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70722A - Ultra thin glass that protecting the flexible display surfaces - Google Patents

Ultra thin glass that protecting the flexible display surface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70722A
KR20210070722A KR1020190160812A KR20190160812A KR20210070722A KR 20210070722 A KR20210070722 A KR 20210070722A KR 1020190160812 A KR1020190160812 A KR 1020190160812A KR 20190160812 A KR20190160812 A KR 20190160812A KR 20210070722 A KR20210070722 A KR 202100707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ltra
thin glass
thickness
flexible display
gla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081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창훈
Original Assignee
씨엠원글로벌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씨엠원글로벌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씨엠원글로벌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608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70722A/en
Publication of KR202100707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0722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27/00Tempering or quenching glass products
    • C03B27/012Tempering or quenching glass products by heat treatment, e.g. for crystallisation; Heat treatment of glass products before tempering by cool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17/00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coating
    • C03C17/001General methods for coating; Devices therefor
    • C03C17/002General methods for coating; Devices therefor for flat glass, e.g. float glas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1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flexible foldable or roll-able electronic displays, e.g. thin LCD, OLED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Surface Treatment Of Glas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ultra-thin glass that protects the surface of a flexible display used for a display of an in-folding method smart phone. The thickness of the ultra-thin glass is 15 to 65 μm, and the ultra-thin glass is strengthened by heating, aging, and cooling steps. In order to protect the surface of the flexible display used as a smartphone screen by using the ultra-thin glass having the thickness of 15 to 65 μm, an optimized heat treatment process with improved properties of the ultra-thin glass is secured.

Description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표면을 보호하는 초 박막 글라스{ULTRA THIN GLASS THAT PROTECTING THE FLEXIBLE DISPLAY SURFACES}ULTRA THIN GLASS THAT PROTECTING THE FLEXIBLE DISPLAY SURFACES

본 발명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표면을 보호하는 초 박막 글라스에 관한 것으로서, 스마트폰 용으로 생산된 70 ∼ 400 ㎛ 정도의 비교적 얇은 글라스를 화학적으로 연마하여 15 ∼ 65 ㎛ 의 두께를 가진 초 박막 글라스(The Ultra Thin Glass, UTG)로 만든 다음, 상기 초 박박 글라스를 강화하는 열처리를 실시한 후에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보호하는 보호형 글라스로 만들고자 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표면을 보호하는 초 박막 글라스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ultra-thin glass that protects the surface of a flexible display, and chemically polishes a relatively thin glass of about 70-400 μm produced for smartphones to have a thickness of 15-65 μm. It relates to an ultra-thin glass that protects the surface of a flexible display to be made of a protective glass that protects the flexible display after being made of thin glass, UTG) and then subjected to heat treatment to strengthen the ultra-thin glass.

2019년부터 글로벌 스마트폰 제조사들이 본격적으로 폴더블폰 개발·양산에 나서며, 폴더블폰과 관련된 부품을 납품하는 회사들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따라서, 국내외의 기업들은 폴더블 스마트폰에 들어가는 부품을 준비하고 있으며, 현재 디스플레이 표면을 보호하는 커버는 폴더블의 특성상 글래스보다는 투명 폴리이미드(Colorless PI, CPI)를 채용하는 업체들이 다수다. 글라스의 경우에는 탄성 한도가 낮아서 현재 기술로는 폴더블 디스플레이의 커버로는 적합하지 않다는 것이다. 실제 금속과 유리는 0.5%도 안 되는 낮은 탄성한도를 보이지만, 플라스틱 필름의 경우에는 5%로 금속, 유리의 10배의 탄성 한도를 보여준다. Since 2019, global smartphone manufacturers have started developing and mass-producing foldable phones in earnest, and interest in companies that supply parts related to foldable phones is growing. Therefore, domestic and foreign companies are preparing parts for foldable smartphones, and there are currently many companies that use transparent polyimide (Colorless PI, CPI) rather than glass for the cover that protects the display surface due to the nature of the foldable. In the case of glass, the elastic limit is low, so the current technology is not suitable as a cover for a foldable display. In fact, metal and glass show a low elastic limit of less than 0.5%, but in the case of plastic film, it is 5%, showing an elastic limit 10 times that of metal and glass.

그러나 필름의 특성을 가지는 CPI필름 생산을 위해서는 베이스필름 위에 하드코팅 작업이 필요하다. 하지만 하드 코팅 작업을 실시하여도 모체가 필름인 이상 아무리 특성이 좋은 CPI필름일지라도 한계는 존재할 수 밖에 없다.However, in order to produce a CPI film with film characteristics, a hard coating operation is required on the base film. However, even after hard coating, as long as the matrix is a film, there are limitations no matter how good the CPI film is.

물론 대한민국 등록 특허 제 10-1557307호에서는 "디스플레이 커버글라스에 있어서; 강화글라스와 상기 강화글라스에 접합 구비되는 인쇄필름으로 구성하되, 상기 인쇄필름은 글라스접착층을 매개로 강화글라스에 접합 구비되며, 상기 인쇄필름은 글라스접착층 반대 면 테두리에 인쇄층을 인쇄형성하고, 상기 인쇄층의 상면에 인쇄이형지을 부착 구비하며, 인쇄필름의 중앙 부분에 디스플레이의 화면투사영역에 해당하는 인쇄필름의 중앙부분과 인쇄층의 내측 테두리를 절단제거하는 화면투사영역을 형성하고, 상기 인쇄층의 상면에 인쇄점착층에 의하여 점착된 인쇄이형지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커버글라스."를 제공하고, Of course, in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557307, "In the display cover glass; it consists of tempered glass and a printed film bonded to the tempered glass, wherein the printed film is attached to the tempered glass through a glass adhesive layer, and the The printing film forms a printing layer on the edge of the opposite side of the glass adhesive layer by printing, and a printing release paper is attach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printing layer, and the central part of the printing film corresponding to the screen projection area of the display and the printing layer in the central part of the printing film It provides a display cover glass, characterized in that it forms a screen projection area to cut and remove the inner edge of the print layer, and is formed of a print release paper adhered by a print adhesive layer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rint layer.

또한, 대한민국 공개 특허 제 10-2015-0131550호에서는 "터치스크린패널의 외관을 형성하는 글라스; 투명하고 접착성을 가지며, 일측면이 상기 글라스(500) 표면에 부착되는 접착층; 상기 접착층의 타측면 일부 영역에 부착되며 글자, 숫자, 문양, 또는 패턴이 인쇄된 인쇄층; 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인쇄층이 부착되지 않은 나머지 영역은 상기 접착층으로 채워져 상기 인쇄층이 부착된 영역과 그렇지 않은 영역의 두께가 균등하여 상기 인쇄층과 상기 접착층의 경계부위에 단차가 없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사 접착층이 구비된 터치스크린패널."을 제공합니다.In addition, in Korean Patent Laid-Open No. 10-2015-0131550, "Glass that forms the exterior of a touch screen panel; an adhesive layer that is transparent and has adhesive properties, one side of which is attached to the surface of the glass 500; the other side of the adhesive layer A printed layer attached to some areas and printed with letters, numbers, patterns, or patterns, and the remaining areas to which the printed layer is not attached are filled with the adhesive layer, so that the area to which the printed layer is attached and the area to which the printed layer is not attached Provides a touch screen panel with a thermal transfer adhesive layer, characterized in that there is no step difference at the boundary between the printed layer and the adhesive layer due to the uniform thickness of the panel.

그러나 상기의 기술은 모두 종래의 평편한 스마트폰 디스플레이의 표면을 보호하는 글라스에 관한 기술이며, 따라서 상기의 기슬을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에 적용할 수가 없게된다. However, all of the above techniques are related to glass protecting the surface of a conventional flat smartphone display, and thus the above technique cannot be applied to a flexible display.

그러나 이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스마트폰에 적용하는 제품이 출시되는 실정이어서, 스마트폰용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표면을 보호하기 위한 글라스의 개발이 절실한 실정이다. However, since a product for applying a flexible display to a smartphone has already been released, the development of glass for protecting the surface of the flexible display for a smartphone is urgently needed.

인용문헌 1: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557307호, 등록일(2015년09월25일)Cited Document 1: Republic of Korea Patent No. 10-1557307, registration date (September 25, 2015) 인용문헌 2: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15-0131550호, 공개일(2015년11월25일)Cited Document 2: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15-0131550, publication date (November 25, 2015)

본 발명의 목적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채용된 스마트폰에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표면을 보호하기 위한 글라스를 제공하기 위함이며, 이를 위하여 박막 글라스를 화학적으로 연마하여 초 박막 글라스(UTG)를 만들고 플라스틱 특성을 갖도록 열처리 등의 가공 공정을 거치므로서 결과적으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표면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하는 초 박막 글라스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glass for protecting the surface of the flexible display in a smart phone employing a flexible display, and for this purpose, a thin glass is chemically polished to make ultra thin glass (UTG) and plastic properties This is to provide an ultra-thin glass capable of protecting the surface of the flexible display by going through a processing process such as heat treatment to have it as a result.

상기 목적은, 인폴딩(In folding) 방식 스마트폰의 디스플레이에 사용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표면을 보호하는 초 박막 글라스 에서, 상기 초 박막 글라스의 두께는 15 ∼ 65 ㎛ 이고, 상기 초 박막 글라스는 승온단계, 에이징 단계, 냉각 단계를 통화여 강화되므로서 달성된다.The object is, in the ultra-thin glass to protect the surface of the flexible display used for the display of the in-folding method smart phone, the thickness of the ultra-thin glass is 15 ~ 65 ㎛, the ultra-thin glass is a temperature raising step, This is achieved by strengthening the aging phase and cooling phase.

그리고, 상기 초 박막 글라스의 응역은 400 Mpa ∼ 800 Mpa 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초 박막 글라스의 탄성한도는 1.5 % 에서 5 %이다.And, the stress of the ultra-thin glass is characterized in that 400 Mpa ~ 800 Mpa, the elastic limit of the ultra-thin glass is 1.5% to 5%.

또한, 상기 초 박막 글라스 측면이 모서리를 가공할 때, 상기 초박막 글라스의 경계에서 식각이 이루어지는 거리를 L이라 하고, 상기 초 박막 글라스의 두께를 T 라고 할 때, 상기 L 값과 T 값의 비는 In addition, when the side surface of the ultra-thin glass is etched at the boundary of the ultra-thin glass when the edge is processed, let L be the distance at which the ultra-thin glass is etched, and let the thickness of the ultra-thin glass be T, the ratio between the L value and the T value is

1/6 ≤ L/T ≤ 1/2 이다. 1/6 ≤ L/T ≤ 1/2.

아울러, 상기 초 박막 글라스의 표면을 강화하기 위하여 코팅하는 코팅의 두께는 In addition, the thickness of the coating to be coated to strengthen the surface of the ultra-thin glass is

1/30 ≤ T1(강화 코팅의 두꼐)/T(초 박막 글라스의 두께) ≤ 15/30 1/30 ≤ T1 (thickness of reinforcing coating)/T (thickness of ultra-thin glass) ≤ 15/30

이다.to be.

한편, 상기 초 박막 글라스를 강화하기 위하여 열처히 하는 공정 중에서, 냉각 속도는 냉각 속도는 1분당 7.5℃ 에서 1 분당 25℃ 까지 이다.Meanwhile, in the heat treatment process to strengthen the ultra-thin glass, the cooling rate is from 7.5°C per minute to 25°C per minute.

본 발명에 따르면, 15 ∼ 65 ㎛ 의 두께를 가진 초박막 글라스를 사용하여 스마트폰 화면으로 사용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표면을 보호할 수 있도록, 상기 초 박막 글라스의 특성이 향상되는 최적화된 열처리 공정이 확보되게 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 optimized heat treatment process that improves the properties of the ultra-thin glass is secured so that the surface of a flexible display used as a smartphone screen can be protected by using an ultra-thin glass having a thickness of 15 to 65 μm. .

도 1은 플렉서블 글라스가 접히는 방법을 나타낸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A)의 또 다른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3은 초 박막 글라스가 접혀지는 경우의 또 다른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4는 열처리 단계를 나타낸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5는 초 박막 글라스의 측면 가공을 나타낸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6은 접힘과 펼침 과정에서의 신뢰성 테스트 방법을 나타낸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7은 복층 구조를 가지는 초 박막 글라스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원 발명의 실제 적용예를 나타낸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9은 초 박막 글라스가 신축되는 정도를 나타낸 실시예의 도면이다.
1 is a view of an embodiment showing a method of folding a flexible glass,
FIG. 2 is a diagram of another embodiment of FIG. 1A .
3 is a view of another embodiment when the ultra-thin glass is folded.
4 is a diagram of an embodiment showing a heat treatment step.
5 is a view of an embodiment showing the side processing of the ultra-thin glass.
6 is a view of an embodiment showing a reliability test method in the folding and unfolding process.
7 is a view showing an ultra-thin glass having a multilayer structure.
8 is a diagram of an embodiment showing a practical applicatio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view of an embodiment showing the extent to which the ultra-thin glass is stretched.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구성 및 그에 따른 작용 효과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Hereinafter,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effects thereof will be clearly understood through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그리고, 공지된 기술 구성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할 수도 있다.In addi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known technical configuration may be omitted.

한편, 본원 발명의 결과물을 얻기 위하여, 화학적 식각을 하거나 열처리 공정을 수행하는 방법 중에 일부는 종래의 일반적인 방법을 따를 수 있다. Meanwhile, in order to obtain the result of the present invention, some of the methods of performing chemical etching or heat treatment may follow conventional general methods.

도 1은 플렉서블 글라스가 접히는 방법을 나타낸 실시예의 도면이다,1 is a view of an embodiment showing a method of folding a flexible glass,

상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폴딩(In folding) 방식에 적용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접히기 위해서는, 상대적으로 고정 기판(20)에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고정된 상태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접힘과 펼침 동작이 일어나게 된다. As shown in the figure, in order for the flexible display applied to the in-folding method to be folded, the folding and unfolding operations of the flexible display are performed while the flexible display is relatively fixed to the fixed substrate 20 . will wake up

그리고, 상기 인폴딩 방식에 적용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표면을 보호하는 본원 발명의 초 박막 글라스도 고정 기판(20)(금속 혹은 플라스틱 재질로 휘어지지 않고 고정되는 기판)에 고정되어 접힘과 펼침 동작이 일어나게 될 수 밖에 없다.In addition, the ultra-thin glass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protects the surface of the flexible display applied to the in-folding method, is also fixed to the fixed substrate 20 (a substrate fixed without bending of a metal or plastic material) so that folding and unfolding operations occur. it can only be

따라서, 본원 발명에서 개발된 초 박막 글라스(10)의 곡률 반경 측정과 일부 신뢰성 테스트 등의 실험은 도 1의 실시예의 방법으로 진행되게 되었다. Therefore, experiments such as measuring the radius of curvature of the ultra-thin glass 10 developed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some reliability tests were conducted in the method of the embodiment of FIG. 1 .

그리고, 도 1의 (A)에 도시된 기판 사이의 간격 G 의 값은 초 박막 글라스(10)의 곡률 반경에 따라 정해지게 된다. 즉, 도 1의 (B)와 도 1의 (C)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두개의 고정 기판(20)이 회전 이동하여 접혀지게 되면서, 상기 두개의 고정 기판(20)에 부착된 초 박박 글라스(10)도 함께 접혀지게 된다. And, the value of the gap G between the substrates shown in FIG. 1A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radius of curvature of the ultra-thin glass 10 . That is, as shown in FIGS. 1 (B) and 1 (C), the two fixed substrates 20 are rotated and moved to be folded, and the ultra-thin film attached to the two fixed substrates 20 The glass 10 is also folded together.

그러나 상기 초 박박 글라스(10)는 하나의 기판이 접히게 되는 것이므로, 곡률 반경이 최소한이라도 존재할 수 밖에 없기 때문에, 상기 G 값이 존재하게 된다. However, in the ultra-thin glass 10 , since one substrate is folded, the G value exists because the radius of curvature must exist at least.

즉, 상기 초 박박 글라스(10)가 완전히 접혀지는 과정에서도, 평편한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는 영역이 존재하고, 또한 접혀지는 영역이 존재하는 데, 여기서 초 박막 글라스(10)의 접혀지는 영역의 거리가 상기 G 값이 되는 것이다. That is, even in the process in which the ultra-thin glass 10 is completely folded, there is a region that maintains a flat state as it is, and there is a folded region, where the distance of the folded region of the ultra-thin glass 10 is the G value.

도 2는 도 1의 또 다른 실시예의 도면이다.FIG. 2 is a diagram of another embodiment of FIG. 1 ;

도 1의 (A)는 두개의 고정 기판(20) 사이의 간격이 G 만큼 이격된 경우의 실시예이지만, 도 2는 두개의 고정 기판(20)이 서로 맞 닿은 경우의 실시예이다. 그러나 도 2에서도 간격 G 는 존재하게 된다.1 (A) is an embodiment in which the interval between the two fixed substrates 20 is spaced apart by G, but FIG. 2 is an embodiment in which the two fixed substrates 20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However, the gap G also exists in FIG. 2 .

즉, 두개의 고정 기판(20)이 서로 맞 닿아 있는 경우에는 고정 영역과 간격 G 만큼의 비 고정 영역이 존재하게 된다. 도 2에서 표시된 고정 영역에서는 접착제 혹은 고정 수단에 의하여 초 박막 글라스(10)가 고정 기판(20)에 고정되어 있지만, 도 2에서 표시된 비 고정 영역(간격 G)에서는 초 박막 글라스(10)가 고정 기판(20)에 고정되어 있지 않고(혹은 접착되어 있지 않고)올려져 놓여진 상태가 될 뿐이다.That is, when the two fixed substrates 20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the fixed region and the non-fixed region by the interval G exist. In the fixed area shown in FIG. 2, the ultra-thin glass 10 is fixed to the fixed substrate 20 by an adhesive or fixing means, but in the non-fixed area (gap G) shown in FIG. 2, the ultra-thin glass 10 is fixed. It is not fixed to the substrate 20 (or is not adhered), but only in a state of being placed on it.

그리고, 도 2의 실시예에서도 도 1의 (B)와 (C) 도에서와 같이 두개의 고정기판(20)이 회전하여 접혀지게 되면, 고정 기판(20) 위에 구비된 초 박막 글라스(10)도 접혀지게 된다.And, in the embodiment of Fig. 2, as in Figs. 1 (B) and (C), when the two fixed substrates 20 are rotated and folded, the ultra-thin glass 10 provided on the fixed substrate 20. will also be folded.

한편, 상기 두개의 고정 기판(20)이 서로 이격되어 있더라고 상기 G 값 보다 적은 거리 만큼 이격되어 있다면, 상기 G 값 이내에 존재하는 영역에서는 상기 초 박막 글라스(10)와 고정 기판(20)은 서로 고정되어 있지 않게(접착되어 있지 않게) 된다. On the other hand, if the two fixed substrates 20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distance less than the G value, the ultra-thin glass 10 and the fixed substrate 20 are fixed to each other in the region existing within the G value. It is not attached (not glued).

도 3은 초 박막 글라스가 접혀지는 경우의 또 다른 실시예의 도면이다.3 is a view of another embodiment when the ultra-thin glass is folded.

본원 발명의 초 박막 글라스(10)가 실제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에서 사용되기 위해서는, 상기 초 박막 글라스(10)는 디스플레이부(50)에 올려 놓여져서 사용되게 된다. In order for the ultra-thin glass 10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used in an actual flexible display, the ultra-thin glass 10 is placed on the display unit 50 to be used.

이때, 본원 발명의 도 3에 도시된 디스플레이부(50)는 접혀지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와 그 위에 구비된 입력장치(터치 패널)을 의미한다.In this case, the display unit 50 shown in FIG. 3 of the present invention means a foldable flexible display and an input device (touch panel) provided thereon.

그리고, 도 3의 실시예에서도 도 1의 실시예에서처럼 두개의 고정 기판(20)이 회전되어 접혀지게 되면, 상기 초박막 글라스(10)와 상기 디스플레이부(50)도 함께 접혀지게 된다.And, when the two fixed substrates 20 are rotated and folded in the embodiment of FIG. 3 as in the embodiment of FIG. 1 , the ultra-thin glass 10 and the display unit 50 are also folded together.

한편, 이미 상용화되어 출시된 인폴딩 방식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경우 달성된 R 값이 5.0 혹은 4.6 이므로, 본원 발명에서 개발된 초 박막 글라스(10)의 R 값도 최소 5.0 혹은 4.6 이하는 되어야 한다. On the other hand, since the achieved R value is 5.0 or 4.6 in the case of an in-folding flexible display that has already been commercialized and released, the R value of the ultra-thin glass 10 developed in the present invention must also be at least 5.0 or 4.6 or less.

아울러 도 3의 실시예에서도, 고정 기판(20)을 도 2의 실시예의 예처럼 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비 고정 영역에서는 디스플레이부(50)와 고정 기판(20)사이에 접착제가 코팅되지 않게 된다. In addition, in the embodiment of Fig. 3, the fixed substrate 20 can be set as the example of the embodiment of Fig. 2, and in this case, the adhesive is not coated between the display unit 50 and the fixed substrate 20 in the non-fixed area. do.

- 초 박막 글라스의 제조 - - Manufacture of ultra-thin glass -

스마트폰 디스플레이 표면을 보호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글라스를 생산하는 업체에서 판매되는 글라스의 두께는 400 ㎛ 정도가 일반적이기는 하지만, 최근에는 200 ㎛ 이하 혹은 70 ㎛ 까지도 생산되어 판매되고 있는 실정이다.Although the thickness of the glass sold by companies that produce glass used to protect the surface of the smartphone display is generally about 400 μm, recently, it is produced and sold to 200 μm or less or even 70 μm.

그러나, 상기의 두께를 가진 글라스로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표면을 보호하는 글라스로서의 역할을 하지는 못한다. 따라서, 추가로 연마 공정을 거쳐 원하는 두께를 가지는 초 박막 글라스(10)를 제조하여야 한다. However, the glass having the above thickness does not serve as a glass that protects the surface of the flexible display.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manufacture the ultra-thin glass 10 having a desired thickness through an additional polishing process.

연마 공정을 위해서는 물리적인 연마도 사용되며, 물리적 연마는 매우 어렵고 힘든 작업이지만 오래 동안 우리 가공업을 한 업체는 수행할 수 있는 기술이다.For the polishing process, physical polishing is also used, and although physical polishing is a very difficult and laborious task, it is a technique that can be performed by a company that has been in our processing industry for a long time.

한편, 초 박막 글라스를 만들기위해 주로 사용하는 연마 공정은 불산액을 사용하여 화학적 식각을 하는 방법으로서, 종래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공정이다. 따라서, 상기 400 ㎛, 200 ㎛ 혹은 70 ㎛ 두께를 가진 글라스를 원하는 두께를 가지는 초 박막 글라스로 만드는 것은 종래의 화학적 연마 방법으로 달성 가능하다. On the other hand, a polishing process mainly used to make ultra-thin glass is a method of chemical etching using a hydrofluoric acid solution, which is a process generally used in the prior art. Therefore, it is possible to make the glass having a thickness of 400 μm, 200 μm, or 70 μm into ultra-thin glass having a desired thickness by a conventional chemical polishing method.

그러나, 초 박막 글라스가 플라스틱 특성을 가지게 되어 5.0 R 혹은 4.6 R 이하 혹은 그 이하의 R 값으로 접혀지면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표면을 보호하도록 하기 위하여서는, 상기 식각되어 연마된 초 박막 글라스를 강화하여 주어야 한다.However, in order to protect the surface of the flexible display while the ultra-thin glass has plastic properties and is folded to an R value of 5.0 R or 4.6 R or less or less, the etched and polished ultra-thin glass must be strengthened. .

- 초 박박 글라스의 강화 공정 - - Reinforcement process of ultra-thin glass -

종래 일반적으로 알려진 초 박막 글라스의 강화 공정은 원하는 두께로 가공된 초 박막 글라스를 강화액에 침전 시킨 다음, 오분에서 열처리를 하는 공정이다.The conventionally generally known strengthening process of ultra-thin glass is a process of precipitating ultra-thin glass processed to a desired thickness in a reinforcing solution and then performing heat treatment in 5 minutes.

강화액은 질산 나트륨(NaNO3), 질산 칼륨(KNO3)가 주로 사용되고, 실릭산(Silicic acid (H2SiO3)) 등이 소량 첨가되어 사용된다. As the fortification solution, sodium nitrate (NaNO 3 ), potassium nitrate (KNO 3 ) are mainly used, and a small amount of silicic acid (H 2 SiO 3 ), etc. is added and used.

도 4는 열처리 단계를 나타낸 실시예의 도면이다.4 is a diagram of an embodiment showing a heat treatment step.

도 4에서처럼, 열처리 공정은 승온 공정, 에이징 공정, 냉각 공정으로 3 단계로 나누어지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공정은 종래의 공정이므로, 본원 발명에서는 새로운 온도 조건의 방법을 찾아 초 박막 글라스의 특성을 향상키기게 된다.As shown in FIG. 4 , the heat treatment process is divided into three steps: a temperature increase process, an aging process, and a cooling process. And, since this process is a conventional process, in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of a new temperature condition is found to improve the properties of the ultra-thin glass.

과거 여러가지 시행착오를 겪으면서 최적화된 열처리 조건을 찾은 것은 승온 시간 2 시간, 400 ℃에서 2 시간 에이징, 그리고, 30 분 내에 냉각이었다. 그리고, 본원 발명에서는 실험 횟수를 그급적 줄이기 위하여, 미리 적정한 R 값과 적정한 두께를 정하여 이에 맞는 두께를 가진 초 박막 글라스(10)를 제조하고, 상기 제조된 초 박막 글라스가 적정한 R 값을 가질 수 있도록 열처리 하는 공정조건을 개발하는 방법을 사용하게 되었다. Through various trials and errors in the past, the optimized heat treatment conditions were found for 2 hours of heating time, 2 hours of aging at 400° C., and cooling within 30 minutes. And, in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drastically reduce the number of experiments, an appropriate R value and an appropriate thickness are determined in advance to manufacture an ultra-thin glass 10 having a suitable thickness, and the manufactured ultra-thin glass can have an appropriate R value. A method of developing process conditions for heat treatment was used.

초박막 글라스(10)의 적정한 두께는 30 ㎛ 로 정하였으며, 적정한 R 값을 2로 정하였다. 상기 정해진 30 ㎛의 값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에서 사용되는 보호 필름의 두께가 고려되어 정해진 값이며, 상기 정해진 2 R 값은 상용화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R 값이 5,0 혹은 4.6 이므로 여기에 적용가능한 수준이 되도록 적정한 R 값을 정하게 되었다.An appropriate thickness of the ultra-thin glass 10 was set to 30 μm, and an appropriate R value was set to 2. The predetermined value of 30 μm is a value determined in consideration of the thickness of the protective film used in the flexible display, and the determined 2 R value is 5, 0 or 4.6, so that the R value of the commercially available flexible display is 5, 0 or 4.6, so that it is applicable here. An appropriate R value was determined.

한편, 판매된 100 ㎛ 이상의 두께를 가지는 글라스를 가지고 불산액을 사용하여 연마 공정을 실시하고, 반복적으로 여러번 실시하여 30 ㎛ 두께를 가지는 초 박막 글라스를 제조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with the sold glass having a thickness of 100 μm or more, a polishing process is performed using a hydrofluoric acid solution, and the ultra-thin glass having a thickness of 30 μm is manufactured by repeatedly performing several times.

이때, 상기의 설명에서 처럼 최적화된 열처리 온도와 에이징 시간 조건은 아래와 같다. At this time, as described above, the optimized heat treatment temperature and aging time conditions are as follows.

- 승온 단계의 시간 : 2 시간 - Time of temperature increase step: 2 hours

- 에이징 온도 : 400 ℃ 에서 2 시간 - Aging temperature: 2 hours at 400 ℃

- 냉각 단계의 시간 : 상온(25℃)까지 30 분 - Time of cooling phase: 30 minutes to room temperature (25℃)

즉, 승온 단계에서의 승온 속도는 1분당 3.13 ℃ 이고, 냉각 단계에서의 1 분당 냉각 속도는 12,5 ℃ 이다.That is, the temperature increase rate in the temperature raising step is 3.13 °C per minute, and the cooling rate per minute in the cooling stage is 12.5 °C.

한편, 열처리지 오븐의 환경은 진공 혹은 불활성 기체가 존재하는 환경이다.On the other hand, the environment of the heat-treated paper oven is an environment in which a vacuum or an inert gas is present.

- 강화 실험 - - Reinforcement Experiment -

30 ㎛ 두께의 초 박막 글라스를 강화액에 담근 다음 상기 온도 조건으로 30 ㎛ 두께의 초 박막 글라스를 열처리 한 다음, 2 R 값이 되도록 접어 보았으니, 균열이 생겨 실패하게 되었다.After immersing 30 μm thick ultra-thin glass in the reinforcing solution, heat treatment of 30 μm-thick ultra-thin glass under the above temperature conditions, and then folding it to a value of 2 R, cracked and failed.

실패를 극복하기 위하여, 쇠의 담금질을 생각하였으며, 결국 반복하여 열처리를 하는 방법을 생각하게 되었다. In order to overcome the failure, I thought of quenching the iron, and eventually came to think of a method of repeated heat treatment.

그리고, 상기 열처리 공정을 1회부터 n회까지 반복 실시하여, 2 R 값이 되어도 초박막 글라스가 균열이 되지 않고 접힐 수 조건을 찾게 되었다.And, by repeating the heat treatment process from 1 to n times, the ultra-thin glass was found to be folded without cracking even at a value of 2R.

1) 30 ㎛ 두께를 가진 초박막 글라스를 가로 세로 각각 10 cm 와 15 cm 로 절단한 다음, 열처리 공정을 실시한다.1) After cutting the ultra-thin glass having a thickness of 30 μm into 10 cm and 15 cm in width and length, respectively, a heat treatment process is performed.

2) 상기 열처리 공정을 1회 실시한 다음 2R 값이 되도록 상기 초 박막 글라스를 접어 보았으나, 균열이 생기었다, 2) After performing the heat treatment process once, the ultra-thin glass was folded to a value of 2R, but cracks occurred,

3) 상기 2) 항목을 5회 반복 실험한 후에 상기 초 박막 글라스를 2 R 값이 되도록 접은 결과, 2 R 값이 되도록 상기 초 박막 글라스가 접히었다. 3) After repeating the experiment 2) 5 times, the ultra-thin glass was folded to a value of 2 R, and as a result, the ultra-thin glass was folded to a value of 2 R.

즉, 30 ㎛ 두께를 가진 초박막 글라스를 가지고 상기 열처리 공정을 5회 실시한 결과, 상기 초 박막 글라스가 2 R 값이 되도록 접히는 결과를 얻게 되었다.That is, as a result of performing the heat treatment process 5 times with the ultra-thin glass having a thickness of 30 μm, the result of folding the ultra-thin glass to a value of 2 R was obtained.

6회 반복 실시하니 더 안정적으로 접히는 결과를 얻게 되었지만, 5회 반복 실시하여도 크게 들어난 문제가 관찰되지는 않았다. When repeated 6 times, more stable folding results were obtained, but no significant problems were observed even after repeated 5 times.

4) n 회 반복 실험시 에이징 온도는 조건에 따라 다를 수 있다. 그리고 에이징 온도가 상기 400 ℃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1회 열처리시 온도는 450 ℃, 2 회 열처리 온도는 390 ℃ 로 할 수 있다. 그리고 3회부터 열처리 온도를 400℃ 로 할 수 있고, 400 ℃ 를 기준으로 변경할 수 있다. 4) The aging temperature may vary depending on the conditions for n repeated experiments. And the aging temperature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 400 ℃, that is, the temperature for one heat treatment may be 450 ℃, the second heat treatment temperature may be 390 ℃. And from the third time, the heat treatment temperature can be set to 400°C, and can be changed based on 400°C.

- 최적화 두께를 얻는 방법 - - How to get the optimized thickness -

1) 65 ㎛ 두께를 가지는 초 박막 글라스 :1) Ultra-thin glass with a thickness of 65 μm:

상기 열처리 공정을 8회 실시한 결과 4.6R 값으로 접히는 데 성공하였다, As a result of performing the heat treatment process 8 times, it was successful in folding to a value of 4.6R,

그러나, 상기 65 ㎛ 두께는 상용화되기 위한 한계의 두께로 볼 수 있어, 더 두껍게 하는 것은 상용화에 문제가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65 ㎛ 두께 까지만 실험을 실시하였다.However, the 65 μm thickness can be seen as the limit thickness for commercialization, and it was determined that there is a problem in commercialization to make it thicker, so that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only up to a thickness of 65 μm.

2) 50 ㎛ 두께를 가지는 초 박막 글라스 2) Ultra-thin glass with a thickness of 50 μm

상기 열처리 공정을 7회 실시한 결과 4.6R 값으로 접히는 데에 성공하였다.As a result of performing the heat treatment process 7 times, it was successful in folding to a value of 4.6R.

3) 40 ㎛ 두께를 가지는 초 박막 글라스 3) Ultra-thin glass with a thickness of 40 μm

상기 열처리 공정을 6회 실시한 결과 3.5R 값으로 접히는 데에 성공하였다.As a result of performing the heat treatment process 6 times, it was successful in folding to a value of 3.5R.

3) 20 ㎛ 두께를 가지는 초 박막 글라스 3) Ultra-thin glass with a thickness of 20 μm

상기 열처리 공정을 6회 실시한 결과 2.0R 값으로 접히는 데에 성공하였다.As a result of performing the heat treatment process 6 times, it was successful in folding to a value of 2.0R.

3) 15 ㎛ 두께를 가지는 초 박막 글라스 3) Ultra-thin glass having a thickness of 15 μm

상기 열처리 공정을 7회 실시한 결과 2.0R 값으로 접히는 데에 성공하였다.As a result of performing the heat treatment process 7 times, it was successful in folding to a value of 2.0R.

4) 10 ㎛ 두께를 가지는 초 박막 글라스 4) Ultra-thin glass with a thickness of 10 μm

상기 열처리 공정을 8회까지 실험하여도, 2.0R 값으로 접히는 과정에서 균열이 생기었다.Even when the heat treatment process was tested up to 8 times, cracks occurred in the process of folding to a value of 2.0R.

따라서, 2 R 값 내지는 이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로서 상용화된 5,0 R 혹은 4.6 R 이하 값을 가지도록 초 박막 글라스(15 ㎛ ∼ 65 ㎛ 의 두께)를 상기의 방법으로 열처리하면, 상기 언급된 R 값이 달성 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Therefore, when the ultra-thin glass (thickness of 15 μm to 65 μm) is heat-treated by the above method to have a value of 2 R or less than 5,0 R or 4.6 R, which has already been commercialized as a flexible display, the above-mentioned R value is was found to be achievable.

한편, 상기 2R 가능한 기판의 경우에는 안정성을 고려하여 2 R 까지면 접었을 뿐이며, 2R 에서 안정되게 접히는 경우 1.5 R에서도 안정되게 접히는 모습을 보였다, 특허 20 ㎛ 기판에서는 그러하였다.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the substrate capable of 2R, it was only folded up to 2R in consideration of stability, and when it was folded stably in 2R, it was stably folded even at 1.5 R. This was the case in the patent 20 μm substrate.

- 다양한 온도 조건 - - Various temperature conditions -

30㎛ 두께를 가진 초 박막 글라스의 열처리 온도를 400℃로 했을 때, 냉각 속도에서 변화를 주어 보았다.When the heat treatment temperature of ultra-thin glass with a thickness of 30 μm was 400° C., the cooling rate was changed.

본원 발명의 앞의 실시예에서 열처리 공정에서 사용된 승온 단계에서의 승온 속도는 1분당 3.13 ℃ 이고, 냉각 단계에서의 1 분당 냉각 속도는 12,5 ℃ 이다. 그리고, 에이징 온도는 400℃에서 2 시간이었다.The temperature increase rate in the temperature increasing step used in the heat treatment process in the previous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3.13 °C per minute, and the cooling rate per minute in the cooling step is 12.5 °C. And the aging temperature was 2 hours at 400 degreeC.

글라스를 열처리하게 되는 온도는 반드시 400℃에 한정되지는 않았으며 그 온도가 250℃ 에서 450℃ 이룰 수도 있었다. The temperature at which the glass is heat treated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400°C, and the temperature could be achieved from 250°C to 450°C.

1) 본원 발명의 앞의 실시예에서는 에이징 온도 400℃ 였다. 그리고, 상기 400℃에서 25℃ 까지 도달되는 냉각 시간을 40분으로 변경시켜 보았다. 냉각 시간을 40분으로 변경할 경우 냉각 속도는 1분당 9.4℃ 였다. 1) In the previous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ging temperature was 400°C. And, the cooling time reached from 400°C to 25°C was changed to 40 minutes. When the cooling time was changed to 40 minutes, the cooling rate was 9.4°C per minute.

그리고, 냉각 속도는 1분당 9.4℃로 하고 다른 열처리를 동일한 조건으로 하였을 때, 승온 단계, 에이징 단계, 냉각 단계를 1 싸이클(cycle)로 하고, 상기 1 싸이클을 7회 반복한 결과 30㎛ 두께를 가진 초 박막 글라스가 2 R로 접히는 것이 가능하였다.And, when the cooling rate is 9.4°C per minute and the other heat treatment is performed under the same conditions, the temperature raising step, the aging step, and the cooling step are 1 cycle, and the 1 cycle is repeated 7 times. As a result, a thickness of 30 μm is obtained. It was possible to fold the excitation ultra-thin glass to 2R.

2) 400℃에서 25℃ 까지 도달되는 냉각 시간을 50분으로 변경시켜 보았다. 냉각 시간을 50분으로 변경할 경우 냉각 속도는 1분당 7.5℃ 였다. 2) The cooling time from 400°C to 25°C was changed to 50 minutes. When the cooling time was changed to 50 minutes, the cooling rate was 7.5° C. per minute.

그리고, 냉각 속도는 1분당 7.5℃로 하고 다른 열처리를 동일한 조건으로 하였을 때, 승온 단계, 에이징 단계, 냉각 단계를 1 싸이클(cycle)로 하고, 상기 1 싸이클을 10회 반복한 결과 30㎛ 두께를 가진 초 박막 글라스가 2 R로 접히는 것이 가능하였다. In addition, when the cooling rate is 7.5° C. per minute and other heat treatments are performed under the same conditions, the temperature raising step, aging step, and cooling step are 1 cycle, and as a result of repeating the 1 cycle 10 times, the thickness of 30 μm It was possible to fold the excitation ultra-thin glass to 2R.

하지만, 10회까지 반복하는 것은 실용성에 문제가 존재하는 것으로 보아 채용하지 않은 것이 합당하다. 하지만, 2 R로 접히는 것은 성공적이었다고 할 수 있다.However, repeating up to 10 times is reasonable, considering that there is a problem with practicality. However, it can be said that folding with 2 R was successful.

3) 400℃에서 25℃ 까지 도달되는 냉각 시간을 20분으로 변경시켜 보았다. 냉각 시간을 20분으로 변경할 경우 냉각 속도는 1분당 18.75℃ 였다. 3) The cooling time from 400°C to 25°C was changed to 20 minutes. When the cooling time was changed to 20 minutes, the cooling rate was 18.75° C. per minute.

그리고, 냉각 속도는 1분당 18.75℃로 하고 다른 열처리를 동일한 조건으로 하였을 때, 승온 단계, 에이징 단계, 냉각 단계를 1 싸이클(cycle)로 하고, 상기 1 싸이클을 4회 반복한 결과 30㎛ 두께를 가진 초 박막 글라스가 2 R로 접히는 것이 가능하였다. And, when the cooling rate is 18.75° C. per minute and other heat treatment is performed under the same conditions, the temperature rising step, aging step, and cooling step are 1 cycle, and the result of repeating the 1 cycle 4 times is 30 μm thick. It was possible to fold the excitation ultra-thin glass to 2R.

3) 400℃에서 25℃ 까지 도달되는 냉각 시간을 15분으로 변경시켜 보았다. 이 경우 냉각 속도는 1분당 25.0℃ 였다. 3) The cooling time from 400°C to 25°C was changed to 15 minutes. In this case, the cooling rate was 25.0° C. per minute.

그리고, 냉각 속도는 1분당 25.0℃로 하고 다른 열처리를 동일한 조건으로 하였을 때, 승온 단계, 에이징 단계, 냉각 단계를 1 싸이클(cycle)로 하고, 상기 1 싸이클을 3회 반복한 결과 2 R로 접히는 것이 가능하였다. 그러나 곧 균열이 생기었다. 하지만 2 R로 접히는 것은 성공되었다고 할 수 있다.And, when the cooling rate is 25.0° C. per minute and other heat treatment is performed under the same conditions, the temperature raising step, aging step, and cooling step are 1 cycle, and the result of repeating the 1 cycle 3 times is 2 R. it was possible But soon cracks arose. However, folding with 2 R can be said to have been successful.

4) 400℃에서 25℃ 까지 도달되는 냉각 시간을 10분으로 변경시켜 보았다. 이 경우에는 초 박막 글라스에 균열이 생기었다. 냉각 속도는 1 분당 37.0℃ 였다.4) The cooling time from 400°C to 25°C was changed to 10 minutes. In this case, the ultra-thin glass was cracked. The cooling rate was 37.0° C. per minute.

결과적으로 본원 발명에서 에이징 공정을 실시한 후에, 냉각하는 냉각 속도는 1분당 7.5℃ 에서 25℃ 가 적당하였다. 그리고 아래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As a result, after performing the aging process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oling rate for cooling was appropriate at 7.5°C to 25°C per minute. And it can be expressed as follows.

1 분당 7.5℃ ≤ 냉각 속도 ≤ 1 분당 25℃ 7.5°C per minute ≤ Cooling rate ≤ 25°C per minute

한편, 상기 2R 가능한 기판의 경우에는 안정성을 고려하여 2 R 까지면 접었을 뿐이며, 2R 에서 안정되게 접히는 경우 1.5 R에서도 안정되게 접히는 모습을 보였다, 특허 20 ㎛ 기판에서는 그러하였다.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the substrate capable of 2R, it was only folded up to 2R in consideration of stability, and when it was folded stably in 2R, it was stably folded even at 1.5 R. This was the case in the patent 20 μm substrate.

도 5는 초 박막 글라스의 측면 가공을 나타낸 실시예의 도면이다.5 is a view of an embodiment showing the side processing of the ultra-thin glass.

글라스의 균열을 막기 위하여, 글라스 측면의 모서리를 가공하는 것도 중요한 사안중에 하나이다. In order to prevent cracking of the glass, it is also one of the important issues to process the edge of the glass side.

글라스 측면의 모서리 가공도 종래 일반적인 방법을 사용하게 된다. 즉 불산액을 사용하여 식각을 실시하지만, 식각이 필요하지 않은 부분은 마스킹하여 식각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하게 한다.Edge processing on the side of the glass will also use a conventional general method. That is, the etching is performed using the hydrofluoric acid solution, but the portion that does not require etching is masked so that the etching is not performed.

특허 이 경우에는 하나의 글라스만 사용하지 않고 10 개 혹은 20 개의 초 박막 글라스를 적층한 다음에, 측면 부분을 불산액에 담가 식각이 이루어지게 한다. Patent In this case, instead of using only one glass, 10 or 20 ultra-thin glasses are stacked, and then the side part is immersed in hydrofluoric acid to etch.

도 5에서처럼, 초 박막 글라스(10)의 두께를 T 라고 하고, 초박막 글라스의 경계에서 식각이 이루어지는 거리를 L 이라고 할 때, 그 상관 비율은 중요하다.As shown in FIG. 5 , when the thickness of the ultra-thin glass 10 is T and the distance L is etched at the boundary of the ultra-thin glass, the correlation ratio is important.

글라스의 두께가 30 ㎛ 일때, 상기 거리 L 의 값은 10 ㎛가 적당하다. 따라서 L/T 의 값은 1/3 이 된다.When the thickness of the glass is 30 μm, the value of the distance L is preferably 10 μm. Therefore, the value of L/T becomes 1/3.

하지만, 실제로 초 박막 글라스의 측면 가공을 하다보면 가공 공정에서의 오차는 존재하게 되며, 따라서 이러한 오차를 고려하고 또한 초 박막 글라스의 모서리로 인하여 발생되는 문제가 제거되는 정도의 수준을 고려할 수 있다. 즉, 상기 L 값은 5 ㎛ 가 되어도 실제 사용에는 문제가 없었으며, 15 ㎛까지도 크게 무리가 가는 수준의 결과가 얻어지지는 않았다. However, when the side surface of the ultra-thin glass is actually processed, errors in the machining process exist, and thus, these errors can be considered and the level of the degree to which the problem caused by the edges of the ultra-thin glass is eliminated. That is, even if the L value was 5 μm, there was no problem in actual use, and even 15 μm was not obtained at a level that was too difficult.

상기에서 문제가 없다는 것은 2 R (혹은 1.5R)에서 5 R까지 접히어도 균열의 원인을 제공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초 박막 글라스가 접히는 과정에서 깨지는 가장 큰 원인은 균열이고, 매우 작은 미세 균열도 깨지는 원인을 제공한다. No problem above means that folding from 2R (or 1.5R) to 5R does not cause cracking. Cracks are the biggest cause of breakage in the process of folding ultra-thin glass, and even very small micro-cracks can cause breakage.

따라서 상기 L 값의 범위는 5 ㎛ ∼ 15 ㎛ 가 된다.Accordingly, the range of the L value is 5 µm to 15 µm.

결과적으로, 초 박막 글라스의 측면 모서리의 가공에서, 초 박막 글라스의 두께를 T 라고 하고, 초박막 글라스의 경계에서 식각이 이루어지는 거리를 L이라고 할 때, 상기 T 값과 L 값의 비율의 값은 아래와 같다.As a result, in the processing of the side edge of the ultra-thin glass, when the thickness of the ultra-thin glass is T and the distance at which the etching is performed at the boundary of the ultra-thin glass is L, the value of the ratio of the T value and the L value is as follows same.

1/6 ≤ L/T ≤ 1/2 (L/T 값은 1/6 보다 크거나 같고 1/2 보다 작거나 같다.) 1/6 ≤ L/T ≤ 1/2 (L/T valu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1/6 and less than or equal to 1/2)

도 6은 접힘과 펼침 과정에서의 신뢰성 테스트 방법을 나타낸 실시예의 도면이다.6 is a view of an embodiment showing a reliability test method in the folding and unfolding process.

본원 발명의 초 박막 글라스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채용된 스마트폰에 실제로 적용하여 신뢰성 테스트를 실시할 수도 있지만, 현실적으로 어려울 수 있으므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에 적용하였을 때의 구조를 모방하여 신뢰성 테스트를 실시할 수도 있다.A reliability test may be performed by actually applying the ultra-thin glass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 smart phone employing a flexible display, but since it may be difficult in reality, the reliability test may be performed by imitating the structure when applied to a flexible display.

즉, 상기 도 6의 도면은 실제로 접혔다 펼치었다 하는 접히는 스마트폰의 구조를 모방하여 제작된 신뢰성 테스트 방법을 나타낸 실시예의 도면이다. That is, the drawing of FIG. 6 is a diagram of an embodiment showing a reliability test method manufactured by imitating the structure of a folding smartphone that is actually folded and unfolded.

180와 0도로 회전하여 접힘과 펼침이 가능한 두개의 테스트 기판(70)이 구비되고, 상기 테스트 기판 위에, 초 박막 글라스(10)를 도 1의 실시예(혹은 도 2의 실시예)에서처럼 장착하게 된다. Two test boards 70 that can be folded and unfolded by rotating 180 degrees and 0 degrees are provided, and on the test board, the ultra-thin glass 10 is mounted as in the embodiment of FIG. 1 (or the embodiment of FIG. 2 ) do.

그리고, 도 6에서처럼 테스트 기판(70)의 경계부에 테스트 돌기(71)가 장착되게 된다. 상기 테스트 돌기(71)는 일정 높이로 돌출된 돌기이다, 따라서, 상기 테스트 돌기(71)로 인하여. 도 1의(C)의 실시예 혹은 도 2의 (C) 실시예에서처럼 초 박막 글라스(10)가 일정 값을 곡률을 가지고 접히게 된다. 아울러, 상기 테스트 돌기(71)의 높이 값은 조절이 가능하다, And, as shown in FIG. 6 , the test protrusion 71 is mounted on the boundary of the test substrate 70 . The test protrusion 71 is a protrusion protruding to a certain height, therefore, due to the test protrusion 71 . As in the embodiment of FIG. 1(C) or the embodiment of FIG. 2(C), the ultra-thin glass 10 is folded with a predetermined value of curvature. In addition, the height value of the test protrusion 71 is adjustable,

또한 제 2 돌기(72)가 존재하여, 접혀진 초 박막 글라스(10)가 서로 맞닿는 것을 막아주게 된다.In addition, the presence of the second protrusion 72 prevents the folded ultra-thin glass 10 from contacting each other.

결과적으로 상기 제 2 돌기(72)는 초박막 글라스(10) 보다 높이가 높게 형성되고, 상기 제 1 돌기(71)는 상기 제 2 돌기보다 높이가 높게 형성된다. As a result, the second protrusion 72 is formed to be higher than the ultra-thin glass 10, and the first protrusion 71 is formed to be higher than the second protrusion.

도 6의 실시예의 장치에 본원 발명의 초 박막 글라스(10)를 장착(열가소성 수지로 접착할 수 있다. 따라서 열을 가하면 테스트 기판(70)에서 초 박막 글라스(10)을 쉽게 분리 할 수 있다.)하고, 테스트 기판(70)에 전동 장치를 연결하고 접힘과 펼침 동작을 반복하므로서 신뢰성 확보를 판단할 수가 있게 된다. The ultra-thin glass 1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attached with a thermoplastic resin) to the device of the embodiment of FIG. 6 . Therefore, when heat is applied, the ultra-thin glass 10 can be easily separated from the test substrate 70 . ), and by connecting the electric device to the test board 70 and repeating folding and unfolding operations, it is possible to determine reliability.

이때,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사용자가 실제로 열고 닫는 동작의 과정을 고려하여 볼 때, 펼쳐진 초 박막 글라스(10)를 접고 다시 펼치는 데 걸리는 시간은 1.5초로 정하여 신뢰성 실험을 실시하였다. At this time, considering the process of the operation of actually opening and closing the flexible display user, the time taken to fold and unfold the unfolded ultra-thin glass 10 was set to 1.5 seconds, and a reliability test was conducted.

한편, 하루에 20회를 열고 닫고 3년을 사용한다고 가정한다면, 도 6의 실시예에서 도시된 방법으로 2만회까지 접힘과 펼침 동작을 반복하므로서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그리고, 1.5초 내에 접고 펼치는 동작을 2만회 반복하는 데에 걸리는 시간은 8.33 시간 이다.On the other hand, assuming that it is opened and closed 20 times a day and used for 3 years, reliability can be secured by repeating the folding and unfolding operations up to 20,000 times in the method shown in the embodiment of FIG. 6 . And, it takes 8.33 hours to repeat the folding and unfolding action 20,000 times within 1.5 seconds.

그리고, 본원발명의 실험은 연속해서 2만에 접히는 것이고, 따라서 접히는 과정에서 이전에 접힐 때 발생된 진동 에너지가 0 으로 되지 않은 상태에서, 즉 이전에 접힐 때 남아 있는 진동 에너지가 존재한 상태에서 접힘 때 발생하는 진동에너지가 또 발생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연속 2 만회 실험은 실 사용 상황에서는 4 만회(2만회의 2 배 이상) 접힐 때에의 신뢰성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물론 이에 대하여서는 지속적인 수치화 실험도 필요하긴 할 것이다. And, the exper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fold continuously for 20,000, and thus, in the folding process, the vibration energy generated when folding before is not zero, that is, in a state in which the vibration energy remaining when previously folded exists. The vibrational energy that is generated will be generated again.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the continuous test of 20,000 times shows reliability when folded 40,000 times (more than twice as much as 20,000 times) in actual use. Of course, continuous numerical experiments will be necessary for this.

- 초박막 글라스의 특성 값 - - Characteristic values of ultra-thin glass -

1) 응력값 1) Stress value

종래 스마트폰 디스플레이를 보호하는 글라스의 응력 값을 세트 업체에서는 각각 650 Mpa와 800 Mpa 수준을 요구하였다. 그러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보호하는 초 박막 글라스의 응력값은 당연히 종래 스마트폰 디스플레이를 보호하는 응력값 만큼 될 수는 없다.The stress value of the glass that protects the conventional smartphone display was requested by the set company at 650 Mpa and 800 Mpa, respectively. However, the stress value of the ultra-thin glass that protects the flexible display cannot be as high as the stress value that protects the conventional smartphone display.

본원 발명에서는 30 ㎛ 가지는 초 박막 글라스로서 테스트를 해본 결과, 450 Mpa 의 응력값을 가졌고, 도 6의 실시예의 방법으로 접힙과 펼침의 동작을 테스트(3 R 기준)해본 결과, 접힘과 펼침 동작에서 2 만회가 가능하였다. In the present invention, as a result of testing as an ultra-thin glass having 30 μm, it had a stress value of 450 Mpa, and as a result of testing the operation of folding and unfolding by the method of the embodiment of FIG. 6 (based on 3 R), the folding and unfolding operation 20,000 rounds were possible.

따라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보호하는 초 박막 글라스(10)의 응력값은 250 Mpa 이상이면 바람직하다. 그러나 종래 스마트폰 디스플레이 화면을 보호하는 응력값보다 클 필요는 없으므로 최대 값은 800 Mpa 이라고 할 수 있다. Therefore, the stress value of the ultra-thin glass 10 for protecting the flexible display is preferably 250 Mpa or more. However, the maximum value can be said to be 800 Mpa because it does not need to be greater than the stress value that protects the conventional smartphone display screen.

결과적으로 본원 발명에서 제시하는 초박막 글라스의 응력값은 450 Mpa ∼ 800 Mpa 이라고 할 수 있다.As a result, it can be said that the stress value of the ultra-thin glass present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450 Mpa to 800 Mpa.

응력값의 측정은 일본 오리하라(RIHARA,Surface Stress Merer) 제품의 측정기를 일반적으로 사용하며, 본원 발명에서도 그리하였다. For the measurement of the stress value, a measuring device manufactured by RIHARA (Surface Stress Merer) of Japan is generally used, and the same is true in the present invention.

본원 발명에서는 DOL 값도 측정하여 보았다. 그리고 두께별 측정 값은 아래와 같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DOL value was also measured. And the measured values for each thickness were as follows.

15 ㎛ : 5 ∼ 7. 20 ㎛ : 6 ∼ 8 , 30 ㎛ : 7 ∼ 10, 40 ㎛ : 9 ∼ 13, 50 ㎛ : 10 ∼ 15, 65 ㎛ : 14 ∼ 17 15 µm: 5 to 7. 20 µm: 6 to 8, 30 µm: 7 to 10, 40 µm: 9 to 13, 50 µm: 10 to 15, 65 µm: 14 to 17

따라서 본원 발명에서의 DOL 값의 범위는 초 박막 글라스의 범위를 15 ㎛ ∼ 65 ㎛ 라고 했을 때, DOL 값의 범위는 5 ∼ 17 이 된다. Therefore, the range of the DOL value in the present invention is 5 to 17 when the range of the ultra-thin glass is 15 µm to 65 µm.

2)탄성한도 2) Elastic limit

유리는 일반적으로 0.5%도 안 되는 낮은 탄성한도를 보이지만, 플라스틱 필름의 경우에는 5%로 유리의 10배의 탄성 한도를 보여준다. 따라서 본원 발명에서 제조된 초 박막 글라스(10)의 탄성 한도도 플라스틱 필름 만큼은 되지 않더라도, 종래 유리의 탄성 한도의 범위를 뛰어 넘는 수준은 되어야 한다.Glass generally shows a low elastic limit of less than 0.5%, but in the case of a plastic film, it shows an elastic limit 10 times that of glass at 5%. Therefore, even if the elastic limit of the ultra-thin glass 10 manufactur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as high as the plastic film, it should be at a level exceeding the range of the elastic limit of the conventional glass.

본원 발명에서 제조된 30 ㎛ 두께의 초 박막 글라스의 탄성 한도를 측정해 본 결과 그 값이 1. 5 %로 증가되었음을 알 수 있었고, 도 6의 실시예의 방법에 의한 실험에서 2만회까지 접힘과 펼침은 가능하였다. As a result of measuring the elastic limit of the 30 μm thick ultra-thin glass prepared in the present invention, it was found that the value was increased to 1.5%, and folded and unfolded up to 20,000 times in the experiment by the method of the example of FIG. 6 . was possible.

그리고, 본원 발명의 앞의 실시예에서 사용된 열처리 공정을 5회 보다 많이 실시하여 보았다. 즉 10회까지 반복실험하여 본 결과 탄성 한도는 2.5 % 까지 증가되었다.And, the heat treatment process used in the previous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as performed more than 5 times. That is, as a result of repeated experiments up to 10 times, the elastic limit was increased to 2.5%.

결과적으로 반복적인 열처리 공정을 실시하므로서 초 박막 글라스의 특성이 향상됨을 알 수 가 있었다.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properties of the ultra-thin glass were improved by repeating the heat treatment process.

한편, 유리의 탄성한도가 플라스틱 필름의 수준을 넘어 갈 수 없으므로, 본원 발명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표면을 보호하는 초 박막 글라스의 탄성한도 값은 1.5 % 에서 5 %까지라고 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since the elastic limit of the glass cannot go beyond the level of the plastic film, in the present invention, it can be said that the elastic limit value of the ultra-thin glass protecting the flexible display surface is from 1.5% to 5%.

- 표면 코팅 - - Surface coating -

스마트폰에서 디스플레이 표면을 보호하는 글라스는 외부에 그대로 노출되기 때문에 상기 글라스는 표면 코팅이 되어야 한다. Since the glass that protects the display surface in the smartphone is exposed to the outside as it is, the glass should be coated on the surface.

코팅의 종류로는 초 박막 글라스가 파열시 소비자를 보호하기 위하여 보호필름이 존재할 수 있고, AF 코팅등이 적용될 수 있고, 강화 코팅도 적용될 수 있다. As the type of coating, a protective film may exist to protect consumers when the ultra-thin glass ruptures, AF coating, etc. may be applied, and a reinforcing coating may also be applied.

한편, 종래 스마트폰의 강화 코팅 두께의 수준은 20 ㎛ ∼ 45 ㎛이었다. 그러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보호하는 초 박막 글라스의 두께는 얇기 때문에, 상기 강화 코팅 두께를 그대로 사용할 수는 없게 된다. On the other hand, the level of the reinforced coating thickness of the conventional smartphone was 20 μm to 45 μm. However, since the thickness of the ultra-thin glass protecting the flexible display is thin, the thickness of the reinforcing coating cannot be used as it is.

30 ㎛ 두께를 가진 초 박막 글라스를 가지고 강화 코팅을 실시하여 보았고. 2 R 수준으로 접히었을 때 균일이 생기지 않은 수준으로 강화 코팅이 되는 범위를 설정하여 보았다. Reinforcement coating was applied with ultra-thin glass having a thickness of 30 μm. 2 When folded at the R level, the range was set to a level where there was no uniformity, and the range was set.

강화 코팅의 두께를 1㎛ 수준으로 코팅해보고, 2 ㎛에서 16 ㎛ 까지 2㎛ 단계로 코팅한 다음, 2 R 수준으로 접히었을 때 균열이 생기는 가를 판단하여 보았다.The thickness of the reinforcing coating was coated at a level of 1 μm, and the coating was performed in 2 μm steps from 2 μm to 16 μm, and then it was judged whether cracks occurred when folded at the 2 R level.

강화 코팅의 두께를 2 ㎛에서 12 ㎛까지 하였을 때에는 2 R 수준으로 접히었을 때 균열이 생기는 않았지만 16 ㎛ 코팅시에는 균열이 생기었다. 당연히 1 ㎛ 코팅시에도 2 R 수준으로 접히었다. When the thickness of the reinforcing coating was varied from 2 μm to 12 μm, cracks did not occur when folded at the 2 R level, but cracks occurred when the coating was 16 μm. Naturally, even at the time of 1 μm coating, it was folded to the level of 2 R.

따라서 본원 발명에서는 강화 코팅의 두께를 1 ㎛에서 15 ㎛까지 하였을 때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표면을 보호하는 초 박막 글라스가 가능하였다, 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thickness of the reinforcing coating was from 1 μm to 15 μm, an ultra-thin glass that protects the surface of the flexible display was possible.

결과적으로 강화 코팅을 실시하는 두께의 범위는 아래와 같다.As a result, the range of the thickness for applying the reinforcement coating is as follows.

1/30 ≤ T1(강화 코팅의 두꼐)/T(초 박막 글라스의 두께) ≤ 15/30 1/30 ≤ T1 (thickness of reinforcing coating)/T (thickness of ultra-thin glass) ≤ 15/30

이때 코팅은 초 박막 글라스에 부착되는 필름일 수도 있다. 즉, 투명한 여러 종류의 필름이 사용될 수 있으며 예를들어 CPI 필름도 사용가능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coating may be a film attached to the ultra-thin glass. That is, various types of transparent films may be used, and for example, a CPI film may also be used.

도 7은 복층 구조를 가지는 초 박막 글라스를 나타낸 도면이다.7 is a view showing an ultra-thin glass having a multilayer structure.

일반적으로 필름층을 연구하는 사람들에게 알려진 상식으로는 "총 두께가 동일할 지라도 하나의 필름보다는 두개 혹은 3 개의 필름을 사용하여 겹치면 인장 강도가 더 좋아진다는 것"이다.A common common knowledge known to those who study film layers is that "even if the total thickness is the same, the tensile strength is better when two or three films are used and overlapped rather than one film".

본원 발명에서도 이에 대한 시도를 해 보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an attempt was also made for this.

즉, 상기 도 7에서처럼 제 1 초 박박 글라스(10-1)와 제 2 초 박막 글라스(10-2)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초 박박 글라스(10-1)와 제 2 초 박막 글라스(10-2) 사이에 접착제 층(15)이 형성된다.That is, as in FIG. 7 , the first ultra-thin glass 10-1 and the second ultra-thin glass 10-2 are provided, and the first ultra-thin glass 10-1 and the second ultra-thin glass 10 are provided. The adhesive layer 15 is formed between -2).

그리고 상기 접착제 층 내에 또 다른 수지 필름층이 존재할 수도 있다.In addition, another resin film layer may be present in the adhesive layer.

이때, 본원 발명에서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표면을 보호하기 위한 초 박막 글라스를 제조하는 것이 목적이고, 따라서, 본원 발명의 초 박막 글라스(10)(10-1)(10-2)도 접히게 된다. 따라서, 본원 발명의 초 박막 글라스(10)(10-1)(10-2)에는 접히는 영역(비 고정 영역)과 접히지 않은 영역(고정 영역)이 존재하게 된다,At this time,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n object to manufacture an ultra-thin glass for protecting the flexible display surface, and thus, the ultra-thin glass 10 (10-1) (10-2)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lso folded. Accordingly, in the ultra-thin glass 10, 10-1, and 10-2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are a folded region (non-fixed region) and an unfolded region (fixed region).

그리고, 도 7에서는 접히는 영역(비 고정 영역)은 도 1의 실시예에서 보여진 G 로 표시된 구간이 된다.And, in FIG. 7 , the folded area (non-fixed area) is a section marked with G shown in the embodiment of FIG. 1 .

당연히 접착제도 접히는 영역(비 고정 영역)과 접히지 않은 영역(고정 영역)에서 각각 접착력의 차이를 보여야 한다. 즉 아래와 같이 표현할 수 있다,Naturally, the adhesive must also show a difference in adhesive strength in the folded area (non-fixed area) and the non-folded area (fixed area). That is, it can be expressed as

접히는 영역(비 고정 영역)에서의 접착제의 접착력 < 접히지 않은 영역(고정 영역)에서의 접착제의 접착력 Adhesive force of the adhesive in the folded area (non-fixed area) < Adhesive force of the adhesive in the unfolded area (fixed area)

즉, "접히는 영역(비 고정 영역)에서의 접착제의 접착력"이 "접히지 않은 영역(고정 영역)에서의 접착제의 접착력" 보다 더 약하다. That is, the "adhesive force of the adhesive in the folded region (non-fixed region)" is weaker than the "adhesive force of the adhesive in the non-folded region (fixed region)".

한편, 실제로 접착제를 코팅할 때, 상기 접히는 영역(비 고정 영역)과 접히지 않은 영역(고정 영역)의 경계에 정확히 구별하여 코팅하는 것은 어렵게 된다, 따라서, 본원 발명에서 상기 두 영역에 접착력에 차이를 보인다는 것은 정확히 경계를 나눈다는 것을 의미하지 않는다. 즉 접히는 영역(비 고정 영역)에 주로 코팅된 접착제의 접착력이 더 약하다고 이해하면 될 것이다.On the other hand, when actually coating the adhesive, it becomes difficult to accurately distinguish and coat the boundary between the folded region (non-fixed region) and the non-folded region (fixed region). Visible does not mean exactly dividing boundaries. That is, it will be understood that the adhesive force of the adhesive mainly coated on the folded region (non-fixed region) is weaker.

도 8은 본원 발명의 실제 적용예를 나타낸 실시예의 도면이다.8 is a diagram of an embodiment showing a practical applicatio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원 발명의 초 박막 글라스(10)(혹은 복수층을 가진 초 박막 글라스(10-1)(10-2))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디스플레이부(50)(디스플레이와 입력장치가 포함된 부분)에 부착하게 된다.Attaching the ultra-thin glass 10 (or the ultra-thin glass 10-1, 10-2) having multiple layers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display unit 50 (the part including the display and the input device) of the flexible display will do

이때에도 도 7의 실시예에서처럼, 고정 영역과 비 고정 영역이 존재하며, 이때에도 도 7의 실시예에서처럼 비 고정 영역에 사용된 접착제의 접착력이 더 약하게 된다.At this time, as in the embodiment of FIG. 7 , there are a fixed region and a non-fixed region, and even at this time, the adhesive force of the adhesive used in the non-fixed region is weaker as in the embodiment of FIG. 7 .

도 9은 초 박막 글라스가 신축되는 정도를 나타낸 실시예의 도면이다. 9 is a view of an embodiment showing the extent to which the ultra-thin glass is stretched.

R이 1.5 이고, 초 박박 글라스의 두께가 30 ㎛ 이면, 안쪽에 존재하는 초 박막 글라스의 표면과 바깥쪽에 존재하는 초 박막 글라스거리를 비교하여 볼 때, 바깥쪽 표면에 존재하는 초 박막 글라스의 길이가 안쪽 표면에 존재하는 초 박막 글라스의 길이에 비교하여 4 % 증가되어야 한다,If R is 1.5 and the thickness of the ultra-thin glass is 30 μm, the length of the ultra-thin glass on the outer surface is compared to the distance between the inner surface of the ultra-thin glass and the outer ultra-thin glass. should be increased by 4% compared to the length of the ultra-thin glass present on the inner surface,

또한, R 이 5 이고 초 박막 글라스의 두께가 65 ㎛이면, 안쪽에 존재하는 초 박막 글라스의 표면과 바깥쪽에 존재하는 초 박막 글라스 거리를 비교하여 볼 때, 바깥쪽 표면에 존재하는 초 박막 글라스의 길이가 안쪽 표면에 존재하는 초 박막 글라스의 길리보다 2.6 % 증가되어야 한다,In addition, when R is 5 and the thickness of the ultra-thin glass is 65 μm, when comparing the distance between the surface of the ultra-thin glass existing inside and the ultra-thin glass existing on the outside, the The length should be increased by 2.6% over the length of the ultra-thin glass present on the inner surface,

결과적으로 본원 발명에서는 접혀짐에 따라 안쪽의 표면 보다 바깥쪽 표면이 2.6 % 에서 4 % 까지 증가되어야 한다. As a result,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outer surface should be increased by 2.6% to 4% than the inner surface as it is folded.

10 : 초 박막 글라스 20 : 고정 기판
50 : 디스플레이부 70 : 테스트 기판
71 : 테스트 돌기 10-1 : 제 1 초 박막 글라스
10-2 : 제 2 초 박막 글라스 15 : 접착제
10: ultra-thin glass 20: fixed substrate
50: display unit 70: test board
71: test protrusion 10-1: first ultra-thin glass
10-2: second ultra-thin glass 15: adhesive

Claims (6)

인폴딩(In folding) 방식 스마트폰의 디스플레이에 사용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표면을 보호하는 초 박막 글라스 에서,
상기 초 박막 글라스의 두께는 15 ㎛ ∼ 65 ㎛ 이고,
상기 초 박막 글라스는 승온단계, 에이징 단계, 냉각 단계를 통화여 강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표면을 보호하는 초 박막 글라스.
In the ultra-thin glass that protects the surface of the flexible display used in the display of the in-folding method smartphone,
The thickness of the ultra-thin glass is 15 μm to 65 μm,
The ultra-thin glass is an ultra-thin glass for protecting the surface of a flexible display, characterized in that it is strengthened by a temperature raising step, an aging step, and a cooling step.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초 박막 글라스의 응역은 450 Mpa ∼ 800 Mpa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표면을 보호하는 초 박막 글라스.The ultra-thin glass for protecting the flexible display surfac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tress of the ultra-thin glass is 450 Mpa to 800 Mpa.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초 박막 글라스의 탄성한도는 1.5 % 에서 5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표면을 보호하는 초 박막 글라스.The ultra-thin glass for protecting the flexible display surfac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elastic limit of the ultra-thin glass is 1.5% to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초 박막 글라스 측면이 모서리를 가공할 때,
상기 초박막 글라스의 경계에서 식각이 이루어지는 거리를 L이라 하고, 상기 초 박막 글라스의 두께를 T 라고 할 때, 상기 L 값과 T 값의 비는
1/6 ≤ L/T ≤ 1/2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표면을 보호하는 초 박막 글라스.
According to claim 1, When the ultra-thin glass side is processing the edge,
When the etched distance at the boundary of the ultra-thin glass is L and the thickness of the ultra-thin glass is T, the ratio between the L value and the T value is
1/6 ≤ L/T ≤ 1/2
Ultra-thin glass to protect the surface of the flexible display, characterized in that.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초 박막 글라스의 표면을 코팅하는 코팅의 두께는
1/30 ≤ T1(코팅의 두꼐)/T(초 박막 글라스의 두께) ≤ 15/3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표면을 보호하는 초 박막 글라스.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thickness of the coating coating the surface of the ultra-thin glass is
1/30 ≤ T1 (thickness of coating)/T (thickness of ultra-thin glass) ≤ 15/30
Ultra-thin glass to protect the surface of the flexible display, characterized in that.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초 박막 글라스를 강화하기 위하여 열처히 하는 공정 중에서, 냉각 속도는 냉각 속도는 1분당 7.5℃ 에서 1 분당 25℃ 까지 인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표면을 보호하는 초 박막 글라스.


The ultra-thin glass for protecting the flexible display surfac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in the heat treatment process to strengthen the ultra-thin glass, the cooling rate is from 7.5°C per minute to 25°C per minute. .


KR1020190160812A 2019-12-05 2019-12-05 Ultra thin glass that protecting the flexible display surfaces KR20210070722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0812A KR20210070722A (en) 2019-12-05 2019-12-05 Ultra thin glass that protecting the flexible display surfac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0812A KR20210070722A (en) 2019-12-05 2019-12-05 Ultra thin glass that protecting the flexible display surface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0722A true KR20210070722A (en) 2021-06-15

Family

ID=764123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0812A KR20210070722A (en) 2019-12-05 2019-12-05 Ultra thin glass that protecting the flexible display surface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70722A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7307B1 (en) 2015-03-16 2015-10-05 주식회사 제이앤티씨 Display Cover glass
KR20150131550A (en) 2014-05-15 2015-11-25 (주)소프트이콘 Thermal Transfer Adhesive Layer Type Touch Screen Panel Glass Manufacturing Method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31550A (en) 2014-05-15 2015-11-25 (주)소프트이콘 Thermal Transfer Adhesive Layer Type Touch Screen Panel Glass Manufacturing Method
KR101557307B1 (en) 2015-03-16 2015-10-05 주식회사 제이앤티씨 Display Cover glas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18711B2 (en) Coated articles with optical coatings having residual compressive stress
TWI787177B (en) Bendable electronic device modules, articles and bonding methods of making the same
KR20170037658A (en) Scratch-Resistant Materials and Articles including the same
JP5143015B2 (en) Polarizing plate protective film, polarizing plate and resistive touch panel
CN101354457B (en) Optical film, forming method thereof and display apparatus containing the same
Ha et al. Highly flexible cover window using ultra-thin glass for foldable displays
JP5366557B2 (en) Polarizing plate protective film, polarizing plate and resistive touch panel
KR20200016927A (en) Bendable Laminate Articles Including Anisotropic Layers
US20150037897A1 (en) Method of analyzing a sapphire article
TWI715683B (en) Composite polarizing plate and image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CN111487704A (en) Method for manufacturing polarizing plate
CN108415114B (en) Polarizing film, image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producing polarizing film
KR20210070722A (en) Ultra thin glass that protecting the flexible display surfaces
TW200819843A (en) A laminated polarizer, a liquid crystal display by using the laminated polarizer, a method for producing the laminated polarizer, and a method for porducing an optical compensator film used for the laminated polarizer
KR20200073596A (en) Hybrid substrate for foldable display with buffer layer for strain relief in the neutral point region
JP7139601B2 (en) Housing manufacturing method
JP6668312B2 (en) Polarizing film, image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polarizing film
KR20220140735A (en) A method of recovering the optical properties of a polarizing plate deteriorated under a high-temperature environment
KR20190124560A (en) Optical device and use thereof
WO2019192333A1 (en) Touch panel, forming method for touch display panel and touch display motherboard
CN113647198A (en) Polarizing plate
JP2013006745A (en) Method of producing cover glass for portable device
KR20210097589A (en) Ultra-thin glass protects the surface of the flexible display with digitizer
JP7089093B2 (en) Polarizing plate and image display device
US11673371B2 (en) Method of improving optical quality of curved glass structur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