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73018A - Air management apparatus - Google Patents
Air management apparatu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10073018A KR20210073018A KR1020190163436A KR20190163436A KR20210073018A KR 20210073018 A KR20210073018 A KR 20210073018A KR 1020190163436 A KR1020190163436 A KR 1020190163436A KR 20190163436 A KR20190163436 A KR 20190163436A KR 20210073018 A KR20210073018 A KR 2021007301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ir
- filter
- cleaner
- housing
- duct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7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0000033001 locomo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19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97
- 238000007726 management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68
- 230000003028 elev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65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4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9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1
- 239000003638 chemical reduc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9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9000012530 fl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7665 sag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5000019645 odor Nutrition 0.000 description 5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5489 elastic deform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7373 indent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2023 woo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1877 deodoriz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9413 ins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2245 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630 ri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OKTJSMMVPCPJKN-UHFFFAOYSA-N Carbon Chemical compound [C] OKTJSMMVPCPJK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973 liquid crystal related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9467 re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653 Brownian motion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41000196324 Embryophyt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4000007853 Sarothamnus scopari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459 approach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74 ascend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QVGXLLKOCUKJST-UHFFFAOYSA-N atomic oxygen Chemical compound [O] QVGXLLKOCUKJS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580 bacteri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37 brownian mo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461 desig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408 fil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9 ga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236 heating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810 insulating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500 ion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101150097603 let-502 gene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445 natur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60 oxyg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301 oxyge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28 plumb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045 prefil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062 sediment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179 sorption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409 thin fil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71—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with means for purifying supplied air
- F24F1/007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with means for purifying supplied air characterised by the mounting or arrangement of filte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22—Cleaning ducts or apparat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Flow Control Member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공기관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공기관리장치에서 사용되는 필터를 청구하는 필터청소기가 있는 공기관리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management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ir management apparatus having a filter cleaner claiming a filter used in the air management apparatus.
공기관리장치는 소정의 공간 내의 공기를 원하는 상태로 유지하여 그 공간에 있는 사람들에게 쾌적한 환경을 제공하는 것이다. 공기관리장치의 대표적인 예로서 공기조화기가 있다. 최근에는 공기의 온도 및 습도뿐만 아니라, 냄새, 먼지 등과 관련한 공기의 질까지도 원하는 조건으로 설정할 것이 요구되고 있다.The air management device maintains air in a predetermined space in a desired state to provide a comfortable environment for people in the space. An air conditioner is a typical example of an air management device. Recently, it is required to set not only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of the air, but also the quality of the air related to odor, dust, and the like to a desired condition.
이를 위해 공기조화기에는 필터가 사용된다. 필터는 공기조화기의 내부로 들어가는 먼지 등의 이물질을 걸러서 열교환기쪽으로 가지 못하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사용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필터에는 먼지와 이물질들이 많이 있게 되고, 이들 먼지와 이물질에 의해 공기의 유동이 방해받게 되는 문제가 생긴다.For this purpose, filters are used in air conditioners. A filter prevents foreign substances such as dust from entering the inside of the air conditioner from going to the heat exchanger. Therefore, as the use time elapses, there are a lot of dust and foreign substances in the filter, an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flow of air is blocked by these dust and foreign substances.
따라서, 사용자가 필터를 필요시 마다 교체해야 하는데, 적절한 시간마다 사용자가 필터를 교체하는 것은 어렵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 공기조화기에서 자동으로 필터를 필요시에 청소해주는 필터청소장치를 채용하고 있다.Accordingly, the user must replace the filter whenever necessary, and it is difficult for the user to replace the filter at an appropriate time. To solve this problem, a filter cleaning device that automatically cleans the filter when necessary is employed in the air conditioner.
선행문헌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8-0014591호는 스탠드형 공기조화기의 내부에 필터클리너를 설치하여 필터를 주기적으로 청소한다. 여기서는 연직방향으로 세워진 필터에 대해 필터클리너가 이동가능하게 되고 필터와 외관을 구성하는 흡입패널 사이에 필터클리너가 위치되어 필터의 표면에 필터클리너가 밀착된 상태로 청소를 한다.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08-0014591, which is a prior document, periodically cleans the filter by installing a filter cleaner inside the stand-type air conditioner. Here, the filter cleaner is movable with respect to the filter erec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filter cleaner is positioned between the filter and the suction panel constituting the exterior to clean the filter while the filter cleaner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surface of the filter.
그리고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9-0082732호는 천장형 공기조화기로서 외관을 구성하는 베이스패널의 내측에 필터의 청소를 위한 브러쉬조립체가 설치된다. 하지만, 여기서는 필터의 표면이 중력방향을 향하고 있고, 브러쉬조립체가 필터의 표면에 설치되어 중력을 받게 되어 처짐이 발생할 수 있다. 하지만, 베이스패널이 있어서 브러쉬조립체가 일정 이상 처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nd Korean Patent Laid-Open Patent No. 10-2009-0082732 discloses a ceiling-type air conditioner in which a brush assembly for cleaning a filter is installed inside a base panel constituting an exterior. However, here, the surface of the filter faces in the direction of gravity, and the brush assembly is installed on the surface of the filter to receive gravity, so sagging may occur. However,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brush assembly from sagging more than a certain level due to the presence of the base panel.
하지만, 필터청소장치가 자중에 의해 처질 수 있는 상태이면서도 필터청소장치가 외관 구조물에 의해 지지되지 않는 경우에는 필터청소장치 자중에 의해 처져서 필터와 밀착되지 못하게 되어 필터에 있는 이물질을 제대로 흡입하지 못하게 되어 이를 해소하기 위한 필요성이 있다.However, when the filter cleaning device is in a state where it can sag by its own weight and the filter cleaning device is not supported by the external structure, it sags by its own weight and cannot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filter, making it impossible to properly suction foreign substances in the filter. There is a need to solve this.
그리고, 선행문헌들에서는 필터를 교체하거나 유지보수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필터청소장치를 분리해야 하는 번거로운 점이 있었고, 필터청소장치가 외부로 드러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필터와 필터청소장치가 있는 부분을 차폐하여야 하므로 필터로 공기가 흡입되는 유동이 방해받게 되는 문제점도 있었다.And, in the prior literature, there was a cumbersome point that the filter cleaning device must be separated in order to replace or maintain the filter, and in order to prevent the filter cleaning device from being exposed to the outside, the filter and the filter cleaning device must be shielded. There was also a problem in that the flow in which the air was sucked in was disturbed.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필요성을 충족시키기 위한 것으로, 공기관리장치에서 클리너의 흡입구가 필터의 표면과 밀착되도록 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atisfy the above needs, so that the inlet of the cleaner in the air management device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surface of the filter.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공기관리장치에서 필터를 공기가 보다 원활하게 통과하도록 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llow air to more smoothly pass through a filter in an air management devic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공기관리장치에서 필터의 성능을 높여주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a filter in an air management devic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공기관리장치에서 필터유니트에 있는 필터의 취급이 보다 용이하도록 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facilitate handling of a filter in a filter unit in an air management system.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공기관리장치기에서 사용되는 클리너의 크기를 소형화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reduce the size of a cleaner used in an air management device.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에서는 공기관리장치의 하우징 바닥판에 설치된 클리너가 자중에 의해 처져 필터표면과의 틈새가 생기더라도 클리너흡입구에서 흡입력이 누설되는 것을 차단하는 누설차단부재를 사용하므로 클리너가 흡입력의 손실없이 필터의 먼지와 이물질을 확실하게 제거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the cleaner installed on the bottom plate of the housing of the air management device sags by its own weight and there is a gap with the filter surface, the suction power at the cleaner inlet is Since a leak blocking member is used to prevent leakage, the cleaner can reliably remove dust and foreign substances from the filter without loss of suction power.
본 발명의 일실시례에서는 누설차단부재로서 탄성쇄모가 사용되는데 탄성쇄모의 선단부는 필터의 표면에 탄성변형된 상태로 밀착되어 클리너가 자중에 의해 처지더라도 탄성변형정도만 달라질 뿐 클리너흡입구의 흡입력이 그대로 유지되도록 한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lastic bristle is used as a leakage blocking member, but the tip of the elastic bristle is closely adhered to the surface of the filter in an elastically deformed state, so that even if the cleaner sags by its own weight, only the degree of elastic deformation is changed, and the suction power of the cleaner suction port remains the same. to keep it
또한, 상기 필터는 필터프레임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하우징의 전면에 형성된 출입구를 통해 서랍식으로 입출되도록 하여, 클리너를 제거하지 않고도 필터를 유지보수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lter can be maintained without removing the cleaner by allowing the filter to enter and exit in a drawer-type manner through the doorway formed on the front side of the housing while seated on the filter frame.
상기 필터프레임에는 제1필터, 제2필터 및 제3필터가 적층되어 설치되는데, 상기 제1필터의 표면과 상기 클리너의 클리너흡입구가 마주보게 되어 제1필터 표면의 먼지와 이물질을 확실하게 제거한다.A first filter, a second filter and a third filter are stacked and installed on the filter frame, and the surface of the first filter and the cleaner inlet of the cleaner face each other to reliably remove dust and foreign substances from the surface of the first filter .
본 발명에서는 기 제1필터의 가장자리를 둘러서는 수납케이스가 구비되고, 상기 수납케이스 내의 수납공간에는 상기 제2필터와 제3필터가 적층되는데,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해 필터유니트를 보다 손쉽게 유지보수 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a storage case surrounding the edge of the first filter is provided, and the second filter and the third filter are stacked in the storage space in the storage case. With this structure, the filter unit can be maintained more easily. can
상기 클리너는 상기 하우징의 바닥판과 상기 하우징이 설치되는 거실 바닥의 사이의 공간에서 상기 하우징의 바닥판에 설치되는데, 이와 같은 구조에서는 클리너를 차폐하는 구조가 없어서 필터가 있는 흡입구로 공기 유동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The cleaner is installed on the bottom plate of the housing in a space between the bottom plate of the housing and the floor of the living room where the housing is installed. It works smoothly.
상기 클리너레일은 상기 클리너의 중앙을 가로질러 설치되어 상기 클리너의 바닥부에 형성되는 클리너흡입구를 분리하는데, 이와 같은 구조는 하나의 클리너흡입구의 유동단면적을 줄여서 흡입력 누설을 상대적으로 줄이고 클리너의 크기를 상대적으로 소형화할 수 있다.The cleaner rail is installed across the center of the cleaner and separates the cleaner inlet formed at the bottom of the cleaner. This structure reduces the flow cross-sectional area of one cleaner inlet to relatively reduce the suction power leakage and increase the size of the cleaner. It can be relatively miniaturized.
상기 클리너레일은 상기 하우징의 흡입구를 횡방향 중앙을 가로지르고 양단부가 하우징의 바닥판에 고정된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클리너의 중심이 하우징의 흡입구의 중심과 일치하게 되어 클리너의 크기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The cleaner rail traverses the center of the suction port of the housing, and both ends are fixed to the bottom plate of the housing. According to this structure, since the center of the cleaner coincides with the center of the suction port of the housing, the size of the cleaner can be minimized.
본 발명에서 상기 클리너레일은 상기 하우징의 흡입구 양단을 가로지르고 양단부가 하우징의 바닥판에 고정되고, 상기 클리너레일이 상기 클리너의 양단을 가로지르도록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따르면 흡입구의 영역에서 클리너레일이 공기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게 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leaner rail may cross both ends of the suction port of the housing, both ends may be fixed to the bottom plate of the housing, and the cleaner rail may cross both ends of the cleaner. According to such a structure, the cleaner rail does not interfere with the flow of air in the area of the inlet.
본 발명에 의한 공기관리장치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적어도 하나 이상 가진다.The air managemen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t least one or more of the following effects.
본 발명에 의한 공기관리장치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적어도 하나 이상 가진다.The air managemen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t least one or more of the following effects.
본 발명에서는 필터의 표면과 클리너의 클리너흡입구 사이 거리에 변화가 있더라도 틈새가 발생하지 않도록 클리너흡입구를 둘러서 탄성쇄모를 설치하였다. 상기 탄성쇄모에의해 필터의 표면과 클리너흡입구 사이에서 클리너와 필터 표면과의 사이 간격이 변하더라도 흡입력이 누설되지 않게 되어 필터의 청소가 항상 일정하게 수행되는 효과가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elastic shaving hair is installed around the cleaner inlet so that there is no gap even if there is a change in the distance between the surface of the filter and the cleaner inlet of the cleaner. Even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surface of the filter and the surface of the filter is changed between the surface of the filter and the inlet of the cleaner due to the elastic abrasive hair, suction power is not leaked, so that the cleaning of the filter is constantly performed.
본 발명에서는 필터청소장치를 구성하는 클리너가 하우징의 바닥판 하면에 설치되고 클리너를 차폐하기 위한 구성이 없으며, 공기관리장치기의 흡입구가 하우징의 바닥에 있으므로, 흡입구를 별도의 구성없이 개방되게 만들 수 있고, 이에 필터유니트를 위치시킬 수 있다. 따라서 실내공간의 공기가 흡입구를 통해 거침없이 필터유니트로 들어가서 다수개의 필터들을 통과할 수 있게 되어 공기관리장치에서 공기유동 원활해지는 효과가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cleaner constituting the filter cleaning device is install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bottom plate of the housing, there is no configuration for shielding the cleaner, and the suction port of the air management device is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housing, the suction port can be made open without a separate configuration and a filter unit can be positioned therein. Therefore, the air in the indoor space can enter the filter unit without hesitation through the inlet and pass through a plurality of filters, thereby facilitating air flow in the air management device.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필터의 청소를 위한 클리너가 하우징의 바닥판 하면에 설치되어 있고, 필터유니트는 하우징의 전면에 있는 출입구를 통해 하우징의 내외부로 출입된다. 따라서 클리너치가 사용되더라도 필터의 유지보수가 매우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And, in the present invention, a cleaner for cleaning the filter is install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bottom plate of the housing, and the filter unit enters and exits the housing through the entrance on the front of the housing. Therefore, even if a cleaner value is used, there is an effect that the maintenance of the filter can be performed very quickly.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공기관리장치의 바람직한 실시례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공기관리장치에서 상판을 제거하여 내부를 보인 평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공기관리장치의 하우징의 중요부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4는 도 1의 D4-D4선 단면도.
도 5는 도 3의 D5-D5선 단면도.
도 6은 도 1에 도시된 공기관리장치에서 사용되는 팬가이드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팬가이드내에 구동팬이 위치된 것을 보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 실시례에서 하우징 전면의 토출구를 통해 공기를 토출하기 위한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9는 본 발명 실시례에서 사용되는 루버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 실시례의 구성을 보인 도 1의 D10-D10선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 실시례를 구성하는 제1공간프레임과 주변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제1공간프레임을 독립적으로 보인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 실시례를 구성하는 추가토출부의 중요부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승강박스를 다른 방향에서 보인 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 실시례의 중요부 구성을 보인 도 1의 D15-D15선 단면도.
도 16은 본 발명 실시례에서 팝업덕트의 승강과 회전을 위한 구성을 보인 측단면도.
도 17은 본 발명 실시례에서 사용되는 필터유니트를 보인 사시도.
도 18은 본 발명 실시례에서 사용되는 필터유니트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19는 본 발명 실시례에서 사용되는 필터유니트의 중요부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20은 본 발명 실시례에서 사용되는 레일조립체의 일례를 보인 사시도.
도 21은 본 발명 실시례의 저면을 보인 저면도.
도 22는 본 발명 실시례의 중요부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3은 본 발명 실시례의 클리너에 있는 탄성쇄모가 필터에 밀착된 상태를 보인 측면도.
도 24는 본 발명 실시례에서 가습을 위한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5는 도 24에 도시된 구성을 다른 방향에서 보인 사시도.
도 26은 본 발명 실시례에서 물통이 안착되는 물통안착대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7은 도 26에 도시된 물통안착대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28은 도 26에 도시된 구성중 베이스프레임에 대해 틸팅테이블이 틸팅되는 것을 안내하는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29는 본 발명 실시례에서 베이스프레임에 대해 틸팅테이블이 틸팅되는 것을 안내하는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30은 본 발명 실시례의 구성을 보인 도 2의 D30-D30선 단면도.
도 31은 본 발명 실시례의 배수펌프와 관련된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32는 본 발명 실시례에서 주거공간내의 공기가 공기관리장치내에서 열교환되고 루버를 통해 배출되는 것을 보인 동작상태도.
도 33은 본 발명 실시례에서 제1에서 제3토출구를 통해 공기가 동시에 토출되는 것을 보인 동작상태도.
도 34는 본 발명 실시례에서 팝업덕트가 하우징에서 돌출되어 사용되는 것을 보인 동작상태도.
도 35는 본 발명 실시례에서 제2토출구가 개방되고 양측의 팝업덕트가 돌출되어 이에서 공기가 토출되는 상태를 보인 동작상태도.
도 36은 본 발명 실시례에서 필터유니트가 하우징에서 돌출된 상태를 보인 동작상태도.
도 37은 본 발명 실시례에서 일측 팝업덕트를 통해 가습된 공기가 토출되는 것을 보인 동작상태도.
도 38은 본 발명 실시례에서 제1이동도어가 개방되고 틸팅테이블이 경사진 상태를 보인 사용상태도.
도 39는 본 발명 실시례에서 물통안착대의 틸팅테이블이 경사진 상태를 보인 동작상태도.
도 40은 본 발명 실시례에서 틸팅테이블이 경사진 상태로 구동된 것을 보인 동작상태도.
도 41은 본 발명 실시례에서 응축수가 배출되는 것을 보인 동작상태도.
도 42는 본 발명 실시례에 따른 공기관리장치의 구성도.
도 43은 본 발명 일 실시례에 따른 공기관리장치의 제어방법을 보인 흐름도.
도 44는 본 발명 다른 실시례에 따른 공기관리장치의 제어방법을 보인 흐름도.
도 45 내지 도 47은 본 발명 또 다른 실시례들에 따른 공기관리장치의 제어방법을 보인 흐름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an air managemen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lan view showing the inside of the air management device shown in Figure 1 by removing the top plate.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important part of the housing of the air management device shown in Figure 1;
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D4-D4 of FIG. 1 ;
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D5-D5 of FIG. 3;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fan guide used in the air management device shown in FIG.
Fig.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driving fan positioned in the fan guide shown in Fig. 6;
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for discharging air through a discharge port on the front side of the housing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louver used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D10-D10 of FIG. 1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first space frame and the peripheral configuration constituting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first space frame shown in FIG. 11 independently;
1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important part of an additional discharge unit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elevating box shown in FIG. 13 viewed from another direction;
1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D15-D15 of FIG. 1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important part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6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for elevating and rotating the pop-up duct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lter unit used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lter unit used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9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important part of the filter unit used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rail assembly used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1 is a bottom view showing the bottom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important part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3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elastic crushing hair in the cleaner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filter.
2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for humidification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shown in FIG. 24 from another direction;
Figure 2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water tank seat on which the water tank is seated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water tank seat shown in FIG.
2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for guiding the tilting of the tilting table with respect to the base frame among the configurations shown in FIG. 26;
29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for guiding the tilting of the tilting table with respect to the base frame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0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D30-D30 of FIG. 2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related to a drain pum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2 is an operation state diagram showing that the air in the living space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heat-exchanged in the air management device and discharged through the louver.
33 is an operation state diagram showing that air is simultaneously discharged through the first to third outlets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4 is an operation state diagram showing that the pop-up duct protrudes from the housing and is used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5 is an operation state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econd discharge port is opened and the pop-up ducts on both sides protrude from the second discharge port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6 is an operation state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ilter unit protrudes from the housing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7 is an operation state diagram showing that humidified air is discharged through a pop-up duct on one side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8 is a view showing a state of use in which the first movable door is opened and the tilting table is inclined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9 is an operation state diagram showing a tilted state of the tilting table of the bucket seat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0 is an operation state diagram showing that the tilting table is driven in an inclined state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1 is an operation state diagram showing that the condensed water is discharged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2 is a block diagram of an air managemen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ntrol method of an air managemen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ntrol method of an air management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5 to 47 are flowcharts showing a control method of an air management device according to still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례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례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exemplary drawings.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the components of each drawing,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components are give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much as possible even though they are indicated on different drawings.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configuration or function interferes with the understanding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components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B, (a), (b), etc. may be used. These terms are only for distinguishing the components from other components, and the essence, order, or order of th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When it is described that a component is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the compon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another component is between each component. It will be understood that may also be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본 발명 실시례의 공기관리장치는 외관을 하우징(10)이 형성한다. 상기 하우징(10)은 좌우로 길게 연장되는 육면체 형상이다. 상기 하우징(10)의 하면은 주거공간의 바닥과 마주보게 되고, 상기 하우징(10)의 배면은 주거공간의 벽면과 마주보게 된다. 상기 하우징(10)의 상면은 전체적으로 소정 면적의 직사각형 평면으로 된다. 상기 하우징(10)의 상면은 성인이 서서 내려다 볼 수 있는 정도의 높이에 위치한다.The
상기 하우징(10)은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좌우로 길게 연장되는 육면체 형상인데 높이의 2배 이상의 좌우폭을 가지고 높이가 전후길이보다 약간 크며 상면이 평평한 평면으로 된다. 보다 자세한 하우징(10)의 치수를 예를 들어 설명하면, 좌우폭이 2000mm, 전후길이가 450mm, 높이가 600mm이다.As described above, the
상기 하우징(10)의 바닥을 바닥판(11)이 형성한다. 상기 바닥판(11)은 직사각형상의 판으로, 주거공간의 바닥과 소정의 간격을 두고 위치된다. 상기 바닥판(11)의 양측에는 측판(12)이 있는데, 이들 측판(12)이 하우징(10)의 양측 면을 구성한다.A
상기 하우징(10)의 배면을 배면판(13)이 형성하는데, 상기 배면판(13)은 상기 바닥판(11)의 후단 끝, 상기 측판(12)의 후단 끝 그리고 아래에서 설명될 상판(14)의 후단 끝에서 소정 길이 이동된 위치에서 바닥판(11), 측판(12) 및 상판(14)과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하우징(10)이 주거공간 내에 설치되었을 때, 벽면과 상기 배면판(13)의 사이에는 소정의 간격이 형성되면서, 상기 바닥판(11), 측판(12), 배면판(13), 상판(14) 그리고 벽면에 의해 배면공간(13s)이 형성된다.A
상기 배면판(13)에서 아래에서 설명될 기계실(500)에 대응되는 위치에는 공급호스(510)와 배출호스(506)가 통과하는 호스통공(13')이 형성되어 있고, 작동유체가 유동되는 입구파이프와 출구파이프가 통과하는 배관통공(13")이 인접하여 형성된다.A hose through hole 13' through which the
상기 하우징(10)의 상면을 상판(14)이 형성한다. 상기 상판(14)은 평평한 평면으로 직사각형상의 평면이 된다. 상기 상판(14)의 표면인 하우징(10)의 상면에는 여러가지 물품이 놓여질 수 있다. 물론 아래에서 설명될 추가토출부(200)와 간섭되지 않는 위치에 물품이 놓여져야 한다.The
상기 하우징(10)의 전면을 전면판(15)이 형성한다. 상기 전면판(15)은 상기 하우징(10)의 전면 전체를 형성하는 것은 아니며, 아래에서 설명될 공기유동공간(20)에 대응되는 위치를 상기 전면판(15)이 형성한다. 상기 전면판(15)의 상단에는 제1에서 제3토출구(15'-1,15'-2,15'-3)가 좌우로 나란히 형성되어 있다. 상기 토출구(15'-1,15'-2,15'-3)들은 상기 하우징(10)의 공기유동공간(20)과 주거공간 내부를 연통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토출구(15'-1,15'-2,15'-3)들은 상기 하우징(10)의 형상과 대응되게 좌우로 길게 연장된 직사각형상이다.A
상기 하우징(10)의 전면에는 사용자의 조작이 입력되는 입력부(17)가 형성될 수 있다. 도면에는 일례로 상기 입력부(17)가 상기 하우징(10)의 전면 하단부에 형성된 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입력부(17)의 형성위치는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하우징(10)의 상기 전면판(15)의 일부에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입력부(17)는 사용자의 조작을 입력받는 부분의 일부가 외부에 표시되도록 형성될 수 있고, 나머지 주요 부분은 내부 공간(미도시)에 형성될 수 있다. An
상기 입력부(17)는 본 발명의 공기관리장치의 전반적인 동작에 대한 사용자의 조작을 입력받을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는 상기 입력부(17)를 통해 공기관리장치의 온(ON)/오프(OFF), 토출되는 공기의 온도, 풍량, 풍향, 그리고 후술하는 각종 구성요소의 동작을 위한 사용자 조작을 입력할 수 있다.The
일 실시례에서 사용자는 상기 입력부(17)를 직접 터치하여 사용자 조작을 입력할 수 있다. 다른 실시례로서 상기 입력부(17)는 외부장치(미도시)로부터 무선신호를 통해 사용자 조작 입력을 수신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입력부(17)는 이러한 외부장치와의 무선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무선통신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the user may input a user operation by directly touching the
상기 무선통신은 다양한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적외선(IR), 근거리무선통신(NFC),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BLE, LTE 등의 통신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The wireless communication may use various methods. For example, a communication method such as infrared (IR),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Wi-Fi, Bluetooth, Zigbee, BLE, LTE, etc. may be used.
본 실시례에서 외부장치로서 예를 들어 통상의 리모트 컨트롤러를 이용하여 적외선통신을 통해 사용자의 조작을 입력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a user's operation may be input through infrared communication using, for example, a general remote controller as an external device.
한편, 상기 하우징(10)의 전면판(15)에는 디스플레이(미도시)가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에는 공기관리장치의 전반적인 동작 및 상태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Meanwhile, a display (not shown) may be formed on the
일 실시례에서 상기 입력부(17)는 예를 들어 버튼이나 터치 패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다른 실시례에서 상기 입력부(17)는 상기 디스플레이에 터치스크린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 다른 실시례에서 상기 입력부(17)와 상기 디스플레이는 일체형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에는 터치를 통해 사용자의 조작입력을 인가받는 터치 패널이 형성될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는 평면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는 공기관리장치의 구동 및 동작과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display may include a flat panel display. The display may display a user interface (UI) or a graphic user interface (GUI) related to driving and operation of the air management device.
상기 디스플레이는 예를 들어 액정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유기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The display is, for example, a liquid crystal display, a 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an organic light-emitting diode, a flexible display, a three-dimensional display ( 3D display).
한편, 상기 디스플레이와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터치센서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어 터치스크린을 형성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는 출력장치 이외에 입력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터치센서는 예컨대, 터치필름, 터치시트, 터치패드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Meanwhile, when the display and the touch sensor for sensing a touch operation form a touch screen by forming a mutual layer structure, the display may be used as an input device in addition to an output device. The touch sensor may have the form of, for example, a touch film, a touch sheet, and a touch pad.
상기 하우징(10)에서 상기 전면판(15)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의 전면은 제1이동판(16)과 제2이동판(16')이 형성한다. 상기 제1이동판(16)과 제2이동판(16')은 일종의 도어로서 아래에서 설명될 제1공간(22)과 제2공간(24)을 개폐하게 된다.A first moving
상기 하우징(10)의 하면은 주거공간의 바닥면과 소정의 간격을 가지도록 된다. 이를 위해 상기 하우징(10)의 적어도 4 모서리에는 레그(18)가 있다. 상기 레그(18)는 소정의 높이를 가져 상기 하우징(10)을 주거공간 바닥에 지지하는 역할을 하고, 바닥판(11)에 형성된 흡입구(11')로 공기가 원활하게 흡입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한다. 즉, 주거공간 바닥과 하우징(10)의 하면 사이에 공간을 확보하는 역할을 상기 레그(18)가 수행한다. 도시된 실시례에서는 상기 레그(18)가 하우징(10)의 바닥판(11) 네 모서리에 있으나, 바닥판(11)의 모서리에서 이격된 위치에 형성될 수도 있다. 더 많은 숫자의 레그(18)가 있을 수도 있다.The lower surface of the
상기 하우징(10)의 외면은 가구의 형상을 가지도록 된다. 예를 들면, 상기 하우징(10)의 외면을 구성하는 재료를 목재 또는 목재의 외관을 가지는 것을 사용한다. 즉, 상기 하우징(10)의 외관을 구성하는 것들 중에서 최소한 측판(12), 상판(14), 전면판(15), 제1이동판(16), 제2이동판(16')은 외관이 목재 또는 목재의 외관을 가지는 것으로 만들어진다.The outer surface of the
상기 하우징(10)의 내부는 상기 하우징(10)을 전방 또는 상방에서 볼 때, 제1구획벽(19)과 제2구획벽(19')에 의해 3개의 공간으로 나누어진다. 도 2 및 3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제1구획벽(19)에 의해 공기유동공간(20)과 제1공간(22)이 구획되고, 제2구획벽(19')에 의해 공기유동공간(20)과 제2공간(24)이 구획된다.The interior of the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는 공기유동공간(20)이 형성된다. 상기 공기유동공간(20)은 상기 흡입구(11')를 통해 흡입된 주거공간 내의 공기가 열교환하면서 유동되는 곳으로, 열교환되어 원하는 상태로 된 공기는 상기 토출구(15'-1,15'-2,15'-3)들을 통해서 주거공간 내부로 토출된다.An
상기 공기유동공간(20)과 제1구획벽(19)에 의해 구획되어 제1공간(22)이 형성된다. 상기 제1공간(22)은 아래에서 설명될 추가토출부(200)중 하나와 가습장치(400)가 위치되는 부분이다. 상기 제1공간(22)중 가습장치(400)가 위치되는 부분은 상기 제1이동판(16)에 의해 개폐된다.The
상기 공기유동공간(20)과 제2구획벽(19')에 의해 구획되어 제2공간(24)이 형성된다. 상기 제2공간(24)은 아래에서 설명될 추가토출부(200) 중 하나가 위치되고 제어부 등이 설치되는 기계실(500)이 위치되는 부분이다. 상기 기계실(500)이 위치되는 부분은 상기 제2이동판(16')에 의해 계폐된다.A
상기 공기유동공간(20)의 좌우폭은 상기 제1공간(22)과 제2공간(24)의 좌우폭의 2배 이상이 된다. 상기 공기유동공간(20)의 좌우폭은 상기 하우징(10)의 전면판(15)에 형성되는 토출구(15'-1,15'-2,15'-3)의 개수를 확보할 수 있도록 설정된다.The left and right widths of the
상기 공기유동공간(20) 내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교환장치(100)가 설치되는데, 이는 상기 흡입구(11')를 통해 흡입된 공기와 열교환하는 구성과 공기가 상기 토출구(15'-1,15'-2,15'-3)를 통해 토출되도록 하는 구성 등을 포함한다. 상기 흡입구(11')를 통과한 위치에는 필터유니트(300)가 설치된다.In the
상기 필터유니트(300)를 통과한 공기는 상기 공기유동공간(20)에 형성된 공기유로(102)를 유동한다. 상기 공기유로(102)에는 열교환기(104)가 설치된다. 상기 열교환기(104)는 공기유로(102)를 유동하는 공기와 열교환 사이클의 작용유체가 열교환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냉방운전인 경우에는 공기로부터 열을 열교환기(104)의 작동유체가 전달받아 실외기로 전달하여 외부로 배출한다. 난방운전인 경우에는 상기 열교환기(104)를 공기가 통과하면서 열을 작동유체로부터 전달받아 주거공간 내로 전달할 수 있다. 물론, 난방운전에서 상기 열교환기(104)를 사용하지 않고 별도의 구성으로부터 열을 공급받을 수도 있다. 상기 열교환기(104)로는 실외기에서 전달된 작동유체가 입구파이프를 통해 전달되고, 열교환기(104)를 통과한 작동유체는 출구파이프를 통해 실외기로 전달된다.The air passing through the
상기 열교환기(104)의 하부에는 드레인팬(108)이 있다. 상기 드레인팬(108)은 상기 열교환기(104)를 통과하는 공기에서 응축된 응축수를 모아 배출하는 것이다.A
상기 공기유로(102)를 형성하기 위해서 상기 공기유동공간(20)에는 공기의 유동을 안내하는 구성들이 있다. 먼저 상기 필터유니트(300)와 마주보게 입구가이드(110)가 있다. 상기 입구가이드(110)는 상기 흡입구(11')와 대응되는 영역에 있다. 상기 입구가이드(110)는 상기 흡입구(11')의 대부분의 영역과 마주보게 되어 있다. 상기 입구가이드(110)에는 안내경사면(110')이 형성되어 하우징(10)의 선단쪽에 인접한 흡입구(11') 영역을 통과한 공기가 상기 배면판(13)쪽으로 잘 유동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안내경사면(110')은 상기 배면판(13)쪽으로 갈수록 상기 흡입구(11')에서 멀어지도록 된다.In order to form the
상기 입구가이드(110)의 선단은 상기 배면판(13)을 향해 연장되는데, 상기 입구가이드(110)의 선단 위치는 하우징(10)의 전후방향 기준으로 상기 흡입구(11')의 2/3 정도의 위치에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상기 입구가이드(110)의 선단을 설정하는 것은 하우징(10) 내부의 공기유로(102)의 최대한 후방으로 공기가 전달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입구가이드(110)의 상면에는 상기 드레인팬(108)과 아래에서 설명될 팬가이드(120)가 위치될 수 있다.The front end of the
상기 공기유로(102)에는 상부가이드(112)가 있다. 상기 상부가이드(112)는 공기유로(102)의 천정을 형성한다. 상기 상부가이드(112)는 상기 배면판(13)에서 시작해서 아래에서 설명될 팬가이드(120)까지 연장된다. 상기 상부가이드(112)는 배면판(13)과 만나는 부분에서 와류가 발생하지 않도록 곡면으로 된다. 즉, 상기 배면판(13)과 상부가이드(112)가 직교하지 않도록 되는 것이 좋다.The
그리고, 도면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배면판(13)의 내면중 공기유로(102)에 해당되는 부분은 곡면으로 되도록 할 수도 있다. 즉, 상기 배면판(13)과 상기 상부가이드(112)가 연속되는 곡면으로 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상기 배면판(13)의 후면은 외부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상기 입구가이드(110)와 상부가이드(112)는 되도록 단열성이 좋은 재질로 만들어지는 것이 좋다. 상기 입구가이드(110)와 상부가이드(112) 자체가 단열성이 좋은 재질이 아니라면, 표면에 단열성이 좋은 부재를 두어서 주변과의 열교환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상기 상부가이드(112)는 상기 열교환기(104)의 상단에 밀착되어 상기 팬가이드(120)까지 연장된다.It is preferable that the
상기 열교환기(104)의 전방에는 팬가이드(120)가 설치된다. 상기 팬가이드(120)는 도 6에 잘 도시되어 있다. 상기 팬가이드(120)는 상기 공기유로(102) 내로 공기가 흡입되고 유동되어 토출구(15'-1,15'-2,15'-3)를 통해 실내 공간으로 토출되도록 하는 원동력을 제공하는 구동팬(130,130',130")이 내부에 위치된다. 상기 팬가이드(120)는 상기 열교환기(104)를 통과한 공기를 분리해서 유동되도록 한다. 본 실시례에서는 3개의 경로로 나눠서 공기가 유동되도록 한다.A
상기 팬가이드(120)는 단열성이 좋은 재질로 만들어진다. 이는 상기 열교환기(104)를 통과하면서 열교환된 공기의 상태가 그대로 유지되면서 실내공간으로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The
상기 팬가이드(120)의 골격을 단열성이 좋은 재질로 된 팬가이드몸체(122)가 형성한다. 상기 팬가이드몸체(122)는 전후방향으로 소정의 두께를 가지고, 내부에는 다수개의 팬공간(124,124',124")이 형성된다. 상기 팬공간(124,124',124")에는, 도 7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아래에서 설명될 구동팬(130,130',130")들이 설치된다. 상기 팬공간(124,124',124")은 내부에서 구동팬(130,130',130")이 회전될 수 있도록 원통형으로 만들어진다. 상기 팬공간(124,124',124")은 상기 열교환기(104)와 마주보는 쪽은 모두 개방되어 유입구(126)를 형성한다. 하지만 상기 팬공간(124,124',124")에서 토출구(15'-1,15'-2,15'-3)들과 대응되는 쪽은 일부만이 개방되어 있다. 즉, 상기 팬공간(124,124',124")에서 상대적으로 상부쪽에 해당되는 위치에 유출구(128)가 형성된다. 상기 유출구(128)는 상기 전면판(15)의 제1에서 3토출구(15'-1,15'-2,15'-3)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상기 유출구(128)의 유동단면적은 상기 팬공간(124,124',124")의 유동단면적보다 작게 만들어진다. 상기 유출구(128)는 상기 팬공간(124,124',124")의 상대적으로 상단에 형성된다.A
한편, 상기 제1팬공간(124)과 제3팬공간(124")의 내면 일측에는 분지유로(129)가 형성된다. 상기 분지유로(129)는 상기 제1팬공간(124)과 제3팬공간(124")의 공기가 유동될 수 있는 것으로 아래에서 설명될 추가토출부(200)로 공기를 전달하는 부분이다. 상기 분지유로(129)는 각각 상기 팬가이드(120)의 양쪽 측면으로 개방되어 상기 제1공간(22)과 제2공간(24) 쪽으로 연결된다.On the other hand, a
도 7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팬공간(124,124',124")들에는 각각 구동팬(130,130',130")이 설치된다. 상기 구동팬(130,130',130")들은 각각에 대응하는 팬모터(132)들에 의해 회전되면서, 공기유동을 위한 원동력을 제공한다. 상기 팬모터(132)들은 후술할 제어부(600)에 의해 구동된다. 따라서, 본 실시례에서는 상기 제어부(600)가 상기 구동팬(130,130',130")을 동작시킨다거나 또는 상기 구동팬(130,130',130:)을 제어한다는 것은 상기 제어부(600)가 상기 팬모터(132)를 구동시켜 상기 구동팬(130,130',130")을 동작(회전)시킨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실시례에서는 모두 3개의 구동팬(130,130',130")이 사용된다. 물론 상기 구동팬(130,130',130")의 개수는 적어도 2개 이상이면 몇 개라도 상관없다. 예를 들어 4개의 구동팬이 사용되거나 5개의 구동팬이 사용될 수 있는데, 양 단에 있는 구동팬(130,130")들은 각각 아래에서 설명될 추가토출부(200)로도 공기를 보낼 수 있도록 하고 전체 구동팬(130,130',130")들은 하우징(10)의 전방으로 공기를 보낼 수 있도록 한다. 이들 구동팬(130,130',130")들을 제1구동팬(130), 제2구동팬(130'), 제3구동팬(130')이라 칭한다. 참고로 상기 구동팬(130,130',130")으로는 회전축방향으로 공기가 흡입되어 원심방향으로 배출되는 터보팬이 사용된다.7, driving
본 실시례에서는 3개의 구동팬(130,130',130")들과 각각 대응되는 위치, 즉 상기 제1에서 제3토출구(15'-1,15'-2,15'-3)에 각각 루버(141,142,143)들이 설치된다. 제1토출구(15'-1)에 제1루버(141), 제2토출구(15'-2)에 제2루버(142), 제3토출구(15'-3)에 제3루버(143)가 설치된다. 이들 루버(141,142,143)는 각각 별도의 구동원에 의해 구동되어 상기 토출구(15'-1,15'-2,15'-3)들을 개폐하고, 토출되는 공기의 방향을 설정한다. In this embodiment, the three driving
상기 루버(141,142,143)의 개방은 구동모터(141',142',143')의 구동에 의해 이루어진다. 상기 구동모터(141',142',143')의 출력축이 상기 루버(141,142,143)의 회전중심축과 연결되어 회전중심축이 회전되면서 상기 루버(141,142,143)가 회전된다. 상기 구동모터(141',142',143')는 상기 제어부(600)에 의해 구동된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600)가 상기 루버(141,142,143)를 개폐 및 동작시킨다거나 또는 상기 루버(141,142,143)를 제어한다는 것은 상기 제어부(600)가 상기 구동모터(141',142',143')를 구동시켜 상기 루버(141,142,143)를 동작시킨다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구동모터(141',142',143')는 상기 루버(141,142,143)의 개방과 함께 개방 각도의 조절도 가능하다.The opening of the louvers (141, 142, 143) is made by driving the drive motors (141', 142', 143'). The output shafts of the driving motors 141', 142', and 143' are connected to the rotational central shafts of the louvers 141,142,143, and as the rotational central shafts are rotated, the louvers 141,142,143 are rotated. The driving
상기 루버(141,142,143)의 배면에는 상기 구동모터(141',142',143')과 결합되는 회전중심편(145)이 있다. 상기 회전중심편(145)에는 중심공(145')이 형성된다. 상기 회전중심편(145)은 하나의 루버(141,142,143)에 2개씩 형성되는데, 그 중 하나의 중심공(145')에 상기 구동모터(141',142',143')의 출력축이 결합된다.On the rear surface of the
상기 구동모터(141',142',143')는 상기 팬가이드(120)에 형성된 설치홈(150)에 고정된다. 상기 구동모터(141',142',143')를 상기 팬가이드(120)의 설치홈(150)에 설치하기 위하여 모터블럭(146)이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모터블럭(146)은 일측면에 구동모터(141',142',143')의 일부를 수용할 수 있는 형상이 있어 상기 구동모터(141',142',143')와 결합된 상태에서, 설치홈(150) 내에 고정되어 설치된다.The driving
하나의 루버(141,142,143)에는 회전중심편(145)이 2개씩 있는데, 하나는 구동모터(141',142',143')와 결합되고 다른 하나는 회전중심축(147)이 설치된다. 상기 회전중심축(147)은 루버(141,142,143)의 회전중심이 된다. 상기 회전중심축(147)은 양단에 지지편(149)이 있고, 상기 지지편(149)이 상기 팬가이드(120)의 설치홈(150)에 고정되어 설치된다. 하나의 회전중심축(147)이 동시에 2개의 회전중심편(145)을 관통할 수도 있다.One louver (141, 142, 143) has two
한편, 상기 루버(141,142,143)가 상기 토출구(15'-1,15'-2,15'-3)에 위치되도록 설치되는 구조는, 도시된 실시례에서와 같이 상기 팬가이드(120)에 설치되는 것 외에 상기 전면판(15)의 배면에 설치되는 등 다양한 구조가 있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루버(141,142,143)의 동작을 통해 토출구(15'-1,15'-2,15'-3)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방향이 달리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상기 토출구(15'-1,15'-2,15'-3)의 전방을 향해 직접 공기가 토출될 수 있다. 이 경우는 사용자에게 직접 열교환된 공기가 전달되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토출구(15'-1,15'-2,15'-3)에서 전방 상부로 공기가 토출되도록 할 수 있는데, 이 경우는 사용자에게 직접 열교환된 공기가 전달되지 않고 간접적으로 공기관리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토출구(15'-1,15'-2,15'-3)를 통해 열교환된 공기가 토출되는 방향 등을 제어하는 것은 미리 정해진 동작모드를 통해서 수행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structure in which the
그리고 상기 구동모터(141',142',143')의 출력축은 그 내부의 감속부에 의해 속도와 토크가 설정되어 동작된다. 상기 구동모터(141',142',143')의 출력축의 동작정도에 의해 상기 루버(141,142,143)의 회전각도가 설정된다. 여기서 상기 루버(141,142,143)의 회전각도가 설정되는 것은 미리 설정된 동작모드가 있어서 사용자가 해당 동작모드를 선택함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And the output shafts of the drive motors 141', 142', and 143' are operated by setting the speed and torque by the speed reduction unit therein. The rotation angle of the
상기 구동팬(130,130',130")들은 동시에 모두 가동되거나, 선별적으로 조합되어 같이 가동될 수 있다. 즉, 공기관리장치의 동작모드에 따라서 다양한 조합으로 구동팬(130,130',130")이 동작된다.The driving
먼저, 모든 구동팬(130,130',130")이 동작되고, 모든 루버(141,142,143)가 개방되어 하우징(10)의 전방으로 열교환된 공기를 토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팬가이드(120)의 분지유로(129)는 제1댐퍼(206)를 사용하여 폐쇄하여 분지유로(129)에서 다른 부분으로 공기가 공급되지 않도록 한다.First, all the driving
상기 제1댐퍼(206)는 댐퍼구동모터(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동작된다. 상기 댐퍼구동모터는 상기 제어부(600)에 의해 구동된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600)가 상기 제1댐퍼(206)를 개폐시킨다거나 또는 상기 제1댐퍼(206)를 제어한다는 것은 상기 제어부(600)가 상기 댐퍼구동모터를 구동시켜 상기 제1댐퍼(206)를 동작시킨다는 것을 의미한다.The
그리고, 3개의 구동팬(130,130',130")중 어느 하나 만을 가동시키고 그에 대응되는 루버(141,142,143)를 개방하여 열교환된 공기를 전방으로 토출할 수 있다. 이때에도, 상기 팬가이드(120)의 분지유로(129)는 제1댐퍼(206)를 사용하여 폐쇄하여 분지유로(129)로 공기가 공급되지 않도록 한다.Then, only one of the three driving
그리고, 모든 루버(141,142,143)를 닫은 상태에서 아래에서 설명될 추가토출부(200)로 공기를 공급할 수 있다. 이때에는 제1구동팬(130)과 제3구동팬(130")을 가동시켜 공기가 상기 분지유로(129)를 통해 추가토출부(200)로 전달되어 실내공간으로 토출되도록 한다. 물론 상기 분지유로(129)를 통해 공기가 유동되도록 제1댐퍼(206)는 개방되어야 한다.And, it is possible to supply air to the
한편, 상기 제1구동팬(130)과 제3구동팬(130")에 의해 공기가 분지유로(129)로 공급되는 상태에서, 상기 제2구동팬(130')도 가동시키고 상기 제2루버(142)를 개방해서 하우징(10)의 전방으로도 열교환된 공기를 토출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a state in which air is supplied to the
도 1 및 도 2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10)의 상면 양측에는추가토출부(200)가 있다. 상기 추가토출부(200)는 아래에서 설명될 팝업덕트(234)가 하우징(10)의 상면에서 돌출되어 열교환된 공기를 보다 멀리 그리고 보다 넓은 영역으로 보낼 수 있도록 한다.As can be seen in FIGS. 1 and 2 ,
상기 추가토출부(200)의 구성을 도 10에서 도 16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기 하우징(10)의 제1공간(22)과 제2공간(24)중 적어도 어느 일측에 추가토출부(200)가 설치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제1공간(22)과 제2공간(24) 모두에 추가토출부(200)가 설치되어 있는데, 제1공간(22)에 설치된 것을 기초로 설명한다.The configuration of the
상기 제1공간(22) 내에는, 도 11에 도시된, 제1공간프레임(202)이 설치된다. 상기 제1공간프레임(202)은 도 2에서도 볼 수 있다. 제1공간프레임(202)은 제1공간(22)을 구획하여 추가토출부(200)와 아래에서 설명될 가습장치(400)가 위치되도록 한다. 상기 제1공간프레임(202)의 일측에는 프레임공간(203)이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공간(203)은 상기 제1이동판(16)에 의해 개폐된다. 상기 제1이동판(16)이 상기 하우징(10)에 대해 좌우로 이동되어 상기 프레임공간(203)을 개폐한다.In the
상기 제1공간프레임(202)의 우측면에는 도 10 및 도 11에서 볼 수 있듯이, 연결덕트(204)가 설치된다. 상기 연결덕트(204)는 일단부가 상기 팬가이드(120)의 분지유로(129)와 연통된다. 상기 연결덕트(204)는 도 10에서 볼 수 있듯이 'ㄱ'자 형상으로 굴곡되어 있다. 상기 연결덕트(204)가 도시된 바와 같이 굴곡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형태로 만들어질 수 있다.As can be seen in FIGS. 10 and 11 , a
상기 연결덕트(204)의 타단부는 아래에서 설명될 수직덕트(208)와 연통된다. 상기 연결덕트(204)의 내부에는 공기가 유동되는 연결유로(205)가 형성된다. 상기 연결유로(205)로 공기가 유동되는 것은 제1댐퍼(206)에 의해 제어된다. 상기 제1댐퍼(206)는 상기 연결유로(205)의 입구에 있다. 상기 제1댐퍼(206)가 동작됨에 의해 상기 연결유로(205)로의 공기 공급이 제어된다.The other end of the connecting
상기 제1공간프레임(202)에는 수직덕트(208)가 있다. 상기 수직덕트(208)는 상기 제1공간프레임(202) 자체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수직덕트(208)가 반드시 제1공간프레임(202)에 형성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수직덕트(208)는 별도로 만들어져 상기 제1공간(22) 내에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수직덕트(208)는 수직방향으로 연장되어 아래에서 설명될 승강박스(214)의 승강을 안내하여 팝업덕트(234)가 정해진 궤적을 따라 승강되도록 한다.The
상기 수직덕트(208)의 내부에는 승강박스(214)와 팝업덕트(234)가 위치되고 승강되며 공기가 유동되는 수직유로(210)가 있다. 상기 수직유로(210)에는 팝업덕트(234)와 승강박스(214)가 승강가능하게 수납되어 있다. 팝업덕트(234)와 승강박스(214)가 상승된 상태에서는 상기 수직유로(210)는 공기가 유동되는 경로가 된다.Inside the
상기 수직유로(210)의 내면 일측을 따라서는 하부에서 상부까지 승강랙기어부(212)가 있다. 상기 승강랙기어부(212)는 아래에서 설명될 승강구동기어(232)와 맞물려서 승강구동기어(232)가 상하로 이동되게 한다. 상기 승강랙기어부(212)는 도 15와 도 16에서 볼 수 있다.Along one side of the inner surface of the
상기 수직유로(210)의 내부에는 승강박스(214)가 설치된다. 상기 승강박스(214)는 도 13과 도 14에서 그 형상을 잘 볼 수 있다. 상기 승강박스(214)는 상기 수직유로(210)를 따라 상하로 승강된다. 상기 승강박스(214)의 횡단면 형상은 아래에서 설명될 만입부(221)를 제외하고는 상기 수직유로(210)의 횡단면 형상과 같다. 상기 승강박스(214)의 외측면들은 각각 상기 수직유로(210)의 내면에 접촉되어 이동된다.An elevating
상기 승강박스(214)를 상하로 관통하여서는, 도 14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지지링(216)이 있다. 상기 회전지지링(216)은 원통형상으로 만들어지고, 내부에 연통유로(218)가 형성된다. 상기 회전지지링(216)은 아래에서 설명될 팝업덕트(234)의 회전지지부(238)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한다. 상기 연통유로(218)는 상기 수직유로(210)와 아래에서 설명될 팝업덕트(234)의 팝업유로(236)를 연통시킨다. 상기 회전지지링(216)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팝업덕트(234)의 하단부에 있는 회전지지부(238)가 회전가능하게 끼워진다.Penetrating the
상기 연통유로(218)의 내부에는 팬설치부(219)가 있다. 상기 팬설치부(219)는 본 실시례에서는 십자형상으로 만들어진다. 상기 팬설치부(219)에는 추가토출부(200)에서 토출되는 공기를 가압하는 팝업구동팬(224)이 설치된다. 상기 팝업구동팬(224)는 팝업구동모터(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구동된다. 상기 팝업구동모터는 상기 제어부(600)에 의해 구동된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600)가 상기 팝업구동팬(224)을 동작시킨다거나 또는 상기 팝업구동팬(224)을 제어한다는 것은 상기 제어부(600)가 상기 팝업구동모터를 구동시켜 상기 팝업구동팬(224)을 동작(회전)시킨다는 것을 의미한다. There is a
상기 승강박스(214)의 회전지지링(216)에는 회전모터수납부(220)가 형성되어 아래에서 설명될 회전모터(226)가 설치된다. 상기 승강박스(214)의 일측 외면에는 만입부(221)가 형성되는데, 상기 만입부(221)에는, 도 14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승강모터수납부(222)가 형성된다. 상기 만입부(221)를 형성하는 것은 상기 승강박스(214)의 외면과 수직유로(210)의 내면 사이가 최대한 넓은 면적에서 접촉되도록 하기 위함이다.A rotation
상기 승강박스(214)의 팬설치부(219)에는, 도 10에서 볼 수 있듯이, 팝업구동팬(224)이 설치된다. 상기 팝업구동팬(224)은 상기 연통유로(218)에서 공기를 가압하여 보다 멀리 공기를 보낼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제1구동팬(130)이나 제3구동팬(130")에 의해 분지유로(219)로 전달되어 연결덕트(204)와 수직덕트(208)를 통과한 공기를 가압하는 역할을 팝업구동팬(224)이 수행한다.As shown in FIG. 10 , a pop-up driving
상기 승강박스(214)의 회전모터수납부(220)에는 회전모터(226)가 설치된다. 상기 회전모터(226)의 출력축에는 회전구동기어(228)가 있다. 상기 회전모터(226)가 구동함에 의해 아래에서 설명될 팝업덕트(234)가 회전된다.A
상기 승강박스(214)의 승강모터수납부(222)에는 승강모터(230)가 설치된다. 상기 승강모터(230)의 출력축에는 승강구동기어(232)가 설치되어 상기 승강랙기어부(212)와 맞물린다. 상기 승강구동기어(232)는 상기 승강랙기어부(212)와 맞물려서 승강랙기어부(212)를 따라 승강된다. 따라서, 상기 승강박스(214)가 승강하게 된다. 상기 승강박스(214)의 승강에 의해 팝업덕트(234)가 함께 승강된다. 상기 승강모터(230)는 상기 제어부(600)에 의해 구동된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600)가 상기 팝업덕트(234)를 승강시키거나 상기 팝업덕트(234)의 승강을 제어한다는 것은 상기 제어부(600)가 상기 승강모터(230)를 구동시켜 상기 팝업덕트(234)를 승강시킨다는 것을 의미한다.The elevating
팝업덕트(234)는 상기 하우징(10)의 상판(14)을 관통하여 상부로 상승하고 다시 하강할 수 있다. 상기 팝업덕트(234)와 그 내부의 구성은 도 13에 잘 도시되어 있다. 상기 팝업덕트(234)는 본 실시례에서는 원통형상이다. 하지만, 상기 팝업덕트(234)는 육면체 형상으로 될 수도 있고, 다양한 형상으로 될 수 있다. 물론 상기 팝업덕트(234)의 회전을 위한 부분은 원통형으로 되어야 한다.The pop-up
상기 팝업덕트(234)의 내부에는 팝업유로(236)가 있어서 상기 연통유로(218)와 연통된다. 상기 팝업덕트(234)의 하부에는 회전지지부(238)가 있는데, 상기 승강박스(214)의 회전지지링(216)에 상대회전 가능하게 삽입된다. 상기 회전지지부(238)의 외경은 상기 회전지지링(216)의 내경과 같거나 약간 작게 되어 상기 회전지지링(216)에 대해 회전할 수 있다. 상기 회전지지링(216)은 팝업덕트(234)의 회전을 위해서 원통형상으로 되어야 할 부분이다.There is a pop-up
상기 회전지지부(238)의 외면을 둘러서는 종동기어부(240)가 형성된다. 상기 종동기어부(240)는 일종의 랙기어부이다. 상기 종동기어부(240)에는 상기 회전모터(226)의 회전구동기어(228)가 맞물려 동작된다. 상기 회전모터(226)의 구동에 의해 상기 회전구동기어(228)가 상기 종동기어부(240)와 맞물려 동작되면 상기 팝업덕트(234)가 회전된다. 상기 종동기어부(240), 회전구동기어(228) 등의 구성은 도 16에 잘 도시되어 있다. 상기 회전모터(226)는 상기 제어부(600)에 의해 구동된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600)가 상기 팝업덕트(234)를 회전시킨다거나 또는 상기 팝업덕트(234)의 회전을 제어한다는 것은 상기 제어부(600)가 상기 회전모터(226)를 구동시켜 상기 팝업덕트(234)를 회전시킨다는 것을 의미한다.A driven
상기 팝업덕트(234)의 외면을 둘러서는 팝업토출구(242)가 형성된다. 상기 팝업토출구(242)는 상기 팝업덕트(234) 외면의 일부 구간에만 형성된다. 이는 팝업유로(236)를 통해 유동된 공기가 특정한 방향으로 보다 강력하게 토출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상기 팝업토출구(242)가 형성되는 영역은 상기 팝업덕트(234) 외면의 절반 이하가 좋다. 팝업유로(236)의 중심을 기준으로 180도보다는 작은 영역에 걸쳐서 팝업토출구(242)가 형성되는 것이 좋다.A pop-up
한편, 상기 팝업유로(236)의 내부에는 다수개의 조절날개(244)가 설치된다. 상기 조절날개(244)는 상기 팝업토출구(242)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상하방향을 조절하는 것이다. 상기 조절날개(244)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원판형상이고, 별도의 구동원 또는 수동으로 상하방향으로 각도가 조절될 수 있다.Meanwhile, a plurality of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추가토출부(200)는 도시된 실시례에서는 상기 제2공간(24)에도 동일한 구성으로 더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추가토출부(200)에서 상기 팝업덕트(234)는 원통형이 아닌 사각기둥 등 육면체 형태 또는 또 다른 형태로 될 수 있다. 여기서 팝업덕트(234)의 형태는 열교환된 공기를 보다 멀리 원하는 위치로 보낼 수 있기에 적합하게 되는 것이 필요하다. 사각기둥형태로 팝업덕트(234)를 형성할 경우에는 팝업덕트(234)의 4측면 중 어느 한 측면에 팝업토출구(242)가 형성될 수 있다.The
상기 하우징(10)의 전면 중앙 하부로 서랍식으로 입출되게 필터유니트(300)가 있다. 상기 필터유니트(300)는 상기 바닥판(11)에 형성된 흡입구(11')에 설치되어 흡입구(11')를 통과하는 공기를 정화하는 역할을 한다.There is a
상기 흡입구(11')는 하우징(10)의 하면에 형성되고 하우징(10)이 놓여지는 바닥면과 마주보게 되어 있어서 필터유니트(300)를 차폐하기 위한 별도의 구성은 없다. 즉 하우징(10)이 거실 바닥에 설치되었을 때, 사용자가 흡입구(11')를 볼 수 없고, 따라서 사용자가 흡입구(11')에 접근하는 것이 어렵기 때문에 흡입구(11')에 필터유니트(300)를 보호하기 위한 구성을 두지 않아도 된다.The
한편, 상기 필터유니트(3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면판(15)의 하부에 형성된 출입구(도면부호 부여않음)를 통해 입출된다. 따라서, 필터유니트(300)에서 수명이 다한 필터를 교체하기 위한 작업이 매우 간단하게 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도 17과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필터유니트(300)의 골격을 필터프레임(301)이 형성한다. 상기 필터프레임(301)은 납작한 육면체형상으로 되는데, 상하로 관통되게 다수개의 통과영역(302)이 형성된다. 상기 통과영역(302)은 공기가 통과하는 경로이다. 상기 통과영역(302)은 도시된 실시례에서는 3개로 나누어져 있다. 상기 통과영역(302)은 평면도로 볼 때, 정사각형으로 된다. 상기 통과영역(302)의 형상과 크기는 이에 위치되는 필터(320,330,340)에 처짐이 발생하지 않도록 설정된다. 상기 통과영역(302)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제1필터(320), 제2필터(330), 제3필터(340)가 차례로 적층되어 위치된다.17 and 18 , the
상기 필터프레임(301)의 전면을 전면벽(303)이 형성한다. 상기 전면벽(303)은 필터유니트(300)가 상기 하우징(10)에 설치되었을 때 하우징(10)의 일부 외관을 형성한다. 상기 전면벽(303)의 하단 중앙에는 손잡이(303')가 있다. 상기 손잡이(303')는 상기 필터유니트(300)를 출입구를 통해 빼고 넣을 때 사용자가 손으로 잡는 부분이다.A
상기 전면벽(303)의 양단부에서 후방으로 연장되게 측면벽(305)이 있다. 양측의 상기 측면벽(305)의 후단을 연결하게 배면벽(307)이 있다. 상기 배면벽(307)은 상기 전면벽(303)과 나란히 연장된다. 상기 전면벽(303)과 배면벽(307)을 연결하여 상기 통과영역(302)을 구획하도록 필터구획벽(309)이 있다. 상기 필터구획벽(309)에 의해 상기 필터프레임(301)을 상하로 관통하는 통과영역(302)이 다수개로 나누어진다.There are
상기 측면벽(305)과 필터구획벽(309)의 하단에는 안착단(311)이 있다. 상기 안착단(311)은 아래에서 설명될 제1필터(320)의 가장자리가 안착되는 부분이다. 상기 안착단(311)은 반드시 상기 측면벽(305)과 필터구획벽(309)에 형성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면 상기 전면벽(303)과 배면벽(307)에 형성될 수도 있다. 물론 상기 안착단(311)이 상기 측면벽(305), 필터구획벽(309), 전면벽(303), 배면벽(307) 모두에 형성될 수도 있다. 하지만, 공기가 유동되는 유동단면적을 좁히지 않기 위해서는 도시된 실시례에서와 같이 서로 마주보는 벽에만 형성되는 것이 좋다.A
상기 배면벽(307)의 상단과 하단에는 상기 필터프레임(301)의 후방으로 돌출되게 지지리브(313)가 형성된다. 상기 지지리브(313)는 상기 필터프레임(301)이 필터를 교체할 수 있을 정도로 출입구에서 빼내어졌을 때, 필터프레임(301)이 출입구 내부에 지지되어 임의로 빠져나오지 못하도록 하는 것이다. 물론, 아래에서 설명될 레일조립체(350)에 의해서도 필터프레임(301)이 하우징(10)에 잡혀 있기는 하지만, 상기 지지리브(313)가 협력하여 필터프레임(301)이 하우징(10)에서 돌출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통과영역(302)에 설치되는 필터(320,330,340)들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기 통과영역에는 먼저 제1필터(320)가 설치된다. 상기 제1필터(320)는 일종의 프리필터로서, 먼지를 걸러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1필터(320)에 있는 필터링부(322)의 구조는 메쉬망 형태로 되어서 먼지를 걸러준다. 상기 제1필터(320)에는 수납케이스(324)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수납케이스(324)는 상기 필터링부(322)의 가장자리를 둘러 사각벽체로 만들어진다.The
따라서, 상기 필터링부(322) 상에 소정의 수납공간(325)을 형성한다. 상기 수납공간(325)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제2필터(330)와 제3필터(340)가 설치된다. 상기 수납케이스(324)의 높이는 제1필터(320)의 필터링부(322) 상에 제2필터(330)와 제3필터(340)를 적층한 상태에서 제3필터보다 더 돌출된다. 이는 도 19에서 잘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는 상기 수납케이스(324)를 작업자가 상기 필터프레임(301)의 통과영역(302)에서 쉽게 분리해 낼 수 있도록 한다.Accordingly, a predetermined accommodating space 325 is formed on the
상기 수납공간(325)에는 제2필터(330)가 설치된다. 상기 제2필터(330)는 상기 수납공간(325)의 형상과 대응되는 납작한 육면체 형상이다. 상기 제2필터(330)는 헤파(HEPA)필터가 사용된다. 따라서 제2필터(330)는 입자의 크기에 따라 섬유조직에 의한 차단 및 충돌, 중력에 의한 입자침강, 입자의 브라운 운동, 정전기력에 의한 흡착 등을 이용하여 공기중의 먼지를 제거하게 된다. A
상기 수납공간(325)에는 제2필터(330) 상에 제3필터(340)가 설치된다. 상기 제3필터(340)는 탈취필터가 사용된다. 탈취필터의 경우 주로 활성탄성분을 많이 사용한다. 탈취필터인 제3필터(340)에 의해서는 공기중의 악취가스 등의 이취가 제거된다.A
상기 필터프레임(301)이 상기 하우징(10)에서 서랍식으로 입출되기 위해서는 상기 필터프레임(301)의 양측과 하우징(10)의 대응되는 내면 사이에 레일조립체(350)가 설치된다. 상기 레일조립체(350)의 구성은 도 20에 잘 도시되어 있다.In order for the
상기 레일조립체(350)는 상기 필터프레임(301)의 측면에 고정되는 프레임고정부(352)를 가진다. 상기 프레임고정부(352)는 전후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데, 상단과 하단에 이동가이드레일(354)이 있다. 상기 프레임고정부(352)와 대응되게 하우징고정부(356)가 있다. 상기 하우징고정부(356)는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 고정되는 것이다. 상기 하우징고정부(356)의 상단과 하단에는 고정가이드레일(358)이 있다. 상기 고정가이드레일(358)은 상기 이동가이드레일(354)과 마주보게 된다. 본 실시례에서는 이동가이드레일(354)의 내면과 마주보게 고정가이드레일(358)이 있다.The
상기 프레임고정부(352)의 내측에는 연결레일(360)이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연결레일(360)의 상단과 하단에는 다수개의 볼지지편(362)이 있고, 상기 볼지지편(362)에는 볼(364)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이동가이드레일(354)과 고정가이드레일(358)에 접촉되어 회전되면서 이동가이드레일(354)의 이동이 원활하게 되도록 한다. 상기 연결레일(360)은 상기 프레임고정부(352)를 따라 이동함과 동시에 일정 부분 프레임고정부(352)에서 돌출될 수 있어 필터프레임(301)의 이동 행정이 상대적으로 길어지게 한다.A connecting
도 4 및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10)의 바닥판(11) 저면에 형성된 흡입구(11')에서 상기 필터(320,330)에 있는 먼지와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클리너(370)가 설치된다. 상기 클리너(370)는 상기 바닥판(11)에 설치되어 상기 흡입구(11') 전체 영역을 따라 직선왕복운동한다. 상기 클리너(370)는 일종의 진공청소기라고 볼 수 있다. 상기 클리너(370)의 외관과 골격을 클리너몸체(317)가 형성한다. 상기 클리너몸체(317)중에서 상기 바닥판(11)과 마주보는 부분은 바닥부(372)이다. 상기 바닥부(372)는 소정의 면적을 가지고 대체로 평면인데, 폭은 상기 흡입구(11')의 폭과 같거나 조금 큰 것이 좋다.4 and 21 , a cleaner 370 for removing dust and foreign substances in the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닥부(372)에는 클리너흡입구(373)가 있다. 상기 클리너흡입구(373)는 아래에서 설명될 클리너레일(380)이 통과하는 부분을 기준으로 양측으로 나눠져 형성된다. 물론, 상기 클리너레일(380)이 상기 흡입구(11')의 양단 가장자리에 해당되는 바닥판(11)에 설치되는 경우에는 상기 클리너흡입구(373)를 하나로 할 수 있다. 하지만, 클리너(370)의 크기가 커지게 되면 무게가 무거워질 수 있어서 클리너레일(380)이 흡입구(11')를 가로지르도록 하여 클리너(370)의 크기를 소형으로 하는 것이 좋다. 또한 클리너흡입구(373)를 다수개로 나누게 되면 각각의 클리너흡입구(373)의 유동단면적이 작아지게 되면서 클리너(370)의 처짐 등에 의한 흡입력 누설을 방지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22 , the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클리너흡입구(373)의 가장자리를 둘러서는 탄성쇄모(375)가 설치된다. 상기 탄성쇄모(375)는 필터 표면에 마찰되면서 마치 빗자루가 먼지를 쓰는 것처럼 작용하여 필터 표면에 있는 먼지가 클리너흡입구(373)로 잘 들어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탄성쇄모(375)는 또한 상기 클리너흡입구(373)의 가장자리를 둘러 촘촘하게 설치되어 클리너흡입구(373)에 형성된 흡입력이 누설되지 않도록 한다.As shown in FIG. 22 , elastic grinding
상기 탄성쇄모(375)는 탄성변형이 가능한 재질을 소정의 직경을 가지는 직선형태로 만들어서 소정의 길이로 자른 것이다. 물론, 상기 탄성쇄모(375)는 약간 뻣뻣하면서도 어느 정도의 탄성변형이 가능한 털과 같은 천연재질로 만들어질 수도 있다. 상기 탄성쇄모(375)는 클리너흡입구(373)를 둘러서 일종의 벽을 형성하도록 배치된다. 한줄로 배치되는 것보다는 여러줄로 배치하여 흡입력의 누설을 없애도록 하는 것이 좋다.The elastic crushing
상기 클리너몸체(371)의 외면 일측에는 공기배출구(377)가 있다. 상기 공기배출구(377)는 상기 클리너흡입구(373)에서 상대적으로 떨어진 위치에 있는 것이 좋은데, 상기 클리너흡입구(373)로 흡입된 공기에서 먼지나 이물질이 제거되고 나서 외부로 공기가 배출되는 부분이다. 물론, 클리너(370)의 내부에 먼지를 모으지 않고 상기 공기배출구(377)에 배출호스를 연결하여 별도의 위치에 있는 먼지탱크에 먼지를 모을 수도 있다.An
상기 클리너몸체(371)의 내부에는 클리너(370)의 이동을 위한 구성과 먼지의 흡입을 위한 구성 그리고 클리너흡입구(373)에는 에지테이터와 같이 필터(310) 표면에 붙어 있는 먼지를 털어주는 구성이 있다.Inside the
클리너레일(380)은 상기 바닥판(11)의 저면에 상기 흡입구(11')를 가로질러 설치된다. 상기 클리너레일(380)을 따라 상기 클리너(370)가 직선왕복운동하게 된다. The
본 발명에서는 상기 클리너(370)가 하우징(10)의 바닥판(11) 저면에 설치되고 별도의 구성에 의해 차폐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흡입구(11')가 그대로 노출되고 다른 구성에 의해 차폐되지 않는다. 이와 같은 구성은 거실 내의 공기가 상기 공기유로(102)로 원활하게 유동되도록 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leaner 370 is install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그리고, 상기 클리너(370)도 별도의 구성에 의해 덮어지지 않게 되어 역시 흡입구(11')로의 공기유동이 원활하게 된다. 하지만, 상기 클리너(370)가 상기 클리너레일(380)에 의해서만 지지되므로, 클리너(370)의 자중에 의해 위치에 따라서는 처짐이 발생할 수 있다. 하지만, 상기 탄성쇄모(375)는 항상 제1필터(320)의 표면에 탄성변형된 상태로 밀착되어 있을 수 있어, 흡입력의 누설이 발생하지 않게 한다. 즉, 클리너(370)가 중력에 의해 처짐이 발생하는 위치에서는 상기 탄성쇄모(375)의 탄성변형 정도가 줄어들면서 여전히 제1필터(320)의 표면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면 흡입력의 누설이 발생하지 않는다. Also, since the cleaner 370 is not covered by a separate configuration, the air flow to the suction port 11' is also smooth. However, since the cleaner 370 is supported only by the
한편, 상기 클리너(370)의 바닥부(372)는 상기 제1필터(320)의 표면과 마주보고 상기 클리너흡입구(373) 가장자리의 탄성쇄모(375)는 제1필터(320)의 표면에 탄성변형되어 밀착된 상태로 된다. 상기 탄성쇄모(375)의 길이가 지나치게 길면 탄성쇄모(375)의 사이를 통해 흡입력의 누설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상기 제1필터(320)의 표면과 클리너(370)의 바닥부(372) 사이의 거리는 일정 이하의 값으로 되어야 한다.On the other hand, the
상기 필터유니트(300)는 상기 하우징(10)의 흡입구(11') 내측에 있고, 상기 클리너(370)는 하우징(10)의 바닥판(11) 하면에 있으므로, 이들 사이에 어느 정도의 거리가 존재한다. 이 거리를 최소화하기 위해서 상기 제1필터(320)의 가장자리에 단차를 두어 제1필터(320)의 표면이 상기 클리너(370)의 바닥부(372)와 근접하도록 돌출되게 할 수 있다.Since the
도 24에서 도 29를 참고하여 가습을 위한 구성을 설명한다. 상기 제1구획벽(19)을 관통하여 상기 공기유로(102)와 연통되게 공기유입덕트(401)가 있다. 상기 공기유입덕트(401)는 상기 제1공간프레임(202)의 내부로 연장된다. 상기 공기유입덕트(401)로 상기 공기유로(102)의 공기 일부가 전달된다. 여기서 상기 공기유입덕트(401)로 유동되는 공기는 상기 필터유니트(300)를 통과하였지만 상기 열교환기(104)는 통과하지 않은 것이다. 따라서 거실 내의 공기가 필터유니트(300)를 통과하면서 정화된 상태로 상기 공기유입덕트(401)로 전달된다.A configuration for humidifica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4 to 29 . There is an
상기 공기유입덕트(401)에 연결되어 유입팬부(403)가 있다. 상기 유입팬부(403)는 내부에 팬(도시되지 않음)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팬의 구동에 의해 상기 공기유입덕트(401) 내부로 상기 공기유로(102)의 공기가 흡입된다. There is an
상기 유입팬부(403)에서 가압된 공기가 유동되게 공기전달덕트(405)가 있고, 상기 공기전달덕트(405)에 연결되어 스팀생성기(407)가 있다. 상기 스팀생성기(407)는 아래에서 설명될 물통(419)에서 공급된 물을 가열하여 스팀을 발생시키는 것이다. 본 실시례에서는 가습을 위해 가열식 스팀생성기(407)를 사용하여 스팀을 생성하나, 초음파를 이용해서 물분자를 기화할 수 있다. 즉, 스팀생성기(407) 대신에 다양한 가습수단을 사용할 수 있다.There is an
상기 스팀생성기(407)에는 제1배출덕트(409)가 있다. 상기 제1배출덕트(409)는 스팀생성기(407)에서 생성된 스팀과 공기유입덕트(401)를 통해 전달된 공기가 혼합된 상태로 배출된다. 상기 제1배출덕트(409)는 상기 연결덕트(204)와 연결된다. 상기 제1배출덕트(409)를 통해 유동된 가습된 공기는 상기 연결덕트(204)로 전달되어, 상기 수직유로(210), 연통유로(218), 팝업유로(236)를 차례로 유동하고 팝업토출구(242)를 통해 실내공간으로 배출된다.The
상기 스팀생성기(407)에는,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배출덕트(411)가 상기 제1배출덕트(409)와 다른 방향에 있다. 물론 상기 제2배출덕트(411)가 반드시 있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제2배출덕트(411)는 가습연결덕트(413)로 가습된 공기를 전달한다. 상기 가습연결덕트(413)는 상기 제2공간(24)에 있는 수직덕트(208)의 수직유로(210)와 연통된다. 상기 가습연결덕트(413)는 상기 배면판(13)과 벽면 사이에 형성된 배면공간(13s)에 위치된다. 여기서 상기 제1배출덕트(409)와 제2배출덕트(411)에는 각각 가습댐퍼(도시되지 않음)가 있어서 가습을 위한 공기의 토출을 제어할 수 있다. In the
상기 제1공간프레임(202)에 형성된 프레임공간(203)에는 물통안착대(415)가 있다. 상기 물통안착대(415)에는 물통(419)이 안착된다. 상기 물통(419)에서 공급된 물을 상기 스팀생성기(407)로 전달하기 위해 가습펌프(417)가 상기 물통안착대(415)에 인접하여 설치된다.In the
상기 물통안착대(415)는 상기 물통(419)을 틸팅시킬 수 있다. 상기 물통안착대(415)는 상기 프레임공간(203) 내에서 상기 물통(419)의 상단이 외부로 돌출되도록 동작된다. 이는 상기 물통(419)을 상기 프레임공간(203)에 입출시키는 것이 용이하게 하도록 하기 위함이다.The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물통안착대(415)에는 베이스프레임(421)이 있다. 상기 베이스프레임(421)은 물통안착대(415)를 구성하는 부품들이 장착되어 지지되는 부분이다. 상기 베이스프레임(421)은 상기 제1공간프레임(202)의 프레임공간(203) 바닥에 설치된다. 상기 베이스프레임(421)의 후단에는 가이드컬럼(423)이 한쌍이 직립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컬럼(423) 사이의 공간에는 가이드레일(425)과 가이드슬롯(427)이 있다. 상기 가이드레일(425)은 상기 가이드컬럼(423)의 서로 마주보는 내면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가이드레일(425) 사이의 공간이 가이드슬롯(427)이 된다. 상기 가이드레일(425)은 소정의 곡률반경을 가지는 곡선형태이다.As shown in FIG. 27 , there is a
상기 베이스프레임(421)의 상면에 돌출되어서는 저수부(429)가 있다. 상기 저수부(429)의 내부에는 저수공간(431)이 형성되어 상기 물통(419)에서 공급된 물이 임시로 저장된다.There is a
상기 베이스프레임(421)의 저수부(429) 상면에는 저수부상판(433)이 설치된다. 상기 저수부상판(433)은 상기 저수공간(431)을 차폐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저수부상판(433)과 베이스프레임(421)의 사이에는 시일(도시되지 않음)이 설치되어 누수를 방지한다. 상기 저수부상판(433)의 양측면에는 회전중심공(435)이 있다. 상기 회전중심공(435)은 아래에서 설명될 틸팅테이블(449)이 틸팅되는 중심이 된다.A water
상기 회전중심공(435)은 상기 저수부상판(433)에 돌출되어 형성된 안착벽(437)의 측면에 있다. 상기 안착벽(437)은 틸팅테이블(449)이 틸팅되지 않은 상태에서 틸팅테이블(449)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안착벽(437)은 아래에서 설명될 저수부입구(441)의 양측에 각각 대칭으로 형성된다.The
상기 안착벽(437)에서 연장되어 틸팅스토퍼(439)가 있다. 상기 틸팅스토퍼(439)는 상기 저수부상판(433)의 선단으로 갈수록 낮아지게 경사진다. 상기 틸팅스토퍼(439)는 틸팅테이블(449)이 틸팅되었을 때 하면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There is a tilting
상기 저수부상판(433)을 관통하여 저수부입구(441)가 있다. 상기 저수부입구(441)는 상기 저수공간(431)의 입구가 된다. 상기 저수부입구(441)에는 밸브개방구(443)가 있다. 상기 밸브개방구(443)는 상기 물통(419)에 있는 밸브를 개방시키는 역할을 한다.There is a water reservoir inlet 441 passing through the water
상기 저수부상판(433)에 구비되는 구성들은 상기 베이스프레임(421)에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회전중심공(435)이 상기 베이스프레임(421)의 저수부(429) 양측면에 형성될 수도 있다.Components provided on the
상기 회전중심공(435)에는 회전중심부재(445)의 회전중심축(447)이 위치된다. 상기 회전중심부재(445)는 아래에서 설명될 틸팅테이블(449)에 고정된 상태로 상기 회전중심축(447)이 상기 회전중심공(435)에 위치된다. 따라서, 상기 회전중심공(435)은 틸팅테이블(449)의 회전중심이 된다.The
틸팅테이블(449)은 상기 베이스프레임(421)에 틸팅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틸팅테이블(449)은 상면이 수평인 상태와 선단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틸팅된 상태로 있을 수 있다. 이는 상기 틸팅테이블(449)이 상기 회전중심축(447)을 중심으로 소정 각도 회전됨에 의해 수행된다.The tilting table 449 is installed to be tiltable on the
상기 틸팅테이블(449)의 틸팅동작을 위한 구동력은 틸팅랙기어부(451)를 통해 전달된다. 도 28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틸팅랙기어부(451)는 상기 틸팅테이블(449)의 후단에 있다. 상기 틸팅랙기어부(451)는 전체 형상이 소정의 곡률반경을 가지는 곡선이다. 상기 틸팅랙기어부(451)의 형상은 상기 베이스프레임(421)의 가이드레일(425)과 연동될 수 있도록 곡선으로 된다. 상기 틸팅랙기어부(451)의 외면에는 랙기어(453)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랙기어(453)는 아래에서 설명될 틸팅감속기(463)의 출력기어(467)와 맞물려 동작된다.The driving force for the tilting operation of the tilting table 449 is transmitted through the tilting
상기 틸링랙기어부(451)의 양측면에는 곡선형상으로 되는 연동채널(455)이 있다. 상기 연동채널(455)에는 상기 베이스프레임(421)의 가이드레일(425)이 위치되어 안내된다. There are interlocking
상기 틸팅테이블(449)에는 저수부커버(457)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저수부커버(457)에는 물공급공(459)이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물공급공(459)과 상기 저수부입구(441) 사이에는 밸로우즈 형태의 연결호스(도시되지 않음)가 연결되어 물이 누수없이 저수공간(431)으로 전달될 수 있게 한다. 즉, 상기 틸팅테이블(449) 상에 안착된 물통(419)으로부터 나온 물이 상기 물공급공(459)을 통해 저수공간(431)으로 전달되도록 한다.A
상기 틸팅테이블(449)의 동작을 위한 구동력은, 도 26 및 도 29에 도시된 틸팅구동원(461)에 의해 제공된다. 상기 틸팅구동원(461)은 전동모터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틸팅구동원(461)은 상기 베이스프레임(421)의 후방에 설치된다. 상기 틸팅구동원(461)의 구동력을 감속하여 전달하는 틸팅감속기(463)가 상기 틸팅구동원(461)의 출력축에 연결설치된다. 상기 틸팅감속기(463)의 외관을 감속기하우징(465)이 형성하고, 상기 감속기하우징(465) 내에는 다수개의 기어가 설치된다. 상기 틸팅감속기(463)의 기어열에서 제일 마지막 기어는 출력기어(467)이다. 상기 출력기어(467)는 상기 틸팅테이블(449)의 랙기어(453)와 맞물려 동작된다.The driving force for the operation of the tilting table 449 is provided by the tilting
한편, 상기 하우징(10)의 전면에는 근접센서(470)가 있다. 상기 근접센서(470)는 상기 물통(419)을 교체하기 위한 사용자를 인식하는 역할을 한다. 즉, 사용자가 상기 제1이동판(16) 앞에서 상기 근접센서(470)에 근접하면 이를 인식하여 상기 제1이동판(16)이 자동으로 개방되고, 상기 물통안착대(415)의 틸팅테이블(449)이 틸팅되어 물통(419)의 상단이 프레임공간(203)에서 돌출된다. 여기서 상기 근접센서(470) 대신에 버튼을 사용할 수도 있다. 즉, 물통(419)의 교체 의사를 인식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감지수단이라도 상기 근접센서(470)를 대신하여 사용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re is a
다음으로, 도 30 및 도 31을 참고하여 기계실(500) 내부의 구성을 설명한다. 상기 제2공간(24)에는 제2공간프레임(202')이 설치된다. 상기 제2공간프레임(202')은 상기 제1공간프레임(202)과 유사한 구성을 가지는 것으로, 상기 추가토출부(200)를 구성하는 수직덕트(208)가 있어 팝업덕트(234)가 승강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추가토출부(200)와 관련된 구성은 제1공간프레임(202)에 있는 것과 동일하다.Next,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상기 제2공간프레임(202')의 일측에는 기계실(50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기계실(500)은 상기 제1공간프레임(201)의 프레임공간(203)을 포함하는 부분이다. 상기 기계실(500)은 상기 제2공간프레임(202')에서 상기 수직덕트(208)가 형성된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 있다. 상기 기계실(500)의 천정을 구성하는 상구획판(501)은 상기 하우징(10)의 상판(14)과의 사이에 소정의 간격을 가질 수 있는 위치에 있고, 상기 상구획판(501)과 마주보고 상기 기계실(500)의 바닥을 형성하는 하구획판(501')은 상기 하우징(10)의 바닥판(11)과 소정의 간격을 가질 수 있는 위치에 있다.A
상기 하구획판(501')의 저면에는 배수펌프(502)가 설치된다. 상기 배수펌프(502)는, 도 30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드레인팬(108)의 바닥보다 낮은 위치에 있다. 즉, 상기 배수펌프(502)에서 연결호스(504)가 연결되는 부분은 상기 드레인팬(108)의 바닥의 연장면과 같거나 낮은 위치에 있다.A
따라서, 상기 드레인팬(108)과 배수펌프(502) 사이를 연결하여 응축수를 배수펌프(502)로 전달하는 연결호스(504)는 상기 드레인팬(108)과 연결되는 단부가 상기 배수펌프(502)와 연결되는 단부보다 높은 위치에 있다. 이는 상기 연결호스(504)를 통해서 응축수가 중력작용에 의해 자연스럽게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도시된 실시례에서는 상기 연결호스(504)가 상기 드레인팬(108)의 측면을 관통하여 있는 것으로 되어 있는데, 상기 드레인팬(108)의 바닥면과 상기 연결호스(504)의 대응되는 내측면은 동일한 높이에 있다. 또는 상기 연결호스(504)는 상기 드레인팬(108)의 바닥보다 낮은 위치에 있으면서 드레인팬(108)의 내부와 연통된다. 상기 연결호스(504)가 상기 드레인팬(108)의 바닥을 관통하여 연결될 수도 있다. 상기 드레인팬(108)은 그 바닥면이 상기 연결호스(504)와 연결되는 쪽으로 가면서 점차 낮아지도록 경사가 형성되는 것이 좋다.Accordingly, the
상기 연결호스(504)는 본 발명에서는 크게 상단부(505), 연결부(505') 그리고 하단부(505")로 구분된다. 상기 상단부(505)는 상기 드레인팬(108)과 연결되는 부분으로 상기 하단부(505")와 소정의 높이차를 가진다. 상기 연결부(505')는 상기 상단부(505)와 하단부(505")를 연결한다. 상기 하단부(505")는 상기 배수펌프(502)와 연결되는 부분으로 연결호스(504)에서 가장 낮은 위치에 있다. 상기 연결호스(504)에서 상기 상단부(505)가 없이 상기 연결부(505')가 직접 드레인팬(108)의 바닥으로 연통되게 연결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necting
상기 연결호스(504)의 상기 하단부(505")에 채워진 응축수까지 모두 배수펌프(502)로 흡입되도록 하지 않고, 상기 하단부(505") 또는 연결부(505')에는 응축수가 남아 있을 정도까지 배수펌프(502)가 동작되도록 하는 것이 좋다.The drain pump does not allow all of the condensed water filled in the
상기 배수펌프(502)에는 배출호스(506)가 연결된다. 상기 배출호스(506)는 상기 배수펌프(502)에서 가압된 응축수를 외부로 전달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상기 배출호스(506)의 최대높이(H)는 적어도 400mm 이상으로 된다. 상기 배출호스(506)는 상기 하우징(10)의 배면판(13)을 관통하여 외부로 연장된다. 상기 배출호스(506)가 상기 배면판(13)을 관통하는 호스통공(13')의 위치(배출호스(506)의 최대높이(H))중 가장 높은 위치는 상기 배면판(13)의 최상단이 되는 것이 좋다. 이와 같이 하면 하우징(10)의 외부에 있는 응축수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구성의 설계가 용이하게 되기 때문이다. A
상기 배출호스(506)의 최대높이(H)를 적어도 400mm이상으로 하는 것은, 이 최대높이(H) 이후의 배출호스(506)의 구간에서 중력작용만 활용해서도 응축수가 유동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상기 기계실(500)에서 하우징(10)의 외부로 연장된 배출호스(506)의 부분부터는 배수펌프(502)에 의한 가압력에 상관없이 중력에 의해서 응축수가 유동되어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The maximum height (H) of the
상기 기계실(500)에는 공급호스(510)가 있다. 상기 공급호스(510)는 상기 공기유로(102)로, 예를 들면, 산소 또는 음이온이 포함된 공기를 공급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주거공간 내의 사용자에게 보다 다양한 동작모드를 제공한다. 상기 공급호스(510)는 상기 제2구획판(19')에 대응되는 상기 제2공간프레임(202') 부분과 상기 배면판(13)의 호스통공(13')중 하나에 대응되는 부분을 관통하여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공급호스(510)는 실외기 측의 공급원과 상기 공기유로(102)를 연통시키게 된다.The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관리장치가 동작되는 것을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air managemen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먼저, 본 발명의 공기관리장치에서 실내 공간의 공기가 상기 열교환기(104)를 통과하면서 열교환되는 것을, 도 32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상기 구동팬(130,130',130")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동에 의해 상기 흡입구(11')를 통해 실내 공기가 흡입된다. 실내공기는 실내의 바닥과 상기 하우징(10)의 바닥판(11) 사이의 공간으로 이동되고 상기 흡입구(11')를 통해 하우징(10)의 공기유로(102)로 유동된다.First, i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32 that the air in the indoor space exchanges heat while passing through the
이 과정에서 공기는 상기 필터유니트(300)를 통과하면서 먼지와 이물질 그리고 이취 등이 제거된다. 상기 필터유니트(300)를 통과한 공기는 상기 공기유로(102)를 따라 유동되다가 상기 열교환기(104)를 통과한다. 상기 흡입구(11')를 통해 흡입된 공기가 상기 공기유로(102)의 상대적으로 후단으로 유동되는 것은 상기 입구가이드(110)에 의해 이루어진다. 상기 입구가이드(110)의 안내경사면(110')이 상기 배면판(13)을 향해 상향 경사지므로, 상기 필터유니트(300)를 통과한 공기는 주로 배면판(13)쪽으로 안내된다. 이는 상기 안내경사면(110')과 필터유니트(300) 사이의 공간이 상기 배면판(13)쪽으로 가면서 점차 더 넓어지기 때문이다.In this process, the air passes through the
상기 배면판(13) 근처의 공기유로(102) 후단으로 유동된 공기는 상기 구동팬(130,130',130')의 동작에 의해, 상기 열교환기(104)를 지나서 가동되고 있는 구동팬(130,130',130")이 있는 팬가이드(120)의 팬공간(124,124',124")으로 들어간다.The air flowing to the rear end of the
이때, 상기 상부가이드(112)는 공기유로(102)에서 유동되는 공기를 안내해서 상기 열교환기(104)로 공기가 전달되도록 한다. 특히 상기 상부가이드(112)는 상기 열교환기(104)의 상부를 넘어서 공기가 유동되지 않도록 하면서, 공기유로(102)에서 유동되는 공기의 전부가 열교환기(104)를 통과하도록 한다.At this time, the
상기 열교환기(104)를 통과한 공기는 각각의 구동팬(130,130',130')의 구동에 의해 특정한 팬공간(124,124',124")으로 들어가서 유동경로가 분리된다. 상기 팬공간(124,124',124")의 상기 유출구(128)를 통해 공기가 빠져나가 대응되는 토출구(15'-1,15'-2,15'-3)로 공기가 유동된다. 해당되는 토출구(15'-1,15'-2,15'-3)의 루버(142,142,143)가 개방되어 소정의 각도로 세워져 있으면 공기가 루버(141,142,143)에 의해 안내되어 실내 공간으로 토출된다.The air passing through the
본 발명에서는 상기 구동팬(130,130',130')의 동작에 의해 공기가 상기 토출구(15'-1,15'-2,15'-3)들을 통해 배출된다. 이때, 특정 구동팬(130,130',130")의 가동여부에 따라 상기 토출구(15'-1,15'-2,15'-3)를 통한 공기의 토출을 독립적으로 설정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air is discharged through the outlets 15'-1, 15'-2, and 15'-3 by the operation of the driving
예를 들어 상기 제1구동팬(130)만을 가동하고 제1루버(141)를 개방하여 제1토출구(15'-1)를 통해서만 열교환된 공기가 토출되도록 할 수 있다. 또는 제2구동팬(130')만을 가동하고 제2루버(142)를 개방하여 제2토출구(15'-2)를 통해서만 열교환된 공기가 토출되도록 할 수 있다. 또는 제3구동팬(130")만을 가동하고 제3루버(143)를 개방하여 제3토출구(15'-3)를 통해서만 열교환된 공기가 토출되도록 할 수 있다.For example, only the first driving
물론, 상기 구동팬(130,130',130")들을 적어도 2개 이상씩 조합하여 가동시킬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각각 가동되는 구동팬(130,130',130")과 대응되는 루버(141,142,143)를 동작시켜 공기를 토출할 수 있다.Of course, at least two or more of the driving
한편, 상기 루버(141,142,143)의 회전각도를 달리하여 상기 토출구(15'-1,15'-2,15'-3)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가 전달되는 거리를 독립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구동팬(130,130',130")들의 동작여부와 상기 루버(141,142,143)의 회전각도에 따라서 상기 하우징(10)의 전방영역에 대해 다양하게 공기관리를 수행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례에서는 루버(141,142,143)의 상하방향의 각도 조절을 통해 공기가 토출되는 것을 제어하는 것으로 되어 있으나, 각각의 토출구(15'-1,15'-2,15'-3)를 정면에서 볼 때, 좌우방향으로 공기를 토출할 수 있도록 별도의 조절날개를 둘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by varying the rotation angle of the louvers (141, 142, 143) it is possible to independently control the distance through which the air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port (15'-1, 15'-2, 15'-3) is transmitted. As described above, depending on whether the driving
본 발명에서 공기관리장치가 동작되는 예를 설명하면, 상기 하우징(10)의 전방에 3명의 사용자가 각각의 토출구(15'-1,15'-2,15'-3)와 대응되는 위치에 앉아 있다고 할 때, 각각의 사용자의 요구에 맞춰서 구동팬(130,130',130")의 가동과 상기 루버(141,142,143)의 회전각도를 달리 설정해서 공기관리를 할 수 있다.When explaining an example in which the air management device is operated in the present invention, three users in front of the
상기 구동팬(130,130',130")의 가동과 상기 루버(141,142,143)의 개방 및 각도조절은 다양한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구동팬(130,130',130")의 회전속도를 달리하여 공기가 토출되는 속도를 달리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다양한 조합을 통해서 각각의 토출구(15'-1,15'-2,15'-3)를 통해서 공기가 토출되는 것을 다양하게 할 수 있다.The operation of the driving
도 33에는 모든 구동팬(130,130',130")을 가동하면서, 3개의 토출구(15'-1,15'-2,15'-3)를 모두 개방하도록 상기 루버(141,142,143)를 동작시켜서 공기를 실내공간으로 토출하는 것이 예로서 도시되어 있다. 이때, 상기 팬가이드(120)에 형성된 분지유로(129)를 통해 공기가 팝업덕트(234)쪽으로 가는 것은 상기 제1댐퍼(206)를 닫아 연결덕트(204)로 공기가 유동되지 않도록 한다. 따라서, 제1구동팬(130)과 제3구동팬(130")에 의해 형성되는 기류는 상기 분지유로(129)로 유동되지 않고 모두 각각 유출구(128)를 통해 제1토출구(15'-1)나 제3토출구(15'-3)로 유동된다.33, while operating all the driving
상기 루버(141,142,143)의 개방과 각도 조절은 상기 구동모터(141',142',143')의 구동에 의해 이루어진다. 상기 구동모터(141',142',143')의 출력축에 연결된 상기 루버(141,142,143)의 회전중심편(145)이 회전되면서 상기 루버(141,142,143)가 회전된다. 상기 구동모터(141',142',143')의 출력축은 그 내부의 감속부에 의해 속도와 토크가 설정되어 동작된다. 상기 구동모터(141',142',143')의 출력축의 동작정도에 의해 상기 루버(141,142,143)의 회전각도가 설정된다. 여기서 상기 루버(141,142,143)의 회전각도가 설정되는 것은 미리 설정된 동작모드가 있어서 사용자가 해당 동작모드를 선택함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동작을 통해 상기 토출구(15'-1,15'-2,15'-3)를 통해 토출되는 열교환된 공기는, 특정한 사용자에게 직접 전달되거나, 간접적으로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열교환된 공기가 상기 토출구(15'-1,15'-2,15'-3)의 전방방향으로 토출되도록 하면 하우징(10)의 전방에 있는 사용자에게 직접 전달된다. 그리고, 상기 루버(141,142,143)의 설치각도를 조절하여 상기 토출구(15'-1,15'-2,15'-3)에서 상기 하우징(10)의 전방 상부로 열교환된 공기가 토출되도록 하면, 사용자에게 직접 공기가 전달되지 않고 간접적으로 전달된다.The opening and angle adjustment of the louvers (141, 142, 143) are made by driving the drive motors (141', 142', 143'). As the
한편, 상기 팝업덕트(234)의 팝업토출구(242)를 통해 공기가 토출되는 것을 설명한다. 상기 추가토출부(200)는 열교환된 공기를 상기 토출구(15'-1,15'-2,15'-3)를 통해 실내공간으로 보내는 것보다 상대적으로 더 멀리 보낼 수 있다. 상기 팝업덕트(234)가 상기 하우징(10)의 상부로 돌출되고 또한 회전되면서 원하는 위치로 공기를 보낼 수 있다. 따라서, 보다 멀리 그리고 넓은 영역으로 공기를 보낼 수 있다. 즉, 공기관리장치가 설치된 공간에 인접한 다른 공간으로까지 열교환된 공기를 보낼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공기관리장치가 거실에서 사용되는데, 상기 팝업덕트(234)를 통해 나오는 공기는 인접한 주방으로 까지 열교환된 공기를 보낼 수 있다.Meanwhile, it will be described that air is discharged through the pop-up
상기 팝업덕트(234)를 통해 공기가 토출되는 것이 도 34 및 도 35에 도시되어 있다. 상기 팝업덕트(234)의 팝업토출구(242)를 통해 공기가 실내공간으로 토출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상기 분지유로(219)를 통해 공기가 팝업덕트(234)로 공급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 상기 제1댐퍼(206)가 상기 분지유로(219)를 개방하여 상기 분지유로(219)와 연결덕트(204)가 서로 연통되어야 한다.It is shown in FIGS. 34 and 35 that air is discharged through the pop-up
그리고, 상기 제1구동팬(130)과 제3구동팬(130")중 적어도 하나가 동작된다. 즉, 양측의 팝업덕트(234)를 통해 열교환된 공기가 토출될 수도 있지만, 어느 하나의 팝업덕트(234)를 통해서만 공기가 토출될 수도 있다. 도 34에는 제1구동팬(130)과 관련된 구성만 도시하고 있는데, 이는 도시의 편의를 위해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것이다. 도 35에는 양측의 팝업덕트(234)가 하우징(10)의 상부로 돌출되어 공기가 토출되는 것이 도시되어 있다. 물론 도 35에서는 제2토출구(15'-2)의 제2루버(142)가 동작되어 이를 통해서도 제2구동팬(130')의 구동에 의해 공기가 토출되는 것이 도시되어 있다. 하지만 상기 제2루버(142)도 제1루버(141)나 제3루버(143)와 같이 폐쇄되고, 양측의 팝업덕트(234)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동작되어 공기를 토출할 수 있다.And, at least one of the first driving
상기 하우징(10) 좌측의 추가토출부(200)를 통해 공기가 토출되는 것을 설명한다. 상기 제1구동팬(130)이 가동되고, 상기 제1댐퍼(206)가 개방되면 상기 열교환기(104)에서 열교환된 공기는 제1구동팬(130)에 의해 상기 분지유로(219)로 유동된다. 상기 분지유로(219)로 유동된 공기는 개방된 제1댐퍼(206)를 지나서 상기 연결덕트(204)의 연결유로(205)로 간다. 상기 연결유로(205)는 수직덕트(208)의 수직유로(210)와 연통되어 있어서, 상기 연결유로(205)를 통과한 공기는 상기 수직유로(210)로 유동된다.It will be described that air is discharged through the
한편, 상기 팝업덕트(234)는 사용시에 하우징(10)의 상부로 돌출되는데, 상기 팝업덕트(234)의 돌출은 상기 승강랙기어부(212)와 상기 승강박스(214)에 설치된 승강모터(230)의 승강구동기어(232)에 의해 이루어진다. 즉, 상기 승강모터(230)가 일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승강구동기어(232)가 회전하면서 상기 승강랙기어부(212)를 따라 이동하여 상기 승강박스(214)가 동작한다. 상기 팝업덕트(234)를 통해 열교환된 공기를 토출하기 위해서는 상기 팝업덕트(234)를 상승시켜서 도 34에서와 같이 팝업덕트(234)가 하우징(10)의 상부로 돌출되게 한다.On the other hand, the pop-up
도 35에는 팝업덕트(234)가 화살표 A방향으로 승강될 수 있고, 화살표 B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즉, 상기 팝업덕트(234)를 상승시켜 돌출시키고, 상승 후에 회전을 수행하여 상기 팝업토출구(242)를 원하는 방향을 향하도록 한다. 이와 관련된 구성들은 도 15와 도 16에 잘 도시되어 있다. 35 shows that the pop-up
상기 팝업덕트(234)를 회전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승강박스(214)에 설치된 회전모터(226)를 구동시킨다. 상기 회전모터(226)가 구동하면 상기 회전구동기어(228)가 회전하면서 상기 팝업덕트(234)의 회전지지부(238)에 형성된 종동기어부(240)와 연동하여 팝업덕트(234)가 회전한다. 상기 팝업덕트(234)가 돌출된 상태로 회전함에 의해 열교환된 공기를 사용자가 보내고자 하는 위치로 쉽게 보낼 수 있다.In order to rotate the pop-up
이때, 상기 팝업토출구(242)는 상기 팝업덕트(234)의 외면을 정면에서 봤을 대 절반 이하의 영역에 형성되어 있어, 팝업덕트(234)의 팝업토출구(242)가 향하는 방향으로 팝업유로(236)로 전달된 공기가 외부로 토출될 수 있다. 상기 팝업덕트(234)는 360도 회전이 가능하다. 하지만 하우징(10)이 주거공간 벽면에 배면이 인접하여 설치되므로 실질적으로 상기 팝업덕트(234)는 180도 정도의 회전영역에 걸쳐서 공기를 토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상기 토출구(15'-1,15'-2,15'-3)의 전방에 있을 경우 사용자 방향으로 팝업토출구(242)가 위치하도록 회전하여 사용자들에게 공기를 토출할 수 있고, 별도의 공간으로 공기를 보내는 경우는 해당 공간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팝업토출구(242)가 해당 공간 방향을 향하게 한 상태에서 공기를 토출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pop-up
한편, 상기 팝업덕트(234)는 특정한 방향으로 상기 팝업토출구(242)가 향하도록 한 상태에서만 공기를 토출하는 것이 아니라, 상기 팝업덕트(234)가 정해진 각도만큼 회전하면서 공기를 토출할 수도 있다. 즉, 상기 팝업덕트(234)의 상기 팝업토출구(242)를 정면에서 볼 때, 좌우로 소정 각도 범위를 계속하여 왕복하면서 공기를 토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팝업유로(236)내에는 상기 팝업토출구(242)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방향을 상하로 조절할 수 있는 조절날개(244)가 있으므로, 상기 팝업토출구(242)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상하방향을 조절하여 열교환된 공기가 전달되는 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pop-up
상기 팝업덕트(234)를 통해 공기를 토출하는 경우에는 상기 팝업구동팬(224)이 선택적으로 동작될 수 있다. 상기 팝업구동팬(224)은 팝업덕트(234)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를 보다 멀리 보내기 위해 상기 연통유로(218) 내에서 공기를 가압하게 된다. 상기 제1구동팬(130)이나 제3구동팬(130")의 구동에 의해서만 공기를 유동시켜 토출할 수 있고, 보다 멀리 공기를 보낼 때에는 상기 팝업구동팬(224)을 동작시켜 공기를 가압하여 상기 팝업토출구(242)를 통해 토출할 수 있다.When air is discharged through the pop-up
한편, 상기 제1에서 제3토출구(15'-1,15'-2,15'-3)를 통해서 열교환된 공기를 토출하면서 양측의 팝업덕트(234)를 사용하여 공기를 토출하게 되면 보다 상기 하우징(10)의 전방에 있는 보다 많은 사용자들에 대해서 동시에 서로 다른 조건으로 공기관리를 할 수도 있다. 이는 상기 추가토출부(200)가 상기 하우징(10)의 양단부에 인접한 위치에 있기 때문에 가능하다. 즉 하우징(10)의 전면 중앙 상단에 있는 제1에서 제3토출구(15'-1,15'-2,15'-3)와 이들 추가토출부(200)가 협력하여 나란히 앉아 있는 보다 많은 사용자들에게 각각 독립적인 조건으로 공기관리를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air is discharged using the pop-up
상기 필터유니트(300)를 공기가 통과하면서 공기의 정화작용이 되는 것은 다음과 같다. 상기 흡입구(11')로 전달된 공기는 바로 제1필터(320)를 통과한다. 이는 상기 흡입구(11')에는 별도로 차폐를 위한 구성이 없기 때문이다. 즉, 상기 흡입구(11')는 거실 바닥과 마주보고 있어 사용자가 직접 볼 수 없는 등, 특별히 차폐를 위한 구성이 필요없기 때문이다.As the air passes through the
상기 필터프레임(301)에는 제1필터(320), 제2필터(330), 제3필터(340)가 차례로 적층되어 있기 때문에, 공기가 상기 제1필터(320), 제2필터(330),제3필터(340)를 차례로 통과하면서 먼지, 미세먼지, 이취가 제거된다. 필터유니트(300)를 통과한 공기는 상기 공기유로(102)로 들어간다.Since the
공기관리장치가 동작되어 거실 공간 내의 공기가 반복하여 상기 공기관리장치로 흡입되고 토출되는 것을 반복하는 과정에서, 상기 필터유니트(300)의 제1필터(320), 제2필터(330) 및 제3필터(340)에는 먼지와 이취성분이 모인다. 필터유니트(300)의 성능이 일정 이상으로 유지되기 위해서는 상기 클리너(370)가 동작된다. 상기 클리너(370)는 상기 흡입구(11')을 벗어난 영역인 상기 바닥판(11)의 하면 일측에 설치되어 있다가, 동작신호를 받으면 상기 클리너레일(380)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흡입구(11') 영역을 통과한다.The
상기 클리너(370)가 상기 흡입구(11') 영역을 통과하면서 상기 클리너흡입구(373)를 통해 먼지와 이물질이 흡입된다. 즉 필터(320)에 있는 먼지와 이물질은 클리너(370)의 흡입력에 의해 상기 클리너흡입구(373)로 들어간다. 이와 같은 동작에 의해 필터(320)에 있는 먼지와 이물질이 제거되면서 특히 제1필터(320)의 성능이 개선된다.As the cleaner 370 passes through the
한편, 상기 클리너(370)는 소정의 무게를 가지므로 중력에 의해 거실 바닥 방향으로 이동되려고 하고, 상기 클리너레일(380)의 중간 부분은 중력에 의해 처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클리너(370)는 상기 클리너레일(380)의 중간 부분에 갔을 때 상기 필터(320)로부터 가장 멀리 떨어질 수 있다.Meanwhile, since the cleaner 370 has a predetermined weight, it tends to move toward the living room floor by gravity, and the middle portion of the
하지만, 상기 클리너(370)의 클리너흡입구(373)는 탄성쇄모(375)에 의해 둘러싸여 있어서, 필터(320) 표면과 클리너(370) 사이의 거리가 달라지더라도 클리너흡입구(373)에서의 흡입력의 누설이 발생하지 않는다. 이는 상기 탄성쇄모(375)가 상기 클리너흡입구(373) 주위를 둘러싸면서 필터(320)의 표면에 선단이 밀착되어 탄성변형된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이다. 필터(320) 표면과 클리너(370) 사이의 거리가 달라지더라도 상기 탄성쇄모(375)가 탄성변형된 정도만 달라지기 때문이다.However, since the
상기 클리너(370)는 상기 클리너레일(380)을 따라 직선왕복운동하면서 필터(320)에 대한 청소를 수행하고, 필터(320)에 대한 청소 상태가 끝나면 상기 흡입구(11')를 벗어난 위치인 상기 바닥판(11)의 하면에 위치하게 된다.The cleaner 370 cleans the
한편, 상기 필터(320,330,340)의 교체를 위해서는 상기 필터프레임(301)을 상기 하우징(10)으로부터 빼내어야 한다. 상기 손잡이(303')를 사용자가 잡고 당기면 상기 필터프레임(301)은 서랍같이 상기 하우징(10)에서 빠져나오게 된다. 즉, 상기 레일조립체(350)가 동작되면서 상기 필터프레임(301)의 하우징(10)의 전방으로 빠져나온다. 이는 도 36에 잘 도시되어 있다.Meanwhile, in order to replace the
상기 필터프레임(301)이 하우징(10)의 전방으로 빠져나오면, 상기 필터프레임(301)의 후단에 있는 지지리브(313)가 출입구 내측에 걸어져 있어서, 필터프레임(301)의 후단이 지지되어 선단이 낙하되지 않게 된다. 물론, 상기 레일조립체(350)가 상기 필터프레임(301)과 하우징(10)에 동시에 연결되어 있어 필터프레임(301)이 임의로 빠지지 않게 된다.When the
이 상태에서 상기 수납케이스(324)를 들어올리면 수납공간(325)에 있는 제2필터(330)와 제3필터(340)가 제1필터(320)와 함께 동시에 필터프레임(301)으로부터 빠지게 된다. 3개의 통과영역(302)에 있는 필터(320,330,340)들을 이와 같은 방식으로 모두 빼내고 유지보수 작업을 할 수 있다.When the
유지보수가 이루어지거나 새로운 필터(320,330,340)는 상기 필터프레임(301)의 통과영역(302)에 다시 놓여진다. 즉, 상기 수납케이스(324)의 수납공간(325)에 제2필터(330)와 제3필터(340)를 차례로 적층하고 이를 각각 통과영역(302)에 위치시킨다. 다음으로 상기 필터프레임(301)을 하우징(10)의 내부로 밀어 넣는다.Maintenance or
한편, 상기 팝업덕트(234)를 통해서 가습된 공기가 토출되는 것은 다음과 같이 크게 2가지 경우로 나눌 수 있다. 첫번째로 상기 열교환기(104)를 통한 열교환이 이루어지지 않는 상태로 가습만 독립적으로 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두번째로는 모든 난방운전모드에 대해서 가습을 추가적으로 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 가습된 공기는 상기 연결덕트(204), 수직덕트(208) 및 팝업덕트(234)를 통해 유동되어 토출되므로, 가습동작에서는 상기 추가토출부(200)의 사용이 필수적이다.On the other hand, the discharge of the humidified air through the pop-up
먼저, 가습만 독립적으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상기 유입팬부(403)를 동작시켜 상기 공기유입덕트(401)를 통해 상기 공기유로(102)에 있는 공기를 흡입한다. 상기 유입팬부(403)에서 팬에 의해 가압된 공기는 상기 공기전달덕트(405)를 통해 상기 스팀생성기(407)로 보내진다. 상기 스팀생성기(407)에서는 상기 물통(419)에서 전달된 물을 가열하여 만들어진 스팀과 공기가 섞이게 된다. 이와 같이 하여 가습된 공기는 상기 제1배출덕트(409)나 제2배출덕트(411)를 통해 전달될 수 있다. 상기 팝업덕트(234)중 어느 하나를 통해서만 가습된 공기를 토출하는 경우에는 해당되는 배출덕트(409,411)만을 개방한다.First, when only humidification is performed independently, the air in the
상기 하우징(10)의 좌측에 있는 팝업덕트(234)를 통해 가습된 공기를 토출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1배출덕트(409)를 개방하여 상기 연결덕트(204)의 연결유로(205)로 공기가 유동되게 한다. 이 경우 상기 제1댐퍼(206)는 상기 분지유로(219)를 폐쇄하는 것이 좋다. When the humidified air is discharged through the pop-up
도 37에는 상기 분지유로(219)를 폐쇄하고 상기 제1구동팬(130)을 동작시키지 않아 연결유로(205)로 열교환된 공기가 전달되지 않는 상태에서 가습운전하는 것이 도시되어 있다. 이 경우에는 상기 제1배출덕트(409)에서 나온 가습된 공기가 상기 연결유로(205), 수직유로(210)를 지나 팝업유로(236)로 전달되어 팝업덕트(234)가 하우징(10)의 상부로 돌출된 상태에서 상기 팝업토출구(242)를 통해 토출된다. 상기 팝업덕트(234)는 하우징(10)의 상부로 돌출된 상태에서 회전될 수 있어서, 가습된 공기를 보다 멀고 보다 넓은 영역으로 보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팝업구동팬(224)을 구동시켜 가습된 공기를 가압하여 보다 멀리 토출되도록 할 수 있다. 37 shows the humidification operation in a state in which the
다음으로, 모든 난방운전모드에 대해서 가습을 추가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상기 열교환기(104)에서 열교환이 이루어지고, 이 열교환된 공기가 상기 토출구(15'-1,15'-2,15'-3), 상기 추가토출부(200)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통해 토출되면서, 동시에 가습된 공기가 연결유로(205), 수직유로(210), 팝업유로(236)를 차례로 통과하여 실내공간으로 토출되는 것이다.Next, humidification may be additionally performed for all heating operation modes. In this case, heat exchange is performed in the
한편, 사용자가 가습운전을 선택하게 되면, 상기 유입팬부(403)의 팬이 동작된다. 상기 유입팬부(403)의 팬이 동작되면 상기 공기유로(102)에서 일부의 공기가 상기 공기유입덕트(401)로 유동된다. 상기 공기유입덕트(401)로 유동된 공기는 상기 공기전달덕트(405)를 통해 상기 스팀생성기(407)로 전달된다. 상기 스팀생성기(407)에는 상기 물통(419)에서 전달된 물이 공급되어 스팀을 발생시킨다. 상기 스팀은 상기 공기전달덕트(405)를 통해 전달된 공기와 혼합되어 상기 제1배출덕트(409)와 제2배출덕트(411)로 전달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user selects the humidification operation, the fan of the
상기 제1배출덕트(409)로 전달된 공기는 상기 연결덕트(204)의 연결유로(205)를 따라 상기 수직유로(210)를 지나고, 연통유로(218)를 통과해서 상기 팝업유로(236)와 팝업토출구(242)를 통해 토출된다.The air delivered to the
상기 제2배출덕트(411)로 전달된 가습된 공기는 상기 가습연결덕트(413)로 전달되고, 상기 가습연결덕트(413)를 지나 상기 하우징(10)의 우측에 있는 수직덕트(208)이 수직유로(210)로 전달되어 팝업덕트(234)를 통과하여 토출된다.The humidified air delivered to the
한편, 가습을 위해서는 물이 필요하다. 가습을 위한 물은 물통(419)을 통해 공급된다. 상기 물통(419)은 상기 물통(419)은 상기 프레임공간(203)에 있는 물통안착대(415)에 안착된다. 상기 근접센서(470)에 사용자가 접촉하면, 근접센서(470)는 사용자를 인식하여 상기 제1이동도어(16)를 도 3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으로 이동시킨다.On the other hand, water is required for humidification. Water for humidification is supplied through the water tank (419). The
그리고, 상기 물통안착대(415)의 틸팅테이블(449)를 하우징(10)의 전방을 향해 하향경사지게 동작시킨다. 이와 같이 틸팅테이블(449)이 경사지게 되면 사용자는 물통(419)을 프레임공간(203)에서 빼내거나 프레임공간(203)으로 넣는 것이 쉽게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물통(419)을 넣거나 빼고 나면 상기 근접센서(470)에 다시 접촉하여 상기 틸팅테이블(449)이 수평상태가 되도록 하고 또한 상기 제1이동도어(16)가 상기 프레임공간(203)을 닫게 한다.Then, the tilting table 449 of the
여기서, 상기 틸팅테이블(449)이 동작되는 것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기 틸팅테이블(449)은 상기 제1이동도어(16)가 개방된 상태에서는, 도 39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경사지게 되고 상기 제1이동도어(16)가 닫힌 상태에서는 수평상태로 된다. 이를 위해서 상기 틸팅테이블(449)은 상기 베이스프레임(421)에 대해 회전중심축(447)을 중심으로 회전된다.Here, the operation of the tilting table 449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tilting table 449 is inclined when the first
상기 틸팅테이블(449)의 회전을 위한 구동력은 상기 틸팅구동원(461)이 제공한다. 상기 틸팅구동원(461)이 동작하면 틸팅구동원(461)의 구동력에 의해 틸팅감속기(463)가 동작되어 틸팅감속기(463)에 있는 기어열이 동작된다. 틸팅감속기(463)의 출력기어(467)는, 도 4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틸팅테이블(449)의 랙기어(453)와 맞물려 회전되어 상기 랙기어(453)가 형성된 틸팅랙기어부(451)가 상기 베이스프레임(421)의 가이드레일(425)을 따라 이동되도록 한다. 상기 가이드레일(425)이 상기 틸팅랙기어부(451)의 연동채널(455)에 위치되고 상기 출력기어(467)에 의해 상기 틸팅랙기어부(451)가 이동되는 것을 안내하면 상기 틸팅테이블(449)은 상기 회전중심축(447)을 기준으로 회전하게 된다.A driving force for rotation of the tilting table 449 is provided by the tilting
이와 같이 틸팅테이블(449)이 상기 회전중심축(447)을 기준으로 회전함에 의해 상기 틸팅테이블(449)은 수평상태과 경사상태 사이에 선택적으로 있게 된다. 상기 틸팅테이블(449)에는 상기 물통(419)이 위치되는데, 상기 제1이동도어(16)가 개방된 상태에서는 상기 틸팅테이블(449)이 경사진 상태에 있고, 상기 틸팅테이블(449)이 수평상태로 되면 상기 제1이동도어(16)가 닫힐 수 있는 상태가 된다.As described above, as the tilting table 449 rotates with respect to the
상기 틸팅테이블(449) 상에 안착된 물통(419)에서는 상기 밸브개방구(443)에 의해 물통(419)에 있는 밸브가 개방되면서 물이 상기 저수공간(431)으로 전달된다. 상기 저수공간(431)에 있는 물은 상기 가습펌프(417)에 의해 상기 스팀생성기(407)로 전달되어 가열되어 기화된다.In the
한편, 상기 열교환기(104)에서 작동유체와 공기가 열교환할 때, 상기 공기에 있는 수분이 응축되어 상기 열교환기(104)의 표면에 맺힐 수 있다. 상기 열교환기(104)에 맺힌 응축수는 그 직경이 커지면, 도 4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열교환기(104)의 표면을 타고 흘러 내려서 상기 드레인팬(108)에 모인다.Meanwhile, when the working fluid and air exchange heat in the
상기 드레인팬(108)에 모인 응축수는 중력에 의해 상기 연결호스(504) 내부를 유동하게 된다. 상기 연결호스(504)를 통해 상기 배수펌프(502)로 응축수가 전달되면, 상기 배수펌프(502)가 동작하여 응축수를 가압한다. 가압된 응축수는 상기 배출호스(506) 내부를 따라 상승된다. 상기 배출호스(506) 내부를 따라 유동되는 응축수는 일단 상기 배출호스(506)의 최고높이(H)까지만 상기 배수펌프(502)에 의해 가압되어 이동될 수 있으면 된다. 상기 배출호스(506)의 최고높이(H)까지 응축수가 전달되고 나면, 그 이후로는 중력작용에 의해 응축수의 유동이 일어나도록 하여 배출할 수 있다.The condensed water collected in the
한편, 본 발명에서는 상기 연결호스(504)가 드레인팬(108)과 연결된 단부보다 상기 배수펌프(502)에 연결된 단부가 더 낮으므로, 중력에 의해 응축수가 상기 연결호스(504)를 따라 유동되어 배수펌프(502)로 가게 된다. 따라서, 응축수가 발생하면 드레인팬(108)에서 연결호스(504)로 무조건 이동되어 연결호스(504)로부터 먼저 채워지고 나중에 드레인팬(108)에 채워진다.On the other hand,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end of the connecting
이와 같이 응축수가 드레인팬(108)보다는 연결호스(504)에 먼저 채워지고, 다음으로 드레인팬(108)에 일정 이상 응축수가 모인 후에 상기 배수펌프(502)가 작동하게 되므로 상기 배수펌프(502)로 공기가 흡입되는 것이 최소화될 수 있다. 참고로 상기 드레인팬(108)에 응축수가 어느 정도 모였을 때, 상기 배수펌프(502)를 동작시킬 것인가는 상기 드레인팬(108)에 감지수단을 둠에 의해 달성할 수 있다. 상기 드레인팬(108)에 응축수가 오래 있게 되면 세균번식 등 위생상의 문제가 있으므로, 응축수가 드레인팬(108) 상에 있는 시간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고, 상기 배수펌프(502)로의 공기흡입을 최소화하기 위해서 상기 연결호스(504)의 하단부(505")에 물이 남아 있는 상태에서 배수펌프(502)의 동작이 멈추는 것이 필요하다.As such, condensed water is first filled in the
상기 연결호스(504)의 내부에는 도 41에 화살표 A로 표시된 위치까지는 응축수가 남아 있는 것이 좋다. 상기 화살표 A로 표시된 위치는 연결호스(504) 내부에서 응축수의 최소 수위이다. 상기 연결호스(504)에서 최고 수위는 상기 연결부(505') 상단위치가 된다.It is preferable that the condensed water remains inside the connecting
도 42는 본 발명의 실시례에 따른 공기관리장치의 구성도이고, 도 43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공기관리장치의 제어방법을 보인 흐름도이고, 도 4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례에 따른 공기관리장치의 제어방법을 보인 흐름도이고, 도 4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례에 따른 공기관리장의 제어방법을 보인 흐름도이다.42 is a block diagram of an air manage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3 is a flowchart showing a control method of an air manage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4 i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flowchart showing a control method of an air managemen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먼저, 도 42 및 도 43을 참조하여 본 실시례에 따른 공기관리장치기에서 전방으로 열교환된 공기를 토출하기 위한 공기관리장치의 제어방법을 설명한다.First, a control method of the air management device for discharging the heat-exchanged air forward in the air managemen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42 and 43 .
본 발명 실시례에 따른 공기관리장치는 사용자의 조작을 입력받기 위한 입력부(17)가 공기관리장치의 외관을 이루는 하우징(10)의 전면에 형성된다. 사용자는 상기 입력부(17)의 조작을 통해 공기관리장치의 동작을 입력 및 설정할 수 있다.In the air management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여기서, 사용자는 상기 입력부(17)를 직접 터치하여 사용자 조작을 입력할 수도 있고, 외부장치와의 무선통신을 통해 사용자 조작을 입력할 수도 있다. Here, the user may input a user operation by directly touching the
제어부(600)는 상기 입력부(17)를 통해 유효한 사용자 조작이 입력된 것으로 판단되면 공기관리장치에서 공기토출을 위한 동작 제어를 시작한다 [S101 : 사용자 조작입력 단계]When it is determined that a valid user operation is input through the
상기 제어부(600)는 상기 입력부(17)를 통해 공기관리장치의 공기토출에 대한 사용자의 조작이 입력되면 팬모터(도시되지 않음)를 구동시킨다. 이러한 팬모터는 구동팬(130,130',130")을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구동팬(130.130',130")은 각각의 팬모터에 연결되며 상기 팬모터의 구동에 의해 상기 구동팬(130,130',130")에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S103 : 팬모터 구동단계]The
한편, 하우징(10)의 내부에는 공기의 열교환을 위한 열교환기(104)가 배치되고 상기 열교환기(104)의 전방에는 팬가이드(120)가 설치된다. 상기 팬가이드(120)에 상기 구동팬(130,130',130")이 설치된다. 상기 팬모터가 구동되면 상기 팬가이드(120)에 설치된 상기 구동팬(130,130',130")이 회전되는 것이다. [S105 : 구동팬 동작 단계]Meanwhile, a
상기 구동팬(130,130',130")이 동작하면 흡입구(11')를 통해 외부로부터 공기가 흡입된다. 상기 흡입구(11')는 상기 하우징(10)의 바닥판(11)에 설치되며 상기 하우징(10)이 안착된 실내 주거공간의 바닥면으로부터 일정한 높이에 배치된다.When the driving
상기 구동팬(130,130',130")이 회전함으로써 외부로부터 공기가 상기 흡입구(11')를 통해 흡입되어 내부의 공기유동공간(20)으로 유입된다. [S107 : 공기 흡입 단계]As the driving
상기 흡입구(11')를 통해 상기 공기유동공간(20)으로 공기가 유입되면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 배치된 상기 열교환기(104)에서 열교환이 진행된다. 이를 위해 상기 제어부(600)는 상기 열교환기(206)를 구동하여 열교환이 이루어지도록 한다.When air is introduced into the
구체적으로, 상기 흡입구(11')를 통과한 공기는 상기 공기유동공간(20)에 형성된 공기유로(102)를 유동한다. 상기 공기유로(102)에는 상기 열교환기(104)가 설치되며, 상기 열교환기(104)는 상기 공기유로(102)를 유동하는 공기와 열교환하는 것이다. [S109 : 열교환 단계]Specifically, the air passing through the
상기 과정들을 거치는 동안 상기 구동팬(130,130',130")은 계속 동작하고 있다. 이로써 상기 구동팬(130,130',130")의 회전에 의해 상기 열교환기(104)에서 열교환된 공기는 상기 하우징(10)의 전면판(15)에 설치된 복수의 토출구(15'-1,15'-2,15'-3)로 전달된다.During the above processes, the driving
일 실시례에서 상기 전면판(15)에는 제1,2,3토출구(15'-1,15'-2,15'-3)가 좌우로 나란히 형성되어 있다. 상기 토출구(15'-1,15'-2,15'-3)들은 상기 하우징(10)의 공기유동공간(20)과 거실 내부를 연통시키는 역할을 한다. [S111 : 토출구로 공기 공급 단계] In one embodiment, first, second, and third discharge ports 15'-1, 15'-2, and 15'-3 are formed side by side on the
도면에는 일례로 3개의 토출구(15'-1,15'-2,15'-3)가 설치되어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그 개수는 2개 이상이 될 수 있다.In the drawings, for example, three outlets 15'-1, 15'-2, and 15'-3 are install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number may be two or more.
이어, 상기 제어부(600)는 상기 토출구(15'-1,15'-2,15'-3)를 통해 열교환된 공기가 외부로 토출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토출구(15'-1,15'-2,15'-3)에 설치된 각각의 루버(141,142,143)를 개방한다.Next, the
본 실시례에서는 3개의 구동팬(130,130',130")들과 각각 대응되는 위치, 즉 상기 제1,2,3토출구(15'-1,15'-2,15'-3)에 각각 상기 루버(141,142,143)들이 설치된다. 이들 상기 루버(141,142,143)는 각각 별도의 구동모터(141',142',143')에 의해 구동되어 상기 토출구(15'-1,15'-2,15'-3)들을 개폐하고, 토출되는 공기의 방향을 설정한다.In this embodiment, the three driving
상기 루버(141,142,143)는 상기 토출구(15'-1,15'-2,15'-3)의 개폐를 결정하는 것이므로 상기 루버(141,142,143)가 개방되어야 상기 토출구(15'-1,15'-2,15'-3)로 공급된 공기가 외부로 토출될 수 있는 것이다. [S113 : 루버 개방 단계]Since the
한편, 상기와 같이 열교환된 공기는 분지유로(129)를 통해 추가토출부(200)로 공급될 수 있다. 상기 분지유로(129)는 상기 제1팬공간(124)과 제3팬공간(124')의 공기가 유동될 수 있는 것으로 열교환된 공기를 상기 추가토출부(200)로 전달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상기 분지유로(129)는 각각 상기 팬가이드(120)의 양쪽 측면으로 개방되어 상기 제1공간(22)과 제2공간(24) 쪽으로 연결된다.Meanwhile, the heat-exchanged air as described above may be supplied to the
상기 추가토출부(200)는 상기 하우징(10)의 상면 양측에는 배치된다. 상기 추가토출부(200)는 팝업덕트(234)가 상기 하우징(10)의 상면에서 돌출되어 열교환된 공기를 보다 멀리 그리고 보다 넓은 영역으로 보낼 수 있도록 한다.The
상기 제어부(600)는 상기 복수의 토출구(15'-1,15'-2,15'-3)를 통해 내부에서 열교환된 공기를 상기 하우징(10)의 전방으로 토출하기 위해 상기와 같이 상기 루버(141,142,143)를 개방하면서 제1댐퍼(206)를 폐쇄하도록 한다. 이는 상기 제1댐퍼(206)를 폐쇄함으로써 상기 분지유로(129)를 통해 상기 추가토출부(200)로 열교환된 공기가 공급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The
왜냐햐면 공기를 상기 하우징(10)의 전방으로 토출하는 경우는 상기 추가토출부(200)로는 열교환된 공기가 공급되지 않도록 하고 전방의 상기 토출구(15'-1,15'-2,15'-3)로만 공급하기 위한 것이다. [S115 : 제1댐퍼 폐쇄 단계]Because when air is discharged to the front of the
이와 같이 상기 루버(141,142,143)는 개방되고 상기 제1댐퍼(206)는 폐쇄된 상태에서 내부에서 열교환된 공기는 상기 하우징(10)의 전면판(15)에 설치된 상기 복수의 토출구(15'-1,15'-2,15'-3)를 통해 전방으로 토출되도록 한다. [S117 : 공기 토출 단계]As described above, in a state in which the
이러한 제어과정을 통해 공기관리장치는 전방으로 열교환된 공기를 토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루버(141,142,143)는 각도가 조정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600)는 상기 구동모터(141',142',143')로 공급되는 전류를 조정하여 상기 루버(141,142,143)의 개방정도를 조정할 수 있다.Through this control process, the air management device can discharge the heat-exchanged air forward. At this time, the angle of the louvers (141, 142, 143) can be adjusted. That is, the
도 42 및 도 4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례에 따른 공기관리장치에서 추가토출부를 통해 열교환된 공기를 토출하기 위한 공기관리장치의 제어방법을 설명한다.A control method of the air management device for discharging heat-exchanged air through an additional discharge unit in the air management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42 and 44 .
본 발명의 실시례에 따른 공기관리장치에서 사용자는 상기 입력부(17)를 통해 사용자에 의한 조작을 입력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600)는 상기 입력부(17)를 통해 상기 추가토출부(200)를 통한 공기토출에 대한 사용자 조작이 입력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공기관리장치에서 상기 추가토출부(200)를 통한 공기토출을 위한 동작 제어를 시작할 수 있다. [S201 : 사용자 조작입력 단계]In the air manage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user may input an operation by the user through the
상기 제어부(600)는 상기 입력부(17)를 통해 공기토출에 대한 사용자의 조작이 입력되면 상기 구동팬(130,130',130")를 동작시키기 위해 각각의 팬모터(도시되지 않음)를 구동시킨다. 상기 구동팬(130,130',130")는 상기 각각의 팬모터에 연결되며 상기 팬모터의 구동에 따라 상기 구동팬(130,130',130")에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S203 : 팬모터 구동단계]The
이와 같이 상기 팬모터가 구동됨에 따라 상기 팬모터(132)에 연결된 상기 구동팬(130,130',130")이 동작한다. 즉, 상기 구동팬(130,130',130")이 회전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는 공기의 열교환을 위한 열교환기(104)가 배치되고 상기 열교환기(104)의 전방에는 팬가이드(120)가 설치된다. 상기 팬가이드(120)에는 구동팬(130,130',130")이 설치된다. 이와 같이 상기 팬모터가 구동하면 상기 팬가이드(120)에 설치된 상기 구동팬(130,130',130")이 회전하는 것이다. [S205 : 구동팬 동작 단계]As such, as the fan motor is driven, the driving
상기 구동팬(130,130',130")이 동작하면 상기 흡입구(11')를 통해 외부로부터 공기가 흡입된다. 상기 흡입구(11')는 상기 하우징(10)의 바닥판(11)에 설치되며 하우징(10)이 안착된 실내 주거공간의 바닥면으로부터 일정한 높이에 배치된다. When the driving
상기 구동팬(130,130',130")이 회전함으로써 외부로부터 공기가 상기 흡입구(11')를 통해 흡입되어 내부의 공기유동공간(20)으로 유입된다. [S207 : 공기 흡입 단계]As the driving
상기 흡입구(11')를 통해 상기 공기유동공간(20)으로 공기가 유입되면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 배치된 상기 열교환기(104)에서 열교환이 진행된다. 이를 위해 상기 제어부(600)는 상기 열교환기(206)를 제어하여 열교환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S209 : 열교환 단계]When air is introduced into the
상기 하우징(10)의 전면판(15)에 설치된 상기 토출구(15'-1,15'-2,15'-3)가 아니라 상기 추가토출부(200)를 통해 공기를 외부로 토출하기 위한 것이므로 상기 토출구(15'-1,15'-2,15'-3)에 설치된 상기 루버(141,142,143)를 폐쇄한다. 이는 상기 루버(141,142,143)를 폐쇄함으로써 상기 토출구(15'-1,15'-2,15'-3)를 통해 공기가 토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S211 : 루버 폐쇄 단계]It is for discharging air to the outside through the
이와 같이 상기 제어부(600)는 상기 루버(141,142,143)를 폐쇄함과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상기 분지유로(129)를 통해 상기 추가토출부(200)로 공기를 공급하기 위해 상기 제1댐퍼(206)를 개방하도록 한다. [S213 : 제1댐퍼 개방 단계]In this way, the
이와 같이 상기 루버(141,142,143)가 폐쇄되고 상기 제1댐퍼(206)가 개방됨으로써 내부에서 열교환된 공기는 상기 분지유로(129)로 공급된다. [S215 : 분지유로 공기 공급 단계]As described above, the
이어, 상기 분기유(129)로 공급된 공기는 상기 분지유로(129)를 통해 상기 추가토출부(200)로 공급된다. [S217 : 추가토출부 공기 공급 단계]Then, the air supplied to the
이와 같이 내부에서 열교환된 공기는 상기 하우징(10)의 상면 일측에 설치된 상기 추가토출부(200)를 통해 외부로 토출되도록 한다. [S219 : 공기 토출 단계]The air heat-exchanged inside as described above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도 42 및 도 4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례에 따른 추가토출부의 동작을 위한 제어과정을 설명한다.A control process for the operation of the additional discharge uni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42 and 45 .
사용자는 상기 입력부(17)를 통해 상기 추가토출부(200)의 승강 및 회전에 대한 사용자 조작을 입력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600)는 상기 입력부(17)를 통해 상기 추가토출부(200)를 통한 공기토출에 대한 사용자 조작이 입력된 것으로 판단되면 공기관리장치에서 상기 추가토출부(200)를 통한 공기토출을 위한 동작 제어를 시작할 수 있다. [S301 : 사용자 조작입력 단계]The user may input a user operation for lifting and rotating the
상기 추가토출부(200)의 동작에 따른 사용자의 조작이 입력되면 상기 추가토출부(200)를 상기 하우징(10)의 상면으로 돌출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제어부(600)는 승강모터(230)를 구동한다. [S303 : 승강모터 구동 단계]When a user's manipulation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상기 승강모터(230)의 구동에 의해 상기 추가토출부(200)는 상승하여 상기 하우징(10)의 상면으로 돌출된다. [S305 : 추가토출부 상승단계]The
상기 추가토출부(200)의 상기 하우징(10)의 상면으로 상승되면 상기 제어부(600)는 상기 추가토출부(200)에서 토출되는 공기를 가압하는 팝업구동팬(224)을 구동시킨다. 상기 팝업구동팬(224)은 상기 연통유로(218)에서 공기를 가압하여 보다 멀리 공기를 보낼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즉, 상기 분지유로(219)로 전달된 공기를 가압하여 상기 추가토출부(200)를 통해 전달함으로써 공기를 더 멀리 보낼 수 있도록 한다. [S307 : 팝업구동팬 구동 단계]When the
상기 판업구동팬(224)의 구동에 의해 상기와 같이 상기 열교환기(104)에서 열교환되어 상기 분지유로(129)를 통해 공급된 공기가 상기 팝업토출구(242)를 통해 토출된다. [S309 : 공기 토출 단계]As described above, the air supplied through the
한편, 상기 추가토출부(200)는 일정각도로 회전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입력부(17)를 통해 상기 추가토출부(200)의 회전에 대한 사용자 조작을 입력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600)는 상기 입력부(17)를 통해 상기 추가토출부(200)의 회전에 대한 사용자 조작이 입력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공기관리장치에서 상기 추가토출부(200)의 회전을 위한 동작 제어를 시작할 수 있다. [S311 : 사용자 조작입력 단계]Meanwhile, the
상기 제어부(600)는 상기 추가토출부(200)의 회전에 대한 사용자의 조작이 입력되면 상기 추가토출부(200)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회전모터(226)를 구동할 수 있다. [S313 : 회전모터 구동 단계]The
이와 같이 상기 회전모터(226)의 구동에 의해 상기 추가토출부(200)는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추가토출부(200)가 회전하면서 내부에서 상기 열교환기(104)에서 열교환된 공기가 상기 추가토출부(200)를 통해 외부로 토출될 수 있다. [S315 : 추가토출부 회전 단계]In this way, the
도 46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례에 따른 공기관리장의 제어방법을 보인 흐름도이고, 도 4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례에 따른 공기관리장치의 제어방법을 보인 흐름도이다.4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controlling an air management plan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controlling an air manage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2 및 도 46을 참조하면, 본 발명 실시례에 따른 공기관리장치는 사용자의 조작을 입력받기 위한 상기 입력부(17)가 상기 공기관리장치의 외관을 이루는 상기 하우징(10)의 전면판에 형성된다. 사용자는 상기 입력부(17)의 조작을 통해 상기 공기관리장치의 동작을 입력 및 설정할 수 있다.42 and 46 , in the air management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여기서, 사용자는 상기 입력부(17)를 직접 터치하여 사용자 조작을 입력할 수도 있고, 외부장치와의 무선통신을 통해 사용자 조작을 입력할 수도 있다. Here, the user may input a user operation by directly touching the
상기 제어부(600)는 상기 입력부(17)를 통해 유효한 사용자 조작이 입력된 것으로 판단되면 공기관리장치에서 가습을 위한 동작 제어를 시작한다 [S401 : 사용자 조작입력 단계]When it is determined that a valid user operation is input through the
상기 제어부(600)는 상기 입력부(17)를 통해 가습에 대한 사용자의 조작이 입력되면 상기 추가토출부(200)를 통해 가습된 공기를 외부로 토출하기 위해 상기 추가토출부(200)가 상기 하우징(10)의 상면으로 돌출되어 상승되도록 하기 위해 승강모터(230)를 구동한다. When a user's manipulation for humidification is input through the
상세히, 상기 승강박스(214)의 승강모터수납부(222)에는 상기 승강모터(230)가 설치된다. 상기 승강모터(230)의 출력축에는 승강구동기어(232)가 설치되어 승강랙기어부(212)와 맞물린다. 상기 승강구동기어(232)는 상기 승강랙기어부(212)와 맞물려서 상기 승강랙기어부(212)를 따라 승강되고, 이에 따라 상기 승강박스(214)가 승강하게 된다. 상기 승강박스(214)의 승강에 의해 상기 팝업덕트(234)가 함께 승강된다. [S403 : 추가토출부 상승 단계]In detail, the elevating
그리고, 상기 제어부(600)는 상기 흡입구(11')를 통해 실내의 공기를 내부로 공급하기 위해 구동팬(130,130',130")이 동작하도록 각각의 팬모터(도시되지 않음)를 구동시킨다. 상기 각각의 팬모터는 상기 구동팬(130,130',130")에 각각 연결되며 상기 각각의 팬모터의 구동에 따라 상기 구동팬(130,130',130")에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이와 같이 상기 팬모터가 구동됨에 따라 상기 각각의 팬모터에 연결된 상기 구동팬(130,130',130")이 동작한다. 즉, 구동팬(130,130',130")이 회전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는 공기의 열교환을 위한 상기 열교환기(104)가 배치되고 상기 열교환기(104)의 전방에는 상기 팬가이드(120)가 설치된다. 상기 팬가이드(120)에 상기 구동팬(130,130',130")이 설치된다. 이와 같이 팬모터에서 전달된 구동력에 의해 상기 팬가이드(120)에 설치된 상기 구동팬(130,130',130")이 회전하는 것이다. [S405 : 구동팬 동작 단계]As described above, as the fan motors are driven, the driving
상기 구동팬(130,130',130")이 동작하면 상기 흡입구(11')를 통해 외부로부터 공기가 상기 하우징(10)의 내부로 흡입된다. 상기 흡입구(11')는 상기 하우징(10)의 바닥판(11)에 설치되며 상기 하우징(10)이 안착된 실내 주거공간의 바닥면으로부터 일정한 높이에 배치된다. 상기 구동팬(130,130',130")이 회전함으로써 외부로부터 공기가 상기 흡입구(11')를 통해 흡입되어 내부의 공기유동공간(20)으로 유입된다. [S407 : 공기 흡입 단계]When the driving
상기 흡입구(11')를 통해 외부로부터 공기가 유입되면, 상기 제어부(600)는 분지유로(129)를 통해 상기 추가토출부(200)로 공기를 공급하기 위해 상기 분지유로(129)의 입구에 설치된 상기 제1댐퍼(206)를 개방시킨다. When air is introduced from the outside through the suction port 11', the
이와 같이 제1댐퍼(206)가 개방됨으로써 내부의 공기는 분지유로(129)로 공급된다. [S409: 분지유로 공기 공급 단계]As described above, when the
상기 분지유로(129)로 공급된 공기는 상기 유입팬부(403)에서 팬에 의해 가압되어 상기 공기전달덕트(405)를 통해 상기 스팀생성기(407)로 보내진다. 상기 가습펌프(417)은 제어부(600)의 제어에 의해 상기 물통(419)에서 물을 상기 스팀생성기(407)로 공급하고, 상기 스팀생성기(407)에서는 상기 물통(419)에서 전달된 물을 가열하여 스팀을 생성한다. 이렇게 생성된 상기 스팀은 상기 공기전달덕트(405)를 통해 전달된 공기와 섞이게 된다. [S411 : 가습공기 생성 단계]The air supplied to the
상기 물통(419)은 상기 물통안착대(415)에 안착된다. 상기 물통안착대(415)는 상기 물통(419)을 틸팅시킬 수 있다. 근접센서(470)에서 사용자를 감지하면 상기 제어부(600)가 상기 물통안착대(415)를 팅팅시켜 상기 프레임공간(203) 내에서 상기 물통(419)의 상단이 외부로 돌출된다. 이는 상기 물통(419)을 상기 프레임공간(203)에 입출시키는 것이 용이하게 하도록 하기 위함이다.The
이렇게 하여 생성된 가습된 공기는 상기 추가토출부(200)로 공급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가습된 공기는 상기 제1배출덕트(409)나 상기 제2배출덕트(411)를 통해 상기 팝업덕트(234)로 전달될 수 있다. [S413 : 가습공기 추가토출부로 전달단계]The humidified air generated in this way is supplied to the
상기 추가토출부(200)로 전달된 상기 가습된 공기는 상기 추가토출부(200)를 통해 외부로 토출된다. 즉, 구체적으로 상기 가습된 공기는 상기 추가토출부(200)에 형성된 상기 팝업덕트(234)를 통해 외부로 토출된다. 이때, 상기 가습된 공기는 상기 팝업덕트(234) 중 어느 하나를 통해서만 가습된 공기를 토출하는 경우에는 해당되는 상기 배출덕트(409,411)만을 개방한다.The humidified air delivered to the
일례로 상기 하우징(10)의 좌측에 있는 상기 팝업덕트(234)를 통해 가습된 공기를 토출하는 경우 상기 제1배출덕트(409)를 개방하여 상기 연결덕트(204)의 상기 연결유로(205)로 공기가 유동되게 한다. 이 경우 상기 제1댐퍼(206)는 상기 분지유로(219)를 폐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S415 : 가습공기 토출 단계]For example, when the humidified air is discharged through the pop-up
이후에, 선택적으로 상기 추가토출부(200)의 회전을 위한 사용자의 조작이 입력되면 상기 제어부(600)는 상기 추가토출부(200)의 회전을 위한 제어가 시작된다. [S417 : 사용자 조작입력]Thereafter, when a user's manipulation for rotation of the
상기 제어부(600)는 상기 추가토출부(200)의 회전을 위한 사용자 조작입력에 따라 상기 추가토출부(200)의 회전을 위해 회전모터(226)를 동작시켜 상기 추가토출부(200)가 회전되도록 한다. [S419 : 추가토출부 회전 단계]The
이로써, 상기 추가토출부(200)가 상승되어 회전하면서 상기 가습된 공기를 외부로 토출함으로써 원하는 방향으로 고르게 가습할 수 있도록 한다.As a result, the
다음으로, 도 42 및 도 4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례에서 공기관리장치에서 공기온도설정 및 가습을 동시에 수행하기 위한 제어방법을 설명한다.Next, a control method for simultaneously performing air temperature setting and humidification in the air management device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42 and 47 .
사용자는 상기 공기관리장치의 상기 하우징(10)의 전면에 형성된 상기 입력부(17)를 통해 상기 공기관리장치에서 공기온도설정 및 가습에 대한 사용자 조작을 입력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상기 입력부(17)를 직접 터치하여 사용자 조작을 입력할 수도 있고, 외부장치와의 무선통신을 통해 사용자 조작을 입력할 수도 있다. A user may input user manipulations for air temperature setting and humidification in the air management device through the
상기 제어부(600)는 상기 입력부(17)를 통해 유효한 사용자 조작이 입력된 것으로 판단되면 공기관리장치의 가습을 위한 동작 제어를 시작한다. [S501 : 사용자 조작입력 단계]When it is determined that a valid user operation is input through the
상기 제어부(600)는 상기 입력부(17)를 통해 공기온도설정 및 가습에 대한 사용자의 조작이 입력되면 구동팬(130,130',130")을 동작시키기 위해 팬모터(도시되지 않음)를 구동시킨다. 상기 구동팬(130,130',130")의 동작은 실내의 공기를 상기 하우징(10)의 내부로 흡입하기 위한 것이다. The
상기 팬모터는 복수의 구동팬(130,130',130")에 각각 연결되며 각각의 팬모터의 구동에 따라 구동팬(130,130',130")에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각각의 팬모터가 구동됨에 따라 상기 각 팬모터(132)에 연결된 상기 각각의 구동팬(130,130',130")이 동작한다. 즉, 상기 구동팬(130,130',130")이 회전된다.The fan motors are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driving
구체적으로,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는 공기의 열교환을 위한 상기 열교환기(104)가 배치되고 상기 열교환기(104)의 전방에는 팬가이드(120)가 설치된다. 상기 팬가이드(120)에 구동팬(130,130',130")이 설치된다. 상기 팬모터로부터 전달되는 구동력에 의해 상기 팬가이드(120)에 설치된 상기 구동팬(130,130',130")이 회전하는 것이다. [S503 : 구동팬 동작 단계]Specifically, the
상기 구동팬(130,130',130")이 동작하면 상기 흡입구(11')를 통해 외부로부터 공기가 상기 하우징(10)의 내부로 흡입된다. 상기 흡입구(11')는 상기 하우징(10)의 바닥판(11)에 설치되며 상기 하우징(10)이 안착된 실내 주거공간의 바닥면으로부터 일정한 높이에 배치된다.When the driving
상기 구동팬(130,130',130")이 회전함으로써 외부로부터 공기가 흡입구(11')를 통해 흡입되어 내부의 공기유동공간(20)으로 유입된다. [S505 : 공기흡입 단계]As the driving
상기 흡입구(11')를 통해 상기 공기유동공간(20)으로 공기가 유입되면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 배치된 열교환기(104)에서 열교환이 진행된다. 이를 위해 상기 제어부(600)는 상기 열교환기(104)를 구동하여 열교환이 이루어지도록 한다.When air is introduced into the
구체적으로, 상기 흡입구(11')를 통과한 공기는 상기 공기유동공간(20)에 형성된 상기 공기유로(102)를 유동한다. 상기 공기유로(102)에는 상기 열교환기(104)가 설치되며, 이러한 상기 열교환기(104)는 상기 공기유로(102)를 유동하는 공기와 열교환하는 것이다. [S507 : 열교환 단계]Specifically, the air passing through the
상기 과정들을 거치는 동안 상기 구동팬(130,130',130")은 계속 동작하고 있다. 이로써 상기 구동팬(130,130',130")의 회전에 의해 상기 열교환기(104)에서 열교환된 공기는 상기 하우징(10)의 전면판(15)에 설치된 복수의 토출구(15'-1,15'-2,15'-3)로 전달된다.During the above processes, the driving
일 실시례에서 상기 전면판(15)에는 제1,2,3토출구(15'-1,15'-2,15'-3)가 좌우로 나란히 형성되어 있다. 상기 토출구(15'-1,15'-2,15'-3)들은 상기 하우징(10)의 공기유동공간(20)과 거실 내부를 연통시키는 역할을 한다. [S509 : 토출구로 공기 공급 단계]In one embodiment, first, second, and third discharge ports 15'-1, 15'-2, and 15'-3 are formed side by side on the
도면에는 일례로 3개의 토출구(15'-1,15'-2,15'-3)가 설치되어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그 개수는 2개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제어부(600)는 상기 토출구(15'-1,15'-2,15'-3)를 통해 열교환된 공기가 외부로 토출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토출구(15'-1,15'-2,15'-3)에 설치된 각각의 루버(141,142,143)를 개방한다.In the drawing, for example, three outlets 15'-1, 15'-2, and 15'-3 are install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number may be two or more. The
본 실시례에서는 3개의 구동팬(130,130',130")들과 각각 대응되는 위치, 즉 상기 제1,2,3토출구(15'-1,15'-2,15'-3)에 상기 각각 루버(141,142,143)들이 설치된다. 상기 루버(141,142,143)는 각각 별도의 구동모터(141',142',143')에 의해 구동되어 상기 토출구(15'-1,15'-2,15'-3)들을 개폐하고, 토출되는 공기의 방향을 설정한다.In this embodiment, each of the three driving
상기 루버(141,142,143)는 상기 토출구(15'-1,15'-2,15'-3)의 개폐를 결정하는 것이므로 상기 루버(141,142,143)가 개방되어야 상기 토출구(15'-1,15'-2,15'-3)로 공급된 공기가 외부로 토출될 수 있는 것이다. [S511 : 루버 개방 단계]Since the
한편, 상기와 같이 열교환된 공기는 상기 분지유로(129)를 통해 상기 추가토출부(200)로 공급될 수 있다. 상기 분지유로(129)는 상기 제1팬공간(124)과 상기 제3팬공간(124')의 공기가 유동될 수 있는 것으로서, 상기 열교환된 공기를 상기 추가토출부(200)로 전달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상기 분지유로(129)는 각각 상기 팬가이드(120)의 양쪽 측면으로 개방되어 상기 제1공간(22)과 제2공간(24) 쪽으로 연결된다. 상기 분지유로(129)로 공기를 공급하기 위해서는 상기 제1댐퍼(206)가 개방되어야 한다.Meanwhile, the heat-exchanged air as described above may be supplied to the
상기 추가토출부(200)는 상기 하우징(10)의 상면 양측에는 배치된다. 상기 추가토출부(200)는 상기 팝업덕트(234)가 상기 하우징(10)의 상면에서 돌출되어 열교환된 공기를 보다 멀리 그리고 보다 넓은 영역으로 보낼 수 있도록 한다.The
상기 제어부(600)는 상기 토출구(15'-1,15'-2,15'-3)를 통해 내부에서 열교환된 공기를 상기 하우징(10)의 전방으로 토출하면서 상기 추가토출부(200)를 통해 가습된 공기를 토출하기 위해 상기 루버(141,142,143)와 상기 제1댐퍼(206)를 개방하도록 한다. 이는 상기 제1댐퍼(206)를 개방함으로써 상기 분지유로(129)를 통해 상기 추가토출부(200)로 열교환된 공기가 공급되도록 하는 것이다.The
왜냐햐면 상기 열교환된 공기를 상기 하우징(10)의 전방으로 토출하면서 상기 추가토출부(200)로는 가습된 공기를 토출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제1댐퍼(206)가 개방됨으로써 상기 열교환된 공기가 상기 분지유로(129)로 공급된다. [S513: 분지유로 공기 공급 단계]This is because the humidified air is discharged to the
상기 분지유로(129)로 공급된 공기는 상기 유입팬부(403)에서 팬에 의해 가압되어 상기 공기전달덕트(405)를 통해 상기 스팀생성기(407)로 보내진다. 상기 스팀생성기(407)에서는 상기 물통(419)에서 전달된 물을 가열하여 스팀을 만들게 되고, 이와 같이 만들어진 상기 스팀은 상기 공기전달덕트(405)를 통해 전달된 공기와 섞이게 된다. [S515 : 가습공기 생성 단계]The air supplied to the
한편, 상기 가습된 공기를 상기 추가토출부(200)를 통해 외부로 토출하기 위해 상기 추가토출부(200)가 상기 하우징(10)의 상면으로 돌출되어 상승되도록 승강모터(230)를 구동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승강박스(214)의 승강모터수납부(222)에는 상기 승강모터(230)가 설치된다. 상기 승강모터(230)의 출력축에는 승강구동기어(232)가 설치되어 상기 승강랙기어부(212)와 맞물린다. 상기 승강구동기어(232)는 상기 승강랙기어부(212)와 맞물려서 상기 승강랙기어부(212)를 따라 승강되고, 이에 따라 상기 승강박스(214)가 승강하게 된다. 상기 승강박스(214)의 승강에 의해 상기 팝업덕트(234)가 함께 승강된다. [S517 : 추가토출부 상승 단계]Meanwhile, in order to discharge the humidified air to the outside through the
이렇게 하여 상기 생성된 가습된 공기는 상기 추가토출부(200)로 공급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가습된 공기는 상기 제1배출덕트(409)나 제2배출덕트(411)를 통해 팝업덕트(234)로 전달될 수 있다. [S519 : 가습공기 추가토출부로 전달단계]In this way, the generated humidified air is supplied to the
상기 추가토출부(200)로 전달된 상기 가습된 공기는 상기 추가토출부(200)를 통해 외부로 토출된다. 즉, 구체적으로 상기 가습된 공기는 상기 추가토출부(200)에 형성된 상기 팝업덕트(234)를 통해 외부로 토출된다. 이때, 상기 가습된 공기는 상기 팝업덕트(234) 중 어느 하나를 통해서만 가습된 공기를 토출하는 경우에는 해당되는 배출덕트(409,411)만을 개방한다.The humidified air delivered to the
일례로 상기 하우징(10)의 좌측에 있는 상기 팝업덕트(234)를 통해 가습된 공기를 토출하는 경우 상기 제1배출덕트(409)를 개방하여 상기 연결덕트(204)의 상기 연결유로(205)로 공기가 유동되게 한다. 이 경우 상기 제1댐퍼(206)는 상기 분지유로(219)를 폐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S521 : 가습공기 토출 단계]For example, when the humidified air is discharged through the pop-up
이후에, 선택적으로 상기 추가토출부(200)의 회전을 위한 사용자의 조작이 입력되면 상기 제어부(600)는 상기 추가토출부(200)의 회전을 위한 제어가 시작된다. [S523 : 사용자 조작입력]Thereafter, when a user's manipulation for rotation of the
상기 제어부(600)는 상기 추가토출부(200)의 회전을 위한 사용자 조작입력에 따라 상기 추가토출부(200)의 회전을 위해 회전모터(226)를 동작시켜 상기 추가토출부(200)가 회전되도록 한다. The
이로써, 상기 추가토출부(200)는 상기 하우징(10)의 상부로 상승된 상태에서 회전하면서 상기 가습된 공기를 외부로 토출함으로써 원하는 방향으로 고르게 가습할 수 있도록 한다. [S525 : 추가토출부 회전 단계]As a result, the
상기와 같이 본 발명 실시례에서는 상기 추가토출부(200)가 상승된 후 회전하면서 가습된 공기를 외부로 토출할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discharge the humidified air to the outside while rotating after the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례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In the above, even though it has been described that all components constituting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perate as one combined or combine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is embodiment. That is, within the scope of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ll the components may operate by selectively combining one or more. In addition, terms such as "comprises", "comprises" or "have" described above mean that the corresponding component may be inherent, unless otherwise stated, excluding other components. Rather, it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able to further include other components.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unless otherwise defined. Commonly used terms such as terms defined in the dictionary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consistent with the contextual meaning of the related art, and are not interpreted in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invention.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례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례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above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ll b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o explai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by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equivalent range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실시례에서는 토출구(15'-1,15'-2,15'-3)가 3개 있으나, 반드시 그러한 것은 아니며, 적어도 2개 이상이 있으면 된다. 예를 들어 2개의 토출구가 있는 경우에는 하우징(10)의 전방으로 루버를 개방해서 공기를 보냄과 동시에 추가토출부(200)로도 공기를 보내서 원하는 방향으로 공기를 보낼 수 있다. 즉, 상기 제1댐퍼(206)를 개방하고 동시에 루버도 개방해서 공기를 유동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제1댐퍼(206)를 닫고 2개의 토출구를 독립적으로 제어해서 하우징(10) 전방의 원하는 방향으로 공기를 전달할 수 있다.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re are three discharge ports 15'-1, 15'-2, and 15'-3, but this is not necessarily the case, and there may be at least two or more. For example, when there are two outlets, the air can be sent in a desired direction by opening the louver to the front of the
그리고 토출구가 4개 이상 있는 경우에는 예를 들면 양단부에 있는 토출구와 대응되는 구동팬의 동작에 의해 추가토출부(200)로 공기를 보낼 수 있고 루버의 개방에 의해 하우징 전방으로도 토출구를 통해 공기를 보낼 수 있다. 나머지 토출구는 도시된 실시례의 제2토출구(15'-2)와 같이 하우징(10)의 전방으로 공기를 보내도록 사용될 수 있다.And when there are four or more outlets, for example, air can be sent to the
도시된 실시례에서는 상기 분지유로(129)가 연결덕트(204)를 통해 수직덕트(208)와 연통되도록 되어 있다. 하지만 상기 분지유로(129)와 상기 수직덕트(208)가 제1댐퍼(206)를 사이에 두고 직접 연결될 수도 있다. 도시된 실시례에서는 상기 제1공간프레임(202)에서 상기 수직덕트(208)의 위치가 상기 공기유동공간(20)에서 상대적으로 떨어져서 하우징(10)의 단부쪽에 치우쳐 있기 때문에 상기 연결덕트(204)가 필요하지만, 상기 수직덕트(208)의 위치가 공기유동공간(20)에 인접해 있다면 상기 연결덕트(204)가 없어도 상관없다.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그리고, 상기 연결덕트(204)가 없는 경우에는 상기 제1배출덕트(409)는 수직덕트(208)에 직접 연결될 수 있다.And, when there is no
도시된 실시례에서는 상기 제1이동판(16)이 자동적으로 개폐되는 것으로 설명되었지만, 반드시 그러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제1이동판(16)을 사용자가 직접 개폐하고 상기 물통안착대(415)의 틸팅테이블(449)이 상기 근접센서(470) 또는 별도의 버튼에 의해 틸팅동작될 수도 있다.Although it has been described that the first moving
그리고, 상기 팝업덕트(214)의 승강을 위해 승강구동원(224)이 팝업덕트(214)에 설치되고 승강랙기어부(212)가 수직유로(210) 내에 형성되었다. 하지만 상기 승강구동원(224)이 수직유로(210) 최상단에 설치되고 상기 승강랙기어부(212)가 팝업덕트(214)의 배면에 상하방향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In addition, a
도시된 실시례에서는 필터(320,330,340)가 3개가 사용되고 있으나, 반드시 그러한 것은 아니며, 적어도 2개 이상의 필터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필터프레임(301)에 통과영역(302)이 3개 형성되고 있으나, 이 또한 적어도 2개 이상으로 될 수 있다.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ree
도시된 실시례에서는 필터프레임(301)이 서랍식으로 하우징(10)에서 입출되는 것을 돕기 위해 레일조립체(350)가 사용되었으나, 반드시 레일조립체(350)가 사용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즉, 레일조립체(350)없이 서랍식으로 상기 필터프레임(301)이 입출하도록 할 수도 있다.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그리고, 도시된 실시례에서는 탄성쇄모(375)를 사용하여 클리너흡입구(373)에서의 흡입력이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으나, 상기 탄성쇄모(375) 대신에 탄성이 있는 시일 등과 같은 다양한 누설차단부재를 두어서 동일한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And,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suction force from the
10: 하우징 11: 바닥판
11': 흡입구 12: 측판
13: 배면판 13': 호스통공
13": 배관통공 14: 상판
15: 전면판 15'-1: 제1토출구
15'-2: 제2토출구 15'-3: 제3토출구
16: 제1이동 16': 제2이동판
18: 레그 19: 제1구획벽
19': 제2구획벽 20: 공기유동공간
22: 제1공간 24: 제2공간
100: 열교환장치 102: 공기유로
104: 열교환기 108: 드레인팬
110: 입구가이드 110': 안내경사면
112: 상부가이드 120: 팬가이드
122: 팬가이드몸체 124: 제1팬공간
124': 제2팬공간 124": 제3팬공간
126: 유입부 128: 유출구
129: 분지유로 130: 제1구동팬
130': 제2구동팬 130": 제3구동팬
132: 팬모터 141: 제1루버
142: 제2루버 143: 제3루버
200: 추가토출부 202: 제1공간프레임
203: 프레임공간 204: 연결덕트
205: 연결유로 206: 제1댐퍼
208: 수직덕트 210: 수직유로
212: 승강랙기어부 214: 승강박스
216: 회전지지링 218: 연통유로
219: 팬설치부 220: 회전모터수납부
221: 만입부 224: 팝업구동팬
226: 회전모터 228: 회전구동기어
230: 승강모터 232: 승강구동기어
234: 팝업덕트 236: 팝업유로
238: 회전지지부 240: 종동기어부
242: 팝업토출구 244: 조절날개
300: 필터유니트 301: 필터프레임
303: 전면벽 303': 손잡이
305: 측면벽 307: 배면벽
309: 필터구획벽 311: 안착단
313: 지지리브 320: 제1필터
322: 필터링부 324: 수납케이스
325: 수납공간 330: 제2필터
340: 제3필터 350: 레일조립체
352: 프레임고정부 354: 이동가이드레일
356: 하우징고정부 358: 고정가이드레일
360: 연결레일 362: 볼지지편
364: 볼 370: 클리너
371: 클리너몸체 372: 바닥부
373: 클리너흡입구 375: 탄성쇄모
377: 공기배출구 380: 클리너레일
401: 공기유입덕트 403: 유입팬부
405: 공기전달덕트 407: 스팀생성기
409: 제1배출덕트 411: 제2배출덕트
413: 가습연결덕트 415: 물통안착대
417: 가습펌프 419: 물통
421: 베이스프레임 423: 가이드컬럼
425: 가이드레일 427: 가이드슬롯
429: 저수부
431: 저수공간
433: 저수부상판 435: 회전중심공
437: 안착벽 439: 틸팅스토퍼
441: 저수부입구 443: 밸브개방구
445: 회전중심부재 447: 회전중심축
449: 틸팅테이블 451: 틸팅랙기어부
453: 랙기어 455: 연동채널
457: 저수부커버 459: 물공급공
470: 근접센서 500: 기계실
501: 상구획판 501': 하구획판
502: 배수펌프 504: 연결호스
505: 상단부 505': 연결부
505": 하단부 506: 배출호스
510: 공급호스 600 : 제어부10: housing 11: bottom plate
11': inlet 12: side plate
13: rear plate 13': hose through hole
13": plumbing hole 14: top plate
15: front panel 15'-1: first outlet
15'-2: second outlet 15'-3: third outlet
16: first movement 16': second movement plate
18: leg 19: first partition wall
19': second partition wall 20: air flow space
22: first space 24: second space
100: heat exchanger 102: air flow path
104: heat exchanger 108: drain pan
110: entrance guide 110': guide slope
112: upper guide 120: fan guide
122: fan guide body 124: first fan space
124':
126: inlet 128: outlet
129: branch euro 130: first driving fan
130':
132: fan motor 141: first louver
142: second louver 143: third louver
200: additional discharge unit 202: first space frame
203: frame space 204: connecting duct
205: connection passage 206: first damper
208: vertical duct 210: vertical flow path
212: lifting rack gear unit 214: lifting box
216: rotation support ring 218: communication passage
219: fan installation unit 220: rotation motor storage unit
221: recessed part 224: pop-up driving fan
226: rotation motor 228: rotation drive gear
230: elevating motor 232: elevating drive gear
234: pop-up duct 236: pop-up euro
238: rotation support 240: driven gear unit
242: pop-up outlet 244: control wing
300: filter unit 301: filter frame
303: front wall 303': handle
305: side wall 307: rear wall
309: filter partition wall 311: seating end
313: support rib 320: first filter
322: filtering unit 324: storage case
325: storage space 330: second filter
340: third filter 350: rail assembly
352: frame fixing part 354: moving guide rail
356: housing fixing portion 358: fixed guide rail
360: connecting rail 362: ball support piece
364: ball 370: cleaner
371: cleaner body 372: bottom part
373: cleaner inlet 375: elastic shaving
377: air outlet 380: cleaner rail
401: air inlet duct 403: inlet fan unit
405: air delivery duct 407: steam generator
409: first exhaust duct 411: second exhaust duct
413: humidification connection duct 415: water tank seat
417: humidification pump 419: water tank
421: base frame 423: guide column
425: guide rail 427: guide slot
429: water reservoir 431: water storage space
433: water storage plate 435: rotation center hole
437: seating wall 439: tilting stopper
441: water reservoir inlet 443: valve opening
445: rotation center member 447: rotation center shaft
449: tilting table 451: tilting rack gear unit
453: rack gear 455: interlocking channel
457: water reservoir cover 459: water supply hole
470: proximity sensor 500: machine room
501: upper partition plate 501': lower partition plate
502: drain pump 504: connecting hose
505: upper part 505': connection part
505": lower part 506: exhaust hose
510: supply hose 600: control unit
Claims (9)
상기 바닥판에 위치하고 있다가 상기 흡입구 영역을 따라 직선왕복운동하면서 필터에 있는 먼지와 이물질을 흡입하는 클리너와,
상기 흡입구 영역을 가로질러 상기 바닥판의 저면에 설치되고 상기 클리너의 이동을 안내하는 클리너레일과,
상기 클리너의 내부로 공기가 흡입되는 클리너흡입구의 가장자리를 둘러 설치되어 상기 클리너흡입구의 흡입력이 누설되는 것을 차단하는 누설차단부재를 포함하는 공기관리장치.
An air management device for cleaning a filter in an intake port formed on a bottom plate of a housing position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on the living room floor, comprising:
a cleaner that is located on the bottom plate and sucks dust and foreign substances in the filter while moving linearly and reciprocating along the suction port area;
a cleaner rail install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bottom plate across the suction port area and guiding the movement of the cleaner;
and a leakage blocking member installed around the edge of the cleaner inlet through which air is sucked into the cleaner and blocking the suction power of the cleaner inlet from leaking.
The air management devic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leakage blocking member is elastically crushed hair, and the front end thereof is elastically deformed to the surface of the filter.
The air management devic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lter enters and exits in a drawer type through an entrance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housing while seated on the filter frame.
The air management device according to claim 3, wherein a first filter, a second filter and a third filter are stacked on the filter frame, and the surface of the first filter and the cleaner inlet of the cleaner face each other.
The air management device according to claim 4, wherein a storage case surrounding an edge of the first filter is provided, and the second filter and the third filter are stacked in a storage space in the storage case.
The air management device of claim 1, wherein the cleaner is installed on the bottom plate of the housing in a space between the bottom plate of the housing and the floor of the living room where the housing is installed.
The air management devic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leaner rail is installed across the center of the cleaner to separate the cleaner inlet formed at the bottom of the cleaner.
The air management devic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leaner rail crosses the center of the suction port of the housing in a lateral direction and both ends are fixed to the bottom plate of the housing.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63436A KR20210073018A (en) | 2019-12-10 | 2019-12-10 | Air management apparatu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63436A KR20210073018A (en) | 2019-12-10 | 2019-12-10 | Air management apparatus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73018A true KR20210073018A (en) | 2021-06-18 |
Family
ID=766233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163436A KR20210073018A (en) | 2019-12-10 | 2019-12-10 | Air management apparatus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10073018A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397274B1 (en) * | 2021-12-21 | 2022-05-12 | 민영배 | Energy saving apparatus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80014591A (en) | 2007-04-06 | 2008-02-14 | 엘지전자 주식회사 | Air conditioner |
KR20090082732A (en) | 2008-01-28 | 2009-07-31 | 엘지전자 주식회사 | Ceiling type air conditioner |
-
2019
- 2019-12-10 KR KR1020190163436A patent/KR20210073018A/en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80014591A (en) | 2007-04-06 | 2008-02-14 | 엘지전자 주식회사 | Air conditioner |
KR20090082732A (en) | 2008-01-28 | 2009-07-31 | 엘지전자 주식회사 | Ceiling type air conditioner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397274B1 (en) * | 2021-12-21 | 2022-05-12 | 민영배 | Energy saving apparatus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1852360B2 (en) | Air management apparatus or device | |
KR20210073012A (en) | Air management apparatus | |
KR20210073018A (en) | Air management apparatus | |
KR20210073023A (en) | Air management apparatus | |
KR20210073010A (en) | Air management apparatus | |
KR20210105544A (en) | Air management apparatus | |
EP3835676A1 (en) | Air management apparatus or device | |
KR20210073025A (en) | Air management apparatus | |
KR20210073024A (en) | Air management apparatus | |
KR20210073019A (en) | Air management apparatus | |
KR20210073011A (en) | Air management apparatus and its control method | |
KR20210073014A (en) | Air management apparatus | |
KR20210073006A (en) | Air management apparatus | |
KR20210073026A (en) | Air management apparatus and its control method | |
KR20210073013A (en) | Air management apparatus | |
KR20210073020A (en) | Air management apparatus | |
KR20210077272A (en) | Air management apparatus | |
KR20210073008A (en) | Air management apparatus and its control method | |
EP3835675B1 (en) | Air management apparatus or devi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