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71807A - Logistics service system and method for online products, user terminal and logistics server therefor - Google Patents

Logistics service system and method for online products, user terminal and logistics server theref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71807A
KR20210071807A KR1020200076080A KR20200076080A KR20210071807A KR 20210071807 A KR20210071807 A KR 20210071807A KR 1020200076080 A KR1020200076080 A KR 1020200076080A KR 20200076080 A KR20200076080 A KR 20200076080A KR 20210071807 A KR20210071807 A KR 202100718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duct
sale
information
store
user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608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종호
Original Assignee
김종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호 filed Critical 김종호
Publication of KR202100718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1807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7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e.g. order filling, procurement or balancing against ord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5Needs-based resource requirements planning or analysi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A user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terminal communication unit connected to a logistics server via a communication network; a terminal memory for storing a logistics application, which interworks with the logistics server to perform an online trading procedure for a product for sale and a direct handover procedure for the product for sale in an offline store; and a terminal processor for controlling an operation of the logistics application. The terminal processor is configured to, when receiving direct handov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directly handing over the product for sale to a user in the offline store from the logistics server, control the direct handov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be displayed. Accordingly, the displayed direct handov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recognized through a store terminal provided in the offline store and the product for sale can be directly handed over to the us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terminal can consistently improve the reliability of an online business company.

Description

온라인 상품에 대한 물류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위한 사용자 단말기 및 물류 서버{Logistics service system and method for online products, user terminal and logistics server therefor}Logistics service system and method for online goods, and a user terminal and a logistics server for the same {Logistics service system and method for online products, user terminal and logistics server therefor}

본 발명은 매매 상품의 유통 서비스 기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온라인 매매 상품에 대한 물류 서비스 기술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chnology for distribution service of merchandise for sale, and more particularly, to a technology for a distribution service for online merchandise.

한국의 경우에 소규모의 상품 또는 서비스를 온라인으로 판매하는 자(이하, 온라인 사업자라 칭함)의 비중이 OECD 회원국들 중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한다. 치열한 경쟁속에서 온라인 사업자의 폐업율은 오프라인 소상공인과 더불어 점차 증가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In Korea, the proportion of small-scale online sellers of goods or services (hereinafter referred to as online operators) accounts for the highest percentage among OECD member countries. The reality is that, amid fierce competition, the closure rate of online operators is gradually increasing along with offline small businesses.

이러한 무한경쟁의 환경에서 적은 자본력을 가진 온라인 사업자에게 매출 증대를 위한 서비스는 거의 없거나 그 효과가 미미하다. 인지도가 낮은 온라인 사업자 등에게 온라인 광고 등의 서비스는 그 효과가 제한적이며, 마케팅 면에서 유의미한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엄청나 자금이 투입되어야 한다. 또한, 지속적인 온라인 광고 서비스가 제공되지 않는다면, 매출 증대를 위한 효과는 크게 기대할 수 없다.In this limitless competition environment, there are few or insignificant services to increase sales for online operators with little capital. The effectiveness of services such as online advertisements is limited to low-recognized online operators, etc., and huge amounts of money must be invested in order to obtain a meaningful effect in terms of marketing. In addition, if a continuous online advertising service is not provided, the effect for increasing sales cannot be expected significantly.

특히, 수많은 온라인 사업자들 간의 경쟁으로 인해, 온라인 상에서 최저가로 상품을 판매하려고 해도 해당 사이트의 인지도가 낮은 경우에는 제품이나 배송 등에 대한 신뢰성을 확보하는데 한계가 있어서 소비자들로부터 외면 받기 쉽다.In particular, due to competition among numerous online operators, even if the product is sold at the lowest price online, if the site is not well known, there is a limit to securing the reliability of the product or delivery, so it is easy to be ignored by consumers.

한편, 근래에는 온라인 상에서 저렴한 상품을 구입하려는 경향뿐만 아니라, 각각의 상품을 비교 체험한 후에 구입하려는 체험 욕구가 증가함으로 인해, 저렴한 가격임에도 불구하고 온라인 상품을 구매하기 보다는 오프라인에서 상품들을 사용해보고 구매하는 소비자층이 증가하고 있다. On the other hand, in recent years, not only the tendency to buy cheap products online, but also the increase in the desire to purchase after comparing and experiencing each product. A growing consumer base.

그러나, 소규모 온라인 사업자에게 상품 판매를 위한 별도의 오프라인 매장을 운영하기에는 상당한 자본이 추가적으로 투입되어야 하고,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 병행에 따른 매출 효율이 기대만큼 증대되리라는 보장도 없기 때문에 무턱대고 오프라인 매장을 운영하기도 어려움이 있다. However, it is difficult to run an offline store blindly because a significant amount of capital must be additionally invested to run a separate offline store for product sales to small online business operators, and there is no guarantee that the sales efficiency due to online or offline parallelism will increase as expected. have.

또한, 소비자는 오프라인 상에서 비교 체험을 통해 상품을 구매하려는 욕구는 있으나, 동일한 상품의 경우에도 오프라인 매장에서 판매되는 가격에 비해 온라인 사이트에서 판매되는 가격이 상대적으로 상당히 저렴하기 때문에, 오프라인 매장에서의 상품 구매를 꺼려한다. 이로 인해, 소비자는 오프라인 매장에서 상품 체험 후에 온라인에서 해당 상품을 구매하는 소비 패턴(일명, 쇼루밍이라 칭함)을 보이기도 한다. 이러한 소비 패턴은 일차적으로 소비자에게 번거로운 소비 형태이고, 나아가 상품 판매 시장의 유통 구조를 왜곡시켜서, 오프라인 시장의 침체로 이어지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In addition, although consumers have a desire to purchase a product through a comparative experience offline, even for the same product, the price sold on the online site is relatively lower than the price sold at the offline store, so the product in the offline store reluctant to buy For this reason, consumers sometimes show a consumption pattern (so-called showrooming) of purchasing a corresponding product online after experiencing the product in an offline store. This consumption pattern is primarily a cumbersome consumption form for consumers, and further distorts the distribution structure of the product sales market, which may lead to a stagnation of the offline market.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2-0052792호(공개일 2012년 5월 24일)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12-0052792 (published on May 24, 2012)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온라인 사업자들의 매출 증대를 위해, 매매 상품에 대한 온라인 결제 및 오프라인 매장에서의 직접 인계를 위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온라인 상품에 대한 물류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위한 사용자 단말기 및 물류 서버에 관한 것이다. A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a logistics service system and method for an online product that provides a service for online payment and direct handover at an offline store for online business owners to increase sales, and a user terminal and a user terminal for the same It is about the logistics server.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사용자 단말기는, 물류 서버와 통신망으로 연결되어 있는 단말 통신부; 상기 물류 서버와 연동하여, 매매 상품에 대한 온라인 매매절차 및 상기 매매 상품에 대한 오프라인 매장에서의 직접 인계절차를 수행하는 물류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하는 단말 메모리; 및 상기 물류 어플리케이션의 구동을 제어하는 단말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단말 프로세서는, 상기 매매 상품을 상기 오프라인 매장에서 사용자에게 직접 인계하기 위한 직접인계 식별정보를 상기 물류 서버로부터 수신하면, 상기 직접인계 식별정보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며, 표시된 상기 직접인계 식별정보는 상기 오프라인 매장 내에 마련된 매장 단말기를 통해 인식되어 상기 매매 상품이 상기 사용자에게 직접 인계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user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the terminal communication unit connected to the logistics server and a communication network; a terminal memory for storing a logistics application that interworks with the logistics server to perform an online trading procedure for a product for sale and a direct handover procedure for the product for sale in an offline store; and a terminal processor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logistics application, wherein the terminal processor receives, from the logistics server, direct handov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directly handing over the sale product to the user in the offline store, the direct handover identification The information is controlled to be displayed, and the displayed direct handov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recognized through a store terminal provided in the offline store so that the sale product can be directly transferred to the user.

상기 단말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매매 상품에 대한 상품 관련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 상기 상품 관련정보로부터 상기 매매 상품에 대한 온라인 매매 및 상기 오프라인 매장에서의 직접 인계를 위한 구매문의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구매문의정보를 상기 물류 서버로 전송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물류 서버가 상기 매매 상품을 판매하는 온라인 사이트들 중에서 상기 오프라인 매장 내에 상기 매매 상품을 입고시킨 온라인 사업자 각각의 온라인 사이트들에 대한 등록 사이트 목록을 생성 및 전송하면, 상기 등록 사이트 목록을 수신하여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표시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표시된 등록 사이트 목록 중에서 상기 사용자의 선택에 대응하는 온라인 사이트의 상품판매 서버에 접속한 후에, 상기 상품판매 서버와 데이터 교환을 통해 상기 매매 상품에 대한 온라인 매매절차를 수행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온라인 매매절차 수행 후에, 상기 물류 서버로부터 상기 직접인계 식별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직접인계 식별정보를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terminal processor controls to display a user interface through which product-related information on the product for sale is input from the user, and performs online trading and the sale of the product from the product-related information input through the user interface. Generates purchase inquiry information for direct handover in an offline store, controls to transmit the generated purchase inquiry information to the logistics server, and stores the purchase inquiry information in the offline store from among online sites where the logistics server sells the sale product. When a list of registration sites for each of the online sites of the online business operators that stock the goods for sale is created and transmitted, the registration site list is received and controlled to be displayed through the user interface, and the user selects the list of registered sites from the displayed list of registration sites After accessing the product sales server of an online site corresponding to When the handov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received, the direct handov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controlled to be displayed through the user interface.

상기 단말 프로세서는, 상기 매매 상품에 대한 상품 명칭정보 및 상품 식별정보, 상기 오프라인 매장에 대한 매장 식별정보, 매장 명칭정보 및 매장 위치정보,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위치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상기 구매문의정보로서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terminal processor may include at least one of product name information and product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the sale product, store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the offline store, store name information and store location information, and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as the purchase inquiry information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reated as

상기 단말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위치와 가장 근접한 최근접 오프라인 매장을 검출하고, 상기 매매 상품을 판매하는 온라인 사이트들 중에서 상기 최근접 오프라인 매장에 상기 매매 상품을 입고시킨 등록 사이트 목록을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terminal processor detects a nearest offline store closest to the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and controls to display a list of registered sites that stock the sale product in the nearest offline store among online sites that sell the sale product characterized in that

상기 단말 프로세서는, 상기 최근접 오프라인 매장에 상기 매매 상품을 입고시킨 등록 사이트 목록을 상기 매매 상품에 대한 판매가격 중 최저가 판매가격의 온라인 사이트 순으로 정렬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terminal processor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ntrols the list of registered sites that stocked the products for sale in the nearest offline store, sorted and displayed in the order of the online sites of the lowest selling price among the selling prices of the products for sale.

상기 단말 프로세서는, 상기 상품판매 서버로부터 상기 온라인 매매절차 수행에 따른 매매 체결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수신된 매매 체결정보를 상기 단말 메모리에 저장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오프라인 매장에서 상기 매매 상품의 직접 인계를 위한 대상인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대상확인 요청신호를 상기 물류 서버로부터 수신하면, 상기 대상확인 요청신호에 포함된 매장 식별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추출된 매장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오프라인 매장에서 상기 매매 상품의 직접 인계를 위한 대상임을 증명하기 위한 대상확인 응답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대상확인 응답신호를 상기 매매 체결정보와 함께 상기 물류 서버로 전송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대상확인 응답신호에 따라 직접 인계가 결정되어 상기 물류 서버로부터 상기 직접인계 식별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직접인계 식별정보를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terminal processor, upon receiving the transaction execu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execution of the online transaction procedure from the product sales server, controls to store the received transaction execution information in the terminal memory, and allows the user terminal to perform the transaction in the offline store When receiving a target confirmation request signal for confirming whether the product is a target for direct handover from the logistics server, the stor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target confirmation request signal is extracted, and the user terminal extracts the extracted store identification information generating a target confirmation response signal for proving that it is a target for direct handover of the sale product in an offline store corresponding to , and controlling to transmit the generated object confirmation response signal together with the transaction execution information to the logistics server, When the direct handover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target confirmation response signal and the direct handov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the logistics server, the direct handov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controlled to be displayed through the user interface.

상기 직접인계 식별정보는, 상기 매매 상품에 대한 상품 명칭정보 및 상품 식별정보, 상기 매매 상품의 직접 인계를 위한 상기 오프라인 매장에 대한 매장 식별정보, 매장 위치정보 및 매장 명칭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direct handov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cludes at least one or more of product name information and product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the sale product, store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the offline store for direct handover of the sale product, store location information, and store name information characterized in that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물류 서버는, 사용자 단말기와 통신망으로 연결되어 있는 물류 통신부;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연동하여, 매매 상품에 대한 온라인 매매절차 및 상기 매매 상품에 대한 오프라인 매장에서의 직접 인계절차를 수행하는 물류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매매 상품에 대해 상기 오프라인 매장에서의 직접 인계절차를 제어하는 물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물류 프로세서는, 상기 매매 상품을 상기 오프라인 매장에서 사용자에게 직접 인계하기 위한 직접인계 식별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직접인계 식별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표시된 상기 직접인계 식별정보는 상기 오프라인 매장 내에 마련된 매장 단말기를 통해 인식되어 상기 매매 상품이 상기 사용자에게 직접 인계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Logistics server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a logistics communication unit connected to the user terminal and a communication network; a database for storing a logistics application that interworks with the user terminal and performs an online trading procedure for a product for sale and a direct handover procedure for the product for sale in an offline store; and a logistics processor for controlling a direct handover procedure in the offline store for the sale product, wherein the logistics processor generates direct handov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directly handing over the sale product to a user in the offline store, The generated direct handov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controlled to be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and the direct handov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user terminal is recognized through a store terminal provided in the offline store so that the sale product can be directly transferred to the user. It is characterized in that

상기 물류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매매 상품에 대한 온라인 매매 및 직접 인계를 위한 구매문의정보를 수신하면, 수신된 상기 구매문의정보로부터 상기 매매 상품을 인식하고, 상기 인식된 매매 상품을 판매하는 온라인 사이트들 중에서 상기 오프라인 매장 내에 상기 매매 상품을 입고시킨 온라인 사업자 각각의 온라인 사이트들에 대한 등록 사이트 목록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등록 사이트 목록을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등록 사이트 목록 중에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매매 상품에 대한 온라인 매매절차를 수행한 온라인 사이트의 상품판매 서버로부터 상기 매매 상품의 매매에 따른 매매 완료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매매 완료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오프라인 매장에 대한 상기 직접인계 식별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logistics processor, when receiving purchase inquiry information for online trading and direct handover of the trading product from the user terminal, recognizes the trading product from the received purchase inquiry information, and sells the recognized trading product Generates a list of registration sites for each of the online sites of the online operators that stock the products for sale in the offline store among the online sites, and controls to transmit the created list of registered sites to the user terminal, and the list of registered sites When the sale comple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sale of the sale product is received from the product sales server of the online site that has performed the online sale procedure for the sale product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among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direct takeov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generated.

상기 물류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위치와 가장 근접한 최근접 오프라인 매장을 검출하고, 상기 매매 상품을 판매하는 온라인 사이트들 중에서 상기 최근접 오프라인 매장에 상기 매매 상품을 입고시킨 등록 사이트 목록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logistics processor detects the nearest offline store closest to the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and generates a list of registered sites that stock the sale product in the nearest offline store among online sites that sell the sale product characterized.

상기 매매 완료정보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대한 단말기 등록정보와 상기 매매 상품의 직접 인계를 위한 상기 오프라인 매장에 대한 매장 식별정보, 매장 명칭정보 및 매장 위치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ale completion informa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t least one of terminal registration information for the user terminal and store identification information, store name information, and store location information for the offline store for direct handover of the sale product.

상기 물류 프로세서는, 상기 상품판매 서버로부터 상기 매매 완료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수신된 매매 완료정보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대한 단말기 등록정보 및 상기 오프라인 매장에 대한 매장 식별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추출된 매장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오프라인 매장에서 상기 매매 상품의 직접 인계를 위한 대상인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대상확인 요청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대상확인 요청신호를 상기 추출된 단말기 등록정보에 대응하는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온라인 매매절차 수행에 따른 매매 체결정보가 포함된 대상확인 응답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매매 체결정보와 상기 매매 완료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매매 상품을 직접 인계할 것인지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매매 상품에 대한 직접 인계 결정에 대응하여 상기 직접인계 식별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직접인계 식별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logistics processor, upon receiving the sale completion information from the product sales server, extracts terminal registration information for the user terminal and store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the offline store from the received sale completion information, and the user terminal Generates a target confirmation request signal for confirming whether the target for direct handover of the sale product in an offline store corresponding to the extracted stor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applies the generated target confirmation request signal to the extracted terminal registration information control to be transmitted to a corresponding user terminal, and when receiving a target confirmation response signal including trading execu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online trading procedure execution from the user terminal, the trading execution information is compared with the trading completion information to provide the user with the Determining whether to directly hand over the sale product, generating the direct handov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 response to the direct handover decision for the sale product, and controlling to transmit the generated direct handov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the user terminal do it with

상기 물류 프로세서는, 상기 직접인계 식별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한 후에, 상기 매장 단말기로부터 직접인계 식별정보에 대한 정보확인 요청신호를 수신하면, 확인 요청된 직접인계 식별정보와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했던 직접인계 식별정보를 비교하여 일치하는가를 판단하고, 상기 직접인계 식별정보들의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매매 상품에 대해 상기 사용자게에게 직접 인계하라는 인계 허용 메시지를 생성하고, 생성된 상기 인계 허용 메시지를 상기 매장 단말기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logistics processor, after transmitting the direct handov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the user terminal, when receiving an information confirmation request signal for the direct handov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from the store terminal, transmits the confirmation requested direct handov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he user terminal The direct handov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compared to determine whether they match, and according to the comparison result of the direct handov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a handover permit message is generated to directly hand over to the user for the sale product, and the generated handover permit messag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trol to be transmitted to the store terminal.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온라인 상품에 대한 물류 서비스 시스템은 매매 상품에 대한 온라인 매매절차 및 상기 매매 상품에 대한 오프라인 매장에서의 직접 인계절차를 수행하는 물류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하고, 상기 물류 어플리케이션의 구동을 제어하는 사용자 단말기;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연동하여, 상기 매매 상품에 대한 오프라인 매장에서의 직접 인계절차를 제어하는 물류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물류 서버는, 상기 매매 상품을 상기 오프라인 매장에서 사용자에게 직접 인계하기 위한 직접인계 식별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직접인계 식별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물류 서버로부터 상기 직접인계 식별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직접인계 식별정보를 표시하고, 표시된 상기 직접인계 식별정보는 상기 오프라인 매장 내에 마련된 매장 단말기를 통해 인식되어 상기 매매 상품이 상기 사용자에게 직접 인계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logistics service system for an online produ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 stores a logistics application that performs an online trading procedure for a trading product and a direct handover procedure in an offline store for the trading product, and the logistics application a user terminal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device; and a logistics server that interworks with the user terminal to control a direct handover procedure for the product for sale in an offline store, wherein the logistics server is configured to take over the product for sale directly from the offline store to the user generat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ransmitting the generated direct handov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the user terminal, the user terminal, upon receiving the direct handov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from the logistics server, displays the direct handov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the displayed The direct handov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recognized through a store terminal provided in the offline store so that the sale product can be directly transferred to the user.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온라인 상품에 대한 물류 서비스 방법의 일 실시예는, 사용자 단말기는 사용자로부터 매매 상품에 대한 상품 관련정보를 입력받아서, 상기 상품 관련정보로부터 상기 매매 상품에 대한 온라인 매매 및 상기 오프라인 매장에서의 직접 인계를 위한 구매문의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구매문의정보를 상기 물류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물류 서버가 상기 매매 상품을 판매하는 온라인 사이트들 중에서 상기 오프라인 매장 내에 상기 매매 상품을 입고시킨 온라인 사업자 각각의 온라인 사이트들에 대한 등록 사이트 목록을 생성 및 전송하면,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등록 사이트 목록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표시된 등록 사이트 목록 중에서 상기 사용자의 선택에 대응하는 온라인 사이트의 상품판매 서버와 접속하여 상기 매매 상품에 대한 온라인 매매절차를 수행하는 단계; 및 온라인 매매절차 수행 후에, 상기 물류 서버로부터 상기 직접인계 식별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직접인계 식별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직접인계 식별정보는 상기 오프라인 매장 내에 마련된 매장 단말기를 통해 인식되어 상기 매매 상품이 상기 사용자에게 직접 인계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of a logistics service method for an online produ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 the user terminal receives product-related information about a product for sale from a user, and receives the product-related information from the product-related information online generating purchase inquiry information for sales and direct handover in the offline store, and transmitting the generated purchase inquiry information to the logistics server; When the logistics server generates and transmits a list of registration sites for each of the online sites of the online operators that stock the goods for sale in the offline store among the online sites that sell the goods for sale, the user terminal sets the list of registration sites. displaying; performing, by the user terminal, an online trading procedure for the product for sale by accessing a product sales server of an online site corresponding to the user's selection from the displayed list of registration sites; and displaying, by the user terminal, the direct handov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when receiving the direct handov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from the logistics server after performing the online trading procedure, wherein the direct handov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a store terminal provided in the offline stor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recognized through and the sale product is directly handed over to the user.

상기 구매문의정보를 상기 물류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매매 상품에 대한 상품 식별정보, 상기 오프라인 매장에 대한 매장 식별정보, 매장 위치정보 또는 매장 명칭정보,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위치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상기 구매문의정보로서 상기 물류 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tep of transmitting the purchase inquiry information to the logistics server includes, by the user terminal, product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the sale product, store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the offline store, store location information or store name information,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It is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one or more of the purchase inquiry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logistics server.

상기 등록 사이트 목록을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자신과 가장 근접한 최근접 오프라인 매장을 검출하고, 상기 매매 상품을 판매하는 온라인 사이트들 중에서 상기 최근접 오프라인 매장에 상기 매매 상품을 입고시킨 등록 사이트 목록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tep of displaying the list of registration sites may include: a registration site in which the user terminal detects a nearest offline store closest to the user terminal, and puts the product for sale in the nearest offline store among online sites selling the product for sale It is characterized by displaying a list.

상기 등록 사이트 목록을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최근접 오프라인 매장에 상기 매매 상품을 입고시킨 등록 사이트 목록을 상기 매매 상품에 대한 판매가격 중 최저가 판매가격의 온라인 사이트 순으로 정렬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step of displaying the list of registration sites, the list of registration sites in which the user terminal stocks the product for sale in the nearest offline store is sorted and displayed in the order of the lowest selling price among the selling prices for the product for sale. characterized in that

상기 상기 직접인계 식별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물류 서버로부터 온라인 매매절차 수행에 따른 매매 체결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수신된 매매 체결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오프라인 매장에서 상기 매매 상품의 직접 인계를 위한 대상인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대상확인 요청신호를 상기 물류 서버로부터 수신하면,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대상확인 요청신호에 포함된 매장 식별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자신이 상기 추출된 매장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오프라인 매장에서 상기 매매 상품의 직접 인계를 위한 대상임을 증명하기 위한 대상확인 응답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생성된 대상확인 응답신호를 상기 매매 체결정보와 함께 상기 물류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대상확인 응답신호에 따라 직접 인계가 결정되어 상기 물류 서버로부터 상기 직접인계 식별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수신된 직접인계 식별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displaying of the direct handov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may include: when receiving transaction execu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online transaction procedure from the logistics server, storing, by the user terminal, the received transaction execution information; When the user terminal receives a target confirmation request signal for confirming whether the target for direct handover of the sale product in the offline store is received from the logistics server, the user terminal receives the stor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target confirmation request signal extracting; generating, by the user terminal, a target confirmation response signal for proving that the user terminal is a target for direct handover of the sale product in an offline store corresponding to the extracted store identification information; transmitting, by the user terminal, the generated target confirmation response signal together with the transaction execution information to the logistics server; and when the direct handover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target confirmation response signal and the direct handov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the logistics server, the user terminal displays the received direct handov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상기 직접인계 식별정보는, 상기 매매 상품에 대한 상기 상품 식별정보, 상기 매매 상품의 직접 인계를 위한 상기 오프라인 매장에 대한 매장 식별정보, 매장 위치정보 및 매장 명칭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direct handov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cludes at least one or more of the product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the sale product, store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the offline store for direct handover of the sale product, store location information, and store name information. do it with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온라인 상품에 대한 물류 서비스 방법의 다른 실시예는,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매매 상품에 대한 온라인 매매 및 상기 매매 상품에 대한 오프라인 매장에서의 직접 인계를 위한 구매문의정보를 수신하면, 물류 서버는 수신된 상기 구매문의정보로부터 상기 매매 상품을 인식하는 단계; 상기 물류 서버는 상기 인식된 매매 상품을 판매하는 온라인 사이트들 중에서 상기 오프라인 매장 내에 상기 매매 상품을 입고시킨 온라인 사업자 각각의 온라인 사이트들에 대한 등록 사이트 목록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등록 사이트 목록을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등록 사이트 목록 중에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매매 상품에 대한 온라인 매매절차를 수행한 온라인 사이트의 상품판매 서버로부터 상기 매매 상품의 매매에 따른 매매 완료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물류 서버는 상기 매매 완료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오프라인 매장에 대한 상기 직접인계 식별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표시된 상기 직접인계 식별정보는 상기 오프라인 매장 내에 마련된 매장 단말기를 통해 인식되어 상기 매매 상품이 상기 사용자에게 직접 인계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other embodiment of the logistics service method for an online produ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 is to provide purchase inquiry information for online sales of a product for sale and direct handover of the product for sale in an offline store from a user terminal. Recognizing, by the logistics server, the trading product from the received purchase inquiry information; The logistics server generates a list of registration sites for each of the online sites of the online business operators that have stocked the products for sale in the offline store from among the online sites that sell the recognized products for sale, and stores the list of registered sites. transmitting to a user terminal; and when receiving the sale comple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sale of the sale item from the product sale server of the online site that has performed the online sale procedure for the sale item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from the list of registration sites, the distribution server completes the sale and generating the direct handov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the offline store based on the information and transmitting it to the user terminal, wherein the direct handov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user terminal is recognized through a store terminal provided in the offline stor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ale product is directly handed over to the user.

상기 등록 사이트 목록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물류 서버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가장 근접한 최근접 오프라인 매장을 검출하고, 상기 매매 상품을 판매하는 온라인 사이트들 중에서 상기 최근접 오프라인 매장에 상기 매매 상품을 입고시킨 등록 사이트 목록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step of generating the list of registration sites, the logistics server detects the nearest offline store closest to the user terminal, and puts the sale product into the nearest offline store among online sites that sell the sale product. It is characterized by generating a list of registration sites.

상기 매매 완료정보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대한 단말기 등록정보와 상기 매매 상품의 직접 인계를 위한 상기 오프라인 매장에 대한 매장 식별정보, 매장 위치정보 및 매장 명칭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ale completion informa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t least one of terminal registration information for the user terminal and store identification information, store location information, and store name information for the offline store for direct handover of the sale product.

상기 직접인계 식별정보를 생성 및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상품판매 서버로부터 상기 매매 완료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물류 서버는 상기 수신된 매매 완료정보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대한 단말기 등록정보 및 상기 오프라인 매장에 대한 매장 식별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물류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추출된 매장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오프라인 매장에서 상기 매매 상품의 직접 인계를 위한 대상인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대상확인 요청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물류 서버는 상기 생성된 대상확인 요청신호를 상기 추출된 단말기 등록정보에 대응하는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온라인 매매절차 수행에 따른 매매 체결정보가 포함된 대상확인 응답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물류 서버는 상기 매매 체결정보와 상기 매매 완료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매매 상품을 직접 인계할 것인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물류 서버는 상기 매매 상품에 대한 직접 인계 결정에 대응하여 상기 직접인계 식별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직접인계 식별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step of generating and transmitting the direct handov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upon receiving the sale completion information from the product sales server, the logistics server transmits the terminal registration information for the user terminal and the offline store from the received sale completion information. extracting store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generating, by the logistics server, a target confirmation request signal for confirming whether the user terminal is a target for direct handover of the sale product in an offline store corresponding to the extracted store identification information; transmitting, by the logistics server, the generated target confirmation request signal to a user terminal corresponding to the extracted terminal registration information; Upon receiving from the user terminal a target confirmation response signal including trading execu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online trading procedure, the logistics server compares the trading execution information with the trading completion information to directly hand over the trading product to the user. determining whether or not; and generating, by the logistics server, the direct handov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 response to a direct handover decision for the sale product, and transmitting the generated direct handov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the user terminal.

상기 온라인 상품에 대한 물류 서비스 방법은, 상기 직접인계 식별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한 후에, 상기 매장 단말기로부터 직접인계 식별정보에 대한 정보확인 요청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물류 서버는 확인 요청된 직접인계 식별정보와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했던 직접인계 식별정보를 비교하여 일치하는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직접인계 식별정보들의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물류 서버는 상기 매매 상품에 대해 상기 사용자게에게 직접 인계하라는 인계허용 메시지를 생성하고, 생성된 상기 인계허용 메시지를 상기 매장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logistics service method for the online product, after transmitting the direct handov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the user terminal, when receiving an information confirmation request signal for the direct handov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from the store terminal, the distribution server is comparing the handov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with the direct handov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and determining whether they match; and, according to the comparison result of the direct handov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the logistics server generates a handover permission message to directly hand over to the user for the sale product, and transmits the generated handover permit message to the store terminal.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본 발명에 따르면, 상품 판매 사이트를 통해 매매되는 상품에 대해 오프라인 매장에서 소비자에게 직접 인계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인지도 또는 신뢰도가 낮은 온라인 사업자들도 해당 상품 판매 사이트를 통해 소비자로부터 외면받지 않고 온라인 상품을 판매할 수 있다. 즉, 소비자는 오프라인 매장에 입고된 상품에 대해서 상품 판매 사이트를 통해 구매한 후에 오프라인 매장에서 즉시 인계받을 수 있으므로, 인지도 또는 신뢰도가 낮은 상품 판매 사이트를 통해서도 주저 없이 상품을 구매하게 된다. 따라서, 온라인 사업자들은 낮은 인지도 및 신뢰도에도 불구하고, 오프라인 매장에 입고시킨 상품에 대해서 소비자에게 판매할 수 있으며, 아울러, 온라인 사업자의 브랜드 인지도 및 신뢰도를 지속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enabling the offline store to directly hand over the products sold through the product sales site to the consumers, even online business operators with low awareness or reliability can purchase online products without being turned away from consumers through the product sales site. can sell That is, since the consumer can immediately take over the product in the offline store after purchasing it through the product sales site, purchase the product without hesitation even through the product sales site with low awareness or reliability. Accordingly, online business operators can sell products stocked in offline stores to consumers despite low awareness and reliability, and can continuously improve brand recognition and reliability of online business operators.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소비자가 오프라인 매장을 통해 상품을 인계 받는경우에도, 오프라인 매장에서 일반적으로 상품을 구매하는 것에 비해 저렴한 가격(온라인 매매 가격)으로 상품을 구매할 수 있어서 소비자에게 상품 구매에 따른 비용 절감 효과가 있다. 특히, 오프라인 매장 내에 판매 상품을 입고시킨 복수의 온라인 사업자들은 가격 경쟁을 통한 상품의 판매를 위해 온라인 상의 최저가 수준 또는 저렴한 가격 수준의 상품 판매 사이트를 운영하게 되므로, 소비자는 온라인 상의 최저가 또는 저렴한 가격으로 해당 상품을 구매할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ven when the consumer takes over the product through the offline store, it is possible to purchase the product at a lower price (online sale price) compared to generally purchasing the product at the offline store, so that the consumer can There is a cost saving effect. In particular, a plurality of online business operators who stock products for sale in offline stores operate the lowest price level or low price level product sales site online to sell products through price competition, so consumers can use the lowest price or low price online. product can be purchased.

또한, 소비자는 상품 구매에 앞서서 해당 상품을 오프라인 매장에서 직접 체험할 수 있으므로, 구매 상품에 대한 장단점을 미리 파악할 수 있는 편의성이 있고, 구매한 상품에 대해서 오프라인 매장에서 즉시 인계받을 수 있으므로, 인계 받은 상품에 대한 하자 여부를 즉시 확인할 수 있으며, 하자 발생시 즉시 상품을 교환할 수 있는 편의성이 있다. In addition, since consumers can directly experience the product in the offline store before purchasing the product, it is convenient to grasp the pros and cons of the purchased product in advance, and the purchased product can be immediately taken over at the offline store, It is possible to immediately check whether a product has a defect or not, and it is convenient to exchange the product immediately in case of a defect.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상품에 대한 물류 서비스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사용자 단말기의 세부 구성요소를 설명하기 위한 일 실시예의 구성 블록도이다.
도 3 내지 도 11은 사용자 단말기에 표시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각각 나타내는 일 예의 참조도이다.
도 12는 도 1에 도시된 물류 서버의 세부 구성요소를 설명하기 위한 일 실시예의 구성 블록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상품에 대한 물류 서비스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일 실시예의 흐름도이다.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직접 인계 식별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일 실시예의 흐름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상품에 대한 물류 서비스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다른 실시예의 흐름도이다.
도 16은 도 14에 도시된 직접 인계 식별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다른 실시예의 흐름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물류 서비스 시스템을 구성하는 사용자 단말기, 물류 서버, 상품판매 서버 및 매장 단말기 사이의 동작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절차 타이밍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logistics service system for an online produ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block diagram of an embodiment for explaining detailed components of the user terminal shown in FIG. 1 .
3 to 11 are reference views of an example each showing a user interface displayed on a user terminal.
12 is a block diagram of an embodiment for explaining detailed components of the logistics server shown in FIG. 1 .
13 is a flowchart of an embodiment for explaining a logistics service method for an online produ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4 is a flowchart of an embodiment for explaining the step of displaying the direct takeov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shown in FIG. 13 .
15 is a flowchart of another embodiment for explaining a logistics service method for an online produ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6 is a flowchart of another embodiment for explaining the step of displaying the direct takeov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shown in FIG. 14 .
17 is a timing diagram illustrating an operation process between a user terminal, a logistics server, a product sales server, and a store terminal constituting the logistics servic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며, 아래의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의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이들 실시예는 본 개시를 더욱 충실하고 완전하게 하며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완전하게 전달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rovided to more complete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and the following embodiments can be modified in various other form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It is not limited to the following examples. Rather, these examples are provided so that this disclosure will be more thorough and complete, and will fully convey the spirit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특정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본 발명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단수 형태는 문맥상 다른 경우를 분명히 지적하는 것이 아니라면, 복수의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not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As used herein, the singular form may include the plural form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상품에 대한 물류 서비스 시스템(10)(이하, 물류 서비스 시스템이라 칭함)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 블록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logistics service system 10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logistics service system) for an online produ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물류 서비스 시스템(10)은 사용자 단말기(100), 물류 서버(200), 상품판매 서버(300) 및 매장 단말기(40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시되지 않았지만, 전술한 각 구성요소 사이에서 데이터 교환을 위한 통신망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 the logistics service system 10 may include a user terminal 100 , a logistics server 200 , a product sales server 300 , and a store terminal 400 . 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a communication network for exchanging data between each of the above-described components may be included.

사용자 단말기(100)는 매매 상품의 구매에 따른 물류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 물류 서버(200)와 통신하는 단말기이다. 이를 위해, 사용자 단말기(100)는 물류 서버(200)에서 제공하는 물류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받아서 저장하고 있으며, 상기 물류 어플리케이션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물류 서버(200)에서 제공하는 물류 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에게 매매 상품에 대한 온라인 매매절차 및 상기 매매 상품에 대한 오프라인 매장에서의 직접 인계절차를 수행하는 응용 프로그램에 해당한다. The user terminal 100 is a terminal that communicates with the logistics server 200 in order to receive a logistics service according to the purchase of goods for sale. To this end, the user terminal 100 downloads and stores the logistics application provided by the logistics server 200 , and can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logistics application. The logistics application provided by the logistics server 200 corresponds to an application program that performs an online sales procedure for a product for sale to a user and a direct handover procedure for the product for sale in an offline store.

이러한 물류 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 단말기(100)에 설치된 프로그램이나 운영체제 등에 포함된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실행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어플리케이션 스토어 서버, 또는 물류 서버(200)에서 제공된 프로그램에 의해 실행될 수도 있다. 또한, 물류 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 단말기(100)가 물류 서비스를 실행하기 위하여 원격(Remote)에 위치한 다른 컴퓨터나 서버 등과 통신이 필요한 경우, 통신 관련 코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Such a logistics application may be executed using a program installed in the user terminal 100 or a program included in an operating system, and the user may be executed by a program provided by the application store server or the logistics server 200 . In addition, the logistics application may further include a communication-related code when the user terminal 100 needs to communicate with another computer or server located in a remote location in order to execute a logistics service.

사용자 단말기(100)는 모바일 단말기, 키오스크(kiosk) 단말기 및 정보 리더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단말기는 스마트폰, 태블릿 PC, 또는 웨어러블 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키오스크 단말기는 정보서비스와 업무의 무인자동화를 위하여 무인 단말기에 해당하는 것으로, 터치스크린과 카드 판독기·프린터·네트워크·스피커·비디오카메라·인터폰·감지기 등의 다양한 입출력 주변기기가 장착되어 있으며, GUI를 이용하여 사용자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킨다. 또한, 정보 리더기는 바코드 또는 QR코드 등의 정보를 읽어들이는 입력 디바이스에 해당한다. 사용자 단말기(100)에 대한 상세한 내용은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The user terminal 100 may include a mobile terminal, a kiosk terminal, and an information reader. For example, the mobile terminal may include a smart phone, a tablet PC, or a wearable device. In addition, the kiosk terminal corresponds to an unmanned terminal for information service and unmanned automation of work. It is equipped with various input/output peripherals such as a touch screen, card reader, printer, network, speaker, video camera, intercom, and sensor, and is equipped with a GUI. to run the user application. In addition, the information reader corresponds to an input device that reads information such as a barcode or QR code. Details of the user terminal 10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 .

물류 서버(200)는 사용자 단말기(100)가 요청하는 물류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이다. 물류 서버(200)가 제공하는 물류 서비스는 사용자가 매매 상품에 대해 오프라인 상에서 직접 인계받을 수 있도록 하는 온라인 및 오프라인 서비스를 의미한다. The logistics server 200 is a server that provides a logistics service requested by the user terminal 100 . The logistics service provided by the logistics server 200 refers to online and offline services that allow a user to directly take over a product for sale offline.

물류 서버(200)는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전송된 제어 명령에 기초하여 매매 상품에 대해 사용자에게 직접 인계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물류 서비스와 관련된 데이터를 연산하고, 연산 결과에 기초하여 물류 서비스에서 진행되는 동작들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 명령은 사용자 단말기(100)에서 물류 어플리케이션의 구동을 통해 제공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될 수 있으며, 물류 서버(200)는 입력된 제어 명령을 전달받아서 물류 서비스를 위한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물류 서버(200)에 대한 상세한 내용은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The logistics server 200 calculates data related to the logistics service to be directly handed over to the user for the sale product based on the control command transmitted from the user terminal 100, and proceeds in the logistics service based on the calculation result actions can be controlled. The control command may be input through a user interface provided through driving of a logistics application in the user terminal 100 , and the logistics server 200 may receive the input control command to control an operation for a logistics service. Details of the logistics server 20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3 .

상품판매 서버(300)는 온라인 사업자가 운영하는 온라인 사이트를 제공하고, 사용자 단말기(100)와 연동하여 사용자가 요청하는 매매 상품에 대한 온라인 판매 절차를 수행하는 서버이다. 상품판매 서버(300)는 온라인 판매 절차를 위한 유통 채널의 구성요소이다. The product sales server 300 is a server that provides an online site operated by an online business operator and performs an online sales procedure for a product for sale requested by a user in conjunction with the user terminal 100 . The product sales server 300 is a component of a distribution channel for an online sales procedure.

상품판매 서버(300)는 온라인 사이트를 통해 매매 상품에 대한 온라인 매매절차를 수행한 사용자 단말기(100)로 매매 체결정보를 전송한다. 매매 체결정보는 사용자가 구매한 매매 상품에 대한 가격정보, 수량정보, 배송 지역정보 등을 포함하는 정보를 의미한다.The product sales server 300 transmits trading execution information to the user terminal 100 that has performed an online trading procedure for a product to be bought through an online site. The transaction execution information refers to information including price information, quantity information, delivery area information, and the like for a product purchased by a user.

또한, 상품판매 서버(300)는 온라인 매매절차의 수행에 따른 매매 체결정보에 대응하는 매매 완료정보를 물류 서버(200)로 전송한다. 매매 완료정보는 물류 서버(200)를 통해 매매 상품을 구매한 사용자 단말기(100)에 대응하는 등록정보, 매매 상품에 대한 가격정보, 수량정보, 또는 오프라인 매장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오프라인 매장정보는, 매장 명칭정보, 매장 주소정보, 매장 식별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oduct sales server 300 transmits to the logistics server 200 the transaction comple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transaction conclusion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execution of the online trading procedure. The transaction completion information may include registr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user terminal 100 that purchased the product for sale through the logistics server 200 , price information for the product to be purchased, quantity information, or offline store information. Here, the offline store information may include store name information, store address information, stor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he like.

매장 단말기(400)는 오프라인 매장에서 매장 직원이 사용하는 전자기기에 관한 것으로, 예를 들어, 데스크탑 PC (desktop personal computer), 랩탑 PC (laptop personal computer), 넷북 컴퓨터 (netbook computer), 워크스테이션 (workstation) 등을 포함한다. 아울러, 매장 단말기(400)는 바코드 또는 QR 코드 등을 읽어들이는 리더기를 포함하고 있으며, 이러한 리더기로서 레이저 스캐닝 리더기, CCD 스캐닝 리더기 등을 예시할 수 있다.The store terminal 400 relates to an electronic device used by a store employee in an offline store, for example, a desktop PC (desktop personal computer), a laptop PC (laptop personal computer), a netbook computer (netbook computer), a workstation ( workstation), etc. In addition, the store terminal 400 includes a reader that reads a barcode or QR code, and as such a reader, a laser scanning reader, a CCD scanning reader, etc. may be exemplified.

매장 단말기(400)는 리더기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100)에 표시된 매매 상품에 대한 직접인계 식별정보를 읽어들이고, 읽어들인 직접 인계 식별정보에 대한 정보확인 요청신호를 물류 서버(200)로 전송한다. 그 후, 매장 단말기(400)는 물류 서버(200)로부터 매매 상품에 대해 사용자게에게 직접 인계하라는 인계 명령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인계 명령신호를 디스플레이 화면 상에 표시하거나 음성신호로 출력할 수 있다. The store terminal 400 reads the direct handov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the sale product displayed on the user terminal 100 through the reader, and transmits an information confirmation request signal for the read direct handov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the logistics server 200 . After that, the store terminal 400 receives a handover command signal to hand over directly to the user for the product for sale from the logistics server 200, and displays the received handover command signal on the display screen or outputs it as a voice signal. have.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사용자 단말기(100)의 세부 구성요소를 설명하기 위한 일 실시예의 구성 블록도이고, 도 3 내지 도 11은 사용자 단말기(100)에 표시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나타내는 일 예의 참조도이다. FIG. 2 is a block diagram of an embodiment for explaining detailed components of the user terminal 100 shown in FIG. 1 , and FIGS. 3 to 11 are reference examples of the user interface displayed on the user terminal 100 It is also

도 2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기(100)는 단말 통신부(110), 단말 메모리(120) 및 단말 프로세서(13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2 , the user terminal 100 includes a terminal communication unit 110 , a terminal memory 120 , and a terminal processor 130 .

단말 통신부(110)는 물류 서버(200)와 통신망으로 연결되어 있다. 단말 통신부(110)는 유선 통신망 또는 무선 통신망을 통해 물류 서버(200)와 연결되어 있다. 여기서, 유선 통신망으로 유선 인터넷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무선 통신망로서 WiFi와 같은 무선인터넷, WiBro 또는 WiMax와 같은 휴대인터넷, 2G 내지 5G 이동통신망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단말 통신부(110)는 유선 통신 프로토콜 또는 무선 통신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유선 통신모듈 및 무선 통신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The terminal communication unit 110 is connected to the logistics server 200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The terminal communication unit 110 is connected to the logistics server 200 through a wired communication network or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Here, the wired communication network may include the wired Internet. In addition,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may include a wireless Internet such as WiFi, a portable Internet such as WiBro or WiMax, and a 2G to 5G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The terminal communication unit 110 may include a wired communication module and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supporting a wired communication protocol or a wireless communication protocol.

단말 메모리(120)는 물류 서버(200)와 연동하여 매매 상품에 대한 사용자의 구매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제공, 상기 매매 상품에 대한 온라인 구매절차 수행 및 상기 매매 상품에 대한 오프라인 매장에서의 직접 인계절차를 수행하기 위한 물류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한다. 물류 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 단말기(100)에서 매매 상품에 대한 온라인 매매절차 및 매매 상품에 대한 오프라인 매장에서의 직접 인계절차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를 제공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입력창 인터페이스와 온라인 매매절차 및 매매상품의 직접인계와 관련한 사항을 표시하기 위한 출력창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물류 어플리케이션은 어플리케이션 스토어 서버 또는 물류 서버(200) 등으로부터 제공받아서 단말 메모리(120)에 저장된다. 또한, 단말 메모리(120)는 오프라인 매장에 대한 매장 등록정보로서, 매장 식별정보, 매장 위치정보, 매장 명칭정보 및 매장 주소정보 등을 저장하고 있다.The terminal memory 120 interworks with the logistics server 200 to provide a user interface for a user's purchase of a product for sale, perform an online purchase procedure for the product for sale, and a direct handover procedure for the product for sale in an offline store Save the logistics application to perform. The logistics application provides a user interface (User Interface) for enabling the user terminal 100 to perform an online trading procedure for a product for sale and a direct handover procedure for a product for sale in an offline store. The user interface may include an input window interface for receiving a user's command and an output window interface for displaying items related to an online trading procedure and direct handover of a trading product. These logistics applications are provided from the application store server or the logistics server 200 and are stored in the terminal memory 120 . In addition, the terminal memory 120 stores store identification information, store location information, store name information, and store address information as store registration information for an offline store.

또한, 단말 메모리(120)는 상품판매 서버(200)로부터 전송된 매매 체결정보를 저장하고, 물류 서버(200)로부터 전송된 직접인계 식별정보를 저장하며, 또한, 매장 단말기(400)로부터 전송된 직접인계 완료정보를 저장한다.In addition, the terminal memory 120 stores the transaction execution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product sales server 200 , stores the direct handov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logistics server 200 , and also stores the transaction execution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store terminal 400 . Save the direct handover completion information.

단말 프로세서(130)는 물류 어플리케이션의 구동을 제어한다. 도 3은 물류 어프리케이션의 구동에 따라 사용자 단말기(100) 상에 표시되는 초기 화면을 예시하는 참조도이다. 단말 프로세서(130)에 의한 물류 어프리케이션의 구동에 따라 사용자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 화면 상에 표시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초기 화면을 나타낸다. The terminal processor 130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logistics application. 3 is a reference diagram illustrating an initial screen displayed on the user terminal 100 according to the driving of the logistics application. The initial screen of the user interface displayed on the display screen of the user terminal 100 according to the driving of the logistics application by the terminal processor 130 is shown.

물류 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입력창 인터페이스 및 매매 상품의 표시 사항에 관한 출력창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 화면 상에 표시할 수 있는 프로그램에 해당한다. 또한, 물류 어플리케이션은 입력창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 입력사항을 단말 프로세서(130)에 전달한다.The logistics application corresponds to a program capable of displaying an input window interface for receiving a user's command and an output window interface related to display items of a sale product on a display screen. In addition, the logistics application transmits the user input input through the input window interface to the terminal processor 130 .

단말 프로세서(130)는 사용자로부터 매매 상품에 대한 온라인 매매 및 오프라인 매장에서의 직접 인계를 위한 상품 관련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입력창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도 4는 상품 관련정보의 입력을 위한 입력창 인터페이스를 예시하는 참조도이고, 도 5는 도 4에 표시된 입력창 인터페이스에 오프라인 매장 및 매매 상품을 입력한 상태를 예시하는 참조도이다.The terminal processor 130 controls to display an input window interface for receiving, from the user, product-related information for on-line trading for the trading product and direct handover at the offline store. 4 is a reference diagram illustrating an input window interface for inputting product-related information, and FIG. 5 is a reference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n offline store and a product for sale are input to the input window interface shown in FIG. 4 .

단말 프로세서(13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 상품 관련정보로부터 구매문의정보를 생성하여 물류 서버(200)로 전송하도록 제어한다. 단말 프로세서(130)는 입력된 상품 관련정보로부터 상품 명칭정보 또는 상품 식별정보 등과 함께, 오프라인 매장에 대한 매장 식별정보, 매장 위치정보, 매장 명칭정보 등이 포함된 구매문의정보를 생성한다. 이를 위해, 단말 메모리(120)에는 미리 오프라인 매장에 대한 매장 등록정보가 저장되어 있으며, 단말 프로세서(130)는 입력된 상품 관련정보와 단말 메모리(120)에 저장된 매장 등록정보를 이용하여 구매문의정보를생성할 수 있다.The terminal processor 130 controls to generate purchase inquiry information from the product-related information input through the user interface and transmit it to the logistics server 200 . The terminal processor 130 generates purchase inquiry information including store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an offline store, store location information, store name information, and the like, along with product name information or product identification information, from the input product related information. To this end, store registration information for an offline store is previously stored in the terminal memory 120 , and the terminal processor 130 uses the input product-related information and store registration information stored in the terminal memory 120 to provide purchase inquiry information. can create

또한, 단말 프로세서(130)는 사용자 단말기(100)에 내장된 GPS 모듈 또는 이동통신 모듈을 이용해 사용자 단말기(100)의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구매문의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단말 프로세서(130)는 생성된 구매문의정보를 물류 서버(200)로 전송하도록 단말 통신부(110)을 제어하며, 이에 따라, 단말 통신부(110)는 구매문의정보를 물류 서버(200)로 전송한다.Also, the terminal processor 130 may generate purchase inquiry information including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100 using a GPS module or a mobile communication module built into the user terminal 100 . The terminal processor 130 controls the terminal communication unit 110 to transmit the generated purchase inquiry information to the distribution server 200 , and accordingly, the terminal communication unit 110 transmits the purchase inquiry information to the distribution server 200 . .

그 후, 물류 서버(200)가 구매문의정보에 대응하는 매매 상품을 판매하는 온라인 사이트들 중에서 오프라인 매장 내에 상기 매매 상품을 입고시킨 온라인 사업자 각각의 온라인 사이트들에 대한 등록 사이트 목록을 생성 및 전송하면, 단말 프로세서(130)는 수신된 등록 사이트 목록을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After that, when the logistics server 200 creates and transmits a list of registration sites for each of the online sites of the online operators that stock the goods for sale in the offline store from among the online sites that sell the goods for sale corresponding to the purchase inquiry information, , the terminal processor 130 controls to display the received registration site list through a user interface.

등록 사이트 목록은 해당 매매 상품이 입고된 모든 오프라인 매장들에 대한 온라인 사업자의 등록 사이트 목록일 수도 있고, 매매 상품이 입고된 오프라인 매장들 중에서 구매문의정보에 포함된 매장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오프라인 매장에 등록된 온라인 사업자의 등록 사이트 목록일 수도 있다. 또한, 등록 사이트 목록은 매매 상품이 입고된 오프라인 매장들 중에서 사용자 단말기(100)의 위치 정보와 가장 인접한 오프라인 매장에 등록된 온라인 사업자의 등록 사이트 목록일 수도 있다. 도 6은 입력창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 오프라인 매장 및 매매 상품에 대응하는 출력창 인터페이스의 표시 상태를 예시하는 참조도이고, 도 7은 입력창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 오프라인 매장에 대응하는 출력창 인터페이스의 표시 상태를 예시하는 참조도이다.The registration site list may be a list of registration sites of an online business operator for all offline stores in which the product for sale is stocked, or to an offline store corresponding to the stor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purchase inquiry information among offline stores where the product is purchased. It may be a list of registration sites of registered online business operators. In addition, the registration site list may be a list of registration sites of online business operators registered in an offline store closest to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100 among offline stores in which the product is purchased. 6 is a reference diagram illustrating a display state of an output window interface corresponding to an offline store inputted through an input window interface and a product for sale, and FIG. 7 is an output window interface corresponding to an offline store input through the input window interface. It is a reference diagram illustrating a display state.

단말 프로세서(130)는 수신된 등록 사이트 목록 중에서 일정 오프라인 매장에 대응하는 등록 사이트 목록으로 정렬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예를 들어, 단말 프로세서(130)는 수신된 등록 사이트 목록 중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 매장 식별정보, 매장 명칭정보, 또는 매장 위치정보 등에 대응하는 오프라인 매장을 인식한다. 그 후, 단말 프로세서(130)는 인식된 오프라인 매장에 매매 상품이 입고된 등록 사이트 목록을 추출하고, 추출된 등록 사이트 목록을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The terminal processor 130 controls to sort and display a list of registered sites corresponding to a predetermined offline store among the received list of registered sites. For example, the terminal processor 130 recognizes an offline store corresponding to store identification information, store name information, store location information, etc. input through the user interface from among the received registration site list. Thereafter, the terminal processor 130 extracts a list of registration sites in which a product for sale is received in the recognized offline store, and controls the extracted registration site list to be displayed through a user interface.

또한, 단말 프로세서(130)는 사용자 단말기(100)의 위치정보와 가장 근접한 최근접 오프라인 매장을 추출하고, 물류 서버(200)로부터 수신된 등록사이트 목록 중에서 최근접 오프라인 매장에 매매 상품이 입고된 등록 사이트 목록을 추출할 수 있다. 단말 프로세서(130)는 최근접 오프라인 매장에 매매 상품을 입고시킨 등록 사이트 목록을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이를 위해, 단말 프로세서(130)는 사용자 단말기(100)의 위치 추적을 위한 GPS 모듈 또는 이동통신 모듈을 이용해 사용자 단말기(100)의 현재 위치정보를 검출하며, 미리 저장된 매장 등록정보를 이용하여 현재 위치정보와 가장 근접한 오프라인 매장을 검출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terminal processor 130 extracts the closest offline store to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100 , and registers that a product to be purchased is stored in the nearest offline store from the list of registration sites received from the logistics server 200 . You can extract a list of sites. The terminal processor 130 controls to display a list of registered sites that stock the products for sale in the nearest offline store through a user interface. To this end, the terminal processor 130 detects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100 using a GPS module or a mobile communication module for tracking the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100, and uses the store registration information stored in advance to locate the current location. It is possible to detect the offline store closest to the information.

단말 프로세서(130)는 등록 사이트 목록을 일정 정렬 기준에 따라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일정 정렬 기준은 판매가격, 사은품 지급여부, 상품 수량 등을 포함한다. 단말 프로세서(130)는 등록 사이트 목록을 매매 상품에 대한 판매가격 중 최저가 판매가격의 온라인 사이트 순으로 정렬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등록 사이트 목록에서 최저가로 판매하는 온라인 사이트가 최상위에 위치하도록 하며, 그 다음의 순위에 해당하는 온라인 사이트들을 순차적으로 정렬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이때, 단말 프로세서(130)는 사용자 단말기(100)와 가장 근접한 오프라인 매장에 매매 상품이 입고된 온라인 사이트들 중에서 최저가의 온라인 사이트 순으로 정렬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The terminal processor 130 may control the registration site list to be displayed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sorting criterion. Here, the schedule sorting criterion includes a sale price, whether a gift is paid, product quantity, and the like. The terminal processor 130 may control the list of registered sites to be displayed by sorting them in the order of the online sites of the lowest selling price among the selling prices for the products for sale. Accordingly, the user interface may allow the online site selling the lowest price in the list of registered sites to be located at the top, and sequentially arrange and display the online sites corresponding to the next ranking. In this case, the terminal processor 130 may control to sort and display the online site of the lowest price among the online sites where the sale product is stored in the offline store closest to the user terminal 100 .

단말 프로세서(130)는 해당 등록 사이트 목록 중 사용자의 선택에 의한 온라인 사이트에 대응하는 상품 상세정보를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8은 사용자가 선택한 온라인 사이트에 대한 상품 상세정보의 출력창 인터페이스를 예시하는 참조도이다. The terminal processor 130 may control to display detailed produc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online site selected by the user from the list of corresponding registration sites. 8 is a reference diagram illustrating an interface of an output window of detailed product information for an online site selected by a user.

단말 프로세서(130)는 등록 사이트 목록에 대응하는 온라인 사이트 각각에 대해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온라인 상의 접속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이퍼 링크 설정을 제어할 수도 있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상품 상세정보의 출력창 인터페이스에서 온라인 사이트의 접속을 위한 하이퍼 링크가 설정된 상태를 예시하는 참조도이다. The terminal processor 130 may control hyperlink setting so that an online connection can be made by a user's selection for each of the online sites corresponding to the list of registered sites. FIG. 9 is a reference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hyperlink for accessing an online site is set in an interface of an output window of detailed product information shown in FIG. 8 .

단말 프로세서(130)는 표시된 등록 사이트 목록 중에서 사용자의 선택에 대응하는 온라인 사이트의 상품 판매 서버(300)에 접속한 후에, 상기 상품 판매 서버(300)와 데이터 교환을 통해 상기 매매 상품에 대한 온라인 매매절차를 수행하도록 제어한다. 사용자는 표시된 등록 사이트 목록 중에서 매매 상품에 대해 가장 저렴한 가격을 판매하는 온라인 사이트를 선택할 수 있다. 그 후, 온라인 매매절차는 사용자 단말기(100)가 상품 판매 서버(300)에 접속한 후에, 단말 프로세서(130)의 제어에 의해 해당 매매 상품에 대한 구매 요청 및 이에 따른 결제 처리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0은 온라인 사이트의 접속에 따라 온라인 매매 절차 중인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예시하는 참조도이다. After the terminal processor 130 accesses the product sales server 300 of an online site corresponding to the user's selection from the displayed list of registered sites, the terminal processor 130 performs online sales of the product through data exchange with the product sales server 300 . control to carry out the procedure. The user can select an online site that sells the lowest price for a sale item from the displayed list of registered sites. Thereafter, after the user terminal 100 accesses the product sales server 300 , the online trading procedure is performed by performing a purchase request and a payment processing operation for the corresponding trading product under the control of the terminal processor 130 . can 10 is a reference diagram illustrating a user interface during an online trading procedure according to an online site access.

단말 프로세서(130)는 온라인 매매절차 수행 후에, 상품판매 서버(300)로부터 상기 온라인 매매절차 수행에 따른 매매 체결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수신된 매매 체결정보를 상기 단말 메모리(120)에 저장하도록 제어한다. 이에 따라, 매매 체결정보는 단말 메모리(120)에 저장된다. 도 11은 온라인 매매절차의 수행에 따라, 상품판매 서버(300)로부터 제공되는 매매 체결정보를 예시하는 참조도이다. 매매 체결정보는 매매 상품에 대해 온라인 매매가 성사되었음은 의미하는 정보로서, 매매 체결에 따른 주문 및 결제정보, 매매 상품의 상품 명칭정보, 상품 수량정보, 상품 가격정보, 배송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The terminal processor 130 controls to store the received trading execution information in the terminal memory 120 when receiving the trading execu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online trading procedure execution from the product sales server 300 after the online trading procedure is performed. do. Accordingly, the trading execution information is stored in the terminal memory 120 . 11 is a reference diagram illustrating trading execution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product sales server 300 according to the execution of the online trading procedure. The transaction execution information is information indicating that an online transaction has been made for the product to be purchased, and may include order and payment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transaction conclusion, product name information of the product to be sold, product quantity information, product price information, delivery information, etc. .

그 후, 물류 서버(200)로부터 대상확인 요청신호를 수신하면, 단말 프로세서(130)는 수신된 대상확인 요청신호에 포함된 매장 식별정보를 추출한다. 대상확인 요청신호는 사용자 단말기(100)가 오프라인 매장에서 매매 상품의 직접 인계를 위한 대상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신호로서, 해당 오프라인 매장에서 사용자에게 해당 매매 상품을 직접 인계하기 위해 필요한 인증 요청신호이다. After that, when receiving the object confirmation request signal from the logistics server 200, the terminal processor 130 extracts the stor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received object confirmation request signal. The target confirmation request signal is a signal for confirming whether the user terminal 100 corresponds to a target for direct handover of the product for sale in the offline store, and an authentication request required to directly hand over the product to the user in the offline store it's a signal

그 후, 단말 프로세서(130)는 대상확인 요청신호에 포함된 매장 식별정보를 추출한 후에, 대상확인 요청신호에 대응하여 대상확인 응답신호를 생성한다. 여기서, 대상확인 응답신호는 추출된 매장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오프라인 매장에서 해당 매매 상품이 사용자에게 직접 인계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인증 신호로서, 사용자 단말기(100) 자신이 해당 오프라인 매장에서 매매 상품의 직접 인계를 위한 대상에 해당함을 증명하는 응답신호를 의미한다.Thereafter, the terminal processor 130 extracts the stor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object confirmation request signal, and then generates a destination confirmation response signal in response to the object confirmation request signal. Here, the target confirmation response signal is an authentication signal for allowing the corresponding sale product to be directly handed over to the user in the offline store corresponding to the extracted stor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he user terminal 100 himself/herself directly purchases the purchased product in the offline store. It means a response signal that proves that it is a target for handover.

단말 프로세서(130)는 생성된 대상확인 응답신호를 상품 판매 서버(300)로부터 수신한 매매 체결정보와 함께 물류 서버(200)로 전송하도록 단말 통신부(110)을 제어한다. 이에 따라, 단말 통신부(110)는 매매 체결정보가 포함된 대상확인 응답신호를 물류 서버(200)로 전송한다. The terminal processor 130 controls the terminal communication unit 110 to transmit the generated target confirmation response signal to the logistics server 200 together with the transaction execu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product sales server 300 . Accordingly, the terminal communication unit 110 transmits the target confirmation response signal including the transaction execution information to the logistics server 200 .

그 후, 물류 서버(200)가 대상확인 응답신호에 따라 사용자에 대한 직접 인계를 결정하고, 직접 인계 결정에 따라 직접인계 식별정보를 전송하면, 단말 프로세서(130)는 수신된 직접인계 식별정보를 단말 메모리(120)에 저장하도록 제어한다. 이에 따라 직접인계 식별정보가 단말 메모리(120)에 저장된다. 또한, 단말 프로세서(130)는 수신된 직접인계 식별정보를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직접인계 식별정보가 디스플레이 화면 상에 표시된다. 여기서, 직접인계 식별정보는 매매 상품에 대한 상품 명칭정보 및 상품 식별정보, 매매 상품을 사용자에게 직접 인계하기 위해 필요한 오프라인 매장의 매장 식별정보, 매장 위치정보 또는 매장 명칭정보 등을 포함한다. After that, when the logistics server 200 determines a direct handover to the user according to the target confirmation response signal and transmits the direct handov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direct handover decision, the terminal processor 130 receives the received direct handov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It is controlled to be stored in the terminal memory 120 . Accordingly, the direct takeov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stored in the terminal memory 120 . In addition, the terminal processor 130 controls to display the received direct takeov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through a user interface. Accordingly, the direct handov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displayed on the display screen through the user interface. Here, the direct handov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cludes product name information and product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a product for sale, stor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an offline store, store location information, or store name information necessary to directly hand over the purchased product to the user.

그 후,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100)에 표시된 직접인계 식별정보를 해당 오프라인 매장 내의 매장 직원에게 제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매장 직원은 오프라인 매장에 마련된 매장 단말기(400)를 이용해 사용자 단말기(100)에 표시된 직접인계 식별정보를 읽어들일 수 있다. 매장 단말기(400)는 읽어들인 직접인계 식별정보를 인식한 후에, 읽어들인 직접인계 식별정보에 대한 정보확인 요청신호를 물류 서버(200)로 전송한다. 정보확인 요청신호는 매매 상품에 대해 사용자에게 직접 인계해도 되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매장 단말기(400)가 물류 서버(200)로 전송하는 신호이다. 이때, 물류 서버(200)로 전송되는 정보확인 요청신호는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읽어들인 직접인계 식별정보를 포함한다.Thereafter, the user may present the direct handov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user terminal 100 to the store staff in the corresponding offline store. Accordingly, the store employee may read the direct handov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user terminal 100 using the store terminal 400 provided in the offline store. After recognizing the read direct handov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the store terminal 400 transmits an information confirmation request signal for the read direct handov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the logistics server 200 . The information confirmation request signal is a signal transmitted by the store terminal 400 to the logistics server 200 in order to check whether it is possible to directly hand over the product to the user. In this case, the information confirmation request signal transmitted to the logistics server 200 includes direct handov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ad from the user terminal 100 .

물류 서버(200)는 정보확인 요청신호에 포함된 직접인계 식별정보를 검증한 후에, 매매 상품에 대해 사용자게에게 직접 인도하라는 인계허용 메시지를 생성하여 매장 단말기(400)로 전송한다. 이에 따라, 매장 단말기(400)는 물류 서버(200)로부터 수신된 인계허용 메시지를 표시하며, 인계허용 메시지를 확인한 매장 직원의 안내에 따라 해당 매매 상품이 사용자에게 인계될 수 있다. After verifying the direct handov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information confirmation request signal, the logistics server 200 generates a handover permission message for direct delivery to the user for the traded product and transmits it to the store terminal 400 . Accordingly, the store terminal 400 may display the handover permission message received from the logistics server 200 , and the corresponding sale product may be handed over to the user according to the guidance of the store employee who has confirmed the handover permit message.

그 후, 매장 단말기(400)는 직접인계 완료정보를 사용자 단말기(100)와 물류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00)의 단말 프로세서(130)는 수신된 직접인계 완료정보를 저장하도록 하거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직접인계 완료정보를 디스플레이 화면상에 표시한다. Thereafter, the store terminal 400 may transmit the direct handover completion information to the user terminal 100 and the logistics server 200 . The terminal processor 130 of the user terminal 100 may control to store the received direct handover completion information or to display it through a user interface. Accordingly, the user interface displays the direct handover completion information on the display screen.

도 12는 도 1에 도시된 물류 서버(200)의 세부 구성요소를 설명하기 위한 일 실시예의 구성 블록도이다.12 is a block diagram of an embodiment for explaining detailed components of the logistics server 200 shown in FIG. 1 .

도 12를 참조하면, 물류 서버(200)는 물류 통신부(210), 데이터베이스(220) 및 물류 프로세서(23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2 , the logistics server 200 includes a logistics communication unit 210 , a database 220 , and a logistics processor 230 .

물류 통신부(210)는 사용자 단말기(100)와 통신망으로 연결되어 있다. 물류 통신부(210)는 유선 통신망 또는 무선 통신망을 통해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서비스 요청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유선 통신망으로 유선 인터넷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무선 통신망로서 WiFi와 같은 무선인터넷, WiBro 또는 WiMax와 같은 휴대인터넷, 2G 내지 5G 이동통신망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물류 통신부(210)는 유선 통신 프로토콜 또는 무선 통신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유선 통신모듈 및 무선 통신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The logistics communication unit 210 is connected to the user terminal 100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The logistics communication unit 210 may receive a service request signal from the user terminal 100 through a wired communication network or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Here, the wired communication network may include the wired Internet. In addition,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may include a wireless Internet such as WiFi, a portable Internet such as WiBro or WiMax, and a 2G to 5G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To this end, the logistics communication unit 210 may include a wired communication module and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supporting a wired communication protocol or a wireless communication protocol.

데이터베이스(220)는 물류 서버(200) 상에 등록된 온라인 사이트들에 대한 사이트 관련정보를 저장하고 있다. 사이트 관련정보는 해당 온라인 사이트에서 판매하는 다양한 상품들에 대한 상품 세부정보를 포함한다. 상품 세부정보는 상품 명칭정보, 상품 가격정보, 상품 제조일자정보, 상품 수량정보 등을 포함한다. The database 220 stores site-related information for online sites registered on the logistics server 200 . The site-related information includes product details for various products sold on the corresponding online site. The detailed product information includes product name information, product price information, product manufacturing date information, product quantity information, and the like.

또한, 데이터베이스(220)는 사용자 단말기(100)와 연동하여 매매 상품에 대한 사용자의 구매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제공, 매매 상품에 대한 온라인 구매절차 또는 오프라인 매장에서의 직접 인계절차를 수행하는 물류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하고 있다. 이러한 물류 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 단말기(100)의 요청에 의해 사용자 단말기(100)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데이터베이스(220)는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전송된 구매문의정보를 저장하고 있다.In addition, the database 220 interworks with the user terminal 100 to provide a user interface for a user's purchase of a product for sale, an online purchase procedure for a product for sale or a logistics application that performs a direct handover procedure in an offline store. are saving Such a logistics application may be provided to the user terminal 100 at the request of the user terminal 100 . Also, the database 220 stores purchase inquiry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user terminal 100 .

또한, 데이터베이스(220)는 매매 상품을 판매하는 온라인 사이트들 중에서 오프라인 매장에 매매 상품을 입고시킨 온라인 사업자들 각각의 온라인 사이트들에 대한 등록 사이트 정보를 저장하고 있다. 등록 사이트 정보는 오프라인 매장의 매장 등록정보와 이에 매칭된 정보로서 온라인 매매 상품정보, 사이트 명칭정보, 사이트 주소정보, 온라인 사업자 등록정보 등을 포함한다.In addition, the database 220 stores registration site information for each of the online sites of the online business operators who put the product for sale in the offline store among the online sites that sell the product for sale. The registration site information includes store registration information of an offline store and information matched thereto, and includes online sales product information, site name information, site address information, online business registration information, and the like.

또한, 데이터베이스(220)는 물류 프로세서(230)에 의해 생성되어 사용자 단말기(100)로 전송되는 직접인계 식별정보를 저장한다. 또한, 데이터베이스(220)는 매장 단말기(400)로부터 전송된 직접인계 완료정보를 저장하며, 물류 프로세서(230)에 의해 산출되는 정산 처리 정보를 저장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database 220 stores direct handov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logistics processor 230 and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100 . In addition, the database 220 stores the direct handover completion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store terminal 400 , and may also store the settlement processing information calculated by the logistics processor 230 .

물류 프로세서(230)는 물류 서비스를 위한 물류 어플리케이션을 외부 단말기로의 전송하도록 제어하고, 물류 어플리케이션의 구동에 대응하여 온라인 매매절차 및 오프라인 매장에서 매매 상품을 사용자에게 직접 인계하기 위한 절차를 제어한다. 이를 위해, 물류 프로세서(23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수신한 제어 명령에 기초하여 데이터베이스(220)로부터 물류 서비스와 관련된 데이터를 인출하고, 인출한 데이터에 대한 연산을 수행하고, 수행된 연산 결과에 기초하여 물류 서비스를 위한 프로세스를 수행할 수 있다. 물류 서비스로서 수행되는 프로세스는 다음과 같다.The logistics processor 230 controls to transmit a logistics application for a logistics service to an external terminal, and controls an online trading procedure and a procedure for directly transferring a product for sale in an offline store to a user in response to the driving of the logistics application. To this end, the logistics processor 230 fetches data related to the logistics service from the database 220 based on the control command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100 , performs an operation on the fetched data, and performs the operation result It is possible to perform a process for logistics service based on The process carried out as a logistics service is as follows.

물류 프로세서(230)는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매매 상품에 대한 온라인 매매 및 오프라인 매장에서의 직접 인계를 위한 구매문의정보를 수신하면, 수신된 구매문의정보로부터 상품 명칭정보 또는 상품 식별정보를 추출함으로써, 사용자가 구매 요청하는 매매 상품을 인식한다. 또한, 물류 프로세서(230)는 구매문의정보로부터 상품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매매 상품을 직접 인계하기 위한 오프라인 매장에 대한 매장 식별정보, 매장 위치정보 또는 매장 명칭정보 등을 인식할 수 있다. 또한, 물류 프로세서(230)는 구매문의정보로부터 사용자 단말기(100)의 위치정보를 인식할 수도 있다. When the logistics processor 230 receives purchase inquiry information for online sale and direct handover at the offline store for the purchased product from the user terminal 100, by extracting product name information or product identification information from the received purchase inquiry information , it recognizes the trading product requested by the user In addition, the logistics processor 230 may recognize store identification information, store location information, or store name information for an offline store for directly transferring a sale product corresponding to the product identification information from the purchase inquiry information. In addition, the logistics processor 230 may recognize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100 from the purchase inquiry information.

그 후, 물류 프로세서(230)는 인식된 상품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매매 상품을 판매하는 온라인 사이트들 중에서 오프라인 매장 내에 해당 매매 상품을 입고시킨 온라인 사업자들 각각의 온라인 사이트들에 대한 등록 사이트 목록을 생성한다. 이를 위해, 물류 프로세서(230)는 데이터베이스(220)에 저장된 온라인 사이트들에 대한 등록 사이트 정보에 접근하여, 등록 사이트 정보 중에서 해당 매매 상품 및 해당 오프라인 매장에 대응하는 등록 사이트들을 추출할 수 있다. Thereafter, the logistics processor 230 generates a list of registration sites for each of the online sites of the online business operators who have stocked the sale product in the offline store among the online sites that sell the sale product corresponding to the recognized product identification information. do. To this end, the logistics processor 230 may access registration site information for online sites stored in the database 220 and extract registration sites corresponding to the corresponding sale product and the corresponding offline store from the registration site information.

예를 들어, 물류 프로세서(230)는 해당 매매 상품이 입고된 모든 오프라인 매장들에 대한 온라인 사업자들의 등록 사이트 모두를 추출함으로써, 등록 사이트 목록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물류 프로세서(230)는 해당 매매 상품이 입고된 모든 오프라인 매장들 중에서 구매문의정보에 포함된 매장 식별정보와 대응하는 오프라인 매장에 매매 상품을 입고시킨 등록 사이트 목록을 생성할 수도 있다. 또한, 물류 프로세서(230)는 해당 매매 상품이 입고된 모든 오프라인 매장들 중에서 구매문의정보에 포함된 사용자 단말기(100)의 위치정보와 가장 인접한 최근접 오프라인 매장의 등록 사이트 목록을 생성할 수도 있다. 그 후, 물류 프로세서(230)는 생성된 등록 사이트 목록을 사용자 단말기(100)로 전송하도록 물류 통신부(210)를 제어한다. 이에 따라, 물류 통신부(210)는 등록 사이트 목록을 사용자 단말기(100)로 전송한다.For example, the logistics processor 230 may generate a list of registration sites by extracting all registration sites of online business operators for all offline stores in which the corresponding sale product is received. In addition, the logistics processor 230 may generate a list of registration sites in which the sale product is stocked in the offline store corresponding to the stor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purchase inquiry information among all the offline stores in which the corresponding sale product is received. In addition, the logistics processor 230 may generate a list of registration sites of the nearest offline stores closest to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100 included in the purchase inquiry information among all the offline stores in which the corresponding sale product is received. Thereafter, the logistics processor 230 controls the logistics communication unit 210 to transmit the generated registration site list to the user terminal 100 . Accordingly, the logistics communication unit 210 transmits the registration site list to the user terminal (100).

그 후, 사용자 단말기(100)와 데이터 교환을 통해 상기 매매 상품에 대한 온라인 매매절차를 수행한 상품 판매 서버(300)로부터 상품 판매에 따른 매매 완료정보를 물류 통신부(210)을 통해 수신하면, 물류 프로세서(230)는 수신된 매매 완료정보에 따라 매매 상품의 직접인계를 위한 직접인계 식별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직접인계 식별정보를 사용자 단말기(100)로 전송하도록 제어한다. After that, when the transaction comple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product sales is received through the logistics communication unit 210 from the product sales server 300 that has performed the online trading procedure for the trading product through data exchange with the user terminal 100 , the logistics The processor 230 generates direct handov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direct handover of the traded product according to the received sale completion information, and controls to transmit the generated direct handov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the user terminal 100 .

매매 완료정보는 매매 상품에 대해 매매 체결절차를 수행한 사용자 단말기(100)에 대한 단말기 등록정보와 매매 상품의 직접 인계를 위한 오프라인 매장에 대한 매장 식별정보, 매장 명칭정보 또는 매장 위치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The transaction completion information includes terminal registration information for the user terminal 100 that has performed the transaction execution procedure for the purchased product, and store identification information, store name information, or store location information for an offline store for direct handover of the purchased product. can do.

물류 프로세서(230)는 상품판매 서버(300)로부터 매매 완료정보를 수신하면, 수신된 매매 완료정보로부터 사용자 단말기(100)에 대한 단말기 등록정보 및 오프라인 매장에 대한 매장 식별정보를 추출한다. 물류 프로세서(230)는 단말기 등록정보로서 사용자 단말기(100)의 기기 식별정보, 단말기 전화번호정보, 사용자 인적사항정보 등을 추출할 수 있다.When receiving the sale completion information from the product sales server 300 , the logistics processor 230 extracts terminal registration information for the user terminal 100 and store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an offline store from the received sale completion information. The logistics processor 230 may extract device identification information, terminal phone number information, and user personal inform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100 as terminal registration information.

물류 프로세서(230)는 추출된 매장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오프라인 매장에서 사용자에게 해당 매매 상품을 직접 인계하기 위해 필요한 대상확인 요청신호를 생성한다. 즉, 물류 프로세서(230)는 사용자 단말기(100)가 상기 추출된 매장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오프라인 매장에서 상기 매매 상품의 직접 인계를 위한 대상인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대상확인 요청신호를 생성한다. 그 후, 물류 프로세서(230)는생성된 대상확인 요청신호를 추출된 단말기 등록정보에 대응하는 사용자 단말기(100)로 전송하도록 물류 통신부(210)를 제어한다. 이에 따라, 물류 통신부(210)는 대상확인 요청신호를 사용자 단말기(100)로 전송한다.The logistics processor 230 generates a target confirmation request signal necessary to directly hand over the sale product to the user in the offline store corresponding to the extracted store identification information. That is, the logistics processor 230 generates a target confirmation request signal for confirming whether the user terminal 100 is a target for direct handover of the sale product in an offline store corresponding to the extracted store identification information. Thereafter, the logistics processor 230 controls the logistics communication unit 210 to transmit the generated target confirmation request signal to the user terminal 100 corresponding to the extracted terminal registration information. Accordingly, the logistics communication unit 210 transmits a target confirmation request signal to the user terminal (100).

그 후, 물류 통신부(210)는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대상확인 요청신호에 대응하는 대상확인 응답신호를 수신한다. 이때, 대상확인 응답신호는 온라인 매매절차 수행에 따라 상품 판매 서버(300)에서 사용자 단말기(100)로 전송된 매매 체결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After that, the logistics communication unit 210 receives a target confirmation response signal corresponding to the target confirmation request signal from the user terminal (100). In this case, the target confirmation response signal includes transaction execution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product sales server 300 to the user terminal 100 according to the online trading procedure.

물류 프로세서(230)는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전송된 대상확인 응답신호로부터 매매 체결정보를 추출한다. 그 후, 물류 프로세서(230)는 추출된 매매 체결정보와 상품판매 서버(300)로부터 전송된 매매 완료정보를 비교하여 해당 매매 상품을 사용자에게 직접 인계할 것인지 여부를 결정한다. 물류 프로세서(230)는 매매 체결정보와 매매 완료정보가 일치한다고 판단되면, 매매 상품이 사용자에게 직접 인계되도록 하기 위한 직접인계 허용결정을 하고, 매매 체결정보와 매매 완료정보가 일치하지 않는다고 판단되면, 매매 상품이 사용자에게 직접 인계되지 않도록 하는 직접인계 불가결정을 한다.Logistics processor 230 extracts the transaction execution information from the target confirmation respons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user terminal (100). Thereafter, the logistics processor 230 compares the extracted transaction execution information with the transaction completion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product sales server 300 to determine whether to directly hand over the sale product to the user.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transaction execution information and the transaction completion information match, the logistics processor 230 makes a decision to allow direct handover so that the sale product is directly transferred to the user, an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transaction execution information and the transaction completion information do not match, Decision not to hand over directly to the user so that the traded product is not passed over directly to the user.

물류 프로세서(230)는 매매 상품에 대한 직접인계 허용결정을 하게 되면, 매매 상품의 직접 인계를 위한 직접인계 식별정보를 생성한다. 직접인계 식별정보는 해당 매매 상품의 직접 인계를 위해 할당되는 고유한 정보로서 랜덤하게 생성되는 일회용 식별정보일 수 있다. 또한, 직접인계 식별정보는 매매 상품의 직접 인계를 위한 오프라인 매장에 대한 매장 식별정보, 매장 위치정보 또는 매장 명칭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직접인계 식별정보는 바코드, QR 코드 등으로 코드화 된 것일 수 있다. 물류 프로세서(230)는 직접인계 식별정보를 사용자 단말기(100)로 전송하도록 물류 통신부(210)를 제어한다. 이에 따라, 물류 통신부(210)는 직접인계 식별정보를 사용자 단말기(100)로 전송한다. The logistics processor 230 generates direct handov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the direct handover of the traded product when the decision to allow the direct handover for the traded product is made. The direct handov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may be one-time identification information randomly generated as unique information allocated for direct handover of the corresponding trading product. In addition, the direct handov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may include store identification information, store location information, or store name information for an offline store for direct handover of a sale product. Such direct handov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may be coded with a barcode, a QR code, or the like. The logistics processor 230 controls the logistics communication unit 210 to transmit the direct handov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the user terminal 100 . Accordingly, the logistics communication unit 210 transmits the direct handov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the user terminal 100 .

이에 따라, 사용자 단말기(100)로 전송된 직접인계 식별정보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디스플레이 화면상에 표시되며, 사용자는 직접인계 식별정보가 표시된 사용자 단말기(100)를 오프라인 매장 내의 매장 직원에게 제시할 수 있다. 매장 직원의 조작에 의해, 매장 단말기(400)는 디스플레이 화면 상에 표시된 직접인계 식별정보를 읽어들일 수 있다. 매장 단말기(400)는 읽어들인 직접인계 식별정보를 인식한 후에, 인식된 직접인계 식별정보에 대한 정보확인 요청신호를 직접인계 식별정보와 함께 물류 서버(200)로 전송한다. Accordingly, the direct handov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100 is displayed on the display screen through the user interface, and the user can present the user terminal 100 on which the direct handov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displayed to the store staff in the offline store. have. By the operation of the store employee, the store terminal 400 may read the direct handov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display screen. After recognizing the read direct handov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the store terminal 400 transmits an information confirmation request signal for the recognized direct handov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gether with the direct handov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the logistics server 200 .

매장 단말기(400)로부터 정보확인 요청신호를 수신하면, 물류 프로세서(230)는 정보확인 요청신호에 포함된 직접인계 식별정보를 추출한다. 그 후, 물류 프로세서(230)는 정보확인 요청신호로부터 추출된 직접인계 식별정보와 자신이 사용자 단말기(100)로 전송했던 직접인계 식별정보를 비교하여 일치하는가를 판단한다.Upon receiving the information confirmation request signal from the store terminal 400, the logistics processor 230 extracts the direct handov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information confirmation request signal. Thereafter, the logistics processor 230 compares the direct handov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extracted from the information confirmation request signal with the direct handov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it has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100 and determines whether they match.

만일, 정보확인 요청신호로부터 추출된 직접인계 식별정보가 사용자 단말기(100)로 전송했던 직접인계 식별정보와 일치하지 않는다면, 물류 프로세서(230)는 직접 인계가 허용되지 않는다는 인계불가 메시지를 생성하고, 생성된 인계불가 메시지를 물류 통신부(210)를 통해 매장 단말기(400)로 전송한다. If the direct handov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extracted from the information confirmation request signal does not match the direct handov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100, the logistics processor 230 generates a handover impossible message indicating that direct handover is not permitted, The generated non-transferable message is transmitted to the store terminal 400 through the logistics communication unit 210 .

한편, 정보확인 요청신호로부터 추출된 직접인계 식별정보가 사용자 단말기(100)로 전송했던 직접인계 식별정보와 일치한다면, 물류 프로세서(230)는 매매 상품에 대해 사용자게에게 직접 인계하라는 인계허용 메시지를 생성하고, 생성된 인계허용 메시지를 매장 단말기(400)로 전송하도록 물류 통신부(210)를 제어한다. 이에 따라, 물류 통신부(210)는 인계허용 메시지를 매장 단말기(400)로 전송한다. On the other hand, if the direct handov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extracted from the information confirmation request signal matches the direct handov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100, the logistics processor 230 sends a handover permission message to hand over directly to the user for the traded product. and controls the logistics communication unit 210 to transmit the generated handover permission message to the store terminal 400 . Accordingly, the logistics communication unit 210 transmits a handover permission message to the store terminal 400 .

이에 따라, 매장 단말기(400)는 물류 서버(200)로부터 수신된 인계허용 메시지를 표시하며, 인계허용 메시지를 확인한 매장 직원의 안내에 따라 해당 매매 상품이 사용자에게 인계될 수 있다. 그 후, 매장 단말기(400)는 직접인계 완료신호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기(100)와 물류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물류 서버(200)의 물류 프로세서(230)는 수신된 직접인계 완료신호를 데이터베이스(220)에 저장하도록 제어한다. Accordingly, the store terminal 400 may display the handover permission message received from the logistics server 200 , and the corresponding sale product may be handed over to the user according to the guidance of the store employee who has confirmed the handover permit message. Thereafter, the store terminal 400 may generate a direct handover completion signal and transmit it to the user terminal 100 and the logistics server 200 . Accordingly, the logistics processor 230 of the logistics server 200 controls to store the received direct handover completion signal in the database 220 .

또한, 물류 프로세서(230)는 오프라인 매장을 통해 사용자에게 직접 인계된 매매 상품들에 대한 정산 처리정보를 산출하고, 산출된 정산 처리정보를 사용자 단말기(100)로 전송하도록 물류 통신부(210)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물류 통신부(210)는 정산 처리정보를 사용자 단말기(100)로 전송한다.In addition, the logistics processor 230 controls the logistics communication unit 210 to calculate the settlement processing information for the products for sale directly handed over to the user through the offline store, and transmit the calculated settlement processing information to the user terminal 100 . can do. Accordingly, the logistics communication unit 210 transmits the settlement processing information to the user terminal 100 .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상품에 대한 물류 서비스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일 실시예의 흐름도이다.13 is a flowchart of an embodiment for explaining a logistics service method for an online produ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사용자 단말기는 사용자로부터 매매 상품에 대한 상품 관련정보를 입력받아서, 상기 상품 관련정보로부터 상기 매매 상품에 대한 온라인 매매 및 상기 오프라인 매장에서의 직접 인계를 위한 구매문의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구매문의정보를 상기 물류 서버로 전송한다(S1000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모바일 단말기, 키오스크(kiosk) 단말기 및 정보 리더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상기 구매문의정보는 상기 매매 상품에 대한 상품 명칭정보 및 상품 식별정보, 오프라인 매장에 대한 매장 식별정보, 매장 명칭정보 및 매장 위치정보와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위치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user terminal receives product-related information on a product for sale from a user, and generates purchase inquiry information for online sales and direct handover at the offline store for the purchased product from the product-related information, and the generated purchase inquiry The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logistics server (step S1000). The user terminal may be at least one of a mobile terminal, a kiosk terminal, and an information reader. The purchase inquiry information may include product name information and product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the sale product, store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an offline store, store name information and store location information, and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S1000 단계 후에, 물류 서버가 구매문의정보에 대응하는 매매 상품을 판매하는 온라인 사이트들 중에서 오프라인 매장 내에 상기 매매 상품을 입고시킨 온라인 사이트들에 대한 등록 사이트 목록을 생성 및 전송하면,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물류 서버로부터 전송된 상기 등록 사이트 목록을 수신 및 표시한다(S1002 단계).After step S1000, when the logistics server creates and transmits a list of registration sites for online sites that stock the sale items in the offline store among online sites that sell items for sale corresponding to the purchase inquiry information, the user terminal performs the distribution The list of registered sites transmitted from the server is received and displayed (step S1002).

사용자 단말기는 수신된 등록 사이트 목록 중에서 오프라인 매장에 대응하는 등록 사이트 목록으로 정렬하여 표시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기는 수신된 등록 사이트 목록 중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 매장 식별정보, 매장 명칭정보, 또는 매장 위치정보 등에 대응하는 오프라인 매장을 인식하고, 인식된 오프라인 매장에 매매 상품이 입고된 등록 사이트 목록을 추출 및 표시한다. The user terminal sorts and displays the list of registered sites corresponding to the offline stores among the received list of registered sites. For example, the user terminal recognizes an offline store corresponding to store identification information, store name information, or store location information input through the user interface from the list of received registration sites, Extracts and displays a list of registered sites.

또한, 사용자 단말기는 자신의 위치정보와 가장 근접한 최근접 오프라인 매장을 추출하고, 물류 서버로부터 수신된 등록사이트 목록 중에서 최근접 오프라인 매장에 매매 상품이 입고된 등록 사이트 목록을 추출할 수 있다. 그 후, 사용자 단말기는 최근접 오프라인 매장에 매매 상품을 입고시킨 등록 사이트 목록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기는 등록 사이트 목록을 일정 정렬 기준에 따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기는 매매 상품의 판매가격, 사은품 지급여부, 상품 수량 등을 기준으로 등록 사이트 목록을 정렬하여 표시할 수 있다. 특히, 사용자 단말기는 매매 상품에 대한 판매가격 중 최저가 판매가격의 온라인 사이트 순으로 등록 사이트 목록을 정렬하여 표시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user terminal may extract the nearest offline store closest to the user's location information, and extract a list of registered sites in which a product for sale in the nearest offline store is received from the list of registered sites received from the logistics server. Thereafter, the user terminal may display a list of registered sites that stock the products for sale in the nearest offline store. In addition, the user terminal may display a list of registered sites according to a certain sorting criterion. For example, the user terminal may sort and display the list of registration sites based on the selling price of the product for sale, whether a gift is paid, the quantity of product, and the like. In particular, the user terminal may sort and display the list of registered sites in the order of the online sites of the lowest selling price among the selling prices of the products for sale.

S1002 단계 후에,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표시된 등록 사이트 목록 중에서 상기 사용자의 선택에 대응하는 온라인 사이트의 상품 판매 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상품 판매 서버와 데이터 교환을 통해 상기 매매 상품에 대한 온라인 매매절차를 수행한다(S1004 단계). 예를 들어, 사용자는 표시된 등록 사이트 목록 중에서 매매 상품에 대해 최저가 가격으로 판매하는 온라인 사이트를 선택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 단말기는 최저가 가격으로 판매하는 온라인 사이트에 대한 상품 판매 서버와 접속한 후에, 해당 매매 상품에 대한 구매 요청 및 이에 따른 결제 처리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After step S1002, the user terminal accesses a product sales server of an online site corresponding to the user's selection from the displayed list of registration sites, and performs an online trading procedure for the product for sale through data exchange with the product sales server. (Step S1004). For example, the user may select an online site that sells a product for sale at the lowest price from the displayed list of registered sites, and accordingly, the user terminal connects to the product sales server for the online site that sells the lowest price, It is possible to perform a purchase request for the corresponding trading product and a payment processing operation according thereto.

S1004 단계 후에,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물류 서버로부터 상기 직접인계 식별정보를 수신하면, 수신된 직접인계 식별정보를 표시한다(S1006 단계). 직접인계 식별정보는 매매 상품에 대한 상품 명칭정보 및 상품 식별정보, 상기 매매 상품의 직접 인계를 위한 상기 오프라인 매장에 대한 매장 식별정보, 매장 위치정보 또는 매장 명칭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After step S1004, when the user terminal receives the direct handov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from the logistics server, the received direct handov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displayed (step S1006). The direct handov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may include product name information and product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the sale product, store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the offline store for direct handover of the sale product, store location information or store name information, and the like.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직접 인계 식별정보를 표시하는 단계(S1006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일 실시예의 흐름도이다.14 is a flowchart of an embodiment for explaining the step of displaying the direct takeov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shown in FIG. 13 (step S1006).

먼저, 사용자 단말기는 물류 서버로부터 온라인 매매절차 수행에 따른 매매 체결정보를 수신하면, 수신된 매매 체결정보를 저장한다(S1100 단계). 매매 체결정보는 매매 상품에 대해 온라인 매매가 성사되었음은 의미하는 정보로서, 매매 상품의 상품 명칭정보, 상품 수량정보, 상품 가격정보, 배송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First, when the user terminal receives the transaction execu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execution of the online transaction procedure from the logistics server, the user terminal stores the received transaction execution information (step S1100). The transaction execution information is information indicating that an online sale has been made for the product to be purchased, and may include product name information, product quantity information, product price information, delivery information, and the like of the product to be purchased.

S1100 단계 후에, 사용자 단말기는 자신이 오프라인 매장에서 상기 매매 상품의 직접 인계를 위한 대상인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대상확인 요청신호를 상기 물류 서버로부터 수신하면, 수신된 대상확인 요청신호에 포함된 매장 식별정보를 추출한다(S1102 단계).After step S1100, when the user terminal receives a target confirmation request signal from the logistics server to confirm whether it is a target for direct handover of the sale product in an offline store, store identification included in the received target confirmation request signal The information is extracted (step S1102).

S1102 단계 후에,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자신이 상기 추출된 매장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오프라인 매장에서 상기 매매 상품의 직접 인계를 위한 대상임을 증명하기 위한 대상확인 응답신호를 생성한다(S1104 단계). 여기서, 대상확인 응답신호는 추출된 매장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오프라인 매장에서 해당 매매 상품이 사용자에게 직접 인계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인증 신호이다.After step S1102, the user terminal generates a target confirmation response signal for proving that it is a target for direct handover of the sale product in an offline store corresponding to the extracted store identification information (step S1104). Here, the target confirmation response signal is an authentication signal for enabling a corresponding sale product to be directly handed over to a user in an offline store corresponding to the extracted store identification information.

S1104 단계 후에,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생성된 대상확인 응답신호를 이전에 저장된 매매 체결정보와 함께 상기 물류 서버로 전송한다(S1106 단계).After step S1104, the user terminal transmits the generated target confirmation response signal to the logistics server together with previously stored transaction execution information (step S1106).

S1106 단계 후에,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대상확인 응답신호에 따라 직접 인계가 결정되어 물류 서버로부터 직접인계 식별정보를 수신하면, 수신된 직접인계 식별정보를 저장 및 표시한다(S1108 단계).After step S1106, when the direct handover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target confirmation response signal and the direct handov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the logistics server, the user terminal stores and displays the received direct handov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step S1108).

한편, S1006 단계 후에, 사용자 단말기에 표시된 직접인계 식별정보가 상기 오프라인 매장 내에 마련된 매장 단말기를 통해 인식되어 상기 매매 상품이 상기 사용자에게 직접 인도된 경우에, 사용자 단말기는 매장 단말기로부터 직접인계 완료정보를 수신한다(S1008 단계). 사용자 단말기는 수신된 직접인계 완료정보를 저장하는 한편, 디스플레이 화면 상에 표시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after step S1006, when the direct handov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user terminal is recognized through the store terminal provided in the offline store and the sale product is delivered directly to the user, the user terminal receives the transfer completion information directly from the store terminal Receive (step S1008). The user terminal may store the received direct handover completion information and display it on the display screen.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상품에 대한 물류 서비스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다른 실시예의 흐름도이다.15 is a flowchart of another embodiment for explaining a logistics service method for an online produ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물류 서버는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사용자의 매매 상품에 대한 구매문의정보를 수신하면, 수신된 구매문의정보로부터 매매 상품을 인식한다(S1200 단계). 물류 서버는 수신된 구매문의정보로부터 상품 명칭정보 또는 상품 식별정보를 추출함으로써, 사용자가 구매 요청하는 매매 상품을 인식한다. 또한, 물류 서버는 구매문의정보로부터 상품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매매 상품을 직접 인계하기 위한 오프라인 매장에 대한 매장 식별정보, 매장 식별정보 또는 매장 주소정보 등을 인식할 수 있다. 또한, 물류 서버는 구매문의정보로부터 사용자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인식할 수도 있다. When the logistics server receives purchase inquiry information for the user's purchase product from the user terminal, the logistics server recognizes the purchase inquiry information from the received purchase inquiry information (step S1200). The logistics server recognizes the product for sale requested by the user by extracting product name information or product identification information from the received purchase inquiry information. In addition, the logistics server may recognize store identification information, stor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r store address information for an offline store for directly transferring a sale product corresponding to the product identification information from the purchase inquiry information. In addition, the logistics server may recognize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from the purchase inquiry information.

S1200 단계 후에, 상기 물류 서버는 상기 인식된 매매 상품을 판매하는 온라인 사이트들 중에서 상기 오프라인 매장 내에 상기 매매 상품을 입고시킨 온라인 사업자들 각각의 온라인 사이트들에 대한 등록 사이트 목록을 생성 및 전송한다(S1202 단계). 물류 서버는 해당 매매 상품이 입고된 모든 오프라인 매장들에 대한 온라인 사업자들의 등록 사이트 각각을 추출함으로써, 등록 사이트 목록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물류 서버는 해당 매매 상품이 입고된 모든 오프라인 매장들 중에서 구매문의정보에 포함된 매장 식별정보와 대응하는 오프라인 매장의 등록 사이트 목록을 생성할 수도 있다. 또한, 물류 서버는 해당 매매 상품이 입고된 모든 오프라인 매장들 중에서 구매문의정보에 포함된 사용자 단말기의 위치정보와 가장 인접한 최근접 오프라인 매장의 등록 사이트 목록을 생성할 수도 있다. 물류 서버는 생성된 등록 사이트 목록을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한다.After step S1200, the logistics server generates and transmits a list of registration sites for each of the online sites of the online business operators who have stocked the sale product in the offline store among the online sites that sell the recognized product for sale (S1202) (S1202) step). The logistics server may generate a list of registration sites by extracting each registration site of online business operators for all offline stores in which the corresponding sale product is received. In addition, the logistics server may generate a list of registration sites of offline stores corresponding to the stor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purchase inquiry information among all the offline stores in which the corresponding sale product is received. In addition, the logistics server may generate a list of registration sites of the nearest offline store to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included in the purchase inquiry information among all the offline stores in which the corresponding sale product is stocked. The logistics server transmits the generated registration site list to the user terminal.

S1202 단계 후에, 상기 물류 서버는 상기 등록 사이트 목록 중에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매매 상품에 대한 온라인 매매절차를 수행한 온라인 사이트의 상품판매 서버로부터 상기 매매 상품의 매매에 따른 매매 완료정보를 수신하면, 수신된 매매 완료정보에 근거하여 오프라인 매장에 대한 상기 직접인계 식별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한다(S1204 단계). 상기 매매 완료정보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대한 단말기 등록정보와 상기 매매 상품의 직접 인계를 위한 상기 오프라인 매장에 대한 매장 식별정보, 매장 위치정보 및 매장 명칭정보 등을 포함한다.After step S1202, when the logistics server receives the sale comple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sale of the sale product from the product sale server of the online site that has performed the online sale procedure for the sale product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from the list of registration sites, Based on the received transaction completion information, the direct handov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the offline store is generated and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step S1204). The sale completion information includes terminal registration information for the user terminal and store identification information, store location information, and store name information for the offline store for direct handover of the sale product.

도 16은 도 15에 도시된 직접 인계 식별정보를 생성 및 전송하는 단계(S1204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다른 실시예의 흐름도이다.16 is a flowchart of another embodiment for explaining the step of generating and transmitting the direct takeov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shown in FIG. 15 (step S1204).

물류 서버는 상품판매 서버로부터 상기 매매 완료정보를 수신하면, 수신된 매매 완료정보로부터 사용자 단말기에 대한 단말기 등록정보 및 오프라인 매장에 대한 매장 식별정보를 추출한다(S1300 단계). 물류 서버는 단말기 등록정보로서 사용자 단말기의 기기 식별정보, 단말기 전화번호정보, 사용자 인적사항정보 등을 추출할 수 있다.Upon receiving the sale completion information from the product sales server, the logistics server extracts terminal registration information for the user terminal and store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an offline store from the received sale completion information (step S1300). The logistics server may extract devic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terminal phone number information, user personal information information, and the like as terminal registration information.

S1300 단계 후에, 상기 물류 서버는 추출된 매장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오프라인 매장에서 사용자에게 해당 매매 상품을 직접 인계하기 위해 필요한 대상확인 요청신호를 생성한다(S1302 단계).After step S1300, the logistics server generates a target confirmation request signal necessary to directly hand over the sale product to the user in the offline store corresponding to the extracted store identification information (step S1302).

S1302 단계 후에, 상기 물류 서버는 상기 생성된 대상확인 요청신호를 상기 추출된 단말기 등록정보에 대응하는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한다(S1304 단계).After step S1302, the logistics server transmits the generated target confirmation request signal to the user terminal corresponding to the extracted terminal registration information (step S1304).

S1304 단계 후에, 물류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온라인 매매절차 수행에 따른 매매 체결정보가 포함된 대상확인 응답신호를 수신하면, 사용자에게 상기 매매 상품을 직접 인계할 것인지 여부를 결정한다(S1306 단계). 물류 서버는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대상확인 응답신호로부터 매매 체결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매매 체결정보와 상품판매 서버로부터 전송된 매매 완료정보를 비교하여 해당 매매 상품을 사용자에게 직접 인계할 것인지 여부를 결정한다. 물류 서버는 매매 체결정보와 매매 완료정보가 일치한다고 판단되면, 매매 상품이 사용자에게 직접 인계되도록 하기 위한 직접인계 허용결정을 하고, 매매 체결정보와 매매 완료정보가 일치하지 않는다고 판단되면, 매매 상품이 사용자에게 직접 인계되지 않도록 하는 직접인계 불가결정을 한다.After step S1304, when the logistic server receives a target confirmation response signal including trading execu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online trading procedure from the user terminal, it determines whether to directly hand over the trading product to the user (step S1306). The logistics server extracts transaction execution information from the target confirmation respons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user terminal, and compares the extracted transaction execution information with the transaction completion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product sales server to determine whether or not to hand over the sale product directly to the user. decide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transaction execution information and the transaction completion information match, the logistics server makes a decision to allow the direct handover so that the purchased product is directly handed over to the user. A decision not to take over directly is made so that it is not taken over directly to the user.

S1306 단계 후에, 상기 물류 서버는 상기 매매 상품에 대한 직접 인계 결정에 대응하여 상기 직접인계 식별정보를 생성 및 전송한다(S1308 단계). 직접인계 식별정보는 해당 매매 상품의 직접 인계를 위해 할당되는 고유한 정보로서 랜덤하게 생성되는 일회용 식별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직접인계 식별정보는 바코드, QR 코드 등일 수 있다. 상기 물류 서버는 상기 생성된 직접인계 식별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한다. 물류 서버는 매매 상품의 직접 인계를 위한 오프라인 매장에 대한 매장 식별정보, 매장 위치정보 또는 매장 명칭정보 등을 직접인계 식별정보로서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After step S1306, the logistics server generates and transmits the direct handov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 response to the direct handover decision for the sale product (step S1308). The direct handov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may be one-time identification information randomly generated as unique information allocated for direct handover of the corresponding trading product. For example, the direct handov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may be a barcode, a QR code, or the like. The logistics server transmits the generated direct handov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the user terminal. The logistics server may transmit store identification information, store location information, or store name information, etc. for an offline store for direct handover of the sale product to the user terminal as direct handov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이에 따라,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된 직접인계 식별정보는 디스플레이 화면상에 표시되며, 사용자는 직접인계 식별정보가 표시된 사용자 단말기를 오프라인 매장 내의 매장 직원에게 제시할 수 있다. 매장 단말기는 사용자 단말기 상에 표시된 직접인계 식별정보를 읽어들여서 인식한 후에, 인식된 직접인계 식별정보에 대한 정보확인 요청신호를 직접인계 식별정보와 함께 물류 서버로 전송한다. Accordingly, the direct handov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is displayed on the display screen, and the user may present the user terminal on which the direct handov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displayed to the store staff in the offline store. The store terminal reads and recognizes the direct handov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user terminal, and then transmits an information confirmation request signal for the recognized direct handov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the logistics server together with the direct handov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한편, S1204 단계 후에, 물류 서버는 상기 매장 단말기로부터 직접인계 식별정보에 대한 정보확인 요청신호를 수신하면, 정보확인 요청신호에 포함된 직접인계 식별정보와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했던 직접인계 식별정보를 비교하여 일치하는가를 판단한다(S1206 단계). 만일, 정보확인 요청신호로부터 추출된 직접인계 식별정보가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했던 직접인계 식별정보와 일치하지 않는다면, 물류 서번는 직접 인계가 허용되지 않는다는 인계불가 메시지를 생성하고, 생성된 인계불가 메시지를 매장 단말기로 전송한다(S1210 단계). On the other hand, after step S1204, when the logistics server receives the information confirmation request signal for the direct handov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from the store terminal, the direct handov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information confirmation request signal and the direct handov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are compared. to determine whether they match (step S1206). If the direct handov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extracted from the information confirmation request signal does not match the direct handov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the logistics server generates a handover non-transferable message indicating that direct handover is not permitted, and stores the generated handover unavailable message. It is transmitted to the terminal (step S1210).

S1206 단계 후에, 물류 서버는 상기 직접인계 식별정보들의 비교 결과에 따라, 인계허용 메시지를 생성 및 전송한다(S1208 단계). 정보확인 요청신호로부터 추출된 직접인계 식별정보가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했던 직접인계 식별정보와 일치한다면, 물류 서버는 매매 상품에 대해 사용자게에게 직접 인계하라는 인계허용 메시지를 생성하고, 생성된 인계허용 메시지를 매장 단말기로 전송한다. After step S1206, the logistics server generates and transmits a handover permission message according to the comparison result of the direct handov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step S1208). If the direct handov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extracted from the information confirmation request signal matches the direct handov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the logistics server generates a handover permission message to hand over the product for sale directly to the user, and the generated handover permit message is sent to the store terminal.

이에 따라, 매장 단말기는 물류 서버로부터 수신된 인계허용 메시지를 표시하며, 인계허용 메시지를 확인한 매장 직원의 안내에 따라 해당 매매 상품이 사용자에게 인계될 수 있다. 그 후, 매장 단말기는 직접인계 완료신호를 생성하여 물류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store terminal may display the handover permission message received from the logistics server, and the corresponding sale product may be handed over to the user according to the guidance of the store employee who has confirmed the handover permit message. Thereafter, the store terminal may generate a direct handover completion signal and transmit it to the logistics server.

S1208 단계 후에, 물류 서버는 매장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직접인계 완료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직접인계 완료신호를 저장하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S1212 단계). 또한, 상기 물류 서버는 상기 오프라인 매장을 통해 상기 사용자에게 직접 인계된 매매 상품들에 대한 정산 처리정보를 산출하고, 산출된 정산 처리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한다. After step S1208, the logistics server may receive the direct handover completion signal transmitted from the store terminal, store the received direct handover completion signal, and display it through the user interface (step S1212). In addition, the logistics server calculates the settlement processing information for the products for sale directly handed over to the user through the offline store, and transmits the calculated settlement processing information to the user terminal.

도 17은 본 발명의 물류 서비스 시스템(10)을 구성하는 사용자 단말기(100), 물류 서버(200), 상품 판매 서버(300) 및 매장 단말기(400) 사이의 동작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절차 타이밍도이다. 17 is a timing diagram illustrating an operation process between the user terminal 100, the logistics server 200, the product sales server 300, and the store terminal 400 constituting the logistics service system 10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사용자 단말기(100)는 사용자로부터 매매 상품에 대한 온라인 매매 및 오프라인 매장에서의 직접 인계를 위한 상품 관련정보를 입력받고, 입력된 상품 관련정보로부터 구매문의정보를 생성한다. 사용자 단말기(100)는 입력된 상품 관련정보와 미리 저장된 매장 등록정보를 이용하여 구매문의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00)는 상품 명칭정보 또는 상품 식별정보 등과 함께, 오프라인 매장에 대한 매장 식별정보, 매장 위치정보, 매장 명칭정보 등이 포함된 구매문의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00)는 자신의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구매문의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00)는 생성된 구매문의정보를 물류 서버(200)로 전송한다.The user terminal 100 receives, from the user, product-related information for online trading and direct handover at an offline store, and generates purchase inquiry information from the inputted product-related information. The user terminal 100 may generate purchase inquiry information using the input product-related information and store registration information stored in advance. The user terminal 100 may generate purchase inquiry information including store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an offline store, store location information, store name information, and the like, together with product name information or product identification information. The user terminal 100 may generate purchase inquiry information including its own location information. The user terminal 100 transmits the generated purchase inquiry information to the logistics server 200 .

물류 서버(200)는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구매문의정보를 수신하면, 수신된 구매문의정보로부터 상품 명칭정보 또는 상품 식별정보를 추출함으로써, 사용자가 구매 요청하는 매매 상품을 인식한다. 또한, 물류 서버(200)는 구매문의정보로부터 상품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매매 상품을 직접 인계하기 위한 오프라인 매장에 대한 매장 식별정보, 매장 위치정보 또는 매장 명칭정보 등을 인식할 수 있다. 또한, 물류 서버(200)는 구매문의정보로부터 사용자 단말기(100)의 위치정보를 인식할 수도 있다. When the distribution server 200 receives purchase inquiry information from the user terminal 100 , by extracting product name information or product identification information from the received purchase inquiry information, the distribution server 200 recognizes a product for sale requested by the user to purchase. In addition, the logistics server 200 may recognize store identification information, store location information, or store name information for an offline store for directly taking over the sale product corresponding to the product identification information from the purchase inquiry information. In addition, the logistics server 200 may recognize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100 from the purchase inquiry information.

그 후, 물류 서버(200)는 인식된 상품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매매 상품을 판매하는 온라인 사이트들 중에서 오프라인 매장 내에 해당 매매 상품을 입고시킨 온라인 사업자들 각각의 온라인 사이트들에 대한 등록 사이트 목록을 생성한다. 물류 서버(200)는 온라인 사이트들에 대한 등록 사이트 정보에 접근하여, 등록 사이트 정보 중에서 해당 매매 상품 및 해당 오프라인 매장에 대응하는 등록 사이트들을 추출할 수 있다. 물류 서버(200)는 생성된 등록 사이트 목록을 사용자 단말기(100)로 전송한다. Thereafter, the logistics server 200 generates a list of registration sites for each of the online sites of the online business operators who have stocked the sale product in the offline store among the online sites that sell the sale product corresponding to the recognized product identification information. do. The logistics server 200 may access registration site information for online sites and extract registration sites corresponding to the corresponding sale product and the corresponding offline store from the registration site information. The logistics server 200 transmits the generated registration site list to the user terminal 100 .

사용자 단말기(100)는 물류 서버(200)로부터 등록 사이트 목록을 수신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표시한다. 그 후, 사용자 단말기(100)는 표시된 등록 사이트 목록 중에서 사용자의 선택에 대응하는 온라인 사이트의 상품판매 서버(300)에 접속한 후에, 상품판매 서버(300)와 데이터 교환을 통해 상기 매매 상품에 대한 온라인 매매절차를 수행한다. 사용자 단말기(100)는 상품판매 서버(300)로부터 상기 온라인 매매절차 수행에 따른 매매 체결정보를 수신하면, 수신된 매매 체결정보를 저장한다.The user terminal 100 receives the registration site list from the logistics server 200 and displays it through the user interface. After that, the user terminal 100 accesses the product sales server 300 of an online site corresponding to the user's selection from the displayed list of registered sites, and then exchanges data with the product sales server 300 to obtain information on the sales products. Conduct online trading procedures. When the user terminal 100 receives the transaction execu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execution of the online transaction procedure from the product sales server 300 , the user terminal 100 stores the received transaction execution information.

한편, 물류 서버(200)는 온라인 매매절차를 수행한 온라인 사이트의 상품판매 서버(300)로부터 상품의 매매에 따른 매매 완료정보를 수신한다. 그 후, 물류 서버(200)는 수신된 매매 완료정보로부터 사용자 단말기(100)에 대한 단말기 등록정보 및 오프라인 매장에 대한 매장 식별정보를 추출한다. On the other hand, the logistics server 200 receives the transaction comple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sale of the product from the product sales server 300 of the online site that has performed the online trading procedure. Thereafter, the logistics server 200 extracts the terminal registration information for the user terminal 100 and the store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the offline store from the received transaction completion information.

그 후, 물류 서버(200)는 사용자 단말기(100)가 상기 추출된 매장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오프라인 매장에서 상기 매매 상품의 직접 인계를 위한 대상인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대상확인 요청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대상확인 요청신호를 추출된 단말기 등록정보에 대응하는 사용자 단말기(100)로 전송한다.After that, the logistics server 200 generates a target confirmation request signal for confirming whether the user terminal 100 is a target for direct handover of the sale product in an offline store corresponding to the extracted store identification information, The generated target confirmation request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100 corresponding to the extracted terminal registration information.

사용자 단말기(100)는 대상확인 요청신호를 물류 서버(200)로부터 수신하면, 상기 대상확인 요청신호에 포함된 매장 식별정보를 추출한다. 그 후, 사용자 단말기(100)는 추출된 매장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오프라인 매장에서 매매 상품의 직접 인계를 위한 대상임을 증명하기 위한 대상확인 응답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대상확인 응답신호를 매매 체결정보와 함께 물류 서버(200)로 전송한다. When the user terminal 100 receives the object confirmation request signal from the logistics server 200, the user terminal 100 extracts the stor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object confirmation request signal. Thereafter, the user terminal 100 generates a target confirmation response signal for proving that the product is a target for direct handover of the purchased product in the offline store corresponding to the extracted stor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converts the generated target confirmation response signal to transaction execution information. together with the logistics server 200 .

이에 따라, 물류 서버(200)는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대상확인 응답신호를 수신하면, 대상확인 응답신호에 포함된 매매 체결정보와 상품판매 서버(300)로부터 전송된 매매 완료정보를 비교하여 사용자에게 매매 상품을 직접 인계할 것인지 여부를 결정한다. Accordingly, the logistics server 200, upon receiving the target confirmation response signal from the user terminal 100, compares the transaction executi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target confirmation response signal with the transaction completion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product sales server 300 to the user Decide whether or not to hand over the sale product directly to

그 후, 물류 서버(200)는 매매 상품에 대한 직접 인계 결정에 대응하여 직접인계 식별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직접인계 식별정보를 사용자 단말기(100)로 전송한다. Thereafter, the logistics server 200 generates direct handov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 response to a direct handover decision for a product for sale, and transmits the generated direct handov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the user terminal 100 .

사용자 단말기(100)는 직접인계 식별정보를 수신하면, 직접인계 식별정보를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표시한다. 그 후,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100)에 표시된 직접인계 식별정보를 해당 오프라인 매장 내의 매장 직원에게 제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매장 직원은 오프라인 매장에 마련된 매장 단말기(400)를 이용해 사용자 단말기(100)에 표시된 직접인계 식별정보를 읽어들인다. 매장 단말기(400)는 읽어들인 직접인계 식별정보를 인식한 후에, 읽어들인 직접인계 식별정보에 대한 정보확인 요청신호를 물류 서버(200)로 전송한다. When the user terminal 100 receives the direct takeov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the user terminal 100 displays the direct takeov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through the user interface. Thereafter, the user may present the direct handov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user terminal 100 to the store staff in the corresponding offline store. Accordingly, the store employee reads the direct handov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user terminal 100 using the store terminal 400 provided in the offline store. After recognizing the read direct handov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the store terminal 400 transmits an information confirmation request signal for the read direct handov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the logistics server 200 .

이에 따라, 물류 서버(200)는 수신된 정보확인 요청신호에 포함된 직접인계 식별정보를 비교한 후에, 매매 상품에 대해 사용자게에게 직접 인도하라는 인계허용 메시지를 생성하여 매장 단말기(400)로 전송한다. 이에 따라, 매장 단말기(400)는 물류 서버(200)로부터 수신된 인계허용 메시지를 표시하며, 인계허용 메시지를 확인한 매장 직원의 안내에 따라 해당 매매 상품이 사용자에게 인계될 수 있다. Accordingly, the logistics server 200 compares the direct handov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received information confirmation request signal, and then generates a handover permission message for direct delivery to the user for the traded product and transmits it to the store terminal 400 . do. Accordingly, the store terminal 400 may display the handover permission message received from the logistics server 200 , and the corresponding sale product may be handed over to the user according to the guidance of the store employee who has confirmed the handover permit message.

그 후, 매장 단말기(400)는 직접인계 완료신호를 사용자 단말기(100)와 물류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00) 및 물류 서버(200)는 수신된 직접인계 완료신호를 저장하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표시할 수도 있다. Thereafter, the store terminal 400 may transmit a direct handover completion signal to the user terminal 100 and the logistics server 200 . The user terminal 100 and the logistics server 200 store the received direct handover completion signal, and may be displayed through the user interface.

그 후, 물류 서버(200)는 오프라인 매장을 통해 사용자에게 직접 인계된 매매 상품들에 대한 정산 처리정보를 산출하고, 산출된 정산 처리정보를 사용자 단말기(100)로 전송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 단말기(100)는 수신된 정산 처리정보를 저장하며, 아울러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표시할 수도 있다.Thereafter, the logistics server 200 calculates the settlement processing information for the products for sale directly handed over to the user through the offline store, and transmits the calculated settlement processing information to the user terminal 100 . Accordingly, the user terminal 100 may store the received settlement processing information and also display it through the user interface.

전술한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The above-described method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program instructions that can be executed through various computer means and recorded in a computer-readable medium. The computer-readable medium may include program instructions, data files, data structures, etc. alone or in combination. The program instructions recorded on the medium may be specially designed and configured for the embodiment, or may be known and available to those skilled in the art of computer software. Examples of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 magnetic media such as hard disks, floppy disks and magnetic tapes, optical media such as CD-ROMs and DVDs, and magnetic such as floppy disks. - includes magneto-optical media, and hardware devices specially configured to store and execute program instructions, such as ROM, RAM, flash memory, and the like. Examples of program instructions include not only machine language codes such as those generated by a compiler, but also high-level language codes that can be executed by a computer using an interpreter or the like. The hardware devices described above may be configured to operate as one or more software modules to perform the operations of the embodiments, and vice versa.

물류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Software, including logistics applications, may include a computer program, code, instructions, or a combination of one or more of these, and independently or in combination to configure the processing device to operate as desired. It is possible to collectively command the processing unit. The software and/or data may be any kind of machine, component, physical device, virtual equipment, computer storage medium or device, to be interpreted by or to provide instructions or data to the processing device. , or may be permanently or temporarily embody in a transmitted signal wave. The software may be distributed over networked computer systems, and stored or executed in a distributed manner. Software and data may be stored in one or mor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를 기초로 다양한 기술적 수정 및 변형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lthough the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limited drawings,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apply various technical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based on the above. For example, the described techniques are performed in a different order than the described method, and/or the described components of the system, structure, apparatus, circuit, etc. are combined or combined in a different form than the described method, or other components Or substituted or substituted by equivalents may achieve an appropriate result.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균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도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해야 할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spec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by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ologies within the scope equivalent thereto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물류 서비스 시스템
100: 사용자 단말기
110: 단말 통신부
120: 단말 메모리
130: 단말 프로세서
200: 물류 서버
210: 물류 통신부
220: 데이터베이스
230: 물류 프로세서
300: 상품판매 서버
400: 매장 단말기
10: Logistics service system
100: user terminal
110: terminal communication unit
120: terminal memory
130: terminal processor
200: logistics server
210: Logistics and Communication Department
220: database
230: logistics processor
300: product sales server
400: store terminal

Claims (25)

물류 서버와 통신망으로 연결되어 있는 단말 통신부;
상기 물류 서버와 연동하여, 매매 상품에 대한 온라인 매매절차 및 상기 매매 상품에 대한 오프라인 매장에서의 직접 인계절차를 수행하는 물류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하는 단말 메모리; 및
상기 물류 어플리케이션의 구동을 제어하는 단말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단말 프로세서는,
상기 매매 상품을 상기 오프라인 매장에서 사용자에게 직접 인계하기 위한 직접인계 식별정보를 상기 물류 서버로부터 수신하면, 상기 직접인계 식별정보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며,
표시된 상기 직접인계 식별정보는 상기 오프라인 매장 내에 마련된 매장 단말기를 통해 인식되어 상기 매매 상품이 상기 사용자에게 직접 인계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기.
a terminal communication unit connected to the logistics server and a communication network;
a terminal memory for storing a logistics application that interworks with the logistics server to perform an online trading procedure for a product for sale and a direct handover procedure for the product for sale in an offline store; and
Including a terminal processor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logistics application,
The terminal processor,
When direct handov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directly handing over the sale product to the user in the offline store is received from the logistics server, control to display the direct handov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The displayed direct handov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recognized through a store terminal provided in the offline store so that the sale product can be directly transferred to the user.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단말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매매 상품에 대한 상품 관련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 상기 상품 관련정보로부터 상기 매매 상품에 대한 온라인 매매 및 상기 오프라인 매장에서의 직접 인계를 위한 구매문의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구매문의정보를 상기 물류 서버로 전송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물류 서버가 상기 매매 상품을 판매하는 온라인 사이트들 중에서 상기 오프라인 매장 내에 상기 매매 상품을 입고시킨 온라인 사업자 각각의 온라인 사이트들에 대한 등록 사이트 목록을 생성 및 전송하면, 상기 등록 사이트 목록을 수신하여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표시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표시된 등록 사이트 목록 중에서 상기 사용자의 선택에 대응하는 온라인 사이트의 상품판매 서버에 접속한 후에, 상기 상품판매 서버와 데이터 교환을 통해 상기 매매 상품에 대한 온라인 매매절차를 수행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온라인 매매절차 수행 후에, 상기 물류 서버로부터 상기 직접인계 식별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직접인계 식별정보를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terminal processor,
control to display a user interface through which product-related information for the trading product can be input from the user;
From the product-related information input through the user interface, purchase inquiry information is generated for online trading of the product for sale and direct handover in the offline store, and the generated purchase inquiry information is controlled to be transmitted to the logistics server and,
When the logistics server generates and transmits a list of registration sites for each of the online sites of the online operators that stock the goods for sale in the offline store among the online sites that sell the goods for sale, the list of registration sites is received and the list is transmitted. control to be displayed through the user interface;
After accessing a product sales server of an online site corresponding to the user's selection from among the displayed list of registered sites, control to perform an online trading procedure for the trading product through data exchange with the product sales server,
When receiving the direct handov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from the logistics server after performing the online trading procedure, the user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controlling to display the direct handov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through the user interface.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단말 프로세서는,
상기 매매 상품에 대한 상품 명칭정보 및 상품 식별정보, 상기 오프라인 매장에 대한 매장 식별정보, 매장 명칭정보 및 매장 위치정보,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위치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상기 구매문의정보로서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기.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The terminal processor,
generating as the purchase inquiry information at least one of product name information and product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the sale product, store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the offline store, store name information and store location information, and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user terminal with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단말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위치와 가장 근접한 최근접 오프라인 매장을 검출하고, 상기 매매 상품을 판매하는 온라인 사이트들 중에서 상기 최근접 오프라인 매장에 상기 매매 상품을 입고시킨 등록 사이트 목록을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기.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The terminal processor,
Detecting the nearest offline store closest to the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and controlling to display a list of registered sites that stock the product for sale in the nearest offline store among online sites selling the product for sale user terminal.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단말 프로세서는,
상기 최근접 오프라인 매장에 상기 매매 상품을 입고시킨 등록 사이트 목록을 상기 매매 상품에 대한 판매가격 중 최저가 판매가격의 온라인 사이트 순으로 정렬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기.
5.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4,
The terminal processor,
The user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user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trol to display a list of registration sites that stock the product to the nearest offline store arranged in the order of the online site of the lowest selling price among the selling prices for the product for sale.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단말 프로세서는,
상기 상품판매 서버로부터 상기 온라인 매매절차 수행에 따른 매매 체결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수신된 매매 체결정보를 상기 단말 메모리에 저장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오프라인 매장에서 상기 매매 상품의 직접 인계를 위한 대상인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대상확인 요청신호를 상기 물류 서버로부터 수신하면, 상기 대상확인 요청신호에 포함된 매장 식별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추출된 매장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오프라인 매장에서 상기 매매 상품의 직접 인계를 위한 대상임을 증명하기 위한 대상확인 응답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대상확인 응답신호를 상기 매매 체결정보와 함께 상기 물류 서버로 전송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대상확인 응답신호에 따라 직접 인계가 결정되어 상기 물류 서버로부터 상기 직접인계 식별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직접인계 식별정보를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기.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The terminal processor,
When receiving the trading execu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online trading procedure from the product sales server, control to store the received trading execution information in the terminal memory
When the user terminal receives a target confirmation request signal for confirming whether the target for direct handover of the purchased product in the offline store is received from the logistics server, the stor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target confirmation request signal is extracted,
The user terminal generates an object confirmation response signal for proving that the user terminal is a target for direct handover of the sale product in an offline store corresponding to the extracted stor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combines the generated object confirmation response signal with the transaction execution information control to be transmitted to the logistics server together,
When the direct handover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target confirmation response signal and the direct handov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the logistics server, the user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trol to display the direct handov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through the user interfac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직접인계 식별정보는,
상기 매매 상품에 대한 상품 명칭정보 및 상품 식별정보, 상기 매매 상품의 직접 인계를 위한 상기 오프라인 매장에 대한 매장 식별정보, 매장 위치정보 및 매장 명칭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direct takeov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A user terminal comprising at least one of product name information and product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the sale product, store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the offline store for direct handover of the sale product, store location information, and store name information .
사용자 단말기와 통신망으로 연결되어 있는 물류 통신부;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연동하여, 매매 상품에 대한 온라인 매매절차 및 상기 매매 상품에 대한 오프라인 매장에서의 직접 인계절차를 수행하는 물류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매매 상품에 대해 상기 오프라인 매장에서의 직접 인계절차를 제어하는 물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물류 프로세서는,
상기 매매 상품을 상기 오프라인 매장에서 사용자에게 직접 인계하기 위한 직접인계 식별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직접인계 식별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표시된 상기 직접인계 식별정보는 상기 오프라인 매장 내에 마련된 매장 단말기를 통해 인식되어 상기 매매 상품이 상기 사용자에게 직접 인계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류 서버.
Logistics communication unit connected to the user terminal and the communication network;
a database for storing a logistics application that interworks with the user terminal and performs an online trading procedure for a product for sale and a direct handover procedure for the product for sale in an offline store; and
A logistics processor for controlling a direct handover procedure in the offline store for the sale product,
The logistics processor,
generating direct handov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directly handing over the sale product to the user in the offline store, and controlling to transmit the generated direct handov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the user terminal;
The direct handov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user terminal is recognized through a store terminal provided in the offline store, so that the sale product can be directly transferred to the user.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물류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매매 상품에 대한 온라인 매매 및 직접 인계를 위한 구매문의정보를 수신하면, 수신된 상기 구매문의정보로부터 상기 매매 상품을 인식하고,
상기 인식된 매매 상품을 판매하는 온라인 사이트들 중에서 상기 오프라인 매장 내에 상기 매매 상품을 입고시킨 온라인 사업자 각각의 온라인 사이트들에 대한 등록 사이트 목록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등록 사이트 목록을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등록 사이트 목록 중에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매매 상품에 대한 온라인 매매절차를 수행한 온라인 사이트의 상품판매 서버로부터 상기 매매 상품의 매매에 따른 매매 완료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매매 완료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오프라인 매장에 대한 상기 직접인계 식별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류 서버.
9. The method of claim 8,
The logistics processor,
When receiving purchase inquiry information for online trading and direct handover of the trading product from the user terminal, the product is recognized from the received purchase inquiry information,
Create a list of registration sites for each of the online sites of the online business operators that stock the products for sale in the offline store from among the online sites that sell the recognized products for sale, and transmit the list of registration sites to the user terminal control to do
Upon receiving the sale comple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sale of the sale product from the product sales server of the online site that has performed the online sale procedure for the sale product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from the list of registration sites, the transaction completion information is used to Logistics server, characterized in that for generating the direct handov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the offline store.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물류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위치와 가장 근접한 최근접 오프라인 매장을 검출하고, 상기 매매 상품을 판매하는 온라인 사이트들 중에서 상기 최근접 오프라인 매장에 상기 매매 상품을 입고시킨 등록 사이트 목록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류 서버.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logistics processor,
Logistics server, characterized in that it detects the nearest offline store closest to the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and generates a list of registration sites that stock the sale product in the nearest offline store among online sites that sell the sale product. .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매매 완료정보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대한 단말기 등록정보와 상기 매매 상품의 직접 인계를 위한 상기 오프라인 매장에 대한 매장 식별정보, 매장 명칭정보 및 매장 위치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류 서버.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sale completion information includes at least one or more of terminal registration information for the user terminal and store identification information, store name information, and store location information for the offline store for direct handover of the sale product. server.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물류 프로세서는,
상기 상품판매 서버로부터 상기 매매 완료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수신된 매매 완료정보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대한 단말기 등록정보 및 상기 오프라인 매장에 대한 매장 식별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추출된 매장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오프라인 매장에서 상기 매매 상품의 직접 인계를 위한 대상인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대상확인 요청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대상확인 요청신호를 상기 추출된 단말기 등록정보에 대응하는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온라인 매매절차 수행에 따른 매매 체결정보가 포함된 대상확인 응답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매매 체결정보와 상기 매매 완료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매매 상품을 직접 인계할 것인지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매매 상품에 대한 직접 인계 결정에 대응하여 상기 직접인계 식별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직접인계 식별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류 서버.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logistics processor,
Upon receiving the sale completion information from the product sales server, terminal registration information for the user terminal and store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the offline store are extracted from the received sale completion information;
The user terminal generates a target confirmation request signal for confirming whether the target for direct handover of the sale product in an offline store corresponding to the extracted stor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ransmits the generated target confirmation request signal to the extracted Control to transmit to the user terminal corresponding to the terminal registration information,
When receiving a target confirmation response signal including trading execu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online trading procedure from the user terminal,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to directly hand over the trading product to the user by comparing the trading execution information and the trading completion information and generate the direct handov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 response to a direct handover decision for the trading product,
Logistics server,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trol to transmit the generated direct takeov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the user terminal.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물류 프로세서는,
상기 직접인계 식별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한 후에, 상기 매장 단말기로부터 직접인계 식별정보에 대한 정보확인 요청신호를 수신하면, 확인 요청된 직접인계 식별정보와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했던 직접인계 식별정보를 비교하여 일치하는가를 판단하고,
상기 직접인계 식별정보들의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매매 상품에 대해 상기 사용자게에게 직접 인계하라는 인계 허용 메시지를 생성하고, 생성된 상기 인계 허용 메시지를 상기 매장 단말기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류 서버.
9. The method of claim 8,
The logistics processor,
After transmitting the direct handov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the user terminal, upon receiving an information confirmation request signal for the direct handov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from the store terminal, the verification requested direct handov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he direct handov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to determine whether they match by comparing
Logistics characterized in that according to the comparison result of the direct handov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a handover permission message to directly hand over to the user for the sale product is generated, and the generated handover permit message is controlled to be transmitted to the store terminal server.
매매 상품에 대한 온라인 매매절차 및 상기 매매 상품에 대한 오프라인 매장에서의 직접 인계절차를 수행하는 물류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하고, 상기 물류 어플리케이션의 구동을 제어하는 사용자 단말기;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연동하여, 상기 매매 상품에 대한 오프라인 매장에서의 직접 인계절차를 제어하는 물류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물류 서버는,
상기 매매 상품을 상기 오프라인 매장에서 사용자에게 직접 인계하기 위한 직접인계 식별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직접인계 식별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물류 서버로부터 상기 직접인계 식별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직접인계 식별정보를 표시하고,
표시된 상기 직접인계 식별정보는 상기 오프라인 매장 내에 마련된 매장 단말기를 통해 인식되어 상기 매매 상품이 상기 사용자에게 직접 인계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상품에 대한 물류 서비스 시스템.
a user terminal for storing a logistics application that performs an online trading procedure for a product for sale and a direct handover procedure for the product for sale in an offline store, and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logistics application; and
In conjunction with the user terminal, comprising a logistics server for controlling the direct handover procedure in the offline store for the product for sale,
The logistics server,
generating direct handov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directly handing over the sale product to the user in the offline store, and transmitting the generated direct handov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the user terminal;
The user terminal,
When receiving the direct handov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from the logistics server, display the direct handov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The displayed direct handov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recognized through a store terminal provided in the offline store, and the product for sale is directly transferred to the user.
사용자 단말기는 사용자로부터 매매 상품에 대한 상품 관련정보를 입력받아서, 상기 상품 관련정보로부터 상기 매매 상품에 대한 온라인 매매 및 상기 오프라인 매장에서의 직접 인계를 위한 구매문의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구매문의정보를 상기 물류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물류 서버가 상기 매매 상품을 판매하는 온라인 사이트들 중에서 상기 오프라인 매장 내에 상기 매매 상품을 입고시킨 온라인 사업자 각각의 온라인 사이트들에 대한 등록 사이트 목록을 생성 및 전송하면,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등록 사이트 목록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표시된 등록 사이트 목록 중에서 상기 사용자의 선택에 대응하는 온라인 사이트의 상품판매 서버와 접속하여 상기 매매 상품에 대한 온라인 매매절차를 수행하는 단계; 및
온라인 매매절차 수행 후에, 상기 물류 서버로부터 상기 직접인계 식별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직접인계 식별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직접인계 식별정보는 상기 오프라인 매장 내에 마련된 매장 단말기를 통해 인식되어 상기 매매 상품이 상기 사용자에게 직접 인계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상품에 대한 물류 서비스 방법.
The user terminal receives product-related information on a product for sale from a user, and generates purchase inquiry information for online sales and direct handover at the offline store for the purchased product from the product-related information, and the generated purchase inquiry transmitting information to the logistics server;
When the logistics server generates and transmits a list of registration sites for each of the online sites of the online operators that stock the goods for sale in the offline store among the online sites that sell the goods for sale, the user terminal sets the list of registration sites. displaying;
performing, by the user terminal, an online trading procedure for the product for sale by accessing a product sales server of an online site corresponding to the user's selection from the displayed list of registration sites; and
After performing the online trading procedure, when receiving the direct handov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from the logistics server, the user terminal comprises the step of displaying the direct handov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The logistics service method for an online product, characterized in that the direct transf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recognized through a store terminal provided in the offline store so that the sale product is directly transferred to the user.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구매문의정보를 상기 물류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매매 상품에 대한 상품 식별정보, 상기 오프라인 매장에 대한 매장 식별정보, 매장 위치정보 또는 매장 명칭정보,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위치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상기 구매문의정보로서 상기 물류 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상품에 대한 물류 서비스 방법.
16. The method of claim 15,
Transmitting the purchase inquiry information to the logistics server comprises:
The user terminal transmits at least one of product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the sale product, store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the offline store, store location information or store name information, and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as the purchase inquiry information to the logistics server Logistics service method for online goods, characterized in that the transmission.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등록 사이트 목록을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자신과 가장 근접한 최근접 오프라인 매장을 검출하고, 상기 매매 상품을 판매하는 온라인 사이트들 중에서 상기 최근접 오프라인 매장에 상기 매매 상품을 입고시킨 등록 사이트 목록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상품에 대한 물류 서비스 방법.
16. The method of claim 15,
The step of displaying the list of registration sites,
An online product, characterized in that the user terminal detects the nearest offline store to the user terminal, and displays a list of registered sites that stock the sale product in the nearest offline store among online sites that sell the sale product Logistics service method for you.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등록 사이트 목록을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최근접 오프라인 매장에 상기 매매 상품을 입고시킨 등록 사이트 목록을 상기 매매 상품에 대한 판매가격 중 최저가 판매가격의 온라인 사이트 순으로 정렬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상품에 대한 물류 서비스 방법.
18. The method of claim 17,
The step of displaying the list of registration sites,
Logistics service for an online product, characterized in that the user terminal arranges and displays a list of registered sites in which the product for sale is placed in the nearest offline store in the order of the online site of the lowest selling price among the selling prices for the product for sale. Way.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상기 직접인계 식별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물류 서버로부터 온라인 매매절차 수행에 따른 매매 체결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수신된 매매 체결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오프라인 매장에서 상기 매매 상품의 직접 인계를 위한 대상인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대상확인 요청신호를 상기 물류 서버로부터 수신하면,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대상확인 요청신호에 포함된 매장 식별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자신이 상기 추출된 매장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오프라인 매장에서 상기 매매 상품의 직접 인계를 위한 대상임을 증명하기 위한 대상확인 응답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생성된 대상확인 응답신호를 상기 매매 체결정보와 함께 상기 물류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대상확인 응답신호에 따라 직접 인계가 결정되어 상기 물류 서버로부터 상기 직접인계 식별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수신된 직접인계 식별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상품에 대한 물류 서비스 방법.
16. The method of claim 15,
The step of displaying the direct takeov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comprises:
storing, by the user terminal, the received transaction execution information when receiving transaction execu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online transaction procedure from the logistics server;
When the user terminal receives a target confirmation request signal for confirming whether the target for direct handover of the sale product in the offline store is received from the logistics server, the user terminal stores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target confirmation request signal extracting;
generating, by the user terminal, a target confirmation response signal for proving that the user terminal is a target for direct handover of the sale product in an offline store corresponding to the extracted store identification information;
transmitting, by the user terminal, the generated target confirmation response signal together with the transaction execution information to the logistics server; and
When the direct handover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target confirmation response signal and the direct handov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the logistics server, the user terminal displays the received direct handov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About Logistics Service Method.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직접인계 식별정보는,
상기 매매 상품에 대한 상기 상품 식별정보, 상기 매매 상품의 직접 인계를 위한 상기 오프라인 매장에 대한 매장 식별정보, 매장 위치정보 및 매장 명칭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상품에 대한 물류 서비스 방법.
20. The method of claim 19,
The direct takeov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Logistics for an online product comprising at least one of the product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the sale product, store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the offline store for direct handover of the sale product, store location information, and store name information service method.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매매 상품에 대한 온라인 매매 및 상기 매매 상품에 대한 오프라인 매장에서의 직접 인계를 위한 구매문의정보를 수신하면, 물류 서버는 수신된 상기 구매문의정보로부터 상기 매매 상품을 인식하는 단계;
상기 물류 서버는 상기 인식된 매매 상품을 판매하는 온라인 사이트들 중에서 상기 오프라인 매장 내에 상기 매매 상품을 입고시킨 온라인 사업자 각각의 온라인 사이트들에 대한 등록 사이트 목록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등록 사이트 목록을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등록 사이트 목록 중에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매매 상품에 대한 온라인 매매절차를 수행한 온라인 사이트의 상품판매 서버로부터 상기 매매 상품의 매매에 따른 매매 완료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물류 서버는 상기 매매 완료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오프라인 매장에 대한 상기 직접인계 식별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표시된 상기 직접인계 식별정보는 상기 오프라인 매장 내에 마련된 매장 단말기를 통해 인식되어 상기 매매 상품이 상기 사용자에게 직접 인계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상품에 대한 물류 서비스 방법.
Recognizing, by a logistics server, the purchase inquiry information from the received purchase inquiry information, when receiving purchase inquiry information for on-line trading of the product for sale and direct handover at the offline store for the product for sale from the user terminal;
The logistics server generates a list of registration sites for each of the online sites of the online business operators that have stocked the products for sale in the offline store from among the online sites that sell the recognized products for sale, and stores the list of registered sites. transmitting to a user terminal; and
Upon receiving the sale comple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sale of the sale product from the product sales server of the online site that has performed the online sale procedure for the sale product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from the list of registration sites, the distribution server provides the sale completion information and generating the direct handov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the offline store based on a step of transmitti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the user terminal,
The direct handov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user terminal is recognized through a store terminal provided in the offline store, and the product for sale is directly transferred to the user.
청구항 21에 있어서,
상기 등록 사이트 목록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물류 서버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가장 근접한 최근접 오프라인 매장을 검출하고, 상기 매매 상품을 판매하는 온라인 사이트들 중에서 상기 최근접 오프라인 매장에 상기 매매 상품을 입고시킨 등록 사이트 목록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상품에 대한 물류 서비스 방법.
22. The method of claim 21,
The step of generating the list of registration sites includes:
characterized in that the logistics server detects the nearest offline store closest to the user terminal, and generates a list of registration sites that stock the sale product in the nearest offline store among online sites that sell the sale product Logistics service method for online goods.
청구항 21에 있어서,
상기 매매 완료정보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대한 단말기 등록정보와 상기 매매 상품의 직접 인계를 위한 상기 오프라인 매장에 대한 매장 식별정보, 매장 위치정보 및 매장 명칭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상품에 대한 물류 서비스 방법.
22. The method of claim 21,
The sale completion information includes at least one of terminal registration information for the user terminal and store identification information, store location information, and store name information for the offline store for direct handover of the sale product. Logistics service method for goods.
청구항 21에 있어서,
상기 직접인계 식별정보를 생성 및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상품판매 서버로부터 상기 매매 완료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물류 서버는 상기 수신된 매매 완료정보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대한 단말기 등록정보 및 상기 오프라인 매장에 대한 매장 식별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물류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추출된 매장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오프라인 매장에서 상기 매매 상품의 직접 인계를 위한 대상인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대상확인 요청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물류 서버는 상기 생성된 대상확인 요청신호를 상기 추출된 단말기 등록정보에 대응하는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온라인 매매절차 수행에 따른 매매 체결정보가 포함된 대상확인 응답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물류 서버는 상기 매매 체결정보와 상기 매매 완료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매매 상품을 직접 인계할 것인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물류 서버는 상기 매매 상품에 대한 직접 인계 결정에 대응하여 상기 직접인계 식별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직접인계 식별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상품에 대한 물류 서비스 방법.
22. The method of claim 21,
The step of generating and transmitting the direct takeov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cludes:
extracting, by the logistics server, terminal registration information for the user terminal and store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the offline store, from the received sale completion information when receiving the sale completion information from the product sales server;
generating, by the logistics server, a target confirmation request signal for confirming whether the user terminal is a target for direct handover of the sale product in an offline store corresponding to the extracted store identification information;
transmitting, by the logistics server, the generated target confirmation request signal to a user terminal corresponding to the extracted terminal registration information;
Upon receiving from the user terminal a target confirmation response signal including trading execu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online trading procedure, the logistics server compares the trading execution information with the trading completion information to directly hand over the trading product to the user. determining whether or not; and
The logistics server generates the direct handov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 response to a direct handover decision for the product for sale, and transmits the generated direct handov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the user terminal. Logistics service method.
청구항 21에 있어서,
상기 온라인 상품에 대한 물류 서비스 방법은,
상기 직접인계 식별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한 후에, 상기 매장 단말기로부터 직접인계 식별정보에 대한 정보확인 요청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물류 서버는 확인 요청된 직접인계 식별정보와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했던 직접인계 식별정보를 비교하여 일치하는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직접인계 식별정보들의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물류 서버는 상기 매매 상품에 대해 상기 사용자게에게 직접 인계하라는 인계허용 메시지를 생성하고, 생성된 상기 인계허용 메시지를 상기 매장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상품에 대한 물류 서비스 방법.
22. The method of claim 21,
The logistics service method for the online product is,
After transmitting the direct handov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the user terminal, when receiving an information confirmation request signal for the direct handov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from the store terminal, the logistics server transmits the confirmation requested direct handov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he user terminal determining whether they match by comparing the direct takeov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According to the comparison result of the direct handov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the logistics server generates a handover permission message to directly hand over to the user for the sale product, and transmits the generated handover permit message to the store terminal. Logistics service method for online good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KR1020200076080A 2019-12-07 2020-06-22 Logistics service system and method for online products, user terminal and logistics server therefor KR20210071807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0162204 2019-12-07
KR1020190162204 2019-12-0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1807A true KR20210071807A (en) 2021-06-16

Family

ID=766029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6080A KR20210071807A (en) 2019-12-07 2020-06-22 Logistics service system and method for online products, user terminal and logistics server theref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71807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188292A1 (en) * 2020-12-10 2022-06-16 Beijing Baidu Netcom Science And Technology Co., Ltd. Data processing method, apparatus, electronic device and readable storage medium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52792A (en) 2010-11-16 2012-05-24 (주)한솔서플라이 On-line shop total sales system based on share of sales good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52792A (en) 2010-11-16 2012-05-24 (주)한솔서플라이 On-line shop total sales system based on share of sales good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188292A1 (en) * 2020-12-10 2022-06-16 Beijing Baidu Netcom Science And Technology Co., Ltd. Data processing method, apparatus, electronic device and readable storage mediu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33588B1 (en) User interface presentation on system with multiple terminals
US10692140B1 (en) Customized financing based on transaction information
US9129274B1 (en) Controlling access based on display orientation
US11423476B1 (en) Customized financing based on transaction information
AU2020203422A1 (en) Controlling access based on display orientation
US9710802B2 (en) Merchant competition alert
US11501366B1 (en) Inventory management with capital advance
US20130282533A1 (en) Providing an online consumer shopping experience in-store
US20120158482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anaging In-Store Purchases Using Mobile Devices
US20110276385A1 (en) Mobile Shopping Decision Agent
US20130297464A1 (en) System, Method,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For Identifying A Product
CN107077673A (en) Exempt from transaction manually using inquiry request
KR20150017781A (en) Purchasing service system and purchasing service method using identification code of goods
US20160171472A1 (en) System and method for identifying member customers of a retail enterprise membership service at enterprise point-of-sale systems
US20220414048A1 (en) Data processing systems and methods for transmitting and modifying data via a smart data cable
KR20160049323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ileage payment
KR102068532B1 (en) Method for providing service of o2o(online to offline
KR101815228B1 (en) Method for providing service of allowing used books to be saled and system using the same
US20160239885A1 (en) Method of Making and Managing Online Purchases from Different External Vendors
KR20210071807A (en) Logistics service system and method for online products, user terminal and logistics server therefor
KR20220072440A (en) Wedding business customized platform
KR102245608B1 (en) Purchase system of good in vending machine using smart application
KR20130139397A (en) Manless market, method, system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managing the same
TWI640942B (en) Online bargaining system and online goods promotion system
KR102305713B1 (en) Method for providing integrated online purchasing for offline store item and system thereo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