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61000A - 고주파 니들 핸드피스 - Google Patents

고주파 니들 핸드피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61000A
KR20210061000A KR1020190148707A KR20190148707A KR20210061000A KR 20210061000 A KR20210061000 A KR 20210061000A KR 1020190148707 A KR1020190148707 A KR 1020190148707A KR 20190148707 A KR20190148707 A KR 20190148707A KR 20210061000 A KR20210061000 A KR 202100610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edle
case
high frequency
guide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87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62429B1 (ko
Inventor
원철희
Original Assignee
원철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원철희 filed Critical 원철희
Priority to KR10201901487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2429B1/ko
Publication of KR202100610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10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24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24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6Electrodes for high-frequency therap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 A61B18/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by passing a current through the tissue to be heated, e.g. high-frequency current
    • A61B18/14Probes or electrodes therefor
    • A61B18/1477Needle-like prob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2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improving the appearance of the skin, e.g. facial toning or wrinkle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14External stimulators, e.g. with patch electrodes
    • A61N1/36017External stimulators, e.g. with patch electrodes with leads or electrodes penetrat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315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for treatment of particular body parts
    • A61B2018/00452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Surger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lastic & Reconstructive Surg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Otolaryng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치료나 혹은 미용의 목적으로 피부에 삽입되는 니들을 전극으로 사용하여 고주파 전류가 체내에 통전되도록 하는 고주파 니들(High Frequency Needle)을 이용한 피부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고주파 니들 핸드피스{High Frequency Needle Handpiece}
본 발명은 피부에 삽입되는 니들을 전극으로 사용하여 고주파 전류가 체내에서 통전되도록 하는 고주파 니들(High Frequency Needle)을 이용한 피부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피부에 대한 관심이 증폭됨에 따라 피부 관리에 관계되는 다양한 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가장 널리 알려진 피부 시술 방법은 마이크로 니들 시술과 종래의 프렉셔널 레이저 시술이 결합된 것이다. 이는 아주 미세한 바늘(마이크로 니들)을 피부에 삽입하여 치료 기둥을 만듦과 동시에 고주파를 제공함에 따라 피부 내에 국소적인 열손상을 가하여 상피부터 진피에 이르기까지 피부의 재생을 촉진시키기 위한 미세한 상처를 만들어낸다. 그리고 이 미세한 상처들이 세포의 성장인자를 유도하여 피부의 자연 치유 및 재생을 극대화하는 방법이다.
통상적으로 마이크로 니들을 통해 고주파를 인체 조직에 가하게 되면 마이크로 니들 주위의 조직 내부에서 고주파에 의한 마찰열이 발생 된다. 이 마찰열은 진피층에 콜라겐 성분을 단단하게 뭉치게 함과 동시에 새로운 콜라겐 형성을 촉진하게 되며, 이로 인해 주름이 펴지고 모공이 축소되어 피부를 개선하게 된다.
이 피부 시술 방법은 표피에 화상을 입히지 않으면서 목적하는 부위에 높은 열에너지를 전달하여 콜라겐과 탄력섬유를 재생할 수 있다. 그리하여 여드름, 잔주름, 모공축소 등 치료에 매우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혈액순환을 원활하게 하여 지방층의 연소를 촉진시키고 림프계의 활동을 활성화시켜 비만치료를 가능하게 한다.
그러나 종래 마이크로 니들을 이용한 고주파 치료용 장치는 니들이 피부에 삽입될 때 니들의 미세한 움직임으로 시술자가 원하는 위치에 니들을 삽입할 수 없는 단점과 니들의 상하 운동 시에 내부에 구비된 스프링의 장력으로 인해 니들의 충격이 환자 또는 시술자에게 전달되어 통증을 더 유발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1. 한국 등록특허 제10-1300122호 '고주파 치료용 니들 팁 및 이를 이용한 고주파 치료장치' (등록일 : 2013.08.20) 2.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8-0089372호 'RF니들을 이용한 피부 처리장치 및 RF니들을 이용한 피부 처리방법' (공개일 : 2018.08.08)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니들의 이동 방향을 안내해주고 교체가 용이하며 시술의 편의성 및 신속성을 동반한 니들을 이용한 피부처리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내부에 구동부(121)가 구비된 메인케이스(120)와 상기 메인케이스(120)로부터 탈부착이 가능한 니들케이스(110)를 포함하는 케이스(100);와 상기 니들케이스(110)의 내부에 구비되며, 피부에 삽입되도록 상기 니들케이스(110)의 내,외측으로 출입되고, 고주파를 전달받는 니들(210); 상기 니들(210)의 출입 거리를 제한하도록 상기 니들(210)과 결합되며, 상기 구동부(121)로부터 동력을 전달받는 니들하우징(230); 일측이 상기 니들케이스(110)의 내측에 지지되고, 타측이 상기 니들하우징(230)에 지지되어 상기 니들하우징(230)을 탄성지지하는 스프링(240); 및 상기 니들케이스(110)에 고정되고, 상기 니들하우징(230)과 슬라이딩되도록 결합되되, 상기 니들(210)의 피부 삽입시 유격을 방지하도록 상기 니들하우징(230)의 이동방향을 가이드하는 니들가이드(220);를 포함하는 니들부(2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상기 니들하우징(230)의 일측면에는 상기 니들(210)이 안착되고, 타측면에는 상기 구동부(121)로부터 동력을 전달받는 면으로부터 가이드로드(231)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니들가이드(220)에는 중앙에 관통홀(223)이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로드(231)가 슬라이딩되며 삽입되도록 상기 관통홀(223)의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 형성되는 슬라이딩로드(221)가 구비된다.
본 발명의 상기 니들부(200)는 상기 슬라이딩로드(221)의 일측단에 구비되는 스토퍼(250);를 더 포함하고, 상기 니들(210)의 일측면에는 상기 니들하우징(230)과 니들가이드(220)를 관통하는 완충로드(211)가 더 구비되며, 상기 구동부(121)의 동력이 해제되어 상기 니들(210)이 스프링(240)의 탄성에 의해 역이동하면, 상기 완충로드(211)의 끝단이 상기 스토퍼(250)에 접촉되면서 충격을 완화시킨다.
본 발명은 상기 니들케이스(110)의 일측단에 진공홈(111)이 함입 형성되되, 일측이 니들케이스(110)와 탈부착되면서 상기 진공홈(111)과 연통되는 이동로(310)가 형성되고, 상기 니들케이스(110)의 하단이 진공에 의해 피부가 흡착되도록 타측이 상기 메인케이스(120)와 연결되어 흡입력을 제공받는 흡입부(300); 상기 이동로(310) 내에 위치하며 상기 니들(210)의 피부 삽입 시 피부로부터 배출되는 이물질을 필터링하는 필터(33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상기 니들케이스(110)의 외측면에는 상기 진공홈(111)과 연통되는 유체이동홈(112)이 함입 형성되고, 상기 유체이동홈(112)의 내측 가장자리에는 돌기삽입홈(112-1)이 형성되며, 상기 흡입부(300)의 일측에는 상기 돌기삽입홈(112-1)에 끼워지는 체결돌기(320)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유체이동홈(112)을 밀폐하며 상기 이동로(310)와 상기 유체이동홈(112)이 연결되도록 상기 흡입부(300)의 일측이 탈부착된다.
본 발명은 상기 유체이동홈(112)와 마주보는 상기 이동로(310)의 일부가 개방되고, 상기 필터(330)가 상기 이동로(310)의 개방된 일측에 장착된다.
본 발명에 의한 고주파 니들 핸드피스는 탈부착이 가능하며, 복수의 마이크로 니들의 상하 운동 시 충격을 최소화하여 환자의 통증을 완화 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진공홈을 구비하여 피부의 흡착과 니들의 삽입을 동시에 이루어지면서 환자의 통증을 최소화시킬 수 있고, 흡입부에 필터를 구비함으로써 핸드피스 내부 오염을 막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체적인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주요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니들부의 작동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주요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주요 구성을 나타낸 또 다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흡입부의 실시예를 나타낸 부분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흡입부의 작동 상태 및 흡입부의 단면 상태를 나타낸 부분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 1 내지 7을 참고하여 상술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고주파 니들 핸드피스는 케이스(100) 및 니들부(200)를 포함한다.
도 1 및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100)는 니들케이스(110)와 메인케이스(120)를 포함한다. 그리고 체질, 치료 목적, 치료 부위 등에 따라 배열이 다르게 배치된 니들(210)을 교체 사용이 가능하여, 손쉽게 탈부착이 가능하다. 니들케이스(110)와 메인케이스(120)를 조립할 때, 돌기를 이용한 끼움 방식일 수 있고, 버튼을 이용한 조립 방식일 수 있다. 사용자의 편의성을 고려하여, 언급한 방법 이외에 다양할 수 있으며 한정하지 않는다.
도 2 및 3을 참고하면, 메인케이스(120)는 구동부(121), 구동가이드(122) 및 구동스토퍼(123)를 포함한다. 구동가이드(122)는 메인케이스(120)에 고정되고, 중앙에는 구동부(121)가 관통할 수 있도록 홀이 구비될 수 있다. 구비된 홀은 구동부(121)가 니들케이스(110) 내측을 관통하여 니들하우징(230)에 동력을 전달해 줄 수 있는 통로이다. 메인케이스(120)에 고정된 구동가이드(122)는 니들케이스(110)와 고정 결합할 수 있다. 고정방법에는 돌기 체결 방법일 수 있고, 버튼을 이용한 탈부착 방법일 수 있다. 어느 방법이든 한정하지 않는다.
도 2 및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스토퍼(123)는 구동가이드(122)에 안착되어 고정된다. 고정 방법은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어 제한을 하지 않으나, 본 발명에서는 나사 결합하여 고정한다. 구동스토퍼(123)는 구동가이드(122) 일측면에 고정되고, 구동부(121)가 니들케이스(110) 방향으로 동력을 전달할 때 움직임을 제한할 수 있다.
도 2를 참고하면, 구동부(121)는 메인케이스(120) 내부에 위치한다. 메인케이스(120)에 버튼이 포함될 수 있고, 버튼을 누름으로써 전기적 신호에 의하여 니들(210)이 움직일 수 있도록 동력을 전달해주며 치료에 필요한 고주파 전류를 발생시킨다. 고주파 전류는 환자의 체질, 치료 목적, 치료 부위 등에 따라 주파수가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피부 치료에 사용되는 고주파 전류는 0.1 내지 0.8MHZ의 범위의 주파수로 조절될 수 있다.
니들부(200)는 니들케이스(110) 내부에 구비되며, 니들(210), 니들가이드(220), 니들하우징(230), 스프링(240) 및 스토퍼(250)를 포함한다.
니들(210)은 니들케이스(110)의 내외측으로 출입 가능하고 구동부(121)로부터 고주파를 전달받아 치료 가능하다. 그리고 니들(210)은 니들케이스(110) 내부에서 원활하게 움직이기 위하여 완충로드(211)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치료 목적, 치료 부위 등에 따라 배열이 다르게 배치된 니들(210) 교체 사용이 가능하고 한가지 니들(210)로 한정하지 않는다.
도 2 및 3을 참고하면, 스프링(240)은 니들케이스(110)의 일측벽과 니들하우징(23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스프링(240)이 구비됨으로써 구동부(121)로부터 동력이 전달되거나 해제되었을 때 니들(210)의 원활한 순, 역이동이 이루어질 수 있다.
니들부(200)의 스토퍼(250)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도 2, 4 및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니들가이드(220)는 니들케이스(110)에 고정된다. 니들케이스(110) 내부에 구비되는 니들(210)이나 스프링(240) 등과 같은 구성들이 고정될 수 있게 도와줄 수 있다. 또한, 니들가이드(220)는 니들케이스(110)에 장착됨으로써 메인케이스(120)와의 결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니들케이스(110) 내부에 나사홀이 포함될 수 있으며, 니들가이드(220)와 나사를 이용하여 고정 결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나사결합을 하여 니들케이스(110)와 니들가이드(220)를 고정하였지만, 이 방법에 제한하지 않는다.
도 2, 4 및 5를 참조하면, 니들가이드(220)는 슬라이딩로드(221)와 관통홀(223)을 포함한다. 관통홀(223)은 니들가이드(220)의 중앙에 위치한다. 관통홀(223)의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 형성되는 부분을 슬라이딩로드(221)라 하고, 슬라이딩로드(221)로 니들하우징(230)이 슬라이딩되도록 결합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도 4 및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케이스(120) 내부에 위치하는 구동부(121)의 니들케이스(110)에서 상하 움직임이 가능한 관통홀(223)이다. 니들가이드(220)의 관통홀(223)의 일측면과 니들가이드(220)와 니들케이스(110)의 고정을 위해 구비된 나사홀의 단차는 다를 수 있다. 그리고 이 단차 사이에는 또 다른 단차를 가지며, 니들(210)의 완충로드(211)가 관통할 수 있는 완충로드홀(222)이 구비될 수 있다.
도 3은 니들케이스(110) 내부에 위치하는 니들부(220) 및 메인케이스(120) 내부에 위치하는 구동부(121)의 움직임을 확인할 수 있다. 니들(210)은 니들하우징(230)과 나사로 고정되어 결합하여, 구동부의 동력을 전달받아 움직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나사 결합을 하여 고정하였지만, 니들(210)과 니들하우징(230)을 고정할 수 있다면 방법에 제한하지 않는다.
도 3 내지 5를 참조하면, 니들가이드(220)는 니들(210)이 피부에 삽입될 때 유격을 방지하여 니들하우징(230)의 이동방향을 가이드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니들하우징(230)은 니들가이드(220)의 관통홀(223)로 통과하여 슬라이딩로드(221)로 슬라이딩될 수 있고 니들(210)의 완충로드(211)는 니들가이드(220)와 니들하우징(230)에 구비될 수 있는 완충로드홀(222, 232)을 통하여 움직일 수 있다. 도 4 및 5를 참조하면, 니들가이드(220)가 구비됨으로써 니들(210)의 완충로드(211)와 함께 움직이는 니들하우징(230)이 유격 없이 정확한 위치에서 이동방향을 가이드 받을 수 있다.
도 2 내지 5를 참조하면, 니들하우징(230)은 완충로드홀(232)과 가이드로드(231)를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니들하우징(230)의 일측면에 니들(210)에 안착되어 고정되고, 타측면에서는 구동부(121)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니들(210)의 움직임이 가능하다. 완충로드홀(232)은 니들(210)이 니들하우징(230)의 일측면에 안착되기 때문에, 니들(210)의 완충로드(211)가 통과될 수 있게끔 구비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니들하우징(230)은 니들가이드(220)의 관통홀(223) 가장 자리를 따라 형성된 슬라이딩로드(221)로 슬라이딩될 수 있다. 이때 슬라이딩로드(221)를 따라 슬라이딩 되는 부분을 니들하우징(230)의 가이드로드(231)이다. 가이드로드(231)의 길이는 슬라이딩로드(221) 길이만큼 형성될 수 있고 슬라이딩로드(221) 길이보다 짧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가이드로드(231)는 중앙에 홀이 있어 구동부(121)가 홀을 지나 니들하우징(230) 일측면에 동력을 전달할 수도 있고, 혹은 홀이 없이 꽉 채워진 형태로 동력을 전달 받을 수도 있다. 가이드로드(231)의 형태에 대해서 한가지 형태로 제한하지 않는다.
도 2 내지 5를 참고하면, 니들부(200)는 니들가이드(220)에 안착되어 고정되는 스토퍼(25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는 니들가이드(220)와 스토퍼(250)는 나사로 고정 결합될 수 있으나, 이 방법에 한정하지 않는다. 니들가이드(220)와 스토퍼(250)의 고정으로 인하여, 니들부(200)가 역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완충로드(211), 슬라이딩로드(221) 및 가이드로드(231)가 스토퍼(250)에 접촉되면서 니들부(200)가 역방향으로 더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구동부(121)의 동력이 전달되면 니들(210)이 니들케이스(110)로부터 돌출되어 피부 삽입이 가능하고, 동력이 해제되면 니들케이스(110) 내측으로 원상복귀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니들부(200)의 스프링(240)이 구비되어 있어 니들(210)의 내, 외측 출입이 가능하다.
도 3을 참고하면, 니들(210)의 완충로드(211)는 스토퍼(250)와 맞닿을 수 있다. 구동부(121)의 동력으로 니들(210)과 니들하우징(230)이 움직일 때 스프링(240)의 발생한 장력으로 인하여 환자 또는 시술자에게 전달되어 통증을 유발 할 수 있다. 철이나 플라스틱과 같은 소재라면 완충로드(211)의 변형 또한 있을 수 있다. 완충로드(211)의 끝단 부분을 고무 혹은 완충 효과가 있는 소재로 하여 스토퍼(250)와 맞닿을 때 충격흡수를 한다면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을 것이다. 완충로드(211)의 끝단의 소재 변형에만 제한하지 않고, 완충로드(211)와 맞닿는 스토퍼(250)의 일측면에 완충 효과를 줄 수 있는 소재로 구성할 수 있다.
도 3, 6 및 7을 참조하면, 니들케이스(110) 하단은 진공에 의하여 피부가 흡착될 수 있도록 함입 형성되는 진공홈(111)을 가진다. 피부 표면이 고르지 않기 때문에 진공 흡입이 필요하고, 진공 흡입하여 치료나 혹은 미용의 목적에 맞는 일정한 깊이에 니들(210)을 삽입할 수 있다.
도 2 및 7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흡입부(300)는 일측과 타측이 니들케이스(110)와 메인케이스(120)에 각각 연결된다. 이때, 흡입부(300)의 일측이 니들케이스(110)와 탈부착될 수 있다. 그리고 흡입부(300)의 내부에는 진공홈(111)과 연통되는 이동로(310)가 형성될 수 있으며, 외부로부터 흡입력을 제공받아 니들케이스(110)의 하단이 진공에 의해 피부가 흡착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이동로(310)의 내부에는 니들(210)의 피부 삽입 시 피부로부터 배출되는 이물질을 필터링하는 필터(330)가 더 구비되어 니들케이스(110)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도 7 을 참조하면 니들케이스(110)의 외측면에는 진공홈(111)과 연통되는 유체이동홈(112)이 함입 형성될 수 있으며, 흡입부(300)의 일측이 유체이동홈(112)과 탈부착될 수 있다.
유체이동홈(112)에 부착되는 흡입부(300)의 일측에는 체결돌기(320)가 돌출 형성될 수 있고, 유체이동홈(112)의 내측 가장자리에는 돌기삽입홈(112-1)이 함입 형성될 수 있다. 즉, 체결돌기(320)가 돌기삽입홈(112-1)에 끼워지면 흡입부(300)의 일측이 유체이동홈(112)을 밀폐하며, 이동로(310)가 진공홈(111)과 연결되면서 상호 연통 된다. 이때, 유체이동홈(112)에는 니들케이스(110)를 관통하는 연통홀(112-2)이 형성되어 진공홈(111)의 내부에 진공 흡입력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이동로(310)에 구비되는 필터(330)는 탈부착이 가능할 수 있다. 필터(330)는 니들(210)이 피부에 삽입되었을 때 발생하는 유체 혹은 이물질을 걸러주면서 핸드피스 내부에 오염을 일으키는 현상을 방지한다.
도 7의 A-A' 확대도를 참조하여 흡입부(300)의 또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유체이동홈(112)과 마주보는 흡입부(300)의 일측에는 이동로(310)의 일부가 개방된 유체흡입홀(311)을 갖는다. 이때, 체결돌기(320)는 유체흡입홀(311)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된다. 체결돌기(320)가 돌기삽입홈(112-1)에 끼워지는 경우 유체흡입홀(311)과 유체이동홈(112)이 밀폐력을 유지할 수 있다. 유체흡입홀(311)의 일측에는 필터(330)가 장착될 수 있으며, 유체흡입홀(311)이 개방된 형상을 유지하면서 흡입부(300)의 타측이 탈부착되기 때문에 필터(330)의 교체가 용이하다.
100 : 케이스
110 : 니들케이스 120 : 메인케이스
111 : 진공홈 112 : 유체이동홈
121 : 구동부 122 : 구동가이드
123 : 구동스토퍼
200 : 니들부
210 : 니들 220 : 니들가이드
230 : 니들하우징 240 : 스프링
250 : 스토퍼 211 : 완충로드
221 : 슬라이딩로드 222 : 완충로드홀
223 : 관통홀 231 : 가이드로드
232 : 완충로드홀
300 : 흡입부
310 : 이동로 311 : 유체흡입홀
320 : 체결돌기 330 : 필터

Claims (6)

  1. 내부에 구동부(121)가 구비된 메인케이스(120)와 상기 메인케이스(120)로부터 탈부착이 가능한 니들케이스(110)를 포함하는 케이스(100);와
    상기 니들케이스(110)의 내부에 구비되며, 피부에 삽입되도록 상기 니들케이스(110)의 내,외측으로 출입되고, 고주파를 전달받는 니들(210);
    상기 니들(210)의 출입 거리를 제한하도록 상기 니들(210)과 결합되며, 상기 구동부(121)로부터 동력을 전달받는 니들하우징(230);
    일측이 상기 니들케이스(110)의 내측에 지지되고, 타측이 상기 니들하우징(230)에 지지되어 상기 니들하우징(230)을 탄성지지하는 스프링(240); 및
    상기 니들케이스(110)에 고정되고, 상기 니들하우징(230)과 슬라이딩되도록 결합되되, 상기 니들(210)의 피부 삽입시 유격을 방지하도록 상기 니들하우징(230)의 이동방향을 가이드하는 니들가이드(220);를 포함하는 니들부(20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니들 핸드피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니들하우징(230)의 일측면에는 상기 니들(210)이 안착되고, 타측면에는 상기 구동부(121)로부터 동력을 전달받는 가이드로드(231)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니들가이드(220)에는 중앙에 관통홀(223)이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로드(231)가 슬라이딩되며 삽입되도록 상기 관통홀(223)의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 형성되는 슬라이딩로드(221)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니들 핸드피스.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니들부(200)는 상기 슬라이딩로드(221)의 일측단에 구비되는 스토퍼(250);를 더 포함하고,
    상기 니들(210)의 일측면에는 상기 니들하우징(230)과 니들가이드(220)를 관통하는 완충로드(211)가 더 구비되며,
    상기 구동부(121)의 동력이 해제되어 상기 니들(210)이 스프링(240)의 탄성에 의해 역이동하면, 상기 완충로드(211)의 끝단이 상기 스토퍼(250)에 접촉되면서 충격을 완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니들 핸드피스.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니들케이스(110)의 일측단에 진공홈(111)이 함입 형성되되,
    일측이 니들케이스(110)와 탈부착되면서 상기 진공홈(111)과 연통되는 이동로(310)가 형성되고, 상기 니들케이스(110)의 하단이 진공에 의해 피부가 흡착되도록 타측이 상기 메인케이스(120)와 연결되어 흡입력을 제공받는 흡입부(300); 및
    상기 이동로(310) 내에 위치하며 상기 니들(210)의 피부 삽입 시 피부로부터 배출되는 이물질을 필터링하는 필터(33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니들 핸드피스.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니들케이스(110)의 외측면에는 상기 진공홈(111)과 연통되는 유체이동홈(112)이 함입 형성되고, 상기 유체이동홈(112)의 내측 가장자리에는 돌기삽입홈(112-1)이 형성되며,
    상기 흡입부(300)의 일측에는 상기 돌기삽입홈(112-1)에 끼워지는 체결돌기(320)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유체이동홈(112)을 밀폐하며 상기 이동로(310)와 상기 유체이동홈(112)이 연결되도록 상기 흡입부(300)의 일측이 탈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니들 핸드피스.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이동홈(112)과 마주보는 상기 이동로(310)의 일부가 개방되고, 상기 필터(330)가 상기 이동로(310)의 개방된 일측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니들 핸드피스.
KR1020190148707A 2019-11-19 2019-11-19 고주파 니들 핸드피스 KR1023624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8707A KR102362429B1 (ko) 2019-11-19 2019-11-19 고주파 니들 핸드피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8707A KR102362429B1 (ko) 2019-11-19 2019-11-19 고주파 니들 핸드피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1000A true KR20210061000A (ko) 2021-05-27
KR102362429B1 KR102362429B1 (ko) 2022-02-11

Family

ID=761357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8707A KR102362429B1 (ko) 2019-11-19 2019-11-19 고주파 니들 핸드피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242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8033B1 (ko) 2022-02-28 2022-08-31 비손메디칼 주식회사 피부 치료용 rf 고주파 기기의 냉매 분사용 핸드피스 팁
WO2022240176A1 (ko) 2021-05-11 2022-11-17 주식회사 엘지화학 양극 활물질 및 그 제조 방법
KR20220166664A (ko) * 2021-06-10 2022-12-19 박원희 니들 및 고주파 전극을 구비한 핸드피스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0122B1 (ko) 2011-07-15 2013-09-10 주식회사 루트로닉 고주파 치료용 니들 팁 및 이를 이용한 고주파 치료장치
KR101622374B1 (ko) * 2014-05-09 2016-05-18 전용규 고주파를 이용한 피부미용 치료장치
KR101664245B1 (ko) * 2015-03-16 2016-10-11 주식회사 은성글로벌상사 피부치료용 핸드피스
KR101859195B1 (ko) * 2017-10-13 2018-05-17 강선영 석션 기능을 갖는 ret방식 고주파 마사지기
KR20180089372A (ko) 2018-08-01 2018-08-08 주식회사 하이로닉 Rf니들을 이용한 피부 처리장치 및 rf니들을 이용한 피부 처리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0122B1 (ko) 2011-07-15 2013-09-10 주식회사 루트로닉 고주파 치료용 니들 팁 및 이를 이용한 고주파 치료장치
KR101622374B1 (ko) * 2014-05-09 2016-05-18 전용규 고주파를 이용한 피부미용 치료장치
KR101664245B1 (ko) * 2015-03-16 2016-10-11 주식회사 은성글로벌상사 피부치료용 핸드피스
KR101859195B1 (ko) * 2017-10-13 2018-05-17 강선영 석션 기능을 갖는 ret방식 고주파 마사지기
KR20180089372A (ko) 2018-08-01 2018-08-08 주식회사 하이로닉 Rf니들을 이용한 피부 처리장치 및 rf니들을 이용한 피부 처리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40176A1 (ko) 2021-05-11 2022-11-17 주식회사 엘지화학 양극 활물질 및 그 제조 방법
KR20220166664A (ko) * 2021-06-10 2022-12-19 박원희 니들 및 고주파 전극을 구비한 핸드피스
KR102438033B1 (ko) 2022-02-28 2022-08-31 비손메디칼 주식회사 피부 치료용 rf 고주파 기기의 냉매 분사용 핸드피스 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62429B1 (ko) 2022-0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62429B1 (ko) 고주파 니들 핸드피스
KR101814109B1 (ko) 피부 치료용 복합기
KR101608179B1 (ko) 피부용 약물주입장치
KR101622374B1 (ko) 고주파를 이용한 피부미용 치료장치
KR101898473B1 (ko) 음파진동을 이용한 마이크로니들 미용장치
KR101295687B1 (ko) 피부미용치료장치
KR101492732B1 (ko) 피부 치료기
KR101539664B1 (ko) 피부 시술용 약물 주입장치
KR101783371B1 (ko) 고주파를 이용한 피부치료용 핸드피스
KR20160111119A (ko) 피부미용장치
KR20190117960A (ko) 고주파를 이용한 피부재생장치
KR101457437B1 (ko) 수동형 피부미용장치
KR102126008B1 (ko) 약물전달시스템용 니들유닛
KR20090039073A (ko) 전동형 미용바늘 및 이에 사용되는 바늘 유닛
KR20170089497A (ko) 피부미용장치의 주사침
KR101596419B1 (ko) 약물분배체가 구비된 피부시술용 멀티 니들장치
KR102305286B1 (ko) 피부 시술장치 및 이를 이용한 피부 시술방법
KR20190024385A (ko) 카트리지형 피부용 약물 주입장치
KR101869893B1 (ko) 여드름질환 치료 시스템 및 그 작동 방법
KR102370845B1 (ko) 다기능 피부 미용 기기
KR20160101472A (ko) 피부미용장치
KR102061000B1 (ko) 피부용 약물 주입장치
KR20200077851A (ko) 약물 전달 시스템
KR101869894B1 (ko) 여드름질환 치료용 마이크로 니들 고주파 시스템 및 그 작동 방법
KR20170057553A (ko) 피부미용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