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76431A -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immersive learning content through voice recognition - Google Patents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immersive learning content through voice recogni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76431A
KR20210076431A KR1020190167622A KR20190167622A KR20210076431A KR 20210076431 A KR20210076431 A KR 20210076431A KR 1020190167622 A KR1020190167622 A KR 1020190167622A KR 20190167622 A KR20190167622 A KR 20190167622A KR 20210076431 A KR20210076431 A KR 202100764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rning content
immersive
display module
module
voice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762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최용준
Original Assignee
(주)천재교육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천재교육 filed Critical (주)천재교육
Priority to KR10201901676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76431A/en
Publication of KR202100764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6431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Head mount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6Mixed reality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22Procedures used during a speech recognition process, e.g. man-machine dialogu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Multimedia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and a method for providing an immersive learning content through voice recognition, in providing immersive learning content using virtual reality, complex reality, and augmented reality, etc.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vice for providing immersive learning content includes: a display module which outputs immersive learning content; a voice recognition module that receives a voice signal from a user; and a control module for identifying control data corresponding to a voice signal and controlling the immersive learning content according to the identified control data.

Description

음성 인식을 통한 실감형 학습 콘텐츠 제공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IMMERSIVE LEARNING CONTENT THROUGH VOICE RECOGNITION}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realistic learning content through speech recogni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IMMERSIVE LEARNING CONTENT THROUGH VOICE RECOGNITION}

본 발명은 가상 현실, 복합 현실, 증강 현실 등을 이용하여 실감형 학습 콘텐츠를 제공함에 있어서, 음성 인식을 통해 실감형 학습 콘텐츠를 제어하는 실감형 학습 콘텐츠 제공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immersive learning content for controlling immersive learning content through voice recognition in providing immersive learning content using virtual reality, complex reality, augmented reality, and the like.

최근 다양한 디지털 디바이스의 발달로 인해, 교육 환경에서도 디지털 디바이스를 접목한 교육 방식이 채택되는 추세이다.Due to the recent development of various digital devices, there is a trend to adopt an educational method incorporating digital devices in an educational environment.

이러한 추세를 반영하여 정부는 스마트 교육 정책의 일환으로 2018년부터 초등학교 고학년, 중학교 1학년을 대상으로 디지털 교과서를 배포하고 있으며, 디지털 교과서를 이용한 교육 커리큘럼을 제시하고 있다.Reflecting this trend, the government has been distributing digital textbooks for the upper grades of elementary school and the first grade of middle school since 2018 as part of a smart education policy, and is presenting an educational curriculum using digital textbooks.

이에 발맞추어 최근에는 여러 가지 디지털 디바이스를 활용한 교육 방식이 개발되고 있다. In line with this, recently, educational methods using various digital devices are being developed.

그러나, 현재까지의 교육 방식은, 교사가 학습자에게 지식을 주입하는 기존의 일방적 교육 방식에 단순히 디지털 디바이스를 접목한 방식으로써, 학습자가 디지털 디바이스와 상호 작용할 수 없어 학습자의 집중력을 이끌어내기 어렵다는 한계가 있었다.However, the education method up to now is a method in which a digital device is simply grafted onto the existing one-way education method in which the teacher injects knowledge into the learner. there was.

본 발명은 가상 현실, 복합 현실, 증강 현실 등을 이용하여 실감형 학습 콘텐츠를 제공함에 있어서, 음성 인식을 통해 실감형 학습 콘텐츠를 제어할 수 있는 실감형 학습 콘텐츠 제공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immersive learning content capable of controlling immersive learning content through voice recognition in providing immersive learning content using virtual reality, complex reality, augmented reality, etc. do it with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The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objects, and other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not mentioned may be understood by the following description, and will be more clearly understood by the exam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Moreover, it will be readily apparent that the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realized by the means and combinations thereof indicated in the claims.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감형 학습 콘텐츠 제공 장치는 실감형 학습 콘텐츠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사용자로부터 음성 신호를 수신하는 음성 인식 모듈 및 상기 음성 신호에 대응하는 제어 데이터를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제어 데이터에 따라 상기 실감형 학습 콘텐츠를 제어하는 제어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o achieve the above object, an apparatus for providing immersive learning cont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isplay module for outputting immersive learning content, a voice recognition module for receiving a voice signal from a user, and a control corresponding to the voice signal and a control module for identifying data and controlling the immersive learning content according to the identified control data.

일 실시예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은 상기 실감형 학습 콘텐츠를 가상 이미지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n embodiment, the display module outputs the immersive learning content as a virtual image.

일 실시예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은 상기 실감형 학습 콘텐츠와 실사 영상을 함께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n embodiment, the display modul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immersive learning content and the live-action image are output together.

일 실시예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은 상기 실사 영상에 상기 실감형 학습 콘텐츠를 증강 이미지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display modul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output of the immersive learning content to the live-action image as an augmented image.

일 실시예에서, 상기 실사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it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camera module for shooting the live-action image.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 모듈은 메모리를 참조하여 상기 음성 신호에 대응하는 문자 데이터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문자 데이터에 대응하는 제어 데이터를 식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n embodiment, the control module extracts text data corresponding to the voice signal with reference to a memory, and identifies control data corresponding to the extracted text data.

일 실시예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은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n embodiment, the display module is a wearable device.

일 실시예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은 HMD(Head Mounted Device), 비디오 씨스루 디바이스(video see-through device), 광학 씨스루 디바이스(optical see-through device), 프로젝터(projector)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n embodiment, the display module includes at least one of a Head Mounted Device (HMD), a video see-through device, an optical see-through device, and a projector. characterized in that

또한,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감형 학습 콘텐츠 제공 방법은 음성 인식 모듈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음성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메모리를 참조하여 상기 수신된 음성 신호에 대응하는 제어 데이터를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 데이터에 따라 디스플레이 모듈에 의해 출력되는 실감형 학습 콘텐츠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 method for providing immersive learning cont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cludes receiving a voice signal from a user through a voice recognition module, and referring to a memory,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voice signal. Identifying control data and controlling the immersive learning content output by a display module according to the control data.

일 실시예에서, 상기 메모리를 참조하여 상기 수신된 음성 신호에 대응하는 제어 데이터를 식별하는 단계는, 상기 메모리를 참조하여 상기 수신된 음성 신호에 대응하는 문자 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추출된 문자 데이터에 대응하는 제어 데이터를 식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step of identifying the control data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voice signal with reference to the memory comprises: extracting text data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voice signal with reference to the memory; and identifying control data corresponding to the text data.

본 발명은 가상 현실, 복합 현실, 증강 현실 등을 이용하여 실감형 학습 콘텐츠를 제공함에 있어서, 학습자가 음성 인식을 통해 스스로 실감형 학습 콘텐츠를 제어하도록 함으로써 학습자의 교육 참여를 유도하여 학습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인터랙티브 방식으로 다양한 콘텐츠를 학습 및 교육에 이용할 수 있게 됨으로써, 교육자의 지도력 또한 향상시킬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in providing immersive learning content using virtual reality, complex reality, augmented reality, etc., the learner controls the immersive learning content on his/her own through voice recognition, thereby inducing the learner's participation in education to improve learning efficiency. Not only can various contents be used for learning and education in an interactive way, but also the leadership of educators can be improved.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effects, the specific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together while describing specific details for carrying out the invention below.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감형 학습 콘텐츠 제공 장치의 구성요소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실감형 학습 콘텐츠 제공 장치의 일 구현예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감형 학습 콘텐츠 제공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
1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components of an apparatus for providing immersive learning cont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the apparatus for providing immersive learning content shown in FIG. 1;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providing immersive learning cont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The above-described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will be described below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accordingl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be able to easily implemen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known technology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to indicate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selected as currently widely used general terms as possible while considering the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but these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 or precedent of a person skilled in the art, the emergence of new technology, and the like. In addition, in specific cases, there are also terms arbitrarily selected by the applicant, and in this case, the meaning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scription of the corresponding invention. Therefore, the term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fined based on the meaning of the term and the overall cont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than the name of a simple term.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When a part "includes" a certain element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this means that other elements may be further included, rather than excluding other elements, unless otherwise stated. In addition, terms such as "...unit" and "module"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mean a unit that processes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which may be implemented as hardware or software, or a combination of hardware and software. .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다음에 예시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다음에 상술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llustrated below may be modified in various other form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rovided to more complete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본 발명은 가상 현실, 복합 현실, 증강 현실 등을 이용하여 실감형 학습 콘텐츠를 제공함에 있어서, 음성 인식을 통해 실감형 학습 콘텐츠를 제어하는 실감형 학습 콘텐츠 제공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immersive learning content for controlling immersive learning content through voice recognition in providing immersive learning content using virtual reality, complex reality, augmented reality, and the like.

이하,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감형 학습 콘텐츠 제공 장치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an apparatus for providing immersive learning cont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 and 2 .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감형 학습 콘텐츠 제공 장치의 구성요소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실감형 학습 콘텐츠 제공 장치의 일 구현예를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components of an apparatus for providing immersive learning cont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the apparatus for providing immersive learning content shown in FIG. 1 to be.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감형 학습 콘텐츠 제공 장치(100)는 디스플레이 모듈(110), 음성 인식 모듈(120), 제어 모듈(130) 및 카메라 모듈(14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실감형 학습 콘텐츠 제공 장치(100)는 일 실시예에 따른 것이고, 그 구성요소들이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일부 구성요소가 부가, 변경 또는 삭제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 an apparatus 100 for providing immersive learning cont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isplay module 110 , a voice recognition module 120 , a control module 130 , and a camera module 140 . can do. The immersive learning content providing apparatus 100 illustrated in FIG. 1 is according to an embodiment, and its components are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 illustrated in FIG. 1 , and some components may be added, changed, or may be deleted.

실감형 학습 콘텐츠 제공 장치(100)를 이루는 각 구성요소들은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 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중 적어도 하나의 물리적인 요소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Each component constituting the immersive learning content providing apparatus 100 is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 (field programmable gates) arrays), processors, controllers, micro controllers, and microprocessors.

디스플레이 모듈(110)은 사용자에게 영상을 표시할 수 있는 임의의 모듈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모듈(110)은 표시 방식(디스플레이 방식)에 따라, 모바일 기반의 장치,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로 구현될 수 있다.The display module 110 may be any module capable of displaying an image to a user. For example, the display module 110 may be implemented as a mobile-based device or a wearable device according to a display method (display method).

디스플레이 모듈(110)이 모바일 기반의 장치로 구현되는 경우, 디스플레이 모듈(110)은 예컨대 UMPC(Ultra Mobile PC), 워크스테이션, 넷북(net-book),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s), 포터블(portable) 컴퓨터, 웹 타블렛(web tablet), 무선 전화기(wireless phone), 모바일 폰(mobile phone), 스마트폰(smart phone), e-북(e-book),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등일 수 있다.When the display module 110 is implemented as a mobile-based device, the display module 110 is, for example, an Ultra Mobile PC (UMPC), a workstation, a net-book, a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 or a portable device. It may be a computer, a web tablet, a wireless phone, a mobile phone, a smart phone, an e-book, a portable multimedia player (PMP), or the like.

디스플레이 모듈(110)이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구현되는 경우, 디스플레이 모듈(110)은 HMD(Head Mounted Device), 비디오 씨스루 디바이스(Video See-Through device), 광학 씨스루 디바이스(Optical See-Through device), 스크린 기반의 장치 및 프로젝터 기반 장치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When the display module 110 is implemented as a wearable device, the display module 110 includes a head mounted device (HMD), a video see-through device, an optical see-through device, It may be either a screen-based device or a projector-based device.

도 2를 참조하면, 실감형 학습 콘텐츠 제공 장치(100)는 머리에 착용하도록 설계된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구현될 수 있다. 이 때, 디스플레이 모듈(110)은, 사용자가 실감형 학습 콘텐츠 제공 장치(100)를 착용하였을 때 사용자 눈의 전방에 위치할 수 있고, 사용자 눈의 방향으로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 the immersive learning content providing apparatus 100 may be implemented as a wearable device designed to be worn on the head. In this case, the display module 110 may be located in front of the user's eyes when the user wears the immersive learning content providing apparatus 100 , and may output an image in the direction of the user's eyes.

실감형 학습 콘텐츠 제공 장치(100)와 이를 구성하는 디스플레이 모듈(110)은 도 2에 도시된 구현예 외에도 다양한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실감형 학습 콘텐츠 제공 장치(100)가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구현된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하도록 한다.The immersive learning content providing apparatus 100 and the display module 110 constituting the same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shapes other than the embodiment shown in FIG. 2 , but below,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immersive learning content providing apparatus 100 ) will be described on the assumption that it is implemented as shown in FIG. 2 .

이러한 디스플레이 모듈(110)은 후술하는 제어 모듈(130)의 제어에 따라 실감형(immersive) 학습 콘텐츠를 출력할 수 있다.The display module 110 may output immersive learning content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module 130 to be described later.

실감형 학습 콘텐츠는 학습 커리큘럼에 따른 사용자의 학습을 위한 콘텐츠로서, 가상 현실(Virtual Reality; VR), 복합 현실(Mixed Reality; MR), 증강 현실(Augmented Reality; AR) 등을 통해 사용자에게 몰입감을 주는 임의의 콘텐츠일 수 있다.The immersive learning content is content for the user's learning according to the learning curriculum, and provides a sense of immersion to the user through virtual reality (VR), mixed reality (MR), augmented reality (AR), etc. The give can be any content.

여기서, 증강 현실(AR)이란 실제 환경에 가상 사물이나 정보를 합성하여 원래의 환경에 존재하는 사물처럼 보이도록 하는 컴퓨터 그래픽 기법을 말한다. 증강 현실은 가상의 공간과 사물만을 대상으로 하는 기존의 가상 현실과 달리, 현실 세계의 기반 위에 가상의 사물을 합성하여 현실 세계만으로는 얻기 어려운 부가적인 정보들을 보강해 제공할 수 있는 특징을 가진다. Here, augmented reality (AR) refers to a computer graphics technique that synthesizes a virtual object or information in a real environment to make it look like an object existing in the original environment. Unlike conventional virtual reality, which targets only virtual space and objects, augmented reality has a feature of providing additional information that is difficult to obtain only in the real world by synthesizing virtual objects on the basis of the real world.

가상 현실(VR)은 어떤 특정한 환경이나 상황을 컴퓨터로 만들어서, 그것을 사용하는 사람이 마치 실제 주변 상황·환경과 상호작용을 하고 있는 것처럼 만들어 주는 인간과 컴퓨터 사이의 인터페이스를 의미한다.Virtual reality (VR) refers to an interface between a human and a computer that makes a specific environment or situation into a computer and makes it as if the person using it is interacting with the actual surrounding situation/environment.

한편, 복합 현실(MR)은 현실세계와 가상세계 정보를 결합해 두 세계를 융합시키는 공간을 만들어내는 기술을 의미한다. 복합 현실(MR)은 증강 현실(AR)과 가상 현실(VR)의 장점만을 가져와 구현한 기술을 의미한다.On the other hand, mixed reality (MR) refers to a technology that creates a space that fuses the two worlds by combining information from the real world and the virtual world. Complex reality (MR) refers to a technology implemented by bringing only the advantages of augmented reality (AR) and virtual reality (VR).

일 예에서, 디스플레이 모듈(110)은 가상 현실(VR) 기술을 기반으로 실감형 학습 콘텐츠를 가상 이미지로 출력할 수 있다.In an example, the display module 110 may output realistic learning content as a virtual image based on virtual reality (VR) technology.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 모듈(130)은 학습 커리큘럼에 따른 실감형 학습 콘텐츠를 디스플레이 모듈(110) 전체를 통해 출력되는 가상 이미지로 생성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 모듈(110)은 제어 모듈(130)에 의해 생성된 가상 이미지를 출력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control module 130 may generate immersive learning content according to the learning curriculum as a virtual image output through the display module 110 as a whole, and the display module 110 is controlled by the control module 130 . The generated virtual image can be output.

이에 따라,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은 실감형 학습 콘텐츠 제공 장치(100)를 착용한 사용자는 전방의 실제 환경에 대한 시야를 확보할 수 없고, 실감형 학습 콘텐츠에 대응하는 가상 이미지만을 확인할 수 있다.Accordingly, a user wearing the immersive learning content providing apparatus 100 as shown in FIG. 2 cannot secure a view of the real environment in front, and can only check a virtual image corresponding to the immersive learning content. .

다른 예에서, 디스플레이 모듈(110)은 증강 현실(AR) 기술을 기반으로 실감형 학습 콘텐츠와 실사 영상을 함께 출력할 수 있다.In another example, the display module 110 may output immersive learning content and a live-action image together based on augmented reality (AR) technology.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 모듈(130)은 학습 커리큘럼에 따른 실감형 학습 콘텐츠를 디스플레이 모듈(110)의 일부분을 통해 출력되는 가상 이미지로 생성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 모듈(110)은 제어 모듈(130)에 의해 생성된 가상 이미지를 출력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control module 130 may generate immersive learning content according to the learning curriculum as a virtual image output through a portion of the display module 110 , and the display module 110 sends the You can output the virtual image created by

이 때, 디스플레이 모듈(110)은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져 사용자 전방의 영상을 투영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사용자는 투명한 디스플레이 모듈(110)을 통해 전방의 실제 환경에 대한 시야를 확보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display module 110 may be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to project an image in front of the user. In other words, the user may secure a view of the real environment in front through the transparent display module 110 .

이에 따라,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은 실감형 학습 콘텐츠 제공 장치(100)를 착용한 사용자는 전방의 실제 환경에 대한 시야를 확보함과 동시에, 디스플레이 모듈(110)의 일부분을 통해 실감형 학습 콘텐츠에 대응하는 가상 이미지를 확인할 수 있다.Accordingly, a user who wears the immersive learning content providing apparatus 100 as shown in FIG. 2 secures a view of the real environment in front, and at the same time, receives immersive learning content through a portion of the display module 110 . You can check the virtual image corresponding to .

또한, 디스플레이 모듈(110)은 실사 영상에 실감형 학습 콘텐츠를 증강 이미지로 출력할 수 있다.Also, the display module 110 may output immersive learning content as an augmented image on the live-action image.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 모듈(130)은 사용자 주변의 실제 환경에 대한 실사 영상과, 학습 커리큘럼에 따른 실감형 학습 콘텐츠에 대응하는 증강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10)은 제어 모듈(130)에 의해 생성된 실사 영상에 증강 이미지를 오버랩(overlap)하여 출력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control module 130 may generate a live-action image of a real environment around the user and an augmented image corresponding to the immersive learning content according to the learning curriculum. The display module 110 may output the augmented image by overlapping the actual image generated by the control module 130 .

실사 영상을 생성하기 위해, 실감형 학습 콘텐츠 제공 장치(100)는 실사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 모듈(1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40)은 실감형 학습 콘텐츠 제공 장치(100)의 임의의 위치에 구비되어 사용자 주변의 실제 환경을 촬영할 수 있고, 제어 모듈(130)은 촬영된 실제 환경에 대응하는 실사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In order to generate a live-action image, the immersive learning content providing apparatus 100 may further include a camera module 140 for capturing a live-action image. The camera module 140 may be provided at an arbitrary location of the immersive learning content providing apparatus 100 to photograph a real environment around the user, and the control module 130 may generate a live-action image corresponding to the captured real environment. can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카메라 모듈(140)은 사용자의 시야 방향에 따른 현장감을 주기 위해, 실감형 학습 콘텐츠 제공 장치(100)의 전방에 구비되어, 사용자 전방의 실제 환경을 촬영할 수 있다.Referring back to FIG. 2 , the camera module 140 may be provided in front of the immersive learning content providing apparatus 100 to provide a sense of presence according to the user's viewing direction, and may photograph an actual environment in front of the user.

이에 따라, 제어 모듈(130)은 사용자 시야 방향에 대한 실사 영상을 생성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 모듈(110)은 실사 영상에 증강 이미지를 오버랩하여 출력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control module 130 may generate an actual image for the user's viewing direction, and the display module 110 may overlap the augmented image on the actual image and output it.

음성 인식 모듈(120)은 사용자로부터 음성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The voice recognition module 120 may receive a voice signal from a user.

보다 구체적으로, 음성 인식 모듈(120)은 사용자의 육성인 아날로그 음성 신호를 수신한 후, 이를 주파수 분석하여 디지털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음성 인식 모듈(120)은 복수의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를 포함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voice recognition module 120 may receive an analog voice signal, which is the user's voice, and then frequency-analyze it and convert it into a digital signal. To this end, the voice recognition module 120 may include a plurality of analog-to-digital converters.

제어 모듈(130)은 음성 신호에 대응하는 제어 데이터를 식별할 수 있다.The control module 130 may identify control data corresponding to the voice signal.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 모듈(130)은, 음성 인식 모듈(120)에 의해 음성 신호가 디지털 신호로 변환되면, 디지털 신호에 대응하는 제어 데이터를 메모리를 참조하여 식별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메모리에는 각 음성 신호에 대응하는 제어 데이터가 룩업 테이블(Look-Up Table; LUT)의 형태로 저장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when the voice signal is converted into a digital signal by the voice recognition module 120 , the control module 130 may identify control data corresponding to the digital signal with reference to the memory. To this end, control data corresponding to each voice signal may be stored in the form of a look-up table (LUT).

또한, 제어 모듈(130)은 음성 인식 모듈(120)에 의해 음성 신호가 디지털 신호로 변환되면, 메모리를 참조하여 디지털 신호에 대응하는 문자 데이터를 추출하고, 추출된 문자 데이터에 대응하는 제어 데이터를 식별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메모리에는 각 음성 신호에 대응하는 문자 데이터와, 문자 데이터에 대응하는 제어 데이터가 룩업 테이블의 형태로 저장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voice signal is converted into a digital signal by the voice recognition module 120, the control module 130 extracts text data corresponding to the digital signal with reference to the memory, and controls data corresponding to the extracted text data. can be identified. To this end, text data corresponding to each voice signal and control data corresponding to the text data may be stored in the memory in the form of a lookup table.

예를 들어, 메모리에는 하기 [표 1]과 같은 룩업 테이블이 미리 저장될 수 있다.For example, a lookup table as shown in Table 1 below may be previously stored in the memory.

[음성 신호][voice signal] [문자 데이터][character data] [제어 데이터][control data] 1One aa “다음”"next" AA 22 bb “확대”"enlargement" BB 33 cc “축소”"reduction" CC 44 dd “회전”"rotation" DD

음성 인식 모듈(120)에 a라는 아날로그 음성 신호가 수신된 경우, 제어 모듈(130)은 해당 음성 신호에 대응하는 문자 데이터를 “다음”으로 식별할 수 있다. 이어서, 제어 모듈(130)은 “다음”이라는 문자 데이터에 대응하는 제어 데이터를 A로 식별할 수 있다.When an analog voice signal a is received by the voice recognition module 120 , the control module 130 may identify text data corresponding to the voice signal as “next”. Subsequently, the control module 130 may identify the control data corresponding to the text data of “next” as A.

마찬가지로 음성 인식 모듈(120)에 b, c, d라는 아날로그 음성 신호가 수신된 경우, 제어 모듈(130)은 각 음성 신호에 대응하는 문제 데이터를 각각 “확대”, “축소”, “회전”으로 식별할 수 있다. 이어서, 제어 모듈(130)은 “확대”, “축소”, “회전”이라는 문자 데이터에 대응하는 제어 데이터를 각각 B, C, D로 식별할 수 있다.Similarly, when the analog voice signals b, c, and d are received in the voice recognition module 120, the control module 130 converts the problem data corresponding to each voice signal to “enlarge”, “reduce”, and “rotate”, respectively. can be identified. Then, the control module 130 may identify the control data corresponding to the text data of “enlargement”, “reduction” and “rotation” as B, C, and D, respectively.

제어 모듈(130)은 식별된 제어 데이터에 따라 실감형 학습 콘텐츠를 제어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 모듈(130)은 제어 데이터에 따라 현재 디스플레이 모듈(110)에서 출력되고 있는 실감형 학습 콘텐츠를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 module 130 may control the immersive learning content according to the identified control data. More specifically, the control module 130 may control the immersive learning content currently being output from the display module 110 according to the control data.

전술한 [표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제어 모듈(130)은 제어 데이터가 A로 식별된 경우, 실감형 학습 콘텐츠를 학습 커리큘럼에 따라 변경할 수 있다. 다시 말해, 학습 커리큘럼에 따라 제1 실감형 학습 콘텐츠와 제2 실감형 학습 콘텐츠가 순차적으로 출력될 때, 제어 모듈(130)은 제어 데이터가 A로 식별되면 현재 출력되고 있는 제1 실감형 학습 콘텐츠를 제2 실감형 학습 콘텐츠로 변경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다음”이라는 육성을 내뱉은 사용자는 변경된 실감형 학습 콘텐츠를 감상할 수 있다.Referring to [Table 1] described above, when the control data is identified as A, the control module 130 may change the immersive learning content according to the learning curriculum. In other words, when the first sensory learning content and the second sensory learning content are sequentially output according to the learning curriculum, the control module 130 controls the first sensory learning content currently being output when the control data is identified as A may be changed to the second immersive learning content. Accordingly, the user who spit out the word “daum” can enjoy the changed immersive learning content.

또한, 제어 모듈(130)은 제어 데이터가 B 또는 C로 식별된 경우, 실감형 학습 콘텐츠를 확대 또는 축소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해, 제어 모듈(130)은 현재 디스플레이 모듈(110)을 통해 출력되고 있는 실감형 학습 콘텐츠의 일부 또는 전부를 확대 또는 축소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확대” 또는 “축소”라는 육성을 내뱉은 사용자는 확대되거나 축소된 실감형 학습 콘텐츠를 감상할 수 있다.Also, when the control data is identified as B or C, the control module 130 may enlarge or reduce the immersive learning content. In other words, the control module 130 may enlarge or reduce some or all of the immersive learning content currently being output through the display module 110 . Accordingly, a user who spit out the words “enlarged” or “reduced” can enjoy the enlarged or reduced immersive learning content.

또한, 제어 모듈(130)은 제어 데이터가 D로 식별된 경우, 실감형 학습 콘텐츠를 회전시킬 수 있다. 예컨대, 실감형 학습 콘텐츠는 3차원 구조를 갖는 증강 이미지일 수 있다. 이 때, 제어 모듈(130)은 현재 디스플레이 모듈(110)을 통해 출력되고 있는 실감형 학습 콘텐츠를 회전시킬 수 있고, “회전”이라는 육성을 내뱉은 사용자는 3차원 구조를 갖는 증강 이미지의 다른 면을 감상할 수 있다.Also, when the control data is identified as D, the control module 130 may rotate the immersive learning content. For example, the realistic learning content may be an augmented image having a three-dimensional structure. At this time, the control module 130 may rotate the immersive learning content currently being output through the display module 110, and the user who spit out the word “rotation” uses the other side of the augmented image having a three-dimensional structure. can enjoy

이하에서는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감형 학습 콘텐츠 제공 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에 도시된 실감형 학습 콘텐츠 제공 방법은 도 1에 도시된 제어 모듈(13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Hereinafter, a method for providing immersive learning cont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3 . The method for providing immersive learning content shown in FIG. 3 may be performed by the control module 130 shown in FIG. 1 .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감형 학습 콘텐츠 제공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providing immersive learning cont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실감형 학습 콘텐츠 제공 방법은 사용자로부터 음성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S10), 음성 신호에 대응하는 제어 데이터를 식별하는 단계(S20) 및 제어 데이터에 따라 실감형 학습 콘텐츠를 제어하는 단계(S3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실감형 학습 콘텐츠 제공 방법은 일 실시예에 따른 것이고, 방법을 이루는 각 단계들이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일부 단계가 부가, 변경 또는 삭제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 the method for providing immersive learning content includes receiving a voice signal from a user (S10), identifying control data corresponding to the voice signal (S20), and controlling the immersive learning content according to the control data. It may include a step (S30) of doing. The method for providing immersive learning content shown in FIG. 3 is according to an embodiment, and each step constituting the metho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 shown in FIG. 3, and some steps may be added, changed, or deleted as necessary. can

각 단계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먼저 제어 모듈(130)은 음성 인식 모듈(120)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음성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S10). 음성 인식 모듈(120)이 음성 신호를 처리하는 내용은 전술한 바 있으므로 여기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Each step will be described in detail. First, the control module 130 may receive a voice signal from the user through the voice recognition module 120 ( S10 ). Since the content of the voice recognition module 120 processing the voice signal has been described above,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here.

이어서, 제어 모듈(130)은 메모리를 참조하여 음성 신호에 대응하는 제어 데이터를 식별할 수 있다(S20). 이를 위해, 메모리에 음성 신호와 제어 데이터가 서로 대응되도록 미리 저장될 수 있고, 이는 전술한 바와 같다.Then, the control module 130 may identify the control data corresponding to the voice signal with reference to the memory (S20). To this end, the voice signal and the control data may be stored in advance to correspond to each other in the memory, as described above.

추가적으로 제어 모듈(130)은 메모리를 참조하여 음성 신호에 대응하는 문자 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고, 추출된 문자 데이터에 대응하는 제어 데이터를 식별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메모리에 음성 신호, 문자 데이터 및 제어 데이터가 서로 대응되도록 미리 저장될 수 있고, 이는 전술한 [표 1]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Additionally, the control module 130 may extract text data corresponding to the voice signal with reference to the memory and may identify control data corresponding to the extracted text data. To this end, voice signals, text data, and control data may be stored in advance to correspond to each other in the memory, as described in [Table 1] above.

이어서, 제어 모듈(130)은 제어 데이터에 따라 디스플레이 모듈(110)에 의해 출력되는 실감형 학습 콘텐츠를 제어할 수 있다(S30). 디스플레이 모듈(110)이 제어 모듈(130)의 제어에 따라 실감형 학습 콘텐츠를 출력하는 내용과, 실감형 학습 콘텐츠가 다양한 예시에 따라 제어되는 내용은 전술한 바 있으므로 여기서는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Subsequently, the control module 130 may control the immersive learning content output by the display module 110 according to the control data ( S30 ). Since the contents of the display module 110 outputting the immersive learning content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module 130 and the contents of controlling the immersive learning content according to various examples have been described above, a further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here. do.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가상 현실, 복합 현실, 증강 현실 등을 이용하여 실감형 학습 콘텐츠를 제공함에 있어서, 학습자가 음성 인식을 통해 스스로 실감형 학습 콘텐츠를 제어하도록 함으로써 학습자의 교육 참여를 유도하여 학습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인터랙티브 방식으로 다양한 콘텐츠를 학습 및 교육에 이용할 수 있게 됨으로써, 교육자의 지도력 또한 향상시킬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invention, in providing realistic learning content using virtual reality, complex reality, augmented reality, etc., the learner controls the immersive learning content by voice recognition to induce the learner's participation in education. Not only can the learning efficiency be improved, but various contents can be used for learning and education in an interactive way, thereby improving the leadership of the educator.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아울러 앞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용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여 설명하지 않았을 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 또한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illustrated drawing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embodiments and drawings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It is obvious that variations can be made. In addition, although the effects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explicitly described and described while describing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natural that the effects predictable by the configuration should also be recognized.

Claims (10)

실감형 학습 콘텐츠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사용자로부터 음성 신호를 수신하는 음성 인식 모듈; 및
상기 음성 신호에 대응하는 제어 데이터를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제어 데이터에 따라 상기 실감형 학습 콘텐츠를 제어하는 제어 모듈을 포함하는
실감형 학습 콘텐츠 제공 장치.
a display module for outputting immersive learning content;
a voice recognition module for receiving a voice signal from a user; and
and a control module that identifies control data corresponding to the voice signal and controls the immersive learning content according to the identified control data.
A device for providing realistic learning conten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은
상기 실감형 학습 콘텐츠를 가상 이미지로 출력하는
실감형 학습 콘텐츠 제공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display module is
Outputting the immersive learning content as a virtual image
A device for providing realistic learning conten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은
상기 실감형 학습 콘텐츠와 실사 영상을 함께 출력하는
실감형 학습 콘텐츠 제공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display module is
Outputting the immersive learning content and the live-action video together
A device for providing realistic learning content.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은
상기 실사 영상에 상기 실감형 학습 콘텐츠를 증강 이미지로 출력하는
실감형 학습 콘텐츠 제공 장치.
4. The method of claim 3,
The display module is
Outputting the immersive learning content as an augmented image to the live-action image
A device for providing realistic learning content.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실사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 모듈을 더 포함하는
실감형 학습 콘텐츠 제공 장치.
4. The method of claim 3,
Further comprising a camera module for shooting the live-action image
A device for providing realistic learning conten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모듈은
메모리를 참조하여 상기 음성 신호에 대응하는 문자 데이터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문자 데이터에 대응하는 제어 데이터를 식별하는
실감형 학습 콘텐츠 제공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rol module is
extracting text data corresponding to the voice signal with reference to a memory, and identifying control data corresponding to the extracted text data
A device for providing realistic learning conten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은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인
실감형 학습 콘텐츠 제공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display module is
A wearable device
A device for providing realistic learning content.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은
HMD(Head Mounted Device), 비디오 씨스루 디바이스(video see-through device), 광학 씨스루 디바이스(optical see-through device), 프로젝터(projector)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실감형 학습 콘텐츠 제공 장치.
8. The method of claim 7,
The display module is
HMD (Head Mounted Device), video see-through device (video see-through device), optical see-through device (optical see-through device), including at least one of the projector (projector)
A device for providing realistic learning content.
음성 인식 모듈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음성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메모리를 참조하여 상기 수신된 음성 신호에 대응하는 제어 데이터를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 데이터에 따라 디스플레이 모듈에 의해 출력되는 실감형 학습 콘텐츠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실감형 학습 콘텐츠 제공 방법.
receiving a voice signal from a user through a voice recognition module;
identifying control data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voice signal with reference to a memory; and
Controlling the immersive learning content output by the display module according to the control data
How to provide realistic learning content.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를 참조하여 상기 수신된 음성 신호에 대응하는 제어 데이터를 식별하는 단계는
상기 메모리를 참조하여 상기 수신된 음성 신호에 대응하는 문자 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된 문자 데이터에 대응하는 제어 데이터를 식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실감형 학습 콘텐츠 제공 방법.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step of identifying control data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voice signal with reference to the memory comprises:
extracting text data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voice signal with reference to the memory;
identifying control data corresponding to the extracted text data
How to provide realistic learning content.
KR1020190167622A 2019-12-16 2019-12-16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immersive learning content through voice recognition KR20210076431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7622A KR20210076431A (en) 2019-12-16 2019-12-16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immersive learning content through voice recogni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7622A KR20210076431A (en) 2019-12-16 2019-12-16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immersive learning content through voice recognit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6431A true KR20210076431A (en) 2021-06-24

Family

ID=766070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7622A KR20210076431A (en) 2019-12-16 2019-12-16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immersive learning content through voice recogni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76431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45453A (en) * 2021-09-28 2023-04-04 주식회사 피앤씨솔루션 Head-mounted display apparatus that supports program-dependent voice commands and program-dependent voice commands cupport methof for head-mounted display apparatu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45453A (en) * 2021-09-28 2023-04-04 주식회사 피앤씨솔루션 Head-mounted display apparatus that supports program-dependent voice commands and program-dependent voice commands cupport methof for head-mounted display apparatus
WO2023054827A1 (en) * 2021-09-28 2023-04-06 주식회사 피앤씨솔루션 Head-mounted display device supporting voice command dependent on program, and method for supporting voice command dependent on program, for head-mounted display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chmalstieg et al. Augmented reality: principles and practice
Chavan Augmented Reality Vs Virtual Reality: Differences and Similarities
US20180197345A1 (en) Augmented reality technology-based handheld viewing device and method thereof
US20180253892A1 (en) Eye image generation method and apparatus
JP6683864B1 (en) Content control system, content control method, and content control program
Pope Introduction to virtual and augmented reality
KR20120113058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utoring in the fusion space of real and virtual environment
Kurzweil How my predictions are faring
Bolas et al. Open virtual reality
KR20210076432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immersive learning content through text recognition
KR20210076431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immersive learning content through voice recognition
Reichenbach Losing time and space: experiencing immersion
KR20200011795A (en) Quiz creation system and method for language learning
Clemens et al. Augmented Education: How can augmented reality be incorporated into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to help K-12 students?
JP6892478B2 (en) Content control systems, content control methods, and content control programs
Egusa et al. Development of an interactive puppet show system for the hearing-impaired people
JP2021009351A (en) Content control system, content control method, and content control program
Smith Imagine the possibilities: bringing poster sessions to life through augmented reality
Mostafa et al. Smart educational game based on augmented reality
Champion et al. Augmenting the present with the past
Huang Virtual reality/augmented reality technology: the next chapter of human-computer interaction
US10139780B2 (en) Motion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Abd Karim The future of AR and VR technology in a mobile learning environment
Camilleri Augmented Reality in Cultural Heritage: Designing for Mobile AR User Experiences
Wai et al. Interactive Objects for Augmented Reality by Using Oculus Rift and Motion Sens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