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65365A - Method and System for Entrance and Exit Preventing to Restricted Area - Google Patents

Method and System for Entrance and Exit Preventing to Restricted Area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65365A
KR20210065365A KR1020190154005A KR20190154005A KR20210065365A KR 20210065365 A KR20210065365 A KR 20210065365A KR 1020190154005 A KR1020190154005 A KR 1020190154005A KR 20190154005 A KR20190154005 A KR 20190154005A KR 20210065365 A KR20210065365 A KR 202100653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terminal
restricted area
signal
electronic device
acc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400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한병삼
Original Assignee
한병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병삼 filed Critical 한병삼
Priority to KR10201901540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65365A/en
Publication of KR202100653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5365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2209/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roups G07C9/00 - G07C9/38
    • G07C2209/02Access control comprising means for the enrolment of user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2209/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roups G07C9/00 - G07C9/38
    • G07C2209/6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roups G07C9/00174 - G07C9/00944
    • G07C2209/63Comprising locating means for detecting the position of the data carrier, i.e. within the vehicle or within a certain distance from the vehicle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a system for preventing access to a restricted area.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checking a set prevention mode by an electronic device; checking whether at least one first user terminal accessing a preset restricted area is permitted to access the restricted area when a prevention mode of the electronic device is an access prevention mode; checking position information on the first user terminal to transmit the same to a monitoring server when the first user terminal is in a state of being permitted to access the restricted area; checking whether at least one second user terminal positioned in the preset restricted area is separated from the restricted area when the prevention mode of the electronic device is a separation prevention mode; and checking position information on the second user terminal to transmit the same to the monitoring server when checking separation from the restricted area. Accordingly, separation from the restricted area where security is required can be prevented.

Description

제한 구역으로의 출입 방지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Entrance and Exit Preventing to Restricted Area}Method and System for Entrance and Exit Preventing to Restricted Area

본 발명은 제한 구역으로의 출입 방지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system for preventing entry into a restricted area.

현대 사회에서는 일반 가정, 정부 기관, 기업 등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여러 분야에서 다양한 형태의 출입 통제 시스템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출입 통제 시스템은 저가의 단순한 자물쇠 장치에서 기계적 매커니즘과 전자적 기술이 결합된 고가의 기계적 장치 및 전자적 장치에 이르기까지 여러 형태로 제작되어 사용되고 있다. In modern society, various types of access control systems are widely used in various fields ranging from households, government agencies, companies, and the like. Such an access control system has been manufactured and used in various forms ranging from a simple low-cost lock device to an expensive mechanical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that combines a mechanical mechanism and an electronic technology.

특히, 산업 현장 등 임시로 통제가 필요한 구역에 진입 통제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서는 현장에 임시로 출입문 등을 설치하여 진입 통제 시스템을 구축하거나, CCTV등의 설치를 통해 현장으로의 접근을 감지하기도 한다. 또한, 군부대 등 보안을 위해 작업시간 동안 제한 구역에서 이탈이 불가능한 경우에는 출입문 외부에 경호인 등을 배치시켜 제한 구역에서 이탈하지 못하도록 하기도 한다. In particular, in order to establish an entry control system in an area that needs temporary control, such as an industrial site, an entrance control system is established by temporarily installing an entrance door at the site, or access to the site is detected through the installation of CCTV. In addition, if it is impossible to leave the restricted area during working hours for security reasons, such as military bases, security guards are placed outside the door to prevent them from leaving the restricted area.

그러나, 산업 현장에 설치된 진입 통제 시스템은 임시로 설치한 시스템으로 진입 통제에 대한 효율성이 그다지 높지 않고, 설치 비용이 과다하게 발생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CCTV등을 설치하는 경우, CCTV에서 확인이 불가능한 사각지대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고, 제한 구역에서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경호인을 배치하는 등 불필요한 비용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However, the entry control system installed at the industrial site is a temporarily installed system, so the efficiency of entry control is not very high, and the installation cost is excessively generated. In addition, when installing CCTV, etc., there is a problem in that a blind spot that cannot be confirmed by the CCTV is generated, and there is a problem in that unnecessary costs are generated such as arranging a security guard to prevent departure from the restricted area.

이에 따라, 산업 현장 등과 같이 통제가 필요한 구역에 최소한의 비용으로 제한 구역으로의 출입을 방지할 수 있는 기술의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Accordingly, there is an urgent need to develop a technology capable of preventing access to a restricted area at a minimum cost in an area requiring control, such as an industrial site.

KR10-2006-0011267AKR10-2006-0011267A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작업자에게 태그를 배포하고, 현장의 적어도 일부에 설치된 전자장치에서 태그를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모니터링 서버로 전송하여 감시 사각지대 없이 제한 구역으로의 출입을 확인하는 제한 구역으로의 출입 방지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is conventional problem distribute a tag to a worker, detect a tag in an electronic device installed in at least a part of the field, and transmit a detection signal to a monitoring server to enter a restricted area without a monitoring blind spot.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and system for preventing access to a restricted area for confirming access.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태그를 구비한 작업자가 제한 구역으로의 접근이 허용된 작업자인지 확인하여 접근이 허용된 작업자만 제한 구역으로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제한 구역으로의 출입 방지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In addition,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 a method and system for preventing access to a restricted area so that only a worker who is allowed access to the restricted area by checking whether a worker equipped with a tag is a worker permitted access to the restricted area will provide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태그를 구비한 작업자가 제한 구역에서의 이탈을 감지하여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제한 구역으로의 출입 방지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In addition,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to provide a method and system for preventing entry into a restricted area by which an operator equipped with a tag can detect departure from the restricted area and prevent the departure.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출입 방지 방법은, 전자장치가 설정된 방지모드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전자장치의 방지모드가 접근방지모드이면 기설정된 제한 구역에 진입한 적어도 하나의 제1 사용자 단말이 상기 제한 구역으로의 진입이 허가된 상태인지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이 상기 제한 구역으로의 진입이 허가된 상태이면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의 위치정보를 확인하여 모니터링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전자장치의 방지모드가 이탈방지모드이면 기설정된 제한 구역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제2 사용자 단말이 상기 제한 구역으로부터의 이탈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제한 구역으로부터의 이탈이 확인되면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의 위치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모니터링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n access preven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p of checking the prevention mode set by the electronic device, and if the prevention mode of the electronic device is the access prevention mode, at least one first user terminal entering a preset restricted area Checking whether the entry into the restricted area is permitted, if the first user terminal is in the permitted state to enter the restricted area, the step of check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first user terminal and transmitting to the monitoring server, the If the prevention mode of the electronic device is the escape prevention mode, the step of checking whether at least one second user terminal located in a preset restricted area departs from the restricted area, and when the departure from the restricted area is confirmed, the second user terminal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the step of confirm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ransmission to the monitoring server.

또한, 전자장치는, 상기 제1 사용자 단말 및 상기 제2 사용자 단말로부터 송출되는 서로 다른 종류의 제1 신호, 제2 신호 및 제3 신호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electronic devic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detects different types of first, second, and third signals transmitted from the first user terminal and the second user terminal.

또한, 제1 사용자 단말이 상기 제한 구역으로의 진입이 허가된 상태인지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신호를 감지하는 센서를 활성화하는 단계, 상기 센서에서 상기 제1 신호가 감지되면 상기 제1 사용자 단말로 응답요청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응답요청신호에 대응되는 응답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응답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이 상기 제한 구역으로의 진입이 허가된 상태인지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 first user terminal is in a state in which the entry into the restricted area is permitted includes activating a sensor for detecting the first signal, when the first signal is detected by the sensor, the first user Transmitting a response request signal to the terminal, receiving a response signal corresponding to the response request signal from the first user terminal, and based on the response signal, the first user terminal is permitted to enter the restricted area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the step of checking whether the state.

또한, 응답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이 상기 제한 구역으로의 진입이 허가된 상태가 아닌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에서 알람을 출력하도록 상기 제1 사용자 단말로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when it is confirmed that the first user terminal is not in a state in which entry into the restricted area is permitted based on the response signal, transmitting a control signal to the first user terminal to output an alarm from the first user terminal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또한, 제1 사용자 단말의 위치정보를 확인하여 모니터링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 송출되는 상기 제3 신호를 감지하여,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의 위치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확인된 위치를 기준으로 임계 반경 내에 설치된 영상획득장치에서 획득된 영상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의 위치 및 상기 영상데이터를 상기 모니터링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tep of confirm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first user terminal and transmitting it to the monitoring server, detecting the third signal transmitted from the first user terminal, confirming the location of the first user terminal, the confirmation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the steps of receiving the image data obtained from the image acquisition device installed within a critical radius based on the location, and transmitting the position of the first user terminal and the image data to the monitoring server.

또한, 제한 구역으로부터의 이탈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제2 사용자 단말로부터 송출되는 상기 제2 신호를 감지하여 상기 이탈여부를 확인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 departure from the restricted area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tep of detecting the second signal transmitted from the second user terminal to confirm the departure.

또한, 제2 사용자 단말의 위치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모니터링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제2 사용자 단말로부터 송출되는 상기 제3 신호를 감지하여,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의 위치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확인된 위치를 기준으로 임계 반경 내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인접 단말로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의 이탈알림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확인된 위치를 기준으로 임계 반경 내에 설치된 영상획득장치에서 획득된 영상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의 위치 및 상기 영상데이터를 상기 모니터링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step of confirm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second user terminal and transmitting it to the monitoring server, detecting the third signal transmitted from the second user terminal, confirming the location of the second user terminal, the Transmitting a departure notification signal of the second user terminal to at least one adjacent terminal located within a critical radius based on the confirmed position, image data obtained from an image acquisition device installed within a critical radius based on the confirmed position Receiving and transmitting the location of the second user terminal and the image data to the monitoring server.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접근 출입 방지 시스템은, 서로 다른 종류의 제1 신호, 제2 신호 및 제3 신호를 송출하는 사용자 단말, 기설정된 방지모드가 접근방지모드이고 기설정된 제한 구역에 진입한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제한 구역으로의 진입이 허가된 상태이면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방지모드가 이탈방지모드이고 기설정된 제한 구역에 위치한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제한 구역으로부터의 이탈여부를 확인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정보를 확인하는 전자장치 및 상기 전자장치로부터 사용자 단말의 위치정보를 수신하여 모니터링을 수행하는 모니터링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access access preven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user terminal that transmits different types of first signal, second signal and third signal, a preset prevention mode is an access prevention mode, and a preset restricted area If the entered user terminal is in a state where the entry into the restricted area is permitted,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is checked, and the prevention mode is the escape prevention mode and the user terminal located in the preset restricted area is separated from the restricted area.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 electronic device for check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by checking whether there is a departure, and a monitoring server for receiv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from the electronic device to perform monitoring.

또한, 전자장치는, 상기 제한 구역에 진입한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송출되는 상기 제1 신호를 감지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 응답요청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lso, the electronic device detects the first signal transmitted from the user terminal entering the restricted area, and transmits a response request signal to the user terminal.

또한, 전자장치는, 상기 응답요청신호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응답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제한 구역으로의 진입이 허가된 상태인지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electronic device is characterized in that based on the response signal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in response to the response request signal,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rmed whether the user terminal is in a state in which the entry into the restricted area is permitted.

또한, 전자장치는,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제한 구역으로의 진입이 허가된 상태가 아니면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알람을 출력하도록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lso, the electronic device may transmit a control signal to the user terminal to output an alarm from the user terminal when the user terminal is not in a state in which entry into the restricted area is permitted.

또한, 전자장치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송출되는 상기 제3 신호를 감지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위치를 기준으로 임계 반경 내에 설치된 영상획득장치에서 획득된 영상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모니터링 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electronic device detects the third signal transmitted from the user terminal to determine the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and receives the image data obtained from the image acquisition device installed within a critical radius based on the identified location.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transmitted to the monitoring server.

또한, 전자장치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송출되는 상기 제2 신호를 감지하여 상기 제한 구역으로부터의 이탈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위치를 기준으로 임계 반경 내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인접 단말로 상기 사용자 단말의 이탈알림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electronic device detects the second signal transmitted from the user terminal to determine whether or not to depart from the restricted area, and sends the user terminal to at least one adjacent terminal located within a critical radius based on the identified location.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transmits a departure notification signal of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제한 구역으로의 출입 방지 방법 및 시스템은, 작업자에게 태그를 배포하고, 현장의 적어도 일부에 설치된 전자장치에서 태그를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모니터링 서버로 전송함으로써 감시 사각지대 없이 작업자의 제한 구역 출입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method and system for preventing access to a restricted are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istributes a tag to a worker, detects a tag in an electronic device installed in at least a part of the field, and transmits a detection signal to the monitoring server, thereby monitoring blind spot It has the effect of checking whether a worker enters the restricted area without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한 구역으로의 출입 방지 방법 및 시스템은, 태그를 구비한 작업자가 제한 구역으로의 접근이 허용된 작업자인지 확인함으로써 접근이 허용된 작업자만 제한 구역으로 접근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method and system for preventing access to the restricted are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checking whether the worker equipped with the tag is a worker allowed to access the restricted area, only the worker who is allowed to access the restricted area can access the restricted area there is an effect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한 구역으로의 출입 방지 방법 및 시스템은, 태그를 구비한 작업자가 제한 구역에서의 이탈을 감지함으로써 보안이 필요한 제한 구역에서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method and system for preventing access to a restricted are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that can prevent departure from a restricted area requiring security by detecting a departure from the restricted area by an operator equipped with a tag.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한 구역으로의 출입 방지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출입 방지를 위한 전자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한 구역으로의 출입 방지를 설명하기 위한 화면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장치에서 제한 구역으로의 출입을 방지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장치에서 제한 구역으로의 접근을 방지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상세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장치에서 제한 구역에서의 이탈을 방지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상세순서도이다.
1 is a view showing a system for preventing access to a restricted are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lectronic device for preventing acce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emplary screen view for explaining the prevention of access to a restricted are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preventing access to a restricted area in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detailed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preventing access to a restricted area in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detailed flowchart for explaining a method of preventing departure from a restricted area in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과 함께 이하에 개시될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고자 하는 것이며,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유일한 실시형태를 나타내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할 수 있고,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사용할 수 있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DETAILED DESCRIP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set forth below in conjunction with the appended drawings is intended to describe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not intended to represent the only embodiments in which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acticed. In order to clear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rawings,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may be omitted,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may be used for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또는”, “적어도 하나” 등의 표현은 함께 나열된 단어들 중 하나를 나타내거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을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는 A 또는 B 중 하나만을 포함할 수 있고, A와 B를 모두 포함할 수도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xpressions such as “or” and “at least one” may indicate one of the words listed together, or a combination of two or more. For example, “A or B” or “at least one of A and B” may include only one of A or B, or both A and B.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한 구역으로의 출입 방지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a system for preventing access to a restricted are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출입 방지 시스템(10)은 사용자 단말(100), 전자장치(200) 및 모니터링 서버(300)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1 , an access prevention system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user terminal 100 , an electronic device 200 , and a monitoring server 300 .

사용자 단말(100)은 제한 구역에 진입하거나, 제한 구역에서 작업을 수행하는 사용자가 휴대하는 단말로, 카드형태의 출입증, 스마트 폰 등의 휴대장치일 수 있다. 아울러, 사용자 단말(100)은 서로 다른 종류의 제1 신호, 제2 신호 및 제3 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 이때, 제1 신호는 적외선 신호, 초음파 신호 등의 초근거리 통신신호일 수 있고, 제2 신호는 블루투스(bluetooth), BLE(bluetooth low energy), 지그비(zigbee) 등의 저전력 근거리 무선 통신신호일 수 있고, 제3 신호는 UWB(ultrawide band) 등의 광대역 통신신호일 수 있다. The user terminal 100 is a terminal carried by a user who enters a restricted area or performs an operation in the restricted area, and may be a portable device such as a card-type pass or a smart phone. In addition, the user terminal 100 may transmit different types of the first signal, the second signal, and the third signal. In this case, the first signal may be an ultra-short-range communication signal such as an infrared signal or an ultrasonic signal, and the second signal may be a low-power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signal such as Bluetooth, BLE (bluetooth low energy), or Zigbee, The third signal may be a wideband communication signal such as ultrawide band (UWB).

전자장치(200)는 제한 구역에 설치되어 사용자 단말(100)이 제한 구역에 진입하거나, 제한 구역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는 장치로 중계기, 공유기 소형 전자장치일 수 있다. 아울러, 전자장치(200)는 현장에 복수개가 설치되어 각각 접근방지모드 및 이탈방지모드가 설정될 수 있으며, 설정된 방지모드는 현장 관리자에 의해 변경이 가능하다. 복수의 전자장치는 현장에 메쉬 네트워크의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전자장치(200)의 동작은 하기의 도 2를 이용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출입 방지를 위한 전자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The electronic device 200 is a device that is installed in the restricted area to confirm that the user terminal 100 enters or departs from the restricted area, and may be a small electronic device of a repeater or a router. In addition, a plurality of electronic devices 200 may be installed in the field to set an access prevention mode and a departure prevention mode, respectively, and the set prevention mode may be changed by a site manager. The plurality of electronic devices may be installed in the field in the form of a mesh network. In this case, the operation of the electronic device 20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2 below.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lectronic device for preventing acce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전자장치(200)는 통신부(210), 센서부(220), 입력부(230), 표시부(240), 출력부(250), 메모리(260) 및 제어부(270)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2 , the electronic device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mmunication unit 210 , a sensor unit 220 , an input unit 230 , a display unit 240 , an output unit 250 , a memory 260 , and a control unit ( 270).

통신부(210)는 사용자 단말(100), 모니터링 서버(300)와의 통신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통신부(210)는 UWB(ultrawide band) 등의 광대역 통신을 수행할 수 있고, 블루투스(bluetooth), BLE(bluetooth low energy), 지그비(zigbee) 등의 저전력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아울러, 전자장치(200)가 영상처리장치(미도시)에서 획득된 영상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해 통신부(210)는 Wi-Fi(wireless fidelity) 등의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The communication unit 210 performs communication with the user terminal 100 and the monitoring server 300 . To this end, the communication unit 210 may perform broadband communication such as ultrawide band (UWB), and low-power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such as Bluetooth, BLE (bluetooth low energy), and Zigbee. Can be performed. . In addition, in order for the electronic device 200 to receive image data obtained from an image processing apparatus (not shown), the communication unit 210 may perform wireless communication such as wireless fidelity (Wi-Fi).

센서부(220)는 제한 구역에 설치되어 사용자 단말(100)에 구비된 센서에서 송출되는 적외선 신호 및 초음파 신호 등의 신호를 감지하는 센서로, 적외선 센서, 초음파 센서 등 초근거리 통신이 가능한 센서일 수 있다. The sensor unit 220 is a sensor installed in a restricted area to detect signals such as an infrared signal and an ultrasonic signal transmitted from a sensor provided in the user terminal 100, and is a sensor capable of ultra-short-range communication such as an infrared sensor and an ultrasonic sensor. can

입력부(230)는 전자장치(200)의 사용자의 입력에 대응하여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이를 위해, 입력부(230)는 적어도 하나의 입력수단을 포함한다. 입력부(230)는 전자장치(200)에서의 방지모드를 설정하기 위한 버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The input unit 230 generates input data in response to a user input of the electronic device 200 . To this end, the input unit 230 includes at least one input means. The input unit 230 may include a button for setting the prevention mode in the electronic device 200 .

표시부(240)는 전자장치(200)의 동작에 따른 출력 데이터를 출력한다. 이를 위해, 표시부(240)는 액정 디스플레이(LCD; liquid crystal display), 발광 다이오드(LED; light emitting diode) 디스플레이,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organic LED) 디스플레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The display unit 240 outputs output data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electronic device 200 . To this end, the display unit 240 may include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a light emitting diode (LED) display,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display, and the like.

출력부(250)는 제한 구역으로 접근한 사용자 단말(100)의 접근 여부 또는 제한 구역에서 이탈한 사용자 단말(100)의 이탈 여부에 대응하여 알람을 출력하는 스피커일 수 있다. The output unit 250 may be a speaker that outputs an alarm in response to whether the user terminal 100 approaching the restricted area approaches or whether the user terminal 100 deviates from the restricted area.

메모리(260)는 전자장치(200)의 동작 프로그램들을 저장한다. 메모리(260)는 전자장치(200)에 설정된 방지모드를 저장한다. 또한, 전자장치(200)는 접근방지모드가 설정된 경우, 제한 구역에 진입이 허가된 사용자 단말(100)의 고유 번호를 저장할 수 있다. 전자장치(200)는 이탈방지모드가 설정된 경우, 제한 구역에서 작업을 수행하도록 허가된 사용자 단말(100)의 고유 번호를 저장할 수 있다. 아울러, 전자장치(200)는 자신이 설치된 위치 정보를 저장할 수 있으며, 자신이 설치된 위치를 기반으로 통신이 가능한 반경 내에 배치된 영상처리장치에 대한 고유 번호를 저장할 수 있다. The memory 260 stores operation programs of the electronic device 200 . The memory 260 stores the prevention mode set in the electronic device 200 . Also, when the access prevention mode is set, the electronic device 200 may store a unique number of the user terminal 100 permitted to enter the restricted area. When the departure prevention mode is set, the electronic device 200 may store a unique number of the user terminal 100 permitted to perform an operation in the restricted area. In addition, the electronic device 200 may store information on the location in which it is installed, and may store a unique number for the image processing apparatus disposed within a communicationable radius based on the location where the electronic device 200 is installed.

제어부(270)는 자신이 접근방지모드로 설정된 상태이면, 자신이 설치된 위치를 기반으로 제한 구역 예컨대, 접근금지구역을 설정할 수 있다. 접근방지모드는 사용자 단말(100)에서 송출되는 제1 신호를 기반으로 동작하므로, 접근금지구역은 제1 신호의 송출거리를 기반으로 설정될 수 있다. 아울러, 제어부(270)는 모니터링 서버(300)로부터 접근금지구역에 접근이 허가된 사용자 단말(100)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If the control unit 270 is in a state where it is set to the access prevention mode, it may set a restricted area, for example, an access prohibited area, based on the location where it is installed. Since the access prevention mode operates based on the first signal transmitted from the user terminal 100, the access prohibition zone may be set based on the transmission distance of the first signal.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270 may receive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100 permitted to access the access prohibited area from the monitoring server 300 .

제어부(270)는 접근금지구역에서 제1 신호가 감지되면, 제1 신호를 송출한 사용자 단말(100)이 접근금지구역으로의 접근이 허가된 단말인지 확인한다. 이를 위해, 제어부(270)는 제1 신호를 송출한 사용자 단말(100)로 응답요청신호를 전송하고,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응답요청신호에 대응되는 응답신호를 수신한다. 제어부(270)는 수신된 응답신호를 기반으로 사용자 단말(100)의 정보를 확인하고, 확인된 사용자 단말(100)의 정보를 기반으로 접근금지구역에 접근이 허가된 사용자 단말(100)인지를 확인할 수 있다. When the first signal is detected in the no-access area, the control unit 270 checks whether the user terminal 100 that has transmitted the first signal is a terminal permitted to access the no-access area. To this end, the control unit 270 transmits a response request signal to the user terminal 100 that has transmitted the first signal, and receives a response signal corresponding to the response request signal from the user terminal 100 . The control unit 270 checks the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100 based on the received response signal, and determines whether the user terminal 100 is allowed to access the access prohibited area based on the checked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100 . can be checked

제어부(270)는 접근금지구역에 접근이 허가된 사용자 단말(100)이 아니면, 출력부(250)를 통해 알람을 출력하고, 사용자 단말(100)로 알람출력 제어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아울러, 제어부(27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제3 신호를 수신하여 사용자 단말(100)의 위치를 확인한다. 제어부(270)는 확인된 사용자 단말(100)의 위치를 기반으로 임계 거리 내에 배치된 영상획득장치 예컨대, CCTV에서 획득된 영상데이터를 수신하고 이를 모니터링 서버(300)로 전송한다. 이때, 제어부(270)는 사용자 단말(100)의 위치를 함께 전송할 수 있다. 아울러, 영상데이터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송출된 제1 신호가 감지된 시점부터 획득된 영상데이터일 수 있다. The control unit 270 may output an alarm through the output unit 250 and transmit an alarm output control signal to the user terminal 100 if the user terminal 100 is not permitted to access the access prohibited area.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270 receives the third signal from the user terminal 100 and confirms the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100 . The control unit 270 receives image data obtained from an image acquisition device disposed within a threshold distance, for example, CCTV, based on the identified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100 , and transmits it to the monitoring server 300 . In this case, the controller 270 may transmit the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100 together. In addition, the image data may be image data obtained from a time point when the first signal transmitted from the user terminal 100 is sensed.

반대로, 제어부(270)는 자신이 이탈방지모드로 설정된 상태이면, 자신이 설치된 위치를 기반으로 제한 구역 예컨대, 이탈금지구역을 설정할 수 있다. 이탈방지모드는 사용자 단말(100)에서 송출되는 제2 신호를 기반으로 동작하므로, 이탈금지구역은 제2 신호의 송출거리를 기반으로 설정될 수 있다. Conversely, if the control unit 270 is in a state in which it is set to the escape prevention mode, it may set a restricted area, for example, a departure prohibited area, based on the location where it is installed. Since the departure prevention mode operates based on the second signal transmitted from the user terminal 100, the departure prohibition zone may be set based on the transmission distance of the second signal.

제어부(27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송출되는 제2 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사용자 단말(100)이 이탈금지구역 내에서 이탈한 것으로 확인한다. 제어부(27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송출되는 제3 신호를 수신하여 사용자 단말(100)의 현재 위치를 확인한다. 제어부(270)는 확인된 사용자 단말(100)의 현재 위치를 기반으로 임계 거리 내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인접 단말(미도시)로 사용자 단말(100)이 이탈금지구역으로부터 이탈하였음을 알리는 신호를 전송한다. 이를 통해, 인접 단말의 사용자들은 사용자 단말(100)을 소유한 작업자가 이탈금지구역에서 이탈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다. If the second signal transmitted from the user terminal 100 is not received, the control unit 270 determines that the user terminal 100 has departed from the departure prohibited zone. The control unit 270 receives the third signal transmitted from the user terminal 100 and confirms the current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100 . The control unit 270 transmits a signal indicating that the user terminal 100 has departed from the departure prohibited zone to at least one adjacent terminal (not shown) located within a threshold distance based on the confirmed current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100 . . Through this, users of adjacent terminals can confirm that the worker who owns the user terminal 100 has departed from the no-departure zone.

제어부(270)는 확인된 사용자 단말(100)의 위치를 기반으로 임계 거리 내에 배치된 영상획득장치 예컨대, CCTV에서 획득된 영상데이터를 수신한다. 이때, 영상데이터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송출된 제2 신호가 감지되지 않은 시점부터 획득된 영상데이터일 수 있다. 제어부(270)는 영상획득장치로부터 수신된 영상데이터와 사용자 단말(100)의 위치정보를 모니터링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270 receives image data obtained from an image acquisition device disposed within a threshold distance, for example, CCTV, based on the confirmed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100 . In this case, the image data may be image data obtained from a point in time when the second signal transmitted from the user terminal 100 is not detected. The controller 270 may transmit the image data received from the image acquisition device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100 to the monitoring server 300 .

모니터링 서버(300)는 현장에 출입하는 작업자에게 사용자 단말(100)이 제공되면, 작업자의 개인정보 예컨대, 사원번호, ID 등과 작업자에게 제공된 사용자 단말(100)에 할당된 ID 등의 고유정보를 매핑하여 저장한다. 모니터링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100)의 소지한 작업자가 접근할 수 있는 제한 구역의 구역정보 또는 작업자가 이탈하지 않아야 하는 제한 구역의 구역정보를 사용자 단말(100)의 고유정보에 매핑하여 저장할 수 있다. When the user terminal 100 is provided to the worker entering the site, the monitoring server 300 maps the worker's personal information, for example, employee number, ID, and unique information such as the ID assigned to the user terminal 100 provided to the worker. to save The monitoring server 300 maps and stores the area information of the restricted area that the operator possesses of the user terminal 100 can access or the area information of the restricted area where the operator must not deviate to the unique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100 . can

모니터링 서버(300)는 현장에 설치된 복수의 전자장치(200)와의 통신을 통해 제한 구역으로 접근하는 사용자 단말(100)과 제한 구역에서 이탈하는 사용자 단말(100)에 대한 모니터링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모니터링 서버(300)는 전자장치(200)와의 통신을 통해 전자장치(200)의 방지모드를 접근방지모드 또는 이탈방지모드로 원격 설정할 수 있다.The monitoring server 300 may monitor the user terminal 100 approaching the restricted area and the user terminal 100 leaving the restricted area through communication with a plurality of electronic devices 200 installed in the field. To this end, the monitoring server 300 may remotely set the prevention mode of the electronic device 200 to the access prevention mode or the departure prevention mode through communication with the electronic device 200 .

보다 구체적으로, 모니터링 서버(300)는 허가되지 않은 사용자 단말(100)이 접근금지구역에 진입하여 전자장치(200)로부터 사용자 단말(100)의 위치정보 및 영상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모니터링 서버(300)는 수신된 사용자 단말(100)의 위치정보로 사용자 단말(100)이 진입한 접근금지구역을 확인할 수 있고, 영상데이터의 분석을 통해 사용자 단말(100)을 소지한 작업자가 접근금지구역에서의 이동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the monitoring server 300 may receive the location information and image data of the user terminal 100 from the electronic device 200 by the unauthorized user terminal 100 entering the no-access zone. The monitoring server 300 can check the access prohibited zone into which the user terminal 100 has entered with the received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100, and an operator holding the user terminal 100 can access the user terminal 100 through analysis of the image data. Movement in prohibited areas can be continuously monitored.

또한, 모니터링 서버(300)는 이탈금지구역에서 사용자 단말(100)이 이탈하여 전자장치(200)로부터 사용자 단말(100)의 위치정보 및 영상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모니터링 서버(300)는 수신된 사용자 단말(100)의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 단말(100)을 소지한 작업자가 이동할 수 있는 영역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전자장치를 확인할 수 있다. 모니터링 서버(300)는 확인된 적어도 하나의 전자장치로 사용자 단말(100)의 정보를 전송하고, 확인된 적어도 하나의 전자장치로부터 사용자 단말(100)에서 송출되는 제1 신호 내지 제3 신호 중 어느 하나의 신호가 감지됨이 확인되면, 전자장치의 위치를 기반으로 사용자 단말(100)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아울러, 모니터링 서버(300)는 영상데이터의 분석을 통해 사용자 단말(100)을 소지한 작업자가 이탈금지구역을 이탈한 이후에 이동한 위치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monitoring server 300 may receive the location information and image data of the user terminal 100 from the electronic device 200 when the user terminal 100 leaves the departure prohibited zone. The monitoring server 300 may identify at least one electronic device installed in an area where the operator carrying the user terminal 100 can move based on the received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100 . The monitoring server 300 transmits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100 to at least one identified electronic device, and any one of the first to third signals transmitted from the user terminal 100 from the at least one identified electronic device. When it is confirmed that one signal is detected, the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100 may be confirmed based on the location of the electronic device. In addition, the monitoring server 300 may continuously monitor the position to which the worker carrying the user terminal 100 has moved after leaving the no-departure zone through the analysis of the image data.

아울러, 도시되진 않았으나, 본 발명에 따른 출입 방지 시스템(10)은 복수의 영상획득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영상획득장치는 현장에 설치된 복수의 CCTV 등으로, 실시간으로 영상데이터를 획득하여 전자장치(200)의 요청에 따라 획득된 영상데이터를 전자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영상획득장치는 전자장치(200)의 요청에 따라 획득된 영상데이터를 모니터링 서버(300)로도 전송할 수 있다. 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the access prevention system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plurality of image acquisition devices. The image acquisition device may acquire image data in real time using a plurality of CCTVs installed in the field, and transmit the acquired image data to the electronic device 200 according to a request of the electronic device 200 . Also, the image acquisition device may transmit the acquired image data according to the request of the electronic device 200 to the monitoring server 300 .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한 구역으로의 출입 방지를 설명하기 위한 화면예시도이다. 3 is an exemplary screen view for explaining the prevention of access to a restricted are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현장(310)에는 복수의 전자장치(200a 내지 200e)가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제1 전자장치(200a)에 접근방지모드가 설정되어 있고, 제3 전자장치(200c)에 이탈방지모드가 설정된 것을 예로 설명하기로 한다. Referring to FIG. 3 , a plurality of electronic devices 200a to 200e may be installed in a site 3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example in which the access prevention mode is set in the first electronic device 200a and the departure prevention mode is set in the third electronic device 200c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제1 전자장치(200a)에 접근방지모드가 설정된 상태이면, 제1 전자장치(200a)를 기반으로 임계거리 내에 접근금지구역(320)이 설정된다. 이때, 접근금지구역(320)은 사용자 단말(100)에서 송출되는 제1 신호 예컨대, 적외선 신호 또는 초음파 신호를 감지할 수 있는 범위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A단말(100a)이 접근금지구역(320)의 외부에 위치하다가 접근금지구역(320)의 내부로 이동하면 제1 전자장치(200a)는 A단말(100a)에서 송출되는 제1 신호를 감지할 수 있다. 제1 전자장치(200a)는 제1 신호가 감지되면, A단말(100a)로 응답요청신호를 전송한다. 이때, 응답요청신호는 사용자 단말(100)이 제한 구역으로의 접근이 허가된 단말인지 확인하기 위한 신호일 수 있으며, 제1 신호 내지 제3 신호 중 어느 하나의 신호를 이용할 수 있다. When the access prevention mode is set in the first electronic device 200a, the access prohibition zone 320 is set within a critical distance based on the first electronic device 200a. 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hat the no-access zone 320 be set in a range capable of detecting the first signal, for example, an infrared signal or an ultrasonic signal transmitted from the user terminal 100 . When the terminal A 100a is located outside the no-access area 320 and moves to the inside of the no-access area 320, the first electronic device 200a detects the first signal transmitted from the terminal A 100a. can When the first signal is detected, the first electronic device 200a transmits a response request signal to the terminal A 100a. In this case, the response request signal may be a signal for confirming whether the user terminal 100 is a terminal permitted to access the restricted area, and any one of the first signal to the third signal may be used.

제1 전자장치(200a)는 A단말(100a)로부터 응답요청신호에 대응되는 응답신호가 수신되면 응답신호를 확인하여 A단말(100a)이 접근금지구역(320)으로의 접근이 허가된 상태인지 확인한다. 확인결과, 제1 전자장치(200a)는 접근금지구역(320)으로의 접근이 허가되지 않은 A단말(100a)이 접근금지구역(320)에 진입하면, 제1 전자장치(200a)에서 알람을 출력할 수 있고, A단말(100a)로 알람출력 제어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아울러, 제1 전자장치(200a)는 A단말(100a)로부터 제3 신호 예컨대, UWB신호를 수신하여 A단말(100a)의 위치를 확인한다. 제1 전자장치(200a)는 확인된 A단말(100a)의 위치를 기반으로 임계 거리 내에 배치된 영상획득장치 예컨대, CCTV에서 획득된 영상데이터를 수신한다. 이때, 영상데이터는 A단말(100a)로부터 송출된 제1 신호가 감지된 시점부터 획득된 영상데이터일 수 있다. 제1 전자장치(200a)는 영상획득장치로부터 수신된 영상데이터와 A단말(100a)의 위치정보를 모니터링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 When a response signal corresponding to the response request signal is received from the terminal A 100a, the first electronic device 200a checks the response signal to determine whether the terminal A 100a is in a state in which the access to the prohibited area 320 is permitted. Check it. As a result of the check, the first electronic device 200a generates an alarm in the first electronic device 200a when a terminal A 100a that is not permitted to access the access prohibited area 320 enters the access prohibited area 320 . output, and may transmit an alarm output control signal to the terminal A (100a). In addition, the first electronic device 200a receives a third signal, for example, a UWB signal, from the terminal A 100a and confirms the location of the terminal A 100a. The first electronic device 200a receives image data acquired from an image acquisition device disposed within a threshold distance, eg, CCTV, based on the confirmed position of the terminal A 100a. In this case, the image data may be image data acquired from the point in time when the first signal transmitted from the terminal A 100a is sensed. The first electronic device 200a may transmit the image data received from the image acquisition device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A 100a to the monitoring server 300 .

아울러, 제3 전자장치(200c)에 이탈방지모드가 설정된 상태이면, 제3 전자장치(200c)를 기반으로 임계거리 내에 이탈금지구역(330)이 설정된다. 이때, 이탈금지구역(330)은 B단말(100b)에서 송출되는 제2 신호 예컨대, 블루투스(bluetooth), BLE(bluetooth low energy), 지그비(zigbee) 등의 저전력 근거리 무선 통신신호를 감지할 수 있는 범위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B단말(100b)이 이탈금지구역(330) 내에 위치하다가 이탈금지구역(330)의 외부로 이동하면 제3 전자장치(200c)는 B단말(100b)에서 송출되는 제2 신호를 더 이상 감지할 수 없게 된다. 제3 전자장치(200c)는 제2 신호가 감지되지 않으면 B단말(100b)이 이탈금지구역(330)에서 이탈됨을 확인한다. In addition, if the departure prevention mode is set in the third electronic device 200c, the departure prohibition zone 330 is set within the critical distance based on the third electronic device 200c. At this time, the departure prohibition zone 330 is a second signal transmitted from the B terminal 100b, for example, Bluetooth (bluetooth), BLE (bluetooth low energy), low-power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signals such as zigbee can be detected. It is preferable to set the range. When the terminal B 100b is located within the no-departure zone 330 and moves to the outside of the no-departure zone 330, the third electronic device 200c no longer detects the second signal transmitted from the terminal B 100b. becomes impossible If the second signal is not detected, the third electronic device 200c confirms that the terminal B 100b is separated from the departure prohibited zone 330 .

제3 전자장치(200c)는 B단말(100b)로부터 송출되는 제3 신호를 수신하여 B단말(100b)의 현재 위치를 확인한다. 제3 전자장치(200c)는 확인된 B단말(100b)의 현재 위치를 기반으로 임계 거리 내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인접 단말(미도시)로 B단말(100b)이 이탈금지구역(330)으로부터 이탈하였음을 알리는 신호를 전송한다. 이를 통해, 인접 단말의 사용자들은 B단말(100b)을 소유한 작업자가 이탈금지구역에서 이탈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다. The third electronic device 200c receives the third signal transmitted from the terminal B 100b and confirms the current location of the terminal B 100b. The third electronic device 200c is at least one adjacent terminal (not shown) located within a threshold distance based on the confirmed current location of the terminal B 100b, and the terminal B 100b has departed from the departure prohibition zone 330. transmits a signal indicating Through this, users of adjacent terminals can confirm that the worker who owns terminal B 100b has departed from the no-departure zone.

제3 전자장치(200c)는 확인된 B단말(100b)의 위치를 기반으로 임계 거리 내에 배치된 영상획득장치 예컨대, CCTV에서 획득된 영상데이터를 수신한다. 이때, 영상데이터는 B단말(100b)로부터 송출된 제2 신호가 감지되지 않은 시점부터 획득된 영상데이터일 수 있다. 제3 전자장치(200c)는 영상획득장치로부터 수신된 영상데이터와 B단말(100b)의 위치정보를 모니터링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The third electronic device 200c receives image data acquired from an image acquisition device disposed within a threshold distance based on the confirmed position of the terminal B 100b, for example, a CCTV. In this case, the image data may be image data acquired from a point in time when the second signal transmitted from the terminal B 100b is not detected. The third electronic device 200c may transmit the image data received from the image acquisition device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B 100b to the monitoring server 300 .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장치에서 제한 구역으로의 출입을 방지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preventing access to a restricted area in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401단계에서 제어부(270)는 기설정된 방지모드의 종류를 확인하여 403단계를 수행한다. 403단계에서 제어부(270)는 기설정된 방지모드가 접근방지모드이면 405단계를 수행하고, 기설정된 방지모드가 이탈방지모드이면 407단계를 수행한다. Referring to FIG. 4 , in step 401 , the controller 270 checks the type of a preset prevention mode and performs step 403 . In step 403, the control unit 270 performs step 405 if the preset prevention mode is the access prevention mode, and performs step 407 if the preset prevention mode is the escape prevention mode.

405단계에서 제어부(270)는 접근방지기능을 수행하고, 409단계를 수행한다. 이때, 405단계는 하기의 도 5를 이용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장치에서 제한 구역으로의 접근을 방지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상세순서도이다.In step 405, the control unit 270 performs an access prevention function, and performs step 409. In this case, step 405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5 below. 5 is a detailed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preventing access to a restricted area in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501단계에서 제어부(270)는 센서부(220)를 활성화한다. 이때, 센서부(220)는 사용자 단말(100)에서 송출되는 제1 신호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로 적외선 센서, 초음파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503단계에서 제어부(270)는 센서부(220)로부터 제1 신호가 감지됨이 확인되면 505단계를 수행하고, 제1 신호가 감지됨이 확인되지 않으면 지속적으로 제1 신호의 감지여부를 확인한다. Referring to FIG. 5 , in step 501 , the control unit 270 activates the sensor unit 220 . In this case, the sensor unit 220 is a sensor capable of detecting the first signal transmitted from the user terminal 100 and may include an infrared sensor, an ultrasonic sensor, and the like. In step 503, when it is confirmed that the first signal is detected from the sensor unit 220, the control unit 270 performs step 505, and if it is not confirmed that the first signal is detected, continuously checks whether the first signal is detected. .

505단계에서 제어부(270)는 사용자 단말(100)로 응답요청신호를 전송한다. 이때, 응답요청신호는 사용자 단말(100)이 제한 구역으로의 접근이 허가된 단말인지 확인하기 위한 신호일 수 있으며, 제1 신호 내지 제3 신호 중 어느 하나의 신호를 이용할 수 있다. 507단계에서 제어부(27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응답요청신호에 대응되는 응답신호가 수신되면 509단계를 수행한다. 509단계에서 제어부(270)는 응답신호를 확인하여 사용자 단말(100)이 제한 구역으로의 접근이 허가된 상태인지 확인한다. 이를 위해, 제어부(270)는 모니터링 서버(300)로부터 제한 구역으로의 접근이 허가된 사용자 단말(100)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In step 505 , the control unit 270 transmits a response request signal to the user terminal 100 . In this case, the response request signal may be a signal for confirming whether the user terminal 100 is a terminal permitted to access the restricted area, and any one of the first signal to the third signal may be used. In step 507 , when a response signal corresponding to the response request signal is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100 , the controller 270 performs step 509 . In step 509, the control unit 270 checks the response signal to determine whether the user terminal 100 is in a state in which access to the restricted area is permitted. To this end, the control unit 270 may receive information about the user terminal 100 permitted to access the restricted area from the monitoring server 300 .

509단계의 확인결과, 사용자 단말(100)이 제한 구역으로의 접근이 허가된 상태이면 제어부(270)는 513단계를 수행하고, 접근이 허가된 상태가 아니면 511단계를 수행한다. 511단계에서 제어부(270)는 사용자 단말(100)로 제어신호를 전송한다. 이때, 제어신호는 접근이 허가되지 않은 제한 구역에 사용자 단말(100)이 진입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자 단말(100)에서 알람을 출력하도록 하기 위한 제어신호일 수 있다.As a result of checking in step 509 , if the user terminal 100 is in a state in which access to the restricted area is permitted, the controller 270 performs step 513 , and if not in a state in which access is permitted, step 511 is performed. In step 511 , the control unit 270 transmits a control signal to the user terminal 100 . In this case, the control signal may be a control signal for outputting an alarm from the user terminal 100 in order to prevent the user terminal 100 from entering the restricted area where access is not permitted.

이어서, 513단계에서 제어부(270)는 사용자 단말(100)에서 송출되는 제3 신호를 감지하고, 515단계를 수행한다. 515단계에서 제어부(270)는 제3 신호의 분석을 통해 사용자 단말(100)의 현재 위치를 확인한다. 515단계에서 사용자 단말(100)의 현재 위치를 확인한 제어부(270)는 도 4의 409단계로 리턴한다. Subsequently, in step 513 , the controller 270 detects a third signal transmitted from the user terminal 100 , and performs step 515 . In step 515 , the controller 270 checks the current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100 through analysis of the third signal. In step 515 , the controller 270 confirms the current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100 and returns to step 409 of FIG. 4 .

409단계에서 제어부(270)는 확인된 사용자 단말(100)의 위치를 기반으로 임계 거리 내에 배치된 영상획득장치 예컨대, CCTV에서 획득된 영상데이터를 수신한다. 이때, 영상데이터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송출된 제1 신호가 감지된 시점부터 획득된 영상데이터일 수 있다. 411단계에서 제어부(270)는 영상획득장치로부터 수신된 영상데이터와 사용자 단말(100)의 위치정보를 모니터링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 도시되진 않았으나, 모니터링 서버(300)는 제어부(270)로부터 수신된 영상데이터 및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 단말(100)이 위치한 구역의 상황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In step 409, the control unit 270 receives image data obtained from an image acquisition device disposed within a threshold distance, for example, CCTV, based on the identified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100 . In this case, the image data may be image data obtained from a time when the first signal transmitted from the user terminal 100 is sensed. In step 411 , the controller 270 may transmit the image data received from the image acquisition device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100 to the monitoring server 300 . Although not shown, the monitoring server 300 may monitor the situation of the area in which the user terminal 100 is located based on the image data and loca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control unit 270 .

반대로, 기설정된 방지모드가 이탈방지기능이면, 407단계에서 제어부(270)는 이탈방지기능을 수행하고, 409단계를 수행한다. 이때, 407단계는 하기의 도 6을 이용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장치에서 제한 구역에서의 이탈을 방지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상세순서도이다.Conversely, if the preset prevention mode is the escape prevention function, the control unit 270 performs the departure prevention function in step 407 and performs step 409 . In this case, step 407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6 below. 6 is a detailed flowchart for explaining a method of preventing departure from a restricted area in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601단계에서 제어부(270)는 기설정된 제한 구역에 진입한 상태인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송출되는 제2 신호를 지속적으로 감지한다. 603단계에서 제어부(270)는 제2 신호의 감지결과를 기반으로 사용자 단말(100)이 제한 구역으로부터 이탈되었는지를 확인한다. 603단계의 확인결과, 사용자 단말(100)이 제한 구역으로부터 이탈됨이 확인되면 제어부(270)는 605단계를 수행하고, 이탈됨이 확인되지 않으면 601단계로 회귀하여 제2 신호를 지속적으로 감지한다. Referring to FIG. 6 , in step 601 , the control unit 270 continuously detects a second signal transmitted from the user terminal 100 that has entered a preset restricted area. In step 603, the control unit 270 checks whether the user terminal 100 is separated from the restricted area based on the detection result of the second signal. As a result of checking in step 603, if it is confirmed that the user terminal 100 is separated from the restricted area, the control unit 270 performs step 605, and if it is not confirmed that the departure is not confirmed, returns to step 601 and continuously detects the second signal. .

605단계에서 제어부(27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송출되는 제3 신호를 감지하고 607단계를 수행한다. 607단계에서 제어부(270)는 제3 신호를 분석하여 사용자 단말(100)의 현재 위치를 확인한다. 609단계에서 제어부(270)는 확인된 현재 위치를 기반으로 임계 거리 내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인접 단말(미도시)로 사용자 단말(100)이 제한 구역으로부터 이탈하였음을 알리는 신호를 전송하고 도 4의 409단계로 리턴한다. 이를 통해, 인접 단말의 사용자들은 사용자 단말(100)을 소유한 사용자가 제한 구역에서 이탈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다. In step 605 , the controller 270 detects the third signal transmitted from the user terminal 100 and performs step 607 . In step 607 , the controller 270 analyzes the third signal to determine the current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100 . In step 609, the control unit 270 transmits a signal indicating that the user terminal 100 has departed from the restricted area to at least one adjacent terminal (not shown) located within a threshold distance based on the confirmed current location, and 409 in FIG. return to step Through this, users of adjacent terminals can confirm that the user who owns the user terminal 100 has departed from the restricted area.

409단계에서 제어부(270)는 확인된 사용자 단말(100)의 위치를 기반으로 임계 거리 내에 배치된 영상획득장치 예컨대, CCTV에서 획득된 영상데이터를 수신한다. 이때, 영상데이터는 사용자 단말(100)이 제한 구역으로부터 이탈하였음이 확인된 시점부터 획득된 영상데이터일 수 있다. 411단계에서 제어부(270)는 영상획득장치로부터 수신된 영상데이터와 사용자 단말(100)의 위치정보를 모니터링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 도시되진 않았으나, 모니터링 서버(300)는 제어부(270)로부터 수신된 영상데이터 및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 단말(100)이 위치한 구역의 상황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In step 409, the control unit 270 receives image data obtained from an image acquisition device disposed within a threshold distance, for example, CCTV, based on the identified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100 . In this case, the image data may be image data obtained from a time when it is confirmed that the user terminal 100 has departed from the restricted area. In step 411 , the controller 270 may transmit the image data received from the image acquisition device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100 to the monitoring server 300 . Although not shown, the monitoring server 300 may monitor the situation of the area in which the user terminal 100 is located based on the image data and loca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control unit 270 .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바탕으로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drawings are merely provided for specific examples to easily explain the technical cont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help the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as including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based on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13)

전자장치가 설정된 방지모드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전자장치의 방지모드가 접근방지모드이면 기설정된 제한 구역에 진입한 적어도 하나의 제1 사용자 단말이 상기 제한 구역으로의 진입이 허가된 상태인지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이 상기 제한 구역으로의 진입이 허가된 상태이면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의 위치정보를 확인하여 모니터링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전자장치의 방지모드가 이탈방지모드이면 기설정된 제한 구역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제2 사용자 단말이 상기 제한 구역으로부터의 이탈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제한 구역으로부터의 이탈이 확인되면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의 위치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모니터링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 방지 방법.
checking the prevention mode set by the electronic device;
if the prevention mode of the electronic device is an access prevention mode, checking whether at least one first user terminal that has entered a preset restricted area is permitted to enter the restricted area;
When the first user terminal is in a state in which the entry into the restricted area is permitted, check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first user terminal and transmitting it to a monitoring server;
checking whether at least one second user terminal located in a preset restricted area departs from the restricted area when the prevention mode of the electronic device is the escape prevention mode; and
When the departure from the restricted area is confirmed, the step of check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second user terminal and transmitting it to the monitoring server;
Access prevention method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장치는,
상기 제1 사용자 단말 및 상기 제2 사용자 단말로부터 송출되는 서로 다른 종류의 제1 신호, 제2 신호 및 제3 신호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 방지 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electronic device is
The method for preventing access,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signal, the second signal, and the third signal transmitted from the first user terminal and the second user terminal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제2항에 있어서,
제1 사용자 단말이 상기 제한 구역으로의 진입이 허가된 상태인지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신호를 감지하는 센서를 활성화하는 단계;
상기 센서에서 상기 제1 신호가 감지되면 상기 제1 사용자 단말로 응답요청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응답요청신호에 대응되는 응답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응답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이 상기 제한 구역으로의 진입이 허가된 상태인지를 확인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 방지 방법.
3. The method of claim 2,
The step of confirming that the first user terminal is in a state that the entry into the restricted area is permitted,
activating a sensor that detects the first signal;
transmitting a response request signal to the first user terminal when the first signal is detected by the sensor;
receiving a response signal corresponding to the response request signal from the first user terminal; and
determining whether the first user terminal is allowed to enter the restricted area based on the response signal;
Access prevention method comprising a.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응답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이 상기 제한 구역으로의 진입이 허가된 상태가 아닌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에서 알람을 출력하도록 상기 제1 사용자 단말로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 방지 방법.
4. The method of claim 3,
transmitting a control signal to the first user terminal so as to output an alarm from the first user terminal when it is confirmed that the first user terminal is not in a state in which entry into the restricted area is permitted based on the response signal;
Access prevention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의 위치정보를 확인하여 모니터링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 송출되는 상기 제3 신호를 감지하여,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의 위치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확인된 위치를 기준으로 임계 반경 내에 설치된 영상획득장치에서 획득된 영상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의 위치 및 상기 영상데이터를 상기 모니터링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 방지 방법.
5. The method of claim 4,
The step of confirm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first user terminal and transmitting it to the monitoring server,
detecting the third signal transmitted from the first user terminal to determine a location of the first user terminal;
receiving image data obtained from an image acquisition device installed within a critical radius based on the identified position; and
transmitting the location of the first user terminal and the image data to the monitoring server;
Access prevention method comprising a.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한 구역으로부터의 이탈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제2 사용자 단말로부터 송출되는 상기 제2 신호를 감지하여 상기 이탈여부를 확인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 방지 방법.
3. The method of claim 2,
The step of checking whether the departure from the restricted area is,
The step of detecting the second signal transmitted from the second user terminal to check whether the departure has occurred.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의 위치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모니터링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제2 사용자 단말로부터 송출되는 상기 제3 신호를 감지하여,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의 위치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확인된 위치를 기준으로 임계 반경 내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인접 단말로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의 이탈알림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확인된 위치를 기준으로 임계 반경 내에 설치된 영상획득장치에서 획득된 영상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의 위치 및 상기 영상데이터를 상기 모니터링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 방지 방법.
7. The method of claim 6,
The step of confirm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second user terminal and transmitting it to the monitoring server,
detecting the third signal transmitted from the second user terminal to determine the location of the second user terminal;
transmitting a departure notification signal of the second user terminal to at least one adjacent terminal located within a threshold radius based on the identified location;
receiving image data obtained from an image acquisition device installed within a critical radius based on the identified position; and
transmitting the location of the second user terminal and the image data to the monitoring server;
Access prevention method comprising a.
서로 다른 종류의 제1 신호, 제2 신호 및 제3 신호를 송출하는 사용자 단말;
기설정된 방지모드가 접근방지모드이고 기설정된 제한 구역에 진입한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제한 구역으로의 진입이 허가된 상태이면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방지모드가 이탈방지모드이고 기설정된 제한 구역에 위치한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제한 구역으로부터의 이탈여부를 확인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정보를 확인하는 전자장치; 및
상기 전자장치로부터 사용자 단말의 위치정보를 수신하여 모니터링을 수행하는 모니터링 서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 방지 시스템.
a user terminal for transmitting different types of first, second, and third signals;
If the preset prevention mode is the access prevention mode and the user terminal that has entered the preset restricted area is permitted to enter the restricted area, check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and the prevention mode is the escape prevention mode an electronic device for confirming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by checking whether the user terminal located in a set restricted area departs from the restricted area; and
a monitoring server that receives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from the electronic device and performs monitoring;
Access prevention system comprising a.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장치는,
상기 제한 구역에 진입한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송출되는 상기 제1 신호를 감지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 응답요청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 방지 시스템.
9. The method of claim 8,
The electronic device is
The access prevent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detecting the first signal transmitted from the user terminal entering the restricted area, and transmitting a response request signal to the user terminal.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장치는,
상기 응답요청신호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응답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제한 구역으로의 진입이 허가된 상태인지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 방지 시스템.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electronic device is
Access prevent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based on the response signal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in response to the response request signal,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rmed whether the user terminal is in the permitted state to enter the restricted area.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장치는,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제한 구역으로의 진입이 허가된 상태가 아니면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알람을 출력하도록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 방지 시스템.
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electronic device is
Access prevent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user terminal transmits a control signal to the user terminal so as to output an alarm from the user terminal if the state is not permitted to enter the restricted area.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장치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송출되는 상기 제3 신호를 감지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위치를 기준으로 임계 반경 내에 설치된 영상획득장치에서 획득된 영상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모니터링 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 방지 시스템.
9. The method of claim 8,
The electronic device is
Detecting the third signal transmitted from the user terminal, confirming the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receiving the image data obtained from the image acquisition device installed within a critical radius based on the confirmed location, and transmitting to the monitoring server Access prevent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장치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송출되는 상기 제2 신호를 감지하여 상기 제한 구역으로부터의 이탈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위치를 기준으로 임계 반경 내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인접 단말로 상기 사용자 단말의 이탈알림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 방지 시스템.
13. The method of claim 12,
The electronic device is
Detects the second signal transmitted from the user terminal to determine whether or not to depart from the restricted area, and transmits a departure notification signal of the user terminal to at least one adjacent terminal located within a critical radius based on the identified location Access prevent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KR1020190154005A 2019-11-27 2019-11-27 Method and System for Entrance and Exit Preventing to Restricted Area KR20210065365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4005A KR20210065365A (en) 2019-11-27 2019-11-27 Method and System for Entrance and Exit Preventing to Restricted Area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4005A KR20210065365A (en) 2019-11-27 2019-11-27 Method and System for Entrance and Exit Preventing to Restricted Area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5365A true KR20210065365A (en) 2021-06-04

Family

ID=763915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4005A KR20210065365A (en) 2019-11-27 2019-11-27 Method and System for Entrance and Exit Preventing to Restricted Area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65365A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11267A (en) 2004-07-29 2006-02-03 김주형 Security area and gate access control system, method and device using global positioning system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11267A (en) 2004-07-29 2006-02-03 김주형 Security area and gate access control system, method and device using global positioning syste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93733B1 (en) System for location using rfid-tag
EP2911125B1 (en) Security monitoring arrangement and method using a common field of view
US11024105B1 (en) Safety and security methods and systems
US20070289012A1 (en) Remotely controllable security system
US9824559B2 (en) Security sensing method and apparatus
US1038813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an emergency situation in a room
KR20160112048A (en) Construction industry safety management system using beacon
KR101370982B1 (en) Apparatus for detecting motion using wireless tag and security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 and method for detecting motion using the same
KR20180031908A (en) Integrated safety management system based on rfid
US6308272B1 (en) Security system using existing network and personal computers
KR101728158B1 (en) Fire safety management and security agency system, and method therefor
CN105321310B (en) From warning system to the system and method for emergency service personnel transmission data
KR101650423B1 (en) Smart crime prevention system and method by sensor integration manage
KR20210065365A (en) Method and System for Entrance and Exit Preventing to Restricted Area
KR101523027B1 (en) Intrusion detection system using mobile terminal
US20160321892A1 (en)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for combining detector and camera outputs
KR101942076B1 (en) Security system for stored items using contactless type tag
KR102102827B1 (en) Apartment security system and the driving method
KR20220127479A (en) Safety administration system for industries
KR101142221B1 (en) Invasion Detecting Device
US20220223028A1 (en) Security device and security system
KR20160027483A (en) Security System
KR102043923B1 (en) Portable iot-sessor based intelligent secuity system and method it
KR20100098541A (en) Device for controling and sensing, integrated managing server, and system for preventing emergency using thereof
KR102143703B1 (en) A System for Detection and Information Transfer of Human or Companion Animal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