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73836A - 에너지 자원 통합 운영 시스템 - Google Patents

에너지 자원 통합 운영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73836A
KR20210073836A KR1020190164543A KR20190164543A KR20210073836A KR 20210073836 A KR20210073836 A KR 20210073836A KR 1020190164543 A KR1020190164543 A KR 1020190164543A KR 20190164543 A KR20190164543 A KR 20190164543A KR 20210073836 A KR20210073836 A KR 202100738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site
integrated
equipment
data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45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진선
Original Assignee
오씨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씨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오씨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645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73836A/ko
Publication of KR202100738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383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6Energy or water suppl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10/00Systems supporting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4S10/40Display of information, e.g. of data or contro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10/00Systems supporting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4S10/50Systems or methods supporting the power network operation or management, involving a certain degree of interaction with the load-side end user applic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10/00Systems supporting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4S10/50Systems or methods supporting the power network operation or management, involving a certain degree of interaction with the load-side end user applications
    • Y04S10/52Outage or fault management, e.g. fault detection or locat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에너지 자원 통합 운영 시스템에 대한 것으로서, 특히 클라우드 서버를 이용하여 사이트를 통합 운영하는 에너지 자원 통합 운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클라우드를 통해 발전자원의 데이터를 모아 빅데이터를 구성하고 이 데이터를 기반으로 통합모니터링뿐만 아니라 고장예측 및 관리, 수명 예측, 발전량 예측 등 다양한 서비스를 개발하여 상위 시스템에 적용 시 하위 자원은 데이터의 제공만으로 상위에 모든 서비스를 별도의 설치 없이 이용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클라우드 데이터베이스를 기반으로 하여 발전자원의 증가에 따른 서버확장에 유연한 대처가 가능하다.

Description

에너지 자원 통합 운영 시스템{ENERGY RESOURCES INTEGRATED OPERATING SYSTEM}
본 발명은 에너지 자원 통합 운영 시스템에 대한 것으로서, 특히 클라우드 서버를 이용하여 사이트를 통합 운영하는 에너지 자원 통합 운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전력계통이 분산화되며 다양한 소규모 발전자원이 전력계통에 연결되고 있다. 이러한 소규모 발전자원은 전력거래소에서 관리하지 않기 때문에 전력계통에 악영향을 끼칠 수 있다. 이러한 상황을 해결하고자 전력거래소는 태양광발전, 풍력발전, ESS에 한하여 소규모전력거래시장을 개설하였다. 현재 소규모전력중개시장은 관리하고 있는 신재생에너지 자원의 설치 용량을 합산하여 전력거래소에 제출하는 방식으로 운영되고 있다. 하지만, 소규모전력중개시장이 가상발전소로 발전하여 신재생에너지 자원뿐만 아니라 소규모 화력발전소, 수요자원 등 다양한 형태의 발전자원을 포함하게 될 경우 이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고 더 나아가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통합 운영 시스템이 필요하다.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제10-1806467호(2017.12.01.등록)
본 발명의 목적은 사이트를 통합 운영할 수 있는 에너지 자원 통합 운영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서버확장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는 에너지 자원 통합 운영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에너지 자원 통합 운영 시스템은, 태양광 발전소와 풍력발전소 및 ESS(Energy Storage System)를 포함하는 다수의 사이트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여 통합 운영하는 시스템으로서, 데이터를 수집하여, 다수의 사이트마다 사이트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하여 데이터를 저장하고, 다수의 사이트의 데이터를 통합하여 통합 사이트 데이터베이스에 통합 사이트 데이터로 저장하는 클라우드 서버와, 클라우드 서버로부터 통합 사이트 데이터와 사이트 데이터를 수신하여 사이트를 통합 운영하는 플랫폼을 포함한다.
사이트는 태양광 발전소와 풍력발전소 및 ESS를 구성하는 장비, 및 장비들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데이터 수신기, 데이터 수신기에서 수집한 데이터를 표준 프로토콜로 변환하는 표준 프로토콜 변환기, 표준 프로토콜 변환기에서 변환된 데이터를 클라우드 서버에 전송하는 데이터 송신기를 가지는 엣지 컴퓨터를 포함한다.
플랫폼은, 클라우드 서버로부터 사이트 데이터와 통합 사이트 데이터를 수신하는 입출력기와, 사이트 데이터와 통합 사이트 데이터를 기반으로 장비의 수명을 예측하는 수명 예측기, 사이트 데이터와 통합 사이트 데이터를 기반으로 장비의 고장을 진단하는 고장 진단기, 사이트 데이터와 통합 사이트 데이터를 기반으로 장비의 발전량을 예측하는 발전 예측기를 포함한다.
플랫폼은 사용자로부터 서비스 추가 정보를 입력받아 서비스를 추가하는 서비스 추가기를 더 포함하며, 서비스 추가기는 서비스 추가 정보에 따라 클라우드 서버에 필요한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하거나, 사이트 데이터베이스와 통합 사이트 데이터베이스에서 필요한 데이터를 수신하여 플랫폼에 서비스를 추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에너지 자원 통합 운영 시스템은 클라우드를 통해 발전자원의 데이터를 모아 빅데이터를 구성하고 이 데이터를 기반으로 통합모니터링뿐만 아니라 고장예측 및 관리, 수명 예측, 발전량 예측 등 다양한 서비스를 개발하여 상위 시스템에 적용 시 하위 자원은 데이터의 제공만으로 상위에 모든 서비스를 별도의 설치 없이 이용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에너지 자원 통합 운영 시스템은 클라우드 데이터베이스를 기반으로 하여 발전자원의 증가에 따른 서버확장에 유연한 대처가 가능하다.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에너지 자원 통합 운영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에너지 자원 통합 운영 시스템에서 사이트의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에너지 자원 통합 운영 시스템에서 XML 표준 프로토콜의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에너지 자원 통합 운영 시스템에서 구 범위 종합 정보 표출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에너지 자원 통합 운영 시스템에서 사이트의 종합정보 표출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에너지 자원 통합 운영 시스템에서 태양광발전소와 ESS의 종합정보 표출 예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에너지 자원 통합 운영 시스템에서 사이트의 발전이력 정보 표출 예시도이다.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에너지 자원 통합 운영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에너지 자원 통합 운영 시스템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사이트(100)로부터 데이터는 수신하는 클라우드 서버(200)와, 클라우드 서버(200)로부터 데이터를 전달받아 통합 관리 및 운영하는 플랫폼(300)을 포함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에너지 자원 통합 운영 시스템에서 사이트의 블록도이다.
다수의 사이트(100)는 각각의 지역 발전소를 의미하며, 본 실시예는 지역 발전소로 태양광 발전소를 예시한다. 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사이트(100)는 태양광 발전소뿐만 아니라, 풍력 발전소, ESS(Energy Storage Syste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에 따라, 다수의 사이트(100)에 포함된 장비(120)들은 태양광 발전소나 풍력 발전소, ESS 등에 구비된 장비(120)들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다수의 사이트(1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장비(120)와, 다수의 장비(120)와 연결된 엣지 컴퓨터(110)를 포함한다.
다수의 장비(120)는 해당 발전소에 구비된 장비(120)를 의미하며, 본 실시예에서 다수의 장비(120)는 태양전지 어레이와, 중계단자함, 인버터, 화재 감시 장치 등을 포함하는 것을 예시한다.
엣지 컴퓨터(110)는 해당 지역 발전소로부터 데이터를 수집하여 클라우드 서버(200)에 전송한다. 이를 위해서, 엣지 컴퓨터(110)는 각각의 장비(120)들로부터 데이터를 수집하는 데이터 수신기(111)와, 데이터 수신기(111)를 통해 수집된 데이터를 변환하는 XML 표준 프로토콜 변환기(112), 데이터 수신기(111)에서 수집된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장치(113), XML 표준 프로토콜 변환기(112)에서 변환된 데이터를 클라우드 서버(200)로 전송하는 데이터 송신기(114), 및 데이터 수신기(111)와 XML 표준 프로토콜 변환기(112), 저장장치(113) 및 데이터 송신기(114)를 제어하는 제어기(115)를 포함한다.
데이터 수신기(111)는 지역 발전소의 각 장비(120)들로부터 데이터를 수집한다. 여기서, 지역 발전소는 태양전지 어레이와, 중계단자함, 인버터, 화재 감시 장치, ESS 등의 장비(120)로 구성되며, 이에 따라 데이터 수신기(111)를 통해 수집되는 데이터는 장비 종류 데이터와, 장비 모니터링 데이터, 장비 고장 데이터를 포함한다. 장비 종류 데이터는 해당 장비의 종류, 즉, 이름을 포함하며, 장비 모니터링 데이터는 장비 교체 시기 데이터, 장비 작동 시간 데이터, 장비 온도 데이터, 발전량 데이터 등을 포함한다. 또한, 장비 고장 데이터는 장비(120)의 고장 유무를 나타낸다. 또한, 장비 모니터링 데이터는 배터리 수명 예측 데이터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배터리 외에도 각 장비(120)들의 수명 예측 데이터를 포함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에너지 자원 통합 운영 시스템에서 XML 표준 프로토콜의 예시도이다.
XML 표준 프로토콜 변환기(112)는 데이터 수신기(111)에서 수신된 데이터를 클라우드 서버(200)에 맞도록 변환한다. 이를 위해서, XML 표준 프로토콜 변환기(112)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XML 표준 프로토콜에 따라 데이터를 변환한다. 보다 상세하게, XML 표준 프로토콜 변환기(112)는 사이트(100) 이름을 설정하고 해당 사이트(100)의 장비(120) 이름과 해당 장비(120)에서 수집해야 하는 데이터를 정의한다. XML 표준 프로토콜이 정의되면 알고리즘은 XML 표준 프로토콜에 따라 각 장비(120)에서 데이터를 수집하고 전처리 수행 후 XML 표준 프로토콜에서 정의한 구조대로 사이트(100) 이름과 장비(120) 이름을 바탕으로 ID를 부여하여 데이터 송신기(114)로 전달한다.
저장장치(113)는 데이터 수신기(111)에서 수집된 데이터를 저장한다. 즉, 저장장치(113)는 사이트(100)의 데이터를 백업하는 용도이며, 저장장치(113)에 저장되는 데이터는 실시간으로 데이터베이스화되어 저장될 수 있다.
데이터 송신기(114)는 XML 표준 프로토콜 변환기(112)를 통해 변환된 데이터를 클라우드 서버(200)에 전송한다.
제어기(115)는 사이트(100)의 장비(120)들을 제어한다.
클라우드 서버(200)는 엣지 컴퓨터(110)에서 전송된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관리하며, 엣지 컴퓨터(110)의 데이터를 플랫폼(300)에 제공한다. 이를 위해서, 클라우드 서버(200)는 사이트 데이터베이스(220)와 통합 사이트 데이터베이스(210)를 포함한다.
사이트 데이터베이스(220)는 각각의 사이트(100)에서 수신된 데이터, 즉, 사이트(100)의 장비(120) 종류 데이터와 장비(120) 모니터링 데이터 및 장비 고장 데이터를 저장한다. 여기서, 사이트 데이터베이스(220)는 사이트(100)마다 할당되며, 예를 들어, 사이트(100)가 5개일 경우 사이트 데이터베이스(220) 역시 5개가 생성된다.
통합 사이트 데이터베이스(210)는 사이트 데이터를 통합하여 저장한다. 통합 사이트 데이터베이스(210)는 통합 장비 모니터링 데이터베이스와 통합 배터리 수명 예측 데이터베이스, 통합 장비 고장 데이터베이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통합 장비 모니터링 데이터베이스는 사이트(100)의 장비 모니터링 데이터베이스를 통합한 것이며, 통합 배터리 수명 예측 데이터베이스는 사이트 배터리의 수명 예측 데이터베이스를 통합한 것이다. 또한, 통합 장비 고장 데이터베이스는 각각의 사이트(100)들의 장비(120) 고장 정보를 통합한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사이트 데이터베이스(220)와 통합 사이트 데이터베이스(210)를 독립적으로 관리하여 통합 운영과 하위 자원의 서비스 이용 시 서로 간섭을 받지 않도록 한다.
플랫폼(300)은 클라우드 서버(200)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여 각 사이트(100)를 통합 운영한다. 이를 위해서, 플랫폼(300)은 클라우드 서버(200)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입출력기(310)와, 입출력기(310)로 수신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사이트(100)의 수명을 예측하는 수명 예측기(320), 입출력기(310)로 수신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사이트(100)의 고장 여부를 진단하는 고장 진단기(330), 입출력기(310)로 수신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사이트(100)의 발전량을 예측하는 발전 예측기(340), 및 새로운 서비스를 추가하는 서비스 추가기를 포함한다. 여기서, 입출력기(310)는 네트워크 입출력 장치로서 Web HMI를 포함할 수 있다.
수명 예측기(320)는 클라우드 서버(200)에서 전송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사이트(100) 장비(120)의 수명을 예측한다. 본 실시예는 배터리 수명 예측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는 장비(120) 수명 예측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사이트(100) 장비(120)의 수명을 예측할 수 있다. 물론, 이 경우, 수명 예측기(320)는 장비 수명 예측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필요한 장비(120)의 수명 예측 데이터를 획득하여 표시하는 것이다. 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수명 예측기(320)는 장비 작동 시간 데이터와 장비 온도 데이터, 발전량 데이터 및 장비 고장 데이터를 기반으로 해당 장비(120)의 수명을 예측할 수도 있다. 이는 예를 들어, 장비 작동 시간이 길수록, 장비 온도가 장비(120)의 정상 운용 범위를 벗어날수록, 발전량이 많을수록, 장비 고장률이 높을수록 초기 장비(120) 수명에서 낮아지도록 하되, 장비 작동 시간과 장비 온도, 발전량 및 장비 고장률순으로 가중치를 낮게 적용하여 장비(120) 수명을 예측할 수도 있다.
고장 진단기(330)는 사이트(100) 장비(120)의 고장 여부를 진단한다. 본 실시예는 장비 고장 데이터를 기반으로 사이트(100) 장비(120)의 고장 여부를 진단하는 것을 예시한다. 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은 장비 모니터링 데이터를 기반으로 장비 고장 유무를 판단할 수도 있다.
발전 예측기(340)는 사이트(100)의 발전량을 예측한다. 본 실시예는 발전 예측기(340)가 발전량 데이터를 기반으로 발전량을 예측하는 것을 예시한다. 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은 발전 예측기(340)가 발전량 데이터와 장비 고장 데이터를 기반으로 사이트(100)의 향후 발전량을 예측할 수도 있다. 이는 예를 들어, 특정 기간 동안의 발전량을 평균하고, 해당 특정 기간동안의 발전량 평균값에 해당 장비(120)의 장비 고장률에 따른 발전량을 감가하여 향후 발전량을 예측할 수 있다.
서비스 추가기는 사용자로부터 서비스 추가 정보를 입력받아 서비스를 추가한다. 여기서, 서비스는 전술된 수명 예측기(320)나 고장 진단기(330) 등을 의미하며, 본 발명은 서비스 추가기가 사용자로부터 서비스 추가 정보를 입력받으면, 입력받은 서비스 추가 정보에 따라 클라우드 서버(200)에 필요한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하거나 이미 존재하는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여 플랫폼(300)이 추가 서비스를 동작시키도록 한다. 본 발명은 클라우드 서버(200)를 적용하므로 상위 시스템인 플랫폼(300)에 서비스를 추가하는 것만으로 하위 자원인 클라우드 서버(200) 내에 개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사용하여 별도의 설치나 업데이트 없이 플랫폼(300)에 추가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다.
종래 기술의 경우 운영 데이터를 발전자원이 설치되어 있는 곳의 로컬 서버에 저장하고 이 데이터를 통신을 통하여 모니터링하는 방식이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방안은 단일 자원의 모니터링만 가능하며 데이터 관리환경이 열악하여 데이터를 모아 활용하기 어렵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IDC 센터에 서버를 두고 통신을 통하여 다수의 발전자원 데이터를 모아 저장하는 방안이 제시되었지만 모니터링에만 국한되어 있으며, 이러한 서버를 구성할 경우 발전자원이 늘어남에 따른 서버확장에 유연하게 대응하기 어렵다. 하지만, 본 발명은 클라우드 서버(200)를 통해 발전자원의 데이터를 모아 구성한 빅데이터로 통합모니터링뿐만 아니라 고장예측 및 관리, 수명 예측 등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클라우드 서버(200)를 이용하여 서버확장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에너지 자원 통합 운영 시스템에서 구 범위 종합 정보 표출 예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지도에서 선택한 지역에서 구 범위의 종합 정보를 표출할 수 있다.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도에서 서울특별시를 선택하면, 서울특별시의 종합정보와, 서울특별시에 속한 강남구와 서초구, 마포구 등 각각의 구 단위에 대한 종합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종합 정보는 태양광발전량과 충전량, 방전량 정보 등을 포함한다. 또한, 지도에서 구 단위를 선택할 경우 해당 구의 종합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이는 예를 들어, 영등포구를 선택할 경우, 영등포구의 태양광발전량과 충전량, 발전량을 표시하며, 영등포구 내에 위치한 건물 내의 발전량을 표시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에너지 자원 통합 운영 시스템에서 사이트의 종합정보 표출 예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구 단위에서 특정 사이트를 선택하면 해당 사이트의 종합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등포구에서 IFC빌딩을 선택하면, 해당 빌딩의 태양광 발전소의 종합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표시되는 종합정보는 설치용량과 현재발전량, 통신상태, 고장상태 등을 포함한다.
만약 사이트가 ESS일 경우 해당 ESS의 종합정보도 표시할 수 있다. 이는예를 들어, IFC빌딩에 ESS가 설치되어 있을 때 IFC빌딩을 선택하면 IFC빌딩에 설치된 ESS의 종합정보를 표시함으로써 수행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에너지 자원 통합 운영 시스템에서 태양광발전소와 ESS의 종합정보 표출 예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사이트에 태양광발전소와 ESS가 모두 설치되어 있을 경우 태양광발전소와 ESS의 종합정보를 모두 표출할 수 있다. 즉, 태양광발전소의 설치용량과 현재발전량, 통신상태 및 고장상태를 표시하고, ESS의 설치용량과 운전상태, 통신상태 및 고장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특정 사이트를 검색하거나 선택하여 해당 사이트의 고장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고장정보는 리스트로 표시될 수 있으며, 고장장비 이름과 고장상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물론, 특정 사이트를 검색하거나 선택하지 않고 모든 사이트의 고장정보를 표시할 수도 있다. 이 경우, 고장정보는 사이트 이름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은 사이트의 동작 정보를 표출할 수 있으며, 여기서, 동작 정보는 전술된 장비 종류 데이터와 장비 작동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에너지 자원 통합 운영 시스템에서 사이트의 발전이력 정보 표출 예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사이트의 발전이력을 표시할 수 있다. 이는 장비 작동 데이터에 포함된 발전량 데이터를 이용하여 표시할 수 있으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간의 흐름에 따른 발전량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발전이력 표시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기간동안만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사이트에 포함된 다수의 장비 중 데이터를 보고 싶은 장비를 선택하여 표출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클라우드를 통해 발전자원의 데이터를 모아 빅데이터를 구성하고 이 데이터를 기반으로 통합모니터링뿐만 아니라 고장예측 및 관리, 수명 예측, 발전량 예측 등 다양한 서비스를 개발하여 상위 시스템에 적용 시 하위 자원은 데이터의 제공만으로 상위에 모든 서비스를 별도의 설치 없이 이용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클라우드 데이터베이스를 기반으로 하여 발전자원의 증가에 따른 서버확장에 유연한 대처가 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아울러 앞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용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여 설명하지 않았을 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 또한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100: 사이트 110: 엣지 컴퓨터
111: 데이터 수신기 112: XML 표준 프로토콜 변환기
113: 저장장치 114: 데이터 송신기
115: 제어기 120: 장비
200: 클라우드 서버 210: 통합 사이트 데이터베이스
220: 사이트 데이터베이스 300: 플랫폼
310: 입출력기 320: 수명 예측기
330: 고장 진단기 340: 발전 예측기

Claims (4)

  1. 태양광 발전소와 풍력발전소 및 ESS(Energy Storage System)를 포함하는 다수의 사이트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여 통합 운영하는 시스템으로서,
    상기 데이터를 수집하여, 상기 다수의 사이트마다 사이트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하여 상기 데이터를 저장하고, 상기 다수의 사이트의 상기 데이터를 통합하여 통합 사이트 데이터베이스에 통합 사이트 데이터로 저장하는 클라우드 서버와,
    상기 클라우드 서버로부터 통합 사이트 데이터와 사이트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사이트를 통합 운영하는 플랫폼을 포함하는 에너지 자원 통합 운영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트는 태양광 발전소와 풍력발전소 및 ESS를 구성하는 장비, 및
    상기 장비들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데이터 수신기, 데이터 수신기에서 수집한 데이터를 표준 프로토콜로 변환하는 표준 프로토콜 변환기, 표준 프로토콜 변환기에서 변환된 데이터를 상기 클라우드 서버에 전송하는 데이터 송신기를 가지는 엣지 컴퓨터를 포함하는 에너지 자원 통합 운영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플랫폼은,
    상기 클라우드 서버로부터 상기 사이트 데이터와 상기 통합 사이트 데이터를 수신하는 입출력기와,
    상기 사이트 데이터와 상기 통합 사이트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장비의 수명을 예측하는 수명 예측기,
    상기 사이트 데이터와 상기 통합 사이트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장비의 고장을 진단하는 고장 진단기,
    상기 사이트 데이터와 상기 통합 사이트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장비의 발전량을 예측하는 발전 예측기를 포함하는 에너지 자원 통합 운영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플랫폼은 사용자로부터 서비스 추가 정보를 입력받아 서비스를 추가하는 서비스 추가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서비스 추가기는 상기 서비스 추가 정보에 따라 상기 클라우드 서버에 필요한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하거나, 상기 사이트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통합 사이트 데이터베이스에서 필요한 데이터를 수신하여 플랫폼에 서비스를 추가하는 에너지 자원 통합 운영 시스템.
KR1020190164543A 2019-12-11 2019-12-11 에너지 자원 통합 운영 시스템 KR2021007383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4543A KR20210073836A (ko) 2019-12-11 2019-12-11 에너지 자원 통합 운영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4543A KR20210073836A (ko) 2019-12-11 2019-12-11 에너지 자원 통합 운영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3836A true KR20210073836A (ko) 2021-06-21

Family

ID=766000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4543A KR20210073836A (ko) 2019-12-11 2019-12-11 에너지 자원 통합 운영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7383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5603B1 (ko) * 2022-07-06 2023-02-06 주식회사 빅토리지 Ess 설비 데이터 자동 맵핑과 클라우드 연동을 위한 게이트웨이 엔진을 탑재한 전력 관리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06467B1 (ko) 2016-01-14 2017-12-08 한국남동발전 주식회사 다수의 지역 발전소들의 통합관리 운영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06467B1 (ko) 2016-01-14 2017-12-08 한국남동발전 주식회사 다수의 지역 발전소들의 통합관리 운영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5603B1 (ko) * 2022-07-06 2023-02-06 주식회사 빅토리지 Ess 설비 데이터 자동 맵핑과 클라우드 연동을 위한 게이트웨이 엔진을 탑재한 전력 관리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US11968061B2 (en) 2022-07-06 2024-04-23 Bigtorage CO., LTD. Power management system having gateway engine and driving method thereof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181144B (zh) 微电网控制系统
JP5802463B2 (ja) 電気量調整装置、電気量調整方法、電気量調整プログラム及び電力供給システム
CN102902245B (zh) 一种光伏电站智能监控系统
US20130046415A1 (en) Programmable power management controller
KR102544181B1 (ko) 디지털 트윈 기반의 분산 자원 및 전력 계통 운영 계획 시스템 및 운영 계획 방법
Mohsenian-Rad et al. Energy-information transmission tradeoff in green cloud computing
WO2013023178A1 (en) Adaptive stochastic controller for dynamic treatment of cyber-physical systems
CN101682195A (zh) 电力系统
KR102063383B1 (ko) 분산 자원 통합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130029887A (ko) 클라우드 기반 스마트 그리드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스마트 미터링 방법
KR101927759B1 (ko) 태양광에너지 발전시스템의 최적 제어시스템
US11588328B2 (en) Energy supply system and method for plurality of grids for energy demand from supply resource
Devidas et al. High performance communication architecture for smart distribution power grid in developing nations
US11784892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event assignment of dynamically changing islands
KR20200068773A (ko) LoRa 자가망 기반 양방향 태양광 발전 통합관제 시스템
CN113169709A (zh) 基于机器学习的太阳能发电控制系统及方法
JP7452013B2 (ja) 電力運用システム
JP2014512157A (ja) 複数のローカル電力ネットワークへの電力供給の集中管理
KR20210073836A (ko) 에너지 자원 통합 운영 시스템
Verba et al. The energy revolution: cyber physical advances and opportunities for smart local energy systems
JP7178429B2 (ja) 電力供給方法及び電力管理装置
Andolšek et al. Flexibility and optimization services validation in a microgrid
JP6604373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WO201404076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a local control of an energy resource
US20220352715A1 (en) Monitoring installation and monitoring system for monitoring and/or controlling at least one electrical parameter in an electrical supply system, and computer program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