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74577A - Pressing Jig For Enhancing Adhesion of Welding Object - Google Patents

Pressing Jig For Enhancing Adhesion of Welding Objec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74577A
KR20210074577A KR1020190165386A KR20190165386A KR20210074577A KR 20210074577 A KR20210074577 A KR 20210074577A KR 1020190165386 A KR1020190165386 A KR 1020190165386A KR 20190165386 A KR20190165386 A KR 20190165386A KR 20210074577 A KR20210074577 A KR 202100745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ing
jig
electrode lead
fixed body
we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538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정훈
김동현
김현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Priority to KR10201901653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74577A/en
Publication of KR202100745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4577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4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 B23K37/0426Fixtures for other work
    • B23K37/0435Clamps
    • B23K37/0443Ji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essurizing jig capable of enhancing the adhesion of welding objects.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essurizing jig (200) for pressurizing an electrode lead (132) for welding the electrode lead (132) of a battery cell (130) on a bus bar (140). The pressing jig (200) comprises: a fixed body (210) with a first penetrating spear (211) for a welding laser to penetrate; a first pressurizing unit (220) placed under the fixed body (210) and including a horizontal unit (221) having a second penetrating spear (221'); a guide unit (230) connecting the fixed body (210) to the first pressurizing unit (220); and a second pressurizing unit (240) placed under the first pressurizing unit (220). The pressurizing jig is able to enhance the adhesion of the welding objects.

Description

용접 대상물들의 밀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가압 지그{Pressing Jig For Enhancing Adhesion of Welding Object}A pressing jig capable of improving the adhesion of welding objects {Pressing Jig For Enhancing Adhesion of Welding Object}

본 발명은 용접 대상물들의 밀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가압 지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서로 독립적으로 수직 이동이 가능한 복수개의 가압부를 구비함으로써 용접 대상물들의 밀착력을 향상시켜 용접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가압 지그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essing jig capable of improving the adhesion of welding objects, and more particularly, by providing a plurality of pressing parts capable of vertical movement independently of each other, thereby improving the adhesion of welding objects and improving welding quality. It's about the jig.

휴대폰, 노트북, 캠코더, 디지털 카메라 등 모바일 기기에 대한 기술 개발과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충방전이 가능한 이차전지에 관한 기술이 활발해지고 있다. 또한, 이차 전지는 대기오염 물질을 유발하는 화석 연료의 대체 에너지원으로, 전기 자동차(EV),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HEV),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P-HEV) 등에 적용되고 있어, 이차 전지에 대한 개발의 필요성이 갈수록 높아지고 있는 상황이다.As technology development and demand for mobile devices such as cell phones, laptops, camcorders, and digital cameras increase, technologies related to rechargeable batteries that can be charged and discharged are becoming active. In addition, secondary batteries are an alternative energy source for fossil fuels that cause air pollutants, and are being applied to electric vehicles (EVs), hybrid electric vehicles (HEVs), plug-in hybrid electric vehicles (P-HEVs), and the like. The need for development is increasing day by day.

현재 상용화된 이차 전지로는 니켈 카드뮴 전지, 니켈 수소 전지, 니켈 아연 전지, 리튬 이차 전지 등이 있는데, 이 중에서 리튬 이차 전지는 니켈 계열의 이차 전지에 비해 메모리 효과가 거의 일어나지 않아 충, 방전이 자유롭고, 자가 방전률이 매우 낮으며 에너지 밀도가 높은 장점으로 각광을 받고 있다.Currently commercialized secondary batteries include nickel cadmium batteries, nickel hydride batteries, nickel zinc batteries, and lithium secondary batteries. Among them, lithium secondary batteries have almost no memory effect compared to nickel-based secondary batteries, so charging and discharging are free and easy. , the self-discharge rate is very low and the energy density is high.

한편, 위와 같은 이차 전지가 전기자동차 등과 같이 대용량 및 고전압을 필요로 하는 디바이스에 사용될 시에는, 다수의 전지셀들이 배열된 구조의 전지 모듈 내지 전지 팩 등의 형태로 사용된다.Meanwhile, when the secondary battery as described above is used in a device requiring a large capacity and high voltage, such as an electric vehicle, it is used in the form of a battery module or battery pack having a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battery cells are arranged.

예를 들어, 전지 모듈은 다수개의 전지 셀들이 서로 직렬 및 병렬로 연결됨으로써 용량과 출력을 향상시키며, 이들 전지 셀들 간의 전기적 연결을 위하여 버스 바(Busbar)가 이용되며, 버스 바(Busbar)와 전지 셀의 리드들은 전기가 통하는 금속이기 때문에 통상 용접하는 방법으로 연결하고 있다.For example, in a battery module, a plurality of battery cells are connected in series and parallel to each other to improve capacity and output, and a bus bar is used for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se battery cells, and a bus bar and a battery are used. Since the leads of the cell are metal that conducts electricity, they are usually connected by welding.

한국공개특허 제2015-0125387호에는 상호 대응하는 전지셀의 전극단자(12)를 모듈 케이스의 버스바(11)에 각각 용접하여 연결하는 레이저 용접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즉, 종래 기술에 따른 지그가 구비된 레이저 용접장치의 단면도인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듈 케이스의 버스바 양 단부에 배치된 상호 대응하는 전극단자를 향해 이동 가능하며 구비되며 레이저 빔조사부(15)가 구비된 레이저 용접 헤드(14); 및 상기 레이저 용접 헤드(14)에 구비되고, 상기 레이저 용접 헤드의 이동시 상호 대응하는 전극단자를 각각 가압하여 상기 버스바(11)의 양 단부에 각각 밀착시키는 고정지그(13)를 포함하는 레이저 용접장치이다.Korean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15-0125387 discloses a laser welding apparatus in which electrode terminals 12 of battery cells corresponding to each other are welded to bus bars 11 of a module case, respectively. That is, as shown in FIG. 1, which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laser welding apparatus equipped with a jig according to the prior art, it is movable toward the electrode terminals corresponding to each other disposed on both ends of the bus bar of the module case and provided with a laser beam irradiation unit ( a laser welding head 14 equipped with 15); and a fixing jig 13 provided in the laser welding head 14 and respectively pressing the corresponding electrode terminals when the laser welding head is moved to be in close contact with both ends of the bus bar 11, respectively. it is a device

상기 선행문헌의 레이저 용접장치에 의하면, 상호 대응하는 전극단자를 각각 가압하여 모듈 케이스의 버스바에 밀착시킬 수 있어 전극단자의 용접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가 기대된다.According to the laser welding apparatus of the prior document, it is possible to press the corresponding electrode terminals, respectively, so that they can be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bus bar of the module case, and thus, the effect of preventing poor welding of the electrode terminals is expected.

하지만 종래 기술에 따른 지그와 전극리드와의 밀착위치를 설명하기위한 평면도인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극리드(12)가 버스 바(11) 중심에서 다소 벗어나 안착될 시에는 용접점 중심으로 3면이 가압되지 않은 상태이고, 게다가 전극리드나 버스 바가 편평하지 않은 경우 일부 위치에 들뜸 현상이 발생하므로 여전히 용접 불량을 초래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as shown in FIG. 2, which is a plan view for explaining the close contact position between the jig and the electrode lead according to the prior art, when the electrode lead 12 is seated slightly out of the center of the bus bar 11, the center of the welding point is used. If the three sides are not pressurized and the electrode leads or bus bars are not flat, a lifting phenomenon occurs in some positions, so there is a problem that it may still cause poor welding.

한국공개특허 제2015-0125387호Korea Patent Publication No. 2015-0125387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전극리드와 버스 바가 정확하게 위치하지 않더라도 용접 불량을 최소화할 수 있는 가압 지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ressure jig capable of minimizing welding defects even when an electrode lead and a bus bar are not accurately positioned.

또한 본 발명에서는 전극리드와 버스 바와의 중첩부에 들뜸 현상이 발생하더라도 용접 불량을 최소화할 수 있는 가압 지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ressure jig capable of minimizing welding defects even when a lifting phenomenon occurs in an overlapping portion of an electrode lead and a bus bar.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용접 대상물들의 밀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가압 지그는, 전지 셀(130)의 전극리드(132)를 버스 바(140)에 용접하기 위하여 전극리드(132)를 가압하기 위한 가압 지그(200)로서, 상기 가압 지그(200)는, 용접용 레이저가 관통할 수 있도록 제1 관통창(211)이 구비된 고정 몸체(210); 상기 고정 몸체(210) 아래에 위치하며 제2 관통창(221′)이 구비된 수평부(221)를 포함하는 제1 가압부(220); 상기 고정 몸체(210)와 상기 제1 가압부(220)를 연결하는 가이드부(230); 및 상기 제1 가압부(220) 아래에 위치하는 제2 가압부(2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sure jig capable of improving the adhesion of welding objec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n electrode lead ( As a pressing jig 200 for pressing 132, the pressing jig 200 includes a fixed body 210 provided with a first through window 211 so that a welding laser can penetrate; a first pressing part 220 positioned under the fixed body 210 and including a horizontal part 221 provided with a second through-window 221 ′; a guide part 230 connecting the fixed body 210 and the first pressing part 220; and a second pressing unit 240 positioned below the first pressing unit 220 .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가압 지그에서, 상기 제1 가압부(220)는, 제2 관통창(221′)이 형성된 수평부(221), 상기 수평부(221) 양측 단부에 소정 각도로 절곡된 한 쌍의 수직부(222), 및 상기 한 쌍의 수직부(222)에서 소정 각도로 절곡되며 관통홀(223′)이 형성된 한 쌍의 날개부(22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the pressing ji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pressing portion 220 is a horizontal portion 221 in which the second through window 221 ′ is formed, as long as the horizontal portion 221 is bent at both ends at a predetermined angle. A pair of vertical portions 222, and a pair of wing portions 223 bent at a predetermined angle from the pair of vertical portions 222, through-holes 223' are formed.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가압 지그에서, 상기 가이드부(230)는, 일측은 상기 고정 몸체(210)와 연결되고 타측은 날개부(223)의 관통홀(223′)을 통과하는 가이드봉(231), 및 상기 가이드봉(231)을 감싸는 형상으로 위치하는 제1 탄성수단(23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the pressure ji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guide part 230 has one side connected to the fixed body 210 and the other side of the guide rod 231 passing through the through hole 223 ′ of the wing unit 223 . , and a first elastic means 232 positioned in a shape surrounding the guide rod 231 .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가압 지그에서, 상기 고정 몸체(210)와 제1 가압부(220)의 이격 거리가 가변될 수 있도록, 상기 가이드봉(231)의 일측만 상기 고정 몸체(210) 또는 날개부(223)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the pressing ji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nly one side of the guide rod 231 is the fixed body 210 or the wing portion so that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fixed body 210 and the first pressing unit 220 can be varied.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ixed to (223).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가압 지그에서, 상기 제1 가압부(220)와 제2 가압부(240)를 연결하는 제2 탄성수단(250)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the pressing ji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econd elastic means 250 for connecting the first pressing part 220 and the second pressing part 240 is further provided.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가압 지그에서, 상기 제2 가압부(240)는, 서로 마주 보는 두 쌍의 측벽(241) 중앙에 제3 관통창(241′)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the pressing ji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pressing part 240 is characterized in that a third through window 241 ′ is formed in the center of two pairs of sidewalls 241 facing each other.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가압 지그에서, 제1 가압부(220)에는 제2 가압부(240)가 복수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the pressing ji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pressing part 220 is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second pressing parts 240 are provided.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가압 지그에서, 상기 복수개의 제2 가압부(240)는 독립적으로 움직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the pressing ji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lurality of second pressing parts 240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an move independently.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가압 지그에서, 상기 제2 탄성수단(250)은 2개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the pressing ji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elastic means 250 is characterized in that two or mor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가압 지그에서, 상기 제2 탄성수단(250)은 4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the pressing ji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elastic means 250 is characterized in that four.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가압 지그는, 전지 셀(130)의 전극리드(132)를 버스 바(140)에 용접하기 위하여 전극리드(132)를 가압하기 위한 가압 지그(200)로서, 상기 가압 지그(200)는, 용접용 레이저가 관통할 수 있도록 제1 관통창(211)이 구비된 고정 몸체(210); 및 상기 고정 몸체(210) 아래에 위치하며 제2 관통창(221′)이 구비된 제1 가압몸체(221)를 포함하는 제1 가압부(220)를 포함하되, 상기 제2 관통창(221′)에는 1개 이상의 격벽(224)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pressing ji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pressing jig 200 for pressing the electrode lead 132 in order to weld the electrode lead 132 of the battery cell 130 to the bus bar 140, the pressing jig ( 200), a fixed body 210 provided with a first through window 211 so that the welding laser can penetrate; and a first pressing unit 220 positioned under the fixed body 210 and including a first pressing body 221 having a second through window 221 ′, wherein the second through window 221 . ') is characterized in that one or more partition walls 224 are further provided.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가압 지그를 사용하여 전지 셀(130)의 전극리드(132)를 버스 바(140)에 용접하는 방법은, 버스 바(140)에 전극리드(132)를 위치시키는 단계; 전극리드(132) 상면에 가압 지그를 위치시킨 후 소정 압력으로 가압하는 단계; 및 레이저 빔을 조사하여 버스 바(140)와 전극리드(132)를 용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method of welding the electrode lead 132 of the battery cell 130 to the bus bar 140 using a pressure ji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s of: positioning the electrode lead 132 on the bus bar 140 ; Placing a pressure jig on the upper surface of the electrode lead 132 and pressing the pressure to a predetermined pressure; and welding the bus bar 140 and the electrode lead 132 by irradiating a laser beam.

본 발명에 따른 용접 대상물들의 밀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가압 지그에 의하면, 독립적으로 수축과 팽창이 가능한 복수개의 제2 가압몸체를 포함하는 제1 가압부가 추가로 구비되어 있어, 버스 바와 전극리드의 중첩부에서 일부 들뜸 현상이 있거나, 정확하게 서로 일치하지 않더라도 이들을 확실하게 가압하는 것이 가능하고, 따라서 용접 불량을 최소화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pressing jig capable of improving the adhesion of the welding objec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pressing portion including a plurality of second pressing bodies capable of independently contracting and expanding is additionally provided, so that the bus bar and the electrode lead overlap Even if there is some lifting phenomenon in the part or they do not exactly match each other, it is possible to press them reliably, and thus there is an advantage that welding defects can be minimized.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지그가 구비된 레이저 용접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지그와 전극리드와의 밀착위치를 설명하기위한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가압 지그가 전지 모듈에 안착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사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가압 지그의 가압부가 전극리드 상부에 밀착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가압 지그에서 레이저 빔이 통과하는 경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가압 지그의 정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A부분을 확대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6의 A부분을 아래에서 바라본 저면도이다.
도 9는 도 7의 B부분을 확대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제1 가압부의 사시도이다.
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laser welding apparatus equipped with a jig according to the prior art.
2 is a plan view for explaining the close contact position between the jig and the electrode lead according to the prior art.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ressure jig according to the fir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eated on the battery modul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ressing part of the pressing jig according to the fir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portion of the electrode lead.
5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 path through which a laser beam passes in the pressing jig according to the fir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front view of the pressing jig according to the fir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part A of FIG. 6 .
8 is a bottom view of a portion A of FIG. 6 as viewed from below.
9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a portion B of FIG. 7 .
10 is a perspective view of a first pressing part according to a second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가지다” 또는 “구비하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n the present appl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s”, “hav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e existence of features, numbers, step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and one or more other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is does not preclud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addition of features or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In additio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throughout the drawings for parts having similar functions and function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said to be connected to another part, it includes not only a case in which it is directly connected, but also a case in which it is indirectly connected with another element interposed therebetween. In addition, the inclusion of a certain component does not exclude other components unless otherwise stated, but means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further included.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용접 대상물들의 밀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가압 지그에 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pressure jig capable of improving adhesion of welding objec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가압 지그가 전지 모듈에 안착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사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가압 지그의 가압부가 전극리드 상부에 밀착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ressing jig according to the fir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eated on the battery module, and FIG. 4 is a pressing part of the pressing jig according to the fir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n the upper part of the electrode lead. It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dhered state.

이들 도 3 및 4를 참조하면서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가압 지그(200)는 복수개의 전지 셀들이 모여 하나의 집합체를 구성하는 단위 모듈(100) 상부에 위치하여, 전극리드를 버스 바에 용접할 시 전극리드를 가압하기 위한 것이다.3 and 4, the pressurizing jig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located above the unit module 100 in which a plurality of battery cells are gathered to form an aggregate, and the electrode lead is welded to the bus bar. This is to pressurize the electrode lead.

구체적으로, 전지 모듈(100)은 한 쌍의 엔드 플레이트(110) 사이에 복수개의 전지 셀(130)들이 수직 방향으로 인근하여 배치되어 있고, 전지 셀(130)들 위에는 상부커버(130)가 장착되어 있다. Specifically, in the battery module 100 , a plurality of battery cells 130 are disposed adjacent to each other in a vertical direction between a pair of end plates 110 , and an upper cover 130 is mounted on the battery cells 130 . has been

전지 셀(130)은 셀 케이스(131) 내부에 전극 조립체(미도시)가 수납되어 있으며, 양극과 음극으로 이루어진 한 쌍의 전극리드(132)는 케이스(131) 외측으로 도출해 있는 상태이다.In the battery cell 130 , an electrode assembly (not shown) is accommodated in the cell case 131 , and a pair of electrode leads 132 made of a positive electrode and a negative electrode are led out to the outside of the case 131 .

그리고 전지 모듈(100)의 출력을 높일 수 있도록 각 전지 셀(130)의 전극리드(132)는 버스 바(140) 상면에 안착하며, 소정 힘으로 전극리드(132)를 가압하기 위하여 전극리드(132) 상면에는 가압 지그가 위치한다.And the electrode lead 132 of each battery cell 130 is se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us bar 140 so as to increase the output of the battery module 100, and in order to press the electrode lead 132 with a predetermined force, the electrode lead ( 132) A pressure jig is located on the upper surface.

한편, 전지 셀(130)을 구성하는 전극 조립체는 긴 시트형의 양극 및 음극 사이에 분리막이 개재된 후 권취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젤리-롤형 조립체, 또는 장방형의 양극 및 음극이 분리막을 사이에 개재한 상태로 적층되는 구조의 단위셀들로 구성되는 스택형 조립체, 단위셀들이 긴 분리 필름에 의해 권취되는 스택-폴딩형 조립체, 또는 단위셀들이 분리막을 사이에 개재한 상태로 적층되어 서로 간에 부착되는 라미네이션-스택형 조립체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제한하지 않는다.On the other hand, the electrode assembly constituting the battery cell 130 is a jelly-roll-type assembly having a structure in which a separator is interposed between a long sheet-shaped positive electrode and a negative electrode and then wound, or a state in which a rectangular positive electrode and a negative electrode are interposed between the separator A stack-type assembly consisting of unit cells stacked with a structure, a stack-folding assembly in which the unit cells are wound by a long separation film, or a lamination in which unit cells are stacked with a separator interposed therebetween and attached to each other - It may consist of a stack-type assembly, but is not limited thereto.

셀 케이스(131)는 통상적으로 내부층/금속층/외부층의 라미네이트 시트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내부층은 전극 조립체와 직접적으로 접촉하므로 절연성과 내전해액성을 가져야 하고, 또 외부와의 밀폐를 위하여 실링성 즉, 내부층끼리 열 접착된 실링 부위는 우수한 열접착 강도를 가져야 한다. 이러한 내부층의 재료로는 내화학성이 우수하면서도 실링성이 좋은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폴리에틸렌아크릴산, 폴리부틸렌 등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폴리우레탄수지 및 폴리이미드수지로부터 선택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으며, 인장강도, 강성, 표면경도, 내충격 강도 등의 기계적 물성과 내화학성이 뛰어난 폴리프로필렌이 가장 바람직하다.The cell case 131 typically has a laminate sheet structure of an inner layer/metal layer/outer layer. Since the inner layer is in direct contact with the electrode assembly, it must have insulation and electrolyte resistance, and for sealing with the outside, the sealing property, that is, the sealing portion where the inner layers are thermally bonded to each other, must have excellent thermal bonding strength. The material of the inner layer may be selected from polyolefin resins such as polypropylene, polyethylene, polyethylene acrylic acid, polybutylene, etc., polyurethane resins and polyimide resins having excellent chemical resistance and good sealing properties, but is not limited thereto, Polypropylene excellent in mechanical properties such as tensile strength, rigidity, surface hardness, and impact resistance and chemical resistance is the most preferable.

내부층과 접하고 있는 금속층은 외부로부터 수분이나 각종 가스가 전지 내부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는 배리어층에 해당되고, 이러한 금속층의 바람직한 재료로는 가벼우면서도 성형성이 우수한 알루미늄 막막을 사용할 수 있다.The metal layer in contact with the inner layer corresponds to a barrier layer that prevents moisture or various gases from penetrating into the battery from the outside, and as a preferable material for the metal layer, an aluminum film that is lightweight and has excellent formability may be used.

그리고 금속층의 타측면에는 외부층이 구비되며, 이러한 외부층은 전극 조립체를 보호하면서 내열성과 내화학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인장강도, 투습방지성 및 공기투과 방지성이 우수한 내열성 폴리머를 사용할 수 있고, 일예로 나일론 또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하지 않는다. And an outer layer is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metal layer, and this outer layer can use a heat-resistant polymer excellent in tensile strength, moisture permeability and air permeability to secure heat resistance and chemical resistance while protecting the electrode assembly, As an example, nylon or polyethylene terephthalate may be used, but is not limited thereto.

한편, 한 쌍의 전극리드(132)들은 전극 조립체의 양극 탭과 음극 탭이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된 후 셀 케이스(131) 외부로 노출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고, 양극 탭과 음극 탭 없이 전극리드(132)가 직접 전극조립체와 연결하는 구조일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the pair of electrode leads 132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the positive tab and the negative tab of the electrode assembly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and then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cell case 131 , and the electrode lead 132 without the positive tab and the negative tab )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electrode assembly.

계속해서, 가압 지그(200)는, 고정 몸체(210), 제1 가압부(220), 가이드부(230), 제2 가압부(240) 및 제2 탄성수단(2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Subsequently, the pressing jig 200 is configured to include a fixed body 210 , a first pressing part 220 , a guide part 230 , a second pressing part 240 , and a second elastic means 250 . .

고정 몸체(210)는 소정의 두께를 가지며 단면이 대략 사각형이고, 아래에 위치하는 제1 가압부(220)와 제2 가압부(240)까지 용접용 레이저 빔이 통과할 수 있도록 가운데에는 제1 관통창(211)이 뚫려 있다.The fixed body 210 has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has a substantially rectangular cross-section, and has a first center in the center so that the welding laser beam can pass to the first pressing part 220 and the second pressing part 240 located below. A through window 211 is perforated.

비록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고정 몸체(210)의 측면이나 상면 소정 부위에는 고정 몸체(210)를 아래로 누르거나 위로 들어 올리기 위한 별도의 이동수단(미도시)이 연결된다.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a separate moving means (not shown) for pressing down or lifting the fixed body 210 is connected to a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side or upper surface of the fixed body 210 .

제1 가압부(220)는 고정 몸체(210)와 소정 거리 이격된 채, 고정 몸체(210) 아래에 위치하고 있으며 제2 관통창(221′)이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고정 몸체(210)와 제1 가압부(220) 사이에는 이들을 서로 물리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가이드부(230)가 위치하고 있다.The first pressing unit 220 is spaced apart from the fixed body 210 by a predetermined distance, is located under the fixed body 210, and has a second through window 221 ′. And between the fixed body 210 and the first pressing part 220, a guide part 230 for physically connecting them to each other is positioned.

게다가 제1 가압부(220) 아래에는 제3 관통창(241′)이 형성되어 있는 제2 가압부(240)가 위치하는데, 이들은 제2 탄성수단(250)에 의해 물리적으로 연결된 상태이다.In addition, the second pressing portion 240 is located under the first pressing portion 220, the third through window 241' is formed, these are physically connected by the second elastic means (250).

이들, 제1 가압부(220), 가이드부(230), 제2 가압부(240) 및 제2 탄성수단(250)에 관한 구체적인 구성은 후술하기로 한다.Specific configurations of the first pressing unit 220 , the guide unit 230 , the second pressing unit 240 , and the second elastic means 250 will be described later.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가압 지그에서 레이저 빔이 통과하는 경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 몸체(210)의 제1 관통창(211)을 통해 아래로 조사되는 레이저 빔은 제1 가압부(220)의 제2 관통창(221′)과 제2 가압부(240)의 제3 관통창(241′)을 순차적으로 통과한 후 전극리드(132)의 상면에 도달함으로써 버스 바(140)와 전극리드(132)의 용접이 이루어진다.5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 path through which a laser beam passes in the pressing jig according to the fir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5 , the laser beam irradiated downward through the first through window 211 of the fixed body 210 is applied to the second through window 221 ′ of the first pressing unit 220 and the second pressing unit. The bus bar 140 and the electrode lead 132 are welded by sequentially passing through the third through window 241 ′ of the part 240 and reaching the upper surface of the electrode lead 132 .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가압 지그의 정면도, 도 7은 도 6의 A부분을 확대한 사시도, 도 8은 도 6의 A부분을 아래에서 바라본 저면도 그리고 도 9는 도 7의 B부분을 확대한 사시도이다.6 is a front view of a pressing jig according to a fir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part A of FIG. 6, FIG. 8 is a bottom view of part A of FIG. 6 from below, and FIG. 9 is It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part B of FIG. 7 .

이들 도 6 내지 9를 참조하면서, 제1 가압부(220), 가이드부(230), 제2 가압부(240) 및 제2 탄성수단(250)에 관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6 to 9 , the first pressing unit 220 , the guide unit 230 , the second pressing unit 240 , and the second elastic means 25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먼저 제1 가압부(220)는, 소정의 폭과 길이를 가지며 길이 방향을 따라 긴 제2 관통창(221′)이 형성된 수평부(221), 수평부(221)의 양측 단부에서 대략 직각으로 절곡된 채 상부로 연장된 한 쌍의 수직부(222), 그리고 수직부(222) 일측 단부에서 대략 직각으로 절곡됨으로써 수평부(221)와 평행하게 위치하는 한 쌍의 날개부(223)를 포함한다. 그리고 날개부(223)에는 후술할 가이드봉(231)을 수용하기 위한 관통홀(223′)이 구비되어 있다.First, the first pressing part 220 has a predetermined width and length and is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horizontal part 221 in which the second through-window 221 ′ is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t both ends of the horizontal part 221 . A pair of vertical portions 222 extending upwardly while being bent, and a pair of wing portions 223 positioned parallel to the horizontal portion 221 by being bent at approximately right angles from one end of the vertical portion 222 do. And the wing part 223 is provided with a through hole 223' for accommodating the guide rod 231,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고정 몸체(210)와 제1 가압부(220) 사이에 위치하면서 이들을 서로 연결하는 가이드부(230)는, 일측은 고정 몸체(210)와 연결되고 타측은 날개부(224)의 관통홀(223′)을 통과하는 가이드봉(231)과, 가이드봉(231)의 외주연을 감싸는 형상으로 장착되어 있는 코일스프링과 같은 제1 탄성수단(232)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guide part 230 positioned between the fixed body 210 and the first pressing part 220 and connecting them to each other has one side connected to the fixed body 210 and the other side is a through hole 223 of the wing part 224 . ') and a guide rod 231 passing through, and a first elastic means 232 such as a coil spring mounted in a shape surrounding the outer periphery of the guide rod 231.

여기서, 가이드봉(231)은 일측만 고정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가이드봉(231)의 하측 단부가 관통홀(223′)에 고정되어 있다면 상측 단부는 고정 몸체(210)에 단순히 체결되어야 하고, 반대로 가이드봉(231)의 상측 단부가 고정 몸체(210)에 고정된 경우라면 하측 단부는 관통홀(223′)에 단순히 체결된 상태를 의미한다.Here, only one side of the guide rod 231 should be fixed. For example, if the lower end of the guide rod 231 is fixed to the through hole 223', the upper end should simply be fastened to the fixed body 210, and conversely, the upper end of the guide rod 231 is fixed to the fixed body ( If it is fixed to the 210, the lower end means a state that is simply fastened to the through-hole 223'.

이는 소정의 힘으로 고정 몸체(210)를 누르더라도 전극리드(132)와 접촉하지 않을 시에는 제1 탄성수단(232)에 의해 고정 몸체(210)와 제1 가압부(220)는 최대로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고, 반대로 전극리드(132)와 밀착할 시에는 제1 탄성수단(232)이 수축하여 이들 고정 몸체(210)와 제1 가압부(220)와의 이격 거리를 좁힐 수 있어야 하기 때문이다.This means that even when the fixed body 210 is pressed with a predetermined force, the fixed body 210 and the first pressing unit 220 are maximally spaced apart by the first elastic means 232 when the electrode lead 132 is not in contact. This is because the first elastic means 232 is contracted when in close contact with the electrode lead 132 and, conversely,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fixed body 210 and the first pressing part 220 can be narrowed. to be.

제2 가압부(240)는 제2 탄성수단(250)를 통해 제1 가압부(220)와 연결되며, 중앙에는 제3 관통창(241′)이 형성되어 있고, 이 제3 관통창(241′)을 가운데에 두고 서로 마주 보는 두 쌍의 측벽(241)으로 이루어진 사각기둥 형상이다. The second pressing unit 240 is connected to the first pressing unit 220 through the second elastic means 250 , and a third through window 241 ′ is formed in the center thereof, and the third through window 241 is formed in the center. ') in the center and has a rectangular prism shape composed of two pairs of sidewalls 241 facing each other.

특히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가압부(220)를 향하는 측벽(241) 상부 외측에는 만곡부(242)가 형성되어 있어 전극리드와 밀착하는 아래 보다는 상대적으로 단면적이 큰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제1 가압부(220)와의 접촉면적을 높여 안정적으로 밀착하고, 또 전극리드(132)의 폭이 좁거나 전극리드(132)가 버스 바(140) 중심부에서 다소 벗어난 위치에 안착되더라도 전극리드(132)를 확실하게 가압할 수 있기 때문이다.In particular, as shown in FIG. 9 , a curved portion 242 is formed on the upper outer side of the sidewall 241 facing the first pressing portion 220, and it is preferable that the cross-sectional area is relatively larger than the lower portion in close contact with the electrode lead, which is The contact area with the first pressing part 220 is increased to ensure stable adhesion, and even if the width of the electrode lead 132 is narrow or the electrode lead 132 is seated at a position slightly deviated from the center of the bus bar 140, the electrode lead ( 132) can be reliably pressurized.

일 예로, 제2 관통창(221′)의 폭을 D1, 제1 수평부(221)의 폭을 D2, 제2 가압부(240)의 제3 관통창(241′)의 폭을 D3, 그리고 제2 가압부(240)의 상단부 폭을 D4라 정의할 때, D2는 D4이하이고, D3는 D1 미만일 수 있다.For example, the width of the second through window 221' is D1, the width of the first horizontal part 221 is D2, the width of the third through window 241' of the second pressing part 240 is D3, and When the width of the upper end of the second pressing part 240 is defined as D4, D2 may be less than D4, and D3 may be less than D1.

한편, 코일 스프링 등으로 이루어진 제2 탄성수단(250)은 제2 가압부 (240)를 구성하는 측벽(241) 상단면에 위치하며, 제2 가압부(240)가 원하는 방향으로 소정 각도로 기울어질 수 있도록 2개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4개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the second elastic means 250 made of a coil spring, etc. is loc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ide wall 241 constituting the second pressing part 240, and the second pressing part 240 is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in a desired direc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re are two or more, and more preferably four or more.

첨부한 도면들에서는 제2 가압부(240)가 6개인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이는 일예시에 불과할 뿐 얼마든지 변경이 가능하고, 이때 각각의 제2 가압부(240)는 서로 독립적으로 움직인다.Although the accompanying drawings show that there are six second pressing units 240 , this is merely an example and can be changed as much as possible, and in this case, each of the second pressing units 240 moves independently of each other.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제1 가압부의 사시도이다.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는 제2 가압부와 제2 탄성수단이 구비되어 있지 않은 반면, 제1 가압부(220)의 수평부(221)에 1개 이상의 고정된 격벽(224)이 구비되어 있다. 즉, 제2 관통창(221′)을 복수개로 구획하는 격벽(224)이 구비되면, 이들 격벽(224)에 의해 가압력이 전극리드(132)로 전달되므로 전극리드(132)와 버스 바(140)와의 밀착력을 높일 수 있다. 10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first pressing part in the second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pressing part and the second elastic means are not provided, while the first pressing part 220 is not provided. One or more fixed partition walls 224 are provided on the horizontal portion 221 of the That is, when the partition wall 224 dividing the second through window 221 ′ into a plurality is provided, the pressing force is transmitted to the electrode lead 132 by the partition wall 224 , so that the electrode lead 132 and the bus bar 140 are provided. ) can improve adhesion.

여기서, 격벽(224)의 하측 단부가 돌출하지 않도록 수평부(221)의 하측 단부와 일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it is preferable to coincide with the lower end of the horizontal portion 221 so that the lower end of the partition wall 224 does not protrude.

계속해서, 본 발명의 가압 지그를 사용하여 전극리드와 버스 바의 용접 방법에 관해 설명하기로 한다.Subsequently, a method of welding an electrode lead and a bus bar using the pressure jig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본 발명에 따른 용접 방법은, 버스 바(140)에 전극리드(132)를 위치시키는 단계; 전극리드(132) 상면에 가압 지그를 위치시킨 후 소정 압력으로 가압하는 단계; 및 레이저 빔을 조사하여 버스 바(140)와 전극리드(132)를 용접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 weld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placing an electrode lead 132 on a bus bar 140; Placing a pressure jig on the upper surface of the electrode lead 132 and pressing the pressure to a predetermined pressure; and welding the bus bar 140 and the electrode lead 132 by irradiating a laser beam.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 몸체(210)로부터의 큰 힘은 제1 가압부(220)로 전달되어 전체적으로 눌러 주며, 또 버스 바(140)와 전극리드(132)의 중첩부에서 일부 들뜸 현상이 있더라도, 독립적으로 수축과 팽창이 가능한 복수개의 제1 가압부(220)가 추가로 구비되어 있어, 버스 바(140)와 전극리드(132)의 중첩면이 균일하게 접촉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10 , a large force from the fixed body 210 is transmitted to the first pressing unit 220 and presses the whole, and some lifts at the overlapping portion of the bus bar 140 and the electrode lead 132 . Even if there is a phenomenon, a plurality of first pressing units 220 capable of independently contracting and expanding are additionally provided, so that the overlapping surfaces of the bus bar 140 and the electrode leads 132 can be in uniform contact.

이상으로 본 발명 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 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러한 구체적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 양태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범주 및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도 당연하다.As the specific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above, for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ese specific descriptions are only preferred embodiment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by, It is obviou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can be made within the scope and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t is natural that such variations and modifications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100 : 전지 모듈
110 : 엔드 플레이트
120 : 상부커버
130 : 전지 셀
131 : 셀 케이스 132 : 전극리드
140 : 버스 바
200 : 가압 지그
210 : 고정 몸체
211 : 제1 관통창
220 : 제1 가압부
221 : 수평부 221′ : 제2 관통창
222 : 수직부 223 : 날개부
223′: 관통홀 224 : 격벽
230 : 가이드부
231 : 가이드봉 232 : 제1 탄성수단
240 : 제2 가압부
241 : 측벽 241′: 제3 관통창
242 : 만곡부
250 : 제2 탄성수단
100: battery module
110: end plate
120: upper cover
130: battery cell
131: cell case 132: electrode lead
140: bus bar
200: pressure jig
210: fixed body
211: first through window
220: first pressing unit
221: horizontal portion 221′: second through window
222: vertical part 223: wing part
223′: through hole 224: bulkhead
230: guide unit
231: guide rod 232: first elastic means
240: second pressing unit
241: side wall 241′: third through window
242: curved part
250: second elastic means

Claims (12)

전지 셀(130)의 전극리드(132)를 버스 바(140)에 용접하기 위하여 전극리드(132)를 가압하기 위한 가압 지그(200)로서,
상기 가압 지그(200)는, 용접용 레이저가 관통할 수 있도록 제1 관통창(211)이 구비된 고정 몸체(210);
상기 고정 몸체(210) 아래에 위치하며 제2 관통창(221′)이 구비된 수평부(221)를 포함하는 제1 가압부(220);
상기 고정 몸체(210)와 상기 제1 가압부(220)를 연결하는 가이드부(230); 및
상기 제1 가압부(220) 아래에 위치하는 제2 가압부(2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압 지그.
As a pressing jig 200 for pressing the electrode lead 132 in order to weld the electrode lead 132 of the battery cell 130 to the bus bar 140,
The pressing jig 200 includes a fixed body 210 having a first through window 211 through which a welding laser can penetrate;
a first pressing part 220 positioned under the fixed body 210 and including a horizontal part 221 provided with a second through-window 221 ′;
a guide part 230 connecting the fixed body 210 and the first pressing part 220; and
A pressing jig comprising a second pressing part (240) positioned below the first pressing part (22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압부(220)는, 제2 관통창(221′)이 형성된 수평부(221), 상기 수평부(221) 양측 단부에 소정 각도로 절곡된 한 쌍의 수직부(222), 및 상기 한 쌍의 수직부(222)에서 소정 각도로 절곡되며 관통홀(223′)이 형성된 한 쌍의 날개부(22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압 지그.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pressing part 220 includes a horizontal part 221 in which a second through window 221' is formed, a pair of vertical parts 222 bent at both ends of the horizontal part 221 at a predetermined angle, and A pressure jig comprising a pair of wing portions 223 bent at a predetermined angle in the pair of vertical portions 222 and having a through-hole 223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230)는, 일측은 상기 고정 몸체(210)와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날개부(223)의 관통홀(223′)을 통과하는 가이드봉(231), 및 상기 가이드봉(231)을 감싸는 형상으로 위치하는 제1 탄성수단(23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압 지그.
3. The method of claim 2,
The guide part 230 has one side connected to the fixed body 210 and the other side of the guide rod 231 passing through the through hole 223' of the wing part 223, and the guide rod 231. A pressing jig comprising a first elastic means (232) positioned in a shape surrounding th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몸체(210)와 제1 가압부(220)의 이격 거리가 가변될 수 있도록, 상기 가이드봉(231)의 일측만 상기 고정 몸체(210) 또는 날개부(223)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압 지그.
4. The method of claim 3,
It characterized in that only one side of the guide rod 231 is fixed to the fixed body 210 or the wing portion 223 so that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fixed body 210 and the first pressing unit 220 can be varied. pressurizing ji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압부(220)와 제2 가압부(240)를 연결하는 제2 탄성수단(250)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압 지그.
According to claim 1,
A pressing jig, characterized in that the second elastic means (250) for connecting the first pressing part (220) and the second pressing part (240) is further provided.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가압부(240)는, 서로 마주 보는 두 쌍의 측벽(241) 중앙에 제3 관통창(241′)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압 지그.
6. The method of claim 5,
The second pressing part 240 is a pressing jig, characterized in that the third through-window 241' is formed in the center of two pairs of sidewalls 241 facing each other.
제6항에 있어서,
제1 가압부(220)에는 제2 가압부(240)가 복수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압 지그.
7. The method of claim 6,
A pressing jig,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pressing unit 220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second pressing units (24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제2 가압부(240)는 독립적으로 움직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압 지그.
8. The method of claim 7,
The plurality of second pressing part 240 is a pressing jig, characterized in that it can move independently.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탄성수단(250)은 2개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압 지그.
9. The method of claim 8,
The second elastic means 250 is a pressure jig, characterized in that two or more.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탄성수단(250)은 4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압 지그.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second elastic means (250) is a pressing jig, characterized in that four.
전지 셀(130)의 전극리드(132)를 버스 바(140)에 용접하기 위하여 전극리드(132)를 가압하기 위한 가압 지그(200)로서,
상기 가압 지그(200)는, 용접용 레이저가 관통할 수 있도록 제1 관통창(211)이 구비된 고정 몸체(210); 및
상기 고정 몸체(210) 아래에 위치하며 제2 관통창(221′)이 구비된 수평부(221)를 포함하는 제1 가압부(220)를 포함하되,
상기 제2 관통창(221′)에는 1개 이상의 격벽(224)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압 지그.
As a pressing jig 200 for pressing the electrode lead 132 in order to weld the electrode lead 132 of the battery cell 130 to the bus bar 140,
The pressing jig 200 includes a fixed body 210 having a first through window 211 through which a welding laser can penetrate; and
It is located under the fixed body 210 and includes a first pressing part 220 including a horizontal part 221 provided with a second through window 221 ′,
The second through-window (221') is a pressure jig, characterized in that one or more partition walls (224) are further provided.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가압 지그를 사용하여 전지 셀(130)의 전극리드(132)를 버스 바(140)에 용접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용접 방법은, 버스 바(140)에 전극리드(132)를 위치시키는 단계;
전극리드(132) 상면에 가압 지그를 위치시킨 후 소정 압력으로 가압하는 단계; 및
레이저 빔을 조사하여 버스 바(140)와 전극리드(132)를 용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리드와 버스 바의 용접 방법.
A method of welding an electrode lead 132 of a battery cell 130 to a bus bar 140 using the pressure jig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0, comprising:
The welding method includes: positioning an electrode lead 132 on a bus bar 140;
Placing a pressure jig on the upper surface of the electrode lead 132 and pressing the pressure to a predetermined pressure; and
A method of welding an electrode lead and a bus bar comprising welding the bus bar 140 and the electrode lead 132 by irradiating a laser beam.
KR1020190165386A 2019-12-12 2019-12-12 Pressing Jig For Enhancing Adhesion of Welding Object KR20210074577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5386A KR20210074577A (en) 2019-12-12 2019-12-12 Pressing Jig For Enhancing Adhesion of Welding Objec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5386A KR20210074577A (en) 2019-12-12 2019-12-12 Pressing Jig For Enhancing Adhesion of Welding Objec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4577A true KR20210074577A (en) 2021-06-22

Family

ID=766009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5386A KR20210074577A (en) 2019-12-12 2019-12-12 Pressing Jig For Enhancing Adhesion of Welding Objec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74577A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25387A (en) 2014-04-30 2015-11-09 주식회사 엘지화학 Laser welding apparatu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25387A (en) 2014-04-30 2015-11-09 주식회사 엘지화학 Laser welding apparatu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36521B2 (en) Bus bar having novel structure and battery module including the same
US10283744B2 (en) Battery module and battery pack
US9741984B2 (en) Battery module of novel structure and battery pack comprising the same
JP7484992B2 (en) Energy storage element
US11158895B2 (en) Battery module, battery pack including battery module, and vehicle including battery pack
KR101305218B1 (en) Battery Module Having Fixing Member and Coupling Member, and Battery Pack Employed with the Same
US10431790B2 (en) Battery module having electrode lead with damping structure
KR20130139472A (en) Battery assembly having single electrode terminal connecting part
KR20130110943A (en) Battery module of novel structure and battery pack comprising the same
KR102214538B1 (en) Unit battery module and Battery module having the same
JP2019530176A (en) Method for manufacturing electrode unit for battery cell and electrode unit
KR102258827B1 (en) Battery pack and vehicle including the same
US11456502B2 (en) Battery module, battery pack comprising same battery module, and vehicle comprising same battery pack
KR20200043402A (en) Lead tab for battery terminal
KR20210087362A (en) Pressing Jig For Enhancing Adhesion of Welding Object
KR20150131788A (en) Battery Module Having Electrode Terminal Supporting Part
KR20210072999A (en) Battery Pack Having High Energy Density And High-Efficiency of radiating heat
KR20180081604A (en) Wall-through collector for pouch cells
KR20210074577A (en) Pressing Jig For Enhancing Adhesion of Welding Object
KR102464824B1 (en) Battery module and battery pack including the same
JP2022528553A (en) Battery cells with improved weldability and their processing equipment
KR102612068B1 (en) A secondary battery
KR101616502B1 (en) Secondary battery having electrode lid and electrode tab connected by slit
US12002995B2 (en) Battery module, battery pack comprising battery module, and vehicle comprising battery pack
KR20210103089A (en) Battery Cell Without Welding Process and Battery Pack Hav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