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74200A - Polarizing plat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 Google Patents

Polarizing plat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74200A
KR20210074200A KR1020200170492A KR20200170492A KR20210074200A KR 20210074200 A KR20210074200 A KR 20210074200A KR 1020200170492 A KR1020200170492 A KR 1020200170492A KR 20200170492 A KR20200170492 A KR 20200170492A KR 20210074200 A KR20210074200 A KR 202100742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arizing plate
film
polyvinyl alcohol
resin film
adhes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049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신 치우
이링 후앙
Original Assignee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100742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4200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2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 G02B5/3033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 G02B5/3041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comprising multiple thin layers, e.g. multilayer stacks
    • G02B5/30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comprising multiple thin layers, e.g. multilayer stacks including organic materials, e.g. polymeric laye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2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 G02B5/3033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32B27/3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comprising vinyl acetate or vinyl alcohol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2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 B32B7/023Optic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1/00Features of adhes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J9/00, e.g. additives
    • C09J11/02Non-macromolecular additives
    • C09J11/04Non-macromolecular additives in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1/00Features of adhes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J9/00, e.g. additives
    • C09J11/02Non-macromolecular additives
    • C09J11/06Non-macromolecular additives 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29/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lcohol, ether, aldehydo, ketonic, acetal, or ketal radical; Adhesives based on hydrolysed polymers of esters of unsaturated alcohols with saturated carboxylic acids;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29/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cohols
    • C09J129/04Polyvinyl alcohol; Partially hydrolysed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unsaturated alcohols with saturated carboxylic acid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02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made of crystals, e.g. rock-salt, semi-conducto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04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made of organic materials, e.g. plastic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28Polarisers
    • H01L27/3232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50OLEDs integrated with light modulating elements, e.g. with electrochromic elements, photochromic elements or liquid crystal elements

Abstract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olarizing plate, which does not change color even in a high temperature (105 DEG C) and long-term (600 hours or more) endurance tes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the polarizing plate, which has a single color b value of 2.7 or more and an absorbance of 4.5 or less at a wavelength of 700 nm.

Description

편광판 및 그의 제조 방법{POLARIZING PLAT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Polarizing plate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본 발명은 편광판 및 그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larizing plate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특허문헌 1 및 2에는, 120℃에서 100시간 가열후에도 색상의 변화가 작은 편광 필름이 제안되어 있다. Patent Documents 1 and 2 propose a polarizing film having a small color change even after heating at 120°C for 100 hours.

특허문헌 3에는, 히트 사이클 시험에 대한 내구성이 우수한 편광판을 제공하고 또한 직교 색상이 뉴트럴 그레이가 되는 편광 필름이 개시되어 있다. Patent Document 3 discloses a polarizing film that provides a polarizing plate having excellent durability against a heat cycle test and has an orthogonal color to be neutral gray.

특허문헌 4에는, 고온 환경하에 노출된 경우에도 황변 억제 효과가 우수한 광학 적층체가 제안되어 있다. Patent Document 4 proposes an optical laminate excellent in the yellowing inhibitory effect even when exposed to a high-temperature environment.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2004-226707호 공보Patent Document 1: Japanese Patent Laid-Open No. 2004-226707 특허문헌 2: 일본 특허 공개 2007-304626호 공보Patent Document 2: Japanese Patent Laid-Open No. 2007-304626 특허문헌 3: 일본 특허 공개 2013-148806호 공보Patent Document 3: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13-148806 특허문헌 4: 일본 특허 공개 2018-025765호 공보Patent Document 4: Japanese Patent Laid-Open No. 2018-025765

특허문헌 1∼4에 기재된 편광판에서는, 보다 가혹한 조건인 고온(예컨대 105℃) 및 장시간(예컨대 600시간 이상)에서의 내구 시험에서는 변색이 생기는 경우가 있었다. In the polarizing plate of patent documents 1-4, discoloration may arise in the durability test in high temperature (for example, 105 degreeC) which is more severe conditions, and a long time (for example, 600 hours or more).

본 발명의 목적은, 고온(105℃) 및 장시간(600시간 이상)에서의 내구 시험에서도 변색이 생기지 않는 편광판을 제공하는 것이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olarizing plate that does not cause discoloration even in a durability test at high temperature (105° C.) and for a long time (600 hours or more).

본 발명은, 이하의 편광판 및 그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This invention provides the following polarizing plate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1] 단체 색상 b값이 2.7 이상이고 파장 700 nm에서의 흡광도가 4.5 이하인 편광판. [1] A polarizing plate having a single color b-value of 2.7 or more and an absorbance of 4.5 or less at a wavelength of 700 nm.

[2] 편광자와, 그의 한쪽에 접착제를 통해 접합된 제1 열가소성 수지 필름을 구비하는 [1]에 기재된 편광판. [2] The polarizing plate according to [1], comprising a polarizer and a first thermoplastic resin film bonded to one side thereof via an adhesive.

[3] 상기 편광자의 상기 제1 열가소성 수지 필름측과는 반대측에 접착제를 통해 접합된 제2 열가소성 수지 필름을 더 구비하는 [2]에 기재된 편광판. [3] The polarizing plate according to [2], further comprising a second thermoplastic resin film bonded via an adhesive on a side opposite to the first thermoplastic resin film side of the polarizer.

[4] 상기 접착제는 수계 접착제인 [2] 또는 [3]에 기재된 편광판. [4] The polarizing plate according to [2] or [3], wherein the adhesive is a water-based adhesive.

[5] 상기 편광판 중의 아연 원소의 함유량이 150 ppm 이상인 [1]∼[4]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편광판. [5] The polarizing plate according to any one of [1] to [4], wherein the content of the zinc element in the polarizing plate is 150 ppm or more.

[6] [1]∼[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편광판을 구비하는 차재용 표시 장치.[6] An in-vehicle display device comprising the polarizing plate according to any one of [1] to [5].

[7] [2]에 기재된 편광판의 제조 방법으로서, [7] A method for producing the polarizing plate according to [2], comprising:

상기 편광자는 폴리비닐알콜계 수지 필름을 포함하고, The polarizer includes a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film,

상기 폴리비닐알콜계 수지 필름을 세정액으로 세정하는 세정 공정으로서, 22℃를 넘는 온도의 세정액으로는 세정하지 않는 세정 공정을 포함하는 편광판의 제조 방법.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polarizing plate comprising a washing step of washing the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film with a washing solution, and not washing with a washing solution having a temperature exceeding 22°C.

[8] 상기 폴리비닐알콜계 수지 필름을 96℃ 이상의 온도에서 건조시키는 건조 공정을 더 포함하는 [7]에 기재된 편광판의 제조 방법. [8] The method for producing a polarizing plate according to [7], further comprising a drying step of drying the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film at a temperature of 96°C or higher.

[9] 상기 제1 열가소성 수지 필름을 접착제를 통해 상기 편광자의 한쪽에 접합하고, 상기 접착제를 85℃ 이상의 온도에서 건조시키는 접합 공정을 더 포함하는 [7] 또는 [8]에 기재된 편광판의 제조 방법. [9] The method for producing a polarizing plate according to [7] or [8], further comprising a bonding step of bonding the first thermoplastic resin film to one side of the polarizer through an adhesive, and drying the adhesive at a temperature of 85°C or higher .

본 발명에 의하면, 고온(105℃) 및 장시간(600시간 이상)에서의 내구 시험에서도 변색이 생기지 않는 편광판을 제공할 수 있다. ADVANTAGE OF THE INVENTION According to this invention, the polarizing plate which does not produce discoloration even in the durability test at high temperature (105 degreeC) and a long time (600 hours or more) can be provided.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형태에 따른 편광판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형태에 따른 편광판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3은 편광자 제조 공정에 이용하는 장치의 배치예를 나타내는 단면 모식도이다.
1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polarizing pl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polarizing pl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cross-sectional schematic diagram which shows the arrangement example of the apparatus used for a polarizer manufacturing process.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의 모든 도면에서는, 각 구성 요소를 이해하기 쉽게 하기 위해 축척을 적절하게 조정하여 나타내고 있고, 도면에 도시되는 각 구성 요소의 축척과 실제 구성 요소의 축척이 반드시 일치하는 것은 아니다. EMBODIMENT OF THE INVENTION Hereinafter, although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is described, referring drawings, this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following embodiment. In all the drawings below, the scales are appropriately adjusted for easy understanding of each component, and the scale of each component shown in the drawings does not necessarily coincide with the scale of the actual component.

<편광판> <Polarizer>

본 발명의 한 양태에 따른 편광판은, 단체 색상 b값이 2.7 이상이고 파장 700 nm에서의 흡광도가 4.5 이하이다. 편광판은, 단체 색상 b값이 2.7 이상일 때, 파장 700 nm에서의 흡광도를 4.5 이하로 하는 것에 의해, 고온(105℃) 및 장시간(600시간 이상)에서의 내구 시험(이하, 줄여서 내구 시험이라고도 함)에서도 변색이 생기기 어려운 경향이 있다. 본 명세서에서 내구 시험은, 후술하는 실시예의 란에서 설명하는 방법에 따라서 행하는 내구 시험을 말한다. 변색이 생기지 않는다는 것은, 후술하는 실시예의 란에서 설명하는 방법에 따라서 편광판을 관찰했을 때 황변이 시인되지 않는 것을 말한다. 본 발명의 편광판은, 내구 시험에서 바람직하게는 1000시간까지, 보다 바람직하게는 1400시간까지 변색이 생기지 않는다. A polarizing plate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ingle color b value of 2.7 or more and an absorbance at a wavelength of 700 nm of 4.5 or less. The polarizing plate, when the single color b value is 2.7 or more, by making the absorbance at a wavelength of 700 nm 4.5 or less, a durability test at a high temperature (105° C.) and a long time (600 hours or more) (hereinafter also referred to as an endurance test for short) ) also tends to be difficult to cause discoloration. In this specification, the endurance test refers to an endurance test performed according to the method described in the column of Examples to be described later. That no discoloration occurs means that yellowing is not visually recognized when the polarizing plate is observed according to the method described in the column of Examples to be described later. As for the polarizing plate of this invention, in an endurance test, Preferably it is up to 1000 hours, More preferably, discoloration does not arise until 1400 hours.

일반적으로, 편광판의 파장 700 nm에서의 흡광도는 높은 쪽이 변색은 생기기 어려운 경향이 있고, 편광판의 단체 색상 b값은 낮은 쪽이 황변이 생기기 어려운 경향이 있다. 내구 시험에서는, 가열에 의해 편광자 중의 폴리요오드 착체 I5 -의 붕괴 및 편광자 중의 폴리비닐알콜의 폴리엔화가 생기고, 파장 700 nm에서의 흡광도의 저하 및 단체 색상 b값의 상승이 일어나기 쉬워지는 경향이 있다. 그 때문에, 편광판의 내구 시험에서 변색을 억제하기 위해서는, 편광판의 파장 700 nm에서의 흡광도는 높고, 또한 단체 색상 b값은 낮은 쪽이 유리하다고 생각되었다. 그러나, 의외로, 본 발명자에 의해, 고온(105℃) 및 장시간(600시간 이상)에서의 보다 가혹한 내구 시험에서는, 편광판의 단체 색상 b값을 2.7 이상, 파장 700 nm에서의 흡광도를 4.5 이하로 하는 것에 의해, 변색을 억제할 수 있는 것이 발견되었다. 2.7 이상의 단체 색상 b값 및 4.5 이하의 파장 700 nm에서의 흡광도를 갖는 편광판은, 특허문헌 1∼4의 어디에도 개시되어 있지 않은 신규인 것이다. Generally, the higher the absorbance at a wavelength of 700 nm of the polarizing plate, the less likely to be discoloration, and the lower the single color b value of the polarizing plate, the less likely to be yellowing. In the durability test, the polyiodine complex I 5 − in the polarizer is disintegrated and polyvinyl alcohol in the polarizer is polyenized by heating, and a decrease in absorbance at a wavelength of 700 nm and an increase in the color b value tend to occur. have. Therefore, in order to suppress discoloration in the durability test of a polarizing plate, the one where the absorbance at the wavelength of 700 nm of a polarizing plate is high, and the one where the single color|color b value is low was considered advantageous. However, unexpectedly, by the present inventors, in a more severe endurance test at high temperature (105 ° C.) and for a long time (600 hours or more), the single color b value of the polarizing plate is 2.7 or more, and the absorbance at a wavelength of 700 nm is 4.5 or less. It was discovered that discoloration can be suppressed by this. A polarizing plate having a single hue b value of 2.7 or more and an absorbance at a wavelength of 700 nm of 4.5 or less is a novel thing not disclosed in any of Patent Documents 1-4.

편광판의 단체 색상 b값은, 바람직하게는 2.9 이상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3.1 이상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3.3 이상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3.5 이상이다. 편광판의 단체 색상 b값은, 통상 4.1 이하이며, 예컨대 3.9 이하이어도 좋다. The single hue b value of a polarizing plate becomes like this. Preferably it is 2.9 or more, More preferably, it is 3.1 or more, More preferably, it is 3.3 or more, Especially preferably, it is 3.5 or more. The single hue b value of a polarizing plate is 4.1 or less normally, for example, 3.9 or less may be sufficient.

편광판의 단체 색상 b값은, 편광판 단체에서의 Lab 표색계에서의 b값이다. b값은, JIS Z 8722:2009 「색의 측정 방법 - 반사 및 투과물체색」에 규정되는 3 자극치 X, Y 및 Z로부터, 다음 식에 의해 계산된다. The single color b value of the polarizing plate is the b value in the Lab color system in the single polarizing plate. The b value is calculated by the following formula from the tristimulus values X, Y and Z specified in JIS Z 8722:2009 "Measuring method of color - reflected and transmitted object color".

b값 = 7.0(Y-0.847Z)/Y1/2 b value = 7.0(Y-0.847Z)/Y 1/2

편광판의 단체 색상 b값은, 후술하는 실시예의 란에서 설명하는 측정 방법에 따라서 측정할 수 있다. The single color b value of a polarizing plate can be measured according to the measuring method demonstrated in the column of the Example mentioned later.

편광판의 파장 700 nm에서의 흡광도는, 바람직하게는 4.4 이하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4.3 이하이다. 편광판의 파장 700 nm에서의 흡광도는, 통상 3.9 이상이며, 예컨대 4.1 이상이어도 좋고, 또는 4.2 이상이어도 좋다. The absorbance in the wavelength of 700 nm of a polarizing plate becomes like this. Preferably it is 4.4 or less, More preferably, it is 4.3 or less. The absorbance at a wavelength of 700 nm of the polarizing plate is usually 3.9 or more, for example, 4.1 or more, or 4.2 or more.

편광판의 파장 700 nm에서의 흡광도는, 자외 가시 분광 광도계 등의 흡광 광도계를 이용하여 측정할 수 있고, 하기 식으로부터 산출된다. The absorbance at a wavelength of 700 nm of the polarizing plate can be measured using a light absorption spectrometer such as an ultraviolet and visible spectrophotometer, and is calculated from the following formula.

파장 700 nm에서의 흡광도 = -log[{파장 700 nm에서의 TD 투과율(%)}/100]Absorbance at wavelength 700 nm = -log[{TD transmittance (%) at wavelength 700 nm}/100]

입사광으로는, 편광자의 흡수축 방향과 평행한 편광을 사용하여 측정한다. 이 식에서 TD 투과율이란, 글랜 톰슨 프리즘으로부터 나오는 편광의 방향과 편광자의 투과축을 직교시켰을 때의 투과율이다. The incident light is measured using polarized light parallel to the absorption axis direction of the polarizer. In this formula, TD transmittance|permeability is the transmittance|permeability when the direction of the polarization|polarized-light emitted from a Glen Thompson prism and the transmission axis of a polarizer are made orthogonal.

편광판의 파장 700 nm에서의 흡광도는, 후술하는 실시예의 란에서 설명하는 측정 방법에 따라서 측정할 수 있다. The absorbance at a wavelength of 700 nm of the polarizing plate can be measured according to the measurement method described in the section of Examples to be described later.

상기 범위 내의 단체 색상 b값 및 파장 700 nm에서의 흡광도는, 후술하는 편광자 제조 공정에서의 세정 공정의 세정액의 온도의 조절, 건조 공정에서의 건조 온도의 조절, 및 편광자와 열가소성 수지 필름을 접합하기 위한 접착제를 건조시키는 온도의 조절 등에 의해 얻을 수 있다. The single color b value within the above range and the absorbance at a wavelength of 700 nm can be determined by adjusting the temperature of the washing liquid in the washing process in the polarizer manufacturing process described later, adjusting the drying temperature in the drying process, and bonding the polarizer and the thermoplastic resin film. It can be obtained by controlling the temperature for drying the adhesive for

편광판은 아연 원소를 함유하고 있어도 좋다. 편광판이 아연 원소를 함유하는 경우, 아연 원소는 바람직하게는 편광자 및 접착제의 적어도 어느 한쪽에 포함된다. 편광판이 아연 원소를 포함하는 경우, 편광판 중의 아연 원소의 함유량은 예컨대 150 ppm 이상이어도 좋다. 편광판 중의 아연 원소의 함유량이 150 ppm 이상인 경우, 내구 시험에서 변색을 억제하기 쉬워지는 경향이 있다. 편광판 중의 아연 원소의 함유량은, 변색 억제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200 ppm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250 ppm 이상이다. 한편, 편광판 중의 아연 원소의 함유량은 통상 1000 ppm 이하이다. 아연 원소의 함유량은, 후술하는 실시예의 란에서 설명하는 측정 방법에 따라서 측정된다. 편광판 중의 아연 원소의 함유량은, 예컨대 편광자 및/또는 접착제 중의 아연 농도를 조절하는 것에 의해 상기 범위 내로 할 수 있다. The polarizing plate may contain a zinc element. When the polarizing plate contains a zinc element, the zinc element is preferably contained in at least either one of the polarizer and the adhesive. When a polarizing plate contains a zinc element, 150 ppm or more may be sufficient as content of the zinc element in a polarizing plate, for example. When content of the zinc element in a polarizing plate is 150 ppm or more, it exists in the tendency which becomes easy to suppress discoloration in an endurance test. From a viewpoint of suppressing discoloration, content of the zinc element in a polarizing plate becomes like this. Preferably it is 200 ppm or more, More preferably, it is 250 ppm or more. On the other hand, content of the zinc element in a polarizing plate is 1000 ppm or less normally. The content of the zinc element is measured in accordance with the measurement method described in the section of Examples to be described later. Content of the zinc element in a polarizing plate can be made into the said range by adjusting the zinc concentration in a polarizer and/or an adhesive agent, for example.

도 1에 본 발명의 일실시양태에 따른 편광판(10)을 나타낸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편광판(10)은, 편광자(12)와, 그의 한쪽에 접착제를 통해 접합된 제1 열가소성 수지 필름(11)을 구비할 수 있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편광판(10)은, 편광자(12)의 제1 열가소성 수지 필름(11)측과는 반대측에 접착제를 통해 접합된 제2 열가소성 수지 필름(13)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이하, 제1 열가소성 수지 필름 및 제2 열가소성 수지 필름은, 열가소성 수지 필름으로 총칭하는 경우가 있다. 편광판은, 열가소성 수지 필름의 편광자측과는 반대측에, 후술하는 점착제층, 광학 기능층 및 프로텍트 필름을 더 구비할 수 있다. 1 shows a polarizing plate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1 , the polarizing plate 10 may include a polarizer 12 and a first thermoplastic resin film 11 bonded to one side thereof via an adhesive. As shown in FIG. 2 , the polarizing plate 10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thermoplastic resin film 13 bonded through an adhesive on the opposite side to the first thermoplastic resin film 11 side of the polarizer 12 . . Hereinafter, a 1st thermoplastic resin film and a 2nd thermoplastic resin film may be generically called a thermoplastic resin film. A polarizing plate can further be equipped with the adhesive layer mentioned later, an optical function layer, and a protection film on the opposite side to the polarizer side of a thermoplastic resin film.

편광판은 화상 표시 장치에 이용할 수 있다. 화상 표시 장치는, 액정 표시 장치, 유기 EL 표시 장치 등 어떠한 것이어도 좋지만, 바람직하게는 액정 표시 장치이다. 액정 표시 장치는, 화상 표시 소자로서의 액정 셀을 구비하는 액정 패널과, 백라이트을 구비한다. 액정 표시 장치를 구축함에 있어서 편광판은, 시인측에 배치되는 편광판에 이용되어도 좋고, 백라이트측에 배치되는 편광판에 이용되어도 좋고, 시인측 및 백라이트측의 쌍방의 편광판에 이용되어도 좋다. A polarizing plate can be used for an image display apparatus. The image display device may be any, such as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an organic EL display device, but is preferably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is equipped with the liquid crystal panel provided with the liquid crystal cell as an image display element, and a backlight. In constructing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 polarizing plate may be used for the polarizing plate arrange|positioned at the visual recognition side, may be used for the polarizing plate arrange|positioned at the backlight side, and may be used for both the polarizing plate of the visual recognition side and the backlight side.

편광판이 제1 열가소성 수지 필름 및 제2 열가소성 수지 필름을 구비하는 경우, 편광판은, 제1 열가소성 수지 필름이 화상 표시 장치의 외측이 되도록 화상 표시 장치에 접합할 수 있다. 편광판이 제1 열가소성 수지 필름 및 제2 열가소성 수지 필름을 구비하는 경우, 편광판은, 편광판의 제1 열가소성 수지 필름측에 배치된 투광성 부재와, 편광판의 제2 열가소성 수지 필름측에 배치된 표시 장치를 이 순으로 구비하는 차재용 표시 장치에 적합하다. 투광성 부재는, 유리판이나 투광성을 갖는 수지 필름 등이어도 좋다. When a polarizing plate is equipped with a 1st thermoplastic resin film and a 2nd thermoplastic resin film, a polarizing plate can be bonded to an image display apparatus so that a 1st thermoplastic resin film may become the outer side of an image display apparatus. When the polarizing plate includes a first thermoplastic resin film and a second thermoplastic resin film, the polarizing plate includes a light-transmitting member disposed on the first thermoplastic resin film side of the polarizing plate, and a display device disposed on the second thermoplastic resin film side of the polarizing plate. It is suitable for the vehicle-mounted display apparatus provided in this order. The translucent member may be a glass plate, a translucent resin film, or the like.

[편광자][Polarizer]

편광자는, 그 흡수축에 평행한 진동면을 갖는 직선 편광을 흡수하고, 흡수축에 직교하는(투과축과 평행한) 진동면을 갖는 직선 편광을 투과하는 성질을 갖는 흡수형의 편광자이다. 편광자는, 예컨대 일축 연신된 폴리비닐알콜계 수지 필름에 요오드 등의 이색성 색소를 흡착 배향시킨 편광자이어도 좋다. The polarizer is an absorption type polarizer having a property of absorbing linearly polarized light having an oscillation plane parallel to the absorption axis and transmitting linearly polarized light having an oscillation plane perpendicular to the absorption axis (parallel to the transmission axis). The polarizer may be, for example, a polarizer in which a dichroic dye such as iodine is adsorbed and oriented to a uniaxially stretched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film.

편광자의 두께는, 통상 65 ㎛ 이하이며, 바람직하게는 50 ㎛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35 ㎛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30 ㎛ 이하이다. 편광자의 두께는, 통상 2 ㎛ 이상이며, 바람직하게는 5 ㎛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15 ㎛ 이상이다. 편광자의 두께는, 예컨대 폴리비닐알콜계 수지 필름의 선정, 연신 배율의 조절 등에 의해 제어할 수 있다. The thickness of a polarizer is 65 micrometers or less normally, Preferably it is 50 micrometers or less, More preferably, it is 35 micrometers or less, More preferably, it is 30 micrometers or less. The thickness of a polarizer is 2 micrometers or more normally, Preferably it is 5 micrometers or more, More preferably, it is 10 micrometers or more, More preferably, it is 15 micrometers or more. The thickness of the polarizer can be controlled, for example, by selection of a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film, adjustment of draw ratio, and the like.

편광자 제조 공정의 일례를,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조출 롤(111)로부터 풀린 원단 필름인 폴리비닐알콜계 수지 필름(110)은, 그 후, 물을 팽윤욕으로 하는 팽윤조(113)로 유도되고, 여기서 팽윤욕(물)에 침지되어 팽윤 처리가 실시된다(팽윤 공정). 팽윤 처리된 필름은, 요오드를 포함하는 수용액을 염색욕으로 하는 염색조(115)으로 유도되고, 여기서 염색되어 요오드가 흡착된다(염색 공정). 그 후, 붕산을 포함하는 수용액을 처리욕으로 하는 가교조(117)로 유도되고, 요오드를 흡착한 폴리비닐알콜계 수지가, 여기서 붕산에 의해 가교되어 요오드가 고정된다(가교 공정). 이어서 필름을 세정조(119)로 세정하고(세정 공정), 건조로(123)에서 건조시켜(건조 공정) 편광자(130)가 얻어진다. 편광자(130)는 권취 롤(127)에 권취된다. 폴리비닐알콜계 수지 필름은, 편광자 제조 공정의 어느 하나 이상의 단계, 보다 구체적으로는, 팽윤 공정의 전부터 가교 공정까지의 어느 하나 이상의 단계에서 일축 연신 처리된다. An example of a polarizer manufacturing process is demonstrated with reference to FIG. The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film 110, which is a raw film unwound from the feeding roll 111, is then guided to a swelling tank 113 using water as a swelling bath, where it is immersed in a swelling bath (water) for swelling treatment. is carried out (swelling process). The swollen film is guided to a dyeing tank 115 using an aqueous solution containing iodine as a dyeing bath, where it is dyed and iodine is adsorbed (dyeing step). Thereafter, it is guided to a crosslinking tank 117 using an aqueous solution containing boric acid as a treatment bath, and the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to which iodine has been adsorbed is crosslinked with boric acid to fix iodine (crosslinking step). Next, the film is washed with the washing tank 119 (washing process) and dried in the drying furnace 123 (drying process) to obtain the polarizer 130 . The polarizer 130 is wound around the winding roll 127 . The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film is uniaxially stretched in any one or more steps of the polarizer manufacturing process, more specifically, in any one or more steps from the swelling process to the crosslinking process.

각 처리 공정은, 편광자 제조 장치의 필름 반송 경로를 따라 원단 필름인 폴리비닐알콜계 수지 필름을 연속적으로 반송시키는 것에 의해 연속적으로 실시할 수 있다. 필름 반송 경로는, 상기 각종 처리 공정을 실시하기 위한 설비(처리조나 로 등)를, 이들의 실시순으로 구비하고 있다. Each treatment process can be performed continuously by conveying the polyvinyl alcohol-type resin film which is a raw film continuously along the film conveyance path|route of a polarizer manufacturing apparatus. The film conveyance path is equipped with the facilities (processing tank, a furnace, etc.) for implementing the said various processing process in these implementation order.

필름 반송 경로는, 상기 설비 외에, 가이드 롤이나 닙 롤 등을 적절한 위치에 배치함으로써 구축할 수 있다. 예컨대, 가이드 롤은, 각 처리조의 전후나 처리조 중에 배치할 수 있고, 이것에 의해 처리조에 대한 필름의 도입·침지 및 처리조로부터의 인출을 행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각 처리조 중에 2 이상의 가이드 롤을 설치하고, 이들 가이드 롤을 따라 필름을 반송시키는 것에 의해, 각 처리조에 필름을 침지시킬 수 있다. A film conveyance path|route can be constructed by arrange|positioning a guide roll, a nip roll, etc. at appropriate positions other than the said installation. For example, a guide roll can be arrange|positioned before and after each processing tank, or in a processing tank, and can perform introduction and immersion of the film with respect to a processing tank by this, and take-out from a processing tank. More specifically, a film can be immersed in each processing tank by providing two or more guide rolls in each processing tank, and conveying a film along these guide rolls.

폴리비닐알콜계 수지 필름을 구성하는 폴리비닐알콜계 수지로는, 예컨대 폴리아세트산비닐계 수지를 비누화한 것을 들 수 있다. 폴리아세트산비닐계 수지로는, 아세트산비닐의 단독 중합체인 폴리아세트산비닐 외에, 아세트산비닐과 이것에 공중합 가능한 다른 단량체와의 공중합체가 예시된다. 아세트산비닐에 공중합 가능한 다른 단량체로는, 예컨대 불포화 카르복실산류, 올레핀류, 비닐에테르류, 불포화 술폰산류, 암모늄기를 갖는 (메트)아크릴아미드류 등을 들 수 있다. 폴리비닐알콜계 수지의 비누화도는, 통상 약 85 몰% 이상, 바람직하게는 약 90 몰%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99 몰% 이상이다. 본 명세서에서 「(메트)아크릴」이란, 아크릴 및 메타크릴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한쪽을 의미한다. 「(메트)아크릴로일」에 관해서도 동일하다. As polyvinyl alcohol-type resin which comprises a polyvinyl alcohol-type resin film, what saponified polyvinyl acetate-type resin is mentioned, for example. As polyvinyl acetate-type resin, the copolymer of vinyl acetate and other monomer copolymerizable to this other than polyvinyl acetate which is a homopolymer of vinyl acetate is illustrated. Examples of the other monomer copolymerizable with vinyl acetate include unsaturated carboxylic acids, olefins, vinyl ethers, unsaturated sulfonic acids, and (meth)acrylamides having an ammonium group. The degree of saponification of the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is usually about 85 mol% or more, preferably about 90 mol% or more, and more preferably about 99 mol% or more. In this specification, "(meth)acryl" means at least one selected from acryl and methacryl. It is the same also about "(meth)acryloyl."

폴리비닐알콜계 수지는 변성되어 있어도 좋고, 예컨대, 알데히드류로 변성된 폴리비닐포르말, 폴리비닐아세탈, 폴리비닐부티랄 등도 사용할 수 있다. The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may be modified, for example, polyvinyl formal, polyvinyl acetal, polyvinyl butyral, etc. modified with aldehydes may also be used.

폴리비닐알콜계 수지의 평균 중합도는, 바람직하게는 100 이상 10000 이하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500 이상 8000 이하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2000 이상 5000 이하이다. 폴리비닐알콜계 수지의 평균 중합도는 JIS K 6726(1994)에 준거하여 구할 수 있다. 평균 중합도가 상기 범위 내인 경우, 편광 성능 및 필름 가공성이 우수한 경향이 있다. The average degree of polymerization of polyvinyl alcohol-type resin becomes like this. Preferably it is 100 or more and 10000 or less, More preferably, they are 1500 or more and 8000 or less, More preferably, they are 2000 or more and 5000 or less. The average degree of polymerization of polyvinyl alcohol-type resin can be calculated|required based on JISK6726 (1994). When the average degree of polymerization is within the above range, polarization performance and film processability tend to be excellent.

원단 필름인 폴리비닐알콜계 수지 필름의 두께는, 예컨대 10 ㎛ 이상 150 ㎛ 이하이어도 좋고, 바람직하게는 15 ㎛ 이상 100 ㎛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 이상 80 ㎛ 이하이다. 원단 필름인 폴리비닐알콜계 수지 필름의 폭방향의 길이는, 예컨대 600 mm 이상 5000 mm 이하이어도 좋다. The thickness of the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film, which is a raw film, may be, for example, 10 µm or more and 150 µm or less, preferably 15 µm or more and 100 µm or less, and more preferably 20 µm or more and 80 µm or less. The length of the polyvinyl alcohol-type resin film which is a raw film in the width direction may be 600 mm or more and 5000 mm or less, for example.

원단 필름인 폴리비닐알콜계 수지 필름은, 예컨대, 장척의 미연신 또는 연신 폴리비닐알콜계 수지 필름의 롤(권회품)으로서 준비할 수 있다. 이 경우, 편광자도 또한 장척물로서 얻어진다. The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film, which is a raw film, can be prepared, for example, as a roll (wound product) of a long unstretched or stretched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film. In this case, a polarizer is also obtained as an elongate object.

(1) 팽윤 공정(1) swelling process

본 공정에서의 팽윤 처리는, 원단 필름인 폴리비닐알콜계 수지 필름의 이물 제거, 가소제 제거, 이염색성의 부여, 필름의 가소화 등의 목적으로 필요에 따라서 실시되는 처리이며, 구체적으로는, 물을 함유하는 처리액을 수용하는 팽윤조에 폴리비닐알콜계 수지 필름(110)을 침지시키는 처리일 수 있다. 상기 필름은, 1개의 팽윤조에 침지되어도 좋고, 2 이상의 팽윤조에 순차적으로 침지되어도 좋다. 팽윤 처리전, 팽윤 처리시, 또는 팽윤 처리전 및 팽윤 처리시에, 필름에 대하여 일축 연신 처리를 행해도 좋다. The swelling treatment in this step is a treatment performed as needed for the purpose of removing foreign substances from the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film, which is a raw film, removing a plasticizer, imparting dichromaticity, plasticizing the film, etc., specifically, water It may be a process of immersing the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film 110 in a swelling tank containing a treatment liquid containing. The said film may be immersed in one swelling tank, and may be immersed in two or more swelling tanks sequentially. Before a swelling process, at the time of a swelling process, or before a swelling process and at the time of a swelling process, you may perform a uniaxial stretching process with respect to a film.

팽윤조에 수용되는 처리액은, 물(예컨대 순수)일 수 있는 것 외에, 알콜류와 같은 수용성 유기 용매를 첨가한 수용액이어도 좋다. 전술한 바와 같이, 팽윤조에 수용되는 처리액은 아연염을 함유할 수 있다. The treatment liquid accommodated in the swelling tank may be water (eg, pure water) or an aqueous solution to which a water-soluble organic solvent such as alcohol is added. As described above, the treatment liquid accommodated in the swelling tank may contain a zinc salt.

필름을 침지할 때의 팽윤조에 수용되는 처리액의 온도는, 통상 10℃ 이상 70℃ 이하, 바람직하게는 15℃ 이상 50℃ 이하이며, 필름의 침지 시간은, 통상 10초 이상 600초 이하, 바람직하게는 20초 이상 300초 이하이다. The temperature of the processing liquid accommodated in the swelling tank at the time of immersing a film is 10 degrees C or more and 70 degrees C or less normally, Preferably it is 15 degrees C or more and 50 degrees C or less, The immersion time of a film is 10 seconds or more and 600 seconds or less normally, Preferably Usually 20 seconds or more and 300 seconds or less.

(2) 염색 공정(2) Dyeing process

본 공정에서의 염색 처리는, 폴리비닐알콜계 수지 필름에 이색성 색소를 흡착, 배향시킬 목적으로 행해지는 처리이며, 구체적으로는, 이색성 색소를 함유하는 처리액을 수용하는 염색조에 폴리비닐알콜계 수지 필름을 침지시키는 처리일 수 있다. 상기 필름은, 하나의 염색조에 침지되어도 좋고, 2 이상의 염색조에 순차적으로 침지되어도 좋다. 이색성 색소의 염색성을 높이기 위해, 염색 공정에 제공되는 필름은, 적어도 어느 정도의 일축 연신 처리가 실시되어 있어도 좋다. 염색 처리전의 일축 연신 처리 대신에, 혹은 염색 처리전의 일축 연신 처리에 더하여, 염색 처리시에 일축 연신 처리를 행해도 좋다. The dyeing treatment in this step is a treatment performed for the purpose of adsorbing and orienting the dichroic dye to the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film, specifically, polyvinyl alcohol in a dyeing tank containing a treatment liquid containing the dichroic dye. It may be a treatment in which the system resin film is immersed. The said film may be immersed in one dyeing tank, and may be immersed sequentially in two or more dyeing tanks. In order to improve the dyeability of a dichroic dye, the uniaxial stretching process to a certain extent may be given to the film used for a dyeing process at least. Instead of the uniaxial stretching treatment before the dyeing treatment, or in addition to the uniaxial stretching treatment before the dyeing treatment, a uniaxial stretching treatment may be performed at the time of the dyeing treatment.

이색성 색소는, 요오드 또는 이색성 유기 염료일 수 있다. 이색성 유기 염료의 구체예는, 레드 BR, 레드 LR, 레드 R, 핑크 LB, 루빈 BL, 보르도 GS, 스카이블루 LG, 레몬옐로우, 블루 BR, 블루 2R, 네이비 RY, 그린 LG, 바이올렛 LB, 바이올렛 B, 블랙 H, 블랙 B, 블랙 GSP, 옐로우 3G, 옐로우 R, 오렌지 LR, 오렌지 3R, 스칼렛 GL, 스칼렛 KGL, 콩고레드, 크릴리언트 바이올렛 BK, 수프라블루 G, 수프라블루 GL, 수프라오렌지 GL, 다이렉트 스카이블루, 다이렉트 퍼스트오렌지 S, 퍼스트블랙을 포함한다. 이색성 색소는, 1종만을 단독으로 이용해도 좋고, 2종 이상을 병용해도 좋다. The dichroic dye may be iodine or a dichroic organic dye. Specific examples of the dichroic organic dye include Red BR, Red LR, Red R, Pink LB, Rubin BL, Bordeaux GS, Sky Blue LG, Lemon Yellow, Blue BR, Blue 2R, Navy RY, Green LG, Violet LB, Violet. B, Black H, Black B, Black GSP, Yellow 3G, Yellow R, Orange LR, Orange 3R, Scarlet GL, Scarlet KGL, Congo Red, Brilliant Violet BK, Supra Blue G, Supra Blue GL, Super Orange GL, Direct Includes Sky Blue, Direct First Orange S, and First Black. A dichroic dye may be used individually by 1 type, and may use 2 or more types together.

이색성 색소로서 요오드를 이용하는 경우, 염색조에 수용되는 처리액에는, 요오드 및 요오드화칼륨을 함유하는 수용액을 이용할 수 있다. 요오드화칼륨 대신에, 요오드화아연 등의 다른 요오드화물을 이용해도 좋고, 요오드화칼륨과 다른 요오드화물을 병용해도 좋다. 또한, 요오드화물 이외의 화합물, 예컨대, 붕산, 염화아연, 염화코발트 등을 공존시켜도 좋다. 붕산을 첨가하는 경우는, 요오드를 포함하는 점에서 후술하는 가교 처리와 구별된다. 상기 수용액에서의 요오드의 함유량은 통상, 물 100 질량부당 0.01 질량부 이상 1 질량부 이하이다. 또한, 요오드화칼륨 등의 요오드화물의 함유량은 통상, 물 100 질량부당 0.5 질량부 이상 20 질량부 이하이다. When using an iodine as a dichroic dye, the aqueous solution containing an iodine and potassium iodide can be used for the processing liquid accommodated in a dyeing tank. Instead of potassium iodide, other iodides, such as zinc iodide, may be used, and potassium iodide and another iodide may be used together. In addition, compounds other than iodide, for example, boric acid, zinc chloride, cobalt chloride, etc. may coexist. When adding boric acid, it is distinguished from the crosslinking process mentioned later at the point containing an iodine. Content of the iodine in the said aqueous solution is 0.01 mass part or more and 1 mass part or less per 100 mass parts of water normally. In addition, content of iodides, such as potassium iodide, is 0.5 mass part or more and 20 mass parts or less per 100 mass parts of water normally.

필름을 침지할 때의 염색조에 수용되는 처리액의 온도는, 통상 10℃ 이상 45℃ 이하, 바람직하게는 10℃ 이상 40℃ 이하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이상 35℃ 이하이며, 필름의 침지 시간은, 예컨대 20초 이상 600초 이하이어도 좋고, 바람직하게는 20초 이상 300초 이하이다. The temperature of the processing liquid accommodated in the dyeing tank at the time of immersing a film is 10 degreeC or more and 45 degrees C or less normally, Preferably it is 10 degreeC or more and 40 degrees C or less, More preferably, it is 20 degreeC or more and 35 degrees C or less, and immersion of a film The time may be, for example, 20 seconds or more and 600 seconds or less, and preferably 20 seconds or more and 300 seconds or less.

이색성 색소로서 이색성 유기 염료를 이용하는 경우, 염색조에 수용되는 처리액에는, 이색성 유기 염료를 함유하는 수용액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수용액에서의 이색성 유기 염료의 함유량은 통상, 물 100 질량부당 1×10-4 질량부 이상 10 질량부 이하이며, 바람직하게는 1×10-3 질량부 이상 1 질량부 이하이다. 염색조에는 염색 조제 등을 공존시켜도 좋고, 예컨대, 황산나트륨 등의 무기염이나 계면 활성제 등을 함유시켜도 좋다. 이색성 유기 염료는 1종만을 단독으로 이용해도 좋고, 2종 이상을 병용해도 좋다. 필름을 침지할 때의 염색조에 수용되는 처리액의 온도는, 예컨대 20℃ 이상 80℃ 이하, 바람직하게는 25℃ 이상 50℃ 이하이며, 필름의 침지 시간은, 통상 30초 이상 600초 이하, 바람직하게는 60초 이상 300초 이하이다. When using a dichroic organic dye as a dichroic dye, the aqueous solution containing a dichroic organic dye can be used for the processing liquid accommodated in a dyeing tank. Content of the dichroic organic dye in the said aqueous solution is 1x10 -4 mass part or more and 10 mass parts or less per 100 mass parts of water, Preferably they are 1x10 -3 mass part or more and 1 mass part or less. The dyeing tank may be made to coexist with a dyeing aid etc., For example, inorganic salts, such as sodium sulfate, surfactant, etc. may be made to contain. A dichroic organic dye may be used individually by 1 type, and may use 2 or more types together. The temperature of the treatment liquid accommodated in the dyeing tank at the time of immersing the film is, for example, 20°C or more and 80°C or less, preferably 25°C or more and 50°C or less, and the immersion time of the film is usually 30 seconds or more and 600 seconds or less, preferably It is usually 60 seconds or more and 300 seconds or less.

(3) 가교 공정(3) crosslinking process

염색 공정후의 폴리비닐알콜계 수지 필름을 가교제로 처리하는 가교 처리는, 가교에 의한 내수화나 색상 조정 등의 목적으로 행하는 처리이며, 구체적으로는, 가교제를 함유하는 가교조에 수용되는 처리액에 염색 공정후의 필름을 침지시키는 처리일 수 있다. 상기 필름은, 하나의 가교조에 침지되어도 좋고, 2 이상의 가교조에 순차적으로 침지되어도 좋다. 가교 처리시에 일축 연신 처리를 행해도 좋다. The crosslinking treatment of treating the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film with a crosslinking agent after the dyeing step is a treatment performed for the purpose of water resistance or color adjustment by crosslinking, specifically, a dyeing step in a treatment solution accommodated in a crosslinking tank containing a crosslinking agent It may be a treatment for immersing the later film. The said film may be immersed in one crosslinking tank, and may be immersed in two or more crosslinking tanks sequentially. You may perform a uniaxial stretching process at the time of a crosslinking process.

가교제로는, 붕산, 글리옥살, 글루탈알데히드 등을 들 수 있고, 붕산이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2종 이상의 가교제를 병용할 수도 있다. 가교조에 수용되는 처리액에서의 붕산의 함유량은 통상, 물 100 질량부당 0.1 질량부 이상 15 질량부 이하이며, 바람직하게는 1 질량부 이상 10 질량부 이하이다. 이색성 색소가 요오드인 경우, 가교조에 수용되는 처리액은, 붕산에 더하여 요오드화물을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교조에 수용되는 처리액에서의 요오드화물의 함유량은 통상, 물 100 질량부당 0.1 질량부 이상 15 질량부 이하이며, 바람직하게는 5 질량부 이상 12 질량부 이하이다. 요오드화물로는, 요오드화칼륨, 요오드화아연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요오드화물 이외의 화합물, 예컨대, 염화아연, 염화코발트, 염화지르코늄, 티오황산나트륨, 아황산칼륨, 황산나트륨 등을 가교조에 공존시켜도 좋다. As a crosslinking agent, a boric acid, a glyoxal, glutaraldehyde, etc. are mentioned, A boric acid is used preferably. Two or more types of crosslinking agents can also be used together. Content of the boric acid in the process liquid accommodated in a crosslinking tank is 0.1 mass part or more and 15 mass parts or less per 100 mass parts of water normally, Preferably they are 1 mass part or more and 10 mass parts or less. When a dichroic dye is an iodine, it is preferable that the processing liquid accommodated in a crosslinking tank contains iodide in addition to boric acid. Content of the iodide in the process liquid accommodated in a crosslinking tank is 0.1 mass part or more and 15 mass parts or less per 100 mass parts of water normally, Preferably they are 5 mass parts or more and 12 mass parts or less. Potassium iodide, zinc iodide, etc. are mentioned as an iodide. Further, a compound other than iodide, such as zinc chloride, cobalt chloride, zirconium chloride, sodium thiosulfate, potassium sulfite, sodium sulfate and the like, may coexist in the crosslinking tank.

필름을 침지할 때의 가교조에 수용되는 처리액의 온도는, 예컨대 30℃ 이상 85℃ 이하이어도 좋고, 바람직하게는 30℃ 이상 60℃ 이하이며, 필름의 침지 시간은, 예컨대 2초 이상 600초 이하이어도 좋고, 바람직하게는 2초 이상 300초 이하이다. The temperature of the treatment liquid accommodated in the crosslinking tank at the time of immersing the film may be, for example, 30°C or more and 85°C or less, preferably 30°C or more and 60°C or less, and the immersion time of the film is, for example, 2 seconds or more and 600 seconds or less. It may be continuous, and preferably 2 seconds or more and 300 seconds or less.

가교 공정에서는, 가교조는 2조 이상이어도 좋다. 이 경우, 각 가교조에 수용되는 처리액의 조성 및 온도는 동일해도 좋고 상이해도 좋다. 가교조에 수용되는 처리액은, 폴리비닐알콜계 수지 필름을 침지시킬 목적에 따른 가교제 및 요오드화물 등의 농도나, 온도를 갖고 있어도 좋다. 가교에 의한 내수화를 위한 가교 처리 및 색상 조정(보색)을 위한 가교 처리를, 각각 복수의 공정(예컨대 복수의 조)으로 행해도 좋다. In a crosslinking process, two or more sets of crosslinking tanks may be sufficient. In this case, the composition and temperature of the processing liquid accommodated in each crosslinking tank may be same or different. The processing liquid accommodated in the crosslinking tank may have the density|concentration and temperature of a crosslinking agent, iodide, etc. according to the objective of immersing a polyvinyl alcohol-type resin film. You may perform the bridge|crosslinking process for the waterproofing by bridge|crosslinking, and the bridge|crosslinking process for hue adjustment (complementary color), respectively in a plurality of steps (for example, a plurality of sets).

일반적으로, 가교에 의한 내수화를 위한 가교 처리 및 색상 조정(보색)을 위한 가교 처리의 쌍방을 실시하는 경우, 색상 조정(보색)을 위한 가교 처리를 실시하는 조(보색조)가 후단에 배치된다. 보색조에 수용되는 처리액의 온도는, 예컨대 10℃ 이상 55℃ 이하이며, 바람직하게는 20℃ 이상 50℃ 이하이다. 보색조에 수용되는 처리액에서의 가교제의 함유량은, 물 100 질량부당, 예컨대 1 질량부 이상 5 질량부 이하이다. 보색조에 수용되는 처리액에서의 요오드화물의 함유량은, 물 100 질량부당, 예컨대 3 질량부 이상 30 질량부 이하이다. In general, when both crosslinking treatment for water resistance by crosslinking and crosslinking treatment for color adjustment (complementary color) are performed, a ton (complementary color tint) subjected to crosslinking treatment for color adjustment (complementary color) is disposed at the rear end do. The temperature of the processing liquid accommodated in the complementary color tone is, for example, 10 degreeC or more and 55 degrees C or less, Preferably it is 20 degreeC or more and 50 degrees C or less. Content of the crosslinking agent in the processing liquid accommodated in the complementary color tone is, for example, 1 mass part or more and 5 mass parts or less per 100 mass parts of water. The content of iodide in the treatment liquid accommodated in the complementary color tone is, for example, 3 parts by mass or more and 30 parts by mass or less per 100 parts by mass of water.

전술한 바와 같이, 편광자를 제조함에 있어서, 폴리비닐알콜계 수지 필름은, 팽윤 공정의 전부터 가교 공정까지의 어느 1 또는 2 이상의 단계에서 일축 연신 처리된다(연신 공정). 이색성 색소의 염색성을 높이는 관점에서, 염색 공정에 제공되는 필름은, 적어도 어느 정도의 일축 연신 처리한 필름인 것이 바람직하고, 또는 염색 처리전의 일축 연신 처리 대신에, 혹은 염색 처리전의 일축 연신 처리에 더하여, 염색 처리시에 일축 연신 처리를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s mentioned above, in manufacturing a polarizer, a polyvinyl alcohol-type resin film is uniaxially stretched in any 1 or 2 or more steps from a swelling process to a crosslinking process (stretching process). From the viewpoint of improving the dyeability of the dichroic dye, the film provided for the dyeing process is preferably a film subjected to at least some degree of uniaxial stretching treatment, or instead of the uniaxial stretching treatment before the dyeing treatment, or in the uniaxial stretching treatment before the dyeing treatment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o perform a uniaxial stretching process at the time of a dyeing|staining process.

일축 연신 처리는, 공중에서 연신을 행하는 건식 연신, 조 중에서 연신을 행하는 습식 연신의 어느 것이어도 좋고, 이들 쌍방을 행해도 좋다. 일축 연신 처리는, 2개의 닙 롤 사이에 주속차를 부여하여 세로 일축 연신을 행하는 롤간 연신, 열롤 연신, 텐터 연신 등일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롤간 연신을 포함한다. 원단 필름을 기준으로 하는 연신 배율(2 이상의 단계에서 연신 처리를 행하는 경우에는 이들의 누적 연신 배율)은, 3배 이상 8배 이하 정도이다. 양호한 편광 특성을 부여하기 위해, 연신 배율은, 바람직하게는 4배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5배 이상이 된다. Any of the dry extending|stretching which extends|stretches in the air, and wet extending|stretching which extend|stretches in a tank may be sufficient as a uniaxial stretching process, and these both may be performed. The uniaxial stretching treatment may be inter-roll stretching in which longitudinal uniaxial stretching is performed by applying a circumferential speed difference between two nip rolls, hot roll stretching, tenter stretching, etc., but preferably includes inter-roll stretching. The draw ratio on the basis of a raw film (in the case of performing an extending|stretching process in 2 or more steps, these cumulative draw ratios) is about 3 times or more and 8 times or less. In order to provide favorable polarization characteristics, a draw ratio becomes like this. Preferably it is 4 times or more, More preferably, it is set to 5 times or more.

(4) 세정 공정(4) cleaning process

본 공정에서의 세정 처리는, 폴리비닐알콜계 수지 필름에 부착된 여분의 가교제나 이색성 색소 등의 약제를 제거할 목적으로 필요에 따라서 실시되는 처리이며, 물을 함유하는 세정액을 이용하여 가교 공정후의 폴리비닐알콜계 수지 필름을 세정하는 처리이다. 구체적으로는, 세정조에 수용되는 처리액(세정액)에 가교 공정후의 폴리비닐알콜계 수지 필름을 침지시키는 처리일 수 있다. 상기 필름은, 하나의 세정조에 침지되어도 좋고, 2 이상의 세정조에 순차적으로 침지되어도 좋다. 혹은, 세정 처리는, 가교 공정후의 폴리비닐알콜계 수지 필름에 대하여 세정액을 샤워로서 분무하는 처리이어도 좋고, 상기 침지시키는 처리와 분무하는 처리를 조합해도 좋다. The washing treatment in this step is a treatment carried out as needed for the purpose of removing a drug such as an excess crosslinking agent or a dichroic dye adhering to the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film, and is a crosslinking step using a washing solution containing water. It is a process of washing|cleaning the polyvinyl alcohol-type resin film later. Specifically, it may be a treatment in which the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film after the crosslinking process is immersed in the treatment liquid (washing liquid) accommodated in the cleaning tank. The said film may be immersed in one washing tank, and may be immersed in two or more washing tanks sequentially. Alternatively, the washing treatment may be a treatment of spraying a washing liquid as a shower onto the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film after the crosslinking step, or a combination of the immersion treatment and the spraying treatment.

세정액은, 물(예컨대 순수)일 수 있는 것 외에, 알콜류와 같은 수용성 유기 용매를 첨가한 수용액이어도 좋다. The washing liquid may be water (eg, pure water) or an aqueous solution to which a water-soluble organic solvent such as alcohol is added.

세정 공정에서, 가교 공정후의 폴리비닐알콜계 수지 필름을 세정하는 세정액의 온도는, 예컨대 2℃ 이상 40℃ 이하이어도 좋고, 전술한 범위 내의 단체 색상 b값 및 파장 700 nm에서의 흡광도를 얻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22℃를 넘는 온도의 세정액으로는 세정하지 않는다. In the washing step, the temperature of the washing solution for washing the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film after the crosslinking step may be, for example, 2°C or more and 40°C or less, from the viewpoint of obtaining a single color b value within the above-mentioned range and absorbance at a wavelength of 700 nm Preferably, washing is not performed with a washing liquid having a temperature exceeding 22°C.

가교 공정후의 폴리비닐알콜계 수지 필름을 세정조에 침지하는 경우, 세정조 중의 세정액의 온도는, 바람직하게는 2℃ 이상 22℃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 이상 10℃ 이하이다. 세정조 중에 침지하는 시간은, 예컨대 10초 이상 100초 이하 이어도 좋고, 바람직하게는 20초 이상 80초 이하이다. When the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film after the crosslinking step is immersed in a washing tank, the temperature of the washing liquid in the washing tank is preferably 2°C or more and 22°C or less, more preferably 2°C or more and 10°C or less. The time to be immersed in the washing tank may be, for example, 10 seconds or more and 100 seconds or less, and preferably 20 seconds or more and 80 seconds or less.

가교 공정후의 폴리비닐알콜계 수지 필름에 세정액을 샤워로서 분무하는 경우, 세정액의 온도는, 폴리비닐알콜계 수지 필름의 폭방향에 있어서 중앙부와 양쪽 단부에서 동일한 온도이어도 좋고 상이한 온도이어도 좋지만, 단체 색상 b값 및 파장 700 nm에서의 흡광도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상이한 온도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중앙부에서의 온도가 양쪽 단부의 온도보다 낮은 온도이다. 세정액의 온도는, 단체 색상 b값 및 파장 700 nm에서의 흡광도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중앙부에서 2℃ 이상 10℃ 이하 및 양쪽 단부에서 10℃ 이상 22℃ 이하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중앙부에서 3℃ 이상 7℃ 이하 및 양쪽 단부에서 15℃ 이상 22℃ 이하이다. When the cleaning liquid is sprayed as a shower on the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film after the crosslinking step, the temperature of the cleaning liquid may be the same or different at the central portion and both ends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film, but may be a single color From the viewpoint of the b value and the absorbance at a wavelength of 700 nm, the temperature is preferably different, and more preferably the temperature at the central portion is lower than the temperature at both ends. The temperature of the washing liquid is preferably 2°C or more and 10°C or less at the central portion and 10°C or more and 22°C or less at both ends, more preferably 3°C in the central portion, from the viewpoint of the single color b value and the absorbance at a wavelength of 700 nm. 7°C or higher and 15°C or higher and 22°C or lower at both ends.

(5) 건조 공정(5) drying process

건조 공정은, 세정 공정후의 폴리비닐알콜계 수지 필름을 건조시키기 위한 존이다. 세정 공정후의 폴리비닐알콜계 수지 필름을 계속해서 반송시키면서, 건조 공정에 상기 필름을 도입하는 것에 의해 건조 처리를 실시할 수 있고, 이것에 의해 편광자가 얻어진다. A drying process is a zone for drying the polyvinyl alcohol-type resin film after a washing|cleaning process. A drying process can be performed by introduce|transducing the said film into a drying process, conveying the polyvinyl alcohol-type resin film after a washing|cleaning process continuously, Thereby, a polarizer is obtained.

건조 처리는, 필름의 건조 수단(가열 수단)을 이용하여 행해진다. 건조 수단이 적합한 일례는 건조로이다. 건조로는, 바람직하게는 로내 온도를 제어 가능한 것이다. 건조로는, 예컨대, 열풍의 공급 등에 의해 로내 온도를 높일 수 있는 열풍 오븐이다. 또한 건조 수단에 의한 건조 처리는, 볼록한 곡면을 갖는 1 또는 2 이상의 가열체에 세정 공정후의 폴리비닐알콜계 수지 필름을 밀착시키는 처리나, 히터를 이용하여 상기 필름을 가열하는 처리이어도 좋다. A drying process is performed using the drying means (heating means) of a film. An example where the drying means is suitable is a drying furnace. As for a drying furnace, Preferably, the temperature in a furnace is controllable. The drying furnace is, for example, a hot-air oven capable of raising the furnace temperature by supplying hot air or the like. Further, the drying treatment by the drying means may be a treatment in which the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film after the washing step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one or two or more heating elements having a convex curved surface, or a treatment in which the film is heated using a heater.

상기 가열체로는, 열원(예컨대, 온수 등의 열매(熱媒)나 적외선 히터)을 내부에 구비하고, 표면 온도를 높일 수 있는 롤(예컨대 열 롤을 겸한 가이드 롤)을 들 수 있다. 상기 히터로는, 적외선 히터, 할로겐 히터, 패널 히트 등을 들 수 있다. Examples of the heating element include a roll (eg, a guide roll also serving as a heating roll) having a heat source (eg, a heat source such as hot water or an infrared heater) inside and capable of increasing the surface temperature. As said heater, an infrared heater, a halogen heater, a panel heat, etc. are mentioned.

건조 공정에서, 건조 처리의 온도(예컨대, 건조로의 로내 온도, 열롤의 표면 온도 등)는, 예컨대 30℃ 이상이어도 좋고, 전술한 범위 내의 단체 색상 b값 및 파장 700 nm에서의 흡광도를 얻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96℃ 이상이다. 건조 처리의 온도는, 통상 100℃ 이하이다. 건조 시간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예컨대 30초 이상 900초 이하이어도 좋고, 바람직하게는 30초 이상 60초 이하이다. In the drying step, the temperature of the drying treatment (for example, the furnace temperature of the drying furnace, the surface temperature of the hot roll, etc.) may be, for example, 30° C. or higher, from the viewpoint of obtaining a single color b value and an absorbance at a wavelength of 700 nm within the above-mentioned range Preferably it is 96 degreeC or more. The temperature of a drying process is 100 degrees C or less normally. Although drying time in particular is not restrict|limited, For example, 30 second or more and 900 second or less may be sufficient, Preferably it is 30 second or more and 60 second or less.

건조 공정은, 1단계이어도 좋고, 다단계로 나뉘어져 있어도 좋고, 바람직하게는 2단계 이상 4단계 이하로 나뉘어져 있다. 건조 공정이 다단계로 나뉘어져 있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단계의 건조 온도가 96℃ 이상인 것이 단체 색상 b값 및 파장 700 nm에서의 흡광도의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건조 공정이 다단계로 나뉘어져 있는 경우, 건조 처리의 온도는, 최초의 단계에 비교하여 이후의 단계의 온도가 높아지도록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건조 공정이 다단계로 나뉘어져 있는 경우, 각 단계에서의 건조 시간은 예컨대 10초 이상 300초 이하이어도 좋고, 바람직하게는 10초 이상 20초 이하이다. One step may be sufficient as a drying process, and it may be divided into multiple steps, Preferably it is divided into 2 or more steps and 4 steps or less. When the drying process is divided into multiple stages, it is preferable that the drying temperature of at least one stage is 96° C. or higher from the standpoint of the single color b value and the absorbance at a wavelength of 700 nm. When the drying process is divided into multiple stages, it is preferable to set the temperature of the drying process so that the temperature of the subsequent stage becomes higher than that of the first stage. When the drying step is divided into multiple steps, the drying time in each step may be, for example, 10 seconds or more and 300 seconds or less, and preferably 10 seconds or more and 20 seconds or less.

편광자 제조 공정에서, 폴리비닐알콜계 수지 필름에 대하여 처리를 하는 처리액의 적어도 하나가 아연염을 함유하고 있어도 좋다. 처리액을 수용하는 처리조로는, 예컨대 팽윤조, 염색조, 가교조, 세정조, 보색조 등을 들 수 있다. 아연염을 함유하는 처리액을 수용하는 처리조는, 바람직하게는 염색조 후부터 세정조 전에 있는 처리조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가교조 및 보색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가교조가 2 이상인 경우에는 최후의 가교조 및 보색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이다. 폴리비닐알콜계 수지 필름을 아연염을 함유하는 처리액에 침지하는 것에 의해, 얻어지는 편광자에 아연 원소를 함유시킬 수 있다. 편광자 중의 아연 원소의 함유량은, 처리액 중의 아연염의 농도, 아연염을 함유하는 처리액 중에 폴리비닐알콜계 수지 필름을 침지하는 시간, 처리액의 온도 등을 조절하는 것에 의해 전술한 범위의 아연 원소의 함유량으로 할 수 있다. A polarizer manufacturing process WHEREIN: At least 1 of the process liquid which processes with respect to a polyvinyl alcohol-type resin film may contain the zinc salt. As a processing tank which accommodates a processing liquid, a swelling tank, a dyeing tank, a crosslinking tank, a washing tank, a complementary color tank, etc. are mentioned, for example. The treatment tank for accommodating the treatment liquid containing the zinc salt is preferably a treatment tank located after the dyeing tank and before the washing tank, more preferably at least one selected from a crosslinking tank and a complementary color tank, and still more preferably having two or more crosslinking tanks. In this cas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last crosslinking tone and the complementary color tone. By immersing a polyvinyl alcohol-type resin film in the processing liquid containing a zinc salt, a zinc element can be made to contain the polarizer obtained. The content of the zinc element in the polarizer is the zinc element in the range described above by adjusting the concentration of the zinc salt in the treatment liquid, the time for immersing the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film in the treatment liquid containing the zinc salt, the temperature of the treatment liquid, and the like. It can be made with the content of

처리액에 포함되는 아연염으로는, 예컨대 염화아연, 요오드화아연 등의 할로겐화아연이나, 황산아연, 아세트산아연, 질산아연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장력의 변화가 작다는 점에서 바람직하게는 질산아연이다. 아연염은, 아연염 용액으로서 처리액에 첨가할 수 있다. Examples of the zinc salt contained in the treatment liquid include zinc halide such as zinc chloride and zinc iodide, zinc sulfate, zinc acetate, zinc nitrate, and the like. Among them, zinc nitrate is preferable because the change in tension is small. A zinc salt can be added to a process liquid as a zinc salt solution.

처리액 중의 아연염의 농도는, 각 처리조마다 상이해도 좋지만, 처리조에 수용되는 처리액 100 질량부에 대하여 예컨대 1 질량부 이상 10 질량부 이하이어도 좋고, 2 질량부 이상 7 질량부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The concentration of the zinc salt in the treatment liquid may be different for each treatment tank, but for example, 1 part by mass or more and 10 parts by mass or less, preferably 2 parts by mass or more and 7 parts by mass or less with respect to 100 parts by mass of the treatment liquid accommodated in the treatment tank. .

이상의 공정을 거쳐, 일축 연신된 폴리비닐알콜계 수지 필름에 이색성 색소를 흡착 배향시킨 편광자를 얻을 수 있다. Through the above process, the polarizer which carried out adsorption-oriented orientation of the dichroic dye to the polyvinyl alcohol-type resin film uniaxially stretched can be obtained.

얻어진 편광자는, 예컨대, 그대로 다음 편광판 제작 공정(편광자의 한쪽 또는 양쪽에 열가소성 수지 필름을 접합하는 공정)에 반송할 수 있다. The obtained polarizer can be conveyed to the next polarizing plate preparation process (process of bonding a thermoplastic resin film to one or both sides of a polarizer) as it is, for example.

[열가소성 수지 필름][Thermoplastic resin film]

열가소성 수지 필름으로는, 예컨대, 쇄형 폴리올레핀계 수지(폴리프로필렌계 수지 등), 고리형 폴리올레핀계 수지(노르보넨계 수지 등)와 같은 폴리올레핀계 수지;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나 디아세틸셀룰로오스와 같은 셀룰로오스에스테르계 수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와 같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폴리메타크릴산메틸계 수지와 같은 (메트)아크릴계 수지; 또는 이들의 혼합물, 공중합물 등으로 이루어진 투광성을 갖는 수지 필름일 수 있다. 열가소성 수지 필름은, 1종 또는 2종 이상의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진 하나의 수지층으로 이루어진 단층 구조이어도 좋고, 1종 또는 2종 이상의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진 수지층을 복수 적층한 다층 구조이어도 좋다. 제1 열가소성 수지 필름과 제2 열가소성 수지 필름은, 동일 또는 상이한 종류의 열가소성 수지 필름일 수 있다. Examples of the thermoplastic resin film include polyolefin-based resins such as chain polyolefin-based resins (polypropylene-based resins, etc.) and cyclic polyolefin-based resins (norbornene-based resins, etc.); Cellulose ester-based resins such as triacetyl cellulose or diacetyl cellulose; polyester-based resins such as polyethylene terephthalate, polyethylene naphthalate, and polybutylene terephthalate; polycarbonate-based resin; (meth)acrylic resins such as polymethyl methacrylate-based resins; Alternatively, it may be a resin film having light-transmitting properties made of a mixture or copolymer thereof. The thermoplastic resin film may have a single-layer structure composed of one resin layer composed of one or two or more types of thermoplastic resins, or a multilayer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resin layers composed of one type or two or more types of thermoplastic resins are laminated. The first thermoplastic resin film and the second thermoplastic resin film may be the same or different types of thermoplastic resin films.

쇄형 폴리올레핀계 수지로는, 폴리에틸렌 수지, 폴리프로필렌 수지 등의 쇄형 올레핀의 단독 중합체 외에, 2종 이상의 쇄형 올레핀으로 이루어진 공중합체를 들 수 있다. Examples of the chain polyolefin resin include homopolymers of chain olefins such as polyethylene resin and polypropylene resin, and copolymers composed of two or more kinds of chain olefins.

고리형 폴리올레핀계 수지는, 노르보넨이나 테트라시클로도데센(별칭: 디메타노옥타히드로나프탈렌) 또는 이들의 유도체를 대표예로 하는 고리형 올레핀을 중합 단위로서 포함하는 수지의 총칭이다. 고리형 폴리올레핀계 수지로는, 고리형 올레핀의 개환 (공)중합체 및 그 수소 첨가물, 고리형 올레핀의 부가 중합체, 고리형 올레핀과 에틸렌, 프로필렌 등의 쇄형 올레핀 또는 비닐기를 갖는 방향족 화합물과의 공중합체, 및 이들을 불포화 카르복실산이나 그 유도체로 변성한 변성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The cyclic polyolefin-based resin is a generic term for a resin containing, as a polymerization unit, a cyclic olefin having norbornene, tetracyclododecene (alias: dimethanooctahydronaphthalene) or a derivative thereof as a representative example. Examples of the cyclic polyolefin resin include a ring-opened (co)polymer of cyclic olefin and a hydrogenated product thereof, an addition polymer of cyclic olefin, a copolymer of a cyclic olefin and a chain olefin such as ethylene or propylene, or an aromatic compound having a vinyl group , and a modified (co)polymer obtained by modifying these with an unsaturated carboxylic acid or a derivative thereof.

그 중에서도, 고리형 올레핀으로서 노르보넨이나 다환 노르보넨계 단량체 등의 노르보넨계 단량체를 이용한 노르보넨계 수지가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Among them, norbornene-based resins using norbornene-based monomers such as norbornene and polycyclic norbornene-based monomers are preferably used as cyclic olefins.

셀룰로오스에스테르계 수지는, 셀룰로오스에서의 히드록실기의 적어도 일부가 아세트산에스테르화되어 있는 수지이며, 일부가 아세트산에스테르화되고, 일부가 다른 산으로 에스테르화되어 있는 혼합 에스테르이어도 좋다. 셀룰로오스에스테르계 수지는, 바람직하게는 아세틸셀룰로오스계 수지이다. Cellulose ester-type resin may be resin by which at least one part of the hydroxyl group in a cellulose was acetic acid esterified, and the mixed ester by which the acetic acid esterification was carried out partly, and the other acid esterification part is esterified. The cellulose ester-based resin is preferably an acetyl cellulose-based resin.

아세틸셀룰로오스계 수지로는,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디아세틸셀룰로오스,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프로피오네이트,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부틸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Examples of the acetyl cellulose-based resin include triacetyl cellulose, diacetyl cellulose, cellulose acetate propionate, and cellulose acetate butyrate.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는, 에스테르 결합을 갖는, 상기 셀룰로오스에스테르계 수지 이외의 수지이며, 다가 카르복실산 또는 그 유도체와 다가 알콜의 중축합체로 이루어진 것이 일반적이다. Polyester resin is resin other than the said cellulose ester resin which has an ester bond, and what consists of polycondensate of polyhydric carboxylic acid or its derivative(s), and polyhydric alcohol is common.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로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나프탈레이트,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트리메틸렌나프탈레이트, 폴리시클로헥산디메틸테레프탈레이트, 폴리시클로헥산디메틸나프탈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Examples of the polyester-based resin include polyethylene terephthalate, polybutylene terephthalate, polyethylene naphthalate, polybutylene naphthalate, polytrimethylene terephthalate, polytrimethylene naphthalate, polycyclohexanedimethyl terephthalate, and polycyclohexanedimethyl naphthalate. Phthalate etc. are mentioned.

그 중에서도, 기계적 성질, 내용제성, 내스크래치성, 비용 등의 관점에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가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란, 반복 단위의 80 몰% 이상이 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로 구성되는 수지를 말하며, 다른 공중합 성분에 유래하는 구성 단위를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Among them, polyethylene terephthalate is preferably used from the viewpoints of mechanical properties, solvent resistance, scratch resistance, cost, and the like. Polyethylene terephthalate means resin in which 80 mol% or more of a repeating unit is comprised by ethylene terephthalate, and may contain the structural unit derived from another copolymerization component.

다른 공중합 성분으로는, 디카르복실산 성분이나 디올 성분을 들 수 있다. As another copolymerization component, a dicarboxylic acid component and a diol component are mentioned.

디카르복실산 성분으로는, 이소프탈산, 4,4'-디카르복시디페닐, 4,4'-디카르복시벤조페논, 비스(4-카르복시페닐)에탄, 아디프산, 세바스산, 5-나트륨술포이소프탈산, 1,4-디카르복시시클로헥산 등을 들 수 있다. As the dicarboxylic acid component, isophthalic acid, 4,4'-dicarboxydiphenyl, 4,4'-dicarboxybenzophenone, bis(4-carboxyphenyl)ethane, adipic acid, sebacic acid, 5-sodium A sulfoisophthalic acid, 1, 4- dicarboxy cyclohexane, etc. are mentioned.

디올 성분으로는, 프로필렌글리콜, 부탄디올, 네오펜틸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시클로헥산디올, 비스페놀 A의 에틸렌옥사이드 부가물,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프로필렌글리콜, 폴리테트라메틸렌글리콜 등을 들 수 있다. Examples of the diol component include propylene glycol, butanediol, neopentyl glycol, diethylene glycol, cyclohexanediol, an ethylene oxide adduct of bisphenol A, polyethylene glycol, polypropylene glycol, and polytetramethylene glycol.

디카르복실산 성분이나 디올 성분은, 필요에 따라서 각각 2종류 이상을 조합하여 이용할 수도 있다. A dicarboxylic acid component and a diol component can also be used in combination of 2 or more types, respectively as needed.

또한, 상기 디카르복실산 성분이나 디올 성분과 함께, p-히드록시벤조산, p-히드록시에톡시벤조산, β-히드록시에톡시벤조산 등의 히드록시카르복실산을 병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Moreover, it is also possible to use together hydroxycarboxylic acids, such as p-hydroxybenzoic acid, p-hydroxyethoxybenzoic acid, and (beta)-hydroxyethoxybenzoic acid, with the said dicarboxylic acid component and a diol component.

다른 공중합 성분으로서, 아미드 결합, 우레탄 결합, 에테르 결합, 카보네이트 결합 등을 갖는 디카르복실산 성분 및/또는 디올 성분이 소량 이용되어도 좋다. As the other copolymerization component, a small amount of a dicarboxylic acid component and/or a diol component having an amide bond, a urethane bond, an ether bond, a carbonate bond, or the like may be used.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는, 탄산과 글리콜 또는 비스페놀로 형성되는 폴리에스테르이다. 그 중에서도, 분자쇄에 디페닐알칸을 갖는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는, 내열성, 내후성 및 내산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Polycarbonate-type resin is polyester formed from carbonic acid, glycol, or bisphenol. Especially, aromatic polycarbonate which has diphenyl alkane in a molecular chain is used preferably from a viewpoint of heat resistance, weather resistance, and acid resistance.

폴리카보네이트로는, 2,2-비스(4-히드록시페닐)프로판(별칭 비스페놀 A), 2,2-비스(4-히드록시페닐)부탄, 1,1-비스(4-히드록시페닐)시클로헥산, 1,1-비스(4-히드록시페닐)이소부탄, 1,1-비스(4-히드록시페닐)에탄 등의 비스페놀로부터 유도되는 폴리카보네이트를 들 수 있다. Examples of the polycarbonate include 2,2-bis(4-hydroxyphenyl)propane (alias bisphenol A), 2,2-bis(4-hydroxyphenyl)butane, 1,1-bis(4-hydroxyphenyl) and polycarbonates derived from bisphenols such as cyclohexane, 1,1-bis(4-hydroxyphenyl)isobutane, and 1,1-bis(4-hydroxyphenyl)ethane.

(메트)아크릴계 수지는, (메트)아크릴계 단량체 유래의 구성 단위를 포함하는 중합체이며, (메트)아크릴계 단량체로는, 메타크릴산에스테르 및 아크릴산에스테르를 들 수 있다. A (meth)acrylic-type resin is a polymer containing the structural unit derived from a (meth)acrylic-type monomer, and methacrylic acid ester and an acrylic acid ester are mentioned as a (meth)acrylic-type monomer.

메타크릴산에스테르로는, 메타크릴산메틸, 메타크릴산에틸, 메타크릴산 n-, i- 또는 t-부틸, 메타크릴산시클로헥실, 메타크릴산페닐, 메타크릴산벤질, 메타크릴산 2-에틸헥실, 메타크릴산 2-히드록시에틸 등을 들 수 있다. Examples of methacrylic acid esters include methyl methacrylate, ethyl methacrylate, n-, i- or t-butyl methacrylate, cyclohexyl methacrylate, phenyl methacrylate, benzyl methacrylate, methacrylic acid 2 -Ethylhexyl, 2-hydroxyethyl methacrylate, etc. are mentioned.

아크릴산에스테르로는, 아크릴산에틸, 아크릴산 n-, i- 또는 t-부틸, 아크릴산시클로헥실, 아크릴산페닐, 아크릴산벤질, 아크릴산 2-에틸헥실, 아크릴산 2-히드록시에틸 등을 들 수 있다. Examples of the acrylic acid ester include ethyl acrylate, n-, i- or t-butyl acrylate, cyclohexyl acrylate, phenyl acrylate, benzyl acrylate, 2-ethylhexyl acrylate, and 2-hydroxyethyl acrylate.

열가소성 수지 필름은, 셀룰로오스에스테르계 수지 필름 또는 고리형 폴리올레핀계 수지 필름인 것이 바람직하다. The thermoplastic resin film is preferably a cellulose ester-based resin film or a cyclic polyolefin-based resin film.

열가소성 수지 필름은, 필요에 따라서 첨가제를 함유하고 있어도 좋다. 첨가제로는, 예컨대, 윤활제, 블로킹 방지제, 열안정제, 산화 방지제, 자외선 흡수제, 대전 방지제, 내광제, 내충격성 개량제, 계면 활성제 등을 들 수 있다. The thermoplastic resin film may contain an additive as needed. Examples of the additive include lubricants, antiblocking agents, heat stabilizers, antioxidants, ultraviolet absorbers, antistatic agents, light resistance agents, impact resistance improving agents, surfactants, and the like.

자외선 흡수제로는, 살리실산에스테르계 화합물, 벤조페논계 화합물, 벤조트리아졸계 화합물, 시아노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 니켈 착염계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Examples of the ultraviolet absorber include a salicylic acid ester-based compound, a benzophenone-based compound, a benzotriazole-based compound, a cyanoacrylate-based compound, and a nickel complex salt-based compound.

제1 열가소성 수지 필름 및 제2 열가소성 수지 필름의 어느 한쪽 또는 양쪽은, 위상차 필름, 휘도 향상 필름과 같은 광학 기능을 겸비하는 보호 필름일 수도 있다. 예컨대, 상기 재료로 이루어진 투명 수지 필름을 연신(일축 연신 또는 이축 연신 등)하거나, 상기 필름 상에 액정층 등을 형성하거나 하는 것에 의해, 임의의 위상차치가 부여된 위상차 필름으로 할 수 있다. Either one or both of a 1st thermoplastic resin film and a 2nd thermoplastic resin film may be a protective film which has optical functions like retardation film and a brightness improvement film. For example, by stretching (uniaxial stretching or biaxial stretching, etc.) a transparent resin film made of the above material, or forming a liquid crystal layer or the like on the film, a retardation film to which an arbitrary retardation value is provided can be obtained.

열가소성 수지 필름에서의 편광자측과는 반대측의 표면에는, 하드코트층, 방현층, 반사 방지층, 대전 방지층, 오염 방지층과 같은 표면 처리층(코팅층)을 형성할 수도 있다. A surface treatment layer (coating layer) such as a hard coat layer, an anti-glare layer, an antireflection layer, an antistatic layer, and an antifouling layer may be formed on the surface on the opposite side to the polarizer side in the thermoplastic resin film.

열가소성 수지 필름의 두께는, 편광판의 박형화의 관점에서 얇은 것이 바람직하지만, 지나치게 얇으면 강도가 저하되어 가공성이 떨어지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게는 5 ㎛ 이상 150 ㎛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5 ㎛ 이상 100 ㎛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 이상 60 ㎛ 이하이다. The thickness of the thermoplastic resin film is preferably thin from the viewpoint of reducing the thickness of the polarizing plate, but if it is too thin, the strength is lowered and the workability tends to be poor. Therefore, preferably 5 µm or more and 150 µm or less, more preferably 5 µm or more It is 100 micrometers or less, More preferably, it is 10 micrometers or more and 60 micrometers or less.

[접착제][glue]

편광자와 열가상성 수지 필름을 접착하기 위해 접착제를 이용할 수 있다. 접착제는, 편광자 및 열가상성 수지 필름에 대하여 접착력을 발현하는 것이면 되며, 예컨대 접착제 성분을 물에 용해 또는 분산시킨 수계 접착제나,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화합물을 함유하는 경화성 접착제를 들 수 있다. 접착제는, 편광 필름의 표면이 친수성인 것을 고려하면, 접착제 성분을 물에 용해 또는 분산시킨 수계 접착제가 바람직하다. 수계 접착제는, 경화후의 접착제의 두께를 얇게 할 수 있는 관점에서도 바람직하다. 수계 접착제의 주성분이 되는 접착제 성분에는, 폴리비닐알콜계 수지나 우레탄 수지 등이 있다. An adhesive may be used to bond the polarizer and the thermosetting resin film. The adhesive should just express adhesive force with respect to a polarizer and a thermovirtual resin film, For example, the water-based adhesive agent which melt|dissolved or disperse|distributed the adhesive agent component in water, and the curable adhesive agent containing an active energy ray-curable compound are mentioned. When the adhesive agent considers that the surface of a polarizing film is hydrophilic, the water-based adhesive agent which melt|dissolved or disperse|distributed the adhesive agent component in water is preferable. A water-based adhesive is preferable also from a viewpoint that the thickness of the adhesive agent after hardening can be made thin. The adhesive component used as the main component of the water-based adhesive includes a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a urethane resin, and the like.

수계 접착제의 주성분으로서 폴리비닐알콜계 수지를 이용하는 경우, 그 폴리비닐알콜계 수지는, 폴리아세트산비닐계 수지를 비누화하는 것에 의해 얻어진다. 폴리아세트산비닐계 수지로는, 아세트산비닐의 단독 중합체인 폴리아세트산비닐 외에, 아세트산비닐과 그것에 공중합 가능한 다른 단량체와의 공중합체 등이 예시된다. 아세트산비닐에 공중합되는 다른 단량체로는, 예컨대, 불포화 카르복실산류, 불포화 술폰산류, 올레핀류, 비닐에테르류, 암모늄기를 갖는 아크릴아미드류 등을 들 수 있다. 접착제에 이용하는 폴리비닐알콜계 수지는, 적당한 중합도를 갖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예컨대, 4 질량% 농도의 수용액으로 했을 때에, 점도가 4 mPa·sec 이상 50 mPa·sec 이하의 범위 내, 나아가 6 mPa·sec 이상 30 mPa·sec 이하의 범위 내에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When using a polyvinyl alcohol-type resin as a main component of a water-based adhesive agent, the polyvinyl alcohol-type resin is obtained by saponifying polyvinyl acetate-type resin. Examples of the polyvinyl acetate-based resin include polyvinyl acetate, which is a homopolymer of vinyl acetate, and a copolymer of vinyl acetate and another monomer copolymerizable therewith. Examples of the other monomer copolymerized with vinyl acetate include unsaturated carboxylic acids, unsaturated sulfonic acids, olefins, vinyl ethers, and acrylamides having an ammonium group. The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used for the adhesive preferably has an appropriate degree of polymerization. For example, when an aqueous solution having a concentration of 4% by mass is used, the viscosity is within the range of 4 mPa·sec or more and 50 mPa·sec or less, and further 6 mPa It is more preferable to exist in the range of sec or more and 30 mPa·sec or less.

접착제에 이용하는 폴리비닐알콜계 수지의 비누화도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일반적으로는 80 몰%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나아가 90 몰%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접착제에 이용하는 폴리비닐알콜계 수지의 비누화도가 낮으면, 접착제의 내수성이 불충분해지기 쉬운 경향이 있다. Although the degree of saponification of the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used for the adhesive is not particularly limited, in general, it is preferably 80 mol% or more, and more preferably 90 mol% or more. When the degree of saponification of the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used for the adhesive is low, the water resistance of the adhesive tends to be insufficient.

접착제에는, 변성된 폴리비닐알콜계 수지가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적합한 변성 폴리비닐알콜계 수지로서, 아세토아세틸기 변성된 폴리비닐알콜계 수지, 음이온 변성된 폴리비닐알콜계 수지, 양이온 변성된 폴리비닐알콜계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변성된 폴리비닐알콜계 수지를 이용하면, 접착제의 내수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얻어지기 쉽다. As the adhesive, a modified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is preferably used. Suitable modified polyvinyl alcohol-based resins include acetoacetyl group-modified polyvinyl alcohol-based resins, anion-modified polyvinyl alcohol-based resins, cation-modified polyvinyl alcohol-based resins, and the like. When such a modified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is used, the effect of improving the water resistance of the adhesive is easily obtained.

아세토아세틸기 변성된 폴리비닐알콜계 수지는, 폴리비닐알콜 골격을 구성하는 수산기 외에, 아세토아세틸기(CH3COCH2CO-)를 갖는 것이며, 그 밖의 기, 예컨대 아세틸기 등을 갖고 있어도 좋다. 이 아세토아세틸기는, 전형적으로는 폴리비닐알콜을 구성하는 수산기의 수소 원자가 치환된 상태로 존재한다. 아세토아세틸기 변성된 폴리비닐알콜계 수지는, 예컨대, 폴리비닐알콜을 디케텐과 반응시키는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아세토아세틸기 변성된 폴리비닐알콜계 수지는, 반응성이 높은 작용기인 아세토아세틸기를 갖기 때문에, 접착제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데에 있어서 바람직하다. The acetoacetyl group-modified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has an acetoacetyl group (CH 3 COCH 2 CO-) in addition to the hydroxyl group constituting the polyvinyl alcohol skeleton, and may have other groups such as an acetyl group. This acetoacetyl group typically exists in a state in which a hydrogen atom of a hydroxyl group constituting polyvinyl alcohol is substituted. The acetoacetyl group-modified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may be prepared by, for example, reacting polyvinyl alcohol with diketene. Since the acetoacetyl group-modified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has an acetoacetyl group, which is a highly reactive functional group, it is preferable for improving the durability of the adhesive.

아세토아세틸기 변성된 폴리비닐알콜계 수지에서의 아세토아세틸기의 함유량은, 0.1 몰% 이상이라면 특별히 제한은 없다. 여기서 말하는 아세토아세틸기의 함유량이란, 폴리비닐알콜계 수지에서의 수산기, 아세토아세틸기 및 그 밖의 에스테르기(아세틸기 등)의 합계량에 대한 아세토아세틸기의 몰분율을 %로 표시한 값이며, 「아세토아세틸화도」라고 부르는 경우가 있다. 폴리비닐알콜계 수지에서의 아세토아세틸화도가 0.1 몰%를 하회하면, 접착제의 내수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반드시 충분해지는 것은 아니다. 폴리비닐알콜계 수지에서의 아세토아세틸화도는, 0.1∼40 몰% 정도, 나아가 1∼20 몰%, 특히 2∼7 몰%인 것이 바람직하다. 아세토아세틸화도가 40 몰%를 넘으면, 내수성의 향상 효과가 작아진다. The content of the acetoacetyl group in the acetoacetyl group-modified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is 0.1 mol% or more. The content of acetoacetyl groups as used herein is a value expressed by the mole fraction of acetoacetyl groups with respect to the total amount of hydroxyl groups, acetoacetyl groups and other ester groups (acetyl groups, etc.) in the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expressed in %, It is sometimes referred to as “degree of acetylation”. When the degree of acetoacetylation in the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is less than 0.1 mol%, the effect of improving the water resistance of the adhesive is not necessarily sufficient. The degree of acetoacetylation in the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is preferably about 0.1 to 40 mol%, more preferably 1 to 20 mol%, and particularly preferably 2 to 7 mol%. When the degree of acetoacetylation exceeds 40 mol%, the effect of improving water resistance becomes small.

음이온 변성된 폴리비닐알콜계 수지는, 폴리비닐알콜 골격을 구성하는 수산기 외에, 음이온성기, 전형적으로는 카르복실기(-COOH) 또는 그 염을 함유하는 것이며, 그 밖의 기, 예컨대 아세틸기 등을 갖고 있어도 좋다. 음이온 변성된 폴리비닐알콜계 수지는, 예컨대, 음이온성기(전형적으로는 카르복실기)를 갖는 불포화 단량체를 아세트산비닐에 공중합시키고, 이어서 비누화하는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한편, 양이온 변성된 폴리비닐알콜계 수지는, 폴리비닐알콜 골격을 구성하는 수산기 외에, 양이온성기, 전형적으로는 3급 아미노기 또는 4급 암모늄기를 함유하는 것이며, 그 밖의 기, 예컨대 아세틸기 등을 갖고 있어도 좋다. 양이온 변성된 폴리비닐알콜계 수지는, 예컨대, 양이온성기(전형적으로는 3급 아미노기 또는 4급 암모늄기)를 갖는 불포화 단량체를 아세트산비닐에 공중합시키고, 이어서 비누화하는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The anion-modified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contains, in addition to the hydroxyl group constituting the polyvinyl alcohol skeleton, an anionic group, typically a carboxyl group (-COOH) or a salt thereof, and may contain other groups such as an acetyl group. good. The anion-modified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can be produced by, for example, copolymerizing an unsaturated monomer having an anionic group (typically a carboxyl group) with vinyl acetate, followed by saponification. On the other hand, the cation-modified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contains, in addition to the hydroxyl group constituting the polyvinyl alcohol skeleton, a cationic group, typically a tertiary amino group or a quaternary ammonium group, and has other groups such as an acetyl group. good to be The cation-modified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can be produced by, for example, copolymerizing an unsaturated monomer having a cationic group (typically a tertiary amino group or a quaternary ammonium group) with vinyl acetate, followed by saponification.

접착제는, 전술한 변성 폴리비닐알콜계 수지를 2종 이상 포함하는 것이어도 좋고, 또한, 미변성의 폴리비닐알콜계 수지(구체적으로는, 폴리아세트산비닐의 완전 또는 부분 비누화물) 및 전술한 변성 폴리비닐알콜계 수지를 모두 포함하는 것이어도 좋다. The adhesive may contain two or more types of the modified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described above, and an unmodified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specifically, a complete or partially saponified product of polyvinyl acetate) and the aforementioned modified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All polyvinyl alcohol-based resins may be included.

접착제를 구성하는 폴리비닐알콜계 수지는, 시판품 중에서 적절하게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예컨대, 높은 비누화도를 갖는 폴리비닐알콜이며, (주)쿠라레에서 판매하고 있는 “PVA-117H”나, 일본합성화학공업(주)에서 판매하고 있는 “고세놀 NH-20”, 아세토아세틸기 변성된 폴리비닐알콜이며 일본합성화학공업(주)으로부터 판매하고 있는 “고세파이마 Z”시리즈, 음이온 변성된 폴리비닐알콜이며 (주)쿠라레에서 판매하고 있는 “KL-318” 및 “KM-118”이나, 일본합성화학공업(주)에서 판매하고 있는 “고세날 T-330”, 양이온 변성된 폴리비닐알콜이며 (주)쿠라레에서 판매하고 있는 “CM-318”나, 일본합성화학공업(주)에서 판매하고 있는 “고세파이마 K-210” 등을 들 수 있다. The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constituting the adhesive can be appropriately selected from commercially available products. Specifically, for example, "PVA-117H" sold by Kuraray Co., Ltd., which is polyvinyl alcohol having a high degree of saponification, and "Gosenol NH-20" sold by Nippon Synthetic Chemical Co., Ltd. , acetoacetyl group-modified polyvinyl alcohol, “Gosepaima Z” series sold by Nippon Synthetic Chemical Industry Co., Ltd., and “KL-318” anion-modified polyvinyl alcohol sold by Kuraray Co., Ltd. and “KM-118”, “Kosenal T-330” sold by Nippon Synthetic Chemical Industry Co., Ltd., “CM-318” sold by Kuraray, which is cation-modified polyvinyl alcohol, "Gose Paima K-210" sold by Nippon Synthetic Chemical Industry Co., Ltd. is mentioned.

접착제에서의 폴리비닐알콜계 수지의 농도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수용액의 형태로 이용하기 때문에, 물 100 질량부에 대하여, 폴리비닐알콜계 수지가 1 질량부 이상 20 질량부 이하의 범위 내가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 중에서도 1 질량부 이상 15 질량부 이하, 나아가 1 질량부 이상 10 질량부 이하, 특히 2 질량부 이상 10 질량부 이하의 범위 내가 되도록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수용액에서의 폴리비닐알콜계 수지의 농도가 지나치게 작으면 접착성이 저하되기 쉬운 경향이 있고, 한편 그 농도가 지나치게 크면 얻어지는 편광판의 광학 특성이 저하되기 쉬운 경향이 있다. 이 접착제에 이용되는 물은, 순수, 초순수, 수도물 등일 수 있고,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형성되는 접착제의 균일성 및 투명성을 유지하는 관점에서는, 순수 또는 초순수가 바람직하다. 또한, 메탄올이나 에탄올 등의 알콜을 접착제 수용액에 가할 수도 있다. The concentration of the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in the adhesive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since it is used in the form of an aqueous solution, the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is in the range of 1 to 20 parts by mass relative to 100 parts by mass of water. Among them, it is more preferable to be in the range of 1 mass part or more and 15 mass parts or less, further 1 mass part or more and 10 mass parts or less, and especially 2 mass parts or more and 10 mass parts or less. When the concentration of the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in the aqueous solution is too small, the adhesiveness tends to be lowered. On the other hand, when the concentration is too large,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resulting polarizing plate tend to be easily lowered. The water used for this adhesive may be pure water, ultrapure water, tap water, etc., and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pure water or ultrapure water is preferable from the viewpoint of maintaining the uniformity and transparency of the adhesive to be formed. Also, alcohol such as methanol or ethanol may be added to the aqueous adhesive solution.

폴리비닐알콜계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수계 접착제에는 가교제를 함유시킬 수 있다. 가교제는, 폴리비닐알콜계 수지에 대하여 반응성을 갖는 작용기를 갖는 화합물이면 되며, 종래부터 폴리비닐알콜계 접착제에서 이용되고 있는 것을 특별한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다. 가교제가 될 수 있는 화합물을 작용기별로 들면, 이소시아네이트기(-NCO)를 분자 내에 적어도 2개 갖는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에폭시기(가교의 -O-)를 분자 내에 적어도 2개 갖는 에폭시 화합물; 모노- 또는 디-알데히드류; 유기 티탄 화합물; 마그네슘, 칼슘, 철, 니켈, 아연 및 알루미늄과 같은 2가 또는 3가 금속의 무기염; 글리옥실산의 금속염; 메틸올멜라민 등이 있다. A water-based adhesive containing a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as a main component may contain a crosslinking agent. The crosslinking agent may be a compound having a functional group having reactivity with respect to the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and those conventionally used in polyvinyl alcohol-based adhesives may be used without any particular limitation. Examples of compounds that can serve as crosslinking agents include isocyanate compounds having at least two isocyanate groups (-NCO) in the molecule; Epoxy compound which has at least 2 epoxy groups (crosslinked -O-) in a molecule|numerator; mono- or di-aldehydes; organic titanium compounds; inorganic salts of divalent or trivalent metals such as magnesium, calcium, iron, nickel, zinc and aluminum; metal salts of glyoxylic acid; methylolmelamine and the like.

가교제가 되는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의 구체예로는, 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수소화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과 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의 어덕트체, 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트리페닐메탄트리이소시아네이트,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 이들의 케토옥심 블록물 또는 페놀 블록물 등을 들 수 있다. As a specific example of the isocyanate compound used as a crosslinking agent, tolylene diisocyanate, hydrogenated tolylene diisocyanate, the adduct body of trimethylol propane and tolylene diisocyanate, diphenylmethane diisocyanate, triphenylmethane triisocyanate, isophorone diisocyanate, these of ketoxime block products or phenol block products, and the like.

가교제가 되는 에폭시 화합물의 구체예로는, 에틸렌글리콜디글리시딜에테르, 폴리에틸렌글리콜디글리시딜에테르, 글리세린의 디- 또는 트리-글리시딜에테르, 1,6-헥산디올디글리시딜에테르,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글리시딜에테르, 디글리시딜아닐린, 디글리시딜아민, 폴리알킬렌폴리아민과 디카르복실산의 반응물인 폴리아미드폴리아민에 에피클로로히드린을 반응시켜 얻어지는 수용성의 폴리아미드에폭시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Specific examples of the epoxy compound used as the crosslinking agent include ethylene glycol diglycidyl ether, polyethylene glycol diglycidyl ether, di- or tri-glycidyl ether of glycerin, and 1,6-hexanediol diglycidyl ether. Water-soluble polyamide epoxy obtained by reacting epichlorohydrin with trimethylolpropane triglycidyl ether, diglycidyl aniline, diglycidylamine, polyamide polyamine, which is a reaction product of polyalkylene polyamine and dicarboxylic acid resin etc. are mentioned.

가교제가 되는 모노알데히드류의 구체예로는, 포름알데히드, 아세트알데히드, 프로피온알데히드, 부틸알데히드 등을 들 수 있고, 디알데히드류의 구체예로는, 글리옥살, 말론디알데히드, 숙신디알데히드, 글루탈디알데히드, 말레인디알데히드, 프탈디알데히드 등을 들 수 있다. Specific examples of monoaldehydes serving as crosslinking agents include formaldehyde, acetaldehyde, propionaldehyde, butyraldehyde, and the like. Specific examples of dialdehydes include glyoxal, malondialdehyde, succindialdehyde, and glue. Thaldialdehyde, maleindialdehyde, phthaldialdehyde, etc. are mentioned.

가교제가 되는 유기 티탄 화합물은, 마쯔모트 파인케미커(주)에서 각종의 것을 판매하고 있다. 마쯔모트 파인케미커(주)의 유기 티탄 화합물에 관한 홈페이지(인터넷<URL: http://www.m-chem.co.jp/products/products1.html>, 2010년 11월 18일 검색)로부터, 본 발명에 적합하게 이용되는 수용성 유기 티탄 화합물을, 그 시성식, 마쯔모트 파인케미커(주)가 말하는 화학명, 마쯔모트 파인케미커(주)의 상품명의 순으로 들면, 다음과 같은 것이 있다. As for the organotitanium compound used as a crosslinking agent, various things are sold by Matsumoto Fine Chemicals. From the homepage (Internet <URL: http://www.m-chem.co.jp/products/products1.html>, searched on November 18, 2010) about the organic titanium compound of Matsumoto Fine Chemical Co., Ltd. , The water-soluble organic titanium compound suitably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given in the order of its canonization formula, the chemical name of Matsumoto Fine Chemical Co., Ltd., and the trade name of Matsumoto Fine Chemical Co., Ltd., as follows.

[(CH3)2CHO]2Ti[OCH2CH2N(CH2CH2OH)2]2 : 마쯔모트 파인케미커(주)가 말하는 화학명 「티탄디이소프로폭시비스(트리에탄올아미네이트)」, 마쯔모트 파인케미커(주)의 상품명 “올가틱스 TC-400”, [(CH 3 ) 2 CHO] 2 Ti[OCH 2 CH 2 N(CH 2 CH 2 OH) 2 ] 2 : Chemical name “Titandiisopropoxybis(triethanolaminate)” by Matsumoto Fine Chemicals Co., Ltd. ”, the brand name of Matsumoto Fine Chemicals Co., Ltd. “Orgatics TC-400”,

(HO)2Ti[OCH(CH3)COO-]2(NH44 +)2 : 마쯔모트 파인케미커(주)가 말하는 화학명 「티탄락테이트암모늄염」, 마쯔모트 파인케미커(주)의 상품명 “올가틱스 TC-300”, (HO) 2 Ti[OCH(CH 3 )COO-] 2 (NH4 4 + ) 2 : Chemical name “Titan Lactate Ammonium Salt” spoken by Matsumoto Fine Chemicals Co., Ltd., brand name of Matsumoto Fine Chemicals Co., Ltd. “Orgatics TC-300”,

(HO)2Ti[OCH(CH3)COOH]2 : 마쯔모트 파인케미커(주)가 말하는 화학명 「티탄락테이트」, 마쯔모트 파인케미커(주)의 상품명 “올가틱스 TC-310” 및 “올가틱스 TC-315”.(HO) 2 Ti[OCH(CH 3 )COOH] 2 : Chemical name “Titan Lactate” by Matsumoto Fine Chemicals Co., Ltd., trade name “Orgatics TC-310” by Matsumoto Fine Chemicals Co., Ltd. “Orgatics TC-315”.

또한, 글리옥실산의 금속염은, 알칼리 금속염 또는 알칼리 토금속염인 것이 바람직하고, 예컨대, 글리옥실산나트륨, 글리옥실산칼륨, 글리옥실산마그네슘, 글리옥실산칼슘 등을 들 수 있다. The metal salt of glyoxylic acid is preferably an alkali metal salt or an alkaline earth metal salt, and examples thereof include sodium glyoxylate, potassium glyoxylate, magnesium glyoxylate, calcium glyoxylate, and the like.

이들 가교제 중에서도, 전술한 수용성의 폴리아미드에폭시 수지를 비롯한 에폭시 화합물이나, 알데히드류, 메틸올멜라민, 글리옥실산의 알칼리 금속 또는 알칼리 토금속염 등이 적합하게 이용된다. Among these crosslinking agents, epoxy compounds including the above-mentioned water-soluble polyamide epoxy resin, aldehydes, methylolmelamine, alkali metals or alkaline earth metal salts of glyoxylic acid, etc. are preferably used.

가교제는, 폴리비닐알콜계 수지와 함께 물에 용해되어 접착제를 형성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 이하에 설명하는 바와 같이, 수용액 중에서의 가교제량은 소량이면 되기 때문에, 물에 대하여 예컨대, 적어도 0.1 질량% 정도의 용해도를 갖는 것이라면 가교제로서 사용할 수 있다. 물론, 일반적으로 수용성이라고 불릴 정도의 물에 대한 용해도를 갖는 화합물이, 본 발명에 이용하는 가교제로서는 적합하다. The crosslinking agent is preferably dissolved in water together with the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to form an adhesive. However, as described below, since the amount of the crosslinking agent in the aqueous solution may be small, any crosslinking agent having a solubility of, for example, at least about 0.1 mass% in water can be used as the crosslinking agent. Of course, a compound having solubility in water to such a degree that it is generally called water-soluble is suitable as the crosslinking agent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가교제의 배합량은, 폴리비닐알콜계 수지의 종류 등에 따라서 적절하게 설계되는 것이지만, 폴리비닐알콜계 수지 100 질량부에 대하여, 통상 5 질량부 이상 60 질량부 이하, 바람직하게는 10 질량부 이상 50 질량부 이하이다. 이 범위에서 가교제를 배합하면 양호한 접착성이 얻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접착제의 내구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아세토아세틸기 변성된 폴리비닐알콜계 수지가 바람직하게 이용되지만, 이 경우에도, 폴리비닐알콜계 수지 100 질량부에 대하여, 가교제를 5∼60 질량부, 나아가 10 질량부 이상 50 질량부 이하의 비율로 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교제의 배합량이 지나치게 많아지면, 가교제의 반응이 단시간에 진행되고, 접착제가 조기에 겔화하는 경향이 있어, 그 결과, 포트라이프가 극단적으로 짧아져 공업적인 사용이 어려워진다. The mixing amount of the crosslinking agent is appropriately designed according to the type of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etc., but is usually 5 parts by mass or more and 60 parts by mass or less, preferably 10 parts by mass or more and 50 parts by mass with respect to 100 parts by mass of the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less than wealth When a crosslinking agent is mix|blended in this range, favorable adhesiveness will be obtained. As described above, in order to improve the durability of the adhesive, an acetoacetyl group-modified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is preferably used, but even in this case, 5 to 60 parts by mass of a crosslinking agent per 100 parts by mass of the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It is preferable to mix|blend in the ratio of 10 mass parts or more and 50 mass parts or less. When the blending amount of the crosslinking agent is excessively large, the reaction of the crosslinking agent proceeds in a short time, and the adhesive tends to gel at an early stage. As a result, the pot life becomes extremely short, making industrial use difficult.

폴리비닐알콜계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수계 접착제는, 가교제와는 별도로, 변색 억제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아연염을 함유할 수 있다. 아연염으로는, 예컨대 염화아연, 요오드화아연 등의 할로겐화아연이나, 황산아연, 아세트산아연, 질산아연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바람직하게는 질산아연이다. 아연염은, 아연염 용액으로서 폴리비닐알콜계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수계 접착제에 첨가할 수 있다. The water-based adhesive having a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as a main component may preferably contain a zinc salt from the viewpoint of suppressing discoloration apart from the crosslinking agent. Examples of the zinc salt include zinc halides such as zinc chloride and zinc iodide, zinc sulfate, zinc acetate, and zinc nitrate. Among them, zinc nitrate is preferable. A zinc salt can be added to the water-based adhesive agent which has a polyvinyl alcohol-type resin as a main component as a zinc salt solution.

폴리비닐알콜계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수계 접착제가 아연염을 함유하는 경우, 아연염의 함유량은, 물 100 질량부에 대하여, 예컨대 0.01 질량부 이상 10 질량부 이하이면 되고, 접착제의 내구성을 확보하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0.1 질량부 이상 5 질량부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5 질량부 이상 2.5 질량부 이하이다. When the water-based adhesive having a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as a main component contains a zinc salt, the content of the zinc salt is, for example, 0.01 parts by mass or more and 10 parts by mass or less, based on 100 parts by mass of water, from a viewpoint of ensuring durability of the adhesive. Preferably it is 0.1 mass part or more and 5 mass parts or less, More preferably, it is 0.5 mass part or more and 2.5 mass parts or less.

접착제에는, 본 발명의 효과를 저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예컨대, 실란 커플링제, 가소제, 대전 방지제, 미립자 등 종래 공지의 적절한 첨가제를 배합할 수도 있다. The adhesive may contain, for example, a conventionally known appropriate additive such as a silane coupling agent, a plasticizer, an antistatic agent, and fine particles within a range that does not impair 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수계 접착제의 주성분으로서 우레탄 수지를 이용하는 경우, 적당한 접착제의 예로서, 폴리에스테르계 아이오노머형 우레탄 수지와 글리시딜옥시기를 갖는 화합물의 혼합물을 들 수 있다. 여기서 말하는 폴리에스테르계 아이오노머형 우레탄 수지는, 폴리에스테르 골격을 갖는 우레탄 수지이며, 그 중에 소량의 이온성 성분(친수 성분)이 도입된 것이다. 이러한 아이오노머형 우레탄 수지는, 유화제를 사용하지 않고 직접 수중에서 유화하여 에멀젼이 되므로, 수계 접착제에 적합하게 이용된다. 폴리에스테르계 아이오노머형 우레탄 수지를 편광 필름과 보호 필름의 접착제에 이용하는 것은, 예컨대, 일본 특허 공개 2005-070140호 공보, 일본 특허 제4432487호 공보 및 일본 특허 공개 2005-208456호 공보에 기재되어 공지되어 있다. When a urethane resin is used as the main component of the water-based adhesive, as an example of a suitable adhesive, a mixture of a polyester-based ionomer-type urethane resin and a compound having a glycidyloxy group is exemplified. The polyester-based ionomer type urethane resin referred to herein is a urethane resin having a polyester skeleton, and a small amount of an ionic component (hydrophilic component) is introduced therein. Since such an ionomer type urethane resin is emulsified in water directly without using an emulsifier and becomes an emulsion, it is used suitably for a water-based adhesive agent. The use of a polyester-based ionomer type urethane resin for an adhesive for a polarizing film and a protective film is disclosed and known in, for example, Japanese Patent Laid-Open Nos. 2005-070140, 4432487, and 2005-208456. has been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접착제로는, 예컨대 자외선 경화성 접착제 등을 들 수 있다. As an active energy ray-curable adhesive agent, an ultraviolet curable adhesive agent etc. are mentioned, for example.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는, 라디칼 중합성의 (메트)아크릴계 화합물과 광라디칼 중합 개시제의 혼합물이나, 양이온 중합성의 에폭시 화합물과 광양이온 중합 개시제의 혼합물 등일 수 있다. 또한, 양이온 중합성의 에폭시 화합물과 라디칼 중합성의 (메트)아크릴계 화합물을 병용하고, 개시제로서 광양이온 중합 개시제와 광라디칼 중합 개시제를 병용할 수도 있다. The ultraviolet curing adhesive may be a mixture of a radically polymerizable (meth)acrylic compound and a photoradical polymerization initiator, a mixture of a cationically polymerizable epoxy compound and a photocationic polymerization initiator, or the like. Moreover, a cationically polymerizable epoxy compound and a radically polymerizable (meth)acrylic-type compound can be used together, and a photocationic polymerization initiator and a photoradical polymerization initiator can also be used together as an initiator.

편광자의 양측에 열가소성 수지 필름을 접합하는 경우, 접착제는 동종이어도 좋고 이종이어도 좋다. 예컨대, 편광자의 양측에 열가소성 수지 필름을 접합하는 경우, 한쪽은 수계 접착제를 이용하여 접합하고, 다른쪽은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접착제를 이용하여 접합해도 좋다. When bonding a thermoplastic resin film to both sides of a polarizer, the same type or different types may be sufficient as an adhesive agent. For example, when bonding a thermoplastic resin film to both sides of a polarizer, one side may be bonded using a water-based adhesive agent, and the other side may be bonded using an active energy ray-curable adhesive agent.

편광판 중의 접착제의 두께는, 예컨대 0.001 ㎛ 이상 10 ㎛ 이하이어도 좋고, 밀착성 및 박막화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0.01 ㎛ 이상 5 ㎛ 이하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0.01 ㎛ 이상 3 ㎛ 이하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0.02 ㎛ 이상 2 ㎛ 이하이다. The thickness of the adhesive in the polarizing plate may be, for example, 0.001 µm or more and 10 µm or less, preferably 0.01 µm or more and 5 µm or less from the viewpoint of adhesion and thinning, more preferably 0.01 µm or more and 3 µm or less, still more preferably It is 0.02 micrometer or more and 2 micrometers or less.

[점착제층][Adhesive layer]

편광판은, 투광성 부재 및 화상 표시 소자와의 접합을 위해, 제1 열가소성 수지 필름측 및 제2 열가소성 수지 필름측의 어느 한쪽의 최외면에 점착제층을 갖고 있어도 좋다. 점착제층은, (메트)아크릴계 수지, 고무계 중합체, 우레탄계 수지, 에스테르계 수지, 실리콘계 수지, 폴리비닐에테르계 수지 등의 폴리머를 주성분으로 하는 점착제 조성물로 구성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투명성, 내후성, 내열성 등이 우수한 (메트)아크릴계 수지를 베이스 폴리머로 하는 점착제 조성물이 적합하다. 점착제 조성물은,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열경화형이어도 좋다. A polarizing plate may have an adhesive layer in any one outermost surface of the 1st thermoplastic resin film side and the 2nd thermoplastic resin film side for bonding with a translucent member and an image display element.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can be composed of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mainly containing a polymer such as a (meth)acrylic resin, a rubber-based polymer, a urethane-based resin, an ester-based resin, a silicone-based resin, or a polyvinyl ether-based resin. Especially, the adhesive composition which uses the (meth)acrylic-type resin excellent in transparency, weather resistance, heat resistance, etc. as a base polymer is suitable. An active energy ray hardening type or a thermosetting type may be sufficient as an adhesive composition.

점착제 조성물에 이용되는 (메트)아크릴계 수지(베이스 폴리머)로는, 예컨대, (메트)아크릴산부틸, (메트)아크릴산에틸, (메트)아크릴산이소옥틸, (메트)아크릴산 2-에틸헥실 등의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의 1종 또는 2종 이상을 모노머로 하는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가 적합하게 이용된다. 베이스 폴리머에는 극성 모노머를 공중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극성 모노머로는, (메트)아크릴산, (메트)아크릴산 2-히드록시프로필, (메트)아크릴산히드록시에틸, (메트)아크릴아미드, N,N-디메틸아미노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글리시딜(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카르복실기, 수산기, 아미드기, 아미노기, 에폭시기 등을 갖는 모노머를 들 수 있다. As the (meth)acrylic resin (base polymer) used in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for example, (meth) butyl acrylate, (meth) ethyl acrylate, (meth) acrylate isooctyl, (meth) acrylate 2-ethylhexyl (meth) The polymer or copolymer which uses 1 type(s) or 2 or more types of acrylic acid ester as a monomer is used suitably. It is preferable to copolymerize a polar monomer with a base polymer. As the polar monomer, (meth)acrylic acid, (meth)acrylic acid 2-hydroxypropyl, (meth)acrylic acid hydroxyethyl, (meth)acrylamide, N,N-dimethylaminoethyl (meth)acrylate, glycidyl The monomer which has carboxyl groups, such as (meth)acrylate, a hydroxyl group, an amide group, an amino group, an epoxy group, etc. are mentioned.

점착제 조성물은, 상기 베이스 폴리머만을 포함하는 것이어도 좋지만, 통상은 가교제를 더 함유한다. 가교제로는, 카르복실기와의 사이에서 카르복실산금속염을 형성하는 2가 이상의 금속 이온; 카르복실기와의 사이에서 아미드 결합을 형성하는 폴리아민 화합물; 카르복실기와의 사이에서 에스테르 결합을 형성하는 폴리에폭시 화합물이나 폴리올; 카르복실기와의 사이에서 아미드 결합을 형성하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이 예시된다. 그 중에서도,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Although the adhesive composition may contain only the said base polymer, normally, it further contains a crosslinking agent. Examples of the crosslinking agent include: divalent or higher metal ions that form carboxylate metal salts between carboxyl groups; a polyamine compound which forms an amide bond between a carboxyl group; a polyepoxy compound or polyol which forms an ester bond between a carboxyl group; The polyisocyanate compound which forms an amide bond between a carboxyl group is illustrated. Especially, a polyisocyanate compound is preferable.

점착제층의 형성은, 톨루엔이나 아세트산에틸 등의 유기 용제에 점착제 조성물을 용해 또는 분산시켜 점착제액을 조제하고, 이것을 적층체의 대상면에 직접 도공하여 점착제층을 형성하는 방식이나, 이형 처리된 세퍼레이트 필름 상에 점착제층을 시트형으로 형성해 두고, 그것을 편광판의 대상면에 이착(移着)하는 방식 등에 의해 행할 수 있다.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is formed by dissolving or dispersing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in an organic solvent such as toluene or ethyl acetate to prepare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solution, and coating this directly on the target surface of the laminate to form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or a release-treated separator It can perform by the method etc. which form an adhesive layer on a film in sheet form, and transfer it to the target surface of a polarizing plate.

점착제층의 두께는 그 접착력 등에 따라서 결정되지만, 예컨대 1 ㎛ 이상 50 ㎛ 이하의 범위이어도 좋고, 바람직하게는 2 ㎛ 이상 40 ㎛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3 ㎛ 이상 30 ㎛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3 ㎛ 이상 25 ㎛ 이하이다. Although the thickness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is determined depending on the adhesive strength thereof, for example, it may be in the range of 1 µm or more and 50 µm or less, preferably 2 µm or more and 40 µm or less, more preferably 3 µm or more and 30 µm or less, still more preferably 3 micrometer or more and 25 micrometers or less.

편광판은 상기 세퍼레이트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세퍼레이트 필름은, 폴리에틸렌 등의 폴리에틸렌계 수지, 폴리프로필렌 등의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등으로 이루어진 필름일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의 연신 필름이 바람직하다. The polarizing plate may include the separate film. The separator film may be a film made of a polyethylene-based resin such as polyethylene, a polypropylene-based resin such as polypropylene, or a polyester-based resin such as polyethylene terephthalate. Especially, the stretched film of polyethylene terephthalate is preferable.

점착제층은, 임의 성분, 유리 섬유, 유리 비드, 수지 비드, 금속분이나 다른 무기 분말로 이루어진 충전제; 안료; 착색제; 산화 방지제; 자외선 흡수제; 대전 방지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may include optional components, glass fibers, glass beads, resin beads, fillers made of metal powder or other inorganic powders; pigment; coloring agent; antioxidants; UV absorbers; Antistatic agents and the like may be included.

[광학 기능층][Optical functional layer]

광학 기능층은, 원하는 광학 기능을 부여하기 위한, 편광자 이외의 다른 광학 기능성 필름이어도 좋다. 광학 기능성 필름의 적합한 일례는 위상차 필름이다. 위상차 필름으로는, 예컨대 λ/2의 위상차를 부여하는 필름(λ/2 파장판), λ/4의 위상차를 부여하는 필름(λ/4 파장판) 및 포지티브 C 플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광학 기능성 필름은, 배향층 및 기재를 포함하고 있어도 좋고, 액정층, 배향층 및 기재를 각각 2 이상 갖고 있어도 좋다. The optical function layer may be an optical functional film other than a polarizer for providing a desired optical function. A suitable example of the optically functional film is a retardation film. Examples of the retardation film include a film imparting a retardation of λ/2 (λ/2 wave plate), a film imparting a retardation of λ/4 (λ/4 wave plate), and a positive C plate. The optical functional film may contain the orientation layer and the base material, and may have each two or more of a liquid crystal layer, an orientation layer, and a base material.

열가소성 수지 필름이 위상차 필름을 겸할 수도 있지만, 이들 필름과는 별도로 위상차 필름을 적층할 수 있다. Although the thermoplastic resin film may also serve as retardation film, retardation film can be laminated|stacked separately from these films.

위상차 필름으로는, 투광성을 갖는 열가소성 수지의 연신 필름으로 구성되는 복굴절성 필름; 디스코틱 액정 또는 네마틱 액정이 배향 고정된 필름; 기재 필름 상에 상기 액정층이 형성된 것 등을 들 수 있다. As retardation film, the birefringent film comprised from the stretched film of the thermoplastic resin which has translucency; a film in which a discotic liquid crystal or a nematic liquid crystal is aligned; Those in which the said liquid crystal layer was formed on the base film, etc. are mentioned.

기재 필름은 통상,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진 필름이며, 열가소성 수지의 일례는,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등의 셀룰로오스에스테르계 수지이다. A base film is a film which consists of a thermoplastic resin normally, and an example of a thermoplastic resin is cellulose ester-type resin, such as a triacetyl cellulose.

편광판에 포함될 수 있는 다른 광학 기능성 필름(광학 부재)의 예는, 집광판, 휘도 향상 필름, 반사층(반사 필름), 반투과 반사층(반투과 반사 필름), 광확산층(광확산 필름) 등이다. 이들은 일반적으로, 편광판이 액정 셀의 배면측(백라이트측)에 배치되는 경우에 형성된다. Examples of other optically functional films (optical members) that may be included in the polarizing plate are a light collecting plate, a brightness enhancing film, a reflective layer (reflective film), a transflective layer (semitransmissive reflective film), a light diffusing layer (light diffusing film), and the like. These are generally formed when the polarizing plate is disposed on the back side (backlight side) of the liquid crystal cell.

[프로텍트 필름][Protection Film]

편광판은, 그 표면(전형적으로는, 편광판의 열가소성 수지 필름의 표면)을 보호하기 위한 프로텍트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텍트 필름은, 예컨대 화상 표시 소자나 다른 광학 부재에 편광판이 접합된 후, 그것이 갖는 점착제층마다 박리 제거된다. The polarizing plate may include a protection film for protecting the surface (typically, the surface of the thermoplastic resin film of the polarizing plate). After a polarizing plate is bonded to an image display element or another optical member, for example, a protection film peels and removes for every adhesive layer which it has.

프로텍트 필름은, 예컨대, 기재 필름과 그 위에 적층되는 점착제층으로 구성된다. 점착제층에 관해서는 전술한 설명이 인용된다. 기재 필름을 구성하는 수지는, 예컨대, 폴리에틸렌과 같은 폴리에틸렌계 수지, 폴리프로필렌 등의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나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등의 열가소성 수지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계 수지이다. The protection film is composed of, for example, a base film and an adhesive layer laminated thereon. Regarding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the above description is cited. The resin constituting the base film may be, for example, a polyethylene-based resin such as polyethylene, a polypropylene-based resin such as polypropylene, a polyester-based resin such as polyethylene terephthalate or polyethylene naphthalate, or a thermoplastic resin such as a polycarbonate-based resin. have. Preferably, it is polyester-type resin, such as a polyethylene terephthalate.

프로텍트 필름의 두께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20 ㎛ 이상 200 ㎛ 이하의 범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재 필름의 두께가 20 ㎛ 이상이면, 편광판에 강도가 부여되기 쉬워지는 경향이 있다. Although it does not specifically limit as thickness of a protection film, It is preferable to set it as the range of 20 micrometers or more and 200 micrometers or less. When the thickness of a base film is 20 micrometers or more, there exists a tendency for intensity|strength to become easy to be provided to a polarizing plate.

<편광판의 제조 방법> <Method for producing a polarizing plate>

본 발명의 다른 한 양태에 따른 편광판의 제조 방법은, 편광자와, 그의 한쪽에 접착제를 통해 접합된 제1 열가소성 수지 필름을 구비하는 편광판의 제조 방법이다. 편광판의 제조 방법은, 전술한 편광자 제조 공정을 포함할 수 있다. 편광판의 제조 방법은, 전술한 범위 내의 단체 색상 b값 및 파장 700 nm에서의 흡광도를 얻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폴리비닐알콜계 수지 필름을 물로 세정하는 세정 공정으로서, 22℃를 넘는 온도의 세정액으로는 세정하지 않는 세정 공정 및 폴리비닐알콜계 수지 필름을 96℃ 이상의 온도에서 건조시키는 건조 공정의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polarizing plate which concerns on another aspect of this invention is a manufacturing method of a polarizing plate provided with the 1st thermoplastic resin film joined to the polarizer and the 1st through the adhesive agent. The manufacturing method of a polarizing plate may include the above-mentioned polarizer manufacturing process.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polarizing plate is a washing process of preferably washing the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film with water from the viewpoint of obtaining a single color b value and absorbance at a wavelength of 700 nm within the above-mentioned range, with a washing solution having a temperature exceeding 22 ° C. includes at least one of a washing process without washing and a drying process of drying the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film at a temperature of 96° C. or higher.

편광자의 제조 방법은, 제1 열가소성 수지 필름을 접착제를 통해 편광자의 한쪽에 접합하고, 접착제를 85℃ 이상의 온도에서 건조시키는 접합 공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접합 공정에서, 접착제를 편광자 및 제1 열가소성 수지 필름의 접합면의 어느 한쪽 또는 그 양쪽에 도공하고, 여기에 다른 한쪽의 접합면을 적층하고, 예컨대 접합 롤 등을 이용하여 상하로부터 압박하여 접합할 수 있다. 접착제의 도공에는, 예컨대, 닥터블레이드, 와이어바, 다이코터, 콤마코터, 그라비아코터 등 여러가지 도공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편광자 및 제1 열가소성 수지 필름을 양자의 접합면이 내측이 되도록 연속적으로 공급하면서, 그 사이에 접착제를 유연(流延)시키는 방식이어도 좋다.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polarizer may further include a bonding step of bonding the first thermoplastic resin film to one side of the polarizer through an adhesive, and drying the adhesive at a temperature of 85° C. or higher. In the bonding step, an adhesive is applied to either or both of the bonding surfaces of the polarizer and the first thermoplastic resin film, and the other bonding surface is laminated thereto, for example, by pressing from the top and bottom using a bonding roll or the like to bond. can Various coating methods, such as a doctor blade, a wire bar, a die coater, a comma coater, a gravure coater, can be used for coating of an adhesive agent, for example. Moreover, the method of casting an adhesive agent in between may be sufficient, supplying a polarizer and a 1st thermoplastic resin film continuously so that both bonding surfaces may become inside.

편광자와 제1 열가소성 수지 필름을 접합한 후, 편광자와 접착제와 제1 열가소성 수지 필름을 포함하는 적층체에 대하여 가열 처리를 하는 것에 의해, 접착제를 건조시킬 수 있다. 용매의 증발, 경화, 가교는 상이한 온도에서 반응이 진행되기 때문에, 서서히 높아지도록 연속적 또는 다단계로 가열 처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열 처리의 온도는, 전술한 범위 내의 단체 색상 b값 및 파장 700 nm에서의 흡광도를 얻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85℃ 이상에서 처리되는 처리를 포함하는 것이다. 접착제를 건조시키는 가열 처리의 온도의 상한은, 통상 100℃ 이하이며, 바람직하게는 90℃ 이하이다. 가열 처리에 의해 접착제에 포함되는 용제를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접착제가 경화성 접착제인 경우에는, 상기 가열 처리에 의해 경화·가교 반응을 진행시킬 수 있다. After bonding a polarizer and a 1st thermoplastic resin film, an adhesive agent can be dried by heat-processing with respect to the laminated body containing a polarizer, an adhesive agent, and a 1st thermoplastic resin film. Since the evaporation, curing, and crosslinking of the solvent proceed at different temperatures, it is preferable to heat treatment continuously or in multiple steps to gradually increase the temperature. The temperature of the heat treatment preferably includes treatment at 85° C. or higher from the viewpoint of obtaining a single color b value within the above range and absorbance at a wavelength of 700 nm. The upper limit of the temperature of the heat treatment for drying the adhesive is usually 100°C or less, and preferably 90°C or less. The solvent contained in the adhesive agent can be removed by heat processing. Moreover, when an adhesive agent is a curable adhesive agent, hardening and a crosslinking reaction can advance by the said heat processing.

접착제로서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접착제를 이용하는 경우, 접합후 활성 에너지선을 조사함으로써 접착제를 경화시킬 수 있다. 활성 에너지선의 광원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파장 400 nm 이하에 발광 분포를 갖는 활성 에너지선(자외선)이 바람직하고, 구체적으로는, 저압 수은등, 중압 수은등, 고압 수은등, 초고압 수은등, 케미컬 램프, 블랙라이트 램프, 마이크로웨이브 여기 수은등, 메탈할라이드 램프 등이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When using an active energy ray-curable adhesive agent as an adhesive agent, the adhesive agent can be hardened by irradiating an active energy ray after bonding. Although the light source of the active energy ray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 active energy ray (ultraviolet ray) having a light emission distribution at a wavelength of 400 nm or less is preferable, and specifically, a low pressure mercury lamp, a medium pressure mercury lamp, a high pressure mercury lamp, an ultra high pressure mercury lamp, a chemical lamp, a black light A lamp, a microwave excited mercury lamp, a metal halide lamp, etc. are used preferably.

편광자와 열가소성 수지 필름의 접착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편광자와 열가소성 수지 필름의 접합에 앞서, 편광자 및/또는 열가소성 수지 필름의 접합면에, 코로나 처리, 화염 처리, 플라즈마 처리, 자외선 조사 처리, 프라이머 도포 처리, 비누화 처리 등의 표면 처리를 해도 좋다. In order to improve the adhesion between the polarizer and the thermoplastic resin film, prior to bonding the polarizer and the thermoplastic resin film, corona treatment, flame treatment, plasma treatment, ultraviolet irradiation treatment, primer application to the bonding surface of the polarizer and/or the thermoplastic resin film You may perform surface treatment, such as a treatment and a saponification process.

편광판이 제2 열가소성 수지 필름을 구비하는 경우, 편광자와 제2 열가소성 수지 필름의 접합은, 편광자와 제1 열가소성 수지 필름의 접합과 동일하게 하여 행할 수 있다. 편광자와 제2 열가소성 수지 필름의 접합은, 편광자와 제1 열가소성 수지 필름의 접합의 전 또는 후에 행해도 좋고, 편광자와 제1 열가소성 수지 필름의 접합과 동시에 행해도 좋다. When a polarizing plate is equipped with a 2nd thermoplastic resin film, bonding of a polarizer and a 2nd thermoplastic resin film can be carried out similarly to bonding of a polarizer and a 1st thermoplastic resin film, and can be performed. Bonding of a polarizer and a 2nd thermoplastic resin film may be performed before or after bonding of a polarizer and a 1st thermoplastic resin film, and may be performed simultaneously with bonding of a polarizer and a 1st thermoplastic resin film.

<편광판의 용도> <Use of Polarizer>

편광판은, 텔레비젼, 퍼스널 컴퓨터, 휴대전화나 태블릿 단말 등의 모바일 기기 용도에 이용할 수 있다. 또한, 편광판은, 고온(105℃) 및 장시간(600시간 이상)의 내구 시험후에도 변색이 억제되기 때문에, 보다 가혹한 온도 조건하에 노출되기 쉬운 차재 용도에 적합하다. 차재 용도로는, 예컨대, 카 내비게이션 장치, 스피드미터, 에어컨용 터치패널, 백모니터 및 리어모니터 등에 이용하는 화상 표시 장치 등을 들 수 있다. A polarizing plate can be used for mobile device uses, such as a television, a personal computer, a mobile phone, and a tablet terminal. Moreover, since discoloration is suppressed even after a high temperature (105 degreeC) and long-time (600 hours or more) durability test of a polarizing plate, it is suitable for the vehicle-mounted use which is easy to be exposed under more severe temperature conditions. As an in-vehicle application, the image display apparatus etc. used for a car navigation device, a speedometer, the touch panel for air conditioners, a back monitor, a rear monitor, etc. are mentioned, for example.

[실시예][Example]

이하,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예 중의 「%」 및 「부」는, 특별한 기재가 없는 한 질량% 및 질량부이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y way of Examples. "%" and "part" in the examples are mass% and parts by mass, unless otherwise specified.

[제조예 1: 수계 접착제(1)의 조제][Production Example 1: Preparation of water-based adhesive (1)]

아세토아세틸기 변성 폴리비닐알콜〔상품명“고세파이마 Z-200”, 일본합성화학공업(주) 제조, 4% 수용액의 점도 = 12.4 mPa·sec, 비누화도 = 99.1 몰%〕을 순수에 용해하여, 10% 농도의 수용액을 조제했다. 얻어진 아세토아세틸기 변성 폴리비닐알콜 수용액과, 가교제가 되는 글리옥실산나트륨을, 수용액:글리옥실산나트륨의 고형분 질량비가 1:0.1이 되도록 혼합했다. 또한 물 100부에 대하여 질산아연이 1.5부, 아세토아세틸기 변성 폴리비닐알콜이 2.5부가 되도록 질산아연 및 순수를 첨가하여, 수계 접착제 조성물(1)을 조제했다. Acetoacetyl group-modified polyvinyl alcohol [trade name “Gosepaima Z-200”, manufactured by Nippon Synthetic Chemical Co., Ltd., viscosity of 4% aqueous solution = 12.4 mPa sec, degree of saponification = 99.1 mol%] was dissolved in pure water, , an aqueous solution having a concentration of 10% was prepared. The obtained aqueous solution of acetoacetyl group-modified polyvinyl alcohol and sodium glyoxylate used as a crosslinking agent were mixed so that the solid content mass ratio of aqueous solution: sodium glyoxylate was 1:0.1. Further, zinc nitrate and pure water were added so that 1.5 parts of zinc nitrate and 2.5 parts of acetoacetyl group-modified polyvinyl alcohol were contained with respect to 100 parts of water to prepare an aqueous adhesive composition (1).

<실시예 1> <Example 1>

폭 3390 mm 및 두께 60 ㎛의 장척의 폴리비닐알콜(PVA) 원단 필름(쿠라레사 제조의 상품명 「M6000」, 비누화도 99.9 몰% 이상)을 롤로부터 풀어내면서 연속적으로 반송하고, 28℃의 순수로 이루어진 팽윤욕에 체류 시간 45초간 침지시켰다(팽윤 공정). 그 후, 팽윤욕로부터 인출한 필름을, 요오드화칼륨/물이 1.5/100(질량비)인 요오드를 포함하는 30℃의 염색욕에 체류 시간 120초간 침지시켰다(염색 공정). 이어서, 염색욕로부터 인출한 필름을, 요오드화칼륨/붕산/물이 0.5/0.6/100(질량비)인 30℃의 제1 가교욕에 체류 시간 70초간 침지시키고, 계속해서, 요오드화칼륨/붕산/물이 15/4.9/100(질량비)인 60℃의 제2 가교욕에 체류 시간 50초간 침지시켰다(가교 공정). 그 후 필름을 7℃의 순수로 이루어진 세정욕에 체류 시간 40초간 침지시켰다. 또한, 중앙부의 온도를 5.3℃, 양단측의 온도를 22℃의 수온으로 샤워하는 것에 의해 세정했다(세정 공정). 얻어진 PVA를, 이하의 3단계의 온도 및 시간의 건조 조건(1단계째: 75℃ 15초, 2단계째: 85℃ 15초, 3단계째: 96℃ 15초)으로 연속적으로 건조시켰다(건조 공정). 염색 공정 및 가교 공정에서, 욕 중에서의 롤간 연신에 의해 세로 일축 연신을 행했다. 원단 필름을 기준으로 하는 총연신 배율은 5.8배로 했다. 얻어진 편광자의 두께는 25 ㎛였다. A long polyvinyl alcohol (PVA) raw film with a width of 3390 mm and a thickness of 60 μm (trade name "M6000" manufactured by Kurare Co., Ltd., saponification degree of 99.9 mol% or more) is continuously conveyed while unwinding from the roll, It was immersed in the formed swelling bath for 45 seconds for a residence time (swelling process). Thereafter, the film taken out from the swelling bath was immersed in a dyeing bath at 30°C containing iodine having an iodine in potassium iodide/water of 1.5/100 (mass ratio) for a residence time of 120 seconds (dyeing step). Next, the film taken out from the dyeing bath was immersed in a first crosslinking bath at 30°C where potassium iodide/boric acid/water was 0.5/0.6/100 (mass ratio) for a residence time of 70 seconds, and then potassium iodide/boric acid/water It was immersed in this 15/4.9/100 (mass ratio) 60 degreeC 2nd crosslinking bath for 50 second residence time (crosslinking process). Thereafter, the film was immersed in a washing bath made of pure water at 7° C. for a residence time of 40 seconds. Moreover, it wash|cleaned by showering the temperature of 5.3 degreeC and the temperature of both ends with the water temperature of 22 degreeC for the temperature of the center part (washing process). The obtained PVA was continuously dried (drying) under the drying conditions of the following three steps of temperature and time (1st step: 75°C 15 seconds, 2nd step: 85°C 15 seconds, 3rd step: 96°C 15 seconds) fair). In the dyeing process and the crosslinking process, longitudinal uniaxial stretching was performed by extending|stretching between rolls in a bath. The total draw ratio on the basis of the raw film was 5.8 times. The thickness of the obtained polarizer was 25 micrometers.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편광자에 대하여, 보호 필름으로서 트리세틸셀룰로스로 이루어진 열가소성 수지 필름(상품명 「KC4CT1W」, 코니카미놀타사 제조)을, 수계 접착제 조성물(1)을 통해 접합 온도 70℃에서 접합하고, 이어서, 이하의 3단계의 온도 및 시간의 건조 조건(1단계째: 60℃ 25초, 2단계째: 85℃ 25초, 3단계째: 90℃ 25초)으로 연속적으로 수계 접착제를 건조시켰다(접합 공정). 수계 접착제는, 열가소성 수지 필름의 한쪽 면에 두께 200 nm로 도포했다. 얻어진 편광판에 관해 아연 함유량을 측정한 바 280 ppm였다. 단체 색상 b값 및 파장 700 nm에서의 흡광도의 측정 결과 및 내구 시험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With respect to the polarizer thus obtained, a thermoplastic resin film (trade name "KC4CT1W", manufactured by Konica Minolta Co., Ltd.) made of tricetyl cellulose as a protective film was bonded through an aqueous adhesive composition (1) at a bonding temperature of 70° C., and then, The water-based adhesive was continuously dried under the drying conditions of the following three steps of temperature and time (1st step: 60° C. 25 seconds, 2nd step: 85° C. 25 seconds, 3rd step: 90° C. 25 seconds) (bonding process) ). The water-based adhesive was applied to one side of the thermoplastic resin film at a thickness of 200 nm. It was 280 ppm when zinc content was measured about the obtained polarizing plate. Table 1 shows the measurement results of the single color b value and the absorbance at a wavelength of 700 nm and the durability test results.

<비교예 1> <Comparative Example 1>

실시예 1의 세정 공정에서 양단측의 샤워의 수온을 24℃로 한 것, 건조 공정에서 3단계째의 온도를 93℃로 한 것 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비교예 1의 편광판을 제작했다. 얻어진 편광판에 관해 아연 함유량의 측정한 바 280 ppm였다. 단체 색상 b값 및 파장 700 nm에서의 흡광도의 측정 결과 및 내구 시험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A polarizing plate of Comparative Example 1 was produc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the water temperature of the shower on both ends was 24° C. in the washing process of Example 1, and the temperature of the third step in the drying process was 93° C. did. It was 280 ppm when the zinc content was measured about the obtained polarizing plate. Table 1 shows the measurement results of the single color b value and the absorbance at a wavelength of 700 nm and the durability test results.

[내구 시험][endurance test]

얻어진 편광판을 컷트하여 내구 시험용 샘플(치수: 12 cm×30 cm)을 제작했다. 이 내구 시험용 샘플을 1시간 오토클레이브 처리[온도 50℃, 압력 5 kg/㎠(490.3 kPa)]한 후, 온도 23℃, 상대 습도 55%의 환경하에 24시간 방치했다. 온도 105℃의 가열 환경하에 가열 시험을 행하여, 가열 전후의 색의 변화를 육안으로 확인했다. 색이 변화할 때까지 요한 시간을 측정했다. The obtained polarizing plate was cut and the sample for durability tests (dimension: 12 cm x 30 cm) was produced. This durability test sample was autoclaved for 1 hour (temperature of 50 degreeC, pressure of 5 kg/cm<2> (490.3 kPa)], Then, it was left to stand in the environment of temperature 23 degreeC and 55% of relative humidity for 24 hours. The heating test was done in the heating environment of the temperature of 105 degreeC, and the change of the color before and behind a heating was confirmed visually. The time required for the color to change was measured.

[단체 색상 b값 및 파장 700 nm에서의 흡광도의 측정][Measurement of single color b-value and absorbance at a wavelength of 700 nm]

내구 시험전의 편광판의 단체 색상 b값 및 파장 700 nm에서의 흡광도를 분광 광도계(일본분광 주식회사 제조의 「V-7100」)를 이용하여 측정했다. The single color b value of the polarizing plate before the durability test and the absorbance at a wavelength of 700 nm were measured using a spectrophotometer ("V-7100" manufactured by Nippon Spectroscopy Co., Ltd.).

[아연 함유량의 측정][Measurement of zinc content]

편광판 중의 아연 함유량의 측정은, 이하와 같이 하여 행했다. The measurement of the zinc content in a polarizing plate was performed as follows.

정칭한 편광판에 질산을 가하고, 마일스톤 제네럴 제조 마이크로파 시료 전처리 장치(ETHOS D)로 산분해하여 얻어진 용액을 측정액으로 했다. 아연 농도는, 애질런트 테크놀로지 제조 ICP 발광 분광 분석 장치(5110 ICP-OES)로 측정액의 아연 농도를 정량하여, 편광판 질량에 대한 아연 질량으로 산출했다.Nitric acid was added to the precisely weighed polarizing plate, and a solution obtained by acid decomposition with a microwave sample preprocessor (ETHOS D) manufactured by Milestone General was used as the measurement solution. The zinc concentration quantified the zinc concentration of a measurement liquid with the Agilent Technology ICP emission spectroscopy apparatus (5110 ICP-OES), and computed it as the zinc mass with respect to the polarizing plate mass.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1

10: 편광판, 11: 제1 열가소성 수지 필름, 12: 편광자, 13: 제2 열가소성 수지 필름, 110: 폴리비닐알콜계 수지의 원단 필름, 111: 조출 롤, 113: 팽윤조, 115: 염색조, 117: 가교조, 119: 세정조, 123: 건조로, 127: 권취 롤, 130: 편광자. 10 polarizing plate, 11: first thermoplastic resin film, 12: polarizer, 13: second thermoplastic resin film, 110: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raw film, 111: feeding roll, 113: swelling tank, 115: dyeing tank, 117: crosslinking tank, 119: washing tank, 123: drying furnace, 127: winding roll, 130: polarizer.

Claims (9)

단체 색상 b값이 2.7 이상이고 파장 700 nm에서의 흡광도가 4.5 이하인 편광판. A polarizing plate having a single color b-value of 2.7 or more and an absorbance of 4.5 or less at a wavelength of 700 nm. 제1항에 있어서, 편광자와, 그의 한쪽에 접착제를 통해 접합된 제1 열가소성 수지 필름을 구비하는 편광판. The polarizing plate according to claim 1, comprising a polarizer and a first thermoplastic resin film bonded to one side thereof via an adhesiv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편광자의 상기 제1 열가소성 수지 필름측과는 반대측에 접착제를 통해 접합된 제2 열가소성 수지 필름을 더 구비하는 편광판. The polarizing plate according to claim 2, further comprising a second thermoplastic resin film bonded through an adhesive on a side opposite to the first thermoplastic resin film side of the polarizer.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는 수계 접착제인 편광판. The polarizing plate according to claim 2 or 3, wherein the adhesive is a water-based adhesive.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편광판 중의 아연 원소의 함유량이 150 ppm 이상인 편광판. The polarizing plat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wherein the content of the zinc element in the polarizing plate is 150 ppm or more.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편광판을 구비하는 차재용 표시 장치. The vehicle-mounted display device provided with the polarizing plate in any one of Claims 1-5. 제2항에 기재된 편광판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편광자는 폴리비닐알콜계 수지 필름을 포함하고,
상기 폴리비닐알콜계 수지 필름을 세정액으로 세정하는 세정 공정으로서, 22℃를 넘는 온도의 세정액으로는 세정하지 않는 세정 공정을 포함하는 편광판의 제조 방법.
As a manufacturing method of the polarizing plate of Claim 2,
The polarizer includes a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film,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polarizing plate, comprising a washing step of washing the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film with a washing solution, and not washing with a washing solution having a temperature exceeding 22°C.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비닐알콜계 수지 필름을 96℃ 이상의 온도에서 건조시키는 건조 공정을 더 포함하는 편광판의 제조 방법. The method of claim 7 , further comprising a drying step of drying the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film at a temperature of 96° C. or higher.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열가소성 수지 필름을 접착제를 통해 상기 편광자의 한쪽에 접합하고, 상기 접착제를 85℃ 이상의 온도에서 건조시키는 접합 공정을 더 포함하는 편광판의 제조 방법.The method for manufacturing a polarizing plate according to claim 7 or 8, further comprising a bonding step of bonding the first thermoplastic resin film to one side of the polarizer through an adhesive, and drying the adhesive at a temperature of 85°C or higher.
KR1020200170492A 2019-12-11 2020-12-08 Polarizing plat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KR20210074200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9223527A JP2021092676A (en) 2019-12-11 2019-12-11 Polarization plat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e
JPJP-P-2019-223527 2019-12-1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4200A true KR20210074200A (en) 2021-06-21

Family

ID=762347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0492A KR20210074200A (en) 2019-12-11 2020-12-08 Polarizing plat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2) JP2021092676A (en)
KR (1) KR20210074200A (en)
CN (1) CN112946806A (en)
TW (1) TW202125005A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26707A (en) 2003-01-23 2004-08-12 Kuraray Co Ltd Polarizing film
JP2007304626A (en) 2002-03-20 2007-11-22 Kuraray Co Ltd Polarizing film
JP2013148806A (en) 2012-01-23 2013-08-01 Sumitomo Chemical Co Ltd Polarizing film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polarizer
KR20180025765A (en) 2016-09-01 2018-03-09 삼성전자주식회사 Cook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47536A (en) 2005-08-11 2007-02-22 Konica Minolta Opto Inc Polarizing plate and liquid crystal display
JP2007127892A (en) 2005-11-04 2007-05-24 Nitto Denko Corp Polarizing plate
JP5072747B2 (en) * 2007-07-25 2012-11-14 日東電工株式会社 Manufacturing method of polarizer, polarizer, polarizing plate, optical film, and image display device
TW201142375A (en) * 2010-05-17 2011-12-01 Sumika Technology Co Method for making a polarizing film and polarizing plate
JP6228359B2 (en) * 2011-12-06 2017-11-08 住友化学株式会社 Manufacturing method of polarizing film
WO2013084924A1 (en) * 2011-12-07 2013-06-13 住友化学株式会社 Method for producing polarizing film, method for producing polarizing plate, and polarizing plate
KR101678275B1 (en) * 2013-09-30 2016-11-21 주식회사 엘지화학 Method for preparing polarizing plate near natural black color and polarizing plate prepared thereby
KR102116368B1 (en) * 2014-03-21 2020-05-28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Polarizing plate and display device comprising the same
JP2016071349A (en) * 2014-09-30 2016-05-09 住友化学株式会社 Production method of polarizing laminate film and polarizing plate
JP2018506055A (en) 2014-12-15 2018-03-01 スリーエム イノベイティブ プロパティズ カンパニー Article having hard coat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KR20160091014A (en) * 2015-01-23 2016-08-02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Polarizer and preparing method for the same
JP6488135B2 (en) * 2015-01-27 2019-03-20 日東電工株式会社 Polarizing plat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polarizing plate
JP2017048340A (en) * 2015-09-04 2017-03-09 日本化薬株式会社 Adhesive composition for optical use, and adhesive layer and adhesive optical film using the same
JP2018025764A (en) * 2016-07-29 2018-02-15 住友化学株式会社 Optical laminate
JP2018135426A (en) 2017-02-21 2018-08-30 株式会社クラレ Polyvinyl alcohol film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and polarization film prepared therewith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304626A (en) 2002-03-20 2007-11-22 Kuraray Co Ltd Polarizing film
JP2004226707A (en) 2003-01-23 2004-08-12 Kuraray Co Ltd Polarizing film
JP2013148806A (en) 2012-01-23 2013-08-01 Sumitomo Chemical Co Ltd Polarizing film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polarizer
KR20180025765A (en) 2016-09-01 2018-03-09 삼성전자주식회사 Cook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2105721A (en) 2022-07-14
JP2021092676A (en) 2021-06-17
TW202125005A (en) 2021-07-01
CN112946806A (en) 2021-06-11
JP7430745B2 (en) 2024-0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06594B1 (en) A method for producing a polarizing film, a polarizing plate and an optical laminate
JP5808916B2 (en) Production method of polarizing laminated film and polarizing plate
KR101435358B1 (en) Method of producing polarizable laminated film and polarising plate
JP2014211548A (en) Production method of polarizing laminate film having region showing no polarizance, and polarizing plate
KR101784129B1 (en) Polarizer and polarizing plate including same
KR20140069096A (en) Stretched film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KR101903869B1 (en) Polarizer, and polarizing plate and polarizing laminate film provided with same
KR20140138752A (en) Method for manufacturing polarizing plate
CN101452091B (en) Polarization plate and liquid crystal device using the same
CN108931833B (en) polarizing plate
KR101759015B1 (en) Method of manufacturing polarizing laminate film and method of manufacturing polarizing plate
KR20210074200A (en) Polarizing plat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WO2021039987A1 (en) Polarizing film laminate, optical display panel in which said polarizing film laminate is used, polarizing film laminate with transparent adhesive layer, and polarizing film assembly
JP6601523B2 (en) Method for producing polarizing laminated film having region not exhibiting polarizing ability and polarizing plate
KR20200089331A (en) Curable composition, optical laminate and image display device
CN108949065B (en) Adhesive composition and polarizing plate
KR102618402B1 (en) polarizer
JP2021039339A (en) Polarizing film laminate, optical display panel in which polarizing film laminate is used, polarizing film laminate with transparent adhesive layer, and polarizing film assembly
JP2009169393A (en) Polarizing plat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