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64215A - 통신 디바이스들, 통신 디바이스들을 동작시키는 방법들, 인프라스트럭처 장비 및 방법들 - Google Patents

통신 디바이스들, 통신 디바이스들을 동작시키는 방법들, 인프라스트럭처 장비 및 방법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64215A
KR20210064215A KR1020217008591A KR20217008591A KR20210064215A KR 20210064215 A KR20210064215 A KR 20210064215A KR 1020217008591 A KR1020217008591 A KR 1020217008591A KR 20217008591 A KR20217008591 A KR 20217008591A KR 20210064215 A KR20210064215 A KR 202100642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plink data
transmission
grant
uplink
transport block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085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가즈유키 시메자와
신 홍 웡
마틴 워릭 빌
Original Assignee
소니그룹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그룹주식회사 filed Critical 소니그룹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100642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421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2Selection of wireless resources by user or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8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repeating transmission, e.g. Verdan syste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22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involving configuration of automatic repeat request [ARQ] with parallel process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67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transmitter end
    • H04L1/189Transmission or retransmission of more than one copy of a messa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46Resources in time domain, e.g. slots or frames
    • H04W72/1242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12Wireless traffic scheduling
    • H04W72/1263Mapping of traffic onto schedule, e.g. scheduled allocation or multiplexing of flows
    • H04W72/1268Mapping of traffic onto schedule, e.g. scheduled allocation or multiplexing of flows of uplink data flow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12Hybrid protocols;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HARQ]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6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priority criteria
    • H04W72/566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priority criteria of the information or information source or recipient
    • H04W72/569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priority criteria of the information or information source or recipient of the traffic inform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해 통신 디바이스를 동작시키는 방법은 송신을 위한 업링크 데이터의 하나 이상의 전송 블록을 형성하기 위해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 의해 제공되는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의 물리적 업링크 공유 채널의 그랜트 프리 자원들 상에서 송신을 위한 업링크 데이터를 프로세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랜트 프리 자원들은 업링크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해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의 복수의 시분할된 유닛들 각각에서 물리적 공유 업링크 채널의 통신 자원들을 제공한다. 방법은 그랜트 프리 자원들에서 업링크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해 복수의 구성들 중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 및 선택된 구성에 따라 그랜트 프리 자원들에서 업링크 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복수의 구성들 각각은 그랜트 프리 자원들, 인코딩된 데이터 유닛들 각각이 그랜트 프리 자원들에서 송신되는 송신 기간, 및 그랜트 프리 자원들에서 업링크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의 시분할된 유닛들 중 하나에서의 송신 기간의 시간적 시작 포지션을 포함하고, 시간적 시작 포지션 및 송신 기간은 복수의 구성들 각각에 대해 독립적이다. 독립적인 구성들은 상이한 시간적 시작 포지션들 및 송신 기간들을 제공할 수 있으며, 이는 업링크 데이터가 생성되는 시간에 더 잘 매칭될 수 있고, 그 결과, 업링크 데이터가 그랜트 프리 자원들에서 더 낮은 레이턴시로 송신될 수 있다.

Description

통신 디바이스들, 통신 디바이스들을 동작시키는 방법들, 인프라스트럭처 장비 및 방법들
본 개시내용은 무선 통신 네트워크들에서 그랜트 프리 자원들(grant free resources)을 사용하여 업링크 데이터를 통신하기 위한 통신 디바이스들, 통신 디바이스들을 동작시키는 방법들, 인프라스트럭처 장비 및 방법들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은 유럽 특허 출원 EP18197372.8의 파리 협약 우선권을 주장하며, 그 내용은 본 명세서에 참조로 포함된다.
본 명세서에 제공된 "배경" 설명은 일반적으로 본 개시내용의 맥락을 제시하기 위한 것이다. 현재 명명된 발명가들의 작업은, 이 배경 섹션뿐만 아니라 출원 당시에 선행 기술로서 달리 자격이 없을 수 있는 설명의 양태들에서 기술된 것이라는 점에서, 본 발명에 대한 선행 기술로서 명시적으로 또는 묵시적으로 인정되지 않는다.
3GPP 정의된 UMTS 및 롱 텀 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LTE) 아키텍처에 기초하는 것들과 같은 3세대 및 4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들은 이전 세대들의 이동 통신 시스템들에 의해 제공되는 단순한 음성 및 메시징 서비스들보다 더 정교한 서비스들을 지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LTE 시스템들에 의해 제공되는 개선된 라디오 인터페이스 및 향상된 데이터 레이트들에 의해, 사용자는 이전에는 고정 회선 데이터 연결을 통해서만 이용 가능했었던 모바일 비디오 스트리밍 및 모바일 비디오 회의와 같은 높은 데이터 레이트 애플리케이션들을 즐길 수 있게 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네트워크들을 배치하기 위한 요구가 강하고, 이러한 네트워크들의 커버리지 영역, 즉, 네트워크들에 액세스할 수 있는 지리적 위치들이 더욱 빠르게 증가할 것으로 예상될 수 있다.
미래의 무선 통신 네트워크들은 현재 시스템들이 지원하도록 최적화된 것보다 더 넓은 범위의 데이터 트래픽 프로파일들 및 타입들과 연관된 더 광범위한 디바이스들을 사용하여 일상적이고 효율적으로 통신을 지원할 것으로 예상될 것이다. 예를 들어, 미래의 무선 통신 네트워크들은 복잡성이 감소된 디바이스들(reduced complexity devices), 머신 타입 통신(machine type communication)(MTC) 디바이스들, 고해상도 비디오 디스플레이들, 가상 현실 헤드셋들 등을 포함한 디바이스들과의 통신을 효율적으로 지원할 것으로 예상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상이한 타입들의 디바이스들 중 일부, 예를 들어, "사물 인터넷(The Internet of Things)"을 지원하기 위한 복잡성이 낮은 디바이스들이 매우 많은 수로 배치될 수 있으며, 통상적으로 상대적으로 높은 레이턴시 허용 오차를 가진 상대적으로 적은 양들의 데이터 송신들과 연관될 수 있다.
이를 고려하여, 상기한 서비스들을 지원하기 위해 상이한 애플리케이션들 및 상이한 특성 데이터 트래픽 프로파일들과 연관된 광범위한 디바이스들에 대한 연결을 효율적으로 지원하기 위해 미래의 무선 통신 네트워크들, 예를 들어, 5G 또는 뉴 라디오(new radio)(NR) 시스템/뉴 라디오 액세스 기술(radio access technology)(RAT) 시스템들뿐만 아니라, 기존 시스템들의 미래의 반복들/릴리스들이라고도 지칭될 수 있는 것들에 대한 바램이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새로운 서비스의 일례는 초고신뢰 및 낮은 레이턴시 통신(Ultra Reliable Low Latency Communications)(URLLC) 서비스들이라고 지칭되며, 이는 그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데이터 유닛 또는 패킷이 높은 신뢰성과 낮은 통신 지연을 갖고 통신될 것을 요구한다. 따라서, URLLC 타입 서비스들은 LTE 타입 통신 시스템들 및 5G/NR 통신 시스템들 모두에서 까다로운 예를 나타낸다.
상이한 트래픽 프로파일들과 연관된 상이한 타입들의 단말 디바이스들의 사용이 증가함에 따라 해결해야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들에서의 통신을 효율적으로 핸들링하기 위한 새로운 문제들이 발생한다. 예를 들어, 업링크 데이터뿐만 아니라 다운링크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해 그랜트 프리 자원들이 제공되어, 업링크/다운링크 데이터 송신 레이턴시를 감소시킬 수 있었다. 그러나, 더 낮은 레이턴시를 활용하기 위해 데이터의 송신 및 수신을 위해 약간의 추가 적응이 필요할 수 있으며, 이는 그랜트 프리 자원들을 사용하여 달성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은 위에서 논의된 문제들 중 적어도 일부를 다루거나 완화하는 것을 도울 수 있다.
본 기술의 실시예들은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해 통신 디바이스를 동작시키는 방법으로서, 송신을 위한 업링크 데이터의 하나 이상의 전송 블록을 형성하기 위해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 의해 제공되는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의 물리적 업링크 공유 채널의 그랜트 프리 자원들(grant free resources) 상에서 송신을 위한 업링크 데이터를 프로세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그랜트 프리 자원들은 업링크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해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의 복수의 시분할된 유닛들 각각에서 물리적 공유 업링크 채널의 통신 자원들을 제공한다. 방법은 그랜트 프리 자원들에서 업링크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해 복수의 구성들 중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 및 선택된 구성에 따라 그랜트 프리 자원들에서 업링크 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복수의 구성들 각각은 그랜트 프리 자원들, 인코딩된 데이터 유닛들 각각이 그랜트 프리 자원들에서 송신되는 송신 기간(transmission period), 및 그랜트 프리 자원들에서 업링크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의 시분할된 유닛들 중 하나에서의 송신 기간의 시간적 시작 포지션을 포함하고, 시간적 시작 포지션 및 송신 기간은 복수의 구성들 각각에 대해 독립적이다. 독립적으로 설정되거나 상이한 시간적 시작 포지션들 및 독립적으로 설정되거나 상이한 송신 기간들을 갖는 독립적인 구성들을 제공하면, 업링크 데이터가 송신되어야 할 때 필요한 시간에 따라 하나 이상의 전송 블록의 생성 시간과 매칭되도록 구성이 선택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업링크 데이터는 그랜트 프리 자원들에서 더 낮은 레이턴시로 송신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 따르면, 업링크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복수의 구성들 각각은 업링크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상이한 통신 파라미터들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 따르면, 그랜트 프리 통신 자원들에서 업링크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복수의 구성들 각각은 상이한 구성에 따라 업링크 데이터를 송신하는 것과 관련하여 업링크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상대적 우선 순위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동일한 업링크 그랜트 프리 자원들에 액세스하는 데 잠재적인 충돌이 있을 때, 더 낮은 우선 순위를 갖는 구성들 중 하나로 업링크 데이터를 송신하면 더 높은 우선 순위를 갖는 구성으로 업링크 데이터를 송신하는 것과 충돌하지 않도록 적응된다.
인프라스트럭처 장비, 통신 디바이스들뿐만 아니라 통신 디바이스들 및 인프라스트럭처 장비를 동작시키는 방법, 및 통신 디바이스들 및 인프라스트럭처 장비를 위한 방법들 및 회로망과 추가로 관련된 본 기술의 실시예들은 그랜트 프리 통신 자원들을 사용하여 업링크 데이터의 송신에 개선을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각각의 양태들 및 피처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정의된다.
전술한 일반적인 설명과 다음의 상세한 설명은 모두 본 기술의 제한이 아닌 예시라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추가 이점들과 함께 설명된 실시예들은 첨부 도면들과 함께 취해진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하여 가장 잘 이해될 것이다.
본 개시내용 및 그에 수반되는 많은 이점들에 대한 더 완전한 이해는, 첨부된 도면들과 관련하여 고려될 때,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하여 더 잘 이해되게 됨에 따라 쉽게 획득될 것이며, 도면들에서, 유사한 참조 번호들은 다수의 도면들 전반에 걸쳐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부분들을 나타낸다.
도 1은 본 개시내용의 특정 실시예들에 따라 동작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 LTE-타입 무선 통신 시스템의 일부 양태들을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2는 본 개시내용의 특정 실시예들에 따라 동작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 뉴 라디오 액세스 기술(RAT) 무선 통신 시스템의 일부 양태들을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3은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라 구성되는 예시적인 인프라스트럭처 장비 및 통신 디바이스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4는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의 시분할된 유닛들의 프레임, 서브프레임 및 슬롯 구조를 예시하는 도 17에 도시된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의 업링크의 단순화된 표현의 개략도이다.
도 5는 통신 디바이스들에 의한 그랜트 프리 액세스를 위해 구성되는 통신 자원들을 포함하도록 적응되는 도 4에 도시된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의 업링크의 예시이다.
도 6은 도 5에 예시된 업링크 그랜트 프리 자원들을 사용하여 업링크 데이터를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예시적인 송신기(통신 디바이스의 수신기 및 제어기도 도시함)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7은 도 5에 예시된 업링크 그랜트 프리 자원들을 통해 송신되는 업링크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예시적인 수신기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8은 통신 디바이스들에 의한 그랜트 프리 액세스를 위해 구성되는 통신 자원들을 포함하도록 적응되는 도 4에 도시된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의 업링크의 예시로서, 여기서 시분할된 슬롯들 각각은 2개의 미니-슬롯으로 분할되고, 인코딩된 데이터 유닛들은 미니-슬롯의 송신 기간에서 반복적으로 송신된다.
도 9는 그랜트 프리 자원들이 송신 기간을 형성하기 위해 송신 오케이션들에서 반복적으로 인코딩된 데이터 유닛들을 송신하는 데 사용되는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의 그랜트 프리 업링크의 예시로서, 송신 기간과 관련하여 반복들의 시작의 오정렬을 도시한다.
도 10은 그랜트 프리 자원들이 송신 기간을 형성하기 위해 송신 오케이션들에서 반복적으로 인코딩된 데이터 유닛들을 송신하는 데 사용되는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의 그랜트 프리 업링크의 또 다른 예시적인 예시로서, 업링크 데이터 송신의 레이턴시를 감소시키기 위해 시간적으로 스태거(stagger)되는 2개의 예시적인 구성을 도시한다.
도 11은 업링크 데이터 송신의 레이턴시를 감소시키기 위해 시간적으로 스태거되는 2개의 예시적인 구성들에 대해, 상이한 반복 횟수에 대해, 그랜트 프리 자원들이 송신 기간을 형성하기 위해 송신 오케이션들에서 반복적으로 인코딩된 데이터 유닛들을 송신하는 데 사용되는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의 그랜트 프리 업링크의 또 다른 예시적인 예시이다.
도 12는 그랜트 프리 자원들이 시간적으로 스태거되는 2개의 예시적인 구성들에 대해 송신 기간을 형성하기 위해 송신 오케이션들에서 반복적으로 인코딩된 데이터 유닛들을 송신하는 데 사용되는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의 그랜트 프리 업링크의 또 다른 예시적인 예시로서, 여기서 구성들 중 하나에 대한 업링크 데이터 유닛들의 송신은 다른 구성과 비교하여 업링크 데이터의 상대적 우선 순위에 따라 적응된다.
도 13은 구성들 중 하나에 따른 업링크 데이터의 송신이 송신 연기를 포함하는 도 12에 도시된 예의 예시적인 예시이다.
도 14는 구성들 중 하나에 따른 업링크 데이터의 송신이 송신을 위한 구성들 각각에 대한 인코딩된 데이터 유닛들의 멀티플렉싱을 포함하는 도 12에 도시된 예의 또 다른 예시적인 예시이다.
도 15는 멀티플렉싱의 예시를 제공하는 도 14의 그랜트 프리 자원들에서의 업링크 송신의 예이다.
도 16은 3GPP LTE 표준에 따른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의 다운링크의 개략도이다.
도 17은 3GPP LTE 표준에 따른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의 업링크의 개략도이다.
롱 텀 에볼루션 고급 라디오 액세스 기술(4G)
도 1은 일반적으로 LTE 원리들에 따라 동작하지만 다른 라디오 액세스 기술들을 지원할 수도 있고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을 구현하도록 적응될 수 있는 이동 통신 네트워크/시스템(100)의 일부 기본 기능을 예시하는 개략도를 제공한다. 도 1의 다양한 엘리먼트들 및 그들의 각각의 동작 모드들의 특정 양태들은 3GPP(RTM) 기관에 의해 관리되는 관련 표준들에 널리 공지되고 정의되어 있으며, 또한, 주제에 대한 많은 도서들, 예를 들어, Holma H. 및 Toskala A [2]에 설명되어 있다. (예를 들어, 상이한 엘리먼트들 사이의 통신을 위한 특정 통신 프로토콜들 및 물리적 채널들과 관련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은 본 명세서에서 논의된 통신 네트워크들의 동작 양태들은 임의의 공지된 기술들에 따라, 예를 들어, 관련 표준들 및 알려진 제안된 수정들 및 관련 표준들에 대한 추가들에 따라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네트워크(100)는 코어 네트워크 부분(102)에 연결되는 복수의 기지국들(101)을 포함한다. 각각의 기지국은 데이터가 통신 디바이스들(104)로/로부터 통신될 수 있는 커버리지 영역(103)(예를 들어, 셀)을 제공한다. 데이터는 라디오 다운링크를 통해 기지국들(101)로부터 그들 각각의 커버리지 영역들(103) 내의 통신 디바이스들(104)로 송신된다. 데이터는 라디오 업링크를 통해 통신 디바이스들(104)로부터 기지국들(101)로 송신된다. 코어 네트워크 부분(102)은 각각의 기지국들(101)을 통해 통신 디바이스들(104)로/로부터 데이터를 라우팅하고, 인증, 이동성 관리, 충전 등과 같은 기능들을 제공한다. 통신 디바이스들은 또한 이동국들, 사용자 장비(user equipment)(UE), 사용자 단말들, 모바일 라디오들, 통신 디바이스들 등으로도 지칭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프라스트럭처 장비/네트워크 액세스 노드들의 예인 기지국들은 또한 트랜시버 스테이션들/nodeB들/e-nodeB들, g-nodeB들(gNB) 등으로도 지칭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상이한 용어는 종종 대체로 유사한 기능을 제공하는 엘리먼트들에 대한 상이한 세대들의 무선 통신 시스템들과 연관된다. 그러나, 본 개시내용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은 이하에서 설명되는 5G 또는 뉴 라디오와 같은 상이한 세대들의 무선 통신 시스템들에서 동일하게 구현될 수 있고, 단순성을 위해, 기본 네트워크 아키텍처에 관계없이 특정 용어가 사용될 수 있다. 즉, 특정 예시적인 구현들과 관련하여 특정 용어를 사용하는 것은 이러한 구현들이 해당 특정 용어와 가장 연관될 수 있는 특정 세대의 네트워크로 제한되는 것을 나타내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뉴 라디오 액세스 기술(5G)
도 2는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에 따라 기능을 제공하도록 또한 적응될 수 있는 이전에 제안된 접근법들에 기초한 새로운 RAT 무선 통신 네트워크/시스템(200)에 대한 네트워크 아키텍처를 예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2에 표현된 새로운 RAT 네트워크(200)는 제1 통신 셀(201) 및 제2 통신 셀(202)을 포함한다. 각각의 통신 셀(201, 202)은 각각의 유선 또는 무선 링크(251, 252)를 통해 코어 네트워크 컴포넌트(210)와 통신하는 제어 노드(중앙 유닛)(221, 222)를 포함한다. 각각의 제어 노드들(221, 222)은 또한 그들 각각의 셀들에서 복수의 분산 유닛들(라디오 액세스 노드들/원격 송신 및 수신 포인트(transmission and reception point)(TRP)들)(211, 212)과 각각 통신한다. 다시 말하지만, 이러한 통신은 각각의 유선 또는 무선 링크들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분산 유닛들(211, 212)은 네트워크에 연결되는 통신 디바이스들에 라디오 액세스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각각의 분산 유닛(211, 212)은 커버리지 영역(라디오 액세스 풋프린트)(241, 242)을 가지며, 여기서 제어 노드의 제어 하에서 분산 유닛들의 커버리지 영역들의 합은 함께 각각의 통신 셀들(201, 202)의 커버리지를 정의한다. 각각의 분산 유닛(211, 212)은 무선 신호들의 송신 및 수신을 위한 트랜시버 회로망 및 각각의 분산 유닛들(211, 212)을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프로세서 회로망을 포함한다.
광범위한 최상위 기능의 관점에서, 도 2에 표현된 새로운 RAT 통신 네트워크의 코어 네트워크 컴포넌트(210)는 도 1에 표현된 코어 네트워크(102)에 대응하는 것으로 광범위하게 고려될 수 있고, 각각의 제어 노드들(221, 222) 및 그들의 연관된 분산 유닛들/TRP들(211, 212)은 도 1의 기지국들(101)에 대응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것으로 광범위하게 고려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프라스트럭처 장비/액세스 노드라는 용어는 이러한 엘리먼트들 및 무선 통신 시스템들의 더 종래의 기지국 타입 엘리먼트들을 포함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사용 중인 애플리케이션에 따라, 각각의 분산 유닛들과 통신 디바이스들 사이의 라디오 인터페이스 상에 스케줄링되는 송신들을 스케줄링하는 책임은 제어 노드/중앙 유닛 및/또는 분산 유닛들/TRP들에 있을 수 있다.
통신 디바이스 또는 UE(260)는 제1 통신 셀(201)의 커버리지 영역 내에 있는 것으로 도 2에 표현된다. 따라서, 이 통신 디바이스(400)는 제1 통신 셀(201)과 연관된 분산 유닛들(211) 중 하나를 통해 제1 통신 셀의 제1 제어 노드(221)와 시그널링을 교환할 수 있다. 일부 경우들에서는, 주어진 통신 디바이스에 대한 통신이 분산 유닛들 중 하나만을 통해 라우팅되지만, 일부 다른 구현들에서는, 주어진 통신 디바이스와 연관된 통신이 하나 초과의 분산 유닛을 통해, 예를 들어, 소프트 핸드오버 시나리오 및 다른 시나리오들에서 라우팅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도 2의 예에서는, 단순화를 위해 2개의 통신 셀(201, 202) 및 1개의 통신 디바이스(400)가 도시되었지만, 실제로는 시스템이 많은 수의 통신 디바이스들을 서빙하는 더 많은 수의 통신 셀들(각각 각각의 제어 노드 및 복수의 분산 유닛들에 의해 지원됨)을 포함할 수 있다는 것도 물론 이해될 것이다.
또한, 도 2는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원리들에 따른 접근법들이 채택될 수 있는 새로운 RAT 통신 시스템에 대한 제안된 아키텍처의 일례만을 표현한 것에 불과하며,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능은 상이한 아키텍처들을 갖는 무선 통신 시스템들과 관련하여서도 적용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논의된 본 개시내용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예시적인 아키텍처들과 같은 다양한 상이한 아키텍처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들/네트워크들에서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임의의 주어진 구현에서의 특정 무선 통신 아키텍처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원리들에 대해 중요한 의미가 없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본 개시내용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은 일반적으로 네트워크 인프라스트럭처 장비/액세스 노드들과 통신 디바이스들 사이의 통신의 맥락에서 설명될 수 있으며, 네트워크 인프라스트럭처 장비/액세스 노드 및 통신 디바이스의 특정 특성은 사용 중인 구현에 대한 네트워크 인프라스트럭처에 의존할 것이다. 예를 들어, 일부 시나리오들에서, 네트워크 인프라스트럭처 장비/액세스 노드는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원리들에 따라 기능을 제공하도록 적응되는 도 1에 도시된 LTE-타입 기지국(101)과 같은 기지국을 포함할 수 있고, 다른 예들에서, 네트워크 인프라스트럭처 장비/액세스 노드는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원리들에 따라 기능을 제공하도록 적응되는 도 2에 도시된 종류의 제어 유닛/제어 노드(221, 222) 및/또는 TRP(211, 212)를 포함할 수 있다.
UE(270) 및 gNB(101) 또는 제어 노드(221)와 TRP(211)의 조합으로서 생각될 수 있는 예시적인 네트워크 인프라스트럭처 장비(272)의 더 상세한 예시가 도 3에 제시되어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UE(270)는 일반적으로 화살표(274)로 예시된 바와 같이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의 그랜트 프리 자원들을 통해 인프라스트럭처 장비(272)로 업링크 데이터를 송신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1 및 2에서와 같이, 인프라스트럭처 장비(272)는 인프라스트럭처 장비(272)의 제어기(280)에 대한 인터페이스(278)를 통해 코어 네트워크(276)에 연결된다. 인프라스트럭처 장비(272)는 안테나(284)에 연결된 수신기(282)와 안테나(284)에 연결된 송신기(286)를 포함한다. 따라서, UE(270)는 안테나(294)로부터 신호들을 수신하는 수신기(292)에 연결된 제어기(290) 및 안테나(294)에 또한 연결된 송신기(296)를 포함한다.
제어기(280)는 인프라스트럭처 장비(272)를 제어하도록 구성되고, 본 명세서에서 추가로 설명되는 바와 같이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다양한 서브-유닛들/서브-회로들을 차례로 포함할 수 있는 프로세서 회로망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서브-유닛들은 개별 하드웨어 엘리먼트들로서 또는 프로세서 회로망의 적절하게 구성되는 기능들로서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제어기(280)는 무선 통신 시스템들의 장비에 대한 종래의 프로그래밍/구성 기술들을 사용하여 원하는 기능을 제공하도록 적절하게 구성/프로그래밍되는 회로망을 포함할 수 있다. 송신기(286) 및 수신기(282)는 종래의 구성들에 따른 신호 프로세싱 및 라디오 주파수 필터들, 증폭기들 및 회로망을 포함할 수 있다. 송신기(286), 수신기(282) 및 제어기(280)는 표현의 용이성을 위해 별도의 엘리먼트들로서 도 3에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들 엘리먼트들의 기능은 다양한 상이한 방식들로,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적절하게 프로그래밍된 프로그램 가능한 컴퓨터(들) 또는 하나 이상의 적절하게 구성된 애플리케이션 특정 집적 회로(들)/회로망/칩(들)/칩셋(들)을 사용하여 제공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이해되는 바와 같이, 인프라스트럭처 장비(101)는 일반적으로 그것의 동작 기능과 연관된 다양한 다른 엘리먼트들을 포함할 것이라는 점이 이해될 것이다.
이에 대응하여, UE(270)의 제어기(290)는 송신기(296) 및 수신기(292)를 제어하도록 구성되며, 본 명세서에서 추가로 설명되는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다양한 서브-유닛들/서브-회로들을 차례로 포함할 수 있는 프로세서 회로망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서브-유닛들은 개별 하드웨어 엘리먼트들로서 또는 프로세서 회로망의 적절하게 구성된 기능들로서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제어기(290)는 무선 통신 시스템들의 장비에 대한 종래의 프로그래밍/구성 기술들을 사용하여 원하는 기능을 제공하도록 적절하게 구성/프로그래밍되는 회로망을 포함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송신기(296) 및 수신기(292)는 종래의 구성들에 따른 신호 프로세싱 및 라디오 주파수 필터들, 증폭기들 및 회로망을 포함할 수 있다. 송신기(296), 수신기(292) 및 제어기(290)는 표현의 용이성을 위해 개별 엘리먼트들로서 도 3에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들 엘리먼트들의 기능은 다양한 상이한 방식들로,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적절하게 프로그래밍된 프로그램 가능한 컴퓨터(들) 또는 하나 이상의 적절하게 구성된 애플리케이션 특정 집적 회로(들)/회로망/칩(들)/칩셋(들)을 사용하여 제공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이해되는 바와 같이, 통신 디바이스(104)는 일반적으로 그것의 동작 기능과 연관된 다양한 다른 엘리먼트들, 예를 들어, 전원, 사용자 인터페이스 등을 포함할 것이지만, 이는 단순함을 위해 도 3에 도시되지 않았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예시적인 실시예들은 5G 또는 뉴 라디오(NR) 액세스 기술로도 지칭되는 것들과 같은 고급 무선 통신 시스템들에서의 애플리케이션을 찾을 수 있다. NR에 대해 고려되는 사용 사례들은 다음을 포함한다.
·향상된 모바일 광대역(Enhanced Mobile Broadband)(eMBB)
·대규모 머신 타입 통신(Massive Machine Type Communications)(mMTC)
·초고신뢰 및 낮은 레이턴시 통신(Ultra Reliable & Low Latency Communications)(URLLC)[2]
eMBB 서비스들은 최대 20Gb/s를 지원해야 하는 요구 사항을 갖는 고용량에 의해 특징지어진다. URLLC에 대한 요구 사항은 사용자 평면 레이턴시가 1ms인 32바이트 패킷의 1회 송신에 대한 1-10-5(99.999%)의 신뢰도이다[3]. 실시예들은 특히 4G 및 5G 통신 네트워크들을 위한 3GPP 내에서 최근에 제안된 URLLC에 대한 애플리케이션을 찾을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URLLC 통신은 낮은 레이턴시(사용자 평면 레이턴시 목표가 1ms인 경우) 또는 높은 신뢰도(URLLC 송신들에 대한 허용 가능한 오류율이 10-5인 경우) 또는 낮은 레이턴시 및 높은 신뢰도(레이턴시 및 신뢰도 목표들이 모두 동시에 충족되어야 하는 경우) 중 어느 것이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의 업링크의 그랜트 프리 자원들을 통해 업링크 데이터를 통신하기 위한 더 효율적인 구성을 제공한다. 이는 업링크 그랜트 프리 자원들의 타이밍 구조가 업링크 데이터가 송신을 위해 인코딩되는 타이밍과 매칭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이다. 3GPP LTE/4G 및 NR/5G에 따라 제안된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를 검토함으로써 예시적인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더 나은 이해가 획득될 수 있다. LTE용 3GPP 표준에 따른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는 부록 1에 상세하게 설명되어 있으며, 여기서 도 16 및 도 17은 각각 다운링크 및 업링크에 대한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의 상세한 표현을 제공한다. 따라서, LTE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에 대한 더 상세한 내용은 부록 1에서 설명된다. 그러나, LTE에서 알고 있는 것들에 대해 이해되는 바와 같이,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는 적절한 제어 시그널링을 통신함으로써 액세스될 수 있는 업링크 및 다운링크 모두에 대한 공유 채널들을 포함하는 물리적 통신 자원들을 제공한다. 마찬가지로, 도 2에 표현된 5G 표준에 대한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는 부록 1에 나타낸 구성에 따라 유사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다운링크 상에서는 OFDM을, 업링크 상에서는 OFDM 또는 SC-FDMA를 사용할 수 있다.
도 4는 NR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 구조에 기초한 업링크 프레임/서브프레임 구조의 단순화된 표현을 제공한다. 도 4에서는, 예시적인 실시예들의 설명을 돕기 위해 업링크 프레임/서브프레임 구조의 단순화된 버전이 제공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의 업링크는 UE(270)가 인프라스트럭처 장비(272)로 업링크 데이터를 송신하는 프레임(300)을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부록 1에 제공된 설명과 일관되게, 업링크는 각각의 프레임(300)에서 10개의 서브프레임(301)을 포함한다. 프레임(300)은 10ms로 정의되고, 서브프레임(301)은 1ms로 정의되며, 슬롯(302)은 서브캐리어 간격에 관계없이 14개의 OFDM 심볼로 정의된다. 도 4에서는, 30kHz 서브캐리어 간격이 가정된다. 서브프레임(310)의 컴포넌트들에 대한 확장된 뷰는 2개의 연속된 슬롯 n-1, n(302)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되며, 도 15를 참조하여 부록 1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공유 채널의 물리적 자원들뿐만 아니라 제어 채널들을 포함한다. 다음 섹션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요청 및 인프라스트럭처 장비로부터의 그랜트에 의해 업링크 채널의 공유 자원들에 UE들이 액세스되더라도, 본 기술의 실시예들은 업링크 공유 채널(PUSCH)의 자원들에 대한 그랜트 프리 액세스를 갖는 애플리케이션을 찾는다. 이와 같이, UE(270)에 의한 URLLC 메시지의 송신은 더 짧은 지연을 발생시키면서 더 빠르게 수행될 수 있다.
그랜트 프리 자원들을 사용한 업링크 통신에서의 또는 이와 관련된 개선
예를 들어, 인프라스트럭처 장비(272)의 제어기(272)와 같은 제어되는 NR 또는 5G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의 일 양태는 업링크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해 통신 자원들에 대한 그랜트 프리 액세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종래의 업링크 송신에서, 통신 디바이스의 매체 액세스 제어(medium access control)(MAC) 프로토콜 계층에 있는 버퍼에서 상위 프로토콜 계층으로부터 데이터가 도달될 때, 통신 디바이스는 이에 응답하여 스케줄링 요청(Scheduling Request)(SR)을 네트워크에 송신할 수 있다. SR은 MAC 계층 버퍼(들)의 데이터 양을 나타내는 버퍼 상태 보고서(buffer status report)(BSR)를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예를 들어, 인프라스트럭처 장비)는 SR 수신에 응답하여, 다운링크 제어 정보(downlink control information)(DCI)에 의해 운반되는 업링크 그랜트를 통신 디바이스로 전송할 수 있다. DCI는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PDCCH) 상에서 송신될 수 있다.
업링크 그랜트는 통신 디바이스가 그것의 업링크 데이터를 송신하도록 할당된(또는 다시 말해서, 스케줄링된) 업링크 통신 자원의 표시를 포함할 수 있다. 업링크 통신 자원들은 물리적 업링크 공유 채널(PUSCH) 상에 있을 수 있다. 이러한 타입의 자원 할당은 그랜트 기반 자원으로서 알려져 있다. 그랜트 기반 자원들은, 데이터 트래픽이 다소 예측 가능한 트래픽 패턴을 따르더라도, 데이터가 가변적인 양에 도달하거나 비주기적인 경우의 서비스들에 적절하다.
한편, 그랜트 프리 자원들은 업링크 송신을 위한 통신 디바이스의 사용을 위해 네트워크에 의해 반-정적으로 구성되는 주기적으로 반복되는 업링크 통신 자원들의 세트이다. 그랜트 프리 자원들 할당은 주기적인 데이터 트래픽을 생성하는 서비스들에 특히 적절하며, 생성된 양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대체로 일정하다.
그랜트 프리 자원들은 통신 자원들이 사용되는 효율성을 개선시킬 수 있는데, 왜냐하면 각각의 업링크 데이터 송신과 관련하여 SR 또는 업링크 그랜트가 송신될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도 4에 예시된 프레임/서브프레임/슬롯 구조에 기초하여 업링크 데이터를 통신하기 위한 그랜트 프리 자원들의 예시가 도 5에 도시되어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14개의 OFDM 심볼(303)을 포함하는 2개의 슬롯 n-1, n(302.1, 302.2)은 4 내지 11로 번호가 매겨진 OFDM 심볼로부터의 각각의 슬롯(360, 362)에 그랜트 프리 자원들의 섹션을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NR을 위해 제안된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의 업링크의 타이밍 구조를 고려하면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의해 다루어지는 기술적 문제의 설명이 이해될 수 있다. 도 5에 예시된 바와 같이, 그랜트 프리 자원들은 각각의 슬롯의 시간적 섹션의 업링크에서 제공된다. 그러나, 데이터 유닛들로의 전송 블록들의 생성 및 인코딩이 그랜트 프리 자원들의 타이밍과 매칭되지 않는 경우, 코딩 또는 송신 방식이 손상될 수도 있고, 또는 자원들이 비효율적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 송신을 위한 인코딩된 데이터 유닛들로 전송 블록들을 인코딩하는 타이밍에 대한 더 나은 이해는 도 6 및 도 7에서 제공되는 UE(270)의 송신기(296) 및 수신기(292)의 더 상세한 예로부터 이해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신을 위한 업링크 데이터는, 예를 들어, 매체 액세스 제어 계층에 의해 전송 블록들로 형성되고, 업링크 데이터 전송 블록(401)에 의한 송신을 위해 물리적 계층으로 전달된다. 그런 다음, 업링크 전송 블록들은 CRC 첨부 블록(402)으로 공급되며, CRC 첨부 블록(402)은 각각의 전송 데이터 블록에 대한 순환 중복 체크(cyclic redundancy check)(CRC)를, 오류 정정 인코더(404)에 나타내는 결합된 CRC 패리티 체크 비트들 및 데이터 비트들을 전달하기 전에 계산한다. 오류 정정 인코더는 그랜트 프리 자원들(360, 363) 상에서 송신을 위한 오류 정정 인코딩된 전송 블록들(440)을 형성하기 위해 전송 블록들의 CRC 및 데이터 비트들을 인코딩한다. 그런 다음, 오류 정정 인코딩된 전송 블록들은 인코딩된 데이터 유닛 형성기(408) 및 반복 블록(410)을 포함하는 레이트 매칭, 반복 및 하이브리드 자동 반복 요청(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HARQ) 블록(406)에 의해 수신된다. 레이트 매칭, 반복 및 HARQ 블록(406)은 제어기(412)에 의해 제어되어, 업링크 그랜트 프리 자원들 상에서 송신 블록(414)에 의한 송신을 위한 인코딩된 데이터 유닛들(442)을 생성한다.
그랜트 프리 자원들에서 UE(270)로부터 송신된 라디오 신호들을 검출하고 라디오 신호들에 의해 나타내어진 인코딩된 전송 블록을 디코딩하기 위한 인프라스트럭처 장비(272)의 수신기(282)의 개략적인 블록도가 도 7에 도시되어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검출 블록(501)은 UE(270)로부터 업링크 그랜트 프리 자원들(360, 363) 상에서 송신된 인코딩된 데이터 유닛들을 검출한다. 아래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각각의 인코딩된 전송 블록을 구성하는 인코딩된 데이터 유닛들은 동일한 인코딩된 데이터 유닛이 업링크 그랜트 프리 자원들에서 반복적으로 송신되는 HARQ 방식 및 반복 방식을 사용하여 송신될 수 있다. 따라서, 인코딩된 데이터 유닛들을 검출한 후, 인코딩된 전송 블록 재조립 엘리먼트(502)는 인코딩된 데이터 유닛들로부터 인코딩된 전송 블록들을 재조립하고, 인코딩된 전송 블록들을 오류 정정 디코더(504)에 공급한다. 재조립 블록(502)은 전송 블록들을 재조립하기 위해 인코딩된 데이터 유닛들의 반복된 수신들을 소프트-결합(soft-combining)에 의해 결합할 수 있으며, 여기서 소프트-결합은 수신된 반복들의 소프트 비트들에 대한 로그-우도 비율(log-likelihood ratio)(LLR)들의 추가를 포함할 수 있다. 오류 정정 디코더(504)는 인코딩된 전송 블록을 디코딩하고, 송신기에서 사용되는 오류 정정 인코딩 방식에 따라 데이터의 추정치를 생성한다. CRC 디코더(506)는 전송 블록의 업링크 데이터가 정확하게 수신되었는지 여부를 검출하기 위해 종래의 구성에 따라 CRC를 수행하여, 프로세싱 블록(508)으로 업링크 데이터를 출력한다.
위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인코딩된 전송 블록들(440)은 반복되는 송신과 결합된 HARQ 방식을 사용하여 그랜트 프리 업링크 자원들을 통해 송신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레이트 매칭, 반복 및 HARQ 블록(406)은 업링크의 그랜트 프리 자원들을 통해 인코딩된 전송 블록들(440)을 송신을 위한 인코딩된 데이터 유닛들(442)로 분할할 수 있다. 업링크 그랜트 프리 자원들의 용량을 매칭시키기 위해, 인코딩된 데이터 유닛들은 비트들을 펑처링(puncturing)함으로써 레이트 매칭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각각의 인코딩된 데이터 유닛(442)은 슬롯(360, 362)에서 OFDM 심볼들 중 하나 이상으로 송신된다. 또한, 각각의 인코딩된 데이터 유닛은 HARQ 프로세스에 따라 송신될 수 있으며, 여기서 HARQ 프로세스는 각각의 인코딩된 데이터 유닛(442)에 HARQ 식별자를 제공한다. 또한, 수신기(282)의 HARQ 제어기(510)가 송신기에 대한 HARQ 프로세스 매칭을 수행하기 위해, HARQ 식별자는 송신기(296)에서 각각의 데이터 유닛을 생성하는 시간이 아니라 슬롯 또는 서브프레임 번호에 매칭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레이트 매칭, 반복 및 HARQ 블록(406)은 업링크 데이터가 정확하게 수신될 가능성을 개선시킴으로써 통신되는 업링크 데이터의 무결성을 개선하기 위해 인코딩된 데이터 유닛 각각을 반복된 횟수로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3GPP 릴리스-16에서는 미니-슬롯 구조에 기초하여 반복된 송신을 수행하는 것이 제안되었다. 도 8은 인코딩된 데이터 유닛(442)이 각각의 미니-슬롯에서 4회 송신되는 예를 제공하며, 각각의 미니-슬롯은 슬롯(360, 362)의 8개의 OFDM 심볼이며, 이에 따라 슬롯들(360, 363) 각각은 미니-슬롯들(550, 552, 554, 556)을 형성하기 위해 절반으로 분할된다.
≪문제점 및 솔루션≫
위의 설명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예를 들어, PUSCH(3GPP 릴리스 15)에서 업링크 그랜트 프리 송신을 위해 이전에 제안된 구성들은 인코딩된 데이터 유닛들의 K회 반복 송신을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 각각의 인코딩된 데이터 유닛(442)은, 예를 들어, 슬롯(360, 362)일 수 있는 송신 오케이션에서 송신된다. 이러한 K회의 반복은 다수의 송신 오케이션들(transmission occasions)(TO)을 통해 송신되며, 다수의 TO는 각각의 인코딩된 데이터 유닛을 송신하기 위한 송신 기간을 형성한다. TO는 인프라스트럭처 장비(272)의 수신기(282)에 인코딩된 데이터 유닛의 버전을 암시적으로 나타내며, 이 버전은 중복 버전(Redundancy Version)으로서 지칭될 수 있고, 송신 기간은 HARQ 프로세스 식별자를 수신기(282)에 암시적으로 나타낸다. 송신이 수신기(282)에서 해석된 송신 기간의 시작부에서 시작되지 않은 경우, UE(270)의 송신기(296)는 K회의 반복을 송신할 수 없는데, 왜냐하면 송신이 송신 기간의 끝에 도달하여, K회의 반복이 송신되기 전에 HARQ 프로세스 식별자가 변경될 수 있기 때문이다. 예가 도 9에 도시되어 있으며, 여기서는 K=4회의 PUSCH 반복의 시작이 송신 기간(602)의 제3 TO(600)(슬롯 n-1(360)의 OFDM 심볼 4 및 5)에서 시작되어, 인코딩된 데이터 유닛의 K=4회의 반복을 허용해야 하는데, 송신 타이밍 때문에, 송신 기간이 604에서 종료되기 전에 2회의 반복만이 행해질 수 있다. 본질적으로, 이것은 그랜트 프리 자원들의 타이밍뿐만 아니라 인코딩된 데이터 유닛의 송신의 암시적인 타이밍이 업링크의 타이밍 구조와 관련하여 이루어지므로, 수신기가 송신 타이밍은 알 수 있지만, 이것이 송신을 위한 업링크 데이터의 생성 타이밍과 매칭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이다.
원하는 신뢰성 및 무결성의 통신을 제공하기 위해 미리 정의된 K회의 반복이 보장되어야 하는 경우, 송신은 송신 기간(602)의 제1 TO(606)부터 시작되어야 한다.
따라서, 인코딩된 데이터 유닛의 반복되는 송신의 시작 기회는 반복 횟수 K에 의존한다. 시작 기회의 빈도는 인코딩된 데이터 유닛(442) 및 이에 따라, 전송 블록(440)이 송신되는 레이턴시에 영향을 미친다. 적은 반복 횟수의 경우, 시작 기회의 빈도가 증가되어, 더 낮은 레이턴시를 제공하지만, 감소된 횟수의 반복은 통신 신뢰성을 감소시킬 것이다. 많은 반복 횟수의 경우, 통신 신뢰성은 증가되지만, 인코딩된 데이터 유닛을 송신하기 위한 시작 기회의 빈도가 감소되어, 송신의 레이턴시를 증가시킨다.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송신 기간의 중간에 시작하는 URLLC PUSCH는 송신 기간의 목표인 K회 반복을 완료하기에 충분한 송신 오케이션들을 갖지 못할 수 있다. 하나의 제안은 이 GF 자원 각각에서 송신 기간이 상이한 시간에 시작되는[4], 즉, 시간적으로 스태거되는 다수의 그랜트 프리 구성들을 갖는 것이다. 예를 들어, 도 10에는, 그랜트 프리 자원들의 2개의 구성(620, 622)이 도시되어 있으며, 구성 1(620)은 슬롯 n-1(624)의 시작부에서 그 송신 기간을 시작하는 반면, 구성 2(622)는 OFDM 심볼 #4(626)에서 시작되어, 이에 따라 시간적으로 스태거된다. 따라서, K=4인 URLLC PUSCH가 구성 1의 송신 기간의 중간에, 예를 들어, OFDM 심볼 #4(626)에 도달하는 경우, 구성 1(620)을 사용하여 2회의 반복만을 제공하는 대신, 4회의 반복을 위해 4개의 TO(600)를 제공할 수 있는 구성 2(622)를 사용할 수 있다.
본 기술의 실시예들은 그랜트 프리 자원들에 대한 액세스의 개선을 제공할 수 있다. 특히, 본 기술의 실시예들은 다음을 제공할 수 있다.
·URLLC에 대한 상이한 우선 순위 및/또는 상이한 요구 사항을 갖는 하나 초과의 데이터를 지원하기 위한 다수의 그랜트 프리 송신 구성
·다수의 구성들이 구성될 때, URLLC에 대한 상이한 우선 순위 및/또는 상이한 요구 사항을 갖는 하나 초과의 데이터 사이에 충돌이 있는 경우의 UE 거동
·상이한 구성들 사이에서 주파수 도메인에서 중첩되는 그랜트 프리 자원들이 있는 경우의 UE 거동
다수의 구성들
본 기술의 실시예들은 UE(296)가 업링크 데이터의 하나 이상의 전송 블록을 형성하기 위해 업링크의 그랜트 프리 자원들 상에서 송신을 위한 업링크 데이터를 프로세싱함으로써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 데이터를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구성을 제공할 수 있으며, 여기서 그랜트 프리 자원들은 시간 슬롯들(360, 362) 또는 미니-슬롯들(550, 552, 554, 556)과 같은 업링크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의 복수의 시분할된 유닛들 각각에서 통신 자원들을 제공한다. 방법은 그랜트 프리 자원들에서 업링크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복수의 구성들 중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 및 선택된 구성에 따라 그랜트 프리 자원들에서 하나 이상의 전송 블록을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복수의 구성 각각은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의 시분할된 유닛들에서 하나 이상의 전송 블록을 송신하기 위한 송신 기간, 시간적 시작 포지션 및 송신 기간을 포함하며, 송신 기간 및 송신 기간의 시작 포지션은 복수의 구성들 각각에 대해 독립적으로 설명되므로, 복수의 구성들 각각에 대해 상이할 수 있다.
위의 도 6 및 도 7에 예시된 예시적인 송신기(296) 및 수신기(282)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일부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송신을 위한 업링크 데이터를 프로세싱하는 단계는 업링크 데이터를 송신을 위한 업링크 전송 블록들로 형성하는 단계, 업링크 전송 블록들 각각을 인코딩된 전송 블록들로 인코딩하는 단계, 인코딩된 전송 블록들 각각으로부터 복수의 인코딩된 데이터 유닛들을 형성하는 단계 - 인코딩된 데이터 유닛들 각각은 업링크 그랜트 프리 자원들의 통신 자원들에서 송신 기간들 각각을 형성하는 복수의 송신 오케이션들(transmission occasions) 각각에서의 반복된 송신을 위해 형성됨 - 를 포함한다. 따라서, 복수의 구성들 각각은 각각의 구성에 대해 상이한 인코딩된 데이터 유닛들을 송신하기 위한 다수의 반복들을 포함하여, 각각의 구성에 대해 상이한 송신 기간을 제공한다.
따라서, 예시적인 실시예들은 상이한 품질의 서비스 요구 사항들, 및 따라서 URLLC에 대한 상이한 우선 순위들 및/또는 상이한 요구 사항들을 갖는 상이한 소스들로부터의 업링크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해 그랜트 프리 자원들을 사용하기 위해 UE 상의 복수의 구성들의 송신기 및 인프라스트럭처 장비의 수신기를 제공할 수 있다. URLLC에 대한 상이한 우선 순위 및/또는 상이한 요구 사항을 갖는 하나 초과의 데이터를 지원하기 위해, 그랜트 프리 송신을 위한 다수의 구성은 상이한 파라미터들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그랜트 프리 송신을 위한 각각의 구성을 위해 다음의 파라미터들이 독립적으로 구성된다.
·인코딩된 데이터 유닛들의 반복 횟수
o 인코딩된 데이터 유닛들(440)의 반복 횟수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랜트 프리 송신을 위한 상이한 구성들 사이에서 상이할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 1 및 구성 2에 대해 2개의 구성(640, 642)이 도시되어 있으며, 이는 또한 슬롯(362)에서 상이한 시작 시간들(644, 646)을 갖는다.
o 도 11에 도시된 예의 경우, 구성 1(640)은 상대적으로 높은 신뢰성을 갖는 데이터에 사용될 수 있고, 구성 2(642)는 상대적으로 낮은 레이턴시를 갖는 데이터에 사용될 수 있다.
·변조 및 코딩 방식(Modulation and coding scheme)(MCS)
o MCS는 그랜트 프리 송신들을 위한 구성들 사이에서 상이할 수 있다.
o 예를 들어, 상대적으로 높은 신뢰성을 갖는 데이터에는 낮은 MCS의 구성이 사용될 수 있고, 상대적으로 높은 비트 레이트(대용량)를 갖는 데이터에는 높은 MCS의 구성이 사용될 수 있다. 낮은 MCS는, 예를 들어, 적은 수의 성상 포인트(constellation point)들을 갖는 변조 방식일 수 있는 반면, 오류 정정 인코딩은 상대적으로 높은 양의 중복성을 제공하는 낮은 레이트를 가질 수 있다.
·GF 자원의 대역폭
o 그랜트 프리 자원들의 대역폭은 그랜트 프리 송신들의 상이한 구성들 사이에서 상이할 수 있다.
o 예를 들어, 상대적으로 높은 비트 레이트(대용량)를 갖는 데이터에는 대역폭이 큰 구성이 사용될 수 있고, 상대적으로 낮은 비트 레이트(소용량)를 갖는 데이터에는 대역폭이 좁은 구성이 사용될 수 있다.
o 예를 들어, 인프라스트럭처 장비와 UE 사이의 거리(경로 손실)에 따라 대역폭이 크거나 대역폭이 좁은 구성이 결정될 수 있다. 거리가 길 때, UE는 높은 업링크 전력으로 데이터를 송신한다. 그러나, 최대 업링크 전력은 규정에 의해 정의된다. 일부 예들에서, UE는 지정된 한계(전력 제한)를 넘어서 송신 전력을 증가시키는 것이 허용되지 않을 수 있다. UE가 그 전력 한계에 도달한 경우, 대역폭이 좁은 구성을 사용할 수 있다.
o 예를 들어, 전파 채널 조건에 기초하여 대역폭이 크거나 대역폭이 좁은 구성이 결정될 수 있다. 대역폭이 큰 구성은, 전파 채널 조건이 더 나쁠 때, 업링크 데이터에 대한 채널 코딩 레이트를 감소시키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대역폭이 좁은 구성은, 전파 채널 조건이 더 좋을 때, 업링크 데이터에 대한 채널 코딩 레이트를 증가시키는 데 사용될 수 있다.
·PUSCH DMRS 구성
o 각각의 구성은 상이한 복조 기준 시퀀스 밀도 및 패턴을 가질 수 있다.
o DMRS 심볼들의 위치는 상이한 구성들에 대해 상이할 수 있다.
o 이를 통해 상이한 구성들로부터의 그랜트 프리 자원들이 주파수적으로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중첩되고, PUSCH의 DMRS 구성에 의해 구별될 수 있다.
·인프라스트럭처 장비(gNB)에서의 수신과 연관된 송신 파라미터
o gNB와 연관된 송신 파라미터는 빔 패턴, 송신 전력 및/또는 타이밍 어드밴스일 수 있다.
■ 예를 들어, 송신 파라미터 A와 B는 각각 gNB A와 B로의 송신에 적절하다.
o gNB와 연관된 송신 파라미터는 그랜트 프리 송신들의 구성들 사이에서 상이할 수 있다.
o 예를 들어, 데이터가 gNB A로 송신될 때, 송신 파라미터 A가 있는 구성이 사용될 수 있고(송신 파라미터 A가 gNB A와 연관되어 있는 경우), 데이터가 gNB B로 송신될 때, 송신 파라미터 B가 있는 구성이 사용될 수 있다(송신 파라미터 B가 gNB B와 연관되어 있는 경우).
URLLC에 대한 상이한 우선 순위 및/또는 상이한 요구 사항에 대해 상이한 구성들을 사용하는 상이한 소스들로부터의 데이터의 우선 순위화
상기 설명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그랜트 프리 자원들에서 송신하기 위한 복수의 구성들에 의하면, 상이한 서비스들이 동일한 UE로부터 그랜트 프리 자원들에 대한 액세스를 요구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이한 소스들로부터 상이한 서비스들에 대해 송신될 데이터는 각각 상이한 구성을 가질 수 있고, 서비스들/소스들 각각으로부터의 데이터는 UE로부터 그랜트 프리 자원들에 액세스하기 위해 상이한 상대적 송신 우선 순위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UE는 상이한 소스들로부터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지만, 상이한 구성들에 따라 송신될 수 있는 데이터의 송신을 우선 순위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UE가 그랜트 프리 자원들을 사용하기 위한 두 가지 구성으로 구성되는 경우 - 각각의 구성은 인코딩된 데이터 유닛의 반복된 송신에 대해 상이한 시작 포지션(OFDM 심볼)을 가짐 -, 각각의 서비스 타입/소스의 상대적 우선 순위에 따라 하나가 다른 하나에 대해 우선 순위화될 수 있다. 더 높은 우선 순위를 갖는 업링크 데이터가 더 낮은 우선 순위를 갖는 상이한 업링크 데이터의 송신 동안 송신되어야 할 때, 더 높은 우선 순위를 갖는 업링크 데이터가 우선 순위화될 수 있다. 즉, 다수의 그랜트 프리 자원 구성들은 상이한 우선 순위와 연관되고, 그에 따라, 더 높은 우선 순위의 그랜트 프리 자원들이 동일한 UE 내에서 더 낮은 우선 순위의 그랜트 프리 자원들을 선점(pre-empt)할 수 있도록 그랜트 프리 자원들을 통한 송신에 우선 순위가 부여된다. 다음은 상이한 우선 순위를 갖는 상이한 구성들에 대해 그랜트 프리 자원들에 대한 액세스를 우선 순위화하기 위한 예들이다.
·낮은 우선 순위를 갖는 업링크 데이터 중지:
o 하나 초과의 업링크 데이터 송신으로 인해 그랜트 프리 자원들에서 상이한 소스로부터의 업링크 데이터 송신과 충돌이 발생하는 경우, 더 낮은 우선 순위를 갖는 업링크 데이터 대신 더 높은 우선 순위를 갖는 업링크 데이터가 송신된다. 즉, 더 낮은 우선 순위를 갖는 업링크 데이터가 중지되고, 더 높은 우선 순위를 갖는 업링크 데이터가 그랜트 프리 자원들 상에서 송신된다.
o 예를 들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소스로부터의 업링크 데이터는 제1 구성 1(660)로 구성되는 반면, 상이한 소스로부터의 업링크 데이터는 상이한 구성 2(662)로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이 예에서, 제2 구성 2(662)는 제1 구성 1(660)보다 높은 우선 순위를 갖는 데이터를 운반한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및 제4 반복(664, 666)에 대한 인코딩된 데이터 유닛(즉, 슬롯 n의 심볼 12 및 13, 슬롯 n+1의 심볼 0 및 1)은 송신되지 않는다. 대신, 구성 2(662)를 갖는 제2 소스로부터의 업링크 데이터가 더 높은 우선 순위를 갖기 때문에 포지션(668)에서 시작한다.
o UE가 더 낮은 우선 순위를 갖는 업링크 데이터의 송신을 중지해야 한다고 결정하는 경우, UE는 우선 순위화된 송신을 인프라스트럭처 장비(gNB)에 알릴 수 있다. 표시는 구성 1(660)의 그랜트 프리 자원들 상에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UE는 어떤 그랜트 프리 자원들이 사용되는지를 나타낼 수 있다.
·낮은 우선 순위를 갖는 업링크 데이터 연기:
o 도 12에 예시된 예의 경우, 제1 구성 1(660)에 따라 제1 소스로부터 업링크 그랜트 프리 자원들에서 송신된 업링크 데이터의 충돌은 더 높은 우선 순위를 갖는 구성 2(662)를 사용하는 제2 소스로부터의 업링크 데이터의 송신과 충돌할 것이다. 위의 예에서는, 구성 1(660)을 사용하는 더 낮은 우선 순위의 송신이 중지된다. 그러나, 상이한 예에 따르면, 제1 구성 1(660)을 갖는 제1 소스로부터의 업링크 데이터의 송신은 구성 2(662)에 따른 더 높은 우선 순위를 갖는 업링크 데이터의 송신이 포인트(670)에서 종료될 때까지 연기될 수 있다. 즉, 높은 우선 순위를 갖는 업링크 데이터의 송신이 완료된 후, 낮은 우선 순위를 갖는 업링크 데이터의 송신이 재개된다.
o 예를 들어,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구성 1(660)의 업링크 데이터 송신의 반복 3 및 4(즉, 슬롯 n의 심볼 12 및 13, 슬롯 n+1의 심볼 0 및 1)에서, 더 낮은 우선 순위를 갖는 업링크 데이터는 그랜트 프리 자원들에서 송신되지 않고, 더 높은 우선 순위를 갖는 업링크 데이터는 포인트(668)로부터 송신되는 제2 구성 2(662)의 그랜트 프리 자원들에서 송신된다. 그러나, 중지된 송신은, 더 높은 우선 순위 구성 2(662)를 사용하는 제2 소스로부터의 송신이 완료된 때, 포인트(670) 이후에서, 제1 구성(660)을 사용하는 제1 소스로부터의 반복 3 및 4(즉, 슬롯 n+1의 심볼 6 내지 9)에서 재개된다.
o UE(270)가 제1 구성 1(660)을 갖는 제1 소스로부터의 송신이 포인트(668)에서 중지되었다고 결정하는 경우, 인프라스트럭처 장비(272)(gNB)에 더 높은 우선 순위의 구성 2(662)를 갖는 제2 소스로부터의 업링크 데이터의 우선 순위화된 송신을 알릴 수 있다. UE(270)는 구성 1의 그랜트 프리 자원들 상에서 표시를 송신함으로써 인프라스트럭처 장비(272)에 알릴 수 있다. 또한, UE는 어떤 그랜트 프리 자원들이 사용될 것인지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UE(270)는 제1 구성 1(660)의 그랜트 프리 자원들에서 중지된 송신이 재개되는지 또는 제2 구성 2(662)에 따른 그랜트 프리 자원들에서 새로운 송신이 수행되는지 여부를 인프라스트럭처 장비에 알릴 수 있다.
·더 높은 우선 순위의 업링크 데이터를 더 낮은 우선 순위의 업링크 데이터와 멀티플렉싱
o 제1 구성 1(660)에 따른 소스로부터 업링크 그랜트 프리 자원들에서 송신된 업링크 데이터의 충돌이 더 높은 우선 순위를 갖는 구성 2(662)를 사용하는 상이한 소스로부터의 업링크 데이터의 송신과 충돌하는 위의 예들에 대한 대안으로서, 상이한 소스로부터의 업링크 데이터는 동일한 그랜트 프리 자원들에서 멀티플렉싱될 수 있다.
o 예를 들어,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코딩된 데이터 유닛을 반복 3 및 4(684, 686)(즉, 슬롯 n의 심볼 12 및 13, 슬롯 n+1의 심볼 0 및 1)로서 송신할 때, 더 높은 우선 순위를 갖는 제2 구성 2(662)에 따른 송신을 위해 구성되는 업링크 데이터보다 더 낮은 우선 순위를 갖는 제1 구성 1(660)에 따른 송신을 위해 구성되는 업링크 데이터는 제1 구성 1(660)의 그랜트 프리 자원들에서 멀티플렉싱되어 송신된다. 즉, 구성 1(660)로 구성되는 제1 소스의 업링크 데이터의 나머지 반복 3 및 4는, 예를 들어, 주파수 멀티플렉싱에 의해 제2 구성 2(662)의 더 높은 우선 순위 데이터를 갖는 송신과 멀티플렉싱된다.
o UE(270)가 멀티플렉싱을 사용하여 더 낮은 우선 순위의 업링크 데이터를 송신할 것이라고 결정하는 경우, UE(270)는 인프라스트럭처 장비(272)(gNB)에 멀티플렉싱을 알릴 수 있다. 표시는 더 낮은 우선 순위를 갖는 제1 구성 1(660)에 따라 그랜트 프리 자원들 상에서 송신될 수 있다(체크).
상이한 구성들 사이에서 주파수 도메인에서 중첩된 그랜트 프리 자원들이 있는 경우의 UE 거동
위의 실시예들에서, 업링크 데이터는 그랜트 프리 자원들 상에서 상이한 구성들을 사용하여 상이한 소스들로부터 송신된다. 멀티플렉싱은 하나의 예에서 데이터를 상이한 주파수 자원들에 매핑함으로써 상이한 구성들을 갖는 상이한 소스들로부터의 데이터를 매핑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그러나, 다른 예들에서, 데이터는 도 15에 예시된 예시적인 실시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일한 주파수 자원들 상에서 중첩될 수 있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업링크 데이터는 제1 구성 1(660)(반복 번호 1 내지 4가 밑줄로 표시됨)에 따라 그랜트 프리 자원들에서 송신되거나 또는 업링크 데이터는 제2 구성 2(662)(반복 번호 1 내지 4가 기울임체로 표시됨)에 따라, 예를 들어, 업링크 데이터 생성 타이밍에 따라 송신된다. 또한, UE는 어떤 구성된 그랜트 프리 자원들이 사용되는지를 gNB에 명시적으로 또는 암시적으로 나타낼 수 있다.
o 어떤 구성이 업링크 데이터와 함께 사용되는지를 나타내는 제어 정보를 멀티플렉싱함으로써 표시가 명시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o 구성들 상이에서 업링크 데이터(즉, PUSCH)에 대해 다음과 같은 파라미터를 구분함으로써 표시가 암시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 업링크 데이터의 시퀀스를 스크램블링
■ 업링크 데이터에 대한 DMRS; DMRS 시퀀스, DMRS 매핑 패턴
■ 업링크 데이터의 안테나 포트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명세서에서 정의된 이러한 인프라스트럭처 장비 및/또는 통신 디바이스들이 이전 단락들에서 논의된 다양한 구성들 및 실시예들에 따라 추가로 정의될 수 있다는 것이 추가로 이해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정의되고 설명된 이러한 인프라스트럭처 장비 및 통신 디바이스들은 본 발명에 의해 정의된 것들 이외의 통신 시스템들의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는 것이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추가로 이해될 것이다.
다음의 번호가 매겨진 단락들은 본 기술의 추가 예시적인 양태들 및 피처들을 제공한다.
단락 1.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해 통신 디바이스를 동작시키는 방법으로서,
송신을 위한 업링크 데이터의 하나 이상의 전송 블록을 형성하기 위해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 의해 제공되는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의 물리적 업링크 공유 채널의 그랜트 프리 자원들(grant free resources) 상에서 송신을 위한 업링크 데이터를 프로세싱하는 단계 - 그랜트 프리 자원들은 업링크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해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의 복수의 시분할된 유닛들 각각에서 통신 자원들을 제공함 -,
그랜트 프리 자원들에서 업링크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해 복수의 구성들 중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 및
선택된 구성에 따라 그랜트 프리 자원들에서 업링크 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 - 복수의 구성들 각각은 그랜트 프리 자원들, 인코딩된 데이터 유닛들 각각이 그랜트 프리 자원들에서 송신되는 송신 기간, 및 그랜트 프리 자원들에서 업링크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의 시분할된 유닛들 중 하나에서의 송신 기간의 시간적 시작 포지션을 포함하고, 시간적 시작 포지션 및 송신 기간은 복수의 구성들 각각에 대해 독립적임 -
를 포함하는 방법.
단락 2. 단락 1에 있어서, 송신을 위한 업링크 데이터를 프로세싱하는 단계는,
업링크 데이터를 송신을 위한 업링크 전송 블록들로 형성하는 단계,
업링크 전송 블록들 각각을 인코딩된 전송 블록들로 인코딩하는 단계,
인코딩된 전송 블록들 각각으로부터 복수의 인코딩된 데이터 유닛들을 형성하는 단계 - 인코딩된 데이터 유닛들 각각은 그랜트 프리 자원들의 통신 자원들에서 송신 기간들 각각을 형성하는 복수의 송신 오케이션들(transmission occasions) 각각에서의 반복된 송신을 위해 형성되고, 각각의 구성은 물리적 공유 업링크 채널의 그랜트 프리 자원들에서 인코딩된 데이터 유닛들을 송신하기 위한 독립적인 반복 횟수를 포함하여, 각각의 구성에 대해 독립적인 송신 기간을 제공함 -
를 포함하는 방법.
단락 3. 단락 1 또는 단락 2에 있어서, 복수의 구성들 각각은 변조 방식, 오류 정정 인코딩 레이트, 그랜트 프리 자원들의 송신 대역폭, 복조 기준 신호들의 패턴, 송신을 위한 빔 패턴, 송신 전력 및 타이밍 어드밴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독립적인 통신 파라미터들을 포함하고, 전송 블록들 각각을 인코딩하는 단계, 업링크 데이터를 형성하는 단계 및 업링크 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 중 적어도 하나는 독립적으로 설정된 통신 파라미터들에 따르는 방법.
단락 4. 단락 1 내지 단락 3 중 어느 한 단락에 있어서,
복수의 구성들 중 제1 구성에 따라 그랜트 프리 자원들 상에서 송신을 위한 제1 업링크 데이터를 프로세싱하는 단계,
복수의 구성들 중 제2 구성에 따라 그랜트 프리 자원들 상에서 송신을 위한 제2 업링크 데이터를 프로세싱하는 단계,
선택된 제1 구성에 따라 그랜트 프리 자원들에서 제1 업링크 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
제2 업링크 데이터가 제1 업링크 데이터보다 높은 상대적 송신 우선 순위를 갖는다고 결정하는 단계, 및
제1 업링크 데이터와 제2 업링크 데이터 사이의 상대적 우선 순위에 따라 제1 업링크 데이터의 송신보다 우선하여 제2 구성에 따라 제2 업링크 데이터의 송신을 스케줄링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단락 5. 단락 4에 있어서, 제2 구성에 따라 제2 업링크 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제2 업링크 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는,
제1 업링크 데이터의 전송 블록들 중 하나 이상의 것의 송신이 제2 업링크 데이터의 전송 블록들 중 하나 이상과 동시에 그랜트 프리 업링크 통신 자원들의 동일한 통신 자원들을 필요로 할 것이라고 결정하는 단계, 및
제1 업링크 데이터의 하나 이상의 전송 블록 대신에 제1 업링크 데이터의 하나 이상의 전송 블록이 송신되었을 것과 동일한 통신 자원들 상에서 제1 업링크 데이터보다 높은 우선 순위를 갖는 제2 업링크 데이터의 하나 이상의 전송 블록을 제2 구성으로써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단락 6. 단락 5에 있어서, 제1 업링크 데이터의 전송 블록들 중 하나 이상을 송신하는 단계는, 더 높은 우선 순위를 갖는 제2 업링크 데이터의 송신과 충돌하지 않도록 제1 업링크 데이터의 전송 블록들 중 하나 이상의 것의 송신을 적응시킴으로써, 제2 업링크 데이터의 전송 블록들 중 하나 이상의 것의 송신과 충돌하는 동일한 통신 자원들 상에서 있었을 제2 업링크 데이터보다 낮은 우선 순위를 갖는 제1 업링크 데이터의 하나 이상의 전송 블록을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단락 7. 단락 6에 있어서, 송신을 적응시키는 것은 제2 업링크 데이터의 전송 블록들 중 하나 이상과 충돌하는 동일한 통신 자원들 상에서 송신되었을 제2 업링크 데이터보다 낮은 우선 순위를 갖는 제1 업링크 데이터의 전송 블록들 중 하나 이상의 것의 송신을 중지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단락 8. 단락 6에 있어서, 송신을 적응시키는 것은, 그랜트 프리 업링크 통신 자원들 상에서 제2 업링크 데이터의 송신이 완료된 후까지, 제2 업링크 데이터의 전송 블록들 중 하나 이상과 충돌하는 동일한 통신 자원들 상에서 송신되었을 제2 업링크 데이터보다 낮은 우선 순위를 갖는 제1 업링크 데이터의 전송 블록들 중 하나 이상의 것의 송신을 연기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단락 9. 단락 6에 있어서, 송신을 적응시키는 것은, 제2 업링크 데이터의 전송 블록들 중 하나 이상과 충돌하는 동일한 통신 자원들 상에서 송신되었을 제2 업링크 데이터보다 낮은 우선 순위를 갖는 제1 업링크 데이터의 전송 블록들 중 하나 이상의 것의 송신을 멀티플렉싱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단락 10. 단락 4 내지 단락 9 중 어느 한 단락에 있어서, 제1 구성 및 제2 구성의 그랜트 프리 자원들은 주파수 도메인에서 중첩되는 방법.
단락 11. 단락 4 내지 단락 9 중 어느 한 단락에 있어서, 제1 업링크 데이터의 송신을 적응시키는 것에 대해 제1 업링크 데이터의 수신기에 표시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단락 12.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 데이터를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통신 디바이스로서,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 의해 제공되는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를 통해 신호들을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송신기 회로망, 및
제어기 회로망
을 포함하고,
제어기 회로망은 송신기 회로망과 결합하여,
송신을 위한 업링크 데이터의 하나 이상의 전송 블록을 형성하기 위해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 의해 제공되는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의 물리적 업링크 공유 채널의 그랜트 프리 자원들 상에서 송신을 위한 업링크 데이터를 프로세싱하고 - 그랜트 프리 자원들은 업링크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해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의 복수의 시분할된 유닛들 각각에서 통신 자원들을 제공함 -,
그랜트 프리 자원들에서 업링크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해 복수의 구성들 중 하나를 선택하고,
선택된 구성에 따라 그랜트 프리 자원들에서 업링크 데이터를 송신하도록 - 복수의 구성들 각각은 그랜트 프리 자원들, 인코딩된 데이터 유닛들 각각이 그랜트 프리 자원들에서 송신되는 송신 기간, 및 그랜트 프리 자원들에서 업링크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의 시분할된 유닛들 중 하나에서의 송신 기간의 시간적 시작 포지션을 포함하고, 시간적 시작 포지션 및 송신 기간은 복수의 구성들 각각에 대해 독립적임 -
구성되는 통신 디바이스.
단락 13. 단락 12에 있어서, 제어기 회로망은 송신기 회로망과 함께,
업링크 데이터를 송신을 위한 업링크 전송 블록들로 형성하고,
업링크 전송 블록들 각각을 인코딩된 전송 블록들로 인코딩하고,
인코딩된 전송 블록들 각각으로부터 복수의 인코딩된 데이터 유닛들을 형성하도록 - 인코딩된 데이터 유닛들 각각은 그랜트 프리 자원들의 통신 자원들에서 송신 기간들 각각을 형성하는 복수의 송신 오케이션들 각각에서의 반복된 송신을 위해 형성되고, 각각의 구성은 물리적 공유 업링크 채널의 그랜트 프리 자원들에서 인코딩된 데이터 유닛들을 송신하기 위한 독립적인 반복 횟수를 포함하여, 각각의 구성에 대해 독립적인 송신 기간을 제공함 -
구성되는 통신 디바이스.
단락 14. 단락 12 또는 단락 13에 있어서, 복수의 구성들 각각은 변조 방식, 오류 정정 인코딩 레이트, 그랜트 프리 자원들의 송신 대역폭, 복조 기준 신호들의 패턴, 송신을 위한 빔 패턴, 송신 전력 및 타이밍 어드밴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독립적인 통신 파라미터들을 포함하고, 전송 블록들 각각을 인코딩하는 것, 업링크 데이터를 형성하는 것 및 업링크 데이터를 송신하는 것 중 적어도 하나는 독립적으로 설정된 통신 파라미터들에 따르는 통신 디바이스.
단락 15. 단락 12 내지 단락 14 중 어느 한 단락에 있어서, 제어기 회로망은 송신기 회로망과 함께,
복수의 구성들 중 제1 구성에 따라 그랜트 프리 자원들 상에서 송신을 위한 제1 업링크 데이터를 프로세싱하고,
복수의 구성들 중 제2 구성에 따라 그랜트 프리 자원들 상에서 송신을 위한 제2 업링크 데이터를 프로세싱하고,
선택된 제1 구성에 따라 그랜트 프리 자원들에서 제1 업링크 데이터를 송신하고,
제2 업링크 데이터가 제1 업링크 데이터보다 높은 상대적 송신 우선 순위를 갖는다고 결정하고,
제1 업링크 데이터와 제2 업링크 데이터 사이의 상대적 우선 순위에 따라 제1 업링크 데이터의 송신보다 우선하여 제2 구성에 따라 제2 업링크 데이터의 송신을 스케줄링하도록
구성되는 통신 디바이스.
단락 16. 단락 15에 있어서, 제어기 회로망은 송신기 회로망과 함께,
제1 업링크 데이터의 전송 블록들 중 하나 이상의 것의 송신이 제2 업링크 데이터의 전송 블록들 중 하나 이상과 동시에 그랜트 프리 업링크 통신 자원들의 동일한 통신 자원들을 필요로 할 것이라고 결정하고,
제1 업링크 데이터의 하나 이상의 전송 블록 대신에 제1 업링크 데이터의 하나 이상의 전송 블록이 송신되었을 것과 동일한 통신 자원들 상에서 제1 업링크 데이터보다 높은 우선 순위를 갖는 제2 업링크 데이터의 하나 이상의 전송 블록을 제2 구성으로써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통신 디바이스.
단락 17. 단락 16에 있어서, 제어기 회로망은 송신기 회로망과 함께,
더 높은 우선 순위를 갖는 제2 업링크 데이터의 송신과 충돌하지 않도록 제1 업링크 데이터의 전송 블록들 중 하나 이상의 것의 송신을 적응시킴으로써, 제2 업링크 데이터의 전송 블록들 중 하나 이상의 것의 송신과 충돌하는 동일한 통신 자원들 상에서 있었을 제2 업링크 데이터보다 낮은 우선 순위를 갖는 제1 업링크 데이터의 하나 이상의 전송 블록을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통신 디바이스.
단락 18.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 데이터를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회로망으로서,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 의해 제공되는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를 통해 신호들을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송신기 회로망, 및
제어기 회로망
을 포함하고,
제어기 회로망은 송신기 회로망과 결합하여,
송신을 위한 업링크 데이터의 하나 이상의 전송 블록을 형성하기 위해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 의해 제공되는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의 물리적 업링크 공유 채널의 그랜트 프리 자원들 상에서 송신을 위한 업링크 데이터를 프로세싱하고 - 그랜트 프리 자원들은 업링크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해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의 복수의 시분할된 유닛들 각각에서 통신 자원들을 제공함 -,
그랜트 프리 자원들에서 업링크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해 복수의 구성들 중 하나를 선택하고,
선택된 구성에 따라 그랜트 프리 자원들에서 업링크 데이터를 송신하도록 - 복수의 구성들 각각은 그랜트 프리 자원들, 인코딩된 데이터 유닛들 각각이 그랜트 프리 자원들에서 송신되는 송신 기간, 및 그랜트 프리 자원들에서 업링크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의 시분할된 유닛들 중 하나에서의 송신 기간의 시간적 시작 포지션을 포함하고, 시간적 시작 포지션 및 송신 기간은 복수의 구성들 각각에 대해 독립적임 -
구성되는 회로망.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이 소프트웨어에 의해 제어되는 데이터 프로세싱 장치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구현되는 것으로 설명되는 한, 광 디스크, 자기 디스크, 반도체 메모리 등과 같이 이러한 소프트웨어를 운반하는 비-일시적 머신 판독 가능 매체도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으로 고려된다.
명확성을 위해 상기 설명은 상이한 기능 유닛들, 회로망 및/또는 프로세서들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설명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상이한 기능 유닛들, 회로망 및/또는 프로세서들 사이의 임의의 적절한 기능 분배가 실시예들을 손상시키지 않고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이 명백할 것이다.
설명된 실시예들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펌웨어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하는 임의의 적절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설명된 실시예들은 하나 이상의 데이터 프로세서 및/또는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 상에서 실행되는 컴퓨터 소프트웨어로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임의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임의의 실시예의 엘리먼트들 및 컴포넌트들은 임의의 적절한 방식으로 물리적으로, 기능적으로 및 논리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실제로, 기능은 단일 유닛으로, 복수의 유닛들로 또는 다른 기능 유닛들의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개시된 실시예들은 단일 유닛으로 구현될 수도 있고, 상이한 유닛들, 회로망 및/또는 프로세서들 사이에서 물리적으로 및 기능적으로 분산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은 일부 실시예들과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본 명세서에 설명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추가적으로, 피처가 특정 실시예들과 관련하여 설명되는 것처럼 보일 수 있지만,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설명된 실시예들의 다양한 피처들이 기술을 구현하기에 적절한 임의의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할 것이다.
참고 문헌들
[1] Holma H. and Toskala A, "LTE for UMTS OFDMA and SC-FDMA based radio access", John Wiley and Sons, 2009.
[2] RP-172834, "Work Item on New Radio (NR) Access Technology," NTT DOCOMO, RAN#78
[3] RP-181477, "New SID on Physical Payer Enhancements for NR UREEC," Huawei, HiSilicon, Nokia, Nokia Shanghai Bell, RAN#80.
[4] R1-1809979, Summary of 7.2.6.3 Enhanced UL grant-free transmissions, NTT DOCOMO, RANl#94.
부록 1
LTE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
본 기술의 실시예들은 특정 무선 통신 표준에 제한되지 않고, 송신기 및 수신기가 피드백의 일부 표시가 ARQ 타입 프로토콜의 일부로서 제공되는 데이터를 유닛들, 전송 블록들 또는 패킷들로 통신하도록 구성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일반적인 애플리케이션을 찾는다. 그러나, 다음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은 3GPP 정의된 LTE 아키텍처를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LTE에 익숙한 사람들은 LTE 표준에 따라 구성되는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가 라디오 다운링크에 대해서는 직교 주파수 분할 변조(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odulation)(OFDM) 기반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소위 말하는 OFDMA), 라디오 업링크에 대해서는 단일 캐리어 주파수 분할 다중 액세스 방식(single 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scheme)(SC-FDMA)을 사용하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LTE 표준에 따른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의 다운링크 및 업링크는 도 16 및 도 17에 제시되어 있다.
도 16은, 통신 시스템이 LTE 표준에 따라 동작할 때, 도 1의 eNB에 의해 제공되거나 이와 연관되어 제공될 수 있는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의 다운링크 구조의 단순화된 개략도를 제공한다. LTE 시스템들에서, eNB에서 UE로의 다운링크의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는 직교 주파수 분할 멀티플렉싱(OFDM) 액세스 라디오 인터페이스에 기초한다. OFDM 인터페이스에서, 가용 대역폭의 자원들은 주파수적으로 복수의 직교 서브캐리어들로 분할되고, 데이터는 복수의 직교 서브캐리어들 상에서 병렬로 송신되며, 1.4MHZ 내지 20MHz의 대역폭 사이의 대역폭들은 직교 서브캐리어들로 분할될 수 있다. 이러한 모든 서브캐리어들이 데이터를 송신하는 데 사용되는 것은 아니지만(일부는, 예를 들어, 수신기에서 채널 추정에 사용되는 기준 정보를 전달하는 데 사용됨), 대역의 에지에 있는 일부는 전혀 사용되지 않는다. LTE의 경우, 서브캐리어들의 수는 72개의 서브캐리어(1.4MHz)와 1200개의 서브캐리어(20MHz) 사이에서 변화하지만, NR 또는 5G와 같은 다른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들의 경우, 서브캐리어들의 수와 대역폭이 상이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일부 예들에서, 서브캐리어들은 2n에 기초하여, 예를 들어, 128개 내지 2048개로 그룹화되어, 송신기 및 수신기가 모두 주파수 도메인으로부터 시간 도메인으로 및 시간 도메인으로부터 주파수 도메인으로 각각 서브캐리어들을 변환하기 위해 역방향 및 순방향 고속 푸리에 변환을 사용할 수 있다. 각각의 서브캐리어 대역폭은 임의의 값을 취할 수 있지만, LTE에서는, 15kHz로 고정된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의 자원들은 또한 프레임들로 시간적으로 분할되며, 여기서 프레임(200)은 10ms 동안 지속되고, 각각 1ms의 지속 시간을 갖는 10개의 서브프레임(1201)으로 세분된다. 각각의 서브프레임(201)은 14개의 OFDM 심볼로 형성되고, 2개의 슬롯(1220, 1222)으로 분할되며, 이들 각각은 심볼 간 간섭의 감소를 위해 OFDM 심볼들 내에서 일반 또는 확장된 순환 프리픽스가 사용되고 있는지 여부에 따라 6개 또는 7개의 OFDM 심볼을 포함한다. 슬롯 내의 자원들은 각각 하나의 슬롯 지속 기간 동안 12개의 서브캐리어를 포함하는 자원 블록들(1203)로 분할될 수 있으며, 자원 블록들은 하나의 OFDM 심볼에 대해 하나의 서브캐리어에 걸쳐있는 자원 엘리먼트들(1204)로 추가로 분할되며, 여기서 각각의 직사각형(1204)은 자원 엘리먼트를 나타낸다. 호스트 시스템 대역폭에 걸쳐 서브프레임 및 주파수 내에서 시간적으로 분산된 자원 엘리먼트들은 호스트 시스템의 통신 자원들을 나타낸다.
도 14에 제시된 LTE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의 다운링크의 단순화된 구조는 또한 제어 데이터의 송신을 위한 제어 영역(1205), 사용자 데이터의 송신을 위한 데이터 영역(1206), 및 미리 결정된 패턴에 따라 제어 및 데이터 영역들에 배치되는 기준 신호들(207)을 포함하는 각각의 서브프레임(1201)의 예시를 포함한다. 제어 영역(1205)은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PDCCH), 물리적 제어 포맷 표시자 채널(physical control format indicator channel)(PCFICH) 및 물리적 HARQ 표시자 채널(physical HARQ indicator channel)(PHICH)과 같은 제어 데이터의 송신을 위한 다수의 물리적 채널들을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영역은 물리적 다운링크 공유 채널(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PDSCH), 향상된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enhanced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ePDCCH) 및 물리적 브로드캐스트 채널(physical broadcast channel)(PBCH)과 같은 데이터 또는 제어의 송신을 위한 다수의 물리적 채널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물리적 채널들은 LTE 시스템들에 광범위한 기능을 제공하지만, 자원 할당 및 본 개시내용과 관련하여, PDCCH 및 PDSCH가 가장 관련된다. 또한, LTE 시스템의 물리적 채널들의 구조와 기능에 대한 추가 정보는 [1]에서 찾을 수 있다.
PDSCH 내의 자원들은 eNodeB에 의해 서빙되는 UE에 eNodeB에 의해 할당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전에 요청한 데이터 또는 라디오 자원 제어(radio resource control)(RRC) 시그널링과 같이 eNodeB에 의해 푸시되는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도록 PDSCH의 다수의 자원 블록들이 UE에 할당될 수 있다. 도 14에서, UE1은 데이터 영역(1206)의 자원들(1208), UE2는 자원들(1209), UE3은 자원들(1210)을 할당받았다. LTE 시스템의 UE들은 PDSCH에 대해 가용 자원들의 일부를 할당받을 수 있으므로, PDSCH 내의 관련된 데이터만이 검출 및 추정되도록 UE들에 PDCSH 내의 그들의 할당된 자원들의 위치를 알릴 필요가 있다. 할당된 통신 자원 엘리먼트들의 위치를 UE들에게 알리기 위해, 다운링크 자원 할당들을 지정하는 자원 제어 정보가 다운링크 제어 정보(DCI)라는 형식으로 PDCCH를 통해 통신되며, 여기서 PDSCH에 대한 자원 할당들은 동일한 서브프레임의 이전의 PDCCH 인스턴스에서 송신된다.
도 17은 도 1의 eNodeB에 의해 제공되거나 이와 연관되어 제공될 수 있는 LTE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의 업링크 구조의 단순화된 개략도를 제공한다. LTE 네트워크들에서, 업링크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는 단일 캐리어 주파수 분할 멀티플렉싱 FDM(single 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FDM)(SC-FDM) 인터페이스에 기초하고, 다운링크 및 업링크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들은 주파수 분할 듀플렉싱(frequency division duplexing)(FDD) 또는 시분할 듀플렉싱(time division duplexing)(TDD)에 의해 제공될 수 있으며, TDD 구현들에서, 서브프레임들은 미리 정의된 패턴들에 따라 업링크 서브프레임과 다운링크 서브프레임 사이에서 스위칭된다. 그러나, 사용되는 듀플렉싱의 형태에 관계없이, 일반적인 업링크 프레임 구조가 사용된다. 도 3의 단순화된 구조는 FDD 구현에서의 이러한 업링크 프레임을 예시한다. 프레임(300)은 1ms 지속 기간의 10개의 서브프레임(301)으로 분할되며, 각각의 서브프레임(301)은 0.5ms 지속 기간의 2개의 슬롯(302)을 포함한다. 그 후, 각각의 슬롯(302)은 7개의 OFDM 심볼(303)로 형성되며, 여기서 순환 프리픽스(304)는 다운링크 서브프레임들에서의 것과 동일한 방식으로 각각의 심볼 사이에 삽입된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LTE 업링크 서브프레임은 복수의 상이한 채널들, 예를 들어, 물리적 업링크 통신 채널(PUSCH)(305),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PUCCH)(306) 및 물리적 랜덤 액세스 채널(physical random access channel)(PRACH)을 포함할 수 있다.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PUCCH)은, 예를 들어, 다운링크 송신들에 대한 eNodeB에 대한 ACK/NACK, UE들이 스케줄링된 업링크 자원들이기를 원하는 스케줄링 요청 표시자들(scheduling request indicators)(SRI), 및 다운링크 채널 상태 정보(channel state information)(CSI)의 피드백과 같은 제어 정보를 운반할 수 있다. PUSCH는 UE 업링크 데이터 또는 일부 업링크 제어 데이터를 운반할 수 있다. PUSCH의 자원들은 PDCCH를 통해 그랜트되며, 이러한 그랜트는 통상적으로 UE의 버퍼에서 송신될 준비가 된 데이터 양을 네트워크에 통신함으로써 트리거된다. PRACH는 시스템 정보 블록들과 같은 다운링크 시그널링에서 UE로 시그널링될 수 있는 복수의 PRACH 패턴들 중 하나에 따라 업링크 프레임의 자원들 중 임의의 것에서 스케줄링될 수 있다. 물리적 업링크 채널들뿐만 아니라, 업링크 서브프레임들도 기준 신호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조 기준 신호들(demodulation reference signals)(DMRS)(307) 및 사운딩 기준 신호들(sounding reference signals)(SRS)(308)이 업링크 서브프레임에 존재할 수 있으며, 여기서 DMRS는 PUSCH가 송신되는 슬롯의 제4 심볼을 점유하고, PUCCH 및 PUSCH 데이터의 디코딩에 사용되며, SRS는 eNodeB에서 업링크 채널 추정에 사용된다. ePDCCH 채널은 PDCCH와 유사한 제어 정보(DCI)를 전달하지만, PDCCH의 물리적 양태들은 본 명세서의 다른 곳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ePDCCH의 것들과 상이하다. LTE 시스템들의 물리적 채널들의 구조와 기능에 대한 추가 정보는 [1]에서 찾을 수 있다.
PDSCH의 자원들과 유사한 방식으로, PUSCH의 자원들은 서빙 eNodeB에 의해 스케줄링되거나 이에 의해 그랜트되어야 하므로, UE에 의해 데이터가 송신되는 경우, PUSCH의 자원들이 eNodeB에 의해 UE에게 그랜트되어야 한다. UE에서, PUSCH 자원 할당은 스케줄링 요청 또는 버퍼 상태 보고서를 그 서빙 eNodeB로 송신함으로써 달성된다. 스케줄링 요청은, UE가 버퍼 상태 보고서를 전송할 수 있는 업링크 자원이 부족할 때, UE에 대한 기존 PUSCH 할당이 없을 때 PUCCH를 통한 업링크 제어 정보(Uplink Control Information)(UCI)의 송신을 통해, 또는 UE에 대한 기존 PUSCH 할당이 있을 때 PUSCH 상에서 직접 송신하는 것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스케줄링 요청에 응답하여, eNodeB는 버퍼 상태 보고서를 송신하기에 충분한 PUSCH 자원의 일부를 요청 UE에게 할당한 다음, PDCCH에서 DCI를 통해 버퍼 상태 보고서 자원 할당을 UE에게 알리도록 구성된다. UE가 버퍼 상태 보고서를 전송하기에 적절한 PUSCH 자원을 가지고 있으면, 버퍼 상태 보고서는 eNodeB로 전송되고, UE에 있는 업링크 버퍼 또는 버퍼들에서의 데이터 양에 관한 정보를 eNodeB에 제공한다. eNodeB는 버퍼 상태 보고서를 수신한 후, 그것의 버퍼링된 업링크 데이터의 일부를 송신하기 위해 PUSCH 자원들의 일부를 전송 UE에 할당한 다음, PDCCH에서 DCI를 통해 자원 할당을 UE에 알릴 수 있다. 예를 들어, UE가 eNodeB와 연결되어 있다고 가정하면, UE는 먼저 UCI의 형태로 PUCCH에서 PUSCH 자원 요청을 송신할 것이다. UE는 적절한 DCI에 대해 PDCCH를 모니터링하고, PUSCH 자원 할당의 세부 사항들을 추출하고, 처음에는 버퍼 상태 보고서를 포함하고/하거나 나중에는 할당된 자원들에 버퍼링된 데이터의 일부를 포함하는 업링크 데이터를 송신할 것이다.
업링크 서브프레임은 다운링크 서브프레임들과 구조가 유사하지만, 다운링크 서브프레임들과는 상이한 제어 구조를 가지며, 특히, 업링크 서브프레임의 상위(309) 및 하위(310) 서브캐리어들/주파수들/자원 블록들은 다운링크 서브프레임의 초기 심볼들보다는 제어 시그널링을 위해 예약된다. 또한, 다운링크 및 업링크에 대한 자원 할당 절차는 비교적 유사하지만, 다운링크 및 업링크에서 각각 사용되는 OFDM 및 SC-FDM 인터페이스들의 특성들이 상이하기 때문에, 할당될 수 있는 자원들의 실제 구조가 상이할 수 있다. OFDM에서는, 각각의 서브캐리어가 개별적으로 변조되므로, 주파수/서브캐리어 할당이 연속적일 필요는 없지만, SC-FDM에서는, 서브캐리어들이 결합되어 변조되므로, 따라서 가용 자원들의 효율적인 사용이 이루어지는 경우, 각각의 UE에 대한 연속 주파수 할당들이 바람직할 수 있다.

Claims (18)

  1.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해 통신 디바이스를 동작시키는 방법으로서,
    송신을 위한 업링크 데이터의 하나 이상의 전송 블록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 의해 제공되는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의 물리적 업링크 공유 채널의 그랜트 프리 자원들(grant free resources) 상에서 송신을 위한 업링크 데이터를 프로세싱하는 단계 - 상기 그랜트 프리 자원들은 상기 업링크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해 상기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의 복수의 시분할된 유닛들 각각에서 통신 자원들을 제공함 -,
    상기 그랜트 프리 자원들에서 상기 업링크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해 복수의 구성들 중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구성에 따라 상기 그랜트 프리 자원들에서 상기 업링크 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 - 상기 복수의 구성들 각각은 그랜트 프리 자원들, 인코딩된 데이터 유닛들 각각이 상기 그랜트 프리 자원들에서 송신되는 송신 기간(transmission period), 및 상기 그랜트 프리 자원들에서 상기 업링크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상기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의 시분할된 유닛들 중 하나에서의 상기 송신 기간의 시간적 시작 포지션을 포함하고, 상기 시간적 시작 포지션 및 상기 송신 기간은 상기 복수의 구성들 각각에 대해 독립적임 -
    를 포함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을 위한 업링크 데이터를 프로세싱하는 단계는,
    상기 업링크 데이터를 송신을 위한 업링크 전송 블록들로 형성하는 단계,
    상기 업링크 전송 블록들 각각을 인코딩된 전송 블록들로 인코딩하는 단계,
    상기 인코딩된 전송 블록들 각각으로부터 복수의 인코딩된 데이터 유닛들을 형성하는 단계 - 상기 인코딩된 데이터 유닛들 각각은 상기 그랜트 프리 자원들의 통신 자원들에서 상기 송신 기간들 각각을 형성하는 복수의 송신 오케이션들(transmission occasions) 각각에서의 반복된 송신을 위해 형성되고, 각각의 구성은 상기 물리적 공유 업링크 채널의 그랜트 프리 자원들에서 상기 인코딩된 데이터 유닛들을 송신하기 위한 독립적인 반복 횟수를 포함하여, 각각의 구성에 대해 독립적인 송신 기간을 제공함 -
    를 포함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구성들 각각은 변조 방식, 오류 정정 인코딩 레이트, 상기 그랜트 프리 자원들의 송신 대역폭, 복조 기준 신호들의 패턴, 송신을 위한 빔 패턴, 송신 전력 및 타이밍 어드밴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독립적인 통신 파라미터들을 포함하고, 상기 전송 블록들 각각을 인코딩하는 단계, 상기 업링크 데이터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업링크 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 중 적어도 하나는 독립적으로 설정된 통신 파라미터들에 따르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구성들 중 제1 구성에 따라 상기 그랜트 프리 자원들 상에서 송신을 위한 제1 업링크 데이터를 프로세싱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구성들 중 제2 구성에 따라 상기 그랜트 프리 자원들 상에서 송신을 위한 제2 업링크 데이터를 프로세싱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제1 구성에 따라 상기 그랜트 프리 자원들에서 상기 제1 업링크 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
    상기 제2 업링크 데이터가 상기 제1 업링크 데이터보다 높은 상대적 송신 우선 순위를 갖는다고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업링크 데이터와 상기 제2 업링크 데이터 사이의 상대적 우선 순위에 따라 상기 제1 업링크 데이터의 송신보다 우선하여 상기 제2 구성에 따라 상기 제2 업링크 데이터의 송신을 스케줄링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구성에 따라 상기 제2 업링크 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업링크 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업링크 데이터의 전송 블록들 중 하나 이상의 것의 송신이 상기 제2 업링크 데이터의 전송 블록들 중 하나 이상과 동시에 그랜트 프리 업링크 통신 자원들의 동일한 통신 자원들을 필요로 할 것이라고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업링크 데이터의 하나 이상의 전송 블록 대신에 상기 제1 업링크 데이터의 하나 이상의 전송 블록이 송신되었을 것과 동일한 통신 자원들 상에서 상기 제1 업링크 데이터보다 높은 우선 순위를 갖는 상기 제2 업링크 데이터의 하나 이상의 전송 블록을 제2 구성으로써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업링크 데이터의 전송 블록들 중 하나 이상을 송신하는 단계는, 더 높은 우선 순위를 갖는 상기 제2 업링크 데이터의 송신과 충돌하지 않도록 상기 제1 업링크 데이터의 전송 블록들 중 하나 이상의 것의 송신을 적응시킴으로써, 상기 제2 업링크 데이터의 전송 블록들 중 하나 이상의 것의 송신과 충돌하는 동일한 통신 자원들 상에서 있었을 상기 제2 업링크 데이터보다 낮은 우선 순위를 갖는 상기 제1 업링크 데이터의 하나 이상의 전송 블록을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을 적응시키는 것은 상기 제2 업링크 데이터의 전송 블록들 중 하나 이상과 충돌하는 동일한 통신 자원들 상에서 송신되었을 상기 제2 업링크 데이터보다 낮은 우선 순위를 갖는 상기 제1 업링크 데이터의 전송 블록들 중 하나 이상의 것의 송신을 중지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을 적응시키는 것은, 상기 그랜트 프리 업링크 통신 자원들 상에서 상기 제2 업링크 데이터의 송신이 완료된 후까지, 상기 제2 업링크 데이터의 전송 블록들 중 하나 이상과 충돌하는 동일한 통신 자원들 상에서 송신되었을 상기 제2 업링크 데이터보다 낮은 우선 순위를 갖는 상기 제1 업링크 데이터의 전송 블록들 중 하나 이상의 것의 송신을 연기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을 적응시키는 것은, 상기 제2 업링크 데이터의 전송 블록들 중 하나 이상과 충돌하는 동일한 통신 자원들 상에서 송신되었을 상기 제2 업링크 데이터보다 낮은 우선 순위를 갖는 상기 제1 업링크 데이터의 전송 블록들 중 하나 이상의 것의 송신을 멀티플렉싱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10.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구성 및 상기 제2 구성의 그랜트 프리 자원들은 주파수 도메인에서 중첩되는 방법.
  11.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업링크 데이터의 송신을 적응시키는 것에 대해 상기 제1 업링크 데이터의 수신기에 표시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2.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 데이터를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통신 디바이스로서,
    상기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 의해 제공되는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를 통해 신호들을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송신기 회로망, 및
    제어기 회로망
    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기 회로망은 상기 송신기 회로망과 결합하여,
    송신을 위한 업링크 데이터의 하나 이상의 전송 블록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 의해 제공되는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의 물리적 업링크 공유 채널의 그랜트 프리 자원들 상에서 송신을 위한 업링크 데이터를 프로세싱하고 - 상기 그랜트 프리 자원들은 상기 업링크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해 상기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의 복수의 시분할된 유닛들 각각에서 통신 자원들을 제공함 -,
    상기 그랜트 프리 자원들에서 상기 업링크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해 복수의 구성들 중 하나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구성에 따라 상기 그랜트 프리 자원들에서 상기 업링크 데이터를 송신하도록 - 상기 복수의 구성들 각각은 그랜트 프리 자원들, 인코딩된 데이터 유닛들 각각이 상기 그랜트 프리 자원들에서 송신되는 송신 기간, 및 상기 그랜트 프리 자원들에서 상기 업링크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상기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의 시분할된 유닛들 중 하나에서의 상기 송신 기간의 시간적 시작 포지션을 포함하고, 상기 시간적 시작 포지션 및 상기 송신 기간은 상기 복수의 구성들 각각에 대해 독립적임 -
    구성되는 통신 디바이스.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 회로망은 상기 송신기 회로망과 함께,
    상기 업링크 데이터를 송신을 위한 업링크 전송 블록들로 형성하고,
    상기 업링크 전송 블록들 각각을 인코딩된 전송 블록들로 인코딩하고,
    상기 인코딩된 전송 블록들 각각으로부터 복수의 인코딩된 데이터 유닛들을 형성하도록 - 상기 인코딩된 데이터 유닛들 각각은 상기 그랜트 프리 자원들의 통신 자원들에서 상기 송신 기간들 각각을 형성하는 복수의 송신 오케이션들 각각에서의 반복된 송신을 위해 형성되고, 각각의 구성은 상기 물리적 공유 업링크 채널의 그랜트 프리 자원들에서 상기 인코딩된 데이터 유닛들을 송신하기 위한 독립적인 반복 횟수를 포함하여, 각각의 구성에 대해 독립적인 송신 기간을 제공함 -
    구성되는 통신 디바이스.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구성들 각각은 변조 방식, 오류 정정 인코딩 레이트, 상기 그랜트 프리 자원들의 송신 대역폭, 복조 기준 신호들의 패턴, 송신을 위한 빔 패턴, 송신 전력 및 타이밍 어드밴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독립적인 통신 파라미터들을 포함하고, 상기 전송 블록들 각각을 인코딩하는 것, 상기 업링크 데이터를 형성하는 것 및 상기 업링크 데이터를 송신하는 것 중 적어도 하나는 독립적으로 설정된 통신 파라미터들에 따르는 통신 디바이스.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 회로망은 상기 송신기 회로망과 함께,
    상기 복수의 구성들 중 제1 구성에 따라 상기 그랜트 프리 자원들 상에서 송신을 위한 제1 업링크 데이터를 프로세싱하고,
    상기 복수의 구성들 중 제2 구성에 따라 상기 그랜트 프리 자원들 상에서 송신을 위한 제2 업링크 데이터를 프로세싱하고,
    상기 선택된 제1 구성에 따라 상기 그랜트 프리 자원들에서 상기 제1 업링크 데이터를 송신하고,
    상기 제2 업링크 데이터가 상기 제1 업링크 데이터보다 높은 상대적 송신 우선 순위를 갖는다고 결정하고,
    상기 제1 업링크 데이터와 상기 제2 업링크 데이터 사이의 상대적 우선 순위에 따라 상기 제1 업링크 데이터의 송신보다 우선하여 상기 제2 구성에 따라 상기 제2 업링크 데이터의 송신을 스케줄링하도록
    구성되는 통신 디바이스.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 회로망은 상기 송신기 회로망과 함께,
    상기 제1 업링크 데이터의 전송 블록들 중 하나 이상의 것의 송신이 상기 제2 업링크 데이터의 전송 블록들 중 하나 이상과 동시에 그랜트 프리 업링크 통신 자원들의 동일한 통신 자원들을 필요로 할 것이라고 결정하고,
    상기 제1 업링크 데이터의 하나 이상의 전송 블록 대신에 상기 제1 업링크 데이터의 하나 이상의 전송 블록이 송신되었을 것과 동일한 통신 자원들 상에서 상기 제1 업링크 데이터보다 높은 우선 순위를 갖는 상기 제2 업링크 데이터의 하나 이상의 전송 블록을 제2 구성으로써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통신 디바이스.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 회로망은 상기 송신기 회로망과 함께,
    더 높은 우선 순위를 갖는 상기 제2 업링크 데이터의 송신과 충돌하지 않도록 상기 제1 업링크 데이터의 전송 블록들 중 하나 이상의 것의 송신을 적응시킴으로써, 상기 제2 업링크 데이터의 전송 블록들 중 하나 이상의 것의 송신과 충돌하는 동일한 통신 자원들 상에서 있었을 상기 제2 업링크 데이터보다 낮은 우선 순위를 갖는 상기 제1 업링크 데이터의 하나 이상의 전송 블록을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통신 디바이스.
  18.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 데이터를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회로망으로서,
    상기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 의해 제공되는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를 통해 신호들을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송신기 회로망, 및
    제어기 회로망
    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기 회로망은 상기 송신기 회로망과 결합하여,
    송신을 위한 업링크 데이터의 하나 이상의 전송 블록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 의해 제공되는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의 물리적 업링크 공유 채널의 그랜트 프리 자원들 상에서 송신을 위한 업링크 데이터를 프로세싱하고 - 상기 그랜트 프리 자원들은 상기 업링크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해 상기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의 복수의 시분할된 유닛들 각각에서 통신 자원들을 제공함 -,
    상기 그랜트 프리 자원들에서 상기 업링크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해 복수의 구성들 중 하나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구성에 따라 상기 그랜트 프리 자원들에서 상기 업링크 데이터를 송신하도록 - 상기 복수의 구성들 각각은 그랜트 프리 자원들, 인코딩된 데이터 유닛들 각각이 상기 그랜트 프리 자원들에서 송신되는 송신 기간, 및 상기 그랜트 프리 자원들에서 상기 업링크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상기 무선 액세스 인터페이스의 시분할된 유닛들 중 하나에서의 상기 송신 기간의 시간적 시작 포지션을 포함하고, 상기 시간적 시작 포지션 및 상기 송신 기간은 상기 복수의 구성들 각각에 대해 독립적임 -
    구성되는 회로망.
KR1020217008591A 2018-09-27 2019-09-17 통신 디바이스들, 통신 디바이스들을 동작시키는 방법들, 인프라스트럭처 장비 및 방법들 KR2021006421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8197372 2018-09-27
EP18197372.8 2018-09-27
PCT/EP2019/074900 WO2020064438A1 (en) 2018-09-27 2019-09-17 Communications devices, methods of operating communications devices, infrastructure equipment and method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4215A true KR20210064215A (ko) 2021-06-02

Family

ID=637081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08591A KR20210064215A (ko) 2018-09-27 2019-09-17 통신 디바이스들, 통신 디바이스들을 동작시키는 방법들, 인프라스트럭처 장비 및 방법들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991666B2 (ko)
EP (2) EP3837905B1 (ko)
JP (1) JP7355104B2 (ko)
KR (1) KR20210064215A (ko)
CN (1) CN112840722A (ko)
WO (1) WO202006443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665732B2 (en) * 2020-02-14 2023-05-30 Qualcomm Incorporated Uplink transmission interruption
US11844104B2 (en) * 2020-10-16 2023-12-12 Qualcomm Incorporated Cancellation order for scheduled uplink repetitive transmissions with different priorities
US20220247528A1 (en) * 2021-02-01 2022-08-04 Qualcomm Incorporated 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dmrs) enhancements and bundling on physical channels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860218C (en) 2011-12-23 2022-08-02 Blackberry Limited Method implemented in a user equipment ue for use in a wireless system
CN105264937B (zh) * 2014-02-24 2019-04-19 华为技术有限公司 非授权频谱小区上的资源传输方法、基站和用户设备
WO2018143738A1 (ko) * 2017-02-05 2018-08-09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grant-free 리소스에 관련된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장치
US11102765B2 (en) * 2018-02-22 2021-08-24 Qualcomm Incorporated Enhanced uplink grant-free/downlink semi-persistent scheduling for ultra-reliable low latency communications
US10863524B2 (en) * 2018-04-04 2020-12-08 Qualcomm Incorporated Multiplexing rules for mixed communication protocols
US11265876B2 (en) * 2018-08-10 2022-03-01 Qualcomm Incorproated Uplink power modification and communication scheme change requests
US11540312B2 (en) * 2018-09-25 2022-12-27 Mediatek Singapore Pte.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handling multiple active configurations of configured grant in mobile communicatio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064438A1 (en) 2020-04-02
JP2022502933A (ja) 2022-01-11
US11991666B2 (en) 2024-05-21
EP4236559A3 (en) 2023-09-06
CN112840722A (zh) 2021-05-25
EP3837905B1 (en) 2023-06-07
EP3837905A1 (en) 2021-06-23
US20220053459A1 (en) 2022-02-17
EP4236559A2 (en) 2023-08-30
JP7355104B2 (ja) 2023-10-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247766B (zh) 在无线通信系统中发送或接收信号的方法及其设备
CN110036586B (zh) 用于处理时间缩减信令的系统和方法
CN111247857B (zh) 在无线通信系统中发送或接收信号的方法及其设备
KR20180127993A (ko) 감소된 레이턴시로 스케줄링 요청들을 송신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180131546A (ko) 업링크 전송들이 적어도 하나의 심벌 지속기간 동안 시간상 오버랩할 때 업링크 전력 제어를 위한 방법 및 장치
EP3366071A1 (en) Flexible time division duplexing (tdd) subframe structure with latency reduction
JP7476900B2 (ja) 通信デバイス、インフラストラクチャ機器、および方法
CN112600652A (zh) 侧链路传送方法和装置
US20220368465A1 (en) Communications devices, infrastructure equipment, and methods
US20220225400A1 (en) Communications device, infrastructure equipment and methods
EP3186914B1 (en) Communications device and methods
KR20180129797A (ko) 감소된 레이턴시로 업링크 전송들을 스케줄링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200080864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채널 접속을 위한 장치 및 방법
EP3837905B1 (en) Communications device and method of operating the communications device
CN114128189A (zh) 用于在无线通信系统中发送/接收上行链路控制信息的方法和设备
JP7388438B2 (ja) 通信デバイス、通信デバイスの動作方法、インフラストラクチャ機器および方法
US20220159621A1 (en) Communications device, infrastructure equipment and methods
US20230246669A1 (en) Communications device, infrastructure equipment and methods
EP4094526A1 (en) Communications device, infrastructure equipment and methods for handling uplink collisions
KR20200091326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전송 시간 결정 방법 및 장치
CN112740792A (zh) 用于在无线通信系统中发送/接收控制信息的方法和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