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61261A - Bone Conduction Headset for Stimulating the Mastoid and the Auricle - Google Patents
Bone Conduction Headset for Stimulating the Mastoid and the Auricl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10061261A KR20210061261A KR1020200128290A KR20200128290A KR20210061261A KR 20210061261 A KR20210061261 A KR 20210061261A KR 1020200128290 A KR1020200128290 A KR 1020200128290A KR 20200128290 A KR20200128290 A KR 20200128290A KR 20210061261 A KR20210061261 A KR 2021006126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one conduction
- auricle
- unit
- user
- earr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58—Manufacture or assembly
- H04R1/1066—Constructional aspects of the interconnection between earpiece and earpiece support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1/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ars or hearing sense; Non-electric hearing aids; Methods or devices for enabling ear patients to achieve auditory perception through physiological senses other than hearing sense; Protective devices for the ear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58—Manufacture or assembly
- H04R1/1075—Mountings of transducers in earphones or headphon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20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covered by H04R1/0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01/10—Details of 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earphones or monophonic headphones covered by H04R1/1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01/109—Arrangements to adapt hands free headphones for use on both ear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60/00—Details of hearing devices, i.e. of ear- or headphones covered by H04R1/10 or H04R5/033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their subgroups, or of hearing aids covered by H04R25/0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460/13—Hearing devices using bone conduction transducer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60/00—Details of hearing devices, i.e. of ear- or headphones covered by H04R1/10 or H04R5/033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their subgroups, or of hearing aids covered by H04R25/0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460/15—Determination of the acoustic seal of ear moulds or ear tips of hear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sych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tolaryngology (AREA)
- Biophysics (AREA)
- 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AREA)
- Details Of Audible-Bandwidth Transducer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골전도 헤드셋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는 유양돌기에 접촉하여 소리진동을 전달함과 동시에 귓바퀴에 접촉하여 소리진동을 전달할 수 있고, 유양돌기 및 귓바퀴를 동시 자극하는 이명케어 음원을 제공하면서 이명을 치료할 수 있는 골전도 헤드셋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one conduction headset, and in more detail, while providing a tinnitus care sound source that can contact the mastoid process to transmit sound vibration and at the same time contact the auricle to transmit sound vibration, and simultaneously stimulate the mastoid process and the auricle. It relates to a bone conduction headset that can treat.
일반적으로 인간의 귀에 들리는 소리는 파동의 형태로 전달된다. 외부 소리는 인간의 외이를 통해 들어와서 고막을 진동시키며, 고막 안쪽의 내이에서 세포들이 자극을 받아 뇌로 전달된다. In general, the sound heard by the human ear is transmitted in the form of waves. External sound enters through the human's outer ear and vibrates the eardrum, and cells are stimulated in the inner ear inside the eardrum and transmitted to the brain.
인간이 들을 수 있는 소리의 주파수 범위는, 약 20 - 20000Hz이며, 인간이 서로 대화하는 소리의 주파수 범위는, 약 500 - 2000Hz이다.The frequency range of sounds that humans can hear is about 20-20000Hz, and the frequency range of sounds that humans talk to each other is about 500-2000Hz.
그러나, 난청자의 경우에는, 소리의 주파수 범위 중, 모든 주파수 또는 일부 주파수의 소리를 듣지 못할 수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두개골의 진동을 통해, 소리를 전달하는 골 전도 방식이 사용된다.However, in the case of a hearing impaired person, in the frequency range of the sound, all or some frequencies of the sound may not be heard. Therefore, recently, a bone conduction method that transmits sound through vibration of the skull is used.
골 전도 방식은, 두개골을 진동시킨 소리가 달팽이관에 전달되며, 청각 신경을 거쳐 뇌로 전달하는 방식으로, 소리 인식 메커니즘에서 진동이 고막과 고막 속에 자리 잡고 있는 3개의 뼈를 경유하는 과정을 생략한 것이다.In the bone conduction method, the sound that vibrates the skull is transmitted to the cochlea and is transmitted to the brain through the auditory nerve. The sound recognition mechanism omits the process of vibration through the eardrum and three bones located in the eardrum. .
즉, 귀 주변의 피부 표면에 가해지는 음향 진동이 두개골을 통하여 직접 와우에 전달됨으로써, 고막이나 이소골(耳小骨)에 이상이 있는 난청자라도, 와우와 청각 신경이 정상이라면 피부를 통한 골 전도로 확실하게 소리를 들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In other words, the acoustic vibration applied to the skin surface around the ear is directly transmitted to the cochlea through the skull, so even those with hearing impairment in the eardrum or ossicles, if the cochlea and the auditory nerve are normal, bone conduction through the skin is certain. You will be able to hear the sound.
한편, 공기전도형 헤드셋의 경우 귀를 막고 사용함으로써, 주변 외부의 소음 등을 들을 수가 없어 안전사고의 위험이 증가하여 선진국에서는 귀를 막고 사용하는 공기전도형 이어폰 및 헤드폰을 착용하고 도로상에서 음악 등을 청취하지 못하도록 하는 것을 법률적으로 규제하고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air-conducting headsets, the risk of safety accidents increases due to the inability to hear external noises, etc. by covering the ears. It is legally regulated to prevent people from listening to music.
또한, 최근 디지털음향 및 통신기기의 눈부신 보급으로 세계적으로 청소년들의 소음성 난청증가는 인구대비 10% 이상으로 난청을 호소하고 있으며, 세계적인 고령화 시대에서도 노인성 난청증가도 사회적으로 문제시되어 수신되는 스피커의 음량을 감소하고 사용시간을 줄이는 것을 대안으로 제시하고 있는 실정이다.In addition, due to the recent remarkable spread of digital sound and communication devices, the increase in noise-induced hearing loss among teenagers worldwide is complaining of hearing loss by more than 10% of the population. It is a situation that suggests as an alternative to reduce the use time and reduce the use time.
따라서, 골전도 헤드셋은 일반인의 경우 귀를 열어놓고 사용함으로서 주변의 소음을 동시에 수신하므로 안전사고의 예방과 고막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지 않고 골전도 원리를 이용하여 사용하므로 난청을 예방할 수 있다. Therefore, since the bone conduction headset receives ambient noise at the same time by keeping the ears open in the case of the general public, it is possible to prevent a safety accident and use the bone conduction principle without directly affecting the eardrum, so that hearing loss can be prevented.
이러한 골전도 헤드셋은 귀 주변의 뼈를 진동시켜 소리를 전달하므로 청각 장애인뿐만 아니라 소음이 심한 곳에서 일하는 사람들도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Such a bone conduction headset transmits sound by vibrating bones around the ear, so it can be used not only by the hearing impaired but also by people working in places with high noise.
종래에는 골전도 방식의 헤드셋이 단순한 소리 전달의 기능만 수행하므로 다양한 기능을 구현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으며, 장시간 착용시 인체와 접하는 부품의 강성에 의해 사용자의 불편함이 가중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Conventionally, since the bone conduction-type headset performs only a simple sound transmission function, it is difficult to implement various functions, and when worn for a long tim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user's discomfort is increased due to the stiffness of the parts in contact with the human body.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유양돌기를 통한 소리진동과 귓바퀴를 통한 소리진동을 동시에 수행하여 음수신욜을 높일 수 있는 유양돌기 및 귓바퀴를 동시 자극하면서 이명을 치료할 수 있는 유양돌기 및 귓바퀴 동시 자극 골전도 헤드셋을 제공하고자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conceiv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astoid protrusion and auricle that can increase sound reception by simultaneously performing sound vibration through the mastoid process and sound vibration through the auricle. To provide a simultaneous stimulation of the mastoid process and auricle bone conduction headset that can treat tinnitus while simultaneously stimulating.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s to be achiev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that are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I will be able to.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유양돌기 및 귓바퀴 동시 자극 골전도 헤드셋은,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mastoid process and the pinna simultaneous stimulation bone conduction heads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has the following effects.
헤드셋의 착용시 사용자의 유양돌기와 대응하는 제1골전도부를 통한 골전도와 더불어 사용자의 귓바퀴의 연골을 통하여 소리진동을 청각신경에 전달함으로써 고막이나 중이에 주는 소리부담을 줄이면서 다양한 경로의 골전도 방식으로 소리 청취 수신율을 높일 수 있고, 보다 높은 정확도로 소리를 청취하여 사용자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다.When wearing the headset, bone conduction through the first bone conduction unit corresponding to the user's mastoid process, as well as sound vibration through the cartilage of the user's auricle, is transmitted to the auditory nerve, thereby reducing the sound burden on the eardrum or middle ear while reducing the burden of sound on the eardrum or middle ear.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reception rate of sound listening and increase user satisfaction by listening to the sound with higher accuracy.
이명환자에게 이명치료용 케어음원을 제공함으로써 이명을 효율적으로 치료할 수 있는 효과가 얻어진다. By providing a tinnitus treatment sound source to tinnitus patients, the effect of efficiently treating tinnitus is obtained.
도 1a, 도 1b, 도 1c 및 도 1d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양돌기 및 귓바퀴 동시 자극 골전도 헤드셋을 도시한 외관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양돌기 및 귓바퀴 동시 자극 골전도 헤드셋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양돌기 및 귓바퀴 동시 자극 골전도 헤드셋에 적용되는 넥밴드부의 내부밴드재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양돌기 및 귓바퀴 동시 자극 골전도 헤드셋의 후방을 도시한 부분 확대도이다.
도 5a 와 도 5b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양돌기 및 귓바퀴 동시 자극 골전도 헤드셋에 적용되는 제1골전도부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와 단면도이다.
도 6a, 도 6b, 도 6c 및 도 6d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양돌기 및 귓바퀴 동시 자극 골전도 헤드셋에 적용되는 제2골전도부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양돌기 및 귓바퀴 동시 자극 골전도 헤드셋를 사용자가 착용한 상태도이다.1A, 1B, 1C, and 1D are external perspective views showing a bone conduction headset for simultaneous stimulation of the mastoid process and pinn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imultaneous stimulation of the mastoid process and auricle bone conduction heads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inner band member of the neckband portion applied to the simultaneous stimulation of the mastoid process and the pinna bone conduction heads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artially enlarged view showing the rear of a bone conduction headset for simultaneous stimulation of the mastoid process and aur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A and 5B are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first bone conduction unit applied to the simultaneous stimulation bone conduction headset of the mastoid process and the aur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A, 6B, 6C, and 6D are configuration diagrams illustrating a second bone conduction unit applied to the simultaneous stimulation bone conduction headset of the mastoid process and the aur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state diagram of a user wearing a bone conduction headset for simultaneous stimulation of the mastoid process and aur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한 구조 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 preferred embodiment in which a person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easil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when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scribing the structural principle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tail,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한다.In additio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portions having similar functions and functions throughout the drawings.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In addition,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said to be'connected' with another part, it is not only'directly connected', but also'indirectly connected' with another element in the middle. Includes. In addition, "including" a certain component means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further included, rather than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to the contrary.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양돌기 및 귓바퀴 동시 자극 골전도 헤드셋(100)은 도 1a, 도 1b, 도 1c 및 도 1d 에 도시한 바와 같이, 넥밴드부(10), 귀걸이부(20), 제1골전도부(30) 및 제2골전도부(40)를 포함할 수 있다. Simultaneous stimulation of the mastoid process and aur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넥밴드부(10)는 도 1a, 도 1b, 도 1c 및 도 1d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머리 후측인 뒷목 부분에 위치하여 이를 감싸면서 안착되도록 대략 호형의 띠 형상으로 구비되는 구조물이다. 1A, 1B, 1C, and 1D, the
이러한 넥밴드부((10)는 고무나 합성수지로 성형되어 탄성을 갖는 외부재의 몸체 내부에 구비되어 구조강성을 보강하도록 금속재의 내부밴드재(12)를 포함할 수 있다. The
수지나 합성수지와 같은 중량이 가벼운 소재로 이루어지는 넥밴드부(10)의 내부에 중량이 무거운 금속소재로 이루어지는 내부밴드재를 내장함으로써 넥밴드부의 전체적인 중량을 줄이면서 구조적 강성을 확보할 수 있다.By embedding an inner band member made of a heavy metal material inside the
상기 내부밴드재(12)는 길이중앙에서 한쌍의 귀걸이부(20)와 연결되는 양측단으로 갈수록 판폭이 서서히 좁아지는 형상으로 구비되는 일정길이의 금속판재로 구비될 수 있다.The
이러한 경우, 상기 넥밴드부(10)에 내장되는 내부밴드재(12)의 길이중앙 판폭이 양측단 보다 크게 설계됨으로써 사용자가 뒷목 크기에 맞게 중심을 잡아주면서 곡선상으로 이루어지는 넥밴드부를 휨변형하는 플렉시블한 피팅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length and center plate width of the
또한, 상기 내부밴드재(12)의 양단에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귀걸이부(20)에 구비되는 피조립부와 조립되어 연결될 수 있도록 상기 내부밴드재의 판폭보다 작은 판폭 크기를 갖는 연결부(14)를 매개로 하여 조립공(13a)을 관통형성한 연결판(13)을 구비한다. In addition, both ends of the
*상기 연결부(14)의 일측면에는 상기 연결판(13)측으로 연장되는 대략 일자형의 프레스홈(14a)을 함몰형성함으로써 협폭을 갖는 연결부의 밴딩변형시 집중되는 응력에 의한 피로파괴 및 단락을 방지할 수 있다. * On one side of the
그리고, 상기 넥밴드부(10)의 내측면에는 전원인가시 뇌파 동조용 빛을 발생시키는 한쌍의 엘이디부재(15)를 구비할 수할 수 있다.In addition, a pair of
상기 넥밴드부(10)를 사용자의 전면 얼굴측으로 반전시키고 상기 한쌍의 엘이디부재와 사용자의 좌우양측 눈과 서로 일대응시킨 다음, 사용자가 눈을 감은 상태에서 상기 한쌍의 엘이디부재(15)에 외부전원을 공급하여 뇌파 동조용 주파수대역을 갖는 빛을 발생시키면, 사용자의 감은 눈을 통하여 망막에 뇌파 동조용 빛을 전달하여 자극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The
이러한 상기 한쌍의 엘이디부재(15)는 사용자의 양쪽눈과 서로 일대일 대응하도록 상기 넥벤드의 내측면에 일정간격을 두고 각각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t is preferable that the pair of
상기 귀걸이부(20)는 도 1a, 도 1b, 도 1c 및 도 1d 및 도 4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넥밴드의 양측단에 일단이 착탈가능하게 조립되며, 상기 사용자의 귀에 걸쳐져서 장착하기 위한 귀걸이홈을 형성하는 귀걸이부 ;The
이러한 귀걸이부(20)는 상기 넥밴드부(10)의 양측단과 연결되고 상기 제1골전도부(30)가 설치되는 마운트부(39)와 대응 삽입되어 조립되는 장착홈을 내측면에 구비하는 귀걸이 본체(21)를 포함하고, 상기 귀걸이 본체(21)로부터 후방 측으로 대략 곡선형으로 연장되는 귀걸이 연장부(22)를 포함할 수 있다. The
상기 귀걸이 본체의 상단 외부면에는 음량버튼, 전원버튼과 같은 다수의 버튼을 갖는 조작버튼부(25)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조작보튼부의 일측에는 이명케어를 위한 전용버튼(26)을 포함할 수 있다. The upper outer surface of the earring body may include an
그리고, 상기 귀걸이 연장부(22)의 단부에는 외부소리를 수신하는 마이크(24)를 노출시키면서 탄성력을 갖도록 상기 넥밴드부(10)의 양단이 내측으로 모아지는 방향으로 절곡된 다음 반대로 벌어지는 방향으로 절곡된 곡선형 절곡부(23)를 포함할 수 있다. And, the end of the
상기 마이크(22)는 사용자의 목소리를 받아들여 전화통화 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음원으로부터 전기를 발생시키기 위해 콘덴서를 적용하는 일렉트로스태틱 마이크와 같은 콘덴서 마이크이거나 주변 소리를 포집하여 노이즈캔슬링을 통해 보청기능의 마이크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반도체 제작기법으로 만들어지는 ㅈ저전기적이고 기계적으로 작동되는 멤스(Micro Electro Mechanics System) 마이크로 구비될 수 있다.The
상기 곡선형 절곡부(23)에 의해서 사용자가 뒷목에 헤드셋의 넥밴드부를 탄력적으로 벌려서 착용하는 과정에서 상기 곡선형 절곡부의 곡선 내측면이 사용자의 뒷목 피부에 부드럽게 접촉하여 미끄러지면서 헤드셋의 착용감 및 밀착감을 높일 수 있다.When the user wears the neckband part of the headset elastically on the back neck by the curved
또한, 상기 귀걸이부(120)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귀에 걸쳐져서 장착하기 위한 귀걸이홈을 형성하는 하단 외부면에 사용자의 피부에 밀착되도록 실리콘수지와 같은 연성소재로 이루어지는 연성접촉부재(27)를 구비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earring part 120 is a soft contact made of a soft material such as silicone resin so as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user's skin on the lower outer surface forming an earring groove for mounting over the user's ear, as shown in FIG. 4. A
이러한 연성접촉부재(27)에 의해서 헤드셋의 착용시 상기 귀걸이부와 사용자의 귀와의 밀착력을 높여 착용감을 높일 수 있고, 헤드셋의 보청기능시 상기 제1,2골전도부에서 발생하는 자체진동이 플라스틱 성형물로 이루어지는 귀걸이부(20)를 통하여 마이크(24)로 전달되는 진동간섭을 최소함으로써 백하울링을 감소시킬 수 있다.When the headset is worn by such a
이를 위해서, 상기 연성접촉부재(27)는 상기 마이크가 외부 노출되도록 구비되는 곡선형 절곡부(23)의 단부까지 연장되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o this end, the
이에 따라, 상기 귀걸이부에 구비되는 곡선형 절곡부와 연성 접촉부재에 의해서 헤드셋의 착용시 착용감을 높일 수 있는 한편, 헤드셋을 착용한 상태에서 신체움직임이 많은 운동을 수행하는 경우 헤드셋이 넥밴드부와 연동하여 사용자의 뒤쪽으로 벗어나거나 분리이탈되는 것을 줄일 수 있다.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fit when the headset is worn by the curved bent portion and the soft contact member provided in the earring portion, while when performing an exercise with a lot of physical movement while wearing the headset, the headset is connected to the neckband portion By interlocking, it is possible to reduce separation or separation from the user's rear side.
상기 제1골전도부(30)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귀걸이부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장착홈에 대응삽입되어 착탈가능하게 조립되는 마운트부(29)와 결합되고, 상기 사용자의 귓바퀴 뒷쪽에 위치하는 뼈돌기인 유양돌기를 통하여 소리진동을 골전도함으로써 달팽이관의 청각신경으로 소리를 전달하는 것이다. The first
이러한 제1골전도부(30)는 도 5a 와 도 5b 에 도시한 바와같이, 일측에 기판(32)을 구비하는 케이스(31)의 타측에 조립되는 덮개케이스(31a)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는 상기 기판(32)에 일단인 하단이 연결되는 코일형 보이스코일(33)의 타단인 상단과 연결되는 보빈(35)을 포함하고, 상기 코일형 보이스코일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보빈(35)의 내면인 하면에 구비되는 원통형 마그넷(34)을 포함한다. This first
상기 케이스(31)와 덮개케이스(31a)와의 사이에는 상기 보빈(35)의 외면인 상면이 하면 중앙에 부착고정되는 서스펜션 판스프링(36)의 외측테두리가 고정설치되고, 상기 서스펜션 판스프링의 상부에 배치되는 떨림판인 다이아프램(37)의 외측테두리가 고정설치된다. Between the
이에 따라, 상기 기판을 통하여 외부에서 수신된 신호나 소리의 전기적 신호가 상기 보이스코일에 전달되면 상기 보이스코일과 마그넷간의 상호작용에 의해서 상기 서스펜션 판스프링의 진동 및 상기 다이아프램의 떨림작용에 의해 소진진동을발생시켜 소리를 재생함으로써, 수신되는 외부신호나 소리를 사용자의 고막을 통하지 않고, 귀 뒷쪽에 해당하는 뼈돌기인 유양돌기를 통하여 소리진동이 청각신경으로 전달되도록 하여 소리를 들을 수 있는 것이다.Accordingly, when an external signal or an electrical signal of sound is transmitted to the voice coil through the substrate, it is exhausted by the vibration of the suspension leaf spring and the vibration of the diaphragm due to the interaction between the voice coil and the magnet. By generating vibration and reproducing sound, the sound can be heard by allowing the sound vibration to be transmitted to the auditory nerve through the mastoid process, which is a bone process corresponding to the back of the ear, without passing through the eardrum of the user. .
상기 마운트부(39)는 상기 귀걸이부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장착홈에 일단이 대응결합되는 판체의 타단에 상기 제1골전도부(30)를 구성하는 원통형 케이스(31)가 내부수용되는 원통수용관을 구비하고, 상기 판체는 상기 귀걸이부의 내측면에 대하여 일정각도(θ) 경사지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상기 마운트부(39)는 탄성력을 갖는 고무 또는 수지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이러한 경우, 상기 제1골전도부(30)가 수용되는 마운트부(39)는 사용자의 헤드셋 장착시 내측으로 일정각도 경사지게 배치된 판체가 외측으로 탄성변형되면서 탄성복원력을 발생시킴으로써, 상기 마운트부에 구비되는 제1골전도부와 상기 유양돌기와의 밀착력을 높여 상기 유양돌기를 통한 골전도 효율을 높일 수 있다. In this case, the
상기 제2골전도부(40)는 도 1a, 도 1b, 도 1c, 도 1d 및 도 2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골전도부(30)와 더불어 상기 마운트부(39)에 착탈가능하게 조립되고, 상기 사용자의 귓바퀴 뒤쪽에 탄력적으로 밀착됨으로써 귓바퀴의 연골을 통하여 소리진동을 골전도으로써 달팽이관의 청각신경으로 소리를 전달하는 것이다. The second
이러한 제2골전도부(40)는 상기 제1골전도부(30)가 장착되는 마운트부(39)와 대응결합되도록 내부공(41a)을 갖는 결합관(41)을 포함하고, 상기 결합관(41)의 외측테두리로부터 사용자의 귓바퀴 뒤쪽에 탄력적으로 접하도록 상기 귓바퀴 측으로 확장되는 접촉판(43)을 포함하고, 상기 제1골전도부(30)에서 발생하는 소리진동을 상기 귓바퀴에 전달하도록 상기 결합관으로부터 상기 접촉판 측으로 연장되는 진동전달판(44)을 포함할 수 있다. The second
상기 제2골전도부(40)는 도 6a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결합관의 외측테두리로부터 유양돌기의 하부측으로 연장되어 사용자의 피부와의 접촉면적을 확장시키는 연장판(42)을 포함하고, 사용자의 피부와 접하는 연장판(42)의 내측면(42a)은 피부와의 흡착력을 발생시켜 착용감을 높일 수 있도록 외측으로 만곡지는 호형 단면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second
이와 더불어 상기 연장판(42)은 헤드셋의 착용시 사용자의 피부와의 밀착력을 높일 수 있도록 외측으로 갈수록 판두께가 얇아지는 단면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또한, 상기 결합관(41)은 상기 제1골전도부가 내부용되는 마운트부의 원통수용관의 외부면에 내부면이 대응삽입되어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도도록 원형의 내부공(41a)을 갖는 대략 중공원통관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상기 마운트부와 대응하는 결합관(41)의 내부공(41a)의 일단은 개구된 반면에 사용자의 피부와 대응하는 내부공(41a)의 타단은 상기 마운트부의 원통수용관에 수용되는 제1골전도부 측으로 사용자의 피부에서 발생하는 땀이나 외부이물질이 혼입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밀폐면을 구비하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상기 사용자의 유양돌기와 상기 제1골전도부가 서로 직접적으로 접촉하도록 개구형성될 수 있다. One end of the
상기 접촉판(42)은 도 6a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귓바퀴 뒤쪽에 탄력적으로 접해지도록 외측테두리가 파형으로 이루어지는 물갈귀 형상으로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 6b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측 모서리가 라운드처리된 대략 사각판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As shown in FIG. 6A, the
그리고, 상기 진동전달판(44)은 SUS 와 같이 진동 전달율이 우수하고, 기계가공성이 우수한 금속 박판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이러한 진동전달판(44)은 도 6c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결합관(41)의 몸체에 대략 원형으로 감겨져 배치되어 상기 제1골전도부(30)에서 발생하는 소리진동을 수신하는 수신판체(44a)를 포함하고, 상기 수신판체(44a)의 일단으로부터 다수 갈래로 분기되어 상기 접촉판(43)의 몸체에 배치되는 전달판체(44b)를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6c, the
이에 따라, 상기 제1골전도부(30)에서 발생하는 소리진동은 상기 진동전달판의 수신판체를 거쳐 다수 갈래로 분기된 전달판체로 전달됨으로써 상기 유양돌기를 통하여 소리진동을 골전도하는 제1골전도부의 소리진동을 상기 접촉판이 탄력적으로 접하는 귓바퀴의 연골을 통하여 청각신경으로 전달되도록 하여 사용자는 보다 높은 소리 수신율로 소리를 명확하게 들을 수 있는 것이다. Accordingly, the sound vibration generated by the first
여기서, 상기 진동전달판(44)은 실리콘수지와 같은 수지재로 성형되는 결합관(41) 및 접촉판(43)의 성형시 그 내부에 외부노출되지 않도록 매입되어 배치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제1골전도부에서 발생하는 소리진동을 수신하는 수신율을 높이고, 상기 뒷바퀴의 연골 측으로 소리진동을 전달하는 골전도율을 높일 수 있도록 일측면에 노출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Here, th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헤드셋(100)에는 외부로부터의 청각적 자극이 없는 상황에서 소리가 들린다고 느끼는 이명환자에게 정기적으로 치료음원을 제공함으로써 이명을 치료할 수 있도록 이명케어 프로그램을 구비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The
즉, 상기 헤드셋은 제1골전도부에서 제어부의 메모리에 저장된 이명 케어 음원을 재생하고, 유양돌기 및 귓바퀴를 통하여 재생된 음원을 골전도방식으로 전달하여 청취시킴으로써 이명치료를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That is, the headset can perform tinnitus treatment by reproducing the tinnitus care sound source stored in the memory of the control unit in the first bone conduction unit and listening to the sound source reproduced through the mastoid protrusion and the auricle through a bone conduction method.
그리고, 상기 헤드셋은 무선방식으로 스마트폰과 연결되고, 상기 스마트폰의 앱에 서버에 저장된 이명음원을 스트리밍 방식으로 제1골전도부에서 재생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headset is connected to the smart phone by a wireless method, and the tinnitus sound source stored in the server in the app of the smart phone can be played by the first bone conduction unit by a streaming method.
이때, 상기 스마트폰의 앱에는 사용자의 이명을 진단하는 진단프로그램을 설치하고, 다양한 형태의 이명치료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 개인별로 진단프로그램에 맞추어 이명상태를 진단하고, 진단에 맞추어 이명케어 음원을 재생하여 사용자에게 전달하여 이명환자의 이명치료를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At this time, a diagnostic program for diagnosing the user's tinnitus is installed in the app of the smartphone, and various types of tinnitus treatment information are provided to diagnose the tinnitus condition according to the diagnosis program for each user, and the tinnitus care sound source is played according to the diagnosis. By delivering it to the user, it is possible to efficiently perform tinnitus treatment for tinnitus patients.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not limited by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various substitutions, modifications, and change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obvious to those who have the knowledge of.
10 : 넥밴드부
12 : 내부밴드재
15 : 엘이디부재
20 : 귀걸이부
21 : 귀걸이 본체
22 : 귀걸이 연장부
23 : 곡선형 절곡부
30 : 제1골전도부
31 : 케이스
32 : 기판
33 : 코일형 보이스코일
35 : 보빈
39 : 마운트부
40 : 제2골전도부
41 : 결합관
42 : 연장판
43 : 접촉판
44 : 진동전달판10: neckband part
12: inner band material
15: LED member
20: earring part
21: earring body
22: earring extension
23: curved bend
30: first bone conduction unit
31: case
32: substrate
33: coil type voice coil
35: bobbin
39: mount part
40: second bone conduction unit
41: coupling pipe
42: extension plate
43: contact plate
44: vibration transmission plate
Claims (6)
상기 넥밴드의 양측단에 일단이 착탈가능하게 조립되며, 상기 사용자의 귀에 걸쳐지기 위한 귀걸이홈을 형성하는 귀걸이부 ;
상기 귀걸이부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장착홈에 조립되는 마운트부에 구비되고, 상기 사용자의 귓바퀴 뒷쪽에 위치하는 유양돌기를 통하여 골전도로 청각신경에 소리를 전달하는 제1골전도부 ;
상기 제1골전도부와 일단이 접하도록 상기 마운트부에 조립되고, 상기 사용자의 귓바퀴 뒤쪽에 탄력적으로 밀착되어 골전도로 청각신경에 소리를 전달하는 제2골전도부 ; 를 포함하는, 유양돌기 및 귓바퀴 동시 자극 골전도 헤드셋.
Neckband portion surrounding the back of the user's head in a belt shape;
An earring part having one end detachably assembled at both side ends of the neckband and forming an earring groove for straddling the user's ear;
A first bone conduction unit provided in a mount unit assembled in a mounting groove form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earring unit and transmitting sound to the auditory nerve through a bone conduction through a mastoid protrusion located at the rear of the auricle of the user;
A second bone conduction unit that is assembled to the mount unit so that one end of the first bone conduction unit is in contact with the user's auricle, and is elastically close to the back of the user’s auricle to transmit sound to the auditory nerve through bone conduction; Containing, mastoid and pinna simultaneous stimulation bone conduction headset.
상기 넥밴드부는 적어도 하나의 내부밴드재를 포함하고,
상기 내부밴드재는 길이중앙에서 한쌍의 귀걸이부와 연결되는 양측단으로 갈수록 판폭이 서서히 좁아지는 일정길이의 판재로 구비되는, 유양돌기 및 귓바퀴 동시 자극 골전도 헤드셋.
The method of claim 1,
The neckband portion includes at least one inner band member,
The inner band member is provided with a plate of a predetermined length whose plate width gradually narrows toward both side ends connected to the pair of earring portions from the center of the length, the mastoid protrusion and the auricle simultaneous stimulation bone conduction headset.
상기 귀걸이부는 상기 귀걸이홈을 형성하는 하단 외부면에 사용자의 피부에 밀착되도록 연성소재로 이루어지는 연성 접촉부재를 구비하는, 유양돌기 및 귓바퀴 동시 자극 골전도 헤드셋.
The method of claim 1,
The earring part includes a soft contact member made of a soft material so as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user's skin on a lower outer surface forming the earring groove. A bone conduction headset for simultaneous stimulation of the mastoid protrusion and the auricle.
상기 마운트부는 상기 장착홈에 일단이 대응결합되는 판체의 타단에 상기 제1골전도부가 내부수용되는 원통수용관을 구비하고, 상기 판체는 상기 귀걸이부의 내측면에 대하여 일정각도 경사지게 배치되는, 유양돌기 및 귓바퀴 동시 자극 골전도 헤드셋.
The method of claim 1,
The mount unit has a cylindrical receiving tube in which the first bone conduction unit is internally received at the other end of the plate body, which one end is correspondingly coupled to the mounting groove, and the plate body is disposed to be inclined at a certain angle with respect to the inner surface of the earring unit, the mastoid protrusion And a pinna simultaneous stimulation bone conduction headset.
상기 넥밴드부는 내측면에 전원인가시 뇌파 동조용 빛을 발생시키는 한쌍의 엘이디부재를 구비하는, 유양돌기 및 귓바퀴 동시 자극 골전도 헤드셋.
The method of claim 1,
The neckband unit includes a pair of LED members for generating EEG-tuning light when power is applied to the inner side, the mastoid protrusion and the auricle simultaneous stimulation bone conduction headset.
외부로부터의 청각적 자극이 없는 상황에서 소리가 들린다고 느끼는 이명환자에게 정기적으로 치료음원을 제공함으로써 이명을 치료할 수 있도록 이명케어 프로그램을 구비하는 제어부를 추가 포함하는, 유양돌기 및 귓바퀴 동시 자극 골전도 헤드셋.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Simultaneous stimulation of the mastoid process and auricle bone conduction including a control unit equipped with a tinnitus care program to treat tinnitus by regularly providing a therapeutic sound source to tinnitus patients who feel that sound is heard in a situation where there is no external auditory stimulus. headset.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28290A KR20210061261A (en) | 2019-11-19 | 2020-10-05 | Bone Conduction Headset for Stimulating the Mastoid and the Auricl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48322A KR102195936B1 (en) | 2019-11-19 | 2019-11-19 | Bone Conduction Headset for Stimulating the Mastoid and the Auricle |
KR1020200128290A KR20210061261A (en) | 2019-11-19 | 2020-10-05 | Bone Conduction Headset for Stimulating the Mastoid and the Auricle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148322A Division KR102195936B1 (en) | 2019-11-19 | 2019-11-19 | Bone Conduction Headset for Stimulating the Mastoid and the Auricl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61261A true KR20210061261A (en) | 2021-05-27 |
Family
ID=74089990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148322A KR102195936B1 (en) | 2019-11-19 | 2019-11-19 | Bone Conduction Headset for Stimulating the Mastoid and the Auricle |
KR1020200128290A KR20210061261A (en) | 2019-11-19 | 2020-10-05 | Bone Conduction Headset for Stimulating the Mastoid and the Auricle |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148322A KR102195936B1 (en) | 2019-11-19 | 2019-11-19 | Bone Conduction Headset for Stimulating the Mastoid and the Auricle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JP (1) | JP7262850B2 (en) |
KR (2) | KR102195936B1 (en) |
CN (1) | CN112911439B (en) |
WO (1) | WO2021101124A1 (en)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3193011A1 (en) * | 2022-03-31 | 2023-10-05 | St Oto Devices, Llc | Apparatus and methods for treating tinnitus |
KR20240028625A (en) | 2022-08-25 | 2024-03-05 | 유원 | Tinnitus treatment device |
KR20240055478A (en) * | 2022-10-20 | 2024-04-29 | 주식회사 엠아이제이 | Bone conduction headset |
KR102664819B1 (en) * | 2023-11-22 | 2024-05-10 | 안수한 | Bone Conduction Headset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849041B1 (en) | 2017-01-10 | 2018-04-16 | 허진숙 | Headset for bone conduction |
Family Cites Families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532537B2 (en) * | 2001-07-05 | 2004-05-31 | 株式会社テムコジャパン | Bone conduction headset |
JP3985094B2 (en) * | 2002-07-30 | 2007-10-03 | 透 加藤 | Bone-conduction speaker device and communication system |
JP2010502376A (en) | 2006-09-08 | 2010-01-28 | ソニタス メディカル,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 Method and apparatus for tinnitus treatment |
US20090285434A1 (en) * | 2008-05-13 | 2009-11-19 | Jason Martin Williams | Earhook and earbud headset |
KR100937159B1 (en) * | 2009-04-27 | 2010-01-15 | 박의봉 | Bone conductive headphone |
JP6651608B2 (en) * | 2015-08-13 | 2020-02-19 | シェンヂェン ボクステック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Shenzhen Voxtech Co., Ltd | System for bone conduction speaker |
CN205987261U (en) * | 2016-06-14 | 2017-02-22 | 范伏清 | Bone conduction headphones |
JP6301433B1 (en) * | 2016-11-16 | 2018-03-28 | BoCo株式会社 | Listening device using bone conduction |
CN108853682A (en) * | 2018-07-12 | 2018-11-23 | 苏州美瑞康医疗科技有限公司 | A kind of wearable physical therapy equipment with the sleep of adjusting mood and skin-protecting function |
-
2019
- 2019-11-19 KR KR1020190148322A patent/KR102195936B1/en active IP Right Grant
-
2020
- 2020-05-19 CN CN202010426243.7A patent/CN112911439B/en active Active
- 2020-10-05 KR KR1020200128290A patent/KR20210061261A/en unknown
- 2020-11-02 JP JP2021539102A patent/JP7262850B2/en active Active
- 2020-11-02 WO PCT/KR2020/015155 patent/WO2021101124A1/en active Application Filing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849041B1 (en) | 2017-01-10 | 2018-04-16 | 허진숙 | Headset for bone conduction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3193011A1 (en) * | 2022-03-31 | 2023-10-05 | St Oto Devices, Llc | Apparatus and methods for treating tinnitus |
KR20240028625A (en) | 2022-08-25 | 2024-03-05 | 유원 | Tinnitus treatment device |
KR20240055478A (en) * | 2022-10-20 | 2024-04-29 | 주식회사 엠아이제이 | Bone conduction headset |
KR102664819B1 (en) * | 2023-11-22 | 2024-05-10 | 안수한 | Bone Conduction Headset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21101124A1 (en) | 2021-05-27 |
JP2022535472A (en) | 2022-08-09 |
CN112911439A (en) | 2021-06-04 |
CN112911439B (en) | 2023-12-19 |
KR102195936B1 (en) | 2020-12-29 |
JP7262850B2 (en) | 2023-04-2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195936B1 (en) | Bone Conduction Headset for Stimulating the Mastoid and the Auricle | |
US10212525B2 (en) | Universal earpiece | |
JP5473640B2 (en) | Speaker device | |
US8433080B2 (en) | Bone conduction hearing device with open-ear microphone | |
KR100937159B1 (en) | Bone conductive headphone | |
KR100922337B1 (en) | Earphone via drumhead | |
CN111670581B (en) | Listening device | |
CA2833287A1 (en) | Device for the combined application of a transcutaneous electrical stimulus and emission of an acoustic signal | |
KR20080090720A (en) | Headphone with vibration speaker | |
JPWO2019064438A1 (en) | earphone | |
KR102115270B1 (en) | bone conduction headse | |
JP6263791B1 (en) | Hearing structure using bone conduction and a hearing apparatus using bone conduction having the structure | |
KR102163194B1 (en) | Bone Conduction Earphone with Assist Device for Improving Audibility | |
US20240042162A1 (en) | Wearable device for vibrotactile and/or thermal nerve stimulation | |
KR100769289B1 (en) | Auricle vibration speaker and earset with the same | |
JPS6251040B2 (en) | ||
KR101945769B1 (en) | Bone conduction bluetooth amplifier | |
KR102089729B1 (en) | Bone conduction earphone and package comprising the same | |
KR100847673B1 (en) | An air-conditioning and cushion type of Mastoid for a Bone Conduction Vibrator | |
KR102664819B1 (en) | Bone Conduction Headset | |
JP2019146275A (en) | earphone | |
KR102667202B1 (en) | Bone conduction headset | |
KR200282696Y1 (en) | Bone conduction speaker of piezoelectric type | |
KR20230020839A (en) | Headset using bone conduction appication | |
WO2024224276A1 (en) | A non-surgical bone conduction hearing aid spectacles with detachable temple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