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66143A - 화재 방지를 위한 IoT 커넥티드 휴대용 가열 텀블러 관제 서버 - Google Patents

화재 방지를 위한 IoT 커넥티드 휴대용 가열 텀블러 관제 서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66143A
KR20210066143A KR1020190155028A KR20190155028A KR20210066143A KR 20210066143 A KR20210066143 A KR 20210066143A KR 1020190155028 A KR1020190155028 A KR 1020190155028A KR 20190155028 A KR20190155028 A KR 20190155028A KR 20210066143 A KR20210066143 A KR 202100661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tumbler
portable heating
iot
connected port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50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세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스마트시티그리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스마트시티그리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스마트시티그리드
Priority to KR10201901550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66143A/ko
Publication of KR202100661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614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22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 A47G19/2288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with means for keeping liquid cool or ho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1/00Thermally-insulated vessels, e.g. flasks, jugs, jars
    • A47J41/0038Thermally-insulated vessels, e.g. flasks, jugs, jars comprising additional heating or cooling means, i.e. use of thermal energy in addition to stored materia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06Electric actuation of the alarm, e.g. using a thermally-operated switc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H04L67/125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involving control of end-device applications over a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1/00Details of electric heating devices
    • H05B1/02Automatic switch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 Control of heat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
    • A47G2200/16Temperature
    • A47G2200/166Temperature sens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Resistance Hea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재 방지를 위한 IoT 커넥티드 휴대용 가열 텀블러 관제 서버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IoT 커넥티드 휴대용 가열 텀블러에 설치된 온도 센서로부터 수신한 온도 정보를 미리 설정된 복수의 임계 값과 비교하여 상태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상태정보에 기초하여 제1 제어정보를 생성하는 제어부; 및 상기 온도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상태정보는 미리 설정된 스마트폰으로 전송하고, 제1 제어 정보를 IoT 커넥티드 휴대용 가열 텀블러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하여 관제 서버에서 휴대용 가열 텀블러를 제어하고, 수집된 정보를 스마트 단말로 제공한다.

Description

화재 방지를 위한 IoT 커넥티드 휴대용 가열 텀블러 관제 서버{IoT Connected Portable Heated Tumbler Control Server for Fire Protection}
본 발명은 IoT 커넥티드 휴대용 가열 텀블러 관제 서버에 관한 것으로, 휴대용 텀블러 내부의 내용물의 보온 및 가열을 제어하고, 관련 정보를 스마트 단말로 전송하는 IoT 커넥티드 휴대용 가열 텀블러 관제 서버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텀블러는 다량의 음료를 장시간에 걸쳐 마실 수 있도록 비교적 큰 보온병 등을 통칭한다. 최근에는 환경보호를 위하여 일회용 종이컵의 사용을 제한하고 있어 텀블러의 사용이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최근에는 야외에서 보온 또는 가열을 하기 위한 텀블러들이 개발되고 있다. 한국 등록특허 제10-1329296호는 용액 가열을 위한 발열체가 내장된 텀블러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 텀블러의 온도정보나 음료 섭취량 정보를 수신하여 이를 통해 텀블러에 내장된 발열체를 제어하는 기술이 개발되지 않은 실정이다.
또한, 텀블러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신체정보와 종류에 따른 음료 섭취량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은 전무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휴대용 텀블러 내부의 내용물의 보온 및 가열을 제어하고, 관련 정보를 스마트 단말로 전송하는 IoT 커넥티드 휴대용 가열 텀블러 관제 서버를 제공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IoT 커넥티드 휴대용 가열 텀블러 관제 서버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휴대용 가열 텀블러에서 입력되는 정보들을 이용하여 이를 제어하고, 화재 예방 등을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IoT 커넥티드 휴대용 가열 텀블러 관제 시스템을 도시한 시스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IoT 커넥티드 휴대용 가열 텀블러의 주요 구성요소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IoT 커넥티드 휴대용 가열 텀블러 관제 시스템의 휴대용 가열 텀블러와 관제 서버의 각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이하, 도면을 참조한 본 발명의 설명은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들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하는 내용은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되는 용어로서, 그 자체에 의미가 한정되지 아니하며,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사용되는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이하에서 기재되는 "포함하다", "구비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IoT 커넥티드 휴대용 가열 텀블러 관제 시스템을 도시한 시스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IoT 커넥티드 휴대용 가열 텀블러 관제 시스템은 휴대용 가열 텀블러(10), 관제 서버(300) 및 스마트 단말(400)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휴대용 가열 텀블러(10)는 관제 서버(300)와 통신이 가능한 통신모듈(220)이 구비되어 있으며, 내부에 발열부가 구비되어 텀블러에 내재되는 용액 또는 내용물을 가열한다.
휴대용 가열 텀블러(10)는 온도센서(130), 온도설정부(180), 용량측정센서(210), 디스플레이부(120), 발열제어부(200), 통신모듈(220) 등의 구성요소를 포함하여, 자체적으로 제어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관제 서버(300)의 제어정보를 수신하여 동작할 수 있다. 휴대용 가열 텀블러(10)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다시 하기로 한다.
스마트 단말(400)은 스마트폰 등의 이동통신이 가능한 휴대용 스마트 단말기로서, 각종 프로그램, 어플리케이션 등을 동작 시킬 수 있는 단말기이다.
스마트 단말(400)은 관제 서버(300)와 연결되어, 관제 서버(300)에서 제공하는 각종 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관제 서버(300)는 휴대용 가열 텀블러(10)와 페어링 되어 휴대용 가열 텀블러(10)에서 전송되는 신호들을 입력 받고, 입력된 신호를 기초로 휴대용 가열 텀블러(10)의 상태정보를 생성한다. 또한, 관제 서버(300)는 상태정보에 기초하여 휴대용 가열 텀블러(10)를 제어하는 제어정보를 생성한다. 관제 서버(300)는 상태정보를 스마트 단말로 전송하고, 제어정보는 휴대용 가열 텀블러(10)로 전송한다.
이때, 제어정보는 화재 방지를 위한 휴대용 가열 텀블러(10)의 발열부 전원 차단 또는 경고 알람을 제어하는 신호들이거나, 온도 제어, 예약 가열 등을 위한 제어신호일 수 있다.
상태정보는 스마트 단말(400)로 제공되는 휴대용 가열 텀블러(10)의 동작상태 등의 정보일 수 있다.
이하,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IoT 커넥티드 휴대용 가열 텀블러 관제 시스템에 대하여 더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휴대용 가열 텀블러의 주요 구성요소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IoT 커넥티드 휴대용 가열 텀블러 관제 시스템의 휴대용 가열 텀블러와 관제 서버의 각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휴대용 가열 텀블러(10)는 몸체부(100)와 커버부(110)로 이루어진다. 몸체부(100)의 하단에는 발열부(140)가 형성되고, 발열부(140)에 전원공급을 위한 USB 포드(150) 등이 구비된다. 이때, 발열부(140)와 USB 포트(150) 사이에는 발열제어부(200)에 의해 전원을 온/오프 시키는 스위치(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휴대용 가열 텀블러(10)는 온도센서(130), 온도설정부(180), 용량측정센서(210), 디스플레이부(120), 발열제어부(200), 통신모듈(220) 등이 구비될 수 있다.
먼저, 몸체부(100)는 텀블러의 내용물이 담기는 공간을 구비할 수 있다. 몸체부(100)는 상부가 개방되어 중공되게 형성된다. 몸체부(100)는 금속 또는 플라스틱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몸체부(100)의 내부는 금속재질, 외부는 플라스틱 등의 비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가열 텀블러는 몸체부(100)가 분리될 수 있다.
몸체부(100)는 복수의 용기로 분리 및 결합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용기들은 서로 나사 결합되는 방식으로 결합되어 수밀성이 향상된다. 복수의 용기들은 상기와 같이 나사 결합 방식 이외에 끼움식으로 결합될 수도 있다.
몸체부(100)가 복수의 용기들로 분리됨으로써, 사용자는 세척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커버부(110)는 몸체부(100)의 개방된 상부를 밀폐시키도록 결합될 수 있다. 커버부(100)는 몸체부(100)와 나사결합을 할 수 있다. 이때, 몸체부(100)에는 나사산이 형성되고, 커버부(110)는 나사홈이 형성되어 상기 나사산과 나사홈이 커버부(110)를 회전시켜 몸체부(100)를 밀폐할 수 있다.
커버부(110)는 상부에 외부에 노출되어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120)가 형성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20)는 텀블러 장치 내의 내용물의 온도를 표시할 수 있고, 작동상태(가열 또는 보온) 등의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20)는 커버부(110)의 상부에 설치되므로 사용자가 직감적으로 내용물의 온도 및 작동 상태 등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발열부(140)는 몸체부(100)의 하부에 형성되어 내용물에 열을 공급한다. 발열부(140)는 열선 또는 탄소섬유로 조성된 선형의 발열체 또는 면상발열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발열부(140)는 탄소섬유가 실처럼 조성된 선형 발열체가 몸체부(100)의 하부에 동심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발열부(140)는 필름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즉, 발열부(140)는 탄소섬유를 포함하는 조성물이 필름형태로 형성되어 몸체부(100)의 하부에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발열부(140)는 탄소섬유에 그래핀이 코팅된 형태의 탄소섬유 발열체를 사용할 수 있다. 탄소섬유 발열체는 복수의 탄소섬유를 포함하는 탄소섬유층과 탄소섬유층에 코팅되는 그래핀 및 그래핀이 코팅된 탄소섬유층의 일면에 부착되는 적어도 하나의 금속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그래핀이 코팅된 탄소섬유층은 적어도 하나의 금속전극을 그래핀이 코팅된 탄소섬유층의 일면에 부착시키는 도전성 접착제가 함침된 적어도 하나의 함침영역을 포함한다.
발열부의 역할을 하는 그래핀이 코팅된 탄소섬유층과 전극부의 역할을 하는 금속 전극이 각기 서로 다른 비저항을 가지고 있고, 이저항에 의해 인가된 전압이 감소하는 전압 강하 현상이 나타나고, 해당 접촉면에서의 단위면적당 발열량이 높아 발열 집중 현상이 발생할 수 있으나, 그래핀이 코팅된 탄소섬유층의 함침 영역에 있는 도전성 접착제에 의해 발열집중 현상이 해소된다. 이때, 도전성 접착제의 비저항이 그래핀이 코팅된 탄소섬유층의 비저항보다 낮고 금속 전극의 비저항보다 높은 것이 바람직하다.
도전성 접착제는 그래핀이 코팅된 탄소섬유층의 내부로 함침되어 탄소섬유의 표면을 코팅하고, 해당 코팅면과 금속 전극의 일면을 부착시킴으로써, 금속 전극을 통해 인가된 전압을 통전할 수 있는 형태를 구성하며, 이에 전극부인 금속 전극의 저항과 발열부인 탄소섬유층의 저항 사이에 중간 저항 구역이 되어 급격한 전압강하에 따른 발열 집중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즉, 그래핀이 코팅된 탄소섬유층은 함침영역의 전기 저항이 상기 함침영역을 제외한 비함침 영역의 전기저항보다 낮게 되며, 금속 전극은 전기 저항이 상기 함침영역의 전기 저항보다 낮게 된다.
탄소섬유층은 발열부의 역할을 한다. 탄소섬유층은 탄소섬유 다발 또는 시트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탄소섬유는 PAN계(폴리아크릴로니트릴계), 피치계, 레이온계 뿐만 아니라, 섬유상을 가진 탄소함유 소재가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탄소섬유는 1차원적으로 신장된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탄소섬유의 섬유 길이에 특별한 제한은 없다.
예를 들면, 탄소섬유 시트는 부직포형태로 약 1~30mm 길이로 잘려진 촙 상태의 탄소섬유를 사용하여 바인더를 첨가하고, 습식 장치를 통해 제조된 탄소섬유 부직포일 수 있다.
이때, 바인더로는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PVdF)로 대표되는 우레탄기, 에폭시기, 카르복실기, 카르보닐기, 아크릴기, 히드록시기, 에스테르기, 에테르기, 비닐아세테이트기, 아미드기, 이미드기, 말레인산기를 포함하는 유기계 바인더 혹은 폴리비닐피롤리돈(PVP),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EE), 스티렌부타디엔러버(SBR),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CMC) 및 폴리비닐알코올(PVA) 등 수계 바인더를 제조 용도에 맞게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그 함량은 사용된 탄소섬유의 함량 및 제조하고자 하는 탄소섬유 시트의 두께 및 전도도를 고려하여 결정할 수 있다. 이때, 분산 안정성을 높이는 점도 향상의 목적으로 셀룰로스, 커드란, 타마리드, 젤라틴, 구아검, 펙틴, LBG, 카라기난, 곤약, 알긴산, 아라빅, 젤란, 잔탄 등을 추가하여 사용할 수 있다.
그래핀은 탄소섬유가 공정상 상대적으로 밀도가 높은 조밀부와 밀도가 낮은 소밀부가 임의적으로 형성되므로,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그래핀은 산화물 상태의 그래핀(GO), 그래핀(GP), 그래핀 산화물(GO)이 환원된 상태의 그래핀(RFO)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래핀은 얇은 막 형태 또는 액상으로 사용될 수 있다. 그래핀은 10~3,000㎡/g의 표면적을 가지고 탄성계수는 800∼ 인장강도는 100∼GPa 로 구성된다.
금속 전극은 구리, 알루미늄, 은, 니켈, 주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금속일 수 있다.
함침 영역은 도전성 접착제를 그래핀이 코팅된 탄소섬유층의 내부까지 함침시켜 형성되고, 금속 전극의 일면에 부착된다. 발열부인 그래핀이 코팅된 탄소섬유층에 함침되고 전극부인 금속 전극에 접착되는 도전성 접착제의 경우, 금속 전극보다는 높고 탄소섬유층보다는 낮은 비저항 수준을 가질 수 있도록 조성된 도전성 필러가 포함된 접착제이다. 구체적으로, 부직포, 펠트, 시트 등의 형태로 이루어진 그래핀이 코팅된 탄소섬유층의 밀도, 두께 및 기공률 등의 상태에 따라 그래핀이 코팅된 탄소섬유층의 내부로 충분히 함침될 수 있는 수준의 10~15,000cps의 점도를 가진 도전성 접착제를 사용할 수 있다.
여기에서, 그래핀이 코팅된 탄소섬유층의 일부 영역에 함침되는 도전성 접착제는 1~85 중량%의 용제, 01~15 중량%의 폴리머 바인더, 1~55중량%의 도전성 필러를 포함할 수 있다. 각 조성물의 사용량은 그래핀이 코팅된 탄소섬유층과 금속 전극의 저항을 고려하여 도전성 접착제의 비저항의 범위, 그래핀이 코팅된 탄소섬유층의 밀도 및 기공률 등을 고려하여 점도 등 목적에 적합하도록 사용될 수 있다. 폴리머 바인더의 경우, 아크릴레이트수지, 에폭시수지, 폴리에스터, 폴리우레탄,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아마이드, 폴리이미드 및 폴리에테르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전성 필러는 탄소나노튜브, 카본블랙, 분쇄탄소섬유 및 금, 은, 구리 등과 같은 금속분말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용제로는 주로 물이나 알코올, 아세톤, N-메틸피롤리돈(NMP),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글리세린 등과 같은 유기 용제들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우수한 전기적 성능과 높은 함침율을 위해, 도전성 접착제에 단층벽 또는 다층벽으로 이루어진 탄소나노튜브를 혼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전성 접착제는 1~83%의 탄소나노튜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탄소나노튜브의 적정 혼합량은 도전성 접착액을 250도로 건조시킨 후의 고형분 중 7 중량(wt)% 이상으로 할 수 있다.
온도설정부(180)는 상기 커버부(110)에 형성되거나, 몸체부(100)에 형성될 수 있다. 온도설정부(180)는 커버부(110)의 회전량을 감지하고, 감지된 회전량에 따라 발열부(140)의 온도를 높이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온도설정부(180)는 커버부(110)가 몸체부(100)에 잠긴 이후부터 회전하는 회전량을 감지하여, 회전량에 상응하는 온도값을 설정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온도설정부(180)의 회전량에 따른 설정온도는 상술한 디스플레이부(120)에 표시되도록 하여, 사용자가 회전량을 조절하면서 온도를 설정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온도설정부(180)는 커버부(110)와 몸체부(100)의 잠김이 풀리면 0도로 리셋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온도센서(130)는 설정된 시간(예를 들면 수초이내)동안 몸체부(100) 내에 내재된 내용물의 온도를 측정하여 발열제어부(200) 또는 디스플레이부(120)에 제공할 수 있다. 온도센서(130)에서 제공된 온도정보는 실시간으로 디스플레이부(120)에 표시됨으로써, 사용자에게 내용물의 온도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발열제어부(200)에 제공된 온도정보는 통신모듈(220)을 통해 관제서버(300)로 전달될 수 있다.
또한, 발열제어부(200)에 제공된 온도정보는 발열제어부(200)에서 내용물이 설정된 온도까지 남은 시간을 계산하도록 하여, 디스플레이부(120)에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용량측정센서(210)는 광센서, 정전센서, 무게센서 등이 몸체부(100)내에 형성되어 내용물의 준량 또는 용량을 측정하고, 측정된 값을 발열제어부(200) 또는 디스플레이부(120)에 제공할 수 있다.
발열제어부(200)는 발열부(140)의 온도를 제어할 수 있다. 발열제어부(200)는 온도설정부(180) 또는 관제 서버(300)로부터 설정하는 온도정보를 수신하면, 온도정보에 대응하는 필요 전력량을 계산하고, 계산된 전력량이 공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발열제어부(200)는 관제 서버(300)에서 제공되는 제어정보를 수신하여 발열부(140)로 공급되는 전력을 차단하거나, 화재경고 알람을 발생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휴대용 가열 텀블러(10)는 알람을 발생하기 위한 스피커 등이 설치될 수 있다.
발열제어부(200)는 용량측정센서(210)에서 제공되는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1일동안 음용한 용량을 관제 서버(300)에 제공하거나, 디스플레이부(120)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발열제어부(200)는 용량측정센서(210)에서 제공되는 내용물의 용량을 통해 설정된 온도까지 필요한 열량을 계산하여, 설정된 온도까지 내용물의 온도가 도달하는 남은 시간을 디스플레이부(120)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발열제어부(200)는 내용물의 용량 정보와 온도정보를 통신모듈(220)을 통해 관제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
관제 서버(300)는 휴대용 가열 텀블러(10)를 제어하고, 스마트 단말(400)에 휴대용 가열 텀블러(10)의 상태정보 등을 제공하기 위하여 메인제어부(310) 및 통신부(320)를 구비할 수 있다.
메인 제어부(310)는 온도센서(130)에서 측정된 온도정보를 미리 설정된 임계값과 비교하여 휴대용 가열 텀블러(10)의 상태정보를 생성하고, 상태정보에 기초하여 발열제어부(200)에 제공되는 제어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메인 제어부(310)는 온도정보 등을 이용하여 휴대용 가열 텀블러(10)의 커버부 개폐상태, 발열부 동작 상태 등을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메인제어부(310)는 온도정보가 수신되면 설정된 임계 값과 실시간으로 비교한다. 이때, 임계 값은 여러 개일 수 있다. 메인 제어부(310)는 온도정보만으로 발열부(140)의 상태를 감지하여 설정된 온도 값보다 높을 경우 발열부(140)가 과열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발열부(140)를 오프시키도록 하는 제어정보를 휴대용 가열 텀블러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메인제어부(310)는 수신된 온도정보가 임계 값보다 낮을 경우, 발열부(140)를 동작시키도록 하는 제어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메인 제어부(310)는 알람을 발생하도록 하는 제어정보를 동시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메인 제어부(310)는 수신된 온도정보가 임계 값보다 낮을 경우, 발열부(140) 이상, 케이블 연결 상태 또는 휴대용 배터리의 방전 등을 알리는 알람을 사용자의 스마트 단말(400) 또는 휴대용 가열 텀블러(10)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메인 제어부(310)는 스마트 단말(400)에서 제공되는 예약정보를 통해 설정된 시간에 휴대용 가열 텀블러(10)의 발열부(140)를 동작시킬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정시에 음용할 약, 음료 등의 정보를 미리 스마트 단말(400)에 저장하여 메인 제어부(310)에 등록하며, 메인 제어부(310)는 설정된 시간이 되면 휴대용 가열 텀블러(10)의 발열부(140)를 동작시킬 수 있다. 이때, 메인 제어부(310)는 휴대용 가열 텀블러(10)에서 수신된 음료의 양, 온도 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통해 상태정보를 확인하여 사용자의 스마트 단말(400)을 통해 상태 정보를 전송한다. 즉, 휴대용 가열 텀블러(10)의 커버부(110)가 열려 있을 경우 음용할 약, 음료 등을 두입하도록 하는 알람을 제공하거나, 음료가 내재되지 않아 급속하게 운도가 상승할 경우 이를 제어하고 사용자에게 알람을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메인 제어부(310)는 휴대용 가열 텀블러(10)에서 입력되는 물의 양과 온도정보를 수집하여 적절한 온도로 가열되도록 제어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휴대용 가열 텀블러(10)에 제공하여 온도를 제어한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IoT 커넥티드 휴대용 가열 텀블러 관제 서버는 휴대용 가열 텀블러에서 입력되는 정보들을 이용하여 이를 제어하고, 화재 예방 등을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3)

  1. IoT 커넥티드 휴대용 가열 텀블러 관리 서버에 있어서,
    IoT 커넥티드 휴대용 가열 텀블러에 설치된 온도 센서로부터 수신한 온도 정보를 미리 설정된 복수의 임계 값과 비교하여 상태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상태정보에 기초하여 제1 제어정보를 생성하는 제어부;
    상기 온도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상태정보는 미리 설정된 스마트폰으로 전송하고, 제1 제어 정보를 IoT 커넥티드 휴대용 가열 텀블러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IoT 커넥티드 휴대용 가열 텀블러 관리 서버.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스마트폰으로부터 제2 제어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IoT 커넥티드 휴대용 가열 텀블러로 수신한 제2 제어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커넥티드 휴대용 가열 텀블러 관리 서버.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정보는 화재 방지를 위한 발열부 전원 차단 또는 경고 알람 출력 제어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커넥티드 휴대용 가열 텀블러 관리 서버.
KR1020190155028A 2019-11-28 2019-11-28 화재 방지를 위한 IoT 커넥티드 휴대용 가열 텀블러 관제 서버 KR2021006614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5028A KR20210066143A (ko) 2019-11-28 2019-11-28 화재 방지를 위한 IoT 커넥티드 휴대용 가열 텀블러 관제 서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5028A KR20210066143A (ko) 2019-11-28 2019-11-28 화재 방지를 위한 IoT 커넥티드 휴대용 가열 텀블러 관제 서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6143A true KR20210066143A (ko) 2021-06-07

Family

ID=763747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5028A KR20210066143A (ko) 2019-11-28 2019-11-28 화재 방지를 위한 IoT 커넥티드 휴대용 가열 텀블러 관제 서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6614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82737B1 (ko) * 2022-03-31 2023-09-25 주식회사 에너자이 시계열 이상 감지 모델의 경량화 방법, 및 경량화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82737B1 (ko) * 2022-03-31 2023-09-25 주식회사 에너자이 시계열 이상 감지 모델의 경량화 방법, 및 경량화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Lekakou et al. Carbon‐based fibrous EDLC capacitors and supercapacitors
Zhang et al. Core–sheath stretchable conductive fibers for safe underwater wearable electronics
CN206214260U (zh) 一种可穿戴电加热系统
CN103460467B (zh) 电池用导电性多孔层及其制造方法
Pan et al. Electrospun mat of poly (vinyl alcohol)/graphene oxide for superior electrolyte performance
CN101589116B (zh) 亲水性碳黑聚集体、制备其的方法、包含其的亲水性组合材料及用于燃料电池的双极板
KR20210066143A (ko) 화재 방지를 위한 IoT 커넥티드 휴대용 가열 텀블러 관제 서버
CN103106950A (zh) 一种导电泡沫及其制备方法
Reich et al. Polymer nanofibre composite nonwovens with metal-like electrical conductivity
KR20210066144A (ko) 화재 방지를 위한 IoT 커넥티드 휴대용 가열 텀블러 관제 시스템
CN110906858A (zh) 一种无纺复合材料、结构应变传感器、分布式监测系统及方法
KR20210066149A (ko) 육아 건강 관리를 위한 IoT 커넥티드 휴대용 가열 텀블러 관제 시스템
KR20210066146A (ko) 음료 건강 관리를 위한 IoT 커넥티드 휴대용 가열 텀블러 관제 서버
KR20210066960A (ko) 음료 건강 관리를 위한 IoT 커넥티드 휴대용 가열 텀블러 관제 시스템
CN102130314A (zh) 一种新型pvc/橡胶复合微孔隔板
KR20210066148A (ko) 육아 건강 관리를 위한 IoT 커넥티드 휴대용 가열 텀블러 관제 서버
Yang et al. Multifunctional conductive sponge with excellent superhydrophobicity, piezoresistivity, electro/light to heat conversion, and oil/water separation performance
KR20210050904A (ko) 휴대용 가열 텀블러
Hong et al. Polypyrrole nanofoam/carbon nanotube multilayered electrode for flexible electrochemical capacitors
KR20210050903A (ko) IoT 커넥티드 휴대용 가열 텀블러 관제 서버
CN109799012A (zh) 一种基于纤维素的类三明治结构压力传感器及其制备方法
KR20210079585A (ko) 휴대용 가열 텀블러
KR20200126693A (ko) 발열기능을 구비한 그래핀 코팅 탄소섬유 의류
KR20210079583A (ko) 휴대용 가열 텀블러
KR20210059172A (ko) 휴대용 가열 텀블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