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69527A - 멀티태스킹 안경 - Google Patents

멀티태스킹 안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69527A
KR20210069527A KR1020190159445A KR20190159445A KR20210069527A KR 20210069527 A KR20210069527 A KR 20210069527A KR 1020190159445 A KR1020190159445 A KR 1020190159445A KR 20190159445 A KR20190159445 A KR 20190159445A KR 20210069527 A KR20210069527 A KR 202100695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sses
multitasking
face recognition
sensor
photograp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94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동하
Original Assignee
이동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동하 filed Critical 이동하
Priority to KR10201901594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69527A/ko
Publication of KR202100695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952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11/00Non-optical adjuncts; Attachment thereof
    • G02C11/10Electronic devices other than hearing aid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008Spectacles frames characterized by their material, material structure and material proper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 H04N5/2257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멀티태스킹 안경에 관한 것으로서 카메라센서에 의하여 센서실행 버튼 작동시 촬영, 얼굴인식, 스캔등 을 할수 있게 하는 역할 하고, 센서실행에 의하여 얼굴인식과, 촬영을 할수 있게 하는 역할 함으로써 오랜시간 착용함에도 불구하고 기능자체가 물체만 잘보이게 하는 문제점을 해소와 동시에 바쁜 일상생활 대비하여 효율적인 시간 관리 및 일의 효율성 증대 하도록 함으로써 기존의 오랜시간 착용함에도 불구하고 기능자체가 물체만 잘보이게 하는 문제점을 해소 하도록 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안경에 있어서 경첩 버튼 작동시 카메라촬영, 얼굴인식등 을 할수 있게 하는 역할 간편하게 쓰는 용도로 작고 얇게 형성한 카메라센서, 스캔, 촬영이 잘보이게 할 수 있게 리스크를 미리 탐지하여 방지 하는 역할 불투명 있는 얇은 막으로 구성한 렌즈, 얼굴인식과, 촬영을 할수 있게 하는 역할 버튼을 최대한 작게 구성 착용감에 무리가 가지 않게 구성한 센서실행, 무게없이 잘 착용할수 있게 지탱 해주는 역할 재질 좋은 친환경 플라스틱으로 구성 한 다리로 구성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카메라센서에 의하여 센서실행 버튼 작동시 촬영, 얼굴인식, 스캔등 을 할수 있게 하는 역할 하고, 센서실행에 의하여 얼굴인식과, 촬영을 할수 있게 하는 역할 함으로써 오랜시간 착용함에도 불구하고 기능자체가 물체만 잘보이게 하는 문제점을 해소와 동시에 바쁜 일상생활 대비하여 효율적인 시간 관리 및 일의 효율성 증대 하도록 함으로써 기존의 오랜시간 착용함에도 불구하고 기능자체가 물체만 잘보이게 하는 문제점을 해소하도록 한 효과를 갖는 것이다.

Description

멀티태스킹 안경{Multitasking glasses}
본 발명은 멀티태스킹 안경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안경에 있어서,
경첩 버튼 작동시 카메라촬영, 얼굴인식등 을 할수 있게 하는 역할 간편하게 쓰는 용도로 작고 얇게 형성한 카메라센서, 스캔, 촬영이 잘보이게 할 수 있게 리스크를 미리 탐지하여 방지 하는 역할 불투명 있는 얇은 막으로 구성한 렌즈, 얼굴인식과, 촬영을 할수 있게 하는 역할 버튼을 최대한 작게 구성 착용감에 무리가 가지 않게 구성한 센서실행, 무게없이 잘 착용할수 있게 지탱 해주는 역할 재질 좋은 친환경 플라스틱으로 구성 한 다리로 구성 하여서,
카메라센서에 의하여 센서실행 버튼 작동시 촬영, 얼굴인식, 스캔등 을 할수 있게 하는 역할 하고, 센서실행에 의하여 얼굴인식과, 촬영을 할수 있게 하는 역할 함으로써 오랜시간 착용함에도 불구하고 기능자체가 물체만 잘보이게 하는 문제점을 해소와 동시에 바쁜 일상생활 대비하여 효율적인 시간 관리 및 일의 효율성 증대 하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안경은 보이지 않는 물체를 잘보이게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안경은 연결부, 브릿지, 코받침, 경첩, 다리,다리몸대, 림, 렌즈삽입부로 구성된 것이다.
이상과 같은 안경은 렌즈를 이용하여 수정체와 망막의 거리를 조정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안경은 오랜시간 착용함에도 불구하고 기능자체가 물체만 잘보이게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 실용신안 제1020170140277호
이에 본 발명은 종래의 안경이 오랜시간 착용함에도 불구하고 기능자체가 물체만 잘보이게 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경첩 버튼 작동시 카메라촬영, 얼굴인식등 을 할수 있게 하는 역할 간편하게 쓰는 용도로 작고 얇게 형성한 카메라센서, 스캔, 촬영이 잘보이게 할 수 있게 리스크를 미리 탐지하여 방지 하는 역할 불투명 있는 얇은 막으로 구성한 렌즈, 얼굴인식과, 촬영을 할수 있게 하는 역할 버튼을 최대한 작게 구성 착용감에 무리가 가지 않게 구성한 센서실행, 무게없이 잘 착용할수 있게 지탱 해주는 역할 재질 좋은 친환경 플라스틱으로 구성 한 다리로 구성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경첩 버튼 작동시 카메라촬영, 얼굴인식등 을 할수 있게 하는 역할 간편하게 쓰는 용도로 작고 얇게 형성한 카메라센서, 스캔, 촬영이 잘보이게 할 수 있게 리스크를 미리 탐지하여 방지 하는 역할 불투명 있는 얇은 막으로 구성한 렌즈, 얼굴인식과, 촬영을 할수 있게 하는 역할 버튼을 최대한 작게 구성 착용감에 무리가 가지 않게 구성한 센서실행, 무게없이 잘 착용할수 있게 지탱 해주는 역할 재질 좋은 친환경 플라스틱으로 구성 한 다리로 구성 함으로써, 카메라센서에 의하여 센서실행 버튼 작동시 촬영, 얼굴인식, 스캔등 을 할수 있게 하는 역할 하고, 센서실행에 의하여 얼굴인식과, 촬영을 할수 있게 하는 역할 함으로써 오랜시간 착용함에도 불구하고 기능자체가 물체만 잘보이게 하는 문제점을 해소와 동시에 바쁜 일상생활 대비하여 효율적인 시간 관리 및 일의 효율성 증대 하도록 한 효과를 갖는 것이다.
도 1: 본 발명을 정면에서 바라본 그림
즉, 본 발명은 경첩 버튼 작동시 카메라촬영, 얼굴인식등 을 할수 있게 하는 역할 간편하게 쓰는 용도로 작고 얇게 형성한 (300)카메라센서, 스캔, 촬영이 잘보이게 할 수 있게 리스크를 미리 탐지하여 방지 하는 역할 불투명 있는 얇은 막으로 구성한 (400)렌즈, 얼굴인식과, 촬영을 할수 있게 하는 역할 버튼을 최대한 작게 구성 착용감에 무리가 가지 않게 구성한 (200)센서실행, 무게없이 잘 착용할수 있게 지탱 해주는 역할 재질 좋은 친환경 플라스틱으로 구성 한 (100)다리로 구성 된 것이다.
여기서, (300)카메라센서는 경첩 버튼 작동시 카메라촬영, 얼굴인식등 을 할수 있게 하는 역할 간편하게 쓰는 용도로 작고 얇게 형성한 것이다.
여기서, (200)센서실행은 얼굴인식과, 촬영을 할수 있게 하는 역할 버튼을 최대한 작게 구성 착용감에 무리가 가지 않게 구성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사용과정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안경에 있어서 경첩 버튼 작동시 카메라촬영, 얼굴인식등 을 할수 있게 하는 역할 간편하게 쓰는 용도로 작고 얇게 형성한 (300)카메라센서, 스캔, 촬영이 잘보이게 할 수 있게 리스크를 미리 탐지하여 방지 하는 역할 불투명 있는 얇은 막으로 구성한 (400)렌즈, 얼굴인식과, 촬영을 할수 있게 하는 역할 버튼을 최대한 작게 구성 착용감에 무리가 가지 않게 구성한 (200)센서실행, 무게없이 잘 착용할수 있게 지탱 해주는 역할 재질 좋은 친환경 플라스틱으로 구성 한 (100)다리로 구성된 본 발명을 적용하여 실시하게 되면, 오랜시간 착용함에도 불구하고 기능자체가 물체만 잘보이게 하는 문제점을 해소하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 간편하게 쓰는 용도로 작고 얇게 형성한 (300)카메라센서로 구성한 본 발명을 적용하여 실시하게 되면, 경첩 버튼 작동시 카메라촬영, 얼굴인식등 을 할수 있게 하는 역할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 버튼을 최대한 작게 구성 착용감에 무리가 가지 않게 구성한 (200)센서실행으로 구성한 본 발명을 적용하여 실시하게 되면, 얼굴인식과, 촬영을 할수 있게 하는 역할 될 것이다.
300: 카메라센서, 400: 렌즈, 200: 센서실행, 100: 다리

Claims (3)

  1. 안경에 있어서,
    경첩 버튼 작동시 카메라촬영, 얼굴인식등 을 할수 있게 하는 역할 간편하게 쓰는 용도로 작고 얇게 형성한 (300)카메라센서, 스캔, 촬영이 잘보이게 할 수 있게 리스크를 미리 탐지하여 방지 하는 역할 불투명 있는 얇은 막으로 구성한 (400)렌즈, 얼굴인식과, 촬영을 할수 있게 하는 역할 버튼을 최대한 작게 구성 착용감에 무리가 가지 않게 구성한 (200)센서실행, 무게없이 잘 착용할수 있게 지탱 해주는 역할 재질 좋은 친환경 플라스틱으로 구성 한 (100)다리로 구성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태스킹 안경.
  2. 제 1항에 있어서,
    (300)카메라센서를 통하여 경첩 버튼 작동시 카메라촬영, 얼굴인식등 을 할수 있게 하는 역할 간편하게 쓰는 용도로 작고 얇게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태스킹 안경.
  3. 제 1항에 있어서,
    (200)센서실행을 통하여 얼굴인식과, 촬영을 할수 있게 하는 역할 버튼을 최대한 작게 구성 착용감에 무리가 가지 않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태스킹 안경.
KR1020190159445A 2019-12-03 2019-12-03 멀티태스킹 안경 KR2021006952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9445A KR20210069527A (ko) 2019-12-03 2019-12-03 멀티태스킹 안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9445A KR20210069527A (ko) 2019-12-03 2019-12-03 멀티태스킹 안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9527A true KR20210069527A (ko) 2021-06-11

Family

ID=763765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9445A KR20210069527A (ko) 2019-12-03 2019-12-03 멀티태스킹 안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69527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40277A (ko) 2015-04-20 2017-12-20 타이-쿠오 첸 이미지 향상을 가능하게 하는 안경 구조체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40277A (ko) 2015-04-20 2017-12-20 타이-쿠오 첸 이미지 향상을 가능하게 하는 안경 구조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D203076S (zh) 眼鏡框(二)
MY192251A (en) Virtual reality head-mounted apparatus
KR20210069527A (ko) 멀티태스킹 안경
MXPA02000309A (es) Capas de lente para gafas.
TWD178906S (zh) 放大鏡
TWD194261S (zh) Glasses frame (6)
TWD189949S (zh) glasses frames
TWD203070S (zh) 保護鏡
TWD195190S (zh) glasses
CN205067886U (zh) 一种镜脚透气的眼镜
TWD194155S (zh) Glasses frame (1)
TWD201881S (zh) 鏡片
TWD194262S (zh) Glasses frame (seven)
JP1751381S (ja) 眼鏡レンズ
TWD205581S (zh) 鏡片
KR20230083612A (ko) 소리나는 안경
TWD226202S (zh) 眼鏡框(七)
TWD201627S (zh) 雪鏡鏡框
TWD226547S (zh) 眼鏡框(二)
TWM532580U (zh) 眼鏡
TWD204501S (zh) 眼鏡框
TWD206260S (zh) 眼鏡框(五)
KR20180061643A (ko) 근시 난시용 돋보기
TWD206261S (zh) 眼鏡框(六)
JP1707054S (ja) 眼鏡用レン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