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63108A - Ethylene vinyl acetate copolymer for extrusion coating with excellent processabilit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 same - Google Patents

Ethylene vinyl acetate copolymer for extrusion coating with excellent processabilit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63108A
KR20210063108A KR1020190151610A KR20190151610A KR20210063108A KR 20210063108 A KR20210063108 A KR 20210063108A KR 1020190151610 A KR1020190151610 A KR 1020190151610A KR 20190151610 A KR20190151610 A KR 20190151610A KR 20210063108 A KR20210063108 A KR 202100631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nyl acetate
ethylene vinyl
acetate copolymer
reactor
molecular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161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446740B1 (en
Inventor
유재명
손창규
윤보상
김진우
임현빈
박선아
이정민
최병두
Original Assignee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516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6740B1/en
Priority to CN202011299771.7A priority patent/CN112830988B/en
Publication of KR202100631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310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67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6740B1/en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10/00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 C08F210/02Eth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00Processes of polymerisation
    • C08F2/001Multistage polymerisa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a change in reactor conditions without deactivating the intermediate polyme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00Processes of polymerisation
    • C08F2/01Processes of polymerisation characterised by special features of the polymerisation apparatus use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18/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cyloxy radical of a saturated carboxylic acid, of carbonic acid or of a haloformic acid
    • C08F218/02Esters of monocarboxylic acids
    • C08F218/04Vinyl esters
    • C08F218/08Vinyl acet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500/00Characteristics or properties of obtained polyolefins; Use thereof
    • C08F2500/12Melt flow index or melt flow ratio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ddition Polymer Or Copolymer, Post-Treatments, Or Chemical Modifications (AREA)
  • Polymerisation Methods In General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 Graft Or Block Polymers (AREA)

Abstract

Disclosed are a polypropylene-based resin composition with improved barrier properties while maintaining rigidity and transparency without a laminated structure or adhesive coating to improve barrier properties, and a molded article using the sam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the polypropylene-based resin composition, which comprises: 70 to 98 wt% of a polypropylene random copolymer comprising ethylene; 1 to 20 wt% of a polypropylene random terpolymer comprising ethylene and butene; and 1 to 10 wt% of dicyclopentadiene, and the molded article using the same.

Description

가공성이 우수한 압출코팅용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 및 그 제조방법{ETHYLENE VINYL ACETATE COPOLYMER FOR EXTRUSION COATING WITH EXCELLENT PROCESSABILIT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 SAME}Ethylene vinyl acetate copolymer for extrusion coating with excellent processability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ETHYLENE VINYL ACETATE COPOLYMER FOR EXTRUSION COATING WITH EXCELLENT PROCESSABILIT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 SAME}

본 발명은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압출코팅용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thylene vinyl acetate copolymer and a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ethylene vinyl acetate copolymer for extrusion coating and a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일반적인 압출코팅 및 라미네이션용 저밀도 폴리에틸렌이나,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수지의 경우 방수성 용도로 종이 코팅, 크라프트지 코팅 등에 사용되며, 라미네이션 및 열접착 용도로 플라스틱 필름 등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In the case of general low-density polyethylene for extrusion coating and lamination, ethylene vinyl acetate resin is used for paper coating and kraft paper coating for waterproofing purposes, and is widely used for lamination and thermal bonding purposes such as plastic films.

기본적으로 분자량 분포 특성상 넓은 분자량 분포(MWD)를 가질수록 저분자량에 의한 압출 부하가 줄어들어 압출기 내에서 비교적 안정한 흐름 특성을 나타내며, 높은 고분자량에 의해 T-Die 캐스팅 시 높은 용융장력(Melt tension)에 의한 네크인(Neck-In) 특성이 우수한 경향을 가진다.Basically, the higher the molecular weight distribution (MWD), the less the extrusion load due to the low molecular weight shows a relatively stable flow characteristic in the extruder, and the high melt tension during T-Die casting due to the high molecular weight. It has a tendency to have excellent neck-in characteristics.

하지만 최근 들어 생산성이 중요시 되면서 드로우 다운(Draw down) 특성이 좀 더 중요한 가공 물성으로 부각되었다. 따라서, 좁은 분자량 분포 특성으로 압출기 내에 부하를 받으면서 높은 토출량을 갖고, 적은 고분자량 영역을 가져 드로우 다운성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다. 즉, 기존의 넓은 분자량 분포 및 높은 고분자량에 의한 드로우 다운 특성이 저해되는 경향으로, 고분자량의 밸런스를 맞추는 것이 수지 특성 조절에서 중요한 요소로 작용한다. 또한, 지나치게 넓은 분포의 저분자량을 가질 경우 T-Die 캐스팅 시 다이 빌드-업(Die build-up)이 발생하여 코팅 제막이 어려울 수 있다.However, in recent years, as productivity has become more important, the draw-down characteristic has emerged as a more important processing property.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have a high discharge amount while receiving a load in the extruder due to a narrow molecular weight distribution characteristic, and to secure a drawdown property by having a small high molecular weight region. That is, the draw-down characteristic due to the existing wide molecular weight distribution and high molecular weight tends to be inhibited, and balancing the high molecular weight acts as an important factor in controlling the resin properties. In addition, if it has an excessively wide distribution of low molecular weight, die build-up may occur during T-Die casting, making it difficult to form a coating film.

한편, 종래 오토클레이브 공정으로 제공되는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의 경우, 비교적 분자량 분포가 넓어 용융장력에 의해 네크인 특성이나 압출 가공성 측면에서 유리하게 설계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상대적으로 드로우 다운 특성이 떨어지고 이를 보강하기 위해 개질제를 투입하게 되면 해당 부분의 특성들을 조절할 수는 있으나 고분자량의 밸런스를 맞추는 데 어려운 점이 있다. 반면, 튜블라 공정으로 제공되는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의 경우, 비교적 분자량 분포가 좁아 드로우 다운 특성이 우수하나, 수지 특성상 용융장력이 오토클레이브 공정에서 제공되는 수지에 비해 열세하여 네크인 특성 등의 코팅 가공성에 불리한 점을 보인다.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the ethylene vinyl acetate copolymer provided by the conventional autoclave process, the molecular weight distribution is relatively wide, so it has the advantage that it can be advantageously designed in terms of neck-in characteristics or extrusion processability by melt tension, but it has relatively low draw-down characteristics. If a modifier is added to reinforce it, the properties of the part can be adjusted, but there is a difficulty in balancing the high molecular weight.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the ethylene vinyl acetate copolymer provided by the tubular process, the drawdown characteristic is excellent because the molecular weight distribution is relatively narrow, but the melt strength is inferior to the resin provided in the autoclave process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sin, so coating such as neck-in characteristics It shows disadvantages in machinability.

한국 공개특허 제2019-0022642호 및 미국 공개특허 제2014-0303309호는 에틸렌계 중합체를 형성하기 위한 고압 중합 방법으로, 반응기 구성이 관형 반응기, 오토클레이브 반응기, 또는 관형 반응기와 오토클레이브 반응기 둘 다 포함하는 방법을 개시하고 있으나,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 제조에 있어 네크인 및 드로운 다운성 개선을 위한 구체적인 반응기 조건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고 있다.Korean Patent Publication No. 2019-0022642 and US Patent Publication No. 2014-0303309 are high-pressure polymerization methods for forming ethylene-based polymers, and the reactor configuration includes a tubular reactor, an autoclave reactor, or both a tubular reactor and an autoclave reactor. However, it does not mention specific reactor conditions for improving neck-in and draw-down properties in the production of ethylene vinyl acetate copolymer.

한국 등록특허 제1975696호는 반응기 오프 가스의 성분들을 분리하는 방법 및 관련 반응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반응기 시스템은 고압 관형 반응기 및/또는 오토클레이브 반응기를 포함할 수 있고 폴리올레핀 중합체의 제조에 이용될 수 있는 반응기 시스템을 개시하고 있으나, 저밀도 폴리에틸렌 중합반응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하고 있을 뿐 역시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 제조에 있어 네크인 및 드로운 다운성 개선을 위한 구체적인 반응기 조건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고 있다.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9759696 relates to a method for separating components of a reactor off-gas and a related reactor system, wherein the reactor system may include a high-pressure tubular reactor and/or an autoclave reactor and may be used in the production of polyolefin polymers. Although the reactor system is disclosed, the polymerization reaction of low density polyethylene is only described in detail, but also specific reactor conditions for improving neck-in and draw-down properties in the production of ethylene vinyl acetate copolymer are not mentioned.

일본 공개특허 제2002-080652호는 오토클레이브형 중합기 또는 튜블러형 중합기로 제조된 에틸렌 초산비닐 공중합체에 관해 개시하고 있으나, 중합기의 조합 사용 및 이로 인한 가공성 개선에 관해서는 언급하지 않고 있다.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2-080652 discloses an ethylene vinyl acetate copolymer prepared in an autoclave-type polymerization reactor or a tubular polymerization reactor, but does not mention the combined use of the polymerization reactor and improvement of processability due to this. .

본 발명은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 제조에 있어, 가공성, 특히 상반된 성질인 네크인성 및 드로우 다운성이 모두 우수한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를 제공하기 위한 특화된 반응기 조건을 제시하고자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ntends to propose a specialized reactor condition for providing an ethylene vinyl acetate copolymer having excellent processability, particularly, both neck-in and draw-down properties, which are opposite properties, in the production of an ethylene vinyl acetate copolymer.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a) 중합 개시제 및 분자량 분포 조절을 위한 개질제 존재 하에 에틸렌 단량체 및 비닐 아세테이트 단량체를 오토클레이브 반응기에서 중합하는 단계; 및 (b) 상기 (a) 단계에서 중합된 중합체 및 미반응 단량체를 튜블라 반응기에 투입하여 연속적으로 중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 제조방법을 제공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a) polymerization of an ethylene monomer and a vinyl acetate monomer in an autoclave reactor in the presence of a polymerization initiator and a modifier for controlling molecular weight distribution; and (b) adding the polymer polymerized in step (a) and the unreacted monomer to a tubular reactor to continuously polymerize it; provides a method for preparing an ethylene vinyl acetate copolymer comprising.

또한, 상기 오토클레이브 반응기는 압력이 1,700 내지 2,200 kgf/㎠, 상부 온도가 140 내지 170℃ 및 하부 온도가 185 내지 225℃이고, 상기 튜블라 반응기는 압력이 1,700 내지 2,200 kgf/㎠ 및 온도가 185 내지 22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 제조방법을 제공한다.In addition, the autoclave reactor has a pressure of 1,700 to 2,200 kgf/cm 2 , an upper temperature of 140 to 170° C. and a lower temperature of 185 to 225° C., and the tubular reactor has a pressure of 1,700 to 2,200 kgf/cm 2 and a temperature of 185 It provides a method for producing an ethylene vinyl acetate copolymer, characterized in that to 225 ℃.

또한, 상기 방법으로 제조되고, 용융지수(ASTM D1238, 125℃, 2.16 kg 하중)가 10 내지 25 g/10분, 비닐 아세테이트 함량이 10 내지 30 중량%, 분자량 분포(MWD, Mw/Mn)가 4 내지 6 및 Z 평균 분자량이 130,000 내지 200,000인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를 제공한다.In addition, prepared by the above method, the melt index (ASTM D1238, 125 ℃, 2.16 kg load) is 10 to 25 g / 10 min, the vinyl acetate content is 10 to 30 wt%, the molecular weight distribution (MWD, Mw / Mn) Ethylene vinyl acetate copolymers having 4 to 6 and Z average molecular weights from 130,000 to 200,000 are provided.

또한, 상기 방법으로 제조되고, 하기 방법에 따라 측정된 네크인 비율이 25% 이하, 최대 가공속도가 100 m/min 이상 및 접착강도가 40 kgf/㎠ 이상인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를 제공한다.In addition, it provides an ethylene vinyl acetate copolymer prepared by the above method and having a neck-in ratio of 25% or less, a maximum processing speed of 100 m/min or more, and an adhesive strength of 40 kgf/cm 2 or more, measur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method.

[네크인 비율 측정방법][Method of measuring neck-in ratio]

토출폭 450 mm인 압출코팅기를 사용하여 이축 연신 폴리프로필렌 필름에 상기 제조된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를 다이 온도 230℃에서 코팅하되, 압출코팅 가공속도 60 m/min에서 코팅 두께 20 ㎛로 성형할 때의 토출폭 대비 코팅폭을 계산하여 네크인 비율을 {1-(코팅폭/토출폭)}*100 으로 계산함.Using an extrusion coating machine with a discharge width of 450 mm, the ethylene vinyl acetate copolymer prepared above is coated on a biaxially stretched polypropylene film at a die temperature of 230 ° C. When molding to a coating thickness of 20 μm at an extrusion coating processing speed of 60 m/min Calculate the coating width to the discharge width of the neck-in ratio as {1-(coating width/discharge width)}*100.

[최대 가공속도 측정방법][Method of measuring maximum processing speed]

토출폭이 450 mm인 압출코팅기를 사용하여 수지 토출량을 700 g/min으로 고정하고, 이축 연신 폴리프로필렌 필름에 상기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를 다이 온도 230℃에서 코팅하되, 가공 속도를 증가시키며 코팅 여부를 확인하고, 수지 흐름이 파단되어 코팅이 되지 않는 시점의 가공속도를 확인함.Using an extrusion coating machine with a discharge width of 450 mm, the resin discharge rate is fixed at 700 g/min, and the ethylene vinyl acetate copolymer is coated on a biaxially stretched polypropylene film at a die temperature of 230° C. and check the processing speed at the point when the resin flow is broken and coating is not performed.

[접착강도 측정방법][Measuring method of adhesive strength]

이축 연신 폴리프로필렌 필름에 상기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를 코팅(40 ㎛ 두께) 후 잉크프린트로 인쇄된 검정 종이 기재에 100℃ 및 속도 3 m/min 조건으로 라미네이션 후 만능 인장시험기를 이용하여 Load Cell 100 N 및 속도 200 mm/min 조건으로 종이와 상기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 간 접착강도를 측정함.After coating the ethylene vinyl acetate copolymer on a biaxially stretched polypropylene film (40 μm thickness), lamination on a black paper substrate printed with ink printing at 100° C. and a speed of 3 m/min. Using a universal tensile tester, Load Cell 100 The adhesive strength between the paper and the ethylene vinyl acetate copolymer was measured under the conditions of N and a speed of 200 mm/min.

본 발명에 따르면 오토클레이브 공정과 튜블라 공정을 순차적으로 진행하는 멀티 공정 적용을 통하여,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의 분자량 분포를 최대한 넓힌 상태에서, 반응기 압력 및 온도 조절을 통해 중합도 및 고분자량 감소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여, 결과적으로 고분자량 영역이 감소되면서 좁은 분자량 분포를 갖게 되어, 네크인성 및 드로우 다운성이 모두 우수한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를 제조할 수 있도록 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rough the multi-process application of sequentially performing the autoclave process and the tubular process, the molecular weight distribution of the ethylene vinyl acetate copolymer is maximized, and the polymerization degree and high molecular weight reduction can be controlled by controlling the reactor pressure and temperature. By making this possible, as a result, the high molecular weight region is reduced and the molecular weight distribution is narrow, so that it is possible to prepare an ethylene vinyl acetate copolymer excellent in both neck-in and draw-down properties.

또한, 상기 멀티 중합 공정에서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의 흐름성 및 비닐 아세테이트 함량 제어를 통해 후 가공 물성인 접착강도가 우수한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를 제조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in the multi-polymerization process, it is possible to prepare an ethylene vinyl acetate copolymer having excellent adhesive strength, which is a post-processing property, by controlling the flowability and vinyl acetate content of the ethylene vinyl acetate copolymer.

이하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의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rough preferred embodiments. Prior to this, terms or words used in the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ir usual or dictionary meanings, and the inventors appropriately explain the concept of terms in order to explain their own invention in the best way. Based on the principle that it can be defined, it should be interpreted as a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since the configuration of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is only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es not represent all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equivalents and modifications that can be substituted for them at the time of the present applica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may be

본 발명자들은 종래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 제조에 있어, 오토클레이브 반응기 또는 튜블라 반응기를 이용한 단일 공정의 경우 상반된 분자량 특성으로 인해 후가공에서 네크인성 및 드로우 다운성을 모두 만족시키는 것이 어려운 사실과, 오토클레이브 반응기 및 튜블라 반응기를 조합한 멀티 공정에 있어서도 그 구체적인 반응기 조건에 대해서는 제시되지 않아, 공정 조절을 통한 문제 해결이 쉽지 않은 상황을 직시하고 연구를 거듭한 결과, 오토클레이브 공정과 튜블라 공정을 순차적으로 진행함으로써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의 분자량 특성 조절이 가능하고, 나아가 각 반응기의 압력 및 온도 조절을 통해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의 분자량 분포를 최대한 넓힌 상태에서, 고분자량 영역이 감소되면서 좁은 분자량 분포를 갖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여 네크인성 및 드로우 다운성이 모두 우수한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를 제조할 수 있음을 발견하고 본 발명에 이르게 되었다.The present inventors have found that it is difficult to satisfy both neck-in and draw-down properties in post-processing due to opposite molecular weight characteristics in the case of a single process using an autoclave reactor or a tubular reactor in the production of a conventional ethylene vinyl acetate copolymer, and autoclave Even in the multi-process that combines a reactor and a tubular reactor, the specific reactor conditions are not presented, so we faced a situation in which it is not easy to solve a problem through process control and as a result of repeated research, the autoclave process and the tubular process were sequentially performed.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molecular weight characteristics of the ethylene vinyl acetate copolymer by proceeding to the ethylene vinyl acetate copolymer, and furthermore, the molecular weight distribution of the ethylene vinyl acetate copolymer is maximized by controlling the pressure and temperature of each reactor, and the high molecular weight region is reduced while narrowing the molecular weight distribution. It was found that it is possible to have an ethylene vinyl acetate copolymer excellent in both neck-in properties and draw-down properties, resulting in the present invention.

따라서, 본 발명은 (a) 중합 개시제 및 분자량 분포 조절을 위한 개질제 존재 하에 에틸렌 단량체 및 비닐 아세테이트 단량체를 오토클레이브 반응기에서 중합하는 단계; 및 (b) 상기 (a) 단계에서 중합된 중합체 및 미반응 단량체를 튜블라 반응기에 투입하여 연속적으로 중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 제조방법을 개시한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a) polymerizing an ethylene monomer and a vinyl acetate monomer in an autoclave reactor in the presence of a polymerization initiator and a modifier for controlling molecular weight distribution; and (b) adding the polymer polymerized in step (a) and the unreacted monomer to a tubular reactor to continuously polymerize it; discloses a method for preparing an ethylene vinyl acetate copolymer comprising.

본 발명에서는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를 제조함에 있어, 오토클레이브 공정과 튜블라 공정을 순차적으로 진행하는 멀티 공정 적용을 통해 분자량 분포(MWD, Mw/Mn)를 최대한 넓힘으로써 개질제에 의한 고분자량 영역의 감소 조절 폭을 넓혀 상대적으로 분자량 분포 조절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반응기 온도와 압력을 조절하여 고분자량 영역 감소 효과를 극대화시켜 좁은 분자량 분포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오토클레이브 단일 공정에서 제공되는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 대비 상대적으로 적은 고분자량 영역과 좁은 분자량 분포 특성으로 우수한 드로우 다운성을 구현할 수 있으며, 튜블러 단일 공정을 통해 제공되는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 대비 동등한 드로우 다운성을 가지면서도 우수한 네크인 특성을 갖는 공중합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분자량 특성 조절과 함께 흐름성 및 비닐 아세테이트 함량 제어를 통해 잉크가 인쇄된 종이와의 접착강도를 개선시킬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in manufacturing the ethylene vinyl acetate copolymer, the molecular weight distribution (MWD, Mw/Mn) is maximized through the multi-process application of the autoclave process and the tubular process sequentially. It is possible to relatively easily control the molecular weight distribution by widening the reduction control range.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obtain a narrow molecular weight distribution by controlling the reactor temperature and pressure to maximize the effect of reducing the high molecular weight region. Therefore, it is possible to realize excellent drawdown properties with a relatively small high molecular weight region and narrow molecular weight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compared to the ethylene vinyl acetate copolymer provided in a single autoclave process, and compared to the ethylene vinyl acetate copolymer provided through a single tubular process. It is possible to provide a copolymer having an excellent neck-in property while having an equivalent drawdown property.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adhesion strength of the ink with the printed paper by controlling the flowability and vinyl acetate content along with controlling the molecular weight properties.

본 발명에서 오토클레이브 반응기는 압력이 1,700 내지 2,200 kgf/㎠, 상부 온도가 140 내지 170℃ 및 하부 온도가 185 내지 225℃에서 설정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압력이 1,850 내지 2,050 kgf/㎠, 상부 온도가 145 내지 165℃ 및 하부 온도가 195 내지 215℃에서 설정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오토클레이브 반응기의 상부 온도 및 하부 온도는 각각 반응기의 가장 높은 위치의 단과 반응기의 가장 낮은 위치의 단에 설치된 온도 센서(thermocouple)에 의해 측정된 온도를 의미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autoclave reactor may have a pressure of 1,700 to 2,200 kgf/cm 2 , an upper temperature of 140 to 170° C. and a lower temperature of 185 to 225° C., preferably a pressure of 1,850 to 2,050 kgf/cm 2, upper The temperature can be set at 145 to 165°C and the lower temperature at 195 to 215°C. Here, the upper temperature and lower temperature of the autoclave reactor mean temperatures measured by temperature sensors (thermocouples) installed at the highest stage of the reactor and the lowest stage of the reactor, respectively.

상기 오토클레이브 반응기 압력이 1,700 kgf/㎠ 미만이면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의 장쇄분지가 많이 생성되어 Z 평균 분자량이 커지고, 가공성 면에서 드로우 다운성이 저하될 수 있고, 반응기 압력이 2,200 kgf/㎠을 초과하면 오토클레이브 반응기의 한계 운영치에 가까워져 생산 안정성에 문제될 수 있고, 장쇄분지가 너무 적어져 Z 평균 분자량이 작아지고, 가공성 면에서 네크인 특성이 저하될 수 있다.If the autoclave reactor pressure is less than 1,700 kgf / ㎠, a lot of long-chain branches of the ethylene vinyl acetate copolymer are generated, the Z average molecular weight is increased, the drawdown property in terms of processability may be reduced, and the reactor pressure is 2,200 kgf / cm 2 If it exceeds the limit operating value of the autoclave reactor, production stability may be problematic, long chain branches become too small, the Z average molecular weight becomes small, and the neck-in characteristics in terms of processability may be deteriorated.

또한, 상기 오토클레이브 반응기는 상부 온도가 140℃ 미만이면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의 장쇄분지가 줄어들어 Z 평균 분자량이 작아지며, 가공성 면에서 네크인 특성이 저하될 수 있고, 반응기 상부 온도가 170℃를 초과하면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의 장쇄분지가 증가하여 Z 평균 분자량이 커지며, 가공성 면에서 드로우 다운성이 저하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autoclave reactor, if the upper temperature is less than 140 ° C, the long chain branches of the ethylene vinyl acetate copolymer are reduced, the Z average molecular weight is reduced, the neck-in characteristics in terms of processability may be lowered, and the upper temperature of the reactor is 170 ° C. When it exceeds, the long-chain branching of the ethylene vinyl acetate copolymer increases, resulting in an increase in the average molecular weight of Z, and the drawdown property may decrease in terms of processability.

또한, 상기 오토클레이브 반응기 하부 온도가 185℃ 미만이면 생산 로드가 저하될 수 있고, 225℃를 초과하면 반응기의 안정성에 문제가 생길 수 있으며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의 Z 평균 분자량이 증가하여 가공성 면에서 드로우 다운성이 저하될 수 있다.In addition, if the lower temperature of the autoclave reactor is less than 185 ℃, the production load may be lowered, and if it exceeds 225 ℃, there may be a problem in the stability of the reactor. Drawdown properties may be deteriorated.

상기 오토클레이브 반응기에서 중합 개시를 위한 개시제가 사용된다. 사용되는 중합 개시제 종류에 제한이 있는 것은 아니나, 본 발명의 목적 달성을 위해 바람직하게는 2가지 이상의 퍼옥사이드가 사용될 수 있고, 상기 반응 온도에 맞는 활성도 관점에서 예컨대, 반응기 상부에는 t-부틸 퍼옥시네오데카노에이트(t-butyl peroxyneodecanoate)를 투입하고, 하부에는 디-t-부틸 퍼옥시이소부티레이트(di-t-butyl peroxyisobutyrate)를 투입할 수 있다.An initiator for initiating polymerization is used in the autoclave reactor. Although there is no limitation on the type of polymerization initiator used, two or more peroxides may be preferably used to achiev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rom the viewpoint of the activity suitable for the reaction temperature, for example, at the upper part of the reactor, t -butyl peroxy Neo having an input decanoate (t -butyl peroxyneodecanoate), and the lower part of the de-can inject the butylperoxy isobutyrate (di-t-butyl peroxyisobutyrate) - t.

또한, 상기 오토클레이브 반응기에서 분자량 분포 조절을 위한 개질제가 사용된다. 사용되는 개질제 종류에 제한이 있는 것은 아니나, 본 발명의 목적 달성과 상기 반응기 조건을 고려하여 1-부텐(1-butene), 2-부텐(2-butene), 이소부틸렌(iso-butylene)과 같은 C4 계열의 올리핀계 탄화수소가 선택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개질제의 투입량은 120 내지 200 kg/hr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40 내지 180 kg/hr로 할 수 있다. 상기 개질제 투입량이 120 kg/hr 미만일 경우 개질제에 의한 분자량 분포 조절이 어려울 수 있고, 200 kg/hr을 초과할 경우 저분자의 생성이 극대화되어 용융지수 및 밀도의 증가, Z 평균 분자량 감소 현상이 발생하여, 이로 인해 가공성 면에서 네크인 특성이 저하될 수 있다.In addition, a modifier for controlling molecular weight distribution is used in the autoclave reactor. Although there is no limitation on the type of modifier used, 1-butene, 2-butene, isobutylene and The same C4 series olipine hydrocarbon may be selected. In this case, the amount of the modifier is preferably 120 to 200 kg/hr, more preferably 140 to 180 kg/hr. When the amount of the modifier input is less than 120 kg/hr, it may be difficult to control the molecular weight distribution by the modifier, and when it exceeds 200 kg/hr, the production of low molecules is maximized, so that the melt index and density increase, and the Z average   molecular weight decrease occurs. , which may result in a decrease in neck-in properties in terms of workability.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를 중합함에 있어 상기 오토클레이브 반응기에 에틸렌 단량체와 함께 비닐 아세테이트 단량체를 투입하며, 최종 공중합체 기준으로 10 내지 30 중량% 함량이 되도록 투입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23 중량% 함량이 되도록 투입할 수 있다. 상기 비닐 아세테이트 함량이 10 중량% 미만일 경우 접착 특성이 열위할 수 있고, 30 중량%를 초과할 경우 T-Die 압출기 내에서 가교 겔(Gel) 발생 가능성이 높고, 지나치게 높은 접착 특성으로 코팅 공정으로의 적용이 어려울 수 있다.In polymerizing the ethylene vinyl acetate copolymer, the vinyl acetate monomer is added together with the ethylene monomer to the autoclave reactor, and may be added in an amount of 10 to 30% by weight based on the final copolymer, preferably 15 to 23% by weight. % content can be added. If the vinyl acetate content is less than 10% by weight, adhesive properties may be inferior, and if it exceeds 30% by weight, cross-linking gel is highly likely to occur in the T-Die extruder, and due to excessively high adhesive properties, the coating process It can be difficult to apply.

상기 오토클레이브 반응기에서 1차로 중합된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는 연속적인 반응 과정으로 오토클레이브 후단에 설치된 튜블라 반응기에 1차 중합된 중합체 및 미반응 단량체가 투입되어 추가 공정이 진행된다.The ethylene vinyl acetate copolymer firstly polymerized in the autoclave reactor is a continuous reaction process, and the primary polymerized polymer and unreacted monomer are added to the tubular reactor installed at the rear end of the autoclave, and an additional process is performed.

상기 튜블라 반응기를 통한 추가 반응으로, 1 내지 10 중량% 수준, 공정 조건에 따라서는 10 중량% 이상의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가 추가로 생성될 수 있으며, 튜블라 반응기를 통한 2차 중합 과정을 통해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의 분자량 분포가 보다 넓어지며, 생산량 및 생산 로드가 증가하게 된다.By the additional reaction through the tubular reactor, ethylene vinyl acetate copolymer at a level of 1 to 10% by weight, 10% by weight or more depending on process conditions may be additionally produced, and through the secondary polymerization process through the tubular reactor The molecular weight distribution of the ethylene vinyl acetate copolymer is wider, and the output and production load are increased.

본 발명에서 상기 튜블라 반응기는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의 적정 장쇄분지 생성에 따른 네크인성, 드로우 다운성 등을 고려하여 압력이 1,700 내지 2,200 kgf/㎠ 및 반응기 온도가 185 내지 225℃에서 설정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압력이 1,850 내지 2,050 kgf/㎠ 및 반응기 온도가 195 내지 215℃에서 설정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ubular reactor has a pressure of 1,700 to 2,200 kgf / ㎠ and a reactor temperature of 185 to 225 ℃ in consideration of the neck-in and draw-down properties according to the generation of appropriate long-chain branches of the ethylene vinyl acetate copolymer. Preferably, the pressure may be set at 1,850 to 2,050 kgf/cm 2 and the reactor temperature at 195 to 215° C.

상기 튜블라 반응기 압력이 1,700 kgf/㎠ 미만이면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의 장쇄분지가 많이 생성되어 Z 평균 분자량이 커지고, 가공성 면에서 드로우 다운성이 저하될 수 있고, 반응기 압력이 2,200 kgf/㎠을 초과하면 장쇄분지가 너무 적어져 Z 평균 분자량이 작아지고, 가공성 면에서 네크인 특성이 저하될 수 있다.If the tubular reactor pressure is less than 1,700 kgf / ㎠, a lot of long-chain branches of the ethylene vinyl acetate copolymer are generated, so the Z average molecular weight increases, and the drawdown property in terms of processability may decrease, and the reactor pressure is 2,200 kgf / ㎠ If it exceeds, the long-chain branching becomes too small, the Z average molecular weight becomes small, and the neck-in characteristic in terms of workability may be deteriorated.

또한, 상기 튜블라 반응기는 온도가 185℃ 미만이면 반응 활성이 저하되어 추가 반응에 따른 특성 개선 및 생산 로드 증가가 미미해질 수 있고, 225℃를 초과하면 반응 활성이 안정하지 못하며, 고압, 고온 반응으로 인해 안전성에 문제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tubular reactor, when the temperature is less than 185 ° C, the reaction activity is lowered, so the improvement of properties and increase in the production load according to the additional reaction may be insignificant, and if it exceeds 225 ° C, the reaction activity is not stable, and high pressure, high temperature reaction This may cause safety issues.

상기 튜블라 반응기에는 중합 개시를 위한 개시제가 첨가될 수 있다. 첨가되는 중합 개시제 종류에 제한이 있는 것은 아니나, 본 발명의 목적 달성을 위해 바람직하게는 2가지 이상의 퍼옥사이드가 사용될 수 있고, 상기 반응 온도에 맞는 활성도 관점에서 예컨대, t-부틸 퍼옥시벤조에이트(t-butyl peroxybenzoate), t-부틸-퍼옥시-3,5,5,-트리메틸헥사노에이트(t-butyl peroxy-3,5,5-trimethylhexanoate), t-부틸 퍼옥시이소부티레이트(t-butyl peroxyisobutyrate), t-부틸-퍼옥시피발레이트(t-butyl peroxypivalate) 등의 개시제가 2종 이상 조합되어 첨가될 수 있다.An initiator for initiating polymerization may be added to the tubular reactor. Although there is no limitation on the type of polymerization initiator to be added, preferably two or more peroxides may be used to achiev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n terms of activity suitable for the reaction temperature, for example, t -butyl peroxybenzoate ( t -butyl peroxybenzoate), t -butyl- peroxy-3,5,5,-trimethylhexanoate ( t- butyl peroxy-3,5,5-trimethylhexanoate), t -butyl peroxyisobutyrate ( t-butyl peroxyisobutyrate), t-butyl-peroxypivalate (t -butyl peroxypivalate) it may be added to an initiator such as a combination of two or more.

상기 오토클레이브 반응기 및 튜블라 반응기의 연속 중합 공정을 통해 제조되는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는 용융지수(ASTM D1238, 125℃, 2.16 kg 하중)가 10 내지 25 g/10분, 분자량 분포(MWD, Mw/Mn)가 4 내지 6, Z 평균 분자량이 130,000 내지 200,000일 수 있고, 전술한 바와 같이, 비닐 아세테이트 함량이 10 내지 30 중량%일 수 있다.The ethylene vinyl acetate copolymer prepared through the continuous polymerization process of the autoclave reactor and the tubular reactor has a melt index (ASTM D1238, 125°C, 2.16 kg load) of 10 to 25 g/10 min, molecular weight distribution (MWD, Mw) /Mn) may be 4 to 6, the Z average molecular weight may be 130,000 to 200,000, and as described above, the vinyl acetate content may be 10 to 30 wt%.

상기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의 용융지수가 10 g/10분 미만일 경우 네크인 특성은 우수하나, 드로우 다운 특성이 크게 저하되어 T-Die 코팅 시 가공 안정성이 떨어져 고속 가공이 어려울 수 있고, 25 g/10분을 초과할 경우 상대적으로 드로우 다운 특성은 크게 향상되나, 네크인 특성이 열세하여 T-Die 코팅 가공 시 생산성이 저하될 수 있다.When the melt index of the ethylene vinyl acetate copolymer is less than 10 g/10 min, the neck-in property is excellent, but the draw-down property is greatly reduced, so that the processing stability during T-Die coating is poor, so high-speed processing may be difficult, and 25 g/ If it exceeds 10 minutes, the draw-down characteristic is relatively improved, but the neck-in characteristic is inferior, and thus the productivity may decrease during T-Die coating processing.

또한, 상기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의 분자량 분포(MWD, Mw/Mn)가 4 미만일 경우 압출 가공 시 압출 부하가 커지고 가공성 면에서 네크인 특성이 저하될 수 있고, 분자량 분포가 6을 초과할 경우 가공성 면에서 드로우 다운 특성이 저하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의 Z 평균 분자량이 130,000 미만일 경우 네크인 특성이 저하될 수 있고, 200,000을 초과할 경우 드로우 다운 특성이 저하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molecular weight distribution (MWD, Mw/Mn) of the ethylene vinyl acetate copolymer is less than 4, the extrusion load increases during extrusion processing and the neck-in property may be deteriorated in terms of processability, and when the molecular weight distribution exceeds 6, processability In this case, the draw-down characteristic may be deteriorated. Similarly, when the Z average molecular weight of the ethylene vinyl acetate copolymer is less than 130,000, the neck-in property may be deteriorated, and when it exceeds 200,000, the draw-down property may be deteriorated.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에틸렌 비닐 아세에테이트 공중합체는 코팅 및 라미네이션 가공 속도 조건에 따라 적합한 용융지수 및 비닐 아세테이트 함량을 갖는 공중합체가 적용될 수 있다.Meanwhile, the ethylene vinyl acetate copolym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 copolymer having a suitable melt index and vinyl acetate content depending on the coating and lamination processing speed conditions.

코팅 및 라미네이션 가공은 통상의 압출코팅 기술을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으며, 에틸렌 비닐 아세에테이트 공중합체를 압출 장치에 투입하고 용융물로서 T-Die로 토출시켜 아래의 냉각 롤 및 닙 롤을 통해 주행하고 있는 기재에 코팅시키게 된다. 이때, 압출기 용융 온도는 130 내지 240℃로 설정될 수 있으며, T-Die 온도는 210 내지 240℃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냉각 롤 및 닙 롤을 통해 주행하는 기재는 다양한 소재의 필름이 적용될 수 있으며, 예컨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 이축 연신 폴리프로필렌(BOPP) 필름 등이 선택될 수 있다.Coating and lamination processing can be performed using a conventional extrusion coating technique, and the ethylene vinyl acetate copolymer is put into an extrusion device and discharged as a T-die as a melt, which runs through a cooling roll and a nip roll below. coated on the substrate. At this time, the extruder melting temperature may be set to 130 to 240 ℃, T-Die temperature may be set to 210 to 240 ℃. Films of various materials may be applied to the substrate traveling through the cooling roll and the nip roll, for example, a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film, a biaxially stretched polypropylene (BOPP) film, and the like may be selected.

여기서, 주행 속도는 80 m/분에서 300 m/분에 이르기까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는데, 주행 속도에 따라서 상기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의 특성을 구분하여 제공할 수 있다. 즉, 주행 속도 80 내지 150 m/분 수준에서 제공될 수 있는 중저속용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는 전술한 중합 조건으로 제공되는 공중합체 중에서 용융지수가 13 내지 17 g/10분 및 비닐 아세테이트 함량이 16 내지 20 중량%인 공중합체가 바람직하게 적용될 수 있으며, 150 내지 300 m/분 수준에서 제공될 수 있는 고속용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는 용융지수가 18 내지 22 g/10분 및 비닐 아세테이트 함량이 16 내지 22 중량%인 공중합체가 바람직하게 적용될 수 있다.Here, the running speed may be set variously from 80 m/min to 300 m/min,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ethylene vinyl acetate copolymer may be classified and provided according to the running speed. That is, the ethylene vinyl acetate copolymer for medium and low speed, which can be provided at a running speed of 80 to 150 m/min, has a melt index of 13 to 17 g/10 min and a vinyl acetate content of 16 among the copolymers provided under the aforementioned polymerization conditions. A copolymer of from 20 wt % to 20 wt % can be preferably applied, and the high-speed ethylene vinyl acetate copolymer, which can be provided at a level of 150 to 300 m/min, has a melt index of 18 to 22 g/10 min and a vinyl acetate content of 16 to 22% by weight of the copolymer may be preferably applied.

이상의 본 발명에 따르면, 가공성 면에서 네크인성 및 드로우 다운성이 모두 우수한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를 제조할 수 있도록 하게 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prepare an ethylene vinyl acetate copolymer excellent in both neck-in and draw-down properties in terms of processability.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되는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는 하기 방법에 따라 측정된 네크인 비율이 25% 이하 및 최대 가공속도가 100 m/min 이상일 수 있다.Specifically, the ethylene vinyl acetate copolymer prepar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a neck-in ratio of 25% or less and a maximum processing speed of 100 m/min or more, measur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method.

[네크인 비율 측정방법][Method of measuring neck-in ratio]

토출폭 450 mm인 압출코팅기를 사용하여 이축 연신 폴리프로필렌 필름에 상기 제조된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를 다이 온도 230℃에서 코팅하되, 압출코팅 가공속도 60 m/min에서 코팅 두께 20 ㎛로 성형할 때의 코팅폭을 측정하여 토출폭 대비 코팅폭을 측정하여 네크인 비율을 계산함.Using an extrusion coating machine with a discharge width of 450 mm, the ethylene vinyl acetate copolymer prepared above is coated on a biaxially stretched polypropylene film at a die temperature of 230 ° C. When molding to a coating thickness of 20 μm at an extrusion coating processing speed of 60 m/min Calculate the neck-in ratio by measuring the coating width compared to the discharge width by measuring the coating width.

[최대 가공속도 측정방법][Method of measuring maximum processing speed]

상기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를 이용한 압출코팅 시 압출코팅기의 스크류 35 rpm에서의 최대 가공속도를 측정함.The maximum processing speed was measured at 35 rpm of the screw of the extrusion coating machine during extrusion coating using the ethylene vinyl acetate copolymer.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후 가공 물성인 접착강도 역시 우수한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를 제조할 수 있도록 하게 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epare an ethylene vinyl acetate copolymer excellent in adhesive strength, which is a post-processing property.

상기 에틸렌 비닐 아세에테이트 공중합체는 압출코팅 가공 이후, 후 가공 과정을 거쳐 최종 제품으로 소비자에게 제공되며, 예컨대, 이축 연신 폴리프로필렌 필름에 코팅된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는 잉크로 인쇄된 종이와 라미네이션 가공을 거치게 된다. 이때, 인쇄된 종이의 기재 특성은 인쇄에 사용된 잉크의 화학적 접착력과 종이의 상대적으로 높은 거칠기 특성으로 인하여 물리적 접착력이 중요하다. 따라서, 압출 가공 작업이 가능한 범위에서의 적절한 용융지수와 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 함량이 중요하다.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되는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는 하기 방법에 따라 측정된 접착강도가 40 kgf/㎠ 이상일 수 있다.The ethylene vinyl acetate copolymer is provided to the consumer as a final product through an extrusion coating process and a post-processing process. For example, the ethylene vinyl acetate copolymer coated on a biaxially oriented polypropylene film is laminated with ink printed paper. will go through processing. In this case, the physical adhesion of the printed paper is important due to the chemical adhesion of the ink used for printing and the relatively high roughness of the paper.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have an appropriate melt index and vinyl acetate copolymer content in the range where extrusion processing is possible. The ethylene vinyl acetate copolymer prepar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an adhesive strength of 40 kgf/cm 2 or more measur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method.

[접착강도 측정방법][Measuring method of adhesive strength]

이축 연신 폴리프로필렌 필름에 상기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를 코팅(40 ㎛ 두께) 후 잉크프린트로 인쇄된 검정 종이 기재에 100℃ 및 속도 3 m/min 조건으로 라미네이션 후 만능 인장시험기를 이용하여 Load Cell 100 N 및 속도 200 mm/min 조건으로 종이와 상기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 간 접착강도를 측정함.After coating the ethylene vinyl acetate copolymer on a biaxially stretched polypropylene film (40 μm thickness), lamination on a black paper substrate printed with ink printing at 100° C. and a speed of 3 m/min. Using a universal tensile tester, Load Cell 100 The adhesive strength between the paper and the ethylene vinyl acetate copolymer was measured under the conditions of N and a speed of 200 mm/min.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오토클레이브 공정과 튜블라 공정을 연속적으로 진행하는 멀티 공정을 포함함으로써 공정 민감도가 감소하므로 공정성 및 생산성이 개선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제조방법은 오토클레이브 반응기만으로 중합하는 단일 공정 또는 튜블라 반응기만으로 중합하는 단일 공정에 비해 시간당 생산량이 1 내지 20%, 바람직하게는 5 내지 20%,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20% 개선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process sensitivity is reduced by including a multi-process in which the autoclave process and the tubular process are continuously performed, processability and productivity can be improved. That is, the produc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hourly production rate of 1 to 20%, preferably 5 to 20%, more preferably 10 to 20%, compared to a single process of polymerization only with an autoclave reactor or a single process of polymerization with only a tubular reactor It can be improved by 20%.

이하, 구체적인 실시예 및 비교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through specific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실시예 1Example 1

퍼지가스 압축기(Purge gas compressor)를 통해 재순환 가스를 투입시키면서 압력을 50 kgf/㎠까지 압축하고, 1차 압축기(Primary Compressor)에서 에틸렌 가스 및 비닐 아세테이트 단량체를 투입시키면서 압력을 250 kgf/㎠의 조건으로 유지하고, 2차 압축기(Hyper Compressor)에서 1,600 kgf/㎠의 상태를 유지시켰다.Compress the pressure to 50 kgf/cm2 while inputting the recirculated gas through a purge gas compressor, and ethylene gas and vinyl acetate monomers are introduced from the primary compressor, and the pressure is 250 kgf/cm2 and maintained at 1,600 kgf/cm 2 in a secondary compressor (Hyper Compressor).

2차 압축기에서 고압으로 압축한 에틸렌 가스 및 비닐 아세테이트 단량체를 오토클레이브 반응기에 투입하고, 반응기 압력을 1,900 kgf/㎠, 반응기 상부 온도를 150℃ 및 반응기 하부 온도를 200℃로 설정하고, 개질제로 1-부텐을 160 kg/hr 투입하였다. 중합 개시제는 탄화수소로 희석하여 반응기 상부에는 t-부틸 퍼옥시네오데카노에이트(t-butyl peroxyneodecanoate)를 투입하고, 하부에는 디-t-부틸 퍼옥시이소부티레이트(di-t-butyl peroxyisobutyrate)를 투입하였다. 오토클레이브 반응기에서 나온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 미반응 에틸렌 가스 및 아세테이트 단량체는 튜블러 반응기에 바로 투입되고, 반응기 압력 1,900 kgf/㎠ 및 반응기 온도 200℃ 조건에서 추가 반응을 진행하였다. 튜블러 반응기에서 중합 개시제로는 t-부틸 퍼옥시벤조에이트(t-butyl peroxybenzoate) 및 t-부틸-퍼옥시-3,5,5,-트리메틸헥사노에이트(t-butyl peroxy-3,5,5-trimethylhexanoate)를 투입하였다. 오토클레이브 반응기 및 튜블러 반응기의 압력 및 온도 조건과 함께 체류시간 등을 조절하여 하기 표 1의 용융지수, 비닐 아세테이트 함량, 분자량 특성을 갖는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를 제조하였다.Ethylene gas and vinyl acetate monomer compressed under high pressure in the secondary compressor were put into the autoclave reactor, the reactor pressure was set to 1900 kgf/cm 2 , the reactor upper temperature was set to 150 °C, and the reactor lower temperature was set to 200 °C, and the modifier was 1 -Butene was added at 160 kg/hr. The polymerization initiator is diluted with a hydrocarbon reactor upper portion t - butyl peroxyneodecanoate (t -butyl peroxyneodecanoate) input to, and the lower part di - t - butylperoxy isopropyl butyrate In the (di- t -butyl peroxyisobutyrate) did. The ethylene vinyl acetate copolymer, unreacted ethylene gas, and acetate monomer from the autoclave reactor were directly introduced into the tubular reactor, and further reaction was performed at a reactor pressure of 1,900 kgf/cm 2 and a reactor temperature of 200°C. In the tubular reactor, the polymerization initiator t-butyl peroxybenzoate (t -butyl peroxybenzoate), and t-butyl-peroxy -3,5,5-trimethyl hexanoate (t -butyl peroxy-3,5, 5-trimethylhexanoate) was added. Ethylene vinyl acetate copolymers having the melt index, vinyl acetate content, and molecular weight characteristics of Table 1 below were prepared by controlling the residence time, etc. together with the pressure and temperature conditions of the autoclave reactor and the tubular reactor.

실시예 2 내지 8 및 비교예 1 내지 2Examples 2 to 8 and Comparative Examples 1 to 2

실시예 1에서 중합 조건을 하기 표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변화시킨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를 제조하였다.An ethylene vinyl acetate copolymer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the polymerization conditions in Example 1 were changed as shown in Table 1 below.

시험예Test example

상기 제조된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에 대하여 하기 방법으로 물성, 가공성 및 접착강도를 측정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The physical properties, processability and adhesive strength of the prepared ethylene vinyl acetate copolymer were measured in the following manner, and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1 below.

[측정방법][How to measure]

(1) 용융지수(MI, Melt flow Index)(1) Melt flow index (MI)

ASTM D1238에 준하여 125℃ 및 2.16 kg 하중 조건에서 측정하였다.It was measured at 125° C. and a load of 2.16 kg according to ASTM D1238.

(2) 비닐 아세테이트 함량(2) vinyl acetate content

Nicolet사의 FT-IR 기기로 측정하여 기준 피크(Peak)인 1980-2090㎝-1의 면적과 비닐 아세테이트 피크인 580-670㎝-1의 면적비를 구하여 함량을 계산하였다.A content obtaining the area and the peak area ratio of the vinyl acetate 580-670㎝ -1 -1 1980-2090㎝ of reference peak (Peak) was calculated by measuring by FT-IR Nicolet instrument Corporation.

(3) 분자량 특성(분자량 분포(MWD, Mw/Mn), Z 평균 분자량)(3) molecular weight characteristics (molecular weight distribution (MWD, Mw/Mn), Z average molecular weight)

ASTM D3536에 준하여 GPC 분석법으로 측정하였다.It was measured by GPC analysis according to ASTM D3536.

(4) 네크인 비율(4) Neck-in ratio

토출폭 450 mm인 압출코팅기를 사용하여 이축 연신 폴리프로필렌 필름에 상기 제조된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를 다이 온도 230℃에서 코팅하되, 압출코팅 가공속도 60 m/min에서 코팅 두께 20 ㎛로 성형할 때의 코팅폭을 측정하여 토출폭 대비 코팅폭을 측정하여 네크인 비율을 계산하였다.Using an extrusion coating machine with a discharge width of 450 mm, the ethylene vinyl acetate copolymer prepared above is coated on a biaxially stretched polypropylene film at a die temperature of 230 ° C. When molding to a coating thickness of 20 μm at an extrusion coating processing speed of 60 m/min The neck-in ratio was calculated by measuring the coating width compared to the discharge width by measuring the coating width.

(5) 최대 가공속도(5) Maximum machining speed

드로우 다운 특성 파악을 위해 상기 압출코팅 시 압출코팅기의 스크류 35 rpm에서의 최대 가공속도를 측정하였다.In order to identify the drawdown characteristics, the maximum processing speed at 35 rpm of the screw of the extrusion coating machine was measured during the extrusion coating.

(6) 접착강도(6) Adhesive strength

이축 연신 폴리프로필렌 필름에 상기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를 코팅(40 ㎛ 두께) 후 잉크프린트로 인쇄된 검정 종이 기재에 100℃ 및 속도 3 m/min 조건으로 라미네이션 후 만능 인장시험기를 이용하여 Load Cell 100 N 및 속도 200 mm/min 조건으로 종이와 상기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 간 접착강도를 측정함.After coating the ethylene vinyl acetate copolymer on a biaxially oriented polypropylene film (40 μm thick), it was applied to a black paper substrate printed by ink printing at 100° C. and a speed of 3 m/min. After lamination as a condition, the adhesive strength between the paper and the ethylene vinyl acetate copolymer was measured under the conditions of Load Cell 100 N and speed 200 mm/min using a universal tensile tester.

(7) 생산 로드(7) production load

각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의 시간당 생산량을 제조 설비의 Control pannel을 통해 자동 계측하였다.The hourly production in each Example and Comparative Example was automatically measured through the control panel of the manufacturing facility.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1

표 1을 참조하면 먼저, 본 발명에 따라 오토클레이브 공정과 튜블라 공정을 순차적으로 진행하되, 반응기 압력 및 온도, 용융지수 및 비닐 아세테이트 함량을 바람직한 범위로 조절할 경우(실시예 1 및 2) 고분자량 영역이 감소되면서 좁은 분자량 분포를 갖게 되어, 네크인성 및 드로우 다운성이 우수하고, 나아가 우수한 접착강도를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다.Referring to Table 1, first, the autoclave process and the tubular process are sequentially perform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ut when the reactor pressure and temperature, the melt index, and the vinyl acetate content are adjusted in preferred ranges (Examples 1 and 2), high molecular weight It can be seen that as the area is reduced, it has a narrow molecular weight distribution, which has excellent neck-in and draw-down properties, and further exhibits excellent adhesive strength.

이에 대하여, 오토클레이브 반응기와 튜블라 반응기의 멀티 공정이 아닌 각각 단일 공정으로 제조할 경우, 오토클레이브 반응기 단일 공정으로 제조 시(비교예 1) 높은 Z 평균 분자량 특성으로 인해 부족한 드로우 다운성을 나타내고, 생산 로드의 감소를 가져오고, 튜블라 반응기 단일 공정으로 제조 시(비교예 2) 네크인성과 드로우 다운성은 실시예 2와 동등 수준이나 접착강도가 저하되고, 생산 로드의 감소를 가져오는 것을 알 수 있다.In contrast, in the case of manufacturing in a single process, not in the multi-process of the autoclave reactor and the tubular reactor, when manufacturing in a single process of the autoclave reactor (Comparative Example 1), it exhibits insufficient drawdown properties due to the high Z average molecular weight characteristics, It can be seen that the production load is reduced, and when the tubular reactor is manufactured in a single process (Comparative Example 2), the neck toughness and drawdown properties are equivalent to those of Example 2, but the adhesive strength is lowered and the production load is reduced. have.

다만, 오토클레이브 반응기와 튜블라 반응기의 멀티 공정을 적용하더라도 반응기의 압력 또는 온도 조건이나, 비닐 아세테이트(VA) 함량이 바람직한 범위에서 다소 벗어날 경우 만족스러운 가공 특성이나 접착강도 특성을 구현하기 어려운 것이 확인된다.However, even if the multi-process of autoclave reactor and tubular reactor is applied, it is confirmed that it is difficult to realize satisfactory processing characteristics or adhesive strength characteristics if the pressure or temperature conditions of the reactor or the vinyl acetate (VA) content are slightly out of the desired range. do.

즉, 오토클레이브 반응기 및 튜블라 반응기의 압력이 다소 낮을 경우(실시예 3 및 4)에는 분자량 분포가 넓고, 높은 고분자량 특성을 보여, 결과적으로 네크인 특성은 우수하나 드로우 다운 특성이 저하되는 것을 알 수 있다.That is, when the pressure of the autoclave reactor and the tubular reactor is somewhat low (Examples 3 and 4), the molecular weight distribution is wide and high molecular weight characteristics are shown, and as a result, the neck-in characteristics are excellent but the draw-down characteristics are lowered. Able to know.

또한, 오토클레이브 반응기 및 튜블라 반응기의 온도가 다소 낮거나 높을 경우(실시예 5 및 6)에는 분자량 분포 또는 Z 평균 분자량이 바람직한 물성을 만족하지 못하여, 결과적으로 네크인 특성과 드로운 다운 특성의 균형 면에서 특정 가공물성으로 치우친 결과를 나타내었으며, 반응기의 온도가 다소 낮을 경우(실시예 5)에는 반응 온도 감소로 인하여 생산 로드가 감소한 것을 알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temperatures of the autoclave reactor and the tubular reactor are somewhat low or high (Examples 5 and 6), the molecular weight distribution or the Z average molecular weight does not satisfy desirable physical properties, resulting in neck-in characteristics and drawdown characteristics. It can be seen that the result was biased toward a specific processing property in terms of balance, and when the temperature of the reactor was somewhat low (Example 5), the production load was reduced due to the decrease in the reaction temperature.

또한, 비닐 아세테이트 함량이 다소 낮을 경우(실시예 7)에는 접착강도 특성이 감소하고, 다소 높을 경우(실시예 8)에는 높은 비닐 아세테이트 함량으로 인해 압출기내 산화가교로 인하여 드로우 다운성이 현저히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vinyl acetate content is somewhat low (Example 7), the adhesive strength property is reduced, and when the vinyl acetate content is somewhat high (Example 8), the drawdown property is significantly reduced due to oxidative crosslinking in the extruder due to the high vinyl acetate content. it can be seen that

이상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above.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illustrative purposes only,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be able to understand that other specific forms can be easily modified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범위 및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Accordingly,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following claims rather than the above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scope, and equivalent concept of the claims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Claims (4)

(a) 중합 개시제 및 분자량 분포 조절을 위한 개질제 존재 하에 에틸렌 단량체 및 비닐 아세테이트 단량체를 오토클레이브 반응기에서 중합하는 단계; 및
(b) 상기 (a) 단계에서 중합된 중합체 및 미반응 단량체를 튜블라 반응기에 투입하여 연속적으로 중합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 제조방법.
(a) polymerizing an ethylene monomer and a vinyl acetate monomer in an autoclave reactor in the presence of a polymerization initiator and a modifier for controlling molecular weight distribution; and
(b) continuously polymerizing the polymer and unreacted monomers polymerized in step (a) by introducing them into a tubular reactor;
A method for producing an ethylene vinyl acetate copolymer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토클레이브 반응기는 압력이 1,700 내지 2,200 kgf/㎠, 상부 온도가 140 내지 170℃ 및 하부 온도가 185 내지 225℃이고, 상기 튜블라 반응기는 압력이 1,700 내지 2,200 kgf/㎠ 및 온도가 185 내지 22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 제조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autoclave reactor has a pressure of 1,700 to 2,200 kgf/cm 2 , an upper temperature of 140 to 170° C. and a lower temperature of 185 to 225° C., and the tubular reactor has a pressure of 1,700 to 2,200 kgf/cm 2 and a temperature of 185 to 225 Ethylene vinyl acetate copolymer manufacturing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
제1항의 방법으로 제조되고, 용융지수(ASTM D1238, 125℃, 2.16 kg 하중)가 10 내지 25 g/10분, 비닐 아세테이트 함량이 10 내지 30 중량%, 분자량 분포(MWD, Mw/Mn)가 4 내지 6 및 Z 평균 분자량이 130,000 내지 200,000인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It is prepared by the method of claim 1, and has a melt index (ASTM D1238, 125°C, 2.16 kg load) of 10 to 25 g/10 min, a vinyl acetate content of 10 to 30% by weight, and a molecular weight distribution (MWD, Mw/Mn) Ethylene vinyl acetate copolymers having 4 to 6 and Z average molecular weights from 130,000 to 200,000. 제1항의 방법으로 제조되고, 하기 방법에 따라 측정된 네크인 비율이 25% 이하, 최대 가공속도가 100 m/min 이상 및 접착강도가 40 kgf/㎠ 이상인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
[네크인 비율 측정방법]
토출폭 450 mm인 압출코팅기를 사용하여 이축 연신 폴리프로필렌 필름에 상기 제조된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를 다이 온도 230℃에서 코팅하되, 압출코팅 가공속도 60 m/min에서 코팅 두께 20 ㎛로 성형할 때의 토출폭 대비 코팅폭을 계산하여 네크인 비율을 {1-(코팅폭/토출폭)}*100 으로 계산함.
[최대 가공속도 측정방법]
토출폭이 450 mm인 압출코팅기를 사용하여 수지 토출량을 700 g/min으로 고정하고, 이축 연신 폴리프로필렌 필름에 상기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를 다이 온도 230℃에서 코팅하되, 가공 속도를 증가시키며 코팅 여부를 확인하고, 수지 흐름이 파단되어 코팅이 되지 않는 시점의 가공속도를 확인함.
[접착강도 측정방법]
이축 연신 폴리프로필렌 필름에 상기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를 코팅(40 ㎛ 두께) 후 잉크프린트로 인쇄된 검정 종이 기재에 100℃ 및 속도 3 m/min 조건으로 라미네이션 후 만능 인장시험기를 이용하여 Load Cell 100 N 및 속도 200 mm/min 조건으로 종이와 상기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 간 접착강도를 측정함.
An ethylene vinyl acetate copolymer prepared by the method of claim 1 and having a neck-in ratio of 25% or less, a maximum processing speed of 100 m/min or more, and an adhesive strength of 40 kgf/cm 2 or more, measur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method:
[Method of measuring neck-in ratio]
Using an extrusion coating machine with a discharge width of 450 mm, the ethylene vinyl acetate copolymer prepared above is coated on a biaxially stretched polypropylene film at a die temperature of 230 ° C. When molding to a coating thickness of 20 μm at an extrusion coating processing speed of 60 m/min Calculate the coating width to the discharge width of the neck-in ratio as {1-(coating width/discharge width)}*100.
[Method of measuring maximum processing speed]
Using an extrusion coating machine with a discharge width of 450 mm, the resin discharge rate is fixed at 700 g/min, and the ethylene vinyl acetate copolymer is coated on a biaxially stretched polypropylene film at a die temperature of 230° C. and check the processing speed at the point when the resin flow is broken and coating is not performed.
[Method of measuring adhesive strength]
After coating the ethylene vinyl acetate copolymer on a biaxially oriented polypropylene film (40 μm thick), it was applied to a black paper substrate printed by ink printing at 100° C. and a speed of 3 m/min. After lamination as a condition, the adhesive strength between the paper and the ethylene vinyl acetate copolymer was measured under the conditions of Load Cell 100 N and speed 200 mm/min using a universal tensile tester.
KR1020190151610A 2019-11-22 2019-11-22 Ethylene vinyl acetate copolymer for extrusion coating with excellent processabilit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 same KR102446740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1610A KR102446740B1 (en) 2019-11-22 2019-11-22 Ethylene vinyl acetate copolymer for extrusion coating with excellent processabilit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 same
CN202011299771.7A CN112830988B (en) 2019-11-22 2020-11-19 Ethylene vinyl acetate copolymer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1610A KR102446740B1 (en) 2019-11-22 2019-11-22 Ethylene vinyl acetate copolymer for extrusion coating with excellent processabilit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3108A true KR20210063108A (en) 2021-06-01
KR102446740B1 KR102446740B1 (en) 2022-09-23

Family

ID=759231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1610A KR102446740B1 (en) 2019-11-22 2019-11-22 Ethylene vinyl acetate copolymer for extrusion coating with excellent processabilit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 same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446740B1 (en)
CN (1) CN112830988B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410247A (en) * 2021-12-20 2022-04-29 张家港保税区康得菲尔实业有限公司 Portrait digital pre-coating film, preparation method and film coating proces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09164A (en) * 2010-09-30 2014-01-22 다우 글로벌 테크놀로지스 엘엘씨 Polymerization process to make low density polyethylene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G156696A1 (en) * 2004-11-02 2009-11-26 Dow Global Technologies Inc Process for producing low density polyethylene compositions and polymers produced therefrom
WO2019088664A2 (en) * 2017-11-03 2019-05-09 주식회사 엘지화학 Method for preparation of ethylene vinylacetate copolyme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09164A (en) * 2010-09-30 2014-01-22 다우 글로벌 테크놀로지스 엘엘씨 Polymerization process to make low density polyethyle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2830988B (en) 2023-12-08
CN112830988A (en) 2021-05-25
KR102446740B1 (en) 2022-09-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75179B2 (en) Low density ethylene-based polymers with high melt strength
US9243087B2 (en) LDPE enabling high output and good optics when blended with other polymers
US8278393B2 (en) Polyethylene blend component and blends containing the same
KR102037561B1 (en) Ethylene-based polymers and processes to make the same
JP4726144B2 (en) Extrusion coated polyethylene
JP6138927B2 (en) Ethylene polymer for extrusion coating
JP2019526648A (en) Multimodal polyethylene composition and film containing the same
WO2009141273A1 (en) Extrusion coating polyethylene composition
JP2015520265A (en) Low density polyethylene for extrusion coating
CA2541180A1 (en) Extrusion coating composition
US20170114163A1 (en) Processes to prepare ethylene-based polymers using a distribution of carbon monoxide
KR102446740B1 (en) Ethylene vinyl acetate copolymer for extrusion coating with excellent processabilit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 same
US11111322B2 (en) Low density ethylene-based polymers for low speed extrusion coating operations
CN113195603B (en) Polyethylene film
KR102145496B1 (en) Low density polyethylene resin with ecellent processability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KR20200068729A (en) Ethylene/CO interpolyme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