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67962A - 포토니아 듀얼 기기 - Google Patents

포토니아 듀얼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67962A
KR20210067962A KR1020200164328A KR20200164328A KR20210067962A KR 20210067962 A KR20210067962 A KR 20210067962A KR 1020200164328 A KR1020200164328 A KR 1020200164328A KR 20200164328 A KR20200164328 A KR 20200164328A KR 20210067962 A KR20210067962 A KR 202100679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otonia
light emitting
emitting region
dual device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43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미정
Original Assignee
(주)바이오라이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바이오라이트 filed Critical (주)바이오라이트
Publication of KR202100679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7962A/ko
Priority to KR10202301470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5334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5/0613Apparatus adapted for a specific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9/00Other apparatus for animal husbandry
    • A01K29/005Monitoring or measuring activity, e.g. detecting heat or ma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DVETERINARY INSTRUMENTS, IMPLEMENTS, TOOLS, OR METHODS
    • A61D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26Monitoring, verifying, controlling systems and metho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35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body area to be irradiated
    • A61N2005/0642Irradiating part of the body at a certain distan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58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used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Path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physic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Housing For Livestock And Birds (AREA)

Abstract

포토니아 듀얼 기기가 개시된다. 본 발명은, 가시광선대역의 광을 변조하여 극미약광과 백색광의 형태로 생명체에 전달하는 포토니아 듀얼 기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생명체, 예컨대 돼지의 생체 에너지를 향상시킴으로서 면역, 번식, 대사 효율에 기여할 수 있다.

Description

포토니아 듀얼 기기{Photonia dual device}
본 발명은 포토니아 듀얼 기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가시광선대역의 광을 변조하여 극미약광과 백색광의 형태로 생명체에 전달하는 기기에 관한 것이다.
극미약광은 생명체에 유용한 광의 일종으로, 상기 생명체에 유용한 광이란 생명체에 입사되어 생체대사의 활성화, 면역력의 증진, 세포 발육의 증강 등과 같이 생명체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광을 의미한다. 상기 극미약광은 다색성 (polychromatic), 동조성 (coherence), 가시광선 영역 (visible range), 편광성 (polarized) 등과 같은 특징을 가지고 있다.
살아 있는 생명체에서 발생하는 극미약광은 세기가 매우 약하여 Ultra weak photon emission 또는 Biophton emission (생체광자)이라 한다. 생체광자의 발생 현상은 생명체의 정상적인 대사 과정에서 발생하는 반응 산소 종(reactive oxygen species, ROS)과 관련이 있다. 이러한 반응 산소 종은 산소의 정상적인 신진 대사의 자연 부산물로 형성되며, 세포 신호 전달과 항상성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극미약광 (Ultra weak photon, 極微弱光)이란, 가시광선 영역 (Visible Light spectrum)대의 다중 파장 (Polychromatic)을 지니며 그 세기가 일반 형광등 밝기의 1/500,000에 해당할 정도로 약한 빛을 의미한다.
극미약광은 생물학적발광 (Bioluminescence)에 비하여 최소 1,000배 약하므로 효율과 안전성이 탁월하다. 극미약광이 생물체에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의 가능성은 1930년대 구소련의 Gurvich에 의해 처음으로 제기되었으며, 이후 독일의 광생물물리학자 Popp는 세포들간의 정보교환이 극미약광을 통하여 이루어진다는 실험적 결과를 발표하였다. 이러한 배경을 바탕으로 극미약광을 생명체에 조사하여 다년간 연구한 결과 그 안전성과 유용성이 확인되었다.
한편, 암컷에서는 발정주기를 반복하게되고 배란, 수정, 착상, 임신 및 분만 등의 생리작용을 수행하게 하여 새끼를 생산하는데, 이와 같은 번식능력이 일시 또는 지속적으로 장해를 받는 상태를 암컷의 번식 장해라고 한다.
특히, 국내 양돈산업은 최근 10년간 규모화는 성공했지만 생산성은 여전히 제자리걸음을 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통계청의 가축동향조사에 따르면 2016년 기준 전국 돼지 사육마릿수는 1036만 6779마리로, 2007년 960만 5831마리보다 8% 증가한 반면, 농가수는 2007년 9832가구에서 2016년 4547가구로 절반 가까이 감소하여 규모화가 크게 진전되었음을 알 수 있다. 반면, 돼지 생산성 지표인 MSY (Marketed per Sow per Year, 암컷 포유류두당연간출하두수)는 2007년 17.8마리에서 2016년 18마리로 0.2마리 증가하는데 그쳐 정체된 생산 양상을 보이며, 이는 대표적 양돈강국인 덴마크 (MSY 29.2마리) 또는 네덜란드 (MSY 28.1마리)와 비교하면 크게 뒤쳐지는 수치이다. 이와 같이 우리나라의 MSY가 양돈강국보다 낮은 주요 원인은 낮은 산자수 (76%), 높은 이유 후 폐사율 (16.9) 및 낮은 모돈회전율 때문으로 분석되고 있다.
따라서, 선진국들과 경쟁하기 위해서는 가축의 생산성 향상이 절대적인 과제인바, 이를 위해 세계 수준의 생산성을 실현할 수 있는 암컷 포유류의 번식능력 개선 방법의 개발 및 이를 반영한 사육환경 개선 필요성이 대두된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친환경적이며 안전한 암컷 포유류의 번식능력 개선을 연구하던 중, 극미약광을 이용하여 새끼수가 증가하고, 새끼의 사산율이 감소하며, 특히, 미이라가 감소하고, 건강한 새끼가 생산됨에 따라, 암컷 포유류의 포유능력이 향상됨을 확인하였다. 또한, 새끼의 강건성이 증가함에 따라 이유 (離乳)기간까지 폐사율이 저감됨을 확인하였다.
이에 따라, 면역력과 항노화·항산화 능력을 키워 양돈 농가의 생산성을 높일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0968142호(2010.07.06. 공고)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가시광선대역의 광을 변조하여 극미약광과 백색광의 형태로 생명체에 전달하는 포토니아 듀얼 기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축종에 광선을 조사하여 축종의 생체 에너지를 향상시켜 면역, 번식, 생체 대사 효율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축종 생체 주기등에 따른 최적 광(光) 정밀 생육환경을 제공하는 포토니아 듀얼 기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포토니아 듀얼 기기는, 중앙으로 극미약광 방사 영역; 및 상기 극미약광 방사 영역의 둘레로 배치된 백색광 방사 영역;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극미약광 방사 영역과 백색광 방사 영역에 설치되어 조도를 측정하는 조도 센서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조도 센서의 측정값에 의해 상기 포토니아 듀얼 기기의 조도를 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극미약광 방사 영역과 백색광 방사 영역에 설치되어 오염원 흡착 여부를 판단하는 오염 센서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오염 센서는 상기 백색광 방사 영역과 극미약광 방사 영역을 가로질러 레이저를 조사하는 레이저 다이오드와, 상기 레이저 다이오드에서 조사된 레이저를 수신하는 포토 다이오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백색광 방사 영역과 극미약광 방사 영역으로 고압의 공기를 분사하는 공기 분사 노즐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오염 센서의 측정값이 조명 오염으로 판단하면 상기 공기 분사 노즐이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공기 분사 노즐을 분사 또는 분사 종료 후에도 오염 센서의 측정값이 조명 오염으로 판단되면 알람을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주변을 촬영할 수 있는 카메라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포토니아 듀얼 기기에 의하면, 생명체, 예컨대 돼지의 생체 에너지를 향상시킴으로서 면역, 번식, 대사 효율에 기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극미약광 외에 자연광을 모사한 백색광 조사 기능 부여로 최적의 생육 환경 제공을 통한 생산성 증대 도모한다.
또한, 다기능 구현으로 광선 조사기의 설치/유지 관리 용이성 및 경제성 확보한다. 백색광은 관리자에게는 일반조명으로서 기능하고 가축에게는 생장 및 생식에 최적화된 조도를 구현하여 부족한 광량을 인공적으로 보완한다.
또한, 포토니아 듀얼기기에 조도 센싱, 오염 센싱, 카메라 기능 부가로 자가 성능 유지 능력, 주변 환경 인식 능력, 시각 데이터 제공 능력을 강화하여 스마트 애니멀 팜 활용이 용이하다.
결과적으로, 축사의 생육환경 개선과 정밀 광 조사 환경 구축이 가능한 지능형 축산용 광선 조사기(포토니아 듀얼)를 통한 생산성 증대, 친환경 고품질 식품 서비스 제공 및 무인 스마트 애니멀 팜 구축에 활용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포토니아 듀얼 기기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의 포토니아 듀얼 기기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포토니아 듀얼 기기의 구성 배열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포토니아 듀얼 기기가 적용된 축사 환경 관리 시스템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5는 도 4의 축사 환경 관리 시스템의 구동 순서도이다.
도 6은 광생육 구간 맞춤형으로 구현한 축사 환경 관리 시스템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이하에서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포토니아 듀얼 기기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포토니아 듀얼 기기를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의 포토니아 듀얼 기기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도 2의 포토니아 듀얼 기기의 구성 배열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포토니아 듀얼 기기의 전체 구성은, 포토니아 듀얼 기기(100)와, 상기 포토니아 듀얼 기기(100)의 측정값을 수신하여 제어하는 제어장치(200) 및 상기 제어장치(200)의 데이터를 수신하여 관리 및 사용자가 모니터링 할 수 있는 컴퓨터(300)로 구성된다.
먼저, 포토니아 듀얼기기(100)는 유무선 통신 기능을 통해 제어 장치(200)와 컴퓨터(300)와 연결된다.
또한, 포토티아 듀얼 기기(100)는, 중앙으로 극미약광 방사 영역(110) 및 상기 극미약광 방사 영역의 둘레로 배치되며 자연광을 모사하는 백색광 방사 영역(120)으로 구성된다.
이때, 백색광은 축종/품종별 조도 레시피에 따라 빛의 조광 및 세기가 컴퓨터(300)와 제어 장치(200)를 통해 구현되어 최적 광량의 빛이 조사 영역에 도달하게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포토니아 듀얼기기(100)에는 조도를 측정하는 조도 센서(130)가 더 구비된다.
이에 따라, 상기 조도센서(130)의 측정값은 제어장치(200)와 컴퓨터(300)로 전달되어 컴퓨터(300)의 조도 레시피에 따른 적정 조도의 상시 유지, 낮/밤/계절/사육 구간별 조도 변화를 안정적으로 구현 유지 점검 및 정상 작동 유무까지도 확인한다.
예컨대, 낮 동안(DAY TIME)에는 일출과 일몰 시간에 맞추어 백색광의 조도가 조절되고, 야간 취침시간(NIGHT TIME)에는 극미약광을 8시간 이상 조사되게 한다. 이때 극미약광은 조도가 없어 야간에 수면장애를 일으키지 않을 뿐만 아니라 생체대사 활성을 촉진시켜 성장, 번식, 면역기능에 기여한다.
구체적인 조도 레시피의 예를 들면, 자연광이 없는 건물에 있는 돼지는 하루에 최소 8시간 최소 40lux의 빛이 필요하다, 또한, 하루 16시간(어두운 시간 8시간) 동안 400 ~ 500 lux의 매우 밝은 빛을 조사받은 경우와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젖을 갓 뗀 어린 새끼를 생산하는데 기여한다.
즉, 위의 조도 레시피에 맞춰 조도를 맞춰주어 생산량을 늘려주게 된다.
결국, 상기 조도 센서(130)의 측정값에 의해 상기 포토니아 듀얼 기기의 조도를 변화시키게 된다. 극미약광파트는 8시간(야간)에 작동하게 하여 성장, 면역, 번식 호르몬의 생성을 촉진하고, 피로물질 및 독성물질제거에 기여한다.
또한, 상기 극미약광 방사 영역(110)과 백색광 방사 영역(120)에 설치되어 오염원 흡착 여부를 판단하는 오염 센서(140)가 더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오염 센서(140)는 상기 백색광 방사 영역(120)과 극미약광 방사 영역(110)을 가로질러 레이저를 조사하는 레이저 다이오드(141)와, 상기 레이저 다이오드(141)에서 조사된 레이저를 수광하는 포토 다이오드(142)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백색광 방사 영역(120)과 극미약광 방사 영역(110)으로 고압의 공기를 분사하는 공기 분사 노즐(150)이 더 구비된다.
한편, 상기 오염 센서(140)의 측정값이 조명 오염으로 판단하면 상기 공기 분사 노즐(150)을 통해 고압의 공기를 분사하여 오염원을 제거한다.
또한, 상기 공기 분사 노즐(150)을 분사 또는 분사 종료 후에도 오염 센서(140)의 측정값이 조명 오염으로 판단되면 알람을 발생시킨다.
이때, 상기 오염 센서(140)의 측정값, 오염 기준값 및 공기 분사 노즐(150)의 동작은 제어장치(200)와 컴퓨터(300)에 의해 구현된다.
이에 따라, 축사내에서 발생하는 먼지와 같은 오염원이 광 방출면(극미약광 백색광 방사 영역; 110,120)에 흡착되면 조사광의 세기 및 품질 저하를 유발하므로, 레이저 다이오드(141)와 포토 다이오드(142; 반도체 광검출기)로 구성된 오염 센서(140)를 부착/활용하여 특정 수준 이상의 오염원 흡착이 발생했는지를 감시한다.
더욱이, 특정 수준의 오염원에 의한 흡착이 검출되면 공기 분사 노즐(150)에서 고압 공기 또는 가스가 분사되어 오염을 제거한다. 수 회의 고압 공기를 분사 후에도 오염의 저감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 사용자에게 알람을 보내어 점검하게 한다.
마지막으로, 주변을 촬영할 수 있는 카메라(160)가 더 구비된다.
이에 따라, 카메라(160)는 포토니아 듀얼 기기(100)의 바디에 장착되어 광 조사 환경에 따른 축종의 모니터링 및 영상 데이터(운동량, 체온, 체중, 사료 소비량, 활동성 등)의 제공을 가능하게 한다. 이때, 제공된 이미지 분석을 통해 축종의 집단별, 개체별 축종 상태 환경 모니터링, 질별 예방 및 피드백을 하게 된다.
즉, 활동성, 체온 등의 분석으로 광조사기와 축종 활동성, 조사 빛과의 상관성 및 기기 연동이 가능하여 특정 개체 또는 특정 군(群)에 대한 정밀 광 조사가 가능할 수 있도록 광선 조사기의 운동을 유도할 수도 있다. 더욱이, 돼지의 이동에 따라 광원의 방향을 변경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가시광선 대역의 광을 변조하여 극미약광과 백색광의 형태로 생명체에 전달하여 돼지의 생체 에너지를 향상시킴으로써 면역, 번식, 대사 효율에 기여하고, 극미약광 면역기능 항진 조사기와 백색광을 결합하여 돼지(모돈)의 생리주기에 따른 최적 광량을 구현하며, 스마트 조명으로 조도센서를 부착하여 상시 조도를 유지하고 낮과 밤에 따라 조도 변화를 구현하고, 먼지 및 오염에 대한 조도 저하를 막기 위하여 오염 센서를 부착하여 정상작동 유무를 확인하고 압축공기를 이용하여 광 조사 윈도우에 먼지 및 오염을 제거하며, 카메라가 장착되어 돼지의 활동을 촬영하고 모니터링 할수 있으며, 돼지의 이동에 따라 광원의 방향이 작동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생명체, 예컨대 돼지의 생체 에너지를 향상시킴으로서 면역, 번식, 대사 효율에 기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극미약광 외에 자연광을 모사한 백색광 조사 기능 부여로 최적의 생육 환경 제공을 통한 생산성 증대 도모한다.
또한, 다기능 구현으로 광선 조사기의 설치/유지 관리 용이성 및 경제성 확보한다.
또한, 포토니아 듀얼기기에 조도 센싱, 오염 센싱, 카메라 기능 부가로 자가 성능 유지 능력, 주변 환경 인식 능력, 시각 데이터 제공 능력을 강화하여 스마트 애니멀 팜 활용이 용이하다.
결과적으로, 축사의 생육환경 개선과 정밀 광 조사 환경 구축이 가능한 지능형 축산용 광선 조사기(포토니아 듀얼)를 통한 생산성 증대, 친환경 고품질 식품 서비스 제공 및 무인 스마트 애니멀 팜 구축에 활용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포토니아 듀얼 기기가 적용된 축사 환경 관리 시스템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축사 환경 관리 시스템(S)은, 전술한 포토니아 듀얼기기와, 유무선 통신을 통해 포토니아 듀얼기기를 제어하는 제어장치(200) 및 제어장치(200)와 포토니아 듀얼 기기의 테이터를 수신하여 관리 및 사용자가 모니터링 할 수 있는 컴퓨터(300)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어장치(200)는 축사환경(400)을 제공받는다. 이때, 축사환경은 축사 내부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 축사의 내부 습도를 측정하는 습도센서, 축사 내부 공기 흐름을 측정하는 센서 및 축사 내부 공조장치의 동작을 측정하는 센서로 구성된다.
도 5는 도 4의 축사 환경 관리 시스템의 구동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축사 환경 관리 시스템의 구동 방법은, 먼저 초기 조도(백색광) 레시피를 컴퓨터를 통해 입력한다(S110).
다음, 백색광과 극미약광의 광 특성 변화에 따른 영상 데이터를 분석하여 생체 활력(운동량, 체온 등) 모니터링을 실시하여 질병을 예찰한다(S120).
그리고, 광특성과 생체활력, 질병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한다(S130).
다음, 제안된 광환경 레시피와 축사 환경과의 연동한다(S140).
마지막으로, 최적의 광생율환경에 맞춰 서비스를 제공한다(S150).
여기서, 본 발명은 백색광과 극미약광 모두 광 특성 변화 변수를 조절하며, 광 특성 변화 변수는 광세기, 광 출력 방식, 조사시간, 편광성 등이다.
도 6은 광생육 구간 맞춤형으로 구현한 축사 환경 관리 시스템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광생육 구간 맞춤형으로 구현한 축사 환경 관리 시스템은, 임신사(500a), 분만사(500b), 자돈사(500c)로 생육구간에 맞춰 분리된 축사로 구분된다.
각 축사에는 포토니아 듀얼기기, 축사환경이 각각 구비되며, 상기 포토니아 듀얼기기와 축사환경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각각 제어장치와 컴퓨터에 의해 제어된다.
이에 따라, 생육에 따른 축사 환경에 맞춰 최적의 광색육 환경을 제공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0 - 포토니아 듀얼 기기
110 - 극미약광 방사 영역 120 - 백색광 방사 영역
130 - 조도 센서 140 - 오염 센서
141 - 레이저 다이오드 142 - 포토 다이오드
150 - 분사 노즐 160 - 카메라

Claims (9)

  1. 중앙으로 극미약광 방사 영역; 및
    상기 극미약광 방사 영역의 둘레로 배치된 백색광 방사 영역;
    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토니아 듀얼 기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극미약광 방사 영역과 백색광 방사 영역에 설치되어 조도를 측정하는 조도 센서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토니아 듀얼 기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조도 센서의 측정값에 의해 상기 포토니아 듀얼 기기의 조도를 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토니아 듀얼 기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극미약광 방사 영역과 백색광 방사 영역에 설치되어 오염원 흡착 여부를 판단하는 오염 센서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토니아 듀얼 기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오염 센서는 상기 백색광 방사 영역과 극미약광 방사 영역을 가로질러 레이저를 조사하는 레이저 다이오드와, 상기 레이저 다이오드에서 조사된 레이저를 수신하는 포토 다이오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토니아 듀얼 기기.
  6. 제 4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백색광 방사 영역과 극미약광 방사 영역으로 고압의 공기를 분사하는 공기 분사 노즐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토니아 듀얼 기기.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오염 센서의 측정값이 조명 오염으로 판단하면 상기 공기 분사 노즐이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토니아 듀얼 기기.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분사 노즐을 분사 또는 분사 종료 후에도 오염 센서의 측정값이 조명 오염으로 판단되면 알람을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토니아 듀얼 기기.
  9. 제 1항에 있어서,
    주변을 촬영할 수 있는 카메라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토니아 듀얼 기기.
KR1020200164328A 2019-11-29 2020-11-30 포토니아 듀얼 기기 KR2021006796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47081A KR20230153349A (ko) 2019-11-29 2023-10-30 포토니아 듀얼 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0156489 2019-11-29
KR1020190156489 2019-11-29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47081A Division KR20230153349A (ko) 2019-11-29 2023-10-30 포토니아 듀얼 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7962A true KR20210067962A (ko) 2021-06-08

Family

ID=7639958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4328A KR20210067962A (ko) 2019-11-29 2020-11-30 포토니아 듀얼 기기
KR1020230147081A KR20230153349A (ko) 2019-11-29 2023-10-30 포토니아 듀얼 기기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47081A KR20230153349A (ko) 2019-11-29 2023-10-30 포토니아 듀얼 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21006796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78940A (ko) * 2021-11-26 2023-06-05 (주)바이오라이트 2중 하우징 구조를 갖는 초미세광 전송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8142B1 (ko) 2010-02-05 2010-07-06 (주)위즈덤 세미컨덕터 성장촉진형 엘이디조명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8142B1 (ko) 2010-02-05 2010-07-06 (주)위즈덤 세미컨덕터 성장촉진형 엘이디조명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78940A (ko) * 2021-11-26 2023-06-05 (주)바이오라이트 2중 하우징 구조를 갖는 초미세광 전송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53349A (ko) 2023-1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04875B2 (en) System and method of enhancing reproduction in avian
US10292340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illumination to plants
US8384047B2 (en) Fluorescence-based ultraviolet illumination
US9907296B2 (en) Photon modulation management system for stimulation of a desired response in birds
EP3376856B1 (en) Photon modulation management system for stimulation of a desired response in birds
US10506801B2 (en) System and method of enhancing swine reproduction
KR20230153349A (ko) 포토니아 듀얼 기기
CN105979773B (zh) 用于鱼类的人造照明系统和提供鱼类照明的方法
CN105209115A (zh) 用于促进活生物体中的维生素d产生的装置和方法
CN108444537A (zh) 一种基于物联网的生猪健康状态远程监测系统
WO2018058827A1 (zh) 一种鱼植共生系统
CN116420650A (zh) 基于大数据技术的家畜智能化养殖管理系统及方法
CN113632656B (zh) 一种生态园林植物生长动态补光控制系统
CN203784753U (zh) 一种应用于种公鸡规模养殖的人工照明系统
CN103899988B (zh) 应用于种公鸡规模养殖的人工照明方法与系统
TWI645778B (zh) Modular poultry breeding system and its planning method
KR20230022900A (ko) 극미약광을 이용한 암컷 포유류의 번식능력 개선 방법
CN115617103A (zh) 一种用于蛋鸭养殖的智能养殖系统
JP2016189745A (ja) 植物栽培システム
CN211746068U (zh) 一种生态禽畜养殖系统
OGUNTOYINBO et al. Plant factory system construction: Cultivation environment profile optimization
CN110199945B (zh) 一种以远程监控的多场地林蛙智能养殖的管理装置
CN204174216U (zh) 一种恒温光照培养箱
CN213779104U (zh) 一种智能大棚管理系统模型
KR20230023478A (ko) 스마트 아쿠아 파밍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