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60890A - Device control system using long range wide area network - Google Patents

Device control system using long range wide area network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60890A
KR20210060890A KR1020190148431A KR20190148431A KR20210060890A KR 20210060890 A KR20210060890 A KR 20210060890A KR 1020190148431 A KR1020190148431 A KR 1020190148431A KR 20190148431 A KR20190148431 A KR 20190148431A KR 20210060890 A KR20210060890 A KR 202100608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vice control
control system
lora network
network
contro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843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신유식
Original Assignee
신유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유식 filed Critical 신유식
Priority to KR10201901484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60890A/en
Publication of KR202100608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0890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WMETEOROLOGY
    • G01W1/00Meteorology
    • G01W1/10Devices for predicting weather condi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25/00Arrangements for preventing or correcting errors; Monitoring arrangement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2201/00Transmission systems of control signals via wireless link
    • G08C2201/40Remote control systems using repeaters, converters, gateways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control system using a LoRa network. The device control system includes a sensor part for measuring at least one of temperature, humidity, rainfall, or carbon dioxide; a main control part for receiving a signal representing at least one of temperature, humidity, rainfall, or carbon dioxide from the sensor part through a LoRa network and generating an output value; and a device control part for receiving a signal representing the output value from the main control part through the LoRa network to control a device. The device control system has a low cost of chipset, low radio wave interference, and low communication cost.

Description

로라 네트워크를 이용한 디바이스 제어시스템{DEVICE CONTROL SYSTEM USING LONG RANGE WIDE AREA NETWORK}Device control system using LoRa network {DEVICE CONTROL SYSTEM USING LONG RANGE WIDE AREA NETWORK}

본 발명은 로라 네트워크를 이용한 디바이스 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농업을 위해 사용되는 디바이스를 로라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제어하는 디바이스 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control system using a roller network, and more particularly, to a device control system for controlling a device used for agriculture by using a roller network.

이 배경기술 부분에 기재된 사항은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키기 위하여 작성된 것으로서, 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 기술이 아닌 사항을 포함할 수 있다.The matters described in this background are prepared to enhance an understanding of the background of the invention, and may include matters other than the prior art already known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field to which this technology belongs.

IoT(Internet of Things) 서비스의 보편적 보급을 위해서는 다양한 센서와 제어장비의 소량 데이터를 원거리에서 신뢰성 및 보안성을 확보하여 송신할 수 있어야 한다. 그러나, 현재까지의 IoT에 적용되는 디바이스들의 인터페이스가 규격화되어 있지 않아 범용성이 낮은 상황이다.For the universal spread of IoT (Internet of Things) services, it is necessary to be able to transmit a small amount of data from various sensors and control equipment with reliability and security secured from a distance. However, since the interfaces of devices applied to the IoT until now are not standardized, the versatility is low.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최근 LPWA(Low Power Wide Area) 네트워크 기술이 주목받고 있다. LPWA 통신기술은 저속 송신이 용인되고, 광역 커버리지를 필요로 하는 롱 배터리 라이프(Long Battery Life)를 지원하는 소량 데이터 송신에 특화된 IoT 기반 네트워크 기술을 통칭하는 용어로, 이러한 LPWA 네트워크 기술의 대표적인 예가 로라기술(RoLa)이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 low power wide area (LPWA) network technology has recently attracted attention. LPWA communication technology is a collective term for IoT-based network technology that is specialized for small data transmission that supports long battery life that requires low-speed transmission and requires wide area coverage, and a representative example of such LPWA network technology is Lora. It is technology (RoLa).

이러한 로라기술은 900MHz 대 주파수를 사용하는 저전력 원거리 통신 프로토콜로서, 많은 리피터 및 AP가 필요하지 않아 인프라 구축 비용이 감소되며, 셀룰러 네트워크에 비해 임베디드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보다 높은 확장 가능성과 비용 효율성을 제공할 수 있는 통신 프로토콜이다.This LoRa technology is a low-power long-distance communication protocol that uses a frequency of 900 MHz, and does not require many repeaters and APs, reducing the cost of building infrastructure and providing higher scalability and cost efficiency for embedded applications compared to cellular networks. Communication protocol.

그러나, 이러한 로라기술을 이용하여 각종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시스템은 아직까지 제안되지 않고 있다.However, a system for controlling various devices using such a roller technology has not yet been proposed.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779202호Korean 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0-1779202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사용되는 칩셋의 가격이 저렴하고 전파간섭이 적으며 통신비용이 낮은 장점을 갖는 로라 네트워크를 이용한 디바이스 제어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aims to provide a device control system using a LoRa network having advantages of low cost, low radio wave interference, and low communication cost of a used chipset.

본 발명은 디바이스 제어기가 특정 아이디를 갖는 디바이스의 송수신 상태를 실패로 판단하였을 때 관리자 휴대용 단말기에 통신불능상태 알람신호를 송신함으로써, 관리자는 특정 아이디를 갖는 디바이스가 통신불능상태라는 것을 알고 신속한 초치를 취할 수 있는 로라 네트워크를 이용한 디바이스 제어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device controller determines the transmission/reception status of a device having a specific ID as a failure, it transmits a communication failure status alarm signal to an administrator's portable terminal. It aims to provide a device control system using a lora network that can be take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라 네트워크를 이용한 디바이스 제어시스템은, 온습도, 강우량 또는 이산화탄소량 중 적어도 하나를 측정하는 센서부; 로라 네트워크를 통해 센서부로부터 온습도, 강우량 또는 이산화탄소량 중 적어도 하나를 나타내는 신호를 수신하여 출력값을 생성하는 메인 제어부; 및 로라 네트워크를 통해 메인 제어부로부터 출력값을 나타내는 신호를 수신하여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디바이스 제어부를 포함한다.A device control system using a roller networ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ensor unit that measures at least one of temperature and humidity, rainfall, and carbon dioxide; A main control unit configured to generate an output value by receiving a signal representing at least one of temperature and humidity, rainfall, and carbon dioxide amount from the sensor unit through the roller network; And a device control unit configured to control the device by receiving a signal representing an output value from the main control unit through the LoRa network.

여기서, 센서부는 온습도, 강우량 또는 이산화탄소량을 측정하는 각각의 센서와, 각각의 센서로부터 출력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A/D 변환기(Analog/Digital converter)를 포함하고, 각각의 센서에 적어도 하나의 A/D 변환기가 연결된다.Here, the sensor unit includes each sensor for measuring the amount of temperature and humidity, rainfall, or carbon dioxide, and an A/D converter that converts an analog signal output from each sensor into a digital signal. At least one A/D converter is connected.

또한, 각각의 센서에 연결되는 A/D 변환의 개수는 디바이스의 위치 및 개수에 따라 결정된다.In addition, the number of A/D conversions connected to each sensor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location and number of devices.

또한, 메인 제어부는 디바이스를 수동으로 동작시키기 위한 온/오프 스위치를 구비하고, 온/오프 스위치는 디바이스의 개수와 동일하다.In addition, the main control unit includes an on/off switch for manually operating the device, and the on/off switch is equal to the number of devices.

또한, 로라 네트워크에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가 연결된다.In addition, at least one device is connected to the LoRa network.

또한, 로라 네트워크에 연결되는 디바이스의 개수는 디바이스의 위치 및 개수에 따라 결정된다.In addition, the number of devices connected to the LoRa network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location and number of devices.

또한, 디바이스는 적어도 하나이고, 디바이스 제어부는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에 각각 아이디(ID)를 부여하고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의 송수신 상태를 각각의 아이디별로 판단하여 디스플레이 수단에 디스플레이한다.In addition, there is at least one device, and the device controller assigns IDs to each of the at least one device, determines the transmission/reception status of the at least one device for each ID, and displays them on the display unit.

또한, 디바이스는 적어도 하나이고, 디바이스 제어부는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에 각각 아이디(ID)를 부여하고 특정 아이디를 갖는 디바이스의 송수신 상태를 실패로 판단하였을 때 관리자 휴대용 단말기에 통신불능상태 알람신호를 송신한다.In addition, there is at least one device, and the device control unit assigns IDs to at least one device, respectively, and transmits a communication failure status alarm signal to the administrator's portable terminal when it determines that the transmission/reception status of the device having a specific ID is failed .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되는 칩셋의 가격이 저렴하고 전파간섭이 적으며 통신비용이 낮은 장점을 갖는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rice of the chipset to be used is low, radio wave interference is low, and communication cost is low.

본 발명에 따르면, 디바이스 제어기가 특정 아이디를 갖는 디바이스의 송수신 상태를 실패로 판단하였을 때 관리자 휴대용 단말기에 통신불능상태 알람신호를 송신함으로써, 관리자는 특정 아이디를 갖는 디바이스가 통신불능상태라는 것을 알고 신속한 초치를 취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device controller determines the transmission/reception status of a device having a specific ID as a failure, by sending a communication failure status alarm signal to the manager's portable terminal, the manager knows that the device with a specific ID is in a communication failure status and promptly You can take a chok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라 네트워크를 이용한 디바이스 제어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의 센서부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1의 메인 제어부의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1의 디바이스 제어부의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의 송수신 상태를 보이는 디스플레이 수단의 화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의 송수신 상태를 보이는 관리자 휴대용 단말기의 화면이다.
1 is a block diagram of a device control system using a LoRa networ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of the sensor unit of FIG. 1.
3 is a block diagram of the main control unit of FIG. 1.
4 is a block diagram of a device control unit of FIG. 1.
5 is a screen of a display means showing a transmission/reception state of a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screen of an administrator portable terminal showing a transmission/reception status of a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단지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method of achieving them will b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later together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and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The embodiments are provided only to make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lete, and to fully inform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and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Only.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라 네트워크를 이용한 디바이스 제어시스템의 블록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of a device control system using a LoRa networ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로라 네트워크를 이용한 디바이스 제어시스템(1000)은, 센서부(100), 메인 제어부(200) 및 디바이스 제어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a device control system 1000 using a LoRa network may include a sensor unit 100, a main control unit 200, and a device control unit 300.

센서부(100)는 온습도, 강우량 또는 이산화탄소량 중 적어도 하나를 측정한다.The sensor unit 100 measures at least one of temperature and humidity, rainfall, and amount of carbon dioxide.

메인 제어부(200)는 로라 네트워크를 통해 센서부(100)로부터 온습도, 강우량 또는 이산화탄소량 중 적어도 하나를 나타내는 신호를 수신하여 출력값을 생성한다.The main control unit 200 generates an output value by receiving a signal representing at least one of temperature and humidity, rainfall, and carbon dioxide amount from the sensor unit 100 through the roller network.

디바이스 제어부(300)는 로라 네트워크를 통해 메인 제어부(200)로부터 출력값을 나타내는 신호를 수신하여 디바이스(510, 520, 530, 540)를 제어한다. 여기서, 로라 네트워크에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510, 520, 530, 540)가 연결되며, 로라 네트워크에 연결되는 디바이스의 개수는 디바이스(510, 520, 530, 540)의 위치 및 개수에 따라 결정된다. 도 1에서 디바이스의 개수는 4개로 도시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The device control unit 300 controls the devices 510, 520, 530, and 540 by receiving a signal representing an output value from the main control unit 200 through the LoRa network. Here, at least one device (510, 520, 530, 540) is connected to the LoRa network, and the number of devices connected to the LoRa network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location and number of the devices (510, 520, 530, 540). In FIG. 1, the number of devices is shown as four, but the number of devices is not limited thereto.

여기서, LPWA 네트워크 기술의 대표적인 예가 로라기술(RoLa)이라 할 수 있으며, 저속 송신이 용인되고, 광역 커버리지를 필요로 하는 롱 배터리 라이프(Long Battery Life)를 지원하는 소량 데이터 송신에 특화된 IoT 기반 네트워크 기술이다.Here, a representative example of LPWA network technology can be called RoLa technology, and IoT-based network technology specialized for small data transmission that supports long battery life that requires low-speed transmission and requires wide area coverage. to be.

전술한 로라 네트워크를 이용한 디바이스 제어시스템(1000)은 로라 네트워크 조합에 의해 결합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특별한 제한이 없음을 유의해야 한다.It should be noted that the device control system 1000 using the above-described LoRa network may be combined by a LoRa network combination, and there is no particular limitation on this.

도 2 내지 도 4를 통해 센서부(100), 메인 제어부(200) 및 디바이스 제어부(300)의 구성을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The configurations of the sensor unit 100, the main control unit 200, and the device control unit 30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rough FIGS. 2 to 4.

도 2는 도 1의 센서부의 블록도이다.2 is a block diagram of the sensor unit of FIG. 1.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센서부(100)는 온습도 센서(110), 강우량 센서(120), 이산화탄소 센서(130), A/D 변환기(Analog/Digital converter, 140) 및 제1 로라 네트워크 통신수단(150)을 포함할 수 있다.1 and 2, the sensor unit 100 includes a temperature and humidity sensor 110, a rainfall sensor 120, a carbon dioxide sensor 130, an A/D converter (Analog/Digital converter) 140, and a first lora network. It may include a communication means 150.

여기서, 센서부(100)는 온습도센서(110), 강우량 센서(120), 이산화탄소 센서(130)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센서로부터 기상상태와 관련한 양을 측정할 수 있다.Here, the sensor unit 100 is not limited to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sensor 110, the rainfall sensor 120, and the carbon dioxide sensor 130, and may measure amounts related to the weather condition from various sensors.

온습도센서(110)는 농장이나 비닐 하우스의 내에서 작물 성장을 위해 온도 및 습도가 적절히 유지되는지를 알기 위해 온습도를 측정한다. 강우량 센서(120)는 비닐 하우스의 개폐여부를 고려하기 위해 강우량을 측정한다. 이산화탄소 센서(130)는 배기 및 환기를 고려하기 위해 이산화탄소량을 측정하다.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sensor 110 measures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in order to know whether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are properly maintained for crop growth in a farm or a plastic house. The rainfall sensor 120 measures rainfall in order to consider whether the plastic house is opened or closed. The carbon dioxide sensor 130 measures the amount of carbon dioxide in order to consider exhaust and ventilation.

또한, 이들 각각의 센서(110, 120, 130)에는 적어도 하나의 A/D 변환기(140)가 연결될 수 있다. 도 2에서는 각각의 센서(110, 120, 130)에 연결되는 A/D 변환기(140)를 편의상 1대로 도시하였지만, A/D 변환기(140)의 개수는 디바이스의 위치 및 개수에 따라 결정된다. In addition, at least one A/D converter 140 may be connected to each of these sensors 110, 120, and 130. In FIG. 2, one A/D converter 140 connected to each of the sensors 110, 120, and 130 is illustrated for convenience, but the number of A/D converters 140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location and number of devices.

이들 센서(110, 120, 130)와 A/D 변환기(140)의 전력은 AC GRID 또는 마이크로 태양광 MPPT 충전기로 소형 배터리(휴대폰 보조 배터리)로 이용될 수 있다.The power of these sensors 110, 120, and 130 and the A/D converter 140 may be used as a small battery (mobile phone auxiliary battery) by an AC GRID or a micro solar MPPT charger.

A/D 변환기(140)는 이들 센서(110, 120, 130)로부터 출력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제1 로라 네트워크 통신수단(150)에 송신한다.The A/D converter 140 converts the analog signals output from these sensors 110, 120, 130 into digital signals and transmits them to the first LoRa network communication means 150.

도 3은 도 1의 메인 제어부의 블록도이다.3 is a block diagram of the main control unit of FIG. 1.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메인 제어부(200)는 제2 로라 네트워크 통신수단(210), 중앙처리수단(220), 디스플레이 수단(230) 및 온/오프 스위치(ON/OFF switch, 240a, 240b, 240c, 240d)을 포함할 수 있다.1 and 3, the main control unit 200 includes a second roller network communication unit 210, a central processing unit 220, a display unit 230, and an ON/OFF switch 240a, 240b, 240c, 240d).

중앙처리수단(220)은 제2 로라 네트워크 통신수단(210)을 통해 센서부(100)로부터 수신한 신호의 출력값을 생성한다.The central processing means 220 generates an output value of the signal received from the sensor unit 100 through the second lora network communication means 210.

디스플레이 수단(230)은 제2 로라 네트워크 통신수단(210)을 통해 수신한 신호의 입력값과 중앙처리수단(220)이 생성한 출력값을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한다. 이때,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화면을 통해 디스플레이 수단(230)이 수신한 신호의 입력값과 중앙처리수단(220)이 생성한 출력값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The display unit 230 displays an input value of the signal received through the second lora network communication unit 210 and an output value generated by the central processing unit 220 on the display screen. In this case, the user can visually check the input value of the signal received by the display unit 230 and the output value generated by the central processing unit 220 through the display screen.

온/오프 스위치(240a, 240b, 240c, 240d)는 디바이스를 수동으로 동작시키고, 그 개수는 디바이스의 개수와 동일하다. 도 3에서는 온/오프 스위치(240a, 240b, 240c, 240d)의 개수를 4개로 도시하였으며, 이때 디바이스의 개수도 4개이다.The on/off switches 240a, 240b, 240c, and 240d manually operate the devices, and the number is the same as the number of devices. In FIG. 3, the number of on/off switches 240a, 240b, 240c, and 240d is shown as four, and the number of devices is also four.

도 4는 도 1의 디바이스 제어부의 블록도이다.4 is a block diagram of a device control unit of FIG. 1.

도 1 및 도 4를 참조하면, 디바이스 제어부(300)는 제3 로라 네트워크 통신수단(310) 및 디바이스 제어기(320)을 포함할 수 있다.1 and 4, the device control unit 300 may include a third roller network communication unit 310 and a device controller 320.

디바이스 제어기(320)는 제3 로라 네트워크 통신수단(310)을 통해 메인 제어부(200)로부터 출력값을 나타내는 신호를 수신하여 농업을 위해 사용되는 디바이스(510, 520, 530, 540)를 제어한다. 농업을 위해 사용되는 디바이스(510, 520, 530, 540)는 팬, 온풍기, 에어컨, 스프링 쿨러, 개폐기, 비료공급장치 등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팬에서는 온도 및 이산화탄소가 측정되며, 온풍기와 에어컨에서는 온도가 측정될 수 있다. 스프링 쿨러에서는 온도 및 습도가 측정될 수 있으며, 개폐기에서는 온습도, 이산화탄소 및 강우가 측정될 수 있다.The device controller 320 controls the devices 510, 520, 530, and 540 used for agriculture by receiving a signal representing an output value from the main controller 200 through the third lora network communication means 310. The devices 510, 520, 530, and 540 used for agriculture may be a fan, a warmer, an air conditioner, a sprinkler, a switch, a fertilizer supply device, and the like, but are not limited thereto. The temperature and carbon dioxide are measured by the fan, and the temperature can be measured by the warmer and air conditioner. Temperature and humidity may be measured in a sprinkler, and temperature and humidity, carbon dioxide, and rainfall may be measured in a switch.

디바이스 제어기(320)는 제3 로라 네트워크 통신수단(310)을 통해 농업을 위해 사용되는 디바이스(510, 520, 530, 540)와 직접 연결되거나 디바이스(510, 520, 530, 540)를 전원공급을 제어하는 방식으로 제어한다.The device controller 320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devices 510, 520, 530, 540 used for agriculture through the third LoRa network communication means 310, or supplies power to the devices 510, 520, 530, and 540. Control it in a way that you control.

디바이스 제어기(320)는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510, 520, 530, 540)에 각각 아이디(ID)를 부여한다. 디바이스 제어기(320)는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510, 520, 530, 540)의 송수신 상태를 각각의 아이디별로 판단하여 디스플레이 수단에 디스플레이한다. 또한, 디바이스 제어기(320)는 특정 아이디를 갖는 디바이스(510, 520, 530, 540)의 송수신 상태를 실패로 판단하였을 때 관리자 휴대용 단말기(도시되지 않음)에 통신불능상태 알람신호를 송신한다. 이때, 관리자는 특정 아이디를 갖는 디바이스(510, 520, 530, 540)가 통신불능상태라는 것을 알고 신속한 초치를 취할 수 있다.The device controller 320 assigns IDs to at least one device 510, 520, 530, and 540, respectively. The device controller 320 determines the transmission/reception status of the at least one device 510, 520, 530, and 540 for each ID and displays it on the display unit. In addition, when the device controller 320 determines that the transmission/reception status of the devices 510, 520, 530, and 540 having a specific ID is a failure, the device controller 320 transmits a communication failure status alarm signal to the portable administrator terminal (not shown). At this time, the administrator can take a quick initial step by knowing that the devices 510, 520, 530, and 540 having a specific ID are in a communication-disabled state.

관리자는 관리자용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을 관리자 휴대용 단말기에 다운로드하여 설치함으로써 관리자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로라 네트워크를 이용한 디바이스 제어시스템(1000)을 이용할 수 있다. 관리자 휴대용 단말기는 관리자용 어플리케이션 실행을 통해 관리자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로라 네트워크를 이용한 디바이스 제어시스템(1000)에 접속하여 디바이스 관리를 이용할 수 있다. The administrator can use the device control system 1000 using the LoRa network using the administrator's portable terminal by downloading and installing an administrator application to the administrator's portable terminal. The manager portable terminal may access the device control system 1000 using the LoRa network using the manager portable terminal through the execution of the manager application to use device management.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의 송수신 상태를 보이는 디스플레이 수단의 화면이다.5 is a screen of a display means showing a transmission/reception state of a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4개의 디바이스 D1, D2, D3, D4의 송수신 상태를 보이고 있다.Referring to FIG. 5, transmission/reception states of four devices D1, D2, D3, and D4 are shown.

D1, D2, D3, D4의 송수신 상태는 각각 성공, 성공, 실패, 성공임을 알 수 있으며, 관리자는 D3의 아이디를 갖는 디바이스가 통신불능상태라는 것을 알고 신속한 초치를 취할 수 있다.The transmission/reception status of D1, D2, D3, D4 can be seen as success, success, failure, and success, respectively, and the administrator can take a quick start by knowing that the device with the ID of D3 is in a communication failure state.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의 송수신 상태를 보이는 관리자 휴대용 단말기의 화면이다.6 is a screen of an administrator portable terminal showing a transmission/reception status of a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현재 D3의 아이디를 갖는 디바이스의 송수신이 불가능한 상태입니다. 관리자께서는 신속히 조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라는 메시지가 관리자 휴대용 단말기에 디스플레이되었음을 알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it can be seen that a message "transmitting/receiving a device with an ID of D3 is currently impossible. Please take prompt action by the administrator" is displayed on the administrator's portable terminal.

이때, 관리자는 D3의 아이디를 갖는 디바이스가 통신불능상태라는 것을 알고 신속한 초치를 취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administrator knows that the device with the ID of D3 is in a communication-disabled state and can take a quick start.

도 1 내지 도 6을 통해 살펴본 로라 네트워크를 이용한 디바이스 제어시스템은 사용되는 칩셋의 가격이 저렴하고 전파간섭이 적으며 통신비용이 낮은 장점을 갖는다.The device control system using the LoRa network as shown through FIGS. 1 to 6 has advantages of low cost of a used chipset, low radio wave interference, and low communication cost.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이해를 돕기 위하여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들을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for better understanding, but this is only exemplary,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rovided from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You will understand that it is possible.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appended claims.

100 : 센서부 110 : 온습도 센서 120 : 강우량 센서 130 : 이산화탄소 센서 140 : A/D 변환기 150 : 제1 로라 네트워크 통신수단 200 : 메인 제어부 210 : 제2 로라 네트워크 통신수단 220 : 중앙처리수단 230 : 디스플레이 수단 240a, 240b, 240c, 240d : 온/오프 스위치
300 : 디바이스 제어부 310 : 디바이스 제어기 320 : 제3 로라 네트워크 통신수단 400 : 휴대용 단말기 510, 520, 530, 540 : 디바이스 1000 : 디바이스 제어시스템
100: sensor unit 110: temperature and humidity sensor 120: rainfall sensor 130: carbon dioxide sensor 140: A/D converter 150: first lora network communication means 200: main control unit 210: second lora network communication means 220: central processing means 230: display Sudan 240a, 240b, 240c, 240d: on/off switch
300: device control unit 310: device controller 320: third lora network communication means 400: portable terminal 510, 520, 530, 540: device 1000: device control system

Claims (8)

온도, 습도, 강우량 또는 이산화탄소량 중 적어도 하나를 측정하는 센서부;
로라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센서부로부터 온도, 습도, 강우량 또는 이산화탄소량 중 적어도 하나를 나타내는 신호를 수신하여 출력값을 생성하는 메인 제어부; 및
상기 로라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메인 제어부로부터 출력값을 나타내는 신호를 수신하여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디바이스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라 네트워크를 이용한 디바이스 제어시스템.
A sensor unit that measures at least one of temperature, humidity, rainfall, and carbon dioxide;
A main control unit configured to generate an output value by receiving a signal representing at least one of temperature, humidity, rainfall, and carbon dioxide amount from the sensor unit through a roller network; And
A device control unit that controls a device by receiving a signal representing an output value from the main control unit through the LoRa network
Device control system using a roller network,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온도, 습도, 강우량 또는 이산화탄소량을 측정하는 각각의 센서와, 상기 각각의 센서로부터 출력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A/D 변환기(Analog/Digital converter)를 포함하고, 상기 각각의 센서에 적어도 하나의 A/D 변환기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라 네트워크를 이용한 디바이스 제어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sensor unit includes each sensor for measuring temperature, humidity, rainfall, or carbon dioxide amount, and an A/D converter for converting an analog signal output from each of the sensors into a digital signal, each of the Device control system using a LoRa network,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one A / D converter is connected to the sensor of.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센서에 연결되는 A/D 변환기의 개수는 상기 디바이스의 위치 및 개수에 따라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라 네트워크를 이용한 디바이스 제어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2,
Device control system using a LoRa network, characterized in that the number of A/D converters connected to each of the sensors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location and number of the devic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제어부는 상기 디바이스를 수동으로 동작시키기 위한 온/오프 스위치를 구비하고, 상기 온/오프 스위치는 상기 디바이스의 개수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라 네트워크를 이용한 디바이스 제어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main control unit includes an on/off switch for manually operating the device, and the on/off switch is the same as the number of devic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라 네트워크에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라 네트워크를 이용한 디바이스 제어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Device control system using a lora network,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one device is connected to the lora network.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로라 네트워크에 연결되는 디바이스의 개수는 상기 디바이스의 위치 및 개수에 따라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라 네트워크를 이용한 디바이스 제어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5,
Device control system using a lora network, characterized in that the number of devices connected to the lora network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location and number of the devic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는 적어도 하나이고, 상기 디바이스 제어부는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에 각각 아이디(ID)를 부여하고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의 송수신 상태를 각각의 아이디별로 성공 또는 실패로 판단하여 디스플레이 수단에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라 네트워크를 이용한 디바이스 제어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device is at least one, and the device control unit assigns IDs to at least one device, respectively, determines a transmission/reception status of at least one device as success or failure for each ID, and displays it on a display unit. Device control system using a LoRa network.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는 적어도 하나이고, 상기 디바이스 제어부는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에 각각 아이디(ID)를 부여하고 특정 아이디를 갖는 디바이스의 송수신 상태를 실패로 판단하였을 때 관리자 휴대용 단말기에 통신불능상태 알람신호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라 네트워크를 이용한 디바이스 제어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device is at least one device, and the device control unit assigns IDs to each of the at least one device and transmits a communication failure state alarm signal to the administrator's portable terminal when the transmission/reception state of a device having a specific ID is determined to be a failure. Device control system using a roller network, characterized in that.
KR1020190148431A 2019-11-19 2019-11-19 Device control system using long range wide area network KR20210060890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8431A KR20210060890A (en) 2019-11-19 2019-11-19 Device control system using long range wide area networ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8431A KR20210060890A (en) 2019-11-19 2019-11-19 Device control system using long range wide area network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0890A true KR20210060890A (en) 2021-05-27

Family

ID=761357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8431A KR20210060890A (en) 2019-11-19 2019-11-19 Device control system using long range wide area network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60890A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9202B1 (en) 2017-04-12 2017-09-18 주식회사 레오테크 LoRaWAN-based remote meter reading system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9202B1 (en) 2017-04-12 2017-09-18 주식회사 레오테크 LoRaWAN-based remote meter reading syste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86648B1 (en) Wireless extension of local area networks
CN107948917B (en) Antenna system and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thereof
JPH11234200A (en) Relay system
CN104049617A (en) Implementing method for home control system based on network and cloud technology
CN103533512A (en)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configuring and adding equipment into network group
CN104467986B (en) Radio-frequency apparatus calibration method
KR20200090652A (en) Integrated IoT module and IoT-based Management System
KR101888141B1 (en) System for Remote Monitoring Tunnel Radio
CN110785948A (e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for transmitting and obtaining network credentials
KR20210060890A (en) Device control system using long range wide area network
CN108844184B (en) Air conditioner controller
JP2014150406A (en) Remote control system
WO2019087501A1 (en) Transmission/reception circuit,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ransmission/reception circuit
CN102104432A (en) ODU (Optical Density Unit) control and test method, device and system
KR101885865B1 (en) Monitoring and controlling system of remote facility
CN203812390U (en) Intelligent control system
CN210183563U (en) Full-network communication miniature indoor distribution system
KR20000060856A (en) Remote Repeater Monitoring Apparatus of Communication System
KR20180079130A (en) Information collection and analysis system for industrial network monitor and remote control
WO2013086799A1 (en) Terminal for connecting radio wide area network and power carrier network, charging device and method
CN203191800U (en) Remote control system
CN201188655Y (en) Monitoring type television microwave transmission equipment and monitoring system thereof
CN205566337U (en) Full residence controlling means of intelligence house
JP2000295258A (en) Power line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for setting id for the power line communication system
WO2012077657A1 (en) Monitoring control device, monitoring control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