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70059A - Motion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using piezoelectric sensor - Google Patents

Motion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using piezoelectric sens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70059A
KR20210070059A KR1020190160077A KR20190160077A KR20210070059A KR 20210070059 A KR20210070059 A KR 20210070059A KR 1020190160077 A KR1020190160077 A KR 1020190160077A KR 20190160077 A KR20190160077 A KR 20190160077A KR 20210070059 A KR20210070059 A KR 202100700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ezoelectric sensor
finger
processor
user
val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007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미소
이수운
이선호
Original Assignee
한국표준과학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표준과학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표준과학연구원
Priority to KR10201901600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70059A/en
Priority to PCT/KR2020/015730 priority patent/WO2021112421A1/en
Publication of KR202100700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0059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5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using resistive elements, e.g. a single continuous surface or two parallel surfaces put in contac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1/00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1/00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 G09B21/009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deaf persons
    • H01L41/047
    • H01L41/113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30/00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devices
    • H10N30/30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devices with mechanical input and electrical output, e.g. functioning as generators or senso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30/00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devices
    • H10N3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N30/87Electrodes or interconnections, e.g. leads or termi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and method for motion communication using piezoelectric sensor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ystem includes: piezoelectric sensors attached to a user's fingers to generate electric signal values according to the motion of the user's fingers; a memory for storing at least one instruction; and at least one processor for executing the at least one instruction stored in the memory, wherein the processor may execute the at least one instruction to compare a measurement value for each of the piezoelectric sensors with a reference value, binarize the measurement values on the basis of the result of the comparison, and estimate linguistic elements matching a combination of the binarized measurement values.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improve a signal recognition rate and accuracy according to user's body movement.

Description

압전센서를 이용한 모션 커뮤니케이션 시스템 및 방법{MOTION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USING PIEZOELECTRIC SENSOR}Motion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using piezoelectric sensor {MOTION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USING PIEZOELECTRIC SENSOR}

본 발명은 압전센서를 이용한 모션 커뮤니케이션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형상적응형 플렉서블 소재를 통해 제작된 압전센서가 손가락의 움직임(bending)의 크기에 따라 발생시키는 전기 신호값을 기초로 이에 대응하는 언어를 추정함으로써, 사용자 간의 의사소통이 가능하도록 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tion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using a piezoelectric sensor, and more particularly, based on an electrical signal value generated by a piezoelectric sensor manufactured through a shape-adaptive flexible material according to the size of a finger's bending.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and method for enabling communication between users by estimating a language corresponding thereto.

최근 손가락, 손 등의 신체의 움직임을 이용하여 사람 간에 의사소통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다양한 기술들이 개발되어 오고 있다. 글러브에 장착된 센서를 이용한 손가락의 움직임 감지 또는 카메라를 이용한 손가락의 움직임 감지를 통해 수화를 인식하고, 이를 문자 형태로 표현하여 제공하는 시스템이 대표적인 예이다. 이와 같은 시스템을 이용하면, 수화 체계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더라도 전달하고자 하는 의사가 문자로 표현되므로, 시스템 사용자 간에 원활한 의사소통이 이루어질 수 있다.Recently, various technologies have been developed to enable communication between people by using body movements such as fingers and hands. A typical example is a system that recognizes sign language through finger motion detection using a sensor mounted on a glove or finger motion detection using a camera, and expresses it in text form and provides it. If such a system is used, even if the understanding of the sign language system is insufficient, the intention to be conveyed is expressed in text, so that smooth communication between users of the system can be achieved.

그러나, 카메라를 이용하여 손가락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방식의 경우, 카메라의 촬영 범위, 각도, 빛 반사 등 손의 이미지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방해요소들로 인해 정확한 감지가 어렵다는 문제가 존재한다. 즉, 손가락의 움직임을 감지하는데 영향을 미치는 방해요소들을 최소화하기 위해서 카메라의 배치, 종류 등이 반드시 고려되어야 한다는 점에서 사용자의 편의성이 떨어지고 사용이 제한적일 수 밖에 없다.However, in the case of a method of detecting the movement of a finger using a camera, there is a problem in that accurate detection is difficult due to interference factors that may affect the image of the hand, such as a photographing range, angle, and light reflection of the camera. In other words, in that the arrangement and type of the camera must be considered in order to minimize the obstacles affecting the sensing of the movement of the finger, the user's convenience is lowered and the use is inevitably limited.

반면, 센서를 이용하여 손가락의 움직임을 직접적으로 감지하는 방식의 경우, 손에 장착된 글러브 등을 통해 손가락의 움직임에 따른 변화를 직접적으로 감지하므로, 카메라를 이용한 감지 방식에 비해 주변 환경의 영향이 적고 정확한 인식이 가능하다.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a method that directly detects the movement of a finger using a sensor, the influence of the surrounding environment is less than that of the detection method using a camera because the change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finger is directly detected through a glove mounted on the hand. Less and more accurate recognition is possible.

하지만, 종래에 개발된 센서들은 손가락의 구부림 또는 펼침 동작에 따라 유연하게 반응하지 못해 손상되거나 변형되어 오래 사용하지 못하고 인식률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의 시스템은 사용자의 신체구조를 전혀 고려하지 않은채 손가락 상에 배치되어 사용되므로, 사용자의 의도와는 다른 문자가 표현되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하는 문제가 존재한다. 더불어, 종래의 시스템은 손가락의 움직임 인식 및 언어 추정의 전반적인 과정의 복잡도로 인해 다양한 언어 체계에서의 활용도가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다.However, sensors developed in the prior art do not respond flexibly according to bending or unfolding motions of the fingers, so they are damaged or deformed, so that they cannot be used for a long time and the recognition rate is lowered. In addition, since the conventional system is disposed on the finger without considering the user's body structure at all, there is a problem that characters different from the user's intention are frequently expressed. In addition, the conventional system has a disadvantage in that it is not useful in various language systems due to the complexity of the overall process of finger motion recognition and language estimation.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35712호 (2012.04.16)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12-0035712 (2012.04.16)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납을 포함하지 않고, 생체친화적이며 유연한 소재를 통해 제작된 압전센서를 이용함으로써, 종래 대비 사용자의 신체 움직임에 따른 신호 인식률 및 정확도를 개선시킬 수 있는 모션 커뮤니케이션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by using a piezoelectric sensor made of a bio-friendly and flexible material that does not contain lead,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signal recognition rate and accuracy according to the user's body movement compared to the prior art.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otion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that can

또한, 사용자의 신체 구조에 최적화된 신호 검출 및 이진화를 이용한 언어 매칭을 통해 활용도가 높은 수화 체계를 구축할 수 있는 모션 커뮤니케이션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otion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capable of constructing a highly useful sign language system through language matching using signal detection and binarization optimized for the user's body structure.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압전센서를 이용한 모션 커뮤니케이션 시스템은, 사용자의 손가락에 부착되어, 사용자의 손가락의 움직임에 따른 전기신호값을 생성하는 압전센서, 적어도 하나의 인스트럭션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및 메모리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프로세서는 적어도 하나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함으로써, 압전센서 별 측정값과 기준치를 비교하고, 비교의 결과를 기초로 측정값을 이진화하며, 이진화된 측정값의 조합과 매칭되는 언어요소를 추정할 수 있다.A motion communication system using a piezoelectric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iezoelectric sensor attached to a user's finger and generating an electrical signal value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user's finger, a memory for storing at least one instruction, and Comprising at least one processor for executing at least one instruction stored in the memory, the processor executes the at least one instruction, thereby comparing the measured value for each piezoelectric sensor with the reference value, and binarizing the measured value based on the result of the comparison, , it is possible to estimate the language element matching the combination of the binarized measurement values.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압전센서는 복수개의 전극들 및 전극들의 사이에 배치되는 나노섬유를 포함할 수 있다.The piezoelectric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plurality of electrodes and nanofibers disposed between the electrodes.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나노섬유는 소정의 온도에서 어닐링된(annealed) 섬유로서, 두께는 80㎛일 수 있다.Nanofiber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fibers annealed at a predetermined temperature, and may have a thickness of 80 μm.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로세서는 적어도 하나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함으로써, 압전센서 별 측정값에 대한 분석을 통해 사용자의 손가락에 부착된 압전센서 각각에 대한 기준치를 결정하고,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The proces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determine a reference value for each of the piezoelectric sensors attached to the user's finger through analysis of the measured values for each piezoelectric sensor by executing at least one instruction, and store the reference value in the memory.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언어요소에는 알파벳 또는 소정의 단어가 포함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anguage element may include an alphabet or a predetermined word.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로세서는 적어도 하나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함으로써, 언어요소가 알파벳인 경우, 사용자의 양손의 손가락 중 엄지, 검지 및 중지에 부착된 압전센서의 측정값을 기초로 도출된 조합에 따라 알파벳을 추정할 수 있다.The proces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xecutes at least one instruction, so that when the language element is an alphabet, a combination derived based on the measurement values of the piezoelectric sensors attached to the thumb, index finger, and middle finger among the fingers of the user's both hands The alphabet can be estimated according to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압전센서를 이용한 모션 커뮤니케이션 방법은, 사용자의 손가락에 부착된 압전센서가 손가락의 움직임에 따른 전기신호값을 생성하는 단계, 프로세서가 압전센서 별 측정값과 기준치를 비교하는 단계, 프로세서가 비교의 결과를 기초로 측정값을 이진화하는 단계 및 프로세서가 이진화된 측정값의 조합과 매칭되는 언어요소를 추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a motion communication method using a piezoelectric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iezoelectric sensor attached to the user's finger generates an electric signal value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finger, and the processor compares the measured value for each piezoelectric sensor with a reference value The method may include: performing, by the processor, binarizing the measured value based on the result of the comparison, and estimating, by the processor, a language element matching the combination of the binarized measured value.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모션 커뮤니케이션 방법은, 프로세서가 압전센서 별 측정값에 대한 분석을 통해 사용자의 손가락에 부착된 압전센서 각각에 대한 기준치를 결정하고,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motion communica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the step of determining, by the processor, a reference value for each piezoelectric sensor attached to the user's finger through analysis of the measurement value for each piezoelectric sensor, and storing the reference value in a memory. can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언어요소를 추정하는 단계에서는, 언어요소가 알파벳인 경우, 프로세서가 사용자의 양손의 손가락 중 엄지, 검지 및 중지에 부착된 압전센서의 측정값을 기초로 도출된 조합에 따라 알파벳을 추정할 수 있다.In the step of estimating the language ele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language element is an alphabet, the processor is a combination derived based on the measurement values of the piezoelectric sensors attached to the thumb, index finger, and middle finger among the fingers of the user's both hands The alphabet can be estimated according to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전술한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할 수 있다.Meanwhi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 which a program for executing the above-described method is recorded in a computer.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서 제공되는 모션 커뮤니케이션 시스템 및 방법을 이용하면, 납을 포함하지 않고, 생체친화적이며 유연한 소재를 통해 제작된 압전센서를 이용함으로써, 센서의 신호 인식률 및 정확도를 개선시킬 수 있으므로, 사용자 간의 의사소통을 위한 모션 인식 및 신호 검출의 신뢰성과 정확성을 종래 대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Using the motion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provided a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signal recognition rate and accuracy of the sensor by using a piezoelectric sensor that does not contain lead and is made of a bio-friendly and flexible material. , it is possible to significantly improve the reliability and accuracy of motion recognition and signal detection for communication between users compared to the prior art.

또한, 손가락의 움직임을 이진화하고, 이진화된 움직임에 매칭되는 언어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필요 또는 상황에 따라 다양한 수화 체계에 손쉽게 활용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In addition, by binarizing the movement of a finger and providing a language matching the binarized movement, it has an advantage that it can be easily utilized in various sign language systems according to the user's needs or circumstance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압전센서를 이용한 모션 커뮤니케이션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의 손가락에 부착된 압전센서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나노섬유의 어닐링 온도 변화에 기초한 압전센서의 출력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나노섬유의 두께 변화에 기초한 압전센서의 출력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나노섬유의 두께 변화에 따른 압전센서의 중심축 변화를 형상화한 그림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압전센서의 내구성 및 안정성 테스트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로세서의 블록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a) 압전센서가 부착된 손가락 사진, (b) 31개의 손가락 움직임의 조합으로 나타낸 31개의 문자를 정리한 표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a) "THANK YOU!"라는 문자가 출력된 시스템의 동작 사진, (b) "THANK YOU!"라는 문자의 출력을 위한 압전센서의 측정값을 정리한 표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로세서의 언어요소 추정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압전센서를 이용한 모션 커뮤니케이션 방법의 순서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of a motion communication system using a piezoelectric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piezoelectric sensor attached to a user's fing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graph showing the output change of the piezoelectric sensor based on the change in the annealing temperature of the nanofi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graph showing the output change of the piezoelectric sensor based on the change in the thickness of the nanofi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hange in the central axis of a piezoelectric sensor according to a change in the thickness of a nanofi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graph showing the durability and stability test results of the piezoelectric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block diagram of a proces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table summarizing 31 characters represented by a combination of (a) a photo of a finger to which a piezoelectric sensor is attached and (b) a movement of 31 finger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n operation photograph of a system in which the text "THANK YOU!" is output, (b) a measurement value of the piezoelectric sensor for outputting the text "THANK YOU!" it is one ticket
10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estimating a language element of a proces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flowchart of a motion communication method using a piezoelectric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Terms used in this specification will be briefly described, and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selected as currently widely used general terms as possible while considering the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but these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 or precedent of a person skilled in the art, the emergence of new technology, and the like. In addition, in a specific case, there is a term arbitrarily selected by the applicant, and in this case, the meaning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scription of the corresponding invention. Therefore, the term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fined based on the meaning of the term and the overall cont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than the name of a simple term.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구성을 사이에 두고"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In the entire specification, when a part "includes" a certain component, it means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further included, rather than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otherwise stated. In addition, terms such as "...unit" and "module"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mean a unit that processes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which may be implemented as hardware or software, or a combination of hardware and software. . Also,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connected" with another part, this includes not only the case of being "directly connected" but also the case of being connected "with another configuration in between".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And in order to clear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rawings,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similar reference numerals are attached to similar par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압전센서(100)를 이용한 모션 커뮤니케이션 시스템의 블록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of a motion communication system using a piezoelectric senso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모션 커뮤니케이션 시스템은, 사용자의 손가락에 부착되어, 사용자의 손가락의 움직임에 따른 전기신호값을 생성하는 압전센서(100), 적어도 하나의 인스트럭션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200) 및 메모리(200)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300)를 포함하고, 프로세서(300)는 적어도 하나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함으로써, 압전센서(100) 별 측정값과 기준치를 비교하고, 비교의 결과를 기초로 측정값을 이진화하며, 이진화된 측정값의 조합과 매칭되는 언어요소를 추정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 the motion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iezoelectric sensor 100 that is attached to a user's finger and generates an electrical signal value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user's finger, at least one instruction. a memory 200 for storing and at least one processor 300 executing at least one instruction stored in the memory 200, wherein the processor 300 executes the at least one instruction, whereby the piezoelectric sensor 100 A star measurement value and a reference value are compared, the measurement value is binarized based on the result of the comparison, and a language element matching the combination of the binarized measurement value can be estimated.

압전센서(100)는 손가락의 구부림 또는 펼침과 같은 손가락의 움직임에 의해 발생하는 기계적인 힘을 전기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왼손과 오른손의 마디마다 부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손가락 각각의 개별적인 움직임은 압전센서(100)마다 할당된 번호 등의 고유의 식별번호를 통해 구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왼손의 엄지, 검지, 중지, 약지, 소지 각각에 압전센서 1 내지 5가 부착되었다고 가정하면, 압전센서 1 내지 5 각각이 측정한 전기신호값을 기초로 왼손의 5개 손가락 중 어떤 손가락에서 구부림 또는 펼침과 같은 움직임이 일어났는지가 구별될 수 있다.The piezoelectric sensor 100 is a configuration for converting a mechanical force generated by a movement of a finger, such as bending or spreading of the finger, into an electrical signal, and may be attached to each joint of the left and right hands. Individual movements of each finger may be distinguished through a unique identification number such as a number assigned to each piezoelectric sensor 100 . For example, assuming that piezoelectric sensors 1 to 5 are attached to each of the thumb, index, middle, ring, and small fingers of the left hand, which one of the five fingers of the left hand is based on the electrical signal value measured by each of the piezoelectric sensors 1 to 5? It can be distinguished whether a movement such as bending or unfolding has occurred in the finger.

메모리(200) 및 프로세서(300)는 하나의 컴퓨팅 장치에서 서로 연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컴퓨팅 장치는 압전센서(100)와 유무선 네트워크 통신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즉, 압전센서(100)가 손가락의 움직임에 따른 전기신호값을 생성하면, 생성된 전기신호값은 유무선 네트워크 통신을 통해 프로세서(300)로 전달되고, 프로세서(300)는 메모리(200)에 저장된 인스트럭션을 실행하여 손가락의 움직임에 알맞은 언어요소를 추정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300)는 메모리(200)에 저장된 인스트럭션을 실행하여 손가락의 움직임에 매칭되는 언어요소를 컴퓨팅 장치의 디스플레이 또는 컴퓨팅 장치와 연동되는 웨어러블 장치의 디스플레이 등을 통해 출력할 수 있다. The memory 200 and the processor 300 may be configured to interwork with each other in one computing device. In this case, the computing device may transmit/receive data to and from the piezoelectric sensor 100 through wired/wireless network communication. That is, when the piezoelectric sensor 100 generates an electrical signal value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a finger, the generated electrical signal value is transmitted to the processor 300 through wired/wireless network communication, and the processor 300 is stored in the memory 200 . By executing the instruction, it is possible to estimate the language element suitable for the movement of the finger. In addition, the processor 300 may execute an instruction stored in the memory 200 to output a language element matching the movement of a finger through a display of a computing device or a display of a wearable device interworking with the computing device.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의 손가락에 부착된 압전센서(100)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2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piezoelectric sensor 100 attached to a user's fing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압전센서(100)는 복수개의 전극들(110) 및 전극들(110)의 사이에 배치되는 나노섬유(120)를 포함할 수 있다. 나노섬유(120)는 나노미터 범위의 직경을 갖는 섬유로서, 상이한 중합체로부터 생성될 수 있으며, 마이크로섬유와 비교하여 큰 표면적 대 부피비, 높은 다공성, 상당한 기계적 강도 및 유연성을 가진다. 즉, 도 2와 같이 전극들(110)과 그 사이에 배치되는 나노섬유(120)를 통해 압전센서(100)를 제작할 경우, 납을 포함하지 않으므로 생체친화적이며, 종래 대비 유연하고 가벼운 장점을 가질 수 있으며, 사용자의 착용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 the piezoelectric senso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plurality of electrodes 110 and nanofibers 120 disposed between the electrodes 110 . Nanofibers 120 are fibers with diameters in the nanometer range, which can be produced from different polymers, and have a large surface area to volume ratio, high porosity, significant mechanical strength and flexibility compared to microfibers. That is, when manufacturing the piezoelectric sensor 100 through the electrodes 110 and the nanofiber 120 disposed therebetween as shown in FIG. 2 , it is biocompatible because it does not contain lead, and has the advantage of being flexible and light compared to the prior art. and can improve the user's wearing comfort.

또한, 도 2를 참조하면, 압전센서(100)는 전극들(110) 및 나노섬유(120)가 사이에 배치되는 접착층(130)을 포함할 수 있다. 접착층(130)은 전극들(110)과 나노섬유(120)를 감싸도록 배치되어 전극들(110) 및 나노섬유(120)를 보호하고, 압전센서(100)에 부착력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접착층(130)은 내열성을 갖춘 폴리이미드(polyimide) 테이프 등일 수 있다.In addition, referring to FIG. 2 , the piezoelectric sensor 100 may include an adhesive layer 130 between the electrodes 110 and the nanofiber 120 . The adhesive layer 130 may be disposed to surround the electrodes 110 and the nanofiber 120 to protect the electrodes 110 and the nanofiber 120 , and may provide adhesion to the piezoelectric sensor 100 . For example, the adhesive layer 130 may be a heat-resistant polyimide tape or the like.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나노섬유의 어닐링 온도 변화에 기초한 압전센서의 출력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3 is a graph showing the output change of the piezoelectric sensor based on the change in the annealing temperature of the nanofi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특정 용매(solvent)를 기준으로 나노섬유의 어닐링 온도를 조절하면, 나노섬유의 표면 형태(morphology)를 변화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나노섬유의 어닐링 온도가 높아질수록 나노섬유를 구성하는 고분자 사슬(polymer chain)의 운동에너지가 높아져 표면 형태가 변화하게 된다. 이러한 나노섬유의 표면 형태의 변화는 나노섬유 자체의 특성을 변화시키고, 특성의 변화는 압전센서의 성능(performance)에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손가락의 움직임에 따른 압전센서의 출력 정확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나노섬유의 어닐링 온도를 조절하여 압전센서의 성능을 최적화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다시 말해서, 압전센서의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나노섬유의 표면 형태를 변화시키지 않으면서 운동에너지를 최대치로 향상시킬 수 있는 적정 어닐링 온도를 찾는 것이 필요하다.By controlling the annealing temperature of the nanofibers based on a specific solvent, the surface morphology of the nanofibers can be changed. For example, as the annealing temperature of the nanofiber increases, the kinetic energy of the polymer chain constituting the nanofiber increases and the surface shape changes. The change in the surface shape of these nanofibers changes the properties of the nanofiber itself, and the change in properties affects the performance of the piezoelectric sensor. Therefore, in order to improve the output accuracy of the piezoelectric sensor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finger, it is necessary to optimize the performance of the piezoelectric sensor by adjusting the annealing temperature of the nanofiber. In other words, in order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the piezoelectric sensor, it is necessary to find an appropriate annealing temperature that can maximize the kinetic energy without changing the surface shape of the nanofiber.

도 3을 참조하면, 특정 용매를 기준으로 어닐링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압전센서의 측정값은 점차 증가하나, 95℃를 기점으로 압전센서의 측정값은 감소하는 추세를 보임을 확인할 수 있다. 즉, 전술하였듯이 나노섬유의 표면 형태는 어닐링 온도가 높아질수록 변화하고 압전센서의 성능을 저하시키게 되는데, 이와 같은 변화의 기준점이 95℃가 됨을 도 3을 참조하면 알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 , it can be seen that the measured value of the piezoelectric sensor gradually increases as the annealing temperature increases based on a specific solvent, but the measured value of the piezoelectric sensor shows a decreasing trend starting at 95°C. That is, as described above, the surface shape of the nanofibers changes as the annealing temperature increases and the performance of the piezoelectric sensor is deteriorated. It can be seen with reference to FIG. 3 that the reference point of this change is 95°C.

용매마다 어닐링 온도에 따른 전력값의 변화는 도 3과 같은 경향성을 공통적으로 보이지만, 최대 전력값일 나타내는 온도(i.e. 변화의 기준점이 되는 온도)는 어닐링에 사용되는 용매의 종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나노섬유(120)는 용매마다 결정되는 최대 전력값을 출력하는 온도로 어닐링되어 제작될 수 있다.The change in the power value according to the annealing temperature for each solvent has the same tendency as in FIG. 3 , but the maximum power value (i.e. the temperature as the reference point of the change) may vary depending on the type of the solvent used for the annealing. Therefore, the nanofiber 1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anufactured by annealing at a temperature that outputs the maximum power value determined for each solvent.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나노섬유의 두께 변화에 기초한 압전센서의 출력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나노섬유의 두께 변화에 따른 압전센서의 중심축 변화를 형상화한 그림이다.Figure 4 is a graph showing the output change of the piezoelectric sensor based on the change in the thickness of the nanofi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the central axis of the piezoelectric sensor according to the change in the thickness of the nanofib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picture that symbolizes change.

나노섬유의 어닐링 온도뿐만 아니라 나노섬유의 두께 또한 압전센서의 성능에 영향을 미친다. 나노섬유의 두께가 두꺼워지면, 활성물질(active material)이 증가하게 되므로, 압전센서의 출력값이 증가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나노섬유의 두께가 일정 수준이상 두꺼워지면, 압전센서의 중립축(neural axis)이 나노섬유의 내부에 위치하게 되므로, 손가락의 구부림 동작에 의한 압력(strain)을 압전센서가 온전히 받을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는 압전센서의 중립축을 기준으로 상하 압력이 상쇄되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된다. 따라서, 압전센서의 성능을 최적화시키기 위해서 적절한 나노섬유의 두께를 선정하는 것이 필요하다.Not only the annealing temperature of the nanofiber, but also the thickness of the nanofiber affects the performance of the piezoelectric sensor. When the thickness of the nanofiber increases, the active material increases, so that the output value of the piezoelectric sensor generally increases. However, when the thickness of the nanofiber is thicker than a certain level, the neutral axis of the piezoelectric sensor is located inside the nanofiber, so the piezoelectric sensor cannot fully receive the strain caused by the bending motion of the finger. occurs It is analyzed that this is because the upper and lower pressures are canceled based on the neutral axis of the piezoelectric sensor. Therefore, in order to optimize the performance of the piezoelectric sensor, it is necessary to select an appropriate thickness of the nanofiber.

도 4를 참조하면, 나노섬유의 두께가 증가함에 따라 압전센서의 측정값 및 출력값은 점차 증가하나, 80㎛를 기점으로 압전센서의 측정값 및 출력값은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도 5를 참조하면, 상부 접착층은 150㎛, 하부 접착층은 75㎛, 하부 접착층의 아래에 배치된 PEN(polyethylene naphthalate)은 125㎛, 전극들은 15㎛인 경우, 나노섬유의 두께가 80㎛이상이 되면, 압전센서의 중립축이 나노섬유의 내부에 위치하게 됨을 확인할 수 있다. 즉, 전술하였듯이 압전센서의 중립축이 나노섬유의 내부에 위치하게 되는 두께 이상부터는 압전센서의 성능이 저하되는데, 이와 같은 변화의 기준점이 80㎛가 됨을 도 4 및 5를 참조하면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압전센서(100)는 80㎛의 두께를 갖는 나노섬유(120)로 제작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 as the thickness of the nanofiber increases, the measured value and the output value of the piezoelectric sensor gradually increase, but it can be seen that the measured value and the output value of the piezoelectric sensor decrease from 80 μm as a starting point. 5, when the upper adhesive layer is 150 μm, the lower adhesive layer is 75 μm, polyethylene naphthalate (PEN) disposed under the lower adhesive layer is 125 μm, and the electrodes are 15 μm, the thickness of the nanofiber is 80 μm When this occurs,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neutral axis of the piezoelectric sensor is located inside the nanofiber. That is, as described above, the performance of the piezoelectric sensor deteriorates beyond the thickness at which the neutral axis of the piezoelectric sensor is positioned inside the nanofiber, and it can be seen with reference to FIGS. 4 and 5 that the reference point of this change is 80 μm. Accordingly, the piezoelectric senso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ade of nanofibers 120 having a thickness of 80 μm.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압전센서(100)의 내구성 및 안정성 테스트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6 is a graph showing the durability and stability test results of the piezoelectric senso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종래의 압전센서는 손가락의 구부림과 펼침 동작에 따라 작용하는 힘에 의해 휘거나 손상되는 등의 변형이 일어나므로, 시간이 지날수록 제대로된 성능을 보여주지 못하는 한계가 존재한다. 반면, 도 6을 참조하면, 전술한 어닐링 온도 및 두께로 제작된 나노섬유(120)를 이용한 압전센서(100)는 0.67Hz 이하의 주파수로 5000 사이클 이상 동작시켜도, 압전센서(100)의 출력폭이 거의 변화하지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압전센서(100)는 사용에 의한 변형 및 성능 저하가 거의 일어나지 않으므로, 종래의 압전센서 대비 안정적이고 강한 내구성을 가짐을 알 수 있다.Since the conventional piezoelectric sensor is deformed, such as bent or damaged by the force acting according to the bending and unfolding motions of the fingers, there is a limit in that it cannot show proper performance as time goes by. On the other hand, referring to FIG. 6 , the piezoelectric sensor 100 using the nanofiber 120 manufactured at the annealing temperature and thickness described above is operated at a frequency of 0.67 Hz or less for 5000 cycles or more, but the output width of the piezoelectric sensor 100 is It can be seen that this hardly changes. That is, it can be seen that the piezoelectric senso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table and has strong durability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piezoelectric sensor because deformation and performance degradation due to use hardly occur.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로세서(300)의 블록도이다.7 is a block diagram of a processor 3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로세서(300)는, 압전센서(100)에 의해 측정된 전기신호값을 수신하고, 아날로그값인 전기신호값을 디지털값으로 변환하는 데이터 획득부(310), 데이터 획득부(310)를 통해 변환된 디지털값을 기초로 기준치를 최적화하고, 디지털값과 기준치를 비교하는 데이터 분석부(320), 디지털값과 기준치를 비교한 결과를 기초로 디지털값을 이진화하는 데이터 이진화부(330), 이진화 결과값의 조합에 매칭되는 언어요소를 결정하는 언어요소 추정부(34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7 , the processor 3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ceives an electrical signal value measured by the piezoelectric sensor 100, and obtains data for converting an analog electrical signal value into a digital value. Based on the result of optimizing the reference value based on the digital value converted through the unit 310, the data acquisition unit 310, and the data analysis unit 320 comparing the digital value and the reference value, the digital value and the reference value It may include a data binarization unit 330 for binarizing a digital value, and a language component estimating unit 340 for determining a language component matching a combination of the binarization result value.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 획득부(310)는, 손가락 마디에 부착된 압전센서(100) 각각의 전기신호값을 압전센서(100)의 식별정보에 따라 구분하여 획득할 수 있다. 이때, 데이터 획득부(310)는 아날로그값으로 획득한 전기신호값을 디지털값으로 변환할 수 있다. 이러한 작업을 위해서 데이터 획득부(310)는 압전센서(100) 각각의 전기신호값을 구분하고, 그 중 하나를 선택적으로 출력시키기 위한 멀티플렉서(multimplexer) 및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analog-digital conveter)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data acquisition unit 3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obtain the respective electrical signal values of the piezoelectric sensors 100 attached to the knuckles according to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piezoelectric sensors 100 . In this case, the data acquisition unit 310 may convert the electrical signal value acquired as an analog value into a digital value. For this operation, the data acquisition unit 310 separates the respective electrical signal values of the piezoelectric sensor 100, and a multiplexer and an analog/digital converter for selectively outputting one of them, etc. may include.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 분석부(320)는 손가락의 구부림 또는 펼침 여부의 판단을 위한 기준치를 압전센서(100)마다 개별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 사용자마다 손가락의 구부림 또는 펼침의 강도가 다르고, 손가락마다 구부림 또는 펼침의 강도가 다르기 때문에, 사용자와 손가락을 고려하지 않고 일괄적으로 동일한 기준치를 압전센서(100)마다 설정할 경우에는 오차 및 오류가 발생할 수 밖에 없다. 따라서, 사용자 개개인의 움직임에 알맞은 기준치를 설정하기 위해 데이터 분석부(320)는 압전센서(100) 별 측정값에 대한 누적 분석을 통해 사용자의 손가락에 부착된 압전센서(100) 각각에 대한 기준치를 결정하고, 메모리(200)에 저장할 수 있다. 기준치는 손가락의 구부림 또는 펼침 중 어느 하나를 판단하기 위해 설정된 값을 말한다.The data analysis unit 3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dividually determine a reference value for determining whether a finger is bent or extended for each piezoelectric sensor 100 . Since the strength of bending or unfolding of a finger is different for each user and the strength of bending or unfolding of a finger is different for each user, errors and errors may occur if the same reference value is set for each piezoelectric sensor 100 collectively without considering the user and the finger. can't help but Therefore, in order to set a reference value suitable for each user's movement, the data analysis unit 320 sets the reference value for each of the piezoelectric sensors 100 attached to the user's finger through the cumulative analysis of the measured values for each piezoelectric sensor 100 . It may be determined and stored in the memory 200 . The reference value refers to a value set for determining either bending or spreading of the finger.

압전센서(100) 별 기준치 설정이 완료되면, 데이터 분석부(320)는 압전센서(100)의 측정값(i.e. 디지털값)이 기준치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만약 식별정보에 따라 구별된 압전센서(100) 중 어느 하나에 대한 기준치가 최적화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 경우, 데이터 분석부(320)는 해당 압전센서(100)에 대한 기준치를 최적화하기 위한 측정값의 누적 분석을 수행하고, 나머지 압전센서(100)에 대해서는 기준치와의 비교를 별도로 수행할 수 있다.When the reference value setting for each piezoelectric sensor 100 is completed, the data analysis unit 320 may determine whether the measured value (i.e. digital value) of the piezoelectric sensor 100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reference value.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reference value for any one of the piezoelectric sensors 100 distinguished according to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not optimized, the data analysis unit 320 is a measurement value for optimizing the reference value for the corresponding piezoelectric sensor 100 . may be performed, and comparison with a reference value may be separately performed for the remaining piezoelectric sensors 100 .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 이진화부(330)는 데이터 분석부(320)의 비교 판단 결과를 기초로 압전센서(100)의 측정값을 1 또는 0의 값으로 이진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압전센서(100)의 측정값이 기준치 이상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 데이터 이진화부(330)는 압전센서(100)의 측정값을 1로 변환하여 메모리(200)에 저장할 수 있다. 압전센서(100)의 측정값이 기준치 이하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 데이터 이진화부(330)는 압전센서(100)의 측정값을 0으로 변환하여 메모리(200)에 저장할 수 있다. 즉, 만약 기준치가 손가락의 펼침을 판단하기 위해 설정된 값이라면, 데이터 이진화부(330)는 손가락이 펼쳐진 상태인 경우에는 1, 손가락이 굽혀진 상태인 경우에는 0으로 압전센서(100)의 측정값을 변환하여 메모리(200)에 저장할 수 있다.The data binarization unit 3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inarize the measured value of the piezoelectric sensor 100 into a value of 1 or 0 based on the comparison determination result of the data analysis unit 320 . For example,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measured value of the piezoelectric sensor 100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reference value, the data binarization unit 330 may convert the measured value of the piezoelectric sensor 100 into 1 and store it in the memory 200 .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measured value of the piezoelectric sensor 100 is equal to or less than the reference value, the data binarization unit 330 may convert the measured value of the piezoelectric sensor 100 to 0 and store it in the memory 200 . That is, if the reference value is a value set to determine the spread of the finger, the data binarization unit 330 sets the value of the piezoelectric sensor 100 to 1 when the finger is in the open state and 0 when the finger is in the bent state. can be converted and stored in the memory 200 .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언어요소 추정부(340)는 이진화된 압전센서(100) 별 측정값을 조합하여 어떠한 언어요소에 매칭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언어요소에는 알파벳 또는 소정의 단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즉, 언어요소 추정부(340)는 1 또는 0으로 결정된 압전센서(100)의 측정값들을 조합한 결과에 대응되는 알파벳 또는 소정의 단어를 추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총 10개의 손가락 각각에 대한 압전센서(100)의 측정값들이 1 또는 0으로 결정된 경우, 언어요소 추정부(340)는 압전센서(100)의 식별정보의 순서에 맞추어 10자리의 숫자를 1과 0의 조합으로 도출할 수 있다. 언어요소 추정부(340)는 10자리의 숫자에 대응되는 단어를 데이터베이스에서 매칭시킴으로써, 10개의 손가락 움직임에 대응되는 단어를 추정할 수 있다. The language element estimator 34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determine which language element is matched by combining the measured values for each binarized piezoelectric sensor 100 . In this case, the language element may include an alphabet or a predetermined word. That is, the language element estimator 340 may estimate an alphabet or a predetermined word corresponding to a result of combining the measurement values of the piezoelectric sensor 100 determined to be 1 or 0 . For example, when the measured values of the piezoelectric sensor 100 for each of the total 10 fingers are determined to be 1 or 0, the language element estimating unit 340 sets the 10 digits in the order of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piezoelectric sensor 100. A number can be derived as a combination of 1 and 0 The language element estimator 340 may estimate a word corresponding to ten finger movements by matching a word corresponding to a 10-digit number in a database.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a) 압전센서(100)가 부착된 손가락 사진, (b) 31개의 손가락 움직임의 조합으로 나타낸 31개의 문자를 정리한 표이다.8 is a table summarizing 31 characters represented by a combination of (a) a photo of a finger to which the piezoelectric sensor 100 is attached, and (b) 31 finger movement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압전센서(100)가 도 8의 (a)와 같이 왼손의 엄지 및 검지, 오른손의 엄지, 검지 및 중지에 부착되는 경우, 언어요소를 추정하기 위한 이진화값의 조합으로서, 32가지의 조합이 생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32가지의 조합은 언어요소가 알파벳인 경우에 최적화된 조합으로서, 알파벳과 32가지의 조합은 도 8의 (b)와 같은 매칭표로 정리될 수 있다. 이때, 32가지의 조합 중 모든 손가락을 움직이지 않은 상태가 기본값(default)으로 설정되고, 나머지 31가지 조합에는 알파벳뿐만 아니라 쉼표, 마침표, 느낌표, 물음표 및 띄어쓰기와 같은 기본적인 문장 구성에 필요한 부호가 대응되어 설정될 수 있다.When the piezoelectric sensor 100 is attached to the thumb and index finger of the left hand and the thumb, index finger and middle finger of the right hand as shown in FIG. 8(a), as a combination of binary values for estimating language elements, 32 combinations are generated can be These 32 combinations are optimized combinations when the language element is an alphabet, and the 32 combinations of alphabets can be arranged in a matching table as shown in FIG. 8(b) . At this time, the state in which all fingers are not moved among 32 combinations is set as the default, and the remaining 31 combinations correspond to not only the alphabet but also symbols necessary for basic sentence construction such as commas, periods, exclamation points, question marks, and spaces. can be set.

한편, 사람의 신체 구조 상 약지와 소지의 경우, 다른 손가락(i.e. 엄지, 검지 및 중지)에 비해 구부리거나 펴는 동작을 독립적으로 수행하기 어렵다. 일반적으로 약지를 구부리는 경우, 약지와 함께 중지와 약지가 구부러지게 되고, 이는 사용자 스스로가 컨트롤하기가 쉽지 않다. 즉, 약지와 소지에 압전소자가 부착되어 약지와 소지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경우, 사용자의 의도와는 다르게 부정확한 측정값이 프로세서(300)에 전달되어 언어화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전술한 도 8과 같이 중지와 약지를 제외한 엄지, 검지 및 중지의 움직임을 기준으로 한 이진화 기법을 통해 알파벳을 추정하면, 손가락의 움직임을 정확히 반영하여 알파벳 추정의 오차를 줄일 수 있으면서도 의사소통에 문제없는 알파벳 기반의 수화 체계를 마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the ring finger and the small finger due to the structure of the human body, it is difficult to independently perform bending or stretching motions compared to other fingers (i.e. thumb, index finger, and middle finger). In general, when the ring finger is bent, the middle finger and the ring finger are bent together with the ring finger, which is not easy for the user to control. That is, when a piezoelectric element is attached to the ring finger and the small finger to detect the movement of the ring finger and the small finger, an inaccurate measurement value is transmitted to the processor 300 differently from the user's intention, thereby causing a problem in which the language is translated. Therefore, when estimating the alphabet through the binarization technique based on the motion of the thumb, index finger, and middle finger excluding the middle and ring fingers as shown in FIG. 8, it is possible to accurately reflect the movement of the fingers to reduce the error in the estimation of the alphabet while communicating It is possible to prepare an alphabet-based sign language system without any problems.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a) "THANK YOU!"라는 문자가 출력된 시스템의 동작 사진, (b) "THANK YOU!"라는 문자의 출력을 위한 압전센서(100)의 측정값을 정리한 표이다.9 is a picture of an operation of a system in which the text "THANK YOU!" is output (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b) a measurement of the piezoelectric sensor 100 for outputting the text "THANK YOU!" This is a table of values.

도 9의 (a)와 같이 사용자는 왼손의 엄지 및 검지, 오른손의 엄지, 검지 및 중지의 구부림 또는 펼침을 제어하여 "THANK YOU!"라는 문장을 완성시킬 수 있다. 즉, 전술한 손가락에 부착된 압전센서(100)에 의해 생성된 전기신호값의 조합을 기초로 프로세서(300)는 T, H 등과 같은 알파벳과 !와 같은 문장부호를 추정하고, 이를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로 출력된 문장을 통해 사용자와 사용자의 대화상대방은 의사소통을 손쉽게 수행할 수 있다.As shown in (a) of FIG. 9 , the user may complete the sentence "THANK YOU!" by controlling the bending or unfolding of the thumb and index finger of the left hand, and the thumb, index finger, and middle finger of the right hand. That is, based on the combination of the electric signal values generated by the piezoelectric sensor 100 attached to the finger described above, the processor 300 estimates alphabets such as T and H and punctuation marks such as ! You can print it out and provide it to users. Through the sentence output on the display, the user and the user's conversation partner can easily communicate.

도 8의 (a)를 참조하면, 왼손의 검지, 엄지, 오른손의 엄지, 검지, 중지는 압전센서(100)의 식별정보에 의해 순서대로 1, 2, 3, 4, 5로 각각 구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분된 손가락들의 개별적인 움직임의 조합을 기초로 알파벳이 추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의 (b)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1, 3, 5가 펼쳐진 경우(i.e. 왼손의 검지, 오른손의 엄지 및 중지가 펼쳐진 경우)에 T라는 알파벳이 프로세서(300)에 의해 추정되어 디스플레이 상에 출력될 수 있다. 즉, 도 9의 (b)를 참조하면, 소정의 주기 내에 1 내지 5로 구분된 손가락의 움직임이 발생하면, 움직임이 발생된 손가락에서 측정된 압전센서(100)의 전기신호값을 기초로 알파벳 또는 문장부호가 추정되고, 컴퓨팅 장치의 디스플레이 상에 순서대로 타이핑될 수 있다.Referring to (a) of FIG. 8 , the index finger of the left hand, the thumb, the thumb of the right hand, the index finger, and the middle finger can be sequentially divided into 1, 2, 3, 4, and 5 according to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piezoelectric sensor 100 . have. Alphabet can be estimated based on the combination of the individual movements of the divided fingers. For example, when 1, 3, and 5 are unfolded (ie, the index finger of the left hand, the thumb and middle finger of the right hand are unfolded) as shown in (b) of FIG. 8 , the alphabet T is estimated by the processor 300 and may be output on a display. That is, referring to FIG. 9(b), when a movement of a finger divided into 1 to 5 occurs within a predetermined period, the alphabet based on the electrical signal value of the piezoelectric sensor 100 measured from the finger in which the movement occurred Alternatively, punctuation may be estimated and typed in sequence on the display of the computing device.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로세서(300)의 언어요소 추정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10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language element estimation process of the processor 3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10 단계에서는, 압전센서(100)가 부착된 손가락의 움직임이 발생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손가락의 움직임은 손가락의 구부림 또는 펼침을 말하는 것으로, 손가락의 움직임은 손가락마다 개별적으로 판단될 수 있다. 만약 손가락의 움직임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었다면, 압전센서(100)는 손가락의 움직임에 따른 기계적인 힘을 전기신호값으로 변환하여 프로세서(300)로 전달할 수 있다.In step S10 , it may be determined whether the movement of the finger to which the piezoelectric sensor 100 is attached occurs. The movement of the finger refers to bending or spreading of the finger, and the movement of the finger may be individually determined for each finger.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movement of the finger has occurred, the piezoelectric sensor 100 may convert a mechanical force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finger into an electrical signal value and transmit it to the processor 300 .

S20 단계에서는, 프로세서(300)가 압전센서(100) 별 측정값 각각에 대한 디지털값 변환 및 압전센서(100) 각각에 대한 문턱값(i.e. 기준값)의 최적화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문턱값의 최적화란 사용자의 손가락 별 움직임 정도를 반영한 판단의 기준값을 결정하는 과정을 말한다. 만약 문턱값이 최적화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된 경우, 프로세서(300)는 해당 압전센서(100)에 대한 측정값을 일정량 이상 누적 분석하는 과정을 통해 문턱값을 최적화시킬 수 있다.In step S20 , the processor 300 may determine whether to convert a digital value for each measured value for each piezoelectric sensor 100 and optimize a threshold value (i.e. a reference value) for each of the piezoelectric sensors 100 . Threshold optimization refers to a process of determining a reference value for judgment reflecting the degree of movement of each finger of the user.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threshold value is not optimized, the processor 300 may optimize the threshold value through a process of cumulatively analyzing the measured values of the corresponding piezoelectric sensor 100 by a predetermined amount or more.

S30에서는, 압전센서(100)에 대한 문턱값이 최적화되어 있다고 판단된 경우, 프로세서(300)가 압전센서(100) 별 측정값과 문턱값을 상호 비교하여 압전센서(100) 별 측정값이 문턱값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In S30,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threshold value for the piezoelectric sensor 100 is optimized, the processor 300 compares the measured value for each piezoelectric sensor 100 with the threshold value, and the measured value for each piezoelectric sensor 100 is the threshold. It can be determined whether the valu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value.

S40에서는, 프로세서(300)가 압전센서(100) 별 측정값이 문턱값 이상인 경우에는 압전센서(100) 별 측정값을 1로, 압전센서(100) 별 측정값이 문턱값 미만인 경우에는 압전센서(100) 별 측정값을 0으로 변환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300)가 문턱값과의 비교 결과를 기초로 압전센서(100) 별 측정값을 이진화할 수 있다.In S40, the processor 300 sets the measured value for each piezoelectric sensor 100 to 1 when the measured value for each piezoelectric sensor 100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threshold, and the piezoelectric sensor when the measured value for each piezoelectric sensor 100 is less than the threshold. (100) The measured value of stars can be converted to zero. That is, the processor 300 may binarize the measured value for each piezoelectric sensor 100 based on the comparison result with the threshold value.

S50에서는, 프로세서(300)가 이진화된 압전센서(100) 별 측정값을 종합하고 이를 코드화된 문자와 매칭시킬 수 있다. 즉, 프로세서(300)는 압전센서(100)가 부착된 손가락들의 전체 움직임에 따라 알파벳, 단어 등에 해당하는 문자를 결정하고, 이를 컴퓨팅 장치 또는 웨어러블 장치 등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제공할 수 있다.In S50, the processor 300 may synthesize the binarized measurement values for each piezoelectric sensor 100 and match them with coded characters. That is, the processor 300 may determine a character corresponding to an alphabet, a word, etc. according to the entire movement of the fingers to which the piezoelectric sensor 100 is attached, and may provide it through a display such as a computing device or a wearable device.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압전센서(100)를 이용한 모션 커뮤니케이션 방법의 순서도이다.11 is a flowchart of a motion communication method using the piezoelectric senso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모션 커뮤니케이션 방법은, 사용자의 손가락에 부착된 압전센서(100)가 손가락의 움직임에 따른 전기신호값을 생성하는 단계(S100), 프로세서(300)가 압전센서(100) 별 측정값과 기준치를 비교하는 단계(S200), 프로세서(300)가 비교의 결과를 기초로 측정값을 이진화하는 단계(S300) 및 프로세서(300)가 이진화된 측정값의 조합과 매칭되는 언어요소를 추정하는 단계(S40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1 , in the motion communica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iezoelectric sensor 100 attached to the user's finger generates an electrical signal value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finger (S100), the processor 300 ) comparing the measured value for each piezoelectric sensor 100 with a reference value (S200), the processor 300 binarizing the measured value based on the result of the comparison (S300), and the processor 300 binarizing the measured value It may include the step of estimating a language element matching the combination of (S400).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모션 커뮤니케이션 방법은, 프로세서(300)가 압전센서(100) 별 측정값에 대한 분석을 통해 사용자의 손가락에 부착된 압전센서(100) 각각에 대한 기준치를 결정하고, 메모리(200)에 저장하는 단계(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the motion communica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cessor 300 determines a reference value for each of the piezoelectric sensors 100 attached to the user's finger through analysis of the measured values for each piezoelectric sensor 100,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storing in the memory 200 (not shown).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언어요소를 추정하는 단계(S400)에서는, 언어요소가 알파벳인 경우, 프로세서(300)가 사용자의 양손의 손가락 중 엄지, 검지 및 중지에 부착된 압전센서(100)의 측정값을 기초로 도출된 조합에 따라 알파벳을 추정할 수 있다.In the step (S400) of estimating the language ele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f the language element is an alphabet, the processor 300 is a piezoelectric sensor 100 attached to the thumb, index finger, and middle finger of the fingers of both hands of the user. Alphabet can be estimated according to the combination derived based on the measured value of .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방법과 관련하여서는 전술한 시스템에 대한 내용이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방법과 관련하여, 전술한 시스템에 대한 내용과 동일한 내용에 대하여는 설명을 생략하였다.Regarding the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ents of the above-described system may be applied. Accordingly, in relation to the method, descriptions of the same contents as those of the above-described system are omitted.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전술한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전술한 방법은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작성 가능하고,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를 이용하여 상기 프로그램을 동작시키는 범용 디지털 컴퓨터에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방법에서 사용된 데이터의 구조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여러 수단을 통하여 기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방법들을 수행하기 위한 실행 가능한 컴퓨터 프로그램이나 코드를 기록하는 기록 매체는, 반송파(carrier waves)나 신호들과 같이 일시적인 대상들은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지는 않아야 한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마그네틱 저장매체(예를 들면,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등), 광학적 판독 매체(예를 들면, 시디롬, DVD 등)와 같은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 which a program for executing the above-described method is recorded in a computer. In other words, the above-described method can be written as a program that can be executed on a computer, and can be implemented in a general-purpose digital computer that operates the program using a computer-readable medium. In addition, the structure of the data used in the above-described method may be recorded in a computer-readable medium through various means. A recording medium for recording an executable computer program or code for performing various methods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including temporary objects such as carrier waves or signals. The computer-readable medium may include a storage medium such as a magnetic storage medium (eg, a ROM, a floppy disk, a hard disk, etc.) and an optically readable medium (eg, a CD-ROM, a DVD, etc.).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The abov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illustration,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understand that it can be easily modified into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restrictive. For example, each component described as a single type may be implemented in a dispersed form, and likewise components described as distributed may be implemented in a combined form.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following claims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 concept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

100: 압전센서 110: 전극
120: 나노섬유 130: 접착층
200: 메모리 300: 프로세서
310: 데이터 획득부 320: 데이터 분석부
330: 데이터 이진화부 340: 언어요소 추정부
100: piezoelectric sensor 110: electrode
120: nanofiber 130: adhesive layer
200: memory 300: processor
310: data acquisition unit 320: data analysis unit
330: data binarization unit 340: language element estimation unit

Claims (11)

압전센서를 이용한 모션 커뮤니케이션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의 손가락에 부착되어, 상기 사용자의 손가락의 움직임에 따른 전기신호값을 생성하는 압전센서;
적어도 하나의 인스트럭션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함으로써,
상기 압전센서 별 측정값과 기준치를 비교하고,
상기 비교의 결과를 기초로 상기 측정값을 이진화하며,
상기 이진화된 측정값의 조합과 매칭되는 언어요소를 추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In a motion communication system using a piezoelectric sensor,
a piezoelectric sensor attached to the user's finger and generating an electrical signal value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user's finger;
a memory for storing at least one instruction; and
at least one processor executing the at least one instruction stored in the memory;
The processor by executing the at least one instruction,
Comparing the measured value for each piezoelectric sensor with a reference value,
binarizing the measured value based on the result of the comparison;
and estimating a language element matching the combination of the binarized measurement value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압전센서는,
복수개의 전극들 및 상기 전극들의 사이에 배치되는 나노섬유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piezoelectric sensor is
A system comprising a plurality of electrodes and nanofibers disposed between the electrodes.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섬유는,
소정의 온도에서 어닐링된(annealed) 섬유로서, 두께는 8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3. The method of claim 2,
The nanofiber is
A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fibers are annealed at a predetermined temperature, the thickness being 80 μm.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함으로써,
상기 압전센서 별 측정값에 대한 분석을 통해 상기 사용자의 손가락에 부착된 압전센서 각각에 대한 기준치를 결정하고,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processor by executing the at least one instruction,
The system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reference value for each of the piezoelectric sensors attached to the user's finger is determined through analysis of the measured values for each piezoelectric sensor, and stored in the memory.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언어요소에는,
알파벳 또는 소정의 단어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In the language element,
A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contains an alphabet or a predetermined word.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함으로써,
상기 언어요소가 알파벳인 경우, 상기 사용자의 양손의 손가락 중 엄지, 검지 및 중지에 부착된 압전센서의 측정값을 기초로 도출된 조합에 따라 상기 알파벳을 추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6. The method of claim 5,
The processor by executing the at least one instruction,
When the language element is an alphabet, the alphabet is estimated according to a combination derived based on measurement values of piezoelectric sensors attached to thumb, index, and middle fingers among the fingers of both hands of the user.
압전센서를 이용한 모션 커뮤니케이션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의 손가락에 부착된 압전센서가 상기 손가락의 움직임에 따른 전기신호값을 생성하는 단계;
프로세서가 상기 압전센서 별 측정값과 기준치를 비교하는 단계;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비교의 결과를 기초로 상기 측정값을 이진화하는 단계; 및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이진화된 측정값의 조합과 매칭되는 언어요소를 추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In a motion communication method using a piezoelectric sensor,
generating, by a piezoelectric sensor attached to a user's finger, an electrical signal value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finger;
comparing, by the processor, the measured value for each piezoelectric sensor with a reference value;
binarizing, by the processor, the measurement value based on the result of the comparison; and
and estimating, by the processor, a language element that matches the combination of the binarized measurements.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압전센서 별 측정값에 대한 분석을 통해 상기 사용자의 손가락에 부착된 압전센서 각각에 대한 기준치를 결정하고,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The method of claim 7,
The method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determining, by the processor, a reference value for each of the piezoelectric sensors attached to the user's finger through analysis of the measured values for each of the piezoelectric sensors, and storing the reference values in a memory.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언어요소에는,
알파벳 또는 소정의 단어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The method of claim 7,
In the language element,
A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he alphabet or predetermined words are included.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언어요소를 추정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언어요소가 알파벳인 경우,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사용자의 양손의 손가락 중 엄지, 검지 및 중지에 부착된 압전센서의 측정값을 기초로 도출된 조합에 따라 상기 알파벳을 추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The method of claim 9,
In the step of estimating the language element,
When the language element is an alphabet, the processor estimates the alphabet according to a combination derived based on measurement values of piezoelectric sensors attached to thumb, index and middle fingers among fingers of both hands of the user.
제 7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 which a program for implementing the method of any one of claims 7 to 10 is recorded.
KR1020190160077A 2019-12-04 2019-12-04 Motion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using piezoelectric sensor KR20210070059A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0077A KR20210070059A (en) 2019-12-04 2019-12-04 Motion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using piezoelectric sensor
PCT/KR2020/015730 WO2021112421A1 (en) 2019-12-04 2020-11-11 System and method for motion communication using piezoelectric sensor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0077A KR20210070059A (en) 2019-12-04 2019-12-04 Motion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using piezoelectric senso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0059A true KR20210070059A (en) 2021-06-14

Family

ID=762212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0077A KR20210070059A (en) 2019-12-04 2019-12-04 Motion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using piezoelectric sensor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10070059A (en)
WO (1) WO2021112421A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35712A (en) 2010-10-06 2012-04-16 심형석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lating sign language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73419A (en) * 2003-12-15 2005-06-30 Kureo:Kk Sign language interpreting device
KR101208032B1 (en) * 2008-12-08 2012-12-0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Nano piezoelectric device and method of forming the same
KR20170049991A (en) * 2015-10-29 2017-05-11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for providing user interaction based on force touch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KR101747825B1 (en) * 2015-12-22 2017-06-15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Piezoelectric material comprising Poly(D-lactic acid)/Poly(L-lactic acid) stereocomplex crystals
KR102009150B1 (en) * 2018-11-09 2019-08-09 권은혜 Automatic Apparatus and Method for Converting Sign language or Finger Languag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35712A (en) 2010-10-06 2012-04-16 심형석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lating sign languag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112421A1 (en) 2021-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84692B2 (en) Systems, devices, and methods for gesture identification
US10446059B2 (en) Hand motion interpretation and communication apparatus
JP3813600B2 (en) Wearable information input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information input method
US9367139B2 (en) Systems, articles, and methods for gesture identification in wearable electromyography devices
Shukor et al. A new data glove approach for Malaysian sign language detection
US5047952A (en) Communication system for deaf, deaf-blind, or non-vocal individuals using instrumented glove
US20150109202A1 (en) Systems, articles, and methods for gesture identification in wearable electromyography devices
KR101549353B1 (en) smart watch with recognition function of bio sound source
US10238312B2 (en) Wrist-type body component measuring apparatus and body component measuring method using the same
KR101618301B1 (en) Wearable device and information input method using the same
KR20050031458A (en) Data input device for individuals with limited hand function
US20180025142A1 (en) Computing device chording authentication and control
Chen et al. Vitype: A cost efficient on-body typing system through vibration
Ong et al. Sign-language recognition through gesture & movement analysis (SIGMA)
CN104407695B (en) A kind of equipment input method and device
US11520375B2 (en) Foldable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estimating bioinformation using the same
KR20200075107A (en) Wearable device and method for recognizing gesture thereof
KR101554125B1 (en) Wearable device and information input method using the same
US1173440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biometric authentication based on vibration signal
KR20210070059A (en) Motion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using piezoelectric sensor
CN108089710A (en) A kind of electronic equipment control method, device and electronic equipment
JP2009006113A (en) Input device
US10488924B2 (en) Wearable device, and method of inputting information using the same
KR101869304B1 (en) System, method and program for recognizing sign language
Jadhav et al. Gesture aided speech for deaf and mut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