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66548A - 생태계 체험용 키트 - Google Patents

생태계 체험용 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66548A
KR20210066548A KR1020190155936A KR20190155936A KR20210066548A KR 20210066548 A KR20210066548 A KR 20210066548A KR 1020190155936 A KR1020190155936 A KR 1020190155936A KR 20190155936 A KR20190155936 A KR 20190155936A KR 20210066548 A KR20210066548 A KR 202100665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space
ecosystem
unit
k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59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79879B1 (ko
Inventor
황진리
Original Assignee
황진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진리 filed Critical 황진리
Priority to KR10201901559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9879B1/ko
Publication of KR202100665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65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98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98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3/00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8/00Cultivation of mushroom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2/00Cultivation of specific crops or pla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10Culture of aquatic animals of fish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Algebra (AREA)
  • Mathematical Analysis (AREA)
  • Mathematical Optimization (AREA)
  • Mycology (AREA)
  • Pure & Applied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Botany (AREA)
  • Computational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중공 형성되고 상호 분리 또는 결합 가능하게 형성된 제1 케이스 및 제2 이스를 포함하는 케이스부; 상기 제1 케이스 내부에 위치되어 상기 제1 케이스 내벽 사이에 제1 공간을 형성하고 상부가 개방된 중공 형상으로 형성되어 내측에 제2 공간을 형성하는 배양 하우징; 상기 제2 공간 측으로 물을 공급 가능한 펌프부; 상기 케이스부 내의 온도, 습도, 수위, 동작 및 수분 중 적어도 하나를 감지하는 센서부; 및 상기 펌프부 및 상기 센서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한 제어박스;를 포함하고, 상기 배양 하우징은 상기 제1 케이스에 탈부착 가능하게 형성되고, 상기 제1 공간 내에는 어류 또는 곤충을 기르고, 상기 제2 공간 내에는 채소 또는 버섯을 양식하며, 상기 제어부는 외부 사용자 단말과 상호 무선 통신되는, 생태계 체험용 키트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생태계 체험용 키트{Kit For Experiencing Ecosystem}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하나의 키트 내에서 곤충과 버섯을 동시에 기르거나, 채소와 물고기를 동시에 기를 수 있는 키트에 관한 것으로, 각종 센서 및 무선통신 기술을 접목하여 소형의 스마트 팜을 구축할 수 있는 생태계 체험용 키트에 관한 것이다.
국내 경제 개발이 가속화 됨에 따라 본격적인 도시화 및 산업화가 시작되었고, 도시로의 인구 집중이 심화되면서 상대적으로 촌락의 인구가 감소되며 도심지 근처의 자연 생태 체험 공간 역시 상당 부분 축소되었다.
하지만, 아이들의 정서 발달 등에 자연환경 체험 등이 많은 도움이 된다는 인식이 확대되며 유치원, 초등학교 등지에서는 관찰 방식의 자연 생태 체험이 증대되고 있다. 하지만, 종래의 생태 체험 기구들의 경우, 곤충, 어류, 파충류, 채소 등의 특정 종을 기르거나 배양하는 것으로 한정되었고, 다양한 종이 어울려 생장하는 실제 생태계와는 다소 동떨어진 환경의 체험 학습에 제한되는 문제가 존재하였다.
일본공개특허공보 제1997-205932호(1997.08.12)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하나의 키트 내에서 채소와 물고기 또는 버섯과 곤충을 동시에 키우고 이를 관찰할 수 있는 생태계 체험용 키트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펌프부, 센서부, LED램프 등을 구비하여 스마트팜을 형성하고 생태 환경을 제어할 수 있는 생태계 체험용 키트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하부의 제1 케이스 및 상부의 제2 케이스 상호 간을 자력을 통해 결합 가능하게 형성하여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킨 생태계 체험용 키트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중공 형성되고 상호 분리 또는 결합 가능하게 형성된 제1 케이스 및 제2 케이스를 포함하는 케이스부; 상기 제1 케이스 내부에 위치되어 상기 제1 케이스 내벽 사이에 제1 공간을 형성하고 상부가 개방된 중공 형상으로 형성되어 내측에 제2 공간을 형성하는 배양 하우징; 상기 제2 공간 측으로 물을 공급 가능한 펌프부; 및 상기 제1 공간 내의 온도, 습도, 수위, 동작 및 수분 중 적어도 하나를 감지하는 센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공간 내에는 어류 또는 곤충을 기르고, 상기 제2 공간 내에는 채소 또는 버섯을 양식하는, 생태계 체험용 키트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배양 하우징에는 복수 개의 연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1 공간 내에 상기 채소를 양식하는 경우 상기 연통홀을 통해 상기 배양 하우징 내로 공급되는 물이 배출되며, 상기 제1 공간 내에 상기 버섯을 양식하는 경우 상기 연통홀을 통해 상기 배양 하우징 내의 버섯 균이 이동될 수 있다.
상기 배양 하우징의 내주면에는 내측으로 돌출된 복수 개의 거치부가 형성되며, 상기 복수 개의 거치부는 상기 배양 하우징의 높이 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 배치되고, 상기 복수 개의 거치부 각각에는 상기 채소 또는 상기 버섯을 양식하기 위한 배지부가 거치될 수 있다.
상기 배양 하우징 내측에는 망사형의 칸막이부가 형성되고, 상기 칸막이부 내에는 물탱크 또는 흡입 스펀지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펌프부 및 상기 센서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한 제어박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외부 사용자 단말과 상호 무선 통신될 수 있다.
상기 제2 공간 내에 상기 어류를 기르는 경우 상기 제2 공간 내에는 사육수가 수용되고, 상기 제2 공간 내에 상기 곤충을 기르는 경우 상기 제2 공간 내에는 발효된 톱밥이 수용되며, 상기 센서부는 상기 사육수 또는 상기 톱밥에 접촉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케이스는 상기 제1 케이스의 상측에 위치되고, 상기 제2 케이스는 분할 구성된 복수 개의 케이스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 개의 케이스부재 각각은 상기 제2 케이스와 상호 분리 또는 결합 가능하다.
상기 복수 개의 케이스부재 각각은 상기 제1 케이스와의 접촉면에서 돌출 형성된 자성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케이스는 상기 케이스부재 접촉면에 함입 형성되어 상기 자성체가 삽입되는 가이드 홈 및 상기 자성체를 끌어당기는 복수 개의 마그넷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하나의 키트 내에서 채소와 물고기 또는 버섯과 곤충을 동시에 키우고 이를 관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펌프부, 센서부, LED램프 등을 구비하여 스마트팜을 형성하고 생태 환경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하부의 제1 케이스 및 상부의 제2 케이스 상호 간을 자력을 통해 결합 가능하게 형성하여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태계 체험용 키트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태계 체험용 키트의 종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태계 체험용 키트의 케이스부 분리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도 2의 A부분 확대도를 나타낸 도면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 수단일 뿐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태계 체험용 키트(10)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태계 체험용 키트(10)의 종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및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태계 체험용 키트(10)는 케이스부(100), 케이스부(100) 내측에 형성된 배양 하우징(200), 펌프부(320) 및 센서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부(100)는 상호 분리 또는 결합 가능하게 형성된 제1 케이스(110) 및 제2 케이스(120)를 포함할 수 있고, 제1 케이스(110) 및 제2 케이스(120) 각각은 중공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제1 케이스(110) 및 제2 케이스(120)는 투명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고, 플라스틱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나아가, 제1 케이스(110) 및 제2 케이스(120)는 실린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배양 하우징(200)은 제1 케이스(110) 내부에 위치되어 제1 케이스(110) 내벽과의 사이에 제1 공간(114)을 형성할 수 있고, 상부가 개방된 중공 형상으로 형성되어 내측에 제2 공간(210)을 형성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배양 하우징(200)은 실린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제1 케이스(110) 내주면과 배양 하우징(200)의 외주면 사이에는 균일한 간격의 이격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이 때의 이격 공간은 상술한 제1 공간(114)일 수 있다.
한편, 상술한 펌프부(320)는 제2 공간(210) 측으로 물을 공급할 수 있다. 제2 공간(210) 내에는 채소나 버섯이 양식될 수 있고, 펌프부(320)는 후술할 물탱크(241) 내의 물을 배양 하우징(200) 내측(즉, 제2 공간(210))으로 공급하여 채소나 버섯의 양식을 보조할 수 있다.
한편, 센서부(330)는 제1 공간(114) 내의 온도, 습도, 수위, 동작 및 수분 중 적어도 하나를 감지할 수 있다. 이 때, 센서부(330)의 외주면에는 센서커버(미도시 됨)가 결합될 수 있고, 센서커버를 통해 제2 공간(210) 내의 물이나 기타 이물질 등으로부터 센서부(330)를 보호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센서커버는 실리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태계 체험용 키트(10)에서 제1 공간(114) 내에는 어류 또는 곤충을 기를 수 있고, 제2 공간(210) 내에는 채소 또는 버섯을 양식할 수 있다. 즉, 어류와 채소를 동시에 기르거나 곤충과 버섯을 동시에 기를 수 있다. 어류 또는 곤충은 제1 공간(114) 내에서 길러지는 바, 사용자는 배양 하우징(200) 외벽과 제1 케이스(110) 내벽 사이의 이격 공간을 통해 물고기나 유충의 이동 및 번데기 상태 등을 확인할 수 있다. 이 때, 곤충은 머리 크기가 3mm 이상인 3령이 이용될 수 있다. 다만, 어류 및 곤충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필요에 따라 선택될 수 있다.
나아가, 배양 하우징(200)에는 복수 개의 연통홀(220)이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1 공간(114) 내에 채소를 양식하는 경우 연통홀(220)을 통해 배양 하우징(200) 내로 공급되는 물이 배출될 수 있고, 제1 공간(114) 내에 버섯을 양식하는 경우 연통홀(220)을 통해 배양 하우징(200) 내의 버섯 균이 이동될 수 있다. 이 때, 연통홀(220)은 채소나 버섯의 배양 높이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연통홀(220)은 채소나 버섯의 배양 높이보다 낮고 제1 공간(114) 내 물의 수위보다는 높은 위치에 형성될 수도 있다. 위와 같이, 채소 배양에 이용된 물이 연통홀(220)을 통해 제1 공간(114)으로 배출되어 물고기에 양분을 제공할 수 있고, 버섯 균이 연통홀(220)을 통해 제1 공간(114)으로 이동되어 곤충에 양분을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연통홀(220)의 직경은 3mm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될 수 있고, 제2 공간(210) 내 유충의 제1 공간(114) 내 버섯 섭취를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배양 하우징(200)의 내주면에는 내측으로 돌출된 복수 개의 거치부(230)가 형성될 수 있고, 복수 개의 거치부(230)는 배양 하우징(200)의 높이 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즉, 복수 개의 거치부(230)는 각각이 임의의 층을 형성하며 배양 하우징(200)의 높이 방향을 따라 정렬 위치될 수 있다. 또한, 복수 개의 거치부(230) 각각은 배양 하우징(200) 내벽에서 소정 두께로 돌출 형성될 수 있고, 소정 직격을 가진 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복수 개의 거치부(230) 각각에는 채소 또는 버섯을 양식하기 위한 배지부(231)가 거치될 수 있다. 이 때, 상술한 복수 개의 배지부(231)는 복수 개의 거치부(230) 각각에 상호 상이한 높이로 배치될 수 있고, 복수 개의 배지부(231) 각각에는 상호 상이한 종류의 채소 또는 버섯이 배양될 수 있다.
또한, 복수 개의 배지부(231) 각각에는 배양 하우징(200)의 높이 방향을 따라 관통 형성된 복수 개의 여과홀(미도시 됨)이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복수 개의 배지부(231) 각각에 형성된 여과홀들은 상호 상이한 크기로 형성될 수 있고, 상호 상이한 크기의 여과홀을 통해 상측에 위치된 배지부(231)를 통과하여 하측에 위치된 배지부(231)를 통과하기 까지 이물질 및 기 결정된 크기 이상의 물질들이 여과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배양 하우징(200) 내측에는 망사형의 칸막이부(240)가 형성될 수 있고, 칸막이부(240) 내측에는 물탱크(241) 또는 흡입 스펀지가 배치될 수 있다. 칸막이부(240)는 하우징부 내벽과의 사이에 수용 공간을 형성할 수 있고, 수용 공간에는 물탱크(241) 또는 흡입 스펀지가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상술한 물탱크(241)는 상술한 펌프부(320)와 연결될 수 있고, 물탱크(241) 내의 물은 펌프부(320)에 의해 제2 공간(210) 측으로 공급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태계 체험용 키트(10)는 펌프부(320) 및 센서부(330)를 제어하는 제어부(310)를 구비한 제어박스(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제어부(310)는 블루투스 모듈 등의 무선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고, 외부의 사용자 단말과 상호 무선 통신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센서부(330)에서 감지된 센싱정보는 스마트 폰 등의 사용자 단말로 전송될 수 있고,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을 이용하여 센싱정보를 확인하거나 후술할 LED램프(410)의 조도, 펌프부(320)의 작동 여부 등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센서부(330)는 각각이 온도, 습도, 수위, 동작 및 수분 중 어느 하나를 감지할 수 있는 복수 개의 센서부재를 포함할 수 있고, 제어박스(300)에 결합되어 제어박스(300) 일측으로 돌출 위치될 수 있다. 나아가, 복수 개의 센서부재는 탈부착 방식으로 제어박스(300)에 연결될 수 있다. 즉, 필요에 따라 온도, 습도, 수위, 동작 및 수분 중 어느 하나를 감지하는 센서부재를 제어박스(300)에 부착시킬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제어박스(300)는 제2 케이스(120) 내측 또는 제1 케이스(110)의 상부에 위치될 수 있다. 즉, 제어박스(300)는 제1 공간(114) 내의 사육수 또는 톱밥과 접촉되지 않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고, 나아가, 제1 케이스(110)와 제2 케이스(120) 분리시 사용자에 의한 조작 및 유지 보수가 용이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펌프부(320)는 제어박스(300)에 구비될 수 있고, 펌프부(320)는 제어박스(300) 하측으로 연장 형성된 배수유로(321)를 통해 물탱크(241) 내부의 물을 제2 공간(210) 측으로 공급할 수 있다. 이 때, 제2 공간(210) 내에 채소가 양식되는 경우 배수유로(321)는 물을 직수 방식으로 공급할 수 있고, 제2 공간(210) 내에 버섯이 양식되는 경우 배수유로(321)는 물을 스프레이 방식으로 분사하여 공급할 수 있다.
나아가, 제2 공간(210) 내에 어류를 기르는 경우 제2 공간(210) 내에는 사육수가 수용되고, 제2 공간(210) 내에 곤충을 기르는 경우 제2 공간(210) 내에는 발효된 톱밥이 수용될 수 있다. 이 때, 센서부(330)는 사육수 또는 톱밥에 접촉 위치될 수 있고, 사육수의 수위나 톱밥의 수분을 감지할 수 있다. 나아가, 제2 공간(210) 내에 곤충을 기르는 경우 센서부(330)는 제2 공간(210) 내의 동작을 감지할 수 있고, 제어부(310)는 제2 공간(210) 내의 동작이 감지되는 경우 사용자 단말 등을 통해 알람하여 번데기의 성충 변태 시점 등을 실시간으로 전달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센서부(330)는 제어박스(300)로부터 하방 연장 형성될 수 있고, 센서부(330)의 적어도 일부는 사육수 또는 톱밥에 접촉 위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태계 체험용 키트(10)는 제2 케이스(120)의 상부 저면에 부착 위치된 LED램프(410) 및 조도센서(4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LED램프(410) 및 조도센서(420)는 제2 케이스(120)의 내측면에 부착 위치될 수 있고, 제어부(310)에 연결되어 제어부(310)를 통해 동작 제어될 수 있다. 또한, LED램프(410)는 채소 배양시에는 청색광과 적색광을 배합하여 조사할 수 있고, 버섯 배양시에는 녹색광을 조사하여 채소 또는 버섯 생육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 때, 상술한 조도센서(420)는 케이스부(100) 내부의 조도를 측정할 수 있고, 제어부(310)는 조도센서(420)에서 측정된 조도 값을 기초 LED램프(410)의 조도를 조절할 수 있다. 즉, 제어부(310)의 LED램프(410) 제어로 케이스부(100) 내부의 생태 환경을 임의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LED램프(410)와 제어박스 연결 간 연결전선은 필름으로 외면이 피복될 수 있고, 제어박스(300) 측 말단은 필름이 벗겨진 상태로 금속소재의 전선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이 때, 제어박스(300)의 일측에는 두 개의 자석이 형성될 수 있고, 사용자는 연결전선의 노출된 말단을 제어박스(300)의 자석에 부착시킴으로써 제어박스와(300)와 LED램프(410)를 전기적을 연결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술한 제2 케이스(미도시 됨)는 실린더 형상으로 형성되지 않고,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제2 케이스는 상술한 제1 케이스(110)의 상단을 밀폐할 수 있고, 제2 케이스의 하측면에는 상술한 센서부(330)와 동일한 센서(미도시 됨)가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
나아가, 제2 케이스(120)는 제1 케이스(110)의 반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고, 제2 케이스(120)의 제1 케이스(110)에 대한 반경 방향 외측 말단에는 블루투스 모듈 등의 무선 통신 모듈을 포함한 Iot모듈(미도시 됨)이 위치될 수 있다. 이 때, Iot모듈은 상술한 제어부(310)와 같은 구성일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제2 케이스는 상판 및 하판이 상호 포개어져 형성된 이중 패널 구조로 형성될 수 있고, 상판 및 하판 사이에는 상술한 복수 개의 센서 및 Iot모듈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회로기판이 개재될 수 있다. 회로기판 상의 전선은 상호 간이 상이한 색으로 형성될 수 있고, 제2 케이스는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어 사용자는 제2 케이스 내부의 회로기판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1 케이스(110) 내측의 수분 등이 회로기판에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습기 등에 의해 회로기판이 파손되거나 기능이 저하되는 등의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태계 체험용 키트(10)의 케이스부(100) 분리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도 2의 A부분 확대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 및 4를 참조하면, 상술한 제2 케이스(120)는 제1 케이스(110)의 상측에 위치되고, 제1 케이스(110) 및 제2 케이스(120) 상호 간은 상하 분리 또는 결합될 수 있다. 이 때, 제2 케이스(120)는 분할 구성된 복수 개의 케이스부재(122)를 포함할 수 있고, 복수 개의 케이스부재(122) 각각은 제2 케이스(120)와 상호 분리 또는 결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2 케이스(120)는 4개의 케이스부재(122)로 분할 구성될 수 있고, 4개의 케이스부재(122) 각각은 제2 케이스(120)와 독립적으로 분리되거나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복수 개의 케이스부재(122) 각각은 외주면 중 제1 케이스(110) 측 말단의 소정 높이 영역이 반경 방향을 따라 돌출 형성된 제1 플랜지(111)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제1 플랜지(111)는 제2 케이스(120)의 제1 케이스(110) 측 말단에서 반경 방향을 따라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제1 케이스(110)는 외주면 중 제2 케이스(120) 측 말단의 소정 높이 영역이 반경 방향을 따라 돌출 형성된 제2 플랜지(121)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제2 플랜지(121)는 제1 케이스(110)의 제2 케이스(120) 측 말단에서 반경 방향을 따라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제1 플랜지(111) 및 제2 플랜지(121) 상호 간은 링 형상으로 면상 접촉될 수 있다.
나아가, 복수 개의 케이스부재(122) 각각은 제1 케이스(110)와의 접촉면에서 돌출 형성된 자성체(123)를 포함할 수 있고, 제1 케이스(110)는 케이스부재(122) 접촉면에 함입 형성되어 상기 자성체(123)가 삽입되는 가이드 홈(112) 및 상기 자성체(123)를 끌어당기는 복수 개의 마그넷부(113)를 포함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상술한 자성체(123)는 제2 플랜지(121)의 제1 플랜지(111) 접촉면에서 제2 케이스(1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돌출 형성될 수 있고, 가이드 홈(112)은 제1 플랜지(111)의 제2 플랜지(121) 접촉면에서 제1 케이스(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함입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상술한 가이드 홈(112)은 복수 개의 자성체(123) 각각에 대응하여 복수 개로 이격 형성될 수 있고, 복수 개의 자성체(123) 각각 및 복수 개의 가이드 홈(112) 각각은 소정 반경의 원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원주 방향 단면이 원호 형상으로 형성된 케이스부재(122) 어느 하나가 제1 케이스(110)에 결합된 경우에도 케이스부재(122)가 제1 케이스(110)로부터 쉽게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제1 케이스(110)와 케이스부재(122) 간의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술한 복수 개의 마그넷부(113)는 제2 플랜지(121) 내에서 가이드 홈(112)에 인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복수 개의 마그넷부(113) 각각은 복수 개의 가이드 홈(112) 각각에 일대일 대응하여 위치될 수 있고, 각 가이드 홈(112)에 삽입되는 각각의 자성체(123)를 자력을 통해 끌어당길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술한 마그넷부(113)는 가이드 홈(112)의 함입 방향 말단(즉, 가이드 홈(112)의 바닥부)에 위치될 수 있고, 삽입되는 자성체(123)와 접촉되어 케이스부재(122)와 제1 케이스(110) 간의 자력 결합을 더욱 견고히 할 수 있다.
위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태계 체험용 키트(10)는 제1 케이스(110) 상부에 결합된 복수 개의 케이스부재(122) 각각을 필요에 따라 선택하여 분리할 수 있는 바, 케이스부(100) 내외의 공기 순환, 내부 구성품의 유지 및 보수 등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케이스부재(122)의 결합 개수 선택을 통해 케이스부(100) 내부의 습도를 조절하는 등 케이스부(100) 내부의 생태계 환경을 다소 큰 폭으로 조절할 수 있다.
이상에서 대표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 : 생태계 체험용 키트
100 : 케이스부
110 : 제1 케이스
111 : 제1 플랜지
112 : 가이드 홈
113 : 마그넷부
114 : 제1 공간
120 : 제2 케이스
121 : 제2 플랜지
122 : 케이스부재
123 : 자성체
200 : 배양 하우징
210 : 제2 공간
220 : 연통홀
230 : 거치부
231 : 배지부
240 : 칸막이부
241 : 물탱크
300 : 제어박스
310 : 제어부
320 : 펌프부
321 : 배수유로
330 : 센서부
410 : LED램프
420 : 조도센서

Claims (4)

  1. 중공 형성되고 상호 분리 또는 결합 가능하게 형성된 제1 케이스 및 제2 이스를 포함하는 케이스부;
    상기 제1 케이스 내부에 위치되어 상기 제1 케이스 내벽 사이에 제1 공간을 형성하고 상부가 개방된 중공 형상으로 형성되어 내측에 제2 공간을 형성하는 배양 하우징;
    상기 제2 공간 측으로 물을 공급 가능한 펌프부;
    상기 케이스부 내의 온도, 습도, 수위, 동작 및 수분 중 적어도 하나를 감지하는 센서부; 및
    상기 펌프부 및 상기 센서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한 제어박스;를 포함하고,
    상기 배양 하우징은 상기 제1 케이스에 탈부착 가능하게 형성되고,
    상기 제1 공간 내에는 어류 또는 곤충을 기르고, 상기 제2 공간 내에는 채소 또는 버섯을 양식하며,
    상기 제어부는 외부 사용자 단말과 상호 무선 통신되는, 생태계 체험용 키트.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배양 하우징에는 복수 개의 연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1 공간 내에 상기 채소를 양식하는 경우 상기 연통홀을 통해 상기 배양 하우징 내로 공급되는 물이 배출되며,
    상기 제1 공간 내에 상기 버섯을 양식하는 경우 상기 연통홀을 통해 상기 배양 하우징 내의 버섯 균이 이동되는, 생태계 체험용 키트.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공간 내에 상기 어류를 기르는 경우 상기 제2 공간 내에는 사육수가 수용되고,
    상기 제2 공간 내에 상기 곤충을 기르는 경우 상기 제2 공간 내에는 발효된 톱밥이 수용되며,
    상기 센서부는 상기 사육수 또는 상기 톱밥에 접촉 위치된, 생태계 체험용 키트.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케이스는 상기 제1 케이스의 상측에 위치되고,
    상기 제2 케이스는 실린더 형상 또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된, 생태계 체험용 키트.
KR1020190155936A 2019-11-28 2019-11-28 생태계 체험용 키트 KR1022798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5936A KR102279879B1 (ko) 2019-11-28 2019-11-28 생태계 체험용 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5936A KR102279879B1 (ko) 2019-11-28 2019-11-28 생태계 체험용 키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6548A true KR20210066548A (ko) 2021-06-07
KR102279879B1 KR102279879B1 (ko) 2021-07-20

Family

ID=763743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5936A KR102279879B1 (ko) 2019-11-28 2019-11-28 생태계 체험용 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987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05932A (ja) 1996-02-01 1997-08-12 Fujikon:Kk きのこ菌の培養容器及び該容器を用いた昆虫飼育方法
KR20080006547U (ko) * 2007-06-22 2008-12-26 이대범 곤충 애벌레 사육 및 (야)생화 가꾸기 일체형 장치
KR101724380B1 (ko) * 2015-05-04 2017-04-07 (주)네츄럴텍 식물재배장치 및 방법
KR20190129780A (ko) * 2019-10-31 2019-11-20 용인곤충테마파크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곤충 생태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05932A (ja) 1996-02-01 1997-08-12 Fujikon:Kk きのこ菌の培養容器及び該容器を用いた昆虫飼育方法
KR20080006547U (ko) * 2007-06-22 2008-12-26 이대범 곤충 애벌레 사육 및 (야)생화 가꾸기 일체형 장치
KR101724380B1 (ko) * 2015-05-04 2017-04-07 (주)네츄럴텍 식물재배장치 및 방법
KR20190129780A (ko) * 2019-10-31 2019-11-20 용인곤충테마파크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곤충 생태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79879B1 (ko) 2021-07-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20184820A1 (en) Plant growing system
KR101422996B1 (ko) 다용도 수경재배기 및 이를 이용한 수경재배시스템
CN106472287A (zh) 生态种植箱
CN106134966A (zh) 生态种植箱
KR102176107B1 (ko) 식물 재배 장치
KR102279879B1 (ko) 생태계 체험용 키트
KR20170127853A (ko) 송풍 기능과 조사 기능이 구비된 저면관수식 화분
CN208883889U (zh) 一种智能生化培养箱
KR102198413B1 (ko) 수경재배기
CN205874450U (zh) 一种光强光种可控的植物细胞或微藻培养装置
CN204929894U (zh) 生态种植箱
KR20120027953A (ko) 인조 수류 수족관
US20230022621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breeding black soldier flies
KR20180076437A (ko) 투명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스마트 어항 시스템
CN103210872B (zh) 一种利于观赏和娱乐的养鱼装置
KR20170062784A (ko) 맞춤형 led 식물 재배장치
CN210328727U (zh) 生物养殖箱
KR101830702B1 (ko) 플랑크톤 배양기
CN104536414A (zh) 一种交互式智能植物与鱼共养装置
TWM566988U (zh) Aquatic wisdom incubator
KR101735343B1 (ko) 식물재배장치
KR20220059762A (ko) 생장 환경 제어가 가능한 곤충 사육 장치
CN205454754U (zh) 食用菌类家庭四季培养箱
CN215380389U (zh) 一种恒温恒湿蘑菇培养装置
US20240124824A1 (en) Lighting device and incubator for microalgae growth experimen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