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65632A - Smart air conditioning system using enclosure of ESS and method therefor - Google Patents

Smart air conditioning system using enclosure of ESS and method theref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65632A
KR20210065632A KR1020190154615A KR20190154615A KR20210065632A KR 20210065632 A KR20210065632 A KR 20210065632A KR 1020190154615 A KR1020190154615 A KR 1020190154615A KR 20190154615 A KR20190154615 A KR 20190154615A KR 20210065632 A KR20210065632 A KR 202100656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conditioning
air
temperature
regions
area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461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331618B1 (en
Inventor
전현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이에너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이에너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이에너지
Priority to KR10201901546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1618B1/en
Publication of KR202100656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563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16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161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6Heat-exchange relationships between the cells and other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or fuel cells
    • H01M10/663Heat-exchange relationships between the cells and other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or fuel cells the system being an air-conditioner or an engin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8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 H01M10/482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for several batteries or cells simultaneously or sequential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8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 H01M10/486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for measuring tempera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2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1M10/627Stationary installations, e.g. power plant buffering or backup power suppl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3Control systems
    • H01M10/633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algorithms, flow charts, software details or the lik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5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 H01M10/655Solid structures for heat exchange or heat conduction
    • H01M10/6556Solid parts with flow channel passages or pipes for heat exchang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5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 H01M10/656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heat-exchange fluid
    • H01M10/6561Gases
    • H01M10/6566Means within the gas flow to guide the flow around one or more cells, e.g. manifolds, baffles or other barri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5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 H01M10/658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by thermal insulation or shield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33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physical properties of casings or racks, e.g. dimensions
    • H01M50/24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physical properties of casings or racks, e.g. dimensions adapted for protecting batteries from their environment, e.g. from corros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51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specially adapted for stationary devices, e.g. power plant buffering or backup power suppl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10Batteries in stationary systems, e.g. emergency power source in pla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valuates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inside an energy storage facility in various ways, and performs air conditioning inside the energy storage facility based on the evaluation.

Description

ESS의 외함을 이용한 스마트 공조 시스템 및 이를 위한 방법{Smart air conditioning system using enclosure of ESS and method therefor}Smart air conditioning system using enclosure of ESS and method therefor

본 발명은 ESS의 공조 기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ESS의 외함을 이용한 스마트 공조 시스템 및 이를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SS air conditioning technology, and more particularly, to a smart air conditioning system using an ESS enclosure and a method therefor.

에너지 저장은 장치 혹은 물리적 매체를 이용하여 에너지를 저장하는 것을 말한다. 이에 쓰이는 장치를 축압기라고 하고, 더 넓은 범위의 시스템 전체를 에너지 저장 시스템(ESS: Energy Storage System)이라고 한다. 일반 가정에서 사용하는 건전지나 전자제품에 사용하는 소형 배터리도 전기에너지를 다른 에너지 형태로 변환하여 저장할 수 있지만 이런 소규모 전력저장장치를 ESS라고 말하지는 않고, 일반적으로 수 kWh 이상의 전력을 저장하는 단독 시스템을 ESS라고 한다. Energy storage refers to the storage of energy using a device or a physical medium. The device used for this is called an accumulator, and the entire system in a wider range is called an Energy Storage System (ESS). Even small batteries used in households or small batteries used in electronic products can convert electrical energy into other energy types and store them, but such a small-scale power storage device is not called an ESS, and is a standalone system that generally stores more than several kWh of electricity. is called ESS.

ESS는 전력계통에서 발전, 송배전, 수용가에 설치되어 운영이 가능하며, 주파수 조정(Frequency Regulation), 신재생발전기 출력 안정화, 첨두부하 저감(Peak Shaving), 부하평준화(Load Leveling), 비상전원 등의 기능으로 사용된다. ESS는 전기에너지를 적게 사용할 때 저장하고 필요할 때 공급함으로써 에너지 이용효율 향상, 신재생에너지 활용도 제고 및 전력공급시스템 안정화에 기여할 수 있다. ESS can be installed and operated in the power system for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and distribution, and at the consumer. It can be used for frequency regulation, stabilization of new and renewable generator output, peak shaving, load leveling, emergency power, etc. used as a function. ESS can contribute to improving energy use efficiency, enhancing the utilization of new and renewable energy, and stabilizing the power supply system by storing electric energy when it is used less and supplying it when needed.

에너지 저장은 저장방식에 따라 크게 물리적 에너지저장과 화학적 에너지저장으로 구분할 수 있다. 대표적인 물리적 에너지저장으로는 양수발전과 압축공기저장, 플라이휠 등을 들 수 있으며, 화학적 에너지저장으로는 리튬이온배터리, 리튬인산철(LiFePO4)배터리, 납축전지, NaS 전지 등이 있다. 배터리 형식의 ESS를 BESS(Battery Energy Storage System)라고 하며, 일반적으로 ESS라고 하면 BESS를 의미한다. Energy storage can be largely divided into physical energy storage and chemical energy storage according to the storage method. Representative physical energy storage includes pumped water power generation, compressed air storage, and flywheel, and chemical energy storage includes lithium-ion batteries, lithium iron phosphate (LiFePO4) batteries, lead-acid batteries, and NaS batteries. A battery-type ESS is called a BESS (Battery Energy Storage System), and in general, ESS means BESS.

한국공개특허 제10-2016-0133341호 2016년 11월 22일 공개 (명칭: ESS기능 마이크로 냉난방공조시스템)Korean Patent Laid-Open Patent No. 10-2016-0133341 published on November 22, 2016 (Name: ESS function micro air conditioning system)

본 발명의 목적은 ESS(Energy Storage System)의 외함을 이용하여 단열 및 공조 양자 모두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스마트 공조 시스템 및 이를 위한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mart air conditioning system capable of performing both functions of insulation and air conditioning using the enclosure of an Energy Storage System (ESS) and a method therefor.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저장 설비의 외함을 이용한 스마트 공조 시스템은 전체적으로 중공의 직육면체 형상이며, 상기 직육면체의 상판과, 4방의 측면이 제1 단열층과, 상기 제1 단열층과의 사이에 공기층이 형성되도록 상기 제1 단열층과 소정 간격 이격되어 설치되는 제2 단열층으로 이루어지는 외함과, 상기 외함의 내부에 상기 외함의 내측면을 따라 설치되는 복수의 배터리 랙과, 상기 외함의 외부에 설치되는 공조기와, 각각이 관형이며 상기 공기층을 경유하여 상기 공조기와 상기 배터리 랙 간을 연결하는 복수의 채널을 포함한다. The smart air conditioning system using the enclosure of an energy storage facility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has a hollow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as a whole, and the top plate of the rectangular parallelepiped, and the four sides of the first insulation layer, A plurality of battery racks installed along the inner surface of the enclosure, and an enclosure comprising a second heat insulating layer install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heat insulating lay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to form an air layer between the first heat insulating layer and the inside of the enclosure; , The air conditioner installed on the outside of the enclosure, each of which is tubular and includes a plurality of channels connecting the air conditioner and the battery rack via the air layer.

상기 스마트 공조 시스템은 배터리 랙의 복수의 영역 각각에 설치되어 상기 복수의 영역 각각의 온도를 지속적으로 측정하여 상기 복수의 영역 각각의 온도 변화를 도출하는 복수의 온도 센서를 포함하는 센서부와, 상기 측정된 복수의 영역 각각의 온도 변화의 상관도에 따라 상기 복수의 영역을 복수의 공조 영역으로 구성하고, 공조기를 제어하여 상기 구성된 복수의 공조 영역 각각에 대해 공조를 수행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한다. The smart air conditioning system is installed in each of a plurality of areas of the battery rack, and a sensor unit including a plurality of temperature sensors for continuously measuring the temperature of each of the plurality of areas to derive a temperature change of each of the plurality of areas; The method further includes a controller configured to configure the plurality of regions into a plurality of air conditioning regions according to the degree of correlation of temperature changes of each of the plurality of regions, and control the air conditioner to perform air conditioning for each of the configured plurality of air conditioning regions.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배터리 랙 내부의 공기의 유동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구성된 복수의 공조 영역 각각의 시점에 유입 채널을 할당하고, 상기 구성된 복수의 공조 영역 각각의 온도 및 부피의 곱에 비례하여 상기 공조기의 공조가능용량을 분배하고, 상기 복수의 공조 영역 각각에 할당된 유입 채널을 통해 상기 복수의 공조 영역 각각에 분배된 공조가능용량에 따른 송풍량의 공기가 유입되도록 상기 공조기를 제어한다. The control unit allocates an inflow channel at each time point of the configured plurality of air conditioning regions based on the flow direction of the air inside the battery rack, and is proportional to the product of the temperature and volume of each of the configured plurality of air conditioning regions of the air conditioner The air conditioning capacity is distributed, and the air conditioner is controlled so that air having an airflow amount according to the air conditioning capacity distributed to each of the plurality of air conditioning regions is introduced through an inflow channel allocated to each of the plurality of air conditioning regions.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공조 영역 각각에 상기 배터리 랙에 일 측에 설치된 복수의 채널 중 상기 복수의 공조 영역 각각의 온도 및 부피에 비례하는 수의 채널을 유입 채널로 할당하고, 상기 복수의 공조 영역 각각에 할당된 유입 채널 각각을 통해 균등한 송풍량의 공기가 유입되도록 상기 공조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control unit allocates a number of channels proportional to the temperature and volume of each of the plurality of air conditioning regions among a plurality of channel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battery rack in each of the plurality of air conditioning regions as inflow channels, and the plurality of air conditioning regions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air conditioner is controlled so that an equal amount of air is introduced through each of the inflow channels allocated to each.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저장 설비의 외함을 이용한 스마트 공조 방법은 배터리 랙의 복수의 영역 각각에 설치된 복수의 온도 센서를 통해 상기 복수의 영역 각각의 온도 변화를 지속적으로 측정하는 단계와, 상기 측정된 복수의 영역 각각의 온도 변화의 상관도에 따라 상기 복수의 영역을 복수의 공조 영역으로 구성하는 단계와, 공조기를 제어하여 상기 구성된 복수의 공조 영역 각각에 대해 공조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The smart air conditioning method using the enclosure of the energy storage facility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the temperature of each of the plurality of areas through a plurality of temperature sensors installed in each of the plurality of areas of the battery rack Continuously measuring the change; configuring the plurality of regions into a plurality of air conditioning regions according to the degree of correlation between the measured temperature changes of each of the plurality of regions; and controlling the air conditioner to each of the configured plurality of air conditioning regions Including the step of performing coordination for.

상기 구성된 복수의 공조 영역 각각에 대해 공조를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구성된 복수의 공조 영역 각각의 온도 및 부피에 비례하여 상기 공조기의 공조가능용량을 분배하여 상기 구성된 복수의 공조 영역 각각에 분배된 공조가능용량을 할당하는 단계와, 상기 할당된 공조가능용량에 따라 상기 구성된 복수의 공조 영역 각각에 대해 공조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In the step of performing air conditioning for each of the configured plurality of air conditioning regions, the air conditioning capacity of the air conditioner is distributed in proportion to the temperature and volume of each of the configured plurality of air conditioning regions, and the air conditioning is distributed to each of the configured plurality of air conditioning regions. allocating a capacity; and performing air conditioning for each of the configured air conditioning areas according to the allocated air conditioning capacity.

상기 구성된 복수의 공조 영역 각각에 대해 공조를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공조 영역 각각의 온도 및 부피에 비례하여 상기 배터리 랙에 일 측에 설치된 복수의 채널을 분배하는 단계와, 상기 복수의 공조 영역 각각에 상기 분배된 복수의 채널을 할당하는 단계와, 상기 배터리 랙의 내부로 상기 할당된 공기 유입 채널을 통해 상기 공조기로부터 공기가 유입되도록 상기 공조기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The step of performing air conditioning for each of the configured plurality of air conditioning regions comprises the steps of distributing a plurality of channels installed on one side in the battery rack in proportion to the temperature and volume of each of the plurality of air conditioning regions, and the plurality of air conditioning regions Allocating the plurality of distributed channels to each, and controlling the air conditioner so that air is introduced from the air conditioner through the allocated air inlet channel into the interior of the battery rack.

본 발명에 따르면, 외함에 2중의 단열층 사이의 공기층을 형성하여 단열을 수행함과 동시에 해당 공기층을 공조기의 공기 조화를 위한 공기 유동의 통로로 이용함으로써 공간을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온도 변화의 상관관계가 있는 영역을 공조 영역으로 구분하여 구분된 공조 영역 별로 공조를 수행함으로써 효율적으로 공기 조화를 수행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pace can be effectively used by forming an air layer between the double heat insulating layers in the enclosure to perform heat insulation and at the same time using the air layer as a passage for air flow for air conditioning of the air conditioner. In particula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ir conditioning can be efficiently performed by dividing a region having a correlation of temperature change into an air conditioning region and performing air conditioning for each divided air conditioning reg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저장 설비의 기능적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저장 설비의 개략적인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A-A 부분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B 영역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3의 C 영역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저장 설비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저장 설비의 공기 조화를 수행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저장 설비의 공기 조화를 수행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공조 영역에 대한 공조 방법을 설명하기 흐름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공조 영역에 대한 공조 방법을 설명하기 흐름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저장 설비의 공기 조화를 수행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저장 설비의 공기 조화를 수행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저장 설비의 공기 조화를 수행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클러스터 영역에 대한 공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6 및 도 1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저장 설비의 공기 조화를 수행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functional configuration of an energy storage facil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chematic structure of an energy storage facil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cross-section taken along line AA of FIG.
FIG. 4 is an enlarged view of area B of FIG. 3 .
FIG. 5 is an enlarged view of region C of FIG. 3 .
6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of an energy storage facil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performing air conditioning of an energy storage facility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view for explaining a method of performing air conditioning of an energy storage facility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air conditioning method for a plurality of air conditioning area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air conditioning method for a plurality of air conditioning area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performing air conditioning of an energy storage facility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and 13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 method of performing air conditioning of an energy storage facility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performing air conditioning of an energy storage facility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air conditioning method for a plurality of cluster areas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6 and 17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 method of performing air conditioning of an energy storage facility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Prior to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s or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described below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ir ordinary or dictionary meanings, and the inventors should develop their own inventions in the best way. For explanation, it should be interpreted as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principle that it can be appropriately defined as a concept of a term.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and the configurations shown in the drawings are only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represent all the technical ideas of the present invention, so various equivalents that can replace them at the time of the present applica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may be water and variations.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마찬가지의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is case,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components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indica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much as possible. In addition, detailed descriptions of well-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that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For the same reason, some components are exaggerated, omitted, or schematically illustrated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the size of each component does not fully reflect the actual size.

먼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저장 설비(ESS: Energy Storage System)의 기능적인 구성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저장 설비의 기능적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First, a functional configuration of an energy storage system (E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functional configuration of an energy storage facil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기능적인 측면에서 에너지 저장 설비(ESS)는 에너지를 저장하기 위한 복수의 단위 저장 장치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최소의 단위 저장 장치는 배터리 셀이다. 배터리 셀은 이차전지이며, 니켈-카드뮴 전지(NiCd), 니켈수소축전지(NiMH), 리튬이온전지(Li-ion), 리튬이온폴리머전지(Li-ion polymer) 등을 예시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배터리 셀이 하나의 배터리모듈을 형성한다. 또한, 복수의 배터리모듈은 하나의 배터리 랙(20)을 형성한다. 그리고 복수의 배터리 랙(20)은 하나의 배터리 컨테이너(BC)를 이룬다. Referring to FIG. 1 , from a functional point of view, an energy storage facility (ESS) includes a plurality of unit storage devices for storing energy.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mallest unit storage device is a battery cell. The battery cell is a secondary battery, and may be, for example, a nickel-cadmium battery (NiCd), a nickel hydride battery (NiMH), a lithium ion battery (Li-ion), or a lithium ion polymer battery (Li-ion polymer). As shown, a plurality of battery cells form one battery module. In addition, a plurality of battery modules form one battery rack (20). And a plurality of battery racks 20 form one battery container (BC).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저장 설비(ESS: Energy Storage System)의 개략적인 구조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저장 설비의 개략적인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A-A 부분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B 영역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그리고 도 5는 도 3의 C 영역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Next, a schematic structure of an energy storage system (E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chematic structure of an energy storage facil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cross-section taken along line A-A of FIG. 2 . FIG. 4 is an enlarged view of area B of FIG. 3 . And FIG. 5 is an enlarged view of region C of FIG. 3 .

먼저,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저장 설비(ESS)는 기본적으로, 전체적으로 중공의 직육면체 형상인 외함(10), 외함(10) 내부에 설치되는 복수의 배터리 랙(20) 및 공조기(30)를 포함한다. First, referring to FIG. 2 , an energy storage facility (E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basically a hollow rectangular parallelepiped-shaped enclosure 10, a plurality of battery racks 20 installed inside the enclosure 10 ) and an air conditioner 30 .

외함(10)은 도 1에서 설명된 배터리 컨테이너(BC)의 외형을 형성한다. 도 3의 B 영역과, C 영역,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외함(10)의 상판 및 4방의 측벽은 상판 및 측벽에 시공되는 면상의 제1 단열층(11)과, 제1 단열층(11)과 평행을 유지하면서 소정 간격 이격되어 설치되는 면상의 제2 단열층(13)으로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제1 단열층(11)과 제2 단열층(13) 사이에 공기층(12)이 형성된다. The enclosure 10 forms the outer shape of the battery container BC described in FIG. 1 . 3, the B region and the C region, referring to FIGS. 4 and 5 , the upper plate and the side walls of the four rooms of the enclosure 10 are the first insulating layer 11 and the first insulating layer ( 11) and the second heat insulating layer 13 is install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while maintaining the parallel. Accordingly, the air layer 12 is formed between the first heat insulating layer 11 and the second heat insulating layer 13 .

배터리 랙(20)은 외함(10)의 내측면을 따라 설치된다. 배터리 랙(20)은 도 1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복수의 배터리 모듈을 포함한다. 배터리 랙(20)은 일반적으로, 복수의 배터리 모듈이 적층된 타워형이고, 본 발명의 실시예서 배터리 랙(20)을 타원형을 기준으로 설명할 것이다. 하지만, 본 발명을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복수의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는 형식이면 그 형태의 무관하다. Battery rack 20 is installed along the inner surface of the enclosure (10). The battery rack 20 includes a plurality of battery modules, as described in FIG. The battery rack 20 is generally a tower type in which a plurality of battery modules are stacked, and the battery rack 20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ased on an oval shape.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form is irrelevant as long as it includes a plurality of battery modules.

공조기(30)는 외함(10)의 외부에 설치되며, 관형의 복수의 채널(CH)을 통해 배터리 컨테이너(BC)의 공기 조화를 수행한다. 즉, 공조기(30)는 복수의 채널(CH)을 통해 배터리 컨테이너(BC)에 공조를 위한 공기, 즉, 냉기, 온기 및 습기 및 건기 중 적어도 하나의 속성을 가지는 공기를 공급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채널(CH)은 배터리 컨테이너(BC) 외함의 공기층(12)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특히, 공조기(30)는 외함(10)의 공기층을 통해 형성된 채널(CH)을 통해 외함(10)의 내측면을 따라 설치된 배터리 랙(20)에 공조를 위한 공기를 공급할 수 있다.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채널(CH)은 공조기(30)로부터 시작해서 외함(10)의 공기층(11)을 경유하여 배터리 랙(20)에 직접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5에서 도면부호 FL은 공조기(30)의 공조를 위한 공기의 유동 경로를 나타내며, 공조를 위한 공기의 유동 경로(FL)는 공조기(30)로부터 채널(CH)이 형성된 외함(10)의 공기층(11)을 경유하여 배터리 랙(20)에 직접 연결될 수 있다. The air conditioner 30 is installed outside the enclosure 10 and performs air conditioning of the battery container BC through a plurality of tubular channels CH. That is, the air conditioner 30 may supply air for air conditioning to the battery container BC through the plurality of channels CH, that is, air having at least one attribute of cold air, warm air, and moisture and dry air. In this case, the plurality of channels CH may be formed through the air layer 12 of the battery container BC. In particular, the air conditioner 30 may supply air for air conditioning to the battery rack 20 installed along the inner surface of the enclosure 10 through the channel CH formed through the air layer of the enclosure 10 . That is, as shown in FIG. 5 , the channel CH may be formed to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battery rack 20 via the air layer 11 of the enclosure 10 starting from the air conditioner 30 . In FIG. 5 , reference numeral FL denotes a flow path of air for air conditioning of the air conditioner 30 , and the flow path FL of air for air conditioning is an air layer of the enclosure 10 in which a channel CH is formed from the air conditioner 30 .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battery rack 20 via (11).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저장 설비의 추가적인 구성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저장 설비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Next, an additional configuration of an energy storage facil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6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of an energy storage facil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저장 설비는 전술한 외함(10), 배터리 랙(20) 및 공조기(30) 외에 센서부(100), 송풍부(200), 제어부(300)를 더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6 , the energy storage facil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ensor unit 100 , a blower unit 200 , and a control unit 300 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enclosure 10 , battery rack 20 and air conditioner 30 . ) is further included.

센서부(100)는 배터리 랙(20) 내부에 설치되며,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센서 및 습도를 측정하는 습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The sensor unit 100 is installed inside the battery rack 20, and may include a temperature sensor for measuring temperature and a humidity sensor for measuring humidity.

송풍부(200)는 복수의 팬을 포함한다. 송풍부(200)의 복수의 팬은 배터리 랙(20) 각각의 상부 및 하부에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송풍부(200)는 제어부(300)의 제어에 따라 복수의 팬 각각을 선택적으로 가동할 수 있다. The blower 200 includes a plurality of fans. A plurality of fans of the blower 200 may be installed i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battery rack 20, respectively. The blower 200 may selectively operate each of the plurality of fans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300 .

제어부(300)는 에너지 저장 설비의 전반적인 동작 및 에너지 저장 설비의 기능 모듈, 즉, 공조기(30), 센서부(100) 및 송풍부(200)를 제어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제어부(300)는 중앙처리장치(CPU: Central Processing Unit), 마이크로제어기(MCU: Micro Controller Unit), 디지털신호처리기(DSP: Digital Signal Processor) 등이 될 수 있다. 이러한 제어부(300)의 동작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더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The control unit 300 is for controlling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energy storage facility and functional modules of the energy storage facility, that is, the air conditioner 30 , the sensor unit 100 , and the blower unit 200 . The control unit 300 may be a central processing unit (CPU), a micro controller unit (MCU), a digital signal processor (DSP), or the like. The operation of the control unit 30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elow.

그러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저장 설비의 공기 조화를 수행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저장 설비의 공기 조화를 수행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저장 설비의 공기 조화를 수행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저장 설비의 공기 조화를 수행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Next, a method of performing air conditioning of an energy storage facil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First, a method of performing air conditioning of an energy storage facility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performing air conditioning of an energy storage facility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view for explaining a method of performing air conditioning of an energy storage facility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랙(20)은 복수의 배터리모듈(BM)이 수직 방향으로 적층되어 형성된다. 이때, 상하의 배터리모듈(BM) 상호간은 소정 간격 이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배터리 랙(20)의 측면에는 복수의 채널(20)이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랙(20) 내부는 동일한 부피를 가지는 복수의 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다. 예컨대, 도시된 바와 같이, 배터리 랙(20) 내부는 n개의 영역(R1, R2, ... Rn)으로 구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센서부(100)의 복수의 온도 센서는 복수의 영역(R1 내지 Rn) 각각에 설치된다. First, referring to Figure 8, the battery rack 2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by stacking a plurality of battery modules (BM) in a vertical direction.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upper and lower battery modules BM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In addition, a plurality of channels 20 are formed on the side of the battery rack 20 . In addition, the inside of the battery rack 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divided into a plurality of regions having the same volume. For example, as shown, the inside of the battery rack 20 may be divided into n areas (R1, R2, ... Rn). In addition, a plurality of temperature sensors of the sensor unit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stalled in each of the plurality of regions R1 to Rn.

이제, 도 7을 참하면, 제어부(300)는 S110 단계에서 소정 기간 동안 센서부(100)의 복수의 온도 센서를 통해 복수의 영역(R1 내지 Rn) 각각의 온도를 지속적으로 측정하여 복수의 영역(R1 내지 Rn) 각각의 온도 변화를 도출한다. Now, referring to FIG. 7 , the controller 300 continuously measures the temperature of each of the plurality of regions R1 to Rn through the plurality of temperature sensors of the sensor unit 100 for a predetermined period in step S110 to measure the temperature of the plurality of regions. (R1 to Rn) Each temperature change is derived.

이어서, 제어부(300)는 S120 단계에서 복수의 영역(R1 내지 Rn) 중 이웃하는 영역 간의 온도 변화의 상관도를 산출한다. 예컨대, 어느 하나의 영역을 제1 영역이라고 하고, 제1 영역에 이웃하는 영역을 제2 영역이라 할 때, 두 영역 간의 온도 변화의 상관도는 다음의 수학식 1에 따라 산출될 수 있다. Next, the controller 300 calculates a correlation of temperature changes between neighboring regions among the plurality of regions R1 to Rn in step S120 . For example, when any one area is referred to as a first area, and an area adjacent to the first area is referred to as a second area, the correlation of temperature change between the two areas may be calculated according to Equation 1 below.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1

여기서,

Figure pat00002
은 두 영역 간의 온도 변화의 상관도를 나타낸다. a는 제1 영역의 측정된 온도이고,
Figure pat00003
는 제1 영역의 측정된 온도의 평균이고,
Figure pat00004
는 제1 영역의 측정된 온도의 표준 편차이다. 또한, b는 제2 영역의 측정된 온도이고,
Figure pat00005
는 제2 영역의 측정된 온도의 평균이고,
Figure pat00006
는 제2 영역의 측정된 온도의 표준 편차이다. 그리고 n은 측정된 온도의 개수이고, i는 측정된 온도의 인덱스이다. here,
Figure pat00002
shows the correlation of temperature change between the two regions. a is the measured temperature of the first region,
Figure pat00003
is the average of the measured temperatures of the first region,
Figure pat00004
is the standard deviation of the measured temperature of the first region. Also, b is the measured temperature of the second region,
Figure pat00005
is the average of the measured temperatures of the second region,
Figure pat00006
is the standard deviation of the measured temperature of the second region. And n is the number of measured temperatures, and i is the index of the measured temperature.

이어서, 제어부(300)는 S130 단계에서 앞서 산출된 온도 변화의 상관도에 따라 복수의 공조 영역을 구성한다. 예컨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300)는 복수의 영역(R1 내지 Rn)을 복수의 공조 영역(AA1 내지 AAm)으로 구성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1 영역(R1)과 제2 영역(R2)의 상관도가 기 설정된 기준 수치(예컨대, 0.5) 이상이고, 제2 영역(R2)과 제3 영역(R3)의 상관도가 소정의 기준 수치 미만이라고 가정한다. 그러면, 제어부(30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영역(R1)을 제외한 제1 영역(R1)과 제2 영역(R2)을 하나의 영역으로 묶어 제1 공조 영역(AA1)을 구성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나머지 영역을 복수의 공조 영역(AA1 내지 AAm)으로 구성할 수 있다. Next, the control unit 300 configures a plurality of air conditioning zones according to the correlation of the temperature change calculated previously in step S130 . For example, as shown in FIG. 8 , the controller 300 may configure the plurality of areas R1 to Rn into the plurality of air conditioning areas AA1 to AAm. More specifically, the correlation between the first region R1 and the second region R2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set reference value (eg, 0.5), an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second region R2 and the third region R3 It is assumed that the degree is less than a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Then, as shown in FIG. 8 , the control unit 300 binds the first area R1 and the second area R2 excluding the third area R1 into one area to form the first air conditioning area AA1. make up In this way, the remaining area may be configured as a plurality of air conditioning areas AA1 to AAm.

다음으로, 제어부(300)는 S140 단계에서 복수의 공조 영역(AA1 내지 AAm) 각각의 온도와 부피를 산출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복수의 영역(R1 내지 Rn)은 동일한 부피를 가지며, 복수의 영역(R1 내지 Rn) 각각에 온도 센서가 온도를 측정하기 때문에 공조 영역(AA)의 온도는 공조 영역(AA)에 포함된 영역(R)의 온도의 평균이고, 공조 영역(AA)의 부피는 공조 영역(AA)에 포함된 영역(R)의 부피의 합이다. Next, the controller 300 calculates the temperature and volume of each of the plurality of air conditioning areas AA1 to AAm in step S140 . As described above, the plurality of regions R1 to Rn have the same volume, and since a temperature sensor measures the temperature in each of the plurality of regions R1 to Rn, the temperature of the air conditioning area AA is determined by the air conditioning area AA. is the average of the temperatures of the regions R included in the , and the volume of the air conditioning region AA is the sum of the volumes of the regions R included in the air conditioning region AA.

이어서, 제어부(300)는 S150 단계에서 앞서 산출된 복수의 공조 영역(AA1 내지 AAm) 각각의 온도와 부피에 따라 복수의 공조 영역(AA1 내지 AAm) 별로 공조를 수행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배터리 랙(20) 내부 공간을 온도 변화의 상관도에 따라 복수의 공조 영역(AA1 내지 AAm)으로 구분함으로써, 배터리 랙(20) 내부 공간을 유사한 온도 변화의 속성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동일한 속성을 가지는 영역 별로 공조를 수행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인 공조를 제공할 수 있다. Next, the controller 300 performs air conditioning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air conditioning areas AA1 to AAm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and volume of each of the plurality of air conditioning areas AA1 to AAm calculated in step S150 . As such, the present invention divides the internal space of the battery rack 20 into a plurality of air conditioning areas (AA1 to AAm) according to the degree of correlation of temperature change, so that the internal space of the battery rack 20 can be divided into similar properties of temperature change. have. Accordingly, more efficient air conditioning can be provided by performing air conditioning for each area having the same property.

그러면, 전술한 S150 단계의 공조 방법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공조 영역에 대한 공조 방법을 설명하기 흐름도이다. 강조하면, 도 9는 S150 단계의 일 실시예이다. Then, the above-described air conditioning method of step S15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9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air conditioning method for a plurality of air conditioning area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emphasize, FIG. 9 is an embodiment of step S150.

도 9를 참조하면, 제어부(300)는 S210 단계에서 배터리 랙(20) 내부의 공기의 유동 방향을 기준으로 복수의 공조 영역 각각의 시점에 유입 채널을 할당하고, 배터리 랙(20) 내부의 공기의 유동 방향의 종점에 유출 채널을 할당한다. 이때, 제어부(300)는 배터리 랙(20) 내부의 공기의 유동이 불안정한 경우, 즉, 한쪽 방향이 아닌 경우, 송풍부(200)를 제어하여 배터리 랙(20)의 상부, 하부 혹은 어느 일 측에 설치된 팬(FAN)을 가동하여 인위적으로 배터리 랙(20) 내부의 공기가 한쪽 방향으로 유동하도록 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9 , the control unit 300 allocates an inflow channel at each time point of a plurality of air conditioning regions based on the flow direction of the air inside the battery rack 20 in step S210, and the air inside the battery rack 20 Assign an outflow channel to the endpoint of the flow direction. At this time, when the flow of air inside the battery rack 20 is unstable, that is, when it is not in one direction, the control unit 300 controls the blower 200 to the upper, lower or either side of the battery rack 20 . By operating a fan (FAN) installed in the battery rack 20 can be artificially made to flow in one direction.

일례로, 도 8을 참조하면, 공기의 유동 방향은 아래에서 윗방향이라고 가정한다. 그러면, 공기의 유동 방향인 아래에서 윗방향을 기준으로 제1 공조 영역(AA1)의 시점의 채널은 제1 채널(CH1)이다. 따라서 제1 채널(CH1)을 제1 공조 영역(AA1)의 유입 채널로 할당할 수 있다. 또한, 제m 공조 영역(AAm)의 시점의 채널은 제k-4 채널(CHk-4)이며, 제k-4 채널(CHk-4)을 제m 공조 영역(AAm)의 유입 채널로 할당할 수 있다. 그리고, 제k 채널(CHk)을 제m 공조 영역(AAm)의 유입 채널로 할당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배터리 랙(20) 내부의 공기의 유동 방향이 아래에서 윗방향일 때, 그 유동 방향의 종점은 제k 채널(CHk)이기 때문에 제k 채널(CHk)을 유출 채널로 할당할 수 있다. For example, referring to FIG. 8 , it is assumed that the flow direction of air is from the bottom to the top. Then, the channel at the time of the first air conditioning area AA1 is the first channel CH1 based on the upward direction from the bottom, which is the flow direction of the air. Accordingly, the first channel CH1 may be allocated as the inflow channel of the first air conditioning area AA1 . In addition, the channel at the time of the mth air conditioning area AAm is the k-4th channel CHk-4, and the k-4th channel CHk-4 is allocated as the inflow channel of the mth air conditioning area AAm. can In addition, the k th channel CHk may be allocated as an inflow channel of the m th air conditioning area AAm. As such, when the flow direction of the air inside the battery rack 20 is from bottom to top, the end point of the flow direction is the k-th channel (CHk), so that the k-th channel (CHk) can be assigned as an outlet channel. .

다른 예로, 도 8을 참조하면, 공기의 유동 방향이 위에서 아랫방향이라고 가정한다. 그러면, 공기의 유동 방향인 위에서 아랫방향을 기준으로 제1 공조 영역(AA1)의 시점의 채널은 제5 채널(CH1)이며, 제5 채널(CH1)을 제1 공조 영역(AA1)의 유입 채널로 할당할 수 있다. 또한, 제m 공조 영역(AAm)의 시점의 채널은 제k 채널(CHk)이며, 제k 채널(CHk)을 제m 공조 영역(AAm)의 유입 채널로 할당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배터리 랙(20) 내부의 공기의 유동 방향이 위에서 아랫방향일 때, 그 유동 방향의 종점은 제1 채널(CH1)이기 때문에 제1 채널(CH1)을 유출 채널로 할당할 수 있다. As another example, referring to FIG. 8 , it is assumed that the flow direction of air is from top to bottom. Then, the channel at the time point of the first air conditioning area AA1 is the fifth channel CH1, and the fifth channel CH1 is the inflow channel of the first air conditioning area AA1 based on the top down direction, which is the flow direction of the air. can be assigned as Also, the channel at the time of the m-th air conditioning area AAm may be the k-th channel CHk, and the k-th channel CHk may be allocated as the inflow channel of the m-th air conditioning area AAm. As such, when the flow direction of the air inside the battery rack 20 is from top to bottom, the end point of the flow direction is the first channel (CH1), so that the first channel (CH1) can be assigned as an outlet channel.

다음으로, 제어부(300)는 S220 단계에서 복수의 공조 영역 각각의 온도 및 부피의 곱에 비례하여 공조기(30)의 공조가능용량을 분배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공조기(30)의 공조가능용량은 단위 시간 동안 공조에 할당할 수 있는 에너지의 양을 의미한다. 예컨대, 공조가능용량의 단위는 kw/h 될 수 있다. Next, the controller 300 distributes the air conditioning capacity of the air conditioner 30 in proportion to the product of the temperature and volume of each of the plurality of air conditioning regions in step S220 .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ir conditioning capacity of the air conditioner 30 means an amount of energy that can be allocated to air conditioning for a unit time. For example, the unit of the air conditioning capacity may be kw/h.

예를 들면, 공조기(30)의 공조가능용량이 100kw/h이고, 제1 내지 제3 공조 영역(AA1, AA2, AA3)만 존재한다고 가정한다. 또한, 제1 공조 영역(AA1)의 온도 및 부피는 60도 및 10cm3이고, 제2 공조 영역(AA2)의 온도 및 부피는 45도 및 20cm3이며, 제3 공조 영역(AA3)의 온도 및 부피는 30도 및 10cm3라고 가정한다. 이에 따라, 온도와 부피의 곱의 비는 600 : 900 : 300 = 2 : 3 : 1이다. 이에 따라, 제어부(300)는 제1 내지 제3 공조 영역(AA1, AA2, AA3) 각각에 33.33kw/h, 50kw/h 및 16.66kw/h의 공조가능용량을 분배할 수 있다. For example, it is assumed that the air conditioning capacity of the air conditioner 30 is 100 kw/h, and only the first to third air conditioning areas AA1, AA2, and AA3 exist. In addition, the temperature and volume of the first air conditioning area AA1 are 60 degrees and 10 cm3, the temperature and volume of the second air conditioning area AA2 are 45 degrees and 20 cm3, and the temperature and volume of the third air conditioning area AA3 are Assume 30 degrees and 10 cm3. Accordingly, the ratio of the product of temperature and volume is 600:900:300 = 2:3:1. Accordingly, the control unit 300 may distribute the air conditioning capacity of 33.33 kw/h, 50 kw/h, and 16.66 kw/h to each of the first to third air conditioning areas AA1, AA2, and AA3.

다음으로, 제어부(300)는 S230 단계에서 복수의 공조 영역(AA1 내지 AAm) 각각에 할당된 유입 채널을 통해 복수의 공조 영역(AA1 내지 AAm) 각각에 분배된 공조가능용량에 상응하는 송풍량의 공기가 유입되도록 공조기(30)를 제어한다. 예를 들면,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내지 제3 공조 영역(AA1, AA2, AA3)만 존재하며, 제1 내지 제3 공조 영역(AA1, AA2, AA3) 각각에 분배된 공조가능용량은 33.33kw/h, 50kw/h 및 16.66kw/h이라고 가정한다. 그러면, 제어부(300)는 공조기(30)를 제어하여 제1 공조 영역(AA1)의 유입 채널을 통해 공조가능용량 33.33kw/h에 따른 송풍량으로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고, 제2 공조 영역(AA2)의 유입 채널을 통해 공조가능용량 50kw/h에 따른 송풍량으로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며, 제3 공조 영역(AA3)의 유입 채널을 통해 공조가능용량 16.66kw/h에 따른 송풍량으로 공기가 유입되도록 한다. Next, in step S230 , the control unit 300 controls the air at an airflow amount corresponding to the available air conditioning capacity distributed to each of the plurality of air conditioning areas AA1 to AAm through the inflow channels allocated to each of the plurality of air conditioning areas AA1 to AAm. Controls the air conditioner 30 so that the inflow. For example, as described above, only the first to third air-conditioning areas AA1, AA2, AA3 exist, and the air-conditioning capacity distributed to each of the first to third air-conditioning areas AA1, AA2, AA3 is 33.33 Assume kw/h, 50 kw/h and 16.66 kw/h. Then, the controller 300 controls the air conditioner 30 so that air is introduced through the inflow channel of the first air conditioning area AA1 at an airflow amount according to the air conditioning capacity 33.33 kw/h, and the second air conditioning area AA2. Air is introduced at an airflow rate according to the air conditioning capacity of 50 kw/h through the inlet channel of the air conditioner, and air is introduced through the inlet channel of the third air conditioning area AA3 at an air flow rate according to the air conditioning capacity 16.66 kw/h.

다음으로, 전술한 도 9에서 설명된 S150 단계의 공조 방법의 일 실시예의 대안적인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공조 영역에 대한 공조 방법을 설명하기 흐름도이다. 강조하면, 도 10은 S150 단계의 다른 실시예이다. Next, an alternative embodiment of an embodiment of the air conditioning method of step S150 described in FIG. 9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10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air conditioning method for a plurality of air conditioning area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emphasize, FIG. 10 is another embodiment of step S150.

도 10을 참조하면, 제어부(300)는 S310 단계에서 상기 복수의 공조 영역 각각에 상기 배터리 랙에 일 측에 설치된 복수의 채널 중 복수의 공조 영역 각각의 온도와 부피의 곱에 비례하는 수의 채널을 유입 채널로 할당한다. Referring to Figure 10, the control unit 300 in step S310 in each of the plurality of air conditioning regions of the plurality of channel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battery rack a number of channels proportional to the product of the temperature and volume of each of the plurality of air conditioning regions is assigned as the inlet channel.

예컨대, 배터리 랙(20) 내에 제1 내지 제3 공조 영역(AA1, AA2, AA3)만 존재한다고 가정한다. 또한, 제1 공조 영역(AA1)의 온도 및 부피는 60도 및 10cm3이고, 제2 공조 영역(AA2)의 온도 및 부피는 45도 및 20cm3이며, 제3 공조 영역(AA3)의 온도 및 부피는 30도 및 10cm3라고 가정한다. 이에 따라, 온도와 부피의 곱의 비는 600 : 900 : 300 = 2 : 3 : 1이다. 이에 따라, 제어부(300)는 제1 내지 제3 공조 영역(AA1, AA2, AA3) 각각에 2개, 3개 및 1개의 채널을 유입 채널로 할당할 수 있다. For example, it is assumed that only the first to third air conditioning areas AA1 , AA2 , and AA3 exist within the battery rack 20 . In addition, the temperature and volume of the first air conditioning area AA1 are 60 degrees and 10 cm3, the temperature and volume of the second air conditioning area AA2 are 45 degrees and 20 cm3, and the temperature and volume of the third air conditioning area AA3 are Assume 30 degrees and 10 cm3. Accordingly, the ratio of the product of temperature and volume is 600:900:300 = 2:3:1. Accordingly, the controller 300 may allocate two, three, and one channel to each of the first to third air conditioning areas AA1 , AA2 , and AA3 as inflow channels.

다음으로, 제어부(300)는 S320 단계에서 공조가능용량을 할당된 유입 채널의 수에 따라 균등하게 분배하여 복수의 공조 영역 각각에 할당된 유입 채널 각각을 통해 균등한 송풍량의 공기가 유입되도록 공조기를 제어한다. Next, in step S320 , the control unit 300 distributes the air conditioning capacity equally according to the number of the allocated inflow channels and controls the air conditioner so that air of an equal amount of air is introduced through each of the inflow channels allocated to each of the plurality of air conditioning areas. Control.

예를 들면, 공조기(30)의 공조가능용량이 60kw/h이라고 가정한다. 또한, 앞서 보인 예와 같이, 2개, 3개 및 1개의 채널을 유입 채널로 할당하였다고 가정한다. 총 6개의 유입 채널이 할당되었기 때문에 제어부(300)는 공조가능용량 60kw/h를 균등하게 분배하여 하나의 유입 채널 당 공조가능용량 10kw/h에 따른 송풍량으로 공기가 유입되도록 공조기(30)를 제어한다. For example, it is assumed that the air conditioning capacity of the air conditioner 30 is 60 kw/h. Also, as in the example shown above, it is assumed that 2, 3, and 1 channels are allocated as inflow channels. Since a total of six inflow channels are allocated, the control unit 300 evenly distributes the air conditioning capacity of 60 kw/h and controls the air conditioner 30 so that air is introduced at an air flow rate according to the air conditioning capacity of 10 kw/h per one inflow channel. do.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저장 설비의 공기 조화를 수행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저장 설비의 공기 조화를 수행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저장 설비의 공기 조화를 수행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Next, a method of performing air conditioning of an energy storage facility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11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performing air conditioning of an energy storage facility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and 13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 method of performing air conditioning of an energy storage facility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도 8에 도시된 제1 실시예와 동일하게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랙(20)은 복수의 배터리모듈(BM)이 수직 방향으로 적층되어 형성된다. 이때, 상하의 배터리모듈(BM) 상호간은 소정 간격 이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센서부(100)의 복수의 온도 센서는 배터리 랙(20)의 일 측에 수직으로 정렬되어 소정의 제1 간격으로 설치된다. 또한, 배터리 랙(20)의 측면에는 복수의 채널(20)이 형성되며, 복수의 채널(20)은 각각이 공조기(30)와 연결되며 배터리 랙(20)의 일 측에 수직하게 정렬되어 온도 센서가 설치된 제1 간격 보다 좁은 제2 간격으로 설치된다. First, as in the first embodiment shown in Figure 8, the battery rack 2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by stacking a plurality of battery modules (BM) in a vertical direction.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upper and lower battery modules BM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In addition, the plurality of temperature sensors of the sensor unit 1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vertically aligned on one side of the battery rack 20 and installed at a first predetermined interval. In addition, a plurality of channels 20 are formed on the side of the battery rack 20 , and the plurality of channels 20 are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air conditioner 30 and are vertically aligned on one side of the battery rack 20 to provide a temperature The sensor is installed at a second interval that is narrower than the first interval at which the sensor is installed.

도 11을 참조하면, 제어부(300)는 S410 단계에서 배터리 랙(20)의 일 측에 수직으로 정렬되어 소정의 제1 간격으로 설치된 복수의 온도 센서를 통해 배터리 랙의 공기 온도를 측정한다. Referring to FIG. 11 , the control unit 300 measures the air temperature of the battery rack through a plurality of temperature sensors vertically aligned on one side of the battery rack 20 in step S410 and installed at a first predetermined interval.

그런 다음, 제어부(300)는 S420 단계에서 온도 센서가 측정한 온도를 선형적으로 연결하여 배터리 랙(20) 내부에서 수직 방향의 온도 분포를 추정한다. 예컨대,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온도 센서가 배터리 랙(20)의 일 측에 수직으로 정렬되어 소정의 제1 간격으로 설치되었기 때문에 온도 센서가 측정한 온도를 선형적으로 연결하는 경우 수직 방향의 온도 분포(TD1, TD2)를 추정할 수 있다. Then, the controller 300 estimates the temperature distribution in the vertical direction inside the battery rack 20 by linearly connecting the temperature measured by the temperature sensor in step S420 . For example, as shown in FIGS. 12 and 13, the temperature sensor is vertically aligned on one side of the battery rack 20 and linearly connects the temperature measured by the temperature sensor because it is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first interval. In this case, the temperature distributions (TD1, TD2) in the vertical direction can be estimated.

그리고 제어부(300)는 S430 단계에서 추정된 수직 방향의 온도 분포(TD1, TD2)에 따라 공조기(30)를 제어하여 배터리 랙(20)에 대한 공조를 수행한다. 이러한 S430 단계에 대해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300)는 배터리 랙(20)의 내부의 공기의 유동 방향(예컨대, 아래에서 위)에 따라 순차로 유입 채널, 적어도 하나의 폐쇄 채널 및 유출 채널을 반복하여 할당하되, 수직 방향의 온도 분포(TD1)를 기초로 유입 채널로 공기가 유입된 후, 유동 방향에 따라 유입된 공기가 유동하면서 각 채널에 도달할 때의 온도를 추정하고, 추정된 온도가 최소의 방열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온도인 최소냉각가능온도 미만인 채널을 폐쇄 채널로 할당하며, 추정된 온도가 상기 최소냉각가능온도 이상이 되는 채널을 유출 채널로 할당한다. And the control unit 300 performs air conditioning for the battery rack 20 by controlling the air conditioner 30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distribution (TD1, TD2) in the vertical direction estimated in step S430. This step S43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2 and 13 . Firs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as shown in Figure 12, the control unit 300 according to the flow direction of the air inside the battery rack 20 (eg, from bottom to top) sequentially according to the inlet channel, at least one The closed channel and the outlet channel are repeatedly assigned, but after air is introduced into the inlet channel based on the temperature distribution (TD1)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temperature when the introduced air flows along the flow direction and reaches each channel Estimating, allocating a channel whose estimated temperature is less than the minimum coolable temperature, which is a temperature capable of performing the minimum heat dissipation function, as a closed channel, and a channel having an estimated temperature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minimum coolable temperature as an outlet channel .

보다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우선, 제어부(300)는 배터리 랙의 내부의 공기의 유동 방향(아래에서 위)에 따라 유동 방향의 시점의 채널을 유입 채널로 할당한다. 그런 다음, 제어부(300)는 할당된 유입 채널로부터 공기가 유입되었을 때 상기 배터리 랙의 내부의 공기의 유동 방향(아래에서 위) 및 추정된 온도 분포(TD1)에 따라 각 채널에 도달하는 유입된 공기의 온도를 산출한다. 유입 채널로부터 유입된 공기의 온도는 추정된 온도 분포(TD1)에 상응하여 올라갈 것이다. 이에 따라, 어느 채널에 도달한 공기의 온도는 기 설정된 최소냉각가능온도 이상이거나, 미만이 될 것이다. 여기서, 최소냉각가능온도는 배터리모듈의 방열판에 미치는 영향이 거의 없는 상태의 온도로 냉각 기능을 수행하지 못하는 상태의 온도를 의미한다. 그러면, 제어부(300)는 산출된 공기의 온도가 기 설정된 최소냉각가능온도 이상인 채널을 폐쇄 채널로 할당하고, 산출된 공기의 온도가 최소냉각가능온도 미만인 채널을 공기 유출 채널로 할당한다. 그런 다음, 할당된 공기 유출 채널의 다음 채널을 다시 유입 채널로 할당하고, 전술한 절차를 반복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유입 채널, 폐쇄 채널 및 유출 채널을 할당한 후, 제어부(300)는 폐쇄 채널을 폐쇄한 후, 유입 채널을 통해 공조기(30)로부터 배터리 랙(20)의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고, 유출 채널을 통해 배터리 랙(20)의 내부로부터 공조기(30)로 공기가 유출되도록 공조기(30)를 제어한다. 이로써, 일 실시예에 따르면, 유입 채널에서 유입된 공기가 실제로 냉각 기능을 수행할 수 있을 때까지 사용하고, 유출 채널을 통해 빠져나가도록 하여 효율적인 공조를 수행할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first, the control unit 300 allocates the channel at the time of the flow direction according to the flow direction (from bottom to top) of the air inside the battery rack as the inflow channel. Then, the control unit 300, when the air is introduced from the assigned inlet channel, the flow direction of the air inside the battery rack (from bottom to top) and the inflow that reaches each channel according to the estimated temperature distribution (TD1) Calculate the air temperature. The temperature of the air introduced from the inlet channel will rise corresponding to the estimated temperature distribution TD1. Accordingly, the temperature of the air that has reached a certain channel will be greater than or less than the preset minimum coolable temperature. Here, the minimum coolingable temperature means a temperature in a state in which the cooling function is not performed as a temperature in a state in which there is little influence on the heat sink of the battery module. Then, the control unit 300 allocates a channel in which the calculated air temperature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preset minimum coolable temperature as a closed channel, and allocates a channel in which the calculated air temperature is less than the minimum coolable temperature as an air outlet channel. Then, the next channel of the assigned air outlet channel is assigned again as the inlet channel, and the above procedure is repeated. As described above, after allocating the inlet channel, the closed channel and the outlet channel, the control unit 300 closes the closed channel, and then air flows into the battery rack 20 from the air conditioner 30 through the inlet channel. and control the air conditioner 30 so that air flows out from the inside of the battery rack 20 to the air conditioner 30 through the outlet channel. According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air introduced from the inlet channel is used until it can actually perform a cooling function, and the air is discharged through the outlet channel to perform efficient air conditioning.

다음으로, S430 단계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300)는 먼저, 수직 방향의 온도 분포(TD2)를 기초로 배터리 랙(20)의 내부를 균등한 열부하를 가지는 복수의 영역으로 구분한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터리 랙(20)의 내부가 수직 방향의 온도 분포(TD2)와 동일한 열 분포를 가지는 것으로 가정하면, 열부하는 온도에 비례하기 때문에 도 13과 같이, 배터리 랙(20)의 내부를 동일한 폭을 가지지만, 온도에 비례하는 높이를 가지는 3개의 영역(Y1, Y2, Y3)으로 구분할 수 있다. 그런 다음, 제어부(300)는 공기의 유동 방향(아래에서 위)을 따라 복수의 영역(Y1, Y2, Y3) 각각의 시점 및 종점의 채널을 유입 채널 및 유출 채널로 할당하고, 나머지 채널을 폐쇄 채널로 할당한다. 이어서, 제어부(300)는 폐쇄 채널을 폐쇄한 후, 유입 채널을 통해 공조기(30)로부터 배터리 랙(20)의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고, 유출 채널을 통해 배터리 랙(20)의 내부로부터 공조기(30)로 공기가 유출되도록 공조기(30)를 제어한다. 이때, 제어부(300)는 모든 유입 채널에 균등한 송풍량의 공기가 유입되도록 공조기(30)를 제어한다. 이로써,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온도 분포에 따라 복수의 영역을 할당하고, 동일한 공조 용량을 할당하여 공조를 수행함으로써 효율적인 공조를 수행할 수 있다. Nex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step S430, as shown in Figure 13, the control unit 300, first, based on the temperature distribution (TD2) in the vertical direction to the inside of the battery rack 20 equal heat load Branches are divided into multiple regions. As shown in Figure 13, assuming that the inside of the battery rack 20 has the same heat distribution as the temperature distribution (TD2) in the vertical direction, as in Figure 13, because the heat load is proportional to the temperature, the battery rack 20 ) can be divided into three regions (Y1, Y2, Y3) having the same width but a height proportional to the temperature. Then, the controller 300 allocates the channels of the start and end points of each of the plurality of regions Y1, Y2, and Y3 along the flow direction of the air (bottom to top) as the inlet channel and the outlet channel, and closes the remaining channels. assigned to a channel. Subsequently, the control unit 300 closes the closed channel, and then air is introduced into the battery rack 20 from the air conditioner 30 through the inlet channel, and the air conditioner from the inside of the battery rack 20 through the outlet channel ( 30), the air conditioner 30 is controlled so that the air flows out. At this time, the controller 300 controls the air conditioner 30 so that air of an equal amount of air is introduced into all the inflow channels. Accordingly,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efficient air conditioning may be performed by allocating a plurality of regions according to a temperature distribution and performing air conditioning by allocating the same air conditioning capacity.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저장 설비의 공기 조화를 수행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저장 설비의 공기 조화를 수행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클러스터 영역에 대한 공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6 및 도 1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저장 설비의 공기 조화를 수행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Next, a method of performing air conditioning of an energy storage facility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1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performing air conditioning of an energy storage facility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air conditioning method for a plurality of cluster areas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6 and 17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 method of performing air conditioning of an energy storage facility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도 8에 도시된 제1 실시예와 동일하게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랙(20)은 복수의 배터리모듈(BM)이 수직 방향으로 적층되어 형성된다. 이때, 상하의 배터리모듈(BM) 상호간은 소정 간격 이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르면, 배터리 랙(20)을 복수의 영역으로 균등분할 했을 때, 센서부(100)의 복수의 온도 센서 및 습도 센서는 각각이 쌍으로 복수의 영역 각각에 설치된다. First, as in the first embodiment shown in Figure 8, the battery rack 20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by stacking a plurality of battery modules (BM) in a vertical direction.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upper and lower battery modules BM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battery rack 20 is equally divided into a plurality of areas, a plurality of temperature sensors and humidity sensors of the sensor unit 100 are each in pairs in each of a plurality of areas is installed

도 14를 참조하면, 제어부(300)는 S510 단계에서 배터리 랙(20) 내부의 복수의 영역에 설치된 온도 센서 및 습도 센서를 통해 온도 및 습도를 측정한다. Referring to FIG. 14 , the control unit 300 measures temperature and humidity through a temperature sensor and a humidity sensor installed in a plurality of regions inside the battery rack 20 in step S510 .

그런 다음, 제어부(300)는 S520 단계에서 복수의 온도 센서 및 습도 센서 쌍이 배터리 랙(20)의 소정의 기준점으로부터의 이격된 거리 및 온도 센서 및 습도 센서 쌍이 측정한 측정된 온도 및 습도에 따라 복수의 영역을 벡터 공간에 임베딩하여 복수의 영역 벡터를 생성한다. 예컨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터리 랙(20) 내부를 19개의 영역으로 균등 분할하고, 19개의 영역에 온도 센서 및 습도 센서를 설치한 후, 각 영역에 설치된 온도 및 습도 센서가 측정한 온도 및 습도와, 각 영역의 배터리 랙(20)의 소정의 기준점으로부터의 이격된 거리에 따라 19개의 영역을 3차원의 벡터 공간에 임베딩하여 19개의 영역 벡터 r1 내지 r19를 생성할 수 있다. Then, the control unit 300 in step S520 a plurality of temperature sensors and humidity sensor pairs spaced apart from a predetermined reference point of the battery rack 20, and a plurality of temperature sensors and humidity sensor pairs according to the measured temperature and humidity measured A plurality of region vectors are generated by embedding the region of . For example, as shown in FIG. 16, the inside of the battery rack 20 is equally divided into 19 areas, and a temperature sensor and a humidity sensor are installed in the 19 areas, and then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sensors installed in each area measure the It is possible to generate 19 area vectors r1 to r19 by embedding 19 areas in a three-dimensional vector space according to temperature and humidity and a distance from a predetermined reference point of the battery rack 20 of each area.

이어서, 제어부(300)는 S530 단계에서 복수의 영역 벡터를 클러스터링 알고리즘을 통해 복수의 클러스터 영역으로 구분한다. 예컨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러스터링 알고리즘에 따라 제1 내지 제3 클러스터 영역(CL1, CL2, CL3)로 구분할 수 있다. Next, the controller 300 divides the plurality of region vectors into a plurality of cluster regions through a clustering algorithm in step S530 . For example, as shown in FIG. 16 , it may be divided into first to third cluster regions CL1 , CL2 , and CL3 according to a clustering algorithm.

다음으로, 제어부(300)는 S540 단계에서 복수의 클러스터 영역 각각의 대표 온도 및 대표 습도가 소정의 목적 범위 내에 있도록 복수의 클러스터 영역 각각에 대해 공조를 수행한다. Next, in step S540 , the controller 300 performs air conditioning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cluster regions so that the representative temperature and the representative humidity of each of the plurality of cluster regions are within a predetermined target range.

그러면, 도 15를 참조하여 전술한 S540 단계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5를 참조하면, 제어부(300)는 S610 단계에서 복수의 클러스터 영역(CL1, CL2, CL3) 각각의 대표 온도 및 대표 습도를 산출한다. S610 단계에서 제어부(300)는 클러스터 영역(CL1, CL2, CL3)의 클러스터 중심(th1, th2, th3)을 구하고, 클러스터 영역에 포함된 복수의 영역의 측정된 온도 및 습도에 비례하여 클러스터 영역의 클러스터 중심(th1, th2, th3)의 온도 및 습도를 추정한 후, 추정된 온도 및 습도를 해당 클러스터 영역의 대표 온도 및 대표 습도로 결정한다. Then, the above-described step S54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15 . Referring to FIG. 15 , the controller 300 calculates a representative temperature and a representative humidity of each of the plurality of cluster regions CL1 , CL2 , and CL3 in step S610 . In step S610, the controller 300 obtains the cluster centers th1, th2, and th3 of the cluster regions CL1, CL2, and CL3, and in proportion to the measured temperature and humidity of a plurality of regions included in the cluster region, After estimating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of the cluster centers th1, th2, and th3, the estimated temperature and humidity are determined as the representative temperature and the representative humidity of the cluster area.

다음으로, 도 17을 참조하면, 제어부(300)는 S620 단계에서 기 설정된 상기 목적 범위의 임계온도(tr), 최고임계습도(hr) 및 최저임계습도(hs)와, 복수의 클러스터 영역 각각의 대표 온도 및 대표 습도를 비교하여 목적 범위의 임계온도, 최고임계습도 및 최저임계습도의 범위 내에 있지 않은 클러스터 영역을 도출한다. Next, referring to FIG. 17 , the controller 300 controls the threshold temperature (tr), the highest critical humidity (hr), and the lowest critical humidity (hs) of the target range set in step S620, and each of the plurality of cluster regions. By comparing the representative temperature and the representative humidity, a cluster area that is not within the range of the critical temperature, the highest critical humidity, and the lowest critical humidity of the target range is derived.

다음으로, 제어부(300)는 S630 단계에서 도출된 클러스터 영역의 대표 온도 및 대표 습도가 상기 목적 범위 내에 있도록 상기 도출된 클러스터 영역에 대해 공조를 수행한다. Next, the controller 300 performs air conditioning on the derived cluster area so that the representative temperature and the representative humidity of the cluster area derived in step S630 are within the target range.

예컨대, 도 17을 참조하면, 도출된 클러스터 영역의 대표 온도가 임계온도 이상인 경우(th1, th2, th3), 제어부(300)는 공조기(30)를 제어하여 임계온도(tr) 보다 낮은 온도를 가지는 유입 공기를 배터리 랙(20) 내부로 유입하는 냉각을 수행한다. 또한, 도출된 클러스터 영역의 대표 습도가 최고임계습도(hr) 이상인 경우(th1, th5), 제어부(300)는 공조기(30)를 제어하여 최고임계습도(hr) 보다 낮은 습도를 가지는 유입 공기를 배터리 랙(20) 내부로 유입하는 감습을 수행한다. 그리고 도출된 클러스터 영역의 대표 습도가 최저임계습(hs)도 미만인 경우(th3, th4), 제어부(300)는 공조기(30)를 제어하여 최저임계습도(hs) 보다 높은 습도를 가지는 유입 공기를 배터리 랙(20) 내부로 유입하는 가습을 수행한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2 이상의 경우가 겹쳐지는 경우(th1, th3), 제어부(300)는 냉각과 감습 혹은 냉각과 가습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For example, referring to FIG. 17 , when the derived representative temperature of the cluster region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critical temperature (th1, th2, th3), the controller 300 controls the air conditioner 30 to have a temperature lower than the critical temperature tr. Cooling is performed by introducing the inlet air into the battery rack 20 . In addition, when the representative humidity of the derived cluster area is equal to or higher than the maximum critical humidity (hr) (th1, th5), the controller 300 controls the air conditioner 30 to control the inlet air having a lower humidity than the maximum critical humidity (hr). Performs a moisture reduction flowing into the battery rack (20). And when the representative humidity of the derived cluster area is less than the minimum critical humidity (hs) degree (th3, th4), the controller 300 controls the air conditioner 30 to control the inlet air having a humidity higher than the minimum critical humidity (hs). Performs humidification flowing into the battery rack (20). As shown in FIG. 17 , when two or more cases overlap ( th1 , th3 ), the controller 300 may perform cooling and humidification or cooling and humidification at the same time.

한편, 제어부(300)는 S630 단계에서 냉각, 감습, 가습 등을 수행할 때, 각각이 공조기(20)와 연결되며 배터리 랙(20)에 일 측에 수직하게 정렬되어 소정의 간격으로 설치되는 복수의 채널 중 도출된 클러스터 영역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내의 채널을 유입 채널로 할당하고, 나머지 채널을 유출 채널로 할당하며, 배터리 랙(20)의 내부로 할당된 유입 채널을 통해 공조기(20)로부터 송출되는 공기가 유입되고, 할당된 유출 채널을 통해 배터리 랙(20) 내부의 공기가 유출되도록 공조기(30)를 제어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control unit 300 performs cooling, dehumidification, humidification, etc. in step S630, each is connected to the air conditioner 20 and is vertically aligned on one side of the battery rack 20, a plurality of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llocating channels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derived cluster area among the channels of , as inflow channels, allocating the remaining channels as outflow channels, and transmitting from the air conditioner 20 through the inflow channels allocated to the inside of the battery rack 20 The air is introduced and the air conditioner 30 can be controlled so that the air inside the battery rack 20 flows out through the assigned outlet channel.

한편,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수단을 통하여 판독 가능한 프로그램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여기서, 기록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기록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예컨대 기록매체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 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를 포함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와이어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와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Meanwhile, the metho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program readable by various computer means and recorded in a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Here, the recording medium may include a program command, a data file, a data structure, etc. alone or in combination. The program instructions recorded on the recording medium may be specially designed and configured for the present invention, or may be known and available to those skilled in the art of computer software. For example, the recording medium includes magnetic media such as hard disks, floppy disks and magnetic tapes, optical recording media such as CD-ROMs and DVDs, and magneto-optical media such as floppy disks ( magneto-optical media) and hardware devices specially configured to store and execute program instructions such as ROM, RAM, flash memory, and the like. Examples of program instructions may include not only machine language wires such as those generated by a compiler, but also high-level language wires that can be executed by a computer using an interpreter or the like. Such hardware devices may be configured to operate as one or more software modules to perform the oper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ice versa.

이상 본 발명을 몇 가지 바람직한 실시예를 사용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들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제시된 권리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균등론에 따라 다양한 변화와 수정을 가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using several preferred embodiments, these examples are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As such,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can be made in accordance with the doctrine of equivalent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rights set forth in the appended claims.

10: 외함
20: 배터리 랙
30: 공조기
100: 센서부
200; 송풍부
300: 제어부
10: enclosure
20: battery rack
30: air conditioner
100: sensor unit
200; blower
300: control unit

Claims (7)

에너지 저장 설비의 외함을 이용한 스마트 공조 시스템에 있어서,
전체적으로 중공의 직육면체 형상이며, 상기 직육면체의 상판과, 4방의 측면이 제1 단열층과, 상기 제1 단열층과의 사이에 공기층이 형성되도록 상기 제1 단열층과 소정 간격 이격되어 설치되는 제2 단열층으로 이루어지는 외함;
상기 외함의 내부에 상기 외함의 내측면을 따라 설치되는 복수의 배터리 랙;
상기 외함의 외부에 설치되는 공조기; 및
각각이 관형이며 상기 공기층을 경유하여 상기 공조기와 상기 배터리 랙 간을 연결하는 복수의 채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공조 시스템.
In the smart air conditioning system using the enclosure of the energy storage facility,
It has a hollow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as a whole, and consists of a top plate of the rectangular parallelepiped, a first heat insulating layer having four sides, and a second heat insulating layer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first heat insulating layer so that an air layer is formed between the first heat insulating layer enclosure;
A plurality of battery racks installed along the inner surface of the enclosure in the interior of the enclosure;
an air conditioner installed outside the enclosure; and
A plurality of channels each having a tubular shape and connecting between the air conditioner and the battery rack via the air laye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mart air conditioning syste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공조 시스템은
배터리 랙의 복수의 영역 각각에 설치되어 상기 복수의 영역 각각의 온도를 지속적으로 측정하여 상기 복수의 영역 각각의 온도 변화를 도출하는 복수의 온도 센서를 포함하는 센서부;
상기 측정된 복수의 영역 각각의 온도 변화의 상관도에 따라 상기 복수의 영역을 복수의 공조 영역으로 구성하고, 공조기를 제어하여 상기 구성된 복수의 공조 영역 각각에 대해 공조를 수행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스마트 공조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smart air conditioning system
A sensor unit including a plurality of temperature sensors installed in each of a plurality of areas of the battery rack to continuously measure the temperature of each of the plurality of areas to derive a temperature change of each of the plurality of areas;
A control unit configured to configure the plurality of regions into a plurality of air conditioning regions according to the degree of correlation between the measured temperature changes of each of the plurality of regions, and control the air conditioner to perform air conditioning for each of the configured plurality of air conditioning regions; further comprising doing
Smart air conditioning system.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배터리 랙 내부의 공기의 유동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구성된 복수의 공조 영역 각각의 시점에 유입 채널을 할당하고,
상기 구성된 복수의 공조 영역 각각의 온도 및 부피의 곱에 비례하여 상기 공조기의 공조가능용량을 분배하고,
상기 복수의 공조 영역 각각에 할당된 유입 채널을 통해 상기 복수의 공조 영역 각각에 분배된 공조가능용량에 따른 송풍량의 공기가 유입되도록 상기 공조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공조 시스템.
3. The method of claim 2,
the control unit
Allocating an inlet channel at each time point of the configured plurality of air conditioning areas based on the flow direction of the air inside the battery rack,
and distributing the air conditioning capacity of the air conditioner in proportion to the product of the temperature and volume of each of the configured plurality of air conditioning regions,
Controlling the air conditioner so that air of an airflow amount according to the air conditioning capacity distributed to each of the plurality of air conditioning regions is introduced through an inflow channel allocated to each of the plurality of air conditioning regions
Smart air conditioning system.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공조 영역 각각에 상기 배터리 랙에 일 측에 설치된 복수의 채널 중 상기 복수의 공조 영역 각각의 온도 및 부피에 비례하는 수의 채널을 유입 채널로 할당하고,
상기 복수의 공조 영역 각각에 할당된 유입 채널 각각을 통해 균등한 송풍량의 공기가 유입되도록 상기 공조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공조 시스템.
3. The method of claim 2,
the control unit
Allocating a number of channels proportional to the temperature and volume of each of the plurality of air conditioning regions among a plurality of channel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battery rack in each of the plurality of air conditioning regions as inflow channels,
Controlling the air conditioner so that an equal amount of air is introduced through each of the inlet channels allocated to each of the plurality of air conditioning areas
Smart air conditioning system.
에너지 저장 설비의 외함을 이용한 스마트 공조 방법에 있어서,
배터리 랙의 복수의 영역 각각에 설치된 복수의 온도 센서를 통해 상기 복수의 영역 각각의 온도 변화를 지속적으로 측정하는 단계;
상기 측정된 복수의 영역 각각의 온도 변화의 상관도에 따라 상기 복수의 영역을 복수의 공조 영역으로 구성하는 단계; 및
공조기를 제어하여 상기 구성된 복수의 공조 영역 각각에 대해 공조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공조 방법.
In the smart air conditioning method using the enclosure of the energy storage facility,
Continuously measuring the temperature change of each of the plurality of areas through a plurality of temperature sensors installed in each of the plurality of areas of the battery rack;
configuring the plurality of regions into a plurality of air conditioning regions according to the degree of correlation between the measured temperature changes of each of the plurality of regions; and
Controlling the air conditioner to perform air conditioning for each of the configured plurality of air conditioning area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Smart air conditioning method.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된 복수의 공조 영역 각각에 대해 공조를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구성된 복수의 공조 영역 각각의 온도 및 부피에 비례하여 상기 공조기의 공조가능용량을 분배하여 상기 구성된 복수의 공조 영역 각각에 분배된 공조가능용량을 할당하는 단계; 및
상기 할당된 공조가능용량에 따라 상기 구성된 복수의 공조 영역 각각에 대해 공조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공조 방법.
6. The method of claim 5,
The step of performing air conditioning for each of the configured plurality of air conditioning areas
allocating the air conditioning available capacity of the air conditioner in proportion to the temperature and volume of each of the configured plurality of air conditioning areas to allocate the distributed air conditioning capacity to each of the configured plurality of air conditioning areas; and
performing air conditioning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air conditioning areas configured according to the allocated air conditioning capacity;
Smart air conditioning method.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된 복수의 공조 영역 각각에 대해 공조를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공조 영역 각각의 온도 및 부피에 비례하여 상기 배터리 랙에 일 측에 설치된 복수의 채널을 분배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공조 영역 각각에 상기 분배된 복수의 채널을 할당하는 단계; 및
상기 배터리 랙의 내부로 상기 할당된 공기 유입 채널을 통해 상기 공조기로부터 공기가 유입되도록 상기 공조기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공조 방법.
6. The method of claim 5,
The step of performing air conditioning for each of the configured plurality of air conditioning areas
distributing a plurality of channel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battery rack in proportion to the temperature and volume of each of the plurality of air conditioning regions;
allocating the plurality of distributed channels to each of the plurality of air conditioning areas; and
Controlling the air conditioner so that air is introduced from the air conditioner through the allocated air inlet channel into the battery rack;
Smart air conditioning method.
KR1020190154615A 2019-11-27 2019-11-27 Smart air conditioning system using enclosure of ESS and method therefor KR10233161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4615A KR102331618B1 (en) 2019-11-27 2019-11-27 Smart air conditioning system using enclosure of ESS and method theref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4615A KR102331618B1 (en) 2019-11-27 2019-11-27 Smart air conditioning system using enclosure of ESS and method theref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5632A true KR20210065632A (en) 2021-06-04
KR102331618B1 KR102331618B1 (en) 2021-11-29

Family

ID=763917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4615A KR102331618B1 (en) 2019-11-27 2019-11-27 Smart air conditioning system using enclosure of ESS and method theref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1618B1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47345A (en) * 2014-10-22 2016-05-02 주식회사 엘지화학 Cooling air flow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battery system
KR20160133341A (en) 2015-05-12 2016-11-22 김영선 Micro Cooling and Heating System which have the function of Energy Storage
KR20170124884A (en) * 2016-05-03 2017-11-13 주식회사 엘지화학 Temperature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for energy storage system
JP2018092917A (en) * 2016-11-29 2018-06-14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High-temperature operating fuel cell system
KR20180125313A (en) * 2017-05-15 2018-11-23 주식회사 엘지화학 Energy storage apparatus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47345A (en) * 2014-10-22 2016-05-02 주식회사 엘지화학 Cooling air flow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battery system
KR20160133341A (en) 2015-05-12 2016-11-22 김영선 Micro Cooling and Heating System which have the function of Energy Storage
KR20170124884A (en) * 2016-05-03 2017-11-13 주식회사 엘지화학 Temperature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for energy storage system
JP2018092917A (en) * 2016-11-29 2018-06-14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High-temperature operating fuel cell system
KR20180125313A (en) * 2017-05-15 2018-11-23 주식회사 엘지화학 Energy storage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31618B1 (en) 2021-1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ong et al. Numerical investigation of water cooling for a lithium-ion bipolar battery pack
EP2685520B1 (en) Rack system for battery module for energy storage
KR102104383B1 (en) Energy storage apparatus and method for cooling the energy storage apparatus
GB2562807B (en) Photovoltaic energy storage device, cabinet and photovoltaic energy storage system
Siruvuri et al. Studies on thermal management of Lithium-ion battery pack using water as the cooling fluid
US11342882B2 (en) Temperature control for energy storage system
US10389001B2 (en) Energy storage system and temperature control method for the same
CN105048021B (en) Battery temperature estimating system
US20200403283A1 (en) Self-activating thermal management system for battery pack
KR102321029B1 (en) System for heterogeneous power balancing using clustering, apparatus thereof and method thereof
KR20160141461A (en) Apparatus for managing energy in building based on state of health of device for storing energy and method using the same
KR102223646B1 (en) Apparatus for air conditioning of energy storage equipment using clustering technique and method therefor
KR102331618B1 (en) Smart air conditioning system using enclosure of ESS and method therefor
KR102225484B1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temperature of battery rack using the temperature distribution estimation technique and method therefor
Wan Battery space optimization to limit heat transfer in a lithium-ion battery using adaptive elephant herding optimization
Kocsis Szürke et al. Numerical Optimization of Battery Heat Management of Electric Vehicles
Zhang et al. Effects of air cooling structure on cooling performance enhancement of prismatic lithium‐ion battery packs based on coupled electrochemical‐thermal model
CN112510273A (en) Detachable battery system with temperature control function
CN109560215A (en) Battery module
US11121419B2 (en) Battery heat management
CN217009385U (en) Energy storage battery cabinet
Huang et al. Inlet setting strategy via machine learning algorithm for thermal management of container-type battery energy-storage systems (BESS)
Kwon et al. Conceptual thermal design for 40 ft container type 3.8 MW energy storage system by using computational simulation
JP2016061516A (en) Air conditioning management device, charging/discharging control system, air conditioning control plan generation method and program
KR102217583B1 (en) Method for cooling battery in rack type energy storage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