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71614A - 카투홈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카투홈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71614A
KR20210071614A KR1020190161988A KR20190161988A KR20210071614A KR 20210071614 A KR20210071614 A KR 20210071614A KR 1020190161988 A KR1020190161988 A KR 1020190161988A KR 20190161988 A KR20190161988 A KR 20190161988A KR 20210071614 A KR20210071614 A KR 202100716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rvice
timeout
inquiry
car
control gro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19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용우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619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71614A/ko
Priority to US16/801,495 priority patent/US20210174975A1/en
Publication of KR202100716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161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16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by calling their functionalities
    • H04L12/2818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by calling their functionalities from a device located outside both the home and the home network
    • H04L67/325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60Scheduling or organising the servicing of application requests, e.g. requests for application data transmissions using the analysis and optimisation of the required network resources
    • H04L67/62Establishing a time schedule for servicing the reques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Y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SPECIALLY ADAPTED FOR THE INTERNET OF THINGS [IoT]
    • G16Y40/00IoT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f the information processing
    • G16Y40/10Detection; Monitoring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Y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SPECIALLY ADAPTED FOR THE INTERNET OF THINGS [IoT]
    • G16Y40/00IoT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f the information processing
    • G16Y40/30Control
    • G16Y40/35Management of things, i.e. controlling in accordance with a policy or in order to achieve specified objectiv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16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by calling their functional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23Reporting information sensed by appliance or service execution status of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H04L12/2827Reporting to a device within the home network; wherein the reception of the information reported automatically triggers the execution of a home appliance functionality
    • H04L12/2829Reporting to a device within the home network; wherein the reception of the information reported automatically triggers the execution of a home appliance functionality involving user profiles according to which the execution of a home appliance functionality is automatically trigger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3Processing of data at an internetworking point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 H04L12/2834Switching of information between an external network and a home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H04L67/125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involving control of end-device applications over a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18Self-organising networks, e.g. ad-hoc networks or sensor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2012/2847Home automation network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home appliance used
    • H04L2012/285Generic home appliances, e.g. refrigera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0Bus networks
    • H04L2012/40267Bus for use in transportation systems
    • H04L2012/40273Bus for use in transportation systems the transportation system being a vehic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3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 H04W4/4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vehicles, e.g. vehicle-to-pedestrians [V2P]
    • H04W4/44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vehicles, e.g. vehicle-to-pedestrians [V2P] for communication between vehicles and infrastructures, e.g. vehicle-to-cloud [V2C] or vehicle-to-home [V2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70Services for machine-to-machine communication [M2M] or machine type communication [MT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Economic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카투홈 서비스 시스템 및 그의 서비스 타임아웃 설정 방법에 관한 것으로, 차량에서 원격으로 제어 가능한 IoT(Internet of Things) 기기에 대한 기기 유형 및 기기 개수를 기반으로 서비스 타임아웃을 동적으로 설정하고 설정된 서비스 타임아웃에 기반하여 카투홈 서비스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카투홈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CAR TO HOME SERVICE SYSTEM AND METHOD}
본 발명은 카투홈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카투홈(Car to Home) 서비스는 차량 내에서 집안에 있는 조명, 에어컨, 세탁기, 건조기, 냉장고 및 가스차단기 등의 홈 IoT(Internet of Things) 기기를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게 하는 커넥티드 카 서비스(Connected Car Service)이다. 커넥티드 카 서비스를 제공하는 자동차 OEM(Original Equipment Manufacturing)은 차량 내 헤드유닛(H/U)의 무한 로딩 및/또는 무한 대기를 방지하기 위해 타임아웃(time-out)을 설정하여 운영한다. 타임아웃은 자동차 OEM으로부터 결과를 수신하는 시간에서 차량의 헤드유닛이 명령을 송신한 시각을 뺀 것으로, 대다수의 커넥티드 카 서비스에 공통적으로 적용된다.
기존 커넥티드 카 서비스의 타임아웃은 자동차 OEM의 자체 제공 서비스(차량 원격 제어, 차량 원격 상태 확인) 기준으로 설계되었기에 일정한 상수(constant value)로 정의된다. 카투홈 서비스와 같이 서비스 참여자가 많고 전체 구성 레이어(layer)가 다단계인 경우, 상수값을 갖는 기존의 타임아웃은 서비스 복잡도 반영이 불가하여 실제 정상 동작임에도 불구하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없는 한계가 존재한다. 예컨대, 도 1을 참조하면, Case 1과 같이 전등, 플러그 및 보일러 제어를 위한 총 소요 시간(전체 동작 시간) Ttotal이 서비스 타임아웃 Ttime-out 이상인 경우, 서비스 성공 및 실패 여부와 관계 없이 항상 '서비스 실패'로 판단된다. Case 2와 같이 평균 동작 시간 Ttotal(Avg.)이 서비스 타임아웃 Ttime-out 이상인 경우, 대다수의 경우 서비스 실패로 판단된다. 또한, Case 3과 같이 전체 동작 시간 Ttotal이 서비스 타임아웃 Ttime-out 미만인 경우, 실제 서비스 실패로 서버로부터 리턴(return)을 받지 못하고 있지만 서비스 타임아웃 Ttime-out이 남아 차량의 헤드유닛은 대기(로딩중)해야 한다.
본 발명은 서비스 환경에 따라 서비스 타임아웃을 동적으로 설정하는 카투홈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카투홈 서비스 시스템은 차량에서 원격으로 제어 가능한 IoT(Internet of Things) 기기에 대한 기기 유형 및 기기 개수를 기반으로 서비스 타임아웃을 동적으로 설정하고 설정된 서비스 타임아웃에 기반하여 카투홈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서버를 포함한다.
상기 서비스 서버는, 연동기기 리스트, 조회 및 제어 실행 리스트, 조회 및 제어 건별 소요 시간 정보 및 타임아웃 설정 정보를 저장하여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서비스 서버는, 상기 연동기기 리스트를 활용하여 상기 기기 개수에 따라 상기 기기 유형을 조합하여 제어 그룹을 분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서비스 서버는, 상기 조회 및 제어 실행 리스트와 조회 및 제어 건별 소요시간 정보를 활용하여 제어 그룹별 조회 및 제어 실행 총 소요 시간을 산출하고, 상기 제어 그룹별 조회 및 제어 실행 총 소요 시간에 대해 정규 분포 피팅을 통해 제어 그룹별 동작 소요 시간의 평균과 분산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서비스 서버는, 상기 조회 및 제어 실행 리스트 중 실패 케이스 및 임계 소요 시간을 초과하는 데이터를 이상치로 검출하여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서비스 서버는, 상기 제어 그룹별 동작 소요 시간의 평균과 분산에 기반하여 타임아웃 룰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타임아웃 룰은, 전체 발생 건수 중 정상 동작으로 판단하는 범위를 결정하는 기준 분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서비스 서버는, 상기 타임아웃 룰에 근거하여 상기 제어 그룹별로 타임아웃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서비스 서버는, 상기 기준 분산에 매칭되는 조회 및 제어 실행 총 소요시간을 이용하여 타임아웃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서비스 서버는, 차량 사용자 계정과 IoT 서비스 계정을 연동하여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카투홈 서비스 방법은 차량에서 원격으로 제어 가능한 IoT(Internet of Things) 기기에 대한 기기 유형 및 기기 개수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기기 유형 및 상기 기기 개수를 기반으로 서비스 타임아웃을 동적으로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서비스 타임아웃의 설정에 기반하여 카투홈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서비스 타임아웃을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기기 유형 및 상기 기기 개수를 기반으로 상기 IoT 기기의 제어 그룹별 동작 소요 시간의 평균 및 분산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동작 소요 시간의 평균 및 분산을 분석하여 제어 그룹별 타임아웃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 그룹별 동작 소요 시간의 평균 및 분산을 산출하는 단계는, 데이터베이스에 기저장된 연동기기 리스트를 활용하여 상기 기기 개수에 따라 상기 기기 유형을 조합하여 제어 그룹을 분류하는 단계,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기저장된 조회 및 제어 실행 리스트와 조회 및 제어 건별 소요시간 정보를 활용하여 제어 그룹별 조회 및 제어 실행 총 소요 시간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제어 그룹별 조회 및 제어 실행 총 소요 시간에 대해 정규 분포 피팅을 통해 상기 평균과 분산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 그룹별 동작 소요 시간의 평균 및 분산을 기반으로 타임아웃 룰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 그룹별 조회 및 제어 실행 총 소요 시간을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조회 및 제어 실행 리스트 중 실패 케이스 및 임계 소요 시간을 초과하는 데이터를 이상치로 검출하여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 그룹별 타임아웃을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타임아웃 룰에 근거하여 상기 제어 그룹별 타임아웃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서비스 환경에 따라 서비스 타임아웃을 동적으로 설정하므로, 실제로 서비스 제공이 가능함에도 타임아웃으로 인해 서비스를 제공하지 못하는 비율을 줄일 수 있으며, 실제 서비스 실패 상태에서 타임아웃까지 불필요하게 대기하지 않게 한다.
도 1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카투홈 서비스 시스템을 도시한 구성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서비스 서버의 블록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그룹별 타임아웃 동적 설정
도 5는 본 발명과 관련된 그룹별 타임아웃 도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과 관련된 타임아웃 동적 설정 결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과 관련된 카투홈 서비스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
도 8은 도 7에 IoT 기기의 제어 조합별 동작 소요 시간의 평균 및 분산을 산출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카투홈(Car to Home) 서비스 시스템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카투홈 서비스 시스템은 차량 단말(100), 서비스 서버(200), IoT(Internet of Things) 서버(300), IoT 기기(400), 및 허브(500)를 포함한다.
차량 단말(100)은 차량에 탑재되는 전자기기로, 헤드유닛(head unit, H/U)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차량 단말(100)은 통신장치, 입력장치, 출력장치, 프로세서 및 메모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차량 단말(100)은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카투홈 명령(예: 조회 또는 동작 제어 등)을 서비스 서버(200)로 전송한다. 차량 단말(100)은 서비스 서버(200)로부터 카투홈 명령에 대한 처리 결과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 및/또는 스피커 등을 통해 출력한다.
서비스 서버(200)는 카투홈 서비스를 제공하는 OEM(Original Equipment Manufacturing) 서버로, 차량에서 발생하는 카투홈 명령을 수신하여 IoT 서버(300)로 전달한다. 서비스 서버(200)는 차량 단말(100)로부터 전송되는 카투홈 명령을 수신하면 수신된 카투홈 명령을 IoT 서버(300)로 송신한다. 서비스 서버(200)는 IoT 서버(300)로부터 카투홈 명령에 대한 처리 결과를 수신하여 차량 단말(100)로 전송(전달)한다.
서비스 서버(200)는 서비스 환경에 따라 서비스 타임아웃을 동적으로 설정한다. 또한, 서비스 서버(200)는 차량 사용자 계정 및 IoT 서비스 계정을 관리한다.
IoT 서버(300)는 IoT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으로, 제1서버(310) 및 제2서버(320)를 포함한다. 본 실시 예에서는 IoT 서버(300)가 제1서버(310) 및 제2서버(320)로 구성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제1서버(310) 단독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제1서버(310)는 IoT 서비스를 수행하는 CP(Contents Provider) 서버로, 등록된 IoT 기기 정보를 서비스 서버(200)로 전달한다. 제1서버(310)는 서비스 서버(200)로부터 수신한 각 차량의 요청에 대해 연동되는 IoT 기기(400)로 명령하고 명령에 대한 결과를 서비스 서버(200)로 전달한다.
서비스 서버(200)와 제1서버(310)는 차량 사용자 계정(즉, 카투홈 서비스 사용자 계정)과 IoT 서비스 계정 간의 매칭을 통해 하나의 사용자로 인식할 수 있다.
제2서버(320)는 IoT 기기 제조사 서버로, IoT 기기(400)의 상태 정보를 획득하여 제1서버(310)로 전송(제공)한다. 또한, 제2서버(320)는 제1서버(310)의 요청에 따라 IoT 기기(400)의 동작을 제어하고, 그로 인해 변경되는 IoT 기기(400)의 상태 정보를 획득하여 제1서버(310)에 전달한다.
이상에서는 제1서버(310)가 제2서버(320)를 통해 IoT 기기(400)의 상태 정보를 획득하고 IoT 기기(400)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1서버(310)가 IoT 기기(400)와 직접 연결되어 IoT 기기(400)의 상태 정보 획득 및 동작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IoT 기기(400)는 가정 내 설치되는 홈 스마트 기기로, IoT 서버(300)와 통신이 가능하다. IoT 기기(400)는 조명, 스마트 플러그, 에어컨, 세탁기, 건조기, 냉장고, 보일러 및/또는 가스차단기 등일 수 있다.
허브(500)는 가정에 설치되어 제1서버(310)가 집안의 IoT 기기(400)와 통신할 수 있게 지원한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서비스 서버의 블록구성도를 도시하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그룹별 타임아웃 동적 설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과 관련된 그룹별 타임아웃 도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6은 본 발명과 관련된 타임아웃 동적 설정 결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서비스 서버(200)는 통신부(210), 메모리(220), 데이터베이스(DB)(230) 및 처리부(240)를 포함한다.
통신부(210)는 통신망을 통해 차량 단말(100) 및/또는 IoT 서버(300)와 통신을 수행한다. 통신망은 차량과 인프라 간 통신(Vehicle to Infrastructure, V2I), WLAN(Wireless LAN)(Wi-Fi),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LTE(Long Term Evolution),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20, LAN(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이더넷(Ethernet) 및/또는 ISDN(Integrated Services Digital Network)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220)는 처리부(240)가 기 정해진 동작을 수행하도록 프로그래밍된 소프트웨어를 저장한다. 또한, 메모리(220)는 처리부(240)의 입력 데이터 및/또는 출력 데이터를 임시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220)는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하드디스크(hard disk), SD 카드(Secure Digital Card),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 Only Memory, ROM), PROM(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OM), EPROM(Erasable and Programmable ROM) 및 레지스터 등의 저장매체(기록매체) 중 적어도 하나로 구현될 수 있다.
DB(230)는 차량 사용자 계정별 카투홈 서비스 사용 정보 즉, 연동기기 리스트, 조회 및 제어 실행 리스트, 조회 및 제어 건별 소요시간 정보 및 타임아웃 설정 정보를 저장하여 관리한다. 연동기기 리스트는 IoT 서비스 계정별 카투홈 서비스를 통해 제어 가능한 홈 스마트 기기 리스트이다. 연동기기 리스트는 카테고리 항목별로 실제 하나의 기기명을 저장한다. 예를 들어, 연동기기 리스트는 방1 전등1, 방1 전등2, 방2 전등1, 방2 전등2, 안방 에어컨, 거실 에어컨1 및 거실 에어컨2 등을 포함한다. 조회 및 제어 실행 리스트(조회/제어 실행 리스트)는 차량에서 IoT 기기(400)의 현재 상태(예: On/Off 및/또는 설정 온도 등)를 조회하거나 동작 제어 이력(예: 목표온도 29도 및/또는 On/Off 등)를 포함한다. 조회 및 제어 건별 소요시간(조회/제어 건별 소요시간) 정보는 조회/제어 실행 리스트에서 각각의 동작 실행 시 차량 단말(100)에서 명령이 실행되고 그에 대한 결과를 차량 단말(100)에 출력하기까지 소요된 시간(동작 소요 시간)을 포함한다. 타임아웃 설정 정보는 연동기기 리스트에 등록된 모든 IoT 기기(400)에 대한 조회/제어 타임아웃 설정 값을 포함한다.
처리부(240)는 서비스 서버(2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처리부(240)는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DSP(Digital Signal Processor), PLD(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CPU(Central Processing unit),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및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중 적어도 하나로 구현될 수 있다.
처리부(240)는 계정 관리 모듈(241) 및 타임아웃 설정 모듈(242)을 포함한다. 계정 관리 모듈(241)은 차량 사용자 계정과 IoT 서비스 계정을 연동하여 관리한다. 차량 사용자 계정은 서비스 서버(200)에 등록된 사용자 계정이고, IoT 서비스 계정은 IoT 서버(300)에 등록된 사용자 계정이다. 계정 관리 모듈(241)은 차량 사용자 계정별로 카투홈 타임아웃을 관리한다.
타임아웃 설정 모듈(242)은 카투홈 서비스 구성(즉, 서비스 환경)에 따른 서비스 완료 시간을 분석한다. 타임아웃 설정 모듈(242)은 분석결과를 토대로 차량 사용자 계정별 타임아웃을 결정한다. 이러한 타임아웃 설정 모듈(242)은 서비스 범주화(service categorization), 사용 통계(usage statistics), 이상치 검출(outlier detection) 및 타임아웃 산출(time-out calculation)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타임아웃 설정 모듈(242)은 DB(230)에서 관리되는 연동기기 리스트를 활용하여 기기 유형 및 기기 개수에 따라 서비스 카테고리(제어 그룹)를 분류한다. 타임아웃 설정 모듈(242)은 연동기기 즉, 카투홈 서비스를 통해 제어 가능한 IoT 기기(400)에 대한 기기 유형 및 기기 개수에 따라 IoT 기기(400)를 조합하여 그루핑(grouping)한다. 예컨대, 기기 유형이 A, B 및 C 3가지 유형인 경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기 개수에 따라 기기 유형을 조합하여 제어 그룹을 분류한다.
타임아웃 설정 모듈(242)은 DB(230)에 저장된 조회/제어 실행 리스트 및 조회/제어 건별 소요시간 정보를 이용하여 제어 그룹별로 조회/제어 실행 총 소요시간(서비스 완료 시간)을 산출한다. 타임아웃 설정 모듈(242)은 차량에서 요청한 IoT 기기(400)에 대한 조회/제어 실행 건별 차량 단말(100)에서 조회/제어 요청을 송신한 시간(sending time)과 요청에 대한 결과를 수신한 시간(receiving time)을 도출한다.
타임아웃 설정 모듈(242)은 조회/제어 실행 리스트 중 실패 케이스(case) 및 임계 소요 시간을 초과하는 데이터를 이상치로 검출한다. 타임아웃 설정 모듈(242)은 검출된 이상치를 제거한다.
타임아웃 설정 모듈(242)은 각 제어 그룹별 조회/제어 실행 총 소요시간 데이터에 대해 정규 분포 피팅(Normal Distribution Fitting)을 통해 평균 μ과 분산 σ을 도출(산출)한다.
타임아웃 설정 모듈(242)은 각 제어 그룹별 동작 소요 시간 발생 데이터 분석을 통해 도출된 평균 및 분산을 기반으로 타임아웃 룰을 설정한다. 여기서, 타임아웃 룰은 타임아웃 설정값(기정해진 경과 시간)이 전체 발생 건수 중 정상 동작으로 판단하는 범위를 의미한다. 다시 말해서, 타임아웃 룰은 전체 발생 건수 중 정상 동작으로 판단하는 범위를 결정하는 기준 분산이다.
타임아웃 설정 모듈(242)은 설정된 타임아웃 룰에 근거하여 각 그룹별 타임아웃(즉, 경과시간 또는 지연시간)을 결정(산출)한다. 타임아웃 설정 모듈(242)은 기준 분산에 매칭되는 조회 및 제어 실행 총 소요시간을 이용하여 타임아웃으로 설정한다.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산 95%를 타임아웃 룰로 설정하면, 타임아웃 설정 모듈(242)은 각 제어 그룹별 평균 및 분산에 따라 95% 범위를 포함하기 위한 타임아웃을 도출한다.
타임아웃 설정 모듈(242)은 결정된 각 그룹별 타임아웃을 계정관리 모듈(241)로 전달하여 서비스 타임아웃을 설정한다. 계정관리 모듈(241)은 각 그룹별 타임아웃을 차량 사용자 계정 정보에 반영하고, 카투홈 서비스 실행 시 반영된 타임아웃 설정을 기반으로 카투홈 서비스를 제공한다.
따라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투홈 서비스 환경 즉, 전등 단일 제어, 플러그 단일 제어, 전등과 플러그 복합 제어 및/또는 전등과 플러그와 보일러 복합 제어에 따라 타임아웃을 동적으로 설정하므로, 종래의 타임아웃을 단일 상수로 설정하는 경우의 서비스 제공 한계를 극복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과 관련된 카투홈 서비스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고, 도 8은 도 7에 IoT 기기의 제어 조합별 동작 소요 시간의 평균 및 분산을 산출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7에 따르면, 서비스 서버(200)는 각 차량에서 원격으로 제어 가능한 IoT 기기(400)의 기기 유형 및 기기 개수를 검출한다(S110). 서비스 서버(200)의 처리부(240)는 DB(230)에 저장된 연동기기 리스트를 이용하여 차량 사용자 계정별로 카투홈 서비스를 통해 제어 가능하도록 연동된 IoT 기기(400)(들)에 대한 기기 유형 및 기기 개수를 확인한다.
서비스 서버(200)는 기기 유형 및 기기 개수를 기반으로 IoT 기기(400)의 제어 조합별 동작 소요 시간의 평균 및 분산을 산출한다(S120). 도 8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서비스 서버(200)는 연동기기 리스트를 활용하여 기기 유형 및 기기 개수에 따라 제어 그룹을 분류한다(S121). 다시 말해서, 서비스 서버(200)는 기기 개수에 따라 기기 유형을 조합하여 제어 그룹을 분류(구분)한다. 예를 들어, 서비스 서버(200)는 연동기기가 전등과 에어컨 2개의 유형이고, 기기 개수가 2개인 경우, 1개의 전등 단독 제어, 1대의 에어컨 단독 제어, 2개의 전등 복합 제어, 2대의 에어컨 복합 제어 및 1개의 전등과 1대의 에어컨 복합 제어로 제어 그룹(서비스 카테고리)을 분류한다. 서비스 서버(200)는 DB(230)에 저장된 조회/제어 실행 리스트 및 조회/제어 건별 소요시간 정보를 이용하여 제어 그룹별로 조회/제어 실행 총 소요시간을 산출한다(S122). 서비스 서버(200)는 차량에서 요청한 IoT 기기(400)에 대한 조회/제어 실행 건별 차량 단말(100)에서 조회/제어 요청을 송신 시간과 요청에 대한 결과를 수신 시간을 도출한다. 서비스 서버(200)는 조회/제어 실행 리스트 중 실패 케이스(case) 및 과도한 총 소요시간 데이터 즉, 이상치를 검출하여 제거한다. 서비스 서버(200)는 각 제어 그룹별 조회/제어 실행 총 소요시간 데이터에 대해 정규 분포 피팅(Normal Distribution Fitting)을 통해 평균 μ과 분산 σ을 도출(산출)한다(S123). 서비스 서버(200)는 각 제어 그룹별 동작 소요 시간 발생 데이터 분석을 통해 도출된 평균 및 분산을 기반으로 타임아웃 룰을 설정한다(S124). 여기서, 타임아웃 룰은 전체 발생 건수 중 정상 동작으로 판단하는 범위를 결정하는 기준 분산이다.
서비스 서버(200)는 IoT 기기(400)의 제어 조합별 타임아웃을 설정한다(S130). 서비스 서버(200)는 설정된 타임아웃 룰에 근거하여 각 그룹별 타임아웃(즉, 경과시간 또는 지연시간)을 결정(산출)한다. 서비스 서버(200)는 기준 분산에 매칭되는 조회 및 제어 실행 총 소요시간을 이용하여 타임아웃으로 설정한다.
서비스 서버(200)는 설정된 타임아웃을 반영하여 카투홈 서비스를 제공한다(S140). 서비스 서버(200)는 결정된 각 그룹별 타임아웃을 반영하여 차량 사용자 계정별 서비스 타임아웃을 설정한다. 이후, 서비스 서버(200)는 카투홈 서비스 이용 시 반영된 타임아웃 설정을 기반으로 카투홈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차량 단말
200: 서비스 서버
210: 통신부
220: 메모리
230: DB
240: 처리부
300: IoT 서버
400: IoT 기기
500: 허브

Claims (15)

  1. 차량에서 원격으로 제어 가능한 IoT(Internet of Things) 기기에 대한 기기 유형 및 기기 개수를 기반으로 서비스 타임아웃을 동적으로 설정하고 설정된 서비스 타임아웃에 기반하여 카투홈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서버를 포함하는 카투홈 서비스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서버는, 연동기기 리스트, 조회 및 제어 실행 리스트, 조회 및 제어 건별 소요 시간 정보 및 타임아웃 설정 정보를 저장하여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투홈 서비스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서버는, 상기 연동기기 리스트를 활용하여 상기 기기 개수에 따라 상기 기기 유형을 조합하여 제어 그룹을 분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투홈 서비스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서버는, 상기 조회 및 제어 실행 리스트와 조회 및 제어 건별 소요시간 정보를 활용하여 제어 그룹별 조회 및 제어 실행 총 소요 시간을 산출하고, 상기 제어 그룹별 조회 및 제어 실행 총 소요 시간에 대해 정규 분포 피팅을 통해 제어 그룹별 동작 소요 시간의 평균과 분산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투홈 서비스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서버는, 상기 조회 및 제어 실행 리스트 중 실패 케이스 및 임계 소요 시간을 초과하는 데이터를 이상치로 검출하여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투홈 서비스 시스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서버는, 상기 제어 그룹별 동작 소요 시간의 평균과 분산에 기반하여 타임아웃 룰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투홈 서비스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타임아웃 룰은, 전체 발생 건수 중 정상 동작으로 판단하는 범위를 결정하는 기준 분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투홈 서비스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서버는, 상기 타임아웃 룰에 근거하여 상기 제어 그룹별로 타임아웃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투홈 서비스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서버는, 상기 기준 분산에 매칭되는 조회 및 제어 실행 총 소요시간을 이용하여 타임아웃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투홈 서비스 시스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서버는, 차량 사용자 계정과 IoT 서비스 계정을 연동하여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투홈 서비스 시스템.
  11. 차량에서 원격으로 제어 가능한 IoT(Internet of Things) 기기에 대한 기기 유형 및 기기 개수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기기 유형 및 상기 기기 개수를 기반으로 서비스 타임아웃을 동적으로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서비스 타임아웃의 설정에 기반하여 카투홈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카투홈 서비스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타임아웃을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기기 유형 및 상기 기기 개수를 기반으로 상기 IoT 기기의 제어 그룹별 동작 소요 시간의 평균 및 분산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동작 소요 시간의 평균 및 분산을 분석하여 제어 그룹별 타임아웃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투홈 서비스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그룹별 동작 소요 시간의 평균 및 분산을 산출하는 단계는,
    데이터베이스에 기저장된 연동기기 리스트를 활용하여 상기 기기 개수에 따라 상기 기기 유형을 조합하여 제어 그룹을 분류하는 단계,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기저장된 조회 및 제어 실행 리스트와 조회 및 제어 건별 소요시간 정보를 활용하여 제어 그룹별 조회 및 제어 실행 총 소요 시간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제어 그룹별 조회 및 제어 실행 총 소요 시간에 대해 정규 분포 피팅을 통해 상기 평균과 분산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 그룹별 동작 소요 시간의 평균 및 분산을 기반으로 타임아웃 룰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투홈 서비스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그룹별 조회 및 제어 실행 총 소요 시간을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조회 및 제어 실행 리스트 중 실패 케이스 및 임계 소요 시간을 초과하는 데이터를 이상치로 검출하여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투홈 서비스 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그룹별 타임아웃을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타임아웃 룰에 근거하여 상기 제어 그룹별 타임아웃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투홈 서비스 방법.
KR1020190161988A 2019-12-06 2019-12-06 카투홈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210071614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1988A KR20210071614A (ko) 2019-12-06 2019-12-06 카투홈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US16/801,495 US20210174975A1 (en) 2019-12-06 2020-02-26 Car to home service system and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1988A KR20210071614A (ko) 2019-12-06 2019-12-06 카투홈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1614A true KR20210071614A (ko) 2021-06-16

Family

ID=762100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1988A KR20210071614A (ko) 2019-12-06 2019-12-06 카투홈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210174975A1 (ko)
KR (1) KR2021007161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96271A1 (ko) * 2021-11-26 2023-06-01 삼성전자 주식회사 탑승자 모니터링 시스템에 기반하여 외부 장치를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36412A1 (en) * 2021-09-09 2023-03-16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Apparatuses, methods and computer programs for a vehicle and for a home network nod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96271A1 (ko) * 2021-11-26 2023-06-01 삼성전자 주식회사 탑승자 모니터링 시스템에 기반하여 외부 장치를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10174975A1 (en) 2021-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53004B2 (en) Methods and apparatus to facilitate end-user defined policy management
US10855811B2 (en) Network device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US7129823B2 (en) Communications setting method and communications setting system for power line communications system
JPH11501491A (ja) 無線パケットホッピング網を初期化するための方法
CN108111999B (zh) 设备分享请求和控制方法及电子设备、存储介质
US8484323B2 (en) Network system connected with multiple master device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US20100191848A1 (en) Information sharing method between neighboring nodes, node and information sharing program
KR20210071614A (ko) 카투홈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CN111182659B (zh) 一种Mesh设备的模式切换方法、模式切换装置及Mesh设备
US10944716B2 (en) Metering device address management method, collection terminal, and metering device
RU2648271C2 (ru) Способы для адаптивного управляемого освещения на основе транспортного потока в наружных осветительных сетях
US20080168030A1 (en) Method and system for identifying and selecting a wireless device or network for connection
US20130114582A1 (en) Wireless mesh network device protocol translation
CN111541607A (zh) 基于网关设备的通信方法、装置、设备、系统及存储介质
CN106559259B (zh) 设备异常行为告警方法及装置和平台信息查询方法及装置
US6859895B2 (en) Method of monitoring life-or-death state of host computer connected to network and life-and-death monitoring system
US11108588B2 (en) Configuration information to an internet of things multiplexer
CN113179197B (zh) 家电设备资源共享方法、设备以及存储装置
CN115314518A (zh) 物联网管理方法、系统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US11477299B2 (en) Conditional implementation of a service
CN115486039A (zh) 节点控制单元和网络服务设备
CN112866906A (zh) 一种设备激活方法、服务器、设备及系统
KR102169113B1 (ko) Ap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스마트 유지 보수 방법
US11563659B2 (en) Edge alert coordinator for mobile devices
KR101342697B1 (ko) 접속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