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66883A - 다운링크 제어 채널의 전송 및 수신 방법, 단말 및 네트워크측 기기 - Google Patents

다운링크 제어 채널의 전송 및 수신 방법, 단말 및 네트워크측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66883A
KR20210066883A KR1020217012710A KR20217012710A KR20210066883A KR 20210066883 A KR20210066883 A KR 20210066883A KR 1020217012710 A KR1020217012710 A KR 1020217012710A KR 20217012710 A KR20217012710 A KR 20217012710A KR 20210066883 A KR20210066883 A KR 202100668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eset
downlink control
control channel
coresets
target cores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127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레이 왕
토니 에크펀융
Original Assignee
다탕 모바일 커뮤니케이션즈 이큅먼트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탕 모바일 커뮤니케이션즈 이큅먼트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다탕 모바일 커뮤니케이션즈 이큅먼트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100668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688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4W72/042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3Allocation of signaling, i.e. of overhead other than pilot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24Cell structures
    • H04W16/28Cell structures using beam stee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14Three-dimensional division
    • H04L5/0023Time-frequency-spa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8Testing, supervising or monitoring using real traffi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2Selection of wireless resources by user or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6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the resource being in the space domain, e.g. bea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8Non-scheduled access, e.g. ALOHA
    • H04W74/0808Non-scheduled access, e.g. ALOHA using carrier sensing, e.g. 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CSMA]
    • H04W74/0816Non-scheduled access, e.g. ALOHA using carrier sensing, e.g. 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CSMA] with collision avoidan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개시는 다운링크 제어 채널의 전송 방법, 단말 및 네트워크측 기기를 제공하며, 상기 방법은: 상이한 빔 방향을 구성한 상이한 CORESET내에서 전송하는 검색 공간의 모니터링 시각에 충돌이 발생할 때, 충돌이 발생한 검색 공간의 타입에 근거하여 상이한 CORESET에서 타깃 CORESET를 선택하는 단계 - 상기 모니터링 시각에 충돌이 발생한다는 것은 모니터링 시각이 동일하며, 또한 상기 상이한 CORESET가 구성한 자원이 중첩되거나, 또는, 모니터링 시각의 시간 간격이 지정된 도어값보다 작은 것임 -; 및 상기 타깃 CORESET의 빔 방향에 따라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검측 및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다운링크 제어 채널의 전송 방법, 단말 및 네트워크측 기기
본 출원은 2018년 9월 28일 중국 특허청에 제출한, 출원번호 제 201811143057.1호의 우선권을 주장하며, 그 전체 내용을 참조로서 본 출원에 원용한다.
본 개시는 통신 기술 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다운링크 제어 채널의 전송 방법, 단말 및 네트워크측 기기에 관한 것이다.
5G(5th-Generation, 제5대 이동 통신 기술) 시스템에 CORESET(control-resource set, 제어 자원 세트)의 개념을 인입하였다. CORESET의 시간 영역 자원은 1~3개의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직교 주파수 분할 멀티플렉싱 기술) 심볼로 구성되고, 주파수 영역에서는 길이가 45의 bitmap(비트맵)을 통해 연속 6개의 RB(Resource Block, 자원 블록)을 입도로 하는 연속 또는 입산한 여러개의 자원 세트를 지시하며 자원 구성이 아주 영활하다. 상이한 모니터링 주기를 가지고 있는 검색공간은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한 CORESET내에서 전송한다. 각 CORESET는 독립적으로 빔 방향을 구성할 수 있으며, 즉 상이한 CORESET는 상이한 빔 방향(즉 Type-D QCL)을 구성할 수 있다. 상이한 빔 방향을 구성한 CORESET가 구성한 자원상에서 중합(또는 중첩)이 있으며 상이한 CORESET에 귀속한 검색공간이 동일한 하나의 PDCCH 모니터링 시각에 충돌이 발생할 때, 단말은 단지 하나의 빔 방향상의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고, 이때 기지국과 단말의 행위는 현재 명확한 정의가 없다.
본 개시의 실시예는 다운링크 제어 채널의 전송 방법, 단말 및 네트워크측 기기를 제공하여, 현재 상이한 빔 방향을 구성한 CORESET가 물리 자원상에서 중합이 있을 경우, 기지국과 단말의 행위가 명확한 정의가 없는 문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상술한 목적을 이루기 위하여, 제1 측면에서, 본 개시의 실시예는 단말에 응용하는 다운링크 제어 채널의 전송 방법을 제공하며, 상기 방법은:
상이한 빔 방향을 구성한 상이한 제어 자원 세트(CORESET)내에서 전송한 검색 공간의 모니터링 시각에 충돌이 발생할 때, 충돌이 발생한 검색 공간의 타입에 근거하여 상이한 CORESET에서 타깃 CORESET를 선택하는 단계 - 상기 모니터링 시각에 충돌이 발생한다는 것은 모니터링 시각이 동일하며, 또한 상기 상이한 CORESET가 구성한 자원이 중첩되거나, 또는, 모니터링 시각의 시간 간격이 지정된 도어값보다 작은 것임 -; 및
상기 타깃 CORESET의 빔 방향에 따라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검측 및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충돌이 발생한 검색 공간의 타입에 근거하여 상이한 CORESET에서 타깃 CORESET를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충돌이 발생한 검색 공간 중의 하나만 공통 검색 공간일 때, 상기 공통 검색 공간을 전송하는 CORESET을 상기 타깃 CORESET으로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충돌이 발생한 검색 공간의 타입에 근거하여 상이한 CORESET에서 타깃 CORESET를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충돌이 발생한 검색 공간 중의 적어도 두개가 공통 검색 공간일 때, 상기 공통 검색 공간을 전송하는 적어도 두개의 CORESET에서 번호가 가장 작은 CORESET을 상기 타깃 CORESET으로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충돌이 발생한 검색 공간의 타입에 근거하여 상이한 CORESET에서 타깃 CORESET를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충돌이 발생한 검색 공간이 모두 전용 검색 공간일 때, 상기 상이한 CORESET에서 번호가 가장 작은 CORESET을 상기 타깃 CORESET으로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타깃 CORESET의 빔 방향에 따라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검측 및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상이한 CORESET내에서 모두 상기 타깃 CORESET의 빔 방향에 따라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검측 및 수신하는 단계; 또는,
상기 타깃 CORESET내에서만 상기 타깃 CORESET의 빔 방향에 따라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검측 및 수신하며, 상기 상이한 CORESET 중의 상기 타깃 CORESET를 제외한 기타 CORESET내에서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검측하지 않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2 측면에서, 본 개시의 실시예는 네트워크측 기기에 응용하는 다운링크 제어 채널의 전송 방법을 제공하며, 상기 방법은:
상이한 빔 방향을 구성한 상이한 CORESET내에서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송신해야 할 시각에 충돌이 발생할 때,
상기 상이한 CORESET내에서 충돌이 발생한 검색 공간의 타입에 근거하여, 상기 상이한 CORESET에서 타깃 CORESET을 선택하고, 상기 타깃 CORESET의 빔 방향에 따라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송신하는 단계; 또는,
상기 상이한 CORESET내에서 각자의 빔 방향에 따라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각각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송신해야 할 시각에 충돌이 발생한다는 것은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송신하는 시각이 동일하며, 또한 상기 상이한 CORESET가 구성한 자원이 중첩되거나, 또는,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송신하는 시간 간격이 지정된 도어값보다 작다는 것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상이한 CORESET내에서 충돌이 발생한 검색 공간의 타입에 근거하여, 상기 상이한 CORESET에서 타깃 CORESET을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충돌이 발생한 검색 공간 중의 하나만 공통 검색 공간일 때, 상기 공통 검색 공간을 전송하는 CORESET을 상기 타깃 CORESET으로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상이한 CORESET내에서 충돌이 발생한 검색 공간의 타입에 근거하여, 상기 상이한 CORESET에서 타깃 CORESET을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충돌이 발생한 검색 공간 중의 적어도 두개가 공통 검색 공간일 때, 상기 공통 검색 공간을 전송하는 적어도 두개의 CORESET에서 번호가 가장 작은 CORESET을 상기 타깃 CORESET으로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상이한 CORESET내에서 충돌이 발생한 검색 공간의 타입에 근거하여, 상기 상이한 CORESET에서 타깃 CORESET을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충돌이 발생한 검색 공간이 모두 전용 검색 공간일 때, 상기 상이한 CORESET에서 번호가 가장 작은 CORESET을 상기 타깃 CORESET으로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타깃 CORESET의 빔 방향에 따라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상이한 CORESET내에서 모두 상기 타깃 CORESET의 빔 방향에 따라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송신하는 단계; 또는,
상기 타깃 CORESET내에서만 상기 타깃 CORESET의 빔 방향에 따라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송신하며, 상기 상이한 CORESET 중의 상기 타깃 CORESET를 제외한 기타 CORESET내에서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송신하지 않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3 측면에서, 본 개시의 실시예는 단말을 제공하며, 상기 단말은:
상이한 빔 방향을 구성한 상이한 제어 자원 세트(CORESET)내에서 전송한 검색 공간의 모니터링 시각에 충돌이 발생할 때, 충돌이 발생한 검색 공간의 타입에 근거하여 상이한 CORESET에서 타깃 CORESET를 선택하기 위한 제1 타깃 CORESET 확정 모듈 - 상기 모니터링 시각에 충돌이 발생한다는 것은 모니터링 시각이 동일하며, 또한 상기 상이한 CORESET가 구성한 자원이 중첩되거나, 또는, 모니터링 시각의 시간 간격이 지정된 도어값보다 작은 것임 -; 및
상기 타깃 CORESET의 빔 방향에 따라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검측 및 수신하는 검측 및 수신 모듈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타깃 CORESET 확정 모듈은;
상기 충돌이 발생한 검색 공간 중의 하나만 공통 검색 공간일 때, 상기 공통 검색 공간을 전송하는 CORESET을 상기 타깃 CORESET으로 확정하는 제1 확정 유닛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타깃 CORESET 확정 모듈은;
상기 충돌이 발생한 검색 공간 중의 적어도 두개가 공통 검색 공간일 때, 상기 공통 검색 공간을 전송하는 적어도 두개의 CORESET에서 번호가 가장 작은 CORESET을 상기 타깃 CORESET으로 선택하는 제2 확정 유닛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타깃 CORESET 확정 모듈은;
상기 충돌이 발생한 검색 공간이 모두 전용 검색 공간일 때, 상기 상이한 CORESET에서 번호가 가장 작은 CORESET을 상기 타깃 CORESET으로 선택하는 제3 확정 유닛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검측 및 수신 모듈은:
상기 상이한 CORESET내에서 모두 상기 타깃 CORESET의 빔 방향에 따라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검측 및 수신하는 제1 검측 및 수신 유닛; 또는,
상기 타깃 CORESET내에서만 상기 타깃 CORESET의 빔 방향에 따라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검측 및 수신하며, 상기 상이한 CORESET 중의 상기 타깃 CORESET를 제외한 기타 CORESET내에서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검측 및 수신하지 않는 제2 검측 및 수신 유닛;을 포함한다.
제4 측면에서, 본 개시의 실시예는 네트워크측 기기를 제공하며, 상기 네트워크측 기기는:
상이한 빔 방향을 구성한 상이한 CORESET가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송신해야 할 시각에 충돌이 발생할 때, 상기 상이한 CORESET내에서 충돌이 발생한 검색 공간의 타입에 근거하여, 상기 상이한 CORESET에서 타깃 CORESET을 선택하고, 상기 타깃 CORESET의 빔 방향에 따라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송신하거나, 또는, 상기 상이한 CORESET내에서 각자의 빔 방향에 따라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각각 송신하기 위한 송신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송신해야 할 시각에 충돌이 발생한다는 것은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송신하는 시각이 동일하며, 또한 상기 상이한 CORESET가 구성한 자원이 중첩되거나, 또는,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송신하는 시간 간격이 지정된 도어값보다 작은 것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송신 모듈은:
상기 충돌이 발생한 검색 공간 중의 하나만 공통 검색 공간일 때, 상기 공통 검색 공간을 전송하는 CORESET을 상기 타깃 CORESET으로 확정하는 제4 확정 유닛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송신 모듈은:
상기 충돌이 발생한 검색 공간 중의 적어도 두개가 공통 검색 공간일 때, 상기 공통 검색 공간을 전송하는 적어도 두개의 CORESET에서 번호가 가장 작은 CORESET을 상기 타깃 CORESET으로 선택하는 제5 확정 유닛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송신 모듈은:
상기 충돌이 발생한 검색 공간이 모두 전용 검색 공간일 때, 상기 상이한 CORESET에서 번호가 가장 작은 CORESET을 상기 타깃 CORESET으로 선택하는 제6 확정 유닛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송신 모듈은:
상기 상이한 CORESET내에서 모두 상기 타깃 CORESET의 빔 방향에 따라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송신하는 제1 송신 유닛; 또는,
상기 타깃 CORESET내에서만 상기 타깃 CORESET의 빔 방향에 따라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송신하며, 상기 상이한 CORESET 중의 상기 타깃 CORESET을 제외한 기타 CORESET내에서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송신하지 않는 제2 송신 유닛;을 포함한다.
제5 측면에서, 본 개시의 실시예는 단말을 제공하며, 송수신기, 메모리, 프로세서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며 상기 프로세서에서 실행 가능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이한 빔 방향을 구성한 상이한 제어 자원 세트(CORESET)내에서 전송한 검색 공간의 모니터링 시각에 충돌이 발생할 때, 충돌이 발생한 검색 공간의 타입에 근거하여 상이한 CORESET에서 타깃 CORESET를 선택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모니터링 시각에 충돌이 발생한다는 것은 모니터링 시각이 동일하며, 또한 상기 상이한 CORESET가 구성한 자원이 중첩되거나, 또는, 모니터링 시각의 시간 간격이 지정된 도어값보다 작고;
상기 송수신기는 상기 타깃 CORESET의 빔 방향에 따라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검측 및 수신하기 위한 것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충돌이 발생한 검색 공간 중의 하나만 공통 검색 공간일 때, 상기 공통 검색 공간을 전송하는 CORESET을 상기 타깃 CORESET으로 확정하기 위한 것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충돌이 발생한 검색 공간 중의 적어도 두개가 공통 검색 공간일 때, 상기 공통 검색 공간을 전송하는 적어도 두개의 CORESET에서 번호가 가장 작은 CORESET을 상기 타깃 CORESET으로 선택하기 위한 것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충돌이 발생한 검색 공간이 모두 전용 검색 공간일 때, 상기 상이한 CORESET에서 번호가 가장 작은 CORESET을 상기 타깃 CORESET으로 선택하기 위한 것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송수신기는 상기 상이한 CORESET내에서 모두 상기 타깃 CORESET의 빔 방향에 따라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검측 및 수신하거나; 또는, 상기 타깃 CORESET내에서만 상기 타깃 CORESET의 빔 방향에 따라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검측 및 수신하며, 상기 상이한 CORESET 중의 상기 타깃 CORESET를 제외한 기타 CORESET내에서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검측하지 않기 위한 것이다.
제6 측면에서, 본 개시의 실시예는 네트워크측 기기를 제공하며, 송수신기, 메모리, 프로세서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며 상기 프로세서에서 실행 가능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이한 빔 방향을 구성한 상이한 CORESET내에서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송신해야 할 시각에 충돌이 발생할 때, 상기 상이한 CORESET내에서 충돌이 발생한 검색 공간의 타입에 근거하여, 상기 상이한 CORESET에서 타깃 CORESET을 선택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송수신기는 상기 타깃 CORESET의 빔 방향에 따라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송신하기 위한 것이거나; 또는,
상기 송수신기는 상이한 빔 방향을 구성한 상이한 CORESET내에서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송신해야 할 시각에 충돌이 발생할 때, 상기 상이한 CORESET내에서 각자의 빔 방향에 따라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각각 송신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송신해야 할 시각에 충돌이 발생한다는 것은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송신하는 시각이 동일하며, 또한 상기 상이한 CORESET가 구성한 자원이 중첩되거나, 또는,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송신하는 시간 간격이 지정된 도어값보다 작다는 것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충돌이 발생한 검색 공간 중의 하나만 공통 검색 공간일 때, 상기 공통 검색 공간을 전송하는 CORESET을 상기 타깃 CORESET으로 확정하기 위한 것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충돌이 발생한 검색 공간 중의 적어도 두개가 공통 검색 공간일 때, 상기 공통 검색 공간을 전송하는 적어도 두개의 CORESET에서 번호가 가장 작은 CORESET을 상기 타깃 CORESET으로 선택하기 위한 것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충돌이 발생한 검색 공간이 모두 전용 검색 공간일 때, 상기 상이한 CORESET에서 번호가 가장 작은 CORESET을 상기 타깃 CORESET으로 선택하기 위한 것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송수신기는 상기 상이한 CORESET내에서 모두 상기 타깃 CORESET의 빔 방향에 따라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송신하거나; 또는, 상기 타깃 CORESET내에서만 상기 타깃 CORESET의 빔 방향에 따라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송신하며, 상기 상이한 CORESET 중의 상기 타깃 CORESET을 제외한 기타 CORESET내에서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송신하지 않기 위한 것이다.
제7 측면에서, 본 개시의 실시예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를 제공하며,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으며,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술한 다운링크 제어 채널의 전송 방법에서의 단계를 구현한다.
본 개시의 상술한 실시예의 기술방안은 아래와 같은 유익한 효과가 있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서, 상이한 빔 방향을 구성한 상이한 제어 자원 세트(CORESET)내에서 전송한 검색 공간의 모니터링 시각에 충돌이 발생할 때, 충돌이 발생한 검색 공간의 타입에 근거하여 상이한 CORESET에서 타깃 CORESET를 선택하고, 상기 타깃 CORESET의 빔 방향에 따라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검측 및 수신하며, 상기 모니터링 시각에 충돌이 발생한다는 것은 모니터링 시각이 동일하며, 또한 상기 상이한 CORESET가 구성한 자원이 중첩되거나, 또는, 모니터링 시각의 시간 간격이 지정된 도어값보다 작은 것이다. 이로 하여, 상이한 빔 방향을 구성한 상이한 CORESET가 물리 자원상에서 충돌이 발생(즉 구성한 자원이 중첩이 존재하며 또한 동일한 시각에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검측해야 되거나, 또는 간격이 비교적 작은 인접 시각에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검측해야 하는 것)할 때, 단말과 기지국의 행위는 명확한 정의가 있기에, 다운링크 제어 채널이 성공적으로 수신되는 것을 보장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 중의 단말에 응용되는 다운링크 제어 채널의 전송 방법의 플로우차트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 중의 네트워크측 기기에 응용되는 다운링크 제어 채널의 전송 방법의 플로우차트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 중의 단말의 구조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 중의 네트워크측 기기의 구조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 중의 단말의 구조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 중의 네트워크측 기기의 구조 예시도이다.
이하,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의 도면을 결부시켜,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기술방안을 명확하고 완전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일 뿐, 전부의 실시예가 아님은 자명한 것이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을 토대로,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이 창조적 노동을 하지 않는다는 전제하에 얻어지는 모든 기타 실시예들은 모두 본 개시의 보호 범위에 속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도 1은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서 제공한 다운링크 제어 채널의 전송 방법의 플로우차트이며, 해당 방법은 단말에 응용되고, 단계 11과 단계 12를 포함한다.
단계 11: 상이한 빔 방향을 구성한 상이한 제어 자원 세트(CORESET)내에서 전송하는 검색 공간의 모니터링 시각에 충돌이 발생할 때, 충돌이 발생한 검색 공간(search space, SS로 약칭)의 타입에 근거하여 상이한 CORESET에서 타깃 CORESET를 선택하고, 상기 모니터링 시각에 충돌이 발생한다는 것은 모니터링 시각이 동일하며, 또한 상기 상이한 CORESET가 구성한 자원이 중첩되거나, 또는, 모니터링 시각의 시간 간격이 지정된 도어값보다 작은 것이다.
단계 12: 상기 타깃 CORESET의 빔 방향에 따라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검측 및 수신한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서 제공한 다운링크 제어 채널의 전송 방법은, 상이한 빔 방향을 구성한 상이한 제어 자원 세트(CORESET)내에서 전송한 검색 공간의 모니터링 시각에 충돌이 발생할 때, 충돌이 발생한 검색 공간의 타입에 근거하여 상이한 CORESET에서 타깃 CORESET를 선택하고, 상기 타깃 CORESET의 빔 방향에 따라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검측 및 수신하며, 상기 모니터링 시각에 충돌이 발생한다는 것은 모니터링 시각이 동일하며, 또한 상기 상이한 CORESET가 구성한 자원이 중첩되거나, 또는, 모니터링 시각의 시간 간격이 지정된 도어값보다 작은 것이다. 이로 하여, 상이한 빔 방향을 구성한 상이한 CORESET가 물리 자원상에서 충돌이 발생(즉 구성한 자원이 중첩이 존재하며 또한 동일한 시각에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검측해야 되거나, 또는 간격이 비교적 작은 인접 시각에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검측해야 하는 것)할 때, 단말의 행위는 명확한 정의가 있기에, 다운링크 제어 채널이 성공적으로 수신되는 것을 보장한다.
아래에는 예를 들어 상술한 다운링크 제어 채널의 전송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일 선택적인 구체 실시방식으로, 상기 충돌이 발생한 검색 공간의 타입에 근거하여 상이한 CORESET에서 타깃 CORESET를 선택하는 단계(즉 단계 11)는:
상기 충돌이 발생한 검색 공간 중의 하나만 공통 검색 공간(Common Search Space, CSS로 약칭)일 때, 상기 공통 검색 공간을 전송하는 CORESET을 상기 타깃 CORESET으로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서, 단말은 동일한 모니터링 시각 또는 시간 간격이 지정한 도어값보다 작은 두개의 모니터링 시각에, 상이한 CORESET내에서 전송하는 여러 개의 검색 공간을 모니터링할 때, 우선적으로 공통 검색 공간을 수신하며, 즉 충돌이 발생한 검색 공간 중의 공통 검색 공간이 대응하는 CORESET를 상기 타깃 CORESET로 확정하고, 상기 타깃 CORESET의 빔 방향에 따라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검측 및 수신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충돌이 발생한 검색 공간의 타입에 근거하여 상이한 CORESET에서 타깃 CORESET를 선택하는 단계(즉 단계 11)는:
상기 충돌이 발생한 검색 공간 중의 적어도 두개가 공통 검색 공간일 때, 상기 공통 검색 공간을 전송하는 적어도 두개의 CORESET에서 번호가 가장 작은 CORESET을 상기 타깃 CORESET으로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충돌이 발생한 검색 공간의 타입에 근거하여 상이한 CORESET에서 타깃 CORESET를 선택하는 단계(즉 단계 11)는:
상기 충돌이 발생한 검색 공간이 모두 전용 검색 공간(UE-specific search space, USS로 약칭)일 때, 상기 상이한 CORESET에서 번호가 가장 작은 CORESET을 상기 타깃 CORESET으로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타깃 CORESET의 빔 방향에 따라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검측 및 수신하는 단계(단게 12)는:
상기 상이한 CORESET내에서 모두 상기 타깃 CORESET의 빔 방향에 따라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검측 및 수신하는 단계; 또는,
상기 타깃 CORESET내에서만 상기 타깃 CORESET의 빔 방향에 따라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검측 및 수신하며, 상기 상이한 CORESET 중의 상기 타깃 CORESET를 제외한 기타 CORESET내에서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검측하지 않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이한 빔 방향을 구성한 CORESET가 물리 자원상에서 충돌이 발생(즉 구성한 자원이 중첩이 존재하며 또한 검색 공간의 모니터링 시각이 동일하거나, 또는, 모니터링 시각의 간격 시간이 많이 작음)할 때,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는 상술한 단계를 통해 단말의 행위를 명확하게 정의하였다.
도 2를 참조하면, 도 2는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다운링크 제어 채널의 전송 방법의 플로우차트이며, 해당 방법은 네트워크측 기기에 응용되고, 단계 21을 포함한다.
단계 21: 상이한 빔 방향을 구성한 상이한 CORESET내에서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송신해야 할 시각에 충돌이 발생할 때, 상기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송신해야 할 시각에 충돌이 발생한다는 것은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송신하는 시각이 동일하며, 또한 상기 상이한 CORESET가 구성한 자원이 중첩되거나, 또는,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송신하는 시간 간격이 지정된 도어값보다 작다는 것이고,
상기 상이한 CORESET내에서 충돌이 발생한 검색 공간의 타입에 근거하여, 상기 상이한 CORESET에서 타깃 CORESET을 선택하고, 상기 타깃 CORESET의 빔 방향에 따라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송신하거나; 또는, 상기 상이한 CORESET내에서 각자의 빔 방향에 따라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각각 송신한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서 제공한 다운링크 제어 채널의 전송 방법은, 상이한 빔 방향을 구성한 상이한 제어 자원 세트(CORESET)내에서 전송한 검색 공간의 모니터링 시각에 충돌이 발생할 때, 충돌이 발생한 검색 공간의 타입에 근거하여 상이한 CORESET에서 타깃 CORESET를 선택하고, 상기 타깃 CORESET의 빔 방향에 따라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검측 및 수신하며, 상기 모니터링 시각에 충돌이 발생한다는 것은 모니터링 시각이 동일하며, 또한 상기 상이한 CORESET가 구성한 자원이 중첩되거나, 또는, 모니터링 시각의 시간 간격이 지정된 도어값보다 작은 것이다. 이로 하여, 상이한 빔 방향을 구성한 상이한 CORESET가 물리 자원상에서 충돌이 발생(즉 구성한 자원이 중첩이 존재하며 또한 동일한 시각에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검측해야 되거나, 또는 간격이 비교적 작은 인접 시각에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검측해야 하는 것)할 때, 기지국의 행위는 명확한 정의가 있기에, 다운링크 제어 채널이 성공적으로 수신되는 것을 보장한다.
여기서, 상기 네트워크측 기기는 기지국일 수 있다.
아래에는 예를 들어 상술한 다운링크 제어 채널의 전송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상이한 CORESET내에서 충돌이 발생한 검색 공간의 타입에 근거하여, 상기 상이한 CORESET에서 타깃 CORESET을 선택하는 단계(즉 단계 21)는:
상기 충돌이 발생한 검색 공간 중의 하나만 공통 검색 공간일 때, 상기 공통 검색 공간을 전송하는 CORESET을 상기 타깃 CORESET으로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서, 상이한 빔 방향을 구성한 상이한 CORESET가, 동일한 시각(상이한 CORESET를 위해 구성한 자원이 중첩이 있음) 또는 시간 간격이 지정 도어값보다 작은 두개의 인접한 시각에서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송신할 때, 기지국은 우선 공통 검색 공간을 전송하며, 즉 충돌이 발생한 검색 공간 중의 공통 검색 공간이 대응하는 CORESET를 상기 타깃 CORESET로 확정하고, 해당 타깃 CORESET의 빔 방향에 따라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송신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상이한 CORESET내에서 충돌이 발생한 검색 공간의 타입에 근거하여, 상기 상이한 CORESET에서 타깃 CORESET을 선택하는 단계(즉 단계 21)는:
상기 충돌이 발생한 검색 공간 중의 적어도 두개가 공통 검색 공간일 때, 상기 공통 검색 공간을 전송하는 적어도 두개의 CORESET에서 번호가 가장 작은 CORESET을 상기 타깃 CORESET으로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상이한 CORESET내에서 충돌이 발생한 검색 공간의 타입에 근거하여, 상기 상이한 CORESET에서 타깃 CORESET을 선택하는 단계(즉 단계 21)는:
상기 충돌이 발생한 검색 공간이 모두 전용 검색 공간일 때, 상기 상이한 CORESET에서 번호가 가장 작은 CORESET을 상기 타깃 CORESET으로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타깃 CORESET의 빔 방향에 따라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송신하는 단계(즉 단계 21)는:
상기 상이한 CORESET내에서 모두 상기 타깃 CORESET의 빔 방향에 따라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송신하는 단계; 또는,
상기 타깃 CORESET내에서만 상기 타깃 CORESET의 빔 방향에 따라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송신하며, 상기 상이한 CORESET 중의 상기 타깃 CORESET를 제외한 기타 CORESET내에서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송신하지 않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이한 빔 방향을 구성한 CORESET가 물리 자원상에서 충돌이 발생(즉 구성한 자원이 중첩이 존재하며 또한 검색 공간의 모니터링 시각이 동일하거나, 또는, 모니터링 시각의 간격 시간이 많이 작음)할 때,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는 상술한 단계를 통해 기지국의 행위를 명확하게 정의하였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서 다운링크 제어 채널의 전송 방법을 제공하였으며, 구체적으로 아래와 같다.
기지국이 단말(예컨대 UE1)을 위해 2개의 CORESET, 즉 CORESET#1과 CORESET#2를 구성하였으며 상이한 빔 방향을 구성하였다고 가정한다. 예컨대 CORESET#1은 빔 방향 beam#1에 대응하고, CORESET#2는 빔 방향 beam#2에 대응한다. 즉 CORESET#1내에서 전송하는 다운링크 제어 채널은 모두 beam#1상에서 송신하고, CORESET#2내에서 전송하는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모두 beam#2상에서 송신한다. CORESET#1상에 3개의 검색 공간{USS#3, USS#4, USS#5}을 구성하였고, CORESET#2상에 2개의 검색 공간{CSS#1, USS#2}을 구성하였다고 가정한다. CORESET#2상에서 전송하는 CSS#1의 모니터링 시각(monitoring occasion)과 CORESET#1상에서 전송하는 USS#3의 모니터링 시각이 slot N(번호가 N인 타임 슬롯)에서 충돌이 발생(모니터링 시각이 동일함)하였으며, 또한 CORESET#1과 CORESET#2는 구성한 자원상에서 중첩이 있다고 가정한다. 그러면 기지국(네트워크측으로도 칭함)과 단말(단말측으로도 칭함)은 아래와 같은 규칙에 따라 해당 모니터링 시각에서 어떻게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송신하고 수신하는지를 확정한다.
단말은 해당 CSS#1을 전송한 CORESET#2의 빔 방향(beam#2)에 따라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검측 및 수신한다. 단말은 CORESET#1내에서 beam#2에 따라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검측 및 수신하거나; 또는, 단말은 CORESET#1내에서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모니터링(검측)하지 않는다. 기지국은 CSS#1을 전송한 CORESET#2의 빔 방향(beam#2)에 따라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송신한다. 기지국은 CORESET#1내에서 beam#2에 따라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송신하거나; 또는, 기지국은 CORESET#1내에서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송신하지 않는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서 다운링크 제어 채널의 전송 방법을 제공하였으며, 구체적으로 아래와 같다.
기지국이 단말(예컨대 UE1)을 위해 2개의 CORESET, 즉 CORESET#1과 CORESET#2를 구성하였으며 상이한 빔 방향을 구성하였다고 가정한다. 예컨대 CORESET#1은 빔 방향 beam#1에 대응하고, CORESET#2는 빔 방향 beam#2에 대응한다. 즉 CORESET#1내에서 전송하는 다운링크 제어 채널은 모두 beam#1상에서 송신하고, CORESET#2내에서 전송하는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모두 beam#2상에서 송신한다. CORESET#1상에 3개의 검색 공간{CSS#3, USS#4, USS#5}을 구성하였고, CORESET#2상에 2개의 검색 공간{CSS#1, USS#2}을 구성하였다고 가정한다. CORESET#2상에서 전송하는 CSS#1의 모니터링 시각과 CORESET#1상에서 전송하는 CSS#3의 모니터링 시각이 slot N에서 충돌이 발생(모니터링 시각이 동일함)하였으며, 또한 CORESET#1과 CORESET#2는 구성한 자원상에서 중첩이 있다고 가정한다. 그러면 기지국과 단말은 아래와 같은 규칙에 따라 해당 모니터링 시각에서 어떻게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송신하고 수신하는지를 확정한다.
단말은 해당 CORESET#1(번호가 가장 낮음)의 빔 방향(beam#1)에 따라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검측 및 수신한다. 단말은 CORESET#2내에서 beam#1에 따라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검측 및 수신하거나; 또는, 단말은 CORESET#2내에서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모니터링(검측)하지 않는다. 기지국은 CORESET#1의 빔 방향(beam#1)에 따라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송신한다. 기지국은 CORESET#2내에서 beam#1에 따라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송신하거나; 또는, 기지국은 CORESET#2내에서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송신하지 않는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서 다운링크 제어 채널의 전송 방법을 제공하였으며, 구체적으로 아래와 같다.
기지국이 단말(예컨대 UE1)을 위해 2개의 CORESET, 즉 CORESET#1과 CORESET#2를 구성하였으며 상이한 빔 방향을 구성하였다고 가정한다. 예컨대 CORESET#1은 빔 방향 beam#1에 대응하고, CORESET#2는 빔 방향 beam#2에 대응한다. 즉 CORESET#1내에서 전송하는 다운링크 제어 채널은 모두 beam#1상에서 송신하고, CORESET#2내에서 전송하는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모두 beam#2상에서 송신한다. CORESET#1상에 3개의 검색 공간{CSS#3, USS#4, USS#5}을 구성하였고, CORESET#2상에 2개의 검색 공간{CSS#1, USS#2}을 구성하였다고 가정한다. CORESET#2상에서 전송하는 USS#2의 모니터링 시각과 CORESET#1상에서 전송하는 USS#4의 모니터링 시각이 slot N에서 충돌이 발생(모니터링 시각이 동일함)하였으며, 또한 CORESET#1과 CORESET#2는 구성한 자원상에서 중첩이 있다고 가정한다. 그러면 기지국과 단말은 아래와 같은 규칙에 따라 해당 모니터링 시각에서 어떻게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송신하고 수신하는지를 확정한다.
단말은 해당 CORESET#1(번호가 가장 낮음)의 빔 방향(beam#1)에 따라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검측 및 수신한다. 단말은 CORESET#2내에서 beam#1에 따라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검측 및 수신하거나; 또는, 단말은 CORESET#2내에서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모니터링(검측)하지 않는다. 기지국은 CORESET#1의 빔 방향(beam#1)에 따라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송신한다. 기지국은 CORESET#2내에서 beam#1에 따라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송신하거나; 또는, 기지국은 CORESET#2내에서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송신하지 않는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서 다운링크 제어 채널의 전송 방법을 제공하였으며, 구체적으로 아래와 같다.
기지국이 단말(예컨대 UE1)을 위해 2개의 CORESET, 즉 CORESET#1과 CORESET#2를 구성하였으며 상이한 빔 방향을 구성하였다고 가정한다. 예컨대 CORESET#1은 빔 방향 beam#1에 대응하고, CORESET#2는 빔 방향 beam#2에 대응한다. 즉 CORESET#1내에서 전송하는 다운링크 제어 채널은 모두 beam#1상에서 송신하고, CORESET#2내에서 전송하는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모두 beam#2상에서 송신한다. CORESET#1상에 3개의 검색 공간{USS#3, USS#4, USS#5}을 구성하였고, CORESET#2상에 2개의 검색 공간{CSS#1, USS#2}을 구성하였다고 가정한다. CORESET#2상에서 전송하는 CSS#1의 모니터링 시각#1과 CORESET#1상에서 전송하는 USS#3의 모니터링 시각#2 사이의 시간 간격이 지정된 도어값 T보다 작다고 가정한다. 그러면 기지국과 단말은 아래와 같은 규칙에 따라 해당 모니터링 시각(모니터링 시각#1과 모니터링 시각#2를 포함)에서 어떻게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송신하고 수신하는지를 확정한다.
단말은 해당 CSS#1을 전송한 CORESET#2의 빔 방향(beam#2)에 따라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검측 및 수신한다. 단말은 CORESET#1내에서 beam#2에 따라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검측 및 수신하거나; 또는, 단말은 CORESET#1내에서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모니터링(검측)하지 않는다. 기지국은 CSS#1을 전송한 CORESET#2의 빔 방향(beam#2)에 따라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송신한다. 기지국은 CORESET#1내에서 beam#2에 따라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송신하거나; 또는, 기지국은 CORESET#1내에서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송신하지 않는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서 다운링크 제어 채널의 전송 방법을 제공하였으며, 구체적으로 아래와 같다.
기지국이 단말(예컨대 UE1)을 위해 2개의 CORESET, 즉 CORESET#1과 CORESET#2를 구성하였으며 상이한 빔 방향을 구성하였다고 가정한다. 예컨대 CORESET#1은 빔 방향 beam#1에 대응하고, CORESET#2는 빔 방향 beam#2에 대응한다. 즉 CORESET#1내에서 전송하는 다운링크 제어 채널은 모두 beam#1상에서 송신하고, CORESET#2내에서 전송하는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모두 beam#2상에서 송신한다. CORESET#1상에 3개의 검색 공간{CSS#3, USS#4, USS#5}을 구성하였고, CORESET#2상에 2개의 검색 공간{CSS#1, USS#2}을 구성하였다고 가정한다. CORESET#2상에서 전송하는 CSS#1의 모니터링 시각#1과 CORESET#1상에서 전송하는 CSS#3의 모니터링 시각#2 사이의 시간 간격이 지정된 도어값 T보다 작다고 가정한다. 그러면 기지국과 단말은 아래와 같은 규칙에 따라 해당 모니터링 시각(모니터링 시각#1과 모니터링 시각#2를 포함)에서 어떻게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송신하고 수신하는지를 확정한다.
단말은 해당 CORESET#1(번호가 가장 낮음)의 빔 방향(beam#1)에 따라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검측 및 수신한다. 단말은 CORESET#2내에서 beam#1에 따라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검측 및 수신하거나; 또는, 단말은 CORESET#2내에서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모니터링(검측)하지 않는다. 기지국은 CORESET#1의 빔 방향(beam#1)에 따라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송신한다. 기지국은 CORESET#2내에서 beam#1에 따라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송신하거나; 또는, 기지국은 CORESET#2내에서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송신하지 않는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서 다운링크 제어 채널의 전송 방법을 제공하였으며, 구체적으로 아래와 같다.
기지국이 단말(예컨대 UE1)을 위해 2개의 CORESET, 즉 CORESET#1과 CORESET#2를 구성하였으며 상이한 빔 방향을 구성하였다고 가정한다. 예컨대 CORESET#1은 빔 방향 beam#1에 대응하고, CORESET#2는 빔 방향 beam#2에 대응한다. 즉 CORESET#1내에서 전송하는 다운링크 제어 채널은 모두 beam#1상에서 송신하고, CORESET#2내에서 전송하는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모두 beam#2상에서 송신한다. CORESET#1상에 3개의 검색 공간{CSS#3, USS#4, USS#5}을 구성하였고, CORESET#2상에 2개의 검색 공간{CSS#1, USS#2}을 구성하였다고 가정한다. CORESET#2상에서 전송하는 USS#2의 모니터링 시각#1과 CORESET#1상에서 전송하는 USS#4의 모니터링 시각#2 사이의 시간 간격이 지정된 도어값 T보다 작다고 가정한다. 그러면 기지국과 단말은 아래와 같은 규칙에 따라 해당 모니터링 시각(모니터링 시각#1과 모니터링 시각#2를 포함)에서 어떻게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송신하고 수신하는지를 확정한다.
단말은 해당 CORESET#1(번호가 가장 낮음)의 빔 방향(beam#1)에 따라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검측 및 수신한다. 단말은 CORESET#2내에서 beam#1에 따라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검측 및 수신하거나; 또는, 단말은 CORESET#2내에서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모니터링(검측)하지 않는다. 기지국은 CORESET#1의 빔 방향(beam#1)에 따라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송신한다. 기지국은 CORESET#2내에서 beam#1에 따라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송신하거나; 또는, 기지국은 CORESET#2내에서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송신하지 않는다.
도 3을 참조하면, 도 3은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단말의 구조 예시도이다. 해당 단말(30)는:
상이한 빔 방향을 구성한 상이한 제어 자원 세트(CORESET)내에서 전송한 검색 공간의 모니터링 시각에 충돌이 발생할 때, 충돌이 발생한 검색 공간의 타입에 근거하여 상이한 CORESET에서 타깃 CORESET를 선택하기 위한 제1 타깃 CORESET 확정 모듈(31) - 상기 모니터링 시각에 충돌이 발생한다는 것은 모니터링 시각이 동일하며, 또한 상기 상이한 CORESET가 구성한 자원이 중첩되거나, 또는, 모니터링 시각의 시간 간격이 지정된 도어값보다 작은 것임 -; 및
상기 타깃 CORESET의 빔 방향에 따라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검측 및 수신하는 검측 및 수신 모듈(32)을 포함한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서 제공한 다운링크 제어 채널의 전송 방법은, 상이한 빔 방향을 구성한 상이한 제어 자원 세트(CORESET)내에서 전송한 검색 공간의 모니터링 시각에 충돌이 발생할 때, 충돌이 발생한 검색 공간의 타입에 근거하여 상이한 CORESET에서 타깃 CORESET를 선택하고, 상기 타깃 CORESET의 빔 방향에 따라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검측 및 수신하며, 상기 모니터링 시각에 충돌이 발생한다는 것은 모니터링 시각이 동일하며, 또한 상기 상이한 CORESET가 구성한 자원이 중첩되거나, 또는, 모니터링 시각의 시간 간격이 지정된 도어값보다 작은 것이다. 이로 하여, 상이한 빔 방향을 구성한 상이한 CORESET가 물리 자원상에서 충돌이 발생(즉 구성한 자원이 중첩이 존재하며 또한 동일한 시각에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검측해야 되거나, 또는 간격이 비교적 작은 인접 시각에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검측해야 하는 것)할 때, 단말의 행위는 명확한 정의가 있기에, 다운링크 제어 채널이 성공적으로 수신되는 것을 보장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타깃 CORESET 확정 모듈(31)은;
상기 충돌이 발생한 검색 공간 중의 하나만 공통 검색 공간일 때, 상기 공통 검색 공간을 전송하는 CORESET을 상기 타깃 CORESET으로 확정하는 제1 확정 유닛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타깃 CORESET 확정 모듈(31)은;
상기 충돌이 발생한 검색 공간 중의 적어도 두개가 공통 검색 공간일 때, 상기 공통 검색 공간을 전송하는 적어도 두개의 CORESET에서 번호가 가장 작은 CORESET을 상기 타깃 CORESET으로 선택하는 제2 확정 유닛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타깃 CORESET 확정 모듈(31)은;
상기 충돌이 발생한 검색 공간이 모두 전용 검색 공간일 때, 상기 상이한 CORESET에서 번호가 가장 작은 CORESET을 상기 타깃 CORESET으로 선택하는 제3 확정 유닛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검측 및 수신 모듈(32)은:
상기 상이한 CORESET내에서 모두 상기 타깃 CORESET의 빔 방향에 따라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검측 및 수신하는 제1 검측 및 수신 유닛; 또는,
상기 타깃 CORESET내에서만 상기 타깃 CORESET의 빔 방향에 따라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검측 및 수신하며, 상기 상이한 CORESET 중의 상기 타깃 CORESET를 제외한 기타 CORESET내에서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검측 및 수신하지 않는 제2 검측 및 수신 유닛;을 포함한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는 상술한 도 1에서 도시한 방법 실시예에 대응하는 제품 실시예이기에, 여기서 더 이상 기술하지 않으며, 상세한 내용은 상술한 도 1에서 예시한 실시예를 참조하면 된다.
도 4를 참조하면, 도 4는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네트워크측 기기의 구조 예시도이며, 해당 네트워크측 기기(40)은:
상이한 빔 방향을 구성한 상이한 CORESET가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송신해야 할 시각에 충돌이 발생할 때, 상기 상이한 CORESET내에서 충돌이 발생한 검색 공간의 타입에 근거하여, 상기 상이한 CORESET에서 타깃 CORESET을 선택하고, 상기 타깃 CORESET의 빔 방향에 따라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송신하거나, 또는, 상기 상이한 CORESET내에서 각자의 빔 방향에 따라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각각 송신하기 위한 송신 모듈(41)을 포함하고,
상기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송신해야 할 시각에 충돌이 발생한다는 것은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송신하는 시각이 동일하며, 또한 상기 상이한 CORESET가 구성한 자원이 중첩되거나, 또는,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송신하는 시간 간격이 지정된 도어값보다 작은 것이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서 제공한 다운링크 제어 채널의 전송 방법은, 상이한 빔 방향을 구성한 상이한 제어 자원 세트(CORESET)내에서 전송한 검색 공간의 모니터링 시각에 충돌이 발생할 때, 충돌이 발생한 검색 공간의 타입에 근거하여 상이한 CORESET에서 타깃 CORESET를 선택하고, 상기 타깃 CORESET의 빔 방향에 따라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검측 및 수신하며, 상기 모니터링 시각에 충돌이 발생한다는 것은 모니터링 시각이 동일하며, 또한 상기 상이한 CORESET가 구성한 자원이 중첩되거나, 또는, 모니터링 시각의 시간 간격이 지정된 도어값보다 작은 것이다. 이로 하여, 상이한 빔 방향을 구성한 상이한 CORESET가 물리 자원상에서 충돌이 발생(즉 구성한 자원이 중첩이 존재하며 또한 동일한 시각에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검측해야 되거나, 또는 간격이 비교적 작은 인접 시각에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검측해야 하는 것)할 때, 기지국의 행위는 명확한 정의가 있기에, 다운링크 제어 채널이 성공적으로 수신되는 것을 보장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송신 모듈(41)은:
상기 충돌이 발생한 검색 공간 중의 하나만 공통 검색 공간일 때, 상기 공통 검색 공간을 전송하는 CORESET을 상기 타깃 CORESET으로 확정하는 제4 확정 유닛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송신 모듈(41)은:
상기 충돌이 발생한 검색 공간 중의 적어도 두개가 공통 검색 공간일 때, 상기 공통 검색 공간을 전송하는 적어도 두개의 CORESET에서 번호가 가장 작은 CORESET을 상기 타깃 CORESET으로 선택하는 제5 확정 유닛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송신 모듈(41)은:
상기 충돌이 발생한 검색 공간이 모두 전용 검색 공간일 때, 상기 상이한 CORESET에서 번호가 가장 작은 CORESET을 상기 타깃 CORESET으로 선택하는 제6 확정 유닛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송신 모듈(41)은:
상기 상이한 CORESET내에서 모두 상기 타깃 CORESET의 빔 방향에 따라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송신하는 제1 송신 유닛; 또는,
상기 타깃 CORESET내에서만 상기 타깃 CORESET의 빔 방향에 따라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송신하며, 상기 상이한 CORESET 중의 상기 타깃 CORESET를 제외한 기타 CORESET내에서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송신하지 않는 제2 송신 유닛;을 포함한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는 상술한 도 2에서 도시한 방법 실시예에 대응하는 제품 실시예이기에, 여기서 더 이상 기술하지 않으며, 상세한 내용은 상술한 도 2에서 예시한 실시예를 참조하면 된다.
도 5를 참조하면, 도 5는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서 제공한 단말의 구조 예시도이며, 해당 단말(50)은, 송수신기(51), 프로세서(52), 메모리(53) 및 상기 메모리(53)에 저장되며 상기 프로세서(52)에서 실행 가능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프로세서(52)는 상이한 빔 방향을 구성한 상이한 제어 자원 세트(CORESET)내에서 전송한 검색 공간의 모니터링 시각에 충돌이 발생할 때, 충돌이 발생한 검색 공간의 타입에 근거하여 상이한 CORESET에서 타깃 CORESET를 선택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모니터링 시각에 충돌이 발생한다는 것은 모니터링 시각이 동일하며, 또한 상기 상이한 CORESET가 구성한 자원이 중첩되거나, 또는, 모니터링 시각의 시간 간격이 지정된 도어값보다 작고;
상기 송수신기(51)는 상기 타깃 CORESET의 빔 방향에 따라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검측 및 수신하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송수신기(51)은 프로세서(52)의 제어하에 데이터를 수신 및 송신할 수 있다.
도 5에서, 버스 아키텍처는 임의의 수량의 서로 연결된 버스와 브릿지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버스는 프로세서(52)에 의해 대표되는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와 메모리(53)에 의해 대표되는 메모리의 각종 회로를 함께 연결한다. 버스 아키텍처는 또한 주변 기기, 전압 안정기 및 파워 관리 회로 등과 같은 각종 기타 회로를 함께 연결할 수 있는데, 이들은 모두 해당 기술분야에 공지된 것이므로, 본문에서는 더이상 이에 대해 진일보하여 기술하지 않기로 한다. 버스 인터페이스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송수신기(51)는 하나의 소자일 수도 있고, 복수 개의 소자일 수 있는바, 수신기 및 송신기를 포함하여, 전송 매체 상에서 각종 기타 장치와 통신하기 위한 유닛을 제공한다.
프로세서(52)는 버스 아키텍처의 관리 및 통상의 처리를 책임지고, 메모리(53)는 프로세서(52)가 조작을 수행할 때 사용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설명해야 할 것은, 메모리(53)은 단말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메모리(53)과 프로세서(52)를 분리하여 상이한 지리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프로세서(52)는 상기 충돌이 발생한 검색 공간 중의 하나만 공통 검색 공간일 때, 상기 공통 검색 공간을 전송하는 CORESET을 상기 타깃 CORESET으로 확정하기 위한 것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프로세서(52)는 상기 충돌이 발생한 검색 공간 중의 적어도 두개가 공통 검색 공간일 때, 상기 공통 검색 공간을 전송하는 적어도 두개의 CORESET에서 번호가 가장 작은 CORESET을 상기 타깃 CORESET으로 선택하기 위한 것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프로세서(52)는 상기 충돌이 발생한 검색 공간이 모두 전용 검색 공간일 때, 상기 상이한 CORESET에서 번호가 가장 작은 CORESET을 상기 타깃 CORESET으로 선택하기 위한 것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송수신기(51)는 상기 상이한 CORESET내에서 모두 상기 타깃 CORESET의 빔 방향에 따라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검측 및 수신하거나; 또는, 상기 타깃 CORESET내에서만 상기 타깃 CORESET의 빔 방향에 따라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검측 및 수신하며, 상기 상이한 CORESET 중의 상기 타깃 CORESET를 제외한 기타 CORESET내에서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검측 및 수신하지 않기 위한 것이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의 구체적인 실시 과정은 상술한 도 1에서 도시한 방법 실시예와 일치하기에, 여기서 더 이상 기술하지 않으며, 상세한 내용은 상술한 도 1에서 예시한 실시예 중의 단계 설명을 참조하면 된다.
도 6을 참조하면, 도 6은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서 제공한 네트워크측 기기의 구조 예시도이며, 해당 네트워크측 기기(60)은, 송수신기(61), 프로세서(62), 메모리(63) 및 상기 메모리(63)에 저장되며 상기 프로세서(62)에서 실행 가능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프로세서(62)는 상이한 빔 방향을 구성한 상이한 CORESET내에서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송신해야 할 시각에 충돌이 발생할 때, 상기 상이한 CORESET내에서 충돌이 발생한 검색 공간의 타입에 근거하여, 상기 상이한 CORESET에서 타깃 CORESET을 선택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송수신기(61)는 상기 타깃 CORESET의 빔 방향에 따라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송신하기 위한 것이거나; 또는,
상기 송수신기(61)는 상이한 빔 방향을 구성한 상이한 CORESET내에서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송신해야 할 시각에 충돌이 발생할 때, 상기 상이한 CORESET내에서 각자의 빔 방향에 따라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각각 송신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송신해야 할 시각에 충돌이 발생한다는 것은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송신하는 시각이 동일하며, 또한 상기 상이한 CORESET가 구성한 자원이 중첩되거나, 또는,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송신하는 시간 간격이 지정된 도어값보다 작다는 것이다.
여기서, 송수신기(61)는 프로세서(62)의 제어하에 데이터를 수신 및 송신할 수 있다.
도 6에서, 버스 아키텍처는 임의의 수량의 서로 연결된 버스와 브릿지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버스는 프로세서(62)에 의해 대표되는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와 메모리(63)에 의해 대표되는 메모리의 각종 회로를 함께 연결한다. 버스 아키텍처는 또한 주변 기기, 전압 안정기 및 파워 관리 회로 등과 같은 각종 기타 회로를 함께 연결할 수 있는데, 이들은 모두 해당 기술분야에 공지된 것이므로, 본문에서는 더이상 이에 대해 진일보하여 기술하지 않기로 한다. 버스 인터페이스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송수신기(61)는 하나의 소자일 수도 있고, 복수 개의 소자일 수 있는바, 수신기 및 송신기를 포함하여, 전송 매체 상에서 각종 기타 장치와 통신하기 위한 유닛을 제공한다.
프로세서(62)는 버스 아키텍처의 관리 및 통상의 처리를 책임지고, 메모리(63)는 프로세서(900)가 조작을 수행할 때 사용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설명해야 할 것은, 메모리(63)은 네트워크측 기기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메모리(63)과 프로세서(62)를 분리하여 상이한 지리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프로세서(62)는 상기 충돌이 발생한 검색 공간 중의 하나만 공통 검색 공간일 때, 상기 공통 검색 공간을 전송하는 CORESET을 상기 타깃 CORESET으로 확정하기 위한 것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프로세서(62)는 상기 충돌이 발생한 검색 공간 중의 적어도 두개가 공통 검색 공간일 때, 상기 공통 검색 공간을 전송하는 적어도 두개의 CORESET에서 번호가 가장 작은 CORESET을 상기 타깃 CORESET으로 선택하기 위한 것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프로세서(62)는 상기 충돌이 발생한 검색 공간이 모두 전용 검색 공간일 때, 상기 상이한 CORESET에서 번호가 가장 작은 CORESET을 상기 타깃 CORESET으로 선택하기 위한 것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송수신기(61)는 상기 상이한 CORESET내에서 모두 상기 타깃 CORESET의 빔 방향에 따라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송신하거나; 또는, 상기 타깃 CORESET내에서만 상기 타깃 CORESET의 빔 방향에 따라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송신하며, 상기 상이한 CORESET 중의 상기 타깃 CORESET를 제외한 기타 CORESET내에서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송신하지 않기 위한 것이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의 구체적인 실시 과정은 상술한 도 2에서 도시한 방법 실시예와 일치하기에, 여기서 더 이상 기술하지 않으며, 상세한 내용은 상술한 도 2에서 예시한 실시예 중의 단계 설명을 참조하면 된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서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를 제공하며,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고, 해당 컴퓨터 프로그램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술한 임의의 하나의 다운링크 제어 채널의 전송 방법에서의 단계를 구현할 수 있다. 상세한 내용은 상술한 대응되는 실시예 중 방법의 단계 설명을 참조하면 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제공한 여러 실시예 중, 개시된 기기 및 방법은 다른 수단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것은 응당 이해되어야 한다. 예컨대, 전술한 기기 실시예들은 단지 예시적인 것이고, 예컨대, 상기 유닛들의 분할은 단지 하나의 논리 기능으로만 분할되는 것일 뿐이며, 실제 실현할 ‹š, 이외의 분할 방식이 있을 수 있고, 예컨대, 다수의 유닛 또는 컴포넌트들이 결합되거나 또는 다른 시스템에 집적될 수 있고, 또는 일부 특징들이 무시되거나 또는 실행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되거나 논의된 상호 사이의 커플링 또는 직접적인 커프링 또는 통신 접속은, 전자, 기계 또는 다른 형태일 수 있는 인터페이스, 기기 또는 유닛에 의한 간접 커플링 또는 통신 접속일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형태의 각각의 기능 유닛은 하나의 처리 유닛에 집적될 수도 있고, 각각의 유닛은 분리되어 물리적으로 존재할 수도 있고, 두개 이상의 유닛들이 하나의 유닛으로 집적될 수도 있다. 상술한 집적된 유닛은 하드웨어의 방식으로 구현할 수도 있고,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기능 유닛을 플러스하는 형식으로 구현할 수도 있다.
상기 기능이 소프트웨어 기능 유닛의 형태로 구현되고 하나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상술한 소프트웨어 기능 유닛은 하나의 저장 매체에 저장되며, 컴퓨터 기기(개인용 컴퓨터, 서버, 또는 네트워크 기기 등)로 하여금 본 개시의 각 실시예의 상기 정보 데이터 블록의 처리 방법의 전부 또는 일부 단계를 실행수 수 있게 하기 위한 다수의 명령들을 포함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상술한 저장 매체는 U 디스크, 이동 하드 디스크, 읽기 전용 메모리(Read-Only Memory, ROM으로 약칭),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으로 약칭), 자기 디스크 또는 광 디스크 등의 각종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할 수 있는 매체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펌웨어, 중간 소자, 마이크로코드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도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하드웨어 구현에 있어서, 프로세싱 유닛은 하나 이상의 전용 집적 회로(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ASIC),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 (DigitalSignalProcessing,DSP), 디지털 신호 처리 기기 (DSPDevice,DSPD), 프로그램 가능한 로직 기기 (Programmable Logic Device,PLD), 필드 프로그램 가능한 게이트 어레이 (Field-ProgrammableGateArray,FPGA), 범용 프로세서, 제어기, 마이크로 제어기, 마이크로 프로세서, 본 개시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기타 전자 유닛들 또는 이들의 조합에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구현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개시된 상기 기능의 모듈(예하면, 과정 또는 함수 등)로 본개시의 상술한 기술을 구현하는 것을 실행는데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고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메모리는 프로세서 내에서 또는 프로세서 외부에서 구현될 수 있다.
이상은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예이며, 본 영역의 일반 기술인원에 대하여서는 본 개시의 원리를 이탈하지 않은 전제하에서 다수의 변형 및 윤색을 진행할 수 있고, 이들 또한 본 개시의 보호 범위내에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Claims (31)

  1. 단말에 응용하는 다운링크 제어 채널의 전송 방법에 있어서,
    상이한 빔 방향을 구성한 상이한 제어 자원 세트(CORESET)내에서 전송하는 검색 공간의 모니터링 시각에 충돌이 발생할 때, 충돌이 발생한 검색 공간의 타입에 근거하여 상이한 CORESET에서 타깃 CORESET를 선택하는 단계 - 상기 모니터링 시각에 충돌이 발생한다는 것은 모니터링 시각이 동일하며, 또한 상기 상이한 CORESET가 구성한 자원이 중첩되거나, 또는, 모니터링 시각의 시간 간격이 지정된 도어값보다 작은 것임 -; 및
    상기 타깃 CORESET의 빔 방향에 따라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검측 및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돌이 발생한 검색 공간의 타입에 근거하여 상이한 CORESET에서 타깃 CORESET를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충돌이 발생한 검색 공간 중의 하나만 공통 검색 공간일 때, 상기 공통 검색 공간을 전송하는 CORESET을 상기 타깃 CORESET으로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돌이 발생한 검색 공간의 타입에 근거하여 상이한 CORESET에서 타깃 CORESET를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충돌이 발생한 검색 공간 중의 적어도 두개가 공통 검색 공간일 때, 상기 공통 검색 공간을 전송하는 적어도 두개의 CORESET에서 번호가 가장 작은 CORESET을 상기 타깃 CORESET으로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돌이 발생한 검색 공간의 타입에 근거하여 상이한 CORESET에서 타깃 CORESET를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충돌이 발생한 검색 공간이 모두 전용 검색 공간일 때, 상기 상이한 CORESET에서 번호가 가장 작은 CORESET을 상기 타깃 CORESET으로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타깃 CORESET의 빔 방향에 따라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검측 및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상이한 CORESET내에서 모두 상기 타깃 CORESET의 빔 방향에 따라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검측 및 수신하는 단계; 또는,
    상기 타깃 CORESET내에서만 상기 타깃 CORESET의 빔 방향에 따라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검측 및 수신하며, 상기 상이한 CORESET 중의 상기 타깃 CORESET를 제외한 기타 CORESET내에서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검측 및 수신하지 않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6. 네트워크측 기기에 응용되는 다운링크 제어 채널의 전송 방법에 있어서,
    상이한 빔 방향을 구성한 상이한 CORESET내에서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송신해야 할 시각에 충돌이 발생할 때,
    상기 상이한 CORESET내에서 충돌이 발생한 검색 공간의 타입에 근거하여, 상기 상이한 CORESET에서 타깃 CORESET을 선택하고, 상기 타깃 CORESET의 빔 방향에 따라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송신하는 단계; 또는,
    상기 상이한 CORESET내에서 각자의 빔 방향에 따라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각각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송신해야 할 시각에 충돌이 발생한다는 것은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송신하는 시각이 동일하며, 또한 상기 상이한 CORESET가 구성한 자원이 중첩되거나, 또는,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송신하는 시간 간격이 지정된 도어값보다 작다는 것인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상이한 CORESET내에서 충돌이 발생한 검색 공간의 타입에 근거하여, 상기 상이한 CORESET에서 타깃 CORESET을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충돌이 발생한 검색 공간 중의 하나만 공통 검색 공간일 때, 상기 공통 검색 공간을 전송하는 CORESET을 상기 타깃 CORESET으로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상이한 CORESET내에서 충돌이 발생한 검색 공간의 타입에 근거하여, 상기 상이한 CORESET에서 타깃 CORESET을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충돌이 발생한 검색 공간 중의 적어도 두개가 공통 검색 공간일 때, 상기 공통 검색 공간을 전송하는 적어도 두개의 CORESET에서 번호가 가장 작은 CORESET을 상기 타깃 CORESET으로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상이한 CORESET내에서 충돌이 발생한 검색 공간의 타입에 근거하여, 상기 상이한 CORESET에서 타깃 CORESET을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충돌이 발생한 검색 공간이 모두 전용 검색 공간일 때, 상기 상이한 CORESET에서 번호가 가장 작은 CORESET을 상기 타깃 CORESET으로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0. 제6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타깃 CORESET의 빔 방향에 따라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상이한 CORESET내에서 모두 상기 타깃 CORESET의 빔 방향에 따라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송신하는 단계; 또는,
    상기 타깃 CORESET내에서만 상기 타깃 CORESET의 빔 방향에 따라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송신하며, 상기 상이한 CORESET 중의 상기 타깃 CORESET를 제외한 기타 CORESET내에서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송신하지 않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1. 단말에 있어서,
    상이한 빔 방향을 구성한 상이한 제어 자원 세트(CORESET)내에서 전송한 검색 공간의 모니터링 시각에 충돌이 발생할 때, 충돌이 발생한 검색 공간의 타입에 근거하여 상이한 CORESET에서 타깃 CORESET를 선택하기 위한 제1 타깃 CORESET 확정 모듈 - 상기 모니터링 시각에 충돌이 발생한다는 것은 모니터링 시각이 동일하며, 또한 상기 상이한 CORESET가 구성한 자원이 중첩되거나, 또는, 모니터링 시각의 시간 간격이 지정된 도어값보다 작은 것임 -; 및
    상기 타깃 CORESET의 빔 방향에 따라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검측 및 수신하는 검측 및 수신 모듈을 포함하는 단말.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타깃 CORESET 확정 모듈은;
    상기 충돌이 발생한 검색 공간 중의 하나만 공통 검색 공간일 때, 상기 공통 검색 공간을 전송하는 CORESET을 상기 타깃 CORESET으로 확정하는 제1 확정 유닛을 포함하는 단말.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타깃 CORESET 확정 모듈은;
    상기 충돌이 발생한 검색 공간 중의 적어도 두개가 공통 검색 공간일 때, 상기 공통 검색 공간을 전송하는 적어도 두개의 CORESET에서 번호가 가장 작은 CORESET을 상기 타깃 CORESET으로 선택하는 제2 확정 유닛을 포함하는 단말.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타깃 CORESET 확정 모듈은;
    상기 충돌이 발생한 검색 공간이 모두 전용 검색 공간일 때, 상기 상이한 CORESET에서 번호가 가장 작은 CORESET을 상기 타깃 CORESET으로 선택하는 제3 확정 유닛을 포함하는 단말.
  15. 제1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검측 및 수신 모듈은:
    상기 상이한 CORESET내에서 모두 상기 타깃 CORESET의 빔 방향에 따라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검측 및 수신하는 제1 검측 및 수신 유닛; 또는,
    상기 타깃 CORESET내에서만 상기 타깃 CORESET의 빔 방향에 따라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검측 및 수신하며, 상기 상이한 CORESET 중의 상기 타깃 CORESET을 제외한 기타 CORESET내에서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검측하지 않는 제2 검측 및 수신 유닛;을 포함하는 단말.
  16. 네트워크측 기기에 있어서,
    상이한 빔 방향을 구성한 상이한 CORESET가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송신해야 할 시각에 충돌이 발생할 때, 상기 상이한 CORESET내에서 충돌이 발생한 검색 공간의 타입에 근거하여, 상기 상이한 CORESET에서 타깃 CORESET을 선택하고, 상기 타깃 CORESET의 빔 방향에 따라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송신하거나, 또는, 상기 상이한 CORESET내에서 각자의 빔 방향에 따라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각각 송신하기 위한 송신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송신해야 할 시각에 충돌이 발생한다는 것은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송신하는 시각이 동일하며, 또한 상기 상이한 CORESET가 구성한 자원이 중첩되거나, 또는,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송신하는 시간 간격이 지정된 도어값보다 작은 것인 네트워크측 기기.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모듈은:
    상기 충돌이 발생한 검색 공간 중의 하나만 공통 검색 공간일 때, 상기 공통 검색 공간을 전송하는 CORESET을 상기 타깃 CORESET으로 확정하는 제4 확정 유닛을 포함하는 네트워크측 기기.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모듈은:
    상기 충돌이 발생한 검색 공간 중의 적어도 두개가 공통 검색 공간일 때, 상기 공통 검색 공간을 전송하는 적어도 두개의 CORESET에서 번호가 가장 작은 CORESET을 상기 타깃 CORESET으로 선택하는 제5 확정 유닛을 포함하는 네트워크측 기기.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모듈은:
    상기 충돌이 발생한 검색 공간이 모두 전용 검색 공간일 때, 상기 상이한 CORESET에서 번호가 가장 작은 CORESET을 상기 타깃 CORESET으로 선택하는 제6 확정 유닛을 포함하는 네트워크측 기기.
  20. 제16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모듈은:
    상기 상이한 CORESET내에서 모두 상기 타깃 CORESET의 빔 방향에 따라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송신하는 제1 송신 유닛; 또는,
    상기 타깃 CORESET내에서만 상기 타깃 CORESET의 빔 방향에 따라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송신하며, 상기 상이한 CORESET 중의 상기 타깃 CORESET를 제외한 기타 CORESET내에서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송신하지 않는 제2 송신 유닛;을 포함하는 네트워크측 기기.
  21. 단말에 있어서,
    송수신기, 메모리, 프로세서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며 상기 프로세서에서 실행 가능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이한 빔 방향을 구성한 상이한 제어 자원 세트(CORESET)내에서 전송한 검색 공간의 모니터링 시각에 충돌이 발생할 때, 충돌이 발생한 검색 공간의 타입에 근거하여 상이한 CORESET에서 타깃 CORESET를 선택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모니터링 시각에 충돌이 발생한다는 것은 모니터링 시각이 동일하며, 또한 상기 상이한 CORESET가 구성한 자원이 중첩되거나, 또는, 모니터링 시각의 시간 간격이 지정된 도어값보다 작고;
    상기 송수신기는 상기 타깃 CORESET의 빔 방향에 따라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검측 및 수신하기 위한 것인 단말.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충돌이 발생한 검색 공간 중의 하나만 공통 검색 공간일 때, 상기 공통 검색 공간을 전송하는 CORESET을 상기 타깃 CORESET으로 확정하기 위한 것인 단말.
  23.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충돌이 발생한 검색 공간 중의 적어도 두개가 공통 검색 공간일 때, 상기 공통 검색 공간을 전송하는 적어도 두개의 CORESET에서 번호가 가장 작은 CORESET을 상기 타깃 CORESET으로 선택하기 위한 것인 단말.
  24.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충돌이 발생한 검색 공간이 모두 전용 검색 공간일 때, 상기 상이한 CORESET에서 번호가 가장 작은 CORESET을 상기 타깃 CORESET으로 선택하기 위한 것인 단말.
  25. 제21항 내지 제2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송수신기는 상기 상이한 CORESET내에서 모두 상기 타깃 CORESET의 빔 방향에 따라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검측 및 수신하거나; 또는, 상기 타깃 CORESET내에서만 상기 타깃 CORESET의 빔 방향에 따라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검측 및 수신하며, 상기 상이한 CORESET 중의 상기 타깃 CORESET를 제외한 기타 CORESET내에서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검측하지 않기 위한 것인 단말.
  26. 네트워크측 기기에 있어서,
    송수신기, 메모리, 프로세서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며 상기 프로세서에서 실행 가능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이한 빔 방향을 구성한 상이한 CORESET내에서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송신해야 할 시각에 충돌이 발생할 때, 상기 상이한 CORESET내에서 충돌이 발생한 검색 공간의 타입에 근거하여, 상기 상이한 CORESET에서 타깃 CORESET을 선택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송수신기는 상기 타깃 CORESET의 빔 방향에 따라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송신하기 위한 것이거나; 또는,
    상기 송수신기는 상이한 빔 방향을 구성한 상이한 CORESET내에서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송신해야 할 시각에 충돌이 발생할 때, 상기 상이한 CORESET내에서 각자의 빔 방향에 따라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각각 송신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송신해야 할 시각에 충돌이 발생한다는 것은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송신하는 시각이 동일하며, 또한 상기 상이한 CORESET가 구성한 자원이 중첩되거나, 또는,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송신하는 시간 간격이 지정된 도어값보다 작다는 것인 네트워크측 기기.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충돌이 발생한 검색 공간 중의 하나만 공통 검색 공간일 때, 상기 공통 검색 공간을 전송하는 CORESET을 상기 타깃 CORESET으로 확정하기 위한 것인 네트워크측 기기.
  28.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충돌이 발생한 검색 공간 중의 적어도 두개가 공통 검색 공간일 때, 상기 공통 검색 공간을 전송하는 적어도 두개의 CORESET에서 번호가 가장 작은 CORESET을 상기 타깃 CORESET으로 선택하기 위한 것인 네트워크측 기기.
  29.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충돌이 발생한 검색 공간이 모두 전용 검색 공간일 때, 상기 상이한 CORESET에서 번호가 가장 작은 CORESET을 상기 타깃 CORESET으로 선택하기 위한 것인 네트워크측 기기.
  30. 제26항 내지 제2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송수신기는 상기 상이한 CORESET내에서 모두 상기 타깃 CORESET의 빔 방향에 따라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송신하거나; 또는, 상기 타깃 CORESET내에서만 상기 타깃 CORESET의 빔 방향에 따라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송신하며, 상기 상이한 CORESET 중의 상기 타깃 CORESET을 제외한 기타 CORESET내에서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송신하지 않기 위한 것인 네트워크측 기기.
  31.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 있어서,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으며,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청구항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상기 다운링크 제어 채널의 전송 방법에서의 단계를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
KR1020217012710A 2018-09-28 2019-09-16 다운링크 제어 채널의 전송 및 수신 방법, 단말 및 네트워크측 기기 KR2021006688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811143057.1 2018-09-28
CN201811143057.1A CN110972326B (zh) 2018-09-28 2018-09-28 一种下行控制信道传输方法、终端和网络侧设备
PCT/CN2019/105895 WO2020063377A1 (zh) 2018-09-28 2019-09-16 下行控制信道传输方法、终端和网络侧设备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6883A true KR20210066883A (ko) 2021-06-07

Family

ID=699533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12710A KR20210066883A (ko) 2018-09-28 2019-09-16 다운링크 제어 채널의 전송 및 수신 방법, 단말 및 네트워크측 기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1871247B2 (ko)
EP (1) EP3860296B1 (ko)
JP (1) JP7286761B2 (ko)
KR (1) KR20210066883A (ko)
CN (1) CN110972326B (ko)
TW (1) TWI700946B (ko)
WO (1) WO202006337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669166A (zh) * 2020-07-31 2023-01-31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检测控制信息的方法、传输控制信息的方法、终端设备和网络设备
CN116455514A (zh) * 2022-01-10 2023-07-18 大唐移动通信设备有限公司 Pdcch检测方法、装置、终端及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16907A1 (ko) * 2016-07-21 2018-01-25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하향링크 제어 정보를 송신 또는 수신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11304190B2 (en) * 2016-11-08 2022-04-12 Qualcomm Incorporated Search space design and use
CN108282290B (zh) * 2017-01-06 2022-05-24 北京三星通信技术研究有限公司 一种通信系统中由终端和基站执行的方法及设备
WO2018143702A1 (en) * 2017-02-01 2018-08-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beam management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US10757581B2 (en) * 2017-03-22 2020-08-25 Mediatek Inc.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design for NR systems
CN114598437A (zh) * 2018-02-26 2022-06-07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控制信令的发送、接收以及信息的确定方法及装置
ES2894645T3 (es) 2018-07-31 2022-02-15 Lg Electronics Inc Método para monitorizar una señal de control por un terminal en un sistema de comunicación inalámbrica, y terminal que utiliza el mismo métod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860296B1 (en) 2024-03-27
CN110972326B (zh) 2022-05-31
CN110972326A (zh) 2020-04-07
WO2020063377A1 (zh) 2020-04-02
EP3860296A4 (en) 2021-11-24
TWI700946B (zh) 2020-08-01
US20220038919A1 (en) 2022-02-03
JP2022502949A (ja) 2022-01-11
JP7286761B2 (ja) 2023-06-05
EP3860296A1 (en) 2021-08-04
TW202014011A (zh) 2020-04-01
US11871247B2 (en) 2024-0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18263B2 (en) Method for determining reference signal, network device, UE, and computer storage medium
KR102405488B1 (ko) 공통 다운링크 제어 채널의 전송 방법 및 관련 기기
KR20210066883A (ko) 다운링크 제어 채널의 전송 및 수신 방법, 단말 및 네트워크측 기기
US9271155B2 (e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ing hybrid cooperative and noncooperative sensing
CN112654052B (zh) 一种pci冲突的检测、调整方法以及设备
KR20220068261A (ko) 채널 전송 방법 및 통신 기기
US20160212628A1 (en) Method and device for occupying shared spectrum
EP4009724B1 (en) Terminal capability processing method, apparatus, and device
CN114070363A (zh) 信号传输的方法、终端设备和网络设备
US10200845B2 (en) D2D signal detecting method and device
CN108631827B (zh) 一种上行数据传输方法、终端和网络侧设备
KR20210138089A (ko) 신호 전송 방법, 장치 및 기기
CN115968050A (zh) 准共址下行rs的确定方法、装置及终端
CN114501664A (zh) 随机接入的方法、终端设备和网络设备
CN113904759A (zh) 控制信息接收方法、控制信息发送方法及相关设备
CN117812743A (zh) 通信方法及装置
JP2018530252A (ja) チャネル状態情報参照信号csi−rsを送信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3101001397;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230629

Effective date: 202311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