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66527A - Battery module and th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 Google Patents

Battery module and th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66527A
KR20210066527A KR1020190155889A KR20190155889A KR20210066527A KR 20210066527 A KR20210066527 A KR 20210066527A KR 1020190155889 A KR1020190155889 A KR 1020190155889A KR 20190155889 A KR20190155889 A KR 20190155889A KR 20210066527 A KR20210066527 A KR 202100665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cell
cell assembly
battery
frame
bus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588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서경호
주재현
윤지수
강다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Priority to KR10201901558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66527A/en
Publication of KR202100665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6527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2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1M10/625Vehic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5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 H01M10/653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characterised by electrically insulating or thermally conductive materi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5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 H01M10/655Solid structures for heat exchange or heat condu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A battery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battery cell assembly in which a plurality of battery cells are stacked adjacent to each other in parallel; a bus bar frame assembly comprising a top frame covering an upper surface of the battery cell assembly, and a bus bar frame coupled to the top frame and covering a side surface of the battery cell assembly; a module frame having a rectangular tube shape accommodating the battery cell assembly and the bus bar frame assembly; a thermally conductive resin layer positioned between the module frame and a lower surface of the battery cell assembly; and a bottom pad attached to a lower surface of the battery cell assembly and disposed on both edges of the thermally conductive resin layer. Accordingly, the battery module can prevent damage to a battery cell when the busbar frame rotates in the busbar frame assembly to be coupled to the battery cell assembly.

Description

전지 모듈 및 그 제조 방법{BATTERY MODULE AND TH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Battery module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BATTERY MODULE AND TH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전지 모듈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지 모듈의 조립 과정에서 전지 셀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전지 모듈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ttery module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a battery module capable of preventing damage to a battery cell during an assembly process of the battery module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모바일 기기에 대한 기술 개발과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에너지원으로서 이차 전지의 수요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다양한 요구에 부응할 수 있는 이차 전지에 대한 연구가 많이 행해지고 있다.As technology development and demand for mobile devices increase, the demand for secondary batteries as an energy source is rapidly increasing. Accordingly, a lot of research has been done on secondary batteries that can meet various needs.

이차 전지는 휴대폰, 디지털 카메라, 노트북 등의 모바일 기기뿐만 아니라, 전기 자전기, 전기 자동차, 하이브리드 전기 자동차 등의 동력 장치에 대한 에너지원으로도 많은 관심을 모으고 있다.Secondary batteries are attracting a lot of attention as an energy source for power devices such as electric magnetrons, electric vehicles, and hybrid electric vehicles, as well as mobile devices such as cell phones, digital cameras, and notebook computers.

휴대폰, 카메라 등의 소형 디바이스에는 하나의 전지 셀이 팩킹되어 있는 소형 전지팩이 사용되나, 노트북, 전기 자동차 등의 중대형 디바이스에는 둘 또는 그 이상의 전지 셀들을 병렬 및/또는 직렬로 연결한 전지팩이 팩킹되어 있는 중형 또는 대형 전지팩이 사용되고 있다. 따라서, 상기 전지 팩에 포함되는 전지 셀의 개수는 요구되는 출력 전압 또는 충방전 용량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A small battery pack in which one battery cell is packed is used in small devices such as mobile phones and cameras, but a battery pack in which two or more battery cells are connected in parallel and/or in series is used in mid- to large-sized devices such as notebook computers and electric vehicles. A packed medium or large battery pack is used. Accordingly, the number of battery cells included in the battery pack may be variously set according to a required output voltage or charge/discharge capacity.

한편, 복수개의 전지 셀을 직렬/병렬로 연결하여 전지 팩을 구성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전지 셀로 이루어지는 전지 모듈을 먼저 구성하고, 이러한 적어도 하나의 전지 모듈을 이용하여 기타 구성 요소를 추가하여 전지 팩을 구성하는 방법이 일반적이다. 상기 전지 팩에 포함되는 전지 모듈의 개수, 또는 전지 모듈에 포함되는 전지 셀의 개수는 요구되는 출력 전압 또는 충방전 용량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이렇게 설정된 전지 모듈은 상호 적층되는 복수 개의 전지 셀들 및 상기 복수 개의 전지 셀들의 전극 리드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버스바 조립체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On the other hand, when configuring a battery pack by connecting a plurality of battery cells in series/parallel, a battery module including at least one battery cell is first configured, and other components are added using the at least one battery module to add other components to the battery pack. The general way to configure The number of battery modules included in the battery pack or the number of battery cells included in the battery module may be variously set according to a required output voltage or charge/discharge capacity. The battery module set in this way is configured to include a plurality of battery cells stacked together and a bus bar assembly electrically connecting electrode leads of the plurality of battery cells.

버스바 프레임 조립체는 버스바와 버스바 프레임이 결합된 구조 및 이러한 버스바 프레임과, 전지 셀들의 상면을 덮는 탑 프레임이 조립된 구성을 갖는다. 그런데 버스바 프레임과 탑 프레임이 결합된 상태에서 회동하여 전지 셀 조립체에 결합하는 경우, 회동 과정에서 버스바 프레임의 형태 또는 이에 부착된 구성 등에 의해 전지 셀이 손상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바, 이러한 문제들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The bus bar frame assembly has a structure in which a bus bar and a bus bar frame are combined, and a top frame that covers the upper surfaces of the bus bar frame and the battery cells is assembled. However, when the bus bar frame and the top frame are rotated and coupled to the battery cell assembly in a coupled state, problems such as damage to the battery cells may occur due to the shape of the bus bar frame or the configuration attached thereto during the rotation process. However, the need for a structure that can prevent these problems is emerging.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버스바 프레임 조립체에서 버스바 프레임이 회동하여 전지 셀 조립체와 결합할 때, 전지 셀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전지 모듈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attery module capable of preventing damage to a battery cell when the busbar frame rotates in the busbar frame assembly and is coupled to the battery cell assembly.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술한 과제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에서 다양하게 확장될 수 있다.However, the problems to be solved by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 problems and may be variously expanded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전지 모듈은 복수의 전지 셀이, 나란하게 서로 인접하여 적층된 전지 셀 조립체, 상기 전지 셀 조립체의 상면을 덮는 탑 프레임과, 상기 탑 프레임에 결합되어 상기 전지 셀 조립체의 측면을 덮는 버스바 프레임을 포함하는 버스바 프레임 조립체, 상기 전지 셀 조립체와 상기 버스바 프레임 조립체를 수납하는 사각 관 형상의 모듈 프레임, 상기 모듈 프레임과 상기 전지 셀 조립체의 하면 사이에 위치하는 열전도성 수지층, 및 상기 전지 셀 조립체의 하면에 부착되어 위치하고, 상기 열전도성 수지층의 양측 가장자리에 배치되는 바텀 패드를 포함한다.A battery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attery cell assembly in which a plurality of battery cells are stacked adjacent to each other in parallel, a top frame covering an upper surface of the battery cell assembly, and coupled to the top frame, the battery cell assembly A bus bar frame assembly including a bus bar frame covering the side of the battery cell assembly and a square tube-shaped module frame accommodating the bus bar frame assembly, and a thermoelectric device positioned between the module frame and a lower surface of the battery cell assembly a conductive resin layer, and a bottom pad attached to a lower surface of the battery cell assembly and disposed on both edges of the thermally conductive resin layer.

상기 버스바 프레임은, 상기 버스바 프레임의 하단부로부터 상기 전지 셀조립체의 하면을 따라 연장되어 돌출되고, 상기 바텀 패드를 덮는 연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bus bar frame may include an extension that extends from a lower end of the bus bar frame along a lower surface of the battery cell assembly and protrudes, and covers the bottom pad.

상기 전지 셀 조립체는 상기 복수의 전지 셀로부터 각각 돌출된 셀 테라스 및 상기 셀 테라스로부터 돌출된 전극 리드를 더욱 포함하고, 상기 버스바 프레임은 상기 탑 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The battery cell assembly may further include a cell terrace each protruding from the plurality of battery cells and an electrode lead protruding from the cell terrace, and the bus bar frame may be rotatably coupled to the top frame.

상기 바텀 패드의 두께는, 상기 열전도성 수지층의 두께와 같거나 그보다 클 수 있다.The thickness of the bottom pad may be the same as or greater than the thickness of the thermally conductive resin layer.

상기 바텀 패드는, 상기 전지 셀 조립체의 하면의 길이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된 막대 형상일 수 있다.The bottom pad may have a bar shape dispos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a longitudinal direction of a lower surface of the battery cell assembly.

상기 전지 셀 조립체의 양 측면과, 상기 모듈 프레임 사이에 배치되는 팽창 제어 패드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It may further include an expansion control pad disposed between both sides of the battery cell assembly and the module frame.

상기 바텀 패드는 탄성을 갖는 패드부와, 상기 패드부를 상기 전지 셀 조립체의 하면에 부착시키는 양면 테이프를 포함할 수 있다. The bottom pad may include a pad portion having elasticity and a double-sided tape for attaching the pad portion to a lower surface of the battery cell assembly.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지 모듈의 제조 방법은 복수의 전지 셀이, 나란하게 서로 인접하여 적층된 전지 셀 조립체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전지 셀 조립체의 하면에, 상기 전지 셀 조립체의 하면의 길이 방향의 양측 가장자리에 상기 전지 셀 조립체의 하면의 길이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된 막대 형상의 바텀 패드를 부착하는 단계, 상기 전지 셀 조립체의 상면을 덮는 탑 프레임과, 상기 탑 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버스바 프레임을 포함하는 버스바 프레임 조립체를 상기 전지 셀 조립체의 상면에 배치하는 단계, 상기 버스바 프레임을 회동하여 상기 전지 셀 조립체의 측면을 덮도록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 method of manufacturing a battery modu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manufacturing a battery cell assembly in which a plurality of battery cells are stacked adjacent to each other in parallel, on the lower surface of the battery cell assembly, the lower surface of the battery cell assembly Attaching a bar-shaped bottom pad dispos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ower surface of the battery cell assembly to both edg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top frame covering the upper surface of the battery cell assembly, and the top frame can be rotated and disposing a bus bar frame assembly including a bus bar frame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battery cell assembly, and rotating the bus bar frame to cover a side surface of the battery cell assembly.

상기 전지 셀 조립체와 상기 버스바 프레임 조립체의 결합체를, 사각 관 형상의 모듈 프레임 내에 삽입하는 단계, 및 상기 모듈 프레임과 상기 전지 셀 조립체 사이에서, 상기 바텀 패드들 사이에 형성된 공간 내에 열전도성 수지를 주입하고 경화하여 열전도성 수지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inserting the assembly of the battery cell assembly and the bus bar frame assembly into a module frame having a rectangular tube shape, and between the module frame and the battery cell assembly, and forming a thermal conductive resin in a space formed between the bottom pads. It may further include the step of forming a thermally conductive resin layer by injecting and curing.

상기 전지 셀 조립체는 상기 복수의 전지 셀로부터 각각 돌출된 셀 테라스 및 상기 셀 테라스로부터 돌출된 전극 리드를 더욱 포함하고, 상기 버스바 프레임은, 상기 버스바 프레임의 하단부로부터 상기 전지 셀조립체의 하면을 따라 연장되어 돌출되고, 상기 바텀 패드를 덮는 연장부를 포함하며, 상기 버스바 프레임이 회동하여 상기 전지 셀 조립체의 측면을 덮도록 결합할 때, 상기 연장부와 상기 전극 리드 간의 간섭이 발생하지 않는다.The battery cell assembly further includes a cell terrace protruding from the plurality of battery cells, respectively, and an electrode lead protruding from the cell terrace, and the bus bar frame includes a lower surface of the battery cell assembly from a lower end of the bus bar frame. It extends along the protruding part and includes an extension part covering the bottom pad, and when the bus bar frame rotates to cover the side surface of the battery cell assembly and is coupled to each other, interference between the extension part and the electrode lead does not occur.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전지 팩은, 상기한 적어도 하나의 전지 모듈,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지 모듈을 패키징하는 팩 케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A battery pack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the at least one battery module, and a pack case for packaging the at least one battery module.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는 상기한 적어도 하나의 전지 팩을 포함할 수 있다.A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the above-described at least one battery pack.

실시예들에 따르면, 버스바 프레임 조립체의 버스바 프레임을 회동하여 전지 셀 조립체와 결합하는 과정에서 전지 셀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전지 모듈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s, it is possible to provide a battery module capable of preventing damage to a battery cell during a process of rotating the busbar frame of the busbar frame assembly to be coupled with the battery cell assembly,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지 모듈이 분해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지 모듈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도시된 구성 중 전지 셀 조립체를 180도 뒤집은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2의 IV-IV'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전지 모듈의 제조 방법에서 버스바 프레임을 회동하여 결합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도 5에서 버스바 프레임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종래 전지 모듈에 있어서 도 6에 대응하는 버스바 프레임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disassembled state of a battery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battery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FIG. 3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battery cell assembly is turned over 180 degrees in the configuration shown in FIG. 1 .
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V-IV' of FIG. 2 .
5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bus bar frame is rotated and coupled in a method of manufacturing a battery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n enlarged view of the bus bar frame in FIG. 5 .
7 is an enlarged view illustrating a bus bar frame portion corresponding to FIG. 6 in a conventional battery module.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so tha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can easily implement them.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In order to clear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given to the same or similar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또한,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여러 층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그리고 도면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일부 층 및 영역의 두께를 과장되게 나타내었다.In addition, since the size and thickness of each component shown in the drawings are arbitrarily indicated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 illustrated bar. In order to clearly express various layers and regions in the drawings, the thicknesses are enlarged. And in the drawings,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thickness of some layers and regions are exaggerated.

또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또는 "상에" 있다고 할 때,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반대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다고 할 때에는 중간에 다른 부분이 없는 것을 뜻한다. 또한, 기준이 되는 부분 "위에" 또는 "상에"있다고 하는 것은 기준이 되는 부분의 위 또는 아래에 위치하는 것이고, 반드시 중력 반대 방향을 향하여 "위에" 또는 "상에" 위치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Also, when a part of a layer, film, region, plate, etc. is said to be “on” or “on” another part, this includes not only cases where it is “directly on” another part, but also cases where another part is in between. . Conversely, when we say that a part is "just above" another part, we mean that there is no other part in the middle. In addition, to be "on" or "on" the reference portion means to be located above or below the reference portion, and to necessarily mean to be located "on" or "on"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gravity no.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In addition,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ncludes" a certain component, this means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further included rather than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otherwise stated.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평면상"이라 할 때, 이는 대상 부분을 위에서 보았을 때를 의미하며, "단면상"이라 할 때, 이는 대상 부분을 수직으로 자른 단면을 옆에서 보았을 때를 의미한다.In addition,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planar view" means when the target part is viewed from above, and "cross-sectional view" means when the target part is vertically cut cross-section when viewed from the sid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지 모듈이 분해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지 모듈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도 1의 도시된 구성 중 전지 셀 조립체를 180도 뒤집은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2의 IV-IV'선을 따른 단면도이다.1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battery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assembled, FIG. 2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battery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bined, and FIG. 1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battery cell assembly is turned over by 180 degrees, and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V-IV' of FIG. 2 .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지 모듈(100)은 전지 셀이 적층된 전지 셀 조립체(110), 상기 전지 셀 조립체(110)에 결합된 탑 프레임(500)과 버스바 프레임(300), 및 전지 셀 조립체(110), 탑 프레임(500)과 버스바 프레임(300)이 수납되는 모듈 프레임(2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1 to 4 , the battery modul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attery cell assembly 110 in which battery cells are stacked, and a top frame 500 coupled to the battery cell assembly 110 . and a bus bar frame 300 , and a module frame 200 in which the battery cell assembly 110 , the top frame 500 and the bus bar frame 300 are accommodated.

상기 전지 셀 조립체(110)는 복수의 전지 셀을 포함하는 이차 전지의 집합체이다. 전지 셀 조립체(110)는 복수의 전지 셀을 포함할 수 있고, 각각의 전지 셀은 전극 리드(112)를 포함한다. 전지 셀은 판상 형태를 갖는 파우치형 전지 셀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전극 리드(112)는 양극 리드 또는 음극 리드이며, 각 전지 셀의 전극 리드(112)는 단부가 한쪽 방향으로 구부러질 수 있고, 이에 의해 인접한 다른 전지 셀이 갖는 전극 리드의 단부와 맞닿을 수 있다. 서로 맞닿은 2개의 전극 리드(112)는 서로 용접 등을 통해 고정될 수 있고, 이를 통해 전지 셀 조립체(110) 내부의 전지 셀 간의 전기적 연결이 이루어질 수 있다. 전극 리드(112)는 전지 셀의 파우치로부터 연장 형성된 셀 테라스(111)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The battery cell assembly 110 is an assembly of secondary batteries including a plurality of battery cells. The battery cell assembly 110 may include a plurality of battery cells, and each battery cell includes an electrode lead 112 . The battery cell may be a pouch-type battery cell having a plate shape,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e electrode lead 112 is a positive electrode lead or a negative electrode lead, and an end of the electrode lead 112 of each battery cell may be bent in one direction, thereby making contact with an end of an electrode lead of another adjacent battery cell. have. The two electrode leads 112 in contact with each other may be fixed to each other through welding or the like, and through this,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battery cells in the battery cell assembly 110 may be made. The electrode lead 112 may be formed to protrude from the cell terrace 111 extending from the pouch of the battery cell.

복수의 전지 셀은 전극 리드(112)들이 일측 방향으로 정렬되도록 수직 적층되어 전지 셀 조립체(110)를 이룬다. 일측 방향으로 정렬된 전극 리드(112) 들은 전지 셀 조립체(110)를 커버하도록 배치되는 버스바 프레임(300)에 고정된 버스바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즉, 버스바 프레임(300)은 절연체로 이루어져 전지 셀 조립체(110)로부터 인출되는 전극 리드(112)들이 통과할 수 있는 리드 슬롯을 포함하며, 버스바는 전지 셀 조립체(110)의 전극 리드(112)를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The plurality of battery cells are vertically stacked such that the electrode leads 112 are aligned in one direction to form the battery cell assembly 110 . The electrode leads 112 aligned in one direction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a bus bar fixed to the bus bar frame 300 disposed to cover the battery cell assembly 110 . That is, the bus bar frame 300 is made of an insulator and includes a lead slot through which the electrode leads 112 drawn out from the battery cell assembly 110 can pass, and the bus bar is an electrode lead ( 112) can be electrically connected.

버스바 프레임(300)에는 그 밖에 각종 전장 부품들이 부착될 수 있다. 일례로 ICB (Internal Circuit Board) 및 BMS (Battery Management System) 등이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ICB 및 BMS 보드 등의 전장 부품들은 상기 복수 개의 전지 셀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Various other electrical components may be attached to the bus bar frame 300 . For example, an internal circuit board (ICB) and a battery management system (BMS) may be provided, and electronic components such as the ICB and the BMS board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battery cells.

탑 프레임(500)은 전지 셀 조립체(110)의 상부에 위치하며, 그 양쪽 측면에서 버스바 프레임(300)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 때 버스바는 버스바 프레임(300)에 장착되고, 연성 인쇄 회로 기판(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FPCB)은 탑 프레임(5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단에 배치될 수 있다. 연성 인쇄 회로 기판은 버스바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므로 이를 통해 전지 셀의 과전압 및 과전류 등의 센싱이 가능하며, 그 일단에 커넥터가 연결되어 전압 센싱 및 온도 센싱과 관련한 신호를 전지 모듈(100) 외부에 마련된 제어기로 송수신 할 수 있다. The top frame 500 is positioned above the battery cell assembly 110 , and the bus bar frame 300 is rotatably coupled from both sides thereof. In this case, the bus bar may be mounted on the bus bar frame 300 , and a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FPCB) may be disposed on the top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op frame 500 . Since the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bus bar, it is possible to sense overvoltage and overcurrent of the battery cell through this, and a connector is connected to one end thereof to transmit signals related to voltage sensing and temperature sensing to the outside of the battery module 100. It can transmit and receive with the controller.

버스바 프레임(300)은 하단부로부터 전지 셀 조립체(110)의 하면을 따라 연장되어 돌출된 연장부(310)를 포함한다. 이에 의해, 도 1의 버스바 프레임(300)의 측면 형상이 L자형을 이룰 수 있다. 연장부(310)를 포함하는 것에 의해, 강성이 취약한 전지 셀 조립체(110)의 모서리 부분을 보호하여, 전지 셀 조립체(110)의 모서리 부분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bus bar frame 300 includes an extension portion 310 that extends along the lower surface of the battery cell assembly 110 from the lower end and protrudes. Accordingly, the side shape of the bus bar frame 300 of FIG. 1 may form an L-shape. By including the extension part 310 , it is possible to protect the edge of the battery cell assembly 110 , which is weak in rigidity, to prevent damage to the edge of the battery cell assembly 110 .

전지 셀 조립체(110)의 상면에 탑 프레임(500)을 배치하고, 버스바 프레임(300)을 회동하여 전극 리드(112)가 형성된 전지 셀 조립체(110)의 측면에 결합한다. 이러한 결합체는 전지 셀 조립체(110)의 길이 방향으로 개방된 적어도 하나의 개구를 가지고, 전지 셀 조립체(110)의 적어도 4개의 면을 감싸는 4개의 플레이트를 포함하여 사각 관 형태를 갖는 모듈 프레임(200) 내에 수용된다. 이 때, 상기 버스바 프레임(300)은 상기 개구를 통해 노출되고, 개구는 버스바 프레임(300)을 통해 전극 리드(112)를 외부와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구성을 포함하는 엔드 플레이트(600)에 의해 덮일 수 있다.The top frame 500 is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ttery cell assembly 110 , and the bus bar frame 300 is rotated to couple to the side surface of the battery cell assembly 110 on which the electrode leads 112 are formed. This assembly has at least one opening open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attery cell assembly 110, and includes four plates surrounding at least four surfaces of the battery cell assembly 110. The module frame 200 has a square tube shape. ) is accommodated in At this time, the bus bar frame 300 is exposed through the opening, and the opening is in the end plate 600 including a configuration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electrode lead 112 to the outside through the bus bar frame 300 . can be covered by

전지 셀 조립체(110)의 하면과 모듈 프레임(200)의 하면 사이에는, 열전도성 수지층(800)이 위치한다. 열전도성 수지층(800)는 전지 셀 조립체(110)로부터 발생하는 열을 외부로 방출할 수 있도록 열 전도 물질로 이루어지며, 예를 들면 써멀 레진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써멀 레진의 예로는 실리콘, 우레탄, 에폭시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열전도성 수지층(800)은 이와 같이 발생한 열을 전디 모듈(100)의 바닥으로 전달하는 역할과 함께 전지 셀 조립체(110)를 전지 모듈(100) 내에서 고정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A thermally conductive resin layer 800 is positioned between the lower surface of the battery cell assembly 110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module frame 200 . The thermally conductive resin layer 800 is made of a thermally conductive material to dissipate heat generated from the battery cell assembly 110 to the outside, for example, thermal resin. Examples of such thermal resins include silicone, urethane, and epoxy. In addition, the thermally conductive resin layer 800 may serve to transfer the generated heat to the bottom of the forebody module 100 and to fix the battery cell assembly 110 in the battery module 100 .

열전도성 수지층(800)은 모듈 프레임(200)의 하면에 형성된 홀 등을 통해 액체 상태로 주입된 열전도성 수지를 경화시키는 것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주액되는 열전도성 수지를 원하는 영역 내에 위치시키고 그 흐름이 특정 영역을 넘어가지 않도록 댐 역할을 하기 위해, 바텀 패드(400)를 구비할 수 있다. 바텀 패드(400)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지 셀 조립체(110)의 하면의 길이 방향에 대해 수직인 방향으로 배치된 막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전극 리드(112)가 돌출되어 있는 양 단부에 대응하여 형성됨으로써, 열전도성 수지가 전극 리드(112) 측으로 넘치지 않도록 방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바텀 패드(400) 탄성을 갖는 패드부와, 상기 패드부를 상기 전지 셀 조립체의 하면에 부착시키는 양면 테이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바텀 패드(400)의 두께는, 형성하고자 하는 열전도성 수지층(800)의 두께와 같거나, 그보다 클 수 있다.The thermally conductive resin layer 800 may be formed by curing the thermally conductive resin injected in a liquid state through a hole formed in the lower surface of the module frame 200 . At this time, the bottom pad 400 may be provided in order to position the injected thermal conductive resin in a desired area and to act as a dam so that the flow does not exceed a specific area. As shown in FIG. 3 , the bottom pad 400 may have a bar shape dispos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ower surface of the battery cell assembly 110 . That is, since the electrode lead 112 is formed to correspond to the protruding both ends, it can serve to prevent the thermal conductive resin from overflowing toward the electrode lead 112 . The bottom pad 400 may include a pad part having elasticity, and a double-sided tape for attaching the pad part to a lower surface of the battery cell assembly. In addition, the thickness of the bottom pad 400 may be the same as or greater than the thickness of the thermally conductive resin layer 800 to be formed.

한편, 바텀 패드(400)가 형성되지 않은 가장자리, 즉 전지 셀 조립체(110)의 하면의 길이 방향에 대해 평행한 가장자리는 모듈 프레임(200)에 의해 막혀있기 때문에, 별도의 패드를 추가하지 않더라도 열전도성 수지의 흐름을 제어할 수 있겠으나, 필요에 따라서는 추가의 패드를 구비하거나, 또는 후술의 팽창 제어 패드(700)를 활용하여 열전도성 수지의 흐름을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며,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는다.On the other hand, since the edge on which the bottom pad 400 is not formed, that is, the edge paralle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ower surface of the battery cell assembly 110 , is blocked by the module frame 200 , even if a separate pad is not added, the thermoelectric Although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flow of the conductive resin,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flow of the thermal conductive resin by using an additional pad or an expansion control pad 700 to be described later if necessary, and is not particularly limited. does not

바텀 패드(400)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버스바 프레임(300)의 연장부(310)에 의해 덮일 수 있다. 즉, 버스바 프레임(300)의 연장부(310)에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바텀 패드(400) 자체가 양면 테이프 또는 접착제 등의 구성에 의해 전지 셀 조립체(110)의 하면에 부착되고, 이후 버스바 프레임(300)의 회동에 의해 버스바 프레임(300)이 전지 셀 조립체(110)의 측면에 결합하는 과정에서, 연장부(310)가 바텀 패드(400)를 덮도록 형성된다. 이에 의해, 조립 과정에서 전지 셀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bottom pad 400 may be covered by the extension 310 of the bus bar frame 300 as shown in FIG. 4 . That is, instead of being formed on the extension 310 of the bus bar frame 300 , the bottom pad 400 itself is attach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battery cell assembly 110 by a configuration such as a double-sided tape or an adhesive, and thereafter, the bus While the bus bar frame 300 is coupled to the side surface of the battery cell assembly 110 by the rotation of the bar frame 300 , the extension 310 is formed to cover the bottom pad 400 .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battery cells from being damaged during the assembly process.

전지 셀 조립체(110)의 측면과 모듈 프레임(200) 사이에는 팽창 제어 패드(700)가 구비될 수 있다. 팽창 제어 패드(700)전지 셀이 팽창할 경우 압축되어 완충 작용을 하는 것에 의해 셀 스웰링을 제어할 수 있고, 따라서 전지 셀의 팽창에 따른 전지 셀 및 모듈 프레임(200)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팽창 제어 패드(700)는, 폴리우레탄(PU) 또는 EDPM(Ethlene PropyleneDiene Monomer) 등과 같은 소프트한 탄성 재질을 포함하는 소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소재는 진동에 대한 흡수성 및 압축에 의한 반발력이 우수하기 때문에, 복수의 전지 셀에 셀 스웰링 현상이 발생하더라도 우수한 치수 안정성을 갖는 전지 모듈(100)을 제공할 수 있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An expansion control pad 700 may be provided between the side surface of the battery cell assembly 110 and the module frame 200 . When the expansion control pad 700 expands the battery cell, it is compressed and acts as a buffer to control cell swelling, thus preventing damage to the battery cell and the module frame 200 due to the expansion of the battery cell. have. To this end, the expansion control pad 700 may include a material including a soft elastic material such as polyurethane (PU) or EDPM (Ethlene Propylene Diene Monomer). Since the material has excellent absorbency to vibration and repulsive force due to compression, it is possible to guide the battery module 100 having excellent dimensional stability even when cell swelling occurs in a plurality of battery cells.

다음으로, 도 5 내지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해 얻을 수 있는 효과를 보다 상세히 설명함과 아울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지 모듈의 제조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Next, an effect obtainable by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5 to 7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a battery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5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전지 모듈의 제조 방법에서 버스바 프레임을 회동하여 결합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도 5에서 버스바 프레임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종래 전지 모듈에 있어서 도 6에 대응하는 버스바 프레임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FIG. 5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bus bar frame is rotated and coupled in a method of manufacturing a battery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n enlarged view of the bus bar frame in FIG. 5, and FIG. 7 is an enlarged view showing a bus bar frame portion corresponding to FIG. 6 in a conventional battery module.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전지 모듈(100)을 제조하기 위하여, 먼저, 복수의 전지 셀을 적층하고 전극 리드(112)로 연결하여 전지 셀 조립체(110)를 형성한다. 다음으로, 전지 셀 조립체(110)의 하면에, 바텀 패드(400)를 부착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바텀 패드(400)는 전극 리드(112)가 돌출되어 있는 양 단부에 대응하여, 전지 셀 조립체(110)의 하면의 길이 방향에 대해 수직인 방향으로 배치된 막대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5 and 6 , in order to manufacture the battery modul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first, a plurality of battery cells are stacked and connected with electrode leads 112 to form a battery cell assembly 110 . . Next, the bottom pad 400 is attach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battery cell assembly 110 . As described above, the bottom pad 400 may be formed to have a bar shape dispos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ower surface of the battery cell assembly 110 to correspond to both ends from which the electrode leads 112 protrude. can

이어서, 버스바 프레임(300)이 탑 프레임(500)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상태에서 버스바 프레임 조립체를 전지 셀 조립체(110)의 상면에 배치하고, 이 상태에서 버스바 프레임(300)을 회동하여 전지 셀 조립체(110)의 전극 리드(112)가 배치된 측면과 결합시킨다. 이 때, 버스바 프레임(300)의 연장부(310)에는 바텀 패드가 부착되어 있지 않고, 이미 전지 셀 조립체(110)의 하면에 바텀 패드(400)가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회동 과정에서 셀 테라스(111)와 간섭하는 부분이 발생하지 않아, 전지 셀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Next, in a state in which the bus bar frame 300 is rotatably coupled to the top frame 500 , the bus bar frame assembly is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ttery cell assembly 110 , and in this state, the bus bar frame 300 is installed. It is rotated so that the electrode lead 112 of the battery cell assembly 110 is coupled to the disposed side surface. At this time, since the bottom pad is not attached to the extension part 310 of the bus bar frame 300 , and the bottom pad 400 is already attach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battery cell assembly 110 , the cell terrace is rotated during the rotation process. A portion that interferes with (111) does not occur, so that damage to the battery cell can be prevented.

반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에는 조립의 편의성 등을 이유로 버스바 프레임(300)의 연장부(310)에 바텀 패드(400)가 부착된 상태에서 버스바 프레임(300)의 회동 결합 공정을 진행하였다. 그러나, 이 경우 바텀 패드(400)와 셀 테라스(111) 하단부 간에 간섭이 발생하여, 바텀 패드(400) 및 셀 테라스(111)의 손상이 발생하였다. 이 때문에, 전지 셀의 손상이 발생할 뿐만 아니라, 바텀 패드(400)의 손상으로 후속의 열전도성 수지 주액 공정에서 열전도성 수지의 흐름을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없어서, 수지 재료의 낭비 및 전지 모듈 전체의 중량 증가 등의 문제가 발생하였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 7 , in the related art, for reasons of assembly convenience, etc., in a state where the bottom pad 400 is attached to the extension part 310 of the bus bar frame 300 , the bus bar frame 300 is rotatably coupled. The process proceeded. However, in this case, interference occurs between the bottom pad 400 and the lower end of the cell terrace 111 , and thus the bottom pad 400 and the cell terrace 111 are damaged. For this reason, not only damage to the battery cell occurs, but also the flow of the thermal conductive resin cannot be effectively controlled in the subsequent thermal conductive resin injection process due to damage to the bottom pad 400, resulting in waste of resin material and the weight of the entire battery module. There were problems such as increase.

그러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전지 셀 조립체(110)의 하면에, 미리 정해진 치수에 맞춰 바텀 패드(400)가 부착된 상태에서 버스바 프레임(300)을 결합하기 때문에, 셀 테라스(111)와 간섭하는 부분의 제거를 통해 셀 테라스(111)의 손상을 방지하는 것은 물론, 바텀 패드(400)의 손상을 방지하고, 보다 정밀한 위치에 바텀 패드(400)를 부착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열전도성 수지층(800) 형성시에도 열전도성 수지의 흐름을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Howe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bus bar frame 300 is coupl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battery cell assembly 110 while the bottom pad 400 is attached to a predetermined dimension, the cell terrace ( Because it is possible to prevent damage to the cell terrace 111 by removing the portion interfering with the 111), as well as prevent damage to the bottom pad 400 and attach the bottom pad 400 to a more precise position. ,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control the flow of the thermally conductive resin even when the thermally conductive resin layer 800 is formed.

이어서, 얻어진 전지 셀 조립체(110)와, 버스바 프레임(300)의 결합체를 모듈 프레임(200) 내에 삽입한다. 그리고 나서, 모듈 프레임(200) 전체를 180도 회전하여 모듈 프레임(200)의 하면이 중력 방향에서 상부를 향하도록 한 후, 모듈 프레임(200)의 하면에 형성된 홀을 통해 열전도성 수지를 주입한다. 이러한 주입 공정에서, 바텀 패드(400)에 의해 제어된 공간 내에만 열전도성 수지가 주입될 수 있다. 액상으로 주입된 열전도성 수지는 주입이 완료되어 자연 경화되는 것에 의해 열전도성 수지층(800)으로 완성될 수 있다. Next, the assembly of the obtained battery cell assembly 110 and the bus bar frame 300 is inserted into the module frame 200 . Then, the entire module frame 200 is rotated 180 degrees so that the lower surface of the module frame 200 faces upward in the direction of gravity, and then the thermal conductive resin is injected through the hole formed in the lower surface of the module frame 200 . In this injection process, the thermal conductive resin may be injected only into the space controlled by the bottom pad 400 . The thermally conductive resin injected in the liquid phase may be completed as the thermally conductive resin layer 800 by being naturally cured after the injection is completed.

이상과 같이, 바텀 패드(400)가 버스바 프레임(300)의 연장부(310)가 아닌 전지 셀 조립체(110)의 하면에 부착되는 것에 의해, 버스바 프레임(300)의 조립 과정에서 전지 셀 및 바텀 패드(400)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여, 공정 신뢰성을 향상시키고, 바텀 패드(400)에 의해 열전도성 수지의 흐름을 효과적으로 제어한 전지 모듈(100)의 제조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since the bottom pad 400 is attach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battery cell assembly 110 rather than the extension 310 of the busbar frame 300 , in the assembly process of the busbar frame 300 , the battery cell And it is possible to provide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battery module 100 by preventing the bottom pad 400 from being damaged, improving process reliability, and effectively controlling the flow of the thermal conductive resin by the bottom pad 400 .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지 모듈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이 팩 케이스 내에 패키징되어 전지팩을 형성할 수 있다.Meanwhile, one or more battery modul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ackaged in a pack case to form a battery pack.

앞에서 설명한 전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팩은 다양한 디바이스에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디바이스에는, 전기 자전거, 전기 자동차, 하이브리드 자동차 등의 운송 수단에 적용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고 전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팩을 사용할 수 있는 다양한 디바이스에 적용 가능하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The above-described battery module and battery pack including the same may be applied to various devices. Such a device may be applied to transportation means such as an electric bicycle, an electric vehicle, and a hybrid vehicle,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is applicable to various devices that can use a battery module and a battery pack including the same, and this It belongs to the scope of the invention.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Although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abo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improvements by those skilled in the art using the basic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defined in the following claims are also present is within the scope of the

100: 전지 모듈
110: 전지 셀 조립체
200: 모듈 프레임
300: 버스바 프레임
400: 바텀 패드
100: battery module
110: battery cell assembly
200: module frame
300: bus bar frame
400: bottom pad

Claims (12)

복수의 전지 셀이, 나란하게 서로 인접하여 적층된 전지 셀 조립체;
상기 전지 셀 조립체의 상면을 덮는 탑 프레임과, 상기 탑 프레임에 결합되어 상기 전지 셀 조립체의 측면을 덮는 버스바 프레임을 포함하는 버스바 프레임 조립체;
상기 전지 셀 조립체와 상기 버스바 프레임 조립체를 수납하는 사각 관 형상의 모듈 프레임;
상기 모듈 프레임과 상기 전지 셀 조립체의 하면 사이에 위치하는 열전도성 수지층; 및
상기 전지 셀 조립체의 하면에 부착되어 위치하고, 상기 열전도성 수지층의 양측 가장자리에 배치되는 바텀 패드를 포함하는 전지 모듈.
a battery cell assembly in which a plurality of battery cells are stacked adjacent to each other in parallel;
a busbar frame assembly including a top frame covering an upper surface of the battery cell assembly, and a busbar frame coupled to the top frame and covering a side surface of the battery cell assembly;
a module frame having a rectangular tube shape accommodating the battery cell assembly and the bus bar frame assembly;
a thermally conductive resin layer positioned between the module frame and a lower surface of the battery cell assembly; and
and a bottom pad attached to a lower surface of the battery cell assembly and disposed on both edges of the thermally conductive resin layer.
제1항에서,
상기 버스바 프레임은, 상기 버스바 프레임의 하단부로부터 상기 전지 셀조립체의 하면을 따라 연장되어 돌출되고, 상기 바텀 패드를 덮는 연장부를 포함하는 전지 모듈.
In claim 1,
The bus bar frame may extend along a lower surface of the battery cell assembly from a lower end of the bus bar frame and protrude, and include an extension part covering the bottom pad.
제2항에서,
상기 전지 셀 조립체는 상기 복수의 전지 셀로부터 각각 돌출된 셀 테라스 및 상기 셀 테라스로부터 돌출된 전극 리드를 더욱 포함하고,
상기 버스바 프레임은 상기 탑 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전지 모듈.
In claim 2,
The battery cell assembly further includes a cell terrace each protruding from the plurality of battery cells and an electrode lead protruding from the cell terrace,
The bus bar frame is a battery module rotatably coupled to the top frame.
제1항에서,
상기 바텀 패드의 두께는, 상기 열전도성 수지층의 두께와 같거나 그보다 큰 전지 모듈.
In claim 1,
The thickness of the bottom pad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thickness of the thermally conductive resin layer.
제1항에서,
상기 바텀 패드는, 상기 전지 셀 조립체의 하면의 길이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된 막대 형상인 전지 모듈.
In claim 1,
The bottom pad is a battery module in the shape of a rod dispos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ower surface of the battery cell assembly.
제1항에서,
상기 전지 셀 조립체의 양 측면과, 상기 모듈 프레임 사이에 배치되는 팽창 제어 패드를 더욱 포함하는 전지 모듈.
In claim 1,
The battery module further comprising an expansion control pad disposed between both sides of the battery cell assembly and the module frame.
제1항에서,
상기 바텀 패드는 탄성을 갖는 패드부와, 상기 패드부를 상기 전지 셀 조립체의 하면에 부착시키는 양면 테이프를 포함하는 전지 모듈.
In claim 1,
The bottom pad includes a pad portion having elasticity, and a double-sided tape for attaching the pad portion to a lower surface of the battery cell assembly.
복수의 전지 셀이, 나란하게 서로 인접하여 적층된 전지 셀 조립체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전지 셀 조립체의 하면에, 상기 전지 셀 조립체의 하면의 길이 방향의 양측 가장자리에 상기 전지 셀 조립체의 하면의 길이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된 막대 형상의 바텀 패드를 부착하는 단계;
상기 전지 셀 조립체의 상면을 덮는 탑 프레임과, 상기 탑 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버스바 프레임을 포함하는 버스바 프레임 조립체를 상기 전지 셀 조립체의 상면에 배치하는 단계;
상기 버스바 프레임을 회동하여 상기 전지 셀 조립체의 측면을 덮도록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지 모듈의 제조 방법.
manufacturing a battery cell assembly in which a plurality of battery cells are stacked adjacent to each other in parallel;
attaching bar-shaped bottom pads dispos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ower surface of the battery cell assembly to both edg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ower surface of the battery cell assembly to the lower surface of the battery cell assembly;
disposing a bus bar frame assembly including a top frame covering an upper surface of the battery cell assembly and a bus bar frame rotatably coupled to the top frame on an upper surface of the battery cell assembly;
A method of manufacturing a battery module comprising the step of rotating the bus bar frame so as to cover the side surface of the battery cell assembly.
제8항에서,
상기 전지 셀 조립체와 상기 버스바 프레임 조립체의 결합체를, 사각 관 형상의 모듈 프레임 내에 삽입하는 단계; 및
상기 모듈 프레임과 상기 전지 셀 조립체 사이에서, 상기 바텀 패드들 사이에 형성된 공간 내에 열전도성 수지를 주입하고 경화하여 열전도성 수지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지 모듈의 제조 방법.
In claim 8,
inserting the assembly of the battery cell assembly and the bus bar frame assembly into a module frame having a rectangular tube shape; and
Between the module frame and the battery cell assembly, the method of manufacturing a battery module comprising the step of injecting and curing a thermally conductive resin in the space formed between the bottom pads to form a thermally conductive resin layer.
제8항에서,
상기 전지 셀 조립체는 상기 복수의 전지 셀로부터 각각 돌출된 셀 테라스 및 상기 셀 테라스로부터 돌출된 전극 리드를 더욱 포함하고,
상기 버스바 프레임은, 상기 버스바 프레임의 하단부로부터 상기 전지 셀조립체의 하면을 따라 연장되어 돌출되고, 상기 바텀 패드를 덮는 연장부를 포함하며,
상기 버스바 프레임이 회동하여 상기 전지 셀 조립체의 측면을 덮도록 결합할 때, 상기 연장부와 상기 전극 리드 간의 간섭이 발생하지 않는 전지 모듈의 제조 방법.
In claim 8,
The battery cell assembly further includes a cell terrace each protruding from the plurality of battery cells and an electrode lead protruding from the cell terrace,
The bus bar frame includes an extension that protrudes from a lower end of the bus bar frame along a lower surface of the battery cell assembly and covers the bottom pad,
When the bus bar frame rotates and is coupled to cover the side surface of the battery cell assembly, interference between the extension part and the electrode lead does not occur.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전지 모듈,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지 모듈을 패키징하는 팩 케이스
를 포함하는 전지 팩.
At least one battery modul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7, and
A pack case for packaging the at least one battery module
A battery pack comprising a.
제11항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전지 팩을 포함하는 디바이스.A device comprising at least one battery pack according to claim 11 .
KR1020190155889A 2019-11-28 2019-11-28 Battery module and th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20210066527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5889A KR20210066527A (en) 2019-11-28 2019-11-28 Battery module and th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5889A KR20210066527A (en) 2019-11-28 2019-11-28 Battery module and th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6527A true KR20210066527A (en) 2021-06-07

Family

ID=763746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5889A KR20210066527A (en) 2019-11-28 2019-11-28 Battery module and th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66527A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3321B1 (en) * 2022-03-07 2022-08-19 덕양산업 주식회사 Battery module with foldable cover structure
WO2023096176A1 (en) * 2021-11-26 2023-06-01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Battery module, and battery pack and energy storage device comprising sam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96176A1 (en) * 2021-11-26 2023-06-01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Battery module, and battery pack and energy storage device comprising same
KR102433321B1 (en) * 2022-03-07 2022-08-19 덕양산업 주식회사 Battery module with foldable cover structur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42607B2 (en) Battery module, battery pack comprising battery module and vehicle comprising battery pack
KR102378527B1 (en) Battery module and th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2625202B1 (en) Battery module
US11984567B2 (en) Battery module
CN113748563B (en) Battery modul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WO2020175881A1 (en) Battery module
KR20200102273A (en) Battery module including protection cover covering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KR20220014160A (en) Battery cell and battery module including the same
KR20200140476A (en) Battery module
CN113875078A (en) Battery module and battery pack including the same
KR102573133B1 (en) Battery module including connector having shock absorbing structure
KR20210066527A (en) Battery module and th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CN112397835B (en) Secondary battery and battery module including the same
CN113748564A (en) Battery module and battery pack including the same
JP2023536453A (en) Battery module and battery pack containing same
KR20210071381A (en) Battery module
CN113906621B (en) Battery module and battery pack including the same
EP4002570A1 (en) Battery module and battery pack comprising same
KR20220060919A (en) Secondary battery module and secondary battery pack including the same and vehicle including the same
KR20220014575A (en) Battery pack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20210133566A (en) Battery module and battery pack including the same
KR20210066526A (en) Battery module and th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CN220731660U (en) Battery and electronic equipment
US20230299431A1 (en) Battery cell, battery module, and battery pack including the same
KR20210130549A (en) Battery modul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