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66213A - 벽면녹화 연출과 인지능력 강화기능을 겸비하는 요양원용 수경재배장치 - Google Patents

벽면녹화 연출과 인지능력 강화기능을 겸비하는 요양원용 수경재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66213A
KR20210066213A KR1020190155178A KR20190155178A KR20210066213A KR 20210066213 A KR20210066213 A KR 20210066213A KR 1020190155178 A KR1020190155178 A KR 1020190155178A KR 20190155178 A KR20190155178 A KR 20190155178A KR 20210066213 A KR20210066213 A KR 202100662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hydroponic
cultivation
nutrient solution
cognitive abil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51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99188B1 (ko
Inventor
류동우
Original Assignee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갑부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갑부가 filed Critical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갑부가
Priority to KR10201901551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9188B1/ko
Publication of KR202100662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62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91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91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1/00Soilless cultivation, e.g. hydroponics
    • A01G31/02Special apparatu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1/00Soilless cultivation, e.g. hydroponics
    • A01G31/02Special apparatus therefor
    • A01G31/06Hydroponic culture on racks or in stacked contain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7/00Botany in general
    • A01G7/04Electric or magnetic or acoustic treatment of plants for promoting growth
    • A01G7/045Electric or magnetic or acoustic treatment of plants for promoting growth with electric light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2Pots for vertical horticulture
    • A01G9/025Containers and elements for greening wall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7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mental therapies, e.g. psychological therapy or autogenous train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20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in agriculture, e.g. CO2
    • Y02P60/21Dinitrogen oxide [N2O], e.g. using aquaponics, hydroponics or efficiency measur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Botany (AREA)
  • Ec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Developmental Disabilities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Psychiatry (AREA)
  • Psychology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Public Health (AREA)
  • Hydroponics (AREA)

Abstract

실내용 수경재배장치에 관한 것으로, 적어도 원하는 장소로 주행이 가능하고, 설정 크기의 재배공간을 마련하는 본체유닛(10); 상기 본체유닛(10)에 회전 가능하게 다층으로 장착되고, 식물의 뿌리로 양액을 공급하는 수경유닛(20); 상기 본체유닛(10)에 은폐되게 장착되고, 신호에 따라 수경유닛(20)의 방향을 전환시키는 조절유닛(30); 상기 본체유닛(10)과 수경유닛(20)에 각각 장착되고, 식물의 인공적인 광합성작용과 양액이 순환되는 유로의 이물질을 탈리시켜 막힘을 차단하는 보조유닛(40); 상기 본체유닛(10)에 노출되게 장착되고, 실내와 창가의 광도에 따라 수경유닛(20)의 방향전환을 음성으로 안내하여 환자가 자발적으로 재배에 참여시켜 인지능력을 강화시키는 제어모듈(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벽면녹화 연출과 인지능력 강화기능을 겸비하는 요양원용 수경재배장치{Hydroponic cultivation device for nursing home that combines wall recording and cognitive reinforcement}
본 발명은 토양을 사용하지 않고 양액을 이용하여 실내에서 식물을 재배할 수 있는 수경재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식물이 재배되는 수경유닛을 수평상태는 물론 창가를 향해 수직상태로 전환가능하게 구현함으로써, 인공광과 자연광을 선택적으로 활용이 가능하여 에너지를 절감하면서도 식물의 생육환경을 상시 조성할 수 있고, 수경유닛을 실내를 향해 수직상태로 전환하여 벽면녹화를 연출할 수가 있어 환자의 심리적 안정을 도모함은 물론 식물이 전면을 바라보게 됨으로써, 식물의 관찰이나 관리가 용이하며 양액이 순환되는 수경유닛의 수위를 측정하여 양액이 배출되는 유로의 막힘을 파악하고, 유로에 끼인 이물질이 탈리되게 진동을 부가해줌으로써, 상시 원활한 양액의 순환을 보장하면서도 제어모듈이 실내와 창가의 광도에 따라 수경유닛의 방향전환을 음성으로 안내하여 환자가 자발적으로 재배에 참여할 수 있게 유도함으로써, 식물재배의 흥미유발은 물론 인지능력을 강화시킬 수 있는 요양원용 수경재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경재배(Water Culture)는 흙을 사용하지 않고 물과 수용성 영양분으로 만든 배양액을 통해 식물을 재배하는 방법을 일컫는다.
최근에는 이러한 수경재배방식을 적용하여 장소에 영향을 받지 않고 식물을 용이하게 재배할 수 있는 수경재배장치가 출시되고 있다.
현재까지 출시된 실내용 수경재배장치는 대부분 다층으로 수평하게 배열되는 화분과, 화분으로 빛을 조사하여 광합성 작용을 유도하는 엘이디램프 및 화분으로 양액을 공급하는 양액탱크로 이루어져 있다.
즉, 화분이 수평하게 배열됨에 따라 자연광을 올바르게 받지 못해 식물의 광합성 작용을 위해서 엘이디램프를 주기적으로 조사해야만 했다.
따라서 에너지 낭비를 초래함은 물론이고 자연광에 비해 파장 범위가 한정된 인공광에 의존해야 하므로 식물의 생육이 저하될 수밖에 없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양액의 침전물이나 식물의 뿌리조각이 양액이 순환되는 유로에 끼여 순환에 장애를 초래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다층의 화분 사이에 식물이 재배됨으로써, 미관이 좋지 못할 뿐만 아니라 식물의 관찰이나 관리가 불편한 문제가 있다.
한편, 수경재배는 자동 관수에 따른 편의성과 함께 재배 종료 후 식물의 교체가 용이함에 따라 부녀자나 노년층, 그리고 정신적, 신체적 장애를 가진 사람도 참여할 수 있다.
그러나 완전 자동화로 인해 식물재배에 관심도가 낮아 관상용으로만 활용될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환자가 자발적으로 재배에 참여할 수 있도록 구현하여 식물재배의 흥미를 유발해주면서도 인지능력을 강화시킬 수 있는 수경재배장치의 개발이 필요하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64837호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55226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고자 제안된 것으로, 식물이 재배되는 수경유닛을 수평상태는 물론 창가를 향해 수직상태로 전환가능하게 구현함으로써, 인공광과 자연광을 선택적으로 활용이 가능하여 에너지를 절감하면서도 식물의 생육환경을 상시 조성할 수 있는 벽면녹화 연출과 인지능력 강화기능을 겸비하는 요양원용 수경재배장치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수경유닛을 실내를 향해 수직상태로 전환하여 벽면녹화를 연출할 수가 있어 환자의 심리적 안정을 도모함은 물론 식물이 전면을 바라보게 됨으로써, 식물의 관찰이나 관리가 용이한 벽면녹화 연출과 인지능력 강화기능을 겸비하는 요양원용 수경재배장치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양액이 순환되는 수경유닛의 수위를 측정하여 양액이 배출되는 유로의 막힘을 파악하고, 유로에 끼인 이물질이 탈리되게 진동을 부가해줌으로써, 상시 원활한 양액의 순환을 보장할 수 있는 벽면녹화 연출과 인지능력 강화기능을 겸비하는 요양원용 수경재배장치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어모듈이 실내와 창가의 광도에 따라 수경유닛의 방향전환을 음성으로 안내하여 환자가 자발적으로 재배에 참여할 수 있게 유도함으로써, 식물재배의 흥미유발은 물론 인지능력을 강화시킬 수 있는 벽면녹화 연출과 인지능력 강화기능을 겸비하는 요양원용 수경재배장치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적어도 원하는 장소로 주행이 가능하고, 설정 크기의 재배공간을 마련하는 본체유닛; 상기 본체유닛에 회전 가능하게 다층으로 장착되고, 식물의 뿌리로 양액을 공급하는 수경유닛; 상기 본체유닛에 은폐되게 장착되고, 신호에 따라 수경유닛의 방향을 전환시키는 조절유닛; 상기 본체유닛과 수경유닛에 각각 장착되고, 식물의 인공적인 광합성작용과 양액이 순환되는 유로의 이물질을 탈리시켜 막힘을 차단하는 보조유닛; 상기 본체유닛에 노출되게 장착되고, 실내와 창가의 광도에 따라 수경유닛의 방향전환을 음성으로 안내하여 환자가 자발적으로 재배에 참여시켜 인지능력을 강화시키는 제어모듈;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본 발명에 의한 상기 본체유닛은, 설정 크기의 수납공간을 가지는 테이블; 상기 테이블의 하단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복수의 바퀴; 상기 테이블의 상단에 설정 높이로 세워져 재배공간을 마련하는 재배프레임; 상기 테이블의 상단에 장착되고, 내부에 양액을 저장하는 양액탱크; 상기 양액탱크의 내부에 장착되고, 상기 수경유닛과 호스로 연결되어 양액을 공급하는 양액펌프;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상기 수경유닛은, 상기 재배프레임의 양단 내측에 다층으로 장착되고, 상기 재배프레임의 전후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연결대; 상기 연결대 사이에 장착되어 식물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선반; 상기 선반의 상단에 장착되고, 내부에 설정 수량의 식물을 수납하는 재배함; 상기 재배함의 상단에 설정 간격마다 내부와 연통되게 개구되는 복수의 식재홀; 상기 식재홀에 삽입 장착되고, 식물의 뿌리가 노출되게 수납하는 망형의 수경화분;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상기 수경유닛은, 상기 재배함의 일측면 하단 중앙에 수경화분 사이를 가로지르게 장착되고, 상기 양액펌프와 연결되어 양액을 공급받는 공급호스; 상기 재배함의 내부에 수경화분 사이마다 배치되고, 상기 공급호스와 연결되어 수경화분으로 양액을 분무하는 공급노즐; 상기 재배함의 타측면 하단 양측에 각각 장착되고, 상기 양액탱크와 연결되어 분무이후 낙하 저장되는 양액을 배출하는 배출호스;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상기 조절유닛은, 상기 재배프레임의 내측에 길이 방향으로 장착되는 조절프레임; 상기 조절프레임의 외면에 연결대와 맞물려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복수의 회전블록; 상기 회전블록의 외면에 상하로 유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회전블록의 회전을 상호 연동되게 구현하는 링크부재; 상기 조절프레임의 외면에 장착되고, 어느 하나의 회전블록과 연결되어 전후방향으로 회전력을 부가하는 조절모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상기 보조유닛은, 상기 재배프레임의 상단 저면과, 상기 회전판의 저면에 하나 이상 장착되어 신호에 따라 가시광선과 자외선을 조사하는 엘이디램프; 상기 재배함의 내부에 장착되고, 분무이후 낙하 저장되는 양액의 수위를 측정하여 상기 배출호스의 유로에 식물의 뿌리부위나 양액의 침전물 따위로 인해 막힘을 파악하는 수위센서; 상기 재배함의 타측면에 장착되고, 상기 배출호스로 진동을 부가하여 유로를 막는 뿌리부위나 침전물을 요동시켜 배출을 유도하는 진동모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재배프레임의 상단 전/후면에 각각 장착되어 실내와 창가의 광도를 측정하는 광센서; 상기 재배프레임의 전면에 장착되어 광도에 따라 수경유닛의 방향전환을 알리는 안내음성을 출력하는 스피커; 상기 재배프레임의 전면에 장착되어 환자가 수경유닛의 방향이 전환되게 조작을 유도하는 조작패널; 상기 재배프레임의 전면에 장착되어 환자의 음성에 따라 수경유닛의 방향이 전환되게 신호를 출력하는 마이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상기 제어모듈은 실내와 창가의 광도가 모두 부족한 설정 시간대에 상기 수경유닛을 수평상태로 자동 전환하고, 상기 보조모듈로부터 인공광을 조사시켜 광합성 작용을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상기 제어모듈은 실내의 광도 대비 창가의 광도가 높을 경우, 광합성 작용이 필요하다는 알림음성과 함께 수경유닛을 창가를 향해 경사진 상태로 전환조작을 유도하는 안내음성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상기 제어모듈은 환자가 설정한 식물의 이름이나 설정 레벨의 소음이 인식되면, 벽면녹화를 연출하며 식물의 관찰이나 관리가 용이하도록 상기 수경유닛을 실내를 향해 수직한 상태로 자동 회전시키거나 회전조작을 유도하는 안내음성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식물이 재배되는 수경유닛을 수평상태는 물론 창가를 향해 수직상태로 전환가능하게 구현함으로써, 인공광과 자연광을 선택적으로 활용이 가능하여 에너지를 절감하면서도 식물의 생육환경을 상시 조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수경유닛을 실내를 향해 수직상태로 전환하여 벽면녹화를 연출할 수가 있어 환자의 심리적 안정을 도모함은 물론 식물이 전면을 바라보게 됨으로써, 식물의 관찰이나 관리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양액이 순환되는 수경유닛의 수위를 측정하여 양액이 배출되는 유로의 막힘을 파악하고, 유로에 끼인 이물질이 탈리되게 진동을 부가해줌으로써, 상시 원활한 양액의 순환을 보장함은 물론 유지보수가 편리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어모듈이 실내와 창가의 광도에 따라 수경유닛의 방향전환을 음성으로 안내하여 환자가 자발적으로 재배에 참여할 수 있게 유도함으로써, 식물재배의 흥미유발은 물론 인지능력을 강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경재배장치를 전체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수경재배장치의 본체유닛과 제어모듈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수경재배장치의 수경유닛과 보조유닛을 나타내는 상세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수경재배장치의 조절유닛을 나타내는 상세도이다.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수경재배장치의 작동을 나타내는 사용상태도이다.
이하,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재된다. 그러나 이는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문서의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modifications), 균등물(equivalents), 및/또는 대체물(alternatives)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문서에서 사용된 "제1," "제2," 등의 표현들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순서 및/또는 중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뿐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1 부분'과 '제2 부분'은 순서 또는 중요도와 무관하게, 서로 다른 부분을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문서에 기재된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바꾸어 명명될 수 있다.
또한,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다른 실시예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닐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본 문서에 사용된 용어들 중 일반적인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동일 또는 유사한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경우에 따라서, 본 문서에서 정의된 용어일지라도 본 문서의 실시예들을 배제하도록 해석될 수 없다.
본 발명은 토양을 사용하지 않고 양액을 이용하여 실내에서 식물을 재배할 수 있는 수경재배장치에 관한 것으로, 도 1처럼 본체유닛(10), 수경유닛(20), 조절유닛(30), 보조유닛(40), 제어모듈(50)을 주요 구성으로 하는 벽면녹화 연출과 인지능력 강화기능을 겸비하는 요양원용 수경재배장치이다.
본체유닛(10)은 원하는 장소로 주행이 가능하고, 설정 크기의 재배공간을 마련하는 구조물이다.
이러한 본체유닛(10)은 도 1 및 도 2처럼 테이블(11), 바퀴(12), 재배프레임(13), 양액탱크(14), 양액펌프(15)로 구성된다.
테이블(11)은 설정 크기의 수납공간을 가지는 판으로, 하단에 장착된 바퀴(12)에 의해 바닥으로부터 이격된다.
바퀴(12)는 테이블(11)의 하단에 장착되고, 원하는 장소로 주행 가능하도록 구름운동과 방향전환 기능을 가진다.
재배프레임(13)은 ㄷ형으로 형성되고, 테이블(11)의 상단에 설정 높이로 세워져 수경유닛(20)이 다층으로 배치되게 지지한다.
여기서 가로로 배치되는 재배프레임(13)의 최상단 저면에는 하나 이상의 엘이디램프(41)가 장착된다.
이러한 엘이디램프(41)는 최상단에 배치되는 수경유닛(20)으로 빛을 조사하여 식물의 광합성 작용을 유도한다.
양액탱크(14)는 테이블(11)의 상단에 장착되고, 내부에 설정양의 양액을 저장한다.
양액펌프(15)는 양액탱크(14)의 내부에 장착되고, 수경유닛(20)과 호스로 연결되어 저장된 양액을 공급한다.
수경유닛(20)은 도 1처럼 본체유닛(10)에 회전 가능하게 다층으로 장착되고, 식물의 뿌리로 양액을 공급하여 식물을 생육시킨다.
이러한 수경유닛(20)은 도 3처럼 연결대(21), 선반(22), 재배함(23), 식재홀(24), 수경화분(25)으로 구성된다.
연결대(21)는 재배프레임(13)의 양단 내측에 다층으로 장착되고, 재배프레임(13)의 전후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즉, 연결대(21)는 도 6 및 도 7과 같이 후술하는 조절유닛(30)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선반(22)은 양단이 연결대(21)에 결합되어 식물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여기서 선반(22)은 도 4a처럼 저면에 하나 이상의 엘이디램프(41)가 장착된다.
즉, 하단에 장착되는 재배함(23)의 상단으로 빛을 조사하여 식물의 광합성 작용을 유도한다.
따라서 최하단에 위치하는 선반(22)에는 엘이디램프(41)가 생략됨이 당연하다 할 것이다.
재배함(23)은 선반(22)의 상단에 장착되고, 내부에 설정 수량의 식물을 수납하는 공간이 형성된다.
식재홀(24)은 재배함(23)의 상단에 설정 간격마다 내부와 연통되게 복수로 개구되어 식물의 뿌리가 수납되게 유도한다.
수경화분(25)은 식재홀(24)에 삽입 장착되고, 도 4b와 같이 망형으로 형성되어 식물의 뿌리가 외부로 노출되게 수납해준다.
여기서 수경유닛(20)은 도 3 및 도 5처럼 공급호스(26)와 공급노즐(27) 및 배출호스(28)가 구성된다.
공급호스(26)는 재배함(23)의 일측면 하단 중앙에 삽입된 수경화분(25) 사이를 가로지르게 장착된다.
이러한 공급호스(26)는 양액펌프(15)와 연결되어 설정 압력의 양액을 공급받는다.
공급노즐(27)은 재배함(23)의 내부에 수경화분(25) 사이마다 배치되고, 공급호스(26)와 연결되어 수경화분(25)으로 양액을 미립자로 분무한다.
배출호스(28)는 재배함(23)의 타측면에 관통 형성된 배출구멍에 장착되고, 양액탱크(14)와 연결되어 분무이후 낙하 저장되는 양액을 배출한다.
여기서 재배함(23)의 배출구멍은 최하단 양측에 각각 형성되어 재배함(23)의 타측면마다 배출호스(28)도 한 쌍이 결합된다.
즉, 도 8과 같이 재배함(23)이 수평상태에서는 한 쌍의 배출호스(28)로 양액이 동시에 배출된다.
여기서 재배함(23)이 도 9 및 도 10처럼 실내 또는 창가를 향해 수직상태로 전환될 경우, 한 쌍의 배출호스(28) 중 하단에 위치하는 배출호스(28)를 통해 양액이 배출된다.
따라서 양액의 분무공급으로 인해 재배함(23)이 어느 방향으로 전환하더라도 식물의 뿌리로 양액의 원활한 공급이 가능하고, 최하단에 양측에 위치하는 배출호스(28)로 인해 분무이후 낙하 저장되는 양액을 즉시 배출시킬 수 있다.
조절유닛(30)은 도 1처럼 본체유닛(10)에 은폐되게 장착되고, 신호에 따라 수경유닛(20)의 방향을 전환시켜준다.
이러한 조절유닛(30)은 도 7 및 도 8과 같이 조절프레임(31), 회전블록(32), 링크부재(33), 조절모터(34)로 구성된다.
조절프레임(31)은 수직하게 세워지는 재배프레임(13)의 내측에 길이 방향으로 각각 장착된다.
회전블록(32)은 원형으로 형성되고, 조절프레임(31)의 외면에 연결대(21)와 맞물려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이러한 회전블록(32)은 일단이 조절프레임(31)을 통과되어 연결대(21)의 일면에 볼트로 체결된다.
링크부재(33)는 상하 복수로 장착된 회전블록(32)들의 외면과 밀착 가능한 길이를 가진 막대이다.
이러한 링크부재(33)는 회전블록(32)의 외면에 상하로 유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기차와 같이 복수의 회전블록(32)의 회전을 상호 연동되게 구현해준다.
즉, 링크부재(33)의 상단은 최상단 회전블록(32)의 중심과 이격된 위치에 힌지로 결합되고, 하단은 최하단 회전블록(32)의 중심과 이격된 위치에 힌지 결합된다.
마찬가지로 링크부재(33)의 중단에 위치하는 회전블록(32)들과도 힌지 결합된다.
따라서 어느 하나의 회전블록(32)이 회전하면, 링크부재(33)에 의해 모든 회전블록(32)이 동일한 방향과 각도로 회전하게 된다.
조절모터(34)는 조절프레임(31)의 외면에 장착되고, 어느 하나의 회전블록(32)과 벨트로 연결되어 전후방향으로 회전력을 부가한다.
보조유닛(40)은 본체유닛(10)과 수경유닛(20)에 각각 장착되고, 식물의 인공적인 광합성작용과 양액이 순환되는 유로의 이물질을 탈리시켜 막힘을 차단해준다.
이러한 보조유닛(40)은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엘이디램프(41)와 수위센서(42) 및 진동모터(43)로 구성된다.
엘이디램프(41)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재배프레임(13)의 상단 저면과 회전판(22)의 저면에 하나 이상 장착되어 신호에 따라 발광하여 가시광선과 자외선을 조사한다.
수위센서(42)는 재배함(23)의 내부에 장착되고, 분무이후 낙하 저장되는 양액의 수위를 측정한다.
진동모터(43)는 재배함(23)의 타측면에 장착되고, 신호에 따라 배출호스(28)로 진동을 부가한다.
즉, 식물의 뿌리부위나 양액의 침전물이 배출호스(28)의 유로에 끼여 양액의 배출을 방해할 수 있다.
이 경우 배출이 원활하지 못하거나 배출이 불가능하여 재배함(23)에 분무된 양액이 지속적으로 저장된다.
따라서 수위센서(42)는 재배함(23)에 저장되는 양액의 수위를 토대로 배출호스(28)의 막힘을 파악한다.
만일 설정 수위 이상으로 수위가 측정되어 배출호스(28)가 막힌 것으로 파악되면, 진동모터(43)가 작동하여 배출호스(28)로 진동을 부가한다.
배출호스(28)의 진동이 전달되면, 유로를 막는 뿌리부위나 침전물이 요동하게 되고, 이와 함께 배출하려는 양액의 압력에 밀려 양액탱크(14)로 이동된다.
따라서 배출호스(28)의 유로를 상시 개방상태를 유지해줌으로써, 양액의 흘러넘침을 예방할 수 있다.
제어모듈(50)은 도 1처럼 본체유닛(10)에 노출되게 장착되고, 실내와 창가의 광도에 따라 수경유닛(20)의 방향전환을 음성으로 안내하여 환자가 자발적으로 재배에 참여시켜 인지능력을 강화되게 유도한다.
이러한 제어모듈(50)은 도 2와 같이 광센서(51), 스피커(52), 조작패널(53), 마이크(54)로 구성된다.
광센서(51)는 재배프레임(13)의 상단 전면과 후면에 각각 장착되어 실내와 창가의 광도를 측정한다.
스피커(52)는 재배프레임(13)의 전면에 장착되어 광도에 따라 수경유닛(20)의 방향전환을 알리는 안내음성을 출력한다.
조작패널(53)은 재배프레임(13)의 전면에 장착되는 스위치로, 환자가 수경유닛(20)의 방향을 직접 전환되게 조작을 유도한다.
마이크(54)는 재배프레임(13)의 전면에 장착되어 환자의 음성에 따라 수경유닛(20)의 방향이 전환되게 신호를 출력한다.
즉, 실내와 창가의 광도가 모두 부족한 설정 시간대에는 도 8처럼 조절모터(34)로 신호를 출력하여 수경유닛(20)을 수평상태로 자동 전환한다.
그리고 엘이디램프(41)를 발광시켜 식물의 광합성 작용을 유도한다.
만일 실내의 광도 대비 창가의 광도가 높을 경우에는 도 9와 같이 자연광에 의한 광합성 작용이 필요하다는 알림음성을 출력한다.
그리고 환자가 수경유닛(20)을 창가를 향해 경사진 상태로 전환조작을 유도하는 안내음성을 출력한다.
즉, 수경유닛(20)이 창가를 향해 올바른 자세로 전환되기까지 지속적으로 안내음성을 출력한다.
이때, 환자가 설정한 식물의 이름이나 설정 레벨의 소음이 인식되면, 도 10과 같이 수경유닛(20)을 실내를 향해 수직한 상태로 자동 전환시켜준다.
이 상태로 전환되면, 벽면녹화가 연출되어 병실을 숲속의 인테리어 효과를 발현해준다.
그리고 환자의 시선과 식물이 동일선상에 위치됨으로써, 식물이 관찰과 관리가 용이하게 해준다.
물론 이 경우에도 수경유닛(20)의 전환을 자동으로 구현하지 않고, 환자가 직접 수경유닛(20)의 방향을 전환할 수 있도록 안내음성을 출력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10: 본체유닛
11: 테이블
12: 바퀴
13: 재배프레임
14: 양액탱크
15: 양액펌프
20: 수경유닛
21: 연결대
22: 선반
23: 재배함
24: 식재홀
25: 수경화분
26: 공급호스
27: 공급노즐
28: 배출호스
30: 조절유닛
31: 조절프레임
32: 회전블록
33: 링크부재
34: 조절모터
40: 보조유닛
41: 엘이디램프
42: 수위센서
43: 진동모터
50: 제어모듈
51: 광센서
52: 스피커
53: 조작패널
54: 마이크

Claims (10)

  1. 실내용 수경재배장치에 있어서,
    적어도 원하는 장소로 주행이 가능하고, 설정 크기의 재배공간을 마련하는 본체유닛(10);
    상기 본체유닛(10)에 회전 가능하게 다층으로 장착되고, 식물의 뿌리로 양액을 공급하는 수경유닛(20);
    상기 본체유닛(10)에 은폐되게 장착되고, 신호에 따라 수경유닛(20)의 방향을 전환시키는 조절유닛(30);
    상기 본체유닛(10)과 수경유닛(20)에 각각 장착되고, 식물의 인공적인 광합성작용과 양액이 순환되는 유로의 이물질을 탈리시켜 막힘을 방지하는 보조유닛(40);
    상기 본체유닛(10)에 노출되게 장착되고, 실내와 창가의 광도에 따라 수경유닛(20)의 방향전환을 음성으로 안내하여 환자가 자발적으로 재배에 참여시켜 인지능력을 강화시키는 제어모듈(50);
    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면녹화 연출과 인지능력 강화기능을 겸비하는 요양원용 수경재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유닛(10)은,
    설정 크기의 수납공간을 가지는 테이블(11);
    상기 테이블(11)의 하단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복수의 바퀴(12);
    상기 테이블(11)의 상단에 설정 높이로 세워져 재배공간을 마련하는 재배프레임(13);
    상기 테이블(11)의 상단에 장착되고, 내부에 양액을 저장하는 양액탱크(14);
    상기 양액탱크(14)의 내부에 장착되고, 상기 수경유닛(20)과 호스로 연결되어 양액을 공급하는 양액펌프(15);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면녹화 연출과 인지능력 강화기능을 겸비하는 요양원용 수경재배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경유닛(20)은,
    상기 재배프레임(13)의 양단 내측에 다층으로 장착되고, 상기 재배프레임(13)의 전후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연결대(21);
    상기 연결대(21) 사이에 장착되어 식물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선반(22);
    상기 선반(22)의 상단에 장착되고, 내부에 설정 수량의 식물을 수납하는 재배함(23);
    상기 재배함(23)의 상단에 설정 간격마다 내부와 연통되게 개구되는 복수의 식재홀(24);
    상기 식재홀(24)에 삽입 장착되고, 식물의 뿌리가 노출되게 수납하는 망형의 수경화분(25);
    으로 구성된 특징으로 하는 벽면녹화 연출과 인지능력 강화기능을 겸비하는 요양원용 수경재배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수경유닛(20)은,
    상기 재배함(23)의 일측면 하단 중앙에 수경화분(25) 사이를 가로지르게 장착되고, 상기 양액펌프(15)와 연결되어 양액을 공급받는 공급호스(26);
    상기 재배함(23)의 내부에 수경화분(25) 사이마다 배치되고, 상기 공급호스(26)와 연결되어 수경화분(25)으로 양액을 분무하는 공급노즐(27);
    상기 재배함(23)의 타측면 하단 양측에 각각 장착되고, 상기 양액탱크(14)와 연결되어 분무이후 낙하 저장되는 양액을 배출하는 배출호스(28);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면녹화 연출과 인지능력 강화기능을 겸비하는 요양원용 수경재배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유닛(30)은,
    상기 재배프레임(13)의 내측에 길이 방향으로 장착되는 조절프레임(31);
    상기 조절프레임(31)의 외면에 연결대(21)와 맞물려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복수의 회전블록(32);
    상기 회전블록(32)의 외면에 상하로 유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회전블록(32)의 회전을 상호 연동되게 구현하는 링크부재(33);
    상기 조절프레임(31)의 외면에 장착되고, 어느 하나의 회전블록(32)과 연결되어 전후방향으로 회전력을 부가하는 조절모터(34);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면녹화 연출과 인지능력 강화기능을 겸비하는 요양원용 수경재배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유닛(40)은,
    상기 재배프레임(13)의 상단 저면과, 상기 회전판(22)의 저면에 하나 이상 장착되어 신호에 따라 가시광선과 자외선을 조사하는 엘이디램프(41);
    상기 재배함(23)의 내부에 장착되고, 분무이후 낙하 저장되는 양액의 수위를 측정하여 상기 배출호스(28)의 유로에 식물의 뿌리부위나 양액의 침전물 따위로 인해 막힘을 파악하는 수위센서(42);
    상기 재배함(23)의 타측면에 장착되고, 상기 배출호스(28)로 진동을 부가하여 유로를 막는 뿌리부위나 침전물을 요동시켜 배출을 유도하는 진동모터(43);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면녹화 연출과 인지능력 강화기능을 겸비하는 요양원용 수경재배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50)은,
    상기 재배프레임(13)의 상단 전/후면에 각각 장착되어 실내와 창가의 광도를 측정하는 광센서(51);
    상기 재배프레임(13)의 전면에 장착되어 광도에 따라 수경유닛(20)의 방향전환을 알리는 안내음성을 출력하는 스피커(52);
    상기 재배프레임(13)의 전면에 장착되어 환자가 수경유닛(20)의 방향이 전환되게 조작을 유도하는 조작패널(53);
    상기 재배프레임(13)의 전면에 장착되어 환자의 음성에 따라 수경유닛(20)의 방향이 전환되게 신호를 출력하는 마이크(54);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면녹화 연출과 인지능력 강화기능을 겸비하는 요양원용 수경재배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50)은 실내와 창가의 광도가 모두 부족한 설정 시간대에 상기 수경유닛(20)을 수평상태로 자동 전환하고, 상기 보조모듈(40)로부터 인공광을 조사시켜 광합성 작용을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면녹화 연출과 인지능력 강화기능을 겸비하는 요양원용 수경재배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50)은 실내의 광도 대비 창가의 광도가 높을 경우, 광합성 작용이 필요하다는 알림음성과 함께 수경유닛(20)을 창가를 향해 경사진 상태로 전환조작을 유도하는 안내음성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면녹화 연출과 인지능력 강화기능을 겸비하는 요양원용 수경재배장치.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50)은 환자가 설정한 식물의 이름이나 설정 레벨의 소음이 인식되면, 벽면녹화를 연출하며 식물의 관찰이나 관리가 용이하도록 상기 수경유닛(20)을 실내를 향해 수직한 상태로 자동 회전시키거나 회전조작을 유도하는 안내음성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면녹화 연출과 인지능력 강화기능을 겸비하는 요양원용 수경재배장치.
KR1020190155178A 2019-11-28 2019-11-28 벽면녹화 연출과 인지능력 강화기능을 겸비하는 요양원용 수경재배장치 KR1022991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5178A KR102299188B1 (ko) 2019-11-28 2019-11-28 벽면녹화 연출과 인지능력 강화기능을 겸비하는 요양원용 수경재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5178A KR102299188B1 (ko) 2019-11-28 2019-11-28 벽면녹화 연출과 인지능력 강화기능을 겸비하는 요양원용 수경재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6213A true KR20210066213A (ko) 2021-06-07
KR102299188B1 KR102299188B1 (ko) 2021-09-07

Family

ID=763742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5178A KR102299188B1 (ko) 2019-11-28 2019-11-28 벽면녹화 연출과 인지능력 강화기능을 겸비하는 요양원용 수경재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918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03971A (ko) 2021-06-30 2023-01-06 주식회사 지템퍼러쳐 지속적인 식물 성장을 유지시키는 회전 기술을 이용한 미세먼지 정화 및 향기를 제공하는 수직정원
KR20230012822A (ko) * 2021-07-16 2023-01-26 전명식 회전식 화분받침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0045B1 (ko) * 2023-03-06 2024-03-20 서병진 스마트팜을 이용한 수경 재배 시스템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04711U (ko) * 2013-03-13 2013-08-05 (주)블라인드팩토리 전동 환기창
KR101555226B1 (ko) 2015-04-27 2015-09-24 (주)에코피플 모듈타입 실내용 수경재배장치
KR101564837B1 (ko) 2014-04-04 2015-10-30 김진문 실내 벽면 조경용 수경재배장치
KR20170004396A (ko) * 2015-07-02 2017-01-11 박은봉 가정용 채소 재배장치
KR101846401B1 (ko) * 2016-06-24 2018-04-06 한국과학기술연구원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하는 식물 재배 시스템, 그 제어 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기록 매체
KR101925432B1 (ko) * 2017-07-04 2018-12-06 농업회사법인 레드엠(주) 스윙 작동형 식물재배장치
US20190216028A1 (en) * 2018-01-15 2019-07-18 Ray Chuan Enterprise Co., Ltd. Plant cultivating apparatus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04711U (ko) * 2013-03-13 2013-08-05 (주)블라인드팩토리 전동 환기창
KR101564837B1 (ko) 2014-04-04 2015-10-30 김진문 실내 벽면 조경용 수경재배장치
KR101555226B1 (ko) 2015-04-27 2015-09-24 (주)에코피플 모듈타입 실내용 수경재배장치
KR20170004396A (ko) * 2015-07-02 2017-01-11 박은봉 가정용 채소 재배장치
KR101846401B1 (ko) * 2016-06-24 2018-04-06 한국과학기술연구원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하는 식물 재배 시스템, 그 제어 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기록 매체
KR101925432B1 (ko) * 2017-07-04 2018-12-06 농업회사법인 레드엠(주) 스윙 작동형 식물재배장치
US20190216028A1 (en) * 2018-01-15 2019-07-18 Ray Chuan Enterprise Co., Ltd. Plant cultivating apparatu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03971A (ko) 2021-06-30 2023-01-06 주식회사 지템퍼러쳐 지속적인 식물 성장을 유지시키는 회전 기술을 이용한 미세먼지 정화 및 향기를 제공하는 수직정원
KR20230012822A (ko) * 2021-07-16 2023-01-26 전명식 회전식 화분받침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99188B1 (ko) 2021-09-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99188B1 (ko) 벽면녹화 연출과 인지능력 강화기능을 겸비하는 요양원용 수경재배장치
KR101423127B1 (ko) 수경재배장치
KR101479977B1 (ko) 가정용 수족관 겸용 수경재배장치
KR101413135B1 (ko) 실내용 다목적 인삼 수경재배 장치
KR101034513B1 (ko) 수경재배장치
CN106561320A (zh) 多功能悬挂式种植植物装置
US20210176934A1 (en) Integrated hydroponic plant cultivation systems and methods
KR101845132B1 (ko) 식물 공중 재배장치
KR20120128526A (ko) 기둥구조 걸이식 다층 수경 재배기
KR102026448B1 (ko) 수경재배기
KR20140105977A (ko) 수족관 겸용 식물재배장치
CN205567363U (zh) 一种柜体式蔬菜生产单元
RU2402200C1 (ru) Фитостена с полихроматическими стимуляторами роста растений
KR20140120039A (ko) 식물 재배기
KR20110132698A (ko) 농작물 재배용 부스 산소공급장치
KR102241200B1 (ko) 수직형 수경재배기
JP2004081088A (ja) 自動施肥・灌水装置
CN205511376U (zh) 无土栽培装置
KR20090087193A (ko) 초음파 관수 새싹재배기
JP5873950B1 (ja) 植物栽培装置
CN211482178U (zh) 一种农作物栽培试验箱
KR20120005788U (ko) 실내용 계단식 화단
CN208402784U (zh) 一种可拆卸移动种植架
CN206101047U (zh) 多功能悬挂式种植植物装置
KR20110132699A (ko) 농작물 재배용 부스내 재배부의 이송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