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66254A - 건강검진 결과 정보의 변환 업로드 처리를 지원하는 건강검진 서비스 제공을 위한 단말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건강검진 결과 정보의 변환 업로드 처리를 지원하는 건강검진 서비스 제공을 위한 단말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66254A
KR20210066254A KR1020190155251A KR20190155251A KR20210066254A KR 20210066254 A KR20210066254 A KR 20210066254A KR 1020190155251 A KR1020190155251 A KR 1020190155251A KR 20190155251 A KR20190155251 A KR 20190155251A KR 20210066254 A KR20210066254 A KR 202100662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health
service
data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52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인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비링크헬스케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비링크헬스케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비링크헬스케어
Priority to KR10201901552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66254A/ko
Publication of KR202100662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625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5/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reports, e.g. generation or transmission thereof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3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alculating health indices; for individual health risk assessment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80/00ICT specially adapted for facilitating communication between medical practitioners or patients, e.g. for collaborative diagnosis, therapy or health monitoring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건강관리 서비스 제공을 위한 방법은, 공단 청구 단말이 인쇄 출력하는 건강검진 결과 데이터를 관리 서비스 모듈에서 식별 가능한 전자문서 포맷으로 변환 처리하는 단계; 및 상기 변환 처리된 전자문서 데이터를 상기 관리 서비스 모듈로 서비스 네트워크를 통해 업로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관리 서비스 모듈은 상기 상기 전자문서 데이터의 파싱 처리를 통해 건강검진 전자문서 데이터를 건강검진 항목별로 분류하며, 상기 분류에 따른 건강검진 데이터를 서비스 제공 서버로 전달하며,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건강검진 데이터에 대응하는 비식별화 처리를 수행하고, 상기 비식별화 처리된 데이터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건강 관리 서비스 제공을 위한 분석 처리를 수행하며, 상기 분석 처리 결과에 대응하는 건강 관리 콘텐츠를 가공하고, 상기 가공된 콘텐츠를 이용한 하나 이상의 건강 관리 서비스를 정보 이용 단말로 제공하는 서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건강검진 결과 정보의 변환 업로드 처리를 지원하는 건강검진 서비스 제공을 위한 단말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AN TERMINAL APPARATUS FOR PROVIDING HEALTHCARE SERVICES USING HEALTH EXAMINATION DATA SUPPORTING TRANSFORMING AND UPLOAD PROCESSING OF HEALTH EXAMINATION RESULTS INFORMATION}
본 발명은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건강검진 결과 정보의 변환 업로드 처리를 지원하는 건강검진 서비스 제공을 위한 단말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최근들어, 건강검진은 필수적으로 받아야 하는 검진으로 확립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대학교, 종합검진센터, 병원, 이원 및 각 지역의 공공의료기관들에서 다양한 방식의 건강검진 진료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
이러한 건강검진 진료 서비스에 따른 건강검진 결과 정보는 매우 전문적이고 개인적인 의료정보에 해당되며, 따라서 건강검진을 받은 그 기관에서만 정보가 관리되고, 타 기관으로는 제공될 수 없으며, 개인에게도 우편 등의 오프라인 매체로만 제공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병원 등의 의료 기관에서는 건강검진 결과 정보 뿐만 아니라 기타 환자들의 다양한 의료정보들을 통합 관리하고 있는 바, 이러한 의료 정보들을 이용한 데이터의 수집, 가공, 유통 또는 분석은 환자의 동의를 받은 그 특정 의료 기관에서만 처리될 수 있을 뿐이며, 개인정보, 보안 등의 이유로 인해, 협업기관이 아닌 한 다른 기관으로는 철저하게 제공되지 못하도록 제한되어 있다.
그러나, 건강검진 결과 정보는 개인이 직접 취급할 수 있는 정보이며, 개인의 동의 하에서는 이를 이용하여 다른 의료기관에서 상담을 받거나 관련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어야 하며, 이와 연동하여 자신에게 맞는 다양한 의료 기관들의 건강 관리 서비스를 맞춤형이고 효율적으로 제공받을 수 있는 시스템의 필요성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하지만, 현재의 건강검진 결과 정보는 의료기관별로 서로 다른 포맷 및 기준에 의해 개별적으로 문서화되어 있으며, 의료 정보를 처리하는 기관의 데이터 포맷도 상이하고, 그 협업 기관의 처리 데이터 포맷 및 암호화 프로세스 또한 서로 상이한 바, 현재의 시스템은 기관의 폐쇄성으로 인한 건강검진 결과 정보 기반의 공용화된 서비스 제공이 매우 어려운 실정이다.
예를 들어, 각 의료 기관별 데이터의 확장성 결여로 인해, 개인이 건강검진 기관을 변경하거나 하는 경우 다른 기관에서는 과거 건강검진 결과를 직접 확인할 방법이 없으며, 개인으로부터 문서를 제출받더라도 그 다른 기관과는 전혀 다른 포맷 및 기준에 의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어 자동화하거나 쉽게 처리할 수는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개인의 동의를 얻는다 하더라도, 전주기적인 건강검진 데이터를 활용한 개인화된 서비스 제공과, 이에 기초한 분석 서비스 제공 등의 서비스들이 현재의 시스템 및 제반여건 하에서는 매우 어렵다.
또한, 개인의 건강검진 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하여는 각 병원의 행정원이 국민건강보험공단이 제공하는 청구프로그램에 일일이 입력하여야 하는 불편함아 있으며, 병원에서는 이를 종이와 같은 매체에 출력하여 우편 등으로만 환자에게 통보하는 바, 이를 데이터베이스화 하는 데에는 과도한 비용 및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개인의 정보 입력 단말로부터 건강검진 관련 데이터를 수집 변환하여 저장 관리하고, 이에 기초한 개인의 전 주기적 건강관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특히 건강검진 관련 데이터가 표준화된 모델에 따라 변환 및 매칭 및 비식별화 처리되어 데이터베이스로 구축됨으로써, 이후 분석 및 가공 처리에 따른 다양한 콘텐츠를 정보 이용 단말로 적절하게 제공할 수 있는 건강검진 데이터를 활용한 건강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건강검진 관련 데이터의 정확한 매칭 처리를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건강검진 이미지 매칭 장치를 구비시킴으로써, 단순한 문자 인식 기능을 넘어선 효율적인 건강검진 관련 입력 데이터의 변환 처리를 가능하게 하는 데 일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개별 건강검진의 입력 및 저장 프로세스를 자동화할 수 있는 데이터 파싱 및 포맷 변환 프로세스를 제공하고, 이를 통해 상기 표준화된 모델에 따라 변환 업로드되는 개별 건강검진 데이터의 분류 저장 및 관리를 통해 건강검진 데이터베이스를 용이하게 구축할 수 있는 건강관리 서비스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은, 공단 청구 단말이 인쇄 출력하는 건강검진 결과 데이터를 관리 서비스 모듈에서 식별 가능한 전자문서 포맷으로 변환 처리하는 단계; 및 상기 변환 처리된 전자문서 데이터를 상기 관리 서비스 모듈로 서비스 네트워크를 통해 업로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관리 서비스 모듈은 상기 상기 전자문서 데이터의 파싱 처리를 통해 건강검진 전자문서 데이터를 건강검진 항목별로 분류하며, 상기 분류에 따른 건강검진 데이터를 서비스 제공 서버로 전달하며,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건강검진 데이터에 대응하는 비식별화 처리를 수행하고, 상기 비식별화 처리된 데이터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건강 관리 서비스 제공을 위한 분석 처리를 수행하며, 상기 분석 처리 결과에 대응하는 건강 관리 콘텐츠를 가공하고, 상기 가공된 콘텐츠를 이용한 하나 이상의 건강 관리 서비스를 정보 이용 단말로 제공하는 서버인 상기 단계들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건강관리 서비스 제공을 위한 매체에 저장되는 단말 프로그램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장치는, 개인의 정보 입력 단말로부터 건강검진 관련 데이터를 수집 변환하여 저장 관리하고, 이에 기초한 개인의 전 주기적 건강관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특히 건강검진 관련 데이터가 표준화된 모델에 따라 변환 및 매칭 및 비식별화 처리되어 데이터베이스로 구축됨으로써, 이후 분석 및 가공 처리에 따른 다양한 콘텐츠를 정보 이용 단말로 적절하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건강검진 관련 데이터의 정확한 매칭 처리를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건강검진 이미지 매칭 장치를 구비시킴으로써, 단순한 문자 인식 기능을 넘어선 효율적인 건강검진 관련 입력 데이터의 변환 처리를 가능하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개별 건강검진의 입력 및 저장 프로세스를 자동화할 수 있는 데이터 파싱 및 포맷 변환 프로세스를 제공하고, 이를 통해 상기 표준화된 모델에 따라 변환 업로드되는 개별 건강검진 데이터의 분류 저장 및 관리를 통해 건강검진 데이터베이스를 용이하게 구축할 수 있는 건강관리 서비스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체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정보 입력 단말을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서버를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베이스 서버를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장치의 동작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장치의 동작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체 시스템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래더 다이어그램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체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건강검진 이미지 매칭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건강검진 이미지 매칭 인터페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입력 데이터 파싱 및 데이터베이스 처리를 지원하기 위한 서비스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입력 데이터 파싱 및 데이터베이스 처리를 지원하기 위한 서비스 프로세스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의 내용은 단지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한다. 그러므로 당업자는 비록 본 명세서에 명확히 설명되거나 도시되지 않았지만 본 발명의 원리를 구현하고 본 발명의 개념과 범위에 포함된 다양한 장치를 발명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 열거된 모든 조건부 용어 및 실시예들은 원칙적으로, 본 발명의 개념이 이해되도록 하기 위한 목적으로만 명백히 의도되고, 이와 같이 특별히 열거된 실시예들 및 상태들에 제한적이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원리, 관점 및 실시예들 뿐만 아니라 특정 실시예를 열거하는 모든 상세한 설명은 이러한 사항의 구조적 및 기능적 균등물을 포함하도록 의도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이러한 균등물들은 현재 공지된 균등물뿐만 아니라 장래에 개발될 균등물 즉 구조와 무관하게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발명된 모든 소자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예를 들어, 본 명세서의 블럭도는 본 발명의 원리를 구체화하는 예시적인 회로의 개념적인 관점을 나타내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와 유사하게, 모든 흐름도, 상태 변환도, 의사 코드 등은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매체에 실질적으로 나타낼 수 있고 컴퓨터 또는 프로세서가 명백히 도시되었는지 여부를 불문하고 컴퓨터 또는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되는 다양한 프로세스를 나타내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프로세서, 제어 또는 이와 유사한 개념으로 제시되는 용어의 명확한 사용은 소프트웨어를 실행할 능력을 가진 하드웨어를 배타적으로 인용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제한 없이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하드웨어, 소프트웨어를 저장하기 위한 롬(ROM), 램(RAM) 및 비 휘발성 메모리를 암시적으로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주지관용의 다른 하드웨어도 포함될 수 있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체 시스템을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정보 입력 단말(100),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0) 및 하나 이상의 정보 이용 단말(500)을 포함하며, 여기서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0)은 서비스 제공 서버(300) 및 데이터베이스 서버(4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정보 입력 단말(100), 서비스 제공 서버(300), 데이터베이스 서버(400) 및 정보 이용 단말(500)은, 네트워크를 통해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네트워크간 상호간 통신을 위해 각 정보 입력 단말(100), 서비스 제공 서버(300), 데이터베이스 서버(400) 및 정보 이용 단말(500)은, 인터넷 네트워크, LAN, WAN, PSTN(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PSDN(Public Switched Data Network), 케이블 TV 망, WIFI, 이동 통신망 및 기타 무선 통신망 등을 통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각 정보 입력 단말(100), 서비스 제공 서버(300), 데이터베이스 서버(400) 및 정보 이용 단말(500)은 각 통신망에 상응하는 프로토콜로 통신하기 위한 각각의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정보 입력 단말(100) 또는 정보 이용 단말(500)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등이 포함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그 이외에 사용자 입력 및 정보 표시 등이 가능한 다양한 장치일 수 있다.
먼저 정보 입력 단말(100)은, 사용자 입력에 따라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0)으로의 서비스 등록 정보를 입력받아 서비스 제공 서버(300) 또는 데이터베이스 서버(400)로 전송할 수 있다. 서비스 등록를 위해, 입력 단말(100)에는 사용자 인적 정보, 동의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 정보와, 설문 정보 및 건강검진 이미지 정보를 포함하는 건강검진 정보가 입력될 수 있다.
여기서, 설문 정보는 사용자의 인지기능장애, 정신건강검사, 암검진, 일반 검사 등을 위한 하나 이상의 설문 및 응답 정보가 포함될 수 있으며, 건강검진 이미지 정보는 사용자가 의료 기관 등으로부터 수령한 건강검진 결과 문서의 촬영 또는 스캔 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정보 입력 단말(100)은 건강검진 이미지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광학 센서 및 처리부(미도시)와 같은 다양한 이미징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이미징 수단은 예를 들어, 스캐너, 카메라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건강검진 결과 문서의 페이지별 연속 이미지 인식을 수행하여 하나의 건강검진 이미지 정보로서 출력할 수도 있다.
그리고, 정보 입력 단말(100)은 사용자 정보 및 건강검진 정보에 기초한 건강검진 관련 데이터를 생성하여,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0)으로 전송할 수 있는 바,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건강검진 관련 데이터에 대응하는 사용자 서비스 등록 처리를 수행할 수 있으며, 데이터베이스 서버(400)는 건강검진 관련 데이터의 분류, 매칭 저장, 데이터베이스 구축 및 분석을 위한 데이터베이스 제공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정보 입력 단말(100)은 데이터베이스 서버(400)와 연동하여, 건강검진 관련 데이터의 검증 처리를 수행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정확히 검증된 건강검진 결과 문서 이미지와 설문 정보의 변환 데이터가 생성될 수 있고, 생성된 변환 데이터는 상기 건강검진 관련 데이터에 포함되어, 효율적인 매칭, 분석 및 개인화된 건강관리 서비스 제공 처리에 이용될 수 있다.
한편, 데이터베이스 서버(400)는 정보 입력 단말(100)로부터 수신되는 건강검진 관련 데이터에 기초한 매칭 및 분류 처리를 통해, 서비스 제공 서버(300)의 건강관리 서비스 제공을 위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구축된 데이터베이스를 저장 및 관리한다.
이에 따라,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데이터베이스 서버(400)에서 구축된 데이터베이스 정보를 이용한 건강 관리 서비스 프로세스를 생성할 수 있으며, 생성된 건강 관리 서비스 프로세스 수행에 따른 건강 관리 서비스 콘텐츠가 정보 이용 단말(500)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건강 관리 서비스 제공을 위해 구성되는 콘텐츠 데이터의 생성, 저장, 관리 및 중계 시스템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상기한 건강 관리 서비스 콘텐츠 데이터의 통신 프로토콜 변환, 파일(File) 서버, 콜렉트(Collect) 서버, 푸시 게이트웨이(Gateway) 서버, 전송 서버, 어카운트 서버, 어드민 서버, 수신 서버, 변환 서버, 메시징 서버, 푸시(push) 수신 서버, 푸시 발송 서버 기능 등의 전반적인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건강 관리 서비스 콘텐츠는 건강검진 데이터수집 및 분석에 기반하여 생성될 수 있으며, 건강검진 해석 서비스, 사용자 통계 분석 서비스, 개인화된 사용자 행동 및 성향 분석 서비스, 주문형 분석 및 상담 서비스, 맞춤형 의료 광고 서비스, 임상시험 매칭 서비스, 이상치 알림 서비스, 이상치별 콘텐츠 추천 서비스, 사후관리 서비스 또는 간편 PHR 서비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분석 처리의 종류 및 제공 콘텐츠에 따라, 정보 이용 단말(500)로 제공되는 콘텐츠 데이터의 종류 및 포맷이 다양하게 결정될 수 있다.
정보 이용 단말(500)은, 서비스 제공 서버(300)에 대한 건강 관리 서비스 등록에 따라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부터의 건강 관리 서비스 프로세스에 따른 서비스 정보를 제공받아 출력하는 단말일 수 있으며, 정보 이용 단말(500)은 정보 입력 단말(100)과 동일한 단말일 수도 있고, 병원 기관 등에서 이용되는 다른 단말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정보 이용 단말(500)은, 자신의 건강검진 정보를 입력한 사용자가, 자신의 건강관리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 이용하는 단말일 수 있으며, 타인의 건강검진 정보를 수집하여 통계 분석을 수행하는 단말이거나, 타인의 건강검진 정보에 대응하는 권한을 할당받아, PHR 서비스에 따른 추가 의료 정보를 입력하고자 하는 의료 기관 단말일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서버(300) 및 데이터베이스 서버(400)는 하나의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0)으로 구성되거나,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서로 다른 원격지에 위치하는 개별 서버들로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네트워크 시스템 연결 형태에 대하여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0)은 건강 검진 데이터에 기초한 건강 관리 서비스에 따라 처리되는 다양한 부가 정보를 제공할 수 있고, 별도의 금융 서버와 통신하여 건강 검진 데이터에 기초한 건강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과금 처리 등을 더 수행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정보 입력 단말을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정보 입력 단말(100)은, 통신부(110), 제어부(120), 입력부(130), 저장부(135), 설문 정보 처리부(140), 건강검진 이미지 획득부(150) 및 입력 데이터 변환부(160) 및 디스플레이부(170)를 포함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정보 입력 단말(100)은 정보 입력 및 변환 처리에 따라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0)으로 서비스 등록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0)으로부터 서비스 콘텐츠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정보 이용 단말(500)로도 기능할 수 있다. 이 경우, 정보 이용 단말(500)은 건강 관리 서비스 콘텐츠를 수신하여 출력 또는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구성 요소들(110, 120, 130, 135, 170)만을 포함하여도 무방한 바, 상기 설문 정보 처리부(150), 건강검진 이미지 획득부(150), 입력 데이터 변환부(160)는 정보 이용 단말(500)에서는 생략될 수 있다.
먼저 통신부(110)는 정보 입력 단말(100)과 서비스 시스템(1000)이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110)는 이동통신 모듈, 무선 인터넷 모듈, 근거리 통신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70)는 정보 입력 단말(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 출력한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70)는 건강 검진 데이터 입력 인터페이스를 출력할 수 있는 바, 건강 검진 데이터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설문 정보 및 건강검진 이미지의 입력이 용이하게 처리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70)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입력부(130)와 연동하는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그리고, 입력부(130)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여 처리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사용자 입력 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부(130)는 키보드, 마우스 또는 터치 스크린, 광학 판독 등 기타 다양한 입력방식을 통해 사용자 정보 및 건강검진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그리고, 저장부(135)는 입력 단말(100)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를 저장하며, 입력된 설문 정보 및 건강검진 이미지를 임시 저장할 수 있고, 일정 시간 경과에 따라 삭제할 수도 있다.
그리고, 제어부(120)는 상기와 같은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할 수 있으며, 정보 입력 단말(100)의 기타 다른 기능들을 위한 프로세스를 수행할 수도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먼저 정보 입력 단말(100)은, 입력부(130)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따라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0)으로의 서비스 등록 정보를 입력받아 서비스 제공 서버(300) 또는 데이터베이스 서버(400)로 전송할 수 있다.
서비스 등록 정보는 사용자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사용자 정보는 사용자 인정 정보를 포함하거나, 서비스 제공 서버(300)에서 제공되는 간편가입 서비스에 따른 로그인 등록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는 사용자들의 이탈 방지 및 사용성 증대 등을 위하여 복잡한 가입 과정을 거치지 않고 다른 포털 또는 SNS서비스의 API를 활용한 로그인 방식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다른 포털 또는 SNS 서비스의 로그인 정보가 상기 서비스 등록 정보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등록 정보는 동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는 바, 특히, 함께 전송되는 건강 정보 데이터의 등록 및 활용에 대응하는 약관 동의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동의 정보에는 약관 동의 외에 알림 서비스 및 문자, 이메일 등의 수신에 대응한 동의 정보도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서비스 등록 정보는 설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설문 정보는 건강 검진 데이터에 함께 포함되는 건강검진 정보로서, 사용자의 인지기능장애, 정신건강검사, 암검진, 일반 검사 등을 위한 하나 이상의 설문 및 응답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설문 정보 입력을 위해, 설문 정보 처리부(140)는 사용자에게 설문 정보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설문 정보 입력 인터페이스는 챗봇 또는 스크롤 방식으로 사용자에게 질의를 제공하고, 입력부(130)를 통해 질의에 대응하는 응답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그리고, 설문 정보 처리부(140)는 질의 정보 및 응답 정보를 매칭 처리하며, 처리된 설문 정보를 입력 데이터 변환부(160)로 전달할 수 있다.
여기서, 설문 정보 처리부(140)에서 제공되는 설문 정보 입력 인터페이스는 답변 입력을 처리하는 텍스트 인터페이스이거나, 라디오 버튼 인터페이스(택1형)이거나, 체크 박스(중복 선택형) 인터페이스이거나, 스크롤 바(1~5 중 1 등 선택) 인터페이스이거나, 콤보 박스등의 인터페이스일 수 있으며, 사용자는 다양한 방식으로 응답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설문의 내용은 인지기능장애, 정신건강검사, 암검진, 일반 중 일부 혹은 전체 내용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설문 항목에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
그리고, 설문 정보는 변환부(160)에서 건강검진 데이터로 변환될 수 있으며, 구성된 건강검진 데이터는 사용자 정보 및 동의 정보와 함께 데이터베이스 서버(400)로 전달되어 건강검진 데이터베이스 구축 처리에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보 입력 단말(100)로부터 전송된 건강검진 데이터는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 내 건강검진 파싱 테이블에 저장 및 관리될 수 있다.
한편, 건강검진 이미지 획득부(150)는 사용자가 의료 기관 등으로부터 수령한 건강검진 결과 문서의 촬영 또는 스캔에 따른 건강검진 이미지를 획득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영상 처리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건강검진 이미지 획득부(150)는 건강검진 이미지 획득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사용자가 용이하게 정상적인 건강검진 결과 문서를 촬영하고, 변환부(160)에서 이를 정상 변환하여 업로드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먼저, 건강검진 이미지 획득부(150)는 건강검진 이미지 획득을 위한 카메라 촬영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는 정보 입력 단말(100)의 카메라 기능을 이용하기 위한 것으로, 정보 입력 단말(100)의 제어부(120)는 건강검진 이미지 획득을 위한 카메라 촬영 인터페이스 제공 시 촬영 모듈을 구동시킴과 함께 촬영 가이드라인(촬영 외곽선)을 제공하고, 이에 대응하는 채도, 명암 및 선명도 중 적어도 하나를 건강검진 결과 문서에 적절한 수준으로 조절시킬 수 있다.
또한, 건강검진 이미지 획득부(150)는 건강검진 이미지 획득을 위한 저장부(135)내 이미지 선택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건강검진 이미지 획득부(150)는 기존에 저장된 건강검진 이미지로부터 문서 범위를 지정하고, 채도, 명암, 선명도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절하는 이미지 선택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건강검진 이미지를 획득하게 할 수 있다. 여기서, 건강검진 이미지 획득부(150)는 이미지 선택 인터페이스상에 획득 이미지 범위 지정을 위한 사각형 틀 형태의 가이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상기 가이드 인터페이스의 각 꼭지점 또는 선을 변형하여 문서 이미지 부분만 정확히 선택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한편, 건강검진 이미지 획득부(150)는 건강검진 결과 문서가 복수의 페이지로 구성되어있음을 고려하여, 각각의 촬영 또는 스캔 순서 번호를 지속적으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으며, 촬영 완료 버튼을 제공하고 완료 버튼이 선택되는 경우에는 마지막 이미지 또는 전체 페이지 수를 나타내는 문서 식별 정보가 건강 검진 데이터에 입력될 수 있도록 처리한다.
한편, 입력 데이터 변환부(160)는, 획득된 건강검진 이미지에 대응하는 변환 처리를 수행하여, 데이터베이스 서버(400)에서 처리 가능한 건강검진 이미지 정보로 변환하고 데이터베이스 서버(400)로 업로드할 수 있는 바, 정상 처리 가능한 건강검진 이미지인지 여부를 사전 검증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입력 데이터 변환부(160)는 건강검진 이미지 획득부(150)에서 획득된 이미지 파일을 업로드 하기 전 문자 인식을 통해, 미리 설정된 건강검진 이미지 규칙 조건에 부합하는 문자들이 인식되는지 검증할 수 있다. 문자 인식은 OCR 또는 AI 방식이 예시될 수 있으며, 규칙 조건은 문자 개수 최소 값 설정 등이 예시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상기 규칙 조건은 마지막 이미지의 문자 개수는 판단 예외로 설정될 수 있으며, 변환부(160)는 문서 식별 정보에 따른 마지막 이미지가 식별된 경우, 문자 개수와 최소 값 간 비교를 생략할 수 있다.
입력 데이터 변환부(160)는, 이미지 내 단어 수가 기준 이상 수로 인식될 시 사용자 정보, 동의 정보, 건강검진 이미지 및 문서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건강검진 데이터를 구성하고, 데이터베이스 서버(400)로 업로드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건강검진 이미지는 별도 설정된 이미지 파일로 변환될 수 있으며, 데이터베이스 서버(400)내 사용자 정보 관리부(410)에서 관리되는 비정형 데이터 테이블에 상기 사용자 정보와 함께 매칭되어 업로드 날짜 정보와 함께 저장될 수 있다.
그리고,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업로드 완료 정보를 정보 입력 단말(100)로 전송할 수 있으며, 데이터 전환 및 매칭 분석에 따른 서비스 등록까지 시간이 걸림을 안내하고, 최종 서비스 등록 완료시 알림 푸시 혹은 메시지 등을 정보 입력 단말(100)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업로드 완료시 데이터베이스 서버(400)에 저장된 데이터의 저장, 관리 및 공유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바, 예를 들어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데이터베이스 서버(400)에 등록된 사용자의 건강검진 데이터를 다른 이미지 포맷 형태로 변환하여 정보 입력 단말(100)로 제공하거나, 메신저, sns, 문자, 다른 어플리케이션으로의 전송 서비스 등을 정보 입력 단말(100)로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정보 입력 단말(100)에서 변환된 건강검진 이미지 데이터는 별도의 장치에서 텍스트 정보로 매칭 변환되어 데이터베이스 서버(400)에 저장될 수도 있는 바, 이를 위한 별도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건강검진 이미지 매칭 장치(600)가 별도 구비될 수도 있다. 이에 대하여는 도 8에서 별도 후술하도록 한다.
한편, 서비스 정보 등록이 완료된 경우, 정보 입력 단말(100)에서는 사용자 최종 컨펌 정보 및 서비스 이용 등록 정보가 입력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정보 입력 단말(100)은 이후 정보 이용 단말(500)로서 기능할 수 있게 된다. 서비스 이용 등록 정보는 서비스 제공 서버(300)에서 제공되는 맞춤형 사후관리 알림 서비스, 헬스케어 혜택(맞춤형 광고) 서비스, 임상시험 정보제공(매칭 서비스) 서비스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하는 서비스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각 서비스 신청 여부와 푸시 알림에 대한 동의, 허용 또는 거절 시간등을 설정하기 위한 설정 정보를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 서비스 제공 서버(300)에서는 데이터베이스 서버(400)의 사용자 정보 관리부(410)를 통해 관리되는 사용자 정보 마스터 테이블을 통해 관련 설정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데이터베이스 서버(400)는 업로드된 사용자의 건강 검진 데이터에 대응하는 데이터베이스 구축을 위한 분류 및 저장 관리 처리를 수행할 수 있으며, 서비스 제공 서버(300)에서의 데이터 수집, 비식별화 처리 및 데이터 분석 처리를 위한 데이터베이스 정보를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입력 데이터 변환부(160)의 검증이 실패한 경우, 건강검진 이미지 획득부(150)는 재촬영 또는 재스캔을 안내하는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부(170)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도 3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서버를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베이스 서버를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서버(300) 및 데이터베이스 서버(400)간 연동에 따른 건강검진 데이터의 분석 처리와, 정보 이용 단말(500)로의 건강관리 서비스 제공 프로세스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데이터베이스 서버(400)로부터 사전 구축된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필요한 건강검진 데이터를 수집하고, 수집된 건강검진 데이터에 대응하는 비식별화 처리를 수행하며, 하나 이상의 정보 테이블에 의해 지정된 규칙에 따라, 비식별화 처리된 데이터의 분석을 수행하여, 분석 결과에 대응하는 건강관리 콘텐츠를 가공 및 시각화 처리하는 바, 가공 및 시각화 처리된 콘텐츠는 정보 이용 단말(500)로 전송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데이터 수집부(310), 비식별화 처리부(320), 분석 처리부(330), 콘텐츠 가공부(350), 서비스 제공부(360)를 포함할 수 있으며, 데이터베이스 서버(400)는 사용자 정보 관리부(410), 헬스케어 데이터베이스(420), 콘텐츠 데이터베이스(430), 커뮤니티 데이터베이스(440) 및 분석 정보 데이터베이스(45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데이터베이스 서버(400)의 사용자 정보 관리부(410)는, 서비스 제공 서버(300)의 데이터 수집부(310)에서 수집되어 비식별화 처리부(320)에서 비식별화 처리되는 사용자 정보, 동의 정보, 설문 정보 및 건강 검진 이미지 정보를 미리 설정된 테이블에 따라 분류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정보 관리부(410)를 통해 저장 및 관리되는 테이블은 사용자 정보 마스터 테이블, 비정형 데이터 테이블, 건강검진 파싱 테이블, 기타 파싱 테이블, 익명화 및 마스킹 테이블, 사용자 성향 테이블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 수집부(310)는 수집 데이터의 변환 및 사용자 정보 관리부(410)로의 저장 요청을 처리할 수 있는 바, 앞서 정보 입력 단말(100)에서 입력된 간편 로그인 정보, SNS 또는 포털 식별 정보, 사용자 인적 정보, 동의 정보 등의 사용자 정보를 수집하여, 사용자 정보 관리부(410)로 전달할 수 있다. 사용자 정보 관리부(410)는 사용자정보 마스터 테이블에 상기 사용자 정보를 먼저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데이터 수집부(310)는 설문 정보를 수집 및 변환 처리하여 사용자 정보 관리부(410)로 전달할 수 있는 바, 변환된 설문 정보는 사용자 정보 관리부(410)의 건강검진 파싱 테이블에 저장될 수 있다.
한편, 데이터 수집부(310)를 통한 건강검진 데이터 입력은 전문가 입력 및 인공 지능을 이용한, 사용자 정보 및 건강검진 이미지간 정형 데이터 입력 처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데이터 수집부(310)는 관련 전문가가 건강검진 각 항목에 대해 정형 데이터화 하는 작업을 위한 별도의 건강검진 이미지 정형 데이터화 모듈과 연결되어, 정형화된 포맷으로의 데이터 변환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건강검진 이미지 정형 데이터화 모듈은, 별도 장치로 구현되거나 소프트웨어적 구현에 의해 서비스 제공 서버(300) 또는 데이터베이스 서버(400)에서 구동되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출력하는 모듈일 수 있으며, 서비스 제공 서버(300) 또는 데이터베이스 서버(400)는 인터페이스 입출력을 위한 입력 및 출력 장치를 별도 구비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인터페이스 입출력 동작은 도 8 내지 도 10을 통해 후술하도록 한다.
한편, 비식별화 처리부(320)는, 개인 정보가 외부로 유출될 수 없도록 하는 건강검진 데이터의 익명화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식별화 처리부(320)는 성명 정보를 일반화된 식별 정보로 익명화할 수 있으며, 지역 정보를 시/군/구에 대응하는 코드화 처리할 수 있고, 세부주소 정보를 삭제할 수 있다. 또한, 상병 정보 중 미리 설정된 수준 이상의 민감 상병 정보는 별도의 코드로 마스킹처리될 수 있다. 이는 국민건강보험공단 서버 또는 심사평가원 서버에서 수신된 기준 정보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또한, 비식별화 처리부(320)는 건강검진 이미지 파일에서 식별되는 개인 식별가능 정보에 대한 제거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분석 처리부(330)는 데이터 수집부(310)에서 수집되는 데이터에 대응하는 분석 처리를 수행하고, 그 분석 정보를 분석 정보 데이터베이스(450)에 저장 및 관리한다.
특히, 분석 처리부(330)는 서비스 종류 및 목적에 따른 다양한 분석 처리부를 포함할 수 있는 바, 건강검진 해석 처리부(331), 사용자 행동 및 성향 분석 처리부(332), 사용자 통계 분석 처리부(333), 사용자 정보 및 이상치별 콘텐츠 추천 처리부(334), 사용자 성향별 콘텐츠 추천 처리부(335), 맞춤형 광고 매칭 처리부(336), 임상 시험 매칭 분석 처리부(337), 이상값 판단 분석 처리부(338), 맞춤형 사후관리 분석 처리부(339)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이 예시될 수 있다.
건강검진 해석 처리부(331)는, 비식별화 처리부(320)에서 처리되어 사용자 정보 관리부(410)에 저장된 사용자 정보와, 정형화 처리된 건강검진 데이터에 기초하여, 건강검진 해석 정보를 생성하고, 헬스케어 데이터베이스(420)에 저장한다. 이에 따라, 건강검진 해석 처리부(331)는 건강검진 정형화 데이터의 내용을 바탕으로 헬스케어 데이터베이스(420)를 구축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건강검진 이미지로부터 정형화된 건강검진 데이터의 형태는 검진 기관에 따라 포맷이 상이할 수 있으며, 수치 표현 형태 및 기준 등이 다를 수 있으므로, 건강검진 해석 처리부(331)는 각 수치에 대한 통일화 프로세스를 후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헬스케어 데이터베이스(420)에는 용어사전 및 유의어 테이블이 사전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이상값 판단 분석 처리부(338)는 헬스케어 데이터베이스(420)에 저장된 건강검진 해석 정보에 따른 특이사항을 판단 및 분석할 수 있는 바, 분석된 정보는 분석 정보 데이터베이스(450)에 저장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헬스케어 데이터베이스(420)에는 각 음식, 질병, 약물 또는 증상에 연관되는 다양한 이상값 판단 기준 테이블이 포함될 수 있는 바, 이에 대응한 헬스케어 데이터베이스(420)가 구축될 수 있고, 분석 정보가 분석 정보 데이터베이스(450)에 저장될 수 있다.
분석 정보 데이터베이스(450)에 저장된 분석 정보는, 콘텐츠 가공부(350)에 의해 가공되어 서비스 제공부(360)를 통해 정보 이용 단말(500)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헬스케어 데이터베이스(420)와 연관된 건강검진 해석 처리에 따른 분석 정보는 건강검진 내역 설명 서비스의 형태로 가공되어, 정보 이용 단말(500)로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행동 및 성향 분석 처리부(332)는, 각 단말(100,500)의 활동 기록 정보를 분석 정보 데이터베이스(450)의 사용패턴 테이블로 저장 및 관리할 수 있으며, 사용패턴 테이블에 기초한 사용자 이탈분석을 수행하거나, 미리 저장된 의학변수 테이블 및 사회경제변수 테이블에 기초하여, 사용자 특성별 활용형태 분석 정보를 생성하고, 분석 정보 데이터베이스(450)의 상기 사용패턴 테이블에 추가 저장할 수 있다.
사용자 통계 분석 처리부(333)는, 상기 의학변수 테이블과 사회경제변수 테이블을 이용하여, 건강검진 데이터를 통계적 방법으로 분석하고, 분석 결과를 분석 정보 데이터베이스(450)에 저장할 수 있다. 분석 정보 데이터베이스(450)는 사용자 통계 분석 처리부의 분석 정보를 기본통계 저장부 및 분석 요청별 분석 정보 저장부에 저장할 수 있다.
사용자 정보 및 이상치별 콘텐츠 추천 처리부(334)는, 사용자 정보 및 건강검진 데이터에 기초하여, 정보 이용 단말(500) 사용자의 나이, 성별, 이상치, 의학변수, 사회경제변수 등의 특징에 대응하는 적정 콘텐츠를 추천하기 위한 분석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른 분석 정보는 분석 정보 데이터베이스(450)에 저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리 저장된 이상 값 판단 기준 테이블과 정보 이용 단말(500)의 건강검진 데이터 및 사용자 정보 비교에 따른 추천 콘텐츠가 콘텐츠 가공부(350)에서 가공되어, 서비스 제공부(360)를 통해 정보 이용 단말(500)로 제공될 수 있다. 가공된 콘텐츠는 예를 들어, 이상 값이 초과된 질병 관련 콘텐츠이거나, 건강 검진 결과 이미지와 연관된 설명 링크 콘텐츠일 수 있다.
사용자 성향별 콘텐츠 추천 처리부(335)는, 사용자 정보 관리부(410)에서 사용자 정보로부터 획득되는 사용자 성향 정보에 기초하여 적정 콘텐츠를 추천하기 위한 분석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분석 처리는 예를들어 사용 성향이 비슷한 (유사한 콘텐츠를 이용하는) 유저들을 유사 네트워크 구조(동일한 콘텐츠군을 공유하는 구조)기반으로 추천하는 처리를 포함하거나, 머신러닝을 이용해 유저가 사용할만한 콘텐츠를 추천하는 처리를 포함할 수 있다. 분석 처리된 분석 결과는 분석 정보 데이터베이스(450)에 저장될 수 있으며, 분석 결과에 따른 추천 콘텐츠가 콘텐츠 가공부(350)에서 가공되어, 서비스 제공부(360)를 통해 정보 이용 단말(500)로 제공될 수 있다.
맞춤형 광고 매칭 분석 처리부(336)는, 개인 사용자와 광고 기관의 광고 매칭 분석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맞춤형 광고 매칭 분석 처리부(336)는 외부의 광고주 단말로부터 광고 정보와 함께, 매칭 나이, 성별, 혹은 이상치가 있는 사용자(예: 비만군, 고혈압 군)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으며, 이에 기초한 적정 사용자의 매칭 분석 처리를 통해 분석된 정보 이용 단말(500)로 상기 광고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광고 정보는 의료 서비스 이용에 대응한 할인 또는 추가 서비스 등의 혜택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혜택 정보에 따라 매칭 우선순위가 차등될 수 있다. 우선순위 차등에 따라, 정보 이용 단말(500)에서의 광고 노출 빈도 또는 위치 등이 가변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정보 이용 단말(500) 사용자는 맞춤형 의료 혜택이나 추가 서비스 등에 대한 정보 및 혜택을 받을 수 있고, 광고주는 목적 대상에 타게팅하여 적절한 광고를 제공할 수 있다.
임상시험 매칭 분석 처리부(337)는, 개인 사용자와 제약사 등 임상시험을 실시하려는 기관간 매칭 분석 및 중계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동의 정보는 임상시험 정보 제공 동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는 바, 임상시험 매칭 분석 처리부(337)는 임상시험 기관 단말로부터 제공된 나이, 성별, 흡연유무, 이상치 정보등의 특징 정보에 기초하여, 동의된 정보 입력 단말(100) 또는 정보 이용 단말(500)을 매칭 분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서비스 제공부(360)는 매칭된 단말로 임상시험 모집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서비스 제공부(360)는 모집 정보의 응답을 수신하여, 임상시험 기관으로 제공하고, 이후 메시지 또는 연락처 중계 매칭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이상 값 판단 분석 처리부(338)는 전술한 바와 같이 사전 설정된 이상값 테이블을 저장 및 관리하며, 각 테이블에 따른 이상 값과 기준 정보에 따라 건강검진 데이터의 이상 정도를 판단하여 건강검진 해석 처리부(331)로 전달하거나, 사용자 정보 관리부(410)의 건강검진 파싱 테이블(413)에 저장할 수 있다.
맞춤형 사후관리 분석 처리부(339)는, 사용자 정보(나이, 성별, 음주, 흡연, 체지방 지수,이상치 등)에 따라 서비스 제공부(360)에서 시간대별로 건강관리 푸시 알림을 제공하기 위한 분석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맞춤형 사후관리 분석 처리부(339)는, 복잡한 정보들을 바탕으로 가장 적절한 푸시 알림을 보내기 위해, 사용자 정보 관리부(410) 및 헬스케어 데이터베이스(420)를 이용하여, 시간대별 식사 알림, 음주 및 흡연 여부 확인, 운동 권고 등의 푸시 알림 분석 정보를 생성할 수 있으며, 생성된 푸시 알림 분석 정보는 서비스 제공부(360)를 통해 각 정보 이용 단말(500)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맞춤형 사후관리 분석 처리부(339)의 분석 정보에 따라, 서비스 제공부(360)는 기본 관리 푸시 알림을 정보 이용 단말(500)로 전송할 수 있으며, 추가로 건강검진 데이터의 이상 정도별 추천 관리 코스 정보 및 사용자 지정 알림 정보 등을 시간대별로 제공하여, 지속적인 맞춤형 사후 건강관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 정보 관리부(410)는 전술한 서비스 제공 서버(300)에서 처리되는 사용자 개인에 대응하는 사용자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는 바, 사용자정보 마스터 테이블(411), 비정형 데이터 테이블(412), 건강검진 파싱 테이블(413), 기타 파싱 테이블(414), 익명화 및 마스킹 테이블(415) 및 사용자 성향 테이블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정보 마스터 테이블(411)은 사용자 정보로부터 획득되는 등록 정보(ID,SNS명,SNS ID, 비밀번호 등)와 인적 정보(출생년월, 이메일, 연락처 등), 건강관리 코스 정보(식사, 걷기-걸음수, 걷기-이동 거리, 식단 등), 진료 및 처방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
비정형 데이터 테이블(412)은 건강검진 촬영 파일(건강검진 결과지, MRI판독지등 비정형 데이터들)에 대해 종류, 날짜, 해당 사용자 ID, 파일명 등의 항목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정형 데이터 테이블에는 식별 정보(ID), 시퀀스 정보(SEQ), 의사 식별 정보(Doctor_id) 및 관련 진료 정보 등이 테이블 형태로 포함될 수 있다.
건강검진 파싱 테이블(413)은 건강검진 이미지 및 설문 정보에 대응하는 모든 항목에 대해 정형화된 데이터와 이를 분석에 용이하게 변환된 결과 데이터를 파싱한 파싱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으며, 개인정보에 대해 비식별화된 결과 정보와, 건강검진 이상치 식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문 정보 테이블은 사용자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뇌졸중, 심장병, 고혈합, 당뇨, 이상지질혈증, 페결핵, 기타(암포함), 가족뇌졸중, 가족심장병, 가족고혈합 등의 항목에 대응하는 0 또는 1의 데이터가 포함될 수 있으며, 건강검진 데이터 테이블은 검진 유형 정보, 건강검진 이미지 파일명 정보, 검진 날짜 정보, 업로드 일시 정보가 포함될 수 있고, 이에 대응하는 결과 데이터 테이블로서, 신장, 체중, 허리둘레, 체질량 지수, 시력, MIR 판독, 내시경 기록, 초음파검사 기록 등의 데이터가 포함될 수 있다.
기타 파싱테이블(414)은 건강검진 결과지를 제외한 비정형 데이터들을 전처리 및 비식별화한 내용을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
익명화 및 마스킹 테이블(415)은 익명화 및 마스킹 과정에서 필요한 매핑 테이블(지역 코드, 민감 상병내역 등)을 저장한다.
사용자 성향 테이블(416)은 정보 이용 단말(500) 사용자가 서비스 제공 서버(300)를 통해 활동한 기록들을 수집하고 저장한다. 활동한 기록은 서비스 가입부터 콘텐츠 제공까지의 과정에 대한 로그 데이터 전반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헬스케어 데이터베이스(420)는 각종 의학 및 건강 관련 지식 및 정보 등에 대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헬스케어 데이터베이스(420)에는 이상 값 판단 분석을 위한 이상치 테이블이 저장될 수 있는 바, 이상치 테이블에는 이상치 명칭(비만, 고혈압 등), 기준 정보(상하한), 출처 정보(학회 명 등), 출처일자, 대표성 정보(해당 이상치별 실제 해당 국가 및 지역 내 사용 기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데이터는 건강검진 데이터에 따라 누적 저장 및 관리될 수 있다.
또한, 헬스케어 데이터베이스(420)에는 음식 테이블이 저장될 수 있는 바, 음식명, 음식별 영양소, 관련 질병, 관련 약물, 관련 이상치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헬스케어 데이터베이스(420)에는 질병 테이블이 저장될 수 있는 바, 질명 테이블은 KCD(Korean Standard Classification of Diseases). snomed-ct등의 질병 체계를 기반으로 질병, 관련 약물, 관련 증상 등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헬스케어 데이터베이스(420)에는 약물 테이블이 저장될 수 있으며, 약물 테이블은 일반명코드, ATC코드 등을 기반으로 약물, 성분, 관련 병, 관련 증상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헬스케어 데이터베이스(420)는 증상 테이블을 포함할 수 있으며, 증상 테이블은 MedDra, Who-art, KCD를 기반으로 각종 증상 및 부작용 등에 대한 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헬스케어 데이터베이스(420)는 용어사전 및 유의어 테이블(426)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건강검진 명칭 및 기준치 정보(각 검사명, 수치의 단위, 출처, 출처기간, 대표성)를 저장하는 테이블로서 일정 주기마다 갱신 처리될 수 있다.
그리고, 헬스케어 데이터베이스(420)는 의학변수 테이블을 저장할 수 있는 바, 의학변수 테이블은 의학적 통계에 사용되는 변수의 기준명(각종 질병에 대한 가족력, 흠연이나 음주의 양 등) 정의 정보와, 이에 따른 사용자 정보와의 매핑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한편, 헬스케어 데이터베이스(420)는 사회경제변수 테이블을 저장할 수 있는 바, 사회경제변수의 경우 소득수준, 지역, 의료 서비스 기관 종류(1~3차 병원, 보건소, 한의원, 치과, 약국 등)등을 변수화한 테이블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헬스케어 데이터베이스(420)는 트리 테이블을 포함할 수 있는 바, 트리 테이블은 헬스케어 데이터베이스(420), 콘텐츠 데이터베이스(430), 커뮤니티 데이터베이스(440) 및 분석 정보 데이터베이스(450)간 연결적 하이퍼텍스트 구조를 생성하기 위한 구조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
한편, 콘텐츠 데이터베이스(430)는, 콘텐츠 가공부(350)에서 가공 처리되거나 외부로부터 제겅된 콘텐츠를 저장 및 관리할 수 있으며, 서비스 제공부(360)의 요청에 따라 정보 이용 단말(500)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콘텐츠 데이터베이스(430)에 저장되는 콘텐츠는 동영상 콘텐츠일 수 있으며, 동영상 콘텐츠는 콘텐츠 가공부(350)에서 가공된 헬스케어 관련 동영상의 고유번호, 제목, 내용, 출연자, 촬영일자, 관련 헬스케어DB(420) 항목(비만, 고혈압, 질병, 음식, 증상 등), 키워드, 주소, 촬영자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동영상 콘텐츠는 어려운 의학적 개념을 사용자가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시각/청각적 자료를 활용하여 콘텐츠 가공부(350)를 통해 제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동영상 콘텐츠는 근시와 원시에 대한 개념 및 +, - 시력에 대한 오해에 대한 동영상 콘텐츠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콘텐츠 데이터베이스(430)에 저장되는 콘텐츠는 텍스트 콘텐츠일 수 있으며, 텍스트 콘텐츠는 주변 병원 정보(병원명, 병원 유형, 위치, 연락처), 이상치 별 전문과목 및 연관 질병, 진료시 언급해야하는 내용에 대한 가이드, 최신 치료 가이드라인, 의학 및 헬스케어 지식 및 정보, 리뷰 콘텐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콘텐츠 데이터베이스(430)에 저장되는 콘텐츠는 이미지 콘텐츠일 수 있으며, 이미지 콘텐츠는 정보 이용 단말(500)로 제공되는 삽화, 도면(벤다이어 그램, 흐름도 등), 해부도, 기타 인포그래픽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콘텐츠 데이터베이스(430)에 저장되는 콘텐츠는 상호작용 콘텐츠를 포함할 수 있다. 상호작용 콘텐츠는 종류(플래시, 상호작용성 이미지, AR, 상호작용성 웹 등) 정보, 콘텐츠 고유 일련번호, 파일명, 파일위치, 외부링크, 관련게시물(업데이트 관리 용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호작용 콘텐츠는 동영상, 이미지, 텍스트 형태로는 표현하기 힘들거나 유저 관심이 높은 콘텐츠에 대해 사용자와 상호작용하여 설명하거나, 상황별 조언을 제공할 수 있는 다양한 상호작용 콘텐츠를 포함할 수 있다.
커뮤니티 데이터베이스(440)는 정보 이용 단말(500) 사용자들이 관심사, 유사 질환등 다양한 조건을 기준으로 커뮤니티 활동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일체의 데이터베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커뮤니티 데이터베이스(440)는 그룹에 대한 정보, 그룹별 사용자, 그룹별 페이지 정보, 기본 그룹 페이지 구성등 일반적인 커뮤니티 구성에 필요한 데이터를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
분석 정보 데이터베이스(450)는, 분석 처리부(330)에서 처리된 정보 중 사전 설정된 특정 분석 정보를 별도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분석 정보 데이터베이스(450)는 전술한 사용 패턴 테이블을 포함할 수 있으며, 사용 패턴 테이블은 정보 이용 단말(500) 또는 정보 입력 단말(100) 사용자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받은 시점으로부터, 가입, 설문, 건강검진 내용 촬영, 분석서비스 활용, 관련 콘텐츠 활용 등에 대한 행동들의 기록을 수집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사용 패턴 테이블은 맞춤형 건강관리 콘텐츠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에 핵심적인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분석 정보 데이터베이스(450)는 분석요청별 분석 테이블을 포함할 수 있는 바, 외부 분석요청에 따른 분석 처리부(330)의 분석 결과를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분석요청별 분석 테이블은 분석 요청자 명칭, 일자, 구체적 요구사항, 분석 내역, 분석관련 미디어 파일, 분석 완료 서류 파일, 분석 피드백 등의 데이터를 저장 및 관리할 수 있으며, 이러한 분석 결과 정보는 재요청 혹은 유사 분석요청시 활용될 수 있다.
그리고, 분석 정보 데이터베이스(450)는 기본통계 테이블을 포함할 수 있는 바, 기본 통계 테이블은 인구 분포, 연령 분포, 자추 찾는 기준별 데이터 수, 특정 데이터에 대한 일반적 통계(카이스퀘어 검정, t 검정 등)를 쉽고 간편하고 빠르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별도의 통계 테이블을 포함할 수 있다. 기본 통계 테이블은 지속적으로 누적 갱신될 수 있으며, 그 종류도 증가될 수 있으며, 여러 개의 기본통계 테이블에 관련 데이터가 중복으로 저장될 수도 있다.
한편,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서비스 제공부(360)를 통해, 전술한 분석 처리에 따른 다양한 서비스를 정보 이용 단말(500)로 제공할 수 있는 바, 정보 이용 단말(500)에는 서비스 제공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이 사전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정보 이용 단말(500)에서는 어플리케이션 기반의 서비스 제공 처리가 수행될 수 있다. 기본적으로 정보 이용 단말(500)에서는 건강검진 내역 설명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으며, 이는 사용자 정보 및 건강검진 정보에 대응하여, 건강검진 내역에 대한 분석 정보를 제공하는 기본 사용자 분석 서비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분석 서비스는 정보 이용 단말(500)의 설정에 따른 커스텀 사용자 분석 서비스와, 주문형 분석 및 상담 서비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비스 제공부(360)는 정보 이용 단말(500)을 통해 검사 항목 별 수치를 표준화하여 제시하고, 각 검사 항목을 터치할 시 검사 항목에 대한 설명과 관련 콘텐츠(음식, 약물, 질병, 증상, 이상치 등에 대한 텍스트, 이미지, 동영상, 상호작용 콘텐츠) 링크 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한 헬스케어 데이터베이스(420) 및 콘텐츠 데이터베이스(430) 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제공부(360)는 정보 이용 단말(500)을 통해 이상치 감지 결과를 인포그래픽 요소를 통해 시각화한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특정 수치를 선택할 시 이에 대응하는 이상치 명 및 그 이상치에 관련된 추가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비스 제공부(360)는 정보 이용 단말(500)의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체질량 지수가 30 이상일 시 고도비만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으며, 식이요법에 좋은 저열량 음식 콘텐츠 및, 비만에 대한 사후관리 서비스 링크 정보를 함께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서비스 제공부(360)는 맞춤형 건강관리 콘텐츠 서비스를 정보 이용 단말(500)로 제공할 수 있다. 맞춤형 건강관리 콘텐츠 서비스는 건강검진 데이터를 입력하거나 나이, 연령 등 정보를 입력할 경우, 해당 조건에 가장 근접한 콘텐츠를 추천해 주는 서비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서비스 제공부(360)는 사용자 성향별 콘텐츠 추천 처리부(335)의 분석 결과에 따른 추천 콘텐츠를 획득하여, 정보 이용 단말(500)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서비스 제공부(360)는 맞춤형 사후관리 서비스를 정보 이용 단말(500)로 제공할 수 있다.
맞춤형 사후 관리 서비스는 전술한 맞춤형 사후관리 분석 처리부(339)의 처리 결과에 기초한 정보 이용 단말(500)로의 사용자 맞춤형 사후관리 푸시 알림 발송 서비스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18시에 전송되는 푸시 알림으로서, '저녁식사 시간입니다. 늦은 식사는 소화불량, 피로, 비만 등의 원인이 됩니다'와 같은 메시지가 전송되는 알림 서비스가 예시될 수 있다.
또한, 맞춤형 사후 관리 서비스는, 성별, 연령, 이상치에 해당하는 그룹을 위한 전용 사후관리 코스 옵션이 설정될 수 있다. 이 때, 동일 시간에 제공되는 알람은 하나의 알람으로 통합되어 푸시 처리될 수 있다.
서비스 제공부(360)는 정보 이용 단말(500)에서 푸시 알림이 선택된 경우, 관련 통계 UI 및 시각화 정보를 제공하여 정보 이용 단말(500)에서 출력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푸시 알림과 연관된 UI는 식사 완료, 식사 예정, 식사 중 등의 반응을 피드백 할 수 있는 메뉴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저녁 식사여부를 일, 주, 월 단위의 그래프로 시각화한 통계 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제공부(360)는 사용자 설정에 따라, 특정 시간(밤 시간, 사용자 지정 회의시간 등)등의 알림을 피하거나, 추가로 사용자가 지정한 알림 내용을 지정한 시간에 푸시 알림으로 제공할 수 있도록 커스터마이징 기능을 제공할 수도 있다.
한편, 서비스 제공부(360)는 맞춤형 헬스케어 혜택 광고 서비스를 정보 이용 단말(500)로 제공할 수 있는 바, 이는 전술한 맞춤형 광고 매칭 분석 처리부(336)의 분석 결과 정보를 이용하여, 정보 이용 단말(500) 사용자의 관심사(사용패턴 기반)나 이상치(비만, 고혈압)에 해당하는 광고(예를 들어 운동을 찾는 비만 사용자에게 근처 피트니스 센터 광고 등)와, 광고 업체의 혜택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를 포함할 수 있다. 만약, 광고주의 광고 정보가 혜택 없는 타겟 광고만 포함하는 경우 우선순위가 상대적으로 낮게 처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부(360)는, 사용자에게는 건강검진 데이터를 기초로 하는 할인이나 추가 서비스, 관심정보 제공등의 효과적인 편익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광고주에게는 정밀 타게팅 광고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서비스 제공부(360)는 임상시험 정보제공(매칭)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바, 이는 전술한 임상시험 매칭 분석 처리부(337)를 활용하여 임상시험 정보제공 동의자에 한해 조건에 맞는 임상시험 정보를 정보 이용 단말(500)로 제공하는 서비스와(예 : 이상치가 고혈압인 사용자에게 고혈압 신약 임상시험 정보를 제공), 정보 이용 단말(500)의 사용자 입력에 따른 임상시험 기관으로의 참여 의사 전달(연락처 제공)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건강검진 데이터 분석을 기반으로, 임상시험에 관심이 있는 사용자와 임상시험을 시행하려는 기관간의 정밀 매칭을 구현할 수 있다.
한편, 서비스 제공부(360)는 커뮤니티 데이터베이스(440)에 기초한 커뮤니티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서비스를 이용하는 정보 이용 단말(500) 사용자 간 소통을 위한 그룹 기반 소통체계를 구축할 수 있다. 사용자는 직접 건강관리 관련 모임을 만들 수 있고, 특정 개인에게 팔로우 하거나 친구를 맺어 글을 보거나, 고혈압 모임 등에 참여 하여 소통하거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커뮤니티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한편, 서비스 제공부(360)는 간편 PHR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는 사용자 정보 관리부(410)의 개인적인 건강검진 정보를 개인의 동의 하에 의료기관의 정보 이용 단말(500)로 제공할 수 있는 서비스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서비스 제공 서버(300)와 연동된 의료기관 식별 정보가 사전 등록될 수 있으며, 정보 이용 단말(500)에서 의료기관 장치(예를 들어 키오스크, 모니터 화면 등)에서 표시된 의료기관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코드 정보(QR 코드, 바코드 등)를 스캔하면 상기 의료기관 식별 정보에 대응하여 의사 등의 관련 기관 사용자가 1회성으로 확인할 수 있는 일시적 열람 허용 정보가 생성되어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 전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의료기관 장치에서 진료 정보 또는 처방 내역 정보 등을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 전송하거나, 정보 이용 단말(500)에 진료 또는 처방 내역 정보가 입력될 수 있는 바, 입력된 진료 정보 또는 처방 내역 정보는 데이터베이스 서버(400)의 사용자 정보 관리부(410)에 업데이트 저장 및 관리될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이 업데이트되는 정보는 특정 의료 기관에 제한되어 관리되지 않을 수 있으며, 개인이 다른 의료기관에 가더라도 확인 가능한 형태로 저장 및 관리될 수 있는 바 정보의 호환성이 이루어지고, 사용자 편의성이 향상된다.
특히, 간편 PHR 확인 및 저장 서비스가 제공됨에 있어서 이를 입력하는 의료기관 장치 또는 정보 이용 단말(500)에서는 의사 면허 확인 처리를 구행할 수 있고, 확인된 의사 면허에 대응하여 간편 PHR 서비스 내용을 확인할 수 있는 일시적 열람 및 수정 권한이 부여될 수 있다. 권한이 있더라도 개인의 동의하에 정보 확인이 가능하고, 동의 하에 처방 내용을 입력할 수 있게 되는 것이므로 개인 정보는 보호될 수 있다. 또한, 정보 이용 단말(500)의 사용자가 건강검진 대상자 본인인 경우, 자신의 처방 정보를 입력 작성하게 되면, 그 내용은 개인 동의가 없더라도 본인이 확인 가능하게 될 수 있다. 또한, 처방 내용은 수정될 수 있으며, 수정 내역은 사용자 정보 관리부(410)에 기록될 수 있다.
한편, 정보 이용 단말(500)에 설치되는 어플리케이션은 서비스 제공 서버(300)와의 연동을 위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API)를 포함할 수 있으며, API는 비공개 API 및 공개 API 두 가지로 구분될 수 있다.
비 공개 API의 경우, 허가받은 사용자에 한해 API기반 의학 변수 및 사회경제 변수별 사용자 통계 등을 실행할 수 있도록 제한적인 접근을 허용하는 API를 포함할 수 있다.
공개 API의 경우 개별 사용자 아이디 및 비밀번호(혹은 엑세스 토큰)을 기반으로 개인 사용자의 일부 정보를 타 어플리케이션이나 응용 프로그램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데이터를 제공하는 API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기능을 이용한 제3자의 세부 기능 개발을 용이하게 하며, 사용자의 편익을 극대화하고 서비스 시스템의 이용율을 높일 수 있다.
그리고, 정보 이용 단말(500)은 웹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서비스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바, 이는 서비스 제공 서버(300)에서 제공되는 서비스 정보가 전부 웹 상에서 확인 가능하도록 구현될 수 있음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정보 이용 단말(500)은 데스크탑, 랩탑, 타블렛 등 다양한 정보기기의 웹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구동되어 서비스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서비스 제공부(360)는 사용자 인구 분석 서비스를 외부 기관 등으로 제공할 수 있는 바, 이는 건강검진 데이터에 대응한 원본 데이터의 제공 없이, 특정 조건 별 사용자 수 정보를 제공하고 시각화 해 주는 서비스를 포함할 수 있다 (예 : 20대 남성 고혈압 환자, 20대 여성 고혈압 환자의 수 / 20대 고혈압 남성 환자 중 흡연자와 비흡연자의 수 간 카이스퀘어 테스트 및 Propensity Score Matcing을 적용한 Relative Risk 등을 제공). 이와 같은 서비스를 위해, 분석 처리부(330)는 상기 외부 기관으로부터의 분석 요청을 수신할 수 있으며, 수신된 요청에 따른 분석 결과 데이터는 전술한 분석 정보 데이터베이스(450)에 저장될 수 있고, 콘텐츠 가공부(350)를 통해 가공되어 서비스 제공부(360)를 통해 외부 기관 등으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제공부(360)는 위키형 의학정보 제공 서비스를 정보 이용 단말(500)로 제공할 수 있다. 서비스 제공부(360)는 전술한 트리 테이블을 이용하여, 건강검진 데이터의 분석 서비스, 건강검진 데이터 및 콘텐츠간 계층 구조 정보 제공 서비스 또는 원하는 정보의 검색 서비스 및 하이퍼링크 안내 서비스 등을 제공할 수 있다. 이는 현재 일반적으로 제공되는 위키 사이트의 구조 형태가 예시될 수 있으며, 정보의 보호 및 민감성으로 인해 작성 및 수정 권한은 서비스 제공 서버(300)의 관리자에게만 부여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장치의 동작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데이터 수집부(310)를 통해, 정보 입력 단말(100)로부터 변환 입력된 데이터를 수집한다(S1001).
그리고,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비식별화 처리부(320)를 통해, 수집된 데이터에 대응하는 비식별화 처리를 수행한다(S1005).
그리고,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분석 처리부(330)를 통해, 데이터베이스 서버(400)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정보 테이블에 의해 지정된 규칙에 따라, 상기 비식별화 처리된 데이터의 분석 처리를 수행한다(S1005).
이후,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콘텐츠 가공부(340)를 통해, 분석 결과에 대응하는 건강관리 콘텐츠를 가공하고, 시각화 처리한다(S1007).
그리고,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서비스 제공부(360)를 통해, 상기 가공 및 시각화된 콘텐츠를 이용한 하나 이상의 건강 관리 서비스를 정보 이용 단말(500)로 제공한다(S1009).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장치의 동작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간편 PHR 서비스를 예시한 것으로, 먼저 정보 이용 단말(500)에서는 병원 기기로부터 사용자 인증용 QR 코드 정보를 획득한다(S2001).
이후, 정보 이용 단말(500)에서는 획득된 QR 코드를 이용한 인증 확인을 수행하고, 이에 대응하는 일시적 열람 허용 정보가 생성된다(S2003).
그리고, 정보 이용 단말(500)은 일시적 열람 허용 정보를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 전송하며, 이에 따라 병원 기기의 권한 정보가 등록된다(S2005).
이후,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데이터베이스 서버(400)의 건강 관리 서비스 데이터를 병원 기기로 전송하고, 이에 대응하는 진단, 처방 또는 소견 정보를 포함하는 병원 의료 정보를 수신한다(S2007).
그리고, 병원 기기의 이용 종료가 확인되는 경우,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권한 정보를 해제할 수 있으며, 이후 병원 의료 정보 데이터의 업데이트가 처리될 수 있다(S20090.
여기서, 수신된 병원 의료 정보는 병원 기기의 권한 정보에 따라, 데이터베이스 서버(400)에 기존 저장된 각 건강검진 데이터에 추가 갱신 저장 및 관리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체 시스템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래더 다이어그램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먼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정보 입력 단말(100) 및 정보 이용 단말(500)은 서비스 시스템(1000)에 대한 회원 가입 및 인증 프로세스를 수행한다(S3001).
이후, 정보 입력 단말(100)에는 건강 검진 이미지 정보 및 설문 정보가 입력되며(S3003), 입력된 데이터는 변환 처리되어(S3005), 데이터베이스 서버(400)로 전달될 수 있다(S3007).
그리고, 데이터베이스 서버(400)는 사전 설정된 테이블 및 건강검진 데이터에 기초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S3009), 구축된 데이터베이스는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 제공된다(S3011).
이후,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제공된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데이터 수집(S3013) 및 비식별화 처리(S3015)를 수행하며, 각 서비스별 데이터 분석 처리를 수행하여(S3017), 분석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 서버(400)에 저장한다(S3018).
그리고,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서비스 분석 데이터를 가공 및 콘텐츠 생성 처리하며(S3019), 외부 콘텐츠 입력 연동 처리(S3012)와, 이용자 정보 매칭 분석을 수행하여(S3023), 각 정보 이용 단말(500)의 이용자별 적합한 관리 서비스를 제공한다(S3025). 구체적인 관리 서비스 및 동작에 대하여는 도 3 내지 도 5를 통해 전술한 바와 같으므로 생략토록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체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념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건강검진 이미지 정형 데이터화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건강검진 이미지 정형 데이터화 모듈(600)은, 별도 장치로 구현되거나 소프트웨어적 구현에 의해 서비스 제공 서버(300) 또는 데이터베이스 서버(400)에서 구동되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출력하는 모듈일 수 있으며, 인터페이스 입출력을 위한 입력 및 출력 장치를 별도 구비할 수 있다.
이는 건강검진 결과 문서들이 각 병원 또는 기관별로 전혀 상이한 포맷, 수치 및 기준치를 포함하고 있어 정형화될 필요성이 있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건강검진 이미지 정형 데이터화 모듈(600)은, 정보 입력 단말(100)에 입력된 건강검진 이미지로부터 정형화된 데이터를 추출 및 가공하여 데이터베이스 서버(400)로 전달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건강검진 이미지 정형 데이터화 모듈(600)은, 통신부(610), 제어부(620), 입력부(630) 및 출력부(660)를 선택적으로 구비할 수 있으며, 정형 데이터화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인터페이스 제공부(640) 및 정형 데이터 처리부(650)가 필수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건강검진 이미지 매칭 인터페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로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건강검진 이미지 매칭 인터페이스에 대응하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정형 데이터 처리부(650)의 매칭 테이블 생성 및 데이터베이스 서버(400)로의 전달 처리가 수행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10을 참조하면, 인터페이스 제공부(640)는 매칭 인터페이스를 통해, 출력부(660) 일측에 건강검진기록 이미지 및 이동 기능 요소를 배치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인터페이스 제공부(640)는 출력부(660) 타측에 건강검진 항목(열)과 입력 항목(행) 인터페이스를 테이블 형태로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인터페이스 제공부(640)는 문자 인식(OCR 또는 AI 등)에 의한 1차 매칭 처리된 결과 정보를 출력부(660)를 통해 출력할 수 있으며, 매칭된 항목에 대응하는 별도의 제1 색상 등의 강조 이미지가 인터페이스상에 출력될 수 있고, 사용자는 클릭 또는 단축키로 확인하여 확인 입력할 수 있다.
한편, 문자 인식이 처리되었으나, 적절한 항목에 매칭되지 않은 문자열들이 존재하는 경우, 인터페이스 제공부(640)는 이미지 내에 제2 색상으로 강조하여 객체화 출력할 수 있으며, 일측의 건강검진 기록 이미지로부터 타측의 건강겅진 테이블 영역으로 드래그 이동하는 사용자 입력이 가능할 수 있다.
그리고, 인터페이스 제공부(640)는 인식되지 못한 항목에 대응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는 바, 사용자는 건강 검진 전문가로서 관련 매뉴얼에 따라 수기 입력하거나 인터페이스상에 미리 입력된 항목들 중 선택하여 입력할 수 있다.
여기서, 인터페이스 제공부(640)는 항목 내용을 이미지 상에서 선택할 수 있는 선택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선택 인터페이스를 통해 단어 이미지 부분을 선택한 후, 드래그를 통해 특정 항목과 매칭할 수 있다. 매칭된 이미지 부분은 항목 내용으로 레이블링 처리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입력 프로세스는 복수의 건강검진 이미지 정형 데이터화 모듈(600)에서 중복적으로 처리될 수 있는 바, 다수의 전문가가 한 건에 대한 중복적 판단이 이루어지므로 그 정확도가 보장될 수 있다.
만약, 복수의 건강검진 이미지 정형 데이터화 모듈(600)에서 동일하지 않은 항목 입력이 확인되는 경우 별도 협의정보가 입력되거나, 정보 입력 단말(100)로 재촬영 또는 수동 입력 요청이 전송될 수 있다.
한편, 이와 같이 매칭 분석된 결과는 입력 저장 메뉴 선택에 따라, 정형 데이터 처리부(650)에서 테이블 변환 처리되어 데이터베이스 서버(400)로 전송될 수 있으며, 건강검진 이미지 및 매칭 결과 정보는 이후 문자 인식(OCR 또는 AI) 기능의 성능 향상용 학습 데이터로서 활용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입력 데이터 파싱 및 데이터베이스 처리를 지원하기 위한 서비스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시스템은, 병원 네트워크에 포함된 공단 청구 단말(10) 및 전자문서 업로드 모듈(20)과, 서비스 네트워크에 포함된 관리 서비스 모듈(30), 서비스 제공 서버(300) 및 데이터베이스 서버(4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시스템은 전술한 사용자의 정보 입력 단말(10)이 아니더라도, 병원 네트워크의 공단 청구 단말(10)에서 출력되는 건강검진 결과 정보로부터 건강검진 데이터를 수집 및 분석하여 서비스를 제공토록 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공단 청구 단말(10)은 병원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각 병원의 간호사 또는 행정원 등이 의료급여 등의 목적으로 개별 환자의 건강검진 결과 정보를 프로그램에 입력하고 종이 문서로 출력하기 위한 통상의 공단 청구 프로그램이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그리고, 공단 청구 단말(10)은 단말 내부에 설치되거나 외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는 전자문서 업로드 모듈(20)로, 상기 건강검진 결과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종이 문서 정보를 전자문서 정보로 변환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문서 정보는 PDF 문서와 같은 문서 또는 이미지 파일 등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전자문서 업로드 모듈(20)은 통상의 공단 청구 단말(10)의 프린터 설정을 PDF와 같은 전자문서 포맷으로 변경시키고, 공단 청구 단말(10)로부터 종이 문서 형태로 출력하기 위한 출력 데이터를 전자문서 포맷 정보로 변환하여, 서비스 네트워크를 통해 관리 서비스 모듈(30)로 업로드 처리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복수의 개별 건강검진 결과 정보들은 병합 처리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전자문서 업로드 모듈(20)는 여러 명의 개별 건강검진 결과 정보의 종이문서 출력 데이터를 전자문서 출력 데이터로 변환하고, 일정 개수 이상 누적 변환된 개별 건강검진 결과 정보를 한번에 관리 서비스 모듈(30)로 업로드 할 수도 있다.
한편, 관리 서비스 모듈(30)은 업로드된 건강검진 결과 정보의 파싱 및 분류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관리 서비스 모듈(30)은 업로드된 PDF 문서의 텍스트 변환 처리를 수행할 수 있으며, 텍스트 정보로부터 파싱되는 항목 정보를 분류하여, 서비스 제공 서버(300) 또는 데이터베이스 서버(400)로 전달함으로써, 서비스 제공 서버(300) 또는 데이터베이스 서버(400)에서의 수집 및 가공 처리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상기 파싱을 위한 전자문서 파서 프로그램 등이 상기 관리 서비스 모듈(30)에 사전 구비될 수 있다. 전자문서 파서 프로그램은 매크로 기능 등을 이용하여 PDF와 같은 전자 문서를 텍스트로 변환하고, 변환된 텍스트로부터 일정 키워드에 대응하는 텍스트를 추출하여 분류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파싱을 통해 수집 및 가공 처리되는 검진 항목 및 파싱키워드의 예시는 하기와 같다.
1. 1차검진(생애전환기 건강검진)
검진유형, 검진일, 수검자성명, 수검자주소, 생년월일, 성별, 종합판정, 의심질환, 유질환, 생활습관, 기타, 생활습관, 우울증, 인지기능장애, 인지기능장애, 골밀도, 노인신체기능검사, 판정일, 검진의사, 검진의사, 병원기관번호, 병원명, 병원주소, 병원연락처, 신장, 체중, BMI, 허리둘레, 허리둘레, 시력(좌), 시력(우), 교정시력, 청력(좌), 청력(우), 청력결과, 과거병력, 약물치료, 노인신체기능검사
2. 1차검진 (일반 검진)
검진유형, 검진일, 수검자성명, 수검자주소, 생년월일, 성별, 종합판정, 의심질환, 유질환, 신장, 체중, BMI, 허리둘레, 허리둘레 판정, 시력(좌), 시력(우), 교정시력, 청력(좌), 청력(우), 청력결과, 혈색소, 혈색소결과, 공복혈당, 공복혈당, 총콜레스테롤, 이상지질혈증, 혈청크레아티닌, AST(SGOT), ALT(SGPT), 감마지티피, 요단백, 흉부촬영, 과거병력, 약물치료, B형간염, 노인신체기능검사, 심뇌혈관나이, 생활습관, 기타, 병원명, 병원주소, 병원연락처, 수축기혈압, 이완기혈압, 혈압결과, 신사구체여과율, 신장질환, 간장질환, 생활습관, 우울증, 인지기능장애, 골밀도, 노인기능평가, 판정일, 검진의사, 검진의사성명, 병원기관번호, 본인 나이 대비 심뇌혈관질환 위험도, 향후 10년이내 심뇌혈관질환이 발생할 확률, 향후 10년이내 심뇌혈관질환이 발생할 확률(본인나이 평균), 신체활동, 음주, 흡연
3. 2차검진 (운동, 흡연, 음주, 영양)
검진일, 수검자성명, 생년월일, 성별, 판정일, 검진의사, 검진의사성명, 검진유형, 병원기관번호, 병원명, 검진장소, 흡연 카테고리, 니코틴의존도 평가, 음주 카테고리, 운동 상태, 영양 상태, 비만 상태
4. 암검진 (위암)
수검자성명, 생년월일, 성별, 암판정내용, 검진일, 판정일, 검진의사 면허번호, 검진의사성명, 검진유형, 병원기관번호, 병원명, 병원주소, 수검자주소
5. 암검진 (간암)
수검자성명, 생년월일, 성별, 암판정내용, 검진일, 판정일, 검진의사 면허번호, 검진의사성명, 검진유형, 병원기관번호, 병원명, 병원주소, 수검자주소
6. 암검진 (대장암)
수검자성명, 생년월일, 성별, 암판정내용, 검진일, 판정일, 검진의사 면허번호, 검진의사성명, 검진유형, 병원기관번호, 병원명, 병원주소, 수검자주소
7. 암검진 (유방암)
수검자성명, 생년월일, 성별, 암판정내용, 검진일, 판정일, 검진의사 면허번호, 검진의사성명, 검진유형, 병원기관번호, 병원명, 병원주소, 수검자주소
8. 암검진 (자궁경부암)
수검자성명, 생년월일, 성별, 암판정내용, 검진일, 판정일, 검진의사 면허번호, 검진의사성명, 검진유형, 병원기관번호, 병원명, 병원주소, 수검자주소
9. 수검자 등록 정보
병원명, 병원기관번호, 검진유형, 조회기간, 출력일, 수검자성명, 생년월일, 성별, 건강관리번호, 직역구분, 이메일, 휴대폰, 문자수신, 검진일
이와 같은 파싱 처리에 따라, 항목별로 분류되는 데이터는 데이터베이스 서버(400)의 테이블에 저장될 수 있으며, 각 개별 환자들의 리스트로 구성되어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 제공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입력 데이터 파싱 및 데이터베이스 처리를 지원하기 위한 서비스 프로세스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먼저 건강보험공단 프로그램이 설치된 공단 청구 단말(10)에서, 건강검진 결과 정보를 PDF로 인쇄 출력한다(S2001).
이후, 전자문서 업로드 모듈(20)은, 상기 인쇄 출력된 PDF 인쇄 데이터를 전자문서 건강검진 데이터로 변환 처리하여, 관리 서비스 모듈(30)로 업로드한다(S2003).
다음으로, 상기 관리 서비스 모듈(30)은 상기 업로드된 전자문서 건강검진 데이터의 PDF 파싱 처리를 수행하여, 사전 설정된 건강검진 항목 별 분류 처리를 수행한다(S2005).
그리고, 관리 서비스 모듈(30)은 항목 분류된 건강검진 결과 정보를 서비스 제공서버 및 데이터베이스 서버로 전달하여, 환자별 수집 및 가공 분석되도록 처리한다(S2007).
한편,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에서 실행되기 위한 프로그램으로 제작되어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으며,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Claims (10)

  1. 공단 청구 단말이 인쇄 출력하는 건강검진 결과 데이터를 관리 서비스 모듈에서 식별 가능한 전자문서 포맷으로 변환 처리하는 단계; 및
    상기 변환 처리된 전자문서 데이터를 상기 관리 서비스 모듈로 서비스 네트워크를 통해 업로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관리 서비스 모듈은 상기 상기 전자문서 데이터의 파싱 처리를 통해 건강검진 전자문서 데이터를 건강검진 항목별로 분류하며, 상기 분류에 따른 건강검진 데이터를 서비스 제공 서버로 전달하며,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건강검진 데이터에 대응하는 비식별화 처리를 수행하고, 상기 비식별화 처리된 데이터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건강 관리 서비스 제공을 위한 분석 처리를 수행하며, 상기 분석 처리 결과에 대응하는 건강 관리 콘텐츠를 가공하고, 상기 가공된 콘텐츠를 이용한 하나 이상의 건강 관리 서비스를 정보 이용 단말로 제공하는 서버인
    상기 단계들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건강관리 서비스 제공을 위한 매체에 저장되는 단말 프로그램.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업로드하는 단계는,
    상기 인쇄 출력되는 개별 건강검진 데이터가 일정 개수 이상 누적 변환하여 병합된 복수의 개별 건강검진 데이터를 상기 관리 서비스 모듈로 업로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상기 단계들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건강관리 서비스 제공을 위한 매체에 저장되는 단말 프로그램.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서비스 모듈은 상기 업로드된 전자 문서의 텍스트 변환 처리를 수행하고, 텍스트 정보로부터 파싱되는 항목 정보를 분류하여,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 또는 데이터베이스 서버로 전달하는
    상기 단계들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건강관리 서비스 제공을 위한 매체에 저장되는 단말 프로그램.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항목 정보는 1차 검진 정보, 2차 검진 정보, 암 검진 정보, 수검자 등록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상기 단계들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건강관리 서비스 제공을 위한 매체에 저장되는 단말 프로그램.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 처리는 건강검진 해석 처리를 포함하고,
    상기 건강관리 콘텐츠는, 상기 건강검진 해석 처리에 대응하는 사용자 분석 서비스 콘텐츠를 포함하는
    상기 단계들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건강관리 서비스 제공을 위한 매체에 저장되는 단말 프로그램.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 처리는 사용자 행동 및 성향 분석 처리를 포함하고,
    상기 건강관리 콘텐츠는, 상기 사용자 행동 및 성향 분석 처리에 대응하는 사용자 분석 서비스 또는 사용자 성향별 콘텐츠 추천 서비스를 포함하는
    상기 단계들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건강관리 서비스 제공을 위한 매체에 저장되는 단말 프로그램.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 처리는 맞춤형 광고 매칭 분석 처리를 포함하고,
    상기 건강관리 콘텐츠는, 상기 맞춤형 광고 매칭 분석 처리에 대응하는 맞춤형 의료 광고 제공 서비스 콘텐츠를 포함하는
    상기 단계들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건강관리 서비스 제공을 위한 매체에 저장되는 단말 프로그램.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 처리는 임상시험 매칭 분석 처리를 포함하고,
    상기 건강관리 콘텐츠는, 상기 임상시험 매칭 분석 처리에 대응하는 임상시험대상자 매칭 서비스 콘텐츠를 포함하는
    건강관리 서비스 제공을 위한 단말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건강 관리 서비스는,
    정보 이용 단말에 대응하여 일시적 열람 허용된 의료 기관 기기의 진단, 처방 또는 소견 정보를 이용한 건강검진 데이터의 갱신 서비스를 포함하는
    상기 단계들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건강관리 서비스 제공을 위한 매체에 저장되는 단말 프로그램.
  10. 공단 청구 단말이 인쇄 출력하는 건강검진 결과 데이터를 관리 서비스 모듈에서 식별 가능한 전자문서 포맷으로 변환 처리하는 단계; 및
    상기 변환 처리된 전자문서 데이터를 상기 관리 서비스 모듈로 서비스 네트워크를 통해 업로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관리 서비스 모듈은 상기 상기 전자문서 데이터의 파싱 처리를 통해 건강검진 전자문서 데이터를 건강검진 항목별로 분류하며, 상기 분류에 따른 건강검진 데이터를 서비스 제공 서버로 전달하며,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건강검진 데이터에 대응하는 비식별화 처리를 수행하고, 상기 비식별화 처리된 데이터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건강 관리 서비스 제공을 위한 분석 처리를 수행하며, 상기 분석 처리 결과에 대응하는 건강 관리 콘텐츠를 가공하고, 상기 가공된 콘텐츠를 이용한 하나 이상의 건강 관리 서비스를 정보 이용 단말로 제공하는 서버인
    건강관리 서비스 제공을 위한 단말의 동작 방법.
KR1020190155251A 2019-11-28 2019-11-28 건강검진 결과 정보의 변환 업로드 처리를 지원하는 건강검진 서비스 제공을 위한 단말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 KR2021006625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5251A KR20210066254A (ko) 2019-11-28 2019-11-28 건강검진 결과 정보의 변환 업로드 처리를 지원하는 건강검진 서비스 제공을 위한 단말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5251A KR20210066254A (ko) 2019-11-28 2019-11-28 건강검진 결과 정보의 변환 업로드 처리를 지원하는 건강검진 서비스 제공을 위한 단말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6254A true KR20210066254A (ko) 2021-06-07

Family

ID=763742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5251A KR20210066254A (ko) 2019-11-28 2019-11-28 건강검진 결과 정보의 변환 업로드 처리를 지원하는 건강검진 서비스 제공을 위한 단말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6625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0654B1 (ko) * 2021-06-15 2022-02-10 메디프레쉬주식회사 가족력 데이터를 이용한 발생가능 질병에 대한 위험인자 관리용 식단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360651B1 (ko) * 2021-06-15 2022-02-10 메디프레쉬주식회사 의료분야 마이데이터를 이용한 목표질환 수치 개선용 개인 맞춤형 식단 서비스 제공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0654B1 (ko) * 2021-06-15 2022-02-10 메디프레쉬주식회사 가족력 데이터를 이용한 발생가능 질병에 대한 위험인자 관리용 식단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360651B1 (ko) * 2021-06-15 2022-02-10 메디프레쉬주식회사 의료분야 마이데이터를 이용한 목표질환 수치 개선용 개인 맞춤형 식단 서비스 제공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Odendaal et al. Health workers’ perceptions and experiences of using mHealth technologies to deliver primary healthcare services: a qualitative evidence synthesis
Brown et al. Smartphone-based health technologies for dementia care: opportunities, challenges, and current practices
Busingye et al. Data Resource Profile: MedicineInsight, an Australian national primary health care database
US8301462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disease management algorithm integration
US8990834B2 (en) Managing healthcare information in a distributed system
Do et al. The military health system's personal health record pilot with Microsoft HealthVault and Google Health
US20170185715A9 (en) Federated Collaborative Medical Records System Utilizing Cloud Computing Network and Methods
US20040260577A1 (en) Electronic healthcare information and delivery management system with an integrated medical search architecture and capability
KR20210153845A (ko) 개인화된 건강검진 데이터 분석 기반 의료 콘텐츠 정보 서비스 제공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US20110125527A1 (en) Systems, apparatus, and methods for identifying patient-to patient relationships
KR20210153878A (ko) 건강 위험도 예측에 기반한 의료 콘텐츠 정보 서비스 제공장치
Ammenwerth et al. International comparison of six basic eHealth indicators across 14 countries: an eHealth benchmarking study
US20140136236A1 (en) Patient and physician gateway to clinical data
US20150234984A1 (en) Patient-Centric Portal
WO2021211865A1 (en) Method and system for improving the health of users through engagement, monitoring, analytics, and care management
KR20200143012A (ko) 건강검진 데이터를 활용한 건강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Langan et al. Improving the reporting of studies using routinely collected health data in physical therapy
US20050107672A1 (en) System and method for external input of disease management algorithm
KR20210066254A (ko) 건강검진 결과 정보의 변환 업로드 처리를 지원하는 건강검진 서비스 제공을 위한 단말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
KR20210066252A (ko) 입력 데이터 파싱 및 데이터베이스 처리를 지원하는 건강검진 데이터 처리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
KR20210153869A (ko) 개인화된 건강검진 데이터 분석 기반 추천 영양소와 비추천 영양소 콘텐츠 정보 서비스 제공방법
WO2015044938A1 (en) A computing device-implemented method for managing health file
KR20210066251A (ko) 입력 데이터 파싱 및 데이터베이스 처리를 지원하는 건강검진 데이터 처리 장치
Chandrasekaran Telemedicine in the Post-Pandemic Period: Understanding Patterns of Use and the Influence of Socioeconomic Demographics, Health Status, and Social Determinants
KR20210153883A (ko) 개인화된 영양소 추천 서비스 제공 프로그램 기록매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