되거나 경사지게 이송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05)는 입금기(100)의 외면에 배치되어 조작 가능한 디스플레이(미도시)와, 지폐투입부(101)와, 지폐판별부(102)와, 지폐배출부(103)와, 임시적재부(104)의 작동을 제어하고 디스플레이에 작동정보를 제공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05)는 지폐보관장치(1)를 제어하고, 입금기(100)의 전반적인 조작을 제어한다.In this embodiment, the depositing machine 100 may include a bill inserting unit 101, a bill discriminating unit 102, a bill discharging unit 103, and a temporary loading unit 104, these components may be controlled by the controller 105 . More specifically, the banknote input unit 101 is formed on the outside of the depositing machine 100 so that the user can put the banknote. The banknote identification unit 102 may check the type of banknote and whether the banknote is counterfeit, and calculate the quantity and amount (total amount, etc.). The bill discharging unit 103 is formed on the outside of the depositing machine 100 and can discharge bills that are not identified and do not meet a predetermined standard. The temporary stacking unit 104 temporarily stores banknotes, and when the banknote deposit is completed, the banknote unit 200 temporarily stored in the temporary loading unit 104 transfers the temporary stacking unit 104 to the transfer means (not shown). City) by the operation of the banknote storage device (1) can be vertically or inclinedly dropped or inclinedly transported. On the other hand, the control unit 105 is dispos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depositing machine 100 and an operable display (not shown), a bill inserting unit 101, a bill discriminating unit 102, and a bill discharging unit 103, It may include a controller that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temporary loading unit 104 and provides operation information to the display.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05 controls the banknote storage device (1), and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depositing machine (100).

적재부(20)는 유입구(19)로부터 이격되며, 지폐유닛(200)이 적재된다. 일예로, 몸체부(10)는 내부에 적재공간이 형성되고, 적재부(20)는 몸체부(10)에 내장되어 유입구(19)를 통해 낙하되는 지폐유닛(200)을 적재할 수 있다.The loading part 20 is spaced apart from the inlet 19, and the bill unit 200 is loaded. As an example, the body portion 10 has a loading space formed therein, and the loading portion 20 is built into the body portion 10 to load the banknote unit 200 falling through the inlet 19 .

감지부(30)는 적재부(20)에 적재된 지폐유닛(200)의 높이를 감지한다. 일예로, 감지부(30)는 몸체부(10)의 내측에 하나 이상 장착되고, 적층된 지폐유닛(200)의 최상단부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The sensing unit 30 detects the height of the banknote unit 200 loaded on the loading unit 20 . For example, one or more sensing units 30 are mounted on the inside of the body unit 10 , and may detect the position of the uppermost end of the stacked banknote units 200 .

높이조절부(40)는 감지부(30)와 연동되어 적재부(20)의 높이를 제어한다. 일예로, 높이조절부(40)는 적재부(20) 또는 적재부(20)에 적층된 지폐유닛(200)의 최상단부와 유입구(19)간의 거리가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적재부(2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지폐유닛(200)이 임시적재부(104)에서 임시 저장되어 있다가 임시적재부(104)의 이송수단(미도시)들의 동작에 의해 지폐유닛(200)이 임시적재부(104)로부터 배출되어 임시적재부(104)의 하측 단부에서부터 지폐보관장치(1)내로 설정된 경사 또는 자유 낙하를 유지하고, 적재부(20)가 설정된 높이를 유지하면, 유입구(19)로 유입된 지폐유닛(200)은 뭉치 상태를 유지하면서 적재부(20)에 안정적으로 적층될 수 있다.The height adjusting unit 40 controls the height of the loading unit 20 in conjunction with the sensing unit 30 . As an example, the height adjustment unit 40 is the stacking part 20 or the stacking part 20 so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 top end of the banknote unit 200 stacked on the stacking part 20 and the inlet 19 is kept constant. The height can be adjusted. In this embodiment, the banknote unit 200 is temporarily stored in the temporary loading unit 104, and the banknote unit 200 is temporarily stored in the temporary loading unit 104 by the operation of the transfer means (not shown) of the temporary loading unit 104. ) discharged from the lower end of the temporary stacking unit 104 to maintain the set inclination or free fall into the banknote storage device 1, and when the stacking unit 20 maintains the set height, the banknotes introduced into the inlet 19 The unit 200 may be stably stacked on the loading unit 20 while maintaining the bundle state.

일 실시예로서, 높이조절부(40)는 유입구(19)로부터 투입된 지폐유닛(200)과 유입구(19) 사이의 거리를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조절할 수 있다. 즉, 감지부(30)에 의해 실시간 또는 일정조건에 맞게 최상층에 위치되는 지폐유닛(200)과 유입구(19)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고, 감지부(30)의 감지신호를 수신한 높이조절부(40)는 최상층에 위치되는 지폐유닛(200)과 유입구(19) 사이의 거리가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적재부(2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As an embodiment, the height adjustment unit 40 may be adjusted to maintain a constant distance between the banknote unit 200 and the inlet 19 inserted from the inlet 19 . That is, the height adjustment unit that measures the distance between the banknote unit 200 and the inlet 19 located on the uppermost floor according to real-time or constant conditions by the sensing unit 30 and receives the sensing signal of the sensing unit 30 . (40) can adjust the height of the loading unit 20 so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 banknote unit 200 and the inlet 19 located on the uppermost layer is kept constant.

또한 높이조절부(40)는 지폐유닛(200)이 투입된 후 지폐유닛(200)의 최상측과 유입구(19) 사이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즉, 감지부(30)는 지폐유닛(200)의 투입 여부를 감지하고, 지폐유닛(200)이 투입되면 최상측에 위치되는 지폐유닛(200)의 최상측과 유입구(19)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며, 감지부(30)의 감지신호를 수신한 높이조절부(40)는 최상측에 위치되는 지폐유닛(200)과 유입구(19) 사이에 거리가 설정거리에 도달하도록 적재부(2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height adjustment unit 40 can adjust the distance between the uppermost side of the bill unit 200 and the inlet 19 after the bill unit 200 is inserted. That is, the sensing unit 30 detects whether the banknote unit 200 is inserted, and when the banknote unit 200 is inserted, the distance between the uppermost side of the banknote unit 200 located at the top and the inlet 19 is measured. Measuring, the height adjusting unit 40 receiving the sensing signal of the sensing unit 30 is placed on the stacking unit 20 so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 banknote unit 200 and the inlet 19 located at the top reaches a set distance. height can be adjusted.

또한 높이조절부(40)는 기 계수된 지폐유닛(200)의 평균 두께만큼 적재부(200)를 하강시킨 후 감지부(30)를 통해 2차 높이 조정을 하여 유입구(19)로부터 지폐유닛(200)의 최상측면이 일정 높이를 유지하게 제어할 수 있다. 즉, 지폐유닛(200)이 유입구(19)를 통해 적재부(20)로 유입되면, 높이조절부(40)는 설정된 지폐유닛(200)의 평균 두께와 대응되도록 적재부(30)를 하강시킬 수 있다. 그리고, 높이조절부(40)에 의해 적재부(20)가 하강되면, 감지부(30)는 최상측에 위치되는 지폐유닛(200)과 유입구(19) 사이에 거리를 측정하고, 감지부(30)의 감지신호를 수신한 높이조절부(40)는 최상층에 위치되는 지폐유닛(200)과 유입구(19) 사이에 거리가 일정 높이를 유지하도록 적재부(2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height adjustment unit 40 lowers the loading unit 200 as much as the average thickness of the pre-counted banknote unit 200, and then performs a secondary height adjustment through the sensing unit 30 to adjust the height from the inlet 19 to the banknote unit ( 200) can be controlled to maintain a constant height. That is, when the banknote unit 200 flows into the loading unit 20 through the inlet 19 , the height adjustment unit 40 lowers the loading unit 30 to correspond to the set average thickness of the banknote unit 200 . can And, when the loading unit 20 is lowered by the height adjustment unit 40, the sensing unit 30 measures the distance between the banknote unit 200 and the inlet 19 located at the uppermost side, and the sensing unit ( 30), the height adjustment unit 40 receiving the detection signal may adjust the height of the loading unit 20 so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 banknote unit 200 and the inlet 19 located on the uppermost floor is maintained at a constant height.

한편, 높이조절부(40)는 지폐유닛(200)이 뭉치형상을 유지한 상태로 낙하되어 준정렬되게 적재되도록 적재부(20)의 높이를 제어한다. 즉, 임시적재부(104)에서 배출되는 지폐유닛(200)과 적재부(20) 간의 거리 또는 유입구(19)와 적재부(20)간의 거리 또는 유입구(19)와 적재된 지폐유닛(200)의 최상측 간의 거리가 설정구간 보다 더 길거나 짧으면 지폐유닛(200)이 뭉치형상을 유지하지 못하고 떨어져 산개될 수 있다. 따라서, 실험을 통해 지폐유닛(200)이 준정렬되게 적재되도록 뭉치형상을 유지한 상태로 떨어지는 설정구간을 설정하고, 높이조절부(40)는 적재부(20)가 설정구간을 유지하도록 적재부(2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height adjustment unit 40 controls the height of the stacking unit 20 so that the banknote unit 200 is dropped in a state in which the bundle shape is maintained and stacked in a semi-aligned manner. That is, the distance between the banknote unit 200 and the loading part 20 discharged from the temporary loading part 104 or the distance between the inlet 19 and the loading part 20 or the inlet 19 and the stacked banknote unit 200 If the distance between the uppermost sides is longer or shorter than the set section, the bill unit 200 may not be able to maintain the bundle shape and may be spread apart. Therefore, through an experiment, a setting section is set in which the banknote unit 200 is dropped in a state in which the bundle shape is maintained so that the banknote unit 200 is stacked in a semi-aligned manner, and the height adjustment section 40 is a loading section such that the loading section 20 maintains the set section The height of (20) can be adjusted.

감지부(30)는 적재된 지폐유닛(200)의 최상부에 있는 지폐의 위치를 감지한다. 즉, 적재부(20)에 최초로 지폐유닛(200)이 적재되면 최초로 적재된 지폐유닛(200)의 최상부 위치를 감지하고, 추가로 지폐유닛(200)이 적재되면 추가로 적재된 지폐유닛(200)의 최상부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The sensing unit 30 detects the position of the banknote at the top of the stacked banknote unit 200 . That is, when the banknote unit 200 is initially loaded on the loading unit 20, the uppermost position of the firstly loaded banknote unit 200 is sensed, and when the banknote unit 200 is additionally loaded, the additionally loaded banknote unit 200 ) can be detected.

유입구(19)로 유입된 지폐유닛(2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재부(20)에 대략 2열로 뭉치형상이 유지되며 준정렬되도록 적재된다. 즉, 적재부(20)의 단변 방향의 길이는 2열로 배치되는 지폐유닛(200)의 단변 방향의 길이와 유사하게 대응되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적재부(20)의 단변 길이는 150~200mm의 범위내에서 정해질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적재부(20)의 단변 길이는 유통되는 지폐들 중 가장 큰 사이즈를 갖는 지폐의 단변 길이의 대략 2배 정도가 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다르게는 적재부(20)의 단변 길이는 입금기(100)에 입금 가능한 권종의 지폐의 단변 길이의 대략 2배에 그의 20%의 마진 길이를 플러스한 길이 범위내에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폐유닛(200)은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또는 거의 수직으로 유입구(19)를 통해 투입되며, 낙하 높이가 대략 135~195mm의 범위에서 소정의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지폐유닛(200)의 낙하 높이는 적재부(20)의 최상단면에서 임시적재부(104)의 하측 단부까지(즉, 지폐유닛(200)이 임시적재부(104)에서 배출될 때의 끝 위치까지)의 수직 방향 길이를 의미하도록 규정될 수도 있다. 왜냐하면, 본 발명의 실시 환경이나 목적에 따라 지페보관장치(1)의 상부에 유입구(19) 이외에 다른 부재들을 더 구비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조건들이 성립할 경우, 적재부(20)의 단변 방향으로 지폐유닛(200)이 외관상 거의 2열로 구분되게 준정렬되어 적재될 수 있다. 지폐유닛(200)들이 적재부(20) 상에 거의 2열로 구분되게 준정렬되어 적재되어 있으면, 추후 회수된 지폐보관장치(1)에 대한 지폐 정산 작업을 할 때 작업자가 지폐유닛(200)을 몸체부(10)에서 한 손으로 편리하고 신속하게 파지하여 꺼낼 수 있고 다른 한 손으로 지폐처리장치(미도시)를 조작할 수 있어, 별도의 재정리 작업 없이 바로 정산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지폐 정산 작업을 별도의 지폐처리장치(미도시)를 이용하여 지속 작업을 진행할 경우 추가 정렬이나 재정리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을 확연히 단축시켜 연속되는 회수 지폐의 정산 작업의 효율성을 확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종래 방식으로 입금기에서 회수된 통상 1만매의 지폐를 정리하는데 20분이 소요되나, 본 실시예에 따른 지폐보관장치(1)에서 준정렬 상태로 적재된 지폐들에 동일 작업을 하는데 걸리는 시간은 종래 대비 50%이내로 확연히 단축된다. 또한, 지폐유닛(200)이 거의 2열로 적재부(20)상에 준정렬되게 적재되게 되므로 몸체부(10)내의 적재 공간을 밀도 있게 최대한 채울 수 있어 지폐 수납량이 지폐보관장치(1)의 사이즈에 비해 많아지며 이는 곧 지폐보관장치(1)의 높이를 낮출 수 있어 입금기의 소형화와 지폐 정산 작업의 편의성을 용이하게 제공할 수 있게 된다.As shown in FIG. 2 , the banknote units 200 introduced into the inlet 19 are stacked in approximately two rows in the stacking unit 20 and stacked to be semi-aligned. That is, it is preferable that the length in the short side direction of the loading part 20 corresponds to the length in the short side direction of the banknote units 200 arranged in two rows. More specifically, the short side length of the loading part 20 may be determined within the range of 150 to 200 mm. As an embodiment, the short side length of the stacking unit 20 is preferably formed to be approximately twice the short side length of the banknote having the largest size among the distributed banknotes. Alternatively, the short side length of the loading unit 20 is preferably formed within a length range of approximately twice the short side length of the banknote of the type of bill that can be deposited in the depositing machine 100 plus a margin length of 20% thereof. The banknote unit 200 may be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or almost vertically inserted through the inlet 19, and the drop height may be formed to a predetermined height in the range of approximately 135 to 195 mm. Here, the falling height of the banknote unit 200 is from the top end of the stacking part 20 to the lower end of the temporary loading part 104 (that is, the end when the banknote unit 200 is discharged from the temporary loading part 104 ). to the position) in the vertical direction. This is because, according to the implementation environment or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other members may be further provided in addition to the inlet 19 on the upper portion of the paper storage device 1 . When these conditions are satisfied, the banknote units 200 in the short side direction of the loading unit 20 may be stacked in a semi-arranged manner to be roughly divided into two rows. When the banknote units 200 are stacked semi-aligned to be divided into almost two rows on the loading unit 20, when the banknote settlement operation for the later recovered banknote storage device 1 is performed, the operator uses the banknote unit 200 Since the body portion 10 can be conveniently and quickly gripped and taken out with one hand and the banknote processing device (not shown) can be operated with the other hand, the settlement operation can be performed immediately without a separate rearrangement operation. Here, when the bill settlement operation is continued using a separate bill processing device (not shown), the time required for additional alignment or rearrangement can be significantly shortened, thereby securing the efficiency of the settlement operation of consecutive collected bills. . For example, it takes 20 minutes to arrange 10,000 bills usually collected from the depositing machine in the conventional way, but the same operation is performed on the bills stacked in a semi-aligned state in the bill storage device 1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he time required is significantly reduced to less than 50% compared to the prior art. In addition, since the banknote units 200 are stacked semi-alignedly on the stacking part 20 in almost two rows, the loading space in the body part 10 can be filled as densely as possible, so that the banknote storage amount is the size of the banknote storage device 1 . , and this can lower the height of the banknote storage device 1, so that the deposit machine can be miniaturized and the convenience of the banknote settlement operation can be easily provid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폐보관장치(1)는 이동부(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동부(50)는 몸체부(10)의 보관 위치와, 몸체부(10)의 입금기(100)내 장착 위치와, 지폐유닛(200)의 취출 위치(즉, 지폐유닛을 꺼낼 때의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다. 일예로, 이동부(50)는 몸체부(10)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손잡이 형상을 할 수 있다. 이때, 몸체부(10)의 보관 위치는 몸체부(10)를 복수로 나란하게 쌓아 보관하기 위한 이동부(50)의 위치를 의미한다. 그리고, 몸체부(10)의 입금기(100)내 장착 위치는 몸체부(10)를 입금기(100)내에 장착시켜 지폐유닛(200)이 투입되도록 동작되는 이동부(50)의 위치를 의미한다. 마지막으로 지폐유닛(200)의 취출 위치는 몸체부(10)를 입금기(100)에서 꺼내고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부(50)의 위치를 의미한다.The banknote storage devic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moving unit 50 . The moving unit 50 includes a storage position of the body 10 , a mounting position in the depositing machine 100 of the body 10 , and a take-out position of the banknote unit 200 (that is, a position when the banknote unit is taken out). ) can be moved between For example, the moving unit 50 may have a handle shape that is rotatably mounted to the body unit 10 . At this time, the storage position of the body part 10 means the position of the moving part 50 for storing a plurality of body parts 10 side by side. And, the mounting position of the body part 10 in the depositing machine 100 means the position of the moving part 50 which is operated so that the banknote unit 200 is inserted by mounting the body 10 in the depositing machine 100 . do. Finally, the take-out position of the bill unit 200 means the position of the moving part 50 for taking out and moving the body part 10 from the depositing machine 100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폐보관장치(1)는 바퀴부(60)를 더 포함한다. 바퀴부(60)는 몸체부(10)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지면과 접촉되어 회전 가능하며, 작업자는 몸체부(10)를 손쉽게 이동시킬 수 있다. 일예로, 사용자가 이동부(50)를 파지하고 몸체부(10)를 끌면, 바퀴부(60)가 지면과 접촉되면서 회전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에는 지폐들이 채워진 지폐보관장치(1)를 수거하는 경우에 작업자가 손으로 들고서 이동하는 방식이었기에 중량이 무거우면 작업자가 불편하였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바퀴부(60)를 구비하여 편리하고 안정적으로 지폐보관장치(1)를 이동시킬 수 있다.The banknote storage devic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wheel part 60 . The wheel part 60 is rotatably mounted on the lower part of the body part 10 and is rotatable in contact with the ground, and the operator can easily move the body part 10 . For example, when the user grips the moving part 50 and drags the body part 10 , the wheel part 60 may be rotated while in contact with the ground. Therefore, in the prior art, when the banknote storage device 1 filled with banknotes is collected, the operator is inconvenient if the weight is heavy because the operator moves by holding it by hand, but in this embodiment, the wheel part 60 is convenient and The banknote storage device 1 can be moved stably.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몸체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몸체부(10)는 몸체저장부(11)와 몸체도어부(12)를 포함한다.3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body por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 to 3 , the body part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dy storage part 11 and a body door part 12 .

몸체저장부(11)는 상측에 유입구(19)가 형성되고, 적재부(20)가 내장된다. 일예로, 몸체저장부(11)는 용기 형상을 하고, 감지부(30)는 몸체저장부(11)에 설치되어 적재부(20)에 적재되는 지폐유닛(200)을 감지하며, 높이조절부(40)는 몸체저장부(11)에 장착되어 적재부(20)를 상하 이동시킬 수 있다.The body storage unit 11 has an inlet 19 formed on the upper side, and the loading unit 20 is built-in. For example, the body storage unit 11 has a container shape, and the sensing unit 30 is installed in the body storage unit 11 to detect the bill unit 200 loaded on the loading unit 20 , and a height adjustment unit (40) is mounted on the body storage unit 11 can move the loading unit 20 up and down.

몸체도어부(12)는 몸체저장부(11)의 측면을 개폐한다. 일예로, 몸체도어부(12)는 몸체저장부(11)에 힌지 결합되어 회전 가능하고, 잠금수단을 통해 몸체저장부(11)와 몸체도어부(12)를 잠금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다.The body door part 12 opens and closes the side surface of the body storage part 11 . For example, the body door unit 12 is hinged to the body storage unit 11 to be rotatable, and the body storage unit 11 and the body door unit 12 can be maintained in a locked state through a locking means.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몸체후크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몸체후크부가 고정부에 걸림 고정된 상태와 해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몸체부(10)는 몸체후크부(13)를 더 포함할 수 있다.Figure 4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body hook portion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hook body hook portion caught and released st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and 5 , the body portion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body hook portion 13 .

몸체후크부(13)는 몸체저장부(11)에 장착되고 입금기(100)에 장착되는 고정부(103)에 걸림 고정된다. 일예로, 몸체후크부(13)는 몸체부(11)에 장착되는 후크지지부(131)와, 후크지지부(131)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후크회전부(132)와, 후크회전부(132)에 형성되고 후크 형상을 하며, 몸체부(11)를 관통하여 고정부(103)에 걸리는 후크걸림부(133)와, 후크걸림부(133)와 후크회전부(132)에 장착되어 후크걸림부(133)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후크복원부(134)를 포함할 수 있다.The body hook part 13 is fixed to the fixing part 103 mounted on the body storage part 11 and mounted on the depositing machine 100 . As an example, the body hook part 13 includes a hook support part 131 mounted on the body part 11 , a hook rotation part 132 rotatably mounted on the hook support part 131 , and a hook rotation part 132 . and has a hook shape, penetrates through the body 11 and catches the fixing part 103 and is mounted on the hook engaging part 133 and the hook engaging part 133 and the hook rotating part 132 and the hook engaging part 133 It may include a hook restoration unit 134 to provide a restoring force.

이때, 고정부(106)는 입금기(100)의 내벽에 장착되는 고정지지부(107)와, 고정지지부(107)에 핀 결합되어 후크걸림부(133)가 걸림 고정되는 고정핀부(108)를 포함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fixing part 106 includes a fixing support part 107 mounted on the inner wall of the depositing machine 100 and a fixing pin part 108 that is pin-coupled to the fixing support part 107 and the hook locking part 133 is caught and fixed. may include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몸체커버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몸체커버부가 몸체잠금부에 걸림 고정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과 도 6과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몸체부(10)는 몸체커버부(14)와 몸체잠금부(15)를 를 더 포함할 수 있다.6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body cover pa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body cover part is caught and fixed to the body lo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S. 3 and 6 and 7 , the body portion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body cover portion 14 and a body lock portion 15 .

몸체커버부(14)는 몸체저장부(11)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고, 유입구(19)를 커버 또는 폐쇄한다. 몸체커버부(14)는 플레이트 형상을 하고, 몸체도어부(12)의 상방에 형성되는 삽입부(18)를 통해 몸체저장부(11)에 삽입되면서 몸체저장부(11)의 상측에 형성되는 유입구(19)를 커버 또는 폐쇄할 수 있다.The body cover portion 14 is detachably installed in the body storage portion 11 and covers or closes the inlet 19 . The body cover part 14 has a plate shape, and is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body storage part 11 while being inserted into the body storage part 11 through the insertion part 18 formed above the body door part 12. The inlet 19 may be covered or closed.

일예로, 몸체커버부(14)는 몸체저장부(11)에 삽입되는 커버판부(141)와, 커버판부(141)의 전단부 저면으로 돌출되고 몸체저장부(11)에 걸려 삽입이 제한되는 커버돌기부(142)와, 커버판부(14)의 후단부에서 후방으로 돌출되는 커버확장부(143)와, 커버확장부(143)의 저면에 형성되는 커버홈부(144)를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body cover portion 14 has a cover plate portion 141 inserted into the body storage portion 11, and protrudes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front end of the cover plate portion 141 and is caught by the body storage portion 11 so that insertion is restricted. It may include a cover protrusion 142 , a cover extension 143 protruding backward from the rear end of the cover plate 14 , and a cover groove 144 formed on a bottom surface of the cover extension 143 .

몸체잠금부(15)는 몸체저장부(11)에 장착되고, 몸체커버부(14)를 선택적으로 잠금한다. 일예로, 몸체잠금부(15)는 열쇠를 이용하여 회전시키면 커버홈부(144)에 걸리거나 걸림 해제될 수 있는 자물쇠가 될 수 있다. 이러한 몸체잠금부(15)는 몸체커버부(14)를 구속시켜 유입구(19)를 통해 부정한 지폐 취출을 차단할 수 있다.The body locking part 15 is mounted on the body storage part 11 and selectively locks the body cover part 14 . As an example, the body locking part 15 may be a lock that can be caught in or released from the cover groove part 144 when it is rotated using a key. This body locking part 15 can block the body cover part 14 to block the illegal taking out of the banknote through the inlet 19 .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재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몸체저장부에 적재부가 삽입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과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재부(20)는 적재판부(21)와, 적재판부(21)에 장착되는 적재지지부(22)와, 적재지지부(22)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몸체저장부(11)에 삽입되는 적재회전부(23)를 포함할 수 있다.8 is a plan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load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9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loading part is inserted into the body storage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and 9, the loading part 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oading plate part 21, a loading support part 22 mounted on the loading plate part 21, and a loading support part 22. It is mounted to be rotatably mounted to the body storage unit 11 may include a loading rotation unit 23 is inserted.

보다 구체적으로, 몸체저장부(11)는 6개의 판재가 결합되어 직육면체 형상을 할 수 있다. 이러한 몸체저장부(11)에는 상하 길이 방향으로 저장홈부(17)가 형성된다. 일예로, 몸체저장부(11)의 내측에만 저장홈부(17)가 형성될 수 있다. 그 외, 몸체저장부(11)는 요철 형상이 번갈아 반복되어 저장홈부(17)가 형성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body storage unit 11 may have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by combining six plates. A storage groove 17 is formed in the body storage unit 11 in the vertical longitudinal direction. For example, the storage groove 17 may be formed only on the inside of the body storage unit 11 . In addition, the body storage unit 11 may have a concave-convex shape alternately repeated to form a storage groove unit 17 .

한편, 적재판부(21)는 몸체저장부(11)의 내부에 배치되되, 몸체저장부(11)의 내부 형상과 대응되도록 테두리에 요철 형상이 반복되어 저장홈부(17)에 일부가 삽입될 수 있다. 적재지지부(22)는 적재판부(21)의 좌우 양측에 각각 장착되며, 적재회전부(23)는 적재판부(21)와 적재지지부(22) 중 어느 하나 이상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된다. 적재회전부(23)는 몸체저장부(11)의 내측과 접촉되어 마찰을 억제하고 적재판부(21)의 수평 이동을 유도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loading plate part 21 is disposed inside the body storage part 11, and the concavo-convex shape is repeated on the edge to correspond to the internal shape of the body storage part 11, so that a part can be inserted into the storage groove part 17. have. The loading support part 22 is mounted on both left and right sides of the loading plate part 21 , respectively, and the loading rotation part 23 is rotatably mounted on any one or more of the loading plate part 21 and the loading support part 22 . The loading rotation part 23 may be in contact with the inside of the body storage part 11 to suppress friction and induce horizontal movement of the loading plate part 21 .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높이조절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높이조절부(40)는 동력발생부(41)와 동력전달부(42)를 포함한다.10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height adjustment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10 , the height adjusting unit 4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ower generating unit 41 and a power transmitting unit 42 .

동력발생부(41)는 감지부(30)로부터 감지된 신호에 연동되어 동력을 발생시킨다. 일예로, 동력발생부(41)는 전원이 인가되면 구동되는 발생모터부(411)와, 발생모터부(411)에 연결되어 회전력을 전달하는 하나 이상의 발생기어부(41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발생모터부(411)와 발생기어부(412)는 입금기(100)에 고정 설치되는 발생지지부(413)에 장착될 수 있다.The power generating unit 41 generates power in association with the signal sensed by the sensing unit 30 . For example, the power generating unit 41 may include a generating motor unit 411 driven when power is applied, and one or more generating gear units 412 connected to the generating motor unit 411 to transmit rotational force. The generating motor unit 411 and the generating gear unit 412 may be mounted on the generating support unit 413 that is fixedly installed in the depositing machine 100 .

동력전달부(42)는 동력발생부(41)로부터 발생된 동력을 적재부(20)에 전달한다. 일예로, 동력전달부(42)는 몸체저장부(11)에 형성된 홀을 통과할 수 있는 전달지지부(421)와, 전달지지부(421)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전달복원부(422)와, 전달지지부(421)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발생기어부(412)와 맞물리는 하나 이상의 전달기어부(423)와, 전달기어부(423)의 회전축에서 연장되는 전달축부(424)와, 전달축부(424)의 양단부에 배치되는 전달풀리부(425)와, 전달풀리부(425)와 마주보도록 하방에 배치되는 전달회전부(426)와, 전달풀리부(425)와 전달회전부(426)에 감겨 무한궤도 방식으로 이동 가능하고, 적재부(20)와 결합되어 적재부(20)의 높이를 조절하는 전달벨트부(427)를 포함할 수 있다.The power transmission unit 42 transmits the power generated from the power generation unit 41 to the loading unit 20 . For example, the power transmission unit 42 includes a transmission support unit 421 that can pass through a hole formed in the body storage unit 11 , and a transmission restoration unit 422 that provides restoring force to the transmission support unit 421 , and transmission One or more transmission gear portions 423 rotatably mounted on the support 421 and engaged with the generator gear 412 , a transmission shaft portion 424 extending from the rotation shaft of the transmission gear portion 423 , and a transmission shaft portion 424 . ), a transmission pulley part 425 disposed at both ends, a transmission rotation part 426 disposed below to face the transmission pulley part 425, and a transmission pulley part 425 and a transmission rotation part 426 wound around the caterpillar It is movable in this way, and may include a transmission belt unit 427 coupled with the loading unit 20 to adjust the height of the loading unit 20 .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부의 작동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과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부(50)는 이동핀부(51)와, 이동손잡이부(52)를 포함할 수 있다.11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moving pa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2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n operating state of the moving pa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and 12 , the moving unit 5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moving pin unit 51 and a moving handle unit 52 .

이동핀부(51)는 몸체저장부(11)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한 쌍의 핀축부(511)와, 핀축부(511)의 단부에서 측방향으로 연장되는 핀확장부(512)를 포함할 수 있다.The moving pin 51 may include a pair of pin shaft portions 511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body storage unit 11 and a pin extension portion 512 extending laterally from the end of the pin shaft portion 511. have.

이동손잡이부(52)는 이동핀부(51)에 의해 몸체저장부(11)에 결합되는 손잡이결합부(53)와, 손잡이결합부(53)의 단부를 연결하는 손잡이연결부(54)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손잡이결합부(53)의 일단부는 라운드진 형상을 하여 몸체저장부(11)에 형성되는 저장라운드홈부(111)에 삽입 가능하고, 손잡이결합부(53)에 형성되는 결합핀부(55)는 장방형 홀 형상을 하여 핀축부(511)가 관통되는 결합핀홀부(551)와, 결합핀홀부(551)의 주변에 형성되고 핀확장부(512)가 안착되는 결합핀홈부(552)를 포함할 수 있다.The movable handle part 52 may include a handle coupling part 53 coupled to the body storage part 11 by the movable pin part 51 , and a handle connection part 54 connecting the ends of the handle coupling part 53 . can At this time, one end of the handle coupling portion 53 has a rounded shape and can be inserted into the storage round groove portion 111 formed in the body storage unit 11 , and the coupling pin portion 55 formed in the handle coupling portion 53 . has a rectangular hole shape and includes a coupling pinhole part 551 through which the pin shaft part 511 passes, and a coupling pin groove part 552 formed around the coupling pinhole part 551 and in which the pin extension part 512 is seated. can do.

상기한 상태에서 이동손잡이부(52)가 저장삽입홈부(112)에 삽입되면 이동손잡이부(52)가 외부로 돌출되지 않아 복수개의 몸체부(10)를 연이어 쌓아 보관할 수 있다. 이러한 이동손잡이부(52)의 위치는 몸체부(10)의 보관 위치에 해당된다(도 12a 참조).When the movable handle 52 is inserted into the storage insertion groove 112 in the above state, the movable handle 52 does not protrude to the outside, so that the plurality of body portions 10 can be stacked and stored in succession. The position of the movable handle part 52 corresponds to the storage position of the body part 10 (see FIG. 12A ).

몸체부(10)의 보관 위치에서 이동손잡이부(52)가 90도 회전된 후 저장라운드홈부(111)에 손잡이결합부(53)의 단부가 삽입되면, 이동손잡이부(52)가 90도 회전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러한 이동손잡이부(52)의 위치는 입금기(100) 장착 위치에 해당된다(도 12b 참조). 한편, 이동손잡이부(52)는 몸체부(10)를 경사지게 지지할 수 있으며, 몸체부(10)를 경사지게 배치한 후 몸체부(10) 내부에 있던 지폐를 작업자가 파지하여 편하게 인출할 수 있다.When the end of the handle coupling part 53 is inserted into the storage round groove part 111 after the movable handle part 52 is rotated 90 degrees in the storage position of the body part 10, the movable handle part 52 rotates 90 degrees. keep the status quo The position of the movable handle 52 corresponds to the mounting position of the depositing machine 100 (see FIG. 12b ). On the other hand, the movable handle part 52 can support the body part 10 inclinedly, and after the body part 10 is inclined, the operator can grip the bills inside the body part 10 and take it out conveniently. .

몸체부(10)의 보관 위치에서 이동손잡이부(52)가 180도 회전되면, 이동손잡이부(52)는 몸체부(10)의 상방에 배치되므로 사용자가 이동손잡이부(52)를 파지하고 이동시킬 수 있다. 이러한 이동손잡이부(52)의 위치는 지폐유닛(200)의 취출 위치에 해당된다(도 12c 참조).When the moving handle 52 is rotated 180 degrees at the storage position of the body 10 , the moving handle 52 is disposed above the body 10 , so the user grips and moves the moving handle 52 . can do it The position of the movable handle 52 corresponds to the take-out position of the banknote unit 200 (see FIG. 12c ).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폐보관장치(1)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operation of the banknote storage devic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 structure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입금기(100)의 내부에 몸체부(10)를 장착하면, 높이조절부(40)의 동력이 전달 가능하고, 임시적재부(104)로부터 낙하되는 지폐유닛(200)이 몸체부(10)의 상측에 형성되는 유입구(19)로 투입 가능한 상태가 된다.When the body part 10 is mounted inside the depositing machine 100, the power of the height adjustment part 40 can be transmitted, and the banknote unit 200 falling from the temporary loading part 104 is the body part 10. It is in a state that can be put into the inlet 19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상기한 상태에서 입금기(100)에 입금할 지폐유닛(200)을 투입하면, 입금기(100)는 투입된 지폐유닛(200)을 카운트하고, 사용자에게 지폐유닛(200)에 해당되는 금액을 입금기(100)와 연동된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하고 사용자의 입금 지시 여부에 따라 반환 또는 입금 처리한다. 입금 처리시 지폐유닛(200) 자체를 한 번에 낙하 또는 이송시킨다.When the banknote unit 200 to be deposited into the depositing machine 100 is put in the above state, the depositing machine 100 counts the inputted banknote unit 200 and deposits the amount corresponding to the banknote unit 200 to the user. It is displayed through the display linked to the device 100 and returned or deposited according to the user's deposit instruction. During deposit processing, the banknote unit 200 itself is dropped or transferred at a time.

낙하된 지폐유닛(200)은 설정된 높이와 경사로 유입구(19)를 통과하고, 몸체부(10)의 내부에 위치되는 적재부(20)에 적재된다. 이때, 감지부(30)는 적재된 지폐유닛(200)의 높이를 측정하고, 높이조절부(40)는 지폐유닛(200)이 설정된 높이와 경사로 적재부(20)에 적재되도록 적재부(20)의 높이를 조절한다. 즉, 감지부(30)는 실시간으로 최상층에 위치되는 지폐유닛(200)의 높이를 측정하고, 높이조절부(40)는 유입구(19)로부터 투입된 지폐유닛(200)과 유입구(19) 사이의 거리를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조절할 수 있다. The dropped bill unit 200 passes through the inlet 19 at a set height and slope, and is loaded on the loading unit 20 located inside the body unit 10 . At this time, the sensing unit 30 measures the height of the stacked banknote unit 200 , and the height adjustment part 40 includes the stacking part 20 so that the banknote unit 200 is loaded on the stacking part 20 at a set height and slope. ) to adjust the height. That is, the sensing unit 30 measures the height of the banknote unit 200 located on the uppermost floor in real time, and the height adjustment unit 40 is between the banknote unit 200 and the inlet 19 input from the inlet 19 . It can be adjusted to keep the distance constant.

높이조절부(40)는 지폐유닛(200)이 투입된 후 지폐유닛(200)의 최상측과 유입구(19) 사이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높이조절부(40)는 기 계수된 지폐유닛(200)의 평균 두께만큼 적재부(200)를 하강시킨 후 감지부(30)를 통해 2차 높이 조정을 하여 유입구(19)로부터 지폐유닛(200)의 최상측면이 일정 높이를 유지하게 제어할 수 있다. The height adjustment unit 40 may adjust the distance between the uppermost side of the bill unit 200 and the inlet 19 after the bill unit 200 is inserted. In addition, the height adjustment unit 40 lowers the stacking unit 200 by the average thickness of the pre-counted banknote unit 200 and then performs a secondary height adjustment through the sensing unit 30 to remove the banknote unit from the inlet 19 . The uppermost side of 200 can be controlled to maintain a constant height.

한편, 실험을 통해 지폐유닛(200)이 준정렬되게 뭉치상태로 떨어지는 설정구간을 설정하고, 높이조절부(40)는 적재부(20)가 설정구간을 유지하도록 적재부(2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rough an experiment, the banknote unit 200 sets a setting section that falls into a bundle state in a semi-aligned manner, and the height adjustment unit 40 adjusts the height of the loading unit 20 so that the loading unit 20 maintains the set section. can be adjust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폐보관장치(1)는 저렴하면서도 지폐의 빠른 대량 입금이 가능하고, 지폐 회수 작업성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폐보관장치(1)는 지폐가 뭉치로 낙하되어 준정렬되게 적재되므로, 고속으로 대량 입금이 가능하고, 이동성과 보안성 및 회수 후 정산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 banknote storage devic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expensive and enables rapid mass deposit of banknotes, and can improve banknote collection workability. In addition, in the banknote storage devic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banknotes are dropped in a bundle and stacked in a semi-aligned manner, it is possible to deposit large amounts at high speed, and improve mobility, security, and settlement workability after collection. have.

10 : 몸체부 11 : 몸체저장부
12 : 몸체도어부 13 : 몸체후크부
14 : 몸체커버부 15 : 몸체잠금부
18 : 삽입부 19 : 유입구
20 : 적재부 21 : 적재판부
22 : 적재지지부 23 : 적재회전부
30 : 감지부 40 : 높이조절부
41 : 동력발생부 42 : 동력전달부
50 : 이동부 51 : 이동핀부
52 : 이동손잡이부 60 : 바퀴부
10: body part 11: body storage part
12: body door part 13: body hook part
14: body cover part 15: body lock part
18: insert 19: inlet
20: loading part 21: loading plate part
22: loading support 23: loading rotating part
30: sensing unit 40: height adjustment unit
41: power generating unit 42: power transmitting unit
50: moving unit 51: moving pin unit
52: moving handle part 60: wheel part

Claims (11)

입금기로부터 임시 적재된 지폐유닛이 투입되는 유입구를 상측에 구비하는 몸체부;
상기 유입구로부터 이격되며, 상기 지폐유닛이 적재되는 적재부;
상기 적재부에 적재된 상기 지폐유닛의 높이를 감지하는 감지부; 및
상기 감지부와 연동되어 상기 적재부의 높이를 제어하는 높이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보관장치.
a body portion having an inlet at the upper side into which the banknote unit temporarily loaded from the depositing machine is put;
a loading unit spaced apart from the inlet and on which the bill unit is loaded;
a sensing unit for sensing the height of the banknote unit loaded in the loading unit; and
Banknote storage device comprising a; a height adjustment unit for controlling the height of the loading unit in conjunction with the sensing unit.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부는 상기 유입구로부터 투입된 상기 지폐유닛과 상기 유입구 사이의 거리를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보관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banknote storag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height adjustment unit adjusts to maintain a constant distance between the banknote unit and the inlet input from the inlet.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부는 상기 지폐유닛이 투입된 후 상기 지폐유닛의 최상측과 상기 유입구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보관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height adjusting unit banknote storag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 adjusting the distance between the uppermost side of the banknote unit and the inlet after the banknote unit is inserted.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부는 기 계수된 상기 지폐유닛의 평균 두께만큼 상기 적재부를 하강시킨 후 상기 감지부를 통해 2차 높이 조정을 하여 상기 유입구로부터 상기 지폐유닛의 최상측면이 일정 높이를 유지하게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보관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height adjustment unit lowers the loading unit by the average thickness of the pre-counted banknote unit, and then performs a secondary height adjustment through the sensing unit to control the uppermost surface of the banknote unit from the inlet to maintain a constant height. banknote storage device.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부는 상기 지폐유닛이 뭉치로 떨어져 준정렬되게 적재되도록 상기 적재부의 높이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보관장치.
5.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The height adjustment unit banknote storag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 controlling the height of the stacking unit so that the banknote unit is stacked in a semi-aligned fall.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폐유닛은 수직 또는 소정의 각도로 유입되며 낙하 높이가 135~195mm의 범위 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보관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banknote unit is introduced vertically or at a predetermined angle, and the banknote storag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falling height is in the range of 135 ~ 195mm.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폐유닛은 2열로 준정렬되도록 적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보관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banknote unit is a banknote storag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stacked to be semi-aligned in two rows.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적재부는 단변의 길이가 입금가능한 권종의 지폐의 단변 길이의 2배에 그의 20%의 마진 길이를 플러스한 길이 범위 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보관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stacking portion is a banknote storag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length of the short side is within a length range of twice the short side length of the banknote of the depositable type plus the margin length of 2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적재부의 단변 길이는 2열로 배치되는 상기 지폐유닛의 단변 길이와 대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보관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 banknote storag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short side length of the loading part corresponds to the short side length of the banknote units arranged in two rows.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보관 위치와 상기 몸체부의 상기 입금기 장착 위치 및 상기 지폐유닛의 취출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이동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보관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banknote storage device further comprising a; a moving part movably provided between the storage position of the body part, the depositing machine mounting position of the body part, and the taking-out position of the banknote unit.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하부에 형성되는 바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보관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bill storage device further comprising a; wheel formed on the lower portion of the body.
KR1020190168258A 2019-12-16 2019-12-16 Paper currency storage device KR20210076753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8258A KR20210076753A (en) 2019-12-16 2019-12-16 Paper currency storage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8258A KR20210076753A (en) 2019-12-16 2019-12-16 Paper currency storage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6753A true KR20210076753A (en) 2021-06-24

Family

ID=766072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8258A KR20210076753A (en) 2019-12-16 2019-12-16 Paper currency storage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76753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977982B2 (en) Banknote storage and release box and banknote deposit and withdrawal machine
RU2005115104A (en) BANK AUTOMATIC MACHINE, WHICH ISSUES, ACCEPTS AND STORES BANKNOTES AND OTHER FINANCIAL INSTRUMENTS IN THE FORM OF SHEETS
JP2003514292A (en) Instruments for managing banknotes
JPH0532368A (en) Paper sheet piling device
JPH0714049A (en) Paper storage device
JP3600762B2 (en) Circulation type money handling equipment
KR20210076753A (en) Paper currency storage device
JP2003151001A (en) Circulating type money processor
JP4838998B2 (en) Banknote deposit and withdrawal machine
JP6538387B2 (en) Banknote processing device and banknote processing system
JP3600824B2 (en) Circulation type money handling equipment
JPH0896208A (en) Paper money processor
KR100781802B1 (en) Vertical feeding apparatus
KR200425527Y1 (en) vertical feeding apparatus
JP2540242B2 (en) Banknote processing machine
JP2680339B2 (en) Automatic transaction equipment
JP3295278B2 (en) Coin processing machine
JP3754096B2 (en) Banknote handling equipment
JP3977033B2 (en) Banknote handling machine
JPH07262435A (en) Automatic teller machine
JPH03265993A (en) Paper money processor
JP2021125009A (en) Coin processing device and currency processing device
JP3626228B2 (en) Banknote handling equipment
JPH11250312A (en) Small bundle processor and small bundle storage for the same
JP2017102567A (en) Currency processing device, currency processing system, and currency processing metho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