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74518A - A multi-functional clock system based wifi - Google Patents

A multi-functional clock system based wifi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74518A
KR20210074518A KR1020190165274A KR20190165274A KR20210074518A KR 20210074518 A KR20210074518 A KR 20210074518A KR 1020190165274 A KR1020190165274 A KR 1020190165274A KR 20190165274 A KR20190165274 A KR 20190165274A KR 20210074518 A KR20210074518 A KR 202100745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tern information
information
display unit
calendar
sha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527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282286B1 (en
Inventor
정재웅
Original Assignee
정재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재웅 filed Critical 정재웅
Priority to KR10201901652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2286B1/en
Publication of KR202100745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451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22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228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4HOROLOGY
    • G04GELECTRONIC TIME-PIECES
    • G04G9/00Visual time or date indication means
    • G04G9/0064Visual time or date indication means in which functions not related to time can be displayed
    • GPHYSICS
    • G04HOROLOGY
    • G04GELECTRONIC TIME-PIECES
    • G04G21/00Input or output devices integrated in time-pieces
    • G04G21/04Input or output devices integrated in time-pieces using radio wav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Electric Clock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displays the time and date by outputting various clocks and calendars or clocks, calendars, and pictures on a display unit according to pattern information transmitted by a user terminal, thereby improving monotony of a conventional clock and calendar that displays the time and date only with one fixed clock and calendar.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vention in which schedule information stored in a user terminal is displayed visually and audibly on a display unit to notify a user that there is a schedule without going through a user terminal.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isplay unit and a user terminal.

Description

와이파이 기반의 다기능 시계 시스템{A multi-functional clock system based wifi}A multi-functional clock system based wifi}

본 발명은 와이파이 기반의 다기능 시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단말기가 전송한 패턴정보에 따라 디스플레이부에 다양한 시계와 달력 형상이 표시되어 시간과 날짜를 표시함으로서 하나의 시계나 달력으로만 시간이나 날짜를 표시하는 종래의 시계나 달력의 단조로움을 개선한 발명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Fi-based multi-function watch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various clock and calendar shapes ar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according to the pattern information transmitted by the user terminal to display the time and date, so that only one clock or calendar can be used. It is an invention that improves the monotony of a conventional clock or calendar that displays time or date.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단말기에 저장된 일정 정보를 디스플레이부에 시각적, 청각적으로도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일정이 있음을 알리는 발명이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an invention informing the user that there is a schedule by visually and audibly displaying schedule information stored in the user terminal on the display unit.

현대사회는 나날이 기술이 발달하면서 우리 생활도 편리하고 윤택해지고 있어 과거에 비교해서 삶의 질 향상에 초점을 둔 많은 생활기술들이 개발되어 발전되고 있는 추세이다.In modern society, as technology develops day by day, our lives are becoming more convenient and enriched. Compared to the past, many living technologies focused on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are being developed and developed.

특히, 우리가 일상생활에서 흔히 접하는 시계나 달력은 시간이나 날짜를 표시하는 용품으로서, 현대인에게 있어서 정확한 시간 준수를 위해 필요한 생활용품이다.In particular, watches or calendars that we commonly encounter in our daily life are items that display the time or date, and are necessary for modern people to keep accurate time.

특히, 시계는 예전에는 단순히 아날로그 방식이나 디지털 방식으로 시간만 표시하는 장치에 불과했지만, 최근에는 인테리어적인 심미감까지 제공하는 시계 제품들이 개발되고 있다.In particular, in the past, a watch was simply a device for displaying time in an analog or digital manner, but recently, watch products that provide an aesthetic sense of interior are being developed.

한편, 스마트폰의 보급에 의해 손목시계를 많이 사용하고 있지 않지만, 아직도 가정이나 회사, 상점에서는 디스플레이부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On the other hand, although wrist watches are not widely used due to the spread of smartphones, the display unit is still widely used in homes, companies, and shops.

하지만, 종래의 시계나 달력은 디자인 외형이 하나로 고정된 상태이기 때문에, 장기간 사용에 따라 고정된 디자인에 싫증을 내는 소비자들이 많아지고 있는 게 현실이다.However, since a conventional watch or calendar has a fixed design appearance, it is a reality that consumers are getting tired of the fixed design according to long-term use.

따라서 시계나 달력의 외형 디자인을 사용자의 기분 상태나 계절 변화에 따라 다양하게 변화시켜 한 가지 시계나 달력 외형에 의한 단조로움을 개선하고 인테리어적 심미감까지 제공할 수 있는 시계나 달력 개발이 필요한 시점이고, 본 발명은 이러한 필요성에 부응한 기술이라 할 것이다.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watch or calendar that can improve the monotony caused by the appearance of one watch or calendar by changing the external design of the watch or calendar according to the user's mood state or seasonal change, and also provide an interior aesthetic feeling. and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said to be a technology that responds to this need.

다음은 이와 관련한 종래의 선행기술들이다.The following are prior art related to this.

1.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134759호 디자인의 변형이 가능한 시계1.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2-0134759 A watch that can be modified in design 2.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63717호 사용자의 상태에 따라 디스플레이 색상이 변하는 스마트 워치2. 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1763717 Smart watch that changes the display color according to the user's status 3.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63871호 배경이 변화하는 벽걸이 시계3. Korean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0463871 Wall clock with changing background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본 발명은 사용자단말기가 전송한 패턴정보에 따라 디스플레이부에 다양한 시계와 달력 형상이 표시되어 시간과 날짜를 표시함으로서 고정된 시계나 달력 형상으로만 시간과 날짜를 표시하는 종래의 시계나 달력의 단조로움을 개선하고자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clock and calendar shapes ar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according to the pattern information transmitted by the user terminal to display the time and date, so that the time and date are displayed only in a fixed clock or calendar shape. It aims to improve the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단말기에 저장된 일정 정보를 디스플레이부에 시각적, 청각적으로도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일정이 있음을 알리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nform the user that there is a schedule by visually and audibly displaying schedule information stored in the user terminal on the display unit.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와이파이 기반의 다기능 시계 시스템은,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Wi-Fi-based multi-function watch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사용자단말기(200)가 전송한 패턴 정보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시간과 날짜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100)와;a display unit 100 for displaying the time and date in various forms according to the pattern information transmitted by the user terminal 200;

상기 디스플레이부(100)로 패턴 정보를 전송하는 전용 앱(210)이 탑재된 사용자단말기(2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user terminal 200 on which a dedicated app 210 for transmitting pattern information to the display unit 100 is mounted.

본 발명은 사용자단말기가 전송한 패턴정보에 따라 디스플레이부에 다양한 시계와 달력 형상이 표시되어 시간과 날짜를 표시하기 때문에, 사용자의 기분 상태나 계절 변화에 따라 시계와 달력 형상을 변경할 수 있어 고정된 시계나 달력 형상으로만 시간과 날짜를 표시하는 종래의 시계와 달력의 단조로움을 개선함과 동시에 인테리어적 장식성까지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clock and calendar shapes ar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according to the pattern information transmitted by the user terminal to display the time and date, so the clock and calendar shape can be changed according to the user's mood state or seasonal change. It has the effect of improving the monotony of conventional watches and calendars that display the time and date only in the shape of a clock or calendar, and at the same time providing interior decoration.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단말기에 저장된 일정 정보를 디스플레이부에 시각적, 청각적으로도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사용자단말기를 통하지 않고도 일정이 있음을 알리기 때문에 회사 사무실과 같은 비즈니스 환경에서 사용자의 일정관리에 효과적이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effective in managing the user's schedule in a business environment, such as a company office, because the schedule information stored in the user terminal is displayed visually and audibly on the display unit to inform the user that there is a schedule without going through the user terminal. .

도 1은 본 발명의 와이파이 기반의 다기능 시계 시스템의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와이파이 기반의 다기능 시계 시스템의 구성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와이파이 기반의 다기능 시계 시스템의 디스플레이부의 세부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와이파이 기반의 다기능 시계 시스템의 정보 변경 메뉴 화면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와이파이 기반의 다기능 시계 시스템의 패턴 정보 생성을 위한 화면 예시도
도 6는 본 발명의 와이파이 기반의 다기능 시계 시스템의 다양한 패턴 정보 예시도
1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Wi-Fi-based multi-function watch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block diagram of the Wi-Fi-based multi-function watch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detailed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display unit of the Wi-Fi-based multi-function watch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n exemplary view of the information change menu screen of the Wi-Fi-based multi-function watch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exemplary screen view for generating pattern information of the Wi-Fi-based multi-function watch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diagram illustrating various pattern information of the Wi-Fi-based multi-function watch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1 to 6 .

도 1은 본 발명의 와이파이 기반의 다기능 시계 시스템의 개념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와이파이 기반의 다기능 시계 시스템의 구성 블록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와이파이 기반의 다기능 시계 시스템의 디스플레이부의 세부 구성도이다.1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Wi-Fi-based multi-function watch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block diagram of the Wi-Fi-based multi-function watch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detail of the display unit of the Wi-Fi-based multi-function watch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configuration diagram.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와이파이 기반의 다기능 시계 시스템(이하 '시계 시스템')는 시간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100)에 사용자단말기(200)가 전송한 패턴정보에 따라 다양한 형상의 시계와 달력 또는 다양한 형상의 시계와 달력과 사진이 표시되므로, 사용자는 기분별, 계절별로 수시로 자신이 선호하는 시계와 달력 형상을 디스플레이부(100)에 표시할 수 있어, 고정된 형태의 시계와 달력만으로 된 종래의 시계 또는 달력의 단조로움을 개선하고, 인테리어적 장식성까지 얻을 수 있는 발명이다.Referring to FIG. 1 , the Wi-Fi-based multi-function watch system (hereinafter, 'clock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watch of various shapes according to the pattern information transmitted by the user terminal 200 to the display unit 100 that displays the time. Since the calendar or various shapes of clocks and calendars and photos are displayed, the user can display his or her preferred clock and calendar shape on the display unit 100 at any time by mood and season, so that only the clock and calendar in a fixed form can be displayed. It is an invention that can improve the monotony of a conventional clock or calendar, and even obtain interior decoration.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시계 시스템(10)는 디스플레이부(100)와 전용 앱(210)이 탑재된 사용자단말기(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Referring to FIG. 2 , the watch system 1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include a display unit 100 and a user terminal 200 on which a dedicated app 210 is mounted.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와이파이 기반의 다기능 시계 시스템은,Specifically, the Wi-Fi-based multi-function watch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사용자단말기(200)가 전송한 패턴 정보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시간과 날짜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100)와;a display unit 100 for displaying the time and date in various forms according to the pattern information transmitted by the user terminal 200;

상기 디스플레이부(100)로 패턴 정보를 전송하는 전용 앱(210)이 탑재된 사용자단말기(2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user terminal 200 on which a dedicated app 210 for transmitting pattern information to the display unit 100 is mounted.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100)는 사용자단말기(200)가 전송한 패턴정보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시간과 날짜를 표시하는 구성으로서, 벽에 거는 벽걸이 타입이거나 테이블 등에 놓여지는 직립 타입일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 the display unit 100 displays the time and date in various forms according to the pattern information transmitted by the user terminal 200, and is a wall-mounted type to be hung on a wall or an upright type to be placed on a table, etc. can

상기 디스플레이부(100)는 기본적으로 제1 표시부(110), 표시 제어부(120), 시계/달력 제어부(130), 통신부(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display unit 100 basically includes a first display unit 110 , a display control unit 120 , a clock/calendar control unit 130 , and a communication unit 140 .

상기 제1 표시부(110)는 도 3과 같이, 디스플레이부(100)의 일측에 형성되고, 제1 패턴 정보 따른 시계와 달력 또는 제2 패턴 정보에 따른 시계와 달력과 사진이 표시되는 일종의 디스플레이다.The first display unit 110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display unit 100, as shown in FIG. 3, and is a kind of display in which a clock and calendar according to the first pattern information or a clock, a calendar and a picture according to the second pattern information are displayed. .

이때, 상기 제1 표시부(110)를 통해 표시되는 시계는 아날로그 타입 이거나 디지털 타입의 시계일 수 있으며, 아날로그 타입의 경우 시계 외형과 시침, 분침, 초침 등이 그래픽적으로 표현된다.In this case, the clock displayed through the first display unit 110 may be an analog type or a digital type clock, and in the case of the analog type, the appearance of the clock and the hour hand, minute hand, second hand, etc. are graphically expressed.

또한, 제1 표시부(110)를 통해 표시되는 달력은 다양한 형태의 달력으로서 탁상용 달력 형상이거나 벽걸이용 달력 형상 등일 수 있다. In addition, the calendar displayed through the first display unit 110 may be a desk calendar shape or a wall calendar shape as various types of calendars.

상기 제1 표시부(110)를 통해 표시되는 사진은 가족사진이거나 아름다운 자연 환경을 담은 사진일 수 있다.The picture displayed through the first display unit 110 may be a family picture or a picture containing a beautiful natural environment.

즉, 제1 표시부(110)에는 제1 패턴 정보 따른 시계와 달력 형상이 표시되거나 제2 패턴 정보에 따른 시계와 달력과 사진이 표시될 수 있다.That is, the clock and calendar shapes according to the first pattern information may be displayed on the first display unit 110 or the clock, calendar, and photos according to the second pattern information may be displayed.

상기 표시 제어부(120)는 디스플레이부(100)의 내측에 형성되어, 사용자단말기로(200)부터 수신된 제1 패턴 정보에 따른 시계 형상과 달력 형상 또는 제2 패턴 정보 따른 시계 형상과 달력 형상과 사진이 제1 표시부(110)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구성이다.The display control unit 120 is formed inside the display unit 100, a clock shape and a calendar shape according to the first patter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200, or a clock shape and a calendar shape according to the second pattern information; It is a configuration for controlling the picture to be displayed on the first display unit (110).

특히, 상기 표시 제어부(120)는 제1 표시부(110)에 표시되는 제1 패턴 정보에 따른 시계 형상과 달력 형상 또는 제2 패턴 정보 따른 시계 형상과 달력 형상과 사진을 사용자 설정 정보와 모드(자동 또는 수동 모드)에 따라 변경되도록 제어한다.In particular, the display control unit 120 displays a clock shape and a calendar shape according to the first pattern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first display unit 110 or a clock shape and a calendar shape and a picture according to the second pattern information to the user setting information and mode (automatic). or manual mode).

수동 모드란 사용자단말기(200)로부터 패턴정보가 수신되면, 수신된 패턴정보에 따라 시계 형상, 달력 형상, 사진을 변경하는 모드를 의미하고, 자동 모드란 사용자단말기(200)로부터의 패턴정보 수신과는 상관없이 사용자 설정 정보(사용자단말기에 탑재된 전용 앱(210)으로 설정하는 정보로서 요일별 또는 시간별로 패턴 정보를 변경하라는 정보)에 따라 시계 형상, 달력 형상, 사진을 변경하는 모드를 의미한다.The manual mode means a mode in which, when pattern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200, a clock shape, a calendar shape, and a picture are changed according to the received pattern information, and the automatic mode is a patter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200 and means a mode in which the watch shape, calendar shape, and photo are changed according to user setting information (information set by the dedicated app 210 mounted on the user terminal, and to change pattern information by day or time) regardless of

즉, 상기 표시 제어부(120)는 수동 모드가 선택되면, 사용자단말기로(200)부터 수신된 패턴정보에 따라서만 시계 형상, 달력 형상, 사진이 제1 표시부(110)에 표시되도록 제어(패턴정보가 제1패턴정보이면 시계 형상, 달력 형상을, 제2패턴정보이면 시계 형상, 달력 형상, 사진을 표시하도록 제어)하고, 자동 모드가 선택되면, 사용자 설정 정보에 따라 저장부(121)에 저장된 패턴정보에 따른 시계 형상, 달력 형상, 사진이 제1 표시부(110)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다가, 사용자단말기로부터 패턴정보가 수신되면 수신된 패턴 정보에 따른 시계 형상, 달력 형상, 사진이 제1 표시부(110)에 표시되도록 제어한다.That is, when the manual mode is selected, the display control unit 120 controls so that a clock shape, a calendar shape, and a picture are displayed on the first display unit 110 only according to the patter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200 (pattern information). If is the first pattern information, control to display the clock shape, calendar shape, and if the second pattern information, display the clock shape, calendar shape, and photo), and when the automatic mode is selected, stored in the storage unit 121 according to user setting information While controlling so that the clock shape, calendar shape, and photo according to the pattern information are displayed on the first display unit 110, when pattern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the clock shape, calendar shape, and photo according to the received pattern information are displayed on the first display unit ( 110) to be displayed.

사용자 설정 정보가 요일별 변경이고 자동 모드인 경우, 표시 제어부(120)는 요일에 따라 각기 다른 패턴정보에 따른 시계 형상, 달력 형상, 사진이 제1 표시부(110)에 표시되도록 제어한다. 요일에 따라 각기 다르게 표시할 패턴정보는 그동안 사용자단말기(200)로부터 수신한 패턴정보를 이용한다.When the user setting information is changed by day of the week and is in the automatic mode, the display control unit 120 controls so that a clock shape, a calendar shape, and a picture according to different pattern information are displayed on the first display unit 110 according to the day of the week. The pattern information to be displayed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day of the week uses the patter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200 during that time.

예를 들어, 그동안 사용자단말기(200)로부터 패턴정보1, 패턴정보2,....패턴정보N을 수신 받았다면, 월요일에는 패턴정보1에 해당하는 시계 형상, 달력 형상, 사진을, 화요일에는 패턴정보 3에 해당하는 시계 형상, 달력 형상, 사진을, 수요일에는 패턴정보 5에 해당하는 시계 형상, 달력 형상, 사진을, 목요일에는 패턴정보 8에 해당하는 시계 형상, 달력 형상, 사진을, 금요일에는 패턴정보 10에 해당하는 시계 형상, 달력 형상, 사진을, 토요일에는 패턴정보 12에 해당하는 시계 형상, 달력 형상, 사진을, 일요일에는 패턴정보 15에 해당하는 시계 형상, 달력 형상, 사진을 표시하게 된다.For example, if pattern information 1, pattern information 2, ... pattern information N has been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200 in the meantime, the clock shape, calendar shape, and photo corresponding to pattern information 1 are displayed on Monday, and on Tuesday. Clock shape, calendar shape, and photo corresponding to pattern information 3, clock shape, calendar shape, and photo corresponding to pattern information 5 on Wednesday, clock shape, calendar shape, and photo corresponding to pattern information 8 on Thursday, Friday The clock shape, calendar shape, and photo corresponding to pattern information 10 are displayed on Saturday, the clock shape, calendar shape, and photo corresponding to pattern information 12 are displayed on Saturday, and the clock shape, calendar shape and photo corresponding to pattern information 15 are displayed on Sunday. will do

또는, 사용자 설정 정보가 시간별 변경이고 자동 모드인 경우, 표시 제어부(120)는 시간에 따라 각기 다른 패턴정보에 따른 시계 형상, 달력 형상, 사진이 제1 표시부(110)에 표시되도록 제어한다. 시간에 따라 각기 다르게 표시할 패턴정보 역시 그동안 사용자단말기(200)로부터 수신한 패턴정보를 이용한다.Alternatively, when the user setting information is changed by time and is in the automatic mode, the display control unit 120 controls the clock shape, the calendar shape, and the picture according to different pattern information according to time to be displayed on the first display unit 110 . The pattern information to be displayed differently according to time also uses the patter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200 during that time.

예를 들어, 그동안 사용자단말기(200)로부터 패턴정보1, 패턴정보2,....패턴정보N을 수신 받았다면, 자정~오전 6시에는 패턴정보1에 해당하는 시계 형상, 달력 형상, 사진을, 오전 6시~낮 12시에는 패턴정보 3에 해당하는 시계 형상, 달력 형상, 사진을 낮 12시 ~오후 6시에는 패턴정보 5에 해당하는 시계 형상, 달력 형상, 사진을, 오후 6~자정에는 패턴정보 8에 해당하는 시계 형상, 달력 형상, 사진을 표시하게 된다.For example, if pattern information 1, pattern information 2, ... pattern information N has been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200 in the meantime, a clock shape, a calendar shape, and a picture corresponding to pattern information 1 are received from midnight to 6 am. B, a clock shape, calendar shape, and photo corresponding to pattern information 3 from 6 am to 12 noon, and a clock shape, calendar shape, and photo corresponding to pattern information 5 from 12 noon to 6 pm, 6 pm At midnight, a clock shape, a calendar shape, and a picture corresponding to pattern information 8 are displayed.

또한, 표시 제어부(120)는 요일별 또는 시간별로 각기 다른 패턴 정보를 표시하던 중 사용자단말기로부터 패턴정보가 수신되면 표시 제어부(120)는 현재 표시되고 있는 패턴 정보에 따른 시계 형상, 달력 형상, 사진 대신 새롭게 수신된 패턴정보에 해당하는 시계 형상, 달력 형상, 사진으로 변경하게 된다.In addition, when the display control unit 120 receives pattern information from the user terminal while displaying different pattern information for each day or time of the week, the display control unit 120 controls the display control unit 120 instead of a clock shape, a calendar shape, and a picture according to the currently displayed pattern information. It is changed to a clock shape, a calendar shape, and a picture corresponding to the newly received pattern information.

결국, 표시 제어부(120)는 수동 모드가 선택되면 사용자단말기로부터 패턴정보가 수신될 때에만 패턴 정보를 변경 시키고, 자동 모드가 선택되면 사용자 설정 정보(예: 요일별 또는 시간별 변경)에 따라 패턴 정보를 표시하다가 사용자단말기로부터 특정 패턴정보가 수신되면 현재 표시되고 있는 시계 형상, 달력 형상, 사진 대신 새롭게 수신된 패턴정보에 해당하는 시계 형상, 달력 형상, 사진으로 변경 시키는 것이다.As a result, the display control unit 120 changes the pattern information only when the pattern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when the manual mode is selected, and when the automatic mode is selected, the pattern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user setting information (eg, change by day or time) When specific pattern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during display, the clock shape, calendar shape, and photo corresponding to the newly received pattern information are changed instead of the currently displayed clock shape, calendar shape, and photo.

그동안 사용자단말기(200)로부터 수신한 패턴정보들을 저장 관리하기 위해 표시 제어부(120)에는 저장부(121)가 구성된다.In the meantime, in order to store and manage the patter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200 , a storage unit 121 is configured in the display control unit 120 .

또한, 디스플레이부(100)는 사용자가 자동 모드와 수동 모드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모드 선택부(180)를 더 포함하게 된다.In addition, the display unit 100 further includes a mode selection unit 180 that allows the user to select the automatic mode and the manual mode.

추가적으로, 표시 제어부(120)는 요일별 또는 시간별로 제1 표시부(110)에 표시할 패턴정보를 저장부(121)에 저장된 패턴정보들 중에서 선택하게 되는데, 선택은 표시 제어부(120)가 임의적 방식(랜덤 방식)으로 선택하거나 우선순위 방식으로 선택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display control unit 120 selects the pattern information to be displayed on the first display unit 110 by day or time from among the pattern information stored in the storage unit 121, and the display control unit 120 selects the pattern information in an arbitrary manner ( random method) or a priority method.

우선순위 방식은 표시 제어부(120)가 그동안 사용자단말기의 패턴정보 전송 횟수를 학습한 결과를 이용하는 것으로서, 그동안 사용자단말기가 가장 많이 전송한 패턴정보를 우선순위로 하여 요일별 또는 시간별로 먼저 표시하는 것이다.In the priority method, the display control unit 120 uses the result of learning the number of times of pattern information transmission of the user terminal during that time, and the pattern information transmitted the most by the user terminal during that time is prioritized and displayed first by day or time.

예를 들어, 저장부(121)에 저장된 패턴정보가 패턴정보1, 패턴정보2,....패턴정보N이고, 이중 패턴정보1은 총 30회, 패턴정보2는 총 12회, 패턴정보3은 총 25회, 패턴정보4는 총 20회, 패턴정보5는 총 10회.... 패턴정보N은 총 8회로 사용자단말기가 전송하였다면, 우선순위는 패턴정보1-패턴정보3-패턴정보4-패턴정보2가 되는 것이다.For example, the pattern information stored in the storage unit 121 is pattern information 1, pattern information 2, .... pattern information N, of which pattern information 1 is a total of 30 times, pattern information 2 is a total of 12 times, and pattern information 3 is a total of 25 times, pattern information 4 is a total of 20 times, pattern information 5 is a total of 10 times.... If the user terminal transmits pattern information N a total of 8 times, the priority is pattern information 1 - pattern information 3 - pattern. It becomes information 4 - pattern information 2.

따라서 우선순위 방식의 경우, 표시 제어부(120)는 예를 들어, 월요일에는 1순위인 패턴정보1에 해당하는 시계 형상, 달력 형상, 사진을 화요일에는 2순위인 패턴정보3에 해당하는 시계 형상, 달력 형상, 사진을, 월요일에는 3순위인 패턴정보4에 해당하는 시계 형상, 달력 형상, 사진을, 목요일에는 4순위인 패턴정보2에 해당하는 시계 형상, 달력 형상, 사진을 표시하는 것이다. 물론 시간별 표시에 있어서도 동일하다.Therefore, in the case of the priority method, the display control unit 120, for example, a clock shape, a calendar shape, and a picture corresponding to the first priority pattern information 1 on Monday, a clock shape corresponding to the second priority pattern information 3 on Tuesday, A calendar shape and a picture are displayed on Monday, a clock shape, a calendar shape, and a picture corresponding to pattern information 4 of the 3rd priority, and a clock shape, a calendar shape, and a picture corresponding to the 4th ranking pattern information 2 on Thursday. Of course, the same is true for hourly display.

상기 시계/달력 제어부(130)는 인터넷에 접속하여 시간 정보와 날짜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한 시간 정보와 날짜 정보가 제1 표시부(110)에 표시된 시계 형상과 달력 형상에 표시되도록 하는 구성이다.The clock/calendar control unit 130 is configured to access the Internet to obtain time information and date information, and to display the obtained time information and date information in a clock shape and a calendar shape displayed on the first display unit 110 .

예를 들어, 시계 형상이 아날로그 타입의 경우 시계/달력 제어부(130)는 획득한 시간 정보를 참조하여 제1 표시부(110) 표시된 시계 형상에 시침, 분침, 초침 등을 동작시켜 시간을 표시하게 된다. 또한, 시계 형상이 디지털 타입의 경우 시계/달력 제어부(130)는 획득한 시간 정보를 참조하여 제1 표시부(110) 표시된 시계 형상에 디지털 숫자로 시간을 표시하게 된다.For example, when the watch shape is an analog type, the watch/calendar control unit 130 displays the time by operating the hour hand, the minute hand, the second hand, etc. on the watch shape displayed on the first display unit 110 with reference to the acquired time information. . In addition, when the watch shape is a digital type, the watch/calendar control unit 130 displays the time in digital numbers on the watch shape displayed on the first display unit 110 with reference to the acquired time information.

상기 통신부(140)는 사용자단말기(200)와 근거리 통신방식으로 통신하여 사용자단말기로(200)부터 패턴정보를 수신 받고, 인터넷 공유기와 근거리 통신방식으로 통신하여 시계/달력 제어부(130)가 공유기를 통해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The communication unit 140 communicates with the user terminal 200 in a short-distance communication method to receive pattern information from the user terminal 200, and communicates with the Internet router in a short-distance communication method so that the clock/calendar control unit 130 connects the router to the router. It is a configuration that allows access to the Internet through

근거리 통신방식은 와이파이(WIFI : wireless fidelity), 블루투스(blue-tooth) 등일 수 있다.The short-distance communication method may be Wi-Fi (wireless fidelity), Bluetooth (blue-tooth), or the like.

한편, 상기 디스플레이부(100)는, 추가적으로 도 2와 같이, 제2 표시부(150), 알람부(160) 및 제3 표시부(17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Meanwhile, as shown in FIG. 2 , the display unit 100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display unit 150 , an alarm unit 160 , and a third display unit 170 .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제2 표시부(150)는 디스플레이부(100)의 일측에 형성되어 사용자단말기(200)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일정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로서, 수신된 사용자 일정 정보가 해당 일정의 날짜와 내용이면 날짜와 내용이 표시되도록 하고, 수신된 사용자 일정 정보가 해당 일정의 날짜와 시간과 내용이면 날짜와 시간과 내용이 표시되도록 한다.Referring to FIG. 3 , the second display unit 150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display unit 100 to display user schedul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200 , and the received user schedule information is displayed on the schedule. If the date and contents are the date and contents, the date and contents are displayed, and if the received user schedule information is the date, time and contents of the corresponding schedule, the date, time and contents are displayed.

이를 위해, 사용자단말기(200)에 탑재된 전용 앱(210)은 사용자단말기에 저장된 일정 정보를 주기적으로 추출하여 디스플레이부(100)로 제공하게 된다.To this end, the dedicated app 210 mounted on the user terminal 200 periodically extracts schedule information stored in the user terminal and provides it to the display unit 100 .

또한, 제2 표시부(150)는 일정 정보가 해당 날짜에만 표시되도록 하거나 해당 날짜 이전에 표시되도록 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일정에 대해 상기 시키거나 준비할 수 있도록 인지시킨다.In addition, the second display unit 150 allows the user to remind or prepare for the schedule by displaying the schedule information only on the corresponding date or before the corresponding date.

예를 들어 상기 제2 표시부(150)는 도 3과 같이 오늘 일정이 표시되는 영역과 내일 일정(또는 추후 일정)이 표시되는 영역으로 구분되며, 오늘 일정이 표시되는 영역에는 사용자 일정 정보 중 오늘 일정에 해당하는 일정 정보를 표시하고, 내일 일정이 표시되는 영역에는 사용자 일정 정보 중 내일 일정에 해당하는 일정 정보를 표시하도록 제어한다.For example, the second display unit 150 is divided into an area in which today's schedule is displayed and an area in which tomorrow's schedule (or future schedule) is displayed as shown in FIG. 3 , and today's schedule among user schedule information is displayed in the area where today's schedule is displayed. Display schedul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 and control to display schedul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omorrow's schedule among user schedule information in an area where tomorrow's schedule is displayed.

물론, 내일 일정이 표시되는 영역에 내일 일정뿐만 아니라 모레 일정과 같이 추후 일정(며칠 뒤의 일정)이 표시되도록 하는 것도 본 발명의 범주에 포함됨은 자명하다.Of course, it is obvious that it is also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display a future schedule (schedule a few days later) such as tomorrow's schedule as well as tomorrow's schedule in the area where the tomorrow schedule is displayed.

이 경우, 추후 일정에 포함시킬 날짜 범위는 사용자가 설정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2일 뒤 일정까지 또는 3일 뒤 일정까지 등과 같이 설정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user may set the date range to be included in the future schedule, for example, up to a schedule 2 days later or a schedule 3 days later, and the like.

도 3을 참조하면, 알람부(160)가 디스플레이부(100)의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알람부(160)는 특정 시간이나 특정 날짜가 되면 사용자에게 해당 일정이 있음을 청각적 방법으로 알리는 청각적 알람을 출력하여 알린다.Referring to FIG. 3 , the alarm unit 160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display unit 100 , and when the alarm unit 160 arrives at a specific time or a specific date, an auditory method notifies the user that there is a corresponding schedule. Enemy alarm is output to notify.

예를 들어 “오늘은 결혼기념일입니다”, “ 금일 오후 2시에 **지법에 민사재판이 있습니다” 와 같은 음성 정보를 출력하는 것이다.For example, it outputs voice information such as “Today is our wedding anniversary” and “There is a civil trial in the district court at 2 pm today”.

상기 특정 시간은 사용자의 일정 시간보다 사전 설정된 시간(예: 1시간)만큼 이전 시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pecific tim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earlier than the user's specific time by a preset time (eg, 1 hour).

예를 들어 금일 오후 2시에 **지법에 민사재판이 있는 일정인 경우, 오후 1시에 “ 금일 오후 2시에 **지법에 민사재판이 있습니다” 와 같은 음성 정보를 출력하는 것이다.For example, if there is a civil trial in the district court at 2:00 pm today, voice information such as “There is a civil trial in the district court at 2:00 pm today” is output at 1 pm.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제2 표시부(150)와 알람부(160)를 통해 사용자 일정을 미리 인지할 수 있어 업무상 중요한 일정을 놓치는 경우를 예방하므로, 회사 사무실과 같은 비즈니스 환경에서 사용자의 일정관리에 효과적이다.Therefore, the user can recognize the user's schedule in advance through the second display unit 150 and the alarm unit 160 to prevent missing an important schedule for work, so it is effective in managing the user's schedule in a business environment such as a company office. .

한편, 상기 디스플레이부(100)는 도 3과 같이 제3 표시부(17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3 표시부(170)는 온도, 습도, 날씨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다.Meanwhile, the display unit 100 may further include a third display unit 170 as shown in FIG. 3 , and the third display unit 170 is a display that displays at least one of temperature, humidity, and weather. .

이를 위해, 디스플레이부(100)에는 온도와 습도를 측정하는 센서가 구성되고(미도시), 시계/달력 제어부(130)는 온도와 습도를 측정하는 센서로부터 온도와 습도에 관한 측정 정보를 획득하여 제3 표시부(170)에 표시되도록 제어한다.To this end, a sensor for measuring temperature and humidity is configured in the display unit 100 (not shown), and the clock/calendar control unit 130 obtains measurement information about temperature and humidity from the sensor for measuring temperature and humidity. Control to be displayed on the third display unit 170 .

또한, 시계/달력 제어부(130)는 통신부(140)를 통해 인터넷에 접속하여 날씨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한 날씨 정보가 제3 표시부(170)에 표시되도록 제어한다.In addition, the clock/calendar control unit 130 obtains weather information by accessing the Internet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40 , and controls the obtained weather information to be displayed on the third display unit 170 .

특히, 상기 제3 표시부(170)에서 표시되는 날씨 정보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날씨 아이콘 형태로 표시되어 사용자가 쉽고 효과적으로 날씨 정보를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In particular, the weather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third display unit 170 is displayed in the form of a weather icon as shown in FIG. 3 so that the user can easily and effectively recognize the weather information.

도 4는 본 발명의 와이파이 기반의 다기능 시계 시스템의 정보 변경 화면 예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와이파이 기반의 다기능 시계 시스템의 패턴 정보 생성을 위한 화면 예시도이며, 도 6는 본 발명의 와이파이 기반의 다기능 시계 시스템의 다양한 패턴 정보 예시도이다.4 is an exemplary view of a screen for changing information of a Wi-Fi-based multi-function watch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n exemplary screen view for generating pattern information of a Wi-Fi-based multi-function watch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 Wi-Fi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n example diagram of various pattern information of the based multi-function watch system.

상기 사용자단말기(200)는 사용자가 사용하는 휴대용 단말기로서 본 발명의 시계 시스템(10)를 이용하기 위한 전용 앱(210)이 탑재 설치되며, 상기 전용 앱(210)을 통해 디스플레이부(100)로 패턴 정보를 전송하게 된다.The user terminal 200 is a portable terminal used by the user, and a dedicated app 210 for using the watch system 1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and installed, and the display unit 100 through the dedicated app 210 is installed. pattern information is transmitted.

여기서, 상기 사용자단말기(200)는 스마트폰, 태블릿 PC, 스마트 워치, 노트북, PDA와 같은 통신 기능을 갖는 전자기기 등일 수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전자기기 중에서도 가장 많이 보급되면서 휴대성, 편리성, 기능성이 우수하고 인터넷과 블루투스 같은 통신이 가능하고 터치 입력이 가능하고 스피커 기능을 갖는 스마트폰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user terminal 200 may be an electronic device having a communication function such as a smart phone, a tablet PC, a smart watch, a notebook computer, and a PDA. It is desirable to apply a smart phone that is excellent, can communicate with the Internet and Bluetooth, can touch input, and has a speaker function.

이때, 상기 사용자단말기(200)에 탑재된 전용 앱(210)은,At this time, the dedicated app 210 mounted on the user terminal 200,

사용자 단말기 화면상에 메뉴를 표시하는 메뉴 표시모듈(211)과,A menu display module 211 for displaying a menu on th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사용자가 패턴 정보를 생성할 수 있도록 하는 패턴정보 생성모듈(212)과,a pattern information generation module 212 that allows a user to generate pattern information;

특정 패턴 정보를 사용자가 선택 시, 선택된 패턴 정보를 디스플레이부(100)로 전송하는 패턴정보 전송모듈(213)과,When the user selects specific pattern information, the pattern information transmission module 213 for transmitting the selected pattern information to the display unit 100;

패턴 정보, 후보 시계 형상 정보, 후보 달력 형상 정보, 후보 사진 정보가 저장되는 저장모듈(214)과,a storage module 214 for storing pattern information, candidate watch shape information, candidate calendar shape information, and candidate photo information;

사용자단말기(200)에 저장된 일정 정보를 주기적으로 추출하고, 추출된 사용자 일정 정보를 디스플레이부(100)로 전송하는 일정정보 전송모듈(215)과,A schedule information transmission module 215 for periodically extracting schedule information stored in the user terminal 200 and transmitting the extracted user schedule information to the display unit 100;

사용자가 패턴 정보 변경 주기를 선택하도록 하고, 선택된 변경주기에 대응된 사용자 설정 정보를 디스플레이부(100)로 전송하는 변경주기 선택모듈(216)을 포함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a change period selection module 216 for allowing a user to select a pattern information change period and transmitting user setting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change period to the display unit 100 .

상기 메뉴 표시모듈(211)은 사용자 단말기 화면상에 변경을 원하는 패턴 정보를 사용자가 선택하거나 새로운 패턴 정보를 생성하거나 패턴 정보의 변경 주기를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메뉴를 표시하는 구성이다.The menu display module 211 is configured to display a menu that allows the user to select pattern information desired to be changed, create new pattern information, or set a change period of pattern information on th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예를 들어, 메뉴 표시모듈(211)은 사용자 단말기 화면상에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턴 정보 설정” 메뉴 버튼, “패턴 정보 생성” 메뉴 버튼, “변경주기 설정” 메뉴 버튼을 표시한다.For example, the menu display module 211 displays a “pattern information setting” menu button, a “pattern information generation” menu button, and a “change cycle setting” menu button as shown in FIG. 4 on the user terminal screen.

즉, 사용자가 “패턴 정보 설정” 메뉴 버튼을 터치하면 전용 앱(210)은 디스플레이부(100)에 표시될 패턴 정보를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환경을 조성하고, “패턴 정보 생성” 메뉴 버튼을 터치하면 전용 앱(210)은 사용자가 새로운 패턴 정보를 생성할 수 있도록 하는 환경을 조성하고, “변경주기 설정” 메뉴 버튼을 터치하면 전용 앱(210)은 사용자가 패턴 정보의 변경 주기를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환경을 조성한다.That is, when the user touches the “Set pattern information” menu button, the dedicated app 210 creates an environment in which the user can select the pattern information to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00, and presses the “Create pattern information” menu button. When touched, the dedicated app 210 creates an environment that allows the user to create new pattern information, and when the “change cycle setting” menu button is touched, the dedicated app 210 allows the user to set the change cycle of the pattern information. Create an environment that allows

상기 패턴정보 생성모듈(212)은 사용자가 새로운 패턴 정보를 생성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The pattern information generating module 212 is configured to allow a user to generate new pattern information.

후술 할 저장모듈(214)에는 그동안 사용자에 의해 생성된 패턴 정보나 전용 앱(210)이 기본적으로 제공하는 기본 패턴 정보가 저장되어 있으나, 사용자가 자신만의 개성 있는 패턴 정보를 생성하고자 할 때 패턴정보 생성모듈(212)을 이용해 새로운 패턴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In the storage module 214 to be described later, pattern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user or basic pattern information basically provided by the dedicated app 210 is stored, but when the user wants to create his/her own unique pattern information, the pattern information New pattern information may be generated using the information generation module 212 .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패턴 정보 생성 메뉴 버튼을 터치하면 패턴정보 생성모듈(212)은 화면에 도 5A와 같은 후보 시계 형상을 표시한다. 표시된 후보 시계 형상 중 사용자가 하나를 선택하면, 패턴정보 생성모듈(212)은 이어서 도 5B와 같은 후보 달력 형상을 표시한다. 표시된 후보 달력 형상 중 사용자가 하나를 선택하면, 패턴정보 생성모듈(212)은 이어서 도 5C와 같은 후보 사진을 표시한다. 표시된 후보 사진 중 사용자가 하나를 선택하면, 패턴정보 생성모듈(212)은 선택된 시계 형상, 달력 형상, 사진을 포함하는 패턴 정보를 생성하여 저장모듈에 저장한다.As shown in FIG. 4 , when the user touches the pattern information generating menu button, the pattern information generating module 212 displays a candidate watch shape as shown in FIG. 5A on the screen. When the user selects one of the displayed candidate watch shapes, the pattern information generating module 212 then displays the candidate calendar shape as shown in FIG. 5B. When the user selects one of the displayed candidate calendar shapes, the pattern information generating module 212 then displays a candidate picture as shown in FIG. 5C. When the user selects one of the displayed candidate photos, the pattern information generating module 212 generates pattern information including the selected watch shape, calendar shape, and photo and stores the generated pattern information in the storage module.

상술한 방법으로 생성되는 패턴 정보는 제2 패턴 정보로서는 시계 형상, 달력 형상, 사진이 모두 포함되는 정보지만, 사진을 선택하지 않음으로 필요에 따라 사진을 패턴 정보에서 제외시킬 수도 있다. 즉, 패턴 정보는 시계 형상과 달력 형상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1 패턴 정보이거나 시계 형상과 달력 형상과 사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2 패턴 정보일 수 있다.Although the pattern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above-described method includes all of a clock shape, a calendar shape, and a photo as the second pattern information, the photo may be excluded from the pattern information if necessary because the photo is not selected. That is, the pattern information may be first pattern information including information about a watch shape and a calendar shape, or may be second pattern information including information about a watch shape, a calendar shape, and a photo.

상기 후보 시계 형상 정보, 후보 달력 형상 정보, 후보 사진 정보 등은 저장모듈(214)에 저장된 정보로서 전용 앱(210)이 기본적으로 제공하기도 하지만, 사용자가 개인적으로 획득하여 저장 시킬 수 있는 정보들이다.The candidate watch shape information, candidate calendar shape information, candidate photo information, etc. are information stored in the storage module 214 and are provided by the dedicated app 210 by default, but are information that the user can personally obtain and store.

예를 들어, 사용자는 패턴 정보 생성에 이용하기 위해 가족사진이나 특정 시계 형상이나 특정 달력 형상을 저장모듈(214)에 저장 시킬 수 있는 것이다.For example, the user may store a family photo, a specific watch shape, or a specific calendar shape in the storage module 214 to use it to generate pattern information.

상기 패턴정보 전송모듈(213)은 특정 패턴 정보를 사용자가 선택 시, 선택된 패턴 정보를 디스플레이부(100)로 전송하는 구성으로서, 사용자가 “패턴정보변경” 메뉴 버튼을 터치하면 패턴정보 전송모듈(213)은 도 6과 같이 저장모듈(214)에 저장된 다양한 패턴정보들에 대응된 이미지 화면을 화면에 표시한다.The pattern information transmission module 213 is configured to transmit the selected pattern information to the display unit 100 when the user selects specific pattern information, and when the user touches the “pattern information change” menu button, the pattern information transmission module ( 213 displays an image screen corresponding to various pattern information stored in the storage module 214 on the screen as shown in FIG. 6 .

이후, 사용자는 화면에 표시된 다양한 형태의 이미지 중 원하는 이미지를 선택하게 되며, 선택된 이미지에 대응된 패턴정보를 패턴정보 전송모듈(213)은 디스플레이부(100)로 전송한다.Thereafter, the user selects a desired image among various types of images displayed on the screen, and the pattern information transmission module 213 transmits patter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image to the display unit 100 .

예를 들어, 사용자에 의해 도 6의 ①에 해당하는 이미지가 선택되는 경우 도 6의 ①에 해당하는 패턴정보가 디스플레이부(100)로 전송되고, 도 6의 ②에 해당하는 이미지가 선택되는 경우 도 6의 ②에 해당하는 패턴정보가 디스플레이부(100)로 전송되는 것이다.For example, when an image corresponding to ① of FIG. 6 is selected by the user, patter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① of FIG. 6 is transmitted to the display unit 100, and when an image corresponding to ② of FIG. 6 is selected Patter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② of FIG. 6 is transmitted to the display unit 100 .

상기 저장 모듈(214)은 패턴 정보, 후보 시계 형상 정보, 후보 달력 형상 정보, 후보 사진 정보를 저장하는 구성으로서, 저장되는 후보 시계 형상 정보, 후보 달력 형상 정보, 후보 사진 정보는 전용 앱(210)이 기본적으로 제공하기도 하지만, 사용자가 개인적으로 획득하여 저장 시킬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패턴 정보 생성에 이용하기 위해 가족사진을 저장모듈(214)에 저장 시킬 수 있다.The storage module 214 is configured to store pattern information, candidate watch shape information, candidate calendar shape information, and candidate photo information, and the stored candidate watch shape information, candidate calendar shape information, and candidate photo information is a dedicated app 210 . This is provided by default, but the user can personally obtain and save it. For example, the user may store the family photo in the storage module 214 to use it to generate pattern information.

상기 일정정보 전송모듈(215)은 사용자단말기(200)에 저장된 일정 정보를 주기적으로 추출하고, 추출된 사용자 일정 정보를 디스플레이부(100)로 전송하는 구성이다.The schedule information transmission module 215 is configured to periodically extract schedule information stored in the user terminal 200 and transmit the extracted user schedule information to the display unit 100 .

사용자 단말기에는 사용자에 의해 다양한 일정 정보가 저장된다. 일반적으로 일정 정보는 통상의 일정관리 앱에 의해 저장 관리된다.Various schedule information is stored in the user terminal by the user. In general, schedule information is stored and managed by a typical schedule management app.

사용자 단말기에 저장된 일정 정보를 일정정보 전송모듈(215)은 주기적으로 추출하여 디스플레이부(100)로 전송하게 되며, 전송된 일정 정보는 상술한 바와 같이 시계/달력 제어부(130)에 의해 제2 표시부(150)에 표시된다.The schedule information transmission module 215 periodically extracts schedule information stored in the user terminal and transmits it to the display unit 100, and the transmitted schedule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second display unit by the clock/calendar control unit 130 as described above. (150).

상기 변경주기 선택모듈(216)은 사용자가 패턴 정보 변경 주기를 선택하도록 하고, 선택된 변경주기에 대응된 사용자 설정 정보를 디스플레이부(100)로 전송하는 구성으로서, 사용자가 도 4와 같이 “변경주기설정” 메뉴 버튼을 터치하면 변경주기 선택모듈(216)은 도 4와 같이 변경 주기를 요일별로 할 것인가 아니면 시간별로 할 것인가를 선택할 수 있는 팝업 메뉴를 표시한다.The change period selection module 216 allows the user to select a pattern information change period and transmits user setting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change period to the display unit 100, and the user selects a "change period" as shown in FIG. When the "Settings" menu button is touched, the change cycle selection module 216 displays a pop-up menu for selecting whether to change the cycle by day or by time, as shown in FIG. 4 .

또한, 변경주기 선택모듈(216)은 팝업 된 메뉴 중 사용자가 요일별을 선택하면 패턴정보 변경 주기를 요일별로 하는 사용자 설정 정보를 디스플레이부(100)로 전송하고, 시간별을 선택하면 변경 주기를 시간별로 하는 사용자 설정 정보를 디스플레이부(100)로 전송한다.In addition, the change cycle selection module 216 transmits user setting information for changing the pattern information by day of the week to the display unit 100 when the user selects by day of the week from the pop-up menu, and when selecting by time, changes the change period by time and transmits the user setting information to the display unit 100 .

이상에서 본 발명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In the above,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xemplarily described and does not limit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it is a clear fact that anyone with ordinary skill in the art can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imitations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10 : 시계 시스템
20 : 인터넷 공유기
100 : 디스플레이부
200 : 사용자단말기
10: clock system
20: Internet router
100: display unit
200: user terminal

Claims (10)

시계 기능과 달력 기능을 다양한 이미지로 표시하는 와이파이 기반의 다기능 시계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단말기(200)가 전송한 패턴 정보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시간과 날짜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100)와;
상기 디스플레이부(100)로 패턴 정보를 전송하는 전용 앱(210)이 탑재된 사용자단말기(2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파이 기반의 다기능 시계 시스템.
In a Wi-Fi-based multifunctional watch system that displays a clock function and a calendar function in various images,
a display unit 100 for displaying the time and date in various forms according to the pattern information transmitted by the user terminal 200;
Wi-Fi-based multi-function watch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user terminal (200) equipped with a dedicated app (210) for transmitting pattern information to the display unit (10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100)는,
제1 패턴 정보 따른 시계와 달력 또는 제2 패턴 정보에 따른 시계와 달력과 사진이 표시되는 제1 표시부(110)와,
사용자단말기로(200)부터 수신된 제1 패턴 정보에 따른 시계 형상과 달력 형상 또는 제2 패턴 정보 따른 시계 형상과 달력 형상과 사진이 제1 표시부(110)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표시 제어부(120)와,
인터넷에 접속하여 시간 정보와 날짜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한 시간 정보와 날짜 정보가 제1 표시부(110)에 표시된 시계 형상과 달력 형상에 표시되도록 하는 시계/달력 제어부(130)와,
사용자단말기(200)와 근거리 통신방식으로 통신하여 사용자단말기로(200)부터 패턴정보를 수신 받고, 인터넷 공유기와 근거리 통신방식으로 통신하여 시계/달력 제어부(130)가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도록 하는 통신부(1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파이 기반의 다기능 시계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display unit 100,
A first display unit 110 for displaying a clock and calendar according to the first pattern information or a clock and a calendar and a picture according to the second pattern information;
The display control unit 120 for controlling the clock shape and calendar shape according to the first patter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200 or the clock shape and the calendar shape and the picture according to the second pattern information to be displayed on the first display unit 110 ) Wow,
A clock/calendar control unit 130 that accesses the Internet to obtain time information and date information, and displays the obtained time information and date information in a clock shape and a calendar shape displayed on the first display unit 110;
A communication unit that communicates with the user terminal 200 in a short-distance communication method to receive pattern information from the user terminal 200, and communicates with the Internet router in a short-distance communication method so that the clock/calendar control unit 130 can access the Internet ( 140),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Wi-Fi-based multi-function watch system.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100)는 자동 모드와 수동 모드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모드 선택부(180)를 더 포함하고,
상기 표시 제어부(120)는,
수동 모드가 선택되면,
사용자단말기로(200)부터 수신된 패턴정보에 따른 시계 형상, 달력 형상, 사진이 제1 표시부(110)에 표시되도록 제어하고,
자동 모드가 선택되면,
사용자 설정 정보에 따라 저장부(121)에 저장된 패턴정보에 따른 시계 형상, 달력 형상, 사진이 제1 표시부(110)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다가, 사용자단말기로부터 패턴정보가 수신되면 수신된 패턴 정보에 따른 시계 형상, 달력 형상, 사진이 제1 표시부(110)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사용자 설정 정보는 전용 앱(210)을 통해 사용자가 설정하는 정보로서 요일별 또는 시간별로 다른 패턴 정보가 표시되도록 하는 정보이고.

표시 제어부(120)는 사용자단말기(200)로부터 수신 받았던 패턴정보들이 저장되는 저장부(121)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파이 기반의 다기능 시계 시스템.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The display unit 100 further includes a mode selection unit 180 to select an automatic mode and a manual mode,
The display control unit 120,
When manual mode is selected,
Controls so that a clock shape, a calendar shape, and a picture according to the patter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200 are displayed on the first display unit 110 ,
When automatic mode is selected,
According to the user setting information, the clock shape, the calendar shape, and the picture according to the pattern information stored in the storage unit 121 are controlled to be displayed on the first display unit 110, and when the pattern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the A clock shape, a calendar shape, and a picture are controlled to be displayed on the first display unit 110 ,

The user setting information is information set by the user through the dedicated app 210 , and is information for displaying different pattern information for each day or time.

The display control unit 120 further comprises a storage unit 121 in which the patter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200 is stored.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표시 제어부(120)는 자동 모드 시,
저장부(121)에 저장된 패턴정보별로 사용자단말기의 전송 횟수를 학습하고, 전송 횟수에 따른 패턴정보의 우선순위를 결정하고,
요일별 또는 시간별로 선 순위의 패턴정보가 먼저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파이 기반의 다기능 시계 시스템.
4.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The display control unit 120 in the automatic mode,
Learning the number of transmissions of the user terminal for each pattern information stored in the storage unit 121, and determining the priority of pattern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number of transmissions,
A Wi-Fi-based multi-function watch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controls so that the pattern information of the priority is displayed first by day or by time.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100)는,
시계/달력 제어부(130)의 제어에 따라 사용자단말기(200)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일정 정보가 표시되는 제2 표시부(15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시계/달력 제어부(130)는 사용자단말기(200)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일정 정보가 제2 표시부(150)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되, 일정 정보가 해당 날짜에만 표시되도록 하거나 해당 날짜 이전에 표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파이 기반의 다기능 시계 시스템.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The display unit 100,
Further comprising a second display unit 150 for displaying the user schedul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200 under the control of the clock / calendar control unit 130,
The clock/calendar control unit 130 controls the user schedul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200 to be displayed on the second display unit 150, but to display the schedule information only on the corresponding date or to display it before the corresponding date. Wi-Fi-based multi-function watch system featuring.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100)는,
특정 시간이 되면 사용자에게 해당 일정이 있음을 청각적 방법으로 알리는 알람부(160)를 더 포함하고,
상기 특정 시간은 사용자의 일정 시간보다 사전 설정된 시간만큼 이전 시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파이 기반의 다기능 시계 시스템.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The display unit 100,
When a specific time comes, further comprising an alarm unit 160 notifying the user that there is a corresponding schedule in an audible way,
The specific time is a Wi-Fi-based multi-function watch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is a time earlier than the user's predetermined time by a preset time.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100)는,
온도, 습도, 날씨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표시되는 제3 표시부(170)와,
온도와 습도를 측정하는 센서를 더 포함하어 구성되고,

시계/달력 제어부(130)는,
온도와 습도를 측정하는 센서로부터 온도와 습도에 관한 측정 정보를 획득하여 제3 표시부(170)에 표시되도록 제어하고, 통신부(140)를 통해 인터넷에 접속하여 날씨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한 날씨 정보가 제3 표시부(170)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파이 기반의 다기능 시계 시스템.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The display unit 100,
a third display unit 170 for displaying at least one of temperature, humidity, and weather information;
Consists of further comprising a sensor for measuring temperature and humidity,

The clock/calendar control unit 130,
Acquire measurement information on temperature and humidity from a sensor that measures temperature and humidity, control it to be displayed on the third display unit 170 , access the Internet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40 to obtain weather information, and obtain weather information Wi-Fi-based multi-function watch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trol to be displayed on the third display unit 17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단말기(200)에 탑재된 전용 앱(210)은,
사용자 단말기 화면상에 메뉴를 표시하는 메뉴 표시모듈(211)과,
사용자가 패턴 정보를 생성할 수 있도록 하는 패턴정보 생성모듈(212)과,
특정 패턴 정보를 사용자가 선택 시, 선택된 패턴 정보를 디스플레이부(100)로 전송하는 패턴정보 전송모듈(213)과,
패턴 정보, 후보 시계 형상 정보, 후보 달력 형상 정보, 후보 사진 정보가 저장되는 저장모듈(214)을 포함하고,
상기 패턴정보 생성모듈(212)이 생성하는 패턴 정보는 시계 형상과 달력 형상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1 패턴 정보이거나 시계 형상과 달력 형상과 사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2 패턴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파이 기반의 다기능 시계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dedicated app 210 mounted on the user terminal 200,
A menu display module 211 for displaying a menu on th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a pattern information generation module 212 that allows a user to generate pattern information;
When the user selects specific pattern information, the pattern information transmission module 213 for transmitting the selected pattern information to the display unit 100;
and a storage module 214 for storing pattern information, candidate watch shape information, candidate calendar shape information, and candidate photo information,
The pattern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pattern information generating module 212 is first pattern information including information about a clock shape and a calendar shape or second pattern information including information about a clock shape, a calendar shape, and a picture Wi-Fi based multifunctional watch system.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단말기(200)에 탑재된 전용 앱(210)은,
사용자단말기(200)에 저장된 일정 정보를 주기적으로 추출하고, 추출된 사용자 일정 정보를 디스플레이부(100)로 전송하는 일정정보 전송모듈(215)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파이 기반의 다기능 시계 시스템.
9. The method of claim 8,
The dedicated app 210 mounted on the user terminal 200,
Wi-Fi-based multi-function watch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schedule information transmission module 215 for periodically extracting schedule information stored in the user terminal 200 and transmitting the extracted user schedule information to the display unit 100 .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단말기(200)에 탑재된 전용 앱(210)은,
사용자가 패턴 정보 변경 주기를 선택하도록 하고, 선택된 변경주기에 대응된 사용자 설정 정보를 디스플레이부(100)로 전송하는 변경주기 선택모듈(216)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파이 기반의 다기능 시계 시스템.

9. The method of claim 8,
The dedicated app 210 mounted on the user terminal 200,
Wi-Fi-based multi-function watch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change period selection module 216 for allowing a user to select a pattern information change period and transmitting user setting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change period to the display unit 100 .

KR1020190165274A 2019-12-12 2019-12-12 A multi-functional clock system based wifi KR10228228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5274A KR102282286B1 (en) 2019-12-12 2019-12-12 A multi-functional clock system based wifi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5274A KR102282286B1 (en) 2019-12-12 2019-12-12 A multi-functional clock system based wifi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4518A true KR20210074518A (en) 2021-06-22
KR102282286B1 KR102282286B1 (en) 2021-07-26

Family

ID=766004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5274A KR102282286B1 (en) 2019-12-12 2019-12-12 A multi-functional clock system based wifi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2286B1 (en)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75803B1 (en) * 2004-12-07 2006-05-03 엘지전자 주식회사 Digital frame linked camera phone and it's operation method
KR20070007475A (en) * 2005-07-11 2007-01-16 주식회사 케이티 Network calendar system for schedule management and information
KR200463871Y1 (en) 2009-12-03 2012-12-04 조연원 A Wall Clock Changing Background
KR20120134759A (en) 2011-06-03 2012-12-12 윤일 Watch as the design of the transformation
KR20140138179A (en) * 2012-03-19 2014-12-03 마이크로소프트 코포레이션 Modern calendar system including free form input electronic calendar surface
KR20150031552A (en) * 2013-09-16 2015-03-25 김경중 Digital calendar and weather system
KR20150126075A (en) * 2014-05-01 2015-11-11 이은정 Apparatus of driving active calender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101763717B1 (en) 2015-10-28 2017-08-02 주식회사 한글과컴퓨터 Smart Watch To Change The Display Color Based On User's State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75803B1 (en) * 2004-12-07 2006-05-03 엘지전자 주식회사 Digital frame linked camera phone and it's operation method
KR20070007475A (en) * 2005-07-11 2007-01-16 주식회사 케이티 Network calendar system for schedule management and information
KR200463871Y1 (en) 2009-12-03 2012-12-04 조연원 A Wall Clock Changing Background
KR20120134759A (en) 2011-06-03 2012-12-12 윤일 Watch as the design of the transformation
KR20140138179A (en) * 2012-03-19 2014-12-03 마이크로소프트 코포레이션 Modern calendar system including free form input electronic calendar surface
KR20150031552A (en) * 2013-09-16 2015-03-25 김경중 Digital calendar and weather system
KR20150126075A (en) * 2014-05-01 2015-11-11 이은정 Apparatus of driving active calender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101763717B1 (en) 2015-10-28 2017-08-02 주식회사 한글과컴퓨터 Smart Watch To Change The Display Color Based On User's Stat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82286B1 (en) 2021-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70212478A1 (en) Wristwatch device with time management function for displaying a schedule in the wristwatch device
KR101189444B1 (en) Mobile terminal and schedule management method therefor
US20040225966A1 (en) Method and device for automatically displaying appointments
US7751285B1 (en) Customizable and wearable device with electronic images
US8693291B2 (en) Clock with a clock face for indicating time having nearly full-screen display function
US7962858B2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a schedule management method
EP3005039A1 (en) System having a miniature portable electronic device for command and control of a plurality of wireless devices
CN106605447A (en) Anticipatory lighting from device screens based on user profile
KR20080025884A (en) Method for controlling current time display and the mobile terminal therefor
CN104618582A (en) Schedule reminding method and device and clock
US20150177704A1 (en) Alarm Clock Projector
CN109414176A (en) Arrange customized electronic notification
KR102282286B1 (en) A multi-functional clock system based wifi
KR100420395B1 (en) Method for disenabling alarm temporarily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1188565B1 (en) A Digital Clock Having Schedule Management Function and Method of Schedule Management of The Same
CN107065506A (en) Pointer intelligent digital clock and clock control method
KR20060121478A (en) Method for setting and displaying class schedule of telecommunication terminal
Khale et al. Smart Mirror
CN111033469A (en) System, method, apparatus, and medium for use in association with scheduling
US11681987B1 (en) Digital touchscreen wall calendar and method of use thereof
US20110019503A1 (en) Apparatus For Providing A Digital Wall Calendar
KR200489406Y1 (en) Wall clock for interior using laser beam
KR101028219B1 (en) Method for setting morning call of mobile terminal
TWM548396U (en) Smart mirror with internet function
CN204496178U (en) Wireless induction type read cloc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