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64839A - Iot 기반 에너지 모니터링 시스템 - Google Patents

Iot 기반 에너지 모니터링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64839A
KR20210064839A KR1020190153504A KR20190153504A KR20210064839A KR 20210064839 A KR20210064839 A KR 20210064839A KR 1020190153504 A KR1020190153504 A KR 1020190153504A KR 20190153504 A KR20190153504 A KR 20190153504A KR 20210064839 A KR20210064839 A KR 202100648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quipment
power
network equipment
data
user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35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여운남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다원디엔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다원디엔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다원디엔에스
Priority to KR10201901535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64839A/ko
Publication of KR202100648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483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2/00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electricity meters
    • G01R22/06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electricity meters by electronic methods
    • G01R22/10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electricity meters by electronic methods using digital techniqu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0Current supply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Of Power-Distribution Networks (AREA)

Abstract

IOT 기반 에너지 모니터링 시스템이 제공된다. 상기 시스템은 각각의 네트워크 장비를 실시간 모니터링하여 상기 네트워크 장비의 가동유무, 가동시간, 이상유무 등을 모니터링하여 장비동작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네트워크 장비의 유효전력, 전력량 및 역률 등을 모니터링하여 장비전력정보를 생성하는 사용자단말기; 상기 사용자단말기로부터 실시간으로 수신된 상기 장비동작정보 및 상기 장비전력정보가 포함된 장비데이터를 비교 및 분석하여 상기 네트워크의 전력량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전력관리데이터를 생성하는 관리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IOT 기반 에너지 모니터링 시스템 {IOT BASED ENERGY MONITORING SYSTEM}
본 발명은 IOT 기반 에너지 모니터링 서비스를 통하여 실시간 소비하는 에너지를 모니터링하여 이를 비교 및 분석하여 효율적인 에너지 소비를 위한 솔루션을 제공할 수 있는 IOT 기반 에너지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전자기기의 융, 복합으로 사물인터넷(IoT) 기기들이 증가 추세에 있어 향후 에너지 소비가 급진적으로 늘 것으로 예상된다. 국제에너지기구(IEA)에서도 이런 예상 때문에 소비전력이 적은 저전력 전자 기기의 개발을 권고하고 있는 실정이다.
일반적으로, 에너지 관리 시스템(EMS: Energy Management System)은 제공 형태에 따라 BEMS(Building EMS), HEMS(Home EMS), FEMS(Factory EMS) 등으로 구분된다.
특히, EMS는 에너지를 사용하는 각종 전자 기기(예: 조명, 냉난방설비, 환기설비, 콘센트, PC, 가전기기, 공정 설비 등)에 센서와 계측 장비를 설치하고, 통신망으로 연계하여 전자 기기의 사용량을 실시간 모니터링하고 수집된 에너지 사용 정보를 최적화 분석 소프트웨어(SW)를 통해 효율적으로 분석하고, 분석된 결과에 따라 전자 기기의 에너지 사용을 관리하고 제어하는 시스템이다.
한국등록특허 제10-1043965호, 2011.06.17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IOT 기반 에너지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 기반 에너지 모니터링 시스템은, 각각의 네트워크 장비를 실시간 모니터링하여 상기 네트워크 장비의 가동유무, 가동시간, 이상유무 등을 모니터링하여 장비동작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네트워크 장비의 유효전력, 전력량 및 역률 등을 모니터링하여 장비전력정보를 생성하는 사용자단말기; 및 상기 사용자단말기로부터 실시간으로 수신된 상기 장비동작정보 및 상기 장비전력정보가 포함된 장비데이터를 비교 및 분석하여 상기 네트워크의 전력량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전력관리데이터를 생성하는 관리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장비데이터에 대응하여 상기 네트워크 장비를 실시간으로 제어할 수 있는 장비제어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사용자단말기는 상기 관리서버로부터 상기 장비제어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네트워크 장비의 전원을 자동으로 리셋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단말기로부터 상기 장비데이터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장비데이터에 대응하는 상기 전력관리데이터를 생성하는 관리자단말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은 하드웨어인 컴퓨터와 결합되어, 상기 IOT 기반 에너지 모니터링 시스템을 수행할 수 있도록 컴퓨터에서 독출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된다.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기기별로 전력 사용량을 측정하여 지역별 토탈 전력 사용량을 적산, 모니터링을 할 수 있으며 각 기기들 간의 사물인터넷(IoT)을 통해 사용 패턴, 데이터 등을 수집, 분석, 저장, 전달하고 기기를 사용하지 않는 동안 기기에서 낭비되는 전력을 완전히 자동으로 차단, 제어하여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사용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장비의 전원 제어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네트워크 장비의 전원 제어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상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장비의 전원 제어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장비를 복구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상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장비의 전원 제어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구성요소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IOT 기반 에너지 모니터링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IOT 기반 에너지 모니터링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상세 도면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IOT 기반 에너지 모니터링 시스템(1)은 사용자단말기(10) 및 관리서버(2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단말기(10) 및 관리서버(20)는 무선통신망을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동기화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무선통신망은 다양한 원거리 통신 방식이 지원될 수 있으며, 널리 알려진 다양한 무선통신 또는 이동통신 방식이 적용될 수도 있다. 이와 달리, 사용자단말기(10) 및 관리서버(20)는 유선 통신방식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도 있다.
사용자단말기(10)는 원격지에 위치하는 네트워크 장비(11)를 실시간 모니터링하는 장치로서, 본 개시에서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 또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을 이용하여 동작할 수 있으며,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은 무선통신을 통해 외부서버 또는 관리서버(20)로부터 다운로드 될 수 있다.
여기서, 네트워크 장비(11)로는 산업시설, 공장의 다수의 영역에 위치하는 장비로써, 전원에 의해 동작되는 복수개의 장비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자단말기(10)는 다수의 지역에 분산되어 위치하는 복수개의 네트워크 장비(11)를 지역별 및/또는 용량별로 실시간 모니터링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사용자단말기(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호생성부(100), 신호송수신부(110), 메모리부(120) 및 장치제어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신호생성부(100)는 네트워크 장비(11)의 장비별 장비동작정보 및 장비별 장비전력정보가 포함된 장비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장비동작정보는 네트워크 장비(11)에 포함된 장비별로 네트워크 장비(11) 각각의 가동유무, 가동시간, 이상유무 등을 모니터링하여 수집된 정보일 수 있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장비전력정보는 네트워크 장비(11)에 포함된 장비별로 네트워크 장비(11) 각각의 유효전력, 전력량 및 역률 등을 모니터링하여 수집된 정보일 수 있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신호송수신부(110)는 관리서버(20)로 장비데이터를 전송하고, 장비데이터에 대응하는 장비제어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장비제어데이터는 네트워크 장비(11)를 원격지에서 제어할 수 있는 신호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장비(11)에 고장 또는 오류가 발생한 경우, 이에 대응하여 네트워크 장비(11)의 전원을 자동으로 리셋하는 신호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와 달리, 장비제어데이터는 원격지에서 관리자가 장비데이터에 기초하여 네트워크 장비(11)의 전력효율을 증가시키기 위해 네트워크 장비(11)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신호송수신부(110)는 관리서버(20)로 전력관리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전력관리데이터는 네트워크 장비(11)로부터 획득한 장비데이터를 비교 및 분석하여 네트워크 장비(11)의 에너지 소비량을 예측 및 분석하여 지역별 및/또는 용량별로 네트워크 장비(11)의 전력량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솔루션이 포함된 데이터 일 수 있다. 즉, 전력관리데이터에는 네트워크 장비(11)에 대한 진단정보 및 고장 예측정보, 네트워크 장비(11)에 대한 생산현황관리정보, 네트워크 장비(11)에 대한 불량 및 고장현황관리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력관리데이터는 네트워크 장비(11)의 전격전압, 소비전류, 고조파, 역률, 측정가능 입력자기, 자기감도(Resolution), 측정시간, 동작온도 정보 및 측정된 기기의 상태정보를 수신하여 실시간 또는 주기적 분석을 통해 전력 사용량을 일, 주, 월, 년 단위로 분석하여 에너지의 사용량을 예측하여 관리함으로써, 네트워크 장비(11)가 안정적으로 동작할 수 있는 솔루션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신호송수신부(110)는 무선통신망을 통해 데이터를 관리서버(20)와 송수신할 수 있다. 무선통신망은 다양한 원거리 통신 방식이 지원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무선랜(Wireless LAN: WLAN),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와이브로(Wireless Broadband: Wibro), 와이맥스(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imax),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CDMA(Code Division Multi Access), CDMA2000(Code Division Multi Access 2000), EV-DO(Enhanced Voice-Data Optimized or Enhanced Voice-Data Only), WCDMA(Wideband CDMA),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IEEE 802.16, 롱 텀 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 LTE),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광대역 무선 이동 통신 서비스(Wireless Mobile Broadband Service: WMBS), BLE(Bluetooth Low Energy), 지그비(Zigbee), RF(Radio Frequency), LoRa(Long Range)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방식이 적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널리 알려진 다양한 무선통신 또는 이동통신 방식이 적용될 수도 있다.
메모리부(120)는 신호송수신부(110)를 통해 송수신되는 데이터와 사용자단말기(10)의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부(120)는 사용자단말기(10)에서 구동되는 다수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 또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사용자단말기(10)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들,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무선통신을 통해 외부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될 수 있다.
장치제어부(130)는 실시간으로, 네트워크 장비(11)별로 가동유무, 가동시간, 이상유무 등을 모니터링하여 장비동작정보를 생성하고, 네트워크 장비(11)별로 유효전력, 전력량 및 역률 등을 모니터링하여 장비전력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장비동작정보 및 장비전력정보가 포함된 장비데이터를 실시간으로 관리서버(20)로 전송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장치제어부(130)는 센서부(미도시)를 통해 네트워크 장비(11)의 장비동작정보 또는 장비전력정보를 실시간으로 획득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장치제어부(130)는 장비데이터에 대응하여 생성된 장비제어신호를 수신하여 네트워크 장비(11)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장치제어부(130)는 네트워크 장비(11)들 중 적어도 하나에 장애가 발생한 경우, 장애 발생한 네트워크 장비(11)의 전원을 자동으로 리셋하여 장애를 복구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장치제어부(130)는 생성된 장비데이터를 이용하여 장비데이터를 분석하여 네트워크 장비(11)를 지역별, 용량별 전력량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솔루션이 포함된 전력관리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관리서버(20)는 데이터통신부(200), 데이터베이스부(210), 모니터링부(220) 및 관리제어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통신부(200)는 사용자단말기(10)로부터 장비데이터를 수신하고, 장비데이터에 대응하는 장비제어신호를 사용자단말기(10)로 전송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데이터통신부(200)는 사용자단말기(10)로부터 전력관리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부(210)는 무선통신망을 통해 사용자단말기(10)와 송수신되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전력관리데이터는 장비데이터에 대응하여 실시간으로 업데이트되어 저장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부(210)는 관리서버(20)의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부(210)는 관리서버(20)에서 구동되는 다수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 또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관리서버(20)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들,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무선통신을 통해 외부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될 수 있다.
모니터링부(220)는 사용자 조작에 의한 사용자단말기(10)의 동작상태, 관리서버(20)의 동작상태, 그리고 사용자단말기(10)와 관리서버(20) 사이의 송수신되는 데이터 등을 화면을 통해 모니터링 할 수 있다. 즉, 사용자단말기(10)의 사용 상태를 실시간으로 확인함으로써, 사용자단말기(10)의 오류 또는 고장이 발생하는 경우 관리자가 빠르게 대처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모니터링부(220)는 네트워크 장비(11)의 동작상태, 그리고 사용자단말기(10) 사이의 송수신되는 데이터 등을 화면을 통해 모니터링 할 수 있다.
관리제어부(230)는 사용자단말기(10)로부터 수신된 장비데이터를 이용하여 장비제어데이터 및 전력관리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관리제어부(230)는 수신된 장비데이터를 이용하여 네트워크 장비(11)에 대한 진단정보 및 고장 예측정보, 네트워크 장비(11)에 대한 생산현황관리정보, 네트워크 장비(11)에 대한 불량 및 고장현황관리정보를 포함하는 전력관리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관리제어부(230)는 수신된 장비데이터를 이용하여 네트워크 장비(11)에 대한 진단정보 및 고장 예측정보를 생성함으로써, 실측된 네트워크 장비(11)의 전력 사용 패턴을 기반으로 불필요하게 낭비되는 전력요금을 예측 및 분석함으로써, 적정선에 맞는 전력요금체계 정보를 제공하여 8% 이상의 전기요금을 절감할 수 있을 수 있다.
또한, 관리제어부(230)는 수신된 장비데이터를 이용하여 실측된 네트워크 장비(11)의 전력 사용 패턴을 기반으로 네트워크 장비(11)의 상태를 진단하여, 이에 대응하는 전력관리데이터를 생성하여 고효율 위주의 네트워크 장비(11)를 가동시킬 수 있다.
또한, 관리제어부(230)는 수신된 장비데이터를 이용하여 네트워크 장비(11)의 노후화에 따른 소비 전력 변화를 진단하여, 이에 대응하는 전력관리데이터를 생성하여 고효율 위주의 네트워크 장비(11)를 가동시킬 수 있다.
또한, 관리제어부(230)가 네트워크 장비(11)의 이상 유무 및 고장을 진단하여, 이에 대응하는 전력관리데이터를 생성하여 고효율 위주의 네트워크 장비(11)를 가동시킬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관리제어부(230)는 수신된 장비데이터를 이용하여 네트워크 장비(11)에 대한 생산현황관리정보를 생성함으로써, 공정 형태별, 생산품목별 생산 계획, 실적 관리, 생산 금액 대비 설비별 전력 효율 분석, 설비별 전력 사용량, 전류사용량, 역율 실시간 차트 모니터링, 전력 그래프 분석 또는 카운터기를 이용한 생산량 자동 수집을 통해 불필요하게 낭비되는 에너지를 감소시킬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관리제어부(230)는 수신된 장비데이터를 이용하여 네트워크 장비(11)에 대한 불량 및 고장현황관리정보를 생성함으로써, 생산 품목별 불량, 항목별 불량 관리, 공정별, 설비별, 고장 항목별 고장 시작 및 종료 관리를 통해 에너지 소비를 최소화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관리서버(20)는 하드웨어 회로(예를 들어, CMOS 기반 로직 회로), 펌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양한 전기적 구조의 형태로 트랜지스터, 로직게이트 및 전자회로를 활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IOT 기반 에너지 모니터링 시스템은 관리자단말기(30)를 포함할 수 있다.
우선, 관리자단말기(30)는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 또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을 이용하여 관리자단말기(30)에서 사용자단말기(1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으며,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은 무선통신을 통해 외부서버 또는 관리서버(20)로부터 다운로드 될 수 있다.
관리자단말기(30)는 사용자단말기(10) 및 관리서버(20)와 무선통신망을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동기화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관리자단말기(30)는 통신부(300), 저장부(310), 디스플레이부(320) 및 단말기제어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300)는 관리서버(20)로부터 전력관리데이터를 수신받고, 사용자단말기(10)로부터 장비데이터를 수신받을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통신부(300)는 전력관리데이터를 사용자단말기(10) 및 관리서버(20)로 전송할 수 있다.
저장부(310)는 무선통신망을 통해 사용자단말기(10) 및 관리서버(20) 사이에서 송수신되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320)는 사용자단말기(10), 관리서버(20), 관리자단말기(30) 사이에 송수신되는 데이터를 화면을 통해 모니터링할 수 있다. 사용자단말기(10)의 작동상태를 시각적 및 청각적으로 출력하여 관리자가 쉽게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스마트폰을 통한 원격제어가 가능하여 시간과 장소에 상관없이 실시간으로 네트워크 장비(11)의 상태를 확인 및 장애에 대응할 수 있다.
단말기제어부(330)는 사용자단말기(10)로부터 수신받은 장비데이터를 분석하여 사용자단말기(10)로 장비제어데이터를 전송하여 네트워크 장비(11)를 제어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단말기제어부(330)는 사용자단말기(10)로부터 수신받은 장비데이터를 분석하여 전력관리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관리자단말기(30)는 사용자단말기(10) 및 관리서버(20)와의 통신을 지원하는 각종 휴대 가능한 전자통신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별도의 스마트 기기로써, 스마트폰(Smart phone),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테블릿(Tablet),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워치형 단말기(Smartwatch), 글래스형 단말기(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등 포함) 및 각종 IoT(Internet of Things) 단말과 같은 다양한 단말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들은 하드웨어로 직접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로 구현되거나, 또는 이들의 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하드 디스크, 착탈형 디스크, CD-ROM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잘 알려진 임의의 형태의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상주할 수도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제한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 : IOT 기반 에너지 모니터링 시스템
10 : 사용자단말기
20 : 관리서버
30 : 관리자단말기

Claims (4)

  1. 각각의 네트워크 장비를 실시간 모니터링하여 상기 네트워크 장비의 가동유무, 가동시간, 이상유무 등을 모니터링하여 장비동작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네트워크 장비의 유효전력, 전력량 및 역률 등을 모니터링하여 장비전력정보를 생성하는 사용자단말기; 및
    상기 사용자단말기로부터 실시간으로 수신된 상기 장비동작정보 및 상기 장비전력정보가 포함된 장비데이터를 비교 및 분석하여 상기 네트워크의 전력량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전력관리데이터를 생성하는 관리서버;를 포함하는, IOT 기반 에너지 모니터링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장비데이터에 대응하여 상기 네트워크 장비를 실시간으로 제어할 수 있는 장비제어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사용자단말기는 상기 관리서버로부터 상기 장비제어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네트워크 장비의 전원을 자동으로 리셋하는, IOT 기반 에너지 모니터링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단말기로부터 상기 장비데이터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장비데이터에 대응하는 상기 전력관리데이터를 생성하는 관리자단말기;를 더 포함하는, IOT 기반 에너지 모니터링 시스템.
  4. 하드웨어인 컴퓨터와 결합되어,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의 시스템을 수행할 수 있도록 컴퓨터에서 독출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190153504A 2019-11-26 2019-11-26 Iot 기반 에너지 모니터링 시스템 KR2021006483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3504A KR20210064839A (ko) 2019-11-26 2019-11-26 Iot 기반 에너지 모니터링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3504A KR20210064839A (ko) 2019-11-26 2019-11-26 Iot 기반 에너지 모니터링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4839A true KR20210064839A (ko) 2021-06-03

Family

ID=763969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3504A KR20210064839A (ko) 2019-11-26 2019-11-26 Iot 기반 에너지 모니터링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64839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3965B1 (ko) 2009-12-29 2011-06-24 전자부품연구원 에너지 측정 게이트웨이 및 에너지 측정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3965B1 (ko) 2009-12-29 2011-06-24 전자부품연구원 에너지 측정 게이트웨이 및 에너지 측정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ang et al. Internet of everything: A large-scale autonomic IoT gateway
US10037685B2 (en) Connected gateway for switching power sources
US8532839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statistical control and fault detection in a building management system
Siano et al. Designing and testing decision support and energy management systems for smart homes
US9753455B2 (en) Building management system with fault analysis
US9568973B2 (en) Remote energy management using persistent smart grid network context
US20120166115A1 (en) Platform, system and method for energy profiling
US9240934B2 (en) Monitoring the health of a home area network
JP6235125B2 (ja) エネルギ管理のための装置、システム、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US10411958B2 (en) Automatic device configuration
KR20130035577A (ko) 상황 인지 기반의 건물 에너지 소비 최적화를 지원하는 시스템 및 방법
US20200387844A1 (en) Sensor based enhanced customer experience
Mtshali et al. A smart home energy management system using smart plugs
WO2016089984A1 (en) Open automated demand response (openadr) server
US11169498B2 (en) System and methods for a real-time power performance tracker
Suciu et al. Machine-to-Machine communications for Cloud-based energy management systems within SMEs
KR20150097015A (ko) 다중상황 기반 에너지 관리장치 및 관리방법
KR20210064839A (ko) Iot 기반 에너지 모니터링 시스템
JP2020167567A (ja) 制御システム、及び、制御方法
KR102101897B1 (ko) 홈 가전기기의 사용내역 통계를 제공하기 위한 스마트 홈 서비스 제공방법 및 장치
KR20230133302A (ko) 애널리틱스를 사용하여 스마트 전기 스위치 및 관련장치를 원격으로 제어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102151341B1 (ko) 분석 서버 및 분석 서버의 동작 방법
Murti et al. Monitoring System Based on LoRa and IoT for BTS to Enhance 5G Network Efficiency in Smart Cities
Nguyen et al. A practical implementation of wireless sensor network based smart home system for smart grid integration
Arya et al. Smart energy controller for energy management using IOT with demand respon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