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61106A - 디폴트 저항성이 구비된 블록 체인을 이용한 가상화폐 유동성 대여 방법 및 그 시스템 - Google Patents

디폴트 저항성이 구비된 블록 체인을 이용한 가상화폐 유동성 대여 방법 및 그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61106A
KR20210061106A KR1020190148920A KR20190148920A KR20210061106A KR 20210061106 A KR20210061106 A KR 20210061106A KR 1020190148920 A KR1020190148920 A KR 1020190148920A KR 20190148920 A KR20190148920 A KR 20190148920A KR 20210061106 A KR20210061106 A KR 202100611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ntal
liquidity
information
terminal
cred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89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태형
홍종철
장중혁
최광용
Original Assignee
인포뱅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포뱅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인포뱅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489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61106A/ko
Publication of KR202100611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110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3Credit; Loans; Processing thereof
    • G06Q40/025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4Payment circuits
    • G06Q20/06Private payment circuits, e.g. involving electronic currency used among participants of a common payment scheme
    • G06Q20/065Private payment circuits, e.g. involving electronic currency used among participants of a common payment scheme using e-cash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4Trading; Exchange, e.g. stocks, commodities, derivatives or currency exchange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Technology Law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은, 블록체인 네트워크로 형성된 네트워크 시스템에 있어서, 청약 마켓 네트워크상에, 신용 보증기금 서비스 모듈에 의해 담보 제공자 단말로부터의 신용 가상화폐를 담보로 하여 보증되며, 유동성 대여자 단말로 유동성 가상화폐를 지급하는 대여 청약서를 발급하는 중개기관 단말; 및 상기 대여 청약서에 대응하는 유동성 제공자 단말의 유동성 가상화폐 제공에 따라, 유동성 가상화폐를 대여받는 유동성 대여자 단말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디폴트 저항성이 구비된 블록 체인을 이용한 가상화폐 유동성 대여 방법 및 그 시스템{A Cryptographic liquidity borrowing method and a system using block chain with default resistance}
본 발명은 가상화폐 유동성 대여 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디폴트 저항성이 구비된 블록 체인을 이용한 가상화폐 유동성 대여 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현대 사회에서 은행이나 신용회사 등 금융기관의 대출금융 업무는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이러한 기존의 금융 대출과 관련된 금융 서비스에 대해서는, 현재 자동화 및 전산화에 따른 다양한 기술들이 개발되어 왔다. 그러나, 이러한 통상적인 대출 금융 서비스의 경우 대주로부터 지급된 금원을 일단 금융기관이 관리하면서 차주에게 대출해 주게 되므로, 대출금이 회수되지 못하는 리스크는 금융기관이 대부분 부담하여야만 하는 구조로서, 그 한계가 있었다.
이를 위해 은행이나 사금융이 아닌 다수의 투자자(채권자)가 돈을 모아 개인이나 기업에게 직접 빌려주는 새로운 대출 방식으로서, P2P(Peer to Peer) 대출이 제안되고 있다. P2P 대출은 온라인에서 모든 절차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모집 광고비나 인건비 등을 절감할 수 있으며, 투자자들은 은행 금리보다 높은 수익을 얻을 수 있고, 투자 대상은 자본을 은행보다 간편하고 사금융보다 저렴한 이율로 대출 받는 것이 가능하다는 등의 다양한 장점들로 인해 그 시장이 급속하게 성장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P2P 대출시장은 글로벌 금융위기와 인터넷 기반 기술혁신 등을 배경으로 빠른 성장을 시현하고 있다. 이에 발맞춰 다양한 사업모델을 통한 스타트업 기업들이 대출자들과 투자자들의 관심을 끌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P2P 대출 시스템 또한 개개인간의 직접 거래가 이루어진다기 보다는, 기본적으로 중앙에 집중된 특정의 금융 서비스 제공 장치가 대출을 위한 수요와 상품 개설 등의 프로세스를 수행하고, 이에 따른 개인의 대출 및 담보물 설정, 반환 프로세스를 제공하는 바, 결과적으로 중앙 집권화된 서비스로 인해 그 규모가 중앙 집권적으로 성장하게 되며, 현재는 대출기관과 같은 대형화된 사업자가 아니면 접근이 어려운 문제점이 발생되고 있다.
결과적으로, 중앙 집중된 대출 금융에서 대출 기관은 위험 부담과 초과 이익이 모두 중앙으로 집중되며, 대규모 자본 조달이 필요한 사업이기 때문에, 일반 개개인이나 소규모, 중규모 집단은 중앙 집권적 서비스에서 점차 배제되고, 그 이익을 취하기 어려워지는 바, 이를 해결하기 위한 플랫폼 도입이 필요하다.
한편, 블록체인 기술을 기반으로 하여 최근 대두된 암호화폐는 가상화폐라고도 불리우며, 물품과 서비스의 지급수단으로 성장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가상화폐는 현재 그 사용에 대한 법적 기반이 충분히 갖추어져 있지 않아 발행과 유통이 자유롭고, 이로 인해 그 가치의 유동성이 높은 특징이 있다.
또한, 이러한 유동성으로 인해 암호화폐에 대하여는 국가적인 차원에서의 제제 등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를 극복하기 위한 글로벌 스케일업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이러한 암호화폐 또는 가상화폐 글로벌 플랫폼이 활성화되기 위하여는, 플랫폼 내에서 정보적 이점을 가진 참여자가 금융 프로세스 내에서 활동해야 할 필요성이 있고, 글로벌하게 분산되어 있는 참여자들 사이에 위험을 분산시켜 전체 시스템의 안정성을 확보해야 하며, 현존하는 법정화폐 금융 규제 및 환율 변동에도 불구하고 유동성과 신용을 공급할 수 있는 메카니즘이 요구된다. 이러한 요구사항이 해결되지 않을 경우, 디폴트의 누적 발생 등으로 인한 시스템의 유지 불가 상태가 도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개발국이나 개발도상국의 경우 이러한 디폴트 위험을 피하기가 어려우며 국가간 재원 조달은 환 위험을 도래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블록 체인을 이용하여, 탈 중앙화된 가상화폐 대여 금융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기존의 대출 서비스 대비 낮은 조달비용과 영업 비용을 가지면서도, 대출기관 뿐만아니라 개개인 또는 소규모의 전문가 그룹에서도 가상화폐 대여 기관으로서 사업을 영위할 수 있으며, 대출 미회수 손실에 대한 위험성이 제거되는 대출 금융 서비스 제공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신용을 기반으로 하는 유동성 가상화폐를 제공하고, 이에 기반한 대여 금융서비스 플랫폼을 운용하며, 특히 글로벌 서비스에 있어서 국가별 법정화폐간 환율 변동 및 규제 등에 의해 발생되는 위험성 및 효율저하를 방지하고, 디폴트 발생에 대한 저항성을 가지며, 지속가능한 서비스 운용을 가능하게 하는 금융 서비스 제공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블록체인 네트워크로 형성된 네트워크 시스템은, 청약 마켓 네트워크상에, 신용 보증기금 서비스 모듈에 의해 담보 제공자 단말로부터의 신용 가상화폐를 담보로 하여 보증되며, 유동성 대여자 단말로 유동성 가상화폐를 지급하는 대여 청약서를 발급하는 중개기관 단말; 및 상기 대여 청약서에 대응하는 유동성 제공자 단말의 유동성 가상화폐 제공에 따라, 유동성 가상화폐를 대여받는 유동성 대여자 단말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블록체인 네트워크로 형성된 네트워크 시스템을 이용한 시스템 처리 방법은, 중개기관 단말에서, 청약 마켓 네트워크상에, 신용 보증기금 서비스 모듈에 의해 담보 제공자 단말로부터의 신용 가상화폐를 담보로 하여 보증되며, 유동성 대여자 단말로 유동성 가상화폐를 지급하는 대여 청약서를 발급하는 단계; 및 상기 대여 청약서에 대응하는 유동성 제공자 단말의 유동성 가상화폐 제공 정보에 따라, 상기 유동성 대여자 단말이 유동성 가상화폐를 지급받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청약 마켓 네트워크상에, 담보 제공자로부터 제공된 신용 가상화폐를 담보로 하여, 유동성 가상화폐에 대응하는 대여 청약서를 제공하며, 상기 대여 청약서에 대응하는 임대 신청에 따라, 상기 유동성 가상화폐를 발급받도록 하고, 이에 대응하는 각 회수에 따른 신용 가상화폐를 지급하여, 탈 중앙화된 가상화폐 대여 금융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기존의 대출 서비스 대비 낮은 조달비용과 영업 비용을 가지면서도, 대출기관 뿐만아니라 개개인 또는 소규모의 전문가 그룹에서도 가상화폐 대여 기관으로서 사업을 영위할 수 있으며, 대출 미회수 손실에 대한 위험성이 제거될 수 있다.
또한, 시장 메커니즘을 통해 가상화폐의 유동성이 분배됨에 따라 자금조달 비용이 자연스럽게 결정되며, 이에 참여한 참여자 노드에 대한 참여비율별 크레딧이 부가되므로, 사업 참여를 용이하게 유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담보 제공자의 자산 관리 및 디폴트 청산이 가능한 블록체인 시스템상 신용 보증기금 서비스 모듈이 구비되도록 하는 가상화폐 유동성 대여 시스템을 구성함으로써, 신용을 기반으로 하는 유동성 가상화폐를 제공하고, 이에 기반한 대여 금융서비스 플랫폼을 운용함에 있어서, 국가별 법정화폐간 환율 변동 및 규제 등에 의해 발생되는 위험성 및 효율저하를 방지하며, 디폴트 저항성을 가져 지속가능한 서비스 운용을 가능하게 하는 금융 서비스 제공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신용 보증기금 서비스 모듈은 유동성 가상화폐의 발행 대비 준비금을 관리하고, 서비스 시작일로부터 일정한 초기 기간 동안의 확장채권 기준 가상화폐 발행을 통해 초기 유동성 공급량을 확보하고, 신용 보증기금의 보증 수수료율 관리를 통해 디폴트율의 상승을 억제하며, 담보 자산의 가치 하락을 방지하고 가상화폐의 가치 변동성을 줄이는 관리 서비스를 처리함으로써, 담보 제공자, 유동성 제공자, 유동성 대여자들의 참여 활동을 유도하고, 이에 따른 적절한 참여 보상이 주어지게 조절될 수 있는 금융 서비스 제공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체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블록 체인 기반 가상화폐 대여 시스템을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CRD 및 LQD의 지급 및 블록체인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대여 청약 프로세스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9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을 구성하는 단말을 각각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이하의 내용은 단지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한다. 그러므로 당업자는 비록 본 명세서에 명확히 설명되거나 도시되지 않았지만 본 발명의 원리를 구현하고 본 발명의 개념과 범위에 포함된 다양한 장치를 발명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 열거된 모든 조건부 용어 및 실시예들은 원칙적으로, 본 발명의 개념이 이해되도록 하기 위한 목적으로만 명백히 의도되고, 이와 같이 특별히 열거된 실시예들 및 상태들에 제한적이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원리, 관점 및 실시예들 뿐만 아니라 특정 실시예를 열거하는 모든 상세한 설명은 이러한 사항의 구조적 및 기능적 균등물을 포함하도록 의도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이러한 균등물들은 현재 공지된 균등물뿐만 아니라 장래에 개발될 균등물 즉 구조와 무관하게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발명된 모든 소자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예를 들어, 본 명세서의 블록도는 본 발명의 원리를 구체화하는 예시적인 회로의 개념적인 관점을 나타내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와 유사하게, 모든 흐름도, 상태 변환도, 의사 코드 등은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매체에 실질적으로 나타낼 수 있고 컴퓨터 또는 프로세서가 명백히 도시되었는지 여부를 불문하고 컴퓨터 또는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되는 다양한 프로세스를 나타내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프로세서, 제어 또는 이와 유사한 개념으로 제시되는 용어의 명확한 사용은 소프트웨어를 실행할 능력을 가진 하드웨어를 배타적으로 인용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제한 없이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하드웨어, 소프트웨어를 저장하기 위한 롬(ROM), 램(RAM) 및 비 휘발성 메모리를 암시적으로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주지관용의 다른 하드웨어도 포함될 수 있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체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념도이다.
먼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암호화폐 거래 시스템은, 네트워크를 통해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하나 이상의 거래 단말기들에 의해 형성된 블록체인 메쉬 네트워크로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각 거래 단말기는 블록 체인 네트워크에 접속하기 위한 통신 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 블록 체인 네트워크는 예를 들어, 근거리 통신망(Local Area Network; LAN), 광역 통신망(Wide Area Network;WAN) 또는 부가가치 통신망(Value Added Network; VAN) 등과 같은 유선 네트워크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블록 체인 네트워크는 이동 통신망(mobile radio communication network), 위성 통신망, 블루투스(Bluetooth),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와이파이(Wi-Fi), LTE(Long Term Evolution)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무선 네트워크로 구현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서, 블록 체인 네트워크는 유선 및 무선이 혼용된 네트워크일 수 있다.
그리고, 각 거래자 단말은 자신의 노드 접속에 따른 계정 정보를 네트워크를 통해 클라우드 방식으로 공유되는 거래 장부 데이터에 등록할 수 있다. 그리고, 암호 화폐의 거래가 필요한 경우, 각 거래자 단말은 상기 거래 장부 데이터에 기록될 거래 정보를 각 거래자 단말에게 전파할 수 있다.
그리고, 이에 대응하는 상호 검증 처리에 따라, 예를 들어 일정 비율 이상의 노드 단말로부터의 승인이 처리된 경우 상기 거래 장부 데이터가 업데이트되고, 그 정보가 공유됨으로써, 암호 화폐의 거래가 처리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거래 장부 데이터는 일정 시간 또는 단위에 대응하는 블록별로 현재의 블록이 이전에 생성된 블록에 대한 해시값을 포함하도록 하여 복수의 블록이 생성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연결된 구조를 갖는 블록 체인(block chain) 데이터와 연동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거래 장부 데이터의 위변조 여부 검증은 상기 블록 체인의 해시값 검증에 따라 용이하게 처리될 수 있다. 이를 위해, 각 거래자 단말에서는 다음 블록의 해시값을 산출하기 위한 연산 및 검증 처리를 수행하는 컴퓨팅 파워를 제공하고, 이에 대응하는 보상을 획득할 수도 있다.
이러한 블록 체인의 보안 안정성은 데이터를 공유하는 공유자들의 시스템 참여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접속된 각 공유자 단말 사이의 공유에 대한 내역 및 화폐 발급/거래 내역 등을 포함하는 거래 정보 블록이 순차적으로 저장될 수 있으며, 그 위변조 방지를 위한 해시값을 순차적으로 블록 체인화하기 위한 거래 검증(작업증명) 처리가 각 거래자 단말에서 분산 수행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블록 체인 네트워크 기반의 유동성 대여 시스템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다른 유동성 대여 시스템은 신용에 대응하는 사회적 자산 가치정보가 담보 제공자에 의해 담보로 제공되며, 담보에 대응하는 가상화폐인 CRD(credit)가 발생되고, CRD에 대응하여 대여 가능한 채권 속성의 유동성 가치정보를 다른 가상화폐인 LQD(liquid)로 설정하며, LQD가 신용보증 기금 서비스 모듈에 의해 보증되면, 중개기관 운용자의 LQD 대여 청약 정보 생성 및 대출 채권 청약 마켓 네트워크로의 공유에 대해, 유동성 대여자가 LQD 대여 활동 및 상환 활동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활동에 따른 담보 제공자, 유동성 제공자 및 각 중개기관 운용자는 개별 활동에 대한 블록 체인 네트워크로부터의 보상 인센티브를 수령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유동성 대여 시스템은 이러한 프로세스에 의해 각 CRD 및 LQD가 분배되고, 그 수요에 대응한 평가와, 시스템 기여에 따른 보상이 각각 처리되는 블록 체인 네트워크를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각 신용 담보 제공자, 유동성 대여자, 중개기관 운용자, 대출 채권 마켓, 유동성 제공자는 각 자신의 거래 단말기를 이용하여 블록 체인 기반의 대여 프로토콜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신용보증 기금 서비스 모듈은, 별도의 서버로 구비되거나 특정한 거래 단말기에서 구동될 수 있으며, CRD에 대한 LQD 발행시의 채권에 대한 신용 보증과, 채권 담보 처리에 기초한 대여 청약에 따른 계약의 디폴트 발생시의 보증 처리를 수행하여, 시스템의 유지를 위한 전체적인 유동성 대여 서비스 시스템 관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각 거래 단말기 및 신용보증 기금 서비스 모듈 기능의 전부 또는 적어도 일부가 탑재되는 단말기는 각 처리 프로세스의 성격 및 네트워크 등록에 따라 각각의 노드로서 상기 블록 체인 네트워크에 등록될 수 있으며, 거래 단말기는 예를 들어, 이후 설명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유동성 대여자 단말(100), 대여 중개기관 단말(200), 유동성 제공자 단말(300), 담보 제공 단말(350), 청약 마켓 네트워크 운용 단말(400) 및 신용보증 기금 서비스 모듈 단말(500)로 구분될 수 있다. 다만, 이는 거래 단말기에서 처리되는 프로세스에 따라 구분되는 것으로, 실질적으로는 금융 서비스에 따라 하나의 단말기라 하더라도 서로 다른 기능 및 서비스가 실행됨에 따라 언제든 그 구분은 서로 변경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블록 체인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하는 신용 가상화폐 CRD를 이용할 수 있으며, CRD는 담보 제공자의 신용을 사회적 자산으로서 환산함으로써 획득될 수 있고, 블록 체인 시스템 네트워크에서의 플랫폼 기여 대한 보상으로서도 부여될 수 있다.
한편, 유동성 가상화폐 LQD는 상기 블록 체인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하여, 실물경제에서 거래 가능한 유동성 화폐에 대응할 수 있으며, 적절한 화폐 가치로서 환산될 수 있다. 또한, 유동성 가상화폐 LQD는 대여 청약 마켓을 통해, 대여 청약에 명시된 계약 조건에 따라 상기 신용 가상화폐 CRD를 담보로 하여, 유동성 제공자로부터 유동성 대여자로 지급될 수 있으며, 대여 중개기관은 이를 위한 CRD 담보 제공 및 청약 중개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대여 중개기관은 신용 가상화폐 CRD를 담보 제공자로부터 획득하거나 직접 담보를 제공하고, 이에 기반한 유동성 가상화폐 LQD에 대한 대여 청약을 설계하며, 설계된 대여 청약을 청약 마켓에 업로드할 수 있다.
여기서, 대여 청약의 생성을 위하여, 먼저 대여 중개기관은 담보 또는 CRD에 대응하는 채권 보증 신청을 통해 신용 보증기금 서비스 모듈로 대여 청약 정보 생성을 위한 중개기관 보증 채권 요청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신용 보증기금 서비스 모듈은 보증 채권 요청 정보에 대응하는 보증 평가 프로세스 수행 요청을 하나 이상의 담보 제공자 단말로 전달할 수 있다. 보증 평가 프로세스에 따라, 담보 제공자 단말은 대여 청약의 발행 승인을 위해 적정량으로 평가된 신용 가상화폐 CRD를 중개기관 운용자 단말로 제공함으로써, 중개기관 보증 채권 발행이 승인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신용 보증기금 서비스 모듈은 승인된 중개기관 보증 채권에 대응하는 대여 청약의 기준화폐 정보, 차입금액 정보, 만기 정보 및 보증 수수료율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하며, 이에 대응하여 담보 제공자 단말로부터 제공된 CRD를 수집 및 저장 관리할 수 있다.
그리고, 신용 보증기금 서비스 모듈은 대여 청약에 대응하는 보증 채권 정보를 대여 중개기관으로 전송함으로써, 대여 중개기관의 대여 청약 정보에 대응하는 중개기관 보증 채권 정보가 배포될 수 있다. 이러한 중개기관 보증 채권 정보는 별도의 채권 거래소에서도 매각 가능하며, 다른 종류의 거래에서의 지불 수단으로 이용될 수 있는 유동성 가치를 가질 수 있다. 만약, 대여 청약에 대해 보증된 중개기관 채권 정보가 만기된 경우 신용 보증기금 서비스 모듈은 중개기관 채권 정보를 채권 거래소에 자동적으로 상장시킬 수 있고, 중개기관은 환율기반 만기청산액(예를 들어 채권액 및 보증수수료 합산 금액) 등을 유동성 가상화폐 LQD로 지불함으로써 채권의 청산을 처리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대여 청약에 대응하여, LQD를 보유한 유동성 제공자는 담보된 CRD 및 청약 조건을 참고하여, LQD의 지급을 결정할 수 있다. 즉, LQD는 대여 청약에 담보된 CRD를 기초로 지급되며, 계약 실행에 의해 담보된 CRD는 청약 마켓에서 일정 기간 보관 처리될 수 있다.
그리고, 유동성 대여자는 대여 중개기관이 요구하는 인증 및 서류 제출을 통해, 상기 LQD가 지급된 대여 청약에 대한 LQD 임대 신청을 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유동성 가상화폐 LQD를 지급받아 사용하며, 상기 유동성 가상화폐 LQD를 이용한 상환 및 사용료 납부를 처리할 수 있다.
이러한 처리를 수행하는 각각의 단말 노드들의 프로세스에 따라, 각 노드들로 시스템 보상이 처리될 수 있다. 시스템 보상은 전술한 신용 가상화폐 CRD로서 지급될 수 있으며, 이는 LQD의 발행, 채굴 또는 다른 노드들로부터의 사용료 회수 형태로서 지급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중개기관 채권 정보가 만기되었으나 유동성 대여자의 LQD 상환이 완료되지 않은 디폴트 채권이 존재하는 경우, 신용 보증기금 서비스 모듈은 사전 준비된 유동성 가상화폐 LQD를 이용하여 상기 중개기관 채권 정보의 미완료 금액 상환을 처리하고, 이에 대응하여 사전 제공된 담보인 CRD 가상화폐를 인수 처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폴트 발생시에도 유동성 제공자 및 담보 제공자로의 사용료 지급이 가능하게 되며, 신용 보증기금 서비스 모듈은 지급 완료에 따른 중개기관 채권 정보의 시스템 내 폐기 또는 제거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블록 체인 기반 가상화폐 대여시스템을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며,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CRD 및 LQD의 지급 및 블록체인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상화폐 대여 시스템은, 유동성 대여자 단말(100), 대여 중개기관 단말(200), 유동성 제공자 단말(300), 담보 제공자 단말(350) 및 청약 마켓 네트워크 운용 단말(400)을 포함할 수 있으며, 신용 보증기금 서비스 모듈(500)은 각 시스템 구성 단말들과의 네트워크 연결을 통해 신용 보증 기금 서비스, 가상화폐 관리, 안정성 관리 및 전반적인 시스템 관리를 수행할 수 있다.
먼저, 도 3에 의해 운영되는 블록체인 네트워크는 가상화폐의 거래 및 대여에 따라 운용되며, 이는 도 4 및 도 5를 참조한 가상화폐 거래 프로세스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블록 체인 네트워크에서 거래되는 가상화폐는 제1 가상화폐로서 신용 가상화폐에 대응하는 CRD와, 제2 가상화폐로서 유동성 가상화폐에 대응하는 LQD가 설정될 수 있다.
먼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용 가상화폐 CRD는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 발행되는 가상화폐로서, 발행량은 로그 스케일로 증가하는 인플레이션 화폐일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신용 가상화폐 CRD는 제공자의 신용을 사회적 자산으로서 환산한 가상화폐일 수 있으며, 각 거래자는 플랫폼 기여 보상 또는 별도의 거래를 통해 보유한 CRD를 LQD에 대응하는 담보로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채굴자와 거래자는 블록 생성 보상 및 거래 수수료를 청약 마켓 네트워크 운용 단말(400)의 거래 수수료 보상부(410)에 의해 CRD로 보상받을 수 있으며, 대여 중개기관은 청약 마켓 네트워크 운용 단말(400)의 블록 수수료 보상부(420)를 통해 블록 체인 네트워크 이용 수수료를 CRD로 지불할 수 있다.
또한, CRD 보유자, 담보제공자, 유동성 제공자, 유동성 대여자는 청약 마켓 네트워크 운용 단말(400)의 마켓 네트워크 운용에 따라 CRD에 기반한 플랫폼 기여 보상을 제공받을 수 있는 바, 다만 CRD를 보유하지만 담보로서 제공하지 않아 실질적으로 플랫폼에 이용되지 않는 비담보 CRD 보유자는 감가상각에 의한 CRD 비용 지불이 처리될 수도 있다.
여기서, 담보 제공자 단말(350)은 CRD를 보유한 CRD 보유자로서, CRD를 담보로서 제공하는 담보 제공자의 단말일 수 있으며, 담보 제공자 단말(350)은 CRD 담보 제공을 통해, 청약 마켓 네트워크 운용 단말(400)에서 실행되는 가상화폐 대여 프로세스에 따른 LQD 수수료 일부를 사용료로 획득하거나, 소정의 CRD를 플랫폼 기여 보상으로 수령할 수 있다. CRD 담보를 위한 대여 청약서 설계는 중개기관 단말(200)에서 처리되는 바, 세부적인 CRD 담보 및 LQD 대여 프로세스 대하여는 뒤에서 각 주체별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이러한 신용 가상화폐 CRD는 가상화폐 거래소에 상장되어 거래될 수 있으며, 중개기관 단말(200) 및 청약 마켓 네트워크 운용 단말(400)에 의한 대여 계약 체결시, 유동성 제공자 단말(300)로부터 지급되는 LQD 가상화폐에 대한 담보로서 상기 청약 마켓 네트워크로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담보로 제공된 CRD는 일정 기간 청약 마켓 네트워크상에 유지되며, 그 계약에 따른 사용료가 상기 플랫폼 기여 보상으로서 담보 제공자 단말(350)로 제공될 수 있다.
담보로 제공된 CRD는 계약에 따라 이에 대응하는 LQD의 대여가 만기되거나 상환이 완료될 때까지 유지되어 유동성 가상화폐 LQD의 상환을 담보하며, 대여 만기시까지 상환되지 않는 경우에는 전술한 신용 보증기금 서비스 모듈(500)에 의해 중개기관 보증 채권 정보 기반 디폴트 처리가 수행될 수 있고, 이에 대응하여 보증으로 사전 제공된 CRD는 신용 보증기금 서비스 모듈(500)의 보증기금으로 인수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신용 보증기금 서비스 모듈(500)은 디폴트 처리를 위한 일정 유예기간을 제공할 수 있다. 신용 보증기금 서비스 모듈(500)은 상기 유예 기간 동안 담보 제공자 단말(350)로 상기 보증 채권의 우선 인수자가 되도록 하는 인수 권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담보 제공자 단말(350)이 CRD를 회수할 수 있도록 하는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
도 5는 유동성 가상화폐인 LQD 의 플로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유동성 가상화폐 LQD는 블록 체인 네트워크 내 총 발행량이 유동성 대여 계약의 총량과 일치하도록 형성되는 자산 지지 토큰(ASSET BACKED TOKEN)일 수 있다.
유동성 가상화폐 LQD는 청약 마켓 네트워크 운용 단말(400)에서 실행된 상기 신용 가상화폐 CRD의 대여에 의해 발생되며, 상환되는 경우 소각됨으로써 가치가 유지되는 가치 안정화 화폐(STABLE TOKEN)일 수 있으며, 거래소에 상장되어 거래될 수 있고, 각 유동성 제공자 단말(300)들로부터 제공되는 LQD는 이를 대여한 대출자인 유동성 대여자 단말(100)로 지급되며, 그 LQD의 상환시 수수료의 일부가 상기 담보 제공자 단말(350) 및 유동성 제공자 단말(300) 사용자들에게 지급될 수 있다. 여기서, 담보 제공자 단말(350)로 지급되는 수수료는 신용에 대한 사용료일 수 있으며, 유동성 제공자 단말(300)로 지급되는 수수료는 LQD 지급에 대한 유동성 사용료일 수 있다.
이러한 사용료 및 보상 수수료는 청약 마켓 네트워크 운용 단말(400)에 의해 처리될 수 있으며, 각 프로세스별 수수료 처리 및 보상을 위해, 청약 마켓 네트워크 운용 단말(400)은 거래 수수료 보상부(410), 블록 수수료 보상부(420) 및 대출 기여 보상부(43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대여 중개기관 단말(200)은 대여 청약 계약 실행에 의해, 유동성 대여자 단말(100)에 대한 대출 채권 자산을 획득하며, 계약 체결에 대한 수수료를 획득하는 바, 이러한 계약 및 대출 채권 자산 정보는 청약 마켓 네트워크 운용 단말(400)의 채권 자산 관리부(440)에서 관리될 수 있다.
대여된 LQD가 만기시까지 상환되지 않는 경우, 담보로 제공된 CRD의 신용 사용료 및 플랫폼 기여보상으로서 담보 제공자 단말(350)로 지급되는 LQD는 일정 기간 동안 유동성 제공자 단말(300)에게 지급되도록 청약 마켓 네트워크 운용 단말(400)에서 처리되며, 이에 따라 대여된 LQD는 일정 기간 이후 100% 보전될 수 있고, 이에 대해 소요되는 기간은 사전 청약 마켓 네트워크 운용 단말(400)에서의 청약서 발행시 결정되어, 청약서상에 표시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각 신용 가상화폐 CRD 및 유동성 가상화폐 LQD에 기초한 대여 시스템의 동작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먼저, 유동성 대여자 단말(100)은 LQD를 임대하고자 하는 임대 사용자의 단말일 수 있다. 그리고, 유동성 대여자 단말(100)은 단말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블록 체인 네트워크에 접속하고, 대여 중개기관 단말(200)을 선택하여 통신할 수 있다. 유동성 대여자 단말(100)은 LQD의 임대를 대여 중개기관 단말(200)을 통해 신청하기 위한 대여 신청 정보를 입력받아 대여 중개기관 단말(200)로 전송할 수 있으며, 상기 대여 신청 정보는 예를 들어 임대 사용자의 필요 LQD 수량 정보, 용도 정보, 사용자 정보, 신용 정보, 인증 정보 및 기준 화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대여 중개기관 단말(200)은 유동성 대여자 단말(100)의 대여 신청 정보가 수신되면, 먼저 상기 대여 신청 정보에 대응하는 신용 담보 CRD를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신용 담보 CRD는 유동성 대여자에게 LQD를 대여할 유동성 제공자에게, 대여 원금 LQD의 담보로서 설정될 수 있다. 이러한 CRD는 담보 기간 동안 청약 마켓 네트워크에 유지되며, 대여된 LQD의 반납이 완료되지 않은 경우, 일정 기간 동안 CRD 담보 제공에 대응하는 사용료로서 네트워크로부터 지급되는 LQD를 유동성 제공자에게 지급함으로써, 유동성 제공자에 대응하는 손실이 보전될 수 있다.
담보 설정된 신용 담보 CRD는, 임대 상품 설계 및 대여 처리를 중개하는 상기 대여 중개기관 단말(200)의 보유 CRD 및 담보 제공자 단말(350)의 CRD를 포함할 수 있으며, 신용 보증기금 서비스 모듈(500)에 의해 보증 처리될 수 있다. 더 많은 CRD의 수집 및 설정을 위해, 대여 중개기관 단말(200)은 유동성 담보 제공자 단말(350)로 상기 대여 신청 정보 및 검증 결과에 따른 대여 상품 설계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설계정보에 대응하는 CRD 제공 정보를 상기 유동성 담보 제공자 단말(350)로부터 경매 방식으로 수집하여 추가 설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수집된 CRD가 보증 및 담보 설정되면, 중개기관 단말(200)은 상품 설계정보에 기초한 대여 청약서를 생성하고, 유동성 대여자 단말(100)로 상기 대여 청약서를 제공하여 동의 정보를 수신하며, 동의된 대여 청약서를 청약 마켓 네트워크 단말(400)로 전송하여, 청약 마켓 네트워크상에 등록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대여 청약서는 LQD 상환 스케쥴 정보, 담보 CRD 수량 정보, LQD 사용요율 정보, 대여 LQD 수량 정보, 발행 중개기관 정보, 기준화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유동성 제공자 단말(300)은 LQD를 보유하고 있는 유동성 보유자의 단말일 수 있으며, 상기 청약 마켓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대여 청약서를 확인하고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유동성 제공자는 상기 유동성 제공자 단말(300)을 통해 상기 대여 청약서에 대한 LQD 제공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LQD 제공 정보는 예를 들어, LQD 제공자 정보 및 제공할 LQD의 수량 정보일 수 있다.
청약 마켓 네트워크 운용 단말(400)은 상기 대여 청약서에 대한 LQD 제공 정보를 상기 유동성 제공자 단말(300)로부터 수신할 수 있으며, 수신된 LQD 제공 정보를 상기 중개기관 단말(200)로 전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중개기관 단말(200)은 대여 청약서에 기초한 LQD 임대 프로세스를 실행할 수 있다. 임대 프로세스 실행에 따라, 유동성 대여자 단말(100)로 유동성 제공자 단말(300)의 LQD가 소정의 사용료 차감 후 지급될 수 있으며, 이에 대응하는 중개기관 단말(200) 또는 담보 제공자 단말(350)의 CRD 담보 정보가 담보 기간 동안 설정될 수 있다. 이후, 유동성 대여자 단말(100)에서는 지급된 LQD의 사용 후 LQD 반환 및 LQD 사용료 지급 처리를 수행하며, 지급된 사용료는 대여 청약서의 사용요율에 기초하여 중개기관 단말(200), 담보 제공자 단말(350) 및 유동성 제공자 단말(300)로 분배 지급될 수 있다.
한편, 유동성 대여자 단말(100)은 LQD의 임대 기간 내 사용 및 반납 후, 상기 임대 사용에 대한 청약 마켓 네트워크 기여분으로서, 신용 가상화폐 CRD를 발급받을수 있으며, 만약 기간 내 미상환된 경우에는 신용 이력이 청약 마켓 네트워크 운용 단말(400)에 의해 청약 마켓 블록체인에 기록될 수 있다.
그리고, 중개기관 단말(200)은 담보 제공이 가능한 신용 가상화폐 CRD를 일정량 보유하고, 대출 상품을 설계하며, 대여 청약서에 기초한 영업, LQD 대여 프로세스의 관리 및 LQD 사용료를 회수할 수 있는 프로세스를 저장 및 실행하는 단말일 수 있다. 여기서, 중개기관 단말(200)은 각 대여자 단말(100), 담보 제공자 단말(350) 또는 유동성 제공자 단말(300)에 일부 기능이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프로세스를 제공할 수 있는 바, 이를 위한 중개기관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대여자 단말(100), 담보 제공자 단말(350) 또는 유동성 제공자 단말(300)에 설치될 수 있다.
중개기관 단말(200)은 청약 마켓 네트워크로부터 주기적으로 라이선스 갱신을 취득하고, 이에 따른 취급가능 대출 규모 및 조건을 업그레이드받을 수 있는 바, 그 조건 등급은 보유 신용 가상화폐 CRD의 양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그리고, 중개기관 단말(200)은 청약 마켓 네트워크에 대한 중개기관 라이센스 신청, 유동성 가상화폐 LQD의 임대 상품 설계(임대 기간, 단위 임대 금액, 임대 총액 제한 등) 및 담보 제공자 단말(350) 또는 중개기관 단말(200)의 신용 가상화폐 CRD 담보 설정 프로세스를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중개기관 단말(200)은 라이센스 코드로서, 청약 마켓 네트워크의 전자서명용 암호키 등을 발급받을 수 있으며, 이를 이용한 중개기관 개설 및 영업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중개기관 단말(200)은 유동성 대여자 단말(100), 담보 제공자 단말(350), 유동성 제공자 단말(300), 청약 마켓 네트워크 운용 단말(400)들과의 통신 처리, LQD 거래 정보의 처리 및 CRD의 담보 설정 처리와, 청약 마켓 네트워크에 대여 청약서를 제공하고 이에 대응하는 신용 가상화폐 CRD를 담보로 하는 유동성 가상화폐 LQD의 지급 및 대여 계약이 원활히 체결되도록 각 유동성 제공자 단말(300) 및 유동성 대여자 단말(100)간 정보 교환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중개기관 단말(200)은 유동성 대여자 단말(100)의 유동성 가상화폐 LQD의 임대 계정 관리 및 회수 처리를 수행하며, LQD 임대 사용료 중 일부를 수수료로서 수령할 수 있고, 각 프로세스의 처리 완료에 따라 블록 체인 네트워크로부터 신용 가상화폐 CRD를 보상으로서 수령할 수도 있다.
또한, 중개기관 단말(200)은 청약 네트워크로부터 발급받은 라이선스의 갱신을 처리할 수 있는 바, 라이선스는 미회수율(디폴트시 LQD 미회수율) 측정이나 취급 조건 변경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조건은 기간, 단위금액, 총액 등이 예시될 수 있다.
한편, 담보 제공자 단말(350)은 중개기관 단말(200)을 통해 신용 보증기금 서비스 모듈(500)로 CRD를 예탁하는 단말일 수 있다. 이를 위해, 담보 제공자 단말(350)은 대여 중개기관 단말(200)에서 제공된 LQD 임대 사용자의 신청정보를 포함하는 상품 설계정보를 열람하고,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상품 설계정보는 대여 중개기관 단말(200)에서 수집된 유동성 대여자의 LQD 임대 신청정보 및 관련서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품 설계정보는 대여 신청으로부터 제공된 LQD 임대 사용자의 필요 LQD 수량 정보, 용도 정보, 사용자 정보, 신용 정보, 인증 정보 및 기준화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품 설계정보에 대응하여, 복수의 담보 제공자 단말(350)은 특정 LQD 임대 신청에 대한 담보를 신용 가상화폐 CRD로서 보증하기 위한 CRD 제공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입력된 CRD 제공 정보는 신용 보증기금 서비스 모듈(500)로 전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담보 CRD 수량 정보 및 사용요율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복수의 사용자의 상기 CRD 제공 정보가 상기 상품 설계정보에 입력되면, 블록 체인 기반으로 미리 설정된 스마트 컨트랙트 로직에 따라, 가장 적합한 최적 CRD 담보 및 사용요율이 결정될 수 있다.
중개기관 단말(200)은 상품 설계에 대응하는 채권에 대해 보증된 CRD 담보 및 사용요율에 기초한 LQD 대여 청약서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임대 신청에 대한 담보는 중개기관 단말(200)에서도 제공할 수 있는 바, 상품 설계 정보 최초 생성 시점에서의 담보로 제공된 CRD는 100% 상기 중개기관 단말(200)에서 제공한 것일 수 있다.
이러한 담보 제공자 단말(350)은 자신의 신용 가상화폐 CRD를 담보로, 유동성 제공자 단말(300)로부터 제공된 유동성 가상화폐 LQD가 유동성 대여자 단말(100)에 임대되면, 그 대여 사용료가 LQD로 지불되는 동안 일부에 대응하는 임대 사용료로서, CRD 담보 사용료를 지급받을 수 있다. 또한, 임대 만기시점에는 시스템 기여 보상으로서 신용 가상화폐 CRD를 블록 체인 네트워크로부터 추가적으로 발행받을 수 있다.
또한, 유동성 제공자 단말(300)도 LQD의 임대를 유동성 대여자 단말(100)로 제공함에 대응하는 수수료를 수수할 수 있으며, 시스템 기여 보상을 CRD로 획득할 수 있다. 이러한 금액 및 보상의 지급은 블록 체인 네트워크 기반의 전자지갑을 통해 처리될 수 있다.
한편, 유동성 제공자 단말(300)은 임대 종료 기간 이내에 유동성 가상화폐 LQD의 임대 기간 동안 회수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만약 디폴트가 발생한 경우, 신용 보증기금 서비스 모듈(500)은 상기 담보로 제공된 CRD의 사용료로서 발생되는 LQD를 상기 유동성 제공자 단말(300)로 분할 지급할 수 있으며, 상기 담보로 제공된 CRD는 담보 제공자 단말(350)로 제공되는 일정 유예기간 이후 인수 처리하여 보증기금에 저장 및 관리하는 디폴트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반면, 정상 임대 만기시에는 플랫폼 기여도에 따른 신용 가상화폐 CRD가 담보 제공자 단말(350)로 지급될 수 있다.
또한, 유동성 대여자 단말(100)의 임대 사용 및 반납 또한 플랫폼 기여에 해당하는 바, 반납 완료된 후 상기 임대 사용에 대응하는 보상 CRD가 상기 유동성 대여자 단말(100)로 지급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신용 가상화폐 CRD 는 프로세스 완료의 보상으로서 모든 플랫폼 기여자에게 지급될 수 있는 바, 청약, 임대 및 담보 제공을 수행함에 따른 다양한 프로세스별로 각각 지급될 수 있다.
한편, 신용 보증기금 서비스 모듈(500)은 유동성 가상화폐 LQD와 신용 가상화폐 CRD의 가치 조절을 처리하는 시스템 제어 노드 단말일 수 있다. 특히 신용 보증기금 서비스 모듈(500)은 기준 시장의 가격에 따라 보증 수수료 및 사용요율을 조절하는 관리자 단말일 수 있으며, 담보된 보증 자산에 의한 CRD 가치를 일정 수준으로 높임으로써 담보 제공자 단말(350)의 자산 제공 참여와, 전체적인 대출량 증가를 유도할 수 있다. 또한, 신용 보증기금 서비스 모듈(500)은 디폴트 청산 처리에 따른 CRD의 회수에 의해 수익 분배가 가능한 CRD의 수량을 조절하여 가상화폐 기반 대여 시스템의 디폴트 저항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신용 보증기금 서비스 모듈(500)은 LQD의 유통량 조절 기능을 구비할 수 있으며, 플랫폼 서비스 초기에는 일정 초기 기간동안의 확장채권 기준 가상화폐 발행을 처리하여 초기 유동성 공급량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초기 기간에는 대여자 부족을 방지하고 채권 수익률을 상승시키기 위해 신용 보증기금 서비스 모듈(500)은 직접 보증된 채권의 일부를 인수 처리함으로써, 유동성 대여자에 대한 LQD의 실효 수익율을 높여 유동성 대여자의 참여를 유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대출잔액은 시간의 흐름에 따라 점차적으로 증가하게 됨으로써, 대출 채권의 수익율향상을 유지하면서도 금융 리스크는 점차 출여나갈 수 있게 된다.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담보 제공 및 대여 청약 프로세스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대여 신용 담보 요청을 위한 상품 설계정보 처리 프로세스로서, 예를 들어 대여 크레딧 오라클 프로세스를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한 것으로, 중개 기관의 대여 신용 담보 요청이 상품 설계정보인 크레딧 오라클의 형태로 중개기관 단말(200)로부터 하나 이상의 담보 제공자 단말(350)로 제공되면(S201), 각 담보 제공자 단말(350)은 이자율과 담보제공할 CRD를 더치 옥션 방식으로 베팅하기 위한 베팅정보를 상기 크레딧 오라클로 입력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크레딧 오라클은 LQD 대여 신청자의 신청정보를 포함하는 상품 설계정보를 담보 제공자 단말(350)로 제공하고, 담보 제공을 원하는 사용자의 상기 담보 제공자 단말(350)로부터 제공하고자 하는 CRD 및 사용요율을 신청받아, 최적의 CRD 담보 설정 및 사용요율을 결정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프로세스를 실행하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모듈일 수 있으며, 대여 중개기관 단말(200)에서 실행되어 그 처리정보가 출력될 수 있다. 상기 크레딧 오라클은 블록 체인 네트워크의 스마트 컨트랙트 형태로 미리 저장 및 공유될 수 있다.
이후, 중개기관 단말(200)은 크레딧 오라클 입력 및 처리에 따른 최적의 CRD 사용요율별 대여 가능 LQD 수량표를 획득하며, 이에 대응하는 담보제공자로부터 신용 보증기금 서비스 모듈(500)에 의해 보증된 사용요율 및 제공량 정보를 확인하기 위한 확인 요청을 담보 제공자 단말(350)로 전송한다(S203).
이에 따른 동의 확인에 따라, 중개기관 단말(200)은 각 담보 제공자 단말(350)에서 제공된 담보에 대해 신용 보증기금 서비스 모듈(500)에서 보증된 CRD와, 이에 대한 상기 사용요율별 대여 가능 LQD 수량표를 포함하는 대여 청약서를 생성할 수 있으며(S205), 생성된 대여 청약서는 마켓 네트워크에 공개될 수 있다.
이러한 CRD 담보 설정에 따라, LQD 대여의 미 상환시에도 CRD 보유자에게 분배되는 플랫폼 보상 LQD에 의해, LQD 대여자인 유동성 제공자 단말(300)의 손실이 100%보전 가능하며, 대여 상환 완료시에는 담보된 CRD가 다시 담보 제공자 단말(350)로 회수 가능한 선순환 프로세스가 제공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대여 청약서를 예시한 도면으로, 대여 청약서는 하나 이상의 청약 네트워크 운용 단말(400)을 통해 형성된 청약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통해 중개기관 단말(200)로부터 공유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대여 청약서는 블록 체인으로 구성된 청약 네트워크의 표준 프로토콜로 기술된 스마트 계약일 수 있으며, LQD 유동성 공급자인 유동성 제공자 단말(300)은 대여가 상환되지 않더라도 대여 LQD에 대응한 담보 CRD에 대해 지급되는 플랫폼 기여 보상 LQD를 통해 일정 기간 이후 100%회수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대여 청약서는, 유동성 제공자 정보, 이를 위한 LQD 상환 스케쥴, 담보 CRD 수량(신용기금의 채권 보증 정보 포함), LQD 사용요율, 대여 수량, 발행 중개기관 정보 및 기준환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 7을 참조하면, 유동성 대여자 단말(100)의 대여 신청에 따른 대여 프로세스를 도시한 것으로, 먼저 중개기관 단말(200)은 유동성 대여자 단말(100)로부터 LQD 대여 신청 정보를 수신한다(S101).
여기서, 상기 유동성 대여자 단말(100)은 복수의 대여 중개기관 중 자신에게 최적인 중개기관을 선택하고, 선택된 중개기관에 대응하는 중개기관 단말(200)로 LQD 대여 신청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중개기관 단말(200)은 상기 대여 신청 정보에 대응하는 신원 인증 정보 및 대여 근거서류를 상기 유동성 대여자 단말(100)로부터 수집한다(S103).
중개기관 단말(200)은 신원 인증 정보 및 근거서류에 따른 검증 프로세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신청 내용과 검증 내용은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각 사용자 단말에서 출력될 수 있다.
이후, 중개기관 단말(200)은 하나 이상의 담보제공자로부터 CRD에 기반한 채권 보증을 수행하기 위한 중개기관 채권 보증 요청을 신용 보증기금 서비스 모듈(500)로 등록한다(S105).
이를 위해, 중개기관 단말(200)은 신용 보증기금 서비스 모듈(500)로 하나 이상의 담보 제공자 단말(350)로 신청 정보 및 검증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이는 블록 체인 기반의 스마트 계약 포맷으로 제공될 수 있고, 담보 제공자 단말(350)로 배포될 수 있다. 담보 제공자 단말(350)에서는 적절한 자신의 사용요율과 신용 가상화폐 CRD를 정하여 상기 스마트 계약 포맷에 입력함으로써, 채권 발행액에 대응하는 담보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담보 제공자 단말(350)은 중개기관 단말(200)로부터 제공된 정보의 진위나 가치에 대한 평가를 수행할 수 있으며, 신용 보증기금 서비스 모듈(500)은 평가능력이 높은 담보 제공자 단말(350)의 사용자가 리스크를 더 많이 감수 할 수 있도록 하는 입찰 프로세스를 스마트 계약 포맷의 프로세스에 포함시켜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가장 높은 담보액 대비 채권 발행액 비율로 보증하려는 담보 제공자 단말(350)의 담보 CRD가 신용 보증기금 서비스 모듈(500)로 전달될 수 있으며, 보증 담보 제공자 단말(350) 사용자는 중개기관 채권 발행의 보증자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신용 보증기금 서비스 모듈(500)은 담보액 대비 채권 발행액 비율이 높을 수록, 신용 보증기금 서비스 모듈(500)로 지급되는 보증 수수료율 중 기본 보증 수수료 비율을 높게 설정하여 보증 참여를 유도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이러한 스마트 계약 포맷을 크레딧 오라클(CREDIT ORACLE)이라고 할 수 있으며, 크레딧 오라클에 의해 정의된 로직 프로세스에 따라, 중개기관 단말(200)은 담보 제공자들의 CRD 담보 제공 사용요율과, LQD 대여시의 사용요율과, 중개기관 수수료를 결정하고, 신용 보증기금 서비스 모듈(500)의 보증 프로세스 수행 및 보증 수수료를 지불하며, CRD로 보증된 채권에 기반한 대여 청약서 발행 제안서를 생성하여 유동성 대여자 단말(100)로 전송할 수 있다(S107)
그리고, 유동성 대여자 단말(100)의 동의 수신에 따라, 대여 청약서는 청약 마켓 네트워크에 발행 및 공개된다(S109, S111).
이에 따라, 대여 청약을 열람한 유동성 제공자 단말(300)에서의 LQD 임대가 결정되고, 유동성 대여자 단말(100)에서 승인되는 경우, 계약 체결에 따라 전술한 LQD 임대 및 상환 프로세스 및 신용 가상화폐 CRD의 보상 프로세스가 처리될 수 있다.
한편, 도 9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중개기관 단말, 담보 제공자 단말, 유동성 제공자 단말, 유동성 대여자 단말 및 신용 보증기금 서비스 모듈의 구성을 보다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먼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중개기관 단말(200)은 유동성 대여자의 신청 정보 수신 및 관리, 임대 상품 설계를 위한 상품 설계정보의 제공과, 상품 설계정보에 대응하는 신용 보증기금 서비스 모듈(500)로의 채권 보증 요청, 담보 설정에 따라 보증된 채권의 대여 청약서의 생성 및 대여 청약서에 기초한 유동성 제공자의 유동성 대여 프로세스를 처리하기 위해, 제어부(230), 통신부(220), 사용자 입력부(240), 메모리(250) 및 중개기관 서비스 부(210)를 포함한다.
통신부(220)는 단말(200)과 블록 체인 네트워크 사이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220)는 이동통신 모듈, 무선 인터넷 모듈, 근거리 통신 모듈 또는 유선 통신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통신부(220)는 유동성 대여자 단말(100)로부터 LQD의 임대를 위한 임대 신청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수신된 임대 신청정보를 포함하는 상품 설계정보에 대응한 신용 보증기금 서비스 모듈(500)의 보증 요청을 통해, 하나 이상의 담보 제공자 단말(350)로부터 CRD 지급에 의해 보증된 채권 보증 정보를 신용 보증기금 서비스 모듈(500)로부터 수신할 수 있고, CRD 담보 제공에 의해 보증된 대여 청약서 정보를 유동성 대여자 단말(100)로 전송하여 이에 대응하는 동의 정보를 수신할 수 있고, 상기 동의 정보 수신에 대응하는 대여 청약서 정보를 청약 마켓 네트워크 운용 단말(400)로 전달할 수 있으며, 상기 대여 청약서 정보에 대응하는 유동성 제공자 단말(300)의 유동성 제공 정보를 수신할 수 있고, 수신된 유동성 제공 정보에 따른 유동성 가상화폐 LQD의 처리 정보를 상기 유동성 대여자 단말(100)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 입력부(240)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인터페이스 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240)는 중개기관 단말(200)에서의 상품 설계정보의 생성, 상품 설계정보에 대응하는 신용 보증기금 서비스 모듈(500)로의 채권 보증 요청, 보증된 대여 청약서 생성 및 등록을 위한 하나 이상의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여, 필요한 프로세스를 처리할 수 있다.
제어부(230)는 1차적으로는 통상적인 단말(2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블록 체인 네트워크로부터 수신되는 분산 거래 정보의 저장 및 처리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30)는 중개기관 서비스부(210)의 중개기관 서비스 처리를 위한 처리 정보와, 상기 가상화폐 또는 암호 화폐의 거래 정보가 입력된 경우 상기 블록 체인 네트워크로 거래 정보의 승인을 요청하는 거래 정보의 처리를 제공할 수 있다. 중개기관 서비스부(210)에서 처리되는 대여 서비스 및 가상 화폐 거래 정보는, 상기 블록 체인 네트워크상에 공유된 거래 장부 데이터에 스마트 컨트랙트(SMART CONTRACT)와 같은 코드 형태로서 사전 등록될 수 있으며, 이에 따른 위변조는 방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중개기관 단말(200)은 중개기관 서비스부(210)에서 처리되는 대여 서비스 및 가상 화폐 거래 정보에 따라, 전술한 유동성 대여자의 신청 정보 수신 및 관리, 임대 상품 설계에 따른 상품 설계정보의 제공과, 상품 설계정보에 대응하는 채권 보증 요청 및 보증에 따른 담보 설정, 담보 설정에 따라 보증된 대여 청약서의 생성 및 대여 청약서에 기초한 유동성 제공자의 유동성 대여 프로세스를 처리하기 위한 중개기관 서비스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중개기관 서비스부(210)는, 가상화폐 관리부(211), 임대 상품 설계부(212), 라이선스 관리부(213), 대여 청약 처리부(214) 및 계약 실행부(214)를 포함한다.
가상화폐 관리부(211)는 신용 가상화폐 CRD 및 유동성 가상화폐 LQD를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
여기서, 가상화폐 관리부(211)에서 관리되는 신용 가상화폐 CRD는 중개기관이 라이센싱 및 담보 제공을 위해 보유한 CRD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플랫폼 보상으로서 획득되는 신용 가상화폐 CRD 또한 상기 가상화폐 관리부(211)에 의해 저장 및 관리될 수 있다. 다만, 담보 설정에 의해 보증된 CRD는 신용 보증기금 서비스 모듈(500)에서 미리 설정된 기간 동안 관리될 수 있으며, 신용 보증기금 서비스 모듈(500)은 디폴트 발생시 담보 제공자 단말(350)로 제공되는 일정 유예기간 이후 이를 인수하고 보증 대상 채권 정보를 소각 처리할 수 있다.
또한, 가상화폐 관리부(211)는 유동성 가상화폐 LQD는 대여 청약서에 대응하는 대여 계약 체결 및 대여 프로세스 수행에 따라, 사용료로서 획득되는 LQD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할 수도 있다.
한편, 임대 상품 설계부(212)는 유동성 제공자 단말(100)로부터 수신되는 LQD 임대 신청 정보에 기초하여, 상품 설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임대 신청 정보는 유동성 제공자 단말(100)에서 수신된 임대 사용자의 필요 LQD 수량 정보, 용도 정보, 사용자 정보, 신용 정보, 기준 화폐 정보 및 인증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품 설계 정보는 상기 임대 신청 정보를 포함하며, 임대 기간, 단위 임대 금액, 기준 화폐 정보 및 임대 총액 제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품 설계 정보는 신용 보증기금 서비스 모듈(500)로 제공될 수 있으며, 하나 이상의 담보 제공자 단말(350)로 배포될 수 있다. 담보 제공자 단말(350)은 상기 상품 설계 정보에 대응하는 보증 CRD를 신용 보증기금 서비스 모듈(500)로 제공할 수 있다. 상품 설계 정보에 대응하는 CRD 담보 제공이 완료되면, 채권 보증 정보가 임대 상품 설계부(212)로 전달될 수 있고, 채권 보증 정보에 따라 대여 청약서의 보증된 CRD 담보 및 사용요율이 결정될 수 있다. 보증된 CRD 담보 제공 정보 및 사용요율 정보는 대여 청약 처리부(214)로 전달될 수 있다.
대여 청약 처리부(214)는 상기 CRD 담보 제공 정보 및 사용요율 정보와, 상품 설계 정보에 기초하여, 대여 청약서를 생성하며, 생성된 대여 청약서는 청약 마켓 네트워크 운용 단말(400)로 전송되어 청약 마켓 네트워크상에 등록될 수 있다. 그리고, 대여 청약서는 유동성 제공자 단말(300)에서 출력될 수 있으며, 유동성 제공자 단말(300)로부터 수신된 LQD 제공 정보에 따라, 대여 청약서에 대응하는 임대 계약이 체결 될 수 있다.
그리고, 계약 실행부(215)는 LQD 제공 정보가 수신되면, 계약 체결에 따른 임대 계약 프로세스를 실행한다. 계약 실행부(215)는 유동성 제공자 단말(300)의 LQD 제공 정보 수신 및 유동성 대여자 단말(100)의 승인 정보 수신에 따라, 대여 청약서의 신용 가상화폐 CRD를 담보로 하는 유동성 가상화폐 LQD의 임대 계약이 체결되도록 처리할 수 있으며, 계약에 따른 유동성 가상화폐 LQD의 임대 계정 관리, 거래 정보 처리 및 회수 처리를 수행하며, 사용료 분배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보상 처리부(216)는 대여 청약서에 대응하는 계약의 체결과, 임대가상화폐의 회수 완료에 따른 시스템 기여 보상을, 신용 가상화폐 CRD로서 상기 블록 체인 네트워크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
한편, 라이선스 관리부(213)는 청약 마켓 네트워크로부터 주기적으로 라이선스 갱신을 취득하고, 이에 따른 취급가능 대출 규모 및 조건을 업그레이드받을 수 있는 바, 그 조건 등급은 가상화폐 관리부(211)의 보유 신용 가상화폐 CRD의 양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라이선스는 미회수율(디폴트시 LQD 미회수율) 측정이나 취급 조건 변경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회수 기간, 단위금액, 총액 등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중개기관 단말(200)은 청약 마켓 네트워크에 대한 중개기관 라이센스 신청, 또한, 중개기관 단말(200)은 라이센스 코드로서, 청약 마켓 네트워크의 전자서명용 암호키 등을 발급받을 수 있으며, 이를 이용한 중개기관 개설 및 영업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메모리(250)는 전술한 중개기관 서비스부(210)의 동작 및 제어부(230)의 처리를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 및 프로세스를 저장 및 관리하는 하나 이상의 기록매체 또는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담보 제공자 단말(350)은 제어부(353), 통신부(352), 사용자 입력부(354), 메모리(355) 및 담보 관리 서비스부(351)를 포함한다.
통신부(352)는 단말(350)과 블록 체인 네트워크 사이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320)는 이동통신 모듈, 무선 인터넷 모듈, 근거리 통신 모듈 또는 유선 통신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통신부(352)는 중개기관 단말(200)에 접속하여, 상기 중개기관 단말(200)로부터 제공된 상품 설계 정보에 대응하는 보증 평가 및 제공 요청을 신용 보증기금 서비스 모듈(500)로부터 수신할 수 있으며, 수신된 상품 설계 정보에 대응하는 담보 제공정보를 신용 보증기금 서비스 모듈(500)로 전송할 수 있고, 담보 제공 또는 담보 예치를 위한 CRD 가상화폐의 거래 정보를 신용 보증기금 서비스 모듈(500)로 전송할 수 있으며, 담보 제공에 대응하는 LQD 가상화폐의 사용료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354)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인터페이스 모듈을 구비할 수 있으며, 특히 사용자 입력부(354)는 상품 설계 정보 수신에 대응하는 담보 제공정보를 입력받아 담보 관리 서비스부(351)로 전달할 수 있다. 여기서, 담보 제공정보는 담보로 제공하고자 하는 담보 CRD 수량 정보, 담보 제공자 정보 및 사용요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353)는 통상적인 단말(35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블록 체인 네트워크로부터 수신되는 분산 거래 정보의 저장 및 처리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53)는 담보 관리 서비스부(351)의 담보 관리 서비스 처리를 위한 처리 정보와, 상기 가상화폐 또는 암호 화폐의 거래 정보가 입력된 경우 상기 블록 체인 네트워크로 거래 정보의 승인을 요청하는 거래 정보의 처리를 제공할 수 있다. 담보 관리 서비스부(351)에서 처리되는 대여 서비스 및 가상 화폐 거래 정보는, 상기 블록 체인 네트워크상에 공유된 거래 장부 데이터에 스마트 컨트랙트(SMART CONTRACT)와 같은 코드 형태로서 사전 등록될 수 있으며, 이에 따른 위변조는 방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담보 제공자 단말(350)은 담보 관리 서비스부(351)에서 처리되는 대여 서비스 및 가상 화폐 거래 정보에 따라, 담보 관리 서비스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담보 관리 서비스부(351)는, 가상화폐 관리부(3511), 중개기관 연동부(3512), 담보 관리부(3513) 및 보상 처리부(3016)을 포함한다.
가상화폐 관리부(3511)는 담보 제공자가 소지한 신용 가상화폐 CRD를 저장 및 관리할 수 있으며, CRD가 담보로 제공됨에 따라 획득되는 사용료 LQD 및 플랫폼 기여 보상으로 지급되는 CRD를 각각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
그리고, 신용보증 기금 서비스 연동부(3512)는 중개기관 단말(200)로부터 신용 보증기금 서비스 모듈(500)를 통해 수신되는 보증 요청의 연동 처리를 수행하여, 중개기관 단말(200)의 상품 설계정보에 따른 신용 보증기금 서비스 모듈(500)의 보증 요청을 수신 및 출력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신용보증 기금 서비스 연동부(3512)는 상품 설계 정보의 열람 처리를 수행할 수 있으며, 열람 중 담보 CRD의 제공 신청을 위해 사용자 입력부(354)에서 입력된 담보 제공 정보를,신용보증 기금 서비스 연동부(3512)로 전송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신용보증 기금 서비스 연동부(3512)는 중개기관 단말(200)로부터 제공된 대여 신청 정보 및 검증 정보를 포함하는 상품 설계정보를 신용 보증기금 서비스 모듈(500)로부터 제공받을 수 있으며, 이는 블록 체인 기반의 스마트 계약 포맷으로 제공될 수 있고, 사용자는 사용자 입력부(354)를 통해, 적절한 자신의 사용요율과 신용 가상화폐 CRD를 정하여 상기 스마트 계약 포맷에 입력할 수 있다.
상기 스마트 계약에 의해 정의된 로직 프로세스에 따라, 최적의 담보 CRD 수량 및 사용요율이 결정되면, 신용 보증기금 서비스 모듈(500)은 중개기관 단말(200)에 CRD에 기반한 보증 채권 정보를 전달할 수 있으며, 중개기관 단말(200)은 담보 제공자들의 사용요율과, LQD 사용요율과, 중개기관 수수료를 결정하고, 이에 대응하는 대여 청약서를 발행할 수 있고, 이에 대응한 계약이 체결될 수 있다.
계약이 체결되면, 담보 제공부(3513)는 가상화폐 관리부(3511)에서 관리되는 CRD 중 상기 대여 청약서에 의해 설정된 담보 CRD 수량에 대한 신용 보증기금 서비스 모듈(500)로의 담보 제공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담보 제공된 CRD는 신용 보증기금 서비스 모듈(500)에 유지되며, 담보 제공자가 임의로 거래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CRD는 신용 보증기금 서비스 모듈(500)로의 제공 및 신용 보증기금 서비스 모듈(500)에서의 처리만 가능하며, 네트워크 내 다른 개별 단말 간 거래는 불가능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담보 제공 이후에는 중개기관 단말(200)에 의해, 유동성 제공자 단말(300) 및 유동성 대여자 단말(100)간 LQD의 지급 처리가 수행되며, 담보 제공부(3513)는 지급된 LQD의 반환이 완료된 경우, 신용 보증기금 서비스 모듈(500)로 담보로 제공된 CRD를 다시 회수하여 가상화폐 관리부(3511)로 전달할 수 있다.
다만, 미리 설정된 담보 기간이 경과된 경우 반환되지 않은 LQD에 대응하는 CRD는 신용 보증기금 서비스 모듈(500)에서 인수 처리될 수 있으며, 담보 제공부(3513)는 인수 이전에 설정된 일정 유예기간 동안, 반환되지 않은 LQD 지불에 따른 회수 처리가 가능함을 알리는 정보를 사용자에게 출력하고, 상기 유예기간 이내에 사용자 입력에 따른 LQD 지불요청 정보가 획득되는 경우, 상기 LQD를 신용 보증기금 서비스 모듈(500)로 전송하고, 상기 CRD는 회수하는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한편, LQD 대여 및 반환 완료시 CRD의 담보 제공에 따른 대출 시스템 기여도를 CRD로서 보상받을 수 있으며, 보상 처리부(3516)는 블록 체인 네트워크로부터 보상된 CRD를 수령하여 가상화폐 관리부(3511)로 전달할 수 있다.
한편, 메모리(355)는 전술한 담보 관리 서비스부(351)의 동작 및 제어부(353)의 처리를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 및 프로세스를 저장 및 관리하는 하나 이상의 기록매체 또는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 11은 유동성 제공자 단말(300)을 도시한 것으로,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유동성 제공자 단말(300)은 제어부(303), 통신부(302), 사용자 입력부(304), 메모리(305) 및 유동성 서비스부(301)를 포함한다.
통신부(302)는 단말(300)과 블록 체인 네트워크 사이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320)는 이동통신 모듈, 무선 인터넷 모듈, 근거리 통신 모듈 또는 유선 통신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302)는 청약 마켓 네트워크 운용 단말(400)에서 운용되는 청약 마켓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중개기관 단말(200)에서 발행 및 등록된 대여 청약서 열람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302)는 대여 청약서에 대응하는 유동성 제공 정보를 수신하여 중개기관 단말(200)로 전송할 수 있으며, 대여 청약서의 계약 체결에 대응하는 LQD 거래 정보를 유동성 대여자 단말(100)로 전송할 수 있고, 이에 대응하는 LQD 임대 사용료 및 LQD 반환 거래 정보를 유동성 대여자 단말(1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304)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인터페이스 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입력부(304)는 대여 청약서의 선택 열람 및 LQD 제공 승인을 위한 하나 이상의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303)는 통상적인 단말(3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블록 체인 네트워크로부터 수신되는 분산 거래 정보의 저장 및 처리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03)는 유동성 서비스부(301)의 유동성 서비스 처리를 위한 처리 정보와, 상기 가상화폐 또는 암호 화폐의 거래 정보가 입력된 경우 상기 블록 체인 네트워크로 거래 정보의 승인을 요청하는 거래 정보의 처리를 제공할 수 있다. 유동성 서비스부(301)에서 처리되는 대여 서비스 및 가상 화폐 거래 정보는, 상기 블록 체인 네트워크상에 공유된 거래 장부 데이터에 스마트 컨트랙트(SMART CONTRACT)와 같은 코드 형태로서 사전 등록될 수 있으며, 이에 따른 위변조는 방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유동성 제공자 단말(300)은 유동성 서비스부(301)에서 처리되는 대여 서비스 및 가상 화폐 거래 정보에 따라, 유동성 제공 서비스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유동성 서비스부(301)는, 가상화폐 관리부(3011), 마켓 연동부(3012), 대여 청약 승인부(3014), 계약 실행부(3015) 및 보상 처리부(3016)을 포함한다.
가상화폐 관리부(3011)는 유동성 제공자가 소지한 유동성 가상화폐 LQD를 저장 및 관리할 수 있으며, 대여 청약서의 계약 체결에 따라, 유동성 대여자 단말(100)로 지급 처리할 수 있다.
그리고, 마켓 연동부(3012)는 유동성 서비스부(301)가 청약 마켓 네트워크에 접속하게 하며, 복수의 중개기관 단말들에서 청약 마켓 네트워크에 발행 및 등록한 대여 청약서 정보를 열람하기 위한 열람 정보의 수신 및 출력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대여 청약서에는 LQD 제공자, 상환 스케쥴, 담보 CRD 량, LQD 사용요율, 대여 수량, 기준 화폐 정보 및 발행 중개기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대여 청약 승인부(3014)는 사용자 입력부(304)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 입력에 따라 선택된 대여 청약에 대한 유동성 가상화폐 LQD 제공 승인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후, 계약 실행부(3015)는, 계약 실행에 따라, 중개기관 단말(200)로 LQD 제공 정보를 전달할 수 있으며, 중개기관 단말(200)의 대여 프로세스 수행에 의해 요청된 유동성 가상화폐 LQD를 유동성 대여자 단말(100)의 전자지갑으로 지급하게 할 수 있다. 또한, 계약 실행부(3015)는 유동성 대여자 단말(100)로부터 반환되는 LQD 및 임대 사용료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하며, 이를 위해 가상화폐 관리부(3011)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임대 만료 시점까지 LQD가 반환되지 않은 경우, 계약 실행부(3015)는, 담보로 제공된 CRD의 신용 사용료로서 청약 마켓 네트워크로부터 담보 제공자 단말(350)로 지급될 LQD를, 일정 기간동안 유동성 제공자 단말(300)에서 획득하게 처리함에 따라, 일정 기간이 도달하는 시점에 100% 보전받을 수 있다.
또한, 임대 만기시점에 보상 처리부(3016)는 시스템 기여 보상으로서 신용 가상화폐 CRD를 블록 체인 네트워크로부터 추가적으로 발행받을 수 있다.
한편, 메모리(305)는 전술한 유동성 서비스부(301)의 동작 및 제어부(303)의 처리를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 및 프로세스를 저장 및 관리하는 하나 이상의 기록매체 또는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 12는 유동성 대여자 단말을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유동성 대여자 단말(100)은 대여 처리부(110), 통신부(120), 제어부(130), 사용자 입력부(140) 및 메모리(150)를 포함한다.
통신부(120)는 단말(100)과 블록 체인 네트워크 사이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120)는 이동통신 모듈, 무선 인터넷 모듈, 근거리 통신 모듈 또는 유선 통신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통신부(120)는 LQD 대여 신청 정보를 중개기관 단말(200)로 전송하고, 대여 신청 정보에 대응하는 대여 청약서 발행 정보를 수신하여, 이에 대응하는 동의 정보를 전송하며, 대여 청약서에 대응하는 계약 체결에 따른 LQD 지급 거래 정보를 유동성 제공자 단말(300)로부터 수신하고, LQD 반환 거래 정보를 유동성 제공자 단말(300)로 전송하며, 사용료 정보를 중개기관 단말(200), 유동성 제공자 단말(300) 또는 담보 제공자 단말(350)로 전송한다.
사용자 입력부(140)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인터페이스 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입력부(140)는 LQD 임대 신청을 위한 임대 신청정보를 입력받거나, 대여 청약서에 대한 동의 정보를 입력받거나 또는 반환을 위한 LQD 거래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제어부(130)는 통상적인 단말(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블록 체인 네트워크로부터 수신되는 분산 거래 정보의 저장 및 처리를 제공할 수 있다.또한, 제어부(130)는 대여 처리부(110)의 대여 서비스를 위한 처리 정보와, 상기 가상화폐 또는 암호 화폐의 거래 정보가 입력된 경우 상기 블록 체인 네트워크로 거래 정보의 승인을 요청하는 거래 정보의 처리를 제공할 수 있다. 대여 처리부(110)에서 처리되는 대여 서비스 및 가상 화폐 거래 정보는, 상기 블록 체인 네트워크상에 공유된 거래 장부 데이터에 스마트 컨트랙트(SMART CONTRACT)와 같은 코드 형태로서 사전 등록될 수 있으며, 이에 따른 위변조는 방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유동성 대여자 단말(100)은 대여 처리부(110)에서 처리되는 대여 서비스 및 가상 화폐 거래 정보에 따라 각 단말에서의 대여 서비스 정보 처리 프로세스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대여 처리부(110)는 중개기관 단말(200)에 접속하여, 중개기관 단말(200)로 대여 신청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대여 신청정보에 대응하는 CRD가 담보된 대여 청약서 발행 제안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제안정보에 대응하는 동의 정보를 상기 중개기관 단말(200)에 제공하며, 상기 대여 청약서가 마켓 네트워크에 발행되면, 대여 청약서에 대응하는 계약 체결에 의해, LQD를 임대 지급받고, 사용료 납부 및 환급하는 프로세스를 제공하며, 환급 완료에 따른 CRD를 보상으로서 수신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대여 처리부(110)는 사용자 입력부(140)를 통해 대여 신청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대여 신청 정보는 예를 들어, 임대 사용자의 필요 LQD 수량 정보, 용도 정보, 사용자 정보, 신용 정보 및 인증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필요 LQD 수량 정보는 다른 화폐로 변환된 액수로부터 산출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필요 비트코인 수량 정보가 입력된 경우, 입력된 비트코인 수량 정보를 LQD로 환전한 수량이 필요 LQD 수량 정보로 결정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입력된 대여 신청 정보는 중개기관 단말(200)을 통해 전술한 담보 제공자 단말(350)로 제공될 수 있으며, 담보 CRD 제공 설정에 의해, 임대 청약서 발행 제안서가 생성될 수 있다.
임대 청약서 발행을 위해, 대여 처리부(110)는 중개기관 단말(200)로부터 발행 제안서 정보(발행 중개기관 정보, 금액 정보, 사용료율 정보, 디폴트시 LQD 분할 회수 기간 정보)를 수신하여 출력할 수 있으며, 대여 처리부(110)는 사용자 입력부(140)를 통해 입력된 동의 정보를 중개기관 단말(200)로 전송토록 처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청약 마켓 네트워크로 상기 동의된 임대 청약서가 발행될 수 있다.
이후, 대여 처리부(110)는 중개기관 단말(200)로부터 유동성 제공자 단말(300)의 LQD 제공 정보를 수신하고, 이에 따른 사용자 승인 입력에 따라 가 결 및 계약 체결이 결정될 수 있다. 임대가 결정되면, 대여 처리부(110)는 전자지갑을 통해 유동성 가상화폐 LQD의 지급을 처리할 수 있다. 그리고, 대여 처리부(110)는 임대 종료 기간 이내에 유동성 가상화폐 LQD의 임대 기간 동안 상환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만약 기간 도과에 의한 디폴트가 발생한 경우, 미상환에 의한 불리한 신용 이력이 청약 마켓 네트워크의 블록 체인상에 기록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별도의 중앙 서버 없이도, 용도가 검증 가능한 암호 화폐의 분산 처리가 일반 거래와 함께 제공됨으로써, 익명성은 유지하면서도 사용처에 따른 사회적 부작용과 횡령 등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암호 화폐의 거래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신용 보증기금 서비스 모듈 단말을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신용 보증기금 서비스 모듈 단말(500)은, 신용보증 기금 서비스 모듈 처리부(510), 통신부(520), 제어부(530), 사용자 입력부(540) 및 메모리(550)를 포함한다. 그리고, 신용 보증기금 서비스 모듈 처리부(510)는 채권 보증 처리부(511), 디폴트 처리부(512), 담보 자산 관리부(513), 가상화폐 관리부(514), 준비금 관리부(151), 안정성 관리부(516)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통신부(520)는 단말(500)과 블록 체인 네트워크 사이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520)는 이동통신 모듈, 무선 인터넷 모듈, 근거리 통신 모듈 또는 유선 통신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520)는 중개기관 단말(200)로부터 수신되는 대여 청약의 보증 요청 정보를 하나 이상의 담보 제공자 단말(350)로 전달하며, 담보 제공자 단말(350)로부터 수신되는 보증 평가자들의 담보 CRD 정보를 수신하여 가상화폐 관리부(514)로 전달하고, 보증이 완료된 채권의 보증 정보를 중개기관 단말(2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송수신되는 채권 보증 정보 및 담보 CRD 정보는 신용 보증기금 서비스 모듈 처리부(510)에서 저장 관리될 수 있으며, 채권 보증에 따른 유동성 가상 화폐 LQD 기반의 소정의 보증 수수료가 각 참여자 단말들로부터 수신 처리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신용 보증기금 서비스 모듈 처리부(510)는 중개기관 단말(200)로부터 제공된 대여 청약의 채권 보증 프로세스를 수행할 수 있으며, 보증된 채권의 양도, 환매 또는 소각 처리를 수행할 수 있고, 담보로 제공된 CRD 자산의 보유, 디폴트 발생시의 디폴트 처리, CRD 인수 또는 담보 제공자 단말(350)로의 환수 처리를 제공할 수 있으며, 유동성 가상화폐 LQD 및 신용 가상화폐 CRD 수량 및 가치에 기반한 준비금 관리와 안정성 관리를 통해 전체적인 가상화폐 시스템의 디폴트 저항성을 높이고, 참여자들의 활동을 유도하는 시스템 제어 노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먼저 채권 보증 처리부(511)는 전술한 중개기관 단말(200)에서 생성되는 보증 요청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보증 요청 정보는, 중개기관 단말(200)에서 설계될 상품에 대응하는 대여 청약 채권의 발행 정보, 기준화폐 정보, 금액 정보, 만기 정보, 보증 수수료율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채권 보증 처리부(511)는 하나 이상의 담보 제공자 단말(350)로 상기 보증 요청 정보를 배포하고, 보증자 유치를 위한 보증 평가 및 보증 제공 요청 정보를 담보 제공자 단말(350)로 전달할 수 있다. 각 담보 제공자 단말(350)들은 채권 보증 처리부(511)에 의해 실행된 스마트 컨트랙트 기반의 프로세스에 의해, 수수료 분배비율(플랫폼 전체 보증자 대비 개별 채권 발행 보증자의 수수료 비율) 정보와, 담보 CRD 대비 채권 발행액 비율 정보를 입력하여, 경매 입찰에 참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가장 높은 담보액 대비 채권 발행액 비율로 보증하는 담보 제공자 단말(350)이 채권 발행의 보증자로 선정 될 수 있으며, 이에 대응하는 수수료 분배비율이 결정될 수 있다.
이후, 채권 보증 처리부(511)는 담보 제공자 단말(350)이 선정되면, 담보 제공자 단말(350)로부터 담보 보증 자산으로서의 CRD를 담보 보증 자산 관리부(513)로 제공받을 수 있다. 보증 자산의 수신이 완료되면, 채권 보증 처리부(511)는 채권 보증 정보를 발행할 수 있으며, 중개기관 단말(200)로 전달될 수 있다.
채권 보증 처리부(511)는 보증된 채권 정보를 플랫폼 참여자간 양도 가능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디폴트 처리부(512)는 채권 정보의 만기일까지의 LQD 지급 수령에 의해 상기 채권 정보의 환매 및 소각 처리를 수행할 수 있으며, 소각되지 않은 경우에는, 담보 보증 자산 관리부(513)에 보유된 CRD 담보 자산을 채권 발행액에 해당하는 LQD를 대가로 지급 매수 처리하여 인수함으로써, 채권 소유자에게 그 대가를 지급하고 채권을 소각하는 소각 프로세스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채권 보증 처리부(511)는 채권 매입에 있어서, 채권 정보의 기준 화폐에 대응하는 화폐 가치 비율로 다른 거래소나 중개소의 화폐 전환에 따른 매입 서비스를 제공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채권 판매자의 이더리움 가상화폐 계정에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LQD 거래 대금이 화폐 가치 비율에 따라 전환 지급될 수도 있다.
또한, 채권 보증 처리부(511)에서 발행된 채권 정보는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통해 사전 구축된 채권 거래소에 상장될 수 있으며, 만약 채권 발행에 연관된 발행자인 중개기관 단말(200) 또는 보증자인 담보 제공자 단말(350) 사용자가 채권의 소각을 원하는 경우, 중개기관 단말(200) 또는 담보 제공자 단말(350)은 채권에 표시된 발행 기준화폐 금액 정보에 따라 전환된 LQD를 채권 보증 처리부(511)로 전달할 수 있다. 채권 보증 처리부(511)는 상기 LQD가 가상화폐 관리부(514)에 수령됨에 따른 소각 프로세스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채권 발행과 연관된 발행자인 중개기관 단말(200)은 만기된 채권 매입을 위한 신규 대여 청약 정보를 생성하여, 리파이낸싱을 요청할 수 있으며, 채권 보증 처리부(511)는 상기 리파이낸싱 요청된 대여 청약 정보에 대응하는 보증채권을 채권 거래소에등록하고, 등록된 리파이낸싱 대여 청약 정보의 LQD 기반 매각된 경우, 리파이낸싱 대여 청약 정보에 대응하는 기존 만기 채권 정보의 소각 처리를 수행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채권 보증 처리부(511)는 채권 정보의 발행, 배포, 환매, 정산 및 소각 처리를 수행할 수 있으며, 환매를 위한 LQD 정보를 제공하고, 이에 대응하는 LQD 금액이 채권 정보에 대응하는 블록체인 네트워크 주소로 전달된 경우, 채권 보유자로의 환매 및 보증수수료 정산을 처리할 수 있다. 정산 처리가 완료되면 담보 보증 자산 관리부(513)는 채권 보증을 위해 제공된 CRD를 담보 제공자 단말(350)로 직접 전달하거나, 다른 채권에 담보로 제공 가능한 상태로 그 상태를 변경시킬 수 있다.
한편, 디폴트 처리부(512)는 대여 청약 계약이 체결되고, 만기시까지 LQD 환급이 이루어지지 않으며, 채권이 일정 기간 동안 환매되지 않는 경우, 담보 보증 자산 관리부(513)로 제공된 담보 CRD의 인수 처리를 수행함으로써, 신용 보증기금 서비스 모듈에 의한 환매가 처리될 수 있다. 이는 채권 발행자와 담보 보증을 제공한 보증자 간의 채무/채권 관계를 발생시킬 수 있으며, 채무/채권 관계의 해소는 채권 발행자와 보증자 당사자 간 외부적으로 처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폴트 처리부(512)는 이러한 채권/채무 정보를 사전 설정된 일정 기간 동안 보관 후 삭제할 수 있다.
한편, 담보 보증 자산 관리부(513)는 대여 청약을 위한 개별 채권 발행을 위한 보증을 위해, 담보 제공자 단말(350)로부터 제공되는 CRD를 각 개별 채권 정보에 대응하는 직접 담보로서 매칭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채권 보증 처리부(511)는 CRD의 담보자산으로서의 가치를, CRD 담보 제공자에게 분배될 미래 이익의 현금흐름 예측 값으로부터, 현재 가치로 환산하여 전술한 담보 제공자 단말(350)들의 보증자 경매 프로세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채권 발행액에 대한 담보액의 비율은 특정 비율, 예를 들어 150%를 하한선으로 지정될 수 있다. 또한, 담보 자산에 대하여 발행되는 CRD는 개별 채권에 대한 평가 정보를 제공하는 보증 평가 프로세스를 통해, 담보 제공자 단말(350)이 보증자가 되었을 때에만 신용 보증기금 서비스 모듈과의 거래를 통해 취득할 수 있도록 제한될 수 있으며, 개인 간의 거래는 금지 처리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채권 보증 처리부(511)는 CRD 발행시의 예상 현재가치(NPV)의 산출을 위해, 현재가치가 상승하는 실물 자산 역할을 하는 가치 저장용 시큐리티 토큰을 생성하고, 이에 대응하는 CRD 예상 현재가치 산출을 수행하여 채권 발급 및 청산에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CRD의 예상 현재가치는, NPV = D1 /(r-g) 와 같은 수식으로 표현될 수 있는 바, 여기서 NVP는 CRD의 예상 현재가치이며, D1은 CRD의 월 배당금, r은 예상 감가상각비율, g는 서비스 플랫폼의 예상 배당 성장율일 수 있다.
또한, 보증 자산 관리부(513)는 보증된 채권으로부터 유틸리티 토큰인 LQD로서, 보증 수수료를 수신할 수 있으며, 이는 보증 참여자에 대한 보증 인센티브로서 사용될 수 있다. 이는 채권의 보증 상태에 있는 담보 제공자 단말(350)로 보증 중인 채권액의 비율에 따라 일정 주기적으로 지급될 수 있다.
또한, 보증 참여자의 보증 인센티브는 새로운 CRD로서 제공될 수 있다. 신용 보증기금 서비스 모듈(500)은, CRD의 주기적 신규 발행량은 시간을 변수로 하여 할당할 수 있으며, 일정 단위 기간 내에 새로 발행되는 채권의 보증 평가에 참여하는 참여자들 중, 유효한 보증 평가를 제공한 참여자에게, LQD를 이용한 CRD 획득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신용 보증기금 서비스 모듈(500)은 토큰교환 기술로서 밴코 스마트 컨트랙트(Bancor Smart Contract) 기술을 이용하여 CRD를 발행할 수 있다. 이 때 CRD의 발행가격과 CRD에 대응하는 자산 가치 간 차액이 신규 보증참여자에 대한 인센티브로 할당될 수 있다.
이러한 상호 인센티브에 따라, 커뮤니티 화폐 대출 금융의 악용 및 사기 대출 등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중개기관 단말(200) 운용자는 디폴트 증가에 따른 손실 상품 설계시 예치된 CRD의 현재 예상 가치(NPV)보다 부정 대출 이익이 클 수 있지만, 담보 제공자 단말(350) 운용자는 부정대출 이익보다 디폴트 손실이 더 클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상화폐 대여 서비스 네트워크 참여자들이 상호 견제할 수 있는 대출 승인 및 청산 메커니즘이 확립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준비금 관리부(515)는, 전술한 디폴트 발생시의 채권 매입에 이용되는 보증 재원으로서의 LQD와, 매입된 CRD를 저장 및 관리함으로서, 디폴트에 의한 저항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준비금 관리부(515)는 LQD 전체 발행량의 25%를 준비금으로 할당하여 가상화폐 관리부(514)에 보관할 수 있으며, 준비금은 채권에 대해 보증된 CRD의 매입에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CRD를 담보로 포함하고 있는 보증 채권이 미상환되면, 준비금 관리부(515)는 보증채권에 포함된 CRD를 보증 기금이 보유한 LQD를 댓가로 매입함으로써 채권 보유자에 대한 상환을 보장할 수 있다. 이 때, CRD의 매입 가격은 사전 등록된 채권 정보 내 기준화폐 표시금액을 LQD 양으로 환산한 가격일 수 있다.
CRD 매입으로 디폴트 처리되면, 실제 채권은 보증자들로 소유권이 이전될 수 있으며, 보증자들은 이를 근거로 직접 또는 중개기관 단말(200) 운용기관 등을 통해 채권의 추심을 실행할 수 있다.
그리고, 준비금 관리부(515)는 매입된 CRD에 대응하여 발생되는 LQD 수입을 LQD 리저브 풀(LQD Reserve Pool) 영역으로 이동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디폴트 청산을 위해 사용된 LQD는 보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신용보증기금 서비스 모듈은, 디폴트 청산 과정에서 매입한 담보인 CRD를 보유할 수 있으며, 신용 보증기금 서비스 모듈이 보유한 CRD는 개별 채권의 보증에 담보로 제공되지 않지만 보증 수익은 LQD로서 분배받을 수 있는 CRD일 수 있다. 이 때, 신용 보증기금 서비스 모듈이 보유한 CRD로부터 분배되는 보증 수익의 LQD 금액은 채권 보증에 사용된 CRD 총액과 신용 보증기금 서비스 모듈의 보유 CRD 비율에 의해 총액으로 결정될 수 있다.
한편, 채권 보증 처리부(511)는 자산 정보에 따라, 보증 가능한 채권 총액 정보를 제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채권 보증 처리부(511)는 LQD의 시가 총액에 따라 보증 가능 채권 총액 정보를 제한할 수 있다. LQD의 시가 총액은 시스템 내에서 채권 구입자가 이용할 수 있는 유동성 비용의 총액으로 산출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채권 보증 처리부(511)는 보증 자산인 CRD의 자산가치 총액에 따라, 보증 가능 채권 총액을 제한할 수 있다.
그리고, 예를 들어, 채권 보증 처리부(511)는 자기 자본과 디폴트율을 지표로 하여 구성된 피드백 루프 연산에 의해, 채권 발행 기준통화별 및 개별 금융 서비스 제공자별로 채권 발행 취급액이 다르게 제한되도록 처리할 수도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채권 보증 처리부(511)는 담보 없는 채권 발행자의 최초 채권 발행 상한액을 일정 값으로 제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개별 채권 발행자는 [새로운 채권 발행 이전에 발행하여 환매한 채권] X [만기 총량] X 150% 로서, 채권 발행액 상한이 제한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보증되는 채권에는 기준 화폐 정보가 할당될 수 있는 바, 할당 당시에 등록된 기준 화폐에 따라 LQD의 발행 및 상환이 처리될 수 있다. 따라서, 중개기관 단말(200)은 높은 신용자의 글로벌 대출수요를 발굴하되, 현지 보증인의 담보 제공자 단말(350)을 통해 차입자의 신용을 검증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또한 채권 발행시의 기준 화폐 정보에 의해 LQD 비율이 결정되므로, 국가간 환율 규제나 변동이 있더라도 대여 시스템 자체의 디폴트 저항성 및 지속가능성은 보장될 수 있다.
한편, 안정성 관리부(516)는 준비금 관리부(515) 및 채권 보증 처리부(511)의 처리 정보를 수집하고, 안정성 정보를 산출할 수 있으며, 안정성 보장을 위한 하나 이상의 시스템 제어 프로세스를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LQD 가격의 급격한 변동은 신용 보증기금 서비스 모듈의 보증 능력의 변화를 초래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안정성 관리부(516)는 채권 발행액이 형성되면 채권 환매를 위한 수요 기반을 확보하여 준비금 관리부(515)로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발행량이 제한된 LQD는 언제나 LQD 유통량의 시가총액보다 많은 채권 발행액에 의해 수요가 유입되도록 안정성 관리부(516)에서 관리되므로 가치가 안정화될 수 있다.
특히, LQD의 가격이 일시적으로 급격하게 하락하더라도 채권 및 기준 화폐 가치가 그대로 유지된다면 채권 환매 수요에 의해 LQD 가격이 하락한 변동성을 상쇄시킬 수 있다.
또한, 안정성 관리부(516)는 LQD 가치 유지를 위한 CRD의 지속적인 추가 발권을 수행할 수 있다. CRD의 추가 발행이 계속되는 상황에서는 CRD 발권을 위한 LQD 수요는 계속 증가할 수 있으며, 이는 CRD의 발권이 중지되는 시점까지 가상화폐 유동성 대여 시스템 내 지속적인 LQD 수요를 일으킬 뿐 아니라 LQD 유통량 감소를 일으켜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 입력부(540)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인터페이스 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
제어부(530)는 통상적인 단말(5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블록 체인 네트워크로부터 수신되는 분산 거래 정보의 저장 및 처리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530)는 신용 보증기금 서비스 모듈 처리부(510)의 서비스를 위한 처리 정보를 수행할 수 있다. 신용 보증기금 서비스 모듈 처리부(510)의 처리 정보는 상기 블록 체인 네트워크상에 공유된 거래 장부 데이터에 스마트 컨트랙트(SMART CONTRACT)와 같은 코드 형태로서 사전 등록될 수 있으며, 이에 따른 위변조는 방지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법들은 컴퓨터에서 실행되기 위한 프로그램으로 제작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으며,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을 수 있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 될 것이다.

Claims (6)

  1. 블록체인 네트워크로 형성되는 청약 마켓 네트워크상에, 신용 보증기금 서비스 모듈에 의해 담보 제공자 단말로부터의 신용 가상화폐를 담보로 하여 보증되며, 유동성 대여자 단말로 유동성 가상화폐를 지급하는 대여 청약서를 발급하는 중개기관 단말; 및 상기 대여 청약서에 대응하는 유동성 제공자 단말의 유동성 가상화폐 제공에 따라, 유동성 가상화폐를 대여받는 유동성 대여자 단말을 포함하는 블록 체인 기반의 가상화폐 유동성 대여 시스템으로서,
    상기 신용 보증기금 서비스 모듈은,
    상기 중개기관 단말로부터 제공된 대여 청약의 채권 보증 프로세스 기능과,
    보증된 채권의 양도, 환매 또는 소각 처리 기능과,
    담보로 제공된 CRD 자산의 보유, 디폴트 발생시의 디폴트 처리, CRD 인수 또는 담보 제공자 단말로의 환수 처리를 기능과,
    유동성 가상화폐 LQD 및 신용 가상화폐 CRD 수량 및 가치에 기반한 준비금 관리와 안정성 관리를 통해 전체적인 가상화폐 시스템의 디폴트 저항성을 높이고, 참여자들의 활동을 유도하는 시스템 제어 노드 역할 기능을 수행하는 신용 보증기금 서비스 모듈 처리부를 포함하는
    블록 체인 기반의 가상화폐 유동성 대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용 보증기금 서비스 모듈은,
    채권 정보의 발행, 배포, 환매, 정산 및 소각 처리를 수행할 수 있으며, 환매를 위한 유동성 가상화폐 정보를 제공하고, 이에 대응하는 유동성 가상화폐 금액이 채권 정보에 대응하는 블록체인 네트워크 주소로 전달된 경우, 채권 보유자로의 환매 및 보증수수료 정산을 처리하하는 채권 보증 처리부를 포함하는
    블록 체인 기반의 가상화폐 유동성 대여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대여 청약을 위한 개별 채권 발행을 위한 보증을 위해, 담보 제공자 단말로부터 제공되는 신용가상화폐를 각 개별 채권 정보에 대응하는 직접 담보로서 매칭 관리하는 담보 보증 자산 관리부와;
    대여 청약 계약이 체결되고, 만기시까지 유동성 가상화폐 환급이 이루어지지 않으며, 채권이 일정 기간 동안 환매되지 않는 경우, 담보 보증 자산 관리부로 제공된 담보 신용가상화폐의 인수 처리를 수행하여 신용 보증기금 서비스 모듈에 의한 환매를 처리하는 디폴트 처리부를 더 포함하는
    블록 체인 기반의 가상화폐 유동성 대여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보증 자산 관리부는,
    보증된 채권으로부터 유틸리티 토큰인 유동성 가상화폐를 이용하여, 보증 수수료를 수신하고, 보증 참여자에 대한 보증 인센티브로서 사용하며, 채권의 보증 상태에 있는 담보 제공자 단말로 보증 중인 채권액의 비율에 따라 일정 주기적으로 지급하는
    블록 체인 기반의 가상화폐 유동성 대여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신용 보증기금 서비스 모듈은,
    신용가상화폐의 주기적 신규 발행량을 시간을 변수로 하여 할당하고,
    일정 단위 기간 내에 새로 발행되는 채권의 보증 평가에 참여하는 참여자들 중, 유효한 보증 평가를 제공한 참여자에게, 유동성 가상화폐를 이용한 신용가상화폐 획득 정보를 제공하며, 신용가상화폐의 발행가격과 신용가상화폐에 대응하는 자산 가치 간 차액이 신규 보증참여자에 대한 인센티브로 할당되는
    블록 체인 기반의 가상화폐 유동성 대여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용 보증 기금 서비스 모듈은,
    디폴트 발생시의 채권 매입에 이용되는 보증 재원으로서의 유동성 가상화폐와, 매입된 신용가상화폐를 저장 및 관리하여 디폴트에 의한 저항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준비금 관리부를 더 포함하는
    블록 체인 기반의 가상화폐 유동성 대여 시스템.
KR1020190148920A 2019-11-19 2019-11-19 디폴트 저항성이 구비된 블록 체인을 이용한 가상화폐 유동성 대여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21006110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8920A KR20210061106A (ko) 2019-11-19 2019-11-19 디폴트 저항성이 구비된 블록 체인을 이용한 가상화폐 유동성 대여 방법 및 그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8920A KR20210061106A (ko) 2019-11-19 2019-11-19 디폴트 저항성이 구비된 블록 체인을 이용한 가상화폐 유동성 대여 방법 및 그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1106A true KR20210061106A (ko) 2021-05-27

Family

ID=761360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8920A KR20210061106A (ko) 2019-11-19 2019-11-19 디폴트 저항성이 구비된 블록 체인을 이용한 가상화폐 유동성 대여 방법 및 그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61106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14411B2 (en) Multi-tier tokenization platform
CA3120302A1 (en) System and method for monetizing assets
JP7042637B2 (ja) プログラム、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仮想通貨取引システム
KR20110123326A (ko) 부동산 투자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210060982A (ko) 디폴트 저항성이 구비된 블록 체인을 이용한 가상화폐 유동성 대여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190138927A (ko) 블록 체인을 이용한 가상화폐 유동성 대여 방법
KR20210061001A (ko) 블록 체인 기반 대출 금융 서비스 제공 장치
KR20110123186A (ko) 부동산 투자 관리 시스템 및 방법
JP7092740B2 (ja) トークン発行・流通方法
KR20200006243A (ko) 블록 체인을 이용한 가상화폐 유동성 대여를 위한 프로그램
KR20200006252A (ko) 블록 체인을 이용한 가상화폐 유동성 대여 중계 장치
KR20210061106A (ko) 디폴트 저항성이 구비된 블록 체인을 이용한 가상화폐 유동성 대여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210060994A (ko) 디폴트 저항성이 구비된 블록 체인을 이용한 가상화폐 유동성 대여 시스템
KR20210061007A (ko) 디폴트 저항성이 구비된 블록 체인을 이용한 가상화폐 유동성 대여 시스템
KR20210061014A (ko) 블록 체인을 이용한 가상화폐 유동성 대여 장치
KR20210061028A (ko) 디폴트 저항성이 구비된 블록 체인을 이용한 가상화폐 유동성 대여 방법
KR20210061084A (ko) 가상화폐 유동성 차입 처리를 위한 프로그램
KR20210061078A (ko) 가상화폐 유동성 차입 방법
KR20210061095A (ko) 가상화폐 유동성 차입 처리를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KR20210061053A (ko) 가상화폐 유동성 대여를 위한 정보처리 프로그램
KR20210061063A (ko) 가상화폐 유동성 대여를 위한 정보처리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KR20200006234A (ko) 블록 체인을 이용한 가상화폐 유동성 대여 시스템
KR20200006314A (ko) 블록 체인을 이용한 가상화폐 유동성 대여 장치
KR20200006237A (ko) 블록 체인을 이용한 가상화폐 유동성 대여방법
KR20200006317A (ko) 블록 체인을 이용한 가상화폐 유동성 대여 프로그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