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65421A - 타일링 표시 장치 제조용 마운팅 지그 및 타일링 표시 장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타일링 표시 장치 제조용 마운팅 지그 및 타일링 표시 장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65421A
KR20210065421A KR1020190154123A KR20190154123A KR20210065421A KR 20210065421 A KR20210065421 A KR 20210065421A KR 1020190154123 A KR1020190154123 A KR 1020190154123A KR 20190154123 A KR20190154123 A KR 20190154123A KR 20210065421 A KR20210065421 A KR 202100654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device
surface wave
support part
jig
wave gener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41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한석
윤성환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541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65421A/ko
Publication of KR202100654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542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2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form or geometrical disposition of the individual elements
    • G09F9/3026Video wall, i.e. stackable semiconductor matrix display modul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6Combining plural substrates to produce large-area displays, e.g. tiled displays
    • H01L27/3293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8Tiled display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ultimedia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타일링 표시 장치 제조용 마운팅 지그 및 타일링 표시 장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 표시 패널의 배면에 배치된 금속 플레이트, 금속 플레이트의 배면 상에 배치된 복수의 자석 및 복수의 자석 각각의 양측면에 배치된 복수의 강자성체를 포함한다. 이에, 복수의 자석 및 복수의 강자성체를 사용하여 보다 용이하게 표시 장치의 탈부착이 가능하고 표시 장치의 설치, 유지 및 보수가 용이할 수 있다.

Description

타일링 표시 장치 제조용 마운팅 지그 및 타일링 표시 장치 제조 방법{MOUNTING JIG FOR MANUFACTURING TILING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ILING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타일링 표시 장치 제조용 마운팅 지그 및 타일링 표시 장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타일링 작업 시 보다 용이하게 표시 장치를 탈부착 및 정렬(align) 하기 위한 타일링 표시 장치 제조용 마운팅 지그 및 타일링 표시 장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컴퓨터의 모니터나 TV, 핸드폰 등에 사용되는 표시 장치에는 스스로 광을 발광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OLED) 등과 별도의 광원을 필요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등이 있다.
표시 장치는 컴퓨터의 모니터 및 TV 뿐만 아니라 개인 휴대 기기까지 그 적용 범위가 다양해지고 있으며, 넓은 표시 면적을 가지면서도 감소된 부피 및 무게를 갖는 표시 장치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한편, 최근에는 표시 장치를 복수 개 연결하여 표시 면적을 대형화한 타일링 표시 장치를 광고판 등으로 사용한다.
먼저, 표시 장치는 핸드폰 등에 사용되는 소형 크기의 전자기기부터 대형 TV와 같은 대형 크기의 전자기기에까지 사용되고 있다. 이처럼 소형 크기부터 수십 인치의 대형 크기로 표시 장치를 제작하여 다양한 용도로 사용하고 있다. 다만, 표시 장치를 수백 인치 이상의 초대형 크기로 제작하는 것은 기술적으로 어려운 상황으로, 대신 복수의 표시 장치를 연결하여 표시 면적을 대형화한 타일링 표시 장치를 사용하고 있다. 그리고 복수의 표시 장치로 이루어진 타일링 표시 장치를 벽면에 부착하여 광고판으로 사용하거나, 경기장의 대형 전광판 또는 옥외 광고 전광판 등으로 사용하고 있다.
이와 같은 타일링 표시 장치는, 예를 들어, 복수의 표시 장치의 배면에 고정을 위한 기구물을 배치하고, 해당 기구물을 벽면부에 체결하는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다만, 표시 장치 배면에 배치된 기구물을 이용하는 과정에서 작업자가 벽면부 뒤쪽에 위치하여 체결 공정을 수행하다 보니, 벽면부 뒤쪽에 작업자가 작업할 수 있는 공간이 반드시 확보되어야 하는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또한, 기구물을 사용하는 경우, 기구 공차가 있을 수 있고, 벽면부에 복수의 표시 장치를 정밀하게 배열하는 것이 어려울 수 있다. 만약, 복수의 표시 장치 간의 틀어짐이 발생하는 경우, 영상이 시인되지 않는 복수의 표시 장치 사이의 경계 영역이 시인되어 영상의 품질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이에,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복수의 표시 장치를 타일링하는 작업을 표시 장치 전면에서도 수행할 수 있고, 타일링 과정에서 복수의 표시 장치 간의 틀어짐을 발견한 경우, 복수의 표시 장치를 해체 및 재조립하지 않고도 손쉽게 복수의 표시 장치 간의 간격 및 배열을 재정렬할 수 있는 방법을 발명하였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표시 장치의 배면에 복수의 패널 자석 및 복수의 패널 강자성체를 배치하고, 타일링 표시 장치 제조용 마운팅 지그에 복수의 패널 자석 및 복수의 패널 강자성체 각각에 대응하는 복수의 지그 자석 및 복수의 지그 강자성체를 배치하는 새로운 구조의 타일링 표시 장치 제조용 마운팅 지그 및 타일링 표시 장치 제조 방법을 발명하였다. 즉, 복수의 패널 자석, 복수의 패널 강자성체, 복수의 지그 자석 및 복수의 지그 강자성체에 형성된 자력을 사용하여 타일링 표시 장치 제조용 마운팅 지그와 표시 장치를 벽면부에 부착시킬 수 있었다. 따라서, 표시 장치의 전면에서 표시 장치를 벽면부에 부착하므로, 벽면부에 뒤쪽에 별도의 작업 공간을 확보할 필요 없이 표시 장치를 용이하게 탈착시킬 수 있었으며, 복수의 표시 장치 각각의 설치, 유지 및 보수를 용이하게 할 수 있었다.
또한,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타일링 표시 장치 제조용 마운팅 지그에 복수의 표면파 진동기를 배치하여 표시 장치를 원하는 위치에 졍렬시킬 수 있는 타일링 표시 장치 제조용 마운팅 지그 및 타일링 표시 장치 제조 방법을 발명하였다.
이에,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표시 장치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여 인접한 표시 장치간의 타일링 공차를 방지할 수 있는 타일링 표시 장치 제조용 마운팅 지그 및 타일링 표시 장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표시 장치의 이동을 미세하게 조정하여 타일링 과정에서 인접합 표시 장치와의 충돌을 방지할 수 있는 타일링 표시 장치 제조용 마운팅 지그 및 타일링 표시 장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작업자가 별도의 힘을 인가하지 않거나, 약한 힘을 인가하여도, 표시 장치를 이동시킬 수 있는 타일링 표시 장치 제조용 마운팅 지그 및 타일링 표시 장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일링 표시 장치 제조용 마운팅 지그는 복수의 지그 자석이 부착된 고정된 지지부, 복수의 지그 자석의 양 측에 배치된 복수의 지그 강자성체 및 지지부에 배치된 복수의 표면파 발생기를 포함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일링 표시 장치 제조 방법은 표시 장치에 마운팅 지그를 부착하는 단계 마운팅 지그를 이용하여 표시 장치를 벽면부에 접촉시키는 단계 마운팅 지그에 배치된 복수의 표면파 발생기 중 적어도 하나를 구동하는 단계 마운팅 지그를 사용하여 표시 장치를 벽면부 상에서 이동시키는 단계 및 마운팅 지그를 표시 장치로부터 탈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기타 실시예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은 표시 장치를 타일링 하기 위해 타일링 표시 장치 제조용 마운팅 지그에 표면파 발생기를 배치하여, 정밀한 얼라인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복수의 표시 장치 간의 간격을 최소화하여 영상 시청 시, 복수의 표시 장치 간의 경계 영역에 의한 몰입도 저하를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복수의 표시 장치의 정렬 시 서로 인접하는 표시 장치들이 부딪쳐서 손상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작업자의 복수의 표시 장치의 이동 속도를 조정하여 표시 장치 각각의 배열을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발명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일링 표시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배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IV-IV'에 따른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일링 표시 장치 제조용 마운팅 지그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6a 내지 도 6f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일링 표시 장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타일링 표시 장치 제조용 마운팅 지그 및 타일링 표시 장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상으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개시된 형상, 면적, 비율, 각도, 개수 등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본 발명이 도시된 사항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 상에서 언급된 '포함한다', '갖는다', '이루어진다' 등이 사용되는 경우 '~만'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다른 부분이 추가될 수 있다. 구성 요소를 단수로 표현한 경우에 특별히 명시적인 기재 사항이 없는 한 복수를 포함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구성 요소를 해석함에 있어서, 별도의 명시적 기재가 없더라도 오차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한다.
위치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상에', '~상부에', '~하부에', '~옆에' 등으로 두 부분의 위치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두 부분 사이에 하나 이상의 다른 부분이 위치할 수도 있다.
소자 또는 층이 다른 소자 또는 층 "위 (on)"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소자 바로 위에 또는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소자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제 1, 제 2 등이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 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 1 구성 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 2 구성 요소일 수도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면적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시된 것이며, 본 발명이 도시된 구성의 면적 및 두께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고,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실시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일링 표시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일링 표시 장치(T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00)를 복수 개 연결하여 이루어진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일링 표시 장치(TD)는 복수의 표시 장치(100) 및 벽면부(200)를 포함한다. 타일링 표시 장치(TD)는 복수의 표시 장치(100)가 배치되어 구현되어, 영상이 표시되는 표시 면적을 대형화할 수 있다.
복수의 표시 장치(100) 각각은 벽면부(200)에 부착되어, 마치 하나의 표시 장치처럼 배열된다. 예를 들어, 벽면부(200)에 복수의 표시 장치(100)를 타일 형태로 부착하여 타일링 표시 장치(TD)를 구현할 수 있다. 이때,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벽면부(200)에는 복수의 표시 장치(100) 각각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각종 배선 및 케이블 등이 배치될 수 있고, 복수의 표시 장치(100)는 하나의 표시 장치처럼 구동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표시 장치(100)는 별도 배선이나 케이블 없이 무선 통신 방식으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한편, 타일링 표시 장치(TD)는 초대형 크기를 가짐에 따라, 복수의 표시 장치(100)를 연결한 상태에서 설치 장소로 운반하는 것이 어렵다. 이에, 설치 장소로 복수의 표시 장치(100)를 운반한 후, 설치 장소에서 복수의 표시 장치(100)를 타일링 표시 장치(TD)로 조립할 수 있다.
그리고 벽면부(200)에 복수의 표시 장치(100)를 부착할 때, 복수의 표시 장치(100)가 하나의 표시 장치(100)인 것처럼 보이도록 복수의 표시 장치(100) 사이의 간격이 일정하면서도 최소화도록 최대한 밀착시켜 부착할 수 있다. 즉, 복수의 표시 장치(100)를 정밀하게 정렬하여 벽면부(200)에 부착함으로써, 영상이 표시되지 않는 경계 영역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표시 장치(100) 각각을 X축 방향, Y축 방향 및 Z축 방향에서 정렬시켜 벽면부(200)에 부착할 수 있다. X축 방향에서 복수의 표시 장치(100)를 정렬시키는 경우, 동일 열에 배치된 복수의 표시 장치(100)의 좌측 엣지 및 우측 엣지 각각이 일직선으로 배치되도록 정렬시킬 수 있다. 또한, Y축 방향에서 복수의 표시 장치(100)를 정렬시키는 경우, 동일 행에 배치된 복수의 표시 장치(100)의 상측 엣지 및 우측 엣지 각각이 일직선으로 배치되도록 정렬시킬 수 있다. 또한, Z축 방향에서 복수의 표시 장치(100)를 정렬시키는 경우, 복수의 표시 장치(100) 간의 단차를 제거하도록, 복수의 표시 장치(100)의 정면 전체가 하나의 평면 상에 배치되도록 정렬시킬 수 있다.
만약, X축 방향, Y축 방향, Z축 방향 중 어느 한 방향에서 복수의 표시 장치(100) 간의 배열이 틀어지는 경우, 영상이 표시되지 않는 복수의 표시 장치(100) 간의 경계 영역이 사용자에게 시인될 수 있다. 그리고 경계 영역이 사용자에게 시인되는 경우, 영상 시청 시 몰입을 방해할 수 있고, 선명한 영상을 구현하기 어려울 수 있다.
이에, 복수의 표시 장치(100)를 벽면부(200)에 부착할 때, X축 방향, Y축 방향 및 Z축 방향 각각에서 복수의 표시 장치(100)를 정렬하는 것이 중요하다. 다만, 작업자가 복수의 표시 장치(100)를 부착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오차나 기구 공차 등으로 인해 복수의 표시 장치(100) 간의 미세한 틀어짐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일링 표시 장치(TD)에서는 복수의 표시 장치(100)를 벽면부(200)에 부착한 상태에서, X축 방향 및 Y축 방향에서 미세한 틀어짐까지 2차적으로 정렬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배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IV-IV'에 따른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타일링 표시 장치 제조 방법의 복수의 표시 장치(100) 중 하나의 표시 장치만을 도시하였다.
복수의 표시 장치(100) 각각은 영상을 표시하는 구성으로, 타일링 표시 장치(TD)를 이루는 기본 단위가 된다. 도 2를 참조하면, 복수의 표시 장치(100) 각각은 표시 패널(110), 금속 플레이트(120), 복수의 패널 자석(130) 및 복수의 패널 강자성체(140)를 포함한다.
먼저, 표시 패널(110)은 사용자에게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구성이다. 표시 패널(110)은 예를 들어, 표시 소자와 표시 소자를 구동하기 위한 회로, 배선 및 부품 등이 배치될 수 있다. 표시 소자는 표시 패널(110)의 종류에 따라 상이하게 정의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표시 패널(110)이 유기 발광 표시 패널인 경우, 표시 소자는 애노드, 유기 발광층 및 캐소드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 소자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 패널(110)이 무기 발광 표시 패널인 경우, 표시 소자는 n형 반도체층, p형 반도체층 및 발광층을 포함하는 LED 또는 마이크로 LED일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표시 패널(110)의 표시 소자는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금속 플레이트(120)가 표시 패널(110)의 배면에 배치된다. 금속 플레이트(120)는 표시 패널(110)을 지지 및 보호하고, 표시 패널(110)에서 발생하는 열을 방출하기 위한 구성이다. 금속 플레이트(12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 패널(110)의 배면에 직접 접촉할 수도 있고, 금속 플레이트(120)의 일부분만 표시 패널(110)의 배면에 직접 접촉하고 다른 일부분은 표시 패널(110)과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금속 플레이트(120)는 표시 패널(110)의 배면에 배치된 백커버로 기능할 수 있고, 표시 패널(110)과 복수의 패널 자석(130)의 임의의 도전성 플레이트일 수도 있다. 도 2 내지 도 4에서는 금속 플레이트(120)가 표시 패널(110)과 동일한 크기를 갖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금속 플레이트(120)은 표시 패널(110)보다 작은 크기를 가질 수도 있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복수의 패널 자석(130)이 금속 플레이트(120)의 배면 상에 배치된다. 복수의 패널 자석(130)은 표시 장치(100)와 마운팅 지그(500)를 부착시키거나 표시 장치(100)와 벽면부(200)를 부착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자석이다. 복수의 패널 자석(130)은 1개의 N극 및 1개의 S극으로 이루어진 막대 형상의 네오디움(Nd) 2극 자석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복수의 패널 자석(130)은 금속 플레이트(120)의 배면에 접착층으로 고정될 수도 있고, 별도의 고정 기구물에 의해 고정될 수도 있다. 또한, 복수의 패널 자석(130)은 금속 플레이트(120)에 직접 고정되지 않고, 복수의 패널 강자성체(140)에 고정되는 방식으로 금속 플레이트(120)에 간접적으로 고정될 수도 있다. 도 2 내지 도 4에서는 복수의 패널 자석(130)이 금속 플레이트(120)의 배면에 접하도록 배치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복수의 패널 자석(130)은 금속 플레이트(120)의 배면과 이격되어 배치될 수도 있고, 복수의 패널 자석(130)과 금속 플레이트(120)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가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복수의 패널 자석(130)은 금속 플레이트(120)의 배면과 접하는 복수의 패널 강자성체(140)의 일단과 복수의 패널 강자성체(140)의 타단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패널 자석(130)의 높이는 복수의 패널 강자성체(140)의 높이보다 낮을 수도 있고, 동일할 수도 있다. 다만, 복수의 패널 자석(130)은 복수의 패널 강자성체(140)의 타단보다 돌출되지는 않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복수의 패널 자석(130)은 제1 패널 자석(131), 제2 패널 자석(132), 제3 패널 자석(133) 및 제4 패널 자석(134)을 포함한다. 복수의 패널 자석(130) 각각은 표시 패널(110) 및 금속 플레이트(120)의 엣지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패널 자석(131) 및 제3 패널 자석(133)은 표시 패널(110) 및 금속 플레이트(120)의 좌측 엣지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고, 제2 패널 자석(132) 및 제4 패널 자석(134)은 표시 패널(110) 및 금속 플레이트(120)의 우측 엣지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1 패널 자석(131)과 제2 패널 자석(132)은 X축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될 수 있고, 제3 패널 자석(133)과 제4 패널 자석(134) 또한 X축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될 수 있다. 즉, 제1 패널 자석(131)과 제2 패널 자석(132), 제3 패널 자석(133)과 제4 패널 자석(134)은 표시 패널(110) 및 금속 플레이트(120)의 장변인 상측 엣지 및 하측 엣지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1 패널 자석(131)과 제3 패널 자석(133)은 Y축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될 수 있고, 제2 패널 자석(132)과 제4 패널 자석(134) 또한 Y축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될 수 있다. 즉, 제1 패널 자석(131)과 제3 패널 자석(133), 제2 패널 자석(132)과 제4 패널 자석(134)은 표시 패널(110) 및 금속 플레이트(120)의 단변인 좌측 엣지 및 우측 엣지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될 수 있다. 다만, 패널 자석(130)의 배치 위치 및 개수는 이에 제한되지 않고 표시 패널(110) 및 금속 플레이트(120)의 크기, 무게 등을 고려하여 표시 장치(100)를 벽면부(200)에 고정할 수 있을 정도의 자력을 갖추도록 설계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X축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는 패널 자석(130)은 동일 극성이 나란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패널 자석(131)의 N극(131N)과 제2 패널 자석(132)의 N극(132N)은 나란히 배치되고, 제1 패널 자석(131)의 S극(131S)과 제2 패널 자석(132)의 S극(132S)은 나란히 배치되어, 제1 패널 자석(131)의 N극(131N)과 제2 패널 자석(132)의 N극(132N)을 연결하는 가상의 라인은 제1 패널 자석(131)의 S극(131S)과 제2 패널 자석(132)의 S극(132S)을 연결하는 가상의 라인과 교차하지 않고 실질적으로 평행할 수 있다. 또한, 제3 패널 자석(133)의 N극(133N)과 제4 패널 자석(134)의 N극(134N)은 나란히 배치되고, 제3 패널 자석(133)의 S극(133S)과 제4 패널 자석(134)의 S극(134S)은 나란히 배치되어, 제3 패널 자석(133)의 N극(133N)과 제4 패널 자석(134)의 N극(134N)을 연결하는 가상의 라인은 제3 패널 자석(133)의 S극(133S)과 제4 패널 자석(134)의 S극(134S)을 연결하는 가상의 라인과 교차하지 않고 실질적으로 평행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복수의 패널 강자성체(140) 각각은 금속 플레이트(120)의 배면에 배치되고, 복수의 패널 자석(130) 각각의 양측면에 배치된다. 복수의 패널 강자성체(140)는 제1 패널 강자성체(141), 제2 패널 강자성체(142), 제3 패널 강자성체(143) 및 제4 패널 강자성체(144)를 포함한다. 또한, 제1 패널 강자성체(141)는 제1 패널 자석(131)의 N극(131N)에 접하도록 배치된 제1 부분(141A) 및 제1 패널 자석(131)의 S극(131S)에 접하도록 배치된 제2 부분(141B)을 포함하고, 제2 패널 강자성체(142)는 제2 패널 자석(132)의 N극(132N)에 접하도록 배치된 제1 부분(142A) 및 제2 패널 자석(132)의 S극(132S)에 접하도록 배치된 제2 부분(142B)을 포함하고, 제3 패널 강자성체(143)는 제3 패널 자석(133)의 N극(133N)에 접하도록 배치된 제1 부분(143A) 및 제3 패널 자석(133)의 S극(133S)에 접하도록 배치된 제2 부분(143B)을 포함하고, 제4 패널 강자성체(144)는 제4 패널 자석(134)의 N극(134N)에 접하도록 배치된 제1 부분(144A) 및 제4 패널 자석(134)의 S극(134S)에 접하도록 배치된 제2 부분(144B)을 포함한다. 복수의 패널 강자성체(140)는 다양한 강자성체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스틸(steel)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물질에는 제한이 없다.
도 3을 참조하면, 복수의 패널 자석(130) 각각과 표시 패널(110) 및 금속 플레이트(120)의 좌측 엣지 및 우측 엣지 사이의 거리(d1)은 10mm이하일 수 있다. 벽면부(200)가 곡면 형상을 가질 경우, 복수의 표시 패널(110)을 최대한 인접하게 정렬하더라도 벽면부(200)의 단차에 의해 표시 패널(110) 간의 이격 공간이 생길 수 있다. 표시 장치(100)와 벽면부(200)는 패널 자석(130) 및 패널 강자성체(140)에 의해 부착되는데, 패널 자석(130) 및 패널 강자성체(140)가 지나치게 좌측 엣지 및 우측 엣지로부터 이격된 경우에는 Z축 방향으로 표시 패널(110)이 이격되어 이격 공간이 발생할 수 있고, 사용자에게 해당 공간이 시인될 수 있다. 이에, 복수의 패널 자석(130) 각각과 표시 패널(110) 및 금속 플레이트(120)의 좌측 엣지 및 우측 엣지 사이의 거리(d1)를 10mm이하로 하여, 표시 패널(110) 간의 이격 공간이 발생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표시 장치(100)를 타일링하는 과정을 설명하기에 앞서, 타일링 시에 사용될 수 있는 마운팅 지그(500)에 대한 설명을 위해 도 5a 내지 도 5c를 함께 참조한다.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일링 표시 장치 제조용 마운팅 지그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5a 및 도 5c는 정면 및 측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5b는 배면 및 측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5a 내지 도 5c를 참조하면, 마운팅 지그(500)는 제1 지지부(501), 제2 지지부(502), 제3 지지부(503), 제4 지지부(504), 손잡이(505), 힌지 구조(506), 복수의 지그 자석(580), 복수의 지그 강자성체(590) 및 복수의 표면파 발생기(550)를 포함한다.
마운팅 지그(500)의 지지부는 마운팅 지그(500)를 지지하기 위한 구조물이다. 지지부는 제1 지지부(501), 제2 지지부(502), 제3 지지부(503) 및 제4 지지부(504)를 포함한다. 제1 지지부(501), 제2 지지부(502), 제3 지지부(503) 및 제4 지지부(504)는 마운팅 지그(500)를 지지하기 위한 구조물로, 프레임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제1 지지부(501) 및 제2 지지부(502)는 X축 방향으로 연장하는 지지부이고, 제3 지지부(503) 및 제4 지지부(504)는 Y축 방향으로 연장하는 지지부이다. 제1 지지부(501), 제2 지지부(502), 제3 지지부(503) 및 제4 지지부(504)는 강성을 갖는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예를 들어, 금속 물질, 플라스틱 물질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5a 내지 도 5c에서는 마운팅 지그(500)가 X축 방향 또는 Y축 방향으로 연장하는 4개의 지지부(501, 502, 503, 504)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마운팅 지그(500)를 지지하기 위한 구조물이라면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5a 내지 도 5c를 참조하면, 복수의 지그 자석(580)이 제3 지지부(503) 및 제4 지지부(504)에 고정된다. 복수의 지그 자석(580)은 표시 장치(100)와 마운팅 지그(500)를 부착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자석이다. 복수의 지그 자석(580)은 1개의 N극 및 1개의 S극으로 이루어진 막대 형상의 네오디움(Nd) 2극 자석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복수의 지그 자석(580)은 제3 지지부(503) 및 제4 지지부(504)에 접착층으로 고정될 수도 있고, 별도의 고정 기구물에 의해 고정될 수도 있다. 또한, 복수의 지그 자석(580)은 제3 지지부(503) 및 제4 지지부(504)에 직접 고정되지 않고, 복수의 지그 강자성체(590)에 고정되는 방식으로 제3 지지부(503) 및 제4 지지부(504)에 간접적으로 고정될 수도 있다. 이에, 복수의 지그 자석(580)은 금속 플레이트(120)의 배면과 마주보는 복수의 지그 강자성체(590)의 일단과 복수의 지그 강자성체(590)의 타단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도 5a 내지 도 5c를 참조하면, 복수의 지그 자석(580)은 제1 지그 자석(581), 제2 지그 자석(582), 제3 지그 자석(583) 및 제4 지그 자석(584)을 포함한다. 이때, 제1 지그 자석(581) 및 제3 지그 자석(583)은 제3 지지부(503)에 배치될 수 있고, 제2 지그 자석(582) 및 제4 지그 자석(584)은 제4 지지부(504)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1 지그 자석(581)과 제2 지그 자석(582)은 X축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될 수 있고, 제3 지그 자석(583)과 제4 지그 자석(584) 또한 X축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1 지그 자석(581)과 제3 지그 자석(583)은 Y축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될 수 있고, 제2 지그 자석(582)과 제4 지그 자석(584) 또한 Y축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지그 자석(580)의 배치 위치 및 개수는 이에 제한되지 않고 표시 장치(100)에 배치된 패널 자석(130)의 배치 위치 및 개수와 대응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이때, 지그 자석(580)의 극성은 패널 자석(130)의 극성과 대응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즉, 후술하겠지만, 지그 자석(580)은 패널 자석(130)과의 자력을 사용하여 마운팅 지그(500)와 표시 장치(100)를 부착시켜야 하므로, 서로 중첩할 지그 자석(580)과 패널 자석(130)은 서로 반대 극성을 갖도록 설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지그 자석(581)의 N극은 제1 패널 자석(131)의 S극(131S)과 대응하고, 제1 지그 자석(581)의 S극은 제1 패널 자석(131)의 N극(131N)과 대응하도록 제1 지그 자석(581)의 N극과 S이 배치될 수 있다.
도 5a 내지 도 5c를 참조하면, 복수의 지그 강자성체(590) 각각은 제3 지지부(503) 및 제4 지지부(504)에 배치되고, 복수의 지그 자석(580) 각각의 양측면에 배치된다. 복수의 지그 강자성체(590)는 제1 지그 강자성체(591), 제2 지그 강자성체(592), 제3 지그 강자성체(593) 및 제4 지그 강자성체(594)를 포함한다. 또한, 제1 지그 강자성체(591) 및 제3 지그 강자성체(593)는 제3 지지부(503)에 고정되고, 제2 지그 강자성체(592) 및 제4 지그 강자성체(594)는 제4 지지부(504)에 고정될 수 있다. 복수의 지그 강자성체(590)는 다양한 강자성체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스틸(steel)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물질에는 제한이 없다.
도 5a 내지 도 5c를 참조하면, 작업자가 마운팅 지그(500)를 파지하고 작업을 진행하기 위한 손잡이(505)가 제3 지지부(503) 및 제4 지지부(504)에 고정된다. 제3 지지부(503) 및 제4 지지부(504)에 고정된 손잡이(505)를 사용하여, 작업자는 마운팅 지그(500)를 표시 장치(100)에 정렬 및 부착시킬 수 있고, 표시 장치(100)를 타일링하는 과정에서 표시 장치(100)를 자유롭게 정렬할 수 있다. 손잡이(505)의 형상은 도 5a 내지 도 5c에 도시된 형상에 제한되지 않고 자유롭게 결정될 수 있다.
도 5a 내지 도 5c를 참조하면, 힌지 구조(506)가 제1 지지부(501), 제2 지지부(502), 제3 지지부(503) 및 제4 지지부(504)에 고정된다. 힌지 구조(506)는 작업자가 손잡이(505)를 파지한 상태에서 도 5c에 도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손잡이(505)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구조물이다. 구체적으로, 제1 지지부(501) 및 제3 지지부(503), 제2 지지부(502) 및 제3 지지부(503)에 각각 고정된 힌지 구조(506)를 통해 좌측 손잡이(505)를 내측으로 회전시킬 수 있고, 제1 지지부(501) 및 제4 지지부(504), 제2 지지부(502) 및 제4 지지부(504)에 각각 고정된 힌지 구조(506)를 통해 우측 손잡이(505)를 내측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힌지 구조(506)를 통해, 작업자는 마운팅 지그(500)의 지그 자석(580)과 표시 장치(100)의 패널 자석(130)을 보다 용이하게 탈착 및 부착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일링 표시 장치 제조 방법에서 사용되는 마운팅 지그(500)의 형상 및 구조는 도 5a 내지 도 5c에 제한되지 않고, 표시 장치(100)의 패널 자석(130)과 대응하도록 배치된 지그 자석(580) 및 지그 자석(580)의 양 측에 배치된 지그 강자성체(590)를 사용한다면 다양한 형상 및 구조로 마운팅 지그(500)가 설계될 수 있다.
한편, 도 5a 내지 도 5c에서는 마운팅 지그(500)가 복수의 지그 강자성체(590)를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복수의 지그 강자성체(590)는 생략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복수의 지그 강자성체(590)가 생략되는 경우, 복수의 지그 자석(580) 각각의 크기가 복수의 패널 자석(130) 각각 및 복수의 패널 강자성체(140) 각각의 크기의 합에 대응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지지부에 복수의 표면파 발생기(550)가 배치된다. 복수의 표면파 발생기(550)는 제1 지지부(501) 및 제2 지지부(502) 모두에 고정된다. 복수의 표면파 발생기(550)는 제1 지지부(501) 및 제2 지지부(502)에 접착층에 의해 고정될 수도 있고, 별도의 고정 기구물에 의해 고정될 수도 있다.
복수의 표면파 발생기(550)는 편심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편심 모터는 편심력으로 복수의 표면파 발생기(550)에 기계적인 움직임을 발생시킬 수 있다. 편심 모터는 구동 시에, 편심 모터 회전자의 무게 중심이 회전축과 일치하지 않아 발생하는 편심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에, 편심 모터가 구동함에 따라 복수의 표면파 발생기(550)에는 진동이 발생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표면파 발생기(550)는 제1 지지부(501) 및 제2 지지부(502)를 통해 마운팅 지그(500) 전체에 진동을 전달할 수 있고, 표면파를 발생시킬 수 있다.
복수의 표면파 발생기(550)는 제1 표면파 발생기(551) 및 제2 표면파 발생기(552)를 포함한다.
제1 표면파 발생기(551)는 제1 지지부(501) 및 제2 지지부(502)의 중앙을 기준으로 좌측에 배치된다. 제2 표면파 발생기(552)는 제1 지지부(501) 및 제2 지지부(502)의 중앙을 기준으로 우측에 배치된다. 제1 표면파 발생기(551) 및 제2 표면파 발생기(552)는 동일한 구조를 가질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마운팅 지그(500)는 복수의 표면파 발생기(550)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는 복수의 표면파 발생기(550)를 각각 독립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이에, 제1 표면파 발생기(551) 및 제2 표면파 발생기(552)는 각각 독립적으로 구동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제1 표면파 발생기(551) 및 제2 표면파 발생기(552) 중 하나만 구동할 수 있으며, 둘 모두 구동할 수도 있다. 또한, 제1 표면파 발생기(551) 및 제2 표면파 발생기(552)를 독립적으로 구동하여 제1 표면파 발생기(551) 및 제2 표면파 발생기(552)에 의한 진동의 세기는 개별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마운팅 지그(500)를 사용하여 타일링 표시 장치(TD)를 제조하는 방법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설명을 위해 도 6a 내지 도 6f를 함께 참조한다.
도 6a 내지 도 6f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일링 표시 장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a 내지 도 6f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마운팅 지그(500)의 다양한 구성 중 표시 장치(100)의 제1 패널 자석(131), 제1 패널 강자성체(141), 제2 패널 자석(132) 및 제2 패널 강자성체(142)에 대응하는 제1 지그 자석(581), 제1 지그 강자성체(591), 제2 지그 자석(582), 제2 지그 강자성체(592), 제1 지지부(501), 제1 표면파 발생기(551) 및 제2 표면파 발생기(552) 만을 도시하였으나, 표시 장치(100)의 제3 패널 자석(133), 제3 패널 강자성체(143), 제4 패널 자석(134) 및 제4 패널 강자성체(144)에 대응하는 제3 지그 자석(583), 제3 지그 강자성체(593), 제4 지그 자석(584) 및 제4 지그 강자성체(594)도 동일한 원리가 적용될 수 있다.
먼저, 도 6a를 참조하면, 표시 장치(100)의 전면에 마운팅 지그(500)를 부착한다. 이때, 마운팅 지그(500)의 제1 지그 자석(581), 제1 지그 강자성체(591), 제2 지그 자석(582) 및 제2 지그 강자성체(592) 각각이 표시 장치(100)의 제1 패널 자석(131), 제1 패널 강자성체(141), 제2 패널 자석(132) 및 제2 패널 강자성체(142) 각각에 대응되도록 위치시켜 마운팅 지그(500)를 표시 장치(100)의 전면에 부착할 수 있다.
복수의 패널 자석(130)과 복수의 지그 자석(580)이 서로 대응하고, 복수의 패널 강자성체(140)가 복수의 지그 강자성체(590)에 대응하도록 마운팅 지그(500)가 표시 장치(100)에 부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운팅 지그(500)의 제1 지그 자석(581) 및 제2 지그 자석(582)은 서로 대응하는 표시 장치(100)의 제1 패널 자석(131) 및 제2 패널 자석(132)과 반대 극성이 중첩하도록 배치된다. 즉, 제1 지그 자석(581)의 N극(581N)이 제1 패널 자석(131)의 S극(131S)과 중첩하고, 제1 지그 자석(581)의 S극(581S)이 제1 패널 자석(131)의 N극(131N)과 중첩하고, 제2 지그 자석(582)의 N극(582N)이 제2 패널 자석(132)의 S극(132S)과 중첩하고 제2 지그 자석(582)의 S극(582S)이 제2 패널 자석(132)의 N극(132N)과 중첩하도록 마운팅 지그(500)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1 지그 강자성체(591)의 제1 부분(591A)은 제1 패널 강자성체(141)의 제1 부분(141A)과 중첩하고, 제1 지그 강자성체(591)의 제2 부분(591B)은 제1 패널 강자성체(141)의 제2 부분(141B)과 중첩하고, 제2 지그 강자성체(592)의 제1 부분(592A)은 제2 패널 강자성체(142)의 제1 부분(142A)과 중첩하고, 제2 지그 강자성체(592)의 제2 부분(592B)은 제2 패널 강자성체(142)의 제2 부분(142B)과 중첩하도록 마운팅 지그(500)가 배치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마운팅 지그(500)가 배치됨에 따라, 제1 지그 자석(581), 제1 지그 강자성체(591), 제1 패널 자석(131) 및 제1 패널 강자성체(141)에는 제1 자력선(ML1)이 유도되고, 제2 지그 자석(582), 제2 지그 강자성체(592), 제2 패널 자석(132) 및 제2 패널 강자성체(142)에도 제1 자력선(ML1)이 유도될 수 있다.
작업자는 마운팅 지그(500)의 손잡이(505)를 파지한 상태에서 도 6a의 화살표 방향인 Z축 방향으로, 즉, 벽면부(200) 측으로 제1 자력선(ML1)에 의해 마운팅 지그(500)에 부착된 표시 장치(100)를 운반할 수 있다.
도 6b를 참조하면, 표시 장치(100)를 벽면부(200)에 접촉시킨다. 표시 장치(100)의 배면의 제1 패널 강자성체(141) 및 제2 패널 강자성체(142)가 벽면부(200)에 접촉될 수 있다. 이때, 벽면부(200)는 금속 물질로 이루어지는 판 형상일 수 있고, 예를 들어, 강자성체인 스틸(steel)로 이루어진 판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에, 벽면부(200)는 복잡한 형상이나 복잡한 기구물을 포함할 필요 없이, 제1 패널 강자성체(141) 및 제2 패널 강자성체(142)가 자성에 의해 부착될 수 있는 금속 물질로 이루어진 단순한 판 형상일 수 있다. 이에, 표시 장치(100)를 벽면부(200)에 접촉시키는 과정에서 제1 패널 강자성체(141)와 제2 패널 강자성체(142)를 벽면부(200)의 특정 위치에 정확하게 정렬할 필요가 없으므로, 상대적으로 덜 정밀하게 정렬을 하여도 무방하다.
표시 장치(100)를 벽면부(200)에 접촉시킨 상태에서 벽면부(200), 제1 패널 강자성체(141) 및 제1 패널 자석(131)에는 제2 자력선(ML2)이 유도되고, 벽면부(200), 제2 패널 강자성체(142) 및 제2 패널 자석(132)에도 제2 자력선(ML2)이 유도될 수 있다. 다만, 제1 자력선(ML1)은 2개의 자석과 4개의 강자성체에 의해 유도되는 자력선인 반면, 제2 자력선(ML2)은 1개의 자석, 2개의 강자성체에 의해 유도되는 자력선이므로, 제1 자력선(ML1)의 크기가 제2 자력선(ML2)의 크기보다 클 수 있다. 이에, 마운팅 지그(500)가 표시 장치(100)를 제1 자력선(ML1)에 의해 고정하는 힘이 표시 장치(100)와 벽면부(200)를 고정하려는 힘보다 크므로, 표시 장치(100)는 벽면부(200)에 고정되지 않고 작업자는 마운팅 지그(500)를 이동시키는 방식으로 표시 장치(100)를 함께 이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표시 장치(100)를 벽면부(200)에 접촉시킨 상태에서 보다 정밀하게 표시 장치(100)를 정렬하여, 표시 장치(100)를 최종적으로 정렬할 수 있다.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자력선(ML2)이 존재하는 경우, 작업자는 보다 용이하게 표시 장치(100)를 정렬할 수 있다. 즉, 표시 장치(100)와 벽면부(200) 사이에 제2 자력선(ML2)이 존재하는 경우, 제2 자력선(ML2)에 의해 표시 장치(100)와 벽면부(200)간에 인력이 존재한다. 이에, 제2 자력선(ML2)이 없는 경우와 비교하여 작업자가 동일한 힘으로 표시 장치(100)를 이동시키는 경우 표시 장치(100)가 이동되는 거리가 작을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제2 자력선(ML2)에 의해 표시 장치(100)를 보다 미세하게 이동시킬 수 있으므로 작업자는 보다 용이하게 표시 장치(100)를 정렬할 수 있다.
다만, 제2 자력선(ML2)을 완전히 제거하여 표시 장치(100)의 정렬 과정에서 미끌림의 정도를 더 좋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면, 마운팅 지그(500)의 지그 자석(580)과 표시 장치(100)의 패널 자석(130)의 세기 정도를 조절하여 제2 자력선(ML2)을 완전히 제거할 수도 있다. 즉, 마운팅 지그(500)의 지그 자석(580)의 자력을 표시 장치(100)의 패널 자석(130)의 자력보다 훨씬 크게 하여, 제2 자력선(ML2)을 제거하고 제1 자력선(ML1)만이 존재하도록 할 수도 있다.
복수의 표면파 발생기(550)는 제2 자력선(ML2)에 의한 표시 장치(100)와 벽면부(200) 사이의 인력을 약화시킬 수 있다. 표면파 발생기(550)가 Z축 방향으로 진동하는 경우, 표면파 발생기(550)의 진동에 의해 제2 자력선(ML2)에 의한 표시 장치(100)와 벽면부(200) 사이의 인력을 약화시킬 수 있다. 제1 표면파 발생기(551) 및 제2 표면파 발생기(552) 모두가 구동하는 경우, 복수의 표면파 발생기(550)는 마운팅 지그(500)가 배치된 전체 영역에서 표시 장치(100)와 벽면부(200) 사이의 인력을 약화시켜 복수의 표면파 발생기(550)를 구동하지 않는 경우와 비교하여, 표시 장치(100)의 이동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에, 작업자는 표시 장치(100)를 벽면부(200)에 접촉시킨 상태에서 마운팅 지그(500)를 이동하여 도 6c에 도시된 화살표가 나타내는 방향과 같이 X축 방향으로 표시 장치(100)를 이동시킬 수 있고, Y축 방향으로도 표시 장치(100)를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다.
복수의 표면파 발생기(550) 중 일부만 구동하는 경우, 구동하는 표면파 발생기(550)가 배치된 방향으로의 표시 장치(100)의 이동이 용이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표면파 발생기(550) 중 제1 표면파 발생기(551)만 구동하는 경우, 제1 지지부(501) 및 제2 지지부(502)의 중앙을 기준으로 좌측에 배치된 제1 패널 강자성체(141), 제1 패널 자석(131) 및 벽면부(200)에 유도된 제2 자력선(ML2) 및 제3 패널 강자성체(143), 제3 패널 자석(133) 및 벽면부(200)에 유도된 제2 자력선(ML2)에 의한 표시 장치(100)와 벽면부(200) 사이의 인력을 약화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제1 표면파 발생기(551)는 구동하고 제2 표면파 발생기(552)가 구동하지 않는 경우, 마운팅 지그(500)는 상대적으로 좌측 방향으로의 이동이 용이해질 수 있다. 이에, 작업자는 마운팅 지그(500)의 손잡이(505)를 파지한 상태에서 동작하는 표면파 발생기(550)가 배치된 방향, 즉, 좌측 방향으로 마운팅 지그(500)를 사용하여 표시 장치(100)를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복수의 표면파 발생기(550) 중 제2 표면파 발생기(552)만 구동하는 경우, 제1 지지부(501) 및 제2 지지부(502)의 중앙을 기준으로 우측에 배치된 제2 패널 강자성체(142), 제2 패널 자석(132) 및 벽면부(200)에 유도된 제2 자력선(ML2) 및 제4 패널 강자성체(144), 제4 패널 자석(134) 및 벽면부(200)에 유도된 제2 자력선(ML2)에 의한 표시 장치(100)와 벽면부(200) 사이의 인력을 약화시킬 수 있다. 이에, 작업자는 마운팅 지그(500)의 손잡이(505)를 파지한 상태에서 동작하는 표면파 발생기(550)가 배치된 방향, 즉, 우측 방향으로 마운팅 지그(500)를 사용하여 표시 장치(100)를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다.
복수의 표면파 발생기(550)는 작업자가 별도의 힘을 가하지 않더라도 표시 장치(100)를 자동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벽면부(200)에 부착된 표시 장치(100) 및 마운팅 지그(500)는 중력을 받을 수 있다. 이에, 제2 자력선(ML2)에 의한 힘이 약화되면, 사람이 외력을 가하지 않더라도, 중력에 의해 표시 장치(100) 및 마운팅 지그(500)가 벽면부에 부착된 상태에서 아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에, 복수의 표면파 발생기(550)가 구동하는 경우 제2 자력선(ML2)에 의한 힘이 약화되어 표시 장치(100) 및 마운팅 지그(500)가 아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구동하는 표면파 발생기(550)의 위치에 따라 사람이 외력을 가하지 않더라도 표시 장치(100)를 회전시킬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표면파 발생기(550) 중 제1 표면파 발생기(551)만 구동하는 경우, 제1 표면파 발생기(551)가 배치된 방향에서 표시 장치(100)와 벽면부(200) 사이의 인력이 약화될 수 있어 표시 장치(100) 및 마운팅 지그(500)의 좌측은 아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다만, 제2 표면파 발생기(552)가 구동하지 않는 경우, 제2 표면파 발생기(552)가 배치된 표시 장치(100)의 우측에서의 표시 장치(100)와 벽면부(200) 사이의 인력은 표시 장치(100)와 벽면부(200)를 고정하기에 충분할 수 있다. 이에, 표시 장치(100) 및 마운팅 지그(500)는 우측이 벽면부(200)에 고정된 상태에서 좌측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반면, 복수의 표면파 발생기(550) 중 제2 표면파 발생기(552)만 구동하는 경우, 제2 표면파 발생기(552)가 배치된 방향에서 표시 장치(100)와 벽면부(200) 사이의 인력이 약화될 수 있어 표시 장치(100) 및 마운팅 지그(500)의 우측은 아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다만, 제1 표면파 발생기(551)가 구동하지 않는 경우, 제1 표면파 발생기(551)가 배치된 표시 장치(100)의 좌측에서의 표시 장치(100)와 벽면부(200) 사이의 인력은 표시 장치(100)와 벽면부(200)를 고정하기에 충분할 수 있다. 이에, 표시 장치(100) 및 마운팅 지그(500)는 좌측이 벽면부(200)에 고정된 상태에서 우측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다음으로, 표시 장치(100)를 원하는 위치에 정렬한 후, 표면파 발생기(550)의 구동을 중지하면, 표시 장치(100)와 벽면부(200) 사이의 제2 자력선(ML2)에 의해 표시 장치(100)가 벽면부(200)에 고정될 수 있다.
도 6d를 참조하면, 마운팅 지그(500)를 표시 장치(100)로부터 탈착할 수 있다. 즉, 표시 장치(100)를 원하는 위치에 정렬한 후, 마운팅 지그(500)의 손잡이(505)를 사용하여 마운팅 지그(500)를 표시 장치(100)로부터 탈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5a 내지 도 5c를 참조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작업자는 마운팅 지그(500)의 손잡이(505)를 힌지 구조(506)를 사용하여 회전시킬 수 있다. 이 경우, 마운팅 지그(500)의 제1 지그 자석(581), 제1 지그 강자성체(591), 제2 지그 자석(582) 및 제2 지그 강자성체(592)가 Y-Z 평면 상에서 회전하게 되어 표시 장치(100)로부터 탈착될 수 있다.
마운팅 지그(500)의 제1 지그 자석(581), 제1 지그 강자성체(591), 제2 지그 자석(582) 및 제2 지그 강자성체(592)가 표시 장치(100)로부터 탈착됨에 따라, 제1 자력선(ML1)은 제거되고, 벽면부(200), 제1 패널 강자성체(141) 및 제1 패널 자석(131), 그리고 벽면부(200), 제2 패널 강자성체(142) 및 제2 패널 자석(132)에는 제2 자력선(ML2) 보다 세기가 더 큰 제3 자력선(ML3)이 유도될 수 있다. 이에, 마운팅 지그(500)를 표시 장치(100)로부터 완전히 이격시킨 이후에는 제3 자력선(ML3)에 의해 표시 장치(100)가 벽면부(200)에 부착되어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도 6a 내지 도 6c에 도시된 공정을 사용하여 타일링 표시 장치(TD)를 제조한 상태에서, 특정 표시 장치(100)를 교체하거나 수리하기 위해 또는 타일링 표시 장치(TD)를 분해하기 위해, 해당 표시 장치(100)를 벽면부(200)로부터 분리해야 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마운팅 지그(500)를 사용하여 용이하게 표시 장치(100)를 벽면부(200)로부터 탈착할 수 있다.
작업자는 마운팅 지그(500)를 표시 장치(100)에 접촉하게 배치하도록 이동시킬 수 있다. 이때, 작업자는 마운팅 지그(500)를 표시 장치(100)의 원하는 위치에 정렬할 수 있다. 즉, 복수의 패널 자석(130)과 복수의 지그 자석(580)이 서로 대응하고, 복수의 패널 강자성체(140)가 복수의 지그 강자성체(590)에 대응할 수 있도록, 마운팅 지그(500)를 표시 장치(100)의 전면 상에서 정렬할 수 있다.
이어서, 마운팅 지그(500)를 원하는 위치에 정렬한 후, 마운팅 지그(500)의 손잡이(505)를 사용하여 마운팅 지그(500)의 복수의 지그 자석(580) 및 복수의 지그 강자성체(590)를 표시 장치(100)에 접촉시킬 수 있다. 즉, 작업자는 손잡이(505)를 회전시키는 방식으로 마운팅 지그(500)의 복수의 지그 자석(580) 및 복수의 지그 강자성체(590)를 표시 장치(100)에 접촉시킬 수 있다. 또한, 도 6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운팅 지그(500)의 복수의 지그 자석(580) 및 복수의 지그 강자성체(590)를 표시 장치(100)에 접촉시키기 전까지는 제3 자력선(ML3)이 벽면부(200), 제1 패널 강자성체(141) 및 제1 패널 자석(131), 그리고 벽면부(200), 제2 패널 강자성체(142) 및 제2 패널 자석(132)에 유도될 수 있다.
이어서, 도 6e를 참조하면, 복수의 패널 자석(130)과 복수의 지그 자석(580)이 서로 대응하고, 복수의 패널 강자성체(140)가 복수의 지그 강자성체(590)에 대응하도록 마운팅 지그(500)가 표시 장치(100)에 부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마운팅 지그(500)의 제1 지그 자석(581) 및 제2 지그 자석(582)은 서로 대응하는 표시 장치(100)의 제1 패널 자석(131) 및 제2 패널 자석(132)과 반대 극성이 중첩하도록 배치된다. 즉, 제1 지그 자석(581)의 N극(581N)이 제1 패널 자석(131)의 S극(131S)과 중첩하고, 제1 지그 자석(581)의 S극(581S)이 제1 패널 자석(131)의 N극(131N)과 중첩하고, 제2 지그 자석(582)의 N극(582N)이 제2 패널 자석(132)의 S극(132S)과 중첩하고 제2 지그 자석(582)의 S극(582S)이 제2 패널 자석(132)의 N극(132N)과 중첩하도록 마운팅 지그(500)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1 지그 강자성체(591)의 제1 부분(591A)은 제1 패널 강자성체(141)의 제1 부분(141A)과 중첩하고, 제1 지그 강자성체(591)의 제2 부분(591B)은 제1 패널 강자성체(141)의 제2 부분(141B)과 중첩하고, 제2 지그 강자성체(592)의 제1 부분(592A)은 제2 패널 강자성체(142)의 제1 부분(142A)과 중첩하고, 제2 지그 강자성체(592)의 제2 부분(592B)은 제2 패널 강자성체(142)의 제2 부분(142B)과 중첩하도록 마운팅 지그(500)가 배치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마운팅 지그(500)가 배치됨에 따라, 제1 지그 자석(581), 제1 지그 강자성체(591), 제1 패널 자석(131) 및 제1 패널 강자성체(141)에는 제1 자력선(ML1)이 유도되고, 제2 지그 자석(582), 제2 지그 강자성체(592), 제2 패널 자석(132) 및 제2 패널 강자성체(142)에도 제1 자력선(ML1)이 유도될 수 있다.
이때, 제1 자력선(ML1)이 유도됨에 따라 제1 자력선(ML1) 및 제3 자력선(ML3)보다 약한 제2 자력선(ML2)이 벽면부(200), 제1 패널 강자성체(141) 및 제1 패널 자석(131), 그리고 벽면부(200), 제2 패널 강자성체(142) 및 제2 패널 자석(132)에 유도될 수 있다. 이에, 표시 장치(100)와 마운팅 지그(500) 간의 자력이 표시 장치(100)와 벽면부(200) 간의 자력보다 클 수 있다.
이에, 작업자가 도 6f에 도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마운팅 지그(500)를 잡아당기는 경우, 마운팅 지그(500)에 부착된 표시 장치(100)가 벽면부(20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즉, 마운팅 지그(500)가 표시 장치(100)를 잡아당기는 자력이 벽면부(200)가 표시 장치(100)를 잡아당기는 자력보다 크므로, 작업자가 마운팅 지그(500)를 잡아당기는 경우, 표시 장치(100)가 마운팅 지그(500)를 따라 벽면부(200)로부터 분리될 수 있고, 복수의 표시 장치(100)에 동일한 작업을 반복함에 따라, 타일링 표시 장치(TD)가 해체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표면파 발생기(550)가 제2 자력선(ML2)에 의한 표시 장치(100)와 벽면부(200) 사이의 인력을 약화시킴에 따라, 제1 자력선(ML1) 및 제3 자력선(ML3)의 세기는 상대적으로 강해질 수 있다. 이에, 작업자가 도 6f에 도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마운팅 지그(500)를 잡아당기는 경우, 마운팅 지그(500)에 부착된 표시 장치(100)가 벽면부(200)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으며, 복수의 표시 장치(100)에 동일한 작업을 반복함에 따라, 타일링 표시 장치(TD)가 용이하게 해체될 수 있다
일반적인 타일링 표시 장치 제조 방법에서는 복수의 표시 장치의 배면에 고정을 위한 기구물을 배치하고, 해당 기구물을 벽면부에 체결하는 방식으로 구현되었다. 다만, 표시 장치 배면에 배치된 기구물을 이용하는 과정에서 작업자가 벽면부 뒤쪽에 위치하여 체결 공정을 수행하다 보니, 벽면부 뒤쪽에 작업자가 작업할 수 있는 공간이 반드시 확보되어야 하는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또한, 복수의 표시 장치 중 특정 표시 장치에 대한 보수가 필요한 경우, 작업자가 벽면부로 이동하여 기구물과 벽면부를 일일이 분리하여야 하며, 하나의 표시 장치를 분리하기 위해 해당 표시 장치뿐만 아니라 해당 표시 장치에 인접하는 표시 장치의 체결 또한 분리해야 할 수도 있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00), 타일링 표시 장치(TD) 및 타일링 표시 장치 제조 방법에서는 표시 패널(110) 및 금속 플레이트(120) 배면에 위치한 복수의 패널 자석(130)과 복수의 패널 강자성체(140) 및 복수의 패널 자석(130)과 복수의 패널 강자성체(140)에 대응하는 복수의 지그 자석(580)과 복수의 지그 강자성체(590)를 포함하는 마운팅 지그(500)를 사용하여 표시 장치(100)의 전면에서 용이하게 타일링 표시 장치(TD)를 제조할 수 있다. 즉, 표시 장치(100)의 전면에서 마운팅 지그(500)를 사용하여 표시 장치(100)를 파지한 상태에서 표시 장치(100)를 벽면부(200)에 고정시킬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00), 타일링 표시 장치(TD) 및 타일링 표시 장치 제조 방법에서는 벽면부(200) 뒤쪽의 작업 공간을 별도로 확보할 필요가 없다. 또한, 표시 장치(100) 전면에서 마운팅 지그(500)를 사용하여 용이하게 표시 장치(100)를 벽면부(200)로부터 탈착시킬 수 있으므로, 복수의 표시 장치(100) 각각의 설치, 유지 및 보수가 용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일링 표시 장치 제조용 마운팅 지그(500) 및 타일링 표시 장치 제조 방법에서는 마운팅 지그(500)에 복수의 표면파 발생기(550)를 배치하여 표시 장치(100)를 용이하게 타일링할 수 있다. 표면파 발생기(550)는 마운팅 지그(500)에 배치되어 표면파를 발생할 수 있으며, 표시 장치(100)가 배치되는 벽면부(200)의 반대 방향으로 힘을 발생할 수 있다. 이에, 표면파 발생기(500)는 패널 강자성체(140), 패널 자석(130) 및 벽면부(200) 사이에 유도된 제2 자력선(ML2)을 약화시켜 표시 장치(100)와 벽면부(200) 사이의 인력을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표시 장치(100)와 벽면부(200) 사이의 인력을 완화시켜 표시 장치(100)는 별도의 외력 없이 수직으로 하강하거나 시계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에, 작업자가 직접 표시 장치(100)를 직접 이동시킬 필요가 없어 작업자의 숙련도에 따라 상이해지는 타일링 오차 정도를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일링 표시 장치 제조용 마운팅 지그(500) 및 타일링 표시 장치 제조 방법에서는 작업자가 직접 표시 장치(100)를 이동시키는 경우, 복수의 표면파 발생기(500)가 표시 장치(100)와 벽면부(200) 사이의 인력을 상쇄하여 작업자가 표시 장치(100)를 이동시키기 위해 표시 장치(100)에 과도한 힘을 인가하지 않을 수 있다. 이전의 마운팅 지그에서는 표시 장치를 이동시키기 위해서 표시 장치와 벽면부 사이의 인력과 대응하는 크기의 힘을 마운팅 지그에 인가해야 했으며, 표시 장치와 벽면부 사이의 인력의 크기가 클수록 마운팅 지그에 과도한 힘이 인가되어 표시 장치의 파손 위험이 존재하였다. 이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일링 표시 장치 제조용 마운팅 지그(500) 및 타일링 표시 장치 제조 방법에서는 마운팅 지그(500)에 배치된 표면파 발생기(550)를 사용하여 표시 장치(100)와 벽면부(200) 사이의 인력을 약화시킬 수 있으며 이에, 타일링 시에 표시 장치(100)에 가해지는 힘을 약화시켜 표시 장치(100)의 파손 및 손상의 위험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일링 표시 장치 제조용 마운팅 지그(500) 및 타일링 표시 장치 제조 방법에서는 벽면부(200)에 부착된 표시 장치(100)를 이동시키는 과정에서, 인접한 거리에 배치된 다른 표시 장치(100)와 충돌하여 손상되는 문제를 저감시킬 수 있다. 표면파 발생기(550)의 진동은 표시 장치(100)와 벽면부(200) 사이의 인력을 조절할 수 있다. 이에, 표면파 발생기(550)의 세기를 조절하여 표시 장치(100) 정렬 과정에서 표시 장치(100)의 미끌림의 정도를 조절 할 수 있다. 따라서, 표시 장치(100)의 배열에서 미세한 오차가 발생한 경우, 표면파 발생기(550)를 약한 힘으로 구동하여 보다 미세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일링 표시 장치 제조용 마운팅 지그(500) 및 타일링 표시 장치 제조 방법에서는 보다 용이하게 미세 조정을 할 수 있으며, 이에 표시 장치(100)의 측면에 별도의 보호 기구물이 배치되지 않더라도, 표시 장치(100)의 측면에 배치된 사이드 배선이 손상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표시 장치(100)의 위치를 미세 조정하여 인접한 표시 장치(100)간의 타일링 공차를 저감할 수 있으며, 복수의 표시 장치(100) 간의 간격을 최소화하여 영상 시청 시, 복수의 표시 장치(100) 간의 경계 영역에 의한 몰입도 저하를 최소화할 수 있다.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타일링 표시 장치 제조용 마운팅 지그 및 타일링 표시 장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a는 벽면부(200)에 표시 장치(100)가 접촉된 상태의 마운팅 지그(700)를 정면에서 본 사시도이고, 도 7b는 벽면부(200)에 표시 장치(100)가 접촉된 상태의 마운팅 지그(700)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7a 내지 도 7b에 도시된 마운팅 지그(700)는 도 1 내지 도 6f를 참조하여 설명한 마운팅 지그(500)와 비교하여 복수의 표면파 발생기(750)만이 상이하며, 다른 구성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도 7a 내지 도 7b를 참조하면, 지지부에 복수의 표면파 발생기(750)가 배치된다. 복수의 표면파 발생기(750)는 제1 지지부(501) 또는 제2 지지부(502)에 고정된다.
복수의 표면파 발생기(750)는 편심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편심 모터는 편심력으로 복수의 표면파 발생기(750)에 기계적인 움직임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에, 편심 모터가 구동함에 따라 복수의 표면파 발생기(750)에는 진동이 발생될 수 있다. 이때, 편심 모터는 복수의 표면파 발생기(750)에 기계적인 움직임을 발생시킬 수 있다.
복수의 표면파 발생기(750)는 제1 표면파 발생기(751), 제2 표면파 발생기(752), 제3 표면파 발생기(753) 및 제4 표면파 발생기(754)를 포함한다.
제1 표면파 발생기(751)는 제1 지지부(501)에 고정되며, 제1 지지부(501) 및 제2 지지부(502)의 중앙을 기준으로 좌측에 배치된다. 제2 표면파 발생기(752)는 제1 지지부(501)에 고정되며, 제1 지지부(501) 및 제2 지지부(502)의 중앙을 기준으로 우측에 배치된다. 제3 표면파 발생기(753)는 제2 지지부(502)에 고정되며, 제1 지지부(501) 및 제2 지지부(502)의 중앙을 기준으로 좌측에 배치된다. 제4 표면파 발생기(754)는 제2 지지부(502)에 고정되며, 제1 지지부(501) 및 제2 지지부(502)의 중앙을 기준으로 우측에 배치된다.
제1 표면파 발생기(751), 제2 표면파 발생기(752), 제3 표면파 발생기(753) 및 제4 표면파 발생기(754)는 동일한 구조를 가질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마운팅 지그(700)는 복수의 표면파 발생기(750)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는 복수의 표면파 발생기(750)를 각각 독립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이에, 제1 표면파 발생기(751), 제2 표면파 발생기(752), 제3 표면파 발생기(753) 및 제4 표면파 발생기(754)는 각각 독립적으로 구동할 수 있으며, 제1 표면파 발생기(751), 제2 표면파 발생기(752), 제3 표면파 발생기(753) 및 제4 표면파 발생기(754)를 독립적으로 구동하여 제1 표면파 발생기(751), 제2 표면파 발생기(752), 제3 표면파 발생기(753) 및 제4 표면파 발생기(754)에 의한 진동의 세기는 개별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마운팅 지그(700)를 사용하여 타일링 표시 장치(TD)를 제조하는 방법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설명을 위해 도 7b를 함께 참조한다.
도 7b를 참조하면, 표시 장치(100)를 벽면부(200)에 접촉시킨다. 표시 장치(100)를 벽면부(200)에 접촉시킨 상태에서 벽면부(200), 패널 강자성체(140) 및 패널 자석(130)에는 제2 자력선(ML2)이 유도될 수 있다.
복수의 표면파 발생기(750)는 제2 자력선(ML2)에 의한 표시 장치(100)와 벽면부(200) 사이의 인력을 약화시킬 수 있다. 표면파 발생기(750)가 Z축 방향으로 진동하는 경우, 표면파 발생기(750)의 진동에 의해 제2 자력선(ML2)에 의한 표시 장치(100)와 벽면부(200) 사이의 인력을 약화시킬 수 있다. 제1 표면파 발생기(751), 제2 표면파 발생기(752), 제3 표면파 발생기(753) 및 제4 표면파 발생기(754) 모두가 구동하는 경우, 복수의 표면파 발생기(750)는 마운팅 지그(700)가 배치된 전체 영역에서 표시 장치(100)와 벽면부(200) 사이의 인력을 약화 시켜 복수의 표면파 발생기(750)를 구동하지 않는 경우와 비교하여, 표시 장치(100)의 이동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작업자는 표시 장치(100)를 벽면부(200)에 접촉시킨 상태에서 마운팅 지그(700)를 이동하여 도 7b에 도시된 화살표가 나타내는 방향과 같이 X축 방향으로 표시 장치(100)를 이동시킬 수 있고, Y축 방향으로도 표시 장치(100)를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다.
복수의 표면파 발생기(750) 중 일부만 구동하는 경우, 구동하는 표면파 발생기(750)가 배치된 방향으로의 표시 장치(100)의 이동이 용이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표면파 발생기(750) 중 하나만 구동하는 경우, 대각선 방향으로 표시 장치(100)의 이동이 용이해질 수 있다. 복수의 표면파 발생기(750) 중 제1 표면파 발생기(751)만 구동하는 경우, 제1 지지부(501) 및 제2 지지부(502)의 중앙을 기준으로 좌측 및 상측에 배치된 제1 패널 강자성체(141), 제1 패널 자석(131) 및 벽면부(200)에 유도된 제2 자력선(ML2)에 의한 표시 장치(100)와 벽면부(200) 사이의 인력을 약화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표면파 발생기(750) 중 제1 표면파 발생기(751)만이 구동하는 경우, 마운팅 지그(700)는 상대적으로 상측 및 좌측 사이 방향으로의 이동이 용이해질 수 있다. 이에, 작업자는 마운팅 지그(700)의 손잡이(505)를 파지한 상태에서 동작하는 표면파 발생기(750)가 배치된 방향 즉, 대각선 방향으로 마운팅 지그(700)를 사용하여 표시 장치(100)를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복수의 표면파 발생기(750) 중 제2 표면파 발생기(752)만 구동하는 경우, 우측 및 상측에서 표시 장치(100)와 벽면부(200) 사이의 인력이 약화되어 작업자는 마운팅 지그(700)의 손잡이(505)를 파지한 상태에서 우측 및 상측 사이 방향으로 마운팅 지그(700)를 사용하여 표시 장치(100)를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표면파 발생기(750) 중 제3 표면파 발생기(753)만 구동하는 경우, 좌측 및 하측에서 표시 장치(100)와 벽면부(200) 사이의 인력이 약화되어 작업자는 마운팅 지그(700)의 손잡이(505)를 파지한 상태에서 좌측 및 하측 사이 방향으로 마운팅 지그(700)를 사용하여 표시 장치(100)를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표면파 발생기(750) 중 제4 표면파 발생기(754)만 구동하는 경우, 우측 및 하측에서 표시 장치(100)와 벽면부(200) 사이의 인력이 약화되어 작업자는 마운팅 지그(700)의 손잡이(505)를 파지한 상태에서 우측 및 하측 사이 방향으로 마운팅 지그(700)를 사용하여 표시 장치(100)를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다.
복수의 표면파 발생기(750) 중 두개의 표면파 발생기(750)가 구동하는 경우, 직선 방향으로의 표시 장치(100)의 이동이 용이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표면파 발생기(750) 중 제1 표면파 발생기(751) 및 제2 표면파 발생기(752)가 구동하는 경우, 제1 지지부(501) 및 제2 지지부(502)의 중앙을 기준으로 상측에 배치된 제1 패널 강자성체(141), 제1 패널 자석(131) 및 벽면부(200)에 유도된 제2 자력선(ML2) 및 제2 패널 강자성체(142), 제2 패널 자석(132) 및 벽면부(200)에 유도된 제2 자력선(ML2)에 의한 표시 장치(100)와 벽면부(200) 사이의 인력을 약화시킬 수 있다. 따라서, 마운팅 지그(700)는 상대적으로 상측 방향으로의 이동이 용이해질 수 있다. 이에, 작업자는 마운팅 지그(700)의 손잡이(505)를 파지한 상태에서 동작하는 표면파 발생기(750)가 배치된 방향, 즉, 상측 방향으로 마운팅 지그(700)를 사용하여 표시 장치(100)를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복수의 표면파 발생기(750) 중 제1 표면파 발생기(751) 및 제3 표면파 발생기(753)가 구동하는 경우, 좌측에서 표시 장치(100)와 벽면부(200) 사이의 인력이 약화되어 작업자는 마운팅 지그(700)의 손잡이(505)를 파지한 상태에서 좌측 방향으로 마운팅 지그(700)를 사용하여 표시 장치(100)를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표면파 발생기(750) 중 제3 표면파 발생기(753) 및 제4 표면파 발생기(754)가 구동하는 경우, 하측에서 표시 장치(100)와 벽면부(200) 사이의 인력이 약화되어 작업자는 마운팅 지그(700)의 손잡이(505)를 파지한 상태에서 하측 방향으로 마운팅 지그(700)를 사용하여 표시 장치(100)를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표면파 발생기(750) 중 제2 표면파 발생기(752) 및 제4 표면파 발생기(754)가 구동하는 경우, 우측에서 표시 장치(100)와 벽면부(200) 사이의 인력이 약화되어 작업자는 마운팅 지그(700)의 손잡이(505)를 파지한 상태에서 우측 방향으로 마운팅 지그(700)를 사용하여 표시 장치(100)를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다.
복수의 표면파 발생기(750)는 작업자가 별도의 힘을 가하지 않더라도 표시 장치(100)를 자동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벽면부(200)에 부착된 표시 장치(100) 및 마운팅 지그(700)는 중력을 받을 수 있다. 이에, 제2 자력선(ML2)에 의한 힘이 약화되면, 사람이 외력을 가하지 않더라도, 중력에 의해 표시 장치(100) 및 마운팅 지그(700)가 벽면부(200)에 부착된 상태에서 아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에, 복수의 표면파 발생기(750)가 구동하는 경우 제2 자력선(ML2)에 의한 힘이 약화되어 표시 장치(100) 및 마운팅 지그(700)가 아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구동하는 표면파 발생기(750)의 위치에 따라 사람이 외력을 가하지 않더라도 표시 장치(100)를 회전시킬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표면파 발생기(750) 중 제1 표면파 발생기(751) 및 제3 표면파 발생기(753)가 구동하는 경우, 제1 표면파 발생기(751) 및 제3 표면파 발생기(753)가 배치된 방향에서 표시 장치(100)와 벽면부(200) 사이의 인력이 약화될 수 있어 표시 장치(100) 및 마운팅 지그(700)의 좌측은 아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다만, 제2 표면파 발생기(752) 및 제4 표면파 발생기(754)가 구동하지 않는 경우, 제2 표면파 발생기(752) 및 제4 표면파 발생기(754)가 배치된 표시 장치(100)의 우측에서의 표시 장치(100)와 벽면부(200) 사이의 인력은 표시 장치(100)와 벽면부(200)를 고정하기에 충분할 수 있다. 이에, 표시 장치(100) 및 마운팅 지그(700)는 우측이 벽면부(200)에 고정된 상태에서 좌측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반면, 복수의 표면파 발생기(750) 중 제2 표면파 발생기(752) 및 제4 표면파 발생기(754)가 구동하는 경우, 제2 표면파 발생기(752) 및 제4 표면파 발생기(754)가 배치된 방향에서 표시 장치(100)와 벽면부(200) 사이의 인력이 약화될 수 있어 표시 장치(100) 및 마운팅 지그(700)의 우측은 아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다만, 제1 표면파 발생기(751) 및 제3 표면파 발생기(753)가 구동하지 않는 경우, 제1 표면파 발생기(551) 및 제3 표면파 발생기(753)가 배치된 표시 장치(100)의 좌측에서의 표시 장치(100)와 벽면부(200) 사이의 인력은 표시 장치(100)와 벽면부(200)를 고정하기에 충분할 수 있다. 이에, 표시 장치(100) 및 마운팅 지그(700)는 좌측이 벽면부(200)에 고정된 상태에서 우측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타일링 표시 장치 제조용 마운팅 지그(700) 및 타일링 표시 장치 제조 방법에서는 표시 장치(100)가 배치되는 벽면부(200)의 반대 방향으로 힘을 발생시키는 복수의 표면파 발생기(750)를 마운팅 지그(700)에 배치하여 표시 장치(100)를 용이하게 타일링할 수 있다. 이에, 작업자가 직접 표시 장치(100)를 이동시킬 필요가 없어 작업자의 숙련도에 따라 상이해지는 타일링 오차 정도를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타일링 표시 장치 제조용 마운팅 지그(700) 및 타일링 표시 장치 제조 방법에서는 작업자가 직접 표시 장치(100)를 이동시키는 경우, 복수의 표면파 발생기(700)가 표시 장치(100)와 벽면부(200) 사이의 인력을 상쇄하여 작업자가 표시 장치(100)를 이동시키기 위해 표시 장치(100)에 과도한 힘을 인가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타일링 시에 표시 장치(100)에 가해지는 힘을 약화시켜 표시 장치(100)의 파손 및 손상의 위험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타일링 표시 장치 제조용 마운팅 지그(700) 및 타일링 표시 장치 제조 방법에서는 보다 용이하게 미세 조정을 할 수 있으며, 이에 표시 장치(100)의 측면에 별도의 보호 기구물이 배치되지 않더라도, 표시 장치(100)의 측면에 배치된 사이드 배선이 손상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표시 장치(100)의 위치를 미세 조정하여 인접한 표시 장치(100)간의 타일링 공차를 저감할 수 있으며, 복수의 표시 장치(100) 간의 간격을 최소화하여 영상 시청 시, 복수의 표시 장치(100) 간의 경계 영역에 의한 몰입도 저하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타일링 표시 장치 제조용 마운팅 지그(700) 및 타일링 표시 장치 제조 방법에서는, 표시 장치(100)를 보다 다양항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타일링 표시 장치 제조용 마운팅 지그(700) 및 타일링 표시 장치 제조 방법에서는, 복수의 표면파 발생기(750) 중 하나만을 구동하여 표시 장치(100)의 직선 "?향으로?* 이동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복수의 표면파 발생기(750) 중 두개만을 구동하여 표시 장치(100)의 대각선 방향 및 회전 방향으로의 이동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에, 표시 장치(100)의 위치를 보다 용이하게 미세 조정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타일링 표시 장치 제조용 마운팅 지그 및 타일링 표시 장치 제조 방법은 다음과 같이 설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일링 표시 장치 제조용 마운팅 지그는 복수의 지그 자석이 부착된 고정된 지지부, 복수의 지그 자석의 양 측에 배치된 복수의 지그 강자성체 및 지지부에 배치된 복수의 표면파 발생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표면파 발생기는 편심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지지부는 제1 방향으로 연장하는 제1 지지부 및 제2 지지부, 제1 방향과 상이한 제2 방향으로 연장하고, 제1 지지부 및 제2 지지부의 끝단에 배치되며, 복수의 지그 자석 및 복수의 지그 강자성체가 고정되는 제3 지지부 및 제4 지지부를 포함하고, 복수의 표면파 발생기는 제1 지지부 또는 제2 지지부에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복수의 표면파 발생기는 제1 지지부 및 제2 지지부의 중앙을 기준으로 좌측에 배치된 제1 표면파 발생기 및 우측에 배치된 제2 표면파 발생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제1 표면파 발생기는 제1 지지부 및 제2 지지부 모두에 고정되고, 제2 표면파 발생기는 제1 지지부 및 제2 지지부 모두에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복수의 표면파 발생기는 제1 지지부 및 제2 지지부의 중앙을 기준으로 좌측에 배치된 제3 표면파 발생기 및 우측에 배치된 제4 표면파 발생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제1 표면파 발생기 및 제2 표면파 발생기는 제1 지지부에 고정되고, 제3 표면파 발생기 및 제4 표면파 발생기는 제2 지지부에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복수의 표면파 발생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제어부는 복수의 표면파 발생기 각각의 구동을 독립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일링 표시 장치 제조 방법은 표시 장치에 마운팅 지그를 부착하는 단계, 마운팅 지그를 이용하여 표시 장치를 벽면부에 접촉시키는 단계, 마운팅 지그에 배치된 복수의 표면파 발생기 중 적어도 하나를 구동하는 단계, 마운팅 지그를 사용하여 표시 장치를 벽면부 상에서 이동시키는 단계 및 마운팅 지그를 표시 장치로부터 탈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표시 장치는 복수의 패널 자석 및 복수의 패널 강자성체를 포함하고, 마운팅 지그는 복수의 지그 자석 및 복수의 지그 강자성체를 포함하고, 마운팅 지그를 부착하는 단계는, 복수의 패널 자석과 복수의 지그 자석이 서로 대응하고, 복수의 패널 강자성체가 복수의 지그 강자성체에 대응하도록 마운팅 지그를 부착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표시 장치를 벽면부에 접촉시키는 단계에서, 표시 장치와 마운팅 지그 사이에 발생하는 제1 자력선의 크기가 표시 장치와 벽면부 사이에 발생하는 제2 자력선의 크기보다 클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복수의 표면파 발생기 중 적어도 하나를 구동하는 단계는, 제2 자력선에 의한 표시 장치와 벽면부 간의 인력을 약화시키는 단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마운팅 지그는 복수의 표면파 발생기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고, 지지부는, 제1 방향으로 연장하는 제1 지지부 및 제2 지지부 제1 방향과 상이한 제2 방향으로 연장하고, 제1 지지부 및 제2 지지부의 끝단에 배치되며, 복수의 지그 자석 및 복수의 지그 강자성체가 고정되는 제3 지지부 및 제4 지지부를 포함하고, 복수의 표면파 발생기는 제1 지지부 또는 제2 지지부에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복수의 표면파 발생기는 제1 지지부 및 제2 지지부의 중앙을 기준으로 좌측에 배치되고, 제1 지지부 및 제2 지지부 모두에 고정되는 제1 표면파 발생기 및 제1 지지부 및 제2 지지부의 중앙을 기준으로 우측에 배치되고, 제1 지지부 및 제2 지지부 모두에 고정되는 제2 표면파 발생기를 포함하고, 복수의 표면파 발생기 중 적어도 하나를 구동하는 단계는 제1 표면파 발생기를 구동하여 표시 장치의 좌측으로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는 단계 또는 제2 표면파 발생기를 구동하여 표시 장치의 우측으로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복수의 표면파 발생기는, 제1 지지부 및 제2 지지부의 중앙을 기준으로 좌측에 배치되고, 제1 지지부 및 제2 지지부 모두에 고정되는 제1 표면파 발생기 및 제1 지지부 및 제2 지지부의 중앙을 기준으로 우측에 배치되고, 제1 지지부 및 제2 지지부 모두에 고정되는 제2 표면파 발생기를 포함하고,
복수의 표면파 발생기 중 적어도 하나를 구동하는 단계는 제1 표면파 발생기를 구동하여 표시 장치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단계 또는 제2 표면파 발생기를 구동하여 표시 장치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복수의 표면파 발생기는 제1 지지부 및 제2 지지부의 중앙을 기준으로 좌측에 배치되고, 제1 지지부에 고정되는 제1 표면파 발생기, 제1 지지부 및 제2 지지부의 중앙을 기준으로 우측에 배치되고, 제1 지지부에 고정되는 제2 표면파 발생기, 제1 지지부 및 제2 지지부의 중앙을 기준으로 좌측에 배치되고, 제2 지지부에 고정되는 제3 표면파 발생기 및 제1 지지부 및 제2 지지부의 중앙을 기준으로 우측에 배치되고, 제2 지지부에 고정되는 제4 표면파 발생기를 포함하고, 복수의 표면파 발생기 중 적어도 하나를 구동하는 단계는 제1 표면파 발생기 내지 제4 표면파 발생기 중 하나를 구동하여 구동되는 표면파 발생기가 배치된 방향으로의 표시 장치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로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제한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표시 장치
110: 표시 패널
120: 금속 플레이트
130: 패널 자석
131: 제1 패널 자석
131N: 제1 패널 자석의 N극
131S: 제1 패널 자석의 S극
132: 제2 패널 자석
132N: 제2 패널 자석의 N극
132S: 제2 패널 자석의 S극
133: 제3 패널 자석
133N: 제3 패널 자석의 N극
133S: 제3 패널 자석의 S극
134: 제4 패널 자석
134N: 제4 패널 자석의 N극
134S: 제4 패널 자석의 S극
140: 패널 강자성체
141: 제1 패널 강자성체
141A: 제1 패널 강자성체의 제1 부분
141B: 제1 패널 강자성체의 제2 부분
142: 제2 패널 강자성체
142A: 제2 패널 강자성체의 제1 부분
142B: 제2 패널 강자성체의 제2 부분
143, 1043: 제3 패널 강자성체
143A: 제3 패널 강자성체의 제1 부분
143B: 제3 패널 강자성체의 제2 부분
144: 제4 패널 강자성체
144A: 제4 패널 강자성체의 제1 부분
144B: 제4 패널 강자성체의 제2 부분
200: 벽면부
500, 700: 마운팅 지그
501: 제1 지지부
502: 제2 지지부
503: 제3 지지부
504: 제4 지지부
505: 손잡이
506: 힌지 구조
550, 750: 표면파 발생기
551, 751: 제1 표면파 발생기
552, 752: 제2 표면파 발생기
553, 753: 제3 표면파 발생기
554, 754: 제4 표면파 발생기
580: 지그 자석
581: 제1 지그 자석
581N: 제1 지그 자석의 N극
581S: 제1 지그 자석의 S극
582: 제2 지그 자석
582N: 제2 지그 자석의 N극
582S: 제2 지그 자석의 S극
583: 제3 지그 자석
584: 제4 지그 자석
590: 지그 강자성체
591: 제1 지그 강자성체
591A: 제1 지그 강자성체의 제1 부분
591B: 제1 지그 강자성체의 제2 부분
592: 제2 지그 강자성체
592A: 제2 지그 강자성체의 제1 부분
592B: 제2 지그 강자성체의 제2 부분
593: 제3 지그 강자성체
TD: 타일링 표시 장치
ML1: 제1 자력선
ML2: 제2 자력선
ML3: 제3 자력선

Claims (15)

  1. 복수의 지그 자석이 고정된 지지부;
    상기 복수의 지그 자석의 양 측에 배치된 복수의 지그 강자성체; 및
    상기 지지부에 배치된 복수의 표면파 발생기를 포함하는, 타일링 표시 장치 제조용 마운팅 지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파 발생기는 편심 모터를 포함하는, 타일링 표시 장치 제조용 마운팅 지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제1 방향으로 연장하는 제1 지지부 및 제2 지지부;
    상기 제1 방향과 상이한 제2 방향으로 연장하고, 상기 제1 지지부 및 상기 제2 지지부의 끝단에 배치되며, 상기 복수의 지그 자석 및 상기 복수의 지그 강자성체가 고정되는 제3 지지부 및 제4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표면파 발생기는 상기 제1 지지부 또는 상기 제2 지지부에 고정되는, 타일링 표시 장치 제조용 마운팅 지그.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표면파 발생기는 상기 제1 지지부 및 상기 제2 지지부의 중앙을 기준으로 좌측에 배치된 제1 표면파 발생기 및 우측에 배치된 제2 표면파 발생기를 포함하는, 타일링 표시 장치 제조용 마운팅 지그.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표면파 발생기는 상기 제1 지지부 및 상기 제2 지지부 모두에 고정되고,
    상기 제2 표면파 발생기는 상기 제1 지지부 및 상기 제2 지지부 모두에 고정되는, 타일링 표시 장치 제조용 마운팅 지그.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표면파 발생기는 상기 제1 지지부 및 상기 제2 지지부의 중앙을 기준으로 좌측에 배치된 제3 표면파 발생기 및 우측에 배치된 제4 표면파 발생기를 더 포함하는, 타일링 표시 장치 제조용 마운팅 지그.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표면파 발생기 및 상기 제2 표면파 발생기는 상기 제1 지지부에 고정되고,
    상기 제3 표면파 발생기 및 상기 제4 표면파 발생기는 상기 제2 지지부에 고정되는, 타일링 표시 장치 제조용 마운팅 지그.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표면파 발생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표면파 발생기 각각의 구동을 독립적으로 제어하는, 타일링 표시 장치 제조용 마운팅 지그.
  9. 표시 장치에 마운팅 지그를 부착하는 단계;
    상기 마운팅 지그를 이용하여 상기 표시 장치를 벽면부에 접촉시키는 단계;
    상기 마운팅 지그에 배치된 복수의 표면파 발생기 중 적어도 하나를 구동하는 단계;
    상기 마운팅 지그를 사용하여 상기 표시 장치를 상기 벽면부 상에서 이동시키는 단계; 및
    상기 마운팅 지그를 상기 표시 장치로부터 탈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타일링 표시 장치 제조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장치는 복수의 패널 자석 및 복수의 패널 강자성체를 포함하고,
    상기 마운팅 지그는 복수의 지그 자석 및 복수의 지그 강자성체를 포함하고,
    상기 마운팅 지그를 부착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패널 자석과 상기 복수의
    지그 자석이 서로 대응하고, 상기 복수의 패널 강자성체가 상기 복수의 지그 강자성체에 대응하도록 상기 마운팅 지그를 부착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표시 장치를 상기 벽면부에 접촉시키는 단계에서, 상기 표시 장치와 상기 마운팅 지그 사이에 발생하는 제1 자력선의 크기가 상기 표시 장치와 상기 벽면부 사이에 발생하는 제2 자력선의 크기보다 큰, 타일링 표시 장치 제조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표면파 발생기 중 적어도 하나를 구동하는 단계는, 상기 제2 자력선에 의한 상기 표시 장치와 상기 벽면부 간의 인력을 약화시키는 단계인, 타일링 표시 장치 제조 방법.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마운팅 지그는 상기 복수의 표면파 발생기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는,
    제1 방향으로 연장하는 제1 지지부 및 제2 지지부;
    상기 제1 방향과 상이한 제2 방향으로 연장하고, 상기 제1 지지부 및 상기 제2 지지부의 끝단에 배치되며, 상기 복수의 지그 자석 및 상기 복수의 지그 강자성체가 고정되는 제3 지지부 및 제4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표면파 발생기는 상기 제1 지지부 또는 상기 제2 지지부에 고정되는, 타일링 표시 장치 제조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표면파 발생기는,
    상기 제1 지지부 및 상기 제2 지지부의 중앙을 기준으로 좌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지지부 및 상기 제2 지지부 모두에 고정되는 제1 표면파 발생기; 및
    상기 제1 지지부 및 상기 제2 지지부의 중앙을 기준으로 우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지지부 및 상기 제2 지지부 모두에 고정되는 제2 표면파 발생기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표면파 발생기 중 적어도 하나를 구동하는 단계는 상기 제1 표면파 발생기를 구동하여 상기 표시 장치의 좌측으로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는 단계 또는 상기 제2 표면파 발생기를 구동하여 상기 표시 장치의 우측으로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타일링 표시 장치 제조 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표면파 발생기는,
    상기 제1 지지부 및 상기 제2 지지부의 중앙을 기준으로 좌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지지부 및 상기 제2 지지부 모두에 고정되는 제1 표면파 발생기; 및
    상기 제1 지지부 및 상기 제2 지지부의 중앙을 기준으로 우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지지부 및 상기 제2 지지부 모두에 고정되는 제2 표면파 발생기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표면파 발생기 중 적어도 하나를 구동하는 단계는 상기 제1 표면파 발생기를 구동하여 상기 표시 장치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단계 또는 상기 제2 표면파 발생기를 구동하여 상기 표시 장치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타일링 표시 장치 제조 방법.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표면파 발생기는,
    상기 제1 지지부 및 상기 제2 지지부의 중앙을 기준으로 좌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지지부에 고정되는 제1 표면파 발생기;
    상기 제1 지지부 및 상기 제2 지지부의 중앙을 기준으로 우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지지부에 고정되는 제2 표면파 발생기;
    상기 제1 지지부 및 상기 제2 지지부의 중앙을 기준으로 좌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지지부에 고정되는 제3 표면파 발생기; 및
    상기 제1 지지부 및 상기 제2 지지부의 중앙을 기준으로 우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지지부에 고정되는 제4 표면파 발생기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표면파 발생기 중 적어도 하나를 구동하는 단계는 상기 제1 표면파 발생기 내지 상기 제4 표면파 발생기 중 하나를 구동하여 구동되는 표면파 발생기가 배치된 방향으로의 상기 표시 장치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타일링 표시 장치 제조 방법.
KR1020190154123A 2019-11-27 2019-11-27 타일링 표시 장치 제조용 마운팅 지그 및 타일링 표시 장치 제조 방법 KR2021006542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4123A KR20210065421A (ko) 2019-11-27 2019-11-27 타일링 표시 장치 제조용 마운팅 지그 및 타일링 표시 장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4123A KR20210065421A (ko) 2019-11-27 2019-11-27 타일링 표시 장치 제조용 마운팅 지그 및 타일링 표시 장치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5421A true KR20210065421A (ko) 2021-06-04

Family

ID=763916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4123A KR20210065421A (ko) 2019-11-27 2019-11-27 타일링 표시 장치 제조용 마운팅 지그 및 타일링 표시 장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65421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51604B1 (ko) 표시 장치, 타일링 표시 장치 및 타일링 표시 장치 제조 방법
KR102608916B1 (ko) 타일링 표시 장치 및 타일링 표시 장치의 조립 방법
KR102486270B1 (ko) 디스플레이 장치
EP3416156B1 (en) A fixture for aligning tiled displays
EP3772052A1 (en) Display apparatus
US20240120137A1 (en) Mounting jig for manufacturing tiling display device, and tiling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US20210076115A1 (en) Display apparatus
EP4242740A1 (en) Display device and tiling display device
KR20210065421A (ko) 타일링 표시 장치 제조용 마운팅 지그 및 타일링 표시 장치 제조 방법
KR102442665B1 (ko) 표시 장치, 타일링 표시 장치 및 타일링 표시 장치 제조 방법
KR20080051688A (ko) 기판 테이블 및 이를 가진 기판 합착장치
KR102499876B1 (ko) 표시 장치 및 타일링 표시 장치
KR20210072450A (ko) 표시 장치 및 타일링 표시 장치
KR102455253B1 (ko) 타일링 표시장치 및 이를 제작하는 타일링장치
CN118019408A (zh) 显示面板和显示装置
KR20130085594A (ko) 필름 라이네이팅 장치
KR20220164142A (ko) 기판처리장치
KR20210084822A (ko) 표시 장치 및 타일링 표시 장치
KR20140124215A (ko) 기판 스크라이브 장치
KR20130041581A (ko) 수직형 판넬 이송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