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61652A - Heavy equipment recommendation system using metadata relation based on ontology - Google Patents

Heavy equipment recommendation system using metadata relation based on ontolog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61652A
KR20210061652A KR1020190149461A KR20190149461A KR20210061652A KR 20210061652 A KR20210061652 A KR 20210061652A KR 1020190149461 A KR1020190149461 A KR 1020190149461A KR 20190149461 A KR20190149461 A KR 20190149461A KR 20210061652 A KR20210061652 A KR 202100616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vy equipment
information
user
metadata
ontolog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946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264977B1 (en
Inventor
지혜령
이창우
Original Assignee
지혜령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혜령 filed Critical 지혜령
Priority to KR10201901494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4977B1/en
Publication of KR202100616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165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49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497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31Item recommend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3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unstructured textual data
    • G06F16/36Creation of semantic tools, e.g. ontology or thesauri
    • G06F16/367Ontolog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78Product appraisa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8Constru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ina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An objectiv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eavy equipment recommendation system using ontology-based metadata relation which can recommend heavy equipment suitable for a condition suggested by a heavy equipment us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eavy equipment recommendation system using ontology-based metadata relation comprises: an information storage unit storing location information received by a GPS terminal installed on heavy construction equipment, required information inputted by using a terminal of a user and a terminal of a heavy equipment provider, group information classifying the provider and the user into a group, and evaluation information of the provider and the user; an information request unit calculating and normalizing the weight in accordance with requested information if the user requests a search based on information stored in the information storage unit; an ontology building unit building metadata ontology of the provider, the user, and heavy equipment based on data of the information request unit and the information storage unit; and a heavy equipment recommendation unit analyzing, weight-converting and recommending requested information based on the metadata ontology.

Description

온톨로지 기반 메타데이터 연관성을 활용한 중장비 추천 시스템{HEAVY EQUIPMENT RECOMMENDATION SYSTEM USING METADATA RELATION BASED ON ONTOLOGY}Heavy equipment recommendation system utilizing ontology-based metadata association {HEAVY EQUIPMENT RECOMMENDATION SYSTEM USING METADATA RELATION BASED ON ONTOLOGY}

본 발명은 온톨로지 기반 메타데이터 연관성을 활용한 중장비 추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중장비 이용자가 제시하는 조건에 적합한 중장비를 추천할 수 있는 온톨로지 기반 메타데이터 연관성을 활용한 중장비 추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eavy equipment recommendation system utilizing ontology-based metadata correlation, and more particularly, to a heavy equipment recommendation system using ontology-based metadata correlation capable of recommending heavy equipment suitable for conditions suggested by heavy equipment users. .

지속적인 중장비의 공급과잉으로 통상적으로 가동률은 약 50% 수준으로 추정하고 있으며, 이를 감안하면 등록대수의 약 50%가 운휴상태에 놓여 있는 상황이다.Due to the continuous oversupply of heavy equipment, the utilization rate is usually estimated to be around 50%, and taking this into account, about 50% of the number of registered units is in suspension.

과거 약 10년 동안 가동률을 볼 때, 연평균 50~60% 수준으로, 현재까지 지속되고 있는 고질적인 중장비 운휴 문제 개선을 위하여 정부는 수급조절을 통한 근본적인 해결책을 강구하고 있는 상태다. Looking at the utilization rate for the past 10 years, the average annual average is 50-60%, and the government is seeking a fundamental solution through supply and demand control to improve the chronic heavy equipment shutdown problem that has persisted to this day.

이로 인해 중장비 대여시장은 날로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으며, 대여를 하더라도 대여대금을 지급받지 못하는 일이 발생하여 정부는 중장비 대여업 종사자들을 보호하기 위해 건설기계대여지급보증 제도를 만든 상황이다.(건설산업기본법 제68조의3)Due to this, competition in the heavy equipment rental market is getting fiercer day by day, and the government has created a construction equipment rental payment guarantee system to protect workers in the heavy equipment rental business, as there are cases in which the rental price is not paid even if they are lent. Article 68-3)

중장비 대여를 원하는 건설업체 입장에서, 중장비 중개업소를 통한 중장비 조달이 원활하지 못해 건설 현장에 중장비를 투입하는 데에 애로사항이 많이 있었다.From the perspective of construction companies that want to rent heavy equipment, there have been many difficulties in introducing heavy equipment to the construction site because the procurement of heavy equipment through heavy equipment brokerages was not smooth.

건설 현장에 적합한 중장비 소유업체를 찾기 위해서는 일일이 중장비 소유업체에 문의를 해야 하고, 적합한 중장비를 찾더라도 대여 기간 및 금액을 산정하는 데에 어려움이 있었다. In order to find a suitable heavy equipment owner for a construction site, it was necessary to inquire with the heavy equipment owner, and even if a suitable heavy equipment was found, it was difficult to calculate the rental period and amount.

최근에 선행기술로서 이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공개번호 제 10-2015-0100063에 ‘중장비 대여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이 게시되었다. Recently,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s a prior art,'heavy equipment rental service method and system' has been published in Publication No. 10-2015-0100063.

상기의 발명은 중장비 수요자와 중장비 제공자를 연결해 중장비 수요자가 원하는 시간까지 신속하게 사용 장소로 이동 가능한 중장비를 보다 효과적으로 추출하여 대여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above invention, a heavy equipment consumer and a heavy equipment provider can be connected to more effectively extract and rent heavy equipment that can be quickly moved to a place of use until a desired time by the heavy equipment consumer.

하지만 상기 서비스는 GPS정보 기반 실시간 중장비 정보를 제공할 수 없다보니, 근거리에 있는 중장비를 대여하는 데에 어려움이 있어 신속한 중장비 대여가 어렵고, 이용자 선호에 따른 개인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할 수 없는 한계가 있다. However, since the above service cannot provide real-time heavy equipment information based on GPS information, it is difficult to rent heavy equipment in a short distance, so it is difficult to rent heavy equipment quickly, and there is a limitation in that it is not possible to provide personalized service according to user preference. .

또한 이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최근에 선행기술로서 등록번호 제 10-1876899에 ‘GPS기반의 공사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이 게시되었다. In addition,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GPS-based construction management system and its method' was recently published in registration number 10-1876899 as a prior art.

상기의 발명은 GPS기반 공사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GPS단말로부터 송출되는 실시간 위치정보에 기초하여 공사현장 내 건설기계의 운용상태를 모니터링하고 굴착공정의 진행 정도를 수신하여 공사관리 정보를 분석 및 제공함으로써, 공사관리의 효율성을 증진시킬 수 있다.The above invention relates to a GPS-based construction management system, by monitoring the operating status of construction machinery in a construction site based on real-time location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a GPS terminal and receiving the progress of the excavation process to analyze and provide construction management information. In addition, it can improve the efficiency of construction management.

하지만 상기 서비스는 GPS정보 기반 공사관리 시스템으로, 상기 중장비 대여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발명이 아니다. 따라서 GPS기반 실시간 중장비 위치를 확인하고, 이용자의 위치를 중심으로 보다 효율적인 중장비 추천 및 대여가 필요한 상황이다.However, the service is a construction management system based on GPS information, and is not an invention designed to solve the problem of rental of heavy equipment.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heck the location of heavy equipment based on GPS in real time, and to recommend and rent heavy equipment more efficiently based on the user's location.

한국공개특허 제10-2015-0100063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5-0100063 한국등록특허 제 10-1876899호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876899

본 발명은 중장비 이용자가 제시하는 조건에 적합한 중장비를 추천할 수 있는 온톨로지 기반 메타데이터 연관성을 활용한 중장비 추천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eavy equipment recommendation system utilizing ontology-based metadata association that can recommend heavy equipment suitable for conditions suggested by heavy equipment users.

또한, 본 발명은 온톨로지를 기반으로 실시간 건설 중장비의 GPS 위치 정보를 수신하여 중장비 대여의 효율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온톨로지 기반 메타데이터 연관성을 활용한 중장비 추천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eavy equipment recommendation system utilizing an ontology-based metadata association that can improve the efficiency of rental of heavy equipment by receiving GPS location information of heavy construction equipment in real time based on an ontology.

또한, 본 발명은 메타데이터 온톨로지를 구축함으로써, 데이터 검색 및 추천에 있어 관련된 정보들을 결합하여 시맨틱한 검색 기능을 제공하고 이용자 선호에 맞는 추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온톨로지 기반 메타데이터 연관성을 활용한 중장비 추천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emantic search function by combining related information in data search and recommendation by constructing a metadata ontology, and a heavy equipment utilizing the ontology-based metadata association that can provide a recommendation service tailored to user preference. It aims to provide a recommendation system.

또한, 본 발명은 이용자의 위치를 기반으로 실시간 건설 중장비 제공자와 이용자를 연결하여 요청한 중장비를 추출하여 효과적으로 대여할 수 있도록 하는 온톨로지 기반 메타데이터 연관성을 활용한 중장비 추천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eavy equipment recommendation system utilizing an ontology-based metadata association that connects a real-time construction heavy equipment provider and a user based on the user's location to extract the requested heavy equipment and efficiently rent it.

또한, 본 발명은 중장비의 공급 과잉으로 어려움을 겪던 제공자는 운휴 상태에 놓인 중장비를 실시간 필요한 이용자에게 공급함으로써 관리의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고, 이용자는 근거리를 중심으로 필요한 중장비를 즉각적으로 공급받을 수 있으므로, 시간뿐만 아니라 비용 절감의 효과를 거둘 수 있도록 하는 온톨로지 기반 메타데이터 연관성을 활용한 중장비 추천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provider who has suffered from an oversupply of heavy equipment can increase the efficiency of management by supplying the heavy equipment in an inactive state to users who need it in real time, and the user can immediately receive the necessary heavy equipment around a short distance. Therefor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eavy equipment recommendation system that utilizes ontology-based metadata relevance that can reduce not only time but also cost.

또한, 본 발명은 이용자의 사용 패턴을 분석하여 이용자의 선호 용도에 따른 중장비를 저장하고 제공자 온톨로지와 연결하여 효과적으로 이용자 개인 맞춤형 중장비를 추천 및 대여할 수 있도록 하는 온톨로지 기반 메타데이터 연관성을 활용한 중장비 추천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analyzes the user's usage pattern, stores heavy equipment according to the user's preferred use, and connects it with the provider ontology to effectively recommend and rent user-customized heavy equipment. It aims to provide a system.

또한, 본 발명은 제공자는 실시간 중장비 위치 및 운행 거리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고 상기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함으로써 중장비 관리의 효율성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하는 온톨로지 기반 메타데이터 연관성을 활용한 중장비 추천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heavy equipment recommendation system that utilizes ontology-based metadata association that enables the provider to receive real-time information on the location and driving distance of heavy equipment, and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heavy equipment management by storing the information in a database. It aims to provide.

또한, 본 발명은 중장비 상태에 대한 사진, 중장비 조종사에 대한 정보, 운영 이력에 대한 정보를 이용자와 함께 공유함으로써 이용자에게는 정보제공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고, 제공자에게는 이용자의 중장비 사용정보 및 평가정보를 공유함으로써 이용자의 사용패턴 및 운용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온톨로지 기반 메타데이터 연관성을 활용한 중장비 추천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increase the accuracy of information provision to users by sharing photos of the state of heavy equipment, information on heavy equipment pilots, and information on operation history with the user, and to the provider, the user's heavy equipment usage information and evaluation information The purpose of this is to provide a heavy equipment recommendation system that utilizes ontology-based metadata association that enables users to check their usage patterns and operational status by sharing.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장비 추천 시스템이 달성할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중장비뿐만 아니라 농기계, 트럭에 이르기까지 확대될 수 있고, 언급하지 않는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The effects that can be achieved by the heavy equipment recommend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ose mentioned above, and can be extended to not only heavy equipment but also agricultural machinery and trucks, and effects not mentioned are described below. From will be able to be clearly understood by a person skilled in the art.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온톨로지 기반 메타데이터간 연관성을 활용한 중장비 추천 시스템은 건설 중장비에 설치된 GPS단말에서 수신된 위치정보, 중장비 제공자의 단말기와 이용자의 단말기를 이용하여 입력하는 필수 정보, 상기 제공자와 이용자를 그룹으로 분류하는 그룹정보 및 상기 제공자와 이용자의 평가 정보를 저장하는 정보 저장부, 상기 정보저장부에서 저장된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이용자가 검색 요청을 하면, 요청한 정보에 따라 가중치를 계산하고 정규화 하는 정보 요청부, 상기 정보 저장부와 정보 요청부의 데이터를 바탕으로 중장비, 이용자, 제공자의 메타데이터 온톨로지를 구축하는 온톨로지 구축부 및 메타데이터 온톨로지를 기반으로 요청된 정보를 분석, 가중치 변환 및 추천하는 중장비 추천부를 포함한다.To achieve this purpose, the heavy equipment recommendation system utilizing the correlation between the ontology-based metadata is the loca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GPS terminal installed in the heavy construction equipment, the essential information input using the terminal of the heavy equipment provider and the user's terminal, and the provider. Group information for classifying users into groups, an information storage unit that stores evaluation information of the provider and users, and when the user makes a search request based on the information stored in the information storage unit, the weight is calculated and normalized according to the requested information. An ontology building unit that builds metadata ontologies of heavy equipment, users, and providers based on the data of the information request unit, the information storage unit and the information request unit, and analyzes, weights, and recommends requested information based on the metadata ontology. Includes a heavy equipment recommendation department.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중장비 이용자가 제시하는 조건에 적합한 중장비를 추천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it is possible to recommend heavy equipment suitable for conditions suggested by heavy equipment users.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온톨로지를 기반으로 실시간 건설 중장비의 GPS 위치 정보를 수신하여 중장비 대여의 효율성을 증진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rental of heavy equipment by receiving GPS location information of heavy construction equipment in real time based on an ontology.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메타데이터 온톨로지를 구축함으로써, 데이터 검색 및 추천에 있어 관련된 정보들을 결합하여 시맨틱한 검색 기능을 제공하고 이용자 선호에 맞는 추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semantic search function by combining related information in data search and recommendation by constructing a metadata ontology, and to provide a recommendation service suitable for user preference.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이용자의 위치를 기반으로 실시간 건설 중장비 제공자와 이용자를 연결하여 요청한 중장비를 추출하여 효과적으로 대여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rent by extracting the requested heavy equipment by connecting a user with a real-time construction heavy equipment provider based on the user's location.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중장비의 공급 과잉으로 어려움을 겪던 제공자는 운휴 상태에 놓인 중장비를 실시간 필요한 이용자에게 공급함으로써 관리의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고, 이용자는 근거리를 중심으로 필요한 중장비를 즉각적으로 공급받을 수 있으므로, 시간뿐만 아니라 비용 절감의 효과를 거둘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rs who have suffered from an oversupply of heavy equipment can increase the efficiency of management by supplying heavy equipment that is in an idle state to users who need it in real time, and users will be immediately supplied with necessary heavy equipment based on a short distance. Therefore, there is an advantage that not only time but also cost can be saved.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이용자의 사용 패턴을 분석하여 이용자의 선호 용도에 따른 중장비를 저장하고 제공자 온톨로지와 연결하여 효과적으로 이용자 개인 맞춤형 중장비를 추천 및 대여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recommend and rent a user-customized heavy equipment by analyzing a user's usage pattern, storing heavy equipment according to a user's preferred use, and connecting it to a provider ontology.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제공자는 실시간 중장비 위치 및 운행 거리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고 상기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함으로써 중장비 관리의 효율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provider can receive information on the location and driving distance of the heavy equipment in real time, and by storing the information in a database, the efficiency of heavy equipment management can be increased.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중장비 상태에 대한 사진, 중장비 조종사에 대한 정보, 운영 이력에 대한 정보를 이용자와 함께 공유함으로써 이용자에게는 정보제공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고, 제공자에게는 이용자의 중장비 사용정보 및 평가정보를 공유함으로써 이용자의 사용패턴 및 운용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accuracy of information provision to users by sharing photos of the state of heavy equipment, information on heavy equipment pilots, and information on operation history with the user, and to the provider, the user's heavy equipment usage information and evaluation information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check the user's usage pattern and operation status by sharing the data.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톨로지 기반 메타데이터간 연관성을 활용한 중장비 추천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타데이터 온톨로지간의 관계 지식을 나타낸 그림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장비 메타데이터 온톨로지를 나타낸 그림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용자 메타데이터 온톨로지를 나타낸 그림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공자 메타데이터 온톨로지를 나타낸 그림이다.
도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검색시 이용자의 선호용도와 유사용도와 관계 온톨로지를 나타낸 그림이다.
도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검색시 이용자 선호 중장비 관계 온톨로지를 나타낸 그림이다.
1 is a block diagram of a heavy equipment recommendation system utilizing correlations between ontology-based metadat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diagram showing relationship knowledge between metadata ontolog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diagram showing a heavy equipment metadata ontolog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diagram showing a user metadata ontolog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diagram showing a provider metadata ontolog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diagram showing a user's preference, similar use, and relationship ontology during a searc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diagram showing a user preferred heavy equipment relationship ontology during a searc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can easil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발명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를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In addition, the singular expression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consisting of” or “comprising” should not be construed as necessarily including all of the various elements or various steps described in the invention, and some of the elements or some steps are included. It should be interpreted that it may not be, or may further include additional components or steps.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중 “온톨로지는”는 정보시스템의 대상이 되는 자원의 개념을 명확하게 정의하고 상세하게 기술하여 보다 정확한 정보를 찾을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온톨로지는 시맨틱 웹을 구현할 수 있는 도구로서, 지식개념을 의미적으로 연결할 수 있는 도구로서 RDF, OWL, SWRL 등의 언어를 이용해 표현된다.Among the terms used in this specification, “ontology” aims to clearly define the concept of a resource that is an object of an information system and describe it in detail so that more accurate information can be found. Ontology is a tool that can implement a semantic web, and is a tool that can semantically connect knowledge concepts and is expressed using languages such as RDF, OWL, and SWRL.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중 “메타데이터”는 데이터에서 관련 정보들이 결합하여 의미적으로 하나의 데이터를 설명함으로써 메타데이터는 이용자가 각 데이터의 정보를 검색하여 정보를 얻을 수 있도록 돕고, 메타데이터를 통하여 사용자가 찾고자 하는 데이터를 검색할 수 있도록 돕는다. Among the terms used in this specification, “metadata” is a combination of related information in the data and semantically describes one piece of data. It helps users to search for the data they are looking for.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톨로지 기반 메타데이터간 연관성을 활용한 중장비 추천 시스템의 구성도이다.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heavy equipment recommendation system utilizing correlations between ontology-based metadat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온톨로지 기반 메타데이터간 연관성을 활용한 중장비 추천 시스템은 정보 저장부(110), 정보 요청부(120), 온톨로지 구축부(130), 중장비 추천부(140)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1, the heavy equipment recommendation system utilizing the correlation between ontology-based metadata includes an information storage unit 110, an information request unit 120, an ontology construction unit 130, and a heavy equipment recommendation unit 140.

여기서, 건설 중장비에는 GPS단말이 설치되고, 이용자 및 중장비 제공자는 단말을 통해 중장비 추천 시스템에 접속하여 정보를 송수신하고 이용자는 실시간 위치를 기반으로 요청한 중장비에 대해 추천을 받을 수 있다.Here, a GPS terminal is installed in the heavy construction equipment, and the user and the heavy equipment provider access the heavy equipment recommendation system through the terminal to transmit and receive information, and the user can receive a recommendation for the requested heavy equipment based on a real-time location.

중장비 제공자 단말 및 중장비 이용자 단말은 개인용 컴퓨터와, 스마트폰, 태블릿 PC,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나 웹 패드 등과 같은 메모리 수단을 구비하고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탑제하여 연산 능력을 갖춘 이동 통신 기능을 구비한 단말기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중장비 제공자 및 이용자에게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Heavy equipment provider terminals and heavy equipment user terminals consist of a personal computer, a terminal equipped with a memory means such as a smart phone, a tablet PC, a personal information terminal or a web pad, and a mobile communication function equipped with a microprocessor and capable of computing. In addition, various applications can be installed to provide various services to heavy equipment providers and users.

정보 저장부(110)는 건설 중장비의 GPS단말에서 수신되는 실시간 위치 정보, 중장비 제공자의 단말기와 이용자의 단말기를 이용하여 입력하는 필수 정보, 상기 제공자와 이용자를 그룹으로 분류하는 그룹정보 및 상기 제공자와 이용자의 평가 정보를 저장한다. The information storage unit 110 includes real-time loca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a GPS terminal of heavy construction equipment, essential information input using a terminal of a heavy equipment provider and a terminal of a user, group information for classifying the provider and user into groups, and the provider. It stores the user's evaluation information.

이러한 정보 저장부(110)는 정보입력 모듈(111), 그룹분류 모듈(112), 평가모듈(113)로 구성된다. The information storage unit 110 includes an information input module 111, a group classification module 112, and an evaluation module 113.

여기서, 정보입력 모듈(111)은 이용자 단말기를 통해 이용자와 연결될 있다. 따라서, 정보입력 모듈(111)은 GPS단말에서 수신된 위치정보, 중장비 제공자의 단말기와 이용자의 단말기를 이용하여 입력하는 필수 정보를 저장한다. Here, the information input module 111 may be connected to a user through a user terminal. Accordingly, the information input module 111 stores loca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a GPS terminal, and essential information input by using a terminal of a heavy equipment provider and a terminal of a user.

그룹분류 모듈(112)은 입력된 정보를 메타데이터 연관성을 활용하여 그룹으로 분류한다. The group classification module 112 classifies the inputted information into groups using metadata association.

일 실시예에서, 그룹분류 모듈(112)은 이용자가 요청한 중장비 추천을 위해 이용자 그룹을 분류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group classification module 112 may classify a user group for recommending heavy equipment requested by the user.

이용자 그룹은 크게 종합건설업, 전문건설업, 기타로 분류할 수 있고, 다시 종합건설업은 건축공사업, 토목공사업, 토목건축공사업, 조경공사업, 산업환경설비공사업으로 나눌 수 있다. 건문건설업은 실내건축공사업, 토공사업, 석공사업, 습식방수공사업, 도장공사업 등 29종으로 분류된다. 기타는 종합건설업 및 전문건설업에 속하지 않는 그룹을 의미한다. User groups can be broadly classified into general construction, specialized construction, and others, and the general construction business can be divided into construction work, civil engineering work, civil engineering construction work, landscaping work, and industrial environment facility work. Construction business is classified into 29 types, including interior construction business, earthwork business, masonry business, wet waterproofing work, and painting work. Other means a group that does not belong to the general construction industry and the specialized construction industry.

다른 일 실시예에서, 그룹분류 모듈(112)은 중장비 모듈(131)의 중장비 메타데이터간 연관성을 활용한 추천을 위해 중장비 그룹을 분류할 수 있다. In another embodiment, the group classification module 112 may classify the heavy equipment group for recommendation using the association between the heavy equipment metadata of the heavy equipment module 131.

먼저, 그룹분류 모듈(112)은 중장비 메타데이터 간의 연관성을 도출하기 위해 확률적 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여러 개의 용도를 가지는 중장비를 사용하여 조건부확률을 적용한 용도간의 유사성을 도출할 수 있다. 용도간의 유사도 도출을 위한 조건부확률식은 다음 [수학식 1]과 같다.First, the group classification module 112 may apply a probabilistic method to derive a correlation between heavy equipment metadata. Using heavy equipment with multiple uses, it is possible to derive similarities between the uses to which conditional probability is applied. The conditional probability equation for deriving the similarity between uses is as follows [Equation 1].

[수학식 1][Equation 1]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1

Mx: 모든 중장비 중 용도 x를 가지는 중장비의 수,Mx: the number of heavy equipment that has use x among all heavy equipment,

My: 모든 중장비 중 용도 y를 가지는 중장비의 수,My: number of heavy equipment that has use y among all heavy equipment,

P: 중장비 모델에서 축소된 중장비 x에 관한 중장비 y의 상대 확률P: Relative probability of heavy equipment y with respect to reduced heavy equipment x in the heavy equipment model

상기의 중장비의 용도는 아래의 [표 1]과 같다.The use of the heavy equipment is as shown in [Table 1] below.

[표 1][Table 1]

Figure pat00002
Figure pat00002

한국건설기계협회의 자료를 참고하면, 위와 같이 용도에 따라 총 27가지의 중장비가 존재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와 같이 중장비 추천을 위해 27개의 중장비로 분류한다. If you refer to the data of the Korea Construction Equipment Association, there are a total of 27 types of heavy equipment according to the use as above. In this embodiment, the heavy equipment is classified into 27 heavy equipment for recommendation of heavy equipment as described above.

상기 그룹분류 모듈(112)은 중장비 용도에 대한 각각의 상대 확률을 구하여 용도간의 유사도 값을 계산할 수 있다. 계산된 값을 기반으로 용도 6와 용도 7를 유사 용도의 관계로 연결한다. 하기의 [수학식 2]는 각 용도를 연결하기 위한 식이다. The group classification module 112 may calculate a similarity value between uses by obtaining relative probabilities for each use of heavy equipment. Based on the calculated value, use 6 and use 7 are connected in a similar use relationship. [Equation 2] below is an equation for connecting each use.

[수학식 2][Equation 2]

Figure pat00003
Figure pat00003

m: 조건부 확률의 평균값,m: mean value of conditional probabilities,

상기의 [수학식 2]에서 유사 용도로 계산된 각 중장비는 isSimilarTo 관계로 연결되며 유사 중장비를 통하여 유사 중장비 검색과 추천에 사용될 수 있다. Each heavy equipment calculated for a similar purpose in Equation 2 above is connected through an isSimilarTo relationship, and can be used for similar heavy equipment search and recommendation through similar heavy equipment.

또 다른 일 실시예에서, 그룹분류 모듈(112)은 이용자가 요청한 중장비 추천을 위해 제공자 그룹을 분류할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the group classification module 112 may classify a provider group to recommend heavy equipment requested by a user.

제공자 그룹은 크게 건설기계관리업, 일반건설기계대여업, 개별건설기계대여업으로 분류할 수 있다. 제공자 모델에서는 제공자의 아이디를 표현하는 hasID가 있다. Provider는 hasID 속성과 하기의 [표 2]에서 정의된 관계를 기반으로 표현된다. The provider group can be broadly classified into construction equipment management, general construction equipment rental, and individual construction equipment rental. In the provider model, there is hasID that represents the ID of the provider. Provider is expressed based on the hasID attribute and the relationship defined in [Table 2] below.

이하의 [표 2]은 주요 고려사항을 바탕으로 중장비 모델과 연결하기 위해 객체의 개념과 관계를 정의하였다.[Table 2] below defines the concept and relationship of objects in order to connect with the heavy equipment model based on the main considerations.

[표 2][Table 2]

Figure pat00004
Figure pat00004

평가모듈(113)은 중장비 제공자와 이용자에 의해 평가되는 만족도를 저장한다. The evaluation module 113 stores satisfaction evaluated by heavy equipment providers and users.

정보 요청부(120)는 정보 저장부(110)에서 저장된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이용자가 검색 요청을 하면, 요청한 정보에 따라 가중치를 계산하고 정규화한다. When the user makes a search request based on the information stored in the information storage unit 110, the information request unit 120 calculates and normalizes a weight according to the requested information.

즉, 상기 정보 요청부(120)는 중장비 추천을 위해 중장비 메타데이터 온톨로지를 기반으로 이용자의 실시간 위치 및 중장비의 실시간 위치를 이용하여 이용자의 그룹을 결정하고 그룹의 중장비 선호도에 따라 중장비를 검색할 수 있다. 그리고 이용자의 선호도를 입력받아 중장비를 검색하고 이용자에게 추천할 수 있다. That is, the information requesting unit 120 can determine a user's group using the real-time location of the user and the real-time location of the heavy equipment based on the heavy equipment metadata ontology for recommending heavy equipment, and search for heavy equipment according to the group's heavy equipment preference. have. In addition, users can search for heavy equipment by receiving user preferences and recommend them to users.

이러한 정보 요청부(120)는 정보검색 모듈(121), 가중치계산 모듈(122), 정규화 모듈(123)로 구성된다. The information request unit 120 includes an information retrieval module 121, a weight calculation module 122, and a normalization module 123.

정보검색 모듈(121)은 이용자의 위치를 기반으로 실시간 중장비 위치를 검색하되, 이용자 그룹을 결정한 다음 그룹의 용도 선호도와 isSimilarTo관계로 연결된 유사 용도에 따라 위치기반 중장비를 검색할 수 있다. The information retrieval module 121 searches for the location of heavy equipment in real time based on the location of the user, but after determining the user group, the information search module 121 may search for the location-based heavy equipment according to the use preference of the group and similar uses connected through an isSimilarTo relationship.

이용자의 정보가 입력되면 Semantic Web Rule Language(SWRL)(Horrocks et al., 2004) 규칙에 따라 그룹이 결정되고 이용자가 속한 그룹의 선호 용도와 선호 용도의 유사 용도를 기반으로 쿼리를 생성하여 추천될 중장비를 검색할 수 있다.When the user's information is entered, the group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rules of Semantic Web Rule Language (SWRL) (Horrocks et al., 2004), and a query is generated and recommended based on the preferred use of the group to which the user belongs and the similar use of the preferred use. You can search for heavy equipment.

가중치계산 모듈(122)은 중장비 추천을 위한 가중치를 계산하되, 각 중장비는 검색된 조건에 따라 가중치를 다르게 가지며 검색된 중장비의 추천을 위한 가중치는 중장비 메타데이터 온톨로지에 입력된 평가(Rating)값과 함께 계산되어 중장비의 가중치를 결정할 수 있다. The weight calculation module 122 calculates a weight for recommending heavy equipment, but each heavy equipment has a different weight according to the searched condition, and the weight for recommendation of the searched heavy equipment is calculated together with a rating value input to the heavy equipment metadata ontology. To determine the weight of the heavy equipment.

여기서, 이용자 그룹의 선호 용도와 선호 용도와 유사한 두 개의 용도를 기반으로 검색된 중장비는 중장비 추천을 위한 후보 중장비 리스트가 될 수 있다. 이용자 위치기반 중장비 검색에서 검색된 후보 중장비 리스트의 가중치 계산은 하기의 [수학식 3]과 같다.Here, the heavy equipment searched based on two uses similar to the preferred use of the user group and the preferred use may be a list of candidate heavy equipment for recommending heavy equipment. The weight calculation of the candidate heavy equipment list searched in the user location-based heavy equipment search is as shown in [Equation 3] below.

[수학식 3][Equation 3]

Figure pat00005
Figure pat00005

Mxy: 용도 x로 검색된 중장비 y,Mxy: heavy equipment y, searched for use x,

Figure pat00006
: 용도 x로 검색된 중장비의 평가
Figure pat00006
: Evaluation of heavy equipment searched for use x

Gz: 용도 별 가중치Gz: weight by application

상기의 용도 Gz의 가중치는 아래의 [수학식 4]와 같다.The weight of the use Gz is as shown in [Equation 4] below.

[수학식 4][Equation 4]

Figure pat00007
Figure pat00007

그룹의 선호 용도와 선호 용도와 유사한 용도를 기반으로 검색된 중장비 리스트는 [수학식 3] 및 [수학식 4]에 의하여 가중치 값을 가지며, 가중치의 값은 중장비가 이용자에게 추천될 때, 중장비의 순위를 결정한다. The list of heavy equipment searched based on the group's preferred use and uses similar to the preferred use has a weight value according to [Equation 3] and [Equation 4], and the value of the weight is the ranking of the heavy equipment when the heavy equipment is recommended to the user. Decide.

일례로, 이용자가 중장비를 선택할 때 주요 고려 사항으로는 중장비 이름, 용도, 대여기간, 가격, 키워드가 있다. 이용자는 중장비를 선택할 때 고려하는 메타데이터를 기반으로 이용자가 원하는 중장비를 검색할 수 있다. 이용자는 주요 메타데이터를 입력하고 입력한 메타데이터를 기반으로 중장비 메타데이터 온톨로지에서 중장비를 검색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users select heavy equipment, the main considerations include heavy equipment name, usage, rental period, price, and keywords. The user can search for the heavy equipment the user wants based on the metadata considered when selecting the heavy equipment. Users can enter major metadata and search for heavy equipment in the heavy equipment metadata ontology based on the entered metadata.

또한, 가중치계산 모듈(122)은 이용자 선호도를 기반으로 검색된 중장비의 가중치를 계산할 수 있다. 이때, 검색된 중장비 리스트는 이용자에게 추천되기 위한 후보 중장비이다. 각각의 중장비 리스트는 추천을 위한 가중치 값을 갖는다. 이용자 선호도 기반으로 검색된 중장비의 계산은 [수학식 5]와 같이 정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weight calculation module 122 may calculate the weight of the searched heavy equipment based on user preference. At this time, the searched heavy equipment list is a candidate heavy equipment to be recommended to a user. Each heavy equipment list has a weight value for recommendation. The calculation of the searched heavy equipment based on user preference may be defined as in [Equation 5].

[수학식 5][Equation 5]

Figure pat00008
Figure pat00008

n: 이용자가 선호하는 메타데이터로 선택한 중장비 이름, 용도, 대여기간, 가격, 키워드의 수,n: Heavy equipment name, usage, rental period, price, number of keywords selected as the user's preferred metadata,

Mk: 이용자의 선호도에 의해 검색된 중장비Mk: Heavy equipment searched by user's preference

[수학식 5]에서 이용자의 선호도에 의해 검색된 중장비 Mk의 가중치 값은 중장비 Mk과 연결되어 있는 메타데이터에서 이용자가 선호하는 중장비 메타데이터들의 가중치 합으로 계산할 수 있다. In [Equation 5], the weight value of the heavy equipment Mk retrieved by the user's preference can be calculated as the sum of the weights of the heavy equipment metadata that the user prefers in the metadata connected to the heavy equipment Mk.

정규화 모듈(123)은 중장비 추천을 위한 과정으로 정규화를 실행할 수 있다. The normalization module 123 may perform normalization as a process for recommending heavy equipment.

즉, [수학식 5]의 Mk의 가중치 계산을 위해 사용된 메타데이터들의 가중치는 상기 정규화 모듈(123)을 통해 해당 중장비에서 동일한 범위를 가지기 위해 1~2로 정규화 될 수 있다. 각각의 메타데이터 정규화 식은 [수학식 6]과 같다. That is, the weights of metadata used for calculating the weight of Mk in [Equation 5] may be normalized to 1 to 2 in order to have the same range in the corresponding heavy equipment through the normalization module 123. Each metadata normalization equation is shown in [Equation 6].

[수학식 6][Equation 6]

Figure pat00009
Figure pat00009

m: 이용자가 중장비를 선택할 때 고려하는 메타 데이터,m: Meta data that the user considers when choosing heavy equipment,

Mk: 이용자의 선호도에 의해 검색된 중장비Mk: Heavy equipment searched by user's preference

Mmk: 메타 데이터m으로 검색된 중장비 MkMmk: Heavy equipment Mk retrieved by metadata m

예를 들어,

Figure pat00010
이고, Lm은 메타 데이터 m으로 검색된 중장비 리스트 M에서 각각의 메타 데이터의 가중치 값이다.For example,
Figure pat00010
And Lm is a weight value of each meta data in the heavy equipment list M searched with meta data m.

온톨로지 구축부(130)는 정보 저장부(110)와 정보 요청부(120)의 데이터를 바탕으로 중장비, 이용자, 제공자의 메타데이터 온톨로지를 구축한다. 이러한 온톨로지 구축부(130)는 중장비 모듈(131), 이용자 모듈(132), 제공자 모듈(133)로 구성된다. The ontology building unit 130 builds metadata ontology of heavy equipment, users, and providers based on the data of the information storage unit 110 and the information request unit 120. This ontology building unit 130 is composed of a heavy equipment module 131, a user module 132, and a provider module 133.

중장비 모듈(131)은 메타데이터를 관리하며 해당 중장비를 설명하고 중장비의 특징을 정의한다. 상기 중장비 모듈(131)은 중장비 메타데이터를 관리하며 이을 상세하게 서술하면 아래와 같다.The heavy equipment module 131 manages metadata, describes the heavy equipment, and defines characteristics of the heavy equipment. The heavy equipment module 131 manages heavy equipment metadata, which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s follows.

중장비 메타데이터는 해당 중장비를 설명하고 중장비의 특징을 잘 나타내며 잘 정의된 중장비 메타데이터는 중장비의 관리를 용이하게 한다. 중장비 메타데이터는 ID, 종류, 가격, 범위, 평가, 실시간 위치 정보, 대여기간, 사용이력, 고장이력, 지급보증, 조종사, 모습 등이 있으며, 특히 위치정보는 중장비를 추천할 때, 이용자에게 주요 고려사항으로 나타난다. 또한 중장비 종류, 용도 및 모습은 중장비의 검색과 추천을 위한 메타데이터로 활용될 수 있다.The heavy equipment metadata describes the heavy equipment in question, indicat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heavy equipment well, and the well-defined heavy equipment metadata facilitates the management of the heavy equipment. Heavy equipment metadata includes ID, type, price, range, evaluation, real-time location information, rental period, usage history, failure history, payment guarantee, pilot, appearance, etc. Appears to be a consideration. In addition, the type, purpose, and appearance of heavy equipment can be used as metadata for searching and recommending heavy equipment.

이용자 모듈(132)은 이용자 메타테이터를 활용하여 이용자 메타데이터 온톨로지를 구축할 수 있다. The user module 132 may build a user metadata ontology using user metadata.

상기 이용자 모듈(132)은 이용자에게 중장비의 개인화된 추천을 위해 중장비 모델과 연결하여 하나의 온톨로지 모델로 사용될 수 있다. 이용자는 중장비 추천을 위해 이용자가 고려하는 주요 고려사항을 메타데이터에서 선택할 수 있다. 중장비 이름, 대여 기간을 선택하고 나머지 우선순위를 결정하면 위치를 기반으로 중장비를 추천할 수 있다. 아래의 [표 3]는 이를 바탕으로 중장비 모델과 연결하기 위해 객체의 개념과 관계를 정의하였다.The user module 132 may be used as an ontology model by connecting with a heavy equipment model for personalized recommendation of heavy equipment to a user. Users can select from the metadata the main considerations they consider for heavy equipment recommendations. You can recommend heavy equipment based on location by selecting the name of the heavy equipment, the rental period, and determining the remaining priorities. [Table 3] below defines the concept and relationship of objects to connect with the heavy equipment model based on this.

[표 3][Table 3]

Figure pat00011
Figure pat00011

제공자 모듈(133)은 제공자 메타데이터를 활용하여 제공자 메타데이터 온톨로지를 구축할 수 있다. 이러한 제공자 모듈(133)은 중장비 관리 및 중장비의 개인화된 추천을 위해 중장비 모델과 연결하여 하나의 온톨로지 모델로 사용될 수 있다. The provider module 133 may build a provider metadata ontology using provider metadata. The provider module 133 may be used as an ontology model in connection with a heavy equipment model for heavy equipment management and personalized recommendation of heavy equipment.

제공자는 중장비 제공을 위해 이용자가 고려하는 주요 고려사항을 단말을 통해 입력할 수 있다. 이때, 주요 고려사항은 중장비 이름, 제원, 이력정보, 관리자 등과 같은 정보이다. Providers can input major considerations that users consider to provide heavy equipment through the terminal. At this time, the main considerations are information such as the name of the heavy equipment, specifications, history information, and manager.

중장비 추천부(140)는 메타데이터 온톨로지를 기반으로 요청된 정보를 분석, 가중치 변환 및 추천한다. 이러한 중장비 추천부(140)는 분석모듈(141) 및 추천모듈(142)을 포함한다.The heavy equipment recommendation unit 140 analyzes, weights, and recommends requested information based on the metadata ontology. The heavy equipment recommendation unit 140 includes an analysis module 141 and a recommendation module 142.

분석모듈(141)은 정규화된 값들을 기반으로 분석을 실행하고 우선순위를 정하여 후보 중장비를 제공할 수 있다. The analysis module 141 may provide candidate heavy equipment by performing analysis based on normalized values and prioritizing.

여기에서, 분석모듈(141)은 상기 가중치계산 모듈(122)을 통해 [수학식 5]에 의해 계산된 가중치를 기반으로 추천된 중장비를 이용자가 선택한 메타데이터에 의한 추천결과와 함께 분석하여 각 메타데이터의 가중치를 변경할 수 있다. Here, the analysis module 141 analyzes the recommended heavy equipment based on the weight calculated by [Equation 5] through the weight calculation module 122 together with the recommendation result based on the metadata selected by the user, and analyzes each meta. You can change the weight of the data.

따라서, 분석모듈(142)은 다시 가중치 계산을 실행할 수 있다. 각 가중치의 변경을 위한 적용은 [수학식 7]과 같다. 각 메타데이터에 의해 추천된 결과의 기여도를 기반으로 각 메타데이터에 가중치를 곱하여 새로운 가중치를 갖게 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analysis module 142 may perform weight calculation again. The application to change each weight is as shown in [Equation 7]. A new weight can be obtained by multiplying each metadata by a weight based on the contribution of the result recommended by each metadata.

[수학식 7][Equation 7]

Figure pat00012
Figure pat00012

상기의 [수학식 7]에서 메타데이터의 가중치에 곱해지는 기여도가 MW이다. 추천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기여도는 1에서 2사의 값을 갖는다. In the above [Equation 7], the contribution multiplied by the weight of the metadata is MW. The contribution that affects the recommendation result ranges from 1 to 2 companies.

추천모듈(142)은 분석모듈(141)에 의한 분석 결과에 따른 우선순위를 반영하여 후보 중장비를 추천할 수 있다. The recommendation module 142 may recommend candidate heavy equipment by reflecting the priority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 by the analysis module 141.

추천모듈(142)은 중장비 메타데이터 온톨로지에 정의된 유사 메타데이터를 이용하여 이용자가 선택한 메타데이터 뿐만 아니라 입력하지 않는 메타데이터에 의한 검색이 가능할 수 있다. 검색된 이용자의 선호도에 따라 중장비 순위를 갖게 될 수 있고, 이용자는 순위가 정해진 중장비에 따라 추천을 받을 수도 있다. The recommendation module 142 may search not only metadata selected by the user but also metadata not input by using similar metadata defined in the heavy equipment metadata ontology. Heavy equipment may be ranked according to the searched user's preference, and users may receive recommendations according to the heavy equipment for which the ranking is determined.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타데이터 온톨로지간의 관계 지식을 나타낸 그림이다. 2 is a diagram showing relationship knowledge between metadata ontolog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이용자에게 중장비를 추천하기 위하여 중장비 메타데이터를 기반으로 중장비 메타데이터 온톨로지를 구축하고 중장비 메타데이터간의 유사성을 생성하여 중장비 추천에 사용한다. 이와 같은 메타데이터간 관계를 나타낸 그림이 도 2과 같다.Referring to FIG. 2, in this embodiment, in order to recommend heavy equipment to a user, a heavy equipment metadata ontology is constructed based on heavy equipment metadata, and similarity between heavy equipment metadata is generated and used for heavy equipment recommendation. A figure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such metadata is shown in FIG. 2.

메타데이터는 데이터를 설명하는 데이터로써 데이터의 검색, 보존, 관리 등의 목적으로 사용한다. 특히 검색의 경우 특정 도메인의 용어간 연관성을 통하여 추론이 가능한 온톨로지에 적용함으로써 시맨틱한 검색이 가능하도록 발전되고 있다. Metadata is data that describes data and is used for data search, storage, and management purposes.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search, it is being developed to enable semantic search by applying it to an ontology that can infer through the association between terms in a specific domain.

상기 중장비 모듈(131)은 중장비 메타데이터를 관리하며 해당 중장비를 설명하고 중장비의 특징을 정의한다. 상기 중장비 모듈(131)은 중장비 메타데이터를 관리하며 이을 상세하게 서술하면 아래와 같다.The heavy equipment module 131 manages heavy equipment metadata, describes the heavy equipment, and defines characteristics of the heavy equipment. The heavy equipment module 131 manages heavy equipment metadata and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s follows.

중장비 메타데이터는 해당 중장비를 설명하고 중장비의 특징을 잘 나타내며 잘 정의된 중장비 메타데이터는 중장비의 관리를 용이하게 한다. 중장비 메타데이터는 ID, 종류, 가격, 범위, 평가, 실시간 위치 정보, 대여기간, 사용이력, 고장이력, 지급보증, 조종사, 모습 등이 있으며, 특히 위치정보는 중장비를 추천할 때, 이용자에게 주요 고려사항으로 나타난다. 또한 중장비 종류, 용도 및 모습은 중장비의 검색과 추천을 위한 메타데이터로 활용될 수 있다.Heavy equipment metadata describes the heavy equipment in question, indicates the characteristics of heavy equipment well, and well-defined heavy equipment metadata facilitates the management of heavy equipment. Heavy equipment metadata includes ID, type, price, range, evaluation, real-time location information, rental period, usage history, failure history, payment guarantee, pilot, appearance, etc.In particular, location information is important to users when recommending heavy equipment. Appears to be a consideration. In addition, the type, purpose, and appearance of heavy equipment can be used as metadata for searching and recommending heavy equipment.

본 실시예에서는 중장비 추천에서 이용자의 선호도가 잘 반영되는 종류, 용도, 모습, 범위, 평가, 실시간 위치정보, 사용이력, 고장이력, 운행지역 등을 활용하여 메타데이터 온톨로지를 구축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이용자에게 개인화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in the recommendation of heavy equipment, a metadata ontology can be constructed using types, uses, shapes, ranges, evaluations, real-time location information, usage history, failure history, and operation areas, etc., in which user preferences are well reflected. Through this, personalized services can be provided to users.

여기서, 온톨로지 구조를 가지는 중장비 메타데이터 지식베이스의 구축을 위해 온톨로지 개발 101방법론을 적용할 수 있다. 온톨로지 개발 101방법론은 스탠포드 대학 Knowledge Systems 연구실 팀에서 제안한 방법론으로 [표 4]과 같이 총 7가지 단계로 구성된다. Here, the ontology development 101 methodology can be applied to construct a heavy equipment metadata knowledge base having an ontology structure. The Ontology Development 101 methodology is a methodology proposed by the team at Stanford University's Knowledge Systems laboratory, and consists of a total of 7 steps as shown in [Table 4].

[표 4][Table 4]

Figure pat00013
Figure pat00013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장비 메타데이터 온톨로지를 나타낸 그림이다. 3 is a diagram showing a heavy equipment metadata ontolog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중장비 종류, 가격, 위치, 범위 등과 같은 메타데이터들을 기반으로 표현된 중장비 모듈의 온톨로지 모델이다. 도 3에서 관계는 검정색 화살표로 표현되고 다른 클래스들과의 연관성을 표현한다. Referring to FIG. 3, it is an ontology model of a heavy equipment module expressed based on metadata such as heavy equipment type, price, location, and range. In FIG. 3, the relationship is represented by a black arrow, and the relationship with other classes is expressed.

객체의 속성은 점선 화살표로 표현되고 각 클래스들이 가지는 속성을 표현한다. 중장비 메타데이터 모델을 통하여 종류, 가격, 범위, 위치 등과 같은 메타데이터와 연결되어 있는 관계와 속성을 통하여 중장비를 검색할 수 있다. The properties of an object are represented by dotted arrows, and the properties of each class are expressed. Through the heavy equipment metadata model, heavy equipment can be searched through relationships and attributes linked to metadata such as type, price, range, and location.

아래의 [표 5]는 중장비 메타데이터 온톨로지를 구축하기 위한 온톨로지의 객체의 개념을 설명한다. 각 객체의 개념들은 관련된 다른 객체의 개념들과 연결 관계로 표현되며, 중장비 메타데이터는 각 객체의 개념마다 연결된 관계를 기반으로 중장비를 검색하고 추천할 수 있게 한다. [Table 5] below describes the concept of ontology objects for constructing heavy equipment metadata ontology. Concepts of each object are expressed as a connection relationship with concepts of other related objects, and the heavy equipment metadata enables searching and recommending heavy equipment based on the relationship connected to each concept of each object.

[표 5][Table 5]

Figure pat00014
Figure pat00014

아래의 [표 6]은 객체의 개념으로 표현된 중장비 메타데이터들과 각 메타데이터들을 연결하는 관계이다. Machine개념과 연결되는 다른 객체의 개념들은 중장비의 주요 메타데이터들이며 Machine개념과의 연결은 [표 3]과 같은 관계로 연결될 수 있다. [Table 6] below shows the relationship between heavy equipment metadata expressed in the concept of an object and each metadata. The concepts of other objects connected to the machine concept are the main metadata of heavy equipment, and the connection with the machine concept can be connected by the relationship as shown in [Table 3].

[표 6][Table 6]

Figure pat00015
Figure pat00015

Machine개념과 Person개념 간의 연결은 중장비와 관련된 소유자, 관리자, 조종사에 따라 연결되는 관계가 다르며, Person개념에서 조종사는 해당 중장비의 운행을 맡은 isemployedas관계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Use개념은 유사용도를 표현하기 위하여 isSimilarTo관계로 연결될 수 있다. The connection between the machine concept and the person concept differs according to the owner, manager, and pilot related to the heavy equipment, and in the person concept, the pilot can be connected to the isemployedas relationship in charge of the operation of the heavy equipment. Also, the concept of Use can be linked to the isSimilarTo relationship to express similar uses.

중장비의 다른 메타데이터들은 속성으로 표현될 수 있다. 속성으로 표현되는 중장비 메타데이터는 [표 7]와 같다.Other metadata of heavy equipment can be expressed as attributes. Heavy equipment metadata expressed as attributes are shown in [Table 7].

[표 7][Table 7]

Figure pat00016
Figure pat00016

레벨은 이용자의 기본정보에서 실시간 위치를 고려하여 중장비를 검색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평가점수는 해당 중장비를 이용한 이용자들의 중장비 평가를 수치로 표현한 메타데이터로써 추천될 중장비의 순위를 결정할 때 고려될 수 있다. The level can be used to search for heavy equipment by considering the real-time location in the user's basic information. The evaluation score is metadata expressing the evaluation of heavy equipment of users using the heavy equipment in numerical terms and can be considered when determining the ranking of the heavy equipment to be recommended.

중장비 개념과 연결된 다른 객체의 개념들은 각 객체의 개념들의 정보를 가지는 속성을 가지고 있다. 각 개념이 가지는 속성은 [표 8]와 같다.Concepts of other objects connected to the concept of heavy equipment have properties that contain information about the concepts of each object. The properties of each concept are shown in [Table 8].

[표 8][Table 8]

Figure pat00017
Figure pat00017

Person개념은 중장비에 관련된 사람들의 이름을 속성으로 가지고 있다. 이용자는 Person개념의 속성을 통하여 소유자, 관리자, 조종사를 검색하고 이와 연결되어 있는 Machine개념 속성을 통하여 중장비를 검색하고 추천 받을 수 있다. Specification개념과 연결되는 hasDescription 속성은 중장비의 제원에 대한 설명으로 이용자는 중장비를 검색을 통하여 검색할 수 있으며 이용자가 선호하는 제원을 통해 중장비를 추천받을 수 있다.The Person concept has the names of people related to heavy equipment as an attribute. Users can search for owners, managers, and pilots through the attribute of the Person concept, and search for heavy equipment and receive recommendations through the attribute of the Machine concept connected thereto. The hasDescription attribute linked to the specification concept is a description of the specifications of the heavy equipment, and the user can search for the heavy equipment through search, and the heavy equipment can be recommended through the specifications that the user prefers.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용자 메타데이터 온톨로지를 나타낸 그림이다. 4 is a diagram showing a user metadata ontolog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이용자 모델에서는 이용자의 아이디를 표현하는 hasID와 위치를 표현하는 hasPosition 속성이 있다. User는 hasID와 hasPostion 속성과 상기 [표 9]에서 정의된 관계를 기반으로 표현되며 각 객체의 개념들의 연결은 도 4와 같다. Referring to FIG. 4, in the user model, there are hasID representing the user's ID and hasPosition property representing the location. User is expressed based on the hasID and hasPostion properties and the relationship defined in [Table 9], and the connection of the concepts of each object is as shown in FIG. 4.

[표 9][Table 9]

Figure pat00018
Figure pat00018

도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공자 메타데이터 온톨로지를 나타낸 그림이다. 5 is a diagram showing a provider metadata ontolog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제공자 그룹은 크게 건설기계관리업, 일반건설기계대여업, 개별건설기계대여업으로 분류할 수 있다. 제공자 모델에서는 제공자의 아이디를 표현하는 hasID가 있다. Provider는 hasID 속성과 상기 <도표 8>에서 정의된 관계를 기반으로 표현되며 각 객체의 개념들의 연결은 도 5와 같다. Referring to FIG. 5, the provider group can be roughly classified into a construction equipment management business, a general construction equipment rental business, and an individual construction equipment rental business. In the provider model, there is hasID that represents the ID of the provider. The provider is expressed based on the hasID attribute and the relationship defined in <Figure 8>, and the connection of the concepts of each object is as shown in FIG. 5.

도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검색시 이용자의 선호용도와 유사용도와 관계 온톨로지를 나타낸 그림이다.6 is a diagram showing a user's preference, similar use, and relationship ontology during a searc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정보 요청부(120)는 중장비 추천을 위해 중장비 메타데이터 온톨로지를 기반으로 이용자의 실시간 위치 및 중장비의 실시간 위치를 이용하여 이용자의 그룹을 결정하고 그룹의 중장비 선호도에 따라 중장비를 검색할 수 있다. 그리고 이용자의 선호도를 입력받아 중장비를 검색하고 이용자에게 추천할 수 있다. 6, the information request unit 120 determines a group of users using the real-time location of the user and the real-time location of the heavy equipment based on the heavy equipment metadata ontology for recommending heavy equipment, and selects the heavy equipment according to the group's preference for heavy equipment. You can search. In addition, users can search for heavy equipment by receiving user preferences and recommend them to users.

검색요청 모듈(121)은 이용자의 위치를 기반으로 실시간 중장비 위치를 검색하되, 이용자 그룹을 결정한 다음, 그룹의 용도 선호도와 isSimilarTo관계로 연결된 유사 용도에 따라 위치기반 중장비를 검색할 수 있다. The search request module 121 searches for the location of the heavy equipment in real time based on the location of the user, but after determining the user group, it may search for the location-based heavy equipment according to the group's usage preference and similar uses connected through an isSimilarTo relationship.

이용자의 정보가 입력되면 Semantic Web Rule Language(SWRL)(Horrocks et al., 2004) 규칙에 따라 그룹이 결정되고 이용자가 속한 그룹의 선호 용도와 선호 용도의 유사 용도를 기반으로 쿼리를 생성하여 추천될 중장비를 검색할 수 있다.When the user's information is entered, the group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rules of Semantic Web Rule Language (SWRL) (Horrocks et al., 2004), and a query is generated and recommended based on the preferred use of the group to which the user belongs and the similar use of the preferred use. You can search for heavy equipment.

이용자 위치기반 중장비 검색을 위한 쿼리는 도 6과 같이 개념들의 연결된 관계를 통하여 중장비를 검색할 수 있다.The query for user location-based heavy equipment search may search for heavy equipment through a connected relationship between concepts as shown in FIG. 6.

UserGroup개념의 group_Prefer_Use관계를 통하여 정의된 선호 용도를 검색하고 선호 용도와 유사 용도로서 isSimilarTo 관계로 연결된 다른 용도를 검색하여 각 용도와 연결된 중장비를 검색할 수 있다. 유사 용도와의 관계는 총 두 번의 링크까지 허용될 수 있다. You can search for the preferred use defined through the group_Prefer_Use relationship of the UserGroup concept, and search for other uses connected with the isSimilarTo relationship as a similar use to the preferred use, and search for heavy equipment connected to each use. Relationships with similar uses may allow up to two links in total.

예를 들어 이용자 그룹이 선호하는 용도가 “카운터 밸런스형 지게차”라면, 유사 용도로 연결된 “리치형 지게차”와 “리치형 지게차”와 연결된 “힌지드 버킷”까지 도출되고, 각 용도와 연결된 중장비가 검색될 수 있다.For example, if the user group's preferred use is “counter balance forklift”, then “reach type forklift” connected for similar use and “hinged bucket” connected with “reach type forklift” are derived. Can be searched.

도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검색시 이용자 선호 중장비 관계 온톨로지를 나타낸 그림이다. 7 is a diagram showing a user preferred heavy equipment relationship ontology during a searc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을 참조하면, 중장비 모델에서 주요 개념과의 관계에 대한 연결을 보여준다. 도 7에서 참조번호 (1)은 이용자가 입력한 선호 중장비 메타데이터를 기반으로 연결된 중장비를 검색할 때의 연결을 보여준다. 참조번호 (2)는 중장비 메타데이터의 용도 중 유사 용도로 연결된 용도들을 확정하여 중장비를 검색할 때의 연결을 보여준다. Referring to FIG. 7, the connection of the relationship with the main concepts in the heavy equipment model is shown. In FIG. 7, reference number (1) shows the connection when searching for connected heavy equipment based on the preferred heavy equipment metadata input by the user. Reference number (2) shows the connection when searching for heavy equipment by determining the uses of the heavy equipment metadata for similar purposes.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 사상은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는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As described above,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by the limited embodiments and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which is, if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various modifications and Transformation is possible. Therefore, the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grasped only by the claims set forth below, and all equivalent or equivalent modifications thereof will be said to belong to the scope of the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110: 정보 저장부
111: 정보입력 모듈
112: 그룹분류 모듈
113: 평가모듈
120: 정보 요청부
121: 정보검색 모듈
122: 가중치계산 모듈
123: 정규화 모듈
130: 온톨로지 구축부
131: 중장비 모듈
132: 이용자 모듈
133: 제공자 모듈
140: 중장비 추천부
141: 분석모듈
142: 추천모듈
110: information storage unit
111: information input module
112: Group classification module
113: evaluation module
120: information request unit
121: information retrieval module
122: weight calculation module
123: normalization module
130: Ontology construction unit
131: heavy equipment module
132: user module
133: provider module
140: heavy equipment recommendation department
141: analysis module
142: recommended module

Claims (5)

건설 중장비에 설치된 GPS단말에서 수신된 위치정보, 중장비 제공자의 단말기와 이용자의 단말기를 이용하여 입력하는 필수 정보, 상기 제공자와 이용자를 그룹으로 분류하는 그룹정보 및 상기 제공자와 이용자의 평가 정보를 저장하는 정보 저장부;
상기 정보 저장부에서 저장된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이용자가 검색 요청을 하면, 요청한 정보에 따라 가중치를 계산하고 정규화 하는 정보 요청부;
상기 정보 저장부와 정보 요청부의 데이터를 바탕으로 중장비, 이용자, 제공자의 메타데이터 온톨로지를 구축하는 온톨로지 구축부; 및
메타데이터 온톨로지를 기반으로 요청된 정보를 분석, 가중치 변환 및 추천하는 중장비 추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톨로지 기반 메타데이터간 연관성을 활용한 중장비 추천 시스템.
It stores the loca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GPS terminal installed in the heavy construction equipment, essential information input using the terminal of the heavy equipment provider and the terminal of the user, group information for classifying the provider and user into groups, and evaluation information of the provider and user. An information storage unit;
An information request unit that calculates and normalizes weights according to the requested information when the user makes a search request based on information stored in the information storage unit;
An ontology building unit for constructing metadata ontology of heavy equipment, users, and providers based on the data of the information storage unit and the information request unit; And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heavy equipment recommendation unit that analyzes, weights, and recommends the requested information based on the metadata ontology.
Heavy equipment recommendation system utilizing the correlation between ontology-based metadat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저장부는
GPS단말에서 수신된 위치정보, 중장비 제공자의 단말기와 이용자의 단말기를 이용하여 입력하는 필수 정보를 저장하는 정보입력 모듈;
상기 입력된 정보를 메타데이터 연관성을 활용하여 그룹으로 분류하는 그룹분류 모듈; 및
상기 중장비 제공자와 이용자에 의해 평가되는 만족도를 저장하는 평가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톨로지 기반 메타데이터간 연관성을 활용한 중장비 추천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information storage unit
An information input module for storing loca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a GPS terminal and essential information input using a terminal of a heavy equipment provider and a terminal of a user;
A group classification module for classifying the input information into groups using metadata association; And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 evaluation module for storing the satisfaction evaluated by the heavy equipment provider and the user
Heavy equipment recommendation system utilizing the correlation between ontology-based metadat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요청부는
이용자의 위치를 기반으로 실시간 GPS단말에서 수신된 중장비 위치를 검색하되, 이용자 그룹을 결정한 다음, 그룹의 용도 선호도와 유사관계로 연결된 유사 용도에 따라 위치기반 중장비를 검색하는 검색요청 모듈;
상기 중장비는 검색된 조건에 따라 가중치를 다르게 가지며 검색된 중장비의 추천을 위한 가중치는 중장비 메타데이터 온톨로지에 입력된 평가(Rating)값과 함께 계산되어 중장비의 가중치를 결정하는 가중치계산 모듈;
상기 중장비의 가중치 계산을 위해 사용된 메타데이터들의 가중치는 해당 중장비에서 동일한 범위를 가지기 위해 정규화 하는 정규화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톨로지 기반 메타데이터간 연관성을 활용한 중장비 추천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information request unit
A search request module that searches for a location of heavy equipment received from a real-time GPS terminal based on a user's location, determines a user group, and then searches for a location-based heavy equipment according to the group's use preference and similar uses connected in a similar relationship;
The heavy equipment has different weights according to the searched condition, and a weight for recommendation of the searched heavy equipment is calculated together with a rating value input to the heavy equipment metadata ontology to determine a weight of the heavy equipment;
And a normalization module that normalizes the weights of metadata used for calculating the weight of the heavy equipment to have the same range in the heavy equipment.
Heavy equipment recommendation system utilizing the correlation between ontology-based metadat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온톨로지 구축부는
상기 중장비 메타데이터의 ID, 종류, 가격, 범위, 평가, 실시간 위치 정보, 대여기간, 사용이력, 고장이력, 지급보증, 조종사, 모습에 대한 정보를 속성 정보와 함께 관리하는 중장비 모듈;
이용자에게 중장비의 개인화된 추천을 위해 중장비 모델과 연결하여 하나의 온톨로지 모델을 구성하는 이용자 모듈; 및
상기 제공자가 중장비 이름, 제원, 이력정보, 관리자 정보를 입력하면 상기 제공자와 연결하여 하나의 온톨로지 모델을 구성하는 제공자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톨로지 기반 메타데이터간 연관성을 활용한 중장비 추천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ontology building unit
A heavy equipment module for managing information on ID, type, price, range, evaluation, real-time location information, rental period, use history, failure history, payment guarantee, pilot, and appearance of the heavy equipment metadata together with attribute information;
A user module for configuring one ontology model by connecting with a heavy equipment model for personalized recommendation of heavy equipment to a user; And
And a provider module that connects with the provider when the provider inputs heavy equipment name, specifications, history information, and manager information to form one ontology model.
Heavy equipment recommendation system utilizing the correlation between ontology-based metadat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장비 추천부는
상기 이용자의 위치를 기반으로 이용자 그룹, 제공자 그룹 및 선호 용도를 메타데이터 연관성을 활용하여 분석하는 분석모듈; 및
상기 이용자의 검색요청에 따라 메타데이터 연관성을 활용하여 중장비를 추천하는 추천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톨로지 기반 메타데이터간 연관성을 활용한 중장비 추천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heavy equipment recommendation unit
An analysis module that analyzes a user group, a provider group, and a preferred purpose based on the location of the user using metadata correlation; And
In accordance with the user's search reques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recommendation module for recommending heavy equipment by utilizing metadata association
Heavy equipment recommendation system utilizing the correlation between ontology-based metadata.
KR1020190149461A 2019-11-20 2019-11-20 Heavy equipment recommendation system using metadata relation based on ontology KR10226497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9461A KR102264977B1 (en) 2019-11-20 2019-11-20 Heavy equipment recommendation system using metadata relation based on ontolog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9461A KR102264977B1 (en) 2019-11-20 2019-11-20 Heavy equipment recommendation system using metadata relation based on ontolog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1652A true KR20210061652A (en) 2021-05-28
KR102264977B1 KR102264977B1 (en) 2021-06-16

Family

ID=761404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9461A KR102264977B1 (en) 2019-11-20 2019-11-20 Heavy equipment recommendation system using metadata relation based on ontolog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4977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6545B1 (en) * 2022-11-09 2023-09-08 예주산업(주) Heavy Equipment Rental System and Method through Construction of Common Computer Network of Construction Companies Using Heavy Equipm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00063A (en) 2014-02-24 2015-09-02 (주)브라보팩토리 Service Method and System for Lending Heavy Equipment
KR20160079299A (en) * 2014-12-26 2016-07-06 더재화 주식회사 System and Method on Intelligent Recommendation of Used Cars
KR101776228B1 (en) * 2016-07-08 2017-09-07 나현웅 Electronic rental contract system for construction equipment
KR101876899B1 (en) 2017-06-07 2018-07-10 (주)에이스개발 GPS based construction process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thereof
KR20180079741A (en) * 2017-01-02 2018-07-11 유창관 A matching service system and method of providing using Construction work smart walking application, Construction work smart walking application for storing recording medium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00063A (en) 2014-02-24 2015-09-02 (주)브라보팩토리 Service Method and System for Lending Heavy Equipment
KR20160079299A (en) * 2014-12-26 2016-07-06 더재화 주식회사 System and Method on Intelligent Recommendation of Used Cars
KR101776228B1 (en) * 2016-07-08 2017-09-07 나현웅 Electronic rental contract system for construction equipment
KR20180079741A (en) * 2017-01-02 2018-07-11 유창관 A matching service system and method of providing using Construction work smart walking application, Construction work smart walking application for storing recording medium
KR101876899B1 (en) 2017-06-07 2018-07-10 (주)에이스개발 GPS based construction process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thereof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6545B1 (en) * 2022-11-09 2023-09-08 예주산업(주) Heavy Equipment Rental System and Method through Construction of Common Computer Network of Construction Companies Using Heavy Equip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64977B1 (en) 2021-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eng et al. An expert recommendation algorithm based on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and FP-growth
Rao et al. Towards defining dimensions of knowledge systems quality
Wang et al. An inference approach to basic level of categorization
US773912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intelligent and controlled access to supply chain information
US20150142507A1 (en) Recommendation system for specifying and achieving goals
CN104254851A (en) Method and system for recommending content to a user
CN103020302A (en) Academic core author excavation and related information extraction method and system based on complex network
CN102236663A (en) Query method, query system and query device based on vertical search
Zapater et al. Semantic web service discovery system for road traffic information services
Margaris et al. A collaborative filtering algorithm with clustering for personalized web service selection in business processes
US20210004918A1 (en) Analysis Of Intellectual-Property Data In Relation To Products And Services
Lin et al. Integer nonlinear programming and optimized weighted-average approach for mobile hotel recommendation by considering travelers’ unknown preferences
Liu et al. Models for multiple attribute decision making with picture fuzzy information
WO2021003187A1 (en) Analysis of intellectual-property data in relation to products and services
CN117271767A (en) Operation and maintenance knowledge base establishing method based on multiple intelligent agents
CN102831526A (en) Method and system for searching and sequencing commodities to carry out transaction on line
Chang et al. A probabilistic linguistic TODIM method considering cumulative probability-based Hellinger distance and its application in waste mobile phone recycling
KR102264977B1 (en) Heavy equipment recommendation system using metadata relation based on ontology
Kim et al. Topic-Driven SocialRank: Personalized search result ranking by identifying similar, credible users in a social network
Aydın et al. Investment analysis using neutrosophic present and future worth techniques
Huang et al. TODIM method for interval-valued Pythagorean fuzzy multiple attribute decision making
Shih et al. Enhancement of information seeking using an information needs radar model
Xin et al. An adaptive collaboration evaluation model and its algorithm oriented to multi-domain location-based services
Liu Personalized recommendation system design for library resources through deep belief networks
Tai et al. Finding the most profitable candidate product by dynamic skyline and parallel process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