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75711A - Wireless broadcasting system - Google Patents

Wireless broadcasting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75711A
KR20210075711A KR1020190167106A KR20190167106A KR20210075711A KR 20210075711 A KR20210075711 A KR 20210075711A KR 1020190167106 A KR1020190167106 A KR 1020190167106A KR 20190167106 A KR20190167106 A KR 20190167106A KR 20210075711 A KR20210075711 A KR 202100757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oadcast content
transmitter
broadcasting system
broadcast
raspber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710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최한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원포인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원포인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원포인트
Priority to KR10201901671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75711A/en
Publication of KR202100757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5711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53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 H04H20/59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for emergency or urgenc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44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circuits 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broadcast
    • H04H20/46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circuits 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broadcast specially adapted for broadcast systems covered by groups H04H20/53-H04H20/95
    • H04H20/47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circuits 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broadcast specially adapted for broadcast systems covered by groups H04H20/53-H04H20/95 specially adapted for stereophonic broadcast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53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 H04H20/61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for local area broadcast, e.g. instore broadca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65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ransmission systems for broadcast
    • H04H20/71Wireless systems
    • H04H20/72Wireless systems of terrestrial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ircuits Of Receivers In General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reless broadcasting system. The wireless broadcasting system, which receives broadcast content from a manager and transmits the same to a remote place, includes: a transmitting part receiving the broadcast content and outputting the same in frequency bands of 400MHz and 900MHz to process the broadcast content as a wireless signal and digitize the same to transmit the same; a receiving part receiving the broadcast content transmitted from the transmitting part, and including a storage part pre-storing a sound in accordance with the broadcast content; and a speaker outputting the broadcast content received from the receiving part as a vo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wireless broadcasting system using a 400MHz & 900MHz dual band is the best solution because it is convenient to operate and easy to maintain, and can completely solve problems of a system currently in operation, enabling broadcasting with a self-power source in case of a power failure caused by a disaster.

Description

무선 방송시스템 {Wireless broadcasting system}Wireless broadcasting system {Wireless broadcasting system}

본 발명은 무선방송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400Mhz 이상 단독대역 및 900Mhz 이상의 단독대역 범위 기반의 자연적 또는 사회적 재난 재해emdr과 같은 방송내용을 송출하는 무선 방송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reless broadcasting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 wireless broadcasting system that transmits broadcasting contents such as natural or social disaster disaster emdr based on a single band of 400Mhz or more and a single band of 900Mhz or more.

통상적으로 재난방송은 재난, 재해 상황에서 정확한 정보를 신속하게 전달해야 한다. 피해자와 일반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효과적으로 제공하여 궁극적으로는 그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어야 한다.In general, disaster broadcasting should deliver accurate information promptly in disasters and disaster situations. Ultimately, it should be possible to minimize the damage by effectively providing the information necessary to protect the lives and property of victims and the general public.

현재, 시/군/구에서 사용 중인 확성기 전용시스템은 평시 및 재난 시, 난청 가구의 발생, 기상 여건에 따른 스피커선의 단선 등 여러 가지 문제점으로 인하여 운영상의 어려움이 상존해 있는 상태이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의 필요성이 제기되었으나 적절한 대책이 수립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Currently, loudspeaker-only systems in use in cities/guns/gus have operational difficulties due to various problems such as the occurrence of hearing loss households and disconnection of speaker wires according to weather conditions during normal times and disasters. The need for a method to solve such a problem has been raised, but an appropriate countermeasure has not been established.

따라서, 현재의 재난방송 체계로는 정보의 최신성과 정확성, 피해 예방성 그 어느 것도 성공적으로 달성하기 어려우므로 앞으로 재난, 재해가 더욱 복잡하고 빈번해질 전망이어서 재난방송 체계의 신속한 정비가 필요한 상황이다Therefore, with the current disaster broadcasting system, it is difficult to successfully achieve any of the up-to-dateness, accuracy, and damage prevention of information, so disasters and disasters are expected to become more complex and frequent in the future.

특히, 2.4GHz를 메인주파수로 사용하는 방식은 음성이나 정보데이터보다 미디어데이터(영상, 대용량 데이터등)를 송, 수신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400MHz대와 900MHz대의 저주파수 대역을 이용하여 음성데이터를 보내는 기술은 아직 미진하다. In particular, the method using 2.4 GHz as the main frequency transmits and receives media data (video, large-capacity data, etc.) rather than voice or information data, and transmits voice data using low frequency bands of 400 MHz and 900 MHz. The technology is still immature.

또한, 기존의 400MHz 대역과 900MHz 대역을 듀얼로 사용하는 기술은 아직 개발되지 않았으며, 상기 400MHz대와 900MHz대 각각의 주파수를 이용한 특허기술의 대부분은 음성데이터보다는 통신데이터를 주로 사용하며, 재난안내 방송시스템에 사용 중인 기술도 존재하지 않는다. In addition, the technology that uses the existing 400MHz band and 900MHz band dually has not yet been developed, and most of the patented technologies using the respective frequencies of the 400MHz and 900MHz bands mainly use communication data rather than voice data, and disaster guidance There is no technology in use in the broadcasting system either.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2013-0093835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2013-0093835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2011-0062375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2011-0062375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2009-0074633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2009-0074633

따라서, 본 발명은 400MHz와 900MHz의 듀얼밴드 대역을 이용한 시스템으로서, 작동성이 우수하고 유지 보수가 용이하며 재난 등으로 인한 정전이 발생시, 자체 전원을 이용한 방송 등이 가능한 방송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a system using a dual band band of 400 MHz and 900 MHz, which has excellent operability, is easy to maintain, and can provide a broadcasting system capable of broadcasting using its own power source in the event of a power outage due to a disaster, etc. aim to

또한, 높은 동조화와 고효율의 전파 특성, 긴 전파 도달거리, 우수한 회절성 등을 가진 무선 방송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ireless broadcasting system having high synchronization and high-efficiency propagation characteristics, a long radio wave reach, and excellent diffraction properties.

또한, 이용자의 편의를 위하여 터치스크린을 적용하고 방송된 내용도 저장이 가능한 라즈베리파이(Raspberry-pi)를 사용하여 원가 및 기능이 혁신적으로 개선된 무선 방송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In addition, it aims to provide a wireless broadcasting system with innovatively improved cost and function by using a Raspberry-pi that applies a touch screen for user convenience and can store broadcast contents.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관리자로부터 방송 내용을 수신하고, 상기 방송 내용을 원격지로 송신하는 무선 방송시스템에 있어서,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wireless broadcasting system for receiving broadcast content from an administrator and transmitting the broadcast content to a remote location,

상기 방송내용을 수신하여 400MHz의 주파수와 900MHz의 주파수 대역으로 출력하여 상기 방송내용을 무선신호를 처리하여 디지털로 전환하여 전송하는 송신부와 상기 송신부에서 송출되는 방송 내용을 수신하며, 상기 방송내용에 따른 사운드를 미리 저장하는 있는 저장부를 포함하는 수신부 및 상기 수신부에서 수신된 방송내용을 음성으로 출력하는 스피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transmitter that receives the broadcast content, outputs it in a frequency band of 400 MHz and a frequency band of 900 MHz, processes the radio signal, converts the broadcast content to digital, and transmits, and receives the broadcast content transmitted from the transmitter, according to the broadcast content.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receiving unit including a storage unit for storing the sound in advance, and a speaker for outputting the broadcast contents received in the receiving unit as a voice.

또한, 상기 송신부는 라즈베리파이와 오디오에서 디지털 데이터 스트림을 부호화하거나 복호화하여 상기 라즈베리파이에 전달하는 오디오 코덱과 방송 채널을 선택할 수 있도록 상기 송신부 표면에 형성된 터치스크린과 상기 라즈베리파이에서 방송내용을 송신하여 상기 안테나에 전송하는 USN용 RF모듈과 상기 송신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transmitter encodes or decodes a digital data stream from the Raspberry Pi and audio, and transmits broadcast contents from the touch screen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transmitter and the Raspberry Pi so that an audio codec and a broadcast channel to be transmitted to the Raspberry Pi can be selected.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mposed of an RF module for USN that transmits to the antenna and a power supply unit for supplying power to the transmitter.

또한, 상기 라즈베리파이는 상기 오디오의 신호를 디지털화하여 메세지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Raspberry Pi digitizes the audio signal and transmits it as a message.

그리고, 상기 송신부는 방송내용을 재청취하고자 하는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송신부에서 해당하는 상기 수신부에 직접 재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nd, when a request for re-listening of broadcast content is received by the transmitter, the transmitter directly retransmits the request to the corresponding receiver.

그리고, 상기 송신부는 중계모드와 송수신모드를 전환시키는 전환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nd, the transmitter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changeover switch for switching the relay mode and the transmission/reception mode.

따라서, 본 발명은 실외 스피커의 단점을 보완할 수 있으며, 터치스크린 방식을 적용하여 작동이 간편하고 유지 보수가 용이하며, 다양한 부가 기능 등으로 인해 활용성이 광범위하고 우수한 무선 방송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can supplement the disadvantages of the outdoor speaker, and by applying the touch screen method, it is easy to operate and easy to maintain, and it is possible to provide a wireless broadcasting system with a wide range and excellent usability due to various additional functions. it has an effect.

도 1은 본 발명에 무선 방송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사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무선 방송시스템의 구성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송신부의 블록도.
도 4는 오디오코덱의 설정 순서와 절차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RF모듈의 사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무선방송시스템의 운용방법의 순서도.
1 is a photograph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wireless broadcast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of a wireless broadcast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block diagram of a transmit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diagram showing the setting procedure and procedure of an audio codec.
5 is a photograph of an RF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flowchart of a method for operating a wireless broadcast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가 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First,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the components of each drawing,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components are give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much as possible even though they are marked on different drawings.

또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In addition,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또한,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며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도 의미하는 것임을 미리 밝혀두고자 한다. In addition, since 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it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ingular expression means a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we want to leave

이하에서는 도면을 첨부하여 본 발명에 의한 양호한 실시예를 설명하고자 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무선 방송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사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무선 방송시스템의 구성 블록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송신부의 블록도이고, 도 4는 오디오코덱의 설정 순서와 절차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RF모듈의 사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무선방송시스템의 운용방법의 순서도이다. 1 is a photograph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wireless broadcast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configuration block diagram of a wireless broadcast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block diagram of a transmit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sequence and procedure diagram of an audio codec, FIG. 5 is a picture of an RF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 flowchart of a method of operating a wireless broadcast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대략적인 구성관계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사진에 나타난 바와 같이, 송신기와 수신부를 이용한 무선방송 시스템의 구축은An approximate configuration relationship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 . As shown in the picture, the construction of a wireless broadcasting system using a transmitter and a receiver is

첫번째로, 마을방송(가가호호 형)의 형식으로 집안에 설치된 무선 스피커를 통해 공지사항, 재난상황, 영농정보 등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음성으로 전달하는 방송장치가 있다. First, there is a broadcasting device that quickly and accurately delivers announcements, disaster situations, farming information, etc. by voice through a wireless speaker installed in the house in the form of a village broadcasting (house to house type).

두번째로, 마을방송, 공원, 유원지, 위락지 등(확성기 형)의 형식으로 집중호우, 강풍 등의 재난재해 시 자동으로 예보, 경보 방송기능을 갖춘 재난재해 예보 또는 경보 시스템으로 무선 증폭(디지털) 스피커를 곳곳에 설치하여 미아 찾기, 분실물 보관 등의 안내방송에 활용하며, 설치와 이동이 편리하다는 장점이 있다.Second, in the form of village broadcasting, parks, amusement parks, amusement parks, etc. (loudphone type), in case of disasters such as heavy rain and strong winds, it is wirelessly amplified (digital) as a disaster disaster forecasting or warning system with automatic forecasting and warning broadcasting functions By installing speakers in various places, it is used for announcements such as finding lost children and storing lost items, and has the advantage of being convenient to install and move.

세번째로, 학교와 관공서 분리 방송 시스템으로서, 전체 방송, 그룹별 방송, 개별 방송, 실내 방송, 실외 방송 등 어떤 형태로의 방송도 가능한 시스템이 있다.Third, as a separate broadcasting system for schools and government offices, there is a system capable of broadcasting in any form, such as all broadcasting, group broadcasting, individual broadcasting, indoor broadcasting, and outdoor broadcasting.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무선 방송시스템(100)의 구성 블록도인데, 도면을 보면 주로 공공장소에 배치되어 관리자로부터 방송 내용을 수신하고, 상기 방송 내용을 디지털 변조하여 상기 방송 내용을 원격지로 송신하는 무선 방송시스템(100)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2 is a block diagram of a wireless broadcasting system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the drawing, it is mainly arranged in a public place to receive broadcast content from an administrator, and digitally modulates the broadcast content to transmit the broadcast content to a remote location. It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the wireless broadcasting system 100.

따라서, 전체적인 구성은 크게 송신부(10)와 수신부(20), 그리고 스피커(30)로 크게 구성된다. Accordingly, the overall configuration is largely composed of a transmitter 10 , a receiver 20 , and a speaker 30 .

송신부(10)는 방송되는 내용을 수신하여 400MHz의 주파수와 900MHz의 주파수 대역으로 출력하여 상기 방송내용을 무선신호를 처리하여 디지털로 전환하여 전송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The transmitter 10 receives the broadcast content and outputs it in a frequency band of 400 MHz and 900 MHz, and processes the radio signal to convert the broadcast content to digital and transmit it.

그리고, 이러한 방송내용을 송출하는 상기 송신부(10)로부터 내용을 수신하며, 상기 방송내용에 따른 사운드를 미리 저장하는 저장부(미도시)를 포함하는 수신부(20)가 형성된다. In addition, the receiving unit 20 including a storage unit (not shown) for receiving the contents from the transmitting unit 10 that transmits the broadcasting contents, and storing the sound according to the broadcasting contents in advance is formed.

다음으로, 상기 수신부(20)에서 수신된 방송내용을 음성으로 출력하는 스피커(30)가 형성된다.Next, a speaker 30 for outputting the broadcast contents received by the receiver 20 as voice is formed.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마을방송시스템(100)의 구성과 작동관계 및 효과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 3, the configuration, operation relationship and effects of the village broadcasting system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상기 송신부(10)는 수신부(20) 옥외방송장치(미도시)의 구성요소인 스피커(30)와 디지털 코드 인증 방식을 채택하여 상호 간의 혼신이 방지될 수 있다.The transmitter 10 adopts a digital code authentication method with the speaker 30, which is a component of the receiver 20 and an outdoor broadcasting device (not shown), so that interference with each other can be prevented.

상기 송신부(10)는 비상상황 코드 설정, 채널 설정, 컬러 코드 설정, 각 채널에 속하는 그룹 설정, 설정된 그룹 중 특정 그룹의 선택이 가능하다. The transmitter 10 can set an emergency code, set a channel, set a color code, set a group belonging to each channel, and select a specific group from among the set groups.

상기 채널 설정은 주파수 설정을 의미하는 것으로 통신을 위해서는 먼저 상기 수신부(20)와 채널을 일치시켜야 한다.The channel setting refers to frequency setting, and in order to communicate, the receiver 20 and the channel must first match.

또한, 송신부(10)는 디지털 코드로 변조 후 방송 내용을 송출하기 때문에 방송 데이터 패킷에 컬러 코드를 추가할 수 있다. 컬러 코드로 인해 주파수가 동일하거나 주파수 간섭 현상이 발생하더라도 혼신이 일어나지 않는다. In addition, since the transmitter 10 transmits broadcast content after modulation with a digital code, a color code may be added to the broadcast data packet. Because of the color code, there is no interference even if the frequency is the same or frequency interference occurs.

그리고, 상기 송신부(10)는 중계모드와 송수신모드를 전환시키는 전환스위치(미도시)가 포함된다.In addition, the transmitter 10 includes a changeover switch (not shown) for switching between a relay mode and a transmission/reception mode.

즉, 채널이 일치하더라도 컬러 코드가 다르면 방송이 수신되지 않기 때문에 동일한 컬러 코드를 사용해야 혼신이 발생되지 않는다.That is, even if the channels match, if the color codes are different, broadcasts are not received. Therefore, interference does not occur when the same color codes are used.

송신은 방송 내용이 수신됨과 동시에 자동적으로 이루어지는데 구체적으로, 송신부(10)는 방송 내용을 송신하는 USN(Ubiquitous Sensor Network)용 RF 통신모듈(16)이 내장되어 있다. (참고로, 상기 수신부(20)에도 역시 RF 통신모듈(16)이 내장된다.) Transmission is performed automatically as soon as the broadcast content is received. Specifically, the transmitter 10 has a built-in RF communication module 16 for USN (Ubiquitous Sensor Network) that transmits the broadcast content. (For reference, the RF communication module 16 is also built in the receiver 20.)

상기 RF 통신모듈(16)은 무선 주파수를 이용하는 광대역 통신 방식으로 음성 등의 정보를 빠른 전송 속도로 송출할 수 있다.The RF communication module 16 may transmit information, such as voice, at a high transmission rate in a broadband communication method using a radio frequency.

구체적으로, RF 통신모듈(16)은 안테나(15)를 통해 방송 내용을 송수신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RF communication module 16 may transmit/receive broadcast contents through the antenna 15 .

송신부(10)는 복수 개의 주파수 채널 중 혼신 방지를 위해 일부 채널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각 채널 당 복수 개의 특정 그룹을 설정하고 그 중 일부를 선택, 해제할 수 있다. The transmitter 10 may use only some of the plurality of frequency channels to prevent interference. In addition, a plurality of specific groups can be set for each channel, and some of them can be selected or deselected.

한편, 상기 송신부(10)는 RF 통신모듈(16)에서 수신한 데이터를 전송받아 이를 처리하는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한다. 이 때, 상기 송신부(10) 내부에서 교환 전송되는 데이터는 범용 비동기화 송수신을 통해 이루어진다. 즉, 병렬 데이터를 직렬 방식으로 전환하여 비동기 통신 방식으로 데이터를 주고 받는 것이다.Meanwhile, the transmitter 10 includes a controller (not shown) that receives data received from the RF communication module 16 and processes it. At this time, the data exchanged and transmitted inside the transmitter 10 is performed through general-purpose asynchronous transmission/reception. In other words, it converts parallel data to a serial method to send and receive data in an asynchronous communication method.

비상상황 종류 코드는 글자 그대로인 비상상황의 종류로서 즉, 전쟁, 태풍, 방사능 유출 등의 재난상황을 특정하는 코드이다. 송신부(10)는 비상상황 코드를 설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비상상황 종류 코드를 수신부(20) 및 스피커(30)로 송출할 수 있다.The emergency situation type code is a literal type of emergency situation, that is, a code that specifies a disaster situation such as war, typhoon, and radiation leakage. The transmitter 10 may not only set an emergency code, but also transmit the emergency type code to the receiver 20 and the speaker 30 .

다시 도면을 참조하면, 송신부(10)에는 상기 송신부(10)에 속해있는 구성부 전체를 제어하는 마치, 중앙제어장치와도 같은 역할을 하는 라즈베리파이(Raspberry Pi)(11)가 형성된다.Referring back to the drawing, the transmission unit 10 includes a Raspberry Pi 11 that controls all of the components included in the transmission unit 10 , as if it functions as a central control unit.

상기 라즈베리파이(Raspberry Pi)(11)는 초소형 컴퓨터의 기능을 하는 것으로서, 리눅스 운영체계로 상기 라즈베리파이(11)에 외부 스위치나 센서(미도시)등을 추가하여 전송되는 메시지를 제어할수 있다. 또한, 방송된 내용도 재저장이 가능하다. The Raspberry Pi 11 functions as a miniature computer, and can control messages transmitted by adding an external switch or sensor (not shown) to the Raspberry Pi 11 as a Linux operating system.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restore the broadcast content.

또한, 상기 라즈베리파이(11)는 상기 오디오(12)의 신호를 디지털화하여 메세지 형태로 전송할 수 있는 것이다. In addition, the Raspberry Pi 11 can digitize the signal of the audio 12 and transmit it in the form of a message.

그리고, 오디오(12)에서 디지털 데이터 스트림을 부호화하거나 복호화하여 상기 라즈베리파이(11)에 전달하는 오디오 코덱(13)이 형성되어 있다. In addition, an audio codec 13 is formed that encodes or decodes a digital data stream from the audio 12 and transmits it to the Raspberry Pi 11 .

상기 오디오 코덱(13)은 음성압축을 하는 데 있어서, 파형 압축방식을 응용하여 사용하는 PCM(Pulse-code modulation)코덱으로서, 아날로그 음성을 원음그대로 ADC(Analog to Digital Converter) 처리하고 압축된 음성데이터를 원음에 가까도록 DAC(Digital to Analog Converter) 처리한다. The audio codec 13 is a PCM (pulse-code modulation) codec used by applying a waveform compression method in audio compression. It processes analog audio as it is in the original sound by ADC (Analog to Digital Converter) and compresses the audio data. DAC (Digital to Analog Converter) processing to be close to the original sound.

상기 오디오코덱(13)의 설정 순서와 절차는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으며, The setting sequence and procedure of the audio codec 13 are as shown in FIG. 4,

먼저, 소프트웨어를 리셋하는 단계와 클락 분배기에서 PLL회로(미도시)와 인터페이스하는 단계와 프로세싱 블록(미도시)이나 미니DSP(Digital Signal Processing: 미도시)를 이용하여 형성화시키는 단계와 전원을 공급하고 전력을 조율하여 형성화시키는 단계와 TX(송신기)채널에 접속하여 송출하는 단계와 RX(수신기) 채널에 접속하여 송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First, the step of resetting the software, the step of interfacing with the PLL circuit (not shown) in the clock divider, the step of forming using a processing block (not shown) or mini DSP (Digital Signal Processing: not shown) and supplying power It includes the step of forming power by tuning, the step of transmitting by connecting to a TX (transmitter) channel, and the step of connecting and transmitting through the RX (receiver) channel.

따라서, 프로그램 가능한 위상동기회로인 PLL(Phase Locked Loop)회로를 채용함으로서, 노이즈가 방지되고 보다 유동적인 오디오 세팅이 가능한 것이다. Therefore, by adopting a PLL (Phase Locked Loop) circuit, which is a programmable phase-locked circuit, noise is prevented and more flexible audio settings are possible.

마이크(미도시)로부터 받아들인 오디오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ADC와 디지털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DAC 모듈(미도시)이 장착되어 있으며, 오디오 신호의 증폭률을 일정하게 유지해 주면서 AGC(Automatic Gain Control)기능을 지원한다. ADC that converts the audio signal received from the microphone (not shown) into a digital signal and a DAC module (not shown) that converts the digital signal into an analog signal are equipped. control) function.

방송 채널을 손쉽게 선택할 수 있도록 상기 송신부(10)의 표면에 형성된 터치스크린(14)이 형성된다. 상기 터치스크린(14)의 형성으로 간편한 사용이 가능하다. A touch screen 14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transmitter 10 is formed so that a broadcast channel can be easily selected. Simple use is possible by forming the touch screen 14 .

상기 라즈베리파이(11)에서 방송내용을 송신하여 상기 안테나(15)에 전송하는 USN용 RF모듈(16)이 형성되어 있다. (도 5 참조) An RF module 16 for USN that transmits broadcast contents from the Raspberry Pi 11 and transmits it to the antenna 15 is formed. (See Fig. 5)

상기 RF모듈(16)은 400MHz와 900MHz 대역의 듀얼 밴드를 채용하고 있는데, 일반적인 방송시스템이 구현하는 것이 2.4GHz의 높은 주파수를 사용하는 것과는 달리 비교적 낮은 400MHz과 900MHz를 사용하여, 아주 원(遠)거리에도 방송의 송출(送出)이 가능한 장점이 있는 것이다. 즉, 낮은 주파수를 가질수록 전파의 범위가 넓어진다는 점으로서, 이를 더욱 자세히 설명하면, 900MHz일 경우에는 5~10km의 범위까지 청취가 가능하며, 400MHz일 경우에는 10km 이상의 먼 거리에서도 청취할수 있다. The RF module 16 employs a dual band of 400 MHz and 900 MHz bands, and uses relatively low 400 MHz and 900 MHz, unlike the high frequency of 2.4 GHz, which is implemented by a general broadcasting system, which is very simple.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broadcast broadcasts even on the street. That is, the lower the frequency, the wider the range of radio waves. To explain this in more detail, in the case of 900 MHz, it is possible to listen to a range of 5 to 10 km, and in the case of 400 MHz, it is possible to listen at a distance of 10 km or more.

이와 같이, 상기 RF모듈(16)은 정격출력 10mW, 25mW, 200mW급으로 50m~ 10Km 안팎의 장거리 무선통신까지 가능한 Module 개발로 의료, 산업, 교통, 자연재해 사전 감지 등 분야별 다양하게 사용이 가능한 특징이 있다. As such, the RF module 16 has a rated output of 10 mW, 25 mW, and 200 mW, and it can be used in various fields such as medical, industrial, transportation, and natural disaster detection in advance by developing a module capable of long-distance wireless communication of about 50 m to 10 km. There is this.

또한, 상기 RF모듈(16)은 산업현장의 기계 상태나 생산의 흐름 등의 관찰이 가능하여 교량의 기울기를 측정하여 교량이 무너지는 것을 사전 모니터링하며, 산림의 나무를 관찰하여 산불을 감지하고, 환자의 건강상태를 실시간 파악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RF module 16 is capable of observing the state of machinery in the industrial site or the flow of production, measuring the slope of the bridge to monitor the bridge collapse in advance, observing the trees in the forest to detect a forest fire, The patient's health status can also be monitored in real time.

더 나아가, 스마트빌딩, 전자검침, 물품분실방지, 반려동물 케어 등등 일상생활 속 다양한 ‘4차 산업혁명 IoT제품’에도 다목적으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낮은 전력 소모량을 자랑하는 저 소비전력 방식으로 설계되어 배터리 수명이 수년간 지속되는 장점도 있다.Furthermore, it can be usefully used for a variety of '4th Industrial Revolution IoT products' in daily life, such as smart buildings, electronic meter reading, product loss prevention, and companion animal care. In addition, it is designed in a low power consumption method boasting a low power consumption, so it has the advantage of lasting several years of battery life.

그리고, 상기 송신부(10) 전체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17: Power supply)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전원공급부(17)는 전력을 이용하는 것이 일반적이기는 하지만 정전시에도 사용하도록 자체 발전기를 설치할수도 있으며, 배터리를 통한 충전으로 비상시 이용이 가능한 것이다. And, it is composed of a power supply unit (17: Power supply) for supplying power to the entire transmission unit (10). Although it is common to use electric power, the power supply unit 17 may have its own generator installed to be used even during a power outage, and can be used in an emergency by charging through a battery.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수신부(20)는 상기 송신부(10)로부터 방송내용을 수신하는 것으로, 내부에 RF 모듈(16)이 형성된다. The receiver 20 shown in FIG. 3 receives broadcast contents from the transmitter 10, and the RF module 16 is formed therein.

상기 수신부(20)는 무선 대형확성기(미도시)와 소형수신부(미도시)를 통해 넓은 장소 및 실내에서 동시 청취가 가능하도록 하였으며, 내장 리튬 배터리, 충전장치, 태양열 발전기능으로 정전 시에도 방송 가능하다.The receiver 20 enables simultaneous listening in a wide place and indoors through a wireless large loudspeaker (not shown) and a small receiver (not shown), and can broadcast even during a power outage with a built-in lithium battery, charging device, and solar power generation function Do.

또한, 수신부(20)에서 배터리의 충전 상태, 수신감도의 상태 등을 상기 송신부(10)에 전송 가능하다. In addition, the receiving unit 20 may transmit the state of charge of the battery, the state of the reception sensitivity, and the like to the transmitting unit 10 .

그리고, 상기 송신부(10)는 방송내용을 재청취하고자 하는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송신부(10)에서 해당하는 수신부(20)에 직접 재송신한다. 즉, 방송을 청취하지 못하였을 경우, 상기 수신부(20)에 재전송을 하라는 내용이 있으면 스피커(30)로 재출력된다. 그러므로, 방송내용을 청취하지 못하였을 경우, 재청취가 가능한 것이다. And, when a request to re-listen to the broadcast content is received, the transmitter 10 directly retransmits the request from the transmitter 10 to the corresponding receiver 20 . That is, when the broadcast cannot be listened to, if there is a request for retransmission to the receiver 20 , it is re-outputted to the speaker 30 . Therefore, if the contents of the broadcast cannot be heard, it is possible to re-listen.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마을방송시스템(100)은 설치가 용이하며, 설비공사 및 유지보수 비용의 대폭 절감효과도 있으며, 다양한 무선시스템으로의 적용에 대한 유연성과 네트워크의 확장성의 용이함은 물론이고, 원격을 통한 관리 및 운영의 용이함을 도모할 수 있는 것이다. Accordingly, the village broadcasting system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easy to install, has a significant effect of reducing facility construction and maintenance costs, flexibility for application to various wireless systems, and ease of network scalability, It is possible to promote the ease of management and operation through remote control.

또한, 행정관청이나 마을이장 등 전국 어디서나 유.무선 전화기를 이용하여 방송 가능하며, 산이나 들에선 옥외 무선 스피커, 가정에선 가정용 수신기를 통하여 청취 가능하며, 방송된 내용이 자동으로 녹음되어 있어 귀가 후 재 청취가 가능한 효과도 있는 것이다. In addition, broadcasting is possible using wired or wireless telephones anywhere in the country, such as administrative offices or village heads, and it is possible to listen through outdoor wireless speakers in mountains and fields, and home receivers at home. There is also the effect of being able to listen again.

이하에서는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무선방송시스템(100)의 운용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n operating method of the wireless broadcasting system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6 .

무선방송시스템(100)의 제어방법은 도시된 대로 수신하는 단계(s10), 변환하는 단계(s20), 저장하는 단계(s30), 재생하는 단계(s40)를 포함한다. The control method of the wireless broadcasting system 100 includes a receiving step (s10), a converting step (s20), a storing step (s30), and a reproducing step (s40) as shown.

구체적으로, 마을방송시스템(100)의 구성요소인 송신부(10)는 내장되어 있는 라즈베리파이(11)를 통해 방송 내용을 수신하면 이를 저장할 수 있고, 추후 재생 버튼을 눌러 방송 내용을 재청취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transmitter 10, which is a component of the village broadcasting system 100, can store the broadcast content when it receives the broadcast content through the built-in Raspberry Pi 11, and press the play button later to listen to the broadcast content again. .

수신하는 단계(s10)는 송신부(10)에 배치되는 라즈베리파이(11)를 통해 수신부(20)에 송출되는 방송내용을 수신하는 단계이다. 방송내용은 압축과 비압축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상태로 수신된다.The receiving step (s10) is a step of receiving broadcast contents transmitted to the receiver 20 through the Raspberry Pi 11 disposed in the transmitter 10 . Broadcast content is received in any one state selected from compressed and uncompressed.

그 다음, 변환하는 단계(s20)는 방송 내용을 오디오코덱(16)으로 전송하여 디지털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는 단계이다. 방송 내용이 압축된 상태로 송출된 경우 먼저 이를 해제한 후 디지털 오디오신호로 변환한다.Next, the converting step (s20) is a step of converting the broadcast content into a digital audio signal by transmitting the broadcast content to the audio codec 16. When broadcast content is transmitted in a compressed state, it is first released and then converted into a digital audio signal.

다음으로, 저장하는 단계(s30)는 상기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라즈베리파이(11)로 전송하여 저장하는 단계이다. Next, the storing step (s30) is a step of transmitting and storing the digital audio signal to the Raspberry Pi 11 .

즉, 송신부(10)를 제어하는 라즈베리파이(11)는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내부 자체의 메모리(미도시)로 즉시 전송한다. 그 결과, 디지털 오디오신호가 바로 디지털 방식으로 저장될 수 있어 음질이 저하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That is, the Raspberry Pi 11 controlling the transmitter 10 immediately transmits the digital audio signal to its internal memory (not shown). As a result, the digital audio signal can be directly stored in a digital manner, thereby preventing the deterioration of sound quality.

이는 종래 무선 방송시스템의 일반적인 기술이 디지털 오디오 신호가 아이씨칩(IC Chip)에서 코덱(codec)으로 전송됨에 따라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로 변환된 이후 씨피유(CPU)가 다시 이를 아날로그 디지털 컨버터(미도시)를 이용하여 디지털 신호로 재변환하여 메모리부에 저장하던 방법을 개선한다.This is because the general technology of the conventional wireless broadcasting system converts the digital audio signal into an analog audio signal as it is transmitted from the IC chip to the codec, and then the CPU converts it back to an analog-to-digital converter (not shown). It improves the method of reconverting the digital signal by using it and storing it in the memory unit.

저장하는 단계(s30)는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오디오 압축 파일 형식으로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장 파일은 mp3, mp4 등의 파일 확장자를 갖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장하는 단계에서 오디오 압축 파일에 수신된 날짜 및 시간을 기록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이는 방송 내용을 재생할 때, 방송 내용이 수신된 때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In the storing step (s30), the digital audio signal may be stored in an audio compressed file format. For example, the storage file may have a file extension such as mp3 or mp4. In addition, in the storing step, the received date and time may be recorded and stored in the audio compressed file. This provides information about when the broadcast content is received when the broadcast content is reproduced.

그 다음, 재생하는 단계(s40)는 송신부(10)에 배치되는 재생 버튼을 눌러 방송 내용을 재청취하는 단계이다. 이는 거주자가 부재중으로 인해 방송 내용을 실시간 청취하지 못한 경우 다시 청취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Next, the reproducing step (s40) is a step of re-listening the broadcast content by pressing the replay button disposed on the transmitter 10 . This provides an opportunity for residents to listen to the broadcast again in case it was not able to listen to the broadcast in real time due to absence.

구체적으로, 재생하는 단계(s40)는 저장된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수신부(20)에게 직접 재전송하는 단계(s42)를 포함한다. 이것은 송신부(10)의 라즈베리파이(11)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송신부(10)는 방송 내용을 재청취하고자 하는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송신부(10)에서 해당하는 상기 수신부(20)에 직접 재송신하는 것이다. Specifically, the reproducing step (s40) includes a step (s42) of directly retransmitting the stored digital audio signal to the receiving unit 20 . This is done by the Raspberry Pi 11 of the transmitter 10, and when a request to re-listen to the broadcast content is received, the transmitter 10 directly retransmits to the receiver 20 corresponding to the transmitter 10. will be.

상기 재전송하는 단계(s42) 이후에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오디오코덱(13)으로 라즈베리파이(11)로 전송하여 그 내용을 안테나(15)를 통해 수신부(20)에 전송하고 스피커(30)를 통해 출력하는 단계(s44)를 더 포함한다. After the retransmission step (s42), the digital audio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Raspberry Pi 11 through the audio codec 13, the contents are transmitted to the receiver 20 through the antenna 15, and output through the speaker 30 It further includes a step (s44) of doing.

즉, 수신된 방송 내용은 디지털 오디오 신호로 변환된 이후 그 상태로 라즈베리파이(11)의 메모리에 저장되고, 재생할 때 상기 오디오 코덱(13)에서 비로소 디지털 오디오 신호에서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로 변환되게 된다.That is, the received broadcast content is converted into a digital audio signal and then stored in the memory of the Raspberry Pi 11 in that state, and when reproduced, the audio codec 13 converts the digital audio signal into an analog audio signal only.

그 다음, 오디오코덱(13)에서 변환된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수신부(20)를 통해 앰프(미도시) 또는 스피커(30)를 통해 출력시키는 것이다.Next, the analog audio signal converted by the audio codec 13 is outputted through the amplifier (not shown) or the speaker 30 through the receiver 20 .

이상에서와 같은 내용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기 기술한 실시 예는 예시된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as described above will understand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appended claims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 concept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o.

10 : 송신부
11 : 라즈베리파이
12 : 오디오
13 : 오디오 코덱
14 : 터치스크린
15 : 안테나
16 : RF모듈
17 : 전원공급부
20 : 수신부
30 : 스피커
100 : 무선 방송시스템
10: transmitter
11: Raspberry Pi
12: Audio
13: Audio Codec
14: touch screen
15: antenna
16: RF module
17: power supply
20: receiver
30: speaker
100: wireless broadcasting system

Claims (4)

관리자로부터 방송 내용을 수신하고, 상기 방송 내용을 원격지로 송신하는 무선 방송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방송내용을 수신하여 400MHz의 주파수와 900MHz의 주파수 대역으로 출력하여 상기 방송내용을 무선신호를 처리하여 디지털로 전환하여 전송하는 송신부; 상기 송신부에서 송출되는 방송 내용을 수신하며, 상기 방송내용에 따른 사운드를 미리 저장하는 있는 저장부를 포함하는 수신부; 및
상기 수신부에서 수신된 방송내용을 음성으로 출력하는 스피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방송시스템.
A wireless broadcasting system for receiving broadcast content from a manager and transmitting the broadcast content to a remote location, the wireless broadcasting system comprising:
a transmitter for receiving the broadcast content, outputting the broadcast content in a frequency band of 400 MHz and 900 MHz, processing the radio signal, converting the broadcast content to digital, and transmitting; a receiving unit including a storage unit for receiving broadcast contents transmitted from the transmitting unit and storing in advance sound according to the broadcast contents; and
and a speaker for outputting the broadcast contents received by the receiver as vo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부는
라즈베리파이;
오디오에서 디지털 데이터 스트림을 부호화하거나 복호화하여 상기 라즈베리파이에 전달하는 오디오 코덱;
방송 채널을 선택할 수 있도록 상기 송신부 표면에 형성된 터치스크린;
상기 라즈베리파이에서 방송내용을 송신하여 안테나에 전송하는 USN용 RF모듈;
상기 송신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방송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transmitter
Raspberry Pi;
an audio codec that encodes or decodes a digital data stream from audio and transmits it to the Raspberry Pi;
a touch screen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transmitter to select a broadcast channel;
an RF module for USN for transmitting broadcast contents from the Raspberry Pi to an antenna;
and a power supply unit for supplying power to the transmitting unit.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라즈베리파이는 상기 오디오의 신호를 디지털화하여 메세지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방송시스템.
3. The method of claim 1 or 2,
The Raspberry Pi digitizes the audio signal and transmits it as a messag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부는 방송내용을 재청취하고자 하는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송신부에서 해당하는 상기 수신부에 직접 재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방송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and the transmitter directly retransmits a request for re-listening to the broadcast content from the transmitter to the corresponding receiver when a request for re-listening is received.




KR1020190167106A 2019-12-13 2019-12-13 Wireless broadcasting system KR20210075711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7106A KR20210075711A (en) 2019-12-13 2019-12-13 Wireless broadcasting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7106A KR20210075711A (en) 2019-12-13 2019-12-13 Wireless broadcasting syste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5711A true KR20210075711A (en) 2021-06-23

Family

ID=765992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7106A KR20210075711A (en) 2019-12-13 2019-12-13 Wireless broadcasting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75711A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74633A (en) 2008-01-02 2009-07-07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Home wireless broadcasting system
KR20110062375A (en) 2009-12-03 2011-06-10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Transitive nn query processing method in the wireless broadcasting system
KR20130093835A (en) 2012-01-26 2013-08-23 주식회사 천일알에프 Repeater system of wireless broadcasting signal with digital signal processing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74633A (en) 2008-01-02 2009-07-07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Home wireless broadcasting system
KR20110062375A (en) 2009-12-03 2011-06-10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Transitive nn query processing method in the wireless broadcasting system
KR20130093835A (en) 2012-01-26 2013-08-23 주식회사 천일알에프 Repeater system of wireless broadcasting signal with digital signal processing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00188212A1 (en) Applications for a Two-Way Wireless Speaker System
CN102694584A (en) System for audio transmission via wireless network
KR20190023570A (en) Wireless village broadcasting system for disaster broadcasting
KR20130121394A (en) Remote announcing system using by walkietalkie
KR101987856B1 (en) Wireless village broadcasting system for disaster broadcasting
KR101163565B1 (en) Network system for remote control of village broadcasting
KR20210075711A (en) Wireless broadcasting system
CN201247516Y (en) Embedded air defense alarm
CN202978970U (en) Wireless broadcast apparatus
KR101563891B1 (en) Announcing apparatus using by walkietalkie and the control method thereof
CN205265751U (en) Cell -phone intelligence broadcasting system
KR101968202B1 (en) Real Time Alarm Broadcasting Apparatus Capable of Multi Transmission and Mtehod thereof
KR101563890B1 (en) Remote announcing system using by walkietalkie with improved crosstalk isolation and the control method thereof
CN202444603U (en) 2.4G S/PDIF (Sony/Philips Digital Interface) wireless earphone device of set-top box
KR20180015877A (en) Control method of receiving terminal used for wireless village broadcasting system
RU2416165C1 (en) Communication and monitoring system and radio station
CN208874553U (en) Radio receiver and active play system applied to active playback equipment
CN202093669U (en) Multimedia teaching equipment
KR101890763B1 (en) Digital wireless village broadcasting system for setting multi-channel to prevent interference
Auccapuri et al. Implementation of TSUNAMI Early Warning Receiver via the EWBS signal
CN207820253U (en) A kind of Radio Network System and wireless aps with voice broadcast function
CN220556517U (en) Emergency early warning terminal
CN211018836U (en) Intelligent broadcasting terminal and broadcasting system based on MSK and NB-IOT
CN210606615U (en) Text-to-speech broadcasting system
CN204442644U (en) A kind of natural calamity emergent broadcast wireless speake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