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61698A - 고유진동 손실 보완 led를 이용한 광섬유 채광 장치 - Google Patents

고유진동 손실 보완 led를 이용한 광섬유 채광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61698A
KR20210061698A KR1020190149541A KR20190149541A KR20210061698A KR 20210061698 A KR20210061698 A KR 20210061698A KR 1020190149541 A KR1020190149541 A KR 1020190149541A KR 20190149541 A KR20190149541 A KR 20190149541A KR 20210061698 A KR20210061698 A KR 202100616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fiber
led
light
vibration loss
natural vib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95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승한
Original Assignee
(주)엔엘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엔엘에스 filed Critical (주)엔엘에스
Priority to KR10201901495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61698A/ko
Publication of KR202100616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169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11/00Non-electric lighting devices or systems using daylight
    • F21S11/007Non-electric lighting devices or systems using daylight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transmitting light into the interior of a build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11/00Non-electric lighting devices or systems using daylight
    • F21S11/002Non-electric lighting devices or systems using daylight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collecting or concentrating the sunlight, e.g. parabolic reflectors or Fresnel lenses
    • F21S11/005Non-electric lighting devices or systems using daylight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collecting or concentrating the sunlight, e.g. parabolic reflectors or Fresnel lenses with tracking means for following the position of the su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21V23/0442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 F21V23/046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the sensor sensing the level of ambient illumination, e.g. dawn or dusk sens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5/00Refractors for light sources
    • F21V5/04Refractors for light sources of lens shape
    • F21V5/045Refractors for light sources of lens shape the lens having discontinuous faces, e.g. Fresnel len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Architecture (AREA)
  • Optical Couplings Of Light Guides (AREA)

Abstract

고유진동 손실 보완 LED를 이용한 광섬유 채광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유진동 손실 보완 LED를 이용한 광섬유 채광 장치는 실외에 설치되며 태양의 위치를 추종하여 자연광을 집광하는 집광부, 집광부로부터 집광된 광을 전달하는 복수 개의 플라스틱 광섬유, 실내에 설치되며 적어도 하나의 LED를 포함하고 플라스틱 광섬유의 일단이 전면에 배치되는 산광부, 및 집광부가 태양의 위치를 추종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LED는 플라스틱 광섬유의 고유진동 손실 대역에 대응하는 출력 파장을 갖는다.

Description

고유진동 손실 보완 LED를 이용한 광섬유 채광 장치{Optical-fiber Natural Lighting System using LED to Compensate the Natural-vibration Loss}
본 발명은 고유진동 손실 보완 LED를 이용한 광섬유 채광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광섬유 채광 장치는 중앙 코어(Core)에 이용되는 광섬유의 종류에 따라 구분된다. 예를 들면, 광섬유 채광 장치는 유리를 사용하는 유리 광섬유와 플라스틱을 사용하는 플라스틱 광섬유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여기서, 중앙 코어 물질 외부에는 외피(Clad)가 있어, 일단의 코어로 인입된 광이 전반사되어 타단의 코어 외부로 광이 방출되는 특징을 갖는다.
한편, 코어의 재질 종류에 따라 고유진동 특성을 가지며, 이는 특정 파장의 손실을 초래한다. 여기서, 유리 광섬유는 플라스틱 광섬유보다 약 10배에 가까운 생산 가격이 필요하고, 끝단을 연마해야 효과적으로 광을 전달할 수 있다. 반면, 유리 광섬유는 그 고유진동 손실에 의해 길이가 길수록 황색을 나타낸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플라스틱 광섬유는 상대적으로 약 1/10 수준으로 저렴하고, 끝단을 연마할 필요도 없다는 장점이 있다. 반면, 플라스틱 광섬유는 그 고유진동 손실에 의해 길이가 길수록 청색을 나타낸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종래의 유리 광섬유 및 플라스틱 광섬유 모두는 사용자가 실제 햇빛이라고 느낄 수 있는 자연광 환경을 보장할 수 없다.
KR 2010-0133269 A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가격이 저렴하면서도 실제 자연광과 유사한 가시광선 영역을 전달할 수 있는 고유진동 손실 보완 LED를 이용한 광섬유 채광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다만,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실외에 설치되며 태양의 위치를 추종하여 자연광을 집광하는 집광부; 상기 집광부로부터 집광된 광을 전달하는 복수 개의 플라스틱 광섬유; 실내에 설치되며 적어도 하나의 LED를 포함하고, 상기 플라스틱 광섬유의 일단이 전면에 배치되는 산광부; 및 상기 집광부가 태양의 위치를 추종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LED는 상기 플라스틱 광섬유의 고유진동 손실 대역에 대응하는 출력 파장을 갖는 고유진동 손실 보완 LED를 이용한 광섬유 채광 장치가 제공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LED는 625㎚의 출력 파장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고유진동 손실 보완 LED를 이용한 광섬유 채광 장치는 상기 자연광의 광 세기를 감지하는 조도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된 광 세기에 따라 상기 LED의 광 세기를 조정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산광부는 중앙에 관통홀을 갖는 베이스 기판; 및 상기 베이스 기판의 전면을 덮는 덮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LED는 상기 베이스 기판의 전면에 구비되고, 상기 플라스틱 광섬유의 일단은 상기 베이스 기판의 후면으로부터 상기 관통홀에 삽입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LED는 상기 관통홀의 외주변을 따라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고유진동 손실 보완 LED를 이용한 광섬유 채광 장치는 상기 집광부의 양측을 지지하는 지지 프레임; 및 상기 지지 프레임에 결합되고, 태양의 방위각에 따라 수평 회전하는 베이스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지지 프레임에 구비된 모터에 의해 상기 집광부는 태양의 고도에 따라 수직 회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집광부는 상기 플라스틱 광섬유의 타단에 햇빛을 집중시키는 렌즈를 포함하고, 상기 렌즈는 어레이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렌즈는 프레넬 렌즈(Fresnel Lens)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유진동 손실 보완 LED를 이용한 광섬유 채광 장치는 플라스틱 광섬유와 플라스틱 광섬유의 고유진동 손실을 보완하는 LED를 이용함으로써, 가격이 저렴하면서도 자연광 환경을 제공할 수 있으므로, 제품의 경쟁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유진동 손실 보완 LED를 이용한 광섬유 채광 장치는 자연광의 세기에 따라 LED의 출력 세기를 조정함으로써, 실제 상황 변화에 따른 자연광 환경을 제공할 수 있으므로,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유진동 손실 보완 LED를 이용한 광섬유 채광 장치의 전면 외관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후면 외관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유진동 손실 보완 LED를 이용한 광섬유 채광 장치의 블록도이고,
도 4는 도 3의 산광부의 사시도이며,
도 5는 유리 광섬유를 이용한 광섬유 채광 장치의 파장별 스펙트럼을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6은 플라스틱 광섬유를 이용한 광섬유 채광 장치의 파장별 스펙트럼을 나타낸 그래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유진동 손실 보완 LED를 이용한 광섬유 채광 장치의 파장별 스펙트럼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아래에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의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더욱 충실하고 완전하게 하며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완전하게 전달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들에 있어서, 예를 들면, 제조 기술 및/또는 공차에 따라, 도시된 형상의 변형들이 예상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명세서에 도시된 영역의 특정 형상에 제한된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예를 들면 제조상 초래되는 형상의 변화를 포함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유진동 손실 보완 LED를 이용한 광섬유 채광 장치의 전면 외관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후면 외관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유진동 손실 보완 LED를 이용한 광섬유 채광 장치(100)는 지지 프레임(101), 베이스부(102), 집광부(110) 및 플라스틱 광섬유(120)를 포함한다.
고유진동 손실 보완 LED를 이용한 광섬유 채광 장치(100)는 상대적으로 다루기 편하고 저렴한 플라스틱 광섬유를 이용한 광섬유 채광 장치로서, 플라스틱 광섬유의 고유진동 손실을 LED를 통하여 보완하여 사용자가 실제 햇빛이라고 느낄 수 있는 태양의 가시광선 영역을 효과적으로 전달함으로써 실내에서도 실제 자연광 환경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플라스틱 광섬유의 고유진동 손실을 보완하기 위한 LED는 외부 태양광 세기에 따라 해당 파장의 광의 세기를 자동으로 조정할 수 있다.
이에 의해, 고유진동 손실 보완 LED를 이용한 광섬유 채광 장치(100)는 저렴한 가격으로 실제 햇빛과 유사한 자연광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고유진동 손실 보완 LED를 이용한 광섬유 채광 장치(100)는 단가와 품질을 동시에 만족할 수 있으므로 제품의 경쟁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지지 프레임(101)은 일단이 집광부(110)의 양측을 지지할 수 있다. 여기서, 지지 프레임(101)은 집광부(110)의 양측에서 수직으로 베이스부(102)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지지 프레임(101)은 집광부(110)와 수직 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지지 프레임(101)은 구동 모터(미도시)에 의해 집광부(110)의 각도가 태양의 고도에 따라 조정되도록 집광부(110)를 회전시킬 수 있다.
베이스부(102)는 지지 프레임(101)의 타단에 결합될 수 있다. 즉, 베이스부(102)는 집광부(110)의 하단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베이스부(102)는 수평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다. 이때, 베이스부(102)는 구동 모터(미도시)에 의해 집광부(110)가 태양의 방위각에 따라 조정되도록 회전할 수 있다.
집광부(110)는 실외에 설치되어 자연광을 집광할 수 있다. 또한, 집광부(110)는 지지 프레임(101) 및 베이스부(102)의 모터 구동에 따라 태양의 위치(고도 및 방위각)를 추종할 수 있다.
또한, 집광부(110)는 전면에 렌즈(11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렌즈(112)는 플라스틱 광섬유(120)의 일단에 대응시킬 수 있다. 여기서, 렌즈(112)는 자연광을 플라스틱 광섬유(120)의 일단으로 집중시키는 역할을 한다. 일례로, 렌즈(112)는 프레넬 렌즈(Fresnel Lens)일 수 있다. 즉, 렌즈(112)는 광학 렌즈의 곡면을 일련의 동심홈으로 형성한 렌즈일 수 있다.
이때, 렌즈(112)는 어레이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일례로, 집광부(110)는 3×3 어레이의 9개의 렌즈(112)를 구비할 수 있다.
플라스틱 광섬유(120)는 집광부(110)로부터 집광된 광을 전달할 수 있다. 플라스틱 광섬유(120)는 그 일단이 렌즈(112)에 각각 대응될 수 있다. 즉, 플라스틱 광섬유(120)는 렌즈(112)의 수에 따라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플라스틱 광섬유(120)는 집광부(110)의 후면으로 인출될 수 있다. 여기서, 플라스틱 광섬유(120)는 실내에 설치되는 산광부에 광을 전달할 수 있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유진동 손실 보완 LED를 이용한 광섬유 채광 장치(100)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유진동 손실 보완 LED를 이용한 광섬유 채광 장치의 블록도이고, 도 4는 도 3의 산광부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유진동 손실 보완 LED를 이용한 광섬유 채광 장치(100)는 집광부(110), 플라스틱 광섬유(120), 조도 센서(130), 산광부(140) 및 제어부(150)를 포함한다.
집광부(110)는 상술한 바와 같이, 태양의 위치를 추종하여 자연광을 집광할 수 있다.
플라스틱 광섬유(120)는 집광부(110)로부터 집광된 광을 산광부(140)로 전달할 수 있다. 여기서, 플라스틱 광섬유(120)는 실외의 집광부(110)로부터 실내의 산광부(140)까지 연장 설치될 수 있다.
조도 센서(130)는 자연광의 광 세기를 감지할 수 있다. 여기서, 조도 센서(130)는 집광부(110)에 배치될 수 있다.
산광부(140)는 실내에 설치되어 집광부(110)로부터 플라스틱 광섬유(120)를 통하여 전달된 광을 출력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산광부(140)는 베이스 기판(142), 플라스틱 광섬유(120)의 타단(122), 고정 부재(145), LED(146) 및 덮개부(148)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 기판(142)은 중앙에 관통홀(144)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베이스 기판(142)은 LED(146)를 실장할 수 있는 회로기판일 수 있다. 즉, 베이스 기판(142)은 솔더링에 의해 LED(146)가 실장될 수 있다.
플라스틱 광섬유의 타단(122)은 산광부(140)의 전면에 배치될 수 있다. 일례로, 플라스틱 광섬유의 타단(122)은 베이스 기판(142)의 후면으로부터 관통홀(144)에 삽입 배치될 수 있다. 즉, 플라스틱 광섬유의 타단(122)은 베이스 기판(142)의 후면에서 전면으로 삽입 배치될 수 있다.
고정 부재(145)는 복수 개의 플라스틱 광섬유의 타단(122)을 고정할 수 있다. 이때, 고정 부재(145)는 플라스틱 광섬유의 타단(122)이 일정한 형상을 갖도록 고정할 수 있다. 일례로, 고정 부재(145)는 플라스틱 광섬유의 타단(122)이 어레이 또는 원형을 형성하도록 플라스틱 광섬유의 타단(122)을 고정할 수 있다.
LED(146)는 베이스 기판(142)의 전면에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LED(146)는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다. 일례로, LED(146)는 관통홀(144)의 외주변을 따라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LED(146)의 배치는 일정한 형태로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LED(146)는 플라스틱 광섬유(120)의 고유진동 손실 대역에 대응하는 출력 파장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플라스틱 광섬유(120)의 고유진송 손실 대역은 가시광선 파장 대역중 특정 파장 대역일 수 있다. 일례로, LED(146)는 625㎚의 출력 파장을 가질 수 있다. 이때, LED(146)는 외부의 자연광의 세기에 따라 빛의 세기가 조절될 수 있다.
덮개부(148)는 베이스 기판(142)의 전면을 덮을 수 있다. 덮개부(148)는 베이스 기판(142), LED(146) 및 플라스틱 광섬유의 타단(122)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덮개부(148)는 광투과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제어부(150)는 베이스부(102)에 내장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150)는 LED(146)의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선과 전원공급부(미도시) 사이의 연결을 온오프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50)는 집광부(110)가 태양의 위치를 추종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50)는 지지 프레임(101) 및 베이스부(102)에 구비되는 구동 모터(미도시)를 통하여 집광부(110)가 수평 및 수직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50)는 조도 센서(130)에서 감지된 광 세기에 따라 LED(146)의 광 세기를 조정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례로, 제어부(150)는 플라스틱 광섬유(120)의 고유진동 손실을 보완하기 위해 외부 태양광 세기에 따라 LED(146)의 광의 세기를 자동으로 조정할 수 있다.
이에 의해, 고유진동 손실 보완 LED를 이용한 광섬유 채광 장치(100)는 외부 환경이 변화하는 경우에도, 실내에 필수적인 가시광선 영역에서, 실제 자연광의 변화에 따른 햇빛 환경을 제공할 수 있으므로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데, 이는 낮 시간 동안의 자연광(백색광) 환경은 물론, 동 틀 때와 해질 녘의 백색광이 아닌 자연광 환경에서도 동일한 방식으로 적용하여 적절한 햇빛 환경을 실내에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유진동 손실 보완 LED를 이용한 광섬유 채광 장치(100)의 동작을 설명한다.
먼저, 고유진동 손실 보완 LED를 이용한 광섬유 채광 장치(100)는 집광부(110)가 태양의 위치를 추종하여 자연광을 집광하며, 렌즈(112)를 통하여 자연광을 플라스틱 광섬유(120)로 집중시킨다.
집광된 광은 플라스틱 광섬유(120)를 통하여 산광부(140)로 전달된다. 이때, 산광부(140)는 플라스틱 광섬유의 타단(122)으로부터 집광부(110)로부터 전달받은 광을 출력함으로써, 실내에 자연광을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산광부(140)는 플라스틱 광섬유(120)의 고유진동 손실 대역에 대응하는 출력 파장을 갖는 LED(146)를 턴온함으로써, 플라스틱 광섬유(120)의 고유진동 손실 대역을 보완할 수 있다.
여기서, LED(146)는 조도 센서(130)에서 감지된 자연광의 세기에 따라 출력 세기가 조정될 수 있다.
이에 의해, 플라스틱 광섬유의 타단(122)으로부터 출력되는 광과 LED(146)로부터 출력되는 광이 혼합되어 가시광선 파장 대역에서 실제 햇빛과 유사한 자연광을 출력할 수 있다.
이하,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유진동 손실 보완 LED를 이용한 광섬유 채광 장치(100)와 종래의 광섬유 채광 장치의 특성을 설명한다.
도 5는 맑은 날 낮 시간(백색광 환경)에 유리 광섬유를 이용한 광섬유 채광 장치의 파장별 스펙트럼(Y)을 태양 백색광 스펙트럼(W)과 비교하여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6은 맑은 날 낮 시간(백색광 환경)에 플라스틱 광섬유를 이용한 광섬유 채광 장치의 파장별 스펙트럼(B)을 태양 백색광 스펙트럼(W)과 비교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며, 도 7은 맑은 날 낮 시간(백색광 환경)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유진동 손실 보완 LED를 이용한 광섬유 채광 장치의 파장별 스펙트럼(I)을 태양 백색광 스펙트럼(W)과 비교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 내지 도 7에서, 가로축은 파장으로서, [nm] 단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유리 광섬유를 이용한 광섬유 채광 장치는 자외선 영역에 고유진동을 갖는다. 따라서 스펙트럼(Y)에 나타난 바와 같이, 광섬유의 길이가 길어질수록 자색 영역(도 5에서 좌측 부분)의 광 성분이 약해져 남아있는 가시광선에 의해 황색 광을 나타내게 된다.
이와 같이, 유리 광섬유는 백색광인 자연광(W)에 거의 유사한 넓은 광 전달 스펙트럼(Y) 범위를 갖지만, 자외선 파장 대역의 고유진동 손실에 의해 황색을 나타내는 것을 피할 수 없다.
도 6을 참조하면, 플라스틱 광섬유를 이용한 광섬유 채광 장치는 스펙트럼(B)에 나타난 바와 같이, 자외선 영역(도 6의 좌측 영역)은 물론 적외선 영역(도 6의 우측 영역)에도 광 성분이 약해져 오히려 가시광선 영역에서는 균형있는 광 색상을 나타낼 수 있다. 그러나 플라스틱 광섬유는 주로 620~630nm 주홍색 영역과 같은 특정 광 성분의 고유진동 손실로 인하여 약해지므로 남은 영역의 가시광선에 의해 옅은 청색을 나타내게 된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유진동 손실 보완 LED를 이용한 광섬유 채광 장치(100)의 스펙트럼(I)은 도 6에서 플라스틱 광섬유의 고유진동 손실 영역을 LED(146)에 의해 보완함으로써, 가시광선 영역에서 자연광이 갖고 있는 균형 있는 광 색상을 나타낼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00 : 고유진동 손실 보완 LED를 이용한 광섬유 채광 장치
101 : 지지 프레임 102 : 베이스부
110 : 집광부 112 : 렌즈
120 : 플라스틱 광섬유 122 : 타단
130 : 조도 센서 140 : 산광부
142 : 베이스 기판 144 : 관통홀
145 ; 고정부재 146 : LED
148 : 덮개부 150 : 제어부

Claims (8)

  1. 실외에 설치되며 태양의 위치를 추종하여 자연광을 집광하는 집광부;
    상기 집광부로부터 집광된 광을 전달하는 복수 개의 플라스틱 광섬유;
    실내에 설치되며 적어도 하나의 LED를 포함하고, 상기 플라스틱 광섬유의 일단이 전면에 배치되는 산광부; 및
    상기 집광부가 태양의 위치를 추종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LED는 상기 플라스틱 광섬유의 고유진동 손실 대역에 대응하는 출력 파장을 갖는 고유진동 손실 보완 LED를 이용한 광섬유 채광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LED는 625㎚의 출력 파장을 갖는 고유진동 손실 보완 LED를 이용한 광섬유 채광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연광의 광 세기를 감지하는 조도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된 광 세기에 따라 상기 LED의 광 세기를 조정하도록 제어하는 고유진동 손실 보완 LED를 이용한 광섬유 채광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산광부는,
    중앙에 관통홀을 갖는 베이스 기판; 및
    상기 베이스 기판의 전면을 덮는 덮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LED는 상기 베이스 기판의 전면에 구비되고,
    상기 플라스틱 광섬유의 일단은 상기 베이스 기판의 후면으로부터 상기 관통홀에 삽입 배치되는 고유진동 손실 보완 LED를 이용한 광섬유 채광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LED는 상기 관통홀의 외주변을 따라 구비되는 고유진동 손실 보완 LED를 이용한 광섬유 채광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집광부의 양측을 지지하는 지지 프레임; 및
    상기 지지 프레임에 결합되고, 태양의 방위각에 따라 수평 회전하는 베이스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지지 프레임에 구비된 모터에 의해 상기 집광부는 태양의 고도에 따라 수직 회전하는 고유진동 손실 보완 LED를 이용한 광섬유 채광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집광부는 상기 플라스틱 광섬유의 타단에 햇빛을 집중시키는 렌즈를 포함하고,
    상기 렌즈는 어레이 형태로 구비되는 고유진동 손실 보완 LED를 이용한 광섬유 채광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는 프레넬 렌즈(Fresnel Lens)인 고유진동 손실 보완 LED를 이용한 광섬유 채광 장치.
KR1020190149541A 2019-11-20 2019-11-20 고유진동 손실 보완 led를 이용한 광섬유 채광 장치 KR2021006169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9541A KR20210061698A (ko) 2019-11-20 2019-11-20 고유진동 손실 보완 led를 이용한 광섬유 채광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9541A KR20210061698A (ko) 2019-11-20 2019-11-20 고유진동 손실 보완 led를 이용한 광섬유 채광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1698A true KR20210061698A (ko) 2021-05-28

Family

ID=761405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9541A KR20210061698A (ko) 2019-11-20 2019-11-20 고유진동 손실 보완 led를 이용한 광섬유 채광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61698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33269A (ko) 2009-06-11 2010-12-21 (주)옵토네스트 대구경 광섬유를 이용한 태양광 채광용 광섬유 모듈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33269A (ko) 2009-06-11 2010-12-21 (주)옵토네스트 대구경 광섬유를 이용한 태양광 채광용 광섬유 모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43477B2 (en) Liquid crystal display (LCD) system and method
CN101680647B (zh) 照明设备
CN102207277B (zh) 光束控制部件、发光装置以及照明装置
US20040022071A1 (en) Optical energy collection system to provide economical light source
US4955975A (en) Rainbow forming device
EP3754248B1 (en) Optical element and lighting lamp with the same
SE9703428D0 (sv) Reflective display with front lighting
GB2227573A (en) A solar ray device for illumination
US10809453B2 (en) Display device
CN103939791A (zh) 照明装置及使用其的图像显示装置
CN201696962U (zh) 光源装置
CN108135138A (zh) 光照系统和相应的方法
KR101181668B1 (ko) 하이브리드 태양광 조명 시스템
KR20210061698A (ko) 고유진동 손실 보완 led를 이용한 광섬유 채광 장치
US8957924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N208011622U (zh) 一种光学组件及照明装置
US11835219B2 (en) Illumination device with light source emulation effect
CN101739917B (zh) 一种正光广告牌装置
EP1310933A3 (de) Optischer Signalgeber, insbesondere in der Bedienblende eines Haushaltsgrossgerätes
WO2012005192A1 (ja) 液晶表示装置
CN104575270B (zh) 利用光学元件提供信息
CN104798367A (zh) 导光装置及显示装置
CN109556710A (zh) 照明环境光传感器
CN101515062B (zh) 同轴排列的集光装置
CN205504626U (zh) 一种展览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