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67492A - 안전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안전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67492A
KR20210067492A KR1020190157176A KR20190157176A KR20210067492A KR 20210067492 A KR20210067492 A KR 20210067492A KR 1020190157176 A KR1020190157176 A KR 1020190157176A KR 20190157176 A KR20190157176 A KR 20190157176A KR 20210067492 A KR20210067492 A KR 202100674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monitoring
module
target area
war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71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94350B1 (ko
Inventor
강상찬
Original Assignee
강상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상찬 filed Critical 강상찬
Priority to KR10201901571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4350B1/ko
Publication of KR202100674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74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43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43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05Specific application combined with child monitoring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 G08B21/0208Combination with audio or video communication, e.g. combination with "baby phone" fun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20/00Machine learn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3/00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biological models
    • G06N3/02Neural networks
    • G06N3/08Learning method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Multimedia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Alarm Systems (AREA)
  • Emergency Alarm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불안전한 행동을 감지하여 스피커를 선택적으로 구동하여 효율적으로 경고할 수 있는 안전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각각 감시대상영역별로 설치되어 작업자의 영상데이터를 생성하고, 경고 신호 및/또는 주의 방송을 출력하는 복수의 감시장치, 및 상기 복수의 감시장치 각각으로부터 상기 영상데이터를 수집하여 상기 영상데이터에서 불안전 행동 유무를 확인하고, 불안전 행동이 확인된 감시대상영역에 설치된 상기 감시장치로 상기 경고 신호 및/또는 상기 주의 방송을 송신하는 데이터 처리장치를 포함하는, 안전 관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안전 관리 시스템{SAFETY MANAGEMENT SYSTEM}
본 발명은 안전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불안전한 행동을 감지하여 스피커를 선택적으로 구동하여 효율적으로 경고할 수 있는 안전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설 및 산업 현장은 수많은 작업 인력이 투입되어 동시에 여러 작업이 진행되는 노동집약적인 산업의 장소로서, 투입되는 인력에 대한 체계적이며 효과적인 안전관리가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그런데 건설 및 산업 현장은 현장 자체에 내재되어 있는 다양한 환경으로부터 기인하는 위험성이나 작업자의 사소한 부주의로 인하여 안전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여 귀중한 인적자원이 손실되는 치명적인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건설 및 산업 현장에는 다양한 분야의 작업자들이 배치되어져서 각자의 작업을 수행하게 되는데, 이러한 작업자들의 수에 비해 상대적으로 관리자의 수가 극히 적고, 실외 작업시 현장 관리자의 통제와 관리가 제한되는 영역이 발생하게 되어 현장 내 인력에 대한 효율적이고 정확한 관리가 이루어지지 않는다.
이와 같이 관리자에 의한 직접 관리 감독은 그 자체가 항시적이지 않고 또한 인력이 많이 지원되지 않는 이유로 인해 완벽한 관리가 되지 못하므로 인력에 의존하지 않고 24시간 재해를 감시할 수 있는 시스템이 절실하게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06095호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건설현장에서 카메라로 불안전한 행동을 파악하여 관리자에게 보고하는 안전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불안전한 행동을 감지할 경우 가장 가까운 카메라에 연결된 통지장치를 선택적으로 구동하여 효율적으로 경고메시지를 전송하는 안전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각각 감시대상영역별로 설치되어 작업자의 영상데이터를 생성하고, 경고 신호 및/또는 주의 방송을 출력하는 복수의 감시장치, 및 상기 복수의 감시장치 각각으로부터 상기 영상데이터를 수집하여 상기 영상데이터에서 불안전 행동 유무를 확인하고, 불안전 행동이 확인된 감시대상영역에 설치된 상기 감시장치로 상기 경고 신호 및/또는 상기 주의 방송을 송신하는 데이터 처리장치를 포함하는, 안전 관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처리장치는, 상기 복수의 감시 모듈 각각으로부터 상기 영상데이터를 수집하여 상기 영상데이터 각각을 프레임별로 분석하고, 분석된 프레임별로 이미지 프로세싱을 적용하여 전처리 데이터를 취득하는 데이터 전처리 모듈, 상기 데이터 전처리 모듈로부터 상기 전처리 데이터를 수신하여 하기 데이터 학습 모듈 및/또는 하기 데이터 분석 모듈로 전송하는 게이트웨이 모듈, 상기 게이트웨이 모듈로부터 수신한 상기 전처리 데이터에 머신 러닝을 적용하여 불안전 행동을 학습시키고 안전 모델링 데이터를 설정하는 데이터 학습 모듈, 및 상기 게이트웨이 모듈로부터 수신한 상기 전처리 데이터를 상기 안전 모델링 데이터와 비교하여 불안전 행동 유무를 확인하는 데이터 분석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처리장치는, 상기 데이터 분석 모듈로부터 확인 결과를 수신하여 불안전 행동이 확인된 감시대상영역에 설치된 상기 감시장치로 경고 신호 및/또는 주의 방송을 송신하거나, 관리자에게 이미지 및/또는 사운드로 보고하는 모니터링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감시장치는, 상기 감시대상영역을 촬영하여 상기 감시대상영역의 영상데이터를 생성하는 카메라, 상기 감시대상영역의 영상데이터를 상기 데이터 처리장치로 송신하고 상기 경고 알림 및/또는 상기 주의 방송을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경고 알림 및/또는 상기 주의 방송을 사운드로 출력하는 스피커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건설현장에서 카메라로 불안전한 행동을 파악하여 관리자에게 보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건설 현장에서 카메라로 불안전 행동을 파악하여 불안전 행동자와 가장 가까운 카메라와 연결된 통지장치를 선택적으로 구동하여 효율적으로 경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잦은 빈도의 경고로 인해 경고에 무감각해지지 않게 만들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관리 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을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감시장치의 구성를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접속, 접촉, 결합)"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관리 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을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감시장치의 구성를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관리 시스템은 각각 감시대상영역별로 설치되어 작업자의 영상데이터를 생성하고, 경고 신호 및/또는 주의 방송을 출력하는 복수의 감시장치(100) 및 상기 복수의 감시장치(100) 각각으로부터 상기 영상데이터를 수집하여 상기 영상데이터에서 불안전 행동 유무를 확인하고, 불안전 행동이 확인된 감시대상영역에 설치된 상기 감시장치(100)로 상기 경고 신호 및/또는 상기 주의 방송을 송신하는 데이터 처리장치(20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감시장치(100)는 상기 감시대상영역을 촬영하여 상기 감시대상영역의 영상데이터를 생성하는 카메라(110), 상기 감시대상영역의 영상데이터를 상기 데이터 처리장치(200)로 송신하고 상기 경고 알림 및/또는 상기 주의 방송을 수신하는 통신부(120) 및 상기 경고 알림 및/또는 상기 주의 방송을 사운드로 출력하는 스피커(1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감시장치(100)는 복수의 감시대상영역 각각을 촬영하여 영상데이터로 생성 및/또는 변경하여 디지털 영상으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데이터 처리장치(200)는 상기 복수의 감시장치(100) 각각으로부터 상기 영상데이터를 수집하여 상기 영상데이터 각각을 프레임별로 분석하고, 분석된 프레임별로 이미지 프로세싱을 적용하여 전처리 데이터를 취득하는 데이터 전처리 모듈(210), 상기 데이터 전처리 모듈(210)로부터 상기 전처리 데이터를 수신하여 하기 데이터 학습 모듈(230) 및/또는 하기 데이터 분석 모듈(240)로 전송하는 게이트웨이 모듈(220), 상기 게이트웨이 모듈(220)로부터 수신한 상기 전처리 데이터에 머신 러닝을 적용하여 불안전 행동을 학습시키고 안전 모델링 데이터를 설정하는 데이터 학습 모듈(230) 및 상기 게이트웨이 모듈(220)로부터 수신한 상기 전처리 데이터를 상기 안전 모델링 데이터와 비교하여 불안전 행동 유무를 확인하는 데이터 분석 모듈(24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데이터 학습 모듈(230)은 작업자가 안전모를 착용하지 않은 상태 등의 불안전 행동을 학습시켜 안전 모델링 데이터를 설정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상기 데이터 학습 모듈(230)은 기상 정보를 적용하여 작업자의 불안전 행동을 학습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데이터 학습 모듈(230)은 우천시 작업자가 우의를 입지 않았거나, 번개가 칠 때 금속(전도성) 자재를 운반 중일 경우 불안전 행동으로 학습시켜 안전 모델링 데이터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데이터 분석 모듈(240)은 상기 전처리 데이터와 상기 안전 모델링 데이터를 영상 분석 방법으로 분석 및/또는 비교하고, 비교 결과로 불안전 행동 유무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데이터 분석 모듈(240)은 기상 정보를 적용하여 불안전 행동 유무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데이터 처리장치(200)는 상기 데이터 분석 모듈(240)로부터 확인 결과를 수신하여 불안전 행동이 확인된 감시대상영역에 설치된 상기 감시장치(100)로 경고 신호 및/또는 주의 방송을 송신하거나, 관리자에게 이미지 및/또는 사운드로 보고하는 모니터링 모듈(2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모니터링 모듈(250)은 불안전 행동자(안전모 미착용자)에 가장 인접한 상기 감시장치(100)의 영상데이터를 기초로 가장 인접한 상기 감시장치(100)에만 상기 경고 신호 및/또는 상기 주의 방송을 송신하여 스피커(130)를 선택적으로 구동시킬 수 있다. 이는, 건설 현장 전체에 스피커(130)의 사운드가 울리지 않게 함으로써 다수에게 통보되는 비효율적인 문제점을 해소하고, 잦은 빈도의 경고로 인해 경고에 무감각해지지 않게 만드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모니터링 모듈(250)은 스피커로 경고 신호 및 주의 방송을 출력시킨 다음 클라우드 서버로 불안전 행동의 확인 결과를 전송하여 불안전한 행동 사진 및/또는 동영상을 저장시키고, 관리자의 휴대단말기 및 이메일로 불안전한 행동 사진 및/또는 동영상을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모니터링 모듈(250)은 불안전 행동이 발견된 경우 1차 경고로 상기 감시장치(100)의 스피커(130)를 통하여 안전모 착용지시를 알릴 수 있다. 그 다음, 상기 모니터링 모듈(250)은 클라우드 서버에 불안전 행동에 대한 사진 및/또는 동영상을 저장시키고, 불안전 행동에 대한 사진 및/또는 동영상을 관리자에게 SNS, 문자 및/또는 이메일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건설현장에서 카메라로 불안전한 행동을 파악하여 관리자에게 보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건설 현장에서 카메라로 불안전 행동을 파악하여 불안전 행동자와 가장 가까운 카메라와 연결된 통지장치를 선택적으로 구동하여 효율적으로 경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잦은 빈도의 경고로 인해 경고에 무감각해지지 않게 만들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감시장치
110: 카메라
120: 통신부
130: 스피커
200: 데이터 처리장치
210: 데이터 전처리 모듈
220: 게이트웨이 모듈
230: 데이터 학습 모듈
240: 데이터 분석 모듈
250: 모니터링 모듈

Claims (4)

  1. 각각 감시대상영역별로 설치되어 작업자의 영상데이터를 생성하고, 경고 신호 및/또는 주의 방송을 출력하는 복수의 감시장치; 및
    상기 복수의 감시장치 각각으로부터 상기 영상데이터를 수집하여 상기 영상데이터에서 불안전 행동 유무를 확인하고, 불안전 행동이 확인된 감시대상영역에 설치된 상기 감시장치로 상기 경고 신호 및/또는 상기 주의 방송을 송신하는 데이터 처리장치;
    를 포함하는, 안전 관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처리장치는,
    상기 복수의 감시 모듈 각각으로부터 상기 영상데이터를 수집하여 상기 영상데이터 각각을 프레임별로 분석하고, 분석된 프레임별로 이미지 프로세싱을 적용하여 전처리 데이터를 취득하는 데이터 전처리 모듈;
    상기 데이터 전처리 모듈로부터 상기 전처리 데이터를 수신하여 하기 데이터 학습 모듈 및/또는 하기 데이터 분석 모듈로 전송하는 게이트웨이 모듈;
    상기 게이트웨이 모듈로부터 수신한 상기 전처리 데이터에 머신 러닝을 적용하여 불안전 행동을 학습시키고 안전 모델링 데이터를 설정하는 데이터 학습 모듈; 및
    상기 게이트웨이 모듈로부터 수신한 상기 전처리 데이터를 상기 안전 모델링 데이터와 비교하여 불안전 행동 유무를 확인하는 데이터 분석 모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관리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처리장치는,
    상기 데이터 분석 모듈로부터 확인 결과를 수신하여 불안전 행동이 확인된 감시대상영역에 설치된 상기 감시장치로 경고 신호 및/또는 주의 방송을 송신하거나, 관리자에게 이미지 및/또는 사운드로 보고하는 모니터링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관리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시장치는,
    상기 감시대상영역을 촬영하여 상기 감시대상영역의 영상데이터를 생성하는 카메라;
    상기 감시대상영역의 영상데이터를 상기 데이터 처리장치로 송신하고 상기 경고 알림 및/또는 상기 주의 방송을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경고 알림 및/또는 상기 주의 방송을 사운드로 출력하는 스피커;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관리 시스템.
KR1020190157176A 2019-11-29 2019-11-29 안전 관리 시스템 KR1022943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7176A KR102294350B1 (ko) 2019-11-29 2019-11-29 안전 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7176A KR102294350B1 (ko) 2019-11-29 2019-11-29 안전 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7492A true KR20210067492A (ko) 2021-06-08
KR102294350B1 KR102294350B1 (ko) 2021-08-26

Family

ID=763998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7176A KR102294350B1 (ko) 2019-11-29 2019-11-29 안전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435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65374A1 (ko) * 2021-06-17 2022-12-22 에스케이에코플랜트(주) 건설 현장 커뮤니케이션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시스템
KR102616121B1 (ko) * 2023-06-21 2023-12-20 (주)정도 스마트 리프팅 로봇과 ai영상분석을 활용한 osc 시공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81735A (ko) * 2014-12-31 2016-07-08 주식회사 포스코아이씨티 작업자 행동기반 안전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170006095A (ko) 2015-07-07 2017-01-17 주식회사 피식스컨설팅 건설현장 및 산업현장의 안전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90088581A (ko) * 2018-01-02 2019-07-29 (주)코에버정보기술 Fbd 머신러닝 기반의 동적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81735A (ko) * 2014-12-31 2016-07-08 주식회사 포스코아이씨티 작업자 행동기반 안전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170006095A (ko) 2015-07-07 2017-01-17 주식회사 피식스컨설팅 건설현장 및 산업현장의 안전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90088581A (ko) * 2018-01-02 2019-07-29 (주)코에버정보기술 Fbd 머신러닝 기반의 동적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65374A1 (ko) * 2021-06-17 2022-12-22 에스케이에코플랜트(주) 건설 현장 커뮤니케이션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시스템
KR102616121B1 (ko) * 2023-06-21 2023-12-20 (주)정도 스마트 리프팅 로봇과 ai영상분석을 활용한 osc 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94350B1 (ko) 2021-08-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10614B2 (en) Total property intelligence system
US20100231714A1 (en) Video pattern recognition for automating emergency service incident awareness and response
CN211293956U (zh) 基于ai的施工现场异常行为人的识别和告警系统
KR102294350B1 (ko) 안전 관리 시스템
CN108922114A (zh) 安防监测方法和系统
CN109460744B (zh) 一种基于深度学习的视频监控系统
CN113011833A (zh) 施工现场的安全管理方法、装置、计算机设备和存储介质
KR20200031251A (ko) 천장 레일형 IoT 기반 감시 로봇 장치
KR102219809B1 (ko) 영상 분석을 통한 안전작업관리 시스템
CN105023398A (zh) 电力设备可视化监测报警系统
KR20100006203A (ko) 문화재 관리 시스템 및 방법
US20180130339A1 (en) System & methods for critical infrastructure automation
CN109448306B (zh) 使用火灾重演技术的针对火焰检测器的远程诊断
CN103116968A (zh) 一种基于图形化报警流程自定义的方法
CN111160272B (zh) 一种图像智能故障判断预警系统
KR20180078593A (ko) 네트워크 대역 이상검지 시스템
CN105721237A (zh) 使用安全系统的装备和网络健康监控
CN115497268A (zh) 一种基于智慧工地的人员定位管理系统及应用
KR100889875B1 (ko) 역사의 통합장비 관리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KR20120118339A (ko) 지능형 무인 감시 서비스 방법
US10639737B1 (en) Welding system and method
CN105629857A (zh) 一种用于监控飞行训练设备环境的系统
CN104008632A (zh) 一种应急报警系统
KR20230158352A (ko) 인공지능 영상분석 기반의 산업현장 안전 관리 시스템
GB2592035A (en) Object location status monitoring apparatus and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