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70536A - Heating induced drainage lining system for preventing icicle damage due to leakage in tunnels - Google Patents

Heating induced drainage lining system for preventing icicle damage due to leakage in tunnel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70536A
KR20210070536A KR1020190160375A KR20190160375A KR20210070536A KR 20210070536 A KR20210070536 A KR 20210070536A KR 1020190160375 A KR1020190160375 A KR 1020190160375A KR 20190160375 A KR20190160375 A KR 20190160375A KR 20210070536 A KR20210070536 A KR 202100705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nnel
lining system
support
unit panel
heating indu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037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304020B1 (en
Inventor
고태훈
사공명
유한주
박준우
김창주
Original Assignee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철도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901603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4020B1/en
Publication of KR202100705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053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40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402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DRILLING; MINING
    • E21FSAFETY DEVICES, TRANSPORT, FILLING-UP, RESCUE, VENTILATION, OR DRAINING IN OR OF MINES OR TUNNELS
    • E21F17/00Methods or devices for use in mines or tunnels, not covered elsewhere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DRILLING; MINING
    • E21FSAFETY DEVICES, TRANSPORT, FILLING-UP, RESCUE, VENTILATION, OR DRAINING IN OR OF MINES OR TUNNELS
    • E21F1/00Ventilation of mines or tunnels; Distribution of ventilating currents
    • E21F1/04Air duct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DRILLING; MINING
    • E21FSAFETY DEVICES, TRANSPORT, FILLING-UP, RESCUE, VENTILATION, OR DRAINING IN OR OF MINES OR TUNNELS
    • E21F16/00Drainage
    • E21F16/02Drainage of tunnels

Abstract

A heating-induced drainage lining system for preventing ice formation in a tunnel is suggested. The heating-induced drainage lining system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heater disposed on a lower end of a tunnel and configured to supply a heat source; a plurality of unit panels having a predetermined area and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a tunnel surface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long the tunnel surface; and at least two supports configured to support the unit panel from both sides thereof and fixed to the tunnel surface. One or more of the unit panels are disposed adjacent to each other along an extension direction of the supports. The heater supplies the heat source to a unit panel located at the bottom. Hot air supplied from the heater moves through a space between the unit panels and the tunnel surface, and water leakage generated on the tunnel surface is discharged.

Description

터널 내 누수에 의한 고드름 피해 예방을 위한 히팅 유도배수 라이닝 시스템{HEATING INDUCED DRAINAGE LINING SYSTEM FOR PREVENTING ICICLE DAMAGE DUE TO LEAKAGE IN TUNNELS}HEATING INDUCED DRAINAGE LINING SYSTEM FOR PREVENTING ICICLE DAMAGE DUE TO LEAKAGE IN TUNNELS}

본 발명은 사람, 차량 또는 철도 차량이 이동하는 터널 내 누수에 의한 결빙 또는 고드름 피해 예방을 위한 히팅 유도 배수 라이닝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eating induction drainage lining system for preventing damage from icing or icicles caused by water leakage in a tunnel in which a person, vehicle, or railroad vehicle moves.

터널 내에 고드름 발생은 안전사고와 직결되는 만큼, 각종 터널 운영 관리주체는 터널 내 고드름을 제거를 위해 많은 인력?예산을 투입하고 있으나, 고드름에 의한 운행 장애가 매년 반복되고 있어 안전운행 확보 및 효율적 유지보수를 위하여 터널 내 고드름의 근본적 생성방지를 위한 대책을 추진 중이다.As the occurrence of icicles in the tunnel is directly related to safety accidents, various tunnel operation and management entities invest a lot of manpower and budget to remove icicles in the tunnel. For this purpose, measures are being taken to fundamentally prevent the formation of icicles in the tunnel.

예를 들어, 동절기에는 터널 내 균열에 의한 누수로부터 천정부에 고드름이 생성되어, 철도 터널의 경우 전차선 설치구간에 전차선 단락과 선로로 낙하되는 누수에 의한 선로 결빙(역고드름)으로 이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사람과 차량이 이동하는 터널의 경우, 천정부에 생긴 고드름이 낙하할 경우 운행중인 차량에 피해를 입힐 수 있다.For example, in the winter season, icicles are generated on the ceiling from water leakage due to cracks in the tunnel, and in the case of a railway tunnel, there was a problem leading to a short circuit in the catenary in the catenary installation section and freezing of the track (reverse icicles) due to leaks falling into the track. In addition, in the case of a tunnel in which people and vehicles move, if an icicle formed on the ceiling falls, it may cause damage to a vehicle in operation.

이와 관련하여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09478호(발명의 명칭: 결빙 방지용 이동식 온풍 시스템)에서는 온풍기가 철로 방향과 나란하게 형성된 가이드 수단을 따라 이동되게 하는 온풍기 이동 수단을 개시하고 있으며, 온풍기 이동 수단은 결빙이 발생되는 위치에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면 연속적으로 온풍을 공급하여 결빙을 방지하는 구성을 개시하고 있다. 다만, 이러한 구성은 이동 수단을 통해 고드름을 제거하는 방식으로서, 여러 터널에 걸쳐 동시 다발적으로 고드름이 발생하는 경우에 대처하기 어려운점이 있다.In this regard, Republic of Korea Patent Registration No. 10-1809478 (Title of the Invention: Removable hot air system for preventing freezing) discloses a hot air fan moving means for moving a hot air fan along a guide means formed in parallel with the railroad direction, and the hot air moving means is When mov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a position where freezing occurs, a configuration for continuously supplying hot air to prevent freezing is disclosed. However, this configuration is a method of removing icicles through a moving means, and it is difficult to cope with the simultaneous occurrence of icicles across several tunnels.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82533호(발명의 명칭: 터널 내 고드름 생성 방지 시스템)에서는 온풍이 통과되는 온풍 통로파이프와, 온풍 통로파이프로부터 통과된 온풍을 터널 상부로 분출하는 온풍 분출구 또는 온풍 분출공이 형성된 온풍 분출파이프에 대한 구성을 개시하고 있다. 다만, 터널 내부에서 온풍을 그대로 배출하므로, 동절기에서는 열효율이 매우 낮아져, 고드름 제거 성능에 영향을 줄 수 있다.In addition, in Republic of Korea Patent No. 10-1782533 (Title of the Invention: Icicle Generation Prevention System in Tunnel), a hot air passage pipe through which warm air passes, and a hot air vent or hot air jet that blows out the warm air passing from the warm air passage pipe to the upper part of the tunnel Disclosed is a configuration for a hot air blowing pipe in which a ball is formed. However, since the warm air is discharged from the inside of the tunnel as it is, the thermal efficiency is very low in the winter season, which may affect the icicle removal performance.

또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35468호(발명의 명칭: 터널 내 고드름 자동 제거장치)에서는 누수 지점에 설치되는 가열부를 개시하고 있으며, 이는 구멍이 뚫린 판상의 알루미늄 열판 상부에 열선을 배치하고, 그 상부로 완전 절연을 위한 실리콘 몰딩과 쿠션 패드가 얹혀져 구성되며 앵커볼트로 고정되는 구성을 개시하고 있다. 다만, 가열 열선을 개별 누수 지점에 결합시키게 되므로, 비용 측면에서 부담이 되는 문제가 있다.In addition, Republic of Korea Registered Utility Model No. 20-0435468 (Title of the invention: automatic icicle removal device in tunnel) discloses a heating unit installed at a leak point, which places a heating wire on an aluminum hot plate with a hole in it, It discloses a configuration in which silicone molding for complete insulation and a cushion pad are placed on the upper part and fixed with anchor bolts. However, since the heating wire is coupled to the individual leaking point,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becomes a burden in terms of cost.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954021호(발명의 명칭: 터널의 출입구 결빙 방지 장치)는 도로의 터널의 출입구 내부의 저면에 온풍을 분사시키는 온풍기를 이용하여 결빙을 방지하는 구성을 개시하고 있다. 다만, 출입구에 대해서만 결빙을 방지하는 기술로서 다양한 누수지점에서 발생하는 고드름의 제거에 효과적이지 못하다.In addition, Republic of Korea Patent No. 10-1954021 (Title of the Invention: Device for preventing icing at the entrance of a tunnel) discloses a configuration for preventing icing by using a warm air blower that sprays hot air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inside of the entrance of a tunnel of a road. However, it is a technology that prevents freezing only at the entrance and is not effective in removing icicles from various leaking points.

또한, 한국건설기술연구원의 공개논문(논문의 제목: 운영중인 지하구조물 누수처리를 위한 유도배수공법 개발 및 성능 검증)에서는 지하 콘크리트 구조물 내로 누수된 지하수를 유도하여 배수하는 유도배수공법을 제시하고 있는데, 이 구성에서는 유도배수판, 철망, 고정핀, 광물질 혼입 모르타르를 이용하고 있다. 다만, 유도 배수를 위한 구체적인 구조물의 설치가 복잡한 점이 있고, 겨울철에 결빙된 물을 녹이는 구성에 대해서는 개시하지 못하고 있다..In addition, the open paper of the Korea Institute of Construction Technology (the title of the paper: Development and performance verification of an induced drainage method for leak treatment of underground structures in operation) suggests an induced drainage method that induces and drains groundwater that has leaked into the underground concrete structure. , In this configuration, a guiding plate, wire mesh, fixing pins, and mineral mixed mortar are used. However, the installation of a specific structure for induction drainage is complicated, and the composition of melting water frozen in winter has not been disclosed.

본원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히팅 유도 배수 라이닝으로 설치되는 구조를 통해 히터는 열풍을 제공하고, 송풍기를 통해 열풍을 히팅 유도배수 라이닝에 강제대류로 공급하거나, 열풍의 자연대류를 이용하여 고드름 발생을 예방하고, 낙수에 의한 선로나 도로의 결빙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히팅 유도배수 라이닝 시스템을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applica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described above, the heater provides hot air through a structure installed as a heating induction drain lining, and supplies hot air to the heating induction drain lining through a blower as forced convection, or the nature of hot wi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eating induced drainage lining system capable of preventing the occurrence of icicles using convection and preventing icing of tracks or roads caused by falling water.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However, the technical problems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embodiment are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s describ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may exist.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히팅 유도배수 라이닝 시스템은 터널의 하단부에 배치되어 열원을 공급하는 히터, 소정의 면적을 가지며 터널 표면을 따라 터널 표면으로부터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단위 패널, 및 상기 단위 패널을 양측에서 지지하고, 상기 터널 표면에 고정되는 적어도 2개의 지지대를 포함하고, 상기 단위 패널은 상기 지지대의 연장 방향을 따라 하나 이상이 서로 인접하여 배치되고, 상기 히터는 최하단에 위치한 단위 패널에 상기 열원을 공급하고, 상기 단위 패널과 상기 터널 표면 사이의 공간을 통해 상기 히터에서 공급되는 열풍이 이동되며, 상기 터널의 표면에서 발생하는 누수가 배출된다.As a technical means for achieving the above technical problem, the heating induced drainage lin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has a heater disposed at the lower end of the tunnel to supply a heat source, and has a predetermined area from the tunnel surface along the tunnel surface. a plurality of unit panels spaced apart by a distance, and at least two supports supporting the unit panels from both sides and fixed to the tunnel surface, wherein the unit panels include one or more of each other along the extension direction of the supports. disposed adjacently, the heater supplies the heat source to the unit panel located at the lowest end, and the hot air supplied from the heater moves through the space between the unit panel and the tunnel surface, and leakage occurring on the surface of the tunnel is emitted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르면 히팅 유도배수 라이닝 시스템을 통해 열원을 제공하고 결빙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열원에 의하여 녹은 물을 배수할 수 있는 유도 배수로를 제공할 수 있다. 특히, 유도 배수로는 계절에 상관없이 동작할 수 있어, 터널내에서 발생하는 각종 누수에도 대응 가능한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problem solving means of the present applic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heat source through the heating induction drain lining system and prevent freezing, as well as provide an induction drain that can drain water melted by the heat source. have. In particular, since the induction drain can be operated regardless of the season, there is an effect that can respond to various types of water leakage occurring in the tunnel.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히팅 유도배수 라이닝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히팅 유도배수 라이닝 시스템의 부분단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히터에서 공급되는 열원의 이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히팅 유도배수 라이닝의 확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대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히팅 유도배수 라이닝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출공, 배기구, 및 차단막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순환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 is a schematic diagram of a heating induced drainage lin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artial sectional perspective view of the heating induction drainage lin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movement of the heat source supplied from the hea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expansion of the heating induction drain lin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erspective view of a suppo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schematic diagram of a heating induced drainage lining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for explaining a discharge hole, an exhaust port, and a blocking fil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view for explaining a circu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원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원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원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applica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application pertains can easily implement them. However, the present application may be embodied in several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And in order to clearly explain the present application in the drawings,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similar reference numerals are attached to similar par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said to be "connected" with another part, it includes not only the case where it is "directly connected" but also the case where it is "electrically connected" with another element interposed therebetween. do.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when a member is said to be located “on” another member, this includes not only a case in which a member is in contact with another member but also a case in which another member is present between the two members.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원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when a part "includes" a certain component, it means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further included, rather than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otherwise stated. As used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the terms "about," "substantially," and the like are used in a sense at or close to the numerical value when the manufacturing and material tolerances inherent in the stated meaning are presented, and are intended to enhance the understanding of this application. To help, precise or absolute figures are used to prevent unfair use by unscrupulous infringers of the stated disclosure.

본 발명에서 터널은 도로, 철도, 수로 등을 통하게 하기 위해 구축된 다양한 형태의 구조물을 의미하며, 사람, 동물, 각종 차량 또는 기차 등 다양한 객체가 터널을 통해 이동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a tunnel means various types of structures constructed to pass through roads, railroads, waterways, etc., and various objects such as people, animals, various vehicles or trains can move through the tunnel.

본원은 히팅 유도 배수 라이닝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application relates to a heating induction drain lining system.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히팅 유도배수 라이닝 시스템의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히팅 유도배수 라이닝 시스템의 부분단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히터에서 공급되는 열원의 이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히팅 유도배수 라이닝의 확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대의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히팅 유도배수 라이닝 시스템의 개략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출공, 배기구, 및 차단막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순환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 is a schematic diagram of a heating induced drainage lin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artial sectional perspective view of a heating induced drainage lin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movement of the heat source supplied from the heater according to the example, Figure 4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expansion of the heating induction drain lin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erspective view of a support according to, FIG. 6 is a schematic view of a heating induction drainage lining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 is a view for explaining a discharge hole, an exhaust port, and a blocking fil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8 is a view for explaining a circu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우선,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히팅 유도 배수 라이닝 시스템(10)(이하, '히팅 유도 배수 라이닝 시스템(10)'라 함)에 대해 설명한다.First, the heating induction drainage lining system 10 (hereinafter referred to as 'heating induction drainage lining system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will be described.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히팅 유도배수 라이닝 시스템(10)은 터널의 하단부에 배치되어 열원을 공급하는 히터(100), 소정의 단위 면적을 가지며 터널 표면을 따라 터널 표면으로부터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단위 패널(200) 및 단위 패널(200)을 양측에서 지지하고, 터널 표면에 고정되는 지지대(300)를 포함한다.1 and 2, the heating induction drainage lining system 10 is disposed at the lower end of the tunnel and has a heater 100 that supplies a heat source, has a predetermined unit area and is spaced apart from the tunnel surface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long the tunnel surface. A plurality of unit panels 200 and the unit panels 200 are supported from both sides, and the support unit 300 is fixed to the tunnel surface.

이때, 단위 패널(200)은 지지대(300)의 연장 방향을 따라 하나 이상이 서로 인접하여 배치되고, 히터(100)는 최하단에 위치한 단위 패널(200)에 열원을 공급한다. 또한, 도 2를 참조하면, 단위 패널(200)의 외측면 또는 내측면에 소정 두께의 단열부재(210)가 결합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단열효율을 높여 효율적으로 열원을 공급할 수 있다.At this time, one or more unit panels 200 are disposed adjacent to each other along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support 300 , and the heater 100 supplies a heat source to the unit panel 200 located at the lowermost end. In addition, referring to FIG. 2 , a heat insulating member 210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may be coupled to the outer or inner surface of the unit panel 200 , thereby increasing the heat insulation efficiency and efficiently supplying a heat source.

또한, 단위 패널(200), 지지대(300) 및 터널 표면에 의해 터널 벽면을 따라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고, 형성된 공간은 열풍이 공급되는 통로로 기능을 수행할 뿐만 아니라, 터널 표면의 누수가 단위 패널(200)의 표면을 따라 흘러 배출되는 유도배수 통로로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In addition, a predetermined space is formed along the tunnel wall by the unit panel 200, the support 300, and the tunnel surface, and the formed space not only functions as a passage through which hot air is supplied, but also leaks from the tunnel surface to the unit. It functions as an induced drainage passage that flows along the surface of the panel 200 and is discharged.

단위 패널(2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널의 하단부에서 터널의 천장부를 향하는 지지대(300)의 연장 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으나, 터널의 상태에 따라 천장부까지 연장되지 않고 소정의 높이까지만 커버하도록 일부의 단위 패널(200)만 배치될 수 도 있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단위 패널(200)이 터널의 하부 보다는 터널의 상부 영역을 커버하는 형태로 배치될 수 도 있다. 상술한 터널의 상부는 터널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부에 위치하는 터널을 의미하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As shown in FIG. 1 , a plurality of unit panels 200 may be disposed adjacently along the extension direction of the support 300 toward the ceiling of the tunnel from the lower end of the tunnel, but extend to the ceiling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tunnel. Only a portion of the unit panels 200 may be disposed to cover only a predetermined height. Also, as shown in FIG. 6 , the plurality of unit panels 200 may be arranged to cover the upper region of the tunnel rather than the lower portion of the tunnel. The upper part of the above-described tunnel means a tunnel positioned above the center of the tunnel,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provided later.

지지대(300)는 단위 패널(200)의 양측에 배치되어, 터널 표면에 고정됨으로써, 단위 패널(200)을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지지대(3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H 빔으로 이루어진 것일 수 있다. 이때, 지지대(300)는 터널 표면에 앵커 등에 의하여 결합되는 구성으로서, 터널 바닥면에 접촉하여 바닥면에 의해 추가적인 지지력을 제공받을 수 있으나, 반드시 바닥면에 접촉하여야 하는 것은 아니다. 즉, 터널 내의 적절한 높이에 배치되어 터널 표면에 결합되는 것 만으로도 충분하게 단위 패널(200)을 지지할 수 있다. The supporters 300 are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unit panel 200 and fixed to the tunnel surface, thereby supporting the unit panel 200 . The support 300 may be formed of an H-beam, as shown in FIG. 5 . In this case, the support 300 is a configuration coupled to the tunnel surface by an anchor or the like, and may be provided with additional support by the bottom surface by contacting the tunnel bottom surface, but it is not necessarily in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That is, it is sufficient to support the unit panel 200 just by being disposed at an appropriate height in the tunnel and coupled to the tunnel surface.

또한, 히팅 유도배수 라이닝 시스템(10)은 터널의 연장방향을 따라 지지대(300)의 측면방향으로 지지대(300) 및 단위 패널(200)이 더 추가될 수 있다. 다시 말해, 히팅 유도배수 라이닝 시스템(10)은 터널의 연장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더 넓은 면적으로 열풍을 공급할 뿐만 아니라 터널의 누수를 배출할 수 있다. 이때, 지지대(300)와 단위 패널(200)이 추가로 결합된 경우, 추가된 단위 패널에 대해서는 추가된 단위 패널에 인접한 기존 설치된 지지대의 수직면에 형성된 배출공(331)을 통해 열원이 공급될 수 있다. 다만, 지지대(300)와 단위 패널(200)이 추가로 결함됨에 따라 히터(100)와 송풍팬(600)을 더 결합하는 형태로 시스템이 제공되는 것도 가능하다.In addition, in the heating induced drainage lining system 10 , the support 300 and the unit panel 200 may be further added in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support 300 along the extension direction of the tunnel. In other words, the heating induction drainage lining system 10 may extend along the extension direction of the tunnel, and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not only supply hot air to a larger area but also to discharge water leakage from the tunnel. At this time, when the support 300 and the unit panel 200 are additionally coupled, a heat source may be supplied to the added unit panel through the discharge hole 331 formed in the vertical surface of the previously installed support adjacent to the added unit panel. have. However, as the support 300 and the unit panel 200 are further defective, the system may be provided in a form in which the heater 100 and the blowing fan 600 are further coupled.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히터(100)는 최하단에 위치한 단위 패널(200)의 측면에 배치된다. 또한, 히터(100)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열원의 공급 상태를 조절하는 송풍팬(600)이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해, 히터(100)만 구동되는 경우 자연대류에 의하여 열원이 단위 패널(200) 내부의 경로를 통해 상승하게 되고, 히터(100)와 송풍팬(600)이 함께 구동되는 경우 강제대류에 의하여 열원이 제공될 수 있다.2 and 3 , the heater 100 is disposed on the side of the unit panel 200 located at the lowermost end. In addition, a blower fan 600 disposed adjacent to the heater 100 to control the supply state of the heat source may be additionally disposed. In other words, when only the heater 100 is driven, the heat source rises through the path inside the unit panel 200 due to natural convection, and when the heater 100 and the blowing fan 600 are driven together, by forced convection A heat source may be provided.

도 3을 참조하면, 최하단에 위치한 단위 패널(200)의 내측면에는 히터(100) 또는 송풍팬(600)이 공급하는 열원을 수직 상승하는 방향으로 가이드하는 하나 이상의 열원 가이드부(700)가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열원 가이드부(700)는 단위 패널(200)의 내측면을 따라 결합되고, 터널의 표면과는 소정 거리가 이격되도록 형성되어, 열원을 수직 상승하는 방향으로 가이드 하면서도, 터널의 표면을 따라 누수가 원활히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Referring to FIG. 3 , one or more heat source guide parts 700 for guiding the heat source supplied by the heater 100 or the blower fan 600 in a vertical upward direction are coupl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unit panel 200 located at the lowermost end. can be At this time, the heat source guide part 700 is coupled along the inner surface of the unit panel 200 and is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surface of the tunnel by a predetermined distance to guide the heat source in a vertical upward direction while following the surface of the tunnel. Allow the leak to drain smoothly.

또한, 열원 가이드부(700)는 하나 또는 복수개가 배치될 수 있으며 수직 형상에 가까운 곡선형으로 형성되어 측면에서 제공된 열원이 지지대(300)의 연장 방향을 따라 상승하도록 한다.In addition, one or a plurality of heat source guide parts 700 may be disposed and are formed in a curved shape close to a vertical shape so that the heat source provided from the side rises along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support 300 .

한편, 히팅 유도배수 라이닝 시스템(10)의 일 지점에 온도 센서(미도시됨)가 배치될 수 있으며, 온도 센서를 통해 센싱된 온도 값을 기초로 히터(100)와 송풍팬(60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미도시됨)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온도 센서는 히팅 유도배수 라이닝 시스템(10)의 최상부 내부에 위치할 수 있으나, 이에 한하지는 않는다.On the other hand, a temperature sensor (not shown) may be disposed at one point of the heating induction drainage lining system 10 , and the operation of the heater 100 and the blower fan 600 based on the temperature value sensed through the temperature sensor A control unit (not shown) for controlling may be further included. Illustratively, the temperature sensor may be located inside the top of the heating drain lining system 10, but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제어부는 센싱된 온도 값이 제 1 임계값 보다 낮고 제 2 임계값 보다 큰 경우 히터(100)를 구동시키고, 센싱된 온도 값이 제 2 임계값 보다 낮은 경우 히터(100) 및 송풍팬(600)을 구동시킬 수 있으나, 이에 한하지는 않는다. 즉, 온도가 매우 낮은 경우에는 히터(100) 및 송풍팬(600)을 모두 구동하고, 그보다 온도가 높은 경우에는 히터(100)만을 구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drives the heater 100 when the sensed temperature value is lower than the first threshold value and greater than the second threshold value, and when the sensed temperature value is lower than the second threshold value, the heater 100 and the blowing fan ( 600),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at is, when the temperature is very low, both the heater 100 and the blowing fan 600 are driven, and when the temperature is higher than that, it can be controlled to drive only the heater 100 .

한편,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최하단에 위치한 단위 패널(200)의 하부에는 단위 패널(200)의 내면을 따라 흐르는 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드레인 호퍼(400)가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 드레인 호퍼(400)의 끝단에는 드레인 소켓(410)이 배치되어 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통로로 사용한다. 이때, 드레인 소켓(410)이 너무 많이 개방되어 있으면, 드레인 소켓(410)쪽의 압력이 낮아져서, 상부로 공급되는 온풍양이 적어질 수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드레인 소켓(410)의 단면적을 제어하는 댐퍼를 설치하거나, 드레인 소켓(410)에 직경이 작은 관을 이용하여 유도 배수할 수 있다.Meanwhile, referring to FIGS. 1 and 2 , a drain hopper 400 for discharging water flowing along the inner surface of the unit panel 200 to the outside may be additionally disposed under the unit panel 200 located at the lowermost end. . A drain socket 410 is disposed at the end of the drain hopper 400 and used as a passage for discharging water to the outside. At this time, if the drain socket 410 is opened too much, the pressure on the drain socket 410 side may be lowered, so that the amount of warm air supplied to the upper part may decrease. To solve this, a damper for controlling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drain socket 410 may be installed, or the drain socket 410 may be inductively drained using a small-diameter pipe.

또한, 앞서 설명한 열원 가이드부(700)는 드레인 호퍼(400)에도 추가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아래로 배수되는 물과 온풍이 충돌하지 않도록 한다. 열원 가이드부는 일측면이 드레인 호퍼(400)의 내측에 고정되어 있고, 반대 일측면은 일정 간격 떨어져 있어서 물과 송풍의 분리가 가능하다.In addition, the heat source guide unit 700 described above may be added to the drain hopper 400 . This prevents the hot air from collide with the water draining down. One side of the heat source guide part is fixed to the inside of the drain hopper 400, and the opposite side i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so that water and air can be separated.

한편,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최하단에 위치한 단위 패널(200)의 하부측에는, 지지대(300)의 하단부에 배치되고, 터널의 바닥면과 접촉하여, 높이의 조절이 가능한 높이 조절 수단(500)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지지대(300)를 좀 더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으며, 터널 바닥면에 단차가 있더라도 높이 조절을 통해 안정적으로 지지대(300)를 지지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referring to FIGS. 1 and 2 , on the lower side of the unit panel 200 located at the bottom, it is disposed at the lower end of the support 300 and in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tunnel, a height adjustment means ( 500) may be further included. Through this, the support 300 can be supported more firmly, and the support 300 can be stably supported by adjusting the height even if there is a step difference on the bottom of the tunnel.

도 5를 참조하면, 지지대(300)는 H 빔형 지지대(300)로서 터널 표면과 밀착되는 제 1 수평면(310), 제 1 수평면(310)과 나란하게 배치되는 제 2 수평면(320), 제 1 수평면(310)과 제 2 수평면(320)에 수직하게 배치되는 수직면(330)을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5 , the support 300 is an H-beam-type support 300 , and a first horizontal plane 310 in close contact with the tunnel surface, a second horizontal plane 320 disposed in parallel with the first horizontal plane 310 , the first It includes a horizontal plane 310 and a vertical plane 330 disposed perpendicular to the second horizontal plane 320 .

또한, 서로 마주보는 지지대(300)의 수직면(330)을 따라 단위 패널(200)의 제 1 측면과 제 2 측면이 각각 배치된다. 상술한 단위 패널(200)의 제1 측면과 제2 측면은 도 2의 2시 및 8시 방향에 위치한 측면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side and the second side of the unit panel 200 are respectively disposed along the vertical surface 330 of the support 300 facing each other. The first side and the second side of the unit panel 200 described above may be sides located in the 2 o'clock and 8 o'clock directions of FIG. 2 .

제 1 수평면(310)은 수직면(330)의 제 1 측에 위치하는 제 1 측면(311)과 수직면(330)의 제 2 측에 위치한 제 2 측면(312)을 포함하고, 제 1 측면(311)에는 지지대(300)를 터널 표면에 고정시키는 앵커를 결합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앵커홀(313)이 형성된다. 이때, 제 2 측면(312)의 너비는 제 1 측면(311)의 너비보다 더 좁도록 형성하여 원가 절감을 기기대할 수 있다. 상술한 수직면(330)의 제1 측이란 도 5의 4시방향일 수 있으며, 제2 측이란 도 5의 10시 방향일 수 있다.The first horizontal surface 310 includes a first side surface 311 located on a first side of the vertical surface 330 and a second side surface 312 located on a second side of the vertical surface 330 , and the first side surface 311 . ) is formed with one or more anchor holes 313 for coupling the anchor for fixing the support 300 to the tunnel surface. In this case, the width of the second side surface 312 is formed to be narrower than the width of the first side surface 311, so that cost reduction can be expected. The first side of the aforementioned vertical surface 330 may be the 4 o'clock direction of FIG. 5 , and the second side may be the 10 o'clock direction of FIG. 5 .

제 2 수평면(320)은 수직면(330)의 제 1 측에 위치하는 제 1 측면(321)과 수직면(330)의 제 2 측에 위치한 제 2 측면(322)을 포함하는데, 제 1 측면(321)과 제 2 측면(322)의 너비는 동일하게 형성한다. 또한, 서로 마주보는 지지대(300)의 제 2 수평면(320)의 제 1 측면(321)과 제 2 측면(322)에 단위 패널(200)의 측면이 각각 고정된다. 또한, 제1 수평면(310)의 제2 측면(312)과 제2 수평면(320)의 제1 측면(321)의 너비가 동일하게 형성되고, 제1 수평면(310)의 제1 측면(311)에 형성된 앵커홀(11)은 제1 수평면(310)의 제2 측면(312)보다 확장된 면에 형성되어, 앵커홀(313)에 앵커를 손쉽게 결합할 수 있다.The second horizontal plane 320 includes a first side surface 321 positioned on the first side of the vertical plane 330 and a second side surface 322 positioned on the second side of the vertical plane 330 , the first side 321 . ) and the width of the second side surface 322 are formed to be the same. In addition, the side surfaces of the unit panel 200 are respectively fixed to the first side 321 and the second side 322 of the second horizontal surface 320 of the support 300 facing each other. In addition, the width of the second side surface 312 of the first horizontal surface 310 and the first side surface 321 of the second horizontal surface 320 are the same, and the first side surface 311 of the first horizontal surface 310 is formed. The anchor hole 11 formed in the first horizontal surface 310 is formed on a surface that is wider than the second side surface 312 , so that the anchor can be easily coupled to the anchor hole 313 .

또한, 제2 수평면(320)의 제 1 측면(321)과 제2 수평면(320)의 제 2 측면(322)의 너비가 동일하므로, 지지대(300)의 측면 방향으로 단위 패널(200)이 확장되도록 배치될 때, 단위 패널(200)을 고정하기에 용이하게 된다.In addition, since the width of the first side surface 321 of the second horizontal surface 320 and the second side surface 322 of the second horizontal surface 320 are the same, the unit panel 200 expands in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support 300 . When arranged so as to be possible, it becomes easy to fix the unit panel 200 .

한편, 지지대(300)의 수직면(330)에는 열원을 외부로 배출하는 하나 이상의 배출공(331)이 형성될 수 있다. 이 배출공(331)은 사용 목적에 따라 다른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을 참조하면, 터널의 천정부에 인접한 지지대(300)의 수직면(330)에 제한적으로 배출공(331)이 형성될 수 있는데, 이를 통해 단위패널 내측의 압력을 낮춰 열원이 전체적으로 원활하게 순환되도록 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one or more discharge holes 331 for discharging the heat source to the outside may be formed on the vertical surface 330 of the support 300 . The discharge hole 331 may be formed in a different shape depending on the purpose of use. For example, referring to FIG. 1 , a discharge hole 331 may be limitedly formed on the vertical surface 330 of the support 300 adjacent to the ceiling of the tunnel, and through this, the pressure inside the unit panel is lowered to lower the heat source as a whole. It can circulate smoothly.

또한, 지지대(300)의 수직면(330)을 따라 고른 분포를 갖도록 여러개의 배출공(331)이 형성될 수 있는데, 이 경우에는 열원이 외부에도 배출되도록 하여, 히팅 유도배수 라이닝 시스템(10) 주변에 결빙이 발생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이때, 터널의 천정부에 인접한 지지대(300)의 수직면(330)에 형성된 배출공(331)은 그 외의 지지대(300)에 형성된 배출공(331)보다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discharge holes 331 may be formed to have an even distribution along the vertical surface 330 of the support 300. In this case, the heat source is also discharged to the outside, so that the heating induction drainage lining system 10 is around. It can prevent icing from occurring. At this time, the discharge hole 331 formed in the vertical surface 330 of the support 300 adjacent to the ceiling of the tunnel may be formed to be larger than the discharge hole 331 formed in the other supports 300 .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널의 진행 방향을 따라 복수의 지지대(300)가 나란하게 배치되는 형태로 터널라이닝 시스템(10)이 확장될 수 있다. 또한, 지지대(300)는 연장방향을 따라 2개의 지지대(300)가 연결된 상태로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미 설치된 지지대(300)에 새로운 지지대(300)가 추가로 결합될 수 있으며, 이때, 지지대(300)의 연결을 위해 암록 체결 수단에 의하여 2개의 지지대(300)가 연결될 수 있다. 암록 체결 수단은 일반적인 구성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락하기로 한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 4 , the tunnel lining system 10 may be expanded in a form in which a plurality of supports 300 are arranged side by side along the progress direction of the tunnel. In addition, the support 300 may be coupled in a state in which the two supports 300 are connected along the extension direction. For example, the new support 300 may be additionally coupled to the already installed support 300 , and in this case, the two supports 300 may be connected by an amlock fastening means for connection of the support 300 . Since the female lock fastening means has a general configuration,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6을 참조하면, 히팅 유도배수 라이닝 시스템(10)은 터널의 상부에만 단위 패널(200) 및 지지대(300)가 위치하여, 히터(100)로부터 열원이 최하단에 위치한 단위 패널(200)로 공급하는 열풍관(9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해, 히팅 유도 배수 라이닝 시스템(10)은 터널의 상부에만 단위 패널(200) 및 지지대(300)를 설치하여, 터널의 상부에서 누수를 해결할 수 있다. 터널을 관통하는 차량의 차량 한계(차량의 길이, 너비, 높이)를 고려하면, 고드름 등이 실제로 차량에 영향을 미치는 영역은 다소 제한적이다. 특히, 철도 차량의 경우 전력선이나 팬터그래프가 배치되는 영역을 벗어나면, 고드름에 의한 위험성은 해소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차량 한계를 고려하여, 차량의 평면 면적을 커버하는 영역에 대해서만 단위 패널(200)과 지지대(300)가 설치되도록 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 in the heating induction drainage lining system 10 , the unit panel 200 and the support 300 are located only at the upper part of the tunnel, and the heat source from the heater 100 is supplied to the unit panel 200 located at the lowest end. It may further include a hot air tube 900 that does. In other words, the heating induction drainage lining system 10 installs the unit panel 200 and the support 300 only in the upper part of the tunnel, so that water leakage can be solved in the upper part of the tunnel. Considering the vehicle limit (vehicle length, width, and height) of the vehicle passing through the tunnel, the area where icicles and the like actually affects the vehicle is somewhat limited.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a railway vehicle, if the power line or the pantograph is out of the area, the risk of icicles can be eliminated. Accordingly,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ystem may be configured such that the unit panel 200 and the support 300 are installed only in an area covering the planar area of the vehicle in consideration of the vehicle limitation.

또한, 이에 한하지 않고, 터널 내 누수되는 지점에만 단위 패널(200) 및 지지대(300)를 설치하고, 그외 지역은 배수로 및 열풍관(900)으로 구성하여 설치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다. In addition, it is not limited to this, and the unit panel 200 and the support 300 are installed only at the point where the water leaks in the tunnel, and the installation cost can be minimized by configuring the other areas with the drainage channel and the hot air pipe 900 .

도 7을 참조하면, 히팅 유도배수 라이닝 시스템(10)은 터널의 최상부에 위치한 지지대(300)의 수직면(330)에 열풍이 배출되는 배출공(331)이 형성되거나, 터널의 최상부에 위치한 단위 패널(200)에 배기구(220)가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단위 패널(200) 내측의 압력을 낮춰 열원이 전체적으로 원활하게 순환되도록 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7 , the heating induced drainage lining system 10 has a discharge hole 331 through which hot air is discharged is formed on the vertical surface 330 of the support 300 located at the top of the tunnel, or a unit panel located at the top of the tunnel. An exhaust port 220 may be formed at 200 . Through this, the pressure inside the unit panel 200 can be lowered so that the heat source can be smoothly circulated throughout.

또한, 히팅 유도 배수 라이닝 시스템(10)은 배출공(331) 또는 배기구(220)로부터 소정의 거리 이격되어 위치하는 차단막(8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해, 터낼 내 공기의 흐름이나 바람으로 인하여, 배출공(331) 또는 배기구(220)에 압력변화를 줄이기 위하여 외기가 배출공(331) 또는 배기구(220)에서 나오는 온풍과 직접적으로 부딪치지 않도록 차단막(800)을 설치할 수 있다. 또한, 배출공(331) 또는 배기구(220)에 압력 변화를 최소화하여 송풍팬(600)의 압력을 균일하게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heating induction drainage lining system 10 may further include a blocking film 800 positioned to be spaced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discharge hole 331 or the exhaust port 220 . In other words, in order to reduce the pressure change in the discharge hole 331 or the exhaust port 220 due to the flow or wind of the air in the blower, the blocking film prevents the outside air from directly colliding with the warm air coming out of the discharge hole 331 or the exhaust port 220 . (800) can be installed. In addition, the pressure of the blowing fan 600 may be uniform by minimizing the pressure change in the discharge hole 331 or the exhaust port 220 .

한편, 히팅 유도배수 라이닝 시스템(10)은 히팅 유도배수 라이닝 시스템(10)의 일 지점에 배치되어, 열풍의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 센서(미도시됨)를 포함하고, 압력센서로부터 전송된 정보에 기초하여, 송풍팬(600)을 제어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압력 센서를 통해 압력값이 기설정된 값보다 낮을 경우, 송풍팬(600)의 강도를 높게 설정하며, 기설된 값보다 높을 경우, 송풍팬(600)의 강도를 낮게 설정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heating induction drainage lining system 10 is disposed at one point of the heating induction drainage lining system 10, and includes a pressure sensor (not shown) for measuring the pressure of hot air, and the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pressure sensor Based on it,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blowing fan 600 . For example, when the pressure value through the pressure sensor is lower than a preset value, the strength of the blowing fan 600 may be set to be high, and if it is higher than the preset value, the strength of the blowing fan 600 may be set low.

도 8을 참조하면, 히팅 유도배수 라이닝 시스템(10)은 일단이 복수의 지지대(300) 중 하나에 연결되고, 타단이 송풍팬(600)에 연결되는 순환로(6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송풍팬(600)은 히터와 인접한 부분에 있는 지지대(300)의 배출공(331)을 통해 배출되는 공기를 순환로(610)를 통해 공급받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송풍팬(600)은 외기와 순환로(610)를 통해 공급받은 온풍을 재송풍하여 히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Referring to FIG. 8 , the heating induction drain lining system 10 may further include a circulation path 610 having one end connected to one of the plurality of supports 300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blowing fan 600 . For example, the blower fan 600 may receive air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hole 331 of the support 300 in a portion adjacent to the heater through the circulation path 610 . Accordingly, the blowing fan 600 may improve the heating efficiency by re-blowing the outside air and the warm air supplied through the circulation path 610 .

전술한 본원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원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The above description of the present application is for illustration,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application pertains will understand that it can be easily modified into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application.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restrictive. For example, each component described as a single type may be implemented in a dispersed form, and likewise components described as distributed may be implemented in a combined form.

본원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원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scope of the present application is indicated by the following claims rather than the above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application.

10 : 히팅 유도배수 라이닝 시스템
100 : 히터 200 : 단위 패널
210 : 단열부재
300 : 지지대
310 : 제1 수평면
311 : 제1 수평면의 제1 측면 312: 제 1 수평면의 제 2 측면
313 : 앵커홀
320 : 제2 수평면
321: 제 2 수평면의 제 1 측면 322 : 제2 수평면의 제2 측면
330 : 수직면 331 : 배출공
331 : 제1 측면 332 : 제2 측면
400 : 드레인 호퍼 410 : 드레인 소켓
500 : 높이 조절 수단 600 : 송풍팬
610 : 순환로
700 : 열원 가이드부 800 : 차단막
900 : 열풍관
10: heating induction drainage lining system
100: heater 200: unit panel
210: insulation member
300: support
310: first horizontal plane
311: a first side of the first horizontal plane 312: a second side of the first horizontal plane
313: anchor hole
320: second horizontal plane
321: first side of the second horizontal plane 322: second side of the second horizontal plane
330: vertical surface 331: discharge hole
331: first side 332: second side
400: drain hopper 410: drain socket
500: height adjustment means 600: blowing fan
610: circuit
700: heat source guide part 800: blocking film
900: hot air tube

Claims (20)

터널에서의 결빙을 방지하는 히팅 유도배수 라이닝 시스템에 있어서,
터널의 하단부에 배치되어 열원을 공급하는 히터,
소정의 면적을 가지며 터널 표면을 따라 터널 표면으로부터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단위 패널, 및
상기 단위 패널을 양측에서 지지하고, 상기 터널 표면에 고정되는 적어도 2개의 지지대를 포함하고,
상기 단위 패널은 상기 지지대의 연장 방향을 따라 하나 이상이 서로 인접하여 배치되고,
상기 히터는 최하단에 위치한 단위 패널에 상기 열원을 공급하고,
상기 단위 패널과 상기 터널 표면 사이의 공간을 통해 상기 히터에서 공급되는 열풍이 이동되며, 상기 터널의 표면에서 발생하는 누수가 배출되는 것인 히팅 유도 배수 라이닝 시스템.
In the heating induced drainage lining system to prevent freezing in the tunnel,
A heater disposed at the lower end of the tunnel to supply a heat source,
A plurality of unit panels having a predetermined area and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tunnel surface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long the tunnel surface, and
Supporting the unit panel from both sides and comprising at least two supports fixed to the tunnel surface,
One or more of the unit panels are disposed adjacent to each other along the extension direction of the support;
The heater supplies the heat source to the unit panel located at the bottom,
The hot air supplied from the heater is moved through the space between the unit panel and the tunnel surface, and the heating induction drainage lining system that the water leakage generated on the surface of the tunnel is discharge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최하단에 위치한 단위 패널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단위 패널의 내면을 따라 흐르는 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드레인 호퍼를 더 포함하는 히팅 유도배수 라이닝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heating induction drain lining system further comprising a drain hopper disposed under the unit panel located at the lowermost end and discharging water flowing along the inner surface of the unit panel to the outsid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의 하단부에 배치되고, 터널의 바닥면과 접촉하여, 높이의 조절이 가능한 높이 조절 수단을 더 포함하는 히팅 유도배수 라이닝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A heating induction drainage lining system that is disposed at the lower end of the support, and is in contact with the bottom of the tunnel, further comprising a height adjustment means capable of adjusting the heigh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상기 열원의 공급 상태를 조절하는 송풍팬을 더 포함하는 히팅 유도배수 라이닝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heating induction drainage lining system further comprising a blowing fan disposed adjacent to the heater to control the supply state of the heat source.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히팅 유도배수 라이닝 시스템의 일 지점에 배치된 온도 센서 및,
상기 온도 센서를 통해 센싱된 온도 값을 기초로 상기 히터와 송풍팬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싱된 온도 값이 제 1 임계값 보다 낮고 제 2 임계값 보다 큰 경우 상기 히터를 구동시키고,
상기 센싱된 온도 값이 상기 제 2 임계값 보다 낮은 경우 상기 히터 및 송풍팬을 구동시키는 것인 히팅 유도배수 라이닝 시스템.
5. The method of claim 4,
A temperature sensor disposed at one point of the heating induction drain lining system and,
Further comprising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heater and the blower fan based on the temperature value sensed by the temperature sensor,
The control unit drives the heater when the sensed temperature value is lower than a first threshold value and greater than a second threshold value,
When the sensed temperature value is lower than the second threshold value, the heating induction drain lining system to drive the heater and the blowing fan.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 및 송풍팬은 상기 최하단에 위치한 단위 패널의 측부에 배치되고,
상기 최하단에 위치한 단위 패널의 내측면에는 상기 히터 또는 송풍팬이 공급하는 열원을 수직 상승하는 방향으로 가이드 하는 하나 이상의 열원 가이드부가 결합된 것인 히팅 유도배수 라이닝 시스템.
5. The method of claim 4,
The heater and the blowing fan are disposed on the side of the unit panel located at the lowermost end,
One or more heat source guides for guiding the heat source supplied by the heater or the blower fan in a vertical upward direction are coupl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unit panel located at the lowermost end. A heating induction drain lining system.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는 H 빔형 지지대로서 터널 표면과 밀착되는 제 1 수평면, 상기 제 1 수평면과 나란하게 배치되는 제 2 수평면, 상기 제 1 수평면과 제 2 수평면에 수직하게 배치되는 수직면을 포함하고,
서로 마주보는 제 1 지지대 및 제 2 지지대의 수직면을 따라 상기 단위 패널의 제 1 측면과 제 2 측면이 각각 배치되는 것인 히팅 유도배수 라이닝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support is an H-beam-type support, and includes a first horizontal plane in close contact with the tunnel surface, a second horizontal plane parallel to the first horizontal plane, and a vertical plane perpendicular to the first horizontal plane and the second horizontal plane,
A heating induction drainage lining system in which the first side and the second side of the unit panel are respectively disposed along the vertical surfaces of the first support and the second support facing each other.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수평면은 상기 수직면의 제 1 측에 위치하는 제 1 측면과 상기 수직면의 제 2 측에 위치한 제 2 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측면에는 상기 지지대를 터널 표면에 고정시키는 앵커를 결합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앵커홀이 형성된 히팅 유도배수 라이닝 시스템.
8. The method of claim 7,
The first horizontal surface includes a first side surface located on a first side of the vertical surface and a second side surface located on a second side of the vertical surface,
A heating induction drainage lining system in which one or more anchor holes are formed on the first side for coupling an anchor for fixing the support to the tunnel surface.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측면의 너비는 상기 제 1 측면의 너비보다 더 좁은 것인 히팅 유도배수 라이닝 시스템.
9. The method of claim 8,
The width of the second side is a heating drain lining system that is narrower than the width of the first side.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의 수직면에는 상기 열원을 외부로 배출하는 하나 이상의 배출공이 형성된 것인 히팅 유도배수 라이닝 시스템.
8. The method of claim 7,
One or more discharge holes for discharging the heat source to the outside are formed on the vertical surface of the suppor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 패널의 외측면 또는 내측면에 소정 두께의 단열부재가 더 결합된 것인 히팅 유도배수 라이닝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A heating induced drainage lining system in which an insulating member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is further coupled to the outer or inner surface of the unit panel.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는 2개의 지지대가 연결된 것일 수 있고, 각 지지대의 연결지점은 암록 체결 수단에 의하여 고정되는 것인 히팅 유도배수 라이닝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support may be two supports connected, and the connection point of each support is a heating induction drainage lining system that is fixed by an amlock fastening mean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2개의 지지대의 측면 방향으로 하나 이상의 지지대와 하나 이상의 단위 패널이 추가로 결합된 히팅 유도배수 라이닝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A heating induction drainage lining system in which one or more supports and one or more unit panels are additionally combined in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at least two support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 패널 및 지지대는 터널의 상부를 따라 위치하고,
상기 히터로부터 열원을 상기 최하단에 위치한 단위패널로 공급하는 열풍관을 더 포함하는 것인 히팅 유도 배수 라이닝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unit panel and the support are located along the upper part of the tunnel,
Heating induction drainage lining system further comprising a hot air pipe for supplying a heat source from the heater to the unit panel located at the lowermost stage.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터널의 최상부에 위치한 지지대의 수직면에 열풍이 배출되는 배출공이 형성되거나 상기 터널의 최상부에 위치한 단위 패널에 배기구가 형성되는 것인 히팅 유도배수 라이닝 시스템.
8. The method of claim 7,
A heating induction drain lining system in which an exhaust hole through which hot air is discharged is formed on the vertical surface of the support located at the top of the tunnel or an exhaust hole is formed in a unit panel located at the top of the tunnel.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공 또는 배기구로부터 소정의 거리 이격되어 위치하는 차단막을 더 포함하는 히팅 유도배수 라이닝 시스템.
16. The method of claim 15,
Heating induction drainage lining system further comprising a blocking film positioned to be spaced apar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discharge hole or exhaust port.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히팅 유도배수 라이닝 시스템의 일 지점에 배치되어, 열풍의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압력 센서로부터 전송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송풍팬을 제어하는 것인 히팅 유도배수 라이닝 시스템.
5. The method of claim 4,
It is disposed at one point of the heating induction drainage lining system, including a pressure sensor for measuring the pressure of the hot air,
Based on the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pressure sensor, the heating induction drainage lining system that controls the blowing fan.
제 4 항에 있어서,
일단이 상기 복수의 지지대 중 하나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송풍팬에 연결되는 순환로를 더 포함하는 히팅 유도 배수 라이닝 시스템.
5. The method of claim 4,
The heating induction drainage lining system further comprising a circuit having one end connected to one of the plurality of supports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blowing fan.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지지대와 하나 이상의 단위 패널이 추가로 결합된 경우, 추가된 단위 패널에 대해서는 추가된 단위 패널에 인접한 기존 설치된 지지대의 수직면에 형성된 배출공을 통해 열원이 공급되는 히팅 유도배수 라이닝 시스템.
14. The method of claim 13,
When the one or more supports and one or more unit panels are additionally combined, for the added unit panel, a heat source is supplied through a discharge hole formed in the vertical surface of the previously installed support adjacent to the added unit panel. A heating induction drainage lining system.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 패널 및 지지대는 상기 터널을 통과하는 차량의 차량 한계를 고려하여, 차량의 평면 면적을 커버하는 영역에 대해서만 설치되는 것인 히팅 유도배수 라이닝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unit panel and the support is a heating induction drainage lining system that is installed only in the area covering the plane area of the vehicle in consideration of the vehicle limit of the vehicle passing through the tunnel.
KR1020190160375A 2019-12-05 2019-12-05 Heating induced drainage lining system for preventing icicle damage due to leakage in tunnels KR10230402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0375A KR102304020B1 (en) 2019-12-05 2019-12-05 Heating induced drainage lining system for preventing icicle damage due to leakage in tunnel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0375A KR102304020B1 (en) 2019-12-05 2019-12-05 Heating induced drainage lining system for preventing icicle damage due to leakage in tunnel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0536A true KR20210070536A (en) 2021-06-15
KR102304020B1 KR102304020B1 (en) 2021-09-24

Family

ID=764119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0375A KR102304020B1 (en) 2019-12-05 2019-12-05 Heating induced drainage lining system for preventing icicle damage due to leakage in tunnel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4020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822640A (en) * 2022-11-04 2023-03-21 中国科学院西北生态环境资源研究院 Frozen soil tunnel entrance to a cave protection system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6505B1 (en) * 2008-03-10 2008-11-03 (유)성우종합개발 Guide apparatus for water leakage of inner tunnel equipped with environmentally-friendly antibacterial guide panel for water leakage and its guide method thereof
KR101782533B1 (en) * 2016-10-20 2017-09-28 김성종 System of preventing from creating icicle in Tunnel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6505B1 (en) * 2008-03-10 2008-11-03 (유)성우종합개발 Guide apparatus for water leakage of inner tunnel equipped with environmentally-friendly antibacterial guide panel for water leakage and its guide method thereof
KR101782533B1 (en) * 2016-10-20 2017-09-28 김성종 System of preventing from creating icicle in Tunnel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822640A (en) * 2022-11-04 2023-03-21 中国科学院西北生态环境资源研究院 Frozen soil tunnel entrance to a cave protection system
CN115822640B (en) * 2022-11-04 2023-11-28 中国科学院西北生态环境资源研究院 Frozen soil tunnel portal protection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04020B1 (en) 2021-09-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819405B2 (en) Adjusting device and adjusting method for drying and temperature control of ballast roadbed
KR102304020B1 (en) Heating induced drainage lining system for preventing icicle damage due to leakage in tunnels
JP6567326B2 (en) Air conditioning method and air conditioning system for low temperature warehouse handling room
CN108894812B (en) Underground tunneling roadway cooling and dehumidifying system for high-temperature and high-humidity mine
KR102481061B1 (en) Heating module for preventing icicle damage due to leakage in tunnels and induction-drainage lining system having the same
US20130058716A1 (en) Air-blowing-type Road Surface Snow-melting System
JP4905705B2 (en) Track with wind tunnel melting snow sleeper
KR101580456B1 (en) Artificial glacier production structure and the method of thereof
JP2005036433A (en) Anti-freezing structure of track steel beam
JP2000039163A (en) Cooling and heating structure having water permeable concrete surface layer
KR102106917B1 (en) The fluid passage system of anti-freezing for tunnel
KR101815897B1 (en) Cold air and warm air supply device using underground heat
KR100969985B1 (en) Device of freezing of the road surface using earth heat
KR102180897B1 (en) Cooling structure of ice rink
CN107313796A (en) A kind of coal mine heat evil prevention and controls
KR102266050B1 (en) The fluid passage system of anti-freezing for tunnel
CN205536362U (en) Reduce air inlet system of hot pressing effect
RU2528317C2 (en) Method and system of universal protection of open apertures of double-track tunnels of subway
GB2340928A (en) Heating/cooling structures
KR102161104B1 (en) Cooling water discharge device for ice field
JPH0635800B2 (en) Leakage guidance device for tunnel
KR101591453B1 (en) Wall reclaim piping structure
KR102210661B1 (en) System for preventing condensation
KR101680717B1 (en) Condensed water discharging structure of underground structure
KR102247141B1 (en) Condensation removal system for walking spa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