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67564A - Puff for Cosmetic - Google Patents

Puff for Cosmetic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67564A
KR20210067564A KR1020190157326A KR20190157326A KR20210067564A KR 20210067564 A KR20210067564 A KR 20210067564A KR 1020190157326 A KR1020190157326 A KR 1020190157326A KR 20190157326 A KR20190157326 A KR 20190157326A KR 20210067564 A KR20210067564 A KR 202100675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ff
makeup
vibration unit
vibrating body
elastic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732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선미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닛시코스윈
선미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닛시코스윈, 선미경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닛시코스윈
Priority to KR10201901573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67564A/en
Publication of KR202100675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7564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45D33/34Powder-puffs, e.g. with installed containe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45D33/26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combined with other objects
    • A45D33/3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combined with other objects with watches or other mechanically-driven articl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45D33/34Powder-puffs, e.g. with installed container
    • A45D33/36Powder-puffs, e.g. with installed container with handl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10Details of applicators
    • A45D2200/1009Applicators comprising a pad, tissue, sponge, or the like
    • A45D2200/1018Applicators comprising a pad, tissue, sponge, or the like comprising a pad, i.e. a cushion-like mass of soft material, with or without gripp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20Additional enhancing means
    • A45D2200/207Vibration, e.g. ultrasound

Landscapes

  • 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AREA)

Abstract

A cosmetic puff includes: a puff structure having a cushion unit provided to be in contact with the skin; and a vibration unit provided to be inserted into the cushion unit. The vibration unit includes: a vibration body in which a motor generating vibration is disposed; and an elastic member that is dispos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vibration body and can be bent together with the cushion unit.

Description

화장 퍼프{Puff for Cosmetic}Makeup Puff {Puff for Cosmetic}

본 발명은 화장 퍼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진동타입의 화장 퍼프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akeup puff, and more particularly, to a vibration type makeup puff.

일반적으로 얼굴과 같이 외부로 노출되는 피부의 잡티나 기미 등을 자연스럽게 가리거나 깨끗하고 화사한 피부 또는 맑고 보송거리는 피부를 갖고자 할 때 파운데이션이나 스킨커버 또는 트윈케익과 같은 화장용 파우더(이하, 화장품이라 한다)를 이용하게 된다.In general, when you want to naturally cover blemishes or blemishes on the skin exposed to the outside, such as the face, or to have clean and bright skin or clear and soft skin, you want to have a foundation, skin cover, or cosmetic powder such as twin cake (hereinafter referred to as cosmetics). do) will be used.

화장품은 화장을 하고자 하는 부위에 뭉침 없이 골고루 펴서 밀착감 있게 발라야 함은 물론 감성적 사용감을 충족시킬 수 있도록 터치하여 화장을 하게 되는데 이때 사용되는 것이 화장용 퍼프이다.Cosmetics should be spread evenly on the area to be put on without clumping and should be applied in close contact, as well as make-up by touching to satisfy the emotional feeling of use. At this time, the cosmetic puff is used.

화장품을 취하는 화장용 퍼프는 일측면에 형성된 손가락 삽입밴드에 손가락을 끼운 상태에서 화장품을 취한 면을 화장부위에 대고 가볍게 두드리면서 화장품을 펴 바를 수 있도록 만들어진 형태의 퍼프가 있고, 퍼프를 자동으로 두드리면서 화장을 할 수 있도록 된 전동퍼프가 있다.A cosmetic puff that takes cosmetics has a form that allows you to spread the cosmetics by lightly tapping the side on which you have applied the cosmetic with your finger inserted into the finger insertion band formed on one side. There is an electric puff that can do this.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밀착감을 개선한 화장 퍼프를 제공한다.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smetic puff with improved adhesion.

본 발명의 일 측면은 구조를 개선한 화장 퍼프를 제공한다.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smetic puff with improved structure.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화장퍼프는 피부와 접촉가능하게 마련되는 쿠션부를 갖는 퍼프구조체; 상기 쿠션부 내부로 삽입가능하게 마련되는 진동유닛;를 포함하고, 상기 진동유닛는, 그 내부에 진동을 발생시키는 모터가 배치되는 진동체; 상기 진동체의 둘레를 따라 배치되되, 상기 쿠션부와 함께 벤딩가능하게 구성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한다.A cosmetic puff according to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uff structure having a cushion part provided to be in contact with the skin; a vibrating unit provided to be inserted into the cushion part, wherein the vibrating unit includes: a vibrating body in which a motor generating vibration is disposed; and an elastic member disposed along the periphery of the vibrating body and configured to be bendable together with the cushion part.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진동체의 둘레를 따라 반경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elastic member may be formed in a radial direction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vibrating body.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진동체의 전(全)둘레를 따라 배치될 수 있다.The elastic member may be disposed along the entire circumference of the vibrating body.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진동체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로부터 상기 반경방향에 수직한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테두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elastic member may include a support portion extending in a radial direction from the vibrating body; It may include; at least one edge portion extending in an axial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radial direction from the support portion.

상기 적어도 하나의 테두리부는, 상기 지지부를 따라 상호 이격배치되며, 그 사이에 구획공간을 형성하는 복수의 테두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at least one edge portion may include a plurality of edge portion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support portion and forming a partition space therebetween.

상기 복수의 테두리부는, 상기 쿠션부의 내면과 접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plurality of edge portions may be configured to contact an inner surface of the cushion portion.

상기 퍼프구조체는, 피부와 접촉가능하게 구성되는 제 1 몸체와, 상기 제 1 몸체와 결합하여 상기 진동유닛이 안착되는 안착공간을 형성하는 제 2 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몸체는, 상기 진동유닛이 상기 안착공간으로 삽입되도록 개방된 삽입구;를 포함할 수 있다.The puff structure includes a first body configured to be in contact with the skin, and a second body coupled to the first body to form a seating space in which the vibration unit is seated, wherein the second body comprises: It may include; an insertion hole opened so that the vibration unit is inserted into the seating space.

상기 제 2 몸체는, 상기 삽입구가 벌어지도록 탄성적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second body may be elastically configured to open the insertion hole.

상기 삽입구는, 상기 안착공간에 안착된 상기 진동유닛의 둘레 내측에 배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insertion hole may be configured to be disposed inside the circumference of the vibration unit seated in the seating space.

상기 진동체의 일면에 배치되어 상기 삽입구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양극, 음극 단자부로서, 상기 모터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손가락에 의해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양극, 음극 단자부;를 포함할 수 있다.It may include a; positive and negative terminal portions disposed on one surface of the vibrating body and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insertion hole, positive and negative terminals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finger to supply power to the motor.

상기 퍼프구조체는, 손가락이 삽입되도록 상기 제 2 몸체를 감싸는 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양극, 음극 단자부는 상기 삽입구를 통해 상기 밴드부와 마주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puff structure may include a band portion surrounding the second body so that a finger is inserted, and the positive and negative terminal portions may be configured to face the band portion through the insertion hole.

상기 양극, 음극 단자부는, 상기 진동체의 중심과 인접하게 배치되되, 상호 이격배치될 수 있다.The positive and negative terminals may be disposed adjacent to the center of the vibrating body, and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상기 양극, 음극 단자부는, 상호 마주하는 제 1, 2 둘레부를 각각 포함하고, 상기 제 1, 2 둘레부는 동일한 간격을 갖도록 상호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The positive and negative terminals may include first and second peripheral portions facing each other, respectively, and the first and second peripheral portions may be disposed in parallel with each other to have the same spacing.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진동 구조체의 구조를 개선하여, 화장 퍼프의 밀착감을 향상시키고, 화장품이 일정한 두께로 골고루 펴 발라져서 자연스러운 화장을 수행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improving the structure of the vibrating structure, the feeling of closeness of the makeup puff is improved, and the cosmetics are spread evenly to a certain thickness to perform natural makeup.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벤딩구조를 통해, 화장 퍼프보다 상대적으로 작게 제조되는 화장품케이스에도 삽입이 가능하여, 화장 퍼프의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rough the bending structure, it is possible to insert into a cosmetic case made relatively smaller than the makeup puff, thereby improving the degree of freedom of the makeup puff.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 퍼프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 퍼프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 퍼프의 일구성인 진동유닛의 상부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 퍼프의 일구성인 진동유닛의 하부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 퍼프의 일구성인 진동유닛의 분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 퍼프의 일구성인 진동유닛의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 퍼프의 동작에 관한 도면.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makeup puff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makeup puff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top perspective view of a vibrating unit that is a component of a makeup puff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of a vibration unit that is one configuration of a makeup puff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vibration unit that is one component of a makeup puff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vibration unit that is one configuration of a makeup puff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a makeup puff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개시된 발명의 바람직한 일 예에 불과할 뿐이며, 본 출원의 출원시점에 있어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와 도면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다.The configuration shown in the embodiments and drawings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is only a preferred example of the disclosed invention, and there may be various modifications that can replace the embodiments and drawings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at the time of filing of the present application.

또한, 본 명세서의 각 도면에서 제시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In addition, the same reference numbers or reference numerals in each drawing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indicate parts or components that perform substantially the same functions.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개시된 발명을 제한 및/또는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다.In addition, the terms used herein are used to describe the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and/or limit the disclosed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 includes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is specif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at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a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exists,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does not preclud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addition of fig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In addition, terms including ordinal numbers such as “first” and “second” used in this specification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and the terms are It is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a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The term “and/or” includes any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related listed items or any of a plurality of related listed items.

또한, "~부", "~기", "~블록", "~부재",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용어들은 FPGA (field-programmable gate array)/ ASIC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등 적어도 하나의 하드웨어, 메모리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소프트웨어 또는 프로세서에 의하여 처리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스를 의미할 수 있다.In addition, terms such as "~ part", "~ group", "~ block", "~ member", and "~ module" may mean a unit for processing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For example, the terms may mean at least one process processed by at least one hardware such as a field-programmable gate array (FPGA)/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at least one software stored in a memory, or a processor. have.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 퍼프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 퍼프의 단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makeup puff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makeup puff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화장 퍼프(1)는 화장품을 피부에 바를 수 있도록 구성된다. The makeup puff 1 is configured to apply cosmetics to the skin.

화장 퍼프(1)는 퍼프구조체(10)와, 진동유닛(30)을 포함할 수 있다. The makeup puff 1 may include a puff structure 10 and a vibration unit 30 .

퍼프구조체(10)는 탄성을 가진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퍼프구조체(10)를 손가락에 끼우고, 피부에 파운데이션 등과 같은 화장품을 바를 수 있다. 퍼프구조체(10)는 쿠션부(12)와, 쿠션부(12)에 결합되는 밴드부(20)를 포함할 수 있다. 쿠션부(12)는 피부와 접촉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쿠션부(12)는 대략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쿠션부(12)의 형상은 한정되지 않는다. 사용자는 밴드부(20)와 쿠션부(12)사이로 손가락을 삽입하여 화장 퍼프(1)를 손가락에 고정할 수 있다. 밴드부(20)는 손가락이 쿠션부(12)에 밀착되도록 쿠션부(12)의 양측에 결합될 수 있다.The puff structure 10 may be formed of a material having elasticity. A user may put the puff structure 10 on a finger and apply cosmetics such as foundation to the skin. The puff structure 10 may include a cushion unit 12 and a band unit 20 coupled to the cushion unit 12 . The cushion part 12 may be provided to be in contact with the skin. The cushion part 12 may be formed in a substantially circular shape. However, the shape of the cushion part 12 is not limited. The user can fix the makeup puff 1 to the finger by inserting a finger between the band part 20 and the cushion part 12 . The band unit 20 may be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cushion unit 12 so that the fingers are in close contact with the cushion unit 12 .

진동유닛(30)은 진동을 발생시키도록 마련된다. 진동유닛(30)은 쿠션부(12) 내부에 내장되어 쿠션부(12)에 진동을 전달할 수 있다. The vibration unit 30 is provided to generate vibration. The vibration unit 30 is built into the cushion unit 12 to transmit vibration to the cushion unit 12 .

퍼프구조체(10)의 쿠션부(12)는 일면이 피부와 접촉하는 제 1 몸체(14)와, 제 1 몸체(14)와 결합하여 진동유닛(30)이 안착되는 안착공간을 형성하는 제 2 몸체(16)를 포함할 수 있다. 안착공간은 제 1, 2 몸체(14, 16) 사이의 공간으로서, 도 2에서 진동유닛(30)이 배치된 공간을 의미한다. 안착공간은 진동유닛(30)의 크기에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진동유닛(30)이 장착되지 않은 상태에서, 쿠션부(12)는 제 1, 2 몸체(14, 16)의 내면이 상호간에 맞닿을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진동유닛(30)이 삽입되는 과정에서, 제 1, 2 몸체(14, 16)는 상호 이격되면서 안착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제 1, 2 몸체(14, 16)는 그 둘레를 따라 결합될 수 있다. 일례로, 제 1, 2 몸체(14, 16)는 초음파 융착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그러나 그 결합방법은 한정되지 않는다. The cushion part 12 of the puff structure 10 includes a first body 14 having one surface in contact with the skin, and a second body 14 coupled with the first body 14 to form a seating space in which the vibration unit 30 is seated. It may include a body 16 . The seating space is a space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bodies 14 and 16 , and means a space in which the vibration unit 30 is disposed in FIG. 2 . The seating space may be formed in a size corresponding to the size of the vibration unit 30 . In a state in which the vibration unit 30 is not mounted, the cushion part 12 may be configured such that the inner surfaces of the first and second bodies 14 and 16 may contact each other. In the process in which the vibration unit 30 is inserted, the first and second bodies 14 and 16 may form a seating space while being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he first and second bodies 14 and 16 may be coupled along their circumferences. For example, the first and second bodies 14 and 16 may be coupled by ultrasonic welding. However, the bonding method is not limited.

제 1, 2 몸체(14, 16)는 서로 다른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일례로, 제 1 몸체(14)는 피부에 대한 밀착감을 향상시키도록 탄성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 2 몸체(16)는 제 1 몸체(14)의 과도한 탄성변형을 방지하도록 제 1 몸체(14)보다 탄성력이 작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and second bodies 14 and 16 may be formed of different materials. For example, the first body 14 may be formed of an elastic material to improve a feeling of adhesion to the skin, and the second body 16 may be formed of an elastic material to prevent excessive elastic deformation of the first body 14. 14) and may be formed of a material with less elastic force.

제 2 몸체(16)는 삽입구(17)를 포함할 수 있다. 삽입구(17)는 진동유닛(30)이 안착공간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제 2 몸체(16)상에 개방되게 형성될 수 있다. 제 2 몸체(16)는 탄성을 가지도록 구성되므로, 삽입구(17)는 진동유닛(30)의 삽입시 벌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삽입구(17)를 통해 진동유닛(30)이 안착공간으로 삽입되거나, 진동유닛(30)이 외부로 이탈되면, 삽입구(17)는 탄성복귀할 수 있다.The second body 16 may include an insertion hole 17 . The insertion hole 17 may be formed to be open on the second body 16 so that the vibration unit 30 can be inserted into the seating space. Since the second body 16 is configured to have elasticity, the insertion hole 17 may be configured to open when the vibration unit 30 is inserted. When the vibration unit 30 is inserted into the seating space through the insertion hole 17 or the vibration unit 30 is separated to the outside, the insertion hole 17 may return elastically.

삽입구(17)는 진동유닛(30)의 너비보다 작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삽입구(17)는 그 둘레가 안착공간에 안착된 진동유닛(30)의 둘레 내측에 배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안착공간에 안착된 진동유닛(30)이 삽입구(17)를 통해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insertion hole 17 may be arranged to be smaller than the width of the vibration unit 30 . That is, the insertion hole 17 may be configured such that its circumference is disposed inside the circumference of the vibration unit 30 seated in the seating space. Through this configura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vibration unit 30 seated in the seating space from being separated through the insertion hole 17 .

또한 진동유닛(30)은 도 1과 같이 삽입구(17)를 통해 이후 설명하는 진동유닛(30)의 단자부들(51, 52)이 노출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단자부들(51, 52)에 대한 사용자의 접촉이 있을 때 진동유닛(30)이 동작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후 단자부들(51, 52)에 대해서는 자세하게 설명한다.In addition, the vibration unit 30 may be disposed such that the terminals 51 and 52 of the vibration unit 30 to be described later are exposed through the insertion hole 17 as shown in FIG. 1 . Through this configuration, it is possible to configure the vibration unit 30 to operate when there is a user's contact with the terminal parts 51 and 52 . Hereinafter, the terminal parts 51 and 52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 퍼프의 일구성인 진동유닛의 상부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 퍼프의 일구성인 진동유닛의 하부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 퍼프의 일구성인 진동유닛의 분해사시도이다.3 is an upper perspective view of a vibration unit that is one component of a makeup puff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lower perspective view of a vibration unit that is one component of a makeup puff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this view It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vibration unit that is a component of a makeup puff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진동유닛(30)은 진동체(40)와, 탄성부재(60)를 포함할 수 있다.The vibration unit 30 may include a vibrating body 40 and an elastic member 60 .

진동체(40)는 진동을 발생시켜 쿠션부(12)에 전달하므로 일정한 힘으로 두드리는 것과 같은 효과를 발생하여 피부에 파운데이션 등과 같은 화장품이 피부에 골고루 퍼져 커버될 수 있다. 또한 진동체(40)는 일정하고 빠른 진동에 의해 일정한 힘을 피부에 전달하므로 사용자가 직접 두드리는 방식보다 화장품을 피부에 보다 밀착시킬 수 있어 메이크업 지속력을 보다 높일 수 있다.Since the vibrating body 40 generates vibration and transmits it to the cushion unit 12, an effect such as tapping with a constant force is generated, so that cosmetics such as foundation can be evenly spread on the skin and covered. In addition, since the vibrating body 40 transmits a certain force to the skin by constant and rapid vibration, the cosmetics can be more closely adhered to the skin than the user's direct tapping method, thereby increasing the makeup durability.

진동체(40)는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42)와, 케이스(42) 내부에 배치되는 모터(46), 모터(46)로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부(48)를 포함할 수 있다.The vibrating body 40 may include a case 42 forming an exterior, a motor 46 disposed inside the case 42 , and a power supply unit 48 for supplying power to the motor 46 .

케이스(42)는 상부케이스(42a)와 하부케이스(42b)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케이스(42a)와 하부케이스(42b)는 그 사이에 회로기판(70), 모터(46), 전원부(48)등이 배치되는 배치공간(44, 도 2, 6 참고)을 형성할 수 있다. 상부케이스(42a)와 하부케이스(42b)는 이후 설명하는 탄성부재(60)의 결합부(62)를 사이에 두고 상호간에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상부케이스(42a)는 나사결합되는 부분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그 상면에 결합되는 덮개부(42aa)를 포함할 수 있다. The case 42 may include an upper case 42a and a lower case 42b. The upper case 42a and the lower case 42b may form an arrangement space 44 (refer to FIGS. 2 and 6) in which the circuit board 70, the motor 46, the power supply unit 48, etc. are disposed. . The upper case 42a and the lower case 42b may be screwed to each other with a coupling part 62 of the elastic member 60 therebetween,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The upper case 42a may include a cover portion 42aa coupled to an upper surface thereof so that the screwed portion is not exposed to the outside.

진동체(40)는 단자부들(51, 52)을 포함할 수 있다. 단자부들(51, 52)은 케이스(42)의 일면을 통해 노출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단자부들(51, 52)은 상부케이스(42a)를 통해 노출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단자부들(51, 52)은 도 1과 같이 쿠션부(12)의 삽입구(17)를 통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The vibrating body 40 may include terminal parts 51 and 52 . The terminal parts 51 and 52 may be disposed to be exposed through one surface of the case 42 . In detail, the terminal parts 51 and 52 may be disposed to be exposed through the upper case 42a. The terminal parts 51 and 52 may be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insertion hole 17 of the cushion part 12 as shown in FIG. 1 .

단자부들(51, 52)은 양극단자부(51)와 음극단자부(52)를 포함할 수 있다. 양극단자부(51)와 음극단자부(52)는 진동체(40)의 중심과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양극단자부(51)와 음극단자부(52)는 상호간에 일정간격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양극단자부(51)와, 음극단자부(52)는 대략 반원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호 이격 배치되는 양극단자부(51)와 음극단자부(52)는 사용자의 손가락에 의해 상호간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즉, 사람의 손가락이 전도체역할을 함으로서, 양극과 음극을 연결시킬 수 있다. 사람의 손가락에 의해 양극단자부(51)와 음극단자부(52)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면, 모터(46)는 전원부(48)로부터 전기를 공급받아 동작하여 진동유닛(30)이 진동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화장 퍼프(1)는 사용자가 사용할 때만 작동하여 불필요한 전원의 낭비를 줄일 수 있다.The terminal parts 51 and 52 may include a positive terminal part 51 and a negative terminal part 52 . The positive terminal part 51 and the negative terminal part 52 may be disposed adjacent to the center of the vibrating body 40 . In addition, the positive terminal part 51 and the negative terminal part 52 may be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interval. The positive terminal part 51 and the negative terminal part 52 may be formed in a substantially semicircular shape. The positive terminal part 51 and the negative terminal part 52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user's finger. That is, a person's finger acts as a conductor to connect the positive and negative poles. When the positive terminal part 51 and the negative terminal part 52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human's finger, the motor 46 receives electricity from the power supply part 48 and operates so that the vibration unit 30 may vibrate. Through this, the makeup puff 1 operates only when the user uses it, thereby reducing unnecessary power consumption.

양극단자부(51)와 음극단자부(52)는 삽입구(17)를 통해 도 1과 같이 밴드부(20)와 마주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밴드부(20)와 제 2 몸체(16)사이에 손가락이 삽입되면, 밴드부(20)에 의해 삽입된 손가락이 양극단자부(51)와 음극단자부(52)에 밀착될 수 있다.The positive terminal part 51 and the negative terminal part 52 may be configured to face the band part 20 as shown in FIG. 1 through the insertion hole 17 . When a finger is inserted between the band part 20 and the second body 16 in this configuration, the finger inserted by the band part 20 can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positive terminal part 51 and the negative terminal part 52 .

양극단자부(51)와 음극단자부(52)는 상호 마주하는 제 1, 2 둘레부(51a, 52a)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2 둘레부(51a, 52a)는 전구간에 있어서, 동일한 간격을 갖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제 1, 2 둘레부(51a, 52a)는 상호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양극단자부(51)와 음극단자부(52)가 사용자의 손가락의 접촉에 의해 전기적연결이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손가락의 크기나 손가락의 삽입정도등에 따라 연결상태가 달라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positive terminal portion 51 and the negative terminal portion 52 may include first and second peripheral portions 51a and 52a facing each other. The first and second peripheral portions 51a and 52a may be arranged to have the same spacing in the entire length. That is, the first and second peripheral portions 51a and 52a may be arranged in parallel with each other. Through this configuration, the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positive terminal part 51 and the negative terminal part 52 can be stably maintained by the user's finger contact, and the connection state varies depending on the size of the user's finger or the degree of insertion of the finger. can be prevented

모터(46)와 전원부(48)는 배치공간(44)에 배치될 수 있다. 모터(46)는 단자부들(51, 52)에 대한 사용자의 접촉에 의해 선택적으로 전원부(48)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동작할 수 있다.The motor 46 and the power source 48 may be disposed in the arrangement space 44 . The motor 46 may operate by selectively receiving power from the power supply unit 48 by a user's contact with the terminal units 51 and 52 .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 퍼프의 일구성인 진동유닛의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 퍼프의 동작에 관한 도면이다. 앞선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한다.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vibrating unit that is one component of a makeup puff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 is a view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makeup puff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preceding drawings.

탄성부재(60)는 진동체(40)의 둘레를 따라 배치될 수 있다.The elastic member 60 may be dispos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vibrating body 40 .

탄성부재(60)는 진동체(40)의 둘레에서 벤딩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탄성부재(60)의 재질은 한정되지 않는다. 일례로 탄성부재(60)는 실리콘을 포함할 수 있다. 탄성부재(60)는 대략 환형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탄성부재(60)는 진동체(40)의 둘레를 따라 반경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탄성부재(60)는 진동체(40)의 전(全)둘레를 따라 배치될 수 있다. 탄성부재(60)는 진동체(40)의 둘레전체를 감싸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elastic member 60 may be configured to be bendable around the vibrating body 40 . The material of the elastic member 60 is not limited. For example, the elastic member 60 may include silicon. The elastic member 60 may be formed in a substantially annular shape. The elastic member 60 may be formed in a radial direction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vibrating body 40 . Also, the elastic member 60 may be disposed along the entire circumference of the vibrating body 40 . The elastic member 60 may be configured to surround the entire circumference of the vibrating body 40 .

탄성부재(60)는 진동체(40)의 상부케이스(42a)와 하부케이스(42b) 사이에 배치되어, 상하부케이스(42b)에 고정되는 결합부(62)를 포함할 수 있다. 결합부(62)는 환형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부케이스(42a)와 하부케이스(42b)에 의해 고정됨으로서, 탄성부재(60)가 진동체(40)에 고정될 수 있다.The elastic member 60 may include a coupling portion 62 disposed between the upper case 42a and the lower case 42b of the vibrating body 40 and fixed to the upper and lower case 42b. The coupling part 62 is formed in an annular shape and fixed by the upper case 42a and the lower case 42b, so that the elastic member 60 can be fixed to the vibrating body 40 .

탄성부재(60)는 지지부(64)와, 적어도 하나의 테두리부(66)를 포함할 수 있다.The elastic member 60 may include a support part 64 and at least one edge part 66 .

지지부(64)는 진동체(40)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지지부(64)는 진동체(40)의 케이스(42)에 결합되는 결합부(62)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지지부(64)의 반경방향길이는 쿠션부(12)의 안착공간의 너비에 따라 다르게 적용될 수 있다. The support 64 may be configured to extend radially from the vibrating body 40 . The support part 64 may extend radially from the coupling part 62 coupled to the case 42 of the vibrating body 40 . The radial length of the support part 64 may be appli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width of the seating space of the cushion part 12 .

적어도 하나의 테두리부(66)는 지지부(64)로부터 연장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테두리부(66)는 지지부(64)로부터 반경방향에 수직한 축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테두리부(66)는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테두리부(66)는 쿠션부(12)의 내면과 접촉할 수 있다. 복수의 테두리부(66)는 쿠션부(12)의 내면과 접촉함에 따라, 쿠션부(12)에 가해지는 외력이 복수의 테두리부(66)로 전달되어, 쿠션부(12)와 복수의 테두리부(66)가 함께 탄성변형될 수 있다.At least one edge portion 66 may be configured to extend from the support portion 64 . The edge portion 66 may be configured to extend in an axial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radial direction from the support portion 64 . In this embodiment, a plurality of edge portions 66 may be formed. The plurality of edge portions 66 may be in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cushion portion 12 . As the plurality of edge portions 66 come into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cushion portion 12 , the external force applied to the cushion portion 12 is transmitted to the plurality of edge portions 66 , and the cushion portion 12 and the plurality of edges The portions 66 may be elastically deformed together.

복수의 테두리부(66)는 상호간에 구획공간(68)을 형성하며 이격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테두리부(66)는 그 사이에 구획공간(68)을 형성함으로서, 탄성부재(60)에 도 7의 화살표와 같이 외력이 발생한 경우, 복수의 테두리부(66)는 그 일측의 구획공간(68)이 좁아지도록 밀착하고, 그 타측의 구획공간(68)들이 넓어지도록 벌어질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탄성부재(60)는 쿠션부(12)와 함께 벤딩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The plurality of edge portions 66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o form a partition space 68 . The plurality of edge portions 66 form a partition space 68 therebetween, so that when an external force is generated in the elastic member 60 as shown by the arrow in FIG. 7 , the plurality of edge portions 66 are partitioned spaces on one side. (68) is in close contact so as to be narrow, the partition space (68) on the other side can be widened so as to be widened. Through this configuration, the elastic member 60 may be configured to be bendable together with the cushion unit 12 .

이러한 구성을 통해 진동식 화장 퍼프(1)를 구성함에 있어서, 진동유닛(30)의 둘레가 벤딩가능하게 구성함으로서, 사용자가 퍼프구조체(10) 내부의 전기장치로 인한 이물감을 느끼는 것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또한 퍼프구조체(10)의 벤딩영역을 넓힘으로서 피부에 대한 자극을 최소화 시키고, 피부에 대한 밀착감을 향상 시킬 수 있다. 또한 퍼프구조체(10)의 변형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In configuring the vibrating makeup puff 1 through this configuration, by configuring the periphery of the vibrating unit 30 to be bendable,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feeling of a foreign body caused by the electric device inside the puff structure 10 by the user. . In addition, by widening the bending area of the puff structure 10, it is possible to minimize irritation to the skin and improve the feeling of adhesion to the skin.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degree of freedom of deformation of the puff structure (10).

이하는 본 발명의 화장 퍼프에 대한 조립 및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Hereinafter, assembly and operation of the makeup puff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진동유닛(30)을 삽입구(17)을 통해 쿠션부(12)의 내부로 삽입시킬 수 있다. 삽입구(17)는 탄성을 가지고 벌어지거나, 탄성복귀함으로서, 진동유닛(30)이 퍼프구조체(10)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The vibration unit 30 may be inserted into the cushion part 12 through the insertion hole 17 . The insertion hole 17 is elastically opened or elastically returned, so that the vibration unit 30 can be inserted into the puff structure 10 .

퍼프구조체(10)의 내부로 삽입된 진동유닛(30)은 삽입구(17)를 통해 단자부들(51, 52)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The vibration unit 30 inserted into the puff structure 10 may be disposed such that the terminals 51 and 52 are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insertion hole 17 .

사용자가 화장 퍼프(1)를 사용하기 위해 퍼프구조체(10)와 밴드(20)사이에 손가락을 삽입하면, 손가락은 단자부들(51, 52)에 접촉된다. 손가락이 단자부들(51, 52)에 접촉하면, 양극단자부(51)와 음극단자부(52)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면서 진동유닛(30)이 동작하게 된다.When the user inserts a finger between the puff structure 10 and the band 20 to use the makeup puff 1, the finger comes into contact with the terminal parts 51 and 52. When a finger comes into contact with the terminal parts 51 and 52 , the positive terminal part 51 and the negative terminal part 52 are electrically connected and the vibration unit 30 is operated.

사용자는 화장 퍼프(1)를 손가락에 고정하고, 화장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화장 퍼프(1)는 피부와 접촉하거나 화장품에 접촉할 때, 도 7과 같이 외력이 가해지게 된다. 이 때, 퍼프구조체(10)의 쿠션부(12)는 탄성을 가지고 변형되며, 그 내부에 위치한 진동유닛(30)의 탄성부재(60)도 탄성을 가지고 변형된다. 자세하게는 복수의 테두리부(66)는 외력이 가해지는 방향의 구획공간(68)이 넓어지도록 벌어지고, 반대방향의 구획공간(68)이 좁아지도록 밀착됨으로서 변형된다.The user may fix the makeup puff 1 to the finger and perform a makeup operation. When the makeup puff 1 comes into contact with the skin or comes into contact with cosmetics,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as shown in FIG. 7 . At this time, the cushion part 12 of the puff structure 10 is deformed with elasticity, and the elastic member 60 of the vibration unit 30 located therein is also deformed with elasticity. In detail, the plurality of edge portions 66 are deformed by being in close contact so that the partition space 68 in the direction to which the external force is applied is widened, and the partition space 68 in the opposite direction is narrowed.

이러한 동작을 통해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화장 퍼프(1) 내부의 진동유닛(30)에 대한 이물감을 최소화할 수 있다.Through this operation,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feeling of a foreign body to the vibration unit 30 inside the makeup puff 1 that the user can feel.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In the above, specific embodiments have been shown and described. However, it is not limited only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invention pertains can make various change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below. .

1 : 화장 퍼프 10 : 퍼프구조체
12 : 쿠션부 14 : 제 1 몸체
16 : 제 2 몸체 17 : 삽입구
20 : 밴드부 30 : 진동유닛
40 : 진동체 42 : 케이스
46 : 모터 48 : 전원부
51 : 양극단자부 52 : 음극단자부
60 : 탄성부재 62 : 결합부
64 : 지지부 66 : 테두리부
68 : 구획공간
1: makeup puff 10: puff structure
12: cushion portion 14: first body
16: second body 17: insertion hole
20: band 30: vibration unit
40: vibrating body 42: case
46: motor 48: power unit
51: positive terminal part 52: negative terminal part
60: elastic member 62: coupling part
64: support part 66: edge part
68: compartment space

Claims (13)

피부와 접촉가능하게 마련되는 쿠션부를 갖는 퍼프구조체;
상기 쿠션부 내부로 삽입가능하게 마련되는 진동유닛;를 포함하고,
상기 진동유닛는,
그 내부에 진동을 발생시키는 모터가 배치되는 진동체;
상기 진동체의 둘레를 따라 배치되되, 상기 쿠션부와 함께 벤딩가능하게 구성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화장 퍼프.
a puff structure having a cushion portion provided to be in contact with the skin;
and a vibration unit provided to be inserted into the cushion part.
The vibration unit is
a vibrating body in which a motor for generating vibration is disposed;
A makeup puff including; an elastic member disposed along the periphery of the vibrating body and configured to be bendable together with the cushion par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진동체의 둘레를 따라 반경방향으로 형성되는 화장 퍼프.
The method of claim 1,
The elastic member,
A cosmetic puff formed in a radial direction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vibrating body.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진동체의 전(全)둘레를 따라 배치되는 화장 퍼프.
The method of claim 1,
The elastic member,
A makeup puff disposed along the entire circumference of the vibrating body.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진동체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로부터 상기 반경방향에 수직한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테두리부;를 포함하는 화장 퍼프.
The method of claim 1,
The elastic member,
a support portion extending radially from the vibrating body;
Cosmetic puff comprising a; at least one edge portion extending in an axial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radial direction from the support portion.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테두리부는,
상기 지지부를 따라 상호 이격배치되며, 그 사이에 구획공간을 형성하는 복수의 테두리부;를 포함하는 화장 퍼프.
5. The method of claim 4,
The at least one edge portion,
A makeup puff comprising a; a plurality of rim portion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support portion and forming a partition space therebetween.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테두리부는,
상기 쿠션부의 내면과 접촉하도록 구성되는 화장 퍼프.
6. The method of claim 5,
The plurality of edge portions,
A makeup puff configured to contact the inner surface of the cushion par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퍼프구조체는,
피부와 접촉가능하게 구성되는 제 1 몸체와, 상기 제 1 몸체와 결합하여 상기 진동유닛이 안착되는 안착공간을 형성하는 제 2 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몸체는,
상기 진동유닛이 상기 안착공간으로 삽입되도록 개방된 삽입구;를 포함하는 화장 퍼프.
The method of claim 1,
The puff structure,
Containing; a first body configured to be in contact with the skin, and a second body coupled to the first body to form a seating space in which the vibration unit is seated;
The second body,
A makeup puff comprising a; an insertion hole opened so that the vibration unit is inserted into the seating space.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몸체는,
상기 삽입구가 벌어지도록 탄성적으로 구성되는 화장 퍼프.
8. The method of claim 7,
The second body,
A makeup puff elastically configured to open the insertion hole.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구는,
상기 안착공간에 안착된 상기 진동유닛의 둘레 내측에 배치되도록 구성되는 화장 퍼프.
8. The method of claim 7,
The insert is
A makeup puff configured to be disposed inside the periphery of the vibration unit seated in the seating space.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체의 일면에 배치되어 상기 삽입구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양극, 음극 단자부로서, 상기 모터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손가락에 의해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양극, 음극 단자부;를 포함하는 화장 퍼프.
8. The method of claim 7,
A makeup puff comprising a; positive and negative terminal portions disposed on one surface of the vibrating body and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insertion hole, positive and negative terminals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by fingers to supply power to the motor.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퍼프구조체는,
손가락이 삽입되도록 상기 제 2 몸체를 감싸는 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양극, 음극 단자부는 상기 삽입구를 통해 상기 밴드부와 마주하도록 구성되는 화장 퍼프.
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puff structure,
Including; a band portion surrounding the second body so that a finger is inserted,
The positive and negative terminal portions are configured to face the band portion through the insertion hole.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양극, 음극 단자부는,
상기 진동체의 중심과 인접하게 배치되되, 상호 이격배치되는 화장 퍼프.
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positive and negative terminal parts,
A makeup puff that is disposed adjacent to the center of the vibrating body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양극, 음극 단자부는,
상호 마주하는 제 1, 2 둘레부를 각각 포함하고,
상기 제 1, 2 둘레부는 동일한 간격을 갖도록 상호 나란하게 배치되는 화장 퍼프.
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positive and negative terminal parts,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peripheral portions facing each other,
The first and second peripheral portions are arranged in parallel with each other to have the same spacing.
KR1020190157326A 2019-11-29 2019-11-29 Puff for Cosmetic KR20210067564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7326A KR20210067564A (en) 2019-11-29 2019-11-29 Puff for Cosmetic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7326A KR20210067564A (en) 2019-11-29 2019-11-29 Puff for Cosmetic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7564A true KR20210067564A (en) 2021-06-08

Family

ID=763994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7326A KR20210067564A (en) 2019-11-29 2019-11-29 Puff for Cosmetic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67564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86438A (en) 2021-12-08 2023-06-15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Method and apparatus of signal classification with noise immunity, and uav signal classification system using the sam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86438A (en) 2021-12-08 2023-06-15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Method and apparatus of signal classification with noise immunity, and uav signal classification system using the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18830542U (en) Earphone set
TWI714555B (en) Electrode member
US7282036B2 (en) Cosmetic device having vibrator
TWI803560B (en) beauty device
JP2015091341A (en) Massage device having flexible lower structure
EP3741426A1 (en) Nerve stimulator
CN109922398A (en) A kind of bone-conduction speaker
US11611224B2 (en) Electronic device and charging module system comprising same
KR20210067564A (en) Puff for Cosmetic
KR101005916B1 (en) Apparatus for breast massaging
CN206566177U (en) Massage comb
EP3936105A1 (en) Massaging tool
CN209437630U (en) Cosmetic apparatus
KR102300676B1 (en) Elastic vibrating body and vibrating puff having the same
CN211273160U (en) Massage device
WO2021263098A1 (en) Vibrotactile stimulation
CN209984562U (en) Massage head and neck massager
CN117561098A (en) Beauty device
CN211357443U (en) Neck massager
CN213759377U (en) Massage assembly, expansion part and massage instrument
KR101628299B1 (en) Electrode pad
CN218739515U (en) Vibration massage unit and massage apparatus
KR101566781B1 (en) Electrode pad
US20230039362A1 (en) Vibration stimulation device
KR20150067538A (en) Hair comb operating no a power source magnetic vibrate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