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69975A - 배터리 모듈 - Google Patents

배터리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69975A
KR20210069975A KR1020190159872A KR20190159872A KR20210069975A KR 20210069975 A KR20210069975 A KR 20210069975A KR 1020190159872 A KR1020190159872 A KR 1020190159872A KR 20190159872 A KR20190159872 A KR 20190159872A KR 20210069975 A KR20210069975 A KR 202100699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condary battery
cell
space
electrode tabs
battery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98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석철
김용욱
석종호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598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69975A/ko
Priority to CN202011387879.1A priority patent/CN112909399B/zh
Priority to US17/110,426 priority patent/US20210175484A1/en
Priority to EP20211861.8A priority patent/EP3832787A1/en
Publication of KR202100699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997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30Arrangements for facilitating escape of gases
    • H01M50/342Non-re-sealable arrangements
    • H01M50/3425Non-re-sealable arrangements in the form of rupturable membranes or weakened parts, e.g. pierced with the aid of a sharp memb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16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in electrical installations, e.g. cableway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1Types of temperature control
    • H01M10/613Cooling or keeping col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4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cells
    • H01M10/647Prismatic or flat cells, e.g. pouch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5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 H01M10/656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heat-exchange fluid
    • H01M10/6561Gases
    • H01M10/6562Gases with free flow by convection on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47Lids or covers
    • H01M50/155Lids or cover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H01M50/207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209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adapted for prismatic or rectangular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H01M50/207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211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adapted for pouch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33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physical properties of casings or racks, e.g. dimensions
    • H01M50/24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physical properties of casings or racks, e.g. dimensions adapted for protecting batteries from their environment, e.g. from corros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89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spacing elements or positioning means within frames, racks or packs
    • H01M50/291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spacing elements or positioning means within frames, racks or pack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89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spacing elements or positioning means within frames, racks or packs
    • H01M50/293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spacing elements or positioning means within frames, racks or pack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30Arrangements for facilitating escape of gases
    • H01M50/308Detachable arrangements, e.g. detachable vent plugs or plug syste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00/00Safety devices for primary or secondary batteries
    • H01M2200/20Pressure-sensitive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10Batteries in stationary systems, e.g. emergency power source in pla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 Gas Exhaust Devices For Batte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은 적어도 하나의 이차전지셀이 수용되는 셀지지유닛, 복수의 상기 셀지지유닛이 설치되는 바디프레임부재 및 서로 이웃하는 상기 셀지지유닛 사이에 배치되는 커버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커버부재는, 서로 이웃하는 상기 셀지지유닛 사이에 고정되는 고정판부 및 상기 고정판부에 연계되되, 서로 이웃하는 상기 이차전지셀의 전극탭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전극탭 사이의 공간을 외부와 분리시키되, 상기 이차전지셀의 파열로 인해 방출된 상기 이차전지셀의 내부 가스 또는 화염에 의해서 밀려져서 상기 전극탭 사이의 공간이 외부와 연통되게 위치 이동되는 플립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배터리 모듈{Battery module}
본 발명은 배터리 모듈에 관한 것이다.
모바일 기기, 전기자동차, 에너지저장시스템(ESS: Energy Storage System) 등에 대한 기술 개발과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에너지원으로서의 이차전지셀의 수요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이차전지셀은 화학에너지와 전기에너지 간의 상호변환이 가역적이어서 충전과 방전을 반복할 수 있는 전지이다.
이러한 이차전지셀은 이차전지의 주요 구성물인 양극, 음극, 분리막 및 전해액 등의 전극조립체 및 이를 보호하는 다층 외장재(Laminated Film Case)의 셀바디부재를 포함한다.
그런데 이러한 전극조립체는 충전 및 방전의 과정을 거치면서 발열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러한 발열에 의한 온도 상승은 이차전지셀의 성능을 저하시키게 된다.
또한, 이러한 발열이 심해지면 상기 이차전지셀의 내부 압력이 상승하여 상기 이차전지셀이 발화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더욱이, 에너지저장시스템(ESS) 등과 같이 복수의 이차전지셀이 장착된 경우에, 이러한 발화와 함께 상기 이차전지셀이 폭발하면서 주변의 다른 이차전지셀로 화염이 전파되는 문제도 발생하게 된다.
일례로, 종래에는 이차전지셀의 전극탭 부분에 화염의 진입을 방지할 커버부재가 없어서, 이웃한 이차전지셀에서 화재 발생시에 인접한 이차전지셀로 화염 유입이 용이하여 화재의 전파의 방지가 쉽지 않았다.
따라서, 전술한 문제 내지 한계를 개선하기 위해서, 배터리 모듈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게 되었다.
KR 10-2015-0061200 A
본 발명은 이차전지셀의 발화 전파를 방지할 수 있는 배터리 모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이차전지셀의 발화시에 화염을 감소시킬 수 있는 배터리 모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은 적어도 하나의 이차전지셀이 수용되는 셀지지유닛, 복수의 상기 셀지지유닛이 설치되는 바디프레임부재 및 서로 이웃하는 상기 셀지지유닛 사이에 배치되는 커버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커버부재는, 서로 이웃하는 상기 셀지지유닛 사이에 고정되는 고정판부 및 상기 고정판부에 연계되되, 서로 이웃하는 상기 이차전지셀의 전극탭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전극탭 사이의 공간을 외부와 분리시키되, 상기 이차전지셀의 파열로 인해 방출된 상기 이차전지셀의 내부 가스 또는 화염에 의해서 밀려져서 상기 전극탭 사이의 공간이 외부와 연통되게 위치 이동되는 플립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의 상기 플립부는, 상기 이차전지셀과 수평하게 배치되는 상기 고정판부에 수직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의 상기 플립부는, 상기 전극탭 사이의 공간을 외부와 격리시키되, 상기 이차전지셀의 파열로 인해 방출된 상기 이차전지셀의 내부 가스 또는 화염에 의해서 상기 고정판부에서 파단되어 제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의 상기 플립부는, 상기 전극탭 사이의 공간을 외부와 격리시키되, 상기 이차전지셀의 파열로 인해 방출된 상기 이차전지셀의 내부 가스 또는 화염에 의해서 상기 고정판부에 결합된 일단부가 꺾이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의 상기 플립부는, 상기 고정판부와 결합된 일단부에 쐐기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의 상기 플립부는, 상기 전극탭 사이의 공간과 접하는 내부면에서 외부면으로 갈수록 폭이 작아지는 벤트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의 상기 고정판부는, 중앙부에 셀갭형성홀이 형성되어, 서로 이웃하는 상기 셀지지유닛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의 상기 고정판부는, 상기 플립부에 인접하여 돌출되게 지지탭이 형성되되, 상기 지지탭의 일면이 상기 전극탭 사이의 공간과 접하는 상기 플립부의 내부면에 접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의 상기 커버부재는, 폴리페닐렌 설파이드(Polyphenylene Sulfide)로 형성되거나, 또는 적어도 유리 섬유로 강화된 열경화성 폴리머를 포함하는 소재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의 상기 셀지지유닛은, 상기 이차전지셀을 측면부에 수용하는 셀지지부재 및 "ㄷ"자 형상으로 구비되며, 상기 셀지지부재의 상단부 및 하단부 중 적어도 하나에 끼워져서 상기 이차전지셀의 측면부를 감싸는 케이스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배터리 모듈은 이차전지셀의 발화 전파를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의 배터리 모듈은 이차전지셀의 발화시에 화염을 감소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의 배터리 모듈은 에너지저장시스템(ESS) 등과 같이 복수의 이차전지셀이 장착된 경우에 어느 하나의 이차전지셀이 폭발이 주변의 다른 이차전지셀로 전파되어 연쇄 폭발되는 문제를 개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만, 본 발명의 다양하면서도 유익한 장점과 효과는 상술한 내용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형태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보다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배터리 모듈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배터리 모듈에서 셀지지유닛 사이에 커버부재가 배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배터리 모듈에서 커버부재 부분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배터리 모듈에서 커버부재 부분을 도시한 평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배터리 모듈에서 커버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배터리 모듈에서 커버부재의 플립부에 벤트홀이 형성된 실시예를 도시한 평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배터리 모듈에서 커버부재의 고정판부에 지지탭이 형성된 실시예를 도시한 평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들을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에서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며,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 또는 유사한 방식으로 부여된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 또는 대응하는 구성요소를 지칭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은 배터리 모듈에 관한 것으로, 이차전지셀(C)의 발화 전파를 방지할 수 있으며, 다른 측면에서 이차전지셀(C)의 발화시에 화염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어느 하나의 이차전지셀(C)에서의 발화가 이웃하는 다른 이차전지셀(C)로 전파되는 것을 방지하기 때문에, 더 큰 화재가 발생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더욱이, 본 발명의 배터리 모듈은 에너지저장시스템(ESS) 등과 같이 복수의 이차전지셀(C)이 장착된 경우에 어느 하나의 이차전지셀(C)이 폭발이 주변의 다른 이차전지셀(C)로 전파되어 연쇄 폭발되는 문제를 개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도 1은 본 발명의 배터리 모듈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배터리 모듈에서 셀지지유닛(10) 사이에 커버부재(30)가 배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배터리 모듈에서 커버부재(30) 부분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상기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은 적어도 하나의 이차전지셀(C)이 수용되는 셀지지유닛(10), 복수의 상기 셀지지유닛(10)이 설치되는 바디프레임부재(20) 및 서로 이웃하는 상기 셀지지유닛(10) 사이에 배치되는 커버부재(30)를 포함하며, 상기 커버부재(30)는, 서로 이웃하는 상기 셀지지유닛(10) 사이에 고정되는 고정판부(31) 및 상기 고정판부(31)에 연계되되, 서로 이웃하는 상기 이차전지셀(C)의 전극탭(E)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전극탭(E) 사이의 공간을 외부와 분리시키되, 상기 이차전지셀(C)의 파열로 인해 방출된 상기 이차전지셀(C)의 내부 가스 또는 화염에 의해서 밀려져서 상기 전극탭(E) 사이의 공간이 외부와 연통되게 위치 이동되는 플립부(32)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배터리 모듈은 이웃하는 셀지지유닛(10) 사이에 커버부재(30)를 포함하되, 이웃하는 셀지지유닛(10)의 전극탭(E) 사이의 공간을 외부와 분리하는 플립부(32)를 포함함에 의해서, 외부에서 화염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반대로 내부에서의 화염은 외부로 방출할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해서, 상기 플립부(32)는 상기 전극탭(E) 사이의 공간을 외부와 분리시키되, 상기 이차전지셀(C)의 파열로 인해 방출된 상기 이차전지셀(C)의 내부 가스 또는 화염에 의해서 밀려져서 상기 전극탭(E) 사이의 공간이 외부와 연통되게 위치 이동되는 구조로 제공되는 것이다.
상기 셀지지유닛(10)은 상기 이차전지셀(C)이 수용되며, 이를 위해서 일례로 상기 셀지지유닛(10)은 셀지지부재(11), 케이스부재(12)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의 상기 셀지지유닛(10)은, 상기 이차전지셀(C)을 측면부에 수용하는 셀지지부재(11) 및 "ㄷ"자 형상으로 구비되며, 상기 셀지지부재(11)의 상단부 및 하단부 중 적어도 하나에 끼워져서 상기 이차전지셀(C)의 측면부를 감싸는 케이스부재(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셀지지부재(11)는 상기 이차전지셀(C)이 수용되는 구성으로, 상기 이차전지셀(C)이 수용되도록 측면부에 상기 이차전지셀(C)의 형태에 대응되는 홈 형상의 안착부가 구비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셀지지부재(11)는 상기 케이스부재(12)와의 결합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서, 상기 이차전지셀(C)의 전극탭(E)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측면부를 감싸게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셀지지부재(11)는 상기 이차전지셀(C)의 전극탭(E)에 연결되는 버스바(B)가 결합될 수도 있으며, 이에 의해서 상기 이차전지셀(C)을 외부와 전기적으로 연결하게 된다.
상기 케이스부재(12)는 상기 셀지지부재(11)에 결합되어, 상기 이차전지셀(C)의 측면부를 감싸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를 위해서, 상기 케이스부재(12)는 일례로 "ㄷ"자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이러한 "ㄷ"자 형태의 케이스부재(12)는 상기 이차전지셀(C)이 측면부에 수용된 상기 셀지지부재(11)의 상단부 또는 하단부에 끼워져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바디프레임부재(20)는 상기 배터리 모듈의 바디 역할을 하게 된다. 즉, 상기 바디프레임부재(20)에는 복수의 상기 셀지지유닛(10)이 설치되어 모듈을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바디프레임부재(20)는 복수의 상기 셀케이스유닛이 수용되는 박스 형태일 수도 있고, 복수의 상기 셀케이스유닛이 서로 묶여지게 연계되는 바(bar) 형태의 프레임일 수도 있다.
상기 커버부재(30)는, 이웃하는 셀지지유닛(10)의 전극탭(E) 사이의 공간을 외부와 분리하여 상기 전극탭(E) 사이의 공간으로 외부의 화염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고, 또한 상기 전극탭(E) 사이의 공간으로 방출된 상기 이차전지셀(C)의 화염 내지 내부 가스는 외부로 방출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를 위해서, 상기 커버부재(30)는 서로 이웃하는 상기 셀지지유닛(10)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셀지지유닛(10)에 수용된 양측의 이차전지셀(C)의 전극탭(E) 사이에 배치하게 된다.
그리고, 서로 이웃하는 상기 이차전지셀(C)의 전극탭(E) 사이에 배치되는 플립부(32)와 상기 플립부(32)를 고정하는 고정판부(31)를 포함하게 된다.
상기 고정판부(31)는 서로 이웃하는 상기 셀지지유닛(10) 사이에 위치가 고정되어, 상기 플립부(32)를 지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판부(31)는 서로 이웃하는 상기 셀지지유닛(10)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게 하여, 서로 이웃하는 상기 셀지지유닛(10)에 안착된 이차전지셀(C) 사이에 열이 전달되는 것을 감소시키게 된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의 상기 고정판부(31)는, 중앙부에 셀갭형성홀(31a)이 형성되어, 서로 이웃하는 상기 셀지지유닛(10)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고정판부(31)는 서로 이웃하는 상기 셀지지유닛(10)에 안착된 이차전지셀(C) 사이에 고정되면서도, 중앙부에 셀갭형성홀(31a)이 형성되어 이웃하는 이차전지셀(C) 사이에 에어 갭을 형성하여 단열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다.
이에 의해서, 어느 하나의 이차전지셀(C)이 발열되더라도 이를 이웃하는 이차전지셀(C)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여, 추가적인 이차전지셀(C)의 온도 상승으로 인한 폭발 등의 문제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플립부(32)는 평상시에는 상기 전극탭(E) 사이의 공간을 외부와 분리시키되, 이차전지셀(C)의 화염 발생 등에 의해서 상기 전극탭(E) 사이의 공간의 압력이 상승하는 경우에는 상기 전극탭(E) 사이의 공간을 외부와 연통시켜 더 큰 폭발이 발생하는 문제를 방지하게 된다.
이를 위해서, 상기 플립부(32)는 상기 고정판부(31)에 구비되되, 일정 압력 이상에서는 파단 또는 꺾이는 구조를 포함할 수 있는데,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의 상기 커버부재(30)는, 폴리페닐렌 설파이드(Polyphenylene Sulfide)로 형성되거나, 또는 적어도 유리 섬유로 강화된 열경화성 폴리머를 포함하는 소재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커버부재(30)의 형성 소재를 한정한 것은, 상기 커버부재(30)가 외부의 화염 전파를 차단하기 위해서, 열에 의한 형상 변형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즉, 내열성 소재를 제시한 것으로, 일례로 1000℃에서 10초 이상 노출되어도 열에 녹거나 형상이 변형되지 않는 소재로 한정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배터리 모듈에서 커버부재(30) 부분을 도시한 평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배터리 모듈에서 커버부재(30)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상기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의 상기 플립부(32)는, 상기 이차전지셀(C)과 수평하게 배치되는 상기 고정판부(31)에 수직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플립부(32)재는 상기 고정판부(31)에 수직하게 결합됨에 의해서, "+"자, "T"자 등의 형태를 형성할 수 있게 된다.
이는 상기 플립부(32)재와 상기 고정판부(31)를 포함하는 상기 커버부재(30)의 제작을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된다.
다만, 본 발명의 상기 커버부재(30)의 형태가 상기 "+"자, "T"자 등의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Y"자 형태 등의 각진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의 상기 플립부(32)는, 상기 전극탭(E) 사이의 공간을 외부와 격리시키되, 상기 이차전지셀(C)의 파열로 인해 방출된 상기 이차전지셀(C)의 내부 가스 또는 화염에 의해서 상기 고정판부(31)에서 파단되어 제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즉, 상기 플립부(32)가 상기 전극탭(E) 사이의 공간을 외부와 연통되게 위치 이동되기 위해서, 상기 고정판부(31)와의 결합이 해제되도록 파단되면서 외부로 이탈할 수 있는 것이다.
이에 의하면 상기 전극탭(E) 사이의 공간이 외부와 연통되는 경로를 최대로 확대시킬 수 있게 되므로, 추가적인 폭발 발생의 문제를 더 효과적으로 방지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의 상기 플립부(32)는, 상기 전극탭(E) 사이의 공간을 외부와 격리시키되, 상기 이차전지셀(C)의 파열로 인해 방출된 상기 이차전지셀(C)의 내부 가스 또는 화염에 의해서 상기 고정판부(31)에 결합된 일단부가 꺾이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즉, 상기 플립부(32)가 상기 전극탭(E) 사이의 공간을 외부와 연통시키기 위해서, 일단부가 꺾인 형태로 변형되어, 상기 고정판부(31)와의 결합을 유지하면서도 상기 이차전지셀(C)의 내부 가스 또는 화염이 외부로 이탈되는 경로를 확보하게 위치 이동되는 것이다.
이에 의하면 상기 전극탭(E) 사이의 공간이 외부와 연통되는 경로를 확보하면서도 상기 플립부(32)가 떨어져나가 다른 이차전지셀(C)과 충돌하는 문제를 방지하게 할 수 있다. 즉, 상기 플립부(32)와 충돌에 의해서 다른 이차전지셀(C)이 파손되는 문제를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의 상기 플립부(32)는, 상기 고정판부(31)와 결합된 일단부에 쐐기홈(32b)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러한 쐐기홈(32b)에 의해서, 상기 이차전지셀(C)의 파열로 인해 방출된 상기 이차전지셀(C)의 내부 가스 또는 화염에 의해서 상기 고정판부(31)에서 상기 플립부(32)가 파단되는 위치 또는 상기 고정판부(31)에 결합된 상기 플립부(32)의 일단부가 꺾이는 위치를 한정하게 된다.
또한, 상기 쐐기홈(32b)에 의해서, 상기 이차전지셀(C)의 파열로 인해 방출된 상기 이차전지셀(C)의 내부 가스 또는 화염에 의한 상기 플립부(32)의 파단을 용이하게 하거나, 상기 플립부(32)의 일단부가 꺾이는 것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상기 쐐기부는 "V"자, "U"자 형태 등의 홈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배터리 모듈에서 커버부재(30)의 플립부(32)에 벤트홀(32a)이 형성된 실시예를 도시한 평단면도로서, 상기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의 상기 플립부(32)는, 상기 전극탭(E) 사이의 공간과 접하는 내부면에서 외부면으로 갈수록 폭이 작아지는 벤트홀(32a)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러한 벤트홀(32a)에 의하면, 상기 전극탭(E) 사이의 공간인 내부 공간에서 그 외측의 외부 공간으로 화염이 배출되는 것은 가능하게 하면서도, 외부 공간에서 상기 전극탭(E) 사이의 공간인 내부 공간으로 진입되는 것은 차단할 수 있게 된다.
이는 상기 전극탭(E) 사이의 공간과 접하는 내부면에 형성된 상기 벤트홀(32a)의 폭이 외부면에 형성된 폭보다 크기 때문이다.
즉, 외부에서 상기 내부 공간으로 화염이 진입하려면 비교적 작은 폭의 영역을 통과해야 하는데, 이때 폭이 작아짐에 따라 산소와의 접촉 면적이 급하게 작아지므로, 화염이 소산되게 되어 내부 공간으로의 진입을 차단하게 된다.
반대로 내부 공간서 외부로 화염이 배출될 때에는 통과하는 경로의 폭이 점차적으로 작아지므로, 산소와의 접촉 면적이 순차로 작아지기 때문에 화염의 소산을 방지하면서도 외부로 화염 내지 열을 방출할 수 있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배터리 모듈에서 커버부재(30)의 고정판부(31)에 지지탭(31b)이 형성된 실시예를 도시한 평단면도로서, 상기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의 상기 고정판부(31)는, 상기 플립부(32)에 인접하여 돌출되게 지지탭(31b)이 형성되되, 상기 지지탭(31b)의 일면이 상기 전극탭(E) 사이의 공간과 접하는 상기 플립부(32)의 내부면에 접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상기 이차전지셀(C)의 내부 가스 또는 화염이 상기 전극탭(E) 사이의 내부 공간에서 외부 공간으로 배출되도록 상기 플립부(32)가 파단되어 제거되거나 또는 꺾일 수는 있게 되나, 그 반대로 외부 공간의 가스 내지 화염이 상기 전극탭(E) 사이의 내부 공간으로 진입되기 위하여 상기 플립부(32)가 파단되어 제거되거나 또는 꺾이는 문제는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즉, 외부 공간의 가스 내지 화염이 상기 전극탭(E) 사이의 내부 공간으로 진입되기 위하여 상기 플립부(32)를 미는 경우에, 상기 고정판부(31)에 결합된 상기 플립부(32)의 일단부는 상기 지지탭(31b)에 의해서 지지되므로, 비교적 큰 저항력을 가지게 된다.
반대로, 상기 이차전지셀(C)의 내부 가스 또는 화염이 상기 전극탭(E) 사이의 내부 공간에서 외부 공간으로 배출될 때에는 상기 지지탭(31b)이 상기 플립부(32)를 지지하는 것이 아니므로, 비교적 작은 저항력으로 상기 플립부(32)가 파단되어 제거되거나 또는 꺾일 수는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다.
10: 셀지지유닛 11: 셀지지부재
12: 케이스부재 20: 바디프레임부재
30: 커버부재 31: 고정판부
32: 플립부

Claims (10)

  1. 적어도 하나의 이차전지셀이 수용되는 셀지지유닛;
    복수의 상기 셀지지유닛이 설치되는 바디프레임부재; 및
    서로 이웃하는 상기 셀지지유닛 사이에 배치되는 커버부재;
    를 포함하며,
    상기 커버부재는,
    서로 이웃하는 상기 셀지지유닛 사이에 고정되는 고정판부; 및
    상기 고정판부에 연계되되, 서로 이웃하는 상기 이차전지셀의 전극탭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전극탭 사이의 공간을 외부와 분리시키되, 상기 이차전지셀의 파열로 인해 방출된 상기 이차전지셀의 내부 가스 또는 화염에 의해서 밀려져서 상기 전극탭 사이의 공간이 외부와 연통되게 위치 이동되는 플립부;
    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립부는, 상기 이차전지셀과 수평하게 배치되는 상기 고정판부에 수직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모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립부는, 상기 전극탭 사이의 공간을 외부와 격리시키되, 상기 이차전지셀의 파열로 인해 방출된 상기 이차전지셀의 내부 가스 또는 화염에 의해서 상기 고정판부에서 파단되어 제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모듈.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립부는, 상기 전극탭 사이의 공간을 외부와 격리시키되, 상기 이차전지셀의 파열로 인해 방출된 상기 이차전지셀의 내부 가스 또는 화염에 의해서 상기 고정판부에 결합된 일단부가 꺾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모듈.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립부는, 상기 고정판부와 결합된 일단부에 쐐기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모듈.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립부는, 상기 전극탭 사이의 공간과 접하는 내부면에서 외부면으로 갈수록 폭이 작아지는 벤트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모듈.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판부는, 중앙부에 셀갭형성홀이 형성되어, 서로 이웃하는 상기 셀지지유닛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모듈.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판부는, 상기 플립부에 인접하여 돌출되게 지지탭이 형성되되, 상기 지지탭의 일면이 상기 전극탭 사이의 공간과 접하는 상기 플립부의 내부면에 접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모듈.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는, 폴리페닐렌 설파이드(Polyphenylene Sulfide)로 형성되거나, 또는 적어도 유리 섬유로 강화된 열경화성 폴리머를 포함하는 소재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모듈.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셀지지유닛은,
    상기 이차전지셀을 측면부에 수용하는 셀지지부재; 및
    "ㄷ"자 형상으로 구비되며, 상기 셀지지부재의 상단부 및 하단부 중 적어도 하나에 끼워져서 상기 이차전지셀의 측면부를 감싸는 케이스부재;
    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KR1020190159872A 2019-12-04 2019-12-04 배터리 모듈 KR20210069975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9872A KR20210069975A (ko) 2019-12-04 2019-12-04 배터리 모듈
CN202011387879.1A CN112909399B (zh) 2019-12-04 2020-12-01 电池模块
US17/110,426 US20210175484A1 (en) 2019-12-04 2020-12-03 Battery Module
EP20211861.8A EP3832787A1 (en) 2019-12-04 2020-12-04 Battery modu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9872A KR20210069975A (ko) 2019-12-04 2019-12-04 배터리 모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9975A true KR20210069975A (ko) 2021-06-14

Family

ID=737266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9872A KR20210069975A (ko) 2019-12-04 2019-12-04 배터리 모듈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10175484A1 (ko)
EP (1) EP3832787A1 (ko)
KR (1) KR20210069975A (ko)
CN (1) CN11290939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80847B1 (ko) * 2018-04-26 2023-09-19 에스케이온 주식회사 배터리 랙
CN118263595A (zh) * 2022-12-27 2024-06-28 蔚来电池科技(安徽)有限公司 电池包箱体和电池包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61200A (ko) 2013-11-27 2015-06-0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39036A (en) * 1980-12-18 1982-07-13 Container Corporation Of America Container venting arrangement
KR101787638B1 (ko) * 2014-11-05 2017-10-19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중 측벽 구조를 가지는 카트리지 프레임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KR101776898B1 (ko) * 2014-12-24 2017-09-08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모듈
US9620764B2 (en) * 2015-01-05 2017-04-11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Battery module cooling fins and footings system and method
KR101863702B1 (ko) * 2015-05-08 2018-06-01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지셀의 폭발을 방지하기 위한 리드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셀
KR101943542B1 (ko) * 2015-09-21 2019-01-29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JP6617009B2 (ja) * 2015-11-16 2019-12-04 株式会社Gsユアサ 蓄電装置、及びカバー部材
CN106450075A (zh) * 2016-04-12 2017-02-22 安徽欧鹏巴赫新能源科技有限公司 动力电池模组
EP3537509A4 (en) * 2016-11-07 2019-10-23 Envision AESC Japan Ltd. SPACER, COMPOSITE BATTERY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COMPOSED BATTERY
KR102256605B1 (ko) * 2017-07-06 2021-05-26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배터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CN207800731U (zh) * 2018-01-10 2018-08-31 宁德时代新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单向透气阀、二次电池的顶盖组件及二次电池
JP7476792B2 (ja) * 2018-03-23 2024-05-01 株式会社Gsユアサ 蓄電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61200A (ko) 2013-11-27 2015-06-0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2909399A (zh) 2021-06-04
US20210175484A1 (en) 2021-06-10
EP3832787A1 (en) 2021-06-09
CN112909399B (zh) 2024-0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66389B1 (ko) 열폭주 지연 구조를 갖는 배터리 모듈
KR102698844B1 (ko) 전지팩
US20130216884A1 (en) Battery module
KR20210112645A (ko) 배터리 모듈
KR20180006150A (ko) 안전성이 개선된 셀 모듈 어셈블리 및 이를 위한 팩 구조물
WO2009157676A2 (ko) 안전성이 향상된 중대형 전지팩
KR20210114752A (ko) 에너지 저장 시스템
EP3979396A1 (en) Battery module including heat insulating member, and battery pack comprising same
JP7262665B2 (ja) 熱拡散防止部材を含む電池パック
KR102266391B1 (ko) 가스 배출 구조를 갖는 배터리 모듈
KR20210069975A (ko) 배터리 모듈
US20210218114A1 (en) Secondary Battery Module
KR20240051908A (ko) 이차 전지 및 전지 모듈
WO2021210806A1 (ko) 전지 팩 및 이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KR20220075711A (ko) 배터리 모듈
US20240274946A1 (en) Battery sub-packing unit
KR20220010876A (ko) 배터리 모듈
WO2021210805A1 (ko) 전지 팩 및 이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CN113497300A (zh) 电池模块
KR20220120001A (ko) 전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팩
KR102638291B1 (ko) 커넥터 어셈블리 및 배터리모듈
KR20230153756A (ko) 배터리 모듈,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자동차
KR20230016532A (ko) 배터리 모듈,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자동차
WO2022186517A1 (ko) 전지 팩 및 이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EP4404370A1 (en) Busbar assembly capable of preventing damage due to occurrence of fire and battery pack comprising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