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65315A - 블록체인 기반 전자영수증 유통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블록체인 기반 전자영수증 유통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65315A
KR20210065315A KR1020190153905A KR20190153905A KR20210065315A KR 20210065315 A KR20210065315 A KR 20210065315A KR 1020190153905 A KR1020190153905 A KR 1020190153905A KR 20190153905 A KR20190153905 A KR 20190153905A KR 20210065315 A KR20210065315 A KR 202100653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nic receipt
receipt
payment
block chain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39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동환
양동주
하홍준
최종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마크애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마크애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마크애니
Priority to KR10201901539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65315A/ko
Publication of KR202100653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531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20Point-of-sale [POS] network systems
    • G06Q20/209Specified transaction journal output feature, e.g. printed receipt or voice outpu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involving a neutral party, e.g. certification authority, notary or trusted third party [TT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382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insuring higher security of transa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40Authorisation, e.g. identification of payer or payee, verification of customer or shop credentials; Review and approval of payers, e.g. check credit lines or negative lists
    • G06Q20/401Transaction verif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42Confirmation, e.g. check or permission by the legal debtor of pay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209/00Additional information or applications relating to 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 H04L9/00
    • H04L2209/56Financial cryptography, e.g. electronic payment or e-cas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5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using hash chains, e.g. blockchains or hash tre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블록체인 기반 전자영수증 유통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시스템에 의한 전자영수증 관리 방법은, 결제 단말에서의 사용자의 결제에 관한 결제 정보 또는 상기 결제에 관하여 전자영수증 발급 서버에 의해 발급된 전자영수증과 연관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결제 정보 또는 상기 전자영수증과 연관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블록체인에 트랜잭션으로서 저장하도록 요청하는 단계; 전자영수증 수신 서버에 수신된 전자영수증과 연관된 정보를 상기 전자영수증 수신 서버로부터 전송받는 단계; 및 상기 전자영수증 수신 서버로부터 전송받은 전자영수증과 연관된 정보를 상기 블록체인에서 검색하여, 상기 전자영수증 수신 서버로부터 전송받은 상기 전자영수증과 연관된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블록체인의 트랜잭션에 저장된 전자영수증과 연관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블록체인 기반 전자영수증 유통 시스템 및 방법 {DIGITAL RECEIPT DISTRIBUTION SYSTEM BASED ON BLOCKCHAIN,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블록체인 기반으로 관리되는 전자영수증의 유통 및 관리 시스템 및 그에 관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사용자가 결제 단말에서 결제를 한 후 발급받은 종이영수증을 영수증 제출처에 제출하는 방식에서는 종이영수증의 처리에 어려움이 있었다. 사용자는 종이영수증을 보관하여 제출처에 제출하여야 하나 종이영수증의 분실 또는 훼손의 위험이 있었고, 영수증 제출처에서는 제출받은 영수증을 회계 정산 시스템에 입력하여야 하는 불편이 있었다. 또한 종이영수증은 허위 발급이나 위변조의 위험도 있어, 영수증 제출처에서 신뢰하기 어렵다는 문제도 있었다. 또한 종이영수증의 발급으로 인한 환경 오염도 사회적으로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종이영수증을 대체하는 전자영수증이 제안되어 왔으며, 전자영수증은 회계 투명성을 높일 수 있고, 취급이 편리하며, 영수증의 기입 정보를 전산으로 효율적으로 신속히 처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전자영수증에 있어서도, 전자영수증 발급 업체의 신뢰성이 문제될 수 있고 전자영수증의 유통 과정에 있어서의 위변조의 가능성이 있어 전자영수증의 신뢰성 문제는 여전히 존재한다.
또한, 전자영수증의 이용을 위해서는, 사용자나 결제 단말 (POS) 을 이용하는 가맹점이나 결제 단말의 운용사 (POS 업체) 가 전자영수증의 유통을 지원하기 위한 하드웨어/소프트웨어 환경을 구비하여야 하는데, 이는 사용자, 가맹점, 운용사 측의 비용, 시간, 노력의 투입을 요구하는 것이어서, 사용자, 가맹점, 운용사가 전자영수증을 이용할 동인이 제공되고 있지 못하고, 이상과 같은 문제들로 인해 현재 전자영수증의 이용이 활성화되지 못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의 블록체인 기반으로 관리되는 전자영수증의 유통 및 관리 시스템 및 그에 관한 방법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여, 전자영수증의 유통 및 관리에 신뢰성을 보정하고, 또한 사용자나 결제 단말 (POS) 을 이용하는 가맹점이나 결제 단말의 운용사 (POS 업체) 측에 전자영수증 시스템을 도입할 동인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블록체인 시스템에 의한 전자영수증 관리 방법은, 결제 단말에서의 사용자의 결제에 관한 결제 정보 또는 상기 결제에 관하여 전자영수증 발급 서버에 의해 발급된 전자영수증과 연관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결제 정보 또는 상기 전자영수증과 연관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블록체인에 트랜잭션으로서 저장하도록 요청하는 단계; 전자영수증 수신 서버에 수신된 전자영수증과 연관된 정보를 상기 전자영수증 수신 서버로부터 전송받는 단계; 및 상기 전자영수증 수신 서버로부터 전송받은 전자영수증과 연관된 정보를 상기 블록체인에서 검색하여, 상기 전자영수증 수신 서버로부터 전송받은 상기 전자영수증과 연관된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블록체인의 트랜잭션에 저장된 전자영수증과 연관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전자영수증은 상기 결제 정보 중 적어도 일부에 기초하여 전자영수증 발급 서버에 의해 발급되는 영수증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전자영수증은 결제 정보에 포함된 정보들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전자영수증과 연관된 정보는, 상기 전자영수증의 식별 정보, 상기 전자영수증에 포함되는 정보, 상기 전자영수증의 처리(등록, 취소, 재발행 등) 에 관한 정보 및 상기 전자영수증의 해시 값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결제 정보 및 상기 전자영수증은, 상기 결제 단말 또는 상기 결제 단말의 운용사와 연관된 식별번호, 결제 식별 번호, 결제 금액 정보, 거래 품목 정보(거래된 물품/서비스의 각 항목, 수량, 금액 등을 포함하는 정보), 결제 일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획득하는 단계에서 획득된 상기 블록체인의 트랜잭션에 저장된 전자영수증과 연관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전자영수증 수신 서버에 수신된 전자영수증의 진위를 검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블록체인의 트랜잭션에 저장된 전자영수증의 해시 값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검증하는 단계는, 상기 블록체인에서 획득한 상기 해시 값 정보와, 상기 전자영수증 수신 서버로부터 전송받은 전자영수증의 해시 값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전자영수증 수신 서버에 수신된 전자영수증의 진위를 검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검증의 결과 정보를 상기 전자영수증 수신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결제 단말로부터 인증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결제 단말의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결제 단말, 사용자 단말 중 적어도 하나에게 상기 전자영수증의 발급 건수에 비례하여 토큰을 지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결제 단말로부터 상기 결제 정보 또는 상기 전자영수증 발급 서버에 의해 발급된 전자영수증과 연관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전자영수증 발급 서버로부터 상기 전자영수증 발급 서버에 의해 발급된 전자영수증과 연관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전자영수증 발급 서버는, 상기 결제 단말로부터 수신한 상기 결제 정보의 적어도 일부에 기초하여 상기 전자영수증을 발급하는 서버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전자영수증 수신 서버는, 상기 전자영수증 발급 서버에 의해 발급되어 사용자 단말기에 전송된 후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의해 전송되는 상기 전자영수증을 수신하거나, 또는 상기 전자영수증 발급 서버에 의해 발급되고 전송되는 상기 전자영수증을 수신하고, 수신된 전자영수증과 연관된 정보를 상기 블록체인 시스템에 전송하는 서버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전자영수증 수신 서버는 회계 정산 서버와 접속되고, 상기 회계 정산 서버는 상기 전자영수증 수신 서버로부터 진위가 검증된 전자영수증의 거래 내역을 수신하여 처리하는 서버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블록체인은 참여를 위한 사전 허가가 요구되고, 참여자 별로 상기 블록체인에 대한 권한이 설정되는, 퍼미션드 블록체인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블록체인 시스템은, 상기 결제 단말과 연관된 결제처 노드, 상기 전자영수증 발급 서버와 연관된 전자영수증 발급처 노드, 상기 전자영수증 수신 서버와 연관된 전자영수증 수신처 노드와 연동되고, 상기 노드들은 상기 블록체인의 원장을 공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노드들은 미리 규정된 합의 알고리즘에 기초하여 상기 트랜잭션 또는 상기 트랜잭션을 적어도 포함하는 블록의 유효성을 검증한 후, 상기 트랜잭션을 포함하는 상기 블록을 상기 블록체인에 등록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전자영수증을 관리하는 블록체인 시스템은, 결제 단말에서의 사용자의 결제에 관한 결제 정보 또는 상기 결제에 관하여 전자영수증 발급 서버에 의해 발급된 전자영수증과 연관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고, 상기 결제 정보 또는 상기 전자영수증과 연관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블록체인에 트랜잭션으로서 저장하도록 요청하고, 전자영수증 수신 서버에 수신된 전자영수증과 연관된 정보를 상기 전자영수증 수신 서버로부터 전송받고, 상기 전자영수증 수신 서버로부터 전송받은 전자영수증과 연관된 정보를 상기 블록체인에서 검색하여, 상기 전자영수증 수신 서버로부터 전송받은 상기 전자영수증과 연관된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블록체인의 트랜잭션에 저장된 전자영수증과 연관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전자영수증을 관리하는 장치는,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결제 단말에서의 사용자의 결제에 관한 결제 정보 또는 상기 결제에 관하여 전자영수증 발급 서버에 의해 발급된 전자영수증과 연관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고, 상기 결제 정보 또는 상기 전자영수증과 연관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블록체인에 트랜잭션으로서 저장하도록 요청하고, 전자영수증 수신 서버에 수신된 전자영수증과 연관된 정보를 상기 전자영수증 수신 서버로부터 전송받고, 그리고 상기 전자영수증 수신 서버로부터 전송받은 전자영수증과 연관된 정보를 상기 블록체인에서 검색하여, 상기 전자영수증 수신 서버로부터 전송받은 상기 전자영수증과 연관된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블록체인의 트랜잭션에 저장된 전자영수증과 연관된 정보를 획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전자영수증을 관리하는 블록체인 시스템 / 장치는, 상기한 블록체인 시스템에 의한 전자영수증 관리 방법에 기재된 각 단계의 처리를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시스템 / 장치가 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전자영수증을 관리하는 장치의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한 코드를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에 있어서, 상기 코드는: 결제 단말에서의 사용자의 결제에 관한 결제 정보 또는 상기 결제에 관하여 전자영수증 발급 서버에 의해 발급된 전자영수증과 연관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기 위한 코드; 상기 결제 정보 또는 상기 전자영수증과 연관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블록체인에 트랜잭션으로서 저장하도록 요청하기 위한 코드; 전자영수증 수신 서버에 수신된 전자영수증과 연관된 정보를 상기 전자영수증 수신 서버로부터 전송하기 위한 코드; 그리고 상기 전자영수증 수신 서버로부터 전송받은 전자영수증과 연관된 정보를 상기 블록체인에서 검색하여, 상기 전자영수증 수신 서버로부터 전송받은 상기 전자영수증과 연관된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블록체인의 트랜잭션에 저장된 전자영수증과 연관된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프로그램은, 상기한 블록체인 시스템에 의한 전자영수증 관리 방법에 기재된 각 단계의 처리를 수행하기 위한 코드를 포함하는 프로그램이 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전자영수증을 관리 장치의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한 코드가 저장된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는, 상기 코드가 실행될 때 상기한 블록체인 시스템에 의한 전자영수증 관리 방법에 기재된 각 단계의 처리를 수행하기 위한 코드를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가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블록체인 기반으로 관리되는 전자영수증의 유통 및 관리 시스템 및 그에 관한 방법에 의하면, 전자영수증의 유통 및 관리에 신뢰성을 보장하고, 또한 사용자나 결제 단말 (POS) 을 이용하는 가맹점이나 결제 단말의 운용사 (POS 업체) 측에 전자영수증 시스템을 도입할 동인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 전자영수증 유통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시스템과 연동되는 노드들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시스템에 의한 전자영수증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 은 본 발명의 각 장치의 블록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본 발명의 개념 및 그에 따른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해당 용어의 사전적 또는 어구적 의미만으로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어느 구성, 단계, 동작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의 존재를 의미하며,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다른 구성, 단계, 동작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언급되지 않는다면, "접속되는" 또는 "연결되는" 은 하나의 엘리먼트/특징이 다른 엘리먼트/특징과 직접적으로 접속 또는 연결되는 것 또는 타 엘리먼트/특징을 개재하여 간접적으로 접속 또는 연결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고, 반드시 기계적으로 바로 접속 또는 연결되는 것만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도면들에 도시된 다양한 모식도들은 엘리먼트들과 컴포넌트들의 예시적인 배열들을 도시하지만, 추가의 중재 엘리먼트들, 디바이스들, 특징들 또는 컴포넌트들이 (도시된 엘리먼트들의 기능이 악영향을 받지 않는다고 가정할 때) 실제 실시형태에서 존재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전송하는" 또는 "수신하는" 은 전송자와 수신자 간에 정보를 직접 전송 또는 수신하는 것뿐만 아니라, 달리 언급되지 않는다면 타 객체를 개재하여 정보를 전송 또는 수신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 전자영수증 유통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블록체인 시스템 (100) 은 전자영수증에 특화된 블록체인 기반의 서비스 시스템으로서, 결제 단말 (200), 전자영수증 발급 서버 (300), 전자영수증 수신 서버 (400) 또는 이들이 접속되어 있는 노드들 중 적어도 하나와 접속될 수 있다.
블록체인 엔진 (1) 은 블록체인 네트워크와 블록체인 채널을 관리하고, 스마트 계약, 노드의 인증 등 블록체인의 기본 기능을 지원하는 엔진이다. 블록체인 엔진 (1) 은 블록체인 분야의 알려진 블록체인 기술들을 지원하는 다양한 엔진이 될 수 있다. 블록체인 엔진 (1) 은, 블록체인 코어 모듈에 해당하며, 퍼블릭 블록체인 (비트코인, 이더리움, EOS 등) 혹은 콘소시엄 블록체인 (하이퍼레저, EEA 등) 시스템 등이 될 수 있다. 엔진 (1) 은, 예를 들면, 신원 확인 기능, 스마트 계약 기능, 블록체인 채널 기능, 블록체인 네트워크 구성 기능, ACL(Access Control Logic), 이벤트 리스너, Docker Swarm, 블록체인 엔진 I/F(SDK, REST APIs) 등의 기능을 선택적으로 지원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고 알려진 블록체인 코어 모듈의 기능을 지원하는 엔진 (1) 이면 된다.
본 발명에서는 이와 같은 블록체인 엔진 (1) 과 연동하여 전자영수증에 특화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블록체인 시스템 (100) 에 제공된다. 도 1 에서는 블록체인 시스템 (100) 과 별도의 블록체인 엔진 (1) 이 존재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블록체인 시스템 (100) 이 블록체인 엔진 (1) 의 기능을 포함하는 것으로 구현되어도 무관하다. 블록체인 시스템 (100) 은 적어도 하나의 서버/장치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노드가 포함될 수도 있는 복수의 서버/장치에 분산되어 구현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블록체인 시스템 (100) 은 블록체인 엔진 (1) 과 연동하기 위한 블록체인 엔진 연계 모듈을 포함할 수 있고, 또한 결제 단말 (200), 전자영수증 발급 서버 (300), 전자영수증 수신 서버 (400) 과 각각 연동하기 위한 서비스 API 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블록체인 시스템 (100) 은 전자영수증에 특화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블록체인에 전자영수증 발행 정보, 이력 등과 관련된 정보를 등록하거나, 전자영수증의 취소 정보, 이력 등과 관련된 정보를 등록하거나, 전자영수증의 재발행 정보, 이력 등과 관련된 정보를 등록하는 기능, 정자 영수증과 마찬가지로 결제 정보에 대하여도 동일하게 결제, 결제 취소, 결제 변경과 관련된 정보를 등록하는 기능들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블록체인 시스템 (100) 은 전자영수증의 진위를 검증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블록체인 시스템 (100) 은 전자영수증, 결제 정보와 관련된 이력 및 통계를 생성하고 제공하는 기능이나, 사용자의 정보를 유지, 관리하는 기능 등의 서비스 관리자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블록체인 기반 전자영수증 유통 시스템은 도 1 에는 미도시된 서비스 플랫폼 관리 시스템을 추가로 포함할 수도 있다. 서비스 플랫폼 관리 시스템은, 시스템 버전 관리 기능, 노드 정보 관리 기능, 노드 상태 모니터링 기능, 사용자 정보 관리 기능, 인증서 정보 관리 기능, 이력 및 통계 조회 기능, 트랜잭션 정보 검색 및 열람 기능, 블록체인 코어 엔진 모니터링 기능, 전자영수증 특화 서비스 검색 및 열람 기능 등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결제 단말 (200) 은 사용자의 결제 수단(신용카드, 체크카드, 전자결제, 현금결제 등)을 통한 각종 용역, 서비스, 제화 등의 제공에 상응하는 지불, 결제가 이루어지는 단말로서, 가맹점에 설치된 POS 단말기를 포함하는 일체의 단말들이 될 수 있다. 신용카드 결제의 예를 들면, 일반적으로 결제 단말 (200) 은 VAN 사업자를 통하여 결제 수단과 연관된 금융 기관에 결제를 요청하고 그 결제가 승인되면 사용자에게 승인된 결제에 관한 영수증을 발급한다. 본 발명에서는 이와 같은 영수증의 발급을 블록체인에 기반하여 전자적으로 처리한다.
결제 단말 (200) 은 필요에 따라 서비스 연계 모듈을 통하여, 결제 단말 (200) 에서의 사용자의 결제에 관한 결제 정보를 블록체인에 등록, 취소, 변경하기 위한 요청을 블록체인 시스템 (100) 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결제 단말 (200) 은 결제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전자영수증 발급 서버 (300) 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결제 단말 (200) 은 필요에 따라 전자영수증을 전자영수증 발급 서버 (300) 로부터 수신할 수도 있고, 수신한 전자영수증과 연관된 정보를 블록체인에 등록하기 위한 요청을 블록체인 시스템 (100) 에 전송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전자영수증의 발급에 관한 정보를 중심으로 블록체인에 등록하는 정보를 설명하지만, 필요에 따라 본 발명의 결제 단말 (200), 전자영수증 발급 서버 (300), 전자영수증 수신 서버 (400), 사용자 단말기 (500) 중 적어도 하나는, 전자영수증의 발급뿐만 아니라 전자영수증의 취소, 재발행, 변경 등에 관한 정보도 발급에 관한 정보와 동일한 방식으로 블록체인에 등록/검색할 수 있다. 또한 결제 정보에 있어서도 마찬가지로 결제, 결제의 취소, 결제의 변경에 관한 정보도 동일한 방식으로 블록체인에 등록/검색할 수도 있다.
전자영수증 발급 서버 (300) 는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전자영수증 서비스를 제공하는 자에 의해 직간접적으로 이용되는 서버가 될 수 있고,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전자영수증 발급 서버 (300) 는 결제 단말 (200) 로부터 결제 정보를 수신하고, 그 결제 정보의 적어도 일부에 기초하여 전자영수증을 발급한다. 또한, 전자영수증 발급 서버 (300) 는 발급한 전자영수증과 연관된 정보를 블록체인에 등록하기 위한 요청을 블록체인 시스템 (100) 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전자영수증 발급 서버 (300) 는, 필요에 따라, 수신한 결제 정보를 블록체인에 등록하기 위한 요청을 블록체인 시스템 (100) 에 전송할 수도 있다. 또한, 전자영수증 발급 서버 (300) 는 발급한 전자영수증을 사용자 단말기 (500), 결제 단말 (200), 전자영수증 수신 서버 (400) 중 적어도 하나에 전송할 수 있다.
전자영수증 수신 서버 (400) 는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전자영수증을 수신하여 회계 처리를 하는 자에 의해 직간접적으로 이용되는 서버가 될 수 있고,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전자영수증 수신 서버 (400) 는 전자영수증을 사용자 단말기 (500), 결제 단말 (200), 전자영수증 발급 서버 (300)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전자영수증은 사용자 단말기 (500) 에 의해 전자영수증 수신 서버 (400) 에 전송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사용자 단말기 (500) 의 선택 및 전송 요청을 수신한, 결제 단말 (200) 이나 전자영수증 발급 서버 (300) 나 그 밖에 발급된 전자영수증을 저장, 관리하는 제 3 의 서버가 상기 사용자의 요청에 응답하여 전자영수증 수신 서버 (400) 로 전자영수증을 전송할 수도 있다. 이처럼, 전자영수증 수신 서버 (400) 는, 전자영수증 발급 서버 (300) 에 의해 발급되어 사용자 단말기 (500) 에 전송된 후 사용자 단말기 (500) 에 의해 전송되는 전자영수증을 수신하거나, 또는 전자영수증 발급 서버 (300) 에 의해 발급되고 전송되는 전자영수증을 수신하고, 수신된 전자영수증과 연관된 정보를 블록체인 시스템 (100) 에 전송할 수 있다.
전자영수증 수신 서버 (400) 는 이와 같이 수신한 전자영수증의 진위를 검증하기 위해, 전자영수증의 검증 요청을 블록체인 시스템 (100) 에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검증 요청과 함께 전자영수증과 연관된 정보를 블록체인 시스템 (100) 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전자영수증 수신 서버 (400) 는 상기 검증 요청에 대한 검증의 결과 정보를 블록체인 시스템 (100) 으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전자영수증 수신 서버 (400) 는 상기 수신한 검증의 결과 정보에 기초하여 진위가 검증된 전자영수증의 거래 내역을 회계 정산 서버 (600) 에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 (500) 는 전자영수증 발급 서버 (300) 로부터 결제와 관련된 전자영수증을 수신하고, 그 수신한 전자영수증들 중 적어도 일부를 선택하여 선택된 전자영수증들을 전자영수증 수신 서버 (400) 로 전송할 수 있다. 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기 (500) 는 전자영수증의 선택 및 전송 요청을 다른 단말/서버 (200, 300) 에 전송하고, 그 요청을 수신한 단말/서버가 본인이 보유하고 있는 전자영수증을 전자영수증 수신 서버 (400) 로 전송할 수도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기 (500) 는 필요에 따라 결제 단말 (200) 또는 전자영수증 발급 서버 (300) 로부터 결제 정보 또는 전자영수증(또는 전자영수증과 연관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할 수도 있고, 그 결제 정보 또는 전자영수증과 연관된 정보를 블록체인에 등록하기 위한 요청을 블록체인 시스템 (100) 에 전송할 수도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사용자 단말기 (500) 는 이와 같은 등록 요청을 사용자 노드 (50) 를 통하여 블록체인 시스템 (100) 에 전송할 수도 있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시스템 (100) 과 연동되는 노드들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서 결제 단말 (200) 은 결제처 노드 (20) 와 연관되며, 여기서 단말과 노드의 연관은 도 2 와 같이 결제 단말 (200) 이 결제처 노드 (20) 에 접속하는 것 또는 결제 단말 (200) 자체가 노드 (20) 로서 기능하는 것을 포함한다. 즉, 결제 단말 (200) 이 접속하는 별도의 결제처 노드 (20) 가 블록체인의 노드로서 블록체인 원장을 보유, 유지, 관리할 수 있고, 또는 필요에 따라 결제 단말 (200) 자체가 결제처 노드 (20) 로서 기능하여 블록체인 원장을 보유, 유지, 관리할 수도 있다. 결제 단말 (200) 은 결제처 노드 (20) 를 통하여 블록체인 시스템 (100) 과 연동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결제 단말 (200) 이 직접 블록체인 시스템 (100) 과 연동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전자영수증 발급 서버 (300) 는 영수증 발급처 노드 (30) 와 연관되며, 이는 도 2 와 같이 전자영수증 발급 서버 (300) 가 영수증 발급처 노드 (30) 에 접속하는 것 또는 전자영수증 발급 서버 (300) 자체가 노드 (30) 로서 기능하는 것을 포함한다. 즉, 전자영수증 발급 서버 (300) 가 접속하는 별도의 영수증 발급처 노드 (30) 가 블록체인의 노드로서 블록체인 원장을 보유, 유지, 관리할 수 있고, 또는 필요에 따라 전자영수증 발급 서버 (300) 자체가 영수증 발급처 노드 (30) 로서 기능하여 블록체인 원장을 보유, 유지, 관리할 수도 있다. 전자영수증 발급 서버 (300) 은 영수증 발급처 노드 (30) 를 통하여 블록체인 시스템 (100) 과 연동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전자영수증 발급 서버 (300) 가 직접 블록체인 시스템 (100) 과 연동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전자영수증 수신 서버 (400) 는 영수증 수신처 노드 (40) 와 연관되며, 이는 도 2 와 같이 전자영수증 수신 서버 (400) 가 영수증 수신처 노드 (40) 에 접속하는 것 또는 전자영수증 수신 서버 (400) 자체가 노드 (40) 로서 기능하는 것을 포함한다. 즉, 전자영수증 수신 서버 (400) 가 접속하는 별도의 영수증 수신처 노드 (40) 가 블록체인의 노드로서 블록체인 원장을 보유, 유지, 관리할 수 있고, 또는 필요에 따라 전자영수증 수신 서버 (400) 자체가 영수증 수신처 노드 (40) 로서 기능하여 블록체인 원장을 보유, 유지, 관리할 수도 있다. 전자영수증 수신 서버 (400) 은 영수증 수신처 노드 (40) 를 통하여 블록체인 시스템 (100) 과 연동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전자영수증 수신 서버 (400) 가 직접 블록체인 시스템 (100) 과 연동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결제처 노드 (20), 영수증 발급처 노드 (30), 영수증 수신처 노드 (40), 사용자 노드 (50) 들의 전부 또는 적어도 일부는 이하 설명하는 새로 발생한 트랜잭션을 수신하는 동작, 이를 포함하는 블록을 생성하는 동작, 그 생성한 블록을 블록체인에 추가하려는 요청을 다른 노드에 전송하는 동작, 다른 노드로부터 수신한 블록 추가 요청을 미리 규정된 합의 알고리즘에 따라 검증하여 본인이 보유 또는 접속하고 있는 블록체인에 해당 노드를 추가하는 동작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블록체인 시스템 (100) 은 결제 단말 (200), 전자영수증 발급 서버 (300), 전자영수증 수신 서버 (400), 사용자 단말 (500) 중 적어도 하나와 연동된다. 이들 각 장치는 블록체인 시스템 (100) 과 연동되는 노드에 접속되어, 상기한 노드의 기능을 트리거하기 위한 요청을 노드에 전송하고, 그에 대한 응답을 수신함으로써 블록체인 시스템 (100) 에 연동될 수 있다. 또는, 이들 각 장치는 상술한 노드의 동작 중 적어도 하나를 직접 수행하여 노드로써 기능할 수도 있다. 즉, 결제 단말 (200), 전자영수증 발급 서버 (300), 전자영수증 수신 서버 (400), 사용자 단말 (500) 노드와 접속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직접 노드가 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블록체인을 구성하는 각 블록들은 해시 체인 (Hash Chain), 해시 트리 (Hash Tree) 등의 해시를 기반으로 한 연관 관계를 갖도록 상호 연결된다. 즉, 어느 블록은 그 이전 순번의 블록의 해시 값을 저장하거나, 각 블록들은 그 해시 값이 트리 구조를 갖도록 상호 연관될 수 있으며, 기타 해시를 기반으로 한 연관 관계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해시 체인에서는, 어느 한 블록의 정보의 변경은, 해당 블록으로부터 산출한 해당 블록의 해시 값의 변경을 초래하고, 이는 그 다음 블록의 내용의 변경을 초래하기 때문에, 필수적으로 해당 블록 이후의 모든 블록들의 정보의 변경을 초래한다. 예를 들어 머클 트리에 기초하여 블록체인이 구성될 경우, 블록의 생성 및 등록 시 모든 트랜잭션 및 앞 블록의 해시에 대한 머클 루트를 계산하여 저장할 수 있고, 머클 루트에는 항상 앞 블록의 해시가 저장되므로, 악의적인 사용자가 특정 트랜잭션을 조작하면, 머클 루트가 변경되므로 조작을 쉽게 알 수 있다.
여기서 해시 값은 임의의 크기의 데이터를 미리 결정된 크기를 갖는 데이터로 변환하는 해시 함수에 의해 산출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MD5, SHA1, SHA2 등 필요에 따라 선택한 해시 함수를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블록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트랜잭션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블록은 타임 스탬프를 포함할 수 있고, 타임 스탬프는 블록 및/또는 트랜잭션과 관련된 시간 정보(예를 들면, 블록 생성 시간)를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의 트랜잭션은 블록체인 시스템 (100) 과 연동되는 각 주체(결제 단말 (200), 전자영수증 발급 서버 (300), 전자영수증 수신 서버 (400), 사용자 단말 (500) 중 적어도 하나 이상) 및/또는 이들과 접속하는 노드들로부터의 정보에 따라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각 주체가 요청하는 특정 정보의 등록/변경/폐기가 하나의 트랜잭션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트랜잭션의 생성은 및 블록체인에의 등록이 각 노드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각 트랜잭션은 공개 키 암호 방식 (Public Key Cryptography, PKC) 에 의해 디지털 서명되고 검증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트랜잭션에 따른 정보 (예를 들면, 트랜잭션을 해시 함수의 입력 중 적어도 하나로 하여 산출된 해시 값 등) 를 개인 키 (Private Key) 로 서명한 디지털 서명과, 공개 키 (Public Key) 가, 트랜잭션에 포함되거나 또는 기타 다른 경로로 노드에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노드는 공개 키를 이용하여 디지털 서명을 검증하여 해당 트랜잭션의 유효성을 검증할 수 있다. 또한, 트랜잭션의 소유자 또는 트랜잭션의 생성에 연관된 자가 보유하는 개인 키를 통하여 트랜잭션의 소유나 트랜잭션과의 연관이 증명될 수 있다.
이때 공개 키 및 개인 키는 트랜잭션에 관여하는 주체에 의해 생성될 수도 있고, 바람직하게는 퍼미션드 블록체인인 경우 블록체인에의 참가를 관리하는 멤버십 관리자에 의해 발급되어 트랜잭션에 관여하는 주체에 제공될 수도 있다. 여기서 각 트랜잭션은 상술한 공개 키 암호 방식 이외의 알려진 다른 암호 방식에 의해 서명되고 검증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블록체인 시스템 (100) 과 연동되는 각 주체 및/또는 노드는 트랜잭션을 생성하여 다른 노드들에 전송 및/또는 브로드캐스트 한다.
노드들 전부 또는 이들 중 일부 노드는, 시스템에서 새로 발생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트랜잭션을 포함하는 새로운 블록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노드는 해당 트랜잭션의 유효성을 검증할 수 있다. 또한 노드는 새로 생성한 블록을 기존의 블록체인에 추가하는 요청을 다른 노드들에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요청을 수신한 노드들은 이하 설명하는 미리 규정된 합의 알고리즘에 따라 트랜잭션 및/또는 블록의 유효성을 검증하고, 검증이 성공할 경우 해당 블록을 본인이 보유 또는 접속하고 있는 블록체인에 등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노드들은 통일된 블록체인 원장을 각 보유 또는 접속하고 이를 공유하는 것을 지향한다. 이를 위하여 노드 전부 또는 이들 중 일부 노드는, 미리 규정된 합의 알고리즘에 따라, 블록 및/또는 트랜잭션의 유효성 검증, 블록 및/또는 트랜잭션의 순서 결정, 새로운 블록의 블록체인에의 추가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합의 알고리즘에 의해 검증된 블록만이 블록체인에 최종적으로 추가될 수 있다. 이때 경우에 따라서 임시적으로 블록이 추가된 복수개의 블록체인이 동시에 존재할 수도 있고, 합의 알고리즘에 따른 후속 검증에 의해 유효하지 않은 것으로 판정된 블록체인이 폐기됨으로써, 최종적인 블록체인이 결정될 수도 있다. 이로써, 각 노드들이 보유 또는 접속하고 있는 블록체인들이 서로 일치화되어 공유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합의 알고리즘은 상기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정의된 알고리즘이면 되며, 특정한 합의 알고리즘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작업 증명 (Proof-of-Work, POW) 알고리즘, 지분 증명 (Proof-of-Stake, POS) 알고리즘, 프랙티컬 비잔틴 장애 허용 (Practical Byzantine Fault Tolerance, PBFT) 알고리즘, 경과 시간 증명 (Proof of Elapsed Time, PoET) 알고리즘 등이 이용될 수 있으며, 이외에도 상기 기능을 수행하도록 설계된 임의의 알고리즘이 이용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블록체인은 퍼미션드 블록체인 (Permissioned Block Chain) 의 형태로 운영될 수 있다. 퍼미션드 블록체인에서는 허가된 참여자만이 블록체인에 접근할 수 있고, 그 접근에 권한이 설정될 수 있다. 이러한 퍼미션드 블록체인에서는, 제한적인 사용자만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참여하며, 사용자의 참여를 관리하는 멤버십이 존재하고, 블록을 생성하는 일부 노드만 합의에 참여할 수 있다. 이러한 퍼미션드 블록체인은 일 예로써, 제한된 사용자만 블록 생성 및 데이터 열람이 가능한 사설 블록체인이나, 제한된 사용자만 블록을 생성하되, 열람은 누구나 가능한 콘소시엄 블록체인 등이 될 수 있고,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에서, 결제 단말 (200), 전자영수증 발급 서버 (300), 전자영수증 수신 서버 (400), 사용자 단말 (500) 중 적어도 하나는 퍼미션드 블록체인에 참여하기 위하여, 멤버십 관리자로부터의 인증을 통해 허가를 받을 수 있고, 허가 시에 블록체인에 대한 권한을 설정받을 수 있다. 퍼미션드 블록체인을 이용하는 경우, 허가된 자만이 블록체인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참여자의 참가를 관리하는 멤버십 관리자가 관리자 서버 등의 형태로 블록체인 시스템 (100) 에 접속될 수 있고, 또는 별도의 관리자가 존재하지 않고, 미리 규정되어 참여자들 간에 공유되는 합의된 규약에 따른 멤버십 관리가 분산 시스템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한편, 공개 키 암호 방식 (Public Key Cryptography, PKC) 에 의해 트랜잭션을 디지털 서명하고 검증하는 경우, 공개 키 및 개인 키는, 트랜잭션에 관여하는 주체에 의해 생성될 수도 있지만, 퍼미션드 블록체인에서 바람직하게는 멤버십 관리자에 의해 발급되어 트랜잭션에 관여하는 주체에 제공될 수도 있다.
또는, 일 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블록체인은 누구나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참여하여 데이터를 열람할 수 있고 특정 조건만 만족하면 누구나 블록의 생성이 가능한 공개 블록체인에 기초할 수도 있다.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시스템 (100) 에 의한 전자영수증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에 따른 블록체인 시스템 (100) 에 의한 전자영수증 관리 방법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정보들의 송수신 주체를 일부의 실시예로 한정하여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시스템과 방법이 이하의 설명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도 1 및 도 2 를 참조하면서 설명한, 블록체인 시스템 (100), 결제 단말 (200), 전자영수증 발급 서버 (300), 전자영수증 수신 서버 (400), 사용자 단말 (500) 의 접속 및 동작 방식으로 변경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영수증 관리 방법의 각 단계를 설명하며, 각 단계들 중 일부는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 있고,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경우 각 단계의 수행 순서가 바뀌거나 복수의 단계가 병렬적으로 수행될 수도 있다.
먼저 블록체인 시스템 (100) 은 결제 단말 (200) 로부터 인증 요청을 수신하고, 결제 단말 (200) 의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S100).
사용자는 결제 단말 (200) 을 통하여 결제를 할 수 있고(S200), 결제가 VAN 사, 관련 금융 기관 등에 의해 승인되면 결제 단말 (200) 은 전자영수증의 발급을 위하여 결제 정보를 전자영수증 발급 서버에 전송할 수 있다(S400). 또한, 결제 단말 (200) 은 결제 단말 (200) 에서의 사용자의 결제에 관한 결제 정보를 블록체인 시스템 (100) 으로 전송할 수 있다(S300). 상기 전송 (S300) 및 전송 (S400) 의 순서는 어느 것이 먼저 수행되거나 병렬로 수행되어도 무관하다.
전자영수증 발급 서버 (300) 는 수신한 결제 정보 중 적어도 일부에 기초하여 전자영수증을 발급하고, 발급한 전자영수증을 사용자 단말기 (500) 에 전송할 수 있다(S600). 또한, 사용자 단말기 (500) 는 전송받은 전자영수증들 중에서 전송할 전자영수증을 선택하여 전자영수증 수신 서버 (400) 로 전송할 수 있다(S700). 또한 전자영수증 발급 서버 (300) 는 발급한 전자영수증과 연관된 정보를 블록체인에 트랜잭션으로서 저장하도록 하는 요청을 블록체인 시스템 (100) 에 전송할 수 있다(S500). 이를 위하여 전자영수증과 연관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전송 (S500) 및 전송 (S600, S700) 의 순서는 어느 것이 먼저 수행되거나 병렬로 수행되어도 무관하다. 변형 예에 있어서, 전자영수증 발급 서버 (300) 는, 전자영수증을 결제 단말 (200) 을 통해 사용자 단말기 (500) 로 전송할 수도 있고, 필요에 따라 사용자의 요청에 의해 전자영수증 수신 서버 (400) 에 전송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은 구조에서는 사용자가 자신의 사용자 단말기 (500) 에 설치된 전자영수증 앱에서 영수증 제출처를 선택한 후 원하는 거래 내역을 선택한 후, 혹은 전체의 거래내역을 자동으로 선택되어진 후 제출버튼을 눌러서 자신의 전자영수증 거래 내역(전자영수증 포함)을 전자 영수증 제출처(전자영수증 수신 서버 (400))에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전자영수증 앱에서 거래 내역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고, 기존에는 종이영수증을 스캔해서 혹은 카메라로 촬영하여 영수증 제출처에 제공했지만, 본 발명에서는 거래 내역 제출 기능을 활용하면 더 이상 종이영수증 스캔하여 제출하는 불편이 해소될 수 있다.
전자영수증 수신 서버 (400) 는 상기한 바와 같이 수신한 전자영수증의 진위를 검증하기 위하여, 서버 (400) 가 수신한 전자영수증에 대하여 그 전자영수증과 연관된 정보를 블록체인 시스템 (100) 에 전송할 수 있다(S800). 또한, 전자영수증 수신 서버 (400) 는 블록체인 시스템 (100) 으로부터 검증 결과 정보를 수신하고, 검증된 전자영수증의 거래 내역을 회계 정산 서버 (600) 로 전송할 수 있다(S900).
이상과 같은 구조에서는 영수증 제출처에서 전송받은 전자영수증의 진위 여부를 블록체인 검증 모듈을 통해 검증할 수 있고, 그 검증은 블록체인에 이미 기록되어져 있는 전자영수증에 대한 해시 값을, 전송받은 전자영수증의 해시 값과 비교하여 간편하고도 신뢰성 있게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확인된 전자영수증의 거래 내역들이 영수증 제출처의 회계 정산 시스템(서버)에 전달되어 영수증 처리가 진행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자신의 거래 내역을 증빙하기 위해서 종이영수증을 스캔해서 제출하거나, 별도의 추가 증명을 요하지 않는다.
상기한 바와 같은 일련의 단계들을 포함하는 전자영수증 관리 방법에 있어서, 블록체인 시스템 (100) 은 이하 설명하는 단계들을 수행함으로써 전자영수증의 관리를 지원할 수 있다.
블록체인 시스템 (100) 은, 결제 단말 (200) 에서의 사용자의 결제에 관한 결제 정보 또는 상기 결제에 관하여 전자영수증 발급 서버 (300) 에 의해 발급된 전자영수증과 연관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블록체인 시스템 (100) 은 결제 단말 (200) 로부터 결제 정보 또는 전자영수증 발급 서버 (300) 에 의해 발급된 전자영수증과 연관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전자영수증 발급 서버 (300) 로부터 전자영수증 발급 서버 (300) 에 의해 발급된 전자영수증과 연관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블록체인 시스템 (100) 은, 결제 정보를 바람직하게는 결제 단말 (200) 로부터 수신하지만, 필요에 따라 결제 단말 (200) 로부터 결제 정보를 전달받은 전자영수증 발급 서버 (300) 나 사용자 단말기 (500) 나 제 3 의 장치로부터 결제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 또한, 블록체인 시스템 (100) 은, 전자영수증과 연관된 정보를 바람직하게는 전자영수증 발급 서버 (300) 로부터 수신하지만, 필요에 따라 전자영수증 발급 서버 (300) 로부터 전자영수증과 연관된 정보를 전달받은 결제 단말 (200) 이나 사용자 단말기 (500) 나 제 3 의 장치로부터 전자영수증과 연관된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결제 단말 (200) 이 만일 전자영수증의 해시 값도 계산하여 이를 블록체인 시스템 (100) 에 전송할 수 있으면, 전자영수증 발급 서버 (300) 가 블록체인 시스템 (100) 에 전자영수증 연관 정보를 전송하는 것은 생략될 수도 있지만, 만일 결제 단말 (200) 이 해시 값 연산 기능을 지원하지 않으면 전자영수증 발급 서버 (300) 가 전자영수증과 연관된 정보(해시 값 포함)를 블록체인 시스템 (100) 에 전송할 수 있다. 이처럼 각 장치의 성능과 환경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된 장치에서 블록체인 시스템 (100) 에 결제 정보 또는 전자영수증과 연관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전송할 수 있는 것이다.
전자영수증은 결제 정보에 포함된 정보들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결제 정보 또는 전자영수증은, 결제 단말 (200) 또는 결제 단말 (200) 의 운용사와 연관된 식별번호, 결제 식별 번호, 결제 금액 정보, 거래 품목 정보, 결제 일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결제 정보는 "포스사 코드, 사업자 번호, 매장번호, 포스 ID, 포스 거래 번호, 거래 종류 (0:구매, 1:환불, 2:재발행), 영수증 발행 일시, 결제 금액, 결제 종류(현금결제:0, 카드결제:1, 포인트결제:2, 복합결제:3)"와 같은 포맷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영수증은 "포스사 코드, 사업자 번호, 매장번호, 포스 ID, 포스 거래 번호, 거래 종류 (0:구매, 1:환불, 2:재발행)"와 같은 포맷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전자영수증과 연관된 정보는, 전자영수증 자체에 포함되는 정보가 될 수도 있고, 전자영수증의 식별 정보, 전자영수증의 처리(등록, 취소, 재발행 등) 에 관한 정보, 전자영수증의 해시 값 정보 등이 될 수도 있다.
상기 예에서 전자영수증과 연관된 정보는 "포스사 코드, 사업자 번호, 매장번호, 포스 ID, 포스 거래 번호, 거래 종류 (0:구매, 1:환불, 2:재발행)" + "위 정보의 해시 값"과 같이 구성될 수도 있다.
블록체인 시스템 (100) 은, 이러한 결제 정보 또는 전자영수증과 연관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블록체인에 트랜잭션으로서 저장하도록 요청할 수 있다. 이러한 요청은 블록체인 엔진 (1) 을 통하여 할 수 있고, 시스템 (100) 이 엔진 (1) 의 기능을 포함하는 경우에는 그 요청을 자체적으로 처리할 수도 있다. 또한 그와 같은 요청을 블록체인 원장을 공유하는 복수의 노드들에 전송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단계를 통해 결제 정보 또는 전자영수증과 연관된 정보가 블록체인에 등록된다.
이상과 같은 단계들이 수행됨으로써, 사용자의 결제로 발행된 전자영수증에 관한 정보가 노드들이 공유하는 블록체인 원장에 기록된다.
이하에서는 전자영수증 수신처에 회계 정산을 위하여 수신된 전자영수증을 검증하는 것을 지원하는 블록체인 시스템 (100) 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전자영수증 수신 서버 (400) 에 전자영수증이 수신되면, 블록체인 시스템 (100) 은 그 수신된 전자영수증과 연관된 정보를 전자영수증 수신 서버 (400) 로부터 전송받을 수 있다. 여기서 전송되는 전자영수증과 연관된 정보는 전자영수증의 해시 값을 적어도 포함하는 정보가 될 수 있고, 전자영수증의 전부/일부 정보들이 포함될 수도 있다.
블록체인 시스템 (100) 은 상기한 전송받은 전자영수증과 연관된 정보를 블록체인에서 검색하여, 그 전송받은 전자영수증과 연관된 정보에 대응하는 블록체인의 트랜잭션에 저장된 전자영수증과 연관된 정보를 획득하고, 그 획득한 정보에 기초하여 전자영수증 수신 서버 (400) 에 수신된 전자영수증의 진위를 검증하고, 그 검증의 결과 정보를 전자영수증 수신 서버 (400) 로 전송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블록체인 시스템 (100) 은, 전자영수증 수신 서버 (400) 로부터 전송받은 전자영수증과 연관된 정보를 블록체인에서 검색하여, 블록체인의 트랜잭션에 저장된 전자영수증의 해시 값 정보를 획득할 수 있고, 블록체인에서 획득한 해시 값 정보와, 전자영수증 수신 서버 (400) 로부터 전송받은 전자영수증의 해시 값 정보를 비교하여, 전자영수증 수신 서버 (400) 에 수신된 전자영수증의 진위를 검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술한 전자영수증의 진위 검증은 보다 구체적으로, 하기와 같이 구현될 수 있다.
블록체인 시스템 (100) 은 전자영수증 수신 서버 (400) 로부터 전자영수증의 식별 번호 (영수증 번호) 와 전자영수증의 컨텐츠 파일 (예를 들면, JSON 형태로 저장됨) 을 매개 변수로 전달 받을 수 있다. 블록체인 시스템 (100) 은 상기 전달받은 매개 변수에 기초하여 블록체인 내 트랜잭션을 조회하고, 그 조회된 트랜잭션 내 의 페이로드(payload) 에 저장된 전자영수증 파일의 해시 값이 매개변수로 전달받은 전자영수증 파일의 해시 값과 일치하는지를 비교함으로써, 전자영수증을 검증할 수 있다. 여기서 블록체인 시스템 (100) 은 상기 전달받은 매개 변수에 기초하여 원장의 State DB 에서 전자영수증의 메타 정보를 조회하고, 그 DB 에서 조회된 메타 정보에 기초하여 블록체인 내 트랜잭션을 조회할 수 있다. 또한, DB 에서 조회된 전자영수증의 메타 정보와 트랜잭션 내 페이로드에 저장된 전자영수증의 메타 정보가 일치하는지를 비교하여 전자영수증을 추가로 검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하이퍼레저에 기반한 블록체인 시스템 (100) 은 다음의 단계들을 통해 전자영수증을 검증할 수 있다.
- 단계 1: 전자영수증의 식별 번호 (영수증 번호) 와 전자영수증의 컨텐츠 파일 (예를 들면, JSON 형태로 저장됨) 을 매개 변수로 전달 받은 후 원장의 State DB 를 통해 전자영수증의 메타 정보를 조회함.
- 단계 2: 매개 변수로 전달받은 전자영수증의 해시 값과 State DB 를 통해 조회한 전자영수증의 메타 정보를 비교함.
- 단계 3: 전자영수증의 메타 정보의 트랜잭션 ID 에 해당하는 블록체인 내 트랜잭션을 조회함.
- 단계 4: 조회된 트랜잭션 내 페이로드에 저장된 전자영수증의 해시 값이 매개변수로 전달받은 전자영수증의 해시 값과 일치하는지를 비교함.
- 단계 5: 조회된 트랜잭션 내 페이로드에 저장된 전자영수증의 메타 정보와 State DB 를 통해 조회한 전자영수증의 메타 정보가 일치하는지를 비교함.
일 실시예에 있어서, 블록체인 시스템 (100) 은, 결제 단말 (200), 사용자 단말기 (500), 전자영수증 발급 서버 (300), 전자영수증 수신 서버 (400) 중 적어도 하나에게 전자영수증의 발급 건수에 비례하여 토큰을 지급할 수도 있다. 토큰은 알려진 블록체인 기반의 코인 등이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참여자에게 토큰이 지급될 경우, 각 참여자가 전자영수증의 유통에 참여하도록 하는 동인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전자영수증 수신 서버 (400) 는 회계 정산 서버 (600) 와 접속되고, 회계 정산 서버 (600)는 전자영수증 수신 서버 (400) 로부터 진위가 검증된 전자영수증의 거래 내역을 수신하여 처리하는 서버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블록체인 시스템 (100) 은, 결제 단말 (200) 과 연관된 결제처 노드 (20), 전자영수증 발급 서버 (300) 와 연관된 전자영수증 발급처 노드 (30), 전자영수증 수신 서버 (400) 와 연관된 전자영수증 수신처 노드 (40) 와 연동되고, 상기 노드들은 블록체인의 원장을 공유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전자영수증을 관리하는 블록체인 시스템 (100) 은, 결제 단말 (200) 에서의 사용자의 결제에 관한 결제 정보 또는 상기 결제에 관하여 전자영수증 발급 서버 (300) 에 의해 발급된 전자영수증과 연관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고, 결제 정보 또는 전자영수증과 연관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블록체인에 트랜잭션으로서 저장하도록 요청하고, 전자영수증 수신 서버 (400) 에 수신된 전자영수증과 연관된 정보를 전자영수증 수신 서버 (400) 로부터 전송받고, 전자영수증 수신 서버 (400) 로부터 전송받은 전자영수증과 연관된 정보를 블록체인에서 검색하여, 전자영수증 수신 서버 (400) 로부터 전송받은 전자영수증과 연관된 정보에 대응하는 블록체인의 트랜잭션에 저장된 전자영수증과 연관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전자영수증을 관리하는 장치는,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결제 단말 (200) 에서의 사용자의 결제에 관한 결제 정보 또는 상기 결제에 관하여 전자영수증 발급 서버 (300) 에 의해 발급된 전자영수증과 연관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고, 상기 결제 정보 또는 전자영수증과 연관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블록체인에 트랜잭션으로서 저장하도록 요청하고, 전자영수증 수신 서버 (400) 에 수신된 전자영수증과 연관된 정보를 전자영수증 수신 서버 (400) 로부터 전송받고, 그리고 전자영수증 수신 서버 (400) 로부터 전송받은 전자영수증과 연관된 정보를 블록체인에서 검색하여, 전자영수증 수신 서버 (400) 로부터 전송받은 전자영수증과 연관된 정보에 대응하는 블록체인의 트랜잭션에 저장된 전자영수증과 연관된 정보를 획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전자영수증을 관리하는 블록체인 시스템 / 장치는, 상기한 블록체인 시스템 (100) 에 의한 전자영수증 관리 방법에 기재된 각 단계의 처리를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시스템 / 장치가 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전자영수증을 관리하는 장치의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한 코드를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에 있어서, 상기 코드는: 결제 단말 (200) 에서의 사용자의 결제에 관한 결제 정보 또는 상기 결제에 관하여 전자영수증 발급 서버 (300) 에 의해 발급된 전자영수증과 연관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기 위한 코드; 결제 정보 또는 자 영수증과 연관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블록체인에 트랜잭션으로서 저장하도록 요청하기 위한 코드; 전자영수증 수신 서버 (400) 에 수신된 전자영수증과 연관된 정보를 전자영수증 수신 서버 (400) 로부터 전송하기 위한 코드; 그리고 전자영수증 수신 서버 (400) 로부터 전송받은 전자영수증과 연관된 정보를 블록체인에서 검색하여, 전자영수증 수신 서버 (400) 로부터 전송받은 전자영수증과 연관된 정보에 대응하는 블록체인의 트랜잭션에 저장된 전자영수증과 연관된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프로그램은, 상기한 블록체인 시스템 (100) 에 의한 전자영수증 관리 방법에 기재된 각 단계의 처리를 수행하기 위한 코드를 포함하는 프로그램이 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전자영수증을 관리 장치의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한 코드가 저장된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는, 상기 코드가 실행될 때 상기한 블록체인 시스템 (100) 에 의한 전자영수증 관리 방법에 기재된 각 단계의 처리를 수행하기 위한 코드를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가 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 전자영수증 관리, 유통 시스템 및 그 방법에 의하면, 블록체인 기반으로 전자영수증 유통 시스템이 구현되어 전자영수증의 거래 내역을 신뢰할 수 있게 되며, 유통 시스템의 참여자들은 신뢰성 있는 블록체인 기반의 거래내역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신뢰성 있는 거래 내역으로 토큰 등의 인센티브를 지급할 수 있어 참여자들은 투명한 거래 내역을 바탕으로 이익을 얻을 수 있어서 전자영수증의 유통 시스템 활성화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종이영수증을 대체할 수 있기 때문에, 종이영수증의 발행에 따른 재료비, 시스템 운영비, 버려지는 종이영수증 처리를 위한 환경 유지 비용 등이 절감될 수 있다. 또한, 버려지는 종이영수증으로부터 개인 정보, 거래 내역 정보가 유출되는 것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로서는 구매한 물품을 반품이나 환불하기 위해서는 구매시 발행한 종이영수증이 있어야 했으나, 본 발명의 전자영수증은 세부 거래 내역(거래 품목 포함)을 제공하기 때문에, 반품, 환불의 수요에도 대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블록체인 시스템 (100), 결제 단말 (200), 전자영수증 발급 서버 (300), 전자영수증 수신 서버 (400), 사용자 단말기 (500) 는, 도 4 와 같이, 통신부와 저장부(일시적/비일시적 저장 장치, 메모리 등) 및 제어부(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나 논리 회로 등)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저장부는 각 장치의 기능 실행을 위한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과 데이터베이스들 중 적어도 일부를 일시적/비일시적으로 저장할 수 있고, 저장부에 저장된 프로그램 인스트럭션이 제어부에서 수행됨에 따라 상술한 각 장치의 기능들이 실행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장치로 상용되는 컴퓨터가 이용될 수도 있고 임베디드 시스템이 설계되어 이용될 수도 있다. 또한, 블록체인 시스템 (100), 전자영수증 발급 서버 (300), 전자영수증 수신 서버 (400) 는 필요에 따라 복수의 서버/장치에 분산되어 구현될 수도 있고, 블록체인 시스템 (100) 은 필요에 따라 노드들에 분산되어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블록체인 원장을 보유하는 노드들도, 도 4 와 같이, 통신부와 저장부 및 제어부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저장부는 블록체인의 적어도 일부 정보를 저장할 수 있고 노드의 기능 실행을 위한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과 데이터베이스들 중 적어도 일부를 일시적/비일시적으로 저장할 수 있고, 저장부에 저장된 프로그램 인스트럭션이 제어부에서 수행됨에 따라 상술한 노드의 기능들이 실행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된 방법 또는 프로세스에서 설명된 동작의 순서는 일 예로서 설명된 것이다. 따라서 필요에 따라 각 단계들의 순서는 본 발명의 사상 내에서 조정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개시된 디바이스 및 시스템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할 수 있는 수단들을 포함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독립된 디바이스 또는 시스템으로 구현되거나 또는 다른 시스템과 연동되거나 통합된 형태로 존재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기술들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펌웨어,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들은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 DSP, ASIC, FPGA, 또는 등가의 집적 또는 이산 로직 회로, 또는 이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임의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러한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및 펌웨어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동작들 및 기능들을 지원하기 위해 하나의 또는 복수개의 시스템이나 디바이스 내에서 구현될 수 있고, 또는 다른 시스템이나 디바이스와 연동되거나 통합된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컴포넌트들은 별개이지만 상호 운용 가능한 로직 디바이스들과 함께 또는 별개로 구현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구분되어 설명된 각 기능 및 동작들은 각각의 기능을 강조하기 위하여 그와 같이 설명된 것일 뿐, 그러한 기능들이 각각 별개의 하드웨어, 펌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컴포넌트들에 실현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공통의 또는 별개의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의 조합 내에 통합될 수도 있다. 용어 "프로세서" 또는 "프로세싱 회로"는 일반적으로 임의의 전술된 로직 회로 단독 또는 다른 로직 회로와 결합된 것, 또는 임의의 다른 등가 회로를 지칭할 수도 있다. 하드웨어를 포함하는 제어 유닛은 본 개시물의 기술들 중 하나 이상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기술들은 또한 명령들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서 구현되거나 저장될 수도 있다. 그리고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에 저장된 명령들은 각 장치에서 프로세서에 의해 그 명령과 관련된 방법 및 동작이 수행되게 할 수 있다.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는 RAM, ROM, PROM, EPROM, EEPROM, 플래시 메모리, 하드 디스크, CD-ROM, 자기 매체, 광학 매체, 또는 기타 저장 매체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1 블록체인 엔진
20 결제처 노드
30 영수증 발급처 노드
40 영수증 수신처 노드
50 사용자 노드
100 블록체인 시스템
200 결제 단말
300 전자영수증 발급 서버
400 전자영수증 수신 서버
500 사용자 단말기
600 회계 정산 서버

Claims (20)

  1. 블록체인 시스템에 의한 전자영수증 관리 방법으로서,
    결제 단말에서의 사용자의 결제에 관한 결제 정보 또는 상기 결제에 관하여 전자영수증 발급 서버에 의해 발급된 전자영수증과 연관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결제 정보 또는 상기 전자영수증과 연관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블록체인에 트랜잭션으로서 저장하도록 요청하는 단계;
    전자영수증 수신 서버에 수신된 전자영수증과 연관된 정보를 상기 전자영수증 수신 서버로부터 전송받는 단계; 및
    상기 전자영수증 수신 서버로부터 전송받은 전자영수증과 연관된 정보를 상기 블록체인에서 검색하여, 상기 전자영수증 수신 서버로부터 전송받은 상기 전자영수증과 연관된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블록체인의 트랜잭션에 저장된 전자영수증과 연관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블록체인 시스템에 의한 전자영수증 관리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영수증은 상기 결제 정보 중 적어도 일부에 기초하여 전자영수증 발급 서버에 의해 발급되는 영수증인, 블록체인 시스템에 의한 전자영수증 관리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영수증과 연관된 정보는, 상기 전자영수증의 식별 정보, 상기 전자영수증에 포함되는 정보, 상기 전자영수증의 처리에 관한 정보 및 상기 전자영수증의 해시 값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블록체인 시스템에 의한 전자영수증 관리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제 정보 또는 상기 전자영수증은, 상기 결제 단말 또는 상기 결제 단말의 운용사와 연관된 식별번호, 결제 식별 번호, 결제 금액 정보, 거래 품목 정보, 결제 일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블록체인 시스템에 의한 전자영수증 관리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획득하는 단계에서 획득된 상기 블록체인의 트랜잭션에 저장된 전자영수증과 연관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전자영수증 수신 서버에 수신된 전자영수증의 진위를 검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블록체인 시스템에 의한 전자영수증 관리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블록체인의 트랜잭션에 저장된 전자영수증의 해시 값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검증하는 단계는, 상기 블록체인에서 획득한 상기 해시 값 정보와, 상기 전자영수증 수신 서버로부터 전송받은 전자영수증의 해시 값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전자영수증 수신 서버에 수신된 전자영수증의 진위를 검증하는, 블록체인 시스템에 의한 전자영수증 관리 방법.
  7. 제 5 항에 있어서,
    검증의 결과 정보를 상기 전자영수증 수신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블록체인 시스템에 의한 전자영수증 관리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제 단말로부터 인증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결제 단말의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블록체인 시스템에 의한 전자영수증 관리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제 단말, 사용자 단말, 상기 전자영수증 발급 서버 및 상기 전자영수증 수신 서버 중 적어도 하나에게 상기 전자영수증의 발급 건수에 비례하여 토큰을 지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블록체인 시스템에 의한 전자영수증 관리 방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결제 단말로부터 상기 결제 정보 또는 상기 전자영수증 발급 서버에 의해 발급된 전자영수증과 연관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는, 블록체인 시스템에 의한 전자영수증 관리 방법.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전자영수증 발급 서버로부터 상기 전자영수증 발급 서버에 의해 발급된 전자영수증과 연관된 정보를 수신하는, 블록체인 시스템에 의한 전자영수증 관리 방법.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영수증 발급 서버는, 상기 결제 단말로부터 수신한 상기 결제 정보의 적어도 일부에 기초하여 상기 전자영수증을 발급하는 서버인, 블록체인 시스템에 의한 전자영수증 관리 방법.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영수증 수신 서버는,
    상기 전자영수증 발급 서버에 의해 발급되어 사용자 단말기에 전송된 후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의해 전송되는 상기 전자영수증을 수신하거나, 또는 상기 전자영수증 발급 서버에 의해 발급되고 전송되는 상기 전자영수증을 수신하고,
    수신된 전자영수증과 연관된 정보를 상기 블록체인 시스템에 전송하는 서버인, 블록체인 시스템에 의한 전자영수증 관리 방법.
  14.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영수증 수신 서버는 회계 정산 서버와 접속되고,
    상기 회계 정산 서버는 상기 전자영수증 수신 서버로부터 진위가 검증된 전자영수증의 거래 내역을 수신하여 처리하는 서버인, 블록체인 시스템에 의한 전자영수증 관리 방법.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체인은 참여를 위한 사전 허가가 요구되고, 참여자 별로 상기 블록체인에 대한 권한이 설정되는, 퍼미션드 볼록 체인인, 블록체인 시스템에 의한 전자영수증 관리 방법.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체인 시스템은, 상기 결제 단말과 연관된 결제처 노드, 상기 전자영수증 발급 서버와 연관된 전자영수증 발급처 노드, 상기 전자영수증 수신 서버와 연관된 전자영수증 수신처 노드와 연동되고,
    상기 노드들은 상기 블록체인의 원장을 공유하는, 블록체인 시스템에 의한 전자영수증 관리 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노드들은 미리 규정된 합의 알고리즘에 기초하여 상기 트랜잭션 또는 상기 트랜잭션을 적어도 포함하는 블록의 유효성을 검증한 후, 상기 트랜잭션을 포함하는 상기 블록을 상기 블록체인에 등록하는, 블록체인 시스템에 의한 전자영수증 관리 방법.
  18. 전자영수증을 관리하는 블록체인 시스템으로서,
    결제 단말에서의 사용자의 결제에 관한 결제 정보 또는 상기 결제에 관하여 전자영수증 발급 서버에 의해 발급된 전자영수증과 연관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고,
    상기 결제 정보 또는 상기 전자영수증과 연관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블록체인에 트랜잭션으로서 저장하도록 요청하고,
    전자영수증 수신 서버에 수신된 전자영수증과 연관된 정보를 상기 전자영수증 수신 서버로부터 전송받고,
    상기 전자영수증 수신 서버로부터 전송받은 전자영수증과 연관된 정보를 상기 블록체인에서 검색하여, 상기 전자영수증 수신 서버로부터 전송받은 상기 전자영수증과 연관된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블록체인의 트랜잭션에 저장된 전자영수증과 연관된 정보를 획득하는, 전자영수증을 관리하는 블록체인 시스템.
  19. 전자영수증을 관리하는 장치로서,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결제 단말에서의 사용자의 결제에 관한 결제 정보 또는 상기 결제에 관하여 전자영수증 발급 서버에 의해 발급된 전자영수증과 연관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고,
    상기 결제 정보 또는 상기 전자영수증과 연관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블록체인에 트랜잭션으로서 저장하도록 요청하고,
    전자영수증 수신 서버에 수신된 전자영수증과 연관된 정보를 상기 전자영수증 수신 서버로부터 전송받고, 그리고
    상기 전자영수증 수신 서버로부터 전송받은 전자영수증과 연관된 정보를 상기 블록체인에서 검색하여, 상기 전자영수증 수신 서버로부터 전송받은 상기 전자영수증과 연관된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블록체인의 트랜잭션에 저장된 전자영수증과 연관된 정보를 획득하도록, 구성되는 전자영수증을 관리하는 장치.
  20. 전자영수증을 관리하는 장치의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한 코드를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코드는:
    결제 단말에서의 사용자의 결제에 관한 결제 정보 또는 상기 결제에 관하여 전자영수증 발급 서버에 의해 발급된 전자영수증과 연관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기 위한 코드;
    상기 결제 정보 또는 상기 전자영수증과 연관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블록체인에 트랜잭션으로서 저장하도록 요청하기 위한 코드;
    전자영수증 수신 서버에 수신된 전자영수증과 연관된 정보를 상기 전자영수증 수신 서버로부터 전송하기 위한 코드; 그리고
    상기 전자영수증 수신 서버로부터 전송받은 전자영수증과 연관된 정보를 상기 블록체인에서 검색하여, 상기 전자영수증 수신 서버로부터 전송받은 상기 전자영수증과 연관된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블록체인의 트랜잭션에 저장된 전자영수증과 연관된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코드를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
KR1020190153905A 2019-11-27 2019-11-27 블록체인 기반 전자영수증 유통 시스템 및 방법 KR2021006531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3905A KR20210065315A (ko) 2019-11-27 2019-11-27 블록체인 기반 전자영수증 유통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3905A KR20210065315A (ko) 2019-11-27 2019-11-27 블록체인 기반 전자영수증 유통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5315A true KR20210065315A (ko) 2021-06-04

Family

ID=763916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3905A KR20210065315A (ko) 2019-11-27 2019-11-27 블록체인 기반 전자영수증 유통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6531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29376A1 (en) * 2021-12-28 2023-07-06 Mastercard International Incorporated Method and system of generating proof of provenance of digital receip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29376A1 (en) * 2021-12-28 2023-07-06 Mastercard International Incorporated Method and system of generating proof of provenance of digital receip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241216B2 (ja) ブロックチェーンベースの暗号通貨のためのトークンを検証する、コンピュータにより実行される方法及びシステム
US20230267458A1 (en) Secure transaction controller for value token exchange systems
JP7350030B2 (ja) 複数のトランザクションをブロックチェーンに記録する方法及びシステム
US10931457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blockchain-based digital lottery ticket generation and distribution
US20220084027A1 (en) Blockchain based account funding and distribution
KR101637868B1 (ko)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하는 금융기관 제증명서류 위변조 검증시스템 및 방법
US10742398B2 (en) Bespoke programmable crypto token
CN114915421A (zh) 用于操纵数字货币的方法、电子设备和存储介质
KR20160150278A (ko)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하는 금융기관 제증명서류 위변조 검증시스템 및 방법
KR101837167B1 (ko) Utxo 기반 프로토콜에서 머클 트리 구조를 사용하여 통화를 발행 및 지급 결제하는 방법과 이를 이용한 서버
US20220156837A1 (en) Distributed ledger implementation for entity formation and monitoring system
CN112437922A (zh) 分布式数据记录
AU2018201463A1 (en) Online payment
KR102295113B1 (ko) 영지식증명을 이용한 블록체인 기반의 전자 계약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240020691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uthenticated trust distribution using blockchain
Zouina et al. Towards a distributed token based payment system using blockchain technology
KR102054581B1 (ko) 블록 체인을 이용한 발신자 확인 방법, 장치 및 시스템
CN112700251A (zh) 金融场景下的身份确认方法、装置和系统
CN112862589B (zh) 金融场景下的身份验证方法、装置和系统
US20210150632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uthenticated voucher distribution using blockchain
JP2001216360A (ja) 予約証明証発行装置および方法
KR20210065315A (ko) 블록체인 기반 전자영수증 유통 시스템 및 방법
KR20210043278A (ko) 블록체인 기반의 계약 관리 방법
CN110599176A (zh) 基于区块链的数据处理方法、装置、存储介质及节点设备
CN114298698A (zh) 一种交易结算方法及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