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63629A - 의류용 벨트 - Google Patents

의류용 벨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63629A
KR20210063629A KR1020190151974A KR20190151974A KR20210063629A KR 20210063629 A KR20210063629 A KR 20210063629A KR 1020190151974 A KR1020190151974 A KR 1020190151974A KR 20190151974 A KR20190151974 A KR 20190151974A KR 20210063629 A KR20210063629 A KR 202100636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lt
buckle body
buckle
fixing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19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우진
Original Assignee
유한회사 엔제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한회사 엔제이 filed Critical 유한회사 엔제이
Priority to KR10201901519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63629A/ko
Publication of KR202100636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362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FGARMENT FASTENINGS; SUSPENDERS
    • A41F9/00Belts, girdles, or waistbands for trousers or skirts
    • A41F9/02Expansible or adjustable belts or girdles ; Adjustable fasteners comprising a track and a slide member
    • A41F9/025Adjustable belts or gird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Buck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의류용 벨트에 대한 것으로 벨트의 길이를 인체의 허리부분에 알맞도록 하면서 벨트의 끝단부분이 버클의 일측부분으로 다시 노출됨이 없이 버클본체의 내부에서 벨트의 양쪽모두가 마감이 되게 하여 외관상 미려하게 함은 물론 벨트의 끝단 부분이 외부로 노출되어 사용상의 번거러움과 또한 활동에 지장을 주는 폐단이 없이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은 버클본체(10)에는 벨트고정구조(20)를 형성함과, 상기 버클본체(10)에는 상·하로 절곡면(30)(30')을 형성하고 그 사이에는 개방면(40)으로 형성하고, 상기 버클본체(10)의 내면 상·하에는 한쌍의 고정용 돌기(50)(50')가 다수로 형성되고 벨트(60)에는 상기 고정용 돌기(50)(50')가 끼워지는 조절공(70)(70')이 천공된 구조로 하여 버클본체(10)내에서 벨트(60)의 끝단부분이 결합되어 마감되는 것이다.

Description

의류용 벨트{BELT FOR CLOTHES}
본 고안은 의류용 벨트에 대한 것으로 벨트의 길이를 인체의 허리부분에 알맞도록 하면서 벨트의 끝단부분이 버클의 일측 부분으로 다시 노출됨이 없이 버클의 내부에서 마감이 되게 하여 외관상 미려하게 함은 물론 벨트의 끝단 부분이 외부로 노출되어 사용상의 번거로움과 또한 활동에 지장을 주는 폐단이 없이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의류용 벨트에 대한 것이다.
주지하다시피 의류용 벨트는 모든 사람이 의류에 착용하게 되는 필수품으로서 특히 남자의 경우에는 바지의 상단부분에 필수적으로 벨트를 착용하여 사용하게 된다.
그러나 현재까지 사용하고 있는 모든 의류용 벨트는 처음 구입 시 버클의 일측부분에 형성된 고정구조에 벨트를 허리사이즈에 적합한 길이로 절단하여 벨트의 일단부분을 끼워 고정시킨 후, 나머지의 일단부분을 버클내로 인입시켜 가변적으로 조절하여 고정시키게 되는데 이때 조절된 벨트의 끝단부분이 버클내부를 통과한 후 다시 일측부분으로 노출이 되는 상태가 되기 때문에 활동 시 벨트의 노출된 부위가 장애가 되는 불편성을 초래하였고, 외관상으로도 미려하지 못한 문제점을 내재하고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벨트를 허리사이즈에 알맞도록 조절한 후에는 그 끝단부분이 버클내부를 통과하여 외부로 노출이 되지 않고 버클의 내부에서 수용한 상태로 마감되어 조절이 완료되는 관계로 착용자의 외부 활동에 전혀 지장을 주지 않으며, 외관상으로도 미려함을 추구할 수 있는 의류용 벨트를 제공하려는데 그 주된 목적이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한 목적을 위하여 처음 구입 시 벨트의 조절이 버클내부의 구조에서 이루어지며 또한 타측의 끝단부분 역시 버클의 내부에 수용되어 마감이 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 것으로 버클본체의 내면에서 벨트의 모든 결합이 이루어지고 사용자의 허리사이즈에 적합하게 조절이 완료된 벨트의 끝단부분이 외부로 노출됨이 없이 외관상 미려하게 마감이 되게 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통상의 방법과 같이 의류용 벨트의 일단부분을 먼저 길이 조절을 하여 버클의 내부에서 고정시킨 후 다시 일상생활에서 갖는 허리사이즈의 변동에 따른 조절을 하는 과정 역시 버클의 내부에 형성된 다수의 고정돌기에 의하여 미세한 조절이 다시 이루어지게 하고 벨트의 끝단부분은 버클의 내부에서 수용되고 또한 외부로 노출이 되지 않도록 그 자체에서 마감이 되기 때문에 벨트 끝단부분의 외부 노출에 따른 불편함이 없어 의류용 벨트의 사용효율성을 높일 수 있고 벨트재료의 절감에 따른 경제성과 함께 의류에 착용 할 시 외관상으로도 미려함을 가질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평면설명도.
도 3은 본 고안의 확대종단면도.
도 4와 도 5, 도 6은 본 고안의 결합상태를 설명하는 단면도.
도 1은 본 고안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평면설명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종단면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결합상태를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버클본체(10)의 일측에 벨트고정구조(20)를 형성하였다.
상기 버클본체(10)에는 상·하의 절곡면(30)(30')을 구성하고 절곡면(30)(30')의 사이에는 개방면(40)으로 형성하였다.
그리고 버클본체(10)의 내면 상·하에는 고정용 돌기(50)(50')가 다수로 형성되었고 벨트(60)에는 상기 고정용 돌기(50)(50')가 끼워지는 조절공(70)(70')이 천공된 구조로 된 것이다.
여기에서 상기 고정용 돌기(50)(50')와 벨트의 조절공(70)(70')은 상·하로 형성하지 않고 중앙부에 일련하게 하나씩으로 형성한 구조로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통상의 방법과 같이 벨트(60)의 길이를 착용자의 허리사이즈에 적합하도록 1차적으로 조절 한 후 그 끝단부분을 벨트고정구조(20)의 일측부에 끼워 고정시켜주게 된다.
여기에서 상기 벨트고정구조(20)는 톱니형돌기로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바지에 벨트를 끼워 사용 시에는 벨트(60)의 끝단부분이 버클본체(10)의 후면에 형성된 개방면(40)으로 압입하여 끼우게 되며, 이때 상·하부에 형성된 절곡면(30)(30')의 안내에 따라 벨트(60)의 인입과정이 매우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다음으로 개방면(40)으로 엄지손가락을 위치하도록 하여 버클본체(10)의 내면에 돌출된 고정용 돌기(50)(50')에 벨트의 조절공(70)(70')이 끼워지도록 도 4에서와 같이 압입하여 고정시키게 된다.
이때 다수의 고정용 돌기(50)(50')가 벨트의 조절공(70)(70')에 끼워지기 때문에 결합력이 매우 우수하다.
그리고 이와 같이 벨트를 사용하다가 벨트의 해지를 위하여는 버클본체(10)의 상하단부를 한 손으로 잡고 다른 한손으로 벨트(60)의 연결부분을 내측으로 약간 벌어지게 하면 조절공(70)(70')에 끼워진 상기 고정용 돌기(50)(50')가 이탈하게 되어 벨트를 조임 상태에서 간편하게 해지시킬 수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이러한 과정의 반복으로 의류용 벨트를 사용하게 되며, 사용 중 식사를 하거나 여러 사정에 의하여 벨트의 미세한 간격조절을 위하여는 일정간격으로 상·하의 한 쌍으로 형성되거나 또는 하나로 이루어진 다수의 조절공(70)(70')과 고정용 돌기(50)(50')의 위치변동에 의하여 미세한 간격의 조절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버클본체(10)의 단일몸체 내부에서 벨트(60)의 양단부가 결합이 되는 것이다.
10 : 버클본체
20 : 벨트고정구조
30 30' : 절곡면
40 : 개방면
50 50' : 고정용 돌기
60 : 벨트
70 70' : 조절공

Claims (2)

  1. 버클본체(10)에는 벨트고정구조(20)를 형성함과, 상기 버클본체(10)에는 상·하로 절곡면(30)(30')을 형성하고 그 사이에는 개방면(40)으로 형성하고, 상기 버클본체(10)의 내면 상·하에는 한쌍의 고정용 돌기(50)(50')가 다수로 형성되고 벨트(60)에는 상기 고정용 돌기(50)(50')가 끼워지는 조절공(70)(70')이 천공된 구조로 하여 버클본체(10)내에서 벨트(60)의 끝단부분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용 벨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용 돌기(50)(50')와 벨트의 조절공(70)(70')은 상·하의 한쌍으로 형성하지 않고 중앙부분에 하나씩 일렬로 형성한 의류용 벨트.
KR1020190151974A 2019-11-25 2019-11-25 의류용 벨트 KR2021006362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1974A KR20210063629A (ko) 2019-11-25 2019-11-25 의류용 벨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1974A KR20210063629A (ko) 2019-11-25 2019-11-25 의류용 벨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3629A true KR20210063629A (ko) 2021-06-02

Family

ID=763726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1974A KR20210063629A (ko) 2019-11-25 2019-11-25 의류용 벨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63629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61391A (en) Variable configuration earring
US6715186B1 (en) Charm chain
US4285337A (en) Surgical arm-sling with improved strap adjustment
KR101901897B1 (ko) 길이조절이 가능한 팔찌
AU2008211790B2 (en) Girdle for garments
KR20210063629A (ko) 의류용 벨트
US20030209034A1 (en) Multi-functional brassiere decorating chain
US6186863B1 (en) String adjuster in brassiere/body suit
CN210076765U (zh) 一种可自动调节的手链
US11160338B2 (en) Article of adornment with interchangeable parts
JP2018505011A (ja) パームブレスレット
KR20140001900U (ko) 의류용 벨트
CN212139539U (zh) 一种束腰带
CN109757813A (zh) 腰带
US20140250948A1 (en) Counterweight for jewelry pendant
KR200410666Y1 (ko) 골반허리보호대
CN218650620U (zh) 一种磁吸回环钢表带
CN218164443U (zh) 一种组合式长度可调节手链
KR200356430Y1 (ko) 앞치마
JP6923124B1 (ja) 姿勢誘導用具
KR200248716Y1 (ko) 장신구용 허리밴드
KR200317127Y1 (ko) 길이조절이 가능한 귀금속 악세사리
CN206403328U (zh) 一种手镯百福扣
CN206062361U (zh) 一种调节挂链长度的调节扣
KR101600256B1 (ko) 의복용 벨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