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61714A - 인터넷 접속을 위한 블록체인기반 접속정보 시스템 - Google Patents

인터넷 접속을 위한 블록체인기반 접속정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61714A
KR20210061714A KR1020190149587A KR20190149587A KR20210061714A KR 20210061714 A KR20210061714 A KR 20210061714A KR 1020190149587 A KR1020190149587 A KR 1020190149587A KR 20190149587 A KR20190149587 A KR 20190149587A KR 20210061714 A KR20210061714 A KR 202100617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cess information
access
node
blockchain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95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흥범
Original Assignee
이흥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흥범 filed Critical 이흥범
Priority to KR10201901495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61714A/ko
Publication of KR202100617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171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1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controlling access to devices or network resour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54Wide area networks, e.g. public data networks
    • H04L12/2856Access arrangements, e.g. Internet access
    • H04L12/2858Access network architectures
    • H04L61/3075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101/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 H04L61/00
    • H04L2101/30Types of network names
    • H04L2101/375Access point names [AP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존의 중앙 집중식이며 경직된 도메인 네임 시스템(DNS:Domain Name System)을 사용하지 않고 블록체인 기반 접속정보 제공 방식을 통해 자유도와 신뢰성을 모두 달성할 수 있도록 한 인터넷 접속을 위한 블록체인기반 접속정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위변조가 어려운 분산 방식의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접속정보를 등록받아 저장 및 공유하되, 특별한 접속명 구조에 대한 제한을 줄이면서 접속정보를 용이하게 등록하고 변경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기존의 DNS에서 제공할 수 없었던 새로운 활용이 가능하고 IoT 기기의 접속정보 등록과 같은 대량의 접속정보 폭주 상황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음과 아울러, 등록과 유지에 대한 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인터넷 접속을 위한 블록체인기반 접속정보 시스템{Blockchain access information system for internet access}
본 발명은 인터넷 접속을 위한 블록체인기반 접속정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기존의 중앙 집중식이며 경직된 도메인 네임 시스템(DNS:Domain Name System)을 사용하지 않고 블록체인 기반 접속정보 제공 방식을 통해 자유도와 신뢰성을 모두 달성할 수 있도록 한 인터넷 접속을 위한 블록체인기반 접속정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인터넷 접속을 위한 주소 정보가 일련의 기억하기 어려운 숫자로 되어 있다는 점에서 이를 기억하기 용이한 문자로 구성한 것을 도메인 네임이라 하며, 인터넷 접속을 위한 주소창에 도메인 네임을 입력하면 이를 계층적으로 검색하여 대응되는 IP(Internet Protocol) 주소를 찾은 후 해당 주소로 접속하도록 하는데, 이러한 이름 기반 접속 방식을 도메인 네임 시스템(DNS:Domain Name System)이라 한다.
도 1 및 도 2는 전통적인 도메인 네임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 및 개념도이다.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10)에 구성된 인터넷 접속 어플리케이션을 통해서 "aaa.com"의 이름을 가지는 주소에 접속하고자 할 경우 사용자 단말(10)의 어플리케이션은 해당 이름(aaa.com)을 통신망(20)을 통해 DNS 서버(30)에 제공하고, 그에 대응되는 IP 주소(121.78.240.xx)와 같은 구분된 숫자로 이루어진 실제 IP 주소를 회신하며 사용자 단말(10)은 해당 회신된 실제 IP 주소를 이용하여 원하는 웹페이지에 접속할 수 있게 된다.
물론, 이러한 IP 주소는 다양한 IP 주소 표준에 따른 다양한 주소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DNS 서버(30)를 통해 IP 주소를 얻는 과정을 좀 더 살펴보면, 우선 사용자 단말(10)이 요청하는 도메인 네임(aaa.com)은 사용자 단말(10)에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는 통신사 서버에 전달되고, 통신사 서버는 도메인 네임을 검색하기 위하여 루트 DNS 서버에 해당 도메인 네임을 질의한다. DNS의 표준 상 루트 DNS는 13개만 구성할 수 있으므로 전세계의 단 13개 서버가 모든 도메인 네임 쿼리를 처리하게 된다.
루트 DNS 서버가 질의된 도메인 네임을 확인하여 일반 최상위 도메인(com, net, org, edu 등)인지 국가코드 최상위 도메인(kr, jp, uk 등)인지 확인하여 대응되는 DNS 서버에 다시 질의하는 식으로 계층적으로 확인하게 된다.
만일 news.aaa.com이나 blog.aaa.com 등의 세부적인 도메인 네임을 가지는 경우라면 이는 aaa.com의 IP 주소로 접속한 후 aaa.com에서 내부적으로 운영하는 DNS 서버 설정에 따라 실제 접속 IP 주소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이러한 인터넷 주소는 국제인터넷주소자원기구(ICANN)이 관리하며, 루트 DNS 서버는 DNS의 기초가 되는 루트존(도메인 네임의 마지막 부분(.com/.net/.kr 등 외에도 .aaa/.aarp/.abarth/.abb...등)을 의미하는 최상위 도메인) 정보를 관리한다.
따라서, 정확하게 정해진 규칙에 따라 자신의 실질적인 IP 주소에 대응하는 접속명을 결정할 수 게 되므로 사용할 수 있는 접속명 설정이 제한적이고, 누군가 해당 명칭을 선점하게 될 경우 이를 회피해야 하는 문제가 발생하며, 좀 더 직관적이거나 다양한 표현을 사용할 수 없는 한계가 있다.
나아가, 이러한 DNS는 국제인터넷주소자원기구(ICANN)와 각국의 인터넷 관리 기구(한국의 경우 한국 인터넷 정보 센터)에 의해 관리되므로 새로운 도메인 네임을 등록하기 위한 절차가 대단히 복잡하고 까다롭다.
따라서, 이러한 도메인 네임을 DNS에 등록하는 절차를 대행해주는 대행사가 존재하며, 이러한 등록 대행을 위해 상당한 비용이 발생하고, 그 사용 연장을 위해 매년 비용이 발생하게 된다. 나아가 도메인 네임 선점에 따른 각종 분쟁도 많기 때문에 별도의 중재위원회를 운영하기도 하는 실정이다.
결국, 전통적인 DNS는 오래 전에 마련된 경직된 체계를 가지고 있어 표현이 자유롭지 못하고, 이미 포화상태에 이르고 있으며, 그 등록이 복잡할 뿐만 아니라 이러한 등록의 복잡성에 의해 대행사를 통해서 등록하는 것이 일반적이어서 등록 비용이 높고 매년 해당 도메인을 유지하기 위한 비용과 그 대행비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특히, 간단한 이벤트나 한시적 연결이 필요한 경우 이를 위해 새로운 도메인 네임 등록을 하기 어렵기 때문에 이미 확보한 도메인 네임의 하위 주소를 이용하게 되는데, 메인 주소에 이벤트 링크를 표시하여 이를 통해 간접적으로 이동하도록 하는 식으로 활용하고 있어 한시적 접속 주소를 알리는 것이 쉽지 않은 문제가 있다.
나아가, 전통적인 DNS는 그 등록이 중앙 집중식이고 등록과 변경 절차가 까다롭기 때문에 각종 보안 위협이나 접속 분산 등이 필요한 경우에도 상위 DNS 차원에서 대응하지 못하고 실제 DNS를 통해 도메인 네임을 등록한 서비스 운영사가 이를 자체적으로 해결해야 하므로 부하 분산이나 보안을 위한 과도한 네트워크 장비 구성과 운용이 필요한 문제가 있다.
한편, 현재와 같이 IoT(Internet of Things) 디바이스들이 다수 존재하며 그 사용이 폭발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는 상황에서, 각 IoT 디바이스들에 대한 접속명을 도메인으로 등록하기에는 현재 도메인 네임 시스템의 경우 관리와 비용, 도메인 네임의 포화도 측면에서 바람직하지 못하기 때문에 이러한 IoT에 대한 새로운 접속 방식에 대한 고려도 필요한 실정이다.
한국 등록특허 제10-0818200호 [도메인 네임서버(DNS)를 기반으로 한 키워드 인터넷접속 방법 및 그 시스템] 한국 등록특허 제10-1110979호 [이동 아이피 통신망을 지원하기 위한 도메인 네임 장치 및 방법]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위변조가 어려운 분산 방식의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접속정보를 등록받아 저장 및 공유하되, 특별한 접속명 구조에 대한 제한을 줄이면서 용이하게 등록하고 변경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기존의 DNS에서 제공할 수 없었던 새로운 활용이 가능하도록 한 인터넷 접속을 위한 블록체인기반 접속정보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다양한 가변적 상황에 대한 접속정보의 선택적 이용이나 타 접속정보의 한시적 활용 등을 스마트 계약을 기반으로 블록체인에 등록하도록 하여 활용성을 높일 수 있으면서 계약 내용 공개와 자동 실행에 따른 투명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 인터넷 접속을 위한 블록체인기반 접속정보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각 노드에 긴급 공유장을 구성 및 활용함으로써 보안 위험이나 부하의 분산, 혹은 다른 목적에 따라 긴급하게 접속정보에 대한 추가나 변경이 즉시 필요한 경우 블록체인의 블록 생성에 따른 공유원장 갱신을 기다리지 않고 블록 생성 사이에도 접속정보 변경이 가능하도록 한 인터넷 접속을 위한 블록체인기반 접속정보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넷 접속을 위한 블록체인기반 접속정보 시스템은 복수 노드의 네트워크로 구성되며 인터넷 접속을 위한 접속명과 대응 접속 주소를 접속정보로서 블록체인 방식으로 저장하고 각 노드가 이를 공유 원장으로 공유하여 접속명과 대응 접속 주소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질의에 대해 그 대응되는 접속 주소나 접속명을 제공하는 블록체인 접속정보 시스템으로서, 각 노드는 등록하거나 변경하고자 하는 접속정보를 생성하여 전파하고, 타 노드의 등록과 변경을 위한 접속정보를 인증하여 블록체인에 저장하며 공유 원장을 통해 공유하고, 공유 원장의 등록 접속정보나 변경 접속정보를 근거로 질의에 따른 대응 접속정보를 제공하는 블록체인 관리부를 포함한다.
일례로서, 각 노드는 공유 원장과 함께 모든 노드에 공유되는 정보를 저장하는 긴급 공유장과, 블록 생성 사이에, 블록으로 생성될 등록이나 변경 요청된 접속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모든 노드에 마련된 긴급 공유장을 통해 공유하여 상기 블록체인 관리부가 접속정보 제공시 참조하도록 하는 긴급공유 관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블록체인 관리부는 등록하거나 변경하고자 하는 접속정보 생성 시 긴급공유 요청여부를 결정하는 정보를 더 포함하여 생성하며, 긴급공유 관리부는 등록이나 변경하고자 하는 접속 정보에 포함된 긴급공유 요청여부를 결정하는 정보를 확인하여 긴급공유가 요청된 정보를 긴급 공유장에 등록할 수 있다.
한편, 긴급공유 관리부는 긴급 공유장에 등록된 정보가 포함되는 다음 블록이 체인으로 정상 연결되는 경우 긴급 공유장의 내용을 삭제할 수 있다.
나아가 긴급공유 관리부는 긴급 공유장에 등록된 정보가 다음 블록에 정상 저장되지 않는 경우 해당 정보의 등록을 요청한 노드나 해당 노드에 의해 등록된 접속정보에 대해 기 설정된 패널티를 부과할 수 있다.
일례로서, 각 노드는 접속정보의 사용 기간, 타인의 접속정보 사용에 대한 계약, 접속정보 변경에 대한 기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스마트 계약을 블록에 등록하고 그 상태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는 계약 관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서, 각 노드는 접속정보의 등록과 변경, 스마트 계약의 등록과 계약 내용 수행에 따른 비용을 결제하기 위한 전자지갑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서, 접속정보는 사이트의 소개나 미리보기 영상, 음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메타데이터를 더 포함하며, 상기 블록체인 관리부는 질의에 따른 접속정보 제공 시 해당 메타데이터를 함께 제공할 수 있다.
일례로서, 블록체인 관리부는 기 등록된 접속정보에 대한 중복 등록을 확인하며, 기 설정된 금칙어나 금칙 표현을 포함한 접속정보 등록을 방지하는 검증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서, 노드로 참여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실명을 인증하기 위한 실명 인증 노드를 더 포함하며, 각 노드는 검색 시 접속정보와 함께 해당 접속정보를 등록하거나 수정한 노드에 대한 실명 중 적어도 일부를 공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터넷 접속을 위한 블록체인기반 접속정보 시스템은 위변조가 어려운 분산 방식의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접속정보를 등록받아 저장 및 공유하되, 특별한 접속명 구조에 대한 제한을 줄이면서 접속정보를 용이하게 등록하고 변경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기존의 DNS에서 제공할 수 없었던 새로운 활용이 가능하고 IoT 기기의 접속정보 등록과 같은 대량의 접속정보 폭주 상황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음과 아울러, 등록과 유지에 대한 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다양한 가변적 상황에 대한 접속정보의 선택적 이용이나 타인의 접속정보의 활용을 스마트 계약을 기반으로 블록체인에 등록하도록 하여 활용성을 높일 수 있으면서 계약 내용 공개에 따른 투명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여 접속정보의 활용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불어, 각 노드에 긴급 공유장을 구성 및 활용함으로써 보안 위험이나 부하의 분산, 혹은 다른 목적에 따라 긴급하게 접속정보에 대한 추가나 변경이 즉시 필요한 경우 블록체인의 블록 생성에 따른 공유원장 갱신을 기다리지 않고 블록 생성 사이에도 접속정보 변경이 가능하도록 하여 네트워크 장비에 대한 투자를 줄이고 근원적인 대응이 신속하게 가능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DNS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2는 종래 DNS의 계층적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속정보 등록 방식을 보인 블록체인 접속정보 시스템의 예시적 개념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속정보 블록 저장 방식을 보인 개념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속정보 스마트 계약 등록 방식을 보인 블록체인 접속정보 시스템의 예시적 개념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접속정보 시스템 및 이를 구성하는 노드의 구성도를 보인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접속정보 이용 예를 보인 것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본 발명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거나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인 용어가 본 발명의 사상을 정확하게 표현하지 못하는 잘못된 기술적 용어일 때에는 당업자가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는 기술적 용어로 대체되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바에 따라 또는 전후 문맥상에 따라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발명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를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제 1, 제 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 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 요소는 제 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 요소도 제 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사상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됨을 유의해야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200)에 구성된 인터넷 접속 어플리케이션을 통해서 임의로 설정한 접속명 'aaa'의 이름을 가지는 주소에 접속하고자 할 경우 사용자 단말(200)의 어플리케이션은 그 접속을 위한 주소 프로토콜로서 HTTP (hypertext transfer protocol)가 아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접속정보 시스템(100)을 통한 접속정보 확인을 위해 새롭게 구성되는 접속프로토콜을 명시한 후 접속명을 입력한다.
도시된 예시에서는 http 대신 htbp(hypertext blockchain protocol)와 같은 본원 발명을 지원하기 위해 일반적인 DNS 대신 블록체인 접속정보 시스템을 통해 접속정보를 가져와서 접속하도록 요청하는 프로토콜 표시를 이용한다. 물론 htbp 외에 다른 문자열을 이용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서 사용자 단말(200)에 구성되는 인터넷 접속 어플리케이션은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로토콜 표시를 발견하면 그 이후의 접속명을 블록체인 접속정보 시스템(100)에 질의하고 그에 따른 실제 IP 주소를 응답받아 이를 통해 통상의 http 방식으로 접속하도록 하는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이러한 블록체인 접속정보 시스템(100)에 대한 접속을 위해 굳이 통신사 서버를 통해 질의하거나 할 필요 없이 블록체인 접속정보 시스템(100)에 속하는 임의의 노드를 지정하여 접속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을 포함할 수 있으며, 통신사에서 이러한 구성을 포함하여 대신 처리해 줄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 단말(200)의 인터넷 접속 어플리케이션이 접속명을 블록체인 접속정보 시스템(100)에 질의하면 블록체인 접속정보 시스템(100)은 그에 대한 응답으로 각 노드가 공유하고 있는 공유원장에 등록된 접속정보를 기반으로 하는 접속 주소를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블록체인 접속정보 시스템(100)이라는 기존의 DNS와 같은 계층적 중앙집중형 접속정보 시스템과 별도의 접속정보체계가 제공되므로, 거의 포화상태에 있는 접속명을 처음부터 다시 등록할 수 있으며, 굳이 이를 계층적으로 구성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기존 DNS와는 전혀 다른 접속명이나 접속표현들을 이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abc.com'이라는 접속명 대신에 'abc', '<<abc>>', '(^^)/abc', 'A B C'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접속명을 이용할 수 있으며, 그 포맷에 제한이 거의 없으므로 다양하고 기억하기 좋은 접속명을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나아가, 분산 저장되는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이용한다는 점에서 그 등록과 유지, 변경에 대한 비용이 거의 발생되지 않기 때문에 기존의 DNS로는 등록의 번거로움과 비용 문제로 자체 DNS를 이용하여 접속명 앞쪽에만 추가할 수 있었던 구분자를 마음대로 구성할 수 있게 된다. 즉, 'news.abc.com' 대신에 'abc-news', 'abc[news]', 'abc news' 등과 같은 새로운 구성이 가능하다.
또한, IoT 단말과 같이 무수히 많은 인터넷 접속 디바이스들이 확산되면서 이들에 대한 접근성에 대한 문제가 제기되고 있고, 이들을 기존의 DNS에 수용하기 어렵고 그 등록과 유지 비용이 과다하다는 점에서 접속명을 통해서 어디에서나 접속할 수 있도록 하는 대안 마련에 고심하고 있는데, 본 발명의 블록체인 접속정보 시스템을 이용할 경우 접속명에 대한 제한이 없다는 점에서 이러한 IoT 단말에 대한 개별적인 접속명을 등록하여 이용하는데 최적으로 활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myname tv1', 'myname heater', 'myname car' 등과 같은 의미적으로 용이하게 구분할 수있는 접속명을 등록하여 이용할 수도 있게 된다. 이러한 접속명으로 IoT 단말에 접속하면 해당 단말이 제공하는 웹페이지를 곧바로 확인하여 이를 제어하거나 정보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주소 정보에 있어서도 IPv4(주소정보 43억개)로 한계가 발생함에 따라 신규로 사용되는 IPv6 주소체계에 대해서도 용이하게 대응할 수 있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속정보 등록 방식을 보인 블록체인 접속정보 시스템(100)의 예시적 개념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블록체인 접속정보 시스템(100)은 복수 노드(110)의 네트워크로 구성되며 인터넷 접속을 위한 접속명과 대응 접속 주소를 접속정보로서 블록체인 방식으로 저장하고 각 노드가 이를 공유 원장으로 공유하여 접속명과 대응 접속 주소 중 하나에 대한 질의에 따라 그 대응되는 접속 주소나 접속명을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접속정보로서 해당 접속정보에 대응하는 웹페이지에 대한 메타데이터가 포함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접속 사이트의 특징이나 소개, 미리보기 영상, 음원 등이 접속정보에 추가될 수 있으며, 이는 접속정보 조회 시 접속 주소와 함께 전달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접속명을 인터넷 접속 어플리케이션의 주소창에 입력하면 실제 접속 전에 해당 접속 사이트에 대한 정보를 미리 확인해 볼 수 있다.
각 노드(110)는 이러한 접속정보를 등록하고자 하는 임의의 사용자가 설치하는 단말일 수 있으며, 이 경우 해당 사용자는 별도의 네트워크 연결 없이도 자신의 노드에 저장된 공유원장 정보만으로 접속정보를 확인할 수 있고, 이렇게 노드가 아니더라도 해당 블록체인에 접속할 수 있는 채널(본 발명의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웹 접속 어플리케이션이나 통신사)를 통해서 접속정보를 질의하고 그 응답을 수신할 수 있다.
실질적으로 접속정보를 등록하고자 하는 사용자는 타인의 해당 접속명으로 자신이 등록한 접속주소에 접속하기를 바라고 있으므로 해당 접속주소에 대응되는 웹서버 등을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이 노드가 될 수 있고, 웹호스팅을 제공하는 웹호스팅 업체의 서버에 마련된 사용자별 서버 공간에 노드가 구성될 수도 있다. 혹은 웹호스팅과 무관하게 별도의 단말을 노드로 이용할 수 있는데, 스마트폰이나 타블렛 등의 휴대용 단말도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노드(110)는 실질적으로 사용자 단말에서 동작하는 응용 프로그램으로 구성될 수 있는데, 초기 설치시 사용자에 대한 정보나 실명인증을 요구할 수도 있다. 이는 공공 접속을 위한 접속정보 공개 측면에서 그 컨텐츠의 오남용이나 불법적 사용을 방지하기 위한 방안이 될 수 있는데, 이는 필요에 따라 정책적으로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노드(110)는 등록하거나 변경하고자 하는 접속정보를 생성하여 전파하고, 타 노드의 등록과 변경을 위한 접속정보를 인증하여 블록체인에 저장하며 공유 원장을 통해 공유하고, 공유 원장의 등록 접속정보나 변경 접속정보를 근거로 질의에 따른 대응 접속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도시된 노드a(110a)에서 사용자가 입력한 접속명과 접속주소의 쌍(메타정보도 포함될 수 있음)을 신규 접속정보로 등록하고자 하면, 인접한 노드들이 해당 접속정보에 노드a(110a)가 제공한 정보가 맞는 것인지 인증하여 이를 블록체인을 구성할 블록에 저장한다. 예를 들어 노드a(100a)가 접속명과 접속주소를 포함하는 접속정보를 생성하여 이에 대해 전자서명을 한 후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전파하면 이를 수신한 노드들이 해당 접속정보의 전자서명을 통해 노드a(110a)에서 생성한 정보가 맞는 것인지 인증하여 설정된 수준 이상의 노드에서 인증에 성공하면 해당 접속정보가 정상적인 것으로 판단하여 이를 블록에 추가하게 된다.
도 5는 블록체인을 구성하는 블록의 생성 방식을 보인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노드에서 신규 등록을 위해 입력되어 인증된 접속정보나 기 등록된 접속정보의 내용을 변경하기 위한 것으로 입력되어 인증된 접속정보를 블록에 저장하면서 각 접속정보에 대한 해시값을 산출하고 이러한 해시값들을 계층적으로 다시 해시하여 최종적으로 루트해시 값을 생성한다. 이러한 루트해시값을 확인하면 내용의 변경 여부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블록은 이전 블록의 해시값과 현재 블록의 해시값을 포함하여 저장하므로 체인 형태로 연결되어 이전 블록의 변조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신규 블록의 생성일시, 버전, 비츠(bits), 루트해시, 이전 블록의 해시, 그리고 논스(nonce)라고 불리는 임시값 등을 조합한 후 해시로 변환하여 상기 신규 블록의 블록 해시값을 생성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록 해시 생성 방식은 이를 기반으로 다소 변경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블록 생성은 일정한 노드가 전담하여 생성할 경우 위변조의 위험이 있기 때문에 임의의 노드가 생성하게 되는데, 그 기준은 작업증명(作業證明, PoW(Proof of Work))을 포함하는 다양한 방식을 통해서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이러한 블록 생성 규칙은 다양한 알려진 방식 중에서 선택될 수 있거나 본 발명을 위해 새롭게 정의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연속되는 체인형 블록의 구성을 통해서 접속정보는 쉽게 위조나 변조될 수 없기 때문에 그에 대한 안전성을 담보할 수 있으며, 각 노드에서 그 블록들에 대한 정보와 해당 접속정보의 등록, 변경에 대한 이력을 모두 확인할 수 있으므로 투명성도 보장된다. 나아가, 이러한 노드에 대한 실명인증 과정을 수행할 경우 접속정보 이용에 대한 안전성이나 위법 행위에 대한 제제도 가능할 수 있다. 즉, 공유원장에 해당 접속정보의 등록이나 변경을 요청한 노드에 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고, 이러한 정보에는 실명인증한 전체 실명, 연락처 혹은 실명의 일부가 공개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각 노드들(실질적으로는 각 노드에 구성되어 실행되는 노드 기능 수행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은 새로운 접속정보를 등록하거나 기존 접속정보를 변경하고자 할 경우 사용자가 입력하는 정보가 자신이 보유한 공유원장을 근거로 중복되는 것인지 확인하여 그 결과를 알려줄 수 있으며, 접속명 설정에 있어 금칙어나 금칙 표현을 포함한 접속정보 등록을 방지하는 검증 기능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러한 금칙어나 금칙 표현의 경우 중요 노드 운영자들이나 전체 노드 사용자들의 협의체나 협의를 위한 네트워크 구성(웹서버나 협의 어플리케이션 등)을 통해서 등록되거나 갱신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속정보 스마트 계약 등록 방식을 보인 블록체인 접속정보 시스템의 예시적 개념도이다.
본 발명과 같이 기존의 경직된 DNS와 다른 새로운 접속정보 제공 방식에서는 다양한 설정과 계약이 가능한데,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노드(110)는 특정한 접속명과 접속 주소를 사용할 기간이나 조건을 설정한다거나, 타인의 접속명을 임대하여 사용한다거나, 혹은 특정한 조건이나 기간을 정하여 접속 주소를 변경하도록 하는 등의 스마트 계약을 블록체인에 등록하고 이러한 기능이 자동으로 수행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누군가 'event in seoul'이라는 접속명을 등록한 경우 타인이 해당 접속명을 일정기간 임대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이러한 상호간 계약을 스마트 계약으로 정의하여 블록에 저장할 수 있고, 접속정보를 등록하면서 등록 업무시간에만 해당 접속정보를 사용하겠다고 지정할 수도 있으며, 일정 기간 내에 접속정보 쿼리가 일정 수준 이상이면 접속 주소를 변경하도록 하는 계약 내용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기존의 경직된 DNS에서는 처리할 수 없었던 다양한 기능들을 접속정보를 등록하는 블록체인 접속정보 시스템(100)을 통해 수행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접속 방식의 다양성, 접속명 활용의 다양성, 네트워크 장비에서 처리하던 기능의 일부를 대체하는 기능적 활용성 등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접속정보 시스템(100) 및 이를 구성하는 노드(110)의 구성도를 보인 것이다. 한편, 이러한 구체적인 구성을 통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특유하게 제공하는 긴급공유에 대한 설명과 전자지갑을 이용하는 방식에 대해서도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노드(110)는 등록되거나 변경된 접속정보(및 등록 노드에 대한 정보)와 계약 정보 등을 포함하는 블록 저장 정보를 공유하는 공유원장(111)과, 등록하거나 변경하고자 하는 접속정보를 생성하여 전파하고, 타 노드의 등록과 변경을 위한 접속정보를 인증하여 블록체인에 저장하며 공유 원장을 통해 공유하고, 공유 원장의 등록 접속정보나 변경 접속정보를 근거로 질의에 따른 대응 접속정보를 제공하는 블록체인 관리부(113)와, 접속정보의 사용 기간, 타인의 접속정보 사용에 대한 계약, 접속정보 변경에 대한 기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스마트 계약을 블록에 등록하고 그 상태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는 계약 관리부(116) 및 접속정보의 등록과 변경, 스마트 계약의 등록과 계약 내용 수행에 따른 비용을 결제하기 위한 전자지갑부(114)를 포함한다.
여기서, 블록체인 관리부(113)는 접속정보로서 접속명과 접속주소에 대한 매칭 정보를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을 수 있으며, 추가로 접속주소에 대응하는 웹페이지에 대한 메타데이터 역시 입력 받아 접속정보로서 함께 블록에 등록할 수 있다.이러한 메타데이터는 접속 사이트의 특징이나 소개, 미리보기 영상, 음원 등일 수 있으며, 이는 접속정보 조회 시 대응되는 접속 주소/접속명과 함께 질의한 사용자 단말에 전달할 수 있다. 나아가 블록체인 접속정보 시스템에서 등록된 공유원장 상의 접속정보에 대한 분석 정보(순위, 인기도 등)를 질의에 대한 응답 시 사용자 단말에 전달해 줄 수도 있으며 이의 공개 여부는 등록자가 선택하도록 할 수도 있다.
여기서 전자지갑부(114)는 예를 들어 접속정보를 제공한 노드, 모든 접속정보를 저장한 노드(풀노드), 블록을 생성하는 노드에 대해 코인을 발행하고, 접속정보의 등록이나 변경, 계약정보의 등록이나 취소 등을 수행하기 위한 비용 결제 시 코인을 이용하도록 할 수 있다. 물론, 현금을 코인으로 전환하거나 코인을 현금으로 전환하기 위한 코인 거래소 등과 연동할 수도 있다.
블록체인 관리부(113)는 기 등록된 접속정보에 대한 중복 등록을 확인하며, 기 설정된 금칙어나 금칙 표현을 포함한 접속정보 등록을 방지하는 검증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노드(110)에 공유 원장(111)과 함께 모든 노드에 공유되는 정보를 저장하는 긴급 공유장(112)과, 블록 생성 사이에, 블록으로 생성될 등록이나 변경 요청된 접속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모든 노드에 마련된 긴급 공유장(112)을 통해 공유하여 블록체인 관리부(113)가 접속정보 제공시 참조하도록 하는 긴급공유 관리부(115)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공유원장(111)이나 긴급 공유장(112)은 노드(110)를 구성하는 단말기나 서버에 내장되거나 혹은 별도로 구성되는 저장부(하드디스크나 램디스크, 솔리드 스테이스 디스크(SSD), 플래시 메모리, 클라우드 저장소 등)나 메모리에 구성되는 것으로, 노드의 기능을 수행하는 어플리케이션이 접속할 수 있는 저장공간일 수 있다.
블록체인 관리부(113)는 등록하거나 변경하고자 하는 접속정보 생성 시 긴급공유 요청여부를 결정하는 정보(사용자 지정)를 더 포함하여 생성하며, 긴급공유 관리부(115)는 등록이나 변경하고자 하는 접속 정보에 포함된 긴급공유 요청여부를 결정하는 정보를 확인하여 긴급공유가 요청된 정보를 긴급 공유장(112)에 등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속정보는 블록 생성 주기 정도의 시간이 지나면 등록되어 바로 사용할 수 있어 신규 접속정보의 등록이나 기존 접속정보의 변경이 비교적 용이하고 그 갱신 속도가 뛰어나지만, 현실적으로 보안 위협이 있다거나, 부하가 급증한다거나, 신속하게 새로운 접속정도를 등록하거나 변경해야 하는 사정이 있는 경우 다음 블록이 생성되는 기간조차 너무 길게 느껴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앞서 설명한 긴급 공유장(112)을 이용하여 다음 블록에 저장되어 해당 블록이 체인에 연결됨에 따라 그 저장 내용이 공유 원장에 공유될 때 까지의 지연에 둔감하도록 한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접속정보 시스템은 긴급 공유장(112)의 공유를 통해서 거의 실시간에 가깝게 원하는 접속정보의 등록이나 변경이 가능하도록 하여 블록이 생성되어 공유원장에 새로운 접속정보 갱신 내용이 반영되는 지연이 없는 것 처럼 동작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긴급 공유장(112)은 다음 블록이 생성되어 체인에 연결되어 공유원장이 갱신되는 사이에만 필요하므로 긴급공유 관리부(115)는 긴급 공유장(112)에 등록된 정보가 포함되는 다음 블록이 체인으로 정상 연결되는 경우 긴급 공유장(112)의 내용을 삭제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긴급 공유장(112)의 내용은 실질적으로 블록으로서 저장되어 정상적으로 블록체인에 연결된 정보가 아니라는 점에서 다소간 신뢰성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긴급공유 관리부(115)는 긴급 공유장에 등록된 정보가 다음 블록에 정상 저장되지 않는 경우 해당 정보의 등록을 요청한 노드나 해당 노드에 의해 등록된 접속정보에 대해 기 설정된 패널티를 부과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접속을 일정 기간 차단한다거나 새로운 접속정보를 등록하거나 변경하는 것을 제한한다거나, 많은 코인을 전자지갑(114)에서 차감한다거나 하는 식의 패널티를 부과할 수 있으며, 이는 일종의 스마트 컨트랙트 개념으로 블록체인에 등록되거나 노드 간 처리될 수 있다.
이러한 긴급 공유장(112)이 블록 생성 주기 사이에도 접속정보의 등록과 변경에 실시간 대응할 수 있기 때문에 블록체인과 같은 갱신이 느린 네트워크를 이용하면서도 실시간성이 요구되는 네트워크 기능을 제공할 수 있으며, 쉽고 빠른 접속정보의 등록과 변경이 가능하게 된다.
더불어, 이러한 블록체인 접속정보 시스템(100)은 노드로 참여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실명을 인증하기 위한 실명 인증 노드(120)를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이는 공신력이 인정된 다양한 실명인증 방식을 활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화번호를 통신사를 통해 인증한다거나, 이메일을 통해 인증한다거나, 국가 등록번호(주민번호, 운전면허증 번호, 사회보장번호 등)을 등록한다거나, 생체정보(지문, 홍체 등)를 등록하는 식일 수 있다.
이렇게 실명에 대한 정보가 등록될 경우 각 노드(110)는 검색 시 접속정보와 함께 해당 접속정보를 등록하거나 수정한 노드에 대한 실명 중 적어도 일부를 공개할 수 있다. 즉, 블록체인의 특성상 노드나 노드에 연동되는 단말에서 공유원장의 내용을 검색할 수 있는데, 이를 통해 접속정보의 등록과 변경에 대한 이력은 물론이고 필요하다면 접속정보를 이용한 이력까지도 확인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접속정보 이용 예를 보인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인터넷 접속 어플리케이션(210)의 접속주소 입력창(211)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접속정보 시스템 프로토콜로 접속명을 입력하면 해당 접속명에 따른 IP 주소가 반환되고, 해당 인터넷 접속 어플리케이션(210)은 이를 기반으로 해당 IP 주소의 웹페이지를 표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다양한 접속명을 기존의 DNS와 병렬로 새롭게 정하여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접속명에 대한 활용성을 크게 높일 수 있고, 등록과 변경에 대한 부담이 줄어들기 때문에 다양한 접속명을 활용할 수 있어 IoT와 같은 무수히 많은 신규 인터넷 접속 단말들에 대한 접속명 부여도 한결 용이해지게 되며, 즉각적 조치가 필요한 보안 대응이나 부하 감소 등에도 활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시스템, 장치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A(field programmabl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나아가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전술된 내용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20: 통신망 100: 블록체인 접속정보 시스템
110: 노드 111: 공유원장
112: 긴급 공유장 113: 블록체인 관리부
114: 전자지갑부 115: 긴급공유 관리부
116: 계약 관리부 120: 실명 인증 노드
200: 사용자 단말

Claims (9)

  1. 복수 노드의 네트워크로 구성되며 인터넷 접속을 위한 접속명과 대응 접속 주소를 접속정보로서 블록체인 방식으로 저장하고 각 노드가 이를 공유 원장으로 공유하여 접속명과 대응 접속 주소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질의에 대해 그 대응되는 접속 주소나 접속명을 제공하는 블록체인 접속정보 시스템으로서,
    각 노드는 등록하거나 변경하고자 하는 접속정보를 생성하여 전파하고, 타 노드의 등록과 변경을 위한 접속정보를 인증하여 블록체인에 저장하며 공유 원장을 통해 공유하고, 공유 원장의 등록 접속정보나 변경 접속정보를 근거로 질의에 따른 대응 접속정보를 제공하는 블록체인 관리부를 포함하되,
    상기 노드로 참여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실명을 인증하기 위한 실명 인증 노드를 더 포함하며, 각 노드는 검색 시 접속정보와 함께 해당 접속정보를 등록하거나 수정한 노드에 대한 실명 중 적어도 일부를 공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접속을 위한 블록체인기반 접속정보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각 노드는 공유 원장과 함께 모든 노드에 공유되는 정보를 저장하는 긴급 공유장과, 블록 생성 사이에, 블록으로 생성될 등록이나 변경 요청된 접속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모든 노드에 마련된 긴급 공유장을 통해 공유하여 상기 블록체인 관리부가 접속정보 제공시 참조하도록 하는 긴급공유 관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접속을 위한 블록체인기반 접속정보 시스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블록체인 관리부는 등록하거나 변경하고자 하는 접속정보 생성 시 긴급공유 요청여부를 결정하는 정보를 더 포함하여 생성하며, 상기 긴급공유 관리부는 등록이나 변경하고자 하는 접속 정보에 포함된 긴급공유 요청여부를 결정하는 정보를 확인하여 긴급공유가 요청된 정보를 긴급 공유장에 등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접속을 위한 블록체인기반 접속정보 시스템.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긴급공유 관리부는 긴급 공유장에 등록된 정보가 포함되는 다음 블록이 체인으로 정상 연결되는 경우 긴급 공유장의 내용을 삭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접속을 위한 블록체인기반 접속정보 시스템.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긴급공유 관리부는 긴급 공유장에 등록된 정보가 다음 블록에 정상 저장되지 않는 경우 해당 정보의 등록을 요청한 노드나 해당 노드에 의해 등록된 접속정보에 대해 기 설정된 패널티를 부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접속을 위한 블록체인기반 접속정보 시스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각 노드는 접속정보의 사용 기간, 타인의 접속정보 사용에 대한 계약, 접속정보 변경에 대한 기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스마트 계약을 블록에 등록하고 그 상태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는 계약 관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접속을 위한 블록체인기반 접속정보 시스템.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각 노드는 접속정보의 등록과 변경, 스마트 계약의 등록과 계약 내용 수행에 따른 비용을 결제하기 위한 전자지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접속을 위한 블록체인기반 접속정보 시스템.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접속정보는 사이트의 소개나 미리보기 영상, 음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메타데이터를 더 포함하며, 상기 블록체인 관리부는 질의에 따른 접속정보 제공 시 해당 메타데이터를 함께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접속을 위한 블록체인기반 접속정보 시스템.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블록체인 관리부는 기 등록된 접속정보에 대한 중복 등록을 확인하며, 기 설정된 금칙어나 금칙 표현을 포함한 접속정보 등록을 방지하는 검증 기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접속을 위한 블록체인기반 접속정보 시스템.
KR1020190149587A 2019-11-20 2019-11-20 인터넷 접속을 위한 블록체인기반 접속정보 시스템 KR2021006171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9587A KR20210061714A (ko) 2019-11-20 2019-11-20 인터넷 접속을 위한 블록체인기반 접속정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9587A KR20210061714A (ko) 2019-11-20 2019-11-20 인터넷 접속을 위한 블록체인기반 접속정보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1714A true KR20210061714A (ko) 2021-05-28

Family

ID=761404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9587A KR20210061714A (ko) 2019-11-20 2019-11-20 인터넷 접속을 위한 블록체인기반 접속정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61714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8200B1 (ko) 2006-09-15 2008-03-31 조관현 도메인 네임서버(dns)를 기반으로 한 키워드 인터넷접속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1110979B1 (ko) 2011-01-27 2012-02-15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이동 아이피 통신망을 지원하기 위한 도메인네임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8200B1 (ko) 2006-09-15 2008-03-31 조관현 도메인 네임서버(dns)를 기반으로 한 키워드 인터넷접속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1110979B1 (ko) 2011-01-27 2012-02-15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이동 아이피 통신망을 지원하기 위한 도메인네임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698228B (zh) 系统访问权限授予方法、装置、服务器及存储介质
JP7222036B2 (ja) モデルトレーニングシステムおよび方法および記憶媒体
US8813225B1 (en) Provider-arbitrated mandatory access control policies in cloud computing environments
US10944574B2 (en) Method for providing virtual asset service based on decentralized identifier and virtual asset service providing server using them
US20200145373A1 (en) System for blockchain based domain name and ip number register
JP2022000757A5 (ko)
US11907939B2 (en) Methods for user authentication using non-fungible digital assets
US20210044590A1 (en) Request filtering and data redaction for access control
CN109635550B (zh) 集群数据的权限校验方法、网关及系统
CN110971569A (zh) 网络访问权限管理方法、装置及计算设备
US11985252B1 (en) Resolving and managing blockchain domains
CN106844111B (zh) 云存储网络文件系统的访问方法
CN110968848B (zh) 基于用户的权限管理方法、装置及计算设备
KR20200105998A (ko) 블록체인-기반 데이터 관리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
US11539707B2 (en) Dynamic security policy consolidation
CA3088147C (en) Data isolation in distributed hash chains
CN110266792B (zh) 地址转换方法、装置、设备与计算机可读存储介质
US20210144138A1 (en) Authority transfer system, server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erver, and storage medium
WO2014197128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single sign-on while protecting user privacy
US11477187B2 (en) API key access authorization
US9565019B1 (en) Secure and anonymous distributed authentication
CN113542292A (zh) 基于dns和ip信誉数据的内网安全防护方法及系统
KR20190095067A (ko) 블록체인 기반의 머클트리를 이용한 정보 관리 방법, 이를 이용한 서버 및 단말
US20230222137A1 (en) Data management platform
CN107005558B (zh) 基于位置的用户歧义消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