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69434A - Apparatus for steam emission lid and container compri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steam emission lid and container compri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69434A
KR20210069434A KR1020190159252A KR20190159252A KR20210069434A KR 20210069434 A KR20210069434 A KR 20210069434A KR 1020190159252 A KR1020190159252 A KR 1020190159252A KR 20190159252 A KR20190159252 A KR 20190159252A KR 20210069434 A KR20210069434 A KR 202100694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layer
container
vapor discharge
discharge lead
cuto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925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307562B1 (en
Inventor
김일혁
김도연
Original Assignee
동원시스템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원시스템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원시스템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592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7562B1/en
Publication of KR202100694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943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75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756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10Container closures formed after filling
    • B65D77/20Container closures formed after filling by applying separate lids or covers, i.e. flexible membrane or foil-like covers
    • B65D77/2024Container closures formed after filling by applying separate lids or covers, i.e. flexible membrane or foil-like covers the cover being welded or adhered to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8/00Ancillary operations in connection with laminating processes
    • B32B38/0004Cutting, tearing or severing, e.g. bursting; Cutter 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4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foodstuffs or other articles intended to be cooked or heated within the package
    • B65D81/3446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foodstuffs or other articles intended to be cooked or heated within the package specially adapted to be heated by microwaves
    • B65D81/3453Rigid containers, e.g. trays, bottles, boxes, cu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35/00Closures, end caps, stoppers
    • B32B2435/02Closures, end caps, stoppers for contai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ackage Specialized In Special Use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A steam vent lid and a packaging container including the same are disclosed. The steam vent lid may comprise a first film layer provided to seal the receiving space of the container and a second film layer laminated on the first film layer and including a cut part. In the packaging container, when the steam pressure inside the container rises, a part of the steam vent lid is broken and opened and the steam pressure can be discharged. Since the packaging container has the steam vent lid, there is no risk of bursting due to internal steam pressure when heated and leakage of contents can be prevented.

Description

증기 배출 리드 및 이를 포함한 포장 용기{APPARATUS FOR STEAM EMISSION LID AND CONTAINER COMPRISING THE SAME}Vapor evacuation lead and packaging container containing same {APPARATUS FOR STEAM EMISSION LID AND CONTAINER COMPRISING THE SAME}

이하의 설명은 증기 배출 리드 및 이를 포함한 포장 용기에 관한 것이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The following description relates to a vapor evacuation lead and a packaging container including the same.

가정식 대체 식품(HMR; Home Meal Replacement)은 사용자가 짧은 시간에 간편하게 조리하여 먹을 수 있는 식품이다. 가정식 대체 식품은, 사용자가 간편하게 조리할 수 있도록, 일부가 조리된 상태에서 밀폐된 용기 및 파우치에 담겨서 판매된다. 사용자는 식품이 포함된 용기 및 파우치를 전자레인지에 넣고 가열하여, 손쉽게 식품을 조리하고, 신선한 식품을 먹을 수 있다.Home meal replacement (HMR) is a food that a user can easily cook and eat in a short time. Home-cooked alternative foods are sold in sealed containers and pouches in a partially cooked state so that users can easily cook them. A user can easily cook food and eat fresh food by heating a container and pouch containing food in a microwave oven.

한편, 밀폐된 용기에 담긴 가정식 대체 식품을 전자레인지에 조리하는 경우, 용기 내부는 수증기 등에 의해 내부 증기압이 상승한다. 이로 인해, 용기가 부풀어 오를 수 있고, 일정 기압 이상이 되면, 용기 또는 용기의 리드(lid)가 터질 수도 있다. 용기 또는 용기의 리드가 터지게 되면 밀폐되어 있던 식품이 새어 나오고, 전자레인지 내부가 더럽혀진다.On the other hand, when home-cooked substitute food contained in an airtight container is cooked in a microwave oven, the internal vapor pressure of the container increases due to water vapor. Due to this, the container may inflate, and when the pressure exceeds a certain level, the container or lid of the container may burst. If the container or lid of the container bursts, the sealed food leaks out and the inside of the microwave becomes dirty.

이러한 문제점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자는 밀폐된 용기의 리드 부분 일부를 미리 개봉하여 전자레인지에 조리를 한다. 하지만, 용기를 미리 개봉하는 것은 사용자에게 불편한 작업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용기의 개봉 부분을 잡고 개봉을 해도, 용기를 밀폐하고 있는 리드가 완전히 다 개봉되지 않고, 최외측 필름만 개봉이 되는 사태가 발생하기도 한다. 또한, 사용자에 따라 용기 개봉 정도의 차이로 인해 용기 내부 식품의 조리 품질이 일정하지 않을 수 있다는 문제점도 있다.In order to prevent such a problem, the user opens a part of the lid of the sealed container in advance and cooks in a microwave oven. However, opening the container in advance may be an inconvenient operation for the user. For example, even if the container is opened by holding the unsealed portion, the lid sealing the container may not be completely opened, and only the outermost film may be opened. Also, there is a problem that the cooking quality of the food inside the container may not be constant due to the difference in the degree of opening the container depending on the user.

따라서, 이러한 불편과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용기가 필요하다. 사용자가 밀폐된 용기의 리드 부분을 미리 개봉하지 않아도, 내부 증기압이 상승함에 따라, 리드의 일부가 자동으로 개봉되어, 증기가 배출될 수 있는 용기가 필요한 실정이다.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 container to solve these inconveniences and problems. Even if the user does not open the lid portion of the sealed container in advance, as the internal vapor pressure rises, a portion of the lid is automatically opened, and there is a need for a container in which steam can be discharged.

실시예의 목적은, 사용자가 용기 리드의 일부를 미리 개봉하지 않아도, 내부 증기압이 상승함에 따라 용기 리드의 일부가 파단되며 개방되는 증기 배출 리드를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embodiment is to provide a vapor outlet lid in which a portion of the container lid is broken and opened as the internal vapor pressure rises, without the user previously opening the portion of the container lid.

실시예들에서 해결하려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s to be solved in the embodiments are not limited to the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실시예에 따른 증기 배출 리드 및 이를 포함한 포장 용기에 대해 설명한다.A vapor discharge lead according to an embodiment and a packaging container including the same will be described.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 용기는, 수용 공간을 가지는 용기와 용기를 밀폐하는 증기 배출 리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 packaging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is configured to include a container having an accommodating space and a vapor discharge lid sealing the container.

일 실시예에 따른 증기 배출 리드는 용기의 수용 공간을 밀폐하도록 구비되는 제1필름층 및 제1필름층에 적층되고, 절개부를 포함하는 제2필름층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절개부는 제2필름층의 상면부터 하면까지 형성되며, 상기 절개부를 통해 제1필름층은 외기와 접촉할 수 있다.The vapor discharge lead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be laminated on the first film layer and the first film layer provided to seal the accommodation space of the container, and may include a second film layer including a cutout. The cutout may be formed from the upper surface to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film layer, and the first film layer may be in contact with the outside air through the cutout.

일 측에 따르면, 증기 배출 리드는, 제1필름층과 제2필름층 사이에 배리어층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배리어층은 투명 증착 필름 또는 EVOH(ethylene vinyl alcohol), PVDC(polyvinylidene chloride), PVA(polyvinyl acetate)로 이루어진 군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코팅된 필름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필름층에 조사된 레이저는, 제2필름층만을 관통하도록 절개부를 형성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side, the vapor discharge lead, may further include a barrier layer between the first film layer and the second film layer, the barrier layer is a transparent deposition film or EVOH (ethylene vinyl alcohol), PVDC (polyvinylidene chloride), It may be formed as a coated film including at least any one of the group consisting of polyvinyl acetate (PVA). The laser irradiated to the second film layer may form a cutout so as to penetrate only the second film layer.

일 측에 따르면, 절개부는 제2필름층의 중앙에 형성될 수 있다. 절개부는 직선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절개부의 길이는 3 내지 10 cm일 수 있으며, 절개부의 폭은 190 내지 230 ㎛일 수 있다. 또한, 절개부는 제2필름층에 복수의 개소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복수의 선이 교차하는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According to one side, the cutout may be formed in the center of the second film layer. The cutout may be formed in a straight shape. The length of the incision may be 3 to 10 cm, and the width of the incision may be 190 to 230 μm. In addition, the cutout may be formed in a plurality of locations in the second film layer, or may be formed in a form in which a plurality of lines intersect.

일 측에 따르면, 제1필름층의 두께는 30 내지 100 ㎛일 수 있고, 제2필름층의 두께는 15 내지 25 ㎛일 수 있다.According to one side, the thickness of the first film layer may be 30 to 100 μm, and the thickness of the second film layer may be 15 to 25 μm.

일 측에 따르면, 증기 배출 리드의 제1필름층은, 용기의 테두리를 따라 이지필 형태로 부착될 수 있다. 제1필름층은, 용기의 내부 증기압이 상승함에 따라 절개부가 형성된 부분이 파단 가능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제1필름층은 PE(polyethylene), PP(polypropylene), CPP(casting polypropylene)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side, the first film layer of the vapor discharge lead may be attached in the form of an easy peel along the rim of the container. The first film layer, as the internal vapor pressure of the container rises, the cut-out portion may be formed of a breakable material. The first film layer may be formed to includ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olyethylene (PE), polypropylene (PP), and casting polypropylene (CPP).

일 측에 따르면, 증기 배출 리드는 제1필름층의 상면에 다방향의 찢김이 가능한 다공성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다공성층은 제1필름층과 제2필름층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증기 배출 리드는, 용기에 수용된 내용물의 변질을 방지하는 배리어층을 더 포함하고, 제1필름층, 다공성층, 배리어층, 제2필름층을 순차적으로 적층하여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side, the vapor discharge lead may further include a porous layer capable of tearing in multiple directions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film layer. The porous layer may be formed between the first film layer and the second film layer. In addition, the vapor discharge lead, further comprising a barrier layer to prevent deterioration of the contents accommodated in the container, the first film layer, the porous layer, the barrier layer, it may be formed by sequentially stacking the second film layer.

일 측에 따르면, 제2필름층은 나일론,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OPP(oriented polypropylene), PE(polyethylene), PP(polypropylene), PO(polyolefin)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제2필름층은, 절개부의 위치를 나타내는 가이드선을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side, the second film layer includes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nylon, PET (polyethylene terephthalate), OPP (oriented polypropylene), PE (polyethylene), PP (polypropylene), and PO (polyolefin). can be formed by The second film layer may include a guide line indicating the position of the cutout.

일 측에 따르면, 제1필름층과 제2필름층은 압출방식, 도포방식, 분사방식, 증착방식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수단으로 합지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side, the first film layer and the second film layer may be laminated by at least one of an extrusion method, a coating method, a spraying method, and a deposition method.

이상에서 본 바와 같이, 실시예들에 따르면,As seen above, according to embodiments,

용기의 내부 증기압이 상승함에 따라, 용기 리드의 일부가 파단되며 개방되어, 용기 내부의 증기를 배출할 수 있다.As the internal vapor pressure of the vessel rises, a portion of the vessel lid ruptures and opens, allowing the vapor inside the vessel to escape.

또한, 증기 배출 리드를 구비한 용기는, 전자레인지 또는 끓는 물 속에서 가열 시 터질 위험이 없으며, 내용물이 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ainer provided with the vapor discharge lid, there is no risk of bursting when heated in a microwave oven or boiling water,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contents from leaking.

일 실시예에 따른 증기 배출 리드 및 이를 포함한 포장 용기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Effects of the vapor discharge lead and the packaging container including the s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are not limited to those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증기 배출 리드를 구비한 포장 용기의 단면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증기 배출 리드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증기 배출 리드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변형 실시예에 따른 증기 배출 리드를 구비한 포장 용기의 단면도이다.
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ackaging container having a vapor discharge lid according to an embodiment.
2 is a plan view of a vapor exhaust re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vapor exhaust lea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ackaging container having a vapor discharge lid according to a modified embodiment of FIG. 1 .

이하,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exemplary drawings.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the components of each drawing,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components are give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much as possible even though they are indicated on different drawings. In addition, in the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configuration or function interferes with the understanding of the embodiment,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또한,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components of the embodiment,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B, (a), (b), etc. may be used. These terms are only for distinguishing the component from other components, and the essence, order, or order of the component is not limited by the term. When it is described that a component is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the compon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another component is between each component. It will be understood that may also be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어느 하나의 실시예에 포함된 구성요소와, 공통적인 기능을 포함하는 구성요소는, 다른 실시예에서 동일한 명칭을 사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이상, 어느 하나의 실시예에 기재한 설명은 다른 실시예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중복되는 범위에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Components included in one embodiment and components having a common function will be described using the same names in other embodiments. Unless otherwise stated, a description described in one embodiment may be applied to another embodiment, and a detailed description in the overlapping range will be omitted.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에 따른 증기 배출 리드(10) 및 이를 포함한 포장 용기(1)에 대해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vapor discharge lead 10 and the packaging container 1 including the same according to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증기 배출 리드(10)를 구비한 포장 용기(1)의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포장 용기(1)는 용기(20) 및 증기 배출 리드(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ackaging container 1 having a vapor discharge lid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Referring to FIG. 1 , a packaging container 1 is configured to include a container 20 and a vapor discharge lead 10 .

용기(20)는 내부에 수용 공간을 가진다. 용기(20)의 수용 공간에는, 가정식 대체 식품(HMR; Home Meal Replacement)를 수용할 수 있다. 여기서, 가정식 대체 식품이란 레토르트 식품을 말하며, 사용자가 짧은 시간에 간편하게 조리하여 먹을 수 있는 식품을 말한다.The container 20 has an accommodation space therein. In the accommodation space of the container 20, Home Meal Replacement (HMR) can be accommodated. Here, the home-cooked alternative food refers to a retort food, and refers to a food that a user can easily cook and eat in a short time.

증기 배출 리드(10)는 용기(20)를 밀폐하도록 구비된다. 증기 배출 리드(10)는 용기(20)의 개구부와 동일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증기 배출 리드(10)는 사용자가 잡고 개봉하기 쉽도록, 일 측이 연장되어 돌출되어 있는 형상일 수도 있다.The vapor discharge lid 10 is provided to close the container 20 . The vapor discharge lid 10 may have the same shape as the opening of the container 20 . In addition, the steam discharge lead 10 may have a shape in which one side is extended and protruded so that the user can easily hold and open the lid 10 .

증기 배출 리드(10)는 다층 필름으로 구성되며, 제1필름층(101)과 제2필름층(104)을 포함한다.The vapor discharge lead 10 is composed of a multilayer film, and includes a first film layer 101 and a second film layer 104 .

제1필름층(101)은 용기(20)의 수용 공간을 밀폐하도록, 용기(20)의 상측에 부착되는 층이다. 제1필름층(101)은 30 내지 100 ㎛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The first film layer 101 is a layer attached to the upper side of the container 20 to seal the accommodation space of the container 20 . The first film layer 101 may have a thickness of 30 to 100 μm.

제1필름층(101)은 용기(20)의 상측 테두리를 따라, 이지필(easy peel) 형태로 부착된다. 여기서, 이지필 형태란, 사용자가 용기(20)로부터, 용기(20)를 밀폐하고 있는 필름을 쉽게 분리할 수 있는 형태를 말한다. 이 때, 제1필름층(101)은 용기(20)의 상측에 열 접착 방식으로 부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필름층(101)은 용기(20)에 1.0kgf/15mm 내지 2.0kgf/15mm의 접착강도로 부착될 수 있다.The first film layer 101 is attached along the upper edge of the container 20 in an easy peel form. Here, the easy-peel form refers to a form in which a user can easily separate the film sealing the container 20 from the container 20 . At this time, the first film layer 101 may be attached to the upper side of the container 20 in a thermal bonding method. For example, the first film layer 101 may be attached to the container 20 with an adhesive strength of 1.0 kgf/15 mm to 2.0 kgf/15 mm.

제1필름층(101)은 연신율 이상의 힘을 받으면 파단이 일어나는 연포장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제1필름층(101)은 이지필 필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필름층(101)은 PE(polyethylene), PP(polypropylene), CPP(casting polypropylene)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형성된다.The first film layer 101 may be made of a flexible packaging material that breaks when a force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elongation is applied. Also, the first film layer 101 may be an easy peel film. For example, the first film layer 101 is formed to includ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olyethylene (PE), polypropylene (PP), and casting polypropylene (CPP).

제2필름층(104)은, 제1필름층(101)에 적층되며, 증기 배출 리드(10)의 최상측에 위치하는 층이다. 제2필름층(104)은 15 내지 25 ㎛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The second film layer 104 is laminated on the first film layer 101 , and is a layer located on the uppermost side of the vapor discharge lead 10 . The second film layer 104 may have a thickness of 15 to 25 μm.

제2필름층(104)은 포장 용기(1)의 외면을 구성할 수 있다. 제2필름층(104)은 포장 용기(1)의 안정성 및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필름층(104)은, 나일론,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OPP(oriented polypropylene), PE(polyethylene), PP(polypropylene), PO(polyolefin)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형성된다.The second film layer 104 may constitute the outer surface of the packaging container 1 . The second film layer 104 may be made of a material capable of improving the stability and durability of the packaging container 1 . For example, the second film layer 104 is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nylon,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oriented polypropylene (OPP), polyethylene (PE), polypropylene (PP), and polyolefin (PO). formed including the above.

한편, 제2필름층(104)에는 포장 용기(1) 내용물의 정보 또는 상품의 디자인 등이 인쇄될 수도 있다. 이 때, 내용물의 정보 또는 상품의 디자인은 그라비아 인쇄, 오프셋 인쇄, UV 인쇄 또는 플렉소 인쇄 방식으로 인쇄될 수 있다.Meanwhile, information on the contents of the packaging container 1 or the design of a product may be printed on the second film layer 104 . At this time, the information of the contents or the design of the product may be printed by gravure printing, offset printing, UV printing or flexographic printing method.

제2필름층(104)에 내용물의 정보 또는 상품의 디자인 등이 인쇄되는 경우, 잉크의 접착력 향상 및 부착 밀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제2필름층(104)은 코로나 방전 표면 처리될 수 있다. 또한, 제2필름층(104)은 인쇄 내용의 보호 및 포장 용기(1)의 내구성 향상을 위해 라미네이트 코팅 처리될 수도 있다.When information on contents or a product design is printed on the second film layer 104 , the second film layer 104 may be corona-discharged surface-treated to improve adhesion and adhesion density of ink. In addition, the second film layer 104 may be laminate-coated to protect the printed contents and to improve the durability of the packaging container 1 .

제2필름층(104)에는 용기(20)의 내부 증기압이 상승하는 경우, 내부 증기를 배출하여 증기압을 조절하기 위해 절개부(11)가 형성된다. 절개부(11)가 형성되는 경우, 제2필름층(104)에는, 절개부(11)의 위치를 나타내는 가이드선이 표시될 수 있다. 가이드선은 포장 용기(1) 내용물의 정보 또는 상품의 디자인이 인쇄되는 방식과 동일하게 인쇄되어 표시될 수 있다. 이 때, 가이드선은 절개부(11)와 길이가 같거나, 또는 더 길게 표시될 수 있다.In the second film layer 104, when the internal vapor pressure of the container 20 rises, the cutout 11 is formed to discharge the internal vapor to control the vapor pressure. When the cutout 11 is formed, a guide line indicating the location of the cutout 11 may be displayed on the second film layer 104 . The guide line may be printed and displayed in the same way as the information on the contents of the packaging container 1 or the design of the product is printed. In this case, the guide line may have the same length as the cutout 11 or may be displayed longer.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라 제2필름층(104)에 형성되는 절개부(11)에 대해 상술한다. 참고적으로,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증기 배출 리드(10)를 나타낸 평면도이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 2 , the cutout 11 formed in the second film layer 104 according to an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For reference, Figure 2 is a plan view showing the vapor discharge lead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2를 참조하면, 절개부(11)는 제2필름층(104)의 중앙에 형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 the cutout 11 may be formed in the center of the second film layer 104 .

이 때, 절개부(11)는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직선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절개부(11)가 직선의 형태인 경우, 절개부(11)의 길이는 3 내지 10 cm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절개부(11)의 폭은 190 내지 230 ㎛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절개부(11)는 제2필름층(104)의 중앙에 위치하고, 길이가 길수록 용기(20)의 내부 증기를 배출하는데 유리하다. 다만,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 절개부(11)의 형상이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At this time, the cutout 11 may be formed in a straight shape as shown in the drawing. When the cutout 11 is in the form of a straight line, the length of the cutout 11 may be 3 to 10 cm. Also, the width of the cutout 11 may be 190 to 230 μm. Here, the cutout 11 is located in the center of the second film layer 104, and the longer the length, the more advantageous it is to discharge the internal vapor of the container 20. However, this is only an embodiment, and the shape of the cutout 11 is not limited by the drawings.

절개부(11)는 복수의 선이 교차하는 형태로도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절개부(11)의 형태는 십자형(+), 별표형(*) 또는 꼭지형(^)이 될 수 있다.The cutout 11 may also be formed in a form in which a plurality of lines intersect. For example, the shape of the cutout 11 may be a cross (+), an asterisk (*), or a vertex (^).

또한, 절개부(11)는 제2필름층(104)에 복수의 개소로 형성될 수도 있다. 절개부(11)가 복수의 개소인 경우, 각 개소는 상호 이격되도록 단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각 개소는 길이 방향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cutout 11 may be formed in a plurality of locations in the second film layer 104 . When the cutout 11 is a plurality of locations, each location may be intermittently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this time, each location may be arrang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절개부(11)는 제2필름층(104)의 상면부터 하면까지 형성된다. 이로 인해, 제1필름층(101)은 절개부(11)를 통해 외기와 접촉할 수 있다. 절개부(11)는 제2필름층(104)을 관통하기 위해 제2필름층(104)에 레이저가 조사되어 형성될 수 있다.The cutout 11 is formed from the upper surface to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film layer 104 . For this reason, the first film layer 101 may be in contact with the outside air through the cutout 11 . The cutout 11 may be formed by irradiating a laser to the second film layer 104 to penetrate the second film layer 104 .

제1필름층(101)과 절개부(11)를 포함한 제2필름층(104)은 압출방식, 도포방식, 분사방식, 증착방식 중 어느 하나의 수단을 통해 합지된다. 합지 방식은, 열 압착, 스프레이, 드라이 롤 성형 등의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다만, 합지 방식은 상기 상술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제1필름층(101)과 제2필름층(104)이 합지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다양한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The first film layer 101 and the second film layer 104 including the cutout 11 are laminated through any one of an extrusion method, a coating method, a spraying method, and a deposition method. The lamination method may be a method such as thermocompression compression, spraying, dry roll forming, or the like. However, the lamination method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xample, and various methods in which the first film layer 101 and the second film layer 104 can maintain the lamination state may be applied.

한편, 다층 필름으로 구성되는 증기 배출 리드(10)는, 제1필름층(101)과 제2필름층(104) 외에 다른 층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the vapor discharge lead 10 composed of a multilayer film may further include other layers in addition to the first film layer 101 and the second film layer 104 .

도 3을 참조하여, 다른 실시예에 따른 증기 배출 리드(10)를 상술한다. 참고적으로, 도 3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증기 배출 리드(10)의 단면도이다.Referring to FIG. 3 , a vapor exhaust lead 1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For reference, 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vapor discharge lead 1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도 3을 참조하면, 증기 배출 리드(10)는 다공성층(102) 또는 배리어층(103)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 the vapor discharge lead 10 may further include a porous layer 102 or a barrier layer 103 .

다공성층(102)은 제1필름층(101)과 제2필름층(104) 사이에 형성된다. 다공성층(102)은, 용기(20) 내부 증기압이 상승함에 따라 증기 배출 리드(10)의 효과적인 개봉을 위해, 다방향의 찢김이 가능한 층이다. 다공성층(102)은, 예를 들어, 다공화 처리된 PET 재질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The porous layer 102 is formed between the first film layer 101 and the second film layer 104 . The porous layer 102 is a layer capable of tearing in multiple directions for effective opening of the vapor discharge lid 10 as the vapor pressure inside the container 20 rises. The porous layer 102 may be formed of, for example, a porous-treated PET material.

배리어층(103)은 제1필름층(101)과 제2필름층(104) 사이에 형성된다. 이 때,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증기 배출 리드(10)가 다공성층(102)도 포함하는 경우, 배리어층(103)은 다공성층(102)과 제2필름층(104)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증기 배출 리드(10)는 제1필름층(101), 다공성층(102), 배리어층(103) 및 제2필름층(104)이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각 층은 압출방식, 도포방식, 분사방식, 증착방식 중 어느 하나의 수단을 통해 합지될 수 있다.The barrier layer 103 is formed between the first film layer 101 and the second film layer 104 . At this time, as shown in the figure, when the vapor discharge lead 10 also includes the porous layer 102 , the barrier layer 103 may be formed between the porous layer 102 and the second film layer 104 . can In this case, the vapor discharge lead 10 may be formed by sequentially stacking the first film layer 101 , the porous layer 102 , the barrier layer 103 and the second film layer 104 . Here, each layer may be laminated through any one of an extrusion method, a coating method, a spray method, and a deposition method.

배리어층(103)은 투명 증착 필름 또는 EVOH(ethylene vinyl alcohol), PVDC(polyvinylidene chloride), PVA(polyvinyl acetate)로 이루어진 군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코팅된 필름으로 형성된다. 이 때, 배리어층(103)은 공압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The barrier layer 103 is formed of a transparent deposition film or a film coated with at least one of the group consisting of ethylene vinyl alcohol (EVOH), polyvinylidene chloride (PVDC), and polyvinyl acetate (PVA). In this case, the barrier layer 103 may be formed by co-extrusion.

배리어층(103)과 제2필름층(104)이 적층된 상태로, 제2필름층(104)에 레이저를 조사하여 절개부(11)를 형성하는 경우, 레이저가 제2필름층(104)의 상면부터 하면까지만 관통하도록, 레이저의 조사 깊이를 결정하는 레이저의 출력을 조절하여 절개부(11)를 형성할 수 있다.In a state in which the barrier layer 103 and the second film layer 104 are stacked, when the laser is irradiated to the second film layer 104 to form the cutout 11 , the laser is applied to the second film layer 104 . The cutout 11 may be formed by adjusting the output of the laser that determines the irradiation depth of the laser so as to penetrate only from the upper surface to the lower surface of the .

이 때, 배리어층(103)에는 절개부(11)가 형성되지 않음으로써, 용기(20) 내부에 수용된 내용물을 외부로부터 보호할 수도 있다. 배리어층(103)은 용기(20)의 내용물이 새는 것을 방지하고, 수분 및 산소 배리어를 포함함으로써 내용물의 신선도를 보존할 수 있다. 또한, 배리어층(103)은 UV 차단 코팅제가 도포, 분사 또는 증착되거나 UV 차단 필름을 더 포함한 상태로 형성되어, 햇빛이 수용 공간 내부로 투과하는 것을 차단하고, 햇빛에 의해 내용물이 변질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At this time, since the cutout 11 is not formed in the barrier layer 103 , the contents accommodated in the container 20 may be protected from the outside. The barrier layer 103 may prevent the contents of the container 20 from leaking and preserve the freshness of the contents by including a moisture and oxygen barrier. In addition, the barrier layer 103 is formed in a state in which a UV blocking coating agent is applied, sprayed or deposited, or a UV blocking film is further included, thereby blocking sunlight from penetrating into the receiving space and preventing the contents from being altered by sunlight. You may.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용기(20)의 내부 증기압 상승 시 나타나는 포장 용기(1)의 형태 변형을 상술한다. 참고적으로, 도 4는 도 1의 변형 실시예에 따른 증기 배출 리드(10)를 구비한 포장 용기(1)의 단면도이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 4 , the shape deformation of the packaging container 1 that appears when the internal vapor pressure of the container 20 rise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For reference,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ackaging container 1 having a vapor discharge lid 10 according to a modified embodiment of FIG. 1 .

도 4의 증기 배출 리드(10)는 제1필름층(101)과 제2필름층(104)로 구성되어 있지만, 증기 배출 리드(10)의 다층 필름 구조는 도면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증기 배출 리드(10)는 상기 상술한 바와 같이, 다공성층(102) 및 배리어층(103)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Although the vapor discharge lead 10 of FIG. 4 is composed of a first film layer 101 and a second film layer 104 , the multilayer film structure of the vapor discharge lead 10 is not limited by the drawings. For example, the vapor exhaust lead 10 may further include a porous layer 102 and a barrier layer 103, as described above.

용기(20)에 가정식 대체 식품이 들어있는 경우, 포장 용기(1)는 전자레인지에서 가열 조리되거나, 끓는 물 속에서 데워질 수 있다. 포장 용기(1)가 가열됨에 따라, 용기(20) 내 식품에서 수증기가 발생하게 되고, 증기 배출 리드(10)로 밀폐된 용기(20)의 내부 증기압이 상승할 수 있다.When the container 20 contains home-cooked substitute food, the packaging container 1 may be heated in a microwave oven or heated in boiling water. As the packaging container 1 is heated, water vapor is generated in the food in the container 20 , and the internal vapor pressure of the container 20 sealed with the vapor discharge lead 10 may increase.

용기(20)의 내부 증기압이 상승함에 따라, 포장 용기(1)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부풀어 오를 수 있다. 포장 용기(1)가 부풀어 오르면, 내부 증기압을 조절하기 위해, 제1필름층(101)은 절개부(11)가 형성된 부분이 파단된다. 여기서, 절개부(11)가 형성된 부분이란, 제2필름층(104)에 형성된 절개부(11)의 위치를 말한다. 다시 말해, 제1필름층(101)이 외기와 접촉하는 부분이다. 제1필름층(101)은, 예를 들어, 용기(20)의 내부 증기압이 외부 증기압보다 140% 이상인 경우 파단이 일어날 수 있다.As the internal vapor pressure of the container 20 rises, the packaging container 1 may inflate as shown in FIG. 4 . When the packaging container 1 is inflated, in order to control the internal vapor pressure, the portion in which the cutout 11 is formed is broken in the first film layer 101 . Here, the portion in which the cutout 11 is formed refers to the position of the cutout 11 formed in the second film layer 104 . In other words, the first film layer 101 is a portion in contact with the outside air. The first film layer 101 may break, for example, when the internal vapor pressure of the container 20 is 140% or more than the external vapor pressure.

포장 용기(1)는 이와 같은 구조로, 내부 증기압을 조절하며, 용기(20) 내부의 식품을 효과적으로 가열 조리할 수 있다. 우선, 일정 증기압까지 용기(20) 내부의 식품은 용기(20)의 내부 증기압을 이용하여, 설익지 않도록 충분히 조리될 수 있다. 이후, 포장 용기(1)가 가열됨에 따라 용기(20)의 내부 증기압이 상승하면, 제1필름층(101)이 파단되고, 파단되는 부분을 통해 증기를 배출할 수 있다. 이로 인해, 포장 용기(1)가 터지는 현상을 방지하며, 식품을 더 가열 조리할 수 있다.The packaging container 1 has such a structure, the internal vapor pressure is adjusted, and the food inside the container 20 can be effectively heated and cooked. First, the food inside the container 20 up to a certain vapor pressure can be sufficiently cooked so as not to be overcooked by using the internal vapor pressure of the container 20 . Thereafter, when the internal vapor pressure of the container 20 increases as the packaging container 1 is heated, the first film layer 101 is broken, and the vapor can be discharged through the broken portion. For this reason,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packaging container 1 from bursting, and further heat and cook food.

실시예들에 따르면, 포장 용기(1)는 용기(20)와 증기 배출 리드(1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증기 배출 리드(10)는 용기(20)의 수용 공간을 밀폐하는 제1필름층(101) 및 제1필름층에 적층되고, 절개부(11)를 포함하는 제2필름층(104)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포장 용기(1)는 증기 배출 리드(10)를 구비함으로써, 사용자가 증기 배출 리드(10)의 일부를 미리 개봉하지 않아도, 포장 용기(1) 내부의 증기압을 조절할 수 있다. 용기(20)의 내부 증기압이 상승하는 경우, 증기 배출 리드(10)는 일부가 파단되어 개방되며, 용기(20) 내부의 증기를 배출할 수 있다. 또한, 증기 배출 리드(10)를 구비한 포장 용기(1)는 가열 시 터질 위험이 없으며, 용기(20) 내부의 내용물이 새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According to embodiments, the packaging container 1 is configured to include a container 20 and a vapor discharge lead 10 , and the vapor discharge lead 10 is a first film layer sealing the receiving space of the container 20 . 101 and the second film layer 104 laminated on the first film layer, and including the cutout 11 . Since the packaging container 1 is provided with the vapor discharge lead 10 , the vapor pressure inside the packaging container 1 can be adjusted without the user opening a part of the vapor discharge lead 10 in advance. When the internal vapor pressure of the container 20 rises, the steam discharge lead 10 is partially broken and opened, and the vapor inside the container 20 may be discharged. In addition, the packaging container 1 having the vapor discharge lead 10 does not have a risk of bursting when heated, and it is also possible to prevent the contents inside the container 20 from leaking.

이상과 같이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실시예들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구조, 장치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lthough the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limited drawings,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from the above description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For example, the described techniques are performed in an order different from the described method, and/or the described components of structures, devices, etc. are combined or combined in a different form than the described method, or other components or equivalents are used. Appropriate results can be achieved even if substituted or substituted by

그러므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Therefore,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and not only the claims described below, but also all of the claims and all equivalents or equivalent modifications will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1: 포장 용기
10: 증기 배출 리드
101: 제1필름층
102: 다공성층
103: 배리어층
104: 제2필름층
11: 절개부
20: 용기
1: Packaging container
10: steam exhaust lead
101: first film layer
102: porous layer
103: barrier layer
104: second film layer
11: incision
20: courage

Claims (25)

용기의 수용 공간을 밀폐하도록 구비되는 제1필름층; 및
상기 제1필름층에 적층되고, 절개부를 포함하는 제2필름층;
을 포함하는 증기 배출 리드.
a first film layer provided to seal the accommodation space of the container; and
a second film layer laminated on the first film layer and including a cutout;
A vapor exhaust lead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부는 상기 제2필름층의 상면부터 하면까지 형성되며,
상기 절개부를 통해 상기 제1필름층이 외기와 접촉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증기 배출 리드.
According to claim 1,
The cutout is formed from the upper surface to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film layer,
A vapor discharge lead formed so that the first film layer can be in contact with the outside air through the cutou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필름층과 상기 제2필름층 사이에 형성되는 배리어층;
을 더 포함하고,
상기 배리어층은 투명 증착 필름 또는 EVOH(ethylene vinyl alcohol), PVDC(polyvinylidene chloride), PVA(polyvinyl acetate)로 이루어진 군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코팅된 필름으로 형성되는 증기 배출 리드.
According to claim 1,
a barrier layer formed between the first film layer and the second film layer;
further comprising,
The barrier layer is a vapor discharge lead formed of a transparent deposition film or a film coated with at least one or more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EVOH (ethylene vinyl alcohol), PVDC (polyvinylidene chloride), and PVA (polyvinyl acetat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필름층에 조사된 레이저는,
상기 제2필름층만을 관통하도록 상기 절개부를 형성하는 증기 배출 리드.
4. The method of claim 3,
The laser irradiated to the second film layer,
A vapor discharge lead forming the cutout so as to penetrate only the second film layer.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부는 상기 제2필름층의 중앙에 형성되는 증기 배출 리드.
3. The method of claim 2,
The cutout is a vapor discharge lead formed in the center of the second film layer.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부는 직선 형태로 형성되는 증기 배출 리드.
3. The method of claim 2,
The incision is a vapor discharge lead formed in a straight shape.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부의 길이는 3 내지 10 cm 인 증기 배출 리드.
7. The method of claim 6,
The length of the incision is 3 to 10 cm steam exhaust lead.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부의 폭은 190 내지 230 ㎛ 인 증기 배출 리드.
7. The method of claim 6,
The width of the incision is 190 to 230 ㎛ vapor discharge lead.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부는 상기 제2필름층에 복수의 개소로 형성되는 증기 배출 리드.
3. The method of claim 2,
The incision portion is a vapor discharge lead formed in a plurality of locations on the second film layer.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부는 복수의 선이 교차하는 형태로 형성되는 증기 배출 리드.
3. The method of claim 2,
The cutout leads to a vapor discharge formed in a shape in which a plurality of lines intersec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필름층의 두께는 30 내지 100 ㎛ 인 증기 배출 리드.
According to claim 1,
The thickness of the first film layer is 30 to 100 ㎛ vapor discharge lea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필름층의 두께는 15 내지 25 ㎛ 인 증기 배출 리드.
According to claim 1,
The thickness of the second film layer is 15 to 25 ㎛ vapor discharge lea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필름층은, 상기 용기의 상측 테두리를 따라, 이지필(Easy Peel) 형태로 부착되는 증기 배출 리드.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film layer, along the upper edge of the container, vapor discharge lead attached in the form of an easy peel (Easy Pee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필름층은, 상기 용기의 내부 증기압이 상승함에 따라 상기 절개부가 형성된 부분이 파단 가능한 재질로 형성되는 증기 배출 리드.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film layer is, as the internal vapor pressure of the container rises, a vapor discharge lead in which the cut-out portion is formed of a breakable material.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필름층은,
PE(polyethylene), PP(polypropylene), CPP(casting polypropylene)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증기 배출 리드.
15. The method of claim 14,
The first film layer,
A vapor discharge lead comprising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E (polyethylene), PP (polypropylene), and CPP (casting polypropylen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필름층은, 상면에 다방향의 찢김이 가능한 다공성층;
을 더 포함하고,
상기 다공성층은 상기 제1필름층과 상기 제2필름층 사이에 형성되는 증기 배출 리드.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film layer may include a porous layer capable of tearing in multiple directions on an upper surface;
further comprising,
The porous layer is a vapor discharge lead formed between the first film layer and the second film layer.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에 수용된 내용물의 변질을 방지하는 배리어층이 더 구비되고,
상기 제1필름층, 상기 다공성층, 상기 배리어층 및 상기 제2필름층이 순차적으로 적층되는 증기 배출 리드.
17. The method of claim 16,
A barrier layer to prevent deterioration of the contents accommodated in the container is further provided,
The vapor discharge lead in which the first film layer, the porous layer, the barrier layer and the second film layer are sequentially stack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필름층은,
나일론,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OPP(oriented polypropylene), PE(polyethylene), PP(polypropylene), PO(polyolefin)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증기 배출 리드.
According to claim 1,
The second film layer,
A vapor discharge lead comprising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nylon,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oriented polypropylene (OPP), polyethylene (PE), polypropylene (PP), and polyolefin (PO).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필름층은,
상기 절개부의 위치를 나타내는 가이드선을 포함하는 증기 배출 리드.
According to claim 1,
The second film layer,
A vapor discharge lead including a guide line indicating the position of the cutou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필름층과 상기 제2필름층은 압출방식, 도포방식, 분사방식, 증착방식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수단으로 합지되는 증기 배출 리드.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film layer and the second film layer is a vapor discharge lead laminated by at least one of an extrusion method, an application method, a spray method, and a deposition method.
수용 공간을 가지는 용기; 및
상기 용기를 밀폐하는 증기 배출 리드;
를 포함하고,
상기 증기 배출 리드는,
상기 용기의 수용 공간을 이지필(Easy Peel) 형태로 밀폐하도록 구비되는 제1필름층; 및
상기 제1필름층에 적층되고, 상기 제1필름층이 외기와 접촉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절개부를 포함하는 제2필름층;
을 포함하는 포장 용기.
a container having a receiving space; and
a vapor exhaust lid sealing the vessel;
including,
The vapor discharge lead,
a first film layer provided to seal the accommodating space of the container in an easy-peel form; and
a second film layer laminated on the first film layer, the second film layer including a cutout formed so that the first film layer can contact the outside air;
A packaging container comprising a.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부는 상기 제2필름층의 중앙에 직선 형태로 형성되는 포장 용기.
22. The method of claim 21,
The cutout portion is a packaging container formed in a straight shape in the center of the second film layer.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필름층의 두께는 30 내지 100 ㎛ 인 포장 용기.
22. The method of claim 21,
The thickness of the first film layer is 30 to 100 ㎛ packaging container.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2필름층의 두께는 15 내지 25 ㎛ 인 포장 용기.
22. The method of claim 21,
The thickness of the second film layer is 15 to 25 ㎛ packaging container.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필름층은, 상기 용기의 내부 증기압이 상승함에 따라 상기 절개부가 형성된 부분이 파단 가능한 재질로 형성되는 포장 용기.
22. The method of claim 21,
The first film layer is a packaging container in which the portion formed with the cutout is formed of a breakable material as the internal vapor pressure of the container rises.
KR1020190159252A 2019-12-03 2019-12-03 Apparatus for steam emission lid and container comprising the same KR10230756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9252A KR102307562B1 (en) 2019-12-03 2019-12-03 Apparatus for steam emission lid and container compri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9252A KR102307562B1 (en) 2019-12-03 2019-12-03 Apparatus for steam emission lid and container compris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9434A true KR20210069434A (en) 2021-06-11
KR102307562B1 KR102307562B1 (en) 2021-10-05

Family

ID=763767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9252A KR102307562B1 (en) 2019-12-03 2019-12-03 Apparatus for steam emission lid and container compris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7562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5646B1 (en) * 2022-04-15 2023-02-07 윤태훈 Multilayer plastic barrier film using eco-friendly uni-material,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104629A (en) * 2002-04-25 2004-12-10 세이지 까가와 Linearly easy-to-rupture thermoplastic resin film, and method and device for manufacturing the resin film
JP2007204134A (en) * 2006-02-06 2007-08-16 Sun A Kaken Co Ltd Method for unsealing packed container for microwave oven
WO2012086295A1 (en) * 2010-12-24 2012-06-28 株式会社メイワパックス Container for packaging, and method for examining container for packaging
KR20150053970A (en) * 2012-10-15 2015-05-19 도판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Laminate film and packaging containe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104629A (en) * 2002-04-25 2004-12-10 세이지 까가와 Linearly easy-to-rupture thermoplastic resin film, and method and device for manufacturing the resin film
JP2007204134A (en) * 2006-02-06 2007-08-16 Sun A Kaken Co Ltd Method for unsealing packed container for microwave oven
WO2012086295A1 (en) * 2010-12-24 2012-06-28 株式会社メイワパックス Container for packaging, and method for examining container for packaging
KR20150053970A (en) * 2012-10-15 2015-05-19 도판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Laminate film and packaging contain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5646B1 (en) * 2022-04-15 2023-02-07 윤태훈 Multilayer plastic barrier film using eco-friendly uni-material,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07562B1 (en) 2021-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48931A (en) Packaging sheet and containers and pouches using the sheet
US7582340B2 (en) Container for retort pouch food
KR20130022371A (en) Flexible, self-venting retortable container
US4756917A (en) Packaging sheet and containers and pouches using the sheet
WO2008056690A1 (en) Package body for microwave oven cooking
US9908681B2 (en) Food degassing bag
JP2007191199A (en) Packaging bag for use in microwave oven
JP5887745B2 (en) Microwave heating container
JPWO2018055989A1 (en) Packaging bag for microwave heating
JP2018127257A (en) Pouch for microwave oven
KR102307562B1 (en) Apparatus for steam emission lid and container comprising the same
JP6790471B2 (en) Package
JP4501019B2 (en) Packaging material for microwave oven, packaging bag and container using the same
JP6662095B2 (en) Packaging bag
JP2017206301A (en) Steam release pouch
JP2012056596A (en) Packaging bag for microwave oven
JP2016068981A (en) Lid material
JP2017171361A (en) Packaging bag
JP2017165480A (en) Tetra type pouch
JP6551591B2 (en) Packaging bag for heating
JP6953900B2 (en) Packaging bag
JP6988255B2 (en) Steamable flat pouch
JP2007204073A (en) Packaging container for heating in microwave oven
JP2021017262A (en) Skin pack packaging body
JP2005350102A (en) Package for heating by microwave ov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