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68752A - IoT 수장고와 연동되는 블록체인 기반 미술품 중개 서비스 제공 시스템 - Google Patents
IoT 수장고와 연동되는 블록체인 기반 미술품 중개 서비스 제공 시스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10068752A KR20210068752A KR1020190158140A KR20190158140A KR20210068752A KR 20210068752 A KR20210068752 A KR 20210068752A KR 1020190158140 A KR1020190158140 A KR 1020190158140A KR 20190158140 A KR20190158140 A KR 20190158140A KR 20210068752 A KR20210068752 A KR 2021006875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rt
- artwork
- iot
- artworks
- storag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13—Third-party assisted
- G06Q30/0619—Neutral agent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41—Shopping interface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45—Rental transactions; Leasing transac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8—Auction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IoT 수장고와 연동되는 블록체인 기반 미술품 중개 서비스 제공 시스템이 제공되며, 미술품의 정보 및 이미지를 포함하는 미술품 등록 이벤트를 출력하고, 미술품이 등록된 경우 원격에서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데이터를 공유받아 디스플레이하며, 미술품이 렌탈 또는 판매된 경우 기 설정된 판매대금을 정산받는 사용자 단말, 및 사용자 단말로부터 미술품을 등록받아 고유코드를 부여하고 미술품 등록 이벤트 내에 포함된 미술품의 정보 및 이미지를 매핑하여 등록하는 등록부, 미술품이 입고된 경우, 입고된 미술품을 검수한 검수결과 데이터를 저장하는 검수부, 고유코드와 미술품이 입고된 IoT 수장고 내의 식별코드를 매핑하여 저장하는 저장부, IoT 수장고로부터 실시간으로 전송되는 모니터링 데이터를 업로드되도록 스트리밍하는 공유부를 포함하는 미술품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IoT 수장고와 연동되는 블록체인 기반 미술품 중개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미술품을 보관할 때 보관환경을 제어 및 모니터링하여 실시간으로 공유할 수 있는 플랫폼을 제공한다.
현대 소비형태의 변화에 따라 거래되는 재화의 종류는 소유 위주의 매매계약 형태에서 공유 위주의 렌탈 리스 등의 공유경제 계약방식이 확산됨에 따라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다. 소비자는 더욱 합리적인 가격으로 원하는 서비스 재화 등을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을 얻었지만 미술품 창작물 등의 재화의 경우 소비자가 재화의 적절한 가치를 판단하기 어렵고 다양해진 계약 방식으로 인해 계약 자체의 전문성 및 신뢰성을 보장받기 힘들다는 문제점 또한 발생한다. 재화의 종류에 대한 전문성 있는 중개인이 적절한 가치 판단을 하고 계약 과정에 대하여 적절하게 중개한다면 판매자와 구매자 양측 모두 신뢰성 있는 계약을 체결할 수 있다. 현재 다양한 재화에 대한 접근성이 좋아진만큼 공유 플랫폼이 발전하는 경우 공유경제 시장이 지금보다 더 안정적으로 발전할 수 있다.
이때, 미술품을 중개하기 위한 방법이 연구 및 개발되었는데, 이와 관련하여, 선행기술인 한국공개특허 제2015-0106020호(2015년09월21일 공개)에는, 입력된 미술품 검색 조건에 따라 검색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미술품 영상을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하고, 미술품 영상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구매자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한 검색 조건을 이용해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된 미술품 영상을 구매자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다만, 미술품을 중개하기 위해서는 미술품을 작가로부터 인도받아 판매나 렌탈이 되기까지 임치하는 기간이 존재하는데, 유상쌍무계약의 특성에 따라 임치인은 수치인의 미술품을 선량한 관리자의 주의인 선관의무가 부여되며, 무상이더라도 상법상 선관주의의무가 부여된다. 이때, 한국은 여름에는 고온다습, 겨울에는 삼한사온의 기후의 특성상 온도와 습도의 변화가 극명하고, 사계절 내내 미술품을 보관하는데 있어 위험요소가 존재하고 있기 때문에, 미술품의 훼손은 이미 예정되어 분쟁이 발생할 수 있다. 또, 침체된 미술시장을 활성화시키는 것이 현재 한국 미술시장의 시대적 과업이라는 것을 고려하면, 미술품 거래가 활발해질 수 있도록 유명작가가 아니더라도 신진작가나 소외된 작가의 시장진입기회를 줄 수 있으면서도, 미술품 훼손에 대한 리스크가 없는 중개 플랫폼의 연구 및 개발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IoT 수장고를 통하여 수장환경을 실시간으로 제어 및 기록하고, 수장환경을 각 미술품별로 히스토리 로그로 블록체인 내에 분산저장함으로써 데이터의 무결성을 보장함과 동시에 위조가능성을 제로화하여 분쟁의 소지를 없애고, 작가인 사용자 또한 실시간으로 임치한 미술품에 대한 실시간 모니터링이 가능하여 작품관리를 투명하게 공유받을 수 있으며, 미술품에 태그를 태깅하여 이미지 분류를 수행함으로써 고객으로부터 검색어가 입력되는 경우, 검색어에 대응하는 미술품을 리스트업할 수 있고, 고객의 검색어로 추정된 고객 취향이나 설치장소의 특성에 대응하는 미술품을 추천할 수 있으며, 렌탈 기간 내에도 IoT 액자를 통하여 보관 상태를 모니터링하거나 액자 내 보관환경을 제어함으로써 미술품의 훼손이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IoT 수장고와 연동되는 블록체인 기반 미술품 중개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미술품의 정보 및 이미지를 포함하는 미술품 등록 이벤트를 출력하고, 미술품이 등록된 경우 원격에서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데이터를 공유받아 디스플레이하며, 미술품이 렌탈 또는 판매된 경우 기 설정된 판매대금을 정산받는 사용자 단말, 및 사용자 단말로부터 미술품을 등록받아 고유코드를 부여하고 미술품 등록 이벤트 내에 포함된 미술품의 정보 및 이미지를 매핑하여 등록하는 등록부, 미술품이 입고된 경우, 입고된 미술품을 검수한 검수결과 데이터를 저장하는 검수부, 고유코드와 미술품이 입고된 IoT 수장고 내의 식별코드를 매핑하여 저장하는 저장부, IoT 수장고로부터 실시간으로 전송되는 모니터링 데이터를 업로드되도록 스트리밍하는 공유부를 포함하는 미술품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를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IoT 수장고를 통하여 수장환경을 실시간으로 제어 및 기록하고, 수장환경을 각 미술품별로 히스토리 로그로 블록체인 내에 분산저장함으로써 데이터의 무결성을 보장함과 동시에 위조가능성을 제로화하여 분쟁의 소지를 없애고, 작가인 사용자 또한 실시간으로 임치한 미술품에 대한 실시간 모니터링이 가능하여 작품관리를 투명하게 공유받을 수 있으며, 미술품에 태그를 태깅하여 이미지 분류를 수행함으로써 고객으로부터 검색어가 입력되는 경우, 검색어에 대응하는 미술품을 리스트업할 수 있고, 고객의 검색어로 추정된 고객 취향이나 설치장소의 특성에 대응하는 미술품을 추천할 수 있으며, 렌탈 기간 내에도 IoT 액자를 통하여 보관 상태를 모니터링하거나 액자 내 보관환경을 제어함으로써 미술품의 훼손이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 수장고와 연동되는 블록체인 기반 미술품 중개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시스템에 포함된 미술품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 수장고와 연동되는 블록체인 기반 미술품 중개 서비스가 구현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IoT 수장고와 연동되는 블록체인 기반 미술품 중개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포함된 각 구성들 상호 간에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 수장고와 연동되는 블록체인 기반 미술품 중개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 2는 도 1의 시스템에 포함된 미술품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 수장고와 연동되는 블록체인 기반 미술품 중개 서비스가 구현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IoT 수장고와 연동되는 블록체인 기반 미술품 중개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포함된 각 구성들 상호 간에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 수장고와 연동되는 블록체인 기반 미술품 중개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의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하는) 단계" 또는 "~의 단계"는 "~ 를 위한 단계"를 의미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부(部)'란,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unit),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 양방을 이용하여 실현되는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1개의 유닛이 2개 이상의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실현되어도 되고, 2개 이상의 유닛이 1개의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해당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와 연결된 서버에서 대신 수행될 수도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서버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도 해당 서버와 연결된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있어서, 단말과 매핑(Mapping) 또는 매칭(Matching)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단말의 식별 정보(Identifying Data)인 단말기의 고유번호나 개인의 식별정보를 매핑 또는 매칭한다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 수장고와 연동되는 블록체인 기반 미술품 중개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IoT 수장고와 연동되는 블록체인 기반 미술품 중개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은,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미술품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300), 적어도 하나의 고객 단말(400), 및 적어도 하나의 IoT 수장고(50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도 1의 IoT 수장고와 연동되는 블록체인 기반 미술품 중개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도 1을 통하여 본 발명이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도 1의 각 구성요소들은 일반적으로 네트워크(network, 200)를 통해 연결된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미술품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300)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미술품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적어도 하나의 고객 단말(400), 적어도 하나의 IoT 수장고(500)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고객 단말(4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미술품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300)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IoT 수장고(500)는,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미술품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300) 및 적어도 하나의 고객 단말(400)과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네트워크는, 복수의 단말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네트워크의 일 예에는 RF,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LTE(Long Term Evolution) 네트워크, 5GPP(5th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네트워크,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블루투스(Bluetooth) 네트워크, NFC 네트워크, 위성 방송 네트워크, 아날로그 방송 네트워크,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네트워크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하기에서, 적어도 하나의 라는 용어는 단수 및 복수를 포함하는 용어로 정의되고, 적어도 하나의 라는 용어가 존재하지 않더라도 각 구성요소가 단수 또는 복수로 존재할 수 있고, 단수 또는 복수를 의미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또한, 각 구성요소가 단수 또는 복수로 구비되는 것은, 실시예에 따라 변경가능하다 할 것이다.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IoT 수장고와 연동되는 블록체인 기반 미술품 중개 서비스 관련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미술품의 렌탈 또는 판매를 의뢰하는 작가나 소장자의 단말일 수 있다.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미술품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 미술품의 관리상태를 모니터링하고, 실시간 촬영 영상을 스트리밍받는 단말일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판매 또는 렌탈되는 경우, 기 설정된 판매계약이나 저작권 계약에 따른 금액을 정산받는 단말일 수 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네비게이션,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미술품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IoT 수장고와 연동되는 블록체인 기반 미술품 중개 서비스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서버일 수 있다. 그리고, 미술품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미술품의 정보 및 이미지를 등록받는 서버일 수 있다. 또한, 미술품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미술품이 입고되는 경우 고유코드를 발급하여 부여하고, 자체검수를 통하여 생성된 데이터를 매핑하여 저장하는 서버일 수 있다. 그리고, 미술품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IoT 수장고(500)의 어느 한 영역에 미술품을 수장하는 경우, 어느 한 영역에 기 부여된 식별코드와 고유코드를 매핑하여 저장하는 서버일 수 있다. 또한, 미술품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IoT 수장고(500)를 제어함으로써 미술품이 수장되는 환경을 제어하고, 이를 실시간으로 사용자 단말(100)로 공유하는 서버일 수 있다. 그리고, 미술품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고객 단말(400)의 엑세스가 존재하는 경우, 고객이 검색한 검색어를 기반으로 고객의 취향을 예측하며, 고객의 취향과 유사한 태그를 가지는 미술품을 리스트업하여 고객 단말(400)로 추천하는 서버일 수 있다. 또한, 미술품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렌탈이 요청되는 경우, IoT 액자(미도시)의 환경을 제어하거나 모니터링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하는 서버일 수 있다. 그리고, 미술품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블록체인을 이루는 적어도 하나의 노드에 미술품의 정보와 수장 히스토리 로그를 분산저장함으로써 무결성을 제공하는 서버일 수 있다. 또한, 미술품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챗봇 서비스를 통하여 고객상담이나 미술품 추천 또는 렌탈 프로세스를 진행하는 서버일 수 있다. 그리고, 미술품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웹크롤링을 통하여 작가와 미술품을 수집하여 인재풀(Pool)을 구축하는 서버일 수 있고, 수집된 미술품을 분류 및 분석하여 태그를 태깅하는 서버일 수 있다.
여기서, 미술품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고객 단말(400)은, IoT 수장고와 연동되는 블록체인 기반 미술품 중개 서비스 관련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는 고객의 단말일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고객 단말(400)은, 미술품을 구매 또는 렌탈을 요청할 수 있고, 결제나 정기결제를 수행하는 단말일 수 있다.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고객 단말(400)은, 미술품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부터 미술품을 추천받거나 렌탈한 미술품의 교체시기를 알림받을 수 있는 단말일 수 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고객 단말(400)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고객 단말(400)은,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고객 단말(400)은,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네비게이션,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IoT 수장고(500)는, IoT 수장고와 연동되는 블록체인 기반 미술품 중개 서비스 관련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온도, 습도, 조도, 공기의 질을 제어하는 장치일 수 있다.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IoT 수장고(500)는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 적어도 하나의 식별코드를 부여받고, 미술품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부터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구동되고, 그 결과를 미술품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 피드백하는 장치일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IoT 수장고(500)는, 카메라로 촬영된 영상 데이터를 미술품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 실시간으로 전송하는 장치일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IoT 수장고(500)는 적어도 하나의 영역별로 제어가 가능한 장치일 수 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IoT 수장고(500)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IoT 수장고(500)는,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IoT 수장고(500)는,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네비게이션,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시스템에 포함된 미술품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 수장고와 연동되는 블록체인 기반 미술품 중개 서비스가 구현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미술품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등록부(310), 검수부(320), 저장부(330), 공유부(340), 연동부(350), 로그부(360), 제어부(370), 및 추천부(38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술품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300)나 연동되어 동작하는 다른 서버(미도시)가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적어도 하나의 고객 단말(400), 및 적어도 하나의 IoT 수장고(500)로 IoT 수장고와 연동되는 블록체인 기반 미술품 중개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앱 페이지, 웹 페이지 등을 전송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적어도 하나의 고객 단말(400), 및 적어도 하나의 IoT 수장고(500)는, IoT 수장고와 연동되는 블록체인 기반 미술품 중개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앱 페이지, 웹 페이지 등을 설치하거나 열 수 있다. 또한, 웹 브라우저에서 실행되는 스크립트를 이용하여 서비스 프로그램이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적어도 하나의 고객 단말(400), 및 적어도 하나의 IoT 수장고(500)에서 구동될 수도 있다. 여기서, 웹 브라우저는 웹(WWW: world wide web)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하는 프로그램으로 HTML(hyper text mark-up language)로 서술된 하이퍼 텍스트를 받아서 보여주는 프로그램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넷스케이프(Netscape), 익스플로러(Explorer), 크롬(chrome) 등을 포함한다. 또한, 애플리케이션은 단말 상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모바일 단말(스마트폰)에서 실행되는 앱(app)을 포함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등록부(31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미술품을 등록받아 고유코드를 부여하고 미술품 등록 이벤트 내에 포함된 미술품의 정보 및 이미지를 매핑하여 등록할 수 있다. 이때, 등록부(310)는, 사용자 단말(100)에서 작가의 정보, 작품의 종류, 작품의 크기, 희망 가격 등을 입력받을 수 있는데, QR 코드와 같은 고유코드가 부여된 후부터는 고유코드만을 스캔 또는 리딩하는 방법으로 등록받을 수 있다. 여기서, 등록부(310)는, 사용자 단말(100)의 사용자가 소장자인 경우, 구매가격, 구매시기 등을 더 제공받을 수 있다.
검수부(320)는, 미술품이 입고된 경우, 입고된 미술품을 검수한 검수결과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임치가 성립하기 위해서는, 임치인은 물건의 보관을 위탁하고, 수치인은 이를 승낙해야 하는데, 선관주의를 증명하기 위해서는 최초에 입고된 상태를 잘 기록하고 파악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여기서, 회화는 캔버스에 그려진 물감의 성분을 분석하려고 떼내는 순간 훼손이 된다. 이에, 방사선이나 X선과 같은 다양한 기술이 존재하고는 있으나, 이는 장비가 요구되기 때문에 국가기관이나 대기업에만 존재할 뿐, 개인이나 중소기업은 현실적으로 마련한 경우가 드물다.
이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인공지능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이미지의 픽셀단위의 RGB 값을 저장할 수 있다. 우선, 픽셀의 RGB 값, 즉 노드는 일렬로 정렬되고, 정렬된 숫자로부터 패턴을 찾아내기 위하여 커널이 이용될 수 있다. 여기서, RGB 값은, 원본이미지에 표현된 색을 빨강(red), 초록(green), 파랑(blue) 세 종류의 광원의 각각의 값을 16진수로 표현하는데, 여기서, 노드값을 일렬로 정렬하여 입력층(input layer)을 형성한다. 흑백이미지의 경우 1개의 채널이 입력층을 형성하지만 컬러 이미지의 경우 RGB 마다 각각의 채널로 분리되어 입력층을 형성할 수 있으며, 패턴을 찾아내는 과정은 은닉층(hidden layer)에서 진행될 수 있다. 이때, 숫자 그리드인 커널은 노드를 차례로 이동하면서 커널의 숫자와 노드 값의 곱한 값의 합인 합성곱을 도출한다. 이러한 과정을 반복하면서 노드수를 축소한 특성맵(feature map)을 생성할 수 있고, 이후 활성화 함수(activation function)를 적용하면 특징값이 도출되는데, 도출된 특징값을 저장하는 경우 이후 작품이 유통되거나 렌탈된 경우라도 위작이 오는 경우를 막을 수 있다. 이때, 인공지능 알고리즘의 종류가 많지만, CNN(Convolutional neural network)을 이용할 수 있다. CNN은, CNN은 컨볼루션 층을 이용한 네트워크 구조로 이미지 처리에 적합하며, 이미지 데이터를 입력으로 하여 이미지 내의 특징을 기반으로 이미지를 분류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때, 각 픽셀의 값만을 저장하는 경우, 촬영한 환경이나 카메라가 달라지는 경우, 또는 방향이나 촬영위치나 각도가 달라지는 경우에 동일작품이라도 다른작품으로 판단할 수 있으므로, 동일한 작가의 붓질 데이터를 학습시킬 수 있다. 이는, 필적을 감정하는 원리와 유사한데, 동일한 작가의 붓질 데이터를 RNN(recurrent neural network)을 이용하는 경우, 시계열적인 변화를 반영하기 때문에 작가의 붓질 데이터가 변경되었다고 할지라도 서로 다른 작품이라고 판단하지 않는다. 이때, 회화에서 붓질은, 스트로크(Stroke)로 표현되는데, 이러한 스트로크를 데이터화하면 스트로크 프로파일(Stroke profile)을 생성할 수 있다. 다만, 스트로크 프로파일을 생성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작품에 대한 데이터를 일단 보유해야 하는데, 데이터베이스를 확장시키기 위해 회전이나 사이즈 조절과 같은 이미지 변환을 이용한다고 할지라도, 근본적인 문제는 여전히 해결되지 못한다. 따라서, 기존의 스트로크의 질감과 특성을 보존하면서 새로운 모양의 스트로크를 생성하여 스트로크 프로파일의 정확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한다.
스트로크는 중심을 기준으로 위, 아래 두 가지의 커브방향을 가지며 원하는 방향으로 꺾으려면 스트로크의 시작점(srtPoint)과 종료점(endPoint)을 알아야 하므로 스트로크 전체를 포함하는 바운딩 박스(Bounding Box)를 생성한다. 그 다음에, 수평축으로 분할한 후 붓질이 시작하는 부분의 박스(Start Box)와 끝나는 부분의 박스(End Box)를 생성할 수 있다. 붓질을 할 때에는, 붓을 누르면서 그리고 떼면서 완성하므로 시작 부분이 끝나는 부분보다 히스토그램 값이 높일 수 있다. 또, 커브 가중치는 사람이 직접 그린 것과 최대한 유사하게 설정하기 위하여 인체해부학적으로 가능한 범위로 설정할 수 있다. 이를 이용하는 경우, 원호의 내각이 커브 가중치이며 스트로크의 중심점이 와핑 시 출발점이다. 목표점은 원호의 중점으로부터 출발점의 방향으로 직선을 그렸을 시 원호와 만나는 점들이다. 이렇게 커브 가중치를 주는 경우 다양한 종류의 데이터베이스를 얻을 수 있고, 학습을 위한 학습 데이터 셋을 풍부하게 얻을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모델링된 프로파일로 분류할 질의에 대해서도 높은 정확도를 가진 출력을 낼 수 있다.
저장부(330)는, 고유코드와 미술품이 입고된 IoT 수장고(500) 내의 식별코드를 매핑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저장부(330)는 각 영역별로 또는 구획된 공간별로 식별코드와 그 좌표를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좌표를 저장하는 이유는, 이하의 IoT 수장고(500)에서 각 위치별로 달라지는 온도와 습도 등을 파악하여 각 미술품별로 로그를 관리해야 하는데, 공조 시스템의 경우 대부분 개별냉난방이나 개별제어가 아니라 중앙냉난방이나 중앙제어이기 때문이다. 물론, 개별적으로 공조 시스템이 설치된 경우에는 배제될 수도 있다. 이때, 각 좌표별로 메쉬형태로 노드마다 IoT 센서(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으며, IoT 센서도 각 좌표값을 저장하고 있어 식별코드와 연동될 수 있다. 이렇게 미술품이 입고된 위치를 식별코드를 이용하여 좌표마다 관리하는 경우, 해당 위치의 환경을 그대로 로그로 저장할 수 있으므로 미술품의 로그기록의 정확성을 높일 수 있다.
공유부(340)는, IoT 수장고(500)로부터 실시간으로 전송되는 모니터링 데이터를 업로드되도록 스트리밍할 수 있다. 이때, IoT 수장고(500)는, 적어도 하나의 감지 센서를 포함하고, 감지 센서로 감지된 값을 이용하여 공조, 환기, 라이트닝 등을 제어해야 한다. 이에 더하여, 생물학적 열화요인 중 대표적인 곰팡이가 공기중에 부유하는 경우를 감지해야 하며, 이를 위한 단순 온도나 습도를 제어하는 공조 뿐만 아니라, 공기 클리닝이 더 추가되어야 한다. 또, 폐쇄된 수장고는 좀처럼 건조하지 않기 때문에 수분 방출이 지속될 수 있고, 수분 방출 뿐만 아니라 Ca 또는 Mg 이온이나 그 수산화물이 방출되기 때문에 높은 알칼리성을 띄게 되어 보존환경에 악영향을 미친다.
이에 따라, 기본적인 온도와 습도 제어를 수행할 때, IoT 수장고(500)는, 수장고의 출입문이 자주 개폐되는 경우를 대비하여 내외기 차이를 최소화하고, 교차오염(Cross contamination)을 방지하도록 출입문의 문과 문틀 부위에 기밀성 가스켓을 설치하여 평상시에 외부의 열기, 습기, 오염인자가 내부로 침입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만, 24/7 운전에 따른 에너지 비용을 고려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배기열을 회수함으로써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도록 한다. 냉방시 히트펌프에서 배기열을 회수하는 방법을 예를 들면, 압축기로부터 생성된 고온 고압의 냉매 가스는 유분리기 및 밸브를 차례로 거쳐 공조기 부분으로 이동하는데, 배기팬 유닛에 설치되어지는 배기열 회수 코일과 공조기 재열코일 및 실외기 코일에서 냉매를 응축시키고, 수액기를 통과한 냉매는 냉각코일로 들어가기 전 팽창밸브를 통해 팽창을 하고 냉각코일에서 증발하며, 냉매는 수분리기를 거처 압축기 내부로 흡입되어 순환되는 과정을 거친다. 반대로 난방시에는 히트펌프에서 공조기까지는 동일하나, 그 이후는 냉방의 경우와 반대의 방향으로 진행하는데, 공조기 이전의 밸브에서 토출된 고온고압의 냉매가스는 난방 코일에서 응축을 하여 열을 발산하며, 냉매는 배기팬 유닛에 설치되어지는 배기열 회수 코일에서 증발하는 순서로 압축기로 다시 흡입되어 순환이 계속적으로 반복될 수 있다. 상술한 방법을 이용하는 경우 교차오염을 방지하면서도 배기열을 재이용함으로써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다.
연동부(350)는, IoT 수장고(500)의 적어도 하나의 위치에 대응하는 식별코드를 등록하고, IoT 수장고(500)와 연동되도록 통신채널을 생성하며, 미술품의 종류에 대응하도록 온도, 습도, 조도, 및 광파장을 포함하는 조절 파라미터에 대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할 수 있다. 이때, IoT 통신프로토콜은 IETF 표준화 기구에서 다양하게 개발하고 있는데, 특히, 자원 제약적 디바이스로 구성된 저전력 손실 네트워크를 로컬 사물인터넷 환경으로 가정하고 자원-제약적 디바이스(Constrained Node)에 인터넷 연결성 제공을 위한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 이때, IETF에서는 자원-제약적 노드로 구성된 Low power and Lossy Network (LLN)을 사물인터넷 접속 네트워크 환경으로 인식하고 접속 네트워크 관련 사물인터넷 표준기술을 중점적으로 개발하고 있는데, 이는 사물인터넷 환경 구축에 필요한 기술을 코어 네트워킹 기술보다 접속 네트워킹 기술에 초점을 맞추고 있음을 위미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연동부(350)는 인프라 (Infrastructure) 기반 네트워크로 구성된 접속 네트워크 환경에서 비-인프라(Infrastructure-less) 기반 IoT 네트워크 구축을 위한 네트워킹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여기서, 연동부(350)는, 네트워크에 참여하는 노드들 스스로 효율적 데이터 전달을 수행할 수 있는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Self-Organization Networking(SON) 기법을 이용하여 코어 네트워킹을 구축하고, 이를 이용하여 메쉬형태로 배열된 노드와 통신채널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복수의 노드 중 제어노드를 설정하고, 설정된 제어노드는 그 주변의 노드를 그룹원으로 하는 그룹장의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 두 개의 도메인은 실제 노드가 위치한 정보를 기반으로 구성된 물리적 도메인과 제어노드로 구성된 제어 도메인으로 구분되는데, 제어 도메인은 네트워크 구성 시 필요한 정보를 서로 주고받을 때 사용되는 오버레이 네트워크 형태의 도메인이다. 특히, 제어노드는 자신이 속한 그룹을 대표하는 대표 노드로서 역할을 수행하기 때문에 그룹 내에 속한 노드와 제어 메시지를 제어노드에 대신 전달한다. 또한 인프라 기반 네트워크와 인터넷을 연결하는 게이트웨이를 제어노드와 연결하는 SON 코디네이터 역할을 수행하는 노드로 지정하고 비-인프라 기반 IoT 네트워크의 최상위 권한을 가진 노드로 지정한다. 따라서, SON 코디네이터는 비-인프라 기반 IoT 네트워크 내에 존재하는 모든 노드의 정보를 수집하고 관리하며 IoT 네트워크 구성 시 생성되는 링크 생성의 최종적 결정을 수행한다. 또한 비-인프라 기반 IoT 네트워크에서 이웃노드 탐색 과정인 Neighbor Discovery (ND) 기능을 수행하는 역할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도록 설정한다.
이렇게 대표가 선출되어 제어노드가 되면, 이웃노드를 탐색하여 그룹핑을 해야 한다. 이때, ND 수행 시 아웃노드 중 6LoWPAN Router(6LR) 노드를 선정하고 6LR 노드를 통해 6LoWPAN Border Routers(6LBR)로 Duplicate Address Request/Duplicate Address Confirmation(DAR /DAC) 메시지를 주고받아 ND 과정을 수행하는 IPv6 ND 기술을 이용할 수 있다. 더 나아가, 6LBR이 수행하던 게이트웨이까지 DAR 메세지를 전송하는 것 대신, 자신을 관리하는 제어노드까지 DAR/DAC 메시지를 주고받아 네트워크 내에 ND 과정에서 발생하는 제어 메시지 수를 줄이도록 설정될 수도 있다. 이렇게 네트워크가 형성되었으면, 노드 간 데이터 전달을 위해 경로 설정 및 탐색 과정이 필요한데, 이때, 계층 기반 경로 설정 및 탐색 방법을 이용하 할 수 있다. 계층 영역은 제어노드가 관리하는 영역이고, 경로탐색에 필요한 제어메시지는 제어노드로 구성된 제어 도메인 내에서만 전달된다. 따라서 물리 도메인에 있는 각 노드는 제어노드에 의해서 탐색된 경로를 통해 물리 도메인 내에 경로를 설정하고 데이터 전달이 이루어질 수 있다. 물론, 상술한 방법 이외에도 IoT 수장고(500)의 IoT 노드나 센서를 이용하여 인프라를 구축하는 다양한 방법이 이용가능함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로그부(360)는, 등록부에 등록된 미술품의 정보 및 이미지와, 검수결과 데이터, 및 IoT 수장고(500)의 모니터링 데이터를 미술품의 고유코드에 매핑하여 히스토리 로그로 관리할 수 있다. 이때, 모니터링 데이터는, 텍스트, 이미지, 및 동영상 중 적어도 하나 또는 적어도 하나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나, 나열된 것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열거되지 않은 이유로 배제되지 않는다. 이때, 로그는 이후 분쟁이 발생했을 때 선관주의를 입증할 수 있는 중요한 증빙자료로 이용될 수 있으므로, 조작의 가능성을 배제하기 위하여 블록체인을 이용할 수 있다. 여기서, 블록체인 기술은 분산 컴퓨팅 기술 기반의 데이터 위변조 방지 기술이다. 블록이라는 단위의 데이터에 사용자의 요청을 담은 트랜잭션을 저장하며 분산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노드들에 복제되고 체인 형태로 저장된다. 블록체인 기술은 임의의 길이를 가진 데이터를 고정된 길이의 데이터로 매핑하는 해시함수를 사용하는데, 해시 함수는 입력 값의 일부만 변경되어도 전혀 다른 결과값이 출력되고, 출력 값을 토대로 입력 값을 유추할 수 없다는 특징을 가진다. 해시 함수의 특징을 통해 무결성을 보장하며 기밀성 보장을 위해 공개키 개인키를 사용하는 비대칭 키 암호화 방식을 사용한다. 이를 통해 블록체인 기술은 트랜잭션을 검증하고 해시값을 비교하여 데이터의 위변조를 방지할 수 있다.
제어부(370)는, 미술품의 고유코드에 기 매핑되어 저장된 조절 파라미터를 미술품이 수장된 IoT의 식별코드에 대응하는 영역에서 반영되도록 제어명령신호를 IoT 수장고(500)로 전송하고, 제어명령신호에 대응하는 IoT 수장고(500)의 구동의 결과 데이터를 수집하여 피드백받아 PID(Proportional-Integral-Differential)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이때, 공조 시스템은 시스템 제어변수 변화에 따라 실내 부하변동 및 에너지 절감을 위하여 각각의 최적의 설정값을 선정하고 명령추종(Command Following) 특성을 가져야 한다. 예를 들어, 환경변수를 고려하여 외기온도에 따라 실내 공급온도 및 되돌림 공기 설정 값을 보상하는 제어 시스템을 제어한다고 가정하면, 외기 보상 제어시스템은 수학적 모델 오차와 불확실성(Uncertainty)가 존재하고 불확실성은 상대적으로 느리게 변화기 때문에 외부환경 변화에 제어성능이 뛰어난 제어알고리즘이 필요하다. 적응제어는 수학적 모델 오차와 불확실성이 존재하는 경우 제어기의 구조나 파라미터를 적절하게 변경하여 주어진 제어시스템의 제어성능을 향상할 수 있다. PID 제어는 제어출력을 입력으로 되돌려(Feedback) 출력을 외란의 영향을 받지 않고 설정 값에 추종하도록 하는 것이지만, 외부환경 변화가 큰 경우 제어대상의 특성이 변화하여 제어성능이 떨어진다. 따라서, PID 제어에, 적응제어 기능을 더 부가하는 경우, 외기변화에 따른 제어오차를 측정 및 이용하여 적절하게 파라미터를 변환할 수 있다. 난방시스템의 불확실성 및 외란의 영향으로 외기, 실내 부하 변화에도 명령추종 성능을 향상 시킬 수 있는 적응 PID 제어기를 적용하면 파라미터의 헌팅을 감소시키고 안전성을 높일 수 있다. 물론, 온도 뿐만 아니라, 습도, 오염물질제거, 조도 제어 등에도 적용가능함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추천부(380)는, 웹크롤링으로 적어도 하나의 작가 및 미술품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여 인재풀(Pool)을 생성하고, 미술품에 적어도 하나의 특징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태그를 태깅하며, 미술품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에서 발생한 검색 이벤트가 수집되면, 검색 이벤트와 기 설정된 유사도를 초과하는 적어도 하나의 태그를 추출하고, 추출된 태그가 태깅된 적어도 하나의 미술품을 추출하여 검색 이벤트를 발생시킨 단말로 리턴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고객 단말(400)은, 미술품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에서 제공하는 페이지에서 검색어를 입력하여 검색 이벤트를 발생시키고, 페이지에 리스트업된 적어도 하나의 미술품 중 어느 하나의 미술품을 선택하여 렌탈 또는 구매할 수 있다.
회화를 구성하는 요소들은 여러 가지가 있다. 회화는 색상, 질감 등과 같이 회화에서 직접적으로 뽑을 수 있는 물리적 특징과, 물리적 특징들의 조합으로 만들어지는 구도, 하모니와 대칭성 등의 고차원적 예술적 특징들로 이루어진다. 화가들은 물리적 특징들과 이들의 조합인 예술적 특징들을 이용하여 자신의 감정을 표현하는데, 이러한 특징을 데이터베이스화하고 각 미술품에 태그를 태깅하는 경우 이후 고객에게 어떠한 작품을 추천할지, 고객의 사무실에는 어떠한 그림이 어울릴지, 또 가을이나 겨울에는 어떠한 미술품이 어울릴지 또 어떠한 특징을 가지는 작가의 작품이 필요한지 등 수요 및 공급 파악을 통한 공급사슬관리까지 가능해진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특징을 나타내는 태그를 태깅하는 것 뿐만 아니라, 비전문가가 검색어를 잘못 입력하더라도 검색이 가능하도록, 감성 중심으로 태그를 태깅하도록 하며, 이를 위하여 Arousal-Valence 감성 모델을 이용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추천부(380)는, 회화에서 대표적인 특징이 될 수 있는 특징들을 정의하고, 이 특징들을 이용하여, 기계학습을 통해 회화에서 감성을 예측하는 모델을 모델링을 한 후, 사용자의 감성 단어를 질의로 입력하고, 예측된 Arousal-Valence 값을 이용하여 태그를 추출한 후, 해당 태그를 가진 미술품을 추천목록으로 리스트업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회화와 태그를 매핑하기 위해서는 회화와 태그를 하나의 감성좌표계위에 놓아야 하는데, 우선 회화로부터 특징 추출(Feature Extraction)해야 하고, 회화와 감성과 연관이 될 수 있는 특징들을 선별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특징들은 색상의 조합을 통한 테크닉, 선들의 집합인 구도, 대칭성 등 일 수 있다. 그 다음은 회귀분석(Regression)인데, 회화 분석에 사용되는 태그 데이터 셋을 수집하고, 수집된 데이터 셋과 특징 추출에서 추출된 특징값을 이용하여 회귀분석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태그와 특징이 연관관계를 가지게 되고, 감성 태그를 입력하는 경우 이에 매칭되는 그림을 고를 수 있게 된다. 이때, 감성 태그는 감성 형용사 등 이미 구축된 코퍼스를 이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우아한, 고상한, 은은한, 온화한, 모던한, 다이나믹한, 화려한 등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하, 상술한 도 2의 미술품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의 구성에 따른 동작 과정을 도 3을 예로 들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실시예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어느 하나일 뿐,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a) 미술품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미술품을 등록받고, 검수를 진행한 후 고유코드를 발급하여 데이터를 관리한다. 그리고, (b) IoT 수장고(500)에 수장한 경우, 미술품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식별코드를 함께 매핑하여 저장함으로써 해당 좌표의 환경정보를 모니터링하고 그 기록을 실시간으로 (c)와 같이 제공하며 동영상도 함께 스트리밍하여 실시간으로 자신의 작품을 확인하고 싶은 작가의 니즈를 충족시킬 수 있다. 가격의 고저를 떠나서 자신의 작품이나 소장품은 소중하기 마련인데, 만약 잘못 관리가 되어 훼손이 된다면, 손해배상은 2차적인 문제이고 자신이 공들여 작업한 작품에 훼손이 간다는 사실에 심리적 고통이 클 수 있다. 따라서, 실시간으로 자신의 작품이 잘 보관되고 있다는 사실을 사용자 단말(100)에서 언제든지 확인할 수 있는 경우, 안심하고 맡길 수 있으며 신뢰를 가지는 플랫폼이 구축되는 것은 물론 미술품의 중개 시장이 더욱 활성화될 수 있다.
(d) 한편, 미술품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고객으로부터 렌탈을 요청받은 경우, 취향을 분석하여 미술품을 추천을 하고, 렌탈이 된 경우 렌탈교체시기를 자동으로 체크하여 미술품을 리스트업한 후 다시 추천된 미술품을 고객 단말(400)로 보낼 수 있다. 이때, 렌탈된 미술품의 관리가 되지 않는 경우, 그 손해는 고스란히 중개 플랫폼에서 떠안아야 하기 때문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IoT 액자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때, IoT 액자는, IoT 수장고(500)의 축소판으로 액자의 테두리로 씰링이 되고, 그 내부에서 온도와 습도를 조절할 수 있으며, 그 데이터를 AP를 경유하여 미술품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 전송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렌탈이 된 작품이라고 할지라도 관리체계에서 벗어나는 일이 없도록 하고, 데이터의 무결성이 유지될 수 있다. 이때, AP는 고객사 또는 고객의 가정 내에 위치한 와이파이 등일 수 있고, 이에 따라 IoT 액자가 자체적으로 미술품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 전송을 하지 못하더라도 AP를 거쳐서 환경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도록 설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도 2 및 도 3의 IoT 수장고와 연동되는 블록체인 기반 미술품 중개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서 설명되지 아니한 사항은 앞서 도 1을 통해 IoT 수장고와 연동되는 블록체인 기반 미술품 중개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 가능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IoT 수장고와 연동되는 블록체인 기반 미술품 중개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포함된 각 구성들 상호 간에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도 4를 통해 각 구성들 상호간에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의 일 예를 설명할 것이나, 이와 같은 실시예로 본원이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며, 앞서 설명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도 4에 도시된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이 변경될 수 있음은 기술분야에 속하는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도 4를 참조하면, 미술품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미술품을 등록받고(S4100), IoT 수장고(500)를 등록하고 코어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연동을 하며 데이터를 모니터링한다(S4200). 이때, 미술품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미술품이 입고되어 검수 데이터가 관리자 등에 의해 입력되는 경우(S4300), 고유코드를 발급하고 IoT 수장고(500)의 식별코드와 매핑하여 저장한다(S4400).
그리고, 미술품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IoT 수장고(500)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면서(S4500), 사용자 단말(100)에서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고(S4600), 이 정보를 블록을 생성하여 분산저장한다(S4700). 한편, 미술품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고객 단말(400)에서 구매요청이 수신되는 경우(S4710), 구매 프로세스를 진행하고(S4730) 블록체인 마이닝을 통하여 트랜잭션을 기록한다(S4750). 또, 미술품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배송트래킹을 공유하고(S4800), 고객 단말(400)에서 수취확인을 하는 경우(S4810), 거래를 종료한다.
다른 실시예로, 미술품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고객 단말(400)에서 렌탈을 요청하는 경우(S4900), 렌탈 프로세스를 진행하고(S4920), IoT 액자를 모니터링하고(S4920) 히스토리를 저장하여(S4930) 원격에서도 관리가 되도록 한다. 또, 미술품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교체주기를 체크하여(S4940), 추천리스트를 고객 단말(400)로 전송함으로써 지속적으로 고객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S4960).
상술한 단계들(S4100~S4960)간의 순서는 예시일 뿐,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상술한 단계들(S4100~S4960)간의 순서는 상호 변동될 수 있으며, 이중 일부 단계들은 동시에 실행되거나 삭제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도 4의 IoT 수장고와 연동되는 블록체인 기반 미술품 중개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서 설명되지 아니한 사항은 앞서 도 1 내지 도 3을 통해 IoT 수장고와 연동되는 블록체인 기반 미술품 중개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 가능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 수장고와 연동되는 블록체인 기반 미술품 중개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미술품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미술품을 등록받아 고유코드를 부여하고 미술품 등록 이벤트 내에 포함된 미술품의 정보 및 이미지를 매핑하여 등록한다(S5100).
그리고, 미술품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는, 미술품이 입고된 경우, 입고된 미술품을 검수한 검수결과 데이터를 저장하고(S5200), 고유코드와 미술품이 입고된 IoT 수장고 내의 식별코드를 매핑하여 저장한다(S5300).
또한, 미술품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는, IoT 수장고로부터 실시간으로 전송되는 모니터링 데이터를 업로드되도록 스트리밍한다(S5400).
이와 같은 도 5의 IoT 수장고와 연동되는 블록체인 기반 미술품 중개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서 설명되지 아니한 사항은 앞서 도 1 내지 도 4를 통해 IoT 수장고와 연동되는 블록체인 기반 미술품 중개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 가능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5를 통해 설명된 일 실시예에 따른 IoT 수장고와 연동되는 블록체인 기반 미술품 중개 서비스 제공 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이나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 수장고와 연동되는 블록체인 기반 미술품 중개 서비스 제공 방법은,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이는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탑재된 플랫폼이나 운영체제 등에 포함된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음)에 의해 실행될 수 있고,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 스토어 서버, 애플리케이션 또는 해당 서비스와 관련된 웹 서버 등의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를 통해 마스터 단말기에 직접 설치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에 의해 실행될 수도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 수장고와 연동되는 블록체인 기반 미술품 중개 서비스 제공 방법은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설치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직접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으로 구현되고 단말기에 등의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7)
- 미술품의 정보 및 이미지를 포함하는 미술품 등록 이벤트를 출력하고, 미술품이 등록된 경우 원격에서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데이터를 공유받아 디스플레이하며, 상기 미술품이 렌탈 또는 판매된 경우 기 설정된 판매대금을 정산받는 사용자 단말; 및
사용자 단말로부터 미술품을 등록받아 고유코드를 부여하고 상기 미술품 등록 이벤트 내에 포함된 미술품의 정보 및 이미지를 매핑하여 등록하는 등록부, 상기 미술품이 입고된 경우, 상기 입고된 미술품을 검수한 검수결과 데이터를 저장하는 검수부, 상기 고유코드와 상기 미술품이 입고된 IoT 수장고 내의 식별코드를 매핑하여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IoT 수장고로부터 실시간으로 전송되는 모니터링 데이터를 업로드되도록 스트리밍하는 공유부를 포함하는 미술품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
를 포함하는 IoT 수장고와 연동되는 블록체인 기반 미술품 중개 서비스 제공 시스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미술품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IoT 수장고의 적어도 하나의 위치에 대응하는 식별코드를 등록하고, 상기 IoT 수장고와 연동되도록 통신채널을 생성하며, 미술품의 종류에 대응하도록 온도, 습도, 조도, 및 광파장을 포함하는 조절 파라미터에 대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연동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수장고와 연동되는 블록체인 기반 미술품 중개 서비스 제공 시스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미술품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등록부에 등록된 미술품의 정보 및 이미지와, 상기 검수결과 데이터, 및 상기 IoT 수장고의 모니터링 데이터를 상기 미술품의 고유코드에 매핑하여 히스토리 로그로 관리하는 로그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모니터링 데이터는, 텍스트, 이미지, 및 동영상 중 적어도 하나 또는 적어도 하나의 조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수장고와 연동되는 블록체인 기반 미술품 중개 서비스 제공 시스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미술품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미술품의 고유코드에 기 매핑되어 저장된 조절 파라미터를 상기 미술품이 수장된 IoT의 식별코드에 대응하는 영역에서 반영되도록 제어명령신호를 상기 IoT 수장고로 전송하고, 상기 제어명령신호에 대응하는 IoT 수장고의 구동의 결과 데이터를 수집하여 피드백받아 PID(Proportional-Integral-Differential) 제어를 수행하는 제어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수장고와 연동되는 블록체인 기반 미술품 중개 서비스 제공 시스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IoT 수장고와 연동되는 블록체인 기반 미술품 중개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상기 미술품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에서 제공하는 페이지에서 검색어를 입력하여 검색 이벤트를 발생시키고, 상기 페이지에 리스트업된 적어도 하나의 미술품 중 어느 하나의 미술품을 선택하여 렌탈 또는 구매하는 고객 단말;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수장고와 연동되는 블록체인 기반 미술품 중개 서비스 제공 시스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미술품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는,
웹크롤링으로 적어도 하나의 작가 및 미술품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여 인재풀(Pool)을 생성하고, 상기 미술품에 적어도 하나의 특징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태그를 태깅하며, 상기 미술품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에서 발생한 검색 이벤트가 수집되면, 상기 검색 이벤트와 기 설정된 유사도를 초과하는 적어도 하나의 태그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태그가 태깅된 적어도 하나의 미술품을 추출하여 검색 이벤트를 발생시킨 단말로 리턴시키는 추천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수장고와 연동되는 블록체인 기반 미술품 중개 서비스 제공 시스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미술품 중개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미술품이 등록되는 경우, 상기 미술품에 대한 정보를 블록체인을 이루는 적어도 하나의 노드에 블록을 마이닝(Mining)하여 생성하고 분산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수장고와 연동되는 블록체인 기반 미술품 중개 서비스 제공 시스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58140A KR102363044B1 (ko) | 2019-12-02 | 2019-12-02 | IoT 수장고와 연동되는 블록체인 기반 미술품 중개 서비스 제공 시스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58140A KR102363044B1 (ko) | 2019-12-02 | 2019-12-02 | IoT 수장고와 연동되는 블록체인 기반 미술품 중개 서비스 제공 시스템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68752A true KR20210068752A (ko) | 2021-06-10 |
KR102363044B1 KR102363044B1 (ko) | 2022-02-15 |
Family
ID=763780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158140A KR102363044B1 (ko) | 2019-12-02 | 2019-12-02 | IoT 수장고와 연동되는 블록체인 기반 미술품 중개 서비스 제공 시스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363044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618787B1 (ko) * | 2022-11-15 | 2023-12-29 | 주식회사 지아소프트 | Nft 미술작품을 이용한 구독 서비스 제공 시스템 |
KR102691101B1 (ko) * | 2022-06-09 | 2024-08-05 | (주)라드피온 | 민간 문화재의 보존과 유통을 위한 사이버 수장고 시스템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434834B1 (ko) * | 2022-04-14 | 2022-08-22 | (주)엠나인파이브 | Nft 스마트 계약 시스템 |
KR102434838B1 (ko) * | 2022-04-14 | 2022-08-22 | (주)엠나인파이브 | 하이브리드 nft 마켓 시스템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0078976A (ko) * | 2002-03-22 | 2003-10-10 | 김상균 | 미술품 데이터베이스 구축을 통한 미술품 관리 방법 |
KR102039351B1 (ko) * | 2018-02-22 | 2019-11-01 | (주)티비스톰 | 블록체인을 통한 상품의 유통 및 유통이력 조회 관리 플랫폼 |
KR20190123926A (ko) * | 2018-04-25 | 2019-11-04 | 박선민 | 식품 모니터링 방법 및 식품 이력 정보 위변조 방지 방법 |
-
2019
- 2019-12-02 KR KR1020190158140A patent/KR102363044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0078976A (ko) * | 2002-03-22 | 2003-10-10 | 김상균 | 미술품 데이터베이스 구축을 통한 미술품 관리 방법 |
KR102039351B1 (ko) * | 2018-02-22 | 2019-11-01 | (주)티비스톰 | 블록체인을 통한 상품의 유통 및 유통이력 조회 관리 플랫폼 |
KR20190123926A (ko) * | 2018-04-25 | 2019-11-04 | 박선민 | 식품 모니터링 방법 및 식품 이력 정보 위변조 방지 방법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691101B1 (ko) * | 2022-06-09 | 2024-08-05 | (주)라드피온 | 민간 문화재의 보존과 유통을 위한 사이버 수장고 시스템 |
KR102618787B1 (ko) * | 2022-11-15 | 2023-12-29 | 주식회사 지아소프트 | Nft 미술작품을 이용한 구독 서비스 제공 시스템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363044B1 (ko) | 2022-02-1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363044B1 (ko) | IoT 수장고와 연동되는 블록체인 기반 미술품 중개 서비스 제공 시스템 | |
Jamil et al. | Optimal smart contract for autonomous greenhouse environment based on IoT blockchain network in agriculture | |
Buhalis et al. | Smart hospitality—Interconnectivity and interoperability towards an ecosystem | |
US20240185592A1 (en) | Privacy-preserving distributed visual data processing | |
US11768004B2 (en) | HVAC device registration in a distributed building management system | |
Starosta | Global commodity chains and the Marxian law of value | |
EP3750115B1 (en) | Machine learning on a blockchain | |
WO2020211431A1 (zh) | 应用于园区的资源信息处理管理系统 | |
KR102579517B1 (ko) | Nft 연계 현물상품 판매 서비스 제공 시스템 | |
WO2020211425A1 (zh) | 基于ai的园区企业信息处理方法、系统、装置和介质 | |
KR102295660B1 (ko) | 1 인 가구를 위한 IoT 기기 공유 서비스 제공 시스템 | |
Woo et al. | An overview of state-of-the-art technologies for data-driven construction | |
Sandberg et al. | Delineating interorganizational dynamic capabilities: A literature review and a conceptual framework | |
CN106485342A (zh) | 使企业营运与设施能量使用相互关联的分析引擎 | |
Alhamed et al. | Building construction based on video surveillance and deep reinforcement learning using smart grid power system | |
Muzi et al. | Digital information management in the built environment: data-driven approaches for building process optimization | |
US20190080415A1 (en) |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identifying hazardous conditions and predicting policy transaction behavior | |
Yu et al. | How Digital Twin Technology Promotes the Development of Smart Cities: Case Studies in China | |
KR20210149983A (ko) | 개인살림 풀패키지 렌탈 서비스 제공 시스템 | |
Palviainen et al. | Data marketplace research: A review of the state-of-the-art with a focus on smart cities and on edge data exchange and trade | |
Song et al. | Agricultural Internet of Things Application in the Construction of Regional Smart Cities. | |
Hasler et al. | Understanding digital platforms in B2B: Literature review and case studies | |
Meško et al. | The impact of the Internet of Things to value added in knowledge-intensive organizations | |
Cortés-Polo et al. | A novel methodology based on orthogonal projections for a mobile network data set analysis | |
Li et al. | Enterprise precision marketing effectiveness model based on data mining technology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