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66233A - 항균 및 소취 물질이 함유된 폴리프로필렌 마스터 배치 및 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항균 및 소취 물질이 함유된 폴리프로필렌 마스터 배치 및 그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66233A
KR20210066233A KR1020190155222A KR20190155222A KR20210066233A KR 20210066233 A KR20210066233 A KR 20210066233A KR 1020190155222 A KR1020190155222 A KR 1020190155222A KR 20190155222 A KR20190155222 A KR 20190155222A KR 20210066233 A KR20210066233 A KR 202100662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ction
polypropylene
antibacterial
master batch
cyclodextr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52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동수
Original Assignee
신동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동수 filed Critical 신동수
Priority to KR10201901552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66233A/ko
Publication of KR202100662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623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9/00Making granules
    • B29B9/10Making granules by moulding the material, i.e. treating it in the molten st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7/00Mixing; Kneading
    • B29B7/002Metho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3/00Processes of treating or compound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3/20Compounding polymers with additives, e.g. colouring
    • C08J3/22Compounding polymers with additives, e.g. colouring using masterbatch techniques
    • C08J3/226Compounding polymers with additives, e.g. colouring using masterbatch techniques using a polymer as a carrie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2Elements
    • C08K3/08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9/00Use of pretreated ingredients
    • C08K9/12Adsorbed ingredients, e.g. ingredients on carri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08L23/12Polyprop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00Compositions of polysaccharides or of their derivat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L1/00 or C08L3/00
    • C08L5/16Cyclodextrin; Derivative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23/00Use of polyalkene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 B29K2023/10Polymers of propylene
    • B29K2023/12PP, i.e. polypropyl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2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23/02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 treatment
    • C08J23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08J2323/12Polyprop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2Elements
    • C08K3/08Metals
    • C08K2003/0806Silve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rocesses Of Treat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1구간, 제2구간, 제3구간, 제4구간, 제5구간으로 구분된 압출기를 통해 제조되는 항균 및 소취 물질이 함유된 폴리프로필렌 마스터 배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구간은 일반 폴리프로필렌 마스터 배치를 투입하고 50~160℃로 가열하면서 8~15초의 통과시간으로 통과하여 폴리프로필렌를 용융시키는 용융단계; 상기 제2구간은 사이클로덱스트린이 투입되고, 150~170℃로 가열하면서 3~6초의 통과시간으로 통과하는 사이클로덱스트린 투입단계; 상기 제3구간은 항균성 제올라이트가 투입되고, 160~180℃로 가열하면서 2~4초의 통과시간으로 통과하는 항균성 제올라이트 투입단계; 상기 제4구간은 170~190℃ 가열하면서 1~3초의 통과시간으로 통과하여 혼합시키는 혼합단계; 및 상기 제5구간에서 180~200℃로 가열하면서 기능성 물질인 사이클로덱스트린, 항균성 제올라이트가 함유된 폴리프로필렌를 압출시키는 압출단계를 포함하는 항균 및 소취 물질이 함유된 폴리프로필렌 마스터 배치 및 그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항균 및 소취 물질이 함유된 폴리프로필렌 마스터 배치 및 그의 제조방법{POLYPROPYLENE MASTER BATCH HAVING MATERIAL OF ANTIMICROBIAL EFFECT, DEODORANT PROPERTY}
본 발명은 항균 및 소취 물질이 함유된 폴리프로필렌 마스터 배치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항균, 소취 기능을 갖는 기능성 물질이 균일하게 고함량 함유된 폴리프로필렌 마스터 배치에 관한 것이다.
폴리프로필렌 수지는 무극성을 띠는 화학구조상 우수한 내화학성으로 인하여 2차 가공성, 특히 도장성 및 타 소재와의 접착성이 열세하고, 결정성 수지의 특성상 큰 수축율로 인해 치수안정성과 내열성이 미흡하여, 유사한 용도로 경쟁적으로 적용되는 스티렌 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 폴리스티렌 등의 타 수지에 비하여 다소 열세한 단점을 지니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단점에도 불구하고, 폴리프로필렌 수지는 기계적 물성, 내약품성, 성형성 등이 뛰어나고 재활용이 용이한 장점 때문에, 친환경 소재로서 자동차 내장부품과 가전부품, 산업자재 등 공업적 이용범위가 매우 넓은 소재이다.
특히, 폴리프로필렌 수지는 섬유로 제조되어 기저귀, 생리대 등 위생자재에 널리 이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에어컨과 정수기, 비데, 가습기, 부직포 등 사람의 위생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깊은 제품에 항균력을 부여함으로써 위생성과 친환경성을 동시에 만족시키려는 요구가 커지고 있다. 이러한 요구에 부합하여 항균성 폴리프로필렌 수지를 개발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일본특허공개 평10-212380호 및 평11-28762호 등에 폴리프로필렌에 고밀도폴리에틸렌 및 무기 항균제를 블렌딩하여 제조된 블로우 성형용 항균성 수지 조성물이 공개된 바 있다.
통상적으로 합성수지에 기능성을 부여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기능성 물질이 함유된 고분자 마스터 배치를 제조한 후, 기능성 물질이 함유된 고분자 마스터 배치와 일반적인 고분자 마스터 배치를 혼합하여 합성수지를 사용하는 제품에 기능성을 부여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종래기술에서 기능성 물질이 함유된 고분자 마스터 배치는 압출기(Extruder)에 기능성 물질과 일반 고분자 마스터 배치를 투입하여 압출기 내부에서 혼합시킨 후 압출하여 스트랜드(strand)로 형성시키고 절단하여 펠럿(pellet) 형태로 제조한다.
상기와 같이 제조되는 기능성 물질이 함유된 고분자 마스터 배치는 기능성 물질이 균일하게 함유되는 것이 매우 중요하며, 섬유제조시의 경제성 및 공정성을 위해 기능성 물질이 고함량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기능성 물질을 고분자 마스터 배치에 고함량 함유시킬 경우 마스터 배치에 함유되는 기능성 물질을 균일하게 함유시키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또한, 기능성 물질은 대부분 하나의 기능을 가지는 것으로 섬유에 다기능성을 부여하기 위해서는 다수의 기능성 물질이 함유된 고분자 마스터 배치를 사용해야 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폴리프로필렌 마스터 배치에 항균 및 소취 기능이 우수한 기능성 물질을 균일하면서도 고함량 함유시킬 수 있는 항균 및 소취 물질이 함유된 폴리프로필렌 마스터 배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상기의 제조방법으로 항균 및 소취 물질이 함유된 폴리프로필렌 마스터 배치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제1구간, 제2구간, 제3구간, 제4구간, 제5구간으로 구분된 압출기를 통해 제조되는 항균 및 소취 물질이 함유된 폴리프로필렌 마스터 배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구간은 일반 폴리프로필렌 마스터 배치를 투입하고 50~160℃로 가열하면서 8~15초의 통과시간으로 통과하여 폴리프로필렌를 용융시키는 용융단계; 상기 제2구간은 사이클로덱스트린이 투입되고, 150~170℃로 가열하면서 3~6초의 통과시간으로 통과하는 사이클로덱스트린 투입단계; 상기 제3구간은 항균성 제올라이트가 투입되고, 160~180℃로 가열하면서 2~4초의 통과시간으로 통과하는 항균성 제올라이트 투입단계; 상기 제4구간은 170~190℃ 가열하면서 1~3초의 통과시간으로 통과하여 혼합시키는 혼합단계; 및 상기 제5구간에서 180~200℃로 가열하면서 기능성 물질인 사이클로덱스트린, 항균성 제올라이트가 함유된 폴리프로필렌를 압출시키는 압출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 및 소취 물질이 함유된 폴리프로필렌 마스터 배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기능성 물질은 5~30wt%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 및 소취 물질이 함유된 폴리프로필렌 마스터 배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사이클로덱스트린은 베타(β)-사이클로덱스트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 및 소취 물질이 함유된 폴리프로필렌 마스터 배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항균성 제올라이트는 은(Ag)이 담지된 제올라이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 및 소취 물질이 함유된 폴리프로필렌 마스터 배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 및 소취 물질이 함유된 폴리프로필렌 마스터 배치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항균 및 소취 물질이 함유된 폴리프로필렌 마스터 배치는 기능성 물질인 사이클로덱스트린, 항균성 제올라이트를 비중에 따라 투입되는 시기를 조절하여 기능성 물질의 함량이 균일한 폴리프로필렌 마스터 배치를 제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기능성 물질의 함량이 균일하면서도 기능성 물질이 고함량이 함유된 폴리프로필렌 마스터 배치을 제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항균 및 소취 물질이 함유된 폴리프로필렌 마스터 배치 제조방법의 공정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항균 및 소취 물질이 함유된 폴리프로필렌 마스터 배치를 제조하는 압출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동일한 참조부호를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항균 및 소취 물질이 함유된 폴리프로필렌 마스터 배치 제조방법의 공정도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항균 및 소취 물질이 함유된 폴리프로필렌 마스터 배치를 제조하는 압출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은 항균 및 소취 물질이 함유된 폴리프로필렌 마스터 배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사이클로덱스트린, 항균성 제올라이트의 기능성 물질로 사용하여 도 1에서와 같이 용융단계, 사이클로덱스트린 투입단계, 항균성 제올라이트 투입단계, 혼합단계, 압출단계를 포함하여 제조된다.
상기 사이클로덱스트린은 우수한 악취 제거 특성을 갖는 반응성(reactive) 물질로 본 발명에서는 알파(α)-사이클로덱스트린, 베타(β)-사이클로덱스트린, 감마(γ)-사이클로덱스트린 또는 이들이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으나, 소취 기능이 우수하고 유기 화합물질의 포접성이 좋으며, 유기물 결합대상이 다양하고 구조적으로 가장 안정한 구조로 경제성 측면에서도 우수한 베타(β)-사이클로덱스트린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항균성 제올라이트(Zeolite)는 제올라이트에 항균성 기능을 부여한 것으로 금속물질이 담지된 제올라이트이다.
상기 제올라이트에 담지되는 금속은 은(Ag), 구리, 아연, 니켈 및 철 중 어느 하나 또는 2개 이상의 금속일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항균성이 우수하고 많이 사용되는 은이 담지된 제올라이트(Zeolite)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사이클로덱스트린, 항균성 제올라이트는 입자크기가 200㎛인 것이 바람직하나, 작업성 및 분산 용이성을 높이기 위해 입자크기가 400~500nm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본 발명의 항균 및 소취 물질이 함유된 폴리프로필렌 마스터 배치는 제1구간, 제2구간, 제3구간, 제4구간, 제5구간으로 구분된 압출기를 통해 제조되는 것으로 상기 제1구간, 제2구간, 제3구간, 제4구간, 제5구간은 압출기의 가열 온도에 다른 구분으로 장치적 구분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압출기는 도 2에서와 같이 일반적으로 스크류를 통해 혼합 및 압출되는 장치로 본 발명에서는 트윈 스크류가 형성된 압출기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제1구간, 제2구간, 제3구간, 제4구간, 제5구간은 구간이 올라갈수록 온도가 가열온도가 상승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각 구간별로 가열온도가 조절되는 압출기를 사용하여야 할 것이다.
상기 용융단계는 제1구간에서 진행되는 단계로 상기 제1구간은 일반 폴리프로필렌 마스터 배치을 투입하고 50~160℃로 가열하면서 8~15초의 통과시간으로 통과하여 폴리프로필렌을 용융시키는 단계이다.
일반적으로 폴리프로필렌 수지는 융점이 약 160~170℃로 용융단계에서의 50~160℃의 가열에서는 용융되지 않으나 압출기 내부의 스크류 회전운동에 의해 폴리프로필렌 마스터 배치가 압착되고 고압을 받아 온도가 상승되어 용융이 시작된다.
상기 일반 폴리프로필렌 마스터 배치는 용융단계의 제1구간, 제2구간을 통과하면서 약 80%이상 용융되어 제3구간에서 대부분 용융된다.
상기 사이클로덱스트린 투입단계는 제2구간에서 실시되는 단계로 사이클로덱스트린이 투입되고, 150~170℃로 가열하면서 3~6초의 통과시간으로 통과하는 단계이다.
상기 항균성 제올라이트 투입단계는 제3구간에서 실시되는 단계로 항균성 제올라이트가 투입되고, 160~180℃로 가열하면서 2~4초의 통과시간으로 통과하는 단계이다.
상기 사이클로덱스트린은 밀도가 약 1.44g/㎤이고, 제올라이트는 비중이 약 2.2로 비중이 약 0.91인 폴리프로필렌 수지의 용액 속에서 원활한 분산을 위해 각각 제2구간, 제3구간에 투입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밀도가 낮은 사이클로덱스트린이 먼저 투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비중이 높은 제올라이트가 빠르게 투입되면 압출기 내부에 제올라이트가 침전되어 함량의 균일성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혼합단계는 제4구간에서 실시되는 단계로 상기 제2구간, 제3구간에서 투입된 사이클로덱스트린, 항균성 제올라이트를 균일하게 혼합시키는 단계이다.
본 발명의 발명자는 기능성 물질의 투입시기는 물질의 비중에 따라 분산성 및 혼합성이 차이가 나는 것을 수많은 실험을 통해 발견한 것으로 상기 사이클로덱스트린은 밀도가 약 1.44g/㎤ 정도로 제2구간에 투입시에 혼합성 및 분산성이 우수하며, 제올라이트는 비중이 약 2.2 정도로 제3구간에 투입시에 혼합성 및 분산성이 우수하다.
상기 사이클로덱스트린은 밀도가 제올라이트 보다 낮아 먼저 투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비중이 높은 제올라이트가 빠르게 투입되면 압출기 내부에 제올라이트가 침전되어 함량의 균일성이 저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각 구간별 통과시간은 폴리프로필렌가 그 구간 내에 머무르는 시간으로 제1구간에서는 용융이 진행되는 상태로 통과하는데 긴시간 소요되나 점차 용융되고 구간별 가열온도가 상승하여 폴리프로필렌 점도가 낮아짐에 따라 통과시간이 빨라진다.
상기 통과시간은 그 구간에서의 폴리프로필렌 상태가 동일하도록 유지시키는 요소로 통과시간이 상기에서 개시된 범위를 벗어나면 기능성 물질 함유량의 균일성이 저하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구간별 통과시간은 압출기 스크류의 회전속도를 조절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압출단계는 제5구간에서 실시되는 단계로 180~200℃로 가열하면서 기능성 물질인 사이클로덱스트린, 항균성 제올라이트가 함유된 폴리프로필렌를 압출시키는 단계이다.
상기 압출단계는 기능성 물질이 함유된 폴리프로필렌를 압출하여 스트랜드(strand)로 형성시키는 것으로 상기 스트랜드 형태로 압출된 기능성 물질이 함유된 폴리프로필렌는 절단단계를 통해 절단하여 펠럿(pellet) 형태의 마스터 배치으로 제조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이 제조되는 본 발명의 항균 및 소취 물질이 함유된 폴리프로필렌 마스터 배치에는 기능성 물질인사이클로덱스트린, 항균성 제올라이트가 균일하게 고함량 함유될 수 있는 것으로 기능성 물질이 5~30wt%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기능성 물질이 20~30wt% 함유되는 것이다.
상기 기능성 물질인 사이클로덱스트린, 항균성 제올라이트는 중량비 1.0 : 0.5~1.5의 혼합비로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항균 및 소취 물질이 함유된 폴리프로필렌 마스터 배치 제조방법은 기능성 물질인 사이클로덱스트린, 항균성 제올라이트를 비중에 따라 투입되는 시기를 조절하여 기능성 물질의 함량이 균일하면서도 고함량의 기능성 물질이 함유된 폴리프로필렌 마스터 배치를 제조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조되는 항균 및 소취 물질이 함유된 폴리프로필렌 마스터 배치는 사용목적에 따라 일반 폴리프로필렌 수지에 기능성 물질의 함량이 조절되면서 함유되어 다양 용도의 사출품에 사용될 수 있으며, 또는 섬유로 제조되어 다양한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항균 및 소취 물질이 함유된 폴리프로필렌 마스터 배치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의 실시예를 나타내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기능성 물질 투입구간에 따른 함량 균일성 평가실험
1. 실시예
융점이 약 165℃인 칩형태의 일반 폴리프로필렌 마스터 배치 및 트윈 스크류가 형성된 압출기를 사용하여 폴리프로필렌 마스터 배치를 제조하였다.
기능성 물질로 입자직경이 약 500nm인 베타(β)-사이클로덱스트린, 은(Ag)이 담지된 제올라이트를 준비하였다.
상기 일반 폴리프로필렌 마스터 배치를 메인 피더장치를 통해 압출기에 투입하였으며, 기능성 물질인 사이클로덱스트린, 항균성 제올라이트를 중량비 1:1로 서브 피더장치를 통해 제1구간 내지 제4구간에 각각 압출기에 투입(표 2의 제1구간, 제2구간, 제3구간, 제4구간)하였다.
실시예 1은 사이클로덱스트린, 항균성 제올라이트를 제1구간에 투입하였으며, 실시예 2는 사이클로덱스트린은 제1구간, 항균성 제올라이트는 제2구간에 투입하였고, 실시예 3은 사이클로덱스트린은 제2구간, 항균성 제올라이트는 제3구간에 투입하였으며, 실시예 4는 사이클로덱스트린은 제3구간, 항균성 제올라이트는 제4구간에 투입하여 본 발명의 항균 및 소취 물질이 함유된 폴리프로필렌 마스터 배치를 제조하였다.
상기 기능성 물질의 함량을 5~30wt%까지 조절하여 기능성 물질 함량이 다른 폴리프로필렌 마스터 배치를 제조하였으며, 구간별, 함량별로 기능성 물질의 함량오차범위를 측정하여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 함량오차범위(%)는 제조된 폴리프로필렌 마스터 배치 5g을 500~600℃로 30~60분간 가열하여 폴리프로필렌 수지를 제거한 후 잔존되는 Ash의 무게를 측정하여 하기의 식으로 계산하였으며, 오차범위는 동일 실험을 30회를 반복하여 오차범위를 측정하였다.
* 함량오차범위 계산식: [(투입된 기능성 물질 중량-Ash 중량)/투입된 기능성 물질 중량]*100
- 압출기의 각 구간별 온도 및 통과시간은 같은 표 1과 같다. 구간별 온도는 압출이 진행되면서 점차 승온되도록 형성하여 폴리프로필렌 마스터 배치을 제조하였다
구분 온도(℃) 통과시간(s)
제1구간 50~160 11
제2구간 150~170 4
제3구간 160~180 3
제4구간 170~190 2
제5구간 180~200 -
구분 5wt% 10wt% 15wt% 20wt% 25wt% 30wt%
실시예 1 ±3.0 ±5.5 ±8.2 ±9.8 ±11.9 -
실시예 2 ±1.9 ±3.2 ±5.7 ±8.2 ±11.7 ±13.2
실시예 3 ±0.1 ±0.1 ±0.3 ±0.7 ±0.9 ±1.3
실시예 4 ±0.5 ±0.8 ±1.5 ±2.1 ±2.9 ±4.0
표 2에서와 같이 사이클로덱스트린을 제2구간에서 투입하고, 항균성 제올라이트를 제3구간에서 투입한 실시예 3이 함량오차범위가 가장 작게 측정된 것으로 알 수 있다.
◈ 항균 및 소취 기능성 평가
제조예
폴리프로필렌 수지에 기능성 물질이 20wt%함유된 폴리프로필렌 마스터 배치를 함유시켜 베타(β)-사이클로덱스트린, 은(Ag)이 담지된 제올라이트가 각각 1.5 중량% 함유된 폴리프로필렌 수지를 형성시킨 후, 통상의 방법으로 폴리프로필렌 스판본드 부직포를 제조하였다.
상기 제조예에서 제조된 폴리프로필렌 스판본드 부직포의 항균성 및 소취성을 평가하여 표 3에 나타내었다.
1. 항균성 평가는 KS K 0693에 의거하여 측정된 것으로 시료를 무균상태로 만든 후, 미리 배양한 미생물을 다양한 방법으로 접촉시키고 적절한 온도와 습도에 일정 시간동안 방치하고 해당 균을 추출하여 생균수를 파악한뒤 감소율%, 정균활성치 그리고 항균활성치와 같은 결과로 표기(균주1. 황색포도상구균, 균주2. 폐렴균)
2. 소취성 평가는 암모니아 검지관법(KTM-5-2 : 2004)으로 암모니아 흡착 Sample의 농도변화에 따른 소취성을 측정함
구분 항균력 소취성
제조예 99.9% 85.6%
표 2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항균 및 소취 물질이 함유된 폴리프로필렌 마스터 배치를 사용한 폴리프로필렌 스판본드 부직포는 항균력이 99.9%로 항균성이 우수한 것을 알 수 있으며, 암모니아에 대한 소취율이 80%이상으로 소취성도 매우 우수한 것을 알 수 있다.

Claims (5)

  1. 제1구간, 제2구간, 제3구간, 제4구간, 제5구간으로 구분된 압출기를 통해 제조되는 항균 및 소취 물질이 함유된 폴리프로필렌 마스터 배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구간은 일반 폴리프로필렌 마스터 배치를 투입하고 50~160℃로 가열하면서 8~15초의 통과시간으로 통과하여 폴리프로필렌를 용융시키는 용융단계;
    상기 제2구간은 사이클로덱스트린이 투입되고, 150~170℃로 가열하면서 3~6초의 통과시간으로 통과하는 사이클로덱스트린 투입단계;
    상기 제3구간은 항균성 제올라이트가 투입되고, 160~180℃로 가열하면서 2~4초의 통과시간으로 통과하는 항균성 제올라이트 투입단계;
    상기 제4구간은 170~190℃ 가열하면서 1~3초의 통과시간으로 통과하여 혼합시키는 혼합단계; 및
    상기 제5구간에서 180~200℃로 가열하면서 기능성 물질인 사이클로덱스트린, 항균성 제올라이트가 함유된 폴리프로필렌를 압출시키는 압출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 및 소취 물질이 함유된 폴리프로필렌 마스터 배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 물질은 5~30wt%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 및 소취 물질이 함유된 폴리프로필렌 마스터 배치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클로덱스트린은 베타(β)-사이클로덱스트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 및 소취 물질이 함유된 폴리프로필렌 마스터 배치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항균성 제올라이트는 은(Ag)이 담지된 제올라이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 및 소취 물질이 함유된 폴리프로필렌 마스터 배치 제조방법.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 및 소취 물질이 함유된 폴리프로필렌 마스터 배치.
KR1020190155222A 2019-11-28 2019-11-28 항균 및 소취 물질이 함유된 폴리프로필렌 마스터 배치 및 그의 제조방법 KR2021006623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5222A KR20210066233A (ko) 2019-11-28 2019-11-28 항균 및 소취 물질이 함유된 폴리프로필렌 마스터 배치 및 그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5222A KR20210066233A (ko) 2019-11-28 2019-11-28 항균 및 소취 물질이 함유된 폴리프로필렌 마스터 배치 및 그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6233A true KR20210066233A (ko) 2021-06-07

Family

ID=763742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5222A KR20210066233A (ko) 2019-11-28 2019-11-28 항균 및 소취 물질이 함유된 폴리프로필렌 마스터 배치 및 그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6623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9991B1 (ko) * 2022-04-08 2022-10-28 이황재 친환경 생분해성 복합섬유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9991B1 (ko) * 2022-04-08 2022-10-28 이황재 친환경 생분해성 복합섬유 및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558676B (zh) 一种高抗菌聚丙烯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
WO1996031561B1 (de) Biologisch abbaubare polymermischung
CN101255254B (zh) 抗菌聚丙烯管材和其抗菌复合母粒以及它们的制造方法
CN110565203A (zh) 一种抗菌型复合短纤维及其制备方法
WO2014081765A1 (en) Method of molding thermoplastic polymer compositions comprising hydroxylated lipids
CN106280218B (zh) 一种用于制备抗菌复合材料的组合物及抗菌复合材料的制备方法
CN107418133A (zh) 一种具有抗菌功能的免喷涂3d打印耗材及其制备方法
US20140142234A1 (en) Thermoplastic Polymer Compositions Comprising Hydrogenated Castor Oil, Methods of Making, and Non-Migrating Articles Made Therefrom
WO2022048369A1 (zh) 一种phbv料混纺的抗菌抗病毒es纤维及其制备方法
KR20210066233A (ko) 항균 및 소취 물질이 함유된 폴리프로필렌 마스터 배치 및 그의 제조방법
CN111978614A (zh) 一种垃圾桶用抗菌除臭塑料及其制备方法
CN111825920A (zh) 一种耐应力发白抑菌聚丙烯组合物及其制备方法
KR20160058335A (ko) 소취성 및 흡한속건성을 갖는 기능성 원사의 제조방법
KR101766865B1 (ko) 은나노 입자가 함침된 은나노 유무기 복합수지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항생물성 상수도관
KR101070837B1 (ko) 기능성 폴리올레핀 단섬유 및 이의 제조방법과 이를 이용한부직포
KR101982082B1 (ko) 라이오셀 라이크 pet 다기능성 마스터 배치 및 그의 제조방법, 그를 이용한 폴리에스테르 섬유
JP2005179607A (ja) 抗菌性複合粒子
KR101982083B1 (ko) 라이오셀 라이크 pet 다기능성 마스터 배치 및 그의 제조방법, 그를 이용한 폴리에스테르 섬유
KR102621803B1 (ko) 고비중, 항균 및 자외선 차단 성능을 갖는 pet 다기능성 마스터 배치 및, 그의 제조방법, 그를 이용한 폴리에스테르 섬유
KR20210083519A (ko) 항균 및 소취 물질이 함유된 폴리에스테르 마스터 배치 및 그의 제조방법
CN109467894A (zh) 一种用于Tritan共聚聚酯的抗菌母粒及其制备方法
KR101989932B1 (ko) 라이오셀 라이크 pet 다기능성 마스터 배치 및 그의 제조방법, 그를 이용한 폴리에스테르 섬유
CN113699791B (zh) 一种柔软抗菌无纺布及其制备方法
KR102445189B1 (ko) 항균 및 항곰팡이 물질이 함유된 폴리프로필렌 마스터 배치 및 그의 제조방법
KR20220095714A (ko) 항균 및 항곰팡이 물질이 함유된 폴리프로필렌 마스터 배치 및 그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