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61249A - Apparatus and method for scheduling process based on machine learning - Google Patents

Apparatus and method for scheduling process based on machine learn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61249A
KR20210061249A KR1020200072510A KR20200072510A KR20210061249A KR 20210061249 A KR20210061249 A KR 20210061249A KR 1020200072510 A KR1020200072510 A KR 1020200072510A KR 20200072510 A KR20200072510 A KR 20200072510A KR 20210061249 A KR20210061249 A KR 202100612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cility
order
products
machine learning
produ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251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312642B1 (en
Inventor
조한민
김반
Original Assignee
지식시스템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식시스템 (주) filed Critical 지식시스템 (주)
Publication of KR202100612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124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26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264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3Workflow analysi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2Adjustment or analysis of established resource schedule, e.g. resource or task levelling, or dynamic reschedul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4Calendaring for a resour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5Needs-based resource requirements planning or analysi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9Time management, e.g. calendars, reminders, meetings or time accounting
    • G06Q10/1091Recording time for administrative or management purpos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General Factory Administration (AREA)

Abstract

A machine learning based process scheduling device and a method thereof are disclos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achine learning based process scheduling device comprises: a reference information generating unit for generating reference information including a process lead type and facility preference for products to be produced based on machine learning; a congestion facility selection unit for allocating the products to a plurality of facilities for producing the products by using the reference information and selecting a facility with the highest product production quantity among the plurality of facilities as a congestion facility by a date; and a scheduling unit that calculates difficulty rates of the products allocated to congestion facilities selected by a date and determines a production schedule of the products based on the difficulty rates.

Description

기계학습 기반 공정 스케줄링 장치 및 방법 {APPARATUS AND METHOD FOR SCHEDULING PROCESS BASED ON MACHINE LEARNING}Machine learning-based process scheduling device and method {APPARATUS AND METHOD FOR SCHEDULING PROCESS BASED ON MACHINE LEARNING}

본 발명은 공정 관리 기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기계학습 기반 공정 스케줄링 기술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ocess management technology, and more particularly, to a process scheduling technology based on machine learning.

공정 관리란 생산 공장에서 일정한 품질, 수량, 가격의 제품을 일정한 시간 안에 가장 효율적으로 생산하기 위해 공장의 모든 활동을 총괄적으로 관리하는 활동을 말한다.Process management refers to the activity of comprehensively managing all factory activities in order to most efficiently produce products of a certain quality, quantity, and price within a certain period of time in a production factory.

일반적으로 공정관리란 생산공정을 의미하고, 상기 생산공정이란 원료나 재료로부터 제품이 완성되기까지 제조 과정에서 행하여지는 일련의 과정 예로, 설계, 기술 교육 등의 계획 공정과 노동력, 기계, 재료, 제품 완성 등의 제조, 작업 공정을 의미한다.In general, process management means a production process, and the production process is an example of a series of processes performed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from raw materials or materials to the completion of a product. Planning processes such as design and technical education, labor, machinery, materials, and products It means the manufacturing, work process, such as completion.

그러나, 종래의 공정관리 시스템 및 방법은 사람의 정신적인 활동으로 공정계획을 수립하고 실적을 관리하기 때문에, 효율성이나 공정기준에 맞는 공정계획을 수립하기 어려웠을 뿐만 아니라, 공정정보가 신속하게 공정계획에 반영되지 못하므로 설비, 인력, 자재 등의 변동사항이 발생했을 때 신속한 작업이 이루어지지 못하는 단점이 있어 생산 스케줄링이 필요하게 되었다.However, since the conventional process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establishes process plans and manages performance through human mental activity, it was difficult not only to establish process plans that meet efficiency or process standards, but also process information quickly Since it is not reflected in the product,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rapid work cannot be performed when changes in facilities, manpower, and materials occur, and production scheduling is required.

생산 스케줄링은 생산 설비의 상태와 제품별 수주 물량의 분포에 따라 그 상황에 맞게 스케줄링 규칙을 조정해야 그 특성상 좋은 품질의 스케줄링 결과를 기대할 수 있다.Production scheduling requires that scheduling rules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situation according to the status of production facilities and the distribution of orders for each product, so that good quality scheduling results can be expected.

한편, 한국등록특허 제 10-2064490 호“제조 및 생산 공정 관리 시스템”는 부품생산 공정관리를 전산화하여 입고, 작업지시, 공정검사에 관련한 자료를 실시간으로 확인 가능하도록 부품생산과 작업자를 관리하는 시스템에 관하여 개시하고 있다.Meanwhile, Korean Patent No. 10-2064490 “Manufacturing and Production Process Management System” is a system that manages parts production and workers so that data related to warehousing, work orders, and process inspections can be checked in real time by computerizing parts production process management. Is being disclosed.

본 발명은 생산 설비의 상태와 수주 물량의 분포에 따라 공정 관리를 효과적으로 수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ffectively perform process management according to the state of production facilities and distribution of orders received.

또한, 본 발명은 생산 설비에 적합한 우수한 품질의 공정 스케줄링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high quality process scheduling suitable for production equipment.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계학습 기반 공정 스케줄링 장치는 기계학습에 기반하여 생산하려는 제품들에 관한 공정 리드 타입 및 설비 선호도를 포함하는 기준정보를 생성하는 기준정보 생성부; 상기 기준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품들을 생산하기 위한 복수개의 설비들에 할당하고, 날짜 별로 상기 복수개의 설비들 중 제품 생산량이 가장 많은 설비를 혼잡 설비로 선택하는 혼잡 설비 선택부 및 상기 날짜 별로 선택된 혼잡 설비들에 할당된 제품들의 애로율을 계산하고 상기 애로율에 기반하여 상기 제품들의 생산 스케줄을 결정하는 스케줄링부를 포함한다.The machine learning-based process schedul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generates reference information for generating reference information including process lead types and facility preferences for products to be produced based on machine learning. part; A congestion facility selection unit that allocates to a plurality of facilities for producing the products using the reference information, and selects a facility with the highest product production amount among the plurality of facilities as congestion facilities by date, and congestion selected by the date. And a scheduling unit that calculates a difficulty rate of products allocated to facilities and determines a production schedule of the products based on the difficulty rate.

이 때, 상기 혼잡 설비 선택부는 상기 제품들의 주문들 별 주문량과 상기 설비 선호도에 기반하여 상기 복수개의 설비들에 상기 주문들 별로 상기 제품들을 할당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congested facility selection unit may allocate the products for each of the orders to the plurality of facilities based on an order quantity for each order of the products and the facility preference.

이 때, 상기 혼잡 설비 선택부는 상기 제품들의 미투입 제품 주문들을 납기일 순으로 정렬하고, 상기 제품들의 미투입 제품 주문들을 상기 복수개의 설비들에 상기 납기일 순으로 할당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congestion facility selection unit may arrange orders for non-input products of the products in order of delivery date, and allocate non-input product orders for the products to the plurality of facilities in the order of delivery date.

이 때, 상기 혼잡 설비 선택부는 상기 복수개의 설비들의 가용 주문 할당량을 초과하여 제1 날짜에 할당되지 못한 잔여 주문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기준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1 날짜의 다음 제2 날짜에 상기 잔여 주문을 상기 복수개의 설비들 중 최고 선호 설비에 우선적으로 할당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congested facility selection unit, when there is a residual order that has not been allocated on the first date by exceeding the available order quota of the plurality of facilities, the second date after the first date by using the reference information The remaining order may be preferentially allocated to the most preferred facility among the plurality of facilities.

이 때, 상기 스케줄링부는 상기 제품들의 주문량과 상기 혼잡 설비의 상기 제품들 별 단위 생산 시간의 곱에 대한 상기 혼잡 설비의 총 가용시간의 비율을 상기 애로율로 계산하고, 상기 애로율이 큰 순서대로 상기 제품들의 생산 순서를 결정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scheduling unit calculates the ratio of the total available time of the congested facility to the product of the product of the order quantity of the products and the unit production time of each product of the congested facility as the difficulty rate, and in the order of the difficulty rate The order of production of these products can be determined.

이 때, 상기 스케줄링부는 상기 애로율이 큰 순서대로 상기 생산 순서가 결정된 제품들 중 동일한 제품의 제품 주문들 중 주문량이 큰 순서대로 생산 순서를 결정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scheduling unit may determine the production order in the order in which the order quantity is large among product orders of the same product among products whose production order is determined in the order in which the difficulty rate is large.

이 때, 상기 스케줄링부는 상기 혼잡 설비에서 제1 제품에서 제2 제품으로 생산 작업이 교체될 때 발생하는 작업 교체 시간을 상기 제1 제품의 단위 생산 시간에 더 포함시킬 수 있다.In this case, the scheduling unit may further include, in the unit production time of the first product, a job replacement time that occurs when a production job is replaced from a first product to a second product in the congested facility.

이 때, 상기 스케줄링부는 상기 혼잡 설비의 총 가용 시간에 상기 애로율에 따라 상기 제품들의 생산 순서가 결정된 이후, 상기 혼잡 설비에 할당되지 못한 미할당 주문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최고 선호 설비 다음으로 선호되는 차선호 설비에 상기 미할당 주문을 할당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scheduling unit is preferred after the most preferred facility if there is an unallocated order that cannot be allocated to the congested facility after the production order of the products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difficulty rate in the total available time of the congested facility. The unallocated order can be assigned to the next preferred facility.

이 때, 상기 스케줄링부는 상기 차선호 설비에 할당된 제품들의 애로율과 상기 미할당 주문의 애로율을 계산하여 상기 미할당 주문의 생산 순서를 결정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scheduling unit may determine a production order of the unallocated order by calculating the difficulty rate of products allocated to the sub-preferred facility and the difficulty rate of the unallocated order.

또한,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계학습 기반 공정 스케줄링 방법은 기계학습 기반 공정 스케줄링 장치의 기계학습 기반 공정 스케줄링 방법에 있어서, 기계학습에 기반하여 생산하려는 제품들에 관한 공정 리드 타입 및 설비 선호도를 포함하는 기준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기준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품들을 생산하기 위한 복수개의 설비들에 할당하고, 날짜 별로 상기 복수개의 설비들 중 제품 생산량이 가장 많은 설비를 혼잡 설비로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날짜 별로 선택된 혼잡 설비들에 할당된 제품들의 애로율을 계산하고 상기 애로율에 기반하여 상기 제품들의 생산 스케줄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machine learning-based process schedul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machine learning-based process scheduling method of a machine learning-based process scheduling device, Generating reference information including a related process lead type and facility preference; Allocating to a plurality of facilities for producing the products using the reference information, and selecting a facility with the largest production amount among the plurality of facilities by date as a congestion facility; And calculating a difficulty rate of products allocated to the congested facilities selected for each date, and determining a production schedule of the products based on the difficulty rate.

본 발명은 생산 설비의 상태와 수주 물량의 분포에 따라 공정 관리를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effectively perform process management according to the state of production facilities and distribution of orders received.

또한, 본 발명은 생산 설비에 적합한 우수한 품질의 공정 스케줄링을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excellent quality process scheduling suitable for production equipment.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계학습 기반 공정 스케줄링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계학습 기반 공정 스케줄링 방법을 나타낸 동작흐름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기준정보 생성 단계의 일 예를 세부적으로 나타낸 동작흐름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혼잡 설비 선택 단계의 일 예를 세부적으로 나타낸 동작흐름도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주문 스케줄링 단계의 일 예를 세부적으로 나타낸 동작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계학습 기반 공정 리드 타임 산출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조 사이클 타임 산출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나타낸 기계학습 기반 설비 선호도 산출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나타낸 과거 생산실적 기반 설비 선호도 산출 과정을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혼잡 설비 선택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애로주문 우선 스케줄링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계학습 기반 공정 스케줄링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machine learning-based process schedul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operation flow diagram showing a process scheduling method based on machine learn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operation flow diagram showing in detail an example of the step of generating reference information shown in FIG. 2.
FIG. 4 is a detailed operation flow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congestion facility selection step shown in FIG. 2.
5 is an operation flow diagram showing in detail an example of the order scheduling step shown in FIG. 2.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lead time calculation process based on machine learn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calculating a manufacturing cycle ti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calculating machine learning-based facility preferenc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calculating equipment preference based on past production result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selecting a congestion facil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diagram showing a difficult order priority scheduling proce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scheduling process based on machine learn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mputer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반복되는 설명,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s follows. Here, repeated descriptions, well-known functions that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etailed descriptions of configurations are omitt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rovided to more complete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with average knowledge in the art. Accordingly, the shapes and sizes of elements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earer explanation.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ncludes" a certain component, it means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further included rather than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to the contrary.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계학습 기반 공정 스케줄링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machine learning-based process schedul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계학습 기반 공정 스케줄링 장치는 기준정보 생성부(110), 혼잡 설비 선택부(120) 및 스케줄링부(13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 a machine learning-based process schedul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eference information generation unit 110, a congestion facility selection unit 120, and a scheduling unit 130.

기준정보 생성부(110)는 기계학습에 기반하여 생산하려는 제품들에 관한 공정 리드 타입 및 설비 선호도를 포함하는 기준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The reference information generation unit 110 may generate reference information including a process lead type and facility preference for products to be produced based on machine learning.

이 때, 기준정보 생성부(110)는 기계학습에 기반하여 제품별 공정 리드 타임(LEAD TIME, L/D)를 학습하고, 공정 리드 타임을 산출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reference information generation unit 110 may learn a product-specific process lead time (LEAD TIME, L/D) based on machine learning and calculate a process lead time.

이 때, 기준정보 생성부(110)는 기저장된 과거 생산 이력을 기반으로 상시 제품들의 제품별 주문량, 제품별 WIP(Work In Progress, 재공재고) 량 및 제품별 생산 실적을 학습하여 제품별 공정 리드 타임을 학습하고, 공정 리드 타임을 산출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reference information generation unit 110 learns the order quantity for each product, the amount of work in progress (WIP) for each product, and the production performance for each product based on the previously stored past production history, and leads the process for each product. You can learn the time and calculate the process lead time.

이 때, 기준정보 생성부(110)는 기저장된 과거 생산 이력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기정의된 이론 리드 타임을 이용하여 공정 리드 타임을 산출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reference information generation unit 110 may calculate the process lead time by using the predefined theoretical lead time when the previously stored production history does not exist.

이 때, 기준정보 생성부(110)는 제공량에 따른 제품별 제조 사이클 타임(CYCLE TIME, C/T)를 더 고려하여 공정 리드 타임을 보정할 수도 있다.In this case, the reference information generation unit 110 may correct the process lead time by further considering the manufacturing cycle time (CYCLE TIME, C/T) for each product according to the amount provided.

예를 들어, 기준정보 생성부(110)는 제1 공정에 대한 제1 공정 리드 타임인 제1 시간(T1) 까지의 주문량과 상기 제1 시간(T1) 까지의 생산량의 차이를 제1 공정의 제공량으로 계산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reference information generation unit 110 determines the difference between the order quantity up to the first time T1, which is the first process lead time for the first process, and the production quantity up to the first time T1, of the first process. It can be calculated by serving.

이 때, 기준정보 생성부(110)는 제2 공정에 대한 제2 공정 리드 타임인 제2 시간(T2) 까지의 주문량과 상기 제2 시간(T2) 까지의 생산량의 차이를 제2 공정의 제공량으로 계산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reference information generation unit 110 determines the difference between the order quantity up to the second time T2, which is the second process lead time for the second process, and the production quantity up to the second time T2, the amount provided by the second process. Can be calculated as

또한, 기준정보 생성부(110)는 기계학습에 기반하여 제품별 설비 선호도를 산출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reference information generation unit 110 may calculate facility preferences for each product based on machine learning.

이 때, 기준정보 생성부(110)는 제품별 WIP(Work In Progress, 재공재고) 량 및 제품별 생산 실적을 학습하여 제품별 설비 선호도를 학습하고, 제품별 설비 선호도를 산출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reference information generation unit 110 may learn facility preferences for each product by learning the amount of work in progress (WIP) and production performance for each product, and calculate facility preferences for each product.

예를 들어, 기준정보 생성부(110)는 제1 제품의 제1 설비에 대한 과거 생산 실적이 2,000 이고, 제2 설비에 대한 과거 생산 실적이 500 이고, 제3 설비에 대한 과거 생산 실적이 0 인 경우, 제1 설비를 최고 선호 설비(제1 선호 설비), 제2 설비를 차선호 설비(제2 선호 설비) 및 제3 설비를 비선호 설비(제3 선호 설비)로 설비 선호도를 학습 및 산출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reference information generation unit 110 has a past production performance of 2,000 for a first facility of a first product, a past production performance of 500 for a second facility, and a past production performance of 0 for the third facility. If the first facility is the most preferred facility (the first preferred facility), the second facility is the second preferred facility (the second preferred facility), and the third facility is the non-preferred facility (third preferred facility). can do.

이 때, 기준정보 생성부(110)는 제2 제품의 제1 설비에 대한 과거 생산 실적이 1,000 이고, 제2 설비에 대한 과거 생산 실적이 1,500 이고, 제3 설비에 대한 과거 생산 실적이 500 인 경우, 제1 설비를 차선호 설비(제2 선호 설비), 제2 설비를 최고 선호 설비(제1 선호 설비) 및 제3 설비를 차차선호 설비(제3 선호 설비)로 설비 선호도를 학습 및 산출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reference information generation unit 110 has a past production performance of 1,000 for the first facility of the second product, 1,500 for a past production performance of the second facility, and 500 for the third facility. In this case, the facility preference is learned and calculated as the first facility as the second preferred facility (the second preferred facility), the second facility as the most preferred facility (the first preferred facility), and the third facility as the second most preferred facility (the third preferred facility) can do.

이 때, 기준정보 생성부(110)는 과거 생산 실적이 존재하지 않는 제품인 경우, 상기에서 계산한 제품별 제조 사이클 타임이 가장 짧은 순으로 설비 선호도를 학습 및 산출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reference information generation unit 110 may learn and calculate the facility preference in the order of the shortest manufacturing cycle time for each product calculated above, if the product does not have a past production record.

혼잡 설비 선택부(120)는 상기 기준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품들을 생산하기 위한 복수개의 설비들에 할당하고, 날짜 별로 상기 복수개의 설비들 중 제품 생산량이 가장 많은 설비를 혼잡 설비로 선택할 수 있다.The congestion facility selection unit 120 may use the reference information to allocate to a plurality of facilities for producing the products, and select a facility with the largest production amount among the plurality of facilities by date as the congestion facility.

이 때, 혼잡 설비 선택부(120)는 상기 제품들의 주문들 별 주문량과 상기 설비 선호도에 기반하여 상기 복수개의 설비들에 상기 주문들 별로 상기 제품들을 할당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congestion facility selection unit 120 may allocate the products for each of the orders to the plurality of facilities based on the order quantity for each order of the products and the facility preference.

이 때, 혼잡 설비 선택부(120)는 상기 제품들의 미투입 제품 주문들을 납기일 순으로 정렬하고, 상기 제품들의 미투입 제품 주문들을 상기 복수개의 설비들에 상기 납기일 순으로 할당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congested facility selection unit 120 may arrange orders for non-input products of the products in order of delivery date, and allocate non-input product orders for the products to the plurality of facilities in the order of delivery date.

이 때, 혼잡 설비 선택부(120)는 상기 복수개의 설비들의 가용 주문 할당량을 초과하여 제1 날짜에 할당되지 못한 잔여 주문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기준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1 날짜의 다음 제2 날짜에 상기 잔여 주문을 상기 복수개의 설비들 중 최고 선호 설비에 우선적으로 할당할 수 있다.In this case, when there is a residual order that has not been allocated on the first date by exceeding the available order quota of the plurality of facilities, the congestion facility selection unit 120 uses the reference information to On a date, the remaining order may be preferentially allocated to the most preferred facility among the plurality of facilities.

이 때, 혼잡 설비 선택부(120)는 제품들이 할당된 설비들 중 주문량이 가장 많은 설비를 혼잡 설비로 선택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congestion facility selection unit 120 may select a facility with the largest order quantity among the facilities to which products are allocated as the congestion facility.

스케줄링부(130)는 상기 날짜 별로 선택된 혼잡 설비들에 할당된 제품들의 애로율을 계산하고 상기 애로율에 기반하여 상기 제품들의 생산 스케줄을 결정하는 스케줄링부를 포함한다.The scheduling unit 130 includes a scheduling unit that calculates the difficulty rate of products allocated to the congested facilities selected for each date and determines a production schedule of the products based on the difficulty rate.

이 때, 스케줄링부(130)는 수학식 1과 같이 상기 제품들의 주문량과 상기 혼잡 설비의 상기 제품들 별 단위 생산 시간의 곱에 대한 상기 혼잡 설비의 총 가용시간의 비율을 상기 애로율로 계산하고, 상기 애로율이 큰 순서대로 상기 제품들의 생산 순서를 결정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scheduling unit 130 calculates the ratio of the total available time of the congested facility to the product of the product of the order quantity of the products and the unit production time of each product of the congested facility as the difficulty rate, as shown in Equation 1, and , It is possible to determine the order of production of the products in the order of the greatest difficulty.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1

이 때, 스케줄링부(130)는 상기 애로율이 큰 순서대로 상기 생산 순서가 결정된 제품들 중 동일한 제품의 제품 주문들 중 주문량이 큰 순서대로 생산 순서를 결정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scheduling unit 130 may determine the production order in the order in which the order quantity is large among product orders of the same product among products whose production order is determined in the order in which the difficulty rate is large.

이 때, 스케줄링부(130)는 상기 혼잡 설비에서 제1 제품에서 제2 제품으로 생산 작업이 교체될 때 발생하는 작업 교체 시간을 상기 제1 제품의 단위 생산 시간에 더 포함시킬 수 있다.In this case, the scheduling unit 130 may further include, in the unit production time of the first product, a job replacement time that occurs when a production job is replaced from a first product to a second product in the congested facility.

이 때, 스케줄링부(130)는 상기 혼잡 설비의 총 가용 시간에 상기 애로율에 따라 상기 제품들의 생산 순서가 결정된 이후, 상기 혼잡 설비에 할당되지 못한 미할당 주문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최고 선호 설비 다음으로 선호되는 차선호 설비에 상기 미할당 주문을 할당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scheduling unit 130 determines the order of production of the products according to the difficulty rate in the total available time of the congested facility, and if there is an unallocated order that cannot be allocated to the congested facility, the most preferred facility Next, the unallocated order can be assigned to the preferred sub-preferred facility.

이 때, 스케줄링부(130)는 상기 차선호 설비에 할당된 제품들의 애로율과 상기 미할당 주문의 애로율을 계산하여 상기 미할당 주문의 생산 순서를 결정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scheduling unit 130 may determine the order of production of the unallocated order by calculating the difficulty rate of products allocated to the sub-preferred facility and the difficulty rate of the unallocated order.

또한, 스케줄링부(130)는 당일 날짜에 할당된 제품들의 모든 주문 스케줄이 완료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cheduling unit 130 may check whether all order schedules of products allocated on the day of the day have been completed.

이 때, 스케줄링부(130)는 생산 순서가 결정되지 않은 주문이 존재하는 경우, 혼잡 설비 선택부(220)에 혼잡도를 재계산과, 혼잡 설비를 재선택을 요청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scheduling unit 130 may request the congestion facility selection unit 220 to recalculate the congestion degree and reselect the congested facility when there is an order for which the production order has not been determined.

이 때, 스케줄링부(130)는 모든 주문 스케줄이 완료된 경우, 설비의 가용 할당량을 초과하는 주문이 존재하는지 확인하고, 설비에 할당되지 않고 가용 할당량을 초과하는 주문이 존재하는 경우, 다음 날짜에 설비에 우선 할당될 수 있도록 할당 우선 순위를 설정을 혼잡 설비 선택부(220)에 요청할 수 있다.At this time, when all order schedules are completed, the scheduling unit 130 checks whether an order exceeding the available quota of the facility exists, and if there is an order that exceeds the available quota without being allocated to the facility, the facility will be installed on the next day. It is possible to request the congestion facility selection unit 220 to set an assignment priority so that it can be assigned first.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계학습 기반 공정 스케줄링 방법을 나타낸 동작흐름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기준정보 생성 단계의 일 예를 세부적으로 나타낸 동작흐름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혼잡 설비 선택 단계의 일 예를 세부적으로 나타낸 동작흐름도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주문 스케줄링 단계의 일 예를 세부적으로 나타낸 동작흐름도이다.2 is an operation flow diagram showing a process scheduling method based on machine learn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operation flow diagram showing in detail an example of the step of generating reference information shown in FIG. 2. FIG. 4 is a detailed operation flow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congestion facility selection step shown in FIG. 2. 5 is an operation flow diagram showing in detail an example of the order scheduling step shown in FIG. 2.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계학습 기반 공정 스케줄링 방법은 먼저 기준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S210).Referring to FIG. 2, the machine learning-based process schedul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irst generate reference information (S210).

즉, 단계(S210)는 기계학습에 기반하여 생산하려는 제품들에 관한 공정 리드 타입 및 설비 선호도를 포함하는 기준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That is, in step S210, reference information including a process lead type and facility preference for products to be produced may be generated based on machine learning.

도 3을 참조하면, 단계(S210)는 공정 리드 타임을 학습할 수 있다(S211).Referring to FIG. 3, in step S210, a process lead time may be learned (S211 ).

즉, 단계(S211)는 기계학습에 기반하여 제품별 공정 리드 타임(LEAD TIME, L/D)를 학습하고, 공정 리드 타임을 산출할 수 있다.That is, in step S211, a process lead time (LEAD TIME, L/D) for each product may be learned based on machine learning, and a process lead time may be calculated.

이 때, 단계(S211)는 기저장된 과거 생산 이력을 기반으로 상시 제품들의 제품별 주문량, 제품별 WIP(Work In Progress, 재공재고) 량 및 제품별 생산 실적을 학습하여 제품별 공정 리드 타임을 학습하고, 공정 리드 타임을 산출할 수 있다.At this time, step (S211) learns the process lead time for each product by learning the order quantity for each product, the amount of work in progress (WIP) for each product, and the production performance for each product based on the previously stored past production history. And the process lead time can be calculated.

이 때, 단계(S211)는 기저장된 과거 생산 이력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기정의된 이론 리드 타임을 이용하여 공정 리드 타임을 산출할 수 있다.In this case, in step S211, if there is no past production history previously stored, the process lead time may be calculated using a predefined theoretical lead time.

이 때, 단계(S211)는 제공량에 따른 제품별 제조 사이클 타임(CYCLE TIME, C/T)를 더 고려하여 공정 리드 타임을 보정할 수도 있다.In this case, in step S211, the process lead time may be corrected by further considering the manufacturing cycle time (CYCLE TIME, C/T) for each product according to the amount provided.

예를 들어, 단계(S211)는 제1 공정에 대한 제1 공정 리드 타임인 제1 시간(T1) 까지의 주문량과 상기 제1 시간(T1) 까지의 생산량의 차이를 제1 공정의 제공량으로 계산할 수 있다.For example, in step S211, the difference between the order amount up to the first time T1, which is the first process lead time for the first process, and the production amount up to the first time T1, is calculated as the amount provided for the first process. I can.

이 때, 단계(S211)는 제2 공정에 대한 제2 공정 리드 타임인 제2 시간(T2) 까지의 주문량과 상기 제2 시간(T2) 까지의 생산량의 차이를 제2 공정의 제공량으로 계산할 수 있다.At this time, in step S211, the difference between the order amount up to the second time T2, which is the second process lead time for the second process, and the production amount up to the second time T2, can be calculated as the amount provided for the second process. have.

또한, 단계(S210)는 설비 선호도를 학습할 수 있다(S212).In addition, in step S210, facility preferences may be learned (S212).

즉, 단계(S212)는 기계학습에 기반하여 제품별 설비 선호도를 산출할 수 있다.That is, in step S212, facility preferences for each product may be calculated based on machine learning.

이 때, 단계(S212)는 제품별 WIP(Work In Progress, 재공재고) 량 및 제품별 생산 실적을 학습하여 제품별 설비 선호도를 학습하고, 제품별 설비 선호도를 산출할 수 있다.At this time, in step S212, by learning the amount of work in progress (WIP) and production performance for each product, the facility preference for each product may be learned, and the facility preference for each product may be calculated.

예를 들어, 단계(S212)는 제1 제품의 제1 설비에 대한 과거 생산 실적이 2,000 이고, 제2 설비에 대한 과거 생산 실적이 500 이고, 제3 설비에 대한 과거 생산 실적이 0 인 경우, 제1 설비를 최고 선호 설비(제1 선호 설비), 제2 설비를 차선호 설비(제2 선호 설비) 및 제3 설비를 비선호 설비(제3 선호 설비)로 설비 선호도를 학습 및 산출할 수 있다.For example, in step S212, when the past production performance for the first facility of the first product is 2,000, the past production performance for the second facility is 500, and the past production performance for the third facility is 0, The facility preference can be learned and calculated as the first facility as the most preferred facility (first preferred facility), the second facility as the second preferred facility (second preferred facility), and the third facility as non-preferred facility (third preferred facility). .

이 때, 단계(S212)는 제2 제품의 제1 설비에 대한 과거 생산 실적이 1,000 이고, 제2 설비에 대한 과거 생산 실적이 1,500 이고, 제3 설비에 대한 과거 생산 실적이 500 인 경우, 제1 설비를 차선호 설비(제2 선호 설비), 제2 설비를 최고 선호 설비(제1 선호 설비) 및 제3 설비를 차차선호 설비(제3 선호 설비)로 설비 선호도를 학습 및 산출할 수 있다.At this time, in step S212, if the past production performance for the first facility of the second product is 1,000, the past production performance for the second facility is 1,500, and the past production performance for the third facility is 500, Facility preferences can be learned and calculated as 1 facility as the next preferred facility (the second preferred facility), the second facility as the most preferred facility (the first preferred facility), and the third facility as the second most preferred facility (the third preferred facility) .

이 때, 단계(S212)는 과거 생산 실적이 존재하지 않는 제품인 경우, 상기에서 계산한 제품별 제조 사이클 타임이 가장 짧은 순으로 설비 선호도를 학습 및 산출할 수 있다.In this case, in step S212, in the case of a product for which no past production performance exists, the facility preference may be learned and calculated in the order of the shortest manufacturing cycle time for each product calculated above.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계학습 기반 공정 스케줄링 방법은 혼잡 설비를 선택할 수 있다(S220).In addition, the machine learning-based process schedul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select a congested facility (S220).

즉, 단계(S220)는 상기 기준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품들을 생산하기 위한 복수개의 설비들에 할당하고, 날짜 별로 상기 복수개의 설비들 중 제품 생산량이 가장 많은 설비를 혼잡 설비로 선택할 수 있다.That is, in step S220, a plurality of facilities for producing the products may be allocated using the reference information, and a facility with the largest production amount among the plurality of facilities may be selected as a congestion facility by date.

도 4 를 참조하면, 단계(S220)는 주문을 납기 순으로 정렬할 수 있다(S221).Referring to FIG. 4, in step S220, orders may be sorted in order of delivery (S221).

즉, 단계(S221)는 상기 제품들의 미투입 제품 주문들을 납기일 순으로 정렬하고, 상기 제품들의 미투입 제품 주문들을 상기 복수개의 설비들에 상기 납기일 순으로 할당할 수 있다.That is, in step S221, orders for non-input products of the products may be arranged in order of delivery date, and non-input product orders for the products may be allocated to the plurality of facilities in the order of delivery date.

또한, 단계(S220)는 선호 설비에 주문을 할당할 수 있다(S222).In addition, step S220 may allocate an order to a preferred facility (S222).

즉, 단계(S222)는 상기 제품들의 주문들 별 주문량과 상기 설비 선호도에 기반하여 상기 복수개의 설비들에 상기 주문들 별로 상기 제품들을 할당할 수 있다.That is, the step S222 may allocate the products for each of the orders to the plurality of facilities based on the order quantity for each order of the products and the facility preference.

이 때, 단계(S222)는 상기 복수개의 설비들의 가용 주문 할당량을 초과하여 제1 날짜에 할당되지 못한 잔여 주문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기준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1 날짜의 다음 제2 날짜에 상기 잔여 주문을 상기 복수개의 설비들 중 최고 선호 설비에 우선적으로 할당할 수 있다.At this time, step (S222), if there is a residual order that has not been allocated on the first date by exceeding the available order quota of the plurality of facilities, the reference information is used on the second date following the first date. The remaining order may be preferentially allocated to the most preferred facility among the plurality of facilities.

또한, 단계(S220)는 혼잡 설비를 선택할 수 있다(S223).In addition, in step S220, congestion facilities may be selected (S223).

즉, 단계(S223)는 제품들이 할당된 설비들 중 주문량이 가장 많은 설비를 혼잡 설비로 선택할 수 있다.That is, in step S223, a facility with the largest order quantity among the facilities to which products are allocated may be selected as the congestion facility.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계학습 기반 공정 스케줄링 방법은 스케줄링을 수행할 수 있다(S230).In addition, the machine learning-based process schedul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perform scheduling (S230).

즉, 단계(S230)는 상기 날짜 별로 선택된 혼잡 설비들에 할당된 제품들의 애로율을 계산하고 상기 애로율에 기반하여 상기 제품들의 생산 스케줄을 결정하는 스케줄링부를 포함한다.That is, step S230 includes a scheduling unit that calculates the difficulty rate of products allocated to the congested facilities selected for each date and determines a production schedule of the products based on the difficulty rate.

도 5를 참조하면, 단계(S230)는 먼저 애로율을 계산할 수 있다(S231).Referring to FIG. 5, in step S230, the difficulty rate may be first calculated (S231).

즉, 단계(S231)는 수학식 1과 같이 상기 제품들의 주문량과 상기 혼잡 설비의 상기 제품들 별 단위 생산 시간의 곱에 대한 상기 혼잡 설비의 총 가용시간의 비율을 상기 애로율로 계산할 수 있다.That is, in step S231, as shown in Equation 1, the ratio of the total available time of the congested facility to the product of the product of the order quantity of the products and the unit production time of each product of the congested facility may be calculated as the difficulty rate.

이 때, 단계(S233)는 상기 혼잡 설비에서 제1 제품에서 제2 제품으로 생산 작업이 교체될 때 발생하는 작업 교체 시간을 상기 제1 제품의 단위 생산 시간에 더 포함시킬 수 있다.In this case, step S233 may further include, in the unit production time of the first product, a work replacement time that occurs when the production work is replaced from the first product to the second product in the congested facility.

또한, 단계(S230)는 애로주문을 선택할 수 있다(S232).In addition, step S230 may select a difficult order (S232).

즉, 단계(S232)는 애로율이 가장 큰 주문을 애로 주문으로 선택할 수 있다.That is, in step S232, an order having the greatest difficulty rate may be selected as the difficulty order.

또한, 단계(S230)는 생산 스케줄을 결정할 수 있다(S233).In addition, in step S230, a production schedule may be determined (S233).

즉, 단계(S233)는 상기 애로율이 큰 순서대로 상기 제품들의 생산 순서를 결정할 수 있다.That is, in step S233, the order of production of the products may be determined in the order in which the difficulty rate is large.

이 때, 단계(S233)는 상기 애로율이 큰 순서대로 상기 생산 순서가 결정된 제품들 중 동일한 제품의 제품 주문들 중 주문량이 큰 순서대로 생산 순서를 결정할 수 있다.In this case, in step S233, the order of production may be determined in the order of the order quantity of products of the same product among the products for which the production order is determined in the order of the increase in the difficulty rate.

이 때, 단계(S233)는 상기 혼잡 설비의 총 가용 시간에 상기 애로율에 따라 상기 제품들의 생산 순서가 결정된 이후, 상기 혼잡 설비에 할당되지 못한 미할당 주문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최고 선호 설비 다음으로 선호되는 차선호 설비에 상기 미할당 주문을 할당할 수 있다.At this time, in step S233, after the production order of the products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difficulty rate in the total available time of the congested facility, if there is an unallocated order that cannot be allocated to the congested facility, the most preferred facility is followed by As a result, the unallocated order can be assigned to the preferred sub-preferred facility.

이 때, 단계(S233)는 상기 차선호 설비에 할당된 제품들의 애로율과 상기 미할당 주문의 애로율을 계산하여 상기 미할당 주문의 생산 순서를 결정할 수 있다.In this case, step S233 may determine the order of production of the unallocated order by calculating the difficulty rate of the products allocated to the sub-preferred facility and the difficulty rate of the unallocated order.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계학습 기반 공정 스케줄링 방법은 당일 날짜에 할당된 제품들의 모든 주문 스케줄이 완료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다(S240).In addition, in the machine learning-based process schedul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check whether all order schedules of products allocated on the day of the day have been completed (S240).

이 때, 단계(S240)는 생산 순서가 결정되지 않은 주문이 존재하는 경우, 혼잡도를 재계산하고 혼잡 설비를 재선택하기 위해 단계(S220)으로 되돌아 갈수 있다.In this case, step S240 may return to step S220 in order to recalculate the congestion level and reselect congestion equipment when there is an order for which the production order has not been determined.

이 때, 단계(S240)는 모든 주문 스케줄이 완료된 경우, 설비의 가용 할당량을 초과하는 주문이 존재하는지 확인하고, 설비에 할당되지 않고 가용 할당량을 초과하는 주문이 존재하는 경우, 다음 날짜에 설비에 우선 할당될 수 있도록 할당 우선 순위를 설정할 수 있다.At this time, in step S240, when all order schedules are completed, it is checked whether there is an order that exceeds the available quota of the facility, and if there is an order that exceeds the available quota without being allocated to the facility, the facility is sent to the facility on the next day. Allocation priority can be set so that priority can be assigned.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계학습 기반 공정 리드 타임 산출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조 사이클 타임 산출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lead time calculation process based on machine learn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calculating a manufacturing cycle ti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계학습 기반 공정 스케줄링 장치는 기계학습에 기반하여 제품별 공정 리드 타임(LEAD TIME, L/D)를 학습하고, 공정 리드 타임을 산출할 수 있다.6, the machine learning-based process schedul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learns a process lead time (LEAD TIME, L/D) for each product based on machine learning, and calculates a process lead time. have.

이 때, 기계학습 기반 공정 스케줄링 장치는 기저장된 과거 생산 이력을 기반으로 상시 제품들의 제품별 주문량, 제품별 WIP(Work In Progress, 재공재고) 량 및 제품별 생산 실적을 학습하여 제품별 공정 리드 타임을 학습하고, 공정 리드 타임을 산출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machine learning-based process scheduling device learns the order quantity for each product, the work in progress (WIP) amount for each product, and the production performance for each product based on the previously stored production history, and the process lead time for each product. Can be learned and the process lead time can be calculated.

이 때, 기계학습 기반 공정 스케줄링 장치는 기저장된 과거 생산 이력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기정의된 이론 리드 타임을 이용하여 공정 리드 타임을 산출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machine learning-based process scheduling apparatus may calculate a process lead time by using a predefined theoretical lead time when there is no past production history previously stored.

도 7을 참조하면, 기계학습 기반 공정 스케줄링 장치는 제공량에 따른 제품별 제조 사이클 타임(CYCLE TIME, C/T)를 더 고려하여 공정 리드 타임을 보정할 수도 있다.Referring to FIG. 7, the machine learning-based process scheduling apparatus may correct the process lead time by further considering the manufacturing cycle time (CYCLE TIME, C/T) for each product according to the amount provided.

예를 들어, 기계학습 기반 공정 스케줄링 장치는 제1 공정에 대한 제1 공정 리드 타임인 제1 시간(T1) 까지의 주문량과 상기 제1 시간(T1) 까지의 생산량의 차이를 제1 공정의 제공량으로 계산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machine learning-based process scheduling device determines the difference between the order quantity up to the first time T1, which is the first process lead time for the first process, and the production quantity up to the first time T1, the amount provided by the first process. Can be calculated as

이 때, 기계학습 기반 공정 스케줄링 장치는 제2 공정에 대한 제2 공정 리드 타임인 제2 시간(T2) 까지의 주문량과 상기 제2 시간(T2) 까지의 생산량의 차이를 제2 공정의 제공량으로 계산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machine learning-based process scheduling apparatus uses the difference between the order quantity up to the second time T2, which is the second process lead time for the second process, and the production quantity up to the second time T2, as the amount provided for the second process. Can be calculated.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나타낸 기계학습 기반 설비 선호도 산출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나타낸 과거 생산실적 기반 설비 선호도 산출 과정을 도면이다.8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calculating machine learning-based facility preferenc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calculating equipment preference based on past production result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계학습 기반 공정 스케줄링 장치는 기계학습에 기반하여 제품별 설비 선호도를 산출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8, the machine learning-based process schedul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calculate a facility preference for each product based on machine learning.

이 때, 기계학습 기반 공정 스케줄링 장치는 제품별 WIP(Work In Progress, 재공재고) 량 및 제품별 생산 실적을 학습하여 제품별 설비 선호도를 학습하고, 제품별 설비 선호도를 산출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machine learning-based process scheduling device may learn facility preferences for each product by learning the amount of work in progress (WIP) and production performance for each product, and calculate the facility preferences for each product.

도 9를 참조하면, 기계학습 기반 공정 스케줄링 장치는 제1 제품의 제1 설비에 대한 과거 생산 실적이 2,000 이고, 제2 설비에 대한 과거 생산 실적이 500 이고, 제3 설비에 대한 과거 생산 실적이 0 인 경우, 제1 설비를 최고 선호 설비(제1 선호 설비), 제2 설비를 차선호 설비(제2 선호 설비) 및 제3 설비를 비선호 설비(제3 선호 설비)로 설비 선호도를 학습 및 산출할 수 있다.9, in the machine learning-based process scheduling device, the past production performance for the first facility of the first product is 2,000, the past production performance for the second facility is 500, and the past production performance for the third facility is In case of 0, the first facility is the most preferred facility (the first preferred facility), the second facility is the second preferred facility (the second preferred facility), and the third facility is the non-preferred facility (the third preferred facility). Can be calculated.

이 때, 기계학습 기반 공정 스케줄링 장치는 제2 제품의 제1 설비에 대한 과거 생산 실적이 1,000 이고, 제2 설비에 대한 과거 생산 실적이 1,500 이고, 제3 설비에 대한 과거 생산 실적이 500 인 경우, 제1 설비를 차선호 설비(제2 선호 설비), 제2 설비를 최고 선호 설비(제1 선호 설비) 및 제3 설비를 차차선호 설비(제3 선호 설비)로 설비 선호도를 학습 및 산출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machine learning-based process scheduling device has a past production performance of 1,000 for the first facility of the second product, 1,500 for the second facility, and 500 for a third facility. , The first facility is the second preferred facility (the second preferred facility), the second facility is the most preferred facility (the first preferred facility), and the third facility is the second most preferred facility (the third preferred facility). I can.

이 때, 기계학습 기반 공정 스케줄링 장치는 과거 생산 실적이 존재하지 않는 제품인 경우, 상기에서 계산한 제품별 제조 사이클 타임이 가장 짧은 순으로 설비 선호도를 학습 및 산출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machine learning-based process scheduling apparatus may learn and calculate facility preferences in the order of the shortest manufacturing cycle time for each product calculated above, in the case of a product that does not have a past production record.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혼잡 설비 선택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10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selecting a congestion facil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계학습 기반 공정 스케줄링 장치는 먼저 7월 1일 날짜에 WIP 에 포함된 제품 A의 주문량 500을 최고 선호 설비인 제1 설비에 할당하고, WIP에 포함된 제품 B의 주문량 200을 제2 설비에 할당하고, WIP에 포함된 제품 C의 주문량 200을 제2 설비에 할당하는 것을 알 수 있다.Referring to FIG. 10, the machine learning-based process schedul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rst allocates an order quantity of 500 products A included in WIP on the date of July 1 to the first facility, which is the most preferred facility, and It can be seen that the order quantity 200 of product B included in is allocated to the second facility, and the order quantity 200 of product C included in the WIP is allocated to the second facility.

이 때, 7월 1일의 제1 설비의 주문량은 500이고, 제2 설비의 주문량은 400이므로, 7월 1일 날짜에서 부하 피크가 가장 큰 제1 설비가 혼잡 설비로 선택되는 것을 알 수 있다.At this time, since the order quantity of the first facility on July 1 is 500 and the order quantity of the second facility is 400, it can be seen that the first facility with the largest load peak on the date of July 1 is selected as the congested facility. .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계학습 기반 공정 스케줄링 장치는 7월 4일 납기일인 주문들과 7월 5일 납기일인 주문들을 구분하여 납기 순으로 정렬하고, 각각 7월 2일 생산일과 7월 3일 생산 일에 설비들에 주문들을 할당하는 것을 알 수 있다.In addition, the machine learning-based process schedul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ivides orders with a delivery date on July 4 and orders with a delivery date on July 5 and sorts them in the order of delivery date, respectively. It can be seen that orders are assigned to the facilities on the 3rd production day of the month.

또한, 기계학습 기반 공정 스케줄링 장치는 7월 2일 날짜에서 7월 4일 납기일인 제품 A의 주문량 900을 최고 선호 설비인 제1 설비에 할당하고, 7월 4일 납기일인 제품 B의 주문량 1000을 최고 선호 설비인 제2 설비에 할당하는 것을 알 수 있다.In addition, the machine learning-based process scheduling device allocates 900 orders for Product A, which is the delivery date of July 2 to July 4, to the first facility, which is the most preferred facility, and 1000 for Product B, which is the delivery date for July 4 It can be seen that it is assigned to the second facility, which is the most preferred facility.

이 때, 기계학습 기반 공정 스케줄링 장치는 제2 설비의 제품별 공정 리드 타임을 고려하여 7월 4일 납기일인 제품 C의 주문량 500을 7월 2일의 제2 설비에 더 할당하면 7월 2일 안에 제품 C가 모두 생산되지 않는 경우, 가용 할당량을 초과한 것으로 판단하여 7월 2일이 아닌 7월 3일에 제품 C를 제2 설비에 우선적으로 할당시키는 것을 알 수 있다.At this time, the machine learning-based process scheduling device further allocates 500 of the order quantity of Product C, which is the delivery date on July 4, to the second facility on July 2, taking into account the process lead time for each product of the second facility. If all of the products C are not produced, it is determined that the available quota has been exceeded, and it can be seen that product C is preferentially assigned to the second facility on July 3 instead of July 2nd.

이 때, 7월 2일의 제1 설비의 주문량은 900이고, 제2 설비의 주문량은 1000이므로, 7월 2일 날짜에서 부하 피크가 가장 큰 제2 설비가 혼잡 설비로 선택되는 것을 알 수 있다.At this time, since the order quantity of the first facility on July 2 is 900 and the order quantity of the second facility is 1000, it can be seen that the second facility with the largest load peak on the date of July 2 is selected as the congested facility. .

또한, 기계학습 기반 공정 스케줄링 장치는 7월 3일 날짜에서 7월 5일 납기일인 제품 A의 주문량 1500을 최고 선호 설비인 제1 설비에 할당하고, 7월 4일 납기일인 제품 C의 주문량 500과 7월 5일 납기일인 제품 B의 주문량 900을 할당하고, 7월 5일 납기일인 제품 D의 주문량 800을 할당하는 것을 알 수 있다.In addition, the machine learning-based process scheduling device allocates the order amount of Product A, which is the delivery date of July 3 to July 5, to the first facility, the most preferred facility, and assigns the order amount of Product C, which is the delivery date of July 4, to 500. It can be seen that the order quantity of Product B, which is the delivery date on July 5, is allocated 900, and the order quantity of Product D, which is the delivery date of July 5, is allotted 800.

이 때, 기계학습 기반 공정 스케줄링 장치는 제2 설비의 제품별 공정 리드 타임을 고려하여 7월 5일 납기일인 제품 C의 주문량 500을 7월 3일의 제2 설비에 더 할당하면 7월 3일 안에 제품 C가 모두 생산되지 않는 경우, 가용 할당량을 초과한 것으로 판단하여 7월 3일이 아닌 7월 4일에 제품 C를 제2 설비에 우선적으로 할당시키는 것을 알 수 있다.At this time, the machine learning-based process scheduling device further allocates 500 of the order quantity of Product C, which is the delivery date on July 5, to the second facility on July 3, taking into account the process lead time for each product of the second facility. If not all of product C is produced, it is judged that the available quota has been exceeded, and it can be seen that product C is assigned preferentially to the second facility on July 4 instead of July 3.

이 때, 7월 3일의 제1 설비의 주문량은 1500이고, 제2 설비의 주문량은 1400이므로, 7월 3일 날짜에서 부하 피크가 가장 큰 제1 설비가 혼잡 설비로 선택되는 것을 알 수 있다.At this time, since the order quantity of the first facility on July 3 is 1500 and the order quantity of the second facility is 1400, it can be seen that the first facility with the largest load peak on the date of July 3 is selected as the congested facility. .

또한, 기계학습 기반 공정 스케줄링 장치는 7월 4일 날짜에서 7월 5일 납기일인 제품 C의 주문량 500을 최고 선호 설비인 제2 설비에 할당하는 것을 알 수 있다.In addition, it can be seen that the machine learning-based process scheduling apparatus allocates the order quantity of product C, which is the delivery date from July 4 to July 5, to the second facility, which is the most preferred facility.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애로주문 우선 스케줄링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11 is a diagram showing a difficult order priority scheduling proce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계학습 기반 공정 스케줄링 장치는 혼잡 설비로 선택된 제품 A의 제1 주문의 주문량 100, 제2 주문의 주문량 50, 제3 주문의 주문량 100에 대해서 애로율을 계산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1, the machine learning-based process schedul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rder amount of 100 of a first order of a product A selected as a congestion facility, an order amount of 50 of a second order, and an order amount of 100 of a third order. You can calculate the difficulty rate.

이 때, 기계학습 기반 공정 스케줄링 장치는 상기에서 설명한 수학식 1에 따라 애로율을 계산하고, 애로율이 가장 큰 주문을 애로주문으로 선택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machine learning-based process scheduling apparatus may calculate the difficulty rate according to Equation 1 described above, and select an order having the largest difficulty rate as the difficulty order.

이 때, 기계학습 기반 공정 스케줄링 장치는 애로주문을 제1 설비의 가장 이른 가용 시간에 할당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machine learning-based process scheduling apparatus may allocate the difficulty order to the earliest available time of the first facility.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계학습 기반 공정 스케줄링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1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scheduling process based on machine learn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계학습 기반 공정 스케줄링 과정은 먼저 제품 주문들을 선호 설비에 할당하고, 혼잡 설비를 선택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2, in the process scheduling process based on machine learn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duct orders may be first allocated to preferred facilities, and congested facilities may be selected.

이 때, 기계학습 기반 공정 스케줄링 과정은 혼잡 설비가 제1 설비로 선택된 경우, 제품 A 내지 D 에 대한 애로율을 계산하고, 애로율이 높은 순서대로 혼잡 설비에 우선적으로 제품 주문들의 생산 순서를 결정할 수 있다.At this time, in the machine learning-based process scheduling process, when the congested facility is selected as the first facility, the difficulty rate for products A to D is calculated, and the order of production of product orders is determined preferentially to the congested facility in the order of the highest difficulty rate. I can.

이 때, 기계학습 기반 공정 스케줄링 과정은 제품 A에서 제품 B로 생산 작업이 교체될 때 작업 교체 시간을 더 고려하여 애로율을 계산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machine learning-based process scheduling process may calculate the difficulty rate by further considering the job replacement time when the production job is replaced from product A to product B.

이 때, 기계학습 기반 공정 스케줄링 과정은 동일한 제품에서 주문량이 많은 주문을 먼저 생산 순서로 결정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machine learning-based process scheduling process may first determine an order with a large order quantity from the same product as a production order.

이 때, 기계학습 기반 공정 스케줄링 과정은 7월 1일의 스케줄링이 완료되면, 당일 완료되지 않은 잔여주문이 있는지 확인하고, 잔여주문이 있는 경우 다음 날짜에 설비에 주문을 할당하여 잔여 설비의 혼잡도를 재계산할 수 있다.At this time, in the machine learning-based process scheduling process, when the scheduling on July 1 is completed, it checks whether there are any remaining orders that have not been completed on the same day, and if there are remaining orders, the order is assigned to the facility on the next day to determine the congestion level of the remaining facilities Can be recalculated.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13 is a diagram showing a computer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계학습 기반 공정 스케줄링 장치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와 같은 컴퓨터 시스템(1100)에서 구현될 수 있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컴퓨터 시스템(1100)은 버스(1120)를 통하여 서로 통신하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110), 메모리(1130), 사용자 인터페이스 입력 장치(1140), 사용자 인터페이스 출력 장치(1150) 및 스토리지(116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컴퓨터 시스템(1100)은 네트워크(1180)에 연결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110)는 중앙 처리 장치 또는 메모리(1130)나 스토리지(1160)에 저장된 프로세싱 인스트럭션들을 실행하는 반도체 장치일 수 있다. 메모리(1130) 및 스토리지(1160)는 다양한 형태의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 저장 매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는 ROM(1131)이나 RAM(1132)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3, the machine learning-based process schedul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a computer system 1100 such as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As shown in FIG. 13, the computer system 1100 includes one or more processors 1110, memory 1130, a user interface input device 1140, and a user interface output device 1150 communicating with each other through a bus 1120. And a storage 1160. Further, the computer system 1100 may further include a network interface 1170 connected to the network 1180. The processor 1110 may be a central processing unit or a semiconductor device that executes processing instructions stored in the memory 1130 or the storage 1160. The memory 1130 and the storage 1160 may be various types of volatile or nonvolatile storage media. For example, the memory may include a ROM 1131 or a RAM 1132.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계학습 기반 공정 스케줄링 장치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110); 및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110)에 의해 실행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실행메모리(1130)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은 기계학습에 기반하여 생산하려는 제품들에 관한 공정 리드 타입 및 설비 선호도를 포함하는 기준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기준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품들을 생산하기 위한 복수개의 설비들에 할당하고, 날짜 별로 상기 복수개의 설비들 중 제품 생산량이 가장 많은 설비를 혼잡 설비로 선택하고, 상기 날짜 별로 선택된 혼잡 설비들에 할당된 제품들의 애로율을 계산하고 상기 애로율에 기반하여 상기 제품들의 생산 스케줄을 결정한다.Machine learning-based process schedul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one or more processors 1110; And an execution memory 1130 storing at least one program executed by the one or more processors 1110, wherein the at least one program is a process lead type and facility for products to be produced based on machine learning. Generate reference information including preferences, use the reference information to allocate to a plurality of facilities for producing the products, select a facility with the highest product production amount among the plurality of facilities by date as a congestion facility, and Then, the difficulty rate of products allocated to the congested facilities selected for each date is calculated, and the production schedule of the products is determined based on the difficulty rate.

이 때,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은 상기 제품들의 주문들 별 주문량과 상기 설비 선호도에 기반하여 상기 복수개의 설비들에 상기 주문들 별로 상기 제품들을 할당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at least one program may allocate the products for each of the orders to the plurality of facilities based on an order quantity for each order of the products and the facility preference.

이 때,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은 상기 제품들의 미투입 제품 주문들을 납기일 순으로 정렬하고, 상기 제품들의 미투입 제품 주문들을 상기 복수개의 설비들에 상기 납기일 순으로 할당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at least one program may arrange orders for non-delivery products of the products in order of delivery date, and allocate non-delivery product orders for the products to the plurality of facilities in the order of delivery date.

이 때,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은 상기 복수개의 설비들의 가용 주문 할당량을 초과하여 제1 날짜에 할당되지 못한 잔여 주문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기준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1 날짜의 다음 제2 날짜에 상기 잔여 주문을 상기 복수개의 설비들 중 최고 선호 설비에 우선적으로 할당할 수 있다.In this case, when there is a residual order that has not been allocated on the first date by exceeding the available order quota of the plurality of facilities, the at least one program uses the reference information to the second date following the first date. The remaining order may be preferentially allocated to the most preferred facility among the plurality of facilities.

이 때,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은 상기 제품들의 주문량과 상기 혼잡 설비의 상기 제품들 별 단위 생산 시간의 곱에 대한 상기 혼잡 설비의 총 가용시간의 비율을 상기 애로율로 계산하고, 상기 애로율이 큰 순서대로 상기 제품들의 생산 순서를 결정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at least one program calculates a ratio of the total available time of the congested facility to the product of the product of the order quantity of the products and the unit production time of each product of the congested facility as the difficulty rate, and the difficulty rate is It is possible to determine the order of production of the products in large order.

이 때,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은 상기 애로율이 큰 순서대로 상기 생산 순서가 결정된 제품들 중 동일한 제품의 제품 주문들 중 주문량이 큰 순서대로 생산 순서를 결정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at least one program may determine the order of production in the order of the order quantity of products of the same product among the products for which the production order is determined in the order of the highest difficulty rate.

이 때,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은 상기 혼잡 설비에서 제1 제품에서 제2 제품으로 생산 작업이 교체될 때 발생하는 작업 교체 시간을 상기 제1 제품의 단위 생산 시간에 더 포함시킬 수 있다.In this case, the at least one program may further include, in the unit production time of the first product, a job replacement time that occurs when a production job is replaced from a first product to a second product in the congested facility.

이 때,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은 상기 혼잡 설비의 총 가용 시간에 상기 애로율에 따라 상기 제품들의 생산 순서가 결정된 이후, 상기 혼잡 설비에 할당되지 못한 미할당 주문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최고 선호 설비 다음으로 선호되는 차선호 설비에 상기 미할당 주문을 할당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at least one program is the most preferred facility when there is an unallocated order that cannot be allocated to the congested facility after the production order of the products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difficulty rate in the total available time of the congested facility. Next, the unallocated order can be assigned to the preferred sub-preferred facility.

이 때,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은 상기 차선호 설비에 할당된 제품들의 애로율과 상기 미할당 주문의 애로율을 계산하여 상기 미할당 주문의 생산 순서를 결정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at least one program may determine the order of production of the unallocated order by calculating the difficulty rate of products allocated to the sub-preferred facility and the difficulty rate of the unallocated order.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계학습 기반 공정 스케줄링 장치 및 방법은 상기한 바와 같이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machine learning-based process scheduling apparatus and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ly applicable to the configuration and method of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but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to the embodiments. All or part of each of the embodiments may be selectively combined to be configured.

110: 기준 정보 생성부 120: 혼잡 설비 선택부
130: 스케줄링부
1100: 컴퓨터 시스템 1110: 프로세서
1120: 버스 1130: 메모리
1131: 롬 1132: 램
1140: 사용자 인터페이스 입력 장치
1150: 사용자 인터페이스 출력 장치
1160: 스토리지 1170: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1180: 네트워크
110: reference information generation unit 120: congestion facility selection unit
130: scheduling unit
1100: computer system 1110: processor
1120: bus 1130: memory
1131: ROM 1132: RAM
1140: user interface input device
1150: user interface output device
1160: storage 1170: network interface
1180: network

Claims (10)

기계학습에 기반하여 생산하려는 제품들에 관한 공정 리드 타입 및 설비 선호도를 포함하는 기준정보를 생성하는 기준정보 생성부;
상기 기준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품들을 생산하기 위한 복수개의 설비들에 할당하고, 날짜 별로 상기 복수개의 설비들 중 제품 생산량이 가장 많은 설비를 혼잡 설비로 선택하는 혼잡 설비 선택부; 및
상기 날짜 별로 선택된 혼잡 설비들에 할당된 제품들의 애로율을 계산하고 상기 애로율에 기반하여 상기 제품들의 생산 스케줄을 결정하는 스케줄링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학습 기반 공정 스케줄링 장치.
A reference information generator for generating reference information including process lead types and facility preferences for products to be produced based on machine learning;
A congestion facility selection unit that allocates to a plurality of facilities for producing the products by using the reference information, and selects, as a congestion facility, a facility with the largest production amount among the plurality of facilities by date; And
A scheduling unit that calculates a difficulty rate of products allocated to the congested facilities selected for each date and determines a production schedule of the products based on the difficulty rate;
Machine learning-based process scheduling apparatus comprising a.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혼잡 설비 선택부는
상기 제품들의 주문들 별 주문량과 상기 설비 선호도에 기반하여 상기 복수개의 설비들에 상기 주문들 별로 상기 제품들을 최고 선호 설비에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학습 기반 공정 스케줄링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ngestion facility selection unit
The machine learning-based process schedul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based on the order quantity for each order of the products and the equipment preference, allocating the products to the most preferred equipment for each order to the plurality of equipments.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혼잡 설비 선택부는
상기 제품들의 미투입 제품 주문들을 납기일 순으로 정렬하고, 상기 제품들의 미투입 제품 주문들을 상기 복수개의 설비들에 상기 납기일 순으로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학습 기반 공정 스케줄링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The congestion facility selection unit
Machine learning-based process scheduling apparatus, comprising: sorting the non-delivery product orders of the products in order of delivery date, and allocating the non-delivery product orders of the products to the plurality of facilities in the order of delivery date.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혼잡 설비 선택부는
상기 복수개의 설비들의 가용 주문 할당량을 초과하여 제1 날짜에 할당되지 못한 잔여 주문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기준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1 날짜의 다음 제2 날짜에 상기 잔여 주문을 상기 복수개의 설비들 중 최고 선호 설비에 우선적으로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학습 기반 공정 스케줄링 장치.
The method of claim 3,
The congestion facility selection unit
When there is a residual order that has not been allocated on the first date by exceeding the available order quota of the plurality of facilities, the remaining order is placed on the second date following the first date using the reference information. Machine learning-based process schedul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prioritized allocation to the most preferred equipment among the.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스케줄링부는
상기 제품들의 주문량과 상기 혼잡 설비의 상기 제품들 별 단위 생산 시간의 곱에 대한 상기 혼잡 설비의 총 가용시간의 비율을 상기 애로율로 계산하고, 상기 애로율이 큰 순서대로 상기 제품들의 생산 순서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학습 기반 공정 스케줄링 장치.
The method of claim 4,
The scheduling unit
The ratio of the total available time of the congested facility to the product of the order quantity of the products and the unit production time of each product of the congested facility is calculated as the difficulty rate, and the order of production of the products in the order of the greatest difficulty rate is calculated. Machine learning-based process schedul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o determine.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스케줄링부는
상기 애로율이 큰 순서대로 상기 생산 순서가 결정된 제품들 중 동일한 제품의 제품 주문들 중 주문량이 큰 순서대로 생산 순서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학습 기반 공정 스케줄링 장치.
The method of claim 5,
The scheduling unit
The machine learning-based process schedul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the order of production is determined in the order of a large order quantity among product orders of the same product among the products whose production order is determined in the order of the highest difficulty rate.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스케줄링부는
상기 혼잡 설비에서 제1 제품에서 제2 제품으로 생산 작업이 교체될 때 발생하는 작업 교체 시간을 상기 제1 제품의 단위 생산 시간에 더 포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학습 기반 공정 스케줄링 장치.
The method of claim 6,
The scheduling unit
The machine learning-based process scheduling apparatus, further comprising, in the unit production time of the first product, a job replacement time generated when a production job is replaced from a first product to a second product in the congested facility.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스케줄링부는
상기 혼잡 설비의 총 가용 시간에 상기 애로율에 따라 상기 제품들의 생산 순서가 결정된 이후, 상기 혼잡 설비에 할당되지 못한 미할당 주문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최고 선호 설비 다음으로 선호되는 차선호 설비에 상기 미할당 주문을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학습 기반 공정 스케줄링 장치.
The method of claim 7,
The scheduling unit
After the order of production of the products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difficulty rate in the total available time of the congested facility, if there is an unallocated order that has not been allocated to the congested facility, the second preferred facility after the most preferred facility is selected. Machine learning-based process schedul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allocating unallocated orders.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스케줄링부는
상기 차선호 설비에 할당된 제품들의 애로율과 상기 미할당 주문의 애로율을 계산하여 상기 미할당 주문의 생산 순서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학습 기반 공정 스케줄링 장치.
The method of claim 8,
The scheduling unit
The machine learning-based process schedul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the order of production of the unallocated order is determined by calculating the difficulty rate of products allocated to the sub-preferred facility and the difficulty rate of the unallocated order.
기계학습 기반 공정 스케줄링 장치의 기계학습 기반 공정 스케줄링 방법에 있어서,
기계학습에 기반하여 생산하려는 제품들에 관한 공정 리드 타입 및 설비 선호도를 포함하는 기준정보를 생성하는 기준정보 생성부;
상기 기준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품들을 생산하기 위한 복수개의 설비들에 할당하고, 날짜 별로 상기 복수개의 설비들 중 제품 생산량이 가장 많은 설비를 혼잡 설비로 선택하는 혼잡 설비 선택부; 및
상기 날짜 별로 선택된 혼잡 설비들에 할당된 제품들의 애로율을 계산하고 상기 애로율에 기반하여 상기 제품들의 생산 스케줄을 결정하는 스케줄링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학습 기반 공정 스케줄링 방법.
In a machine learning-based process scheduling method of a machine learning-based process scheduling device,
A reference information generator for generating reference information including process lead types and facility preferences for products to be produced based on machine learning;
A congestion facility selection unit that allocates to a plurality of facilities for producing the products by using the reference information, and selects, as a congestion facility, a facility with the largest production amount among the plurality of facilities by date; And
A scheduling unit that calculates a difficulty rate of products allocated to the congested facilities selected for each date and determines a production schedule of the products based on the difficulty rate;
Machine learning-based process scheduling method comprising a.
KR1020200072510A 2019-11-19 2020-06-15 Apparatus and method for scheduling process based on machine learning KR102312642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8801 2019-11-19
KR20190148801 2019-11-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1249A true KR20210061249A (en) 2021-05-27
KR102312642B1 KR102312642B1 (en) 2021-10-15

Family

ID=761357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2510A KR102312642B1 (en) 2019-11-19 2020-06-15 Apparatus and method for scheduling process based on machine learnin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12642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1107B1 (en) * 2021-12-01 2022-08-11 주식회사 시제 A method of calculating a production volume of the production line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WO2023214697A1 (en) * 2022-05-02 2023-11-09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Ai-based work scheduling device for textile production equipment, and work scheduling method using same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6935A (en) * 2001-02-14 2002-08-21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Method for managing production
JP2005302050A (en) * 2005-05-13 2005-10-27 Hitachi Ltd Scheduling and arrangement management system
JP2008102822A (en) * 2006-10-20 2008-05-01 Genetec Corp Scheduling device
JP2008129923A (en) * 2006-11-22 2008-06-05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Production plan creation system
JP2012243024A (en) * 2011-05-18 2012-12-10 Kobe Steel Ltd Production schedule creation device and production schedule creation method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6935A (en) * 2001-02-14 2002-08-21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Method for managing production
JP2005302050A (en) * 2005-05-13 2005-10-27 Hitachi Ltd Scheduling and arrangement management system
JP2008102822A (en) * 2006-10-20 2008-05-01 Genetec Corp Scheduling device
JP2008129923A (en) * 2006-11-22 2008-06-05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Production plan creation system
JP2012243024A (en) * 2011-05-18 2012-12-10 Kobe Steel Ltd Production schedule creation device and production schedule creation method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1107B1 (en) * 2021-12-01 2022-08-11 주식회사 시제 A method of calculating a production volume of the production line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WO2023101402A1 (en) * 2021-12-01 2023-06-08 주식회사 시제 Method for calculating production amount of production line,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WO2023214697A1 (en) * 2022-05-02 2023-11-09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Ai-based work scheduling device for textile production equipment, and work scheduling method using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12642B1 (en) 2021-10-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254842B (en) Resource management method and device for distributed stream system and readable storage medium
US8560368B1 (en) Automated constraint-based scheduling using condition-based maintenance
US9966760B2 (en) Power distribution determination apparatus, control method, and storage medium
US20150262111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efficient task allocation in crowdsourcing
CN103369041B (en) Resource allocation methods and device based on cloud computing
Dong et al. Production rescheduling for machine breakdown at a job shop
US20080201713A1 (en) Project Management System
JP2004318474A (en) Device and method for adjusting system resources in use
Lee et al. Minimizing due date related measures for a single machine scheduling problem with outsourcing allowed
Azadivar et al. Maintenance policy selection for JIT production systems
JP7462565B2 (en) Work shift creation device, learning model, and computer program
KR20210061249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cheduling process based on machine learning
WO2013140613A1 (en) Production project proposal determination method, production project proposal device and program
JP4847030B2 (en) Ordering system and ordering method
Han et al. Yield management with downward substitution and uncertainty demand i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Mohanavelu et al. Simulation modelling and development of analytic hierarchy process-based priority dispatching rule for a dynamic press shop
CN108268313A (en) The method and apparatus of data processing
Rabbani et al. A new AATP model with considering supply chain lead-times and resources and scheduling of the orders in flowshop production systems: A graph-theoretic view
CN108268316A (en) The method and device of job scheduling
US20160292624A1 (en) Optimization of Inventory Through Prioritization and Categorization
Lohmer et al. Multi-factory job shop scheduling with due date objective
JP7447919B2 (en) Negotiation devices, negotiation methods and programs
JP7177759B2 (en) Worker assignment system and worker assignment device
JPH1097657A (en) Method and device for generating working plan of physical physical distribution center
JPH11353365A (en) Method and device for managing proces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