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66219A - 얼굴인식을 이용한 분할결제 처리 방법 및 그를 수행하기 위한 서버 - Google Patents

얼굴인식을 이용한 분할결제 처리 방법 및 그를 수행하기 위한 서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66219A
KR20210066219A KR1020190155191A KR20190155191A KR20210066219A KR 20210066219 A KR20210066219 A KR 20210066219A KR 1020190155191 A KR1020190155191 A KR 1020190155191A KR 20190155191 A KR20190155191 A KR 20190155191A KR 20210066219 A KR20210066219 A KR 202100662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yment
information
face information
processing
terminal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51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장원
김정환
Original Assignee
한국정보통신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정보통신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정보통신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551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66219A/ko
Publication of KR202100662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621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40Authorisation, e.g. identification of payer or payee, verification of customer or shop credentials; Review and approval of payers, e.g. check credit lines or negative lists
    • G06Q20/401Transaction verification
    • G06Q20/4014Identity check for transactions
    • G06Q20/40145Biometric identity checks
    • G06K9/00221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8Payment architectures involving self-service terminals [SST], vending machines, kiosks or multimedia termin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22Payment schemes or models
    • G06Q20/24Credit schemes, i.e. "pay af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382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insuring higher security of transa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6Human faces, e.g. facial parts, sketches or expression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얼굴인식을 이용한 분할결제 처리 방법 및 그를 수행하기 위한 서버에 관한 것으로, 그 방법은 결제 단말 장치에서 촬영된 이미지로부터 얼굴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이미지로부터 복수의 얼굴들에 대한 얼굴 정보가 추출된 경우추출된 얼굴 정보를 기등록된 얼굴 정보와 비교하여 복수의 얼굴들에 각각 연결된 복수의 결제 수단들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획득된 결제 수단 정보를 이용하여 결제금액을 복수의 결제 수단별로 분할해 결제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얼굴인식을 이용한 분할결제 처리 방법 및 그를 수행하기 위한 서버{METHOD FOR PROCESSING DUTCH PAY TRANSACTION USING FACE RECOGNITION AND SERVER THEREOF}
본 발명은 결제 단말 장치에서 얼굴 인식을 이용하여 분할 결제를 처리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정보통신 기술의 지속적인 발전으로, 고객 카드에 결제 수단을 구비하고, 가맹점에 구비된 결제단말을 이용하여 통신망을 통해 지불결제를 처리하는 카드결제 방식이 일반화되고 있으며, 이에 종래 현금결제가 가능했던 각종 상업 분야에 카드 결제 방식이 보다 더 적극적으로 적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일반적으로, 카드 결제 시스템은 사용자가 가맹점 단말을 통해 카드결제를 하면, 가맹점 단말의 결제 승인정보가 카드사 서버로 전달되어, 카드사 서버에서 일정기한이 되면 결제 승인정보에 근거하여 사용자에게 청구서를 발행한다.
한편, 여러 사람의 함께 사용한 금액(예를 들어, 식사 비용)을 한 사람이 대표로 카드 결제하고, 대표로 결제한 사람이 추후 다른 사람들로부터 각자의 금액을 정산받는 분할 결제(dutch pay) 방식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위와 같은 분할 결제에 있어서, 대표로 결제한 사람이 다른 사람들로부터 현금으로 각자의 금액을 받는 경우, 절차가 복잡하며, 정산받은 현금을 소지하고 있다가 분실하거나 현금 사용으로 인해 지출이 증가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위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종래의 기술로서, 카드사 서버에서 청구서를 발행하기 이전에 제1 사용자의 카드결제금액 중 제2 사용자가 지불해야 할 금액을 제2 사용자가 선결제 처리하도록 하고, 제2 사용자가 지불해야 할 금액을 카드사로 바로 계좌이체 처리한다.
그러나 종래 기술의 경우 제1 사용자가 이용하는 카드사와 제2 사용자가 이용하는 카드사가 동일하거나, 카드사가 다른 경우 분할 결제 처리 및 정산을 위해 카드사들 간의 공동망을 구축해야 한다.
또한, 분할 결제할 사용자들에 대한 정보를 각각 입력해야 하는 불편함으로 인해, 다양한 종래의 분할 결제 방법들이 실제 사용되지 않는 문제가 있다.
선행기술문헌 1. 한국 등록 특허 제10-1351545호 (2014.01.07 공고)
본 발명은 분할 결제시 결제자 정보를 입력해야 하는 불편함을 개선할 수 있는 얼굴인식을 이용한 분할결제 처리 방법 및 그를 수행하기 위한 결제 단말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분할 결제 처리 방법은 얼굴 인식을 이용해 결제금액을 복수의 결제 수단들로 분할하여 결제 처리하기 위한 방법으로, 결제 단말 장치에서 촬영된 이미지로부터 얼굴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이미지로부터 복수의 얼굴들에 대한 얼굴 정보가 추출된 경우, 상기 추출된 얼굴 정보를 기등록된 얼굴 정보와 비교하여, 상기 복수의 얼굴들에 각각 연결된 복수의 결제 수단들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획득된 결제 수단 정보를 이용하여, 결제금액을 상기 복수의 결제 수단별로 분할해 결제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버는 결제금액을 복수의 결제 수단들로 분할하여 결제 처리하기 위한 서버 장치로서, 결제 단말 장치에서 촬영된 이미지로부터 얼굴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얼굴 정보가 복수의 얼굴들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지 확인하는 얼굴인식처리부; 상기 추출된 얼굴 정보에 복수의 얼굴들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 경우, 상기 추출된 얼굴 정보를 기등록된 얼굴 정보와 비교하여 상기 복수의 얼굴들에 각각 연결된 복수의 결제 수단들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결제수단확인부; 및 상기 획득된 결제 수단 정보를 이용하여, 결제금액을 상기 복수의 결제 수단별로 분할해 결제 처리하는 결제처리부;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분할 결제 처리 방법은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 구현될 수 있으며, 프로그램 그 자체로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결제 단말 장치에서 촬영된 이미지로부터 추출된 얼굴 정보가 복수의 얼굴들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기등록된 얼굴 정보에 대응되는 복수의 결제 수단들로 결제금액에 대한 분할 결제를 처리하도록 하며, 그에 따라 키오스크와 같은 결제 단말 장치에서 제공되는 분할 결제 서비스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결제 시스템의 구성에 대한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결제 서버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결제 서버에서 수행되는 분할 결제 처리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결제 시스템에서 분할 결제를 처리하는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타이밍도이다.
도 5 내지 도 10은 얼굴 인식을 이용해 결제금액을 복수의 결제 수단들로 분할하여 결제 처리하기 위한 방법에 대한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결제 시스템에 대한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얼굴인식을 이용한 분할결제 처리 방법 및 그를 수행하기 위한 서버 및 결제 단말 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발명에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이하 실시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본 발명을 이루는 기술적 구성요소를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각각의 시스템 기능구성에 기 구비되어 있거나,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구비되는 시스템 기능구성은 가능한 생략하고, 본 발명을 위해 추가적으로 구비되어야 하는 기능구성을 위주로 설명한다.
만약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에 도시하지 않고 생략된 기능구성 중에서 종래에 기사용되고 있는 구성요소의 기능을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며, 또한 상기와 같이 생략된 구성요소와 본 발명을 위해 추가된 구성요소 사이의 관계도 명백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 설명되는, "결제 단말 장치"라 함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동작 이외에는, 일반적인 IC 카드 리더부나 마그네틱 스트립 리더를 이용하여 고객의 카드로부터 리딩되는 카드 정보의 결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POS 단말기 또는 CAT 단말기를 포함할 수 있으며, 판매시점 관리를 위한 POS 고유 기능과,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결제수단을 구비한 고객 카드를 통한 전자결제 기능을 구비하여 이루어진 통상의 결제 단말이 예시될 수 있다.
또한, 최근에는 결제 단말 장치의 기능이 휴대 단말에 결합되는 형태가 가능하게 된 바, "결제 단말 장치"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휴대 단말,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그 이외에 사용자 입력 및 정보 표시 등이 가능한 다양한 장치가 결제 단말에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결제 단말 장치는 무인 결제 시스템을 위해 특정 장소에 비치되는 키오스크(KIOSK)의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결제 시스템의 구성에 대한 일실시예를 블록도로 도시한 것으로, 도시된 결제 시스템은 결제 단말 장치(100) 및 결제 서버(2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결제 단말 장치(100)가 구비된 가맹점에서 신용 카드 등을 이용한 카드 결제가 있는 경우, 결제 단말 장치(100)는 구매자의 신용 카드로부터 카드 정보를 읽어들인 후 해당 카드 결제에 대한 승인 요청 전문을 생성하여 결제 서버(200)로 전송한다.
결제 단말 장치(100)는 구매자의 카드로부터 카드 정보를 읽어들이기 위한 수단(예를 들어, 마그네틱 리더, IC 카드 리더 또는 NFC 리더 등)을 포함하며, 유선 또는 무선 인터넷을 이용하여 결제 서버(200)와 통신 가능한 개인용 컴퓨터(PC), 휴대폰 또는 태블릿 등과 같은 장치일 수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예를 들어, 결제 단말 장치(100)는 상기한 바와 같은 기능 이외에 점포 판매 시스템과 결합되어 POS(Point Of Sales) 시스템의 형태로 구현되거나, 또는 무선 인터넷이나 공중전화망 등을 이용해 결제 서버(200)와 통신하는 CAT(Card Authorization Terminal)의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결제 단말 장치(100)는, 무인 주문 및 결제가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터치스크린을 구비하는 키오스크(KIOSK)로 구현될 수도 있다.
한편, 결제 단말 장치(100)에는 결제 프로그램이 설치되어 있어, 결제 프로그램을 이용해 결제 서버(200)에 거래 승인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여 승인 요청을 함으로써 결제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결제 단말 장치(100)는 거래 승인 또는 취소시 거래 승인 또는 취소와 관련된 영수증이 포함된 메시지 또는 전표를 출력하거나, 현금 영수증의 발행 또는 취소와 관련된 영수증이 포함된 메시지 또는 전표를 생성하여 출력할 수 있다.
도 1에서는, 결제 서버(200)를 편의상 하나의 서버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도시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결제 서버(200)는 각 구성요소(또는 수단) 별로 두 개 이상의 서버 군 형태로 실시되는 것이 가능하며, 본 발명은 상기 유추 가능한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예를 들어, 결제 서버(200)는 밴(VAN)사에서 운영하는 결제 중계 서버와 카드사 서버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경우 결제 단말 장치(100)는 밴사의 망을 이용해 결제 중계 서버를 통하여 카드사 서버에서 카드 결제 승인을 받아 거래를 완성할 수 있다.
결제 단말 장치(100)와 밴사의 결제 중계 서버는 소정의 네트워크망(예컨대, 전화 인터넷 등)으로 연결되고 있고, 상기 밴사의 결제 중계 서버와 해당 신용카드사의 거래 승인 시스템인 카드사 서버는 전용 패킷망으로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결제 중계 서버는 거래 승인 요청 전문을 카드사 서버로 전송하고, 해당 카드 결제를 승인한 카드사 서버로부터 승인 결과 전문을 수신한다. 예를 들어, 결제 중계 서버는 카드 결제 승인 요청을 위해, 승인 요청 전문 내의 이용자 정보에 수록된 신용카드사 정보를 독출하여 해당 신용카드사의 카드사 서버로 거래 승인 요구와 관련된 데이터를 전송한다.
상기 거래 승인 요청과 관련된 데이터를 수신한 카드사 서버는 거래 승인 요청와 관련된 데이터에 포함된 이용자정보, 상품주문정보, 결제금액, 가맹점정보를 각각 자사의 회원자료 또는 가맹점 자료와 비교하여 신용카드 이용자와 가맹점간에 발생되는 거래가 타당한지를 확인한다.
한편, 카드사 서버는 상기 거래 승인 요청에 대한 승인 결과를 결제 승인 요청을 중계한 밴사의 결제 중계 서버로 전송하며, 결제 중계 서버는 승인번호 데이터를 저장한 후 해당 가맹점의 결제 단말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거래 승인 결과 전문을 정상적으로 수신한 결제 단말 장치(100)는 확인(ACK) 메시지를 결제 중계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결제 단말 장치(100)로부터 확인 메시지(ACK)를 정상적으로 수신한 결제 중계 서버는, 결제 단말 장치(100)로 확인 메시지(ACK)가 정상적으로 수신되었음을 알리는 완료 메시지(ESC)를 전송할 수 있다.
그 후, 상기한 절차에 따라 완료 메시지(ESC)를 정상적으로 수신한 결제 단말 장치(100)는 해당 거래 승인에 따른 매출 전표를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결제 단말 장치(100)에서 얼굴 인식 기반의 결제가 처리되도록 하며, 그를 위해 결제 단말 장치(100)에는 결제자의 얼굴을 촬영할 수 있는 카메라가 구비되며, 결제 서버(200)는 결제 단말 장치(100)에서 촬영된 이미지로부터 얼굴 정보를 추출하여 그에 대응되는 결제 수단 정보를 획득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결제 시스템(10)에서, 여러 사람의 함께 사용한 결제 금액(예를 들어, 식사 비용)을 복수의 사람들이 각각의 결제 수단들로 나누어 결제하는 분할 결제가 처리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분할 결제에 얼굴 인식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결제 단말 장치(100)에서 촬영된 이미지로부터 추출된 얼굴 정보가 복수의 얼굴들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결제 서버(200)가 기등록된 얼굴 정보에 대응되는 복수의 결제 수단들로 결제금액에 대한 분할 결제를 처리하도록 하여, 키오스크와 같은 결제 단말 장치(100)에서 제공되는 분할 결제 서비스의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결제 서버의 구성을 블록도로 도시한 것으로, 도시된 결제 서버(200)는 제어부(210), 통신부(220), 얼굴인식처리부(230), 결제수단확인부(240) 및 결제처리부(2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제어부(210)는 결제 서버(200)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통신부(220)를 통해 결제 단말 장치(100)와 통신하여 결제 처리를 위한 결제 단말 장치(1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통신부(220)는 얼굴 인식 결제를 위해 촬영된 이미지를 결제 단말 장치(100)로부터 수신하고, 얼굴인식처리부(230)는 상기 통신부(220)를 통해 수신된 이미지로부터 얼굴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결제 단말 장치(100)에는 결제자의 얼굴을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 바람직하게는 얼굴의 깊이 정보까지 획득 가능한 3D 카메라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얼굴 인식 결제를 위해 결제 단말 장치(100)에서 촬영된 이미지에는 2 이상의 복수 결제자들의 얼굴들이 포함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이미지에 얼굴이 포함된 복수의 결제자들에 의해 결제 금액이 분할되어 결제 처리될 수 있다.
얼굴인식처리부(230)는 결제 단말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이미지에서 하나 이상의 얼굴 영역을 검출하고, 검출된 각각의 얼굴 영역에 대해 이목구비의 간격, 뼈의 돌출 정보 등 다양한 얼굴 특징들을 수집하여 분석하여, 분석 결과에 따라 이미지에 포함된 얼굴별 얼굴 특징 데이터를 얼굴 정보로 추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얼굴 정보는 이미지로부터 수집 및 분석된 얼굴 특징들이 디지털 코드로 변환된 것일 수 있으며, 상기 얼굴 특징들을 나타내는 디지털 코드는 암호화된 상태로 저장 또는 송수신될 수 있다.
결제수단확인부(240)는 이미지로부터 추출된 얼굴 정보에 복수의 얼굴들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 경우, 추출된 얼굴 정보를 기등록된 얼굴 정보와 비교하여 복수의 얼굴들에 각각 연결된 복수의 결제 수단들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얼굴 인식 결제를 위해 결제 단말 장치(100)에서 촬영된 이미지에 2 이상의 복수 결제자들의 얼굴들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 얼굴인식처리부(230)에 의해 복수의 결제자들에 대한 얼굴 정보가 추출되며, 결제수단확인부(240)는 상기 추출된 얼굴 정보를 미리 등록된 얼굴 정보 데이터베이스와 비교하여 얼굴 정보가 일치하는 결제자의 결제 수단 정보를 획득함으로써 복수의 결제자들 각각에 대한 결제 수단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결제 수단 정보는 얼굴 인식 결제에 사용할 카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한 바와 같은 얼굴 인식 결제를 위해 사전에 본인 확인 및 카드 정보와 얼굴 정보 등록 과정이 미리 수행될 수 있다.
결제처리부(250)는, 결제수단확인부(240)를 통해 획득된 복수의 결제자들 각각에 대한 결제 수단 정보를 이용하여, 결제금액을 복수의 결제 수단별로 분할해 결제 처리할 수 있다.
이하, 도 3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얼굴인식을 이용한 분할결제 처리 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결제 서버에서 수행되는 분할 결제 처리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를 흐름도로 도시한 것으로, 도시된 분할 결제 처리 방법 중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것과 동일한 것에 대한 설명은 이하 생략하기로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결제 서버(200)의 얼굴인식처리부(230)는 결제 단말 장치(100)에서 촬영된 이미지로부터 얼굴 정보를 추출한다(S300 단계).
예를 들어, 결제 단말 장치(100)는 3D 카메라를 이용해 한 명 이상의 결제자 얼굴이 포함된 이미지를 획득하여 결제 서버(200)로 전송하고, 결제 서버(200)의 얼굴인식처리부(230)는 결제 단말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이미지로부터 하나 이상의 얼굴에 대한 얼굴 특징 데이터(디지털 코드)를 추출할 수 있다.
결제수단확인부(240)는 상기 S300 단계에서 복수의 얼굴들에 대한 얼굴 정보가 추출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한 후(S310 단계), 추출된 얼굴 정보를 기등록된 얼굴 정보와 비교하여(S320 단계), 복수의 얼굴들에 각각 연결된 복수의 결제 수단들에 대한 정보를 획득한다(S330 단계).
예를 들어, 결제수단확인부(240)는 상기 S300 단계에서 추출된 얼굴 정보를 결제 서버(200) 내부(또는 그와 연결된)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되어 있는 얼굴 정보와 비교하여, 일치하는 얼굴 정보가 있는 경우, 해당 얼굴 정보와 대응되어 등록된 결제 수단 정보(카드 정보 등)를 확인할 수 있다.
또는, 결제수단확인부(240)는 상기 S300 단계에서 추출된 얼굴 정보를 별도의 인증 서버(미도시)로 전송하여, 인증 서버가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되어 있는 얼굴 정보와 비교한 후 일치하는 얼굴 정보와 대응되어 등록된 결제 수단 정보(카드 정보 등)를 결제 서버(200)로 제공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S300 단계에서 추출된 얼굴 정보는 암호화되어 인증 서버로 전송될 수 있으며, 상기한 바와 같이 별도의 인증 서버에서 얼굴 정보에 대한 저장 및 인증이 수행되도록 하고 얼굴 정보가 암호화되어 송수신되도록 함으로써, 얼굴 인식 결제시 발생할 수 있는 개인 정보의 유출로 인한 피해를 방지할 수 있다.
그 후, 결제처리부(250)는, 상기 S330 단계에서 획득된 결제 수단 정보를 이용하여, 결제금액을 복수의 결제 수단별로 분할해 결제 처리한다(S340 단계).
상기에서는 도 3을 참조하여 결제 서버(200)가 얼굴 인식을 이용한 분할 결제를 처리하는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도 3에 도시된 단계들 중 일부는 결제 단말 장치(100)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결제 시스템에서 분할 결제를 처리하는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시한 것으로, 도시된 분할 결제 처리 방법 중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것과 동일한 것에 대한 설명은 이하 생략하기로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먼저 얼굴 인식 결제를 위한 얼굴 정보가 인증 서버(300)에 등록된다(S400 단계).
예를 들어, 얼굴 인식 결제를 이용하고자 하는 사용자는 결제 단말 장치(100) 또는 별도의 얼굴 인식 결제 등록용 결제 단말 장치를 이용해 얼굴 사진을 촬영하고, 얼굴 인식에 이용할 카드 정보를 입력하여, 얼굴 정보와 결제 수단 정보가 서로 연결되어 인증 서버(300)의 데이터베이스에 사전 등록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얼굴 정보와 결제 수단 정보(예를 들어, 카드 정보)는 암호화된 후 인증 서버(300)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될 수 있다.
그 후, 복수의 결제자들이 얼굴 인식을 이용한 분할 결제를 위해 결제 단말 장치(100) 전방에 위치하면, 결제 단말 장치(100)는 3D 카메라를 이용해 결제를 위한 얼굴 인식 이미지를 촬영한다(S410 단계).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제 단말 장치(100)인 키오스크의 화면(110)에 얼굴 인식 결제를 위한 촬영 영역(120)이 표시되고, 화면(110) 상의 "촬영" 버튼(130)이 선택되거나 또는 특정 제스쳐가 취해지는 경우 얼굴 인식 결제를 위한 촬영이 수행되어 이미지가 획득될 수 있다.
결제 단말 장치(100)는 복수의 얼굴들이 포함된 얼굴 인식 이미지를 결제 서버(200)로 전송하고(S420 단계), 결제 서버(200)는 수신된 얼굴 인식 이미지로부터 복수의 얼굴들에 대한 얼굴 정보를 추출한다(S430 단계).
그 후, 결제 서버(200)는 추출된 얼굴 정보를 인증 서버(300)로 전송하고(S440 단계), 인증 서버(300)는 수신된 얼굴 정보와 연결된 결제 수단 정보를 매칭한다(S450 단계).
상기 S450 단계에서, 인증 서버(300)는 결제 서버(200)로부터 수신된 암호화된 얼굴 정보를 복호화하여 복수의 얼굴들에 대한 얼굴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얼굴 정보를 등록되어있는 얼굴 정보 데이터베이스와 비교하여 일치하는 얼굴 정보와 대응되는 카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인증 서버(300)는 상기 S450 단계에서 얼굴 정보와 매칭된 결제 수단 정보를 결제 서버(200)로 전송한다(S460 단계).
상기 S460 단계에서 전송되는 결제 수단 정보는 결제 단말 장치(100)에서 촬영된 이미지에 포함되어 있는 복수의 결제자들 각각의 카드 정보를 포함하며, 해당 카드 정보는 각각의 결제자가 얼굴 인식 결제를 위해 사전 등록한 카드 번호와 유효 기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결제 서버(200)는, 인증 서버(300)로부터 수신된 복수의 결제자들에 대한 결제 수단 정보를 이용하여, 결제 금액에 대한 분할 결제를 처리한다(S470 단계).
결제 서버(200)는 결제 단말 장치(100)로 분할 결제 처리를 위한 정보를 전송하여(S480 단계), 결제 단말 장치(100)에서 분할 결제 정보가 표시되거나 또는 입력되도록 한다(S490 단계).
예를 들어, 상기 S470 내지 S490 단계에서 분할 결제가 처리되도록 하는 과정 중에, 결제 서버(200)의 제어부(210)는, 이미지로부터 추출된 얼굴 정보 중 일치하는 기등록 얼굴 정보가 존재하는 얼굴 정보와 관련하여, 그와 연결된 결제 수단에 대한 정보와 분할된 결제금액이 결제 단말 장치(100)에서 표시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결제 단말 장치(100)인 키오스크의 화면(110) 상에, 촬영된 이미지 내에서 인식된 각 결제자의 얼굴(121)에 인접하도록 분할 결제할 금액과 미리 등록한 결제 수단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창(122)이 표시될 수 있다.
여기서, 별도의 입력이 없는 경우, 총 결제 금액은 균등 분할되어 복수의 결제자들에게 나누어 결제 처리될 수 있다.
결제자는 키오스크의 화면(110)을 통해 분할 결제 내역을 확인한 후, 화면(110) 상의 "결제" 버튼(132)을 선택하여 표시된 내역으로 분할 결제가 처리되도록 요청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10)는, 이미지로부터 추출된 얼굴 정보 중 일치하는 기등록 얼굴 정보가 존재하는 얼굴 정보와 관련하여, 그와 연결된 결제 수단 이외에 다른 결제 수단에 대한 정보가 결제 단말 장치(100)에서 입력 가능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된 키오스크 화면(110) 상에서 "분할결제 내역 변경" 버튼(140)이 선택되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할 결제 내역을 변경할 수 있도록 하는 "결제 제외" 버튼(141), "결제 수단 변경' 버튼(142) 및 "결제 금액 변경" 버튼(143)이 화면(110)에 나타날 수 있다.
이때, 결제자가 화면(110) 상에서 이미지(120) 내의 특정 결제자의 얼굴(121)을 선택한 후, "결제 수단 변경' 버튼(142)을 선택하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얼굴 인식 결제를 위해 해당 결제자가 미리 등록한 결제 수단 이외에 다른 결제 수단이 결제를 위해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해당 결제자가 얼굴 인식 결제를 위해 '1234'로 끝나는 카드 번호를 가지는 삼성카드를 미리 등록해 놓은 경우, 해당 카드 이외에 다른 신용 카드나 체크 카드를 키오스크에 삽입하여 분할 결제에 사용되도록 하거나, 또는 다른 간편결제 방식이 분할 결제에 사용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210)는, 이미지로부터 추출된 얼굴 정보 중 결제에 참여하지 않는 촬상자의 얼굴 정보와 관련하여, 결제 단말 장치(100)에서 해당 촬상자가 결제 제외 요청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결제자가 도 7에 도시된 화면(110) 상에서 이미지(120) 내의 특정 결제자의 얼굴(121)을 선택한 후, "결제 제외' 버튼(141)을 선택하면, 해당 결제자는 분할 결제에서 제외되며, 결제 금액은 나머지 결제자들이 분할하여 결제하도록 처리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10)는, 복수의 결제 수단들에 균등 분할된 결제금액이 결제 단말 장치(100)에서 결제 수단별로 수정 가능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결제자가 도 7에 도시된 화면(110) 상에서 이미지(120) 내의 특정 결제자의 얼굴(121)을 선택한 후, "결제 금액 변경' 버튼(143)을 선택하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결제자의 분할 결제 금액이 "+" 버튼(123)과 "-" 버튼(124)을 이용해 변경되며, 해당 결제자의 변경된 분할 결제 금액이 나머지 결제자들에게 반영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210)는, 이미지로부터 추출된 얼굴 정보 중 일치하는 기등록 얼굴 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얼굴 정보와 관련하여, 결제 수단에 대한 정보가 결제 단말 장치(100)에서 입력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이미지(120) 내에서 인식된 얼굴들 중 인증 서버(300)에 정보가 미리 등록되지 않은 얼굴(122)은, 정보가 등록된 다른 얼굴들과 구별되도록 표시되며, 해당 얼굴은 얼굴 인식 결제를 위해 등록된 것이 아님을 나타내는 메시지가 키오스크의 화면(110)상에 표시될 수 있다.
이 경우, 결제자는 "결제 제외" 버튼(141)을 선택해 얼굴 인식 결제 미등록자를 분할 결제에서 제외시키거나, "결제 수단 변경' 버튼(142)을 선택하여 분할 결제에 사용할 결제 수단을 선택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한 바와 같이 분할 결제에 사용될 결제 수단을 선택하거나 변경하는 과정에서, 결제자의 제스쳐에 의해 결제 수단이 선택되도록 할 수 있다.
그를 위해, 결제 단말 장치(100)에서 촬영된 영상으로부터 특정 결제자의 동작 정보가 추출되고, 추출된 동작 정보에 대응되는 결제 수단 정보가 획득되도록 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결제 시스템에 대한 또 다른 실시예를 블록도로 도시한 것으로, 도시된 시스템(10)은 키오스크(101), POS 단말(102), VAN 서버(201), 카드사 서버(203), 은행 서버(204), 간편결제 서버(205) 및 인증 서버(300)를 포함하려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키오스크(101)와 POS 단말(102)은,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은 결제 단말 장치(100)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VAN 서버(201), 카드사 서버(203), 은행 서버(204) 및 간편결제 서버(205)는,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은 결제 서버(200)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키오스크(101)는 분할 결제에 참여할 복수 결제자들의 얼굴들이 촬영된 이미지를 POS 단말(102)로 전달하고, POS 단말(102)은 키오스크(101)에서 촬영된 이미지를 VAN 서버(201)로 전송할 수 있다.
VAN 서버(201)는 POS 단말(102)로부터 수신한 이미지를 그대로 인증 서버(300)로 전송하거나, 또는 수신한 이미지로부터 결제자 얼굴들 각각에 대한 얼굴 정보를 추출하여 암호화한 후 인증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
인증 서버(300)는, VAN 서버(201)로부터 수신한 이미지 또는 얼굴 정보를 이용하여, 복수의 결제자들이 미리 등록한 결제 수단 정보를 인증 및 확인하여 VAN 서버(201)로 전송할 수 있다.
VAN 서버(201)는 인증 서버(300)를 통해 확인한 복수의 결제자들 각각의 결제 수단 정보를 이용해 각 결제 수단에 대응되는 카드사 서버(203), 은행 서버(204) 또는 간편결제 서버(205)로 분할 결제를 위한 거래 승인을 요청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법들은 컴퓨터에서 실행되기 위한 프로그램으로 제작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으며,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 될 것이다.

Claims (11)

  1. 얼굴 인식을 이용해 결제금액을 복수의 결제 수단들로 분할하여 결제 처리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결제 단말 장치에서 촬영된 이미지로부터 얼굴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이미지로부터 복수의 얼굴들에 대한 얼굴 정보가 추출된 경우, 상기 추출된 얼굴 정보를 기등록된 얼굴 정보와 비교하여, 상기 복수의 얼굴들에 각각 연결된 복수의 결제 수단들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획득된 결제 수단 정보를 이용하여, 결제금액을 상기 복수의 결제 수단별로 분할해 결제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얼굴인식을 이용한 분할결제 처리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된 얼굴 정보 중 일치하는 기등록 얼굴 정보가 존재하는 얼굴 정보와 관련하여, 상기 연결된 결제 수단에 대한 정보와 상기 분할된 결제금액이 상기 결제 단말 장치에서 표시되도록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얼굴인식을 이용한 분할결제 처리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된 얼굴 정보 중 일치하는 기등록 얼굴 정보가 존재하는 얼굴 정보와 관련하여, 상기 연결된 결제 수단 이외에 다른 결제 수단에 대한 정보가 상기 결제 단말 장치에서 입력 가능하도록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얼굴인식을 이용한 분할결제 처리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된 얼굴 정보 중 일치하는 기등록 얼굴 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얼굴 정보와 관련하여, 결제 수단에 대한 정보가 상기 결제 단말 장치에서 입력되도록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얼굴인식을 이용한 분할결제 처리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된 얼굴 정보 중 결제에 참여하지 않는 촬상자의 얼굴 정보와 관련하여, 상기 결제 단말 장치에서 상기 촬상자가 결제 제외 요청되도록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얼굴인식을 이용한 분할결제 처리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결제 수단들에 균등 분할된 결제금액이 상기 결제 단말 장치에서 상기 결제 수단별로 수정 가능하도록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얼굴인식을 이용한 분할결제 처리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제 단말 장치에서 촬영된 영상으로부터 동작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된 동작 정보에 대응되는 결제 수단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얼굴인식을 이용한 분할결제 처리 방법.
  8. 결제금액을 복수의 결제 수단들로 분할하여 결제 처리하기 위한 서버 장치에 있어서,
    결제 단말 장치에서 촬영된 이미지로부터 얼굴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얼굴 정보가 복수의 얼굴들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지 확인하는 얼굴인식처리부;
    상기 추출된 얼굴 정보에 복수의 얼굴들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 경우, 상기 추출된 얼굴 정보를 기등록된 얼굴 정보와 비교하여 상기 복수의 얼굴들에 각각 연결된 복수의 결제 수단들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결제수단확인부; 및
    상기 획득된 결제 수단 정보를 이용하여, 결제금액을 상기 복수의 결제 수단별로 분할해 결제 처리하는 결제처리부;를 포함하는 서버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된 얼굴 정보 중 일치하는 기등록 얼굴 정보가 존재하는 얼굴 정보와 관련하여, 상기 연결된 결제 수단에 대한 정보와 상기 분할된 결제금액이 상기 결제 단말 장치에서 표시되도록 처리하는 결제단말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서버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결제단말제어부는
    상기 추출된 얼굴 정보 중 일치하는 기등록 얼굴 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얼굴 정보와 관련하여, 결제 수단에 대한 정보가 상기 결제 단말 장치에서 입력되도록 처리하는 서버 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결제단말제어부는
    상기 추출된 얼굴 정보 중 결제에 참여하지 않는 촬상자의 얼굴 정보와 관련하여, 상기 결제 단말 장치에서 상기 촬상자가 결제 제외 요청되도록 처리하는 서버 장치.
KR1020190155191A 2019-11-28 2019-11-28 얼굴인식을 이용한 분할결제 처리 방법 및 그를 수행하기 위한 서버 KR2021006621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5191A KR20210066219A (ko) 2019-11-28 2019-11-28 얼굴인식을 이용한 분할결제 처리 방법 및 그를 수행하기 위한 서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5191A KR20210066219A (ko) 2019-11-28 2019-11-28 얼굴인식을 이용한 분할결제 처리 방법 및 그를 수행하기 위한 서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6219A true KR20210066219A (ko) 2021-06-07

Family

ID=763742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5191A KR20210066219A (ko) 2019-11-28 2019-11-28 얼굴인식을 이용한 분할결제 처리 방법 및 그를 수행하기 위한 서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6621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09765A (ko) * 2021-01-29 2022-08-05 네이버 주식회사 전자 결제 방법 및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1545B1 (ko) 2012-08-01 2014-01-13 한국정보통신주식회사 카드 선결제 방법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1545B1 (ko) 2012-08-01 2014-01-13 한국정보통신주식회사 카드 선결제 방법 및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09765A (ko) * 2021-01-29 2022-08-05 네이버 주식회사 전자 결제 방법 및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258167A1 (en) Automatic Triggering of Receipt Delivery
CN109416795B (zh) 多方交易的令牌聚合系统
US20230274258A1 (en) Fault tolerant token based transaction systems
US20180114260A1 (en) System,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interfacing a multi-card radio frequency (rf) device with a mobile communications device
US11227267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making a payment
US11495051B2 (en) Automatic hands free service requests
US9881303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implementing automatic payer authentication
JP7003136B2 (ja) レジシステム
US20170255923A1 (en) Direct settlement of hands-free transactions
US20220237602A1 (en) Authorizing a purchase transaction using a mobile device
US20160048822A1 (en) Method and System for Delivering Funding Options to a User
US20060224504A1 (en) Mobile biometric merchant transaction processing
US11755868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a combined transaction by an assignee on behalf of one or more users
US20220148006A1 (en) Identification processing apparatus, settlement terminal, and settlement system
WO2020076845A1 (en) Tokenized contactless transaction enabled by cloud biometric identification and authentication
US20210166215A1 (en) Method for performing a contactless payment transaction
KR20210066219A (ko) 얼굴인식을 이용한 분할결제 처리 방법 및 그를 수행하기 위한 서버
JP7043368B2 (ja) 承認端末、決済システム及び決済方法
CN111445253A (zh) 用于价值转账的面部识别
US10552859B2 (en) Systems, methods, and apparatuses for tender steering
JP7350566B2 (ja) 商品販売処理システム、商品販売処理装置及び方法、制御プログラム
KR101525115B1 (ko) 이미지 인식을 이용한 스마트 보안인증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788593B1 (ko) 자동화기기
JP7433490B2 (ja) 決済方法
JP7234340B2 (ja) 決済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