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62264A - Drone Delivery Area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 Google Patents

Drone Delivery Area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62264A
KR20210062264A KR1020190150273A KR20190150273A KR20210062264A KR 20210062264 A KR20210062264 A KR 20210062264A KR 1020190150273 A KR1020190150273 A KR 1020190150273A KR 20190150273 A KR20190150273 A KR 20190150273A KR 20210062264 A KR20210062264 A KR 202100622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livery
information
latitude
delivery area
dr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027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329525B1 (en
Inventor
이헌규
강현섭
이양우
유기진
Original Assignee
(주)가이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가이온 filed Critical (주)가이온
Priority to KR10201901502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9525B1/en
Publication of KR202100622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226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95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952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50/28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39/00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C39/02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 B64C39/024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of the remote controlled vehicle type, i.e. RPV
    • B64C2201/128
    • B64C2201/146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2101/00UAV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or applications
    • B64U2101/60UAV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or applications for transporting passengers; for transporting goods other than weap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2201/00UAVs characterised by their flight controls
    • B64U2201/20Remote contro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Marketing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livery area management system and a method thereof, which guide a drone to safely land by inputting a delivery center point into a delivery place and automatically generating an area to be delivered based on the delivery center point. The drone delivery area management system comprises: a delivery area information receiving unit receiving delivery area size information and latitude and longitude information of a delivery center point received from a user; a delivery area coordinate generation unit generating latitude and longitude information of four vertices of a delivery area of a square shape based on the size information of the delivery area and the latitude and longitude information of the delivery center point; a drone delivery address information storage unit storing drone delivery address information by matching road name address information of the delivery center point, the latitude and longitude information of the delivery center point, and the generated latitude and longitude information of the four vertices; and a control unit controlling to deliver an article to the delivery area by transmitting the drone delivery address information to a drone for delivery.

Description

드론 배달영역 관리 시스템 및 방법{Drone Delivery Area Management System and Method}Drone Delivery Area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본 발명은 드론 배달영역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배달 장소에 배달 중심점을 입력하고 배달 중심점을 기준으로 배달할 영역을 자동으로 생성함으로써 보다 안전하게 드론이 착륙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도록 하는 배달영역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rone delivery area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and more particularly, by inputting a delivery center point at a delivery place and automatically generating an area to be delivered based on the delivery center point, it is possible to induce a drone to land more safely. It relates to a delivery area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to enable.

드론 또는 무인비행기는 조종사가 탑승하지 않고 원격조종에 의해 비행을 제어할 수 있는 장치로, 최근에는 광고나 공연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배송용 드론의 상용화 작업이 본격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추세이다.Drones or unmanned aerial vehicles are devices that allow pilots to control flight by remote control without boarding. Recently, they are used in various fields such as advertisements and performances, and recently, the commercialization of drones for delivery is in earnest. to be.

종래기술인 한국등록특허 10-2039797호, "드론의 착륙 유도 장치 및 방법"은 복수의 거리측정센서로부터 드론까지의 측정거리를 기준으로 드론의 착륙을 제어하는 기술을 개시하고 있는데, 드론이 착륙할 장소에 센서가 미리 설치되어 있지 않으면 착륙을 유도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드론이 착륙할 장소에 거리를 측정할 수 있는 센서가 미리 설치되지 않아도 지정한 장소에 드론이 안전하게 착륙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요구된다.The prior art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2039797, "Drone Landing Guidance Device and Method" discloses a technology for controlling the landing of a drone based on the measured distance from a plurality of distance measuring sensors to the drone. If the sensor is not installed in the place in advance, it is difficult to induce landing.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 system and method that allows a drone to safely land at a designated location even if a sensor capable of measuring the distance to the place where the drone will land is not installed in advance.

한국등록특허 10-2039797호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2039797

본 발명은 배달 장소에 배달 중심점을 기준으로 배달할 영역을 자동으로 생성함으로써 보다 안전하게 드론이 착륙할 수 있는 영역을 확보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nduce an area in which a drone can land more safely by automatically generating an area to be delivered based on a delivery center point at a delivery location.

본 발명은 배달 중심점을 기준으로 위도기준지점의 위도 정보 및 경도기준지점의 경도 정보를 조합하여 4개의 꼭지점의 위도 및 경도 정보를 생성함으로써 보다 정확한 위치에 드론이 착륙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aims to induce a drone to land at a more accurate location by generating latitude and longitude information of four vertices by combining the latitude information of the latitude reference point and the longitude information of the longitude reference point based on the delivery center point. do.

본 발명은 4개의 꼭지점의 고도가 소정의 임계치를 벗어나는 경우 배달영역의 크기를 감소함으로써 배달 영역의 특성에 따라 배달 영역을 조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reduce the size of the delivery area when the altitudes of the four vertices exceed a predetermined threshold, so that the delivery area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delivery area.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드론 배달영역 관리 시스템은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은 배달 중심점의 위도 및 경도 정보와 배달영역 크기 정보를 수신하는 배달영역 정보 수신부, 상기 배달 중심점의 위도 및 경도 정보와 상기 배달영역의 크기 정보를 기초로 정사각형 형태의 배달영역의 4개의 꼭지점의 위도 및 경도 정보를 생성하는 배달영역 좌표 생성부, 상기 배달 중심점의 도로명 주소 정보, 상기 배달 중심점의 위도 및 경도 정보 및 상기 생성된 4개의 꼭지점의 위도 및 경도 정보를 매칭하여 드론 배달 주소 정보로 저장하는 드론 배달 주소 정보 저장부, 상기 드론 배달 주소 정보를 배송용 드론에 전송하여 상기 배달영역으로 물건을 배송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In order to achieve this object, the drone delivery area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elivery area information receiving unit that receives the latitude and longitude information and delivery area size information of the delivery center point input from the user, the latitude and the latitude of the delivery center point, and A delivery area coordinate generator that generates latitude and longitude information of four vertices of a square-shaped delivery area based on longitude information and size information of the delivery area, road name address information of the delivery center, and latitude and longitude of the delivery center A drone delivery address information storage unit that matches information and latitude and longitude information of the generated four vertices and stores it as drone delivery address information, and transmits the drone delivery address information to a delivery drone to deliver goods to the delivery area.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control unit to control.

또한, 상기 배달영역 좌표 생성부는 상기 배달 중심점으로부터 남북 방향으로 각각 상기 배달영역의 크기 정보의 절반에 해당하는 만큼 이격된 위도기준지점의 위도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배달 중심점으로부터 동서 방향으로 각각 상기 배달영역의 크기 정보의 절반에 해당하는 만큼 이격된 경도기준지점의 경도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위도기준지점의 위도 정보 및 경도기준지점의 경도 정보를 조합하여 상기 4개의 꼭지점의 위도 및 경도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delivery area coordinate generator generates latitude information of a latitude reference point spaced apart from the delivery center point in a north-south direction by a distance corresponding to half of the size information of the delivery area, respectively, and the delivery in the east-west direction from the delivery center point. The latitude and longitude information of the four vertices is generated by generating longitude information of the longitude reference point separated by half of the size information of the area, and combining the latitude information of the generated latitude reference point and the longitude information of the longitude reference point It may be configured to generate a characteristic.

또한, 상기 배달영역 좌표 생성부는 아래 [수학식 1]In addition, the delivery area coordinate generator below [Equation 1]

Figure pat00001
을 이용하여 남북 방향 각각의 위도기준지점의 위도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 때, D는 상기 배달영역의 크기 정보의 절반의 길이, ∏(Pi)는 원주율, R은 지구 반지름을 의미한다.)
Figure pat00001
It may be configured by generating latitude information of each latitude reference point in the north-south direction by using. (At this time, D is the length of half of the size information of the delivery area, ∏(Pi) is the circumference rate, and R is the radius of the Earth.)

또한, 상기 배달영역 좌표 생성부는 [수학식 2] In addition, the delivery area coordinate generation unit [Equation 2]

Figure pat00002
Figure pat00002

를 이용하여 동서 방향 각각의 경도기준지점의 경도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D는 상기 배달영역의 크기 정보의 절반의 길이, ∏(Pi)는 원주율, R은 지구 반지름을 의미한다.)It characterized in that it generates the hardness information of each hardness reference point in the east-west direction by using. (In this case, D is the length of half of the size information of the delivery area, ∏(Pi) is the circumference rate, and R is the radius of the Earth.)

또한, 상기 배달영역 좌표 생성부는 상기 생성된 4개의 꼭지점의 고도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4개의 꼭지점의 고도가 소정의 임계치를 벗어나는 경우, 상기 4개의 꼭지점의 고도가 소정의 임계치 이내에 존재할 때까지 상기 배달영역의 크기를 감소시키면서 상기 4개의 꼭지점의 위도 및 경도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delivery area coordinate generator checks the generated altitude information of the four vertices, and when the altitudes of the four vertices exceed a predetermined threshold, the altitude of the four vertices is within a predetermined threshold. While reducing the size of the delivery area may be configured to generate the latitude and longitude information of the four vertices.

본 발명은 배달 장소에 배달 중심점을 기준으로 배달할 영역을 자동으로 생성함으로써 보다 안전하게 드론이 착륙할 수 있는 영역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다.The present invention makes it possible to secure an area in which a drone can land more safely by automatically generating an area to be delivered based on a delivery center point at a delivery location.

본 발명은 배달 중심점을 기준으로 위도기준지점의 위도 정보 및 경도기준지점의 경도 정보를 조합하여 4개의 꼭지점의 위도 및 경도 정보를 생성함으로써 보다 정확한 위치에 드론이 착륙할 수 있도록 한다.The present invention creates latitude and longitude information of four vertices by combining the latitude information of the latitude reference point and the longitude information of the longitude reference point based on the delivery center point, so that the drone can land at a more accurate location.

본 발명은 4개의 꼭지점의 고도가 소정의 임계치를 벗어나는 경우 배달영역의 크기를 감소함으로써 배달 영역의 특성에 따라 배달 영역을 조정할 수 있도록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duces the size of the delivery area when the altitude of the four vertices exceeds a predetermined threshold, so that the delivery area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delivery area.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드론 배달영역 관리 시스템의 구성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드론 배달영역 관리를 위한 전체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드론이 배달 영역에 착륙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달 중심점으로부터 배달 영역의 4개 꼭지점의 정보를 생성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로명 주소 또는 인근 건물을 기반으로 배달 중심점을 입력받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달 중심점 좌표를 획득하는 일례들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달 영역 좌표를 생성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드론 배달영역 관리 방법의 순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drone delivery area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for the drone delivery area manage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in which a drone lands in a delivery are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generating information on four vertices of a delivery area from a delivery center poi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receiving a delivery center point based on a road name address or a nearby build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diagram illustrating examples of obtaining coordinates of a delivery center poi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generating coordinates of a delivery are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diagram illustrating a flow chart of a method for managing a delivery area of a dr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 구체적인 수치는 실시예에 불과하며 이에 의하여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지 아니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configuration or function ma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Further, in describing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 numerical values are only examples, and the scope of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by.

본 발명에 따른 드론 배달영역 관리 시스템은 중앙처리장치(CPU) 및 메모리(Memory, 기억장치)를 구비하고 인터넷 등의 통신망을 통하여 다른 단말기와 연결 가능한 서버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중앙처리장치 및 메모리 등의 구성에 의해 한정되지는 아니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시계열 데이터의 유사도 값을 계산하는 시스템은 물리적으로 하나의 장치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복수의 장치에 분산된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어,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물리적인 장치의 구성에 의하여 한정되지 아니한다.The drone delivery area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in the form of a server having a central processing unit (CPU) and a memory (memory device) and capable of connecting to other terminals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such as the Internet.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configuration of the central processing unit and the memory. In addition, the system for calculating the similarity value of time series dat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hysically configured as one device or may be implemented in a form distributed over a plurality of devices. Is not limited by.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드론 배달영역 관리 시스템의 구성도를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drone delivery area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드론 배달영역 관리 시스템은 배달영역 정보 수신부(110), 배달영역 좌표 생성부(120), 드론 배달 주소 정보 저장부(130), 제어부(140)로 구성될 수 있으며, 각각의 구성요소들은 물리적으로 동일한 컴퓨터 시스템 내에서 동작하는 소프트웨어 모듈일 수 있으며, 물리적으로 2개 이상으로 분리된 컴퓨터 시스템이 서로 연동하여 동작할 수 있도록 구성된 형태일 수 있는데, 동일한 기능을 포함하는 다양한 실시형태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The drone delivery area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mposed of a delivery area information receiving unit 110, a delivery area coordinate generation unit 120, a drone delivery address information storage unit 130, and a control unit 140, respectively. The elements may be software modules that physically operate within the same computer system, and may be in a form configured so that two or more physically separated computer systems can operate in conjunction with each other. Various embodiments including the same function It belongs to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배달영역 정보 수신부(11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은 배달 중심점의 위도 및 경도 정보와 배달영역 크기 정보를 수신한다.The delivery area information receiving unit 110 receives latitude and longitude information of a delivery center point and delivery area size information input from a user.

배달영역 정보 수신부(110)는 사용자가 물건을 배달하고자 하는 장소 또는 배달받고자 하는 장소의 특정 지점을 수신할 수 있으며, 배달 중심점은 사용자가 물건을 배달하고자 하는 장소 또는 배달 받고자 하는 장소 내에 있는 특정 위치 또는 지점일 수 있다. 배달영역은 드론이 착륙할 수 있는 영역일 수 있으며, 배달영역 크기 정보는 드론이 착륙할 수 있는 배달 영역의 크기일 수 있다. 배달영역 크기 정보는 사용자가 입력할 수 있으며, 정사각형의 형태로 가로 X 세로 길이로 표현된 정보일 수 있으며, 정사각형의 특성상 가로 길이와 세로길이가 같기 때문에 길이 정보로 표현될 수 있다. 배달영역은 배달하고자 하는 장도 또는 배달받고자 하는 장소의 특성을 고려하여 사용자가 지정할 수 있다. 배달 중심점의 위도 및 경도 정보는 배달 중심점 좌표 정보로 수신할 수 있으며, 배달영역 정보 수신부(110)는 배달 중심점의 위도 및 경도 정보를 포함한 좌표 정보와 드론이 착륙할 수 있는 배달영역의 크기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The delivery area information receiving unit 110 may receive a place where the user wants to deliver the product or a specific point of the place where the user wants to receive the delivery, and the delivery center point is a place where the user wants to deliver the product or a specific location within the place to receive the delivery. Or it could be a branch. The delivery area may be an area in which the drone can land, and the delivery area size information may be the size of a delivery area in which the drone can land. The delivery area size information may be input by the user, and may be information expressed in width X length in a square shape, and may be expressed as length information because the horizontal length and the vertical length are the same due to the nature of the square. The delivery area can be designated by the user in consider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destination to be delivered or the place to be delivered. The latitude and longitude information of the delivery center point can be received as delivery center point coordinate information, and the delivery area information receiving unit 110 provides coordinate information including the latitude and longitude information of the delivery center point and size information of the delivery area in which the drone can land. You can receive it.

배달영역 좌표 생성부(120)는 배달 중심점의 위도 및 경도 정보와 배달영역의 크기 정보를 기초로 정사각형 형태의 배달영역의 4개의 꼭지점의 위도 및 경도 정보를 생성한다.The delivery area coordinate generator 120 generates latitude and longitude information of the four vertices of the square-shaped delivery area based on the latitude and longitude information of the delivery center point and the size information of the delivery area.

배달영역 좌표 생성부(120)는 사용자로부터 수신한 배달영역 크기 정보를 기초로 배달 중심점의 위도 및 경도 정보인 좌표 정보를 기준으로 정사각형 형태의 배달영역의 4개 꼭지점의 위도 및 경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배달 영역 좌표 생성부는 배달 중심점을 중심으로 배달영역 크기 정보를 기초로 정사각형 형태의 배달 영역을 생성할 수 있다. 배달 영역 좌표 생성부는 배달 중심점을 기초로 좌측, 우측 위쪽 및 아래쪽 각각의 방향의 각각 같은 거리를 두고 좌측과 위쪽이 만나는 지점, 좌측과 아래쪽이 만나는 지점, 우측과 위쪽이 만나는 지점, 우측과 아래쪽이 만나는 지점을 각각 꼭지점으로 지정할 수 있으며, 지정한 꼭지점의 위도 및 경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The delivery area coordinate generator 120 generates latitude and longitude information of the four vertices of the delivery area in the form of a square based on the coordinate information, which is the latitude and longitude information of the delivery center point, based on the delivery area siz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user. I can. The delivery area coordinate generator may generate a square-shaped delivery area based on the delivery area size information centered on the delivery center point. The delivery area coordinate generator is based on the delivery center point, with the same distance in each of the left, right, upper and lower directions, and the point where the left and the top meet, the point where the left and the bottom meet, the point where the right and the top meet, and the right and bottom. Each meeting point can be designated as a vertex, and latitude and longitude information of the specified vertex can be generated.

예를 들면, 배달영역 좌표 생성부(120)는 배달 중심점의 위도 및 경도 정보인 좌표 정보는 (37.491946, 127.009586)이며, 배달영역의 크기 정보는 8m X 8m일 수 있다. 배달영역 좌표 생성부(120)는 배달 중심점인 (37.491946, 127.009586)를 기준으로 좌측, 우측, 위쪽, 아래쪽을 4m 거리 떨어진 지점을 각각 좌측 지점, 우측 지점, 위쪽 지점, 아래쪽 지점이라 칭할 수 있으며, 좌측 지점은 배달 중심선을 기준으로 아래쪽과 위쪽 방향으로 수직이 되는 방향으로 향하도록 할 때 위쪽 지점과 아래쪽 지점이 만나는 부분을 꼭지점으로 지정할 수 있으며, 우측 지점은 배달 중심선을 기준으로 아래쪽과 위쪽 방향으로 수직이 되는 방향으로 향하도록 할 때 위쪽 지점과 아래쪽 지점이 만나는 지점을 꼭지점으로 하여 꼭지점의 위도 및 경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즉, 배달 중심점이 중앙으로 될 수 있는 정사각형 영역을 생성하고, 그 정사각형의 꼭지점의 위도 및 경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delivery area coordinate generator 120 may include coordinate information (37.491946, 127.009586), which is the latitude and longitude information of the delivery center point, and the size information of the delivery area may be 8m X 8m. The delivery area coordinate generation unit 120 may refer to the left, right, upper, and lower points 4m away from the delivery center point (37.491946, 127.009586) as a left point, a right point, an upper point, and a lower point, respectively, When the left point is directed in a vertical direction downward and upward from the delivery center line, the part where the upper point and the lower point meet can be designated as a vertex, and the right point is in the downward and upward direction based on the delivery center line. When facing in a vertical direction, the latitude and longitude information of the vertex can be generated by using the point where the upper point and the lower point meet as the vertex. That is, a square area in which the delivery center point can be the center can be created, and latitude and longitude information of the vertex of the square can be generated.

배달영역 좌표 생성부(120)는 배달 중심점으로부터 남북 방향으로 각각 배달영역의 크기 정보의 절반에 해당하는 만큼 이격된 위도기준지점의 위도 정보를 생성하고, 배달 중심점으로부터 동서 방향으로 각각 배달영역의 크기 정보의 절반에 해당하는 만큼 이격된 경도기준지점의 경도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위도기준지점의 위도 정보 및 경도기준지점의 경도 정보를 조합하여 4개의 꼭지점의 위도 및 경도 정보를 생성한다.The delivery area coordinate generation unit 120 generates latitude information of the latitude reference points separated from the delivery center point in the north-south direction as much as half of the size information of each delivery area, and the size of each delivery area in the east-west direction from the delivery center point. Longitude information of the longitude reference point separated by half of the information is generated, and latitude and longitude information of the four vertices is generated by combining the latitude information of the generated latitude reference point and the longitude information of the longitude reference point.

배달영역 좌표 생성부(120)는 배달 중심점으로부터 남북 방향 또는 수직 방향으로 각각 배달영역 크기 정보의 절반에 해당하는 만큼 떨어진 위도기준지점의 위도 정보를 생성할 수 있으며 배달영역 크기 정보의 절반의 크기는 사용자가 입력한 배달영역 크기 정보를 기준으로 가로 길이 또는 세로 길이의 절반이 되는 크기 일 수 있다. 배달영역 좌표 생성부(120)는 배달 중심점으로부터 동서방향 또는 수평방향으로 각각 배달영역 크기 정보의 절반에 해당하는 만큼 떨어진 경도기준지점의 경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The delivery area coordinate generator 120 may generate latitude information of a latitude reference point separated by half of the delivery area size information in the north-south or vertical direction from the delivery center point, and the size of half of the delivery area size information is The size may be half of the horizontal length or vertical length based on the delivery area size information input by the user. The delivery area coordinate generator 120 may generate hardness information of a longitude reference point separated by half of the delivery area size information, respectively, in the east-west direction or in a horizontal direction from the delivery center point.

예를 들면, 지도상을 기준으로 배달 중심점의 좌표 위도 및 경도 정보인 좌표 정보는(37.491946, 127.009586)라고 하고, 배달영역 크기 정보는 100m X 100m 또는 100m로 표현될 수 있다. 배달영역 크기 정보의 절반에 해당하는 거리는 50m 일 수 있으며, 배달 중심점에서 수직이 되는 남쪽과 북쪽 방향으로 각각 50m 떨어진 거리에 해당하는 정보 및 배달 중심점에서 수평이 되는 동쪽 방향과 서쪽 방향으로 각각 50m 떨어진 거리에 해당하는 정보를 기초로 4개의 꼭지점의 위도 및 경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남북방향 또는 동서방향으로 각각 배달영역 크기 정보의 절반에 해당하는 만큼 이격된 정보를 기준으로 북동방향의 좌표, 북서방향의 좌표, 남동 방향의 좌표, 남서 방향의 좌표를 꼭지점으로 하여 4개의 꼭지점 정보를 생성할 수 있으며, 북동 방향의 좌표는 (37.492396, 127.009126), 북서 방향의 좌표는 (37.492396, 127.010046), 남동 방향의 좌표는 (37.491496, 127.009126), 남서 방향의 좌표는 (37.491496, 127.010046)일 수 있다.For example, coordinate information, which is the coordinate latitude and longitude information of the delivery center point based on the map, is referred to as (37.491946, 127.009586), and the delivery area size information may be expressed as 100m X 100m or 100m. The distance corresponding to half of the size information of the delivery area may be 50m, and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 distance of 50m each in the south and north directions perpendicular to the delivery center point, and 50m each in the east and west directions horizontal from the delivery center point. Latitude and longitude information of four vertices can be generated based 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distance. Information on four vertices using coordinates in the northeast direction, the coordinates in the northwest direction, the coordinates in the southeast direction, and the coordinates in the southwest direction as vertices based on the information separated by half of the size information of the delivery area in the north-south or east-west direction. The coordinates in the northeast direction are (37.492396, 127.009126), the coordinates in the northwest direction are (37.492396, 127.010046), the coordinates in the southeast direction are (37.491496, 127.009126), and the coordinates in the southwest direction are (37.491496, 127.010046). I can.

배달영역 좌표 생성부(120)는 아래 [수학식 1]을 이용하여 남북 방향 각각의 위도기준지점의 위도 정보를 생성한다.The delivery area coordinate generator 120 generates latitude information of each latitude reference point in the north-south direction using the following [Equation 1].

[수학식 1][Equation 1]

Figure pat00003
Figure pat00003

이 때, D는 배달영역의 크기 정보의 절반의 길이, ∏(Pi)는 원주율, R은 지구 반지름을 의미한다.In this case, D is the length of half of the size information of the delivery area, ∏(Pi) is the circumference rate, and R is the radius of the earth.

예를 들면, 지도상을 기준으로 배달 중심점의 좌표 위도 및 경도 정보인 좌표 정보는(37.491946, 127.009586)라고 하고, 배달영역 크기 정보는 100m X 100m 또는 100m로 표현될 수 있다. 배달영역 크기 정보의 절반의 길이는 50m, 지구 반지름은 6,371,008m 일 수 있다. [수학식 1]을 이용하여 북쪽 방향의 위도기준 지점의 위도 정보를 생성하면 북쪽 방향의 위도 기준 지점의 위도 정보는 약 37.492396일 수 있다. 또한, [수학식 1]을 이용하여 남쪽 방향의 위도기준 지점의 위도 정보를 생성하면 남쪽 방향의 위도 기준 지점의 위도 정보는 약 37.491496일 수 있다.For example, coordinate information, which is the coordinate latitude and longitude information of the delivery center point based on the map, is referred to as (37.491946, 127.009586), and the delivery area size information may be expressed as 100m X 100m or 100m. Half the length of the delivery area size information may be 50m, and the Earth's radius may be 6,371,008m. When the latitude information of the latitude reference point in the north direction is generated using [Equation 1], the latitude information of the latitude reference point in the north direction may be about 37.492396. In addition, when latitude information of the latitude reference point in the south direction is generated using [Equation 1], the latitude information of the latitude reference point in the south direction may be about 37.491496.

배달영역 좌표 생성부(120)는 아래 [수학식 2]를 이용하여 동서 방향 각각의 경도기준지점의 경도 정보를 생성한다.The delivery area coordinate generation unit 120 generates longitude information of each longitude reference point in the east-west direction using the following [Equation 2].

[수학식 2][Equation 2]

Figure pat00004
Figure pat00004

이 때, D는 배달영역의 크기 정보의 절반의 길이, ∏(Pi)는 원주율, R은 지구 반지름을 의미한다.In this case, D is the length of half of the size information of the delivery area, ∏(Pi) is the circumference rate, and R is the radius of the earth.

예를 들면, 지도상을 기준으로 배달 중심점의 좌표 위도 및 경도 정보인 좌표 정보는(37.491946, 127.009586)라고 하고, 배달영역 크기 정보는 100m X 100m 또는 100m로 표현될 수 있다. 배달영역 크기 정보의 절반의 길이는 50m, 지구 반지름은 6,371,008m 일 수 있다. [수학식 2]를 이용하여 동쪽 방향의 위도기준 지점의 경도 정보를 생성하면 동쪽 방향의 경도 기준 지점의 위도 정보는 약 127.009126일 수 있다. 또한, [수학식 2]를 이용하여 서쪽 방향의 위도기준 지점의 위도 정보를 생성하면 서쪽 방향의 위도 기준 지점의 위도 정보는 약 127.010046일 수 있다.For example, coordinate information, which is the coordinate latitude and longitude information of the delivery center point based on the map, is referred to as (37.491946, 127.009586), and the delivery area size information may be expressed as 100m X 100m or 100m. Half the length of the delivery area size information may be 50m, and the Earth's radius may be 6,371,008m. When longitude information of a latitude reference point in the east direction is generated using [Equation 2], the latitude information of the longitude reference point in the east direction may be about 127.009126. In addition, when the latitude information of the latitude reference point in the west direction is generated using [Equation 2], the latitude information of the latitude reference point in the west direction may be about 127.010046.

배달영역 좌표 생성부(120)는 생성된 4개의 꼭지점의 고도 정보를 확인하고, 4개의 꼭지점의 고도가 소정의 임계치를 벗어나는 경우, 4개의 꼭지점의 고도가 소정의 임계치 이내에 존재할 때까지 배달영역의 크기를 감소시키면서 4개의 꼭지점의 위도 및 경도 정보를 생성한다.The delivery area coordinate generator 120 checks the generated altitude information of the four vertices, and when the altitudes of the four vertices exceed a predetermined threshold, the delivery area is displayed until the altitude of the four vertices is within a predetermined threshold. While reducing the size, the latitude and longitude information of the four vertices is generated.

배달 좌표 생성부는 생성된 4개의 꼭지점의 고도 정보를 확인할 수 있으며, 드론이 착륙할 수 없다고 판단되는 소정의 임계치를 벗어나는 경우 배달영역의 크기를 감소시켜 4개의 꼭지점의 위도 및 경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The delivery coordinate generator can check the altitude information of the generated four vertices, and when it is outside a predetermined threshold at which the drone cannot land, it can reduce the size of the delivery area and generate the latitude and longitude information of the four vertices. have.

예를 들면, 지도상을 기준으로 배달 중심점의 좌표 위도 및 경도 정보인 좌표 정보는(37.491946, 127.009586)라고 하고, 배달영역 크기 정보는 100m일 수 있다. 이를 기초로 생성된 4개의 꼭지점 좌표 정보는 북동 방향의 좌표는 (37.4919460034696, 127.009126514958), 북서 방향의 좌표는 (37.4919460034696, 127.010045485042), 남동 방향의 좌표는 (37.4914963397617, 127.009126514958), 남서 방향의 좌표는 (37.4914963397617, 127.010045485042)일 수 있다. 배달영역 좌표 생성부(120)는 4개의 꼭지점 중 북동 방향의 고도 정보가 소정의 임계치를 벗어난다고 판단할 수 있으며, 소정의 임계치를 벗어난다고 판단하는 경우 4개의 꼭지점 범위를 감소시켜 배달영역 크기를 감소시켜 4개의 꼭지점의 위도 및 경도 정보인 좌표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배달영역 크기가 감소된 4개의 꼭지점 좌표 정보는 북동 방향의 좌표는 (37.4919460020818, 127.009310308975), 북서 방향의 좌표는 (37.4919460020818, 127.009861691025), 남동 방향의 좌표는 (37.491676203857, 127.009310308975), 남서 방향의 좌표는 (37.491676203857, 127.009861691025)로 생성할 수 있다.For example, coordinate information, which is the coordinate latitude and longitude information of the delivery center point based on the map, may be referred to as (37.491946, 127.009586), and the delivery area size information may be 100m. The coordinate information of the four vertices generated based on this is (37.4919460034696, 127.009126514958) for the northeast direction, (37.4919460034696, 127.010045485042) for the coordinates in the north-west direction, (37.4914963397617, 127.009126514958) for the south-west direction, and the coordinates in the south-west direction. 37.4914963397617, 127.010045485042). The delivery area coordinate generator 120 may determine that the altitude information in the northeast direction out of the four vertices is out of a predetermined threshold, and when it is determined that it is out of the predetermined threshold, the size of the delivery area is reduced by reducing the range of four vertices. It can be reduced to generate coordinate information, which is latitude and longitude information of four vertices. The coordinate information of the four vertices with reduced delivery area size is the coordinates in the northeast direction (37.4919460020818, 127.009310308975), the coordinates in the northwest direction (37.4919460020818, 127.009861691025), the coordinates in the southeast direction are (37.491676203857, 127.009310308975), and the coordinates in the southwest direction are (37.491676203857, 127.009861691025) can be created.

드론 배달 주소 정보 저장부(130)는 배달 중심점의 도로명 주소 정보, 배달 중심점의 위도 및 경도 정보 및 생성된 4개의 꼭지점의 위도 및 경도 정보를 매칭하여 드론 배달 주소 정보로 저장한다.The drone delivery address information storage unit 130 matches the road name address information of the delivery center point, the latitude and longitude information of the delivery center point, and the generated latitude and longitude information of the four vertices and stores them as drone delivery address information.

드론 배달 주소 정보 저장부(130)는 배달 영역 좌표 생성부에서 생성된 4개의 꼭지점 위도 및 경도 정보인 좌표 정보와 사용자가 물건을 배달하고자 하는 장소 또는 배달받고자 하는 장소인 배달 중심정을 포함하고 있는 도로명 주소 정보 또는 배달 중심점의 위도 및 경도 정보를 매칭하여 드론 배달 주소 정보로 저장할 수 있다.The drone delivery address information storage unit 130 includes coordinate information, which is the latitude and longitude information of the four vertices generated by the delivery area coordinate generation unit, and a delivery center, which is a place where a user wants to deliver or receive a product. The address information of the road name or the latitude and longitude information of the delivery center can be matched and stored as drone delivery address information.

예를 들면, 배달 중심점의 위도 및 경도 정보인 (37.491946, 127.009586)와 배달영역 크기 정보인 100m를 기반으로 생성된 4개의 꼭지점 좌표 정보는 북동 방향의 좌표는 (37.4919460034696, 127.009126514958), 북서 방향의 좌표는 (37.4919460034696, 127.010045485042), 남동 방향의 좌표는 (37.4914963397617, 127.009126514958), 남서 방향의 좌표는 (37.4914963397617, 127.010045485042)일 수 있으며, 이를 도로명 주소인 '서울특별시 서초구 서초대로 254'와 매칭하여 저장할 수 있으며, 위도 및 경도 정보인 '(37.491946, 127.009586)'와 매칭하여 저장할 수 있으며, 지번 주소인 '서울특별시 서초구 서초동 1553-5'와 매칭하여 드론 배달 주소 정보로 저장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coordinates of the four vertices generated based on the latitude and longitude information of the delivery center point (37.491946, 127.009586) and the delivery area size information of 100m are the coordinates of the northeast direction (37.4919460034696, 127.009126514958), and the coordinates of the northwest direction. Is (37.4919460034696, 127.010045485042), the coordinates in the southeast direction can be (37.4914963397617, 127.009126514958), and the coordinates in the southwest direction can be (37.4914963397617, 127.010045485042), and this can be saved by matching the road name address, 254, Seocho-daero, Seocho-gu, Seoul. , Latitude and longitude information can be saved by matching'(37.491946, 127.009586)', and matching with the lot address '1553-5 Seocho-dong, Seocho-gu, Seoul' can be saved as drone delivery address information.

제어부(140)는 드론 배달 주소 정보를 배송용 드론에 전송하여 배달영역으로 물건을 배송하도록 제어한다.The controller 140 transmits the drone delivery address information to the delivery drone to control the delivery of the goods to the delivery area.

제어부(140)는 드론 배달 주소 정보를 배송용 드론에 전송할 수 있으며, 배송용 드론은 드론 배달 주소 정보를 수신하고 제어부(140)는 배송용 드론을 배달영역으로 물건을 배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배송용 드론이 배달영역 정보에 포함된 꼭지점 4개의 안쪽 영역에 착륙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ler 140 may transmit the drone delivery address information to the delivery drone, the delivery drone receives the drone delivery address information, and the controller 140 controls the delivery drone to deliver the goods to the delivery area. The controller 140 may control the delivery drone to land on the inner areas of the four vertices included in the delivery area informa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드론 배달영역 관리를 위한 전체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2 is a view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for the drone delivery area manage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드론 배달 주소 정보 저장부(130)는 배달 중심점의 도로명 주소 정보, 배달 중심점의 위도 및 경도 정보 및 생성된 4개의 꼭지점의 위도 및 경도 정보를 매칭하여 드론 배달 주소 정보로 저장한다.The drone delivery address information storage unit 130 matches the road name address information of the delivery center point, the latitude and longitude information of the delivery center point, and the generated latitude and longitude information of the four vertices and stores them as drone delivery address information.

드론 배달 주소 정보 저장부(130)는 배달을 받을 장소 또는 배달을 보낼 장소인 배달 중심점을 수신할 수 있으며, 국가 도로명 주소 제공 서버 또는 지번 주소 또는 좌표를 수신할 수 있는 서버와 연동하여 수신한 배달 중심점의 주소를 수신할 수 있다. 드론 배달 주소 정보 저장부(130)는 배달 중심점에 해당하는 도로명 주소 또는 지번 주소 또는 좌표 주소와 매칭하여 드론 택배 주소 정보를 생성하여 저장할 수 있다. 생성한 드론 택배 주소 정보는 배달점 데이터베이스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The drone delivery address information storage unit 130 may receive a delivery center point, which is a place to receive delivery or a place to send delivery, and is delivered in connection with a server providing a country road name address or a server capable of receiving a lot address or coordinates. You can receive the address of the center point. The drone delivery address information storage unit 130 may generate and store drone delivery address information by matching a road name address, a lot address, or a coordinate address corresponding to a delivery center point. The generated drone delivery address information can be transmitted to the delivery store database server.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드론이 배달 영역에 착륙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3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in which a drone lands in a delivery are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배달영역 좌표 생성부(120)는 배달 중심점의 위도 및 경도 정보와 배달영역의 크기 정보를 기초로 정사각형 형태의 배달영역의 4개의 꼭지점의 위도 및 경도 정보를 생성한다.The delivery area coordinate generator 120 generates latitude and longitude information of the four vertices of the square-shaped delivery area based on the latitude and longitude information of the delivery center point and the size information of the delivery area.

예를 들면, 배달영역 좌표 생성부(120)는 배달 중심점을 기준으로 4개의 꼭지점을 생성하여 정사각형 형태의 배달 영역을 생성할 수 있다. 배송용 드론은 배달영역으로 물건을 배송하도록 배송정보를 수신할 경우 정사각형 형태의 배달 영역에 착륙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delivery area coordinate generator 120 may generate four vertices based on a delivery center point to generate a square-shaped delivery area. Delivery drones can land in a square-shaped delivery area when receiving delivery information to deliver goods to the delivery area.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달 중심점으로부터 배달 영역의 4개 꼭지점의 정보를 생성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4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generating information on four vertices of a delivery area from a delivery center poi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배달영역 좌표 생성부(120)는 배달 중심점의 위도 및 경도 정보와 배달영역의 크기 정보를 기초로 정사각형 형태의 배달영역의 4개의 꼭지점의 위도 및 경도 정보를 생성한다.The delivery area coordinate generator 120 generates latitude and longitude information of the four vertices of the square-shaped delivery area based on the latitude and longitude information of the delivery center point and the size information of the delivery area.

현재 전자지도 상에서 위치는 특정 지점의 위도 및 경도의 좌표만을 알 수 있어 이착륙 배달 지점의 영역은 배달 중심점을 기준으로 추가 좌표가 필요하다.Currently, the location on the electronic map can only know the coordinates of the latitude and longitude of a specific point, so the area of the take-off and landing delivery point needs additional coordinates based on the delivery center point.

예를 들면, 중심점의 좌표를 (x,y)라고 하고, 배달영역 크기 정보는 8m라고 한다면 중심점을 중앙으로 한 정사각형의 한변의 길이가 8m가 되도록 4개의 꼭지점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북서 방향의 좌표는 (x1, y1)일 수 있으며, 북동 방향의 좌표는 (x2, y2)일 수 있으며, 남서 방향의 좌표는 (x3, y3)일 수 있으며, 남동 방향의 좌표는 (x4, y4)로 하여 배달영역 4개의 꼭지점 정보를 위도 및 경도 정보로 생성할 수 있다.For example, if the coordinates of the center point are (x,y) and the delivery area size information is 8m, the information of four vertices can be generated so that the length of one side of the square centered at the center point is 8m. The coordinates in the northwest direction may be (x1, y1), the coordinates in the northeast direction may be (x2, y2), the coordinates in the southwest direction may be (x3, y3), and the coordinates in the southeast direction may be (x4, With y4), information on four vertices of the delivery area can be generated as latitude and longitude information.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로명 주소 또는 인근 건물을 기반으로 배달 중심점을 입력받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5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receiving a delivery center point based on a road name address or a nearby build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배달영역 정보 수신부(11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은 배달 중심점의 위도 및 경도 정보와 배달영역 크기 정보를 수신한다.The delivery area information receiving unit 110 receives latitude and longitude information of a delivery center point and delivery area size information input from a user.

배달 중심점은 사용자가 배달하고자 하는 장소 또는 배달받고자 하는 장소 일 수 있으며, 배달하고자 하는 장소의 배달 중심점을 지정하기 위하여 지도로부터 도로명 주소 또는 지번 주소를 검색하거나 지도를 이용하여 대략적인 위치를 탐색하여 지정할 수 있다.The delivery center point may be the place the user wants to deliver or the place to receive the delivery, and to designate the delivery center point of the place to be delivered, search for a road name address or lot address from a map, or search for an approximate location using a map. I can.

예를 들면, 배달하고자 하는 장소가 '고남면사무소'라는 건물일 경우 도로명 주소 또는 지번 주소를 검색하여 '충남 태안군 고남면 안면대로 4254-12'로 검색할 수 있다. 만약 건물이 아닌 길가나 공터일 경우 할당된 도로명 주소 또는 지번 주소가 없으므로 전자 지도를 활용하여 위치를 탐색할 수 있으며 '충남 보령시의 추도항 근처'를 배달 중심점으로 저장하고 싶은 경우 주소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전자 지도를 검색하여 배달 중심점을 검색 할 수 있다.For example, if the place to be delivered is a building called'Gonam-myeon Office', you can search for a road name address or a lot address and search for '4254-12 Anmyeon-daero, Gonam-myeon, Taean-gun, Chungnam.' If it is a roadside or an empty lot other than a building, there is no assigned road name address or lot address, so you can use an electronic map to search for the location, and if you want to store'near Chudo Port in Boryeong-si, Chungnam' as the delivery center, the address does not exist. Therefore, it is possible to search the delivery center by searching the electronic map.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달 중심점 좌표를 획득하는 일례들 도시한 도면이다.6 is a diagram illustrating examples of obtaining coordinates of a delivery center poi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배달영역 정보 수신부(11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은 배달 중심점의 위도 및 경도 정보와 배달영역 크기 정보를 수신한다.The delivery area information receiving unit 110 receives latitude and longitude information of a delivery center point and delivery area size information input from a user.

배달 중심점은 사용자가 배달하고자 하는 장소 또는 배달받고자 하는 장소 일 수 있으며, 배달하고자 하는 장소의 배달 중심점을 지정하기 위하여 지도로부터 도로명 주소 또는 지번 주소를 검색하거나 지도를 이용하여 대략적인 위치를 탐색한 후에 특정 지점을 지점하여 배달 중심점의 위도 및 경도 정보를 획득하여 배달영역 정보 수신부(110)는 수신할 수 있다.The delivery center point may be the place the user wants to deliver or the place to receive the delivery, and after searching for a road name address or lot address from a map or an approximate location using a map to designate the delivery center point of the place to be delivered. The delivery area information receiving unit 110 may receive information on the latitude and longitude of the delivery center point by pointing to a specific point.

예를 들면, 도로명 주소를 검색한 후의 '고남면사무소'의 좌표를 획득하면 배달영역 정보 수신부(110)는 '고남면사무소' 배달 중심점을 위도 및 경도 정보로 수신할 수 있으며, 전자지도로 검색한 '추도항 근처 공터'의 경우 지도를 검색한 후 드론이 착륙할 수 있는 지점의 특정 영역의 좌표를 획득하면 배달영역 정보 수신부(110)는 '추도항 근처 공터'의 배달 중심점을 위도 및 경도 정보로 수신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obtaining the coordinates of the'Gonam-myeon office' after searching for the road name address, the delivery area information receiving unit 110 may receive the delivery center point of the'Gonam-myeon office' as latitude and longitude information. In the case of'open lot near Chudo Port', after searching the map and obtaining the coordinates of a specific area where the drone can land, the delivery area information receiving unit 110 uses the delivery center point of the'open lot near Chudo Port' as latitude and longitude information. You can receive it.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달 영역 좌표를 생성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7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generating coordinates of a delivery are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배달영역 좌표 생성부(120)는 배달 중심점의 위도 및 경도 정보와 배달영역의 크기 정보를 기초로 정사각형 형태의 배달영역의 4개의 꼭지점의 위도 및 경도 정보를 생성한다.The delivery area coordinate generator 120 generates latitude and longitude information of the four vertices of the square-shaped delivery area based on the latitude and longitude information of the delivery center point and the size information of the delivery area.

배달영역 좌표 생성부(120)는 배달 중심점으로부터 남북 방향으로 각각 배달영역의 크기 정보의 절반에 해당하는 만큼 이격된 위도기준지점의 위도 정보를 생성하고, 배달 중심점으로부터 동서 방향으로 각각 배달영역의 크기 정보의 절반에 해당하는 만큼 이격된 경도기준지점의 경도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위도기준지점의 위도 정보 및 경도기준지점의 경도 정보를 조합하여 4개의 꼭지점의 위도 및 경도 정보를 생성한다.The delivery area coordinate generation unit 120 generates latitude information of the latitude reference points separated from the delivery center point in the north-south direction as much as half of the size information of each delivery area, and the size of each delivery area in the east-west direction from the delivery center point. Longitude information of the longitude reference point separated by half of the information is generated, and latitude and longitude information of the four vertices is generated by combining the latitude information of the generated latitude reference point and the longitude information of the longitude reference point.

배달영역 좌표 생성부(120)는 배달 중심점으로부터 남북 방향 또는 수직 방향으로 각각 배달영역 크기 정보의 절반에 해당하는 만큼 떨어진 위도기준지점의 위도 정보를 생성할 수 있으며 배달영역 크기 정보의 절반의 크기는 사용자가 입력한 배달영역 크기 정보를 기준으로 가로 길이 또는 세로 길이의 절반이 되는 크기 일 수 있다. 배달영역 좌표 생성부(120)는 배달 중심점으로부터 동서방향 또는 수평방향으로 각각 배달영역 크기 정보의 절반에 해당하는 만큼 떨어진 경도기준지점의 경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The delivery area coordinate generator 120 may generate latitude information of a latitude reference point separated by half of the delivery area size information in the north-south or vertical direction from the delivery center point, and the size of half of the delivery area size information is The size may be half of the horizontal length or vertical length based on the delivery area size information input by the user. The delivery area coordinate generator 120 may generate hardness information of a longitude reference point separated by half of the delivery area size information, respectively, in the east-west direction or in a horizontal direction from the delivery center point.

예를 들면, 지도상을 기준으로 배달 중심점의 좌표 위도 및 경도 정보인 좌표 정보는(37.491946, 127.009586)라고 하고, 배달영역 크기 정보는 100m X 100m 또는 100m로 표현될 수 있다. 배달영역 크기 정보의 절반에 해당하는 거리는 50m 일 수 있으며, 배달 중심점에서 수직이 되는 남쪽과 북쪽 방향으로 각각 50m 떨어진 거리에 해당하는 정보 및 배달 중심점에서 수평이 되는 동쪽 방향과 서쪽 방향으로 각각 50m 떨어진 거리에 해당하는 정보를 기초로 4개의 꼭지점의 위도 및 경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남북방향 또는 동서방향으로 각각 배달영역 크기 정보의 절반에 해당하는 만큼 이격된 정보를 기준으로 북동방향의 좌표, 북서방향의 좌표, 남동 방향의 좌표, 남서 방향의 좌표를 꼭지점으로 하여 4개의 꼭지점 정보를 생성할 수 있으며, 북동 방향의 좌표는 (37.492396, 127.009126), 북서 방향의 좌표는 (37.492396, 127.010046), 남동 방향의 좌표는 (37.491496, 127.009126), 남서 방향의 좌표는 (37.491496, 127.010046)일 수 있다.For example, coordinate information, which is the coordinate latitude and longitude information of the delivery center point based on the map, is referred to as (37.491946, 127.009586), and the delivery area size information may be expressed as 100m X 100m or 100m. The distance corresponding to half of the size information of the delivery area may be 50m, and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 distance of 50m each in the south and north directions perpendicular to the delivery center point, and 50m each in the east and west directions horizontal from the delivery center point. Latitude and longitude information of four vertices can be generated based 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distance. Information on four vertices using coordinates in the northeast direction, the coordinates in the northwest direction, the coordinates in the southeast direction, and the coordinates in the southwest direction as vertices based on the information separated by half of the size information of the delivery area in the north-south or east-west direction. The coordinates in the northeast direction are (37.492396, 127.009126), the coordinates in the northwest direction are (37.492396, 127.010046), the coordinates in the southeast direction are (37.491496, 127.009126), and the coordinates in the southwest direction are (37.491496, 127.010046). I can.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드론 배달영역 관리 방법의 순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8 is a diagram illustrating a flow chart of a method for managing a delivery area of a dr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상의 드론 배달영역 관리 시스템은 시계열 데이터 유사도 계산 방법으로 구현되어 실현될 수 있으며, 상기 드론 배달영역 관리 시스템의 기술적인 사상을 그대로 적용할 수 있다.The above drone delivery area management system can be implemented and realized by a method of calculating the similarity of time series data, and the technical idea of the drone delivery area management system can be applied as it is.

이와 같은, 드론 배달영역 관리 방법은 애플리케이션으로 구현되거나 다양한 컴퓨터 구성요소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어의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어,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Such a drone delivery area management method may be implemented as an application or in the form of a program command that can be executed through various computer components and recorded i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may include program instructions, data files, data structures, and the like alone or in combination.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니와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The program instructions recorded in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may be specially designed and constructed for the present invention, and may be known and usable to those skilled in the computer software field.

중앙처리장치 및 메모리를 구비하는 드론 배달영역 관리 시스템에서 동작하는 드론 배달영역 관리 방법에 있어서, 배달영역 정보 수신 단계(S801)는 배달영역 정보 수신부(110)에서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은 배달 중심점의 위도 및 경도 정보와 배달영역 크기 정보를 수신한다.In the drone delivery area management method operating in the drone delivery area management system having a central processing unit and a memory, the delivery area information receiving step (S801) includes the latitude and the delivery center point inputted from the user in the delivery area information receiving unit 110 Receives hardness information and delivery area size information.

배달영역 좌표 생성 단계(S802)는 배달영역 좌표 생성부(120)에서 배달 중심점의 위도 및 경도 정보와 배달영역의 크기 정보를 기초로 정사각형 형태의 배달영역의 4개의 꼭지점의 위도 및 경도 정보를 생성한다.In the delivery area coordinate generation step (S802), the delivery area coordinate generator 120 generates latitude and longitude information of the four vertices of the delivery area in the form of a square based on the latitude and longitude information of the delivery center point and the size information of the delivery area. do.

배달영역 좌표 생성 단계(S802)는 배달 중심점으로부터 남북 방향으로 각각 배달영역의 크기 정보의 절반에 해당하는 만큼 이격된 위도기준지점의 위도 정보를 생성하고, 배달 중심점으로부터 동서 방향으로 각각 배달영역의 크기 정보의 절반에 해당하는 만큼 이격된 경도기준지점의 경도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위도기준지점의 위도 정보 및 경도기준지점의 경도 정보를 조합하여 4개의 꼭지점의 위도 및 경도 정보를 생성한다.The delivery area coordinate generation step (S802) generates latitude information of the latitude reference points separated by half of the size information of each delivery area in the north-south direction from the delivery center point, and the size of each delivery area in the east-west direction from the delivery center point. Longitude information of the longitude reference point separated by half of the information is generated, and latitude and longitude information of the four vertices is generated by combining the latitude information of the generated latitude reference point and the longitude information of the longitude reference point.

배달영역 좌표 생성 단계(S802)는 아래 [수학식 1]을 이용하여 남북 방향 각각의 위도기준지점의 위도 정보를 생성한다.In the delivery area coordinate generation step (S802), latitude information of each latitude reference point in the north-south direction is generated using the following [Equation 1].

[수학식 1][Equation 1]

Figure pat00005
Figure pat00005

이 때, D는 배달영역의 크기 정보의 절반의 길이, ∏(Pi)는 원주율, R은 지구 반지름을 의미한다.In this case, D is the length of half of the size information of the delivery area, ∏(Pi) is the circumference rate, and R is the radius of the earth.

배달영역 좌표 생성 단계(S802)는 아래 [수학식 2]를 이용하여 동서 방향 각각의 경도기준지점의 경도 정보를 생성한다.The delivery area coordinate generation step (S802) generates longitude information of each of the longitude reference points in the east-west direction using the following [Equation 2].

[수학식 2][Equation 2]

Figure pat00006
Figure pat00006

이 때, D는 배달영역의 크기 정보의 절반의 길이, ∏(Pi)는 원주율, R은 지구 반지름을 의미한다.In this case, D is the length of half of the size information of the delivery area, ∏(Pi) is the circumference rate, and R is the radius of the earth.

배달영역 좌표 생성 단계(S802)는 생성된 4개의 꼭지점의 고도 정보를 확인하고, 4개의 꼭지점의 고도가 소정의 임계치를 벗어나는 경우, 4개의 꼭지점의 고도가 소정의 임계치 이내에 존재할 때까지 배달영역의 크기를 감소시키면서 4개의 꼭지점의 위도 및 경도 정보를 생성한다.The delivery area coordinate generation step (S802) checks the generated altitude information of the four vertices, and when the altitudes of the four vertices exceed a predetermined threshold, the delivery area is displayed until the altitudes of the four vertices are within a predetermined threshold. While reducing the size, the latitude and longitude information of the four vertices is generated.

드론 배달 주소 정보 저장 단계(S803)는 드론 배달 주소 정보 저장부(130)에서 배달 중심점의 도로명 주소 정보, 배달 중심점의 위도 및 경도 정보 및 생성된 4개의 꼭지점의 위도 및 경도 정보를 매칭하여 드론 배달 주소 정보로 저장한다.The drone delivery address information storage step (S803) is performed by matching the road name address information of the delivery center point, the latitude and longitude information of the delivery center point, and the generated latitude and longitude information of the four vertices in the drone delivery address information storage unit 130 to deliver the drone. Save as address information.

제어 단계(S804)는 제어부(140)에서 드론 배달 주소 정보를 배송용 드론에 전송하여 배달영역으로 물건을 배송하도록 제어한다.In the control step (S804), the controller 140 transmits the drone delivery address information to the delivery drone to control the delivery of goods to the delivery area.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DVD 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Examples of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include magnetic media such as hard disks, floppy disks and magnetic tapes, optical recording media such as CDROMs and DVDs, magnetic-optical media such as floptical disks. , And a hardware device specially configured to store and execute program instructions such as ROM, RAM, flash memory, and the like.

프로그램 명령어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된다. 상기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Examples of program instructions include not only machine language codes such as those produced by a compiler, but also high-level language codes that can be executed by a computer using an interpreter or the like. The hardware device may be configured to operate as one or more software modules to perform the process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vice versa.

이상에서는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다.Although the above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mbodiments,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variously modify and change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following claims.

110: 배달영역 정보 수신부
120: 배달영역 좌표 생성부
130: 드론 배달 주소 정보 저장부
140: 제어부
110: delivery area information receiving unit
120: delivery area coordinate generation unit
130: Drone delivery address information storage unit
140: control unit

Claims (11)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은 배달 중심점의 위도 및 경도 정보와 배달영역 크기 정보를 수신하는 배달영역 정보 수신부;
상기 배달 중심점의 위도 및 경도 정보와 상기 배달영역의 크기 정보를 기초로 정사각형 형태의 배달영역의 4개의 꼭지점의 위도 및 경도 정보를 생성하는 배달영역 좌표 생성부;
상기 배달 중심점의 도로명 주소 정보, 상기 배달 중심점의 위도 및 경도 정보 및 상기 생성된 4개의 꼭지점의 위도 및 경도 정보를 매칭하여 드론 배달 주소 정보로 저장하는 드론 배달 주소 정보 저장부;
상기 드론 배달 주소 정보를 배송용 드론에 전송하여 상기 배달영역으로 물건을 배송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드론 배달영역 관리 시스템.
A delivery area information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latitude and longitude information and delivery area size information of a delivery center point received from a user;
A delivery area coordinate generator for generating latitude and longitude information of four vertices of a square-shaped delivery area based on latitude and longitude information of the delivery center point and size information of the delivery area;
A drone delivery address information storage unit that matches the road name address information of the delivery center point, the latitude and longitude information of the delivery center point, and the generated latitude and longitude information of the four vertices and stores them as drone delivery address information;
A control unit that transmits the drone delivery address information to a delivery drone and controls the delivery of goods to the delivery area.
Drone delivery area management system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달영역 좌표 생성부는
상기 배달 중심점으로부터 남북 방향으로 각각 상기 배달영역의 크기 정보의 절반에 해당하는 만큼 이격된 위도기준지점의 위도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배달 중심점으로부터 동서 방향으로 각각 상기 배달영역의 크기 정보의 절반에 해당하는 만큼 이격된 경도기준지점의 경도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위도기준지점의 위도 정보 및 경도기준지점의 경도 정보를 조합하여 상기 4개의 꼭지점의 위도 및 경도 정보를 생성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 배달영역 관리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delivery area coordinate generator
Generate latitude information of a latitude reference point spaced apart from the delivery center point by an amount corresponding to half of the size information of the delivery area, respectively, in a north-south direction from the delivery center point,
In the east-west direction from the delivery center point, hardness information of a hardness reference point spaced apart from the delivery center by half of the size information of the delivery area is generated,
To generate the latitude and longitude information of the four vertices by combining the latitude information of the generated latitude reference point and the longitude information of the longitude reference point
Drone delivery area management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배달영역 좌표 생성부는
아래 [수학식 1]을 이용하여 남북 방향 각각의 위도기준지점의 위도 정보를 생성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 배달영역 관리 시스템.
[수학식 1]
Figure pat00007

이 때, D는 상기 배달영역의 크기 정보의 절반의 길이, ∏(Pi)는 원주율, R은 지구 반지름을 의미한다.
The method of claim 2,
The delivery area coordinate generator
Generating latitude information of each latitude reference point in the north-south direction using the following [Equation 1]
Drone delivery area management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Equation 1]
Figure pat00007

In this case, D denotes half the length of the size information of the delivery area, ∏(Pi) denotes the circumference ratio, and R denotes the radius of the earth.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배달영역 좌표 생성부는
아래 [수학식 2]를 이용하여 동서 방향 각각의 경도기준지점의 경도 정보를 생성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 배달영역 관리 시스템.
[수학식 2]
Figure pat00008

이 때, D는 상기 배달영역의 크기 정보의 절반의 길이, ∏(Pi)는 원주율, R은 지구 반지름을 의미한다.
The method of claim 2,
The delivery area coordinate generator
Generating longitude information of each hardness reference point in the east-west direction using the following [Equation 2]
Drone delivery area management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Equation 2]
Figure pat00008

In this case, D denotes half the length of the size information of the delivery area, ∏(Pi) denotes the circumference ratio, and R denotes the radius of the earth.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달영역 좌표 생성부는
상기 생성된 4개의 꼭지점의 고도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4개의 꼭지점의 고도가 소정의 임계치를 벗어나는 경우, 상기 4개의 꼭지점의 고도가 소정의 임계치 이내에 존재할 때까지 상기 배달영역의 크기를 감소시키면서 상기 4개의 꼭지점의 위도 및 경도 정보를 생성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 배달영역 관리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delivery area coordinate generator
Check the generated altitude information of the four vertices, and if the altitudes of the four vertices are out of a predetermined threshold, the size of the delivery area is reduced until the altitudes of the four vertices are within a predetermined threshold. Generating latitude and longitude information of four vertices
Drone delivery area management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중앙처리장치 및 메모리를 구비하는 드론 배달영역 관리 시스템에서 동작하는 드론 배달영역 관리 방법에 있어서,
배달영역 정보 수신부에서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은 배달 중심점의 위도 및 경도 정보와 배달영역 크기 정보를 수신하는 배달영역 정보 수신 단계;
배달영역 좌표 생성부에서 상기 배달 중심점의 위도 및 경도 정보와 상기 배달영역의 크기 정보를 기초로 정사각형 형태의 배달영역의 4개의 꼭지점의 위도 및 경도 정보를 생성하는 배달영역 좌표 생성 단계;
드론 배달 주소 정보 저장부에서 상기 배달 중심점의 도로명 주소 정보, 상기 배달 중심점의 위도 및 경도 정보 및 상기 생성된 4개의 꼭지점의 위도 및 경도 정보를 매칭하여 드론 배달 주소 정보로 저장하는 드론 배달 주소 정보 저장 단계;
제어부에서 상기 드론 배달 주소 정보를 배송용 드론에 전송하여 상기 배달영역으로 물건을 배송하도록 제어하는 제어 단계
를 포함하는 드론 배달영역 관리 방법.
In the drone delivery area management method operating in a drone delivery area management system having a central processing unit and a memory,
A delivery area information receiving step of receiving latitude and longitude information of a delivery center point and delivery area size information input from a user in the delivery area information receiving unit;
A delivery region coordinate generation step of generating, in the delivery region coordinate generation unit, latitude and longitude information of the four vertices of the delivery region in a square shape based on the latitude and longitude information of the delivery center point and size information of the delivery region;
Drone delivery address information is stored as drone delivery address information by matching the road name address information of the delivery center point, the latitude and longitude information of the delivery center point, and the generated latitude and longitude information of the four vertices in the drone delivery address information storage unit. step;
Control step of controlling the delivery of goods to the delivery area by transmitting the drone delivery address information from the control unit to the delivery drone
Drone delivery area management method comprising a.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배달영역 좌표 생성 단계는
상기 배달 중심점으로부터 남북 방향으로 각각 상기 배달영역의 크기 정보의 절반에 해당하는 만큼 이격된 위도기준지점의 위도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배달 중심점으로부터 동서 방향으로 각각 상기 배달영역의 크기 정보의 절반에 해당하는 만큼 이격된 경도기준지점의 경도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위도기준지점의 위도 정보 및 경도기준지점의 경도 정보를 조합하여 상기 4개의 꼭지점의 위도 및 경도 정보를 생성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 배달영역 관리 방법.
The method of claim 6,
The step of generating the coordinates of the delivery area
Generate latitude information of a latitude reference point spaced apart from the delivery center point by an amount corresponding to half of the size information of the delivery area, respectively, in a north-south direction from the delivery center point,
In the east-west direction from the delivery center point, hardness information of a hardness reference point spaced apart by each corresponding to half of the size information of the delivery area is generated,
To generate the latitude and longitude information of the four vertices by combining the latitude information of the generated latitude reference point and the longitude information of the longitude reference point
Drone delivery area management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배달영역 좌표 생성 단계는
아래 [수학식 1]을 이용하여 남북 방향 각각의 위도기준지점의 위도 정보를 생성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 배달영역 관리 방법.
[수학식 1]
Figure pat00009

이 때, D는 상기 배달영역의 크기 정보의 절반의 길이, Pi는 원주율, R은 지구 반지름을 의미한다.
The method of claim 7,
The step of generating the coordinates of the delivery area
Generating latitude information of each latitude reference point in the north-south direction using the following [Equation 1]
Drone delivery area management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Equation 1]
Figure pat00009

In this case, D is the length of half of the size information of the delivery area, Pi is the circumference, and R is the radius of the earth.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배달영역 좌표 생성 단계는
아래 [수학식 2]를 이용하여 동서 방향 각각의 경도기준지점의 경도 정보를 생성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 배달영역 관리 방법.
[수학식 2]
Figure pat00010

이 때, D는 상기 배달영역의 크기 정보의 절반의 길이, Pi는 원주율, R은 지구 반지름을 의미한다.
The method of claim 7,
The step of generating the coordinates of the delivery area
Generating longitude information of each hardness reference point in the east-west direction using the following [Equation 2]
Drone delivery area management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Equation 2]
Figure pat00010

In this case, D denotes half the length of the size information of the delivery area, Pi denotes the circumference, and R denotes the radius of the earth.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배달영역 좌표 생성 단계는
상기 생성된 4개의 꼭지점의 고도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4개의 꼭지점의 고도가 소정의 임계치를 벗어나는 경우, 상기 4개의 꼭지점의 고도가 소정의 임계치 이내에 존재할 때까지 상기 배달영역의 크기를 감소시키면서 상기 4개의 꼭지점의 위도 및 경도 정보를 생성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 배달영역 관리 방법.
The method of claim 6,
The step of generating the coordinates of the delivery area
Check the generated altitude information of the four vertices, and if the altitudes of the four vertices are out of a predetermined threshold, the size of the delivery area is reduced until the altitudes of the four vertices are within a predetermined threshold. Generating latitude and longitude information of four vertices
Drone delivery area management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제6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A recording medium on which a program for executing the method of any one of claims 6 to 10 is recorded.
KR1020190150273A 2019-11-21 2019-11-21 Drone Delivery Area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KR10232952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0273A KR102329525B1 (en) 2019-11-21 2019-11-21 Drone Delivery Area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0273A KR102329525B1 (en) 2019-11-21 2019-11-21 Drone Delivery Area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2264A true KR20210062264A (en) 2021-05-31
KR102329525B1 KR102329525B1 (en) 2021-11-22

Family

ID=761500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0273A KR102329525B1 (en) 2019-11-21 2019-11-21 Drone Delivery Area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9525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10918A (en) * 2017-03-30 2018-10-1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Method for managing operation of unmaned aerial vehicle and apparatus for the same
KR102039797B1 (en) 2017-11-13 2019-11-01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Apparatus and method for inducing landing of dron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10918A (en) * 2017-03-30 2018-10-1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Method for managing operation of unmaned aerial vehicle and apparatus for the same
KR102039797B1 (en) 2017-11-13 2019-11-01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Apparatus and method for inducing landing of dro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29525B1 (en) 2021-1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54714B1 (en) Unique signaling for vehicles to preserve user privacy
US11729245B2 (en) Platform for constructing and consuming realm and object feature clouds
US20230244250A1 (en) Backup Navigation System for Unmanned Aerial Vehicles
US10885795B2 (en) Air space maps
US10698422B2 (en) Link level wind factor computation for efficient drone routing using 3D city map data
US9701408B1 (en) Determining landing locations
US10582321B2 (en) Identification of unmanned aerial vehicles based on audio signatures
RU2679248C2 (en) Reduced network flow and computational load using spatial and temporal variable scheduler
US20190164435A1 (en) Method and system to improve safety concerning drones
US1094830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reating underground or interior drone routes
CN107228676A (en) The map rejuvenation of vehicle platoon from connection
US1092112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pping underground or interior drone routes
BR102014000091B1 (en) augmented mobile platform location system and method
CN110832478B (en) System and method for on-demand services
KR20190068955A (en) Device for flight simulating of unmanned aerial vehicle, and system for flight simulating of unmanned aerial vehicle using thereof
US20200064133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erial photography route generation method, aerial photography route generation system, program, and storage medium
US20210325898A1 (en) Using drone data to generate high-definition map for autonomous vehicle navigation
JP2019028712A (en) Guidance method, guidance device, and guidance system of flying body
KR102058510B1 (en) Method of providing obstacle information for safe operation of unmanned aerial vehicle, map server for the same, and automatic unmanned aerial vehicle operation system based o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KR102329525B1 (en) Drone Delivery Area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KR20190004983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digital moving map service for safe navigation of unmanned aerial vehicle
KR102105105B1 (en) Method of aiding driving and apparatuses performing the same
US11947354B2 (en) Geocoding data for an automated vehicle
JP7329208B2 (en)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program, and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Stepanov et al. Methods of visual navigation of the UAV flying over the nonplanar distric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