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74073A - Electro Magnetic Interference Filter - Google Patents

Electro Magnetic Interference Filt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74073A
KR20210074073A KR1020190165075A KR20190165075A KR20210074073A KR 20210074073 A KR20210074073 A KR 20210074073A KR 1020190165075 A KR1020190165075 A KR 1020190165075A KR 20190165075 A KR20190165075 A KR 20190165075A KR 20210074073 A KR20210074073 A KR 202100740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ise
impedance
filter unit
ground
noise fil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507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317867B1 (en
Inventor
박찬수
김진국
정상영
백영진
박동민
하현수
박귀근
곽경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울산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울산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650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7867B1/en
Publication of KR202100740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407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78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786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44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mpensating for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in converters or inverters

Abstract

According to the invention, an EMI filter is disposed between a power input unit to which external power is input and a noise source. The EMI filter comprises: a first noise filter unit connected to first and second terminals of the power input unit; and a second noise filter unit connected to a third terminal of the power input unit. Here, the second noise filter unit may include an inductor and a capacitor connected in parallel to each other. Accordingly, compared to a structure in which the second noise filter unit is excluded, conducted noise by the third terminal can be reduced and compared to a structure in which the second noise filter unit includes only the inductor, an increase in impedance of the second noise filter unit is prevented, thereby preventing intensification of radiated noise.

Description

EMI 필터{Electro Magnetic Interference Filter}EMF filter {Electro Magnetic Interference Filter}

본 발명은 전자기기에 구비되고 EMI 노이즈를 필터링하는 EMI 필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MI filter provided in an electronic device and filtering EMI noise.

전자기기 또는 전기시스템은 전자기장애(Electro Magnetic Interference; EMI, 이하 "EMI"라 함)의 영향을 저감하기 위한 EMI 필터를 구비한다. An electronic device or an electrical system is provided with an EMI filter for reducing the effect of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EMI, hereinafter referred to as "EMI").

EMI는 전류가 흐르는 도체에 의한 전도노이즈(Conducted Emissions Noise)와, 전류가 흐르는 도체 주변으로 방출되는 방사노이즈(Radiated Emissions Noise)를 포함한다. EMI includes Conducted Emissions Noise by a conductor through which current flows, and Radiated Emissions Noise emitted around a conductor through which current flows.

EMI 필터는 전자기기에 대한 EMI의 영향을 감소시키기 위한 것이다. 예시적으로, EMI 필터는 전자기기 또는 전기시스템의 구동에 필요한 전원을 안정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전원장치에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EMI 필터는 전자기기에 의해 발생된 EMI가 방출되는 것을 차단하거나, 또는 다른 전자기기에 의해 발생된 EMI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것이다.EMI filters are intended to reduce the effects of EMI on electronic devices. Illustratively, the EMI filter may be provided in a power supply device for stably supplying power required for driving an electronic device or an electrical system. Such an EMI filter is to block EMI generated by an electronic device from being emitted, or to block EMI generated by another electronic device from being introduced.

이러한 노이즈 필터에 관련하여, 선행문헌1 (한국특허공개번호 제10-2005-0078537호, 2005.08.05 공개, 엘지전자 주식회사 출원)은 차동모드 노이즈의 억제를 위한 X 커패시터와, 공통모드 노이즈 억제를 위한 Y 커패시터 및 커먼 초크를 포함하는 EMI 필터를 개시한다. In relation to such a noise filter, Prior Document 1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05-0078537, published on Aug. 5, 2005, applied to LG Electronics Co., Ltd.) discloses an X capacitor for suppressing differential mode noise and common mode noise suppression. Disclosed is an EMI filter including a Y capacitor and a common choke for

이러한 선행문헌1은 노이즈원을 수납한 섀시가 도체인 경우, 섀시에 의한 전도노이즈를 저감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Prior Document 1 has a problem in that it does not propose a method for reducing conducted noise caused by the chassis when the chassis housing the noise source is a conductor.

이와 관련하여, 선행문헌2 (한국특허공개번호 제10-2011-0055924호, 2011.05.26 공개, 삼성전기주식회사 출원)는 활성선과 중성선에 연결된 제 1 커패시터와 라인필터, 제 1 커패시터의 양단에 구비된 페라이트 비드, 라인필터에 연결된 Y 커패시터를 포함하고 전도성 노이즈를 차단하는 EMI 필터를 개시한다. 즉, 선행문헌2는 제 1 커패시터의 양단에 구비된 페라이트 비드를 구비함으로써, 전자제품의 철제 케이스에 의한 전도노이즈를 저감하는 것을 개시한다.In this regard, Prior Document 2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1-0055924, published on May 26, 2011, filed by Samsung Electro-Mechanics) is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first capacitor, the line filter and the first capacitor connected to the active and neutral wires. Disclosed is an EMI filter that includes a ferrite bead, a Y capacitor connected to a line filter, and blocks conductive noise. That is, Prior Document 2 discloses reducing conduction noise caused by an iron case of an electronic product by providing ferrite beads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first capacitor.

그러나, 선행문헌2는 접지를 포함한 경로에 의한 전도노이즈를 저감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Prior Document 2 has a problem in that it does not suggest a method for reducing conduction noise due to a path including the ground.

또한, 선행문헌2는 방사노이즈를 저감하는 방안을 제시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In addition, Prior Document 2 has a problem in that it does not suggest a method for reducing radiation noise.

한국특허공개번호 제10-2005-0078537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05-0078537 한국특허공개번호 제10-2011-0055924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1-0055924

본 발명의 목적은 전도노이즈를 저감할 수 있는 EMI 필터를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EMI filter capable of reducing conducted noise.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방사노이즈를 저감할 수 있는 EMI 필터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MI filter capable of reducing radiation noise.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The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objects, and other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not mentioned may be understood by the following description, and will be more clearly understood by the exam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Moreover, it will be readily apparent that the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realized by the means and combinations thereof indicated in the claims.

본 발명에 따른 EMI 필터는 외부전원이 입력되는 전원입력부와 노이즈소스 사이에 배치되고, 전원입력부의 제 1 및 제 2 단자에 연결되는 제 1 노이즈필터부, 및 전원입력부의 제 3 단자에 연결되는 제 2 노이즈필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 2 노이즈필터부는 상호 병렬로 연결되는 인덕터와 커패시터를 포함할 수 있다. The EMI fil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disposed between a power input unit to which external power is input and a noise source, a first noise filter unit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terminals of the power input unit, and a third terminal connected to the power input unit It may include a second noise filter unit. Here, the second noise filter unit may include an inductor and a capacitor connected in parallel to each other.

이로써, 제 2 노이즈필터부가 배제된 구조에 비해, 제 3 단자에 의한 전도노이즈가 저감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Accordingly, compared to the structure in which the second noise filter unit is excluded,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conduction noise caused by the third terminal can be reduced.

이와 더불어, 제 2 노이즈필터부가 인덕터만을 포함하는 구조에 비해, 인덕터에 병렬로 연결된 커패시터를 더 포함함에 따라 제 2 노이즈필터부의 임피던스의 증가가 방지될 수 있다. 그러므로, 방사노이즈의 심화가 방지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second noise filter unit further includes a capacitor connected in parallel to the inductor compared to the structure including only the inductor, an increase in the impedance of the second noise filter unit may be prevented. Therefore, the deepening of the radiation noise can be prevented.

즉, 본 발명에 따르면, 제 3 단자는 대지면 접지에 연결되고, 노이즈소스 및 제 1 노이즈필터부는 도전재료로 이루어진 섀시에 수납되며, 제 2 노이즈필터부는 섀시와 제 3 단자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섀시는 제 3 단자에 의해 접지될 수 있다. That i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third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earth ground, the noise source and the first noise filter unit are accommodated in a chassis made of a conductive material, and the second noise filter unit may be disposed between the chassis and the third terminal. . In this case, the chassis may be grounded by the third terminal.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EMI 필터는 제 1, 제 2 및 제 3 단자에 대응한 제 1, 제 2 및 제 3 라인에 각각 접속되는 클램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EMI fil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clamp unit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first, second, and third lines corresponding to the first, second, and third terminals.

이때, 제 1 및 제 2 라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제 3 라인을 포함하는 제 1 전류 경로의 임피던스는 섀시와 대지면접지 사이의 기생 커패시턴스에 대응한 섀시 커패시터와 대지면 접지를 포함하는 제 2 전류 경로의 임피던스보다 작다. 이를 위해, 30MHz 이상의 고주파영역에서 제 2 노이즈필터부의 임피던스는 기준 임피던스보다 작으며, 기준 임피던스는 제 3 라인에 접속된 클램프부의 임피던스와 섀시 커패시터의 임피던스의 합으로 도출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impedance of the first current path including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lines and the third line is the second current path including the chassis capacitor and the earth ground corresponding to the parasitic capacitance between the chassis and the earth ground. less than the impedance. To this end, in a high frequency region of 30 MHz or higher, the impedance of the second noise filter unit is smaller than the reference impedance, and the reference impedance may be derived as the sum of the impedance of the clamp unit connected to the third line and the impedance of the chassis capacitor.

제 2 노이즈필터부의 커패시터의 커패시턴스는 100pF 내지 300pF일 수 있다.The capacitance of the capacitor of the second noise filter unit may be 100pF to 300pF.

본 발명에 따른 EMI 필터는 외부전원의 접지선에 대응한 전원입력부의 제 3 단자에 연결되는 제 2 노이즈필터부를 포함하고, 제 2 노이즈필터부는 상호 병렬로 연결되는 인덕터와 커패시터를 포함한다. The EMI fil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econd noise filter unit connected to a third terminal of a power input unit corresponding to a ground line of an external power source, and the second noise filter unit includes an inductor and a capacitor connected in parallel to each other.

이에 따라, 제 2 노이즈필터부의 인덕터로 인해, 제 3 단자를 포함하는 공통모드 전도노이즈가 저감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Accordingly, due to the inductor of the second noise filter unit,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common mode conduction noise including the third terminal can be reduced.

그리고, 제 2 노이즈필터부가 인덕터와 병렬로 연결되는 커패시터를 더 포함함에 따라, 제 2 노이즈필터부의 임피던스가 인덕터로 인해 커지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이에, 제 2 노이즈필터부의 임피던스로 인해, 제 3 단자를 포함하는 전류 경로의 임피던스가 커지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따라서, 제 3 단자를 포함하는 전류 경로의 임피던스가 대지면 접지를 포함하는 전류 경로의 임피던스보다 작을 수 있으므로, 방사노이즈의 심화가 방지될 수 있다.Also, as the second noise filter unit further includes a capacitor connected in parallel with the inductor,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impedance of the second noise filter unit from increasing due to the inductor. Accordingly, the impedance of the current path including the third terminal may be prevented from increasing due to the impedance of the second noise filter unit. Accordingly, since the impedance of the current path including the third terminal may be smaller than the impedance of the current path including the earth ground, the deepening of radiation noise may be prevented.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effects, the specific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together while describing specific details for carrying out the invention below.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EMI 필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제 1 노이즈필터부에 대한 일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EMI 필터의 제 1 전류경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EMI 필터의 제 2 전류경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제 2 노이즈필터부가 제거된 구조인 제 1 비교예의 EMI 필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제 2 노이즈필터부가 접지 인덕터만을 포함하는 제 2 비교예의 EMI 필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제 1 및 제 2 비교예에 따른 방사노이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및 제 2 비교예에 따른 기준 임피던스와 클램프부의 임피던스, 제 2 비교예에 따른 제 2 노이즈필터부의 임피던스 및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2 노이즈필터부의 임피던스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제 1 및 제 2 비교예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통모드 전도노이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제 1 및 제 2 비교예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동모드 전도노이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제 2 비교예와 본 발명의 제 1, 제 2 및 제 3 실시예 각각에 따른 제 2 노이즈필터부의 임피던스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제 1 및 제 2 비교예와 본 발명의 제 1, 제 2 및 제 3 실시예 각각에 따른 공통모드 전도노이즈 전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도 1의 제 2 노이즈필터부에 대한 구현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MI fil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the first noise filter unit of FIG. 1 .
FIG.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first current path of the EMI filter of FIG. 1 .
FIG.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econd current path of the EMI filter of FIG. 1 .
5 is a view showing the EMI filter of Comparative Example 1 having a structure in which the second noise filter unit is removed.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MI filter of a second comparative example in which a second noise filter unit includes only a ground inductor.
7 is a view showing radiation noise according to Comparative Examples 1 and 2;
8 is a reference impedance and an impedance of a clamp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and a second comparative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an impedance of a second noise filter unit according to a second comparative example, and an impedance of a second noise filter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diagram showing
9 is a view showing common mode conducted noise according to Comparative Examples 1 and 2 and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view showing differential mode conduction noise according to Comparative Examples 1 and 2 and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view showing the impedance of the second noise filter unit according to the second comparative example and the first, second, and thir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respectively.
12 is a view showing common mode conducted noise currents according to Comparative Examples 1 and 2 and Examples 1, 2, and 3 of the present invention, respectively.
13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implementation of the second noise filter unit of FIG. 1 .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The above-described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will be described below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accordingl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be able to easily implemen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known technology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to indicate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Although the first, second, etc. ar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these elements are not limited by these terms, of course. These terms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other components, and unless otherwise stated, the first component may be the second component, of course.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상기 구성요소들은 서로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가 "개재"되거나, 각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를 통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Also, when it is described that a component is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the components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each other, but other components are "interposed" between each component. It is to be understood that “or, each component may be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hrough another component.

명세서 전체에서,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각 구성요소는 단수일 수도 있고 복수일 수도 있다.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unless otherwise stated, each element may be singular or plural.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As used herein, the singular expression includes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application, terms such as "consisting of" or "comprising" should not be construed as necessarily including all of the various components or various steps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some of which components or some steps are It should be construed that it may not include, or may further include additional components or steps.

명세서 전체에서, "A 및/또는 B" 라고 할 때, 이는 특별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A, B 또는 A 및 B 를 의미하며, "C 내지 D" 라고 할 때, 이는 특별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C 이상이고 D 이하인 것을 의미한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and/or B” is used, it means A, B or A and B, unless specifically stated to the contrary, and when “C to D” is used, it means that there is no specific contrary description. Unless otherwise specified, it means C or more and D or less.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EMI 필터를 설명한다.Hereinafter, an EMI fil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EMI 필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제 1 노이즈필터부에 대한 일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EMI 필터의 제 1 전류경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EMI 필터의 제 2 전류경로를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MI fil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the first noise filter unit of FIG. 1 . FIG.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first current path of the EMI filter of FIG. 1 . FIG.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econd current path of the EMI filter of FIG. 1 .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EMI 필터(100)는 외부전원(10)이 입력되는 전원입력부(20)와 소정의 노이즈소스(30) 사이에 배치된다. 이러한 EMI 필터(100)는 노이즈소스(30)로 유입되는 EMI 또는 노이즈소스(30)로부터 방출되는 EMI를 감소시키기 위한 것이다. As shown in FIG. 1 , the EMI filte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posed between a power input unit 20 to which an external power source 10 is input and a predetermined noise source 30 . The EMI filter 100 is to reduce EMI introduced into the noise source 30 or EMI emitted from the noise source 30 .

일 예로, 외부전원(10)은 교류전원을 공급하고, 활성선(L; Live Line), 중성선(N; Neutral Line) 및 접지선(G; Ground Line)을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external power supply 10 supplies AC power and may include an active line (L; Live Line), a neutral line (N; Neutral Line) and a ground line (G; Ground Line).

그리고, 전원입력부(20)는 외부전원(10)의 활성선(L)에 대응한 제 1 단자(21), 외부전원(10)의 중성선(N)에 대응한 제 2 단자(22) 및 외부전원(10)의 접지선(G)에 대응한 제 3 단자(23)를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ower input unit 20 includes a first terminal 21 corresponding to the active line L of the external power source 10 , a second terminal 22 corresponding to the neutral line N of the external power source 10 and an external A third terminal 23 corresponding to the ground line G of the power source 10 may be included.

이러한 전원입력부(20)는 외부전원(10)을 공급하는 소켓(socket)에 접속되는 플러그(plug)일 수 있다.The power input unit 20 may be a plug connected to a socket for supplying the external power 10 .

노이즈소스(30)는 전원입력부(20)에 연결된 각종 전자회로를 통칭한다. 일 예로, 노이즈소스(30)는 전원입력부(20)를 통해 공급된 교류전력을 직류전력으로 변환하는 전력변환장치일 수 있다. The noise source 30 collectively refers to various electronic circuits connected to the power input unit 20 . For example, the noise source 30 may be a power converter that converts AC power supplied through the power input unit 20 into DC power.

여기서, 전력변환장치는 공기조화기 등의 전자기기에 구비되는 것일 수 있다. 그리고, 도 1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전력변환장치로 구현된 노이즈소스(30)는 컨버터, DC링크 커패시터 및 인버터를 포함할 수 있다. Here, the power conversion device may be provided in an electronic device such as an air conditioner. 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in FIG. 1 , the noise source 30 implemented as a power converter may include a converter, a DC link capacitor, and an inverter.

컨버터는 EMI 필터(100)를 통해 전원입력부(20)에 연결되고, 전원입력부(20)를 통해 공급된 교류전압을 직류전압으로 변환한다. 일 예로, 컨버터는 스위치소자를 포함하지 않고, 스위치소자 없이 교류전압의 정류를 실시할 수 있다. 또는, 컨버터는 스위치소자를 포함하고 스위치소자의 스위칭 동작을 이용하여 승압, 역률 개선, 및 직류전원 변환을 실시할 수 있다. The converter is connected to the power input unit 20 through the EMI filter 100 , and converts the AC voltage supplied through the power input unit 20 into a DC voltage. As an example, the converter does not include a switch element, and may rectify an AC voltage without a switch element. Alternatively, the converter may include a switch element and may perform step-up, power factor improvement, and DC power conversion by using a switching operation of the switch element.

DC링크 커패시터는 컨버터의 출력단과 인버터의 입력단 사이에 병렬로 배치되고, 컨버터의 출력으로 충전된다.The DC link capacitor is disposed in parallel between the output terminal of the converter and the input terminal of the inverter, and is charged with the output of the converter.

인버터는 DC링크 커패시터의 전압을 변환하여 모터에 구동전압을 공급한다. 일 예로, 모터는 공기조화기 중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 등에 구비될 수 있다. The inverter supplies the driving voltage to the motor by converting the voltage of the DC link capacitor. For example, the motor may be provided in a compressor for compressing a refrigerant among the air conditioner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EMI 필터(100)는 전원입력부(20)의 제 1 및 제 2 단자(11, 12)에 연결되는 제 1 노이즈필터부(110), 및 전원입력부(20) 중 대지면 접지(40; Earth ground)에 대응한 제 3 단자(23)에 연결되는 제 2 노이즈필터부(120)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 2 노이즈필터부(120)는 상호 병렬로 연결되는 인덕터(121)와 커패시터(122)를 포함한다. 이하에서, 간결한 설명을 위해 제 2 노이즈필터부(120)의 인덕터(121)와 커패시터(122)를 접지 인덕터(121)와 접지 커패시터(122)로 지칭한다.The EMI filte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noise filter unit 110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terminals 11 and 12 of the power input unit 20 , and a power input unit 20 . and a second noise filter unit 120 connected to a third terminal 23 corresponding to an earth ground 40 . Here, the second noise filter unit 120 includes an inductor 121 and a capacitor 122 connected in parallel to each other. Hereinafter, for concise description, the inductor 121 and the capacitor 122 of the second noise filter unit 120 are referred to as a ground inductor 121 and a ground capacitor 122 .

또한, EMI 필터(100)는 전원입력부(20)의 제 1, 제 2 및 제 3 단자(21, 22, 23)에 대응한 제 1, 제 2 및 제 3 라인(21', 22', 23')에 각각 접속되는 클램프부(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 1, 제 2 및 제 3 라인(21', 22', 23')은 전원입력부(20)의 제 1, 제 2 및 제 3 단자(21, 22, 23)와 노이즈소스(30) 사이를 연결한다.In addition, the EMI filter 100 has first, second and third lines 21', 22', 23 corresponding to the first, second and third terminals 21, 22, 23 of the power input unit 20. ') may further include a clamp unit 130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The first, second and third lines 21 ′, 22 ′, and 23 ′ connect between the first, second and third terminals 21 , 22 , 23 of the power input unit 20 and the noise source 30 . Connect.

클램프부(130)는 제 1, 제 2 및 제 3 라인(21', 22', 23') 각각의 주위를 둘러싸는 페라이트 링 코어(ferrite ring core)로 이루어질 수 있다. 페라이트 링 코어는 변류기의 일부일 수 있다. 이러한 클램프부(130)는 제 1, 제 2 및 제 3 라인(21', 22', 23') 각각의 과전류를 감지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The clamp unit 130 may be formed of a ferrite ring core surrounding each of the first, second, and third lines 21', 22', and 23'. The ferrite ring core may be part of the current transformer. The clamp unit 130 may be for detecting an overcurrent of each of the first, second, and third lines 21', 22', and 23'.

제 1 노이즈필터부(110)는 노이즈소스(30)와 함께 소정의 섀시(50)에 수납될 수 있다. The first noise filter unit 110 may be accommodated in a predetermined chassis 50 together with the noise source 30 .

제 1 노이즈필터부(110)는 제 1 및 제 2 라인(21', 22')을 통해 전도되는 EMI를 필터링한다. The first noise filter unit 110 filters EMI conducted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lines 21' and 22'.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노이즈필터부(110)는 커먼 쵸크(111) 및 Y 커패시터(112, 113)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커먼 쵸크(111) 및 Y 커패시터(112, 113)는 공통모드 전도노이즈를 억제하기 위한 것이다. As shown in FIG. 2 , the first noise filter unit 110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common choke 111 and Y capacitors 112 and 113 . The common choke 111 and the Y capacitors 112 and 113 are for suppressing common mode conduction noise.

일 예로, 제 1 노이즈필터부(110)는 제 1 및 제 2 단자(21, 22)와 노이즈소스(30) 사이에 배치되는 커먼 쵸크(111)와, 커먼 쵸크(111)의 양단에 배치되는 한 쌍의 Y 커패시터(112, 113)를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first noise filter unit 110 includes a common choke 111 dispos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terminals 21 and 22 and the noise source 30 , and a common choke 111 disposed at both ends of the common choke 111 . A pair of Y capacitors 112 and 113 may be included.

공통모드(Common Mode; CM) 전도노이즈는 도체와 접지 사이를 이동하는 공통성분의 전류에 의해 발생된다. 즉, 공통모드 전도노이즈는 활성선(L) 및 중성선(N) 각각과 대지면 접지(40) 사이에 존재하는 노이즈이다.Common Mode (CM) Conducted noise is generated by the current of a common component moving between the conductor and the ground. That is, the common mode conduction noise is noise existing between each of the active line (L) and the neutral line (N) and the earth ground (40).

또는, 도 2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제 1 노이즈필터부(110)는 차동모드 전도노이즈를 억제하기 위한 X 커패시터(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제 1 노이즈필터부(110)는 커먼 쵸크(111)의 양단에 배치된 한 쌍의 X 커패시터(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Alternatively, although not shown in FIG. 2 , the first noise filter unit 110 may further include an X capacitor (not shown) for suppressing differential mode conduction noise. For example, the first noise filter unit 110 may further include a pair of X capacitors (not shown) disposed at both ends of the common choke 111 .

차동모드(Difference Mode) 전도노이즈는 도체를 왕복하는 차동성분의 전류에 의해 발생된다. 즉, 차동모드 전도노이즈는 활성선(L) 및 중성선(N)과 같은 단상 전원공급을 위한 제 1 및 제 2 라인(21', 22') 사이에 존재하는 노이즈이다.Differential Mode Conducted noise is generated by a differential current that reciprocates in a conductor. That is, the differential mode conduction noise is noise existing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lines 21' and 22' for single-phase power supply such as the active line (L) and the neutral line (N).

참고로, 도 2의 PI_w는 Y 커패시터(112, 113)와 접지 사이를 연결하는 라인의 기생 인덕턴스이다. 이때, 접지는 제 3 단자(23)에 연결된 제 2 노이즈필터부(120) 또는 제 2 노이즈필터부(120)에 연결된 섀시(50)일 수 있다.For reference, PI_w in FIG. 2 is a parasitic inductance of a line connecting the Y capacitors 112 and 113 and the ground. In this case, the ground may be the second noise filter unit 120 connected to the third terminal 23 or the chassis 50 connected to the second noise filter unit 120 .

도 1의 도시와 같이, 제 2 노이즈필터부(120)는 제 3 단자(23)와 제 1 노이즈필터부(110) 사이에 연결된다. 이러한 제 2 노이즈필터부(120)는 전원입력부(20) 중 대지면 접지(40)에 대응한 제 3 라인(23')을 통해 전도되는 EMI를 필터링한다. As shown in FIG. 1 , the second noise filter unit 120 is connected between the third terminal 23 and the first noise filter unit 110 . The second noise filter unit 120 filters EMI conducted through the third line 23 ′ corresponding to the earth ground 40 of the power input unit 20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노이즈필터부(120)는 제 3 단자(23)와 제 1 노이즈필터부(110) 사이에 직렬로 연결되고 상호 병렬로 연결되는 접지 인덕터(121)와 접지 커패시터(122)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noise filter unit 120 includes a ground inductor 121 connected in series between the third terminal 23 and the first noise filter unit 110 and connected in parallel with each other; and a ground capacitor 122 .

접지 인덕터(121)는 코어(Core)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접지 인덕터(121)에 의해, 제 3 라인(23')의 전류에 의한 전도노이즈가 저감될 수 있다. The ground inductor 121 may be formed of a core. Conduction noise caused by the current of the third line 23 ′ may be reduced by the ground inductor 121 .

그러나, 제 2 노이즈필터부(120)가 전도노이즈를 저감하기 위한 접지 인덕터(121)로만 이루어진 경우, 제 2 노이즈필터부(120)를 배제한 구조에 비해 전도 노이즈가 저감되는 반면, 방사 노이즈가 심화되는 문제점이 있다. However, when the second noise filter unit 120 is made of only the ground inductor 121 for reducing the conduction noise, compared to the structure excluding the second noise filter unit 120, the conduction noise is reduced while the radiation noise is deepened. There is a problem being

방사 노이즈는 30MHz 이상의 고주파영역에 대응하는 노이즈일 수 있다.The radiation noise may be noise corresponding to a high-frequency region of 30 MHz or higher.

공통모드 전도노이즈는 제 1 및 제 2 라인(21', 22') 중 적어도 하나와 접지선(G) 사이의 전류에 의해 발생된다.The common mode conduction noise is generated by a current between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lines 21' and 22' and the ground line (G).

일 예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전원(10)과 노이즈소스(30) 사이의 공통모드 전도노이즈는 전원입력부(20)의 제 1 및 제 2 단자(21, 22) 중 적어도 하나와 전원입력부(20)의 제 3 단자(23)를 포함하는 제 1 전류 경로(CP1)에 의해 발생될 수 있다. For example, as shown in FIG. 3 , the common mode conduction noise between the external power source 10 and the noise source 30 is connected to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terminals 21 and 22 of the power input unit 20 and It may be generated by the first current path CP1 including the third terminal 23 of the power input unit 20 .

그리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노이즈필터부(110)와 노이즈소스(30)를 수납하는 섀시(50)가 도전재료로 이루어진 경우, 섀시(50)는 전기적 안정성과 사용자 안전을 위해 접지될 필요가 있다. 이에, 섀시(50)는 전원입력부(20)의 제 3 단자(23)와 연결됨으로써 접지된다. 그리고, 접지선(G) 또는 제 3 단자(23)는 대지면 접지(40)에 연결된다.And, as shown in FIG. 4 , when the chassis 50 accommodating the first noise filter unit 110 and the noise source 30 is made of a conductive material, the chassis 50 is formed for electrical stability and user safety. need to be grounded. Accordingly, the chassis 50 is grounded by being connected to the third terminal 23 of the power input unit 20 . In addition, the ground line G or the third terminal 23 is connected to the ground ground 40 .

이때, 섀시(50)와 대지면 접지(40) 사이에 기생 커패시턴스가 존재하므로, 섀시(50)와 대지면 접지(40) 사이의 기생 커패시턴스에 대응한 섀시 커패시터(51)의 영향으로, 제 2 전류 경로(CP2)가 발생될 수 있다.At this time, since a parasitic capacitance exists between the chassis 50 and the earth ground 40 , the second current path is affected by the chassis capacitor 51 corresponding to the parasitic capacitance between the chassis 50 and the earth ground 40 . (CP2) may occur.

즉, 외부전원(10)과 노이즈소스(30) 사이의 공통모드 전도노이즈는 제 1 및 제 2 라인(21', 22') 중 적어도 하나와 섀시 커패시터(51)와 대지면 접지(40)를 포함하는 제 2 전류 경로(CP2)에 의해서도 발생될 수 있다. That is, the common mode conducted noise between the external power supply 10 and the noise source 30 includes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lines 21 ′ and 22 ′, the chassis capacitor 51 and the earth ground 40 . It may also be generated by the second current path CP2.

그런데, 제 1 전류 경로(CP1)의 전류 대비 제 2 전류 경로(CP2)의 전류가 클수록 방사노이즈가 심화되는 문제점이 있다. However, as the current of the second current path CP2 increases compared to the current of the first current path CP1,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radiation noise increases.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EMI 필터(100)는 접지 인덕터(121)를 포함하여 제 3 라인(23')에 대응한 전도노이즈를 저감시키는 것과 아울러, 접지 인덕터(121)와 병렬로 연결되는 접지 커패시터(122)를 포함함으로써 접지 인덕터(121)로 인한 제 1 전류 경로(CP1)의 임피던스 증가를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접지 인덕터(121)로 인해 방사노이즈가 심화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Accordingly, the EMI filte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ground inductor 121 to reduce conduction noise corresponding to the third line 23 ′, and is parallel to the ground inductor 121 . By including the ground capacitor 122 connected to , it is possible to prevent an increase in the impedance of the first current path CP1 due to the ground inductor 121 .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radiation noise from being deepened due to the ground inductor 121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효과를 설명하기 위해, 우선, 다음과 같이 제 1 및 제 2 비교예를 설명한다.In order to explain the effects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rst and second comparative examples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도 5는 제 2 노이즈필터부가 제거된 구조인 제 1 비교예의 EMI 필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제 2 노이즈필터부가 접지 인덕터만을 포함하는 제 2 비교예의 EMI 필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제 1 및 제 2 비교예에 따른 방사노이즈를 나타낸 도면이다.5 is a view showing the EMI filter of Comparative Example 1 having a structure in which the second noise filter unit is removed.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MI filter of a second comparative example in which a second noise filter unit includes only a ground inductor. 7 is a view showing radiation noise according to Comparative Examples 1 and 2;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비교예에 따른 EMI 필터(REF1)는 제 1 노이즈필터부(110)와 클램프부(130)만을 포함하고, 제 2 노이즈필터부(도 1의 120)를 배제한 구조이다. As shown in FIG. 5 , the EMI filter REF1 according to the first comparative example includes only the first noise filter unit 110 and the clamp unit 130 , and includes a second noise filter unit ( 120 in FIG. 1 ). structure is excluded.

이러한 제 1 비교예(REF1)에 따르면, 제 1 전류 경로(CP1)에 의한 공통모드 전도노이즈, 특히 접지선에 대응한 제 3 라인(23')의 전도 노이즈를 억제하는 데에 한계가 있는 문제점이 있다.According to this first comparative example REF1,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re is a limitation in suppressing the common mode conduction noise caused by the first current path CP1, in particular, the conduction noise of the third line 23' corresponding to the ground line. have.

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비교예에 따른 EMI 필터(REF2)는 제 1 노이즈필터부(110)와 제 2 노이즈필터부(120')와 클램프부(130)를 포함하고, 제 2 노이즈필터부(120')가 접지 인덕터(121)만을 포함하는 구조이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 6 , the EMI filter REF2 according to the second comparative example includes a first noise filter unit 110 , a second noise filter unit 120 ′, and a clamp unit 130 , The second noise filter unit 120 ′ has a structure including only the ground inductor 121 .

이러한 접지 인덕터(121)에 의해 제 3 라인(23')의 전도 노이즈가 억제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ere is an advantage that conduction noise of the third line 23 ′ can be suppressed by the ground inductor 121 .

그러나, 접지 인덕터(121)로 인해 제 1 전류 경로(CP1)의 임피던스가 증가함에 따라, 제 1 전류 경로(CP1)의 임피던스와 제 2 전류 경로(CP2)의 임피던스 간의 차이가 작아진다. 그로 인해, 제 2 전류 경로(CP2)에 의한 노이즈 전류의 크기가 커짐으로써, 30MHz 이상의 고주파 영역에 대응한 방사노이즈가 심화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as the impedance of the first current path CP1 increases due to the ground inductor 121 , the difference between the impedance of the first current path CP1 and the impedance of the second current path CP2 decreases. Therefore,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size of the noise current generated by the second current path CP2 increases, so that radiation noise corresponding to a high frequency region of 30 MHz or higher is increased.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노이즈필터부(120')가 접지 인덕터(121)만을 포함하는 구조인 제 2 비교예(REF2)에 의한 30MHz 이상의 고주파 영역에서의 차동모드 전도노이즈(DP noise)는 접지 인덕터(121)를 포함하지 않는 구조의 제 1 비교예(REF1)에 비해 약 20dBpW 이상 증가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7 , the differential mode conduction noise (DP noise) in the high frequency region of 30 MHz or higher according to the second comparative example REF2 in which the second noise filter unit 120 ′ includes only the ground inductor 121 . ) is increased by about 20 dBpW or more compared to the first comparative example REF1 having a structure that does not include the ground inductor 121 .

그러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노이즈필터부(120)는 접지 인덕터(121)에 병렬로 연결된 접지 커패시터(122)를 더 포함함으로써, 접지 인덕터(121)로 인한 임피던스의 증가가 상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2 노이즈필터부(120)로 인해 방사노이즈가 심화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Howe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noise filter unit 120 further includes a ground capacitor 122 connected in parallel to the ground inductor 121, so that an increase in impedance due to the ground inductor 121 is reduced. can be offset.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radiation noise from being deepened due to the second noise filter unit 120 .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및 제 2 비교예에 따른 기준 임피던스와 클램프부의 임피던스, 제 2 비교예에 따른 제 2 노이즈필터부의 임피던스 및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2 노이즈필터부의 임피던스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제 1 및 제 2 비교예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통모드 전도노이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제 1 및 제 2 비교예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동모드 전도노이즈를 나타낸 도면이다.8 is a reference impedance and an impedance of a clamp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and a second comparative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an impedance of a second noise filter unit according to a second comparative example, and an impedance of a second noise filter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diagram showing 9 is a view showing common mode conducted noise according to Comparative Examples 1 and 2 and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diagram illustrating conducted noise in differential mode according to Comparative Examples 1 and 2 and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 1 전류 경로(CP1)는 제 1 및 제 2 라인(21', 2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제 3 라인(23')을 포함한다. The first current path CP1 includes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lines 21 ′ and 22 ′ and a third line 23 ′.

이에 따라, 아래의 수학식 1과 같이, 제 1 전류 경로(CP1)의 임피던스(Zin1)는 제 3 라인(23')에 배치된 제 2 노이즈필터부(120)의 임피던스(ZNF2)와 제 1 전류 경로(CP1)를 구현하는 케이블의 임피던스(Zcable1)의 합에 대응한다. 이때, 제 1 및 제 2 라인(21', 2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접속된 클램프부(130)와, 제 3 라인(23')에 접속된 클램프부(130)가 상호 상쇄되므로, 제 1 전류 경로(CP1)의 임피던스(Zin1)는 클램프부(130)의 임피던스에 영향을 받지 않을 수 있다.Accordingly, as shown in Equation 1 below, the impedance Z in1 of the first current path CP1 is the impedance Z NF2 of the second noise filter unit 120 disposed on the third line 23 ′ and Corresponds to the sum of the impedances Z cable1 of the cables implementing the first current path CP1. At this time, since the clamp unit 130 connected to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lines 21 ′ and 22 ′ and the clamp unit 130 connected to the third line 23 ′ cancel each other out, the first The impedance Z in1 of the first current path CP1 may not be affected by the impedance of the clamp unit 130 .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1

그리고, 제 2 전류 경로(CP2)는 제 1 및 제 2 라인(21', 2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섀시 커패시터(51)와 대지면 접지(40)를 포함한다. In addition, the second current path CP2 includes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lines 21 ′ and 22 ′, the chassis capacitor 51 and the earth ground 40 .

이에 따라, 아래의 수학식 2와 같이, 제 2 전류 경로(CP2)의 임피던스(Zin2)는 섀시 커패시터(51)의 임피던스(Zch), 제 3 라인(23')에 접속된 클램프부(130)의 임피던스(Zclamp) 및 제 2 전류 경로(CP2)를 구현하는 케이블의 임피던스(Zcable2)에 대응한다.Accordingly, as shown in Equation 2 below, the impedance Z in2 of the second current path CP2 is the impedance Z ch of the chassis capacitor 51 and the clamp unit connected to the third line 23 ′ ( 130) corresponds to the impedance (Z clamp ) and the impedance (Z cable2 ) of the cable implementing the second current path (CP2).

Figure pat00002
Figure pat00002

이때, 방사노이즈의 심화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제 2 전류 경로(CP2)에 의한 전류 크기가 제 1 전류 경로(CP1)에 의한 전류 크기보다 작아져야 하므로, 제 2 전류 경로(CP2)의 임피던스(Zin2)가 제 1 전류 경로(CP1)의 임피던스(Zin1)에 비해 매우 크다는 조건이 발생한다. (|Zin2| >> |Zin1|)At this time, in order to prevent the aggravation of the radiation noise, since the magnitude of the current by the second current path CP2 must be smaller than the magnitude of the current by the first current path CP1, the impedance Z in2 of the second current path CP2 ) is very large compared to the impedance Z in1 of the first current path CP1 occurs. (|Z in2 | >> |Z in1 |)

그리고, 제 1 전류 경로(CP1)를 구현하는 케이블의 임피던스(Zcable1)와 제 2 전류 경로(CP2)를 구현하는 케이블의 임피던스(Zcable2)가 상호 유사하다는 가정 하에, 수학식 1 및 2에 방사노이즈의 심화를 방지하기 위한 조건(|Zin2| >> |Zin1|)을 적용하면, 다음의 수학식 3과 같이, 제 2 노이즈필터부(120)의 임피던스(ZNF2)는 기준 임피던스(Zbase)보다 매우 작다는 조건이 발생한다. 여기서, 기준 임피던스(Zbase)는 섀시 커패시터(51)의 임피던스(Zch) 및 제 3 라인(23')에 접속된 클램프부(130)의 임피던스(Zclamp)의 합이다.And, assuming the impedance of the cable to implement the first current path (CP1) the impedance (Z cable1) and the second current path (CP2) of the cable to implement the (Z cable2) is that the mutual similarity, the expressions (1) and (2) When the condition (|Z in2 | >> |Z in1 |) for preventing the deepening of the radiation noise is applied, as shown in Equation 3 below, the impedance Z NF2 of the second noise filter unit 120 is the reference impedance The condition that it is much smaller than (Z base ) occurs. Here, the reference impedance (Z base) is the sum of the chassis capacitor 51 impedance (Z ch) and the impedance (Z clamp) of the clamp portion 130 connected to the third line (23 ') of.

Figure pat00003
Figure pat00003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30MHz 이상의 고주파 영역에서, 섀시 커패시터(51)의 임피던스(Zch)는 제 3 라인(23')에 접속된 클램프부(130)의 임피던스(Zclamp)에 비해 무시할 수 있을 정도로 작으므로, 기준 임피던스(Zbase)는 제 3 라인(23')에 접속된 클램프부(130)의 임피던스(Zclamp)와 유사하게 도출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8 , in the high frequency region of 30 MHz or higher, the impedance Z ch of the chassis capacitor 51 is negligible compared to the impedance Z clamp of the clamp unit 130 connected to the third line 23 ′. Since it is small enough, it can be seen that the reference impedance Z base is derived similarly to the impedance Z clamp of the clamp unit 130 connected to the third line 23 ′.

그리고,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제 2 비교예(REF2)에 따른 제 2 노이즈필터부(120')는 접지 인덕터(121)만을 포함하므로, 제 2 비교예(REF2)에 따른 제 2 노이즈필터부(120')의 임피던스(|ZNF2| of REF2)는 접지 인덕터(121)의 임피던스에 대응한다. 이에 따라, 30MHz 이상의 고주파 영역에서, 제 2 비교예(REF2)에 따른 제 2 노이즈필터부(120')의 임피던스(|ZNF2| of REF2)는 기준 임피던스(Zbase)보다 작고 기준 임피던스(Zbase)에 인접한다. And, as mentioned above, since the second noise filter unit 120 ′ according to the second comparative example REF2 includes only the ground inductor 121 , the second noise filter unit according to the second comparative example REF2 . The impedance (|Z NF2 | of REF2) of (120') corresponds to the impedance of the ground inductor 121 . Accordingly, in the high frequency region of 30 MHz or higher, the impedance |Z NF2 | of REF2 of the second noise filter unit 120 ′ according to the second comparative example REF2 is smaller than the reference impedance Z base , and the reference impedance Z base ) is adjacent.

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2 노이즈필터부(120)는 접지 인덕터(121)에 병렬로 연결된 접지 커패시터(122)를 더 포함하므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2 노이즈필터부(120)의 임피던스(|ZNF2| of EM)는 접지 커패시터(122)에 의해 감소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since the second noise filter unit 1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ground capacitor 122 connected in parallel to the ground inductor 121, the second noise filter unit 1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ground capacitor 122 connected in parallel to the ground inductor 121. The impedance (|Z NF2 | of EM) of the part 120 may be reduced by the grounding capacitor 122 .

이에 따라, 30MHz 이상의 고주파 영역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2 노이즈필터부(120)의 임피던스(|ZNF2| of EM)는 기준 임피던스(Zbase) 뿐만 아니라, 섀시 커패시터(51)의 임피던스(Zch)보다도 작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Accordingly, in a high frequency region of 30 MHz or higher, the impedance (|Z NF2 | of EM) of the second noise filter unit 1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only the reference impedance (Z base ), but also the chassis capacitor 51 . It can be seen that it is smaller than the impedance (Z ch ) of

앞서 개진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EMI 필터(100) 및 제 2 비교예에 따른 EMI 필터(REF2)는 제 1 비교예(REF1)와 달리 제 3 라인(23')에 배치된 접지 인덕터(121)를 포함한다. As described above, the EMI filter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EMI filter REF2 according to the second comparative example are disposed on the third line 23', unlike the first comparative example REF1. a grounded inductor 121 .

그러므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30MHz 이하의 영역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EM) 및 제 2 비교예(REF)에 따른 공통모드 전도노이즈(CM CE; Common Mode Conducted Noise)는 제 1 비교예(REF1)보다 감소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Therefore, as shown in FIG. 9, in the region of 30 MHz or less, the common mode conducted noise (CM CE)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EM) and the second comparative example (REF)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second 1 It can be seen that the decrease compared to Comparative Example (REF1).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EMI 필터(100)는 제 2 비교예(REF2)와 달리 접지 인덕터(121)에 병렬로 연결된 접지 커패시터(122)를 더 포함한다. 이에 따라, 제 3 라인(23')에 연결된 제 2 노이즈필터부(120)의 임피던스가 커지는 것이 방지될 수 있으므로, 제 2 전류 경로(CP2)의 전류 크기가 제 1 전류 경로(CP1)의 전류 크기보다 커지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EMI filter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ground capacitor 122 connected in parallel to the ground inductor 121 unlike the second comparative example REF2.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impedance of the second noise filter unit 120 connected to the third line 23' from increasing, so that the magnitude of the current of the second current path CP2 is the current of the first current path CP1. Oversize can be prevented.

이에 따라,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30MHz 이상의 고주파 영역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EM)에 따른 차동모드 전도노이즈(DP noise)는 제 2 비교예(REF2)보다 낮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30MHz 이상의 고주파 영역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EM)에 따른 차동모드 전도노이즈(DP noise)는 제 2 노이즈필터부를 포함하지 않는 구조의 제 1 비교예(REF1)와 유사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Accordingly, as shown in FIG. 10 , in a high frequency region of 30 MHz or higher,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differential mode conduction noise (DP noise)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ower than that of the second comparative example (REF2). . In particular, in the high frequency region of 30 MHz or higher, it can be seen that the differential mode conduction noise (DP nois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imilar to the first comparative example (REF1) of the structure not including the second noise filter unit. have.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EMI 필터(100)는 전도노이즈를 저감하면서도, 방사노이즈의 증가를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EMI filte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of preventing an increase in radiation noise while reducing conduction noise.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EMI 필터(100)의 접지 커패시터(122)의 커패시턴스는 제 2 노이즈필터부(ZNF2)가 기준 임피던스(Zbase)보다 작은 조건을 만족하는 범위에서 선택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capacitance of the ground capacitor 122 of the EMI filte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elected within a range that satisfies the condition that the second noise filter unit Z NF2 is smaller than the reference impedance Z base . can

도 11은 제 2 비교예와 본 발명의 제 1, 제 2 및 제 3 실시예 각각에 따른 제 2 노이즈필터부의 임피던스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제 1 및 제 2 비교예와 본 발명의 제 1, 제 2 및 제 3 실시예 각각에 따른 공통모드 전도노이즈 전류를 나타낸 도면이다.11 is a view showing the impedance of the second noise filter unit according to the second comparative example and the first, second, and thir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respectively. 12 is a view showing common mode conducted noise currents according to Comparative Examples 1 and 2 and Examples 1, 2, and 3 of the present invention, respectively.

도 11 및 도 12에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EM1)는 접지 커패시터(122)의 커패시턴스가 100pF인 경우이고,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EM2)는 접지 커패시터(122)의 커패시턴스가 200pF인 경우이며,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EM3)는 접지 커패시터(122)의 커패시턴스가 300pF인 경우를 나타낸다.11 and 12, in the first embodiment (EM1)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apacitance of the grounding capacitor 122 is 100pF, and in the second embodiment (EM2)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apacitance of the grounding capacitor 122 is 200pF, and in the third embodiment EM3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apacitance of the ground capacitor 122 is 300pF.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지 커패시터(122)의 커패시턴스가 100pF인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EM1)에 따르면, 제 2 노이즈필터부(120)의 임피던스(|ZNF2| of EM1)는 기준 임피던스(Zbase)의 약 1/10으로 도출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11 ,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EM1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capacitance of the ground capacitor 122 is 100 pF, the impedance (|Z NF2 | of EM1) of the second noise filter unit 120 is It can be seen that it is derived as about 1/10 of the reference impedance (Z base ).

그리고, 접지 커패시터(122)의 커패시턴스가 200pF인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EM2)에 따르면, 제 2 노이즈필터부(120)의 임피던스(|ZNF2| of EM2)는 기준 임피던스(Zbase)의 약 1/20으로 도출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And,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EM2)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capacitance of the ground capacitor 122 is 200 pF, the impedance (|Z NF2 | of EM2) of the second noise filter unit 120 is the reference impedance (Z base ) It can be seen that it is derived by about 1/20 of

또한, 접지 커패시터(122)의 커패시턴스가 300pF인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EM3)에 따르면, 제 2 노이즈필터부(120)의 임피던스(|ZNF2| of EM3)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ZNF2| of EM2)보다 작은 값으로 도출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EM3)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capacitance of the ground capacitor 122 is 300 pF, the impedance (|Z NF2 | of EM3) of the second noise filter unit 120 is It can be confirmed that it is derived with a smaller value than the example (|Z NF2 | of EM2).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제 1 내지 제 3 실시예에 따른 제 2 노이즈필터부(120)의 임피던스(|ZNF2| of EM1, EM2, EM3)는 기준 임피던스(Zbase)보다 작고, 특히 접지 커패시터(122)를 포함하지 않는 구조의 제 2 비교예(REF2)보다 작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impedances |Z NF2 | of EM1, EM2, EM3 of the second noise filter unit 120 according to the first to thir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smaller than the reference impedance Z base , and in particular, the ground It can be seen that the structure is smaller than that of the second comparative example REF2 in which the capacitor 122 is not included.

또한, 본 발명의 제 1 내지 제 3 실시예와 같이, 접지 커패시터(122)의 커패시턴스가 100pF~300pF의 범위 중 큰 값일수록, 제 2 노이즈필터부(120)의 임피던스(|ZNF2| of EM1, EM2, EM3)가 작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Also, as in the first to thir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s the capacitance of the grounding capacitor 122 increases in the range of 100pF to 300pF, the impedance (|Z NF2 | of EM1) of the second noise filter unit 120 increases. , EM2, EM3) can be seen to decrease.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30MHz ~ 100MHz의 고주파 영역에서, 본 발명의 제 1, 제 2 및 제 3 실시예(EM1, EM2, EM3)에 따른 공통모드 전도노이즈 전류(ICM)는 접지 인덕터(121)만을 포함하는 구조의 제 2 비교예(REF2)보다 작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12, in the high-frequency region of 30 MHz to 100 MHz, the common mode conducted noise current (I CM ) according to the first, second, and third embodiments (EM1, EM2, EM3)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ground inductor It can be seen that the structure including only (121) is smaller than that of the second comparative example (REF2).

특히, 30MHz ~ 100MHz의 고주파 영역에서, 제 2 및 제 3 실시예(EM2, EM3)에 따른 공통모드 전도노이즈 전류(ICM)는 제 2 노이즈필터부(120)를 포함하지 않는 구조의 제 1 비교예(REF1)와 유사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In particular, in the high-frequency region of 30 MHz to 100 MHz, the common mode conducted noise current I CM according to the second and third embodiments EM2 and EM3 is the first of the structure that does not include the second noise filter unit 120 . A similar thing to the comparative example (REF1) can be confirmed.

다만, 제 1 실시예(EM1)의 경우, 30MHz 영역에서, 공통모드 전도노이즈 전류(ICM)가 제 2 비교예(REF2)와 유사하게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However, in the case of the first embodiment (EM1), in the 30 MHz region, it can be seen that the common mode conduction noise current (I CM ) is similar to that of the second comparative example (REF2).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EMI 필터(100)의 제 2 노이즈필터부(120)의 접지 커패시터(122)는 접지 인덕터(121)의 임피던스를 상쇄하기 위해 100pF 내지 300pF의 커패시턴스를 가질 수 있다. 특히, 접지 커패시터(122)는 200pF 내지 300pF의 커패시턴스를 가질 수 있다.Accordingly, the ground capacitor 122 of the second noise filter unit 120 of the EMI filte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capacitance of 100 pF to 300 pF to offset the impedance of the ground inductor 121 . can In particular, the ground capacitor 122 may have a capacitance of 200 pF to 300 pF.

도 13은 도 1의 제 2 노이즈필터부에 대한 구현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13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implementation example of the second noise filter unit of FIG. 1 .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노이즈필터부(120)의 접지 인덕터(121)와 접지 커패시터(122)는 섀시(50) 외부에 배치된 기판(123)에 본딩될 수 있다. 13 , the ground inductor 121 and the ground capacitor 122 of the second noise filter unit 120 may be bonded to the substrate 123 disposed outside the chassis 50 .

일 예로, 접지 인덕터(121)는 1.15mm 지름의 와이어가 16mm 지름의 코어에 다수 회 감겨진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For example, the grounding inductor 121 may be formed in a form in which a wire having a diameter of 1.15 mm is wound multiple times on a core having a diameter of 16 mm.

접지 커패시터(122)는 접지 인덕터(121)와 함께 기판(123)에 본딩될 수 있다. 그리고, 접지 인덕터(121)에 병렬로 연결되는 접지 커패시터(122)는 복수 개로 마련될 수 있다. 이때, 복수 개의 접지 커패시터(122)는 상호 병렬로 연결될 수 있다.The ground capacitor 122 may be bonded to the substrate 123 together with the ground inductor 121 . In addition, a plurality of ground capacitors 122 connected in parallel to the ground inductor 121 may be provided. In this case, the plurality of ground capacitors 122 may be connected in parallel to each other.

기판(123)은 제 1 노이즈필터부(110)에 대응한 기판(미도시)과 별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기판(123)은 섀시(50) 외벽에 설치될 수 있다.The substrate 123 may be implemented separately from a substrate (not shown) corresponding to the first noise filter unit 110 . In addition, the substrate 123 may be installed on the outer wall of the chassis 50 .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아울러 앞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용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여 설명하지 않았을 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 또한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illustrated drawing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embodiments and drawings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and various methods can be obtain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obvious that variations can be made. In addition, although the effects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explicitly described and described while describing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natural that the effects predictable by the configuration should also be recognized.

10: 외부전원
L, N, G: 활성선, 중성선, 접지선
20: 전원입력부
21, 22, 23: 제 1, 제 2, 제 3 단자
21', 22', 23': 제 1, 제 2, 제 3 라인
30: 노이즈소스 40: 대지면 접지
50: 섀시 51: 섀시 커패시터
100: EMI 필터 110: 제 1 노이즈필터부
120: 제 2 노이즈필터부 121: 접지 인덕터
122: 접지 커패시터
CP1, CP2: 제 1, 제 2 전류 경로
10: external power
L, N, G: active wire, neutral wire, ground wire
20: power input unit
21, 22, 23: first, second, and third terminals
21', 22', 23': first, second, third line
30: noise source 40: earth ground
50: chassis 51: chassis capacitor
100: EMI filter 110: first noise filter unit
120: second noise filter unit 121: ground inductor
122: ground capacitor
CP1, CP2: first and second current paths

Claims (8)

외부전원이 입력되는 전원입력부와 노이즈소스 사이에 배치되는 EMI 필터에 있어서,
상기 전원입력부의 제 1 및 제 2 단자에 연결되는 제 1 노이즈필터부; 및
상기 전원입력부의 제 3 단자에 연결되고 상호 병렬로 연결되는 인덕터와 커패시터를 포함하는 제 2 노이즈필터부를 포함하는 EMI 필터.
In the EMI filter disposed between the power input unit to which external power is input and the noise source,
a first noise filter unit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terminals of the power input unit; and
and a second noise filter unit connected to the third terminal of the power input unit and including an inductor and a capacitor connected in parallel to each oth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단자는 대지면 접지(Earth ground)에 연결되고,
상기 노이즈소스 및 상기 제 1 노이즈필터부는 도전재료로 이루어진 섀시에 수납되며,
상기 제 2 노이즈필터부는 상기 섀시(chassis)와 상기 제 3 단자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섀시는 상기 제 3 단자를 통해 접지되는 EMI 필터.
The method of claim 1,
The third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earth ground,
The noise source and the first noise filter unit are accommodated in a chassis made of a conductive material,
The second noise filter unit is disposed between the chassis and the third terminal,
The chassis is an EMI filter grounded through the third terminal.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입력부의 상기 제 1, 제 2 및 제 3 단자에 대응한 제 1, 제 2 및 제 3 라인에 각각 접속되는 클램프부를 더 포함하는 EMI 필터.
3. The method of claim 2,
The EMI filter further comprising a clamp unit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first, second and third lines corresponding to the first, second and third terminals of the power input unit.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라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상기 제 3 라인을 포함하는 제 1 전류 경로의 임피던스는,
상기 제 1 및 제 2 라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상기 섀시와 상기 대지면 접지 사이의 기생 커패시턴스에 대응한 섀시 커패시터와, 상기 대지면 접지를 포함하는 제 2 전류 경로의 임피던스보다 작은 EMI 필터.
4. The method of claim 3,
The impedance of the first current path including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lines and the third line is,
An EMI filter smaller than an impedance of a second current path including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lines, a chassis capacitor corresponding to a parasitic capacitance between the chassis and the ground ground, and the ground ground.
제 4 항에 있어서,
30MHz 이상의 고주파영역에서 상기 제 2 노이즈필터부의 임피던스는 기준 임피던스보다 작고,
상기 기준 임피던스는 상기 제 3 라인에 접속된 클램프부의 임피던스와 상기 섀시 커패시터의 임피던스의 합으로 도출되는 EMI 필터.
5. The method of claim 4,
In a high frequency region of 30 MHz or higher, the impedance of the second noise filter unit is smaller than the reference impedance,
The reference impedance is an EMI filter derived from the sum of the impedance of the clamp unit connected to the third line and the impedance of the chassis capacitor.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노이즈필터부의 상기 커패시터의 커패시턴스는 100pF 내지 300pF인 EMI 필터.
6. The method of claim 5,
The capacitance of the capacitor of the second noise filter unit is 100pF to 300pF EMI filt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노이즈필터부는
상기 제 1 및 제 2 단자와 상기 노이즈소스 사이에 배치되는 공통모드 초크; 및
상기 공통모드 초크의 양단에 배치되는 한 상의 Y 커패시터를 포함하는 EMI 필터.
The method of claim 1,
The first noise filter unit
a common mode choke dispos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terminals and the noise source; and
An EMI filter including a one-phase Y capacitor disposed at both ends of the common mode chok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자는 상기 외부전원의 활성선(Live Line)에 대응하고,
상기 제 2 단자는 상기 외부전원의 중성선(Neutral Line)에 대응하며,
상기 제 3 단자는 상기 외부전원의 접지선(Ground Line)에 대응하는 EMI 필터.
The method of claim 1,
The first terminal corresponds to a live line of the external power source,
The second terminal corresponds to a neutral line of the external power source,
The third terminal is an EMI filter corresponding to a ground line of the external power source.
KR1020190165075A 2019-12-11 2019-12-11 Electro Magnetic Interference Filter KR10231786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5075A KR102317867B1 (en) 2019-12-11 2019-12-11 Electro Magnetic Interference Filt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5075A KR102317867B1 (en) 2019-12-11 2019-12-11 Electro Magnetic Interference Filt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4073A true KR20210074073A (en) 2021-06-21
KR102317867B1 KR102317867B1 (en) 2021-10-25

Family

ID=766000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5075A KR102317867B1 (en) 2019-12-11 2019-12-11 Electro Magnetic Interference Filt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17867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78537A (en) 2004-02-02 2005-08-05 엘지전자 주식회사 Electro magnetic interference filter
KR20110055924A (en) 2009-11-20 2011-05-26 삼성전기주식회사 Emi filter reducing conductive noise
KR20110064078A (en) * 2009-12-07 2011-06-15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Apparatus for supplying power
KR20190080613A (en) * 2017-12-28 2019-07-08 엘지전자 주식회사 Noise filte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78537A (en) 2004-02-02 2005-08-05 엘지전자 주식회사 Electro magnetic interference filter
KR20110055924A (en) 2009-11-20 2011-05-26 삼성전기주식회사 Emi filter reducing conductive noise
KR20110064078A (en) * 2009-12-07 2011-06-15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Apparatus for supplying power
KR20190080613A (en) * 2017-12-28 2019-07-08 엘지전자 주식회사 Noise filter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Sangyeong Jeong, et al., A Terminal Ground Filter between Cable and Chassis for Reduction of Conducted Emissions at a Home Appliance, 2018 IEEE Symposium on EMC, SI & PI (2018.10.18.)*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17867B1 (en) 2021-10-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404218B (en) Power conversion device
JP2014143821A (en) Noise reduction shield cable
US8228152B2 (en) Transforming device of power source and transformer thereof
US8941456B2 (en) EMI suppression with shielded common mode choke
JP5198497B2 (en) Power equipment
US8324980B2 (en)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mitigation system and method
JP6137602B2 (en) Noise suppression filter
JP6611999B1 (en) Air conditioner
KR102317867B1 (en) Electro Magnetic Interference Filter
US11777412B2 (en) Switching power supply apparatus for reducing common mode noise due to line-to-ground capacitances
JP6835082B2 (en) Power converter
JP2004356771A (en) Impedance improving unit, distribution board, distribution breaker, and receptacle box
US8988168B2 (en) Ground noise inductive filter
US10886857B1 (en) Inhibiting noise coupling across isolated power supplies
US10784678B1 (en) Damped PI-type filter Y-type capacitance network for radiated and conducted emission
CN104953802A (en) Electromagnetic compatibility filter
JP2009111961A (en) Audio device
EP0987813A2 (en) Filtering optimization of conducted disturbances
EP0641510A1 (en) Electrodeless discharge lamp including impedance matching and filter network
WO2023276796A1 (en) Switching power supply device
TW201921831A (en) Power supply device
US20230308023A1 (en) Switching power-supply unit
US20220029530A1 (en) Direct current (dc) bus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emi) filtering for power adapters
US20230308022A1 (en) Switching power-supply unit
CN209516205U (en) A kind of filter connector and high pressure unmasked bundle assemb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